KR20170082339A - 스캐너 장치, 이를 채용한 화상형성장치, 및 스큐 보정 방법 - Google Patents

스캐너 장치, 이를 채용한 화상형성장치, 및 스큐 보정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82339A
KR20170082339A KR1020160001609A KR20160001609A KR20170082339A KR 20170082339 A KR20170082339 A KR 20170082339A KR 1020160001609 A KR1020160001609 A KR 1020160001609A KR 20160001609 A KR20160001609 A KR 20160001609A KR 20170082339 A KR20170082339 A KR 2017008233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riginal
motor
roller
document
spe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016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변지영
김성대
윤영중
Original Assignee
에스프린팅솔루션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프린팅솔루션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프린팅솔루션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00160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082339A/ko
Priority to US15/392,062 priority patent/US10209662B2/en
Publication of KR201700823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8233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65Apparatus which relate to the handling of copy material
    • G03G15/6555Handling of sheet copy material taking place in a specific part of the copy material feeding path
    • G03G15/6558Feeding path after the copy sheet preparation and up to the transfer point, e.g. registering; Deskewing; Correct timing of sheet feeding to the transfer point
    • G03G15/6561Feeding path after the copy sheet preparation and up to the transfer point, e.g. registering; Deskewing; Correct timing of sheet feeding to the transfer point for sheet registr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0567Handling of original or reproduction media, e.g. cutting, separating, stacking
    • H04N1/0066Aligning or positioning related to handling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65Apparatus which relate to the handling of copy material
    • G03G15/6555Handling of sheet copy material taking place in a specific part of the copy material feeding path
    • G03G15/6558Feeding path after the copy sheet preparation and up to the transfer point, e.g. registering; Deskewing; Correct timing of sheet feeding to the transfer point
    • G03G15/6567Feeding path after the copy sheet preparation and up to the transfer point, e.g. registering; Deskewing; Correct timing of sheet feeding to the transfer point for deskewing or align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0567Handling of original or reproduction media, e.g. cutting, separating, stacking
    • H04N1/0057Conveying sheets before or after scann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0567Handling of original or reproduction media, e.g. cutting, separating, stacking
    • H04N1/0057Conveying sheets before or after scanning
    • H04N1/00588Conveying sheets before or after scanning to the scanning posi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0567Handling of original or reproduction media, e.g. cutting, separating, stacking
    • H04N1/0057Conveying sheets before or after scanning
    • H04N1/00599Using specific components
    • H04N1/00602Feed roll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0567Handling of original or reproduction media, e.g. cutting, separating, stacking
    • H04N1/0057Conveying sheets before or after scanning
    • H04N1/00599Using specific components
    • H04N1/00604Transport tray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0681Detecting the presence, position or size of a sheet or correcting its position before scanning
    • H04N1/00684Object of the detection
    • H04N1/00702Posi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0681Detecting the presence, position or size of a sheet or correcting its position before scanning
    • H04N1/00742Detection methods
    • H04N1/00745Detecting the leading or trailing ends of a moving shee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0681Detecting the presence, position or size of a sheet or correcting its position before scanning
    • H04N1/00785Correcting the position of a sheet before scanning

Abstract

개시된 스캐너 장치는, 원고로부터 화상을 읽어들이는 독취부재가 배치된 원고 이송 경로와, 원고 이송 경로를 따라 원고를 이송시키는 것으로서 원고의 이송 방향을 기준으로 하여 독취부재의 상류측에 위치되는 제1레지 롤러와, 제1레지 롤러와 원고의 폭방향으로 정렬되고 제1레지 롤러로부터 폭방향으로 이격되게 위치되는 제2레지 롤러와, 제1레지 롤러를 구동하는 레지 모터와, 제2레지 롤러를 구동하는 메인 모터를 구비한다.

Description

스캐너 장치, 이를 채용한 화상형성장치, 및 스큐 보정 방법{Scanner device, image forming apparatus adopting the same, and skew adjusting method}
원고로부터 화상을 독취하는 스캐너 장치, 이를 채용한 화상형성장치, 및 스큐 보정 방법이 개시된다.
스캐너 장치는 원고에 광을 조사하고 반사되는 광을 수광하여 원고에 기록된 화상을 읽어들이는 장치는 말한다. 급지대에 적재된 원고는 다수의 원고 이송용 롤러에 의하여 원고 이송 경로를 따라 이송된다. 독취 부재는 원고 이송 경로 중에 위치되어, 이송되는 원고로부터 화상을 읽어들인다. 화상 독취가 완료된 후에 원고는 배지대로 배출된다. 독취 부재로서 예를 들어, CIS(contact type image sensor), CCD(charge coupled device) 등이 채용될 수 있다.
원고 이송경로를 따라 이송되는 원고가 이송 방향에 대하여 기울어져서 이송되면, 독취된 화상이 기울어질 수 있으며, 원고 잼이 발생될 수도 있다. 원고가 원고 이송 방향에 대하여 기울어지게 이송되는 것을 스큐(skew)이라 한다. 스큐를 보정하기 위하여, 레지스트레이션 롤러를 일시적으로 정지시킨 후에 다시 회전시키는 방식이 채용된다. 이에 의하면, 원고의 선단이 레지스트레이션 롤러에 접촉된 후에 원고가 부분적으로 구부러지면서 원고의 선단이 레지스트레이션 롤러에 정렬되어 스큐가 보정된다. 그 후에 레지스트레이션 롤러를 회전시키면 스큐가 보정된 원고가 다시 이송된다.
스캐너 장치가 고속화됨에 따라서, 스큐 보정를 보정하는 과정에서 정지된 레지스트레이션 롤러와 원고 선단의 충돌로 인한 소음, 레지스트레이션 롤러에 전달되는 모터의 구동력을 단속하는 과정에서의 단속 소음 및 고주파 소음 등이 커질 수 있다. 또한, 원고 이송 속도가 빠르면, 다양한 두께의 원고의 스큐를 보정하기가 어렵다.
안정적인 스큐 보정이 가능한 스캐너 장치, 이를 채용한 화상형성장치, 및 스큐 보정 방법을 제공한다.
일 측면에 따른 스캐너 장치는, 원고로부터 화상을 읽어들이는 독취부재가 배치된 원고 이송 경로; 상기 원고 이송 경로를 따라 원고를 이송시키는 것으로서, 상기 원고의 이송 방향을 기준으로 하여 상기 독취부재의 상류측에 위치되는 제1레지 롤러; 상기 제1레지 롤러와 상기 원고의 폭방향으로 정렬되고, 상기 제1레지 롤러로부터 상기 폭방향으로 이격되게 위치되는 제2레지 롤러; 상기 제1레지 롤러를 구동하는 레지 모터; 상기 제2레지 롤러를 구동하는 메인 모터;를 구비한다.
일 측면에 따른 화상형성장치는, 전술한 스캐너 장치; 기록 매체에 화상을 형성하는 인쇄유닛;을 구비한다.
일 측면에 따른 스큐 보정 방법은, 원고의 이송 방향을 기준으로 하여 독취부재의 상류측에 위치되는 제1레지 롤러를 레지 모터를 이용하여 프로세스 속도로 회전시키는 단계; 상기 제1레지 롤러와 상기 원고의 폭방향으로 정렬되고 상기 제1레지 롤러로부터 상기 폭방향으로 이격되게 위치되는 제2레지 롤러를 메인 모터를 이용하여 상기 프로세스 속도로 회전시키는 단계; 상기 제1, 제2레지 롤러의 하류측에 상기 폭방향으로 이격되게 위치된 제1, 제2레지 센서에 의한 상기 원고 선단의 검출 시간편차로부터 선단 스큐량을 산출하는 단계; 상기 레지 모터를 변속 제어하여 상기 선단 스큐량을 보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전술한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안정적인 스큐 보정이 가능하다.
메인 모터의 구동 속도는 롤러들이 프로세스 속도를 유지할 수 있도록 유지되므로, 모터 기동 소음을 줄일 수 있다.
레지 모터는 정지없이 변속 제어되므로, 스큐 보정 과정에서 레지 모터의 기동 소음을 줄일 수 있다.
도 1은 스캐너 장치의 일 실시예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스캐너 장치의 일 실시예의 개략적인 사시도로서, 원고이송유닛이 열린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레지 롤러의 일 실시예의 개략적인 평면도이다.
도 4a는 레지 롤러의 일 실시예의 개략적인 평면도이다.
도 4b는 레지 롤러의 일 실시예의 개략적인 평면도이다.
도 5는 스캐너 장치의 일 실시예의 개략적인 블록도이다.
도 6은 원고의 선단 스큐 보정 방법의 일 실시예의 흐름도이다.
도 7은 도 6에 도시된 스큐 보정 과정의 일 실시예의 흐름도이다.
도 8a와 도 8b는 시간편차가 음수인 경우의 레지 모터의 구동 프로파일의 예들을 보여준다.
도 8c와 도 8d는 시간편차가 양수인 경우의 레지 모터의 구동 프로파일의 예들을 보여준다.
도 9는 레지 모터의 기준 속도 변경 제어 회로의 일 실시예를 보여주는 블록도이다.
도 10은 원고 한 장을 이송시키는 경우 레지 모터의 구동 프로파일의 일 예를 보여준다.
도 11은 본 실시예에 따른 스큐 보정 구조를 적용한 경우와 그렇지 않은 경우의 스큐량을 시험한 결과를 보여주는 그래프이다.
도 12는 스캐너 장치가 채용된 화상형성장치의 일 실시예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이하, 도면들 참조하면서 스캐너 장치, 이를 채용한 화상형성장치, 및 스큐 보정 방법의 실시예들에 관하여 설명한다. 도면에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구성요소를 지칭하며, 각 구성요소의 크기나 두께는 설명의 명료성을 위하여 과장되어 있을 수 있다.
도 1은 스캐너 장치(1)의 일 실시예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며,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스캐너 장치(1)의 일 실시예의 개략적인 사시도로서, 원고이송유닛(100)이 열린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과 도 2를 보면, 스캐너 장치(1)는 원고이송유닛(100)과 독취유닛(200)을 포함할 수 있다.
독취유닛(200)에는 원고(D)로부터 화상을 읽어들이기 위한 독취부재(210)가 마련된다. 독취부재(210)는 원고(D)에 광을 조사하고, 원고(D)로부터 반사되는 광을 수광하여 원고(D)의 화상을 읽어들인다. 독취부재(210)로서 예를 들어 CIS(contact type image sensor), CCD(charge coupled device) 등이 채용될 수 있다.
스캐너 장치는 원고(D)가 고정된 위치에 위치되고 예를 들어 CIS(contact type image sensor), CCD(charge coupled device) 등의 독취부재가 이동되면서 화상을 읽어들이는 플랫베드(flatbed)방식과, 독취부재가 고정된 위치에 위치되고 원고(D)가 이송되는 원고이송(document feed)방식과, 이들의 복합 방식이 있다. 본 실시예의 스캐너 장치(1)는 플랫베드 방식 및 원고이송방식이 복합된 복합 방식의 스캐너 장치이다.
독취유닛(200)에는 플랫베드 방식으로 원고(D)로부터 화상을 읽어들이기 위하여 원고(D)가 놓여지는 플라텐 글래스(220)가 마련된다. 또한, 독취유닛(200)에는 원고이송방식으로 원고(D)로부터 화상을 읽어들이기 위한 독취창(230)이 마련된다. 독취창(230)은 예를 들어 투명 부재일 수 있다. 일 예로서, 독취창(230)의 상면은 플라텐 글래스(320)의 상면과 동일한 높이의 면일 수 있다.
원고이송방식이 적용되는 경우에 독취부재(210)는 독취창(230)의 아래에 위치된다. 플랫베드 방식이 적용되는 경우에 독취부재(210)는 도시되지 않은 이동수단에 의하여 플라텐 글래스(220)의 아래에서 부주사 방향(S), 즉 원고(D)의 길이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또한, 플랫베드 방식이 적용되는 경우에 플라텐 글래스(220) 위에 원고(D)를 올려놓기 위하여 플라텐 글래스(220)를 외부로 노출시킬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하여,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고이송유닛(100)은 독취유닛(200)에 대하여 회동될 수 있다. 원고이송유닛(100)은 독취유닛(200)을 덮는 제1위치와, 독취유닛(200)에 대하여 열린 제2위치로 회동된다. 원고이송유닛(100)이 제2위치에 위치된 때에 플라텐 글래스(220)가 노출된다.
원고이송유닛(100)은 독취부재(210)가 원고(D)에 기록된 화상을 읽을 수 있도록 원고(D)를 이송시키고, 독취가 완료된 원고(D)를 배출한다. 이를 위하여, 원고이송유닛(100)에는 원고이송경로(300)가 마련되며, 독취 부재(210)는 원고이송경로(300)를 따라 이송되는 원고(D)로부터 화상을 읽어들인다. 원고이송경로(300)는 예를 들어, 공급 경로(301), 독취 경로(302), 및 배출 경로(303)를 포함할 수 있다. 독취 경로(302)에서는 독취부재(210)가 배치되며, 독취 경로(302)를 통과하는 동안에 원고(D)에 기록된 화상이 독취부재(210)에 의하여 독취된다. 공급 경로(301)는 독취 경로(302)로 원고(D)를 공급하기 위한 경로로서, 공급 트레이(401)에 적재된 원고(D)는 공급 경로(301)를 통하여 독취 경로(302)로 공급된다. 배출 경로(303)는 독취 경로(302)를 통과한 원고(D)를 배출하기 위한 경로이다. 따라서, 공급 트레이(401)에 적재된 원고(D)는 공급 경로(301), 독취 경로(302), 및 배출 경로(303)를 따라 이송되며, 배출 트레이(402)로 배출된다.
원고이송경로(300)에는 원고(D)를 이송시키기 위한 다수의 원고이송롤러들이 배치된다. 예를 들어, 공급 경로(301)에는 급지 트레이(401)에 적재된 원고(D)를 픽업하는 픽업 롤러(311), 픽업된 원고(D)를 이송시키는 이송 롤러(312)(313)가 배치될 수 있다. 이송 롤러(312)(313)는 도시되지 않은 모터로부터 구동력을 전달받아 회전된다. 이송 롤러(312)(313) 각각에는 종동롤러가 접촉되어 이송 롤러(312)(313)에 종동회전된다. 원고(D)는 이송 롤러(312)(313)와 이들 각각에 접촉되어 회전되는 종동롤러 사이에 물려서 이송된다. 후술하는 바와 같이 원고 잼을 제거하기 위하여 공급 경로(301)가 개방될 때에 종동 롤러들은 이송 롤러(312)(313)로부터 이격되거나, 이송 롤러(312)(313)와 종동 롤러들 사이의 가압력이 해제될 수 있다.
픽업 롤러(311)와 이송 롤러(312) 사이에는 픽업된 원고(D)를 한 장씩 분리하는 ADF(automatic document feed)부(314)가 배치될 수 있다. ADF부(314)는 예를 들어, 서로 맞물려 반대 방향으로 회전되는 제1, 제2ADF롤러(314a)(314b)를 포함할 수 있다. 제1ADF롤러(314a)는 원고(D)를 공급 경로(301)로 이송시키는 원고이송방향으로 회전되도록 모터와 연결되며, 제2ADF롤러(314b)는 그 역방향으로 회전되도록 모터와 연결된다. 도면으로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제2ADF롤러(314b)와 모터 사이에는 일방향 클러치가 마련된다. 일방향 클러치는 역방향의 회전력을 제2ADF롤러(314b)에 전달한다. 제1, 제2ADF롤러(314a)(314b)는 그 사이로 두 장 이상의 원고(D)가 공급된 경우, 마찰력의 차이를 이용하여 한 장의 원고만을 분리하여 공급 롤러(312)로 공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제2ADF롤러(314a)(314b) 사이에 복수의 원고가 인입된 경우에, 원고와 원고 사이의 마찰력은 제1ADF롤러(314a)와 원고 사이의 마찰력 및 제2ADF롤러(314b)와 원고 사이의 마찰력보다 작다. 따라서, 제1ADF롤러(314a)에 접촉된 원고와 그 아래의 원고가 서로 미끄러지면서 제1ADF롤러(314a)에 접촉된 원고만이 분리되어 이송 롤러(312)를 향하여 이송된다. ADF부(314)의 구조는 도 1에 도시된 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알려진 다양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독취 경로(302)에는 원고(D)를 이송시키는 이송 롤러(321)(322)가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독취 부재(210)를 기준으로 하여 양측에는 원고(D)를 이송시키는 이송롤러(321)(322)가 배치될 수 있다. 이송 롤러(321)(322)는 도시되지 않은 모터로부터 구동력을 전달받아 회전된다. 이송 롤러(321)(322) 각각에는 종동롤러가 접촉되어 이송 롤러(321)(322)에 종동회전된다. 원고(D)는 이송 롤러(321)(322)와 이들 각각에 접촉되어 회전되는 종동롤러 사이에 물려서 이송된다.
독취 경로(302)에는 독취 부재(210)와 대향된 독취 가이드 부재(341)가 배치된다. 독취 가이드 부재(341)는 독취창(230)에 자중에 의하여 또는 탄성부재(342)에 의하여 가압되며, 원고(D)는 독취창(230)과 독취 가이드 부재(341) 사이로 이송된다. 도면으로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독취 가이드 부재(341) 대신에 독취창(230)에 탄력적으로 가압되어 회전되며, 그 사이로 공급되는 원고(D)를 이송시키는 독취롤러가 채용될 수도 있다.
배출 경로(303)에는 독취가 완료된 원고(D)를 배출하는 배출 롤러(331)가 배치된다. 배출롤러(331)는 도시되지 않은 모터로부터 구동력을 전달받아 회전된다. 배출롤러(331) 에는 종동롤러가 접촉되어 배출 롤러(321)에 종동회전된다. 원고(D)는 배출 롤러(321)와 이에 접촉되어 회전되는 종동롤러 사이에 물려서 이송된다.
원고 잼을 제거하기 위하여, 본 실시예의 스캐너 장치(1)는 원고이송경로(300)의 일부를 개폐하는 커버(110)를 구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커버(110)는 공급 경로(301)를 형성하는 닫힌 위치(도 1에 실선으로 도시)와, 공급 경로(301)를 개방하는 열린 위치(도 1의 점선으로 도시)를 갖는다. 커버(110)가 열린 위치에 위치된 때에, 공급 경로(301)는 부분적으로 또는 전체적으로 개방될 수 있다. 커버(110)는 도 1에 점선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회동됨으로써 공급 경로(301)를 개방할 수 있다. 이때, 제1ADF롤러(314a) 및 이송 롤러(312)(313)에 접촉되는 종동롤러들은 커버(110)와 함께 회동되어 제1ADF롤러(314a) 및 이송 롤러(312)(313)로부터 이격될 수 있다. 그러므로, 공급 경로(301) 내의 원고(D)를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다.
스캐너 장치(1)는 원고(D)의 스큐를 보정하기 위한 레지 롤러(registration roller)를 구비한다. 레지 롤러는 원고이송방향(도 3: L)을 기준으로 하여 독취 부재(210)의 상류측에 위치된다. 레지 롤러는 ADF부(314)의 하류측에 위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공급 롤러(312)(313) 중 하나가 레지 롤러일 수 있다. 이하에서는 공급 롤러(312)를 레지 롤러(312)라 칭하며, 스큐 보정을 위한 구조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3은 레지 롤러(312)의 일 실시예의 개략적인 평면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레지 롤러(312)는 제1롤러(312-1)와 제2롤러(312-2)를 포함한다. 제1롤러(312-1)와 제2롤러(312-2)는 원고(D)의 폭방향(W)으로 배치되며, 개별적으로 회전될 수 있다. 도면으로 도시되지 않았지만, 제1, 제2롤러(312-1)(312-2)와 맞물리는 종동롤러는 일체형일 수 있으며, 제1, 제2롤러(312-1)(312-2)에 각각 대응되게 두 개로 분리된 형태일 수도 있다.
도 4a는 레지 롤러(312)의 일 실시예의 개략적인 평면도이다. 도 4a를 참조하면, 레지 롤러(312)는 제1레 지롤러(312-1)와 제2레지 롤러(312-2)를 포함한다. 제1레지 롤러(312-1)와 제2레지 롤러(312-2)는 원고(D)의 폭방향(W)으로 배치되며, 개별적으로 회전될 수 있다. 제1레지 롤러(312-1)와 제2레지 롤러(312-2)의 인접하는 단부(312-1a)(312-2a)는 베어링(312-3)을 개재하여 서로 연결된다. 예를 들어, 제2레지 롤러(312-2)의 단부(312-2a)에는 베어링 홀더(312-4)가 고정된다. 베어링(312-3)은 베어링 홀더(312-4)에 지지된다. 예를 들어 베어링(312-3)으로서 내륜과 외륜을 구비하는 볼 베어링 또는 니들 베어링이 채용되는 경우, 베어링 홀더(312-4)에는 베어링(312-3)의 외륜이 지지되고, 제1레지 롤러(312-1)의 단부(312-1a)는 베어링(312-3)의 내륜에 삽입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베어링(312-3)으로서 오일이 함유된 소결 베어링이 채용되는 경우, 베어링 홀더(312-4)에는 베어링(312-3)의 외경부가 지지되고, 제1레지 롤러(312-1)의 단부(312-1a)는 베어링(312-3)의 내경부에 삽입될 수 있다.
도면으로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제1레지 롤러(312-1)의 단부(312-1a)에 베어링 홀더(312-4)가 고정되고, 제2레지 롤러(312-2)의 단부(312-2a)가 베어링(312-3)에 지지될 수도 있다.
도 4b는 레지 롤러(312)의 일 실시예의 개략적인 평면도이다. 도 4b를 참조하면, 제1레지 롤러(312-1)와 제2레지 롤러(312-2)의 인접하는 단부(312-1a)(312-2a)는 개별적으로 스캐너 장치(1)에 마련된 제1, 제2지지부(a1)(1b)에 회전될 수 있게 지지될 수 있다.
도면으로 도시되지 않았지만, 제1, 제2레지 롤러(312-1)(312-2)와 맞물리는 종동롤러는 일체형일 수 있으며, 제1, 제2레지 롤러(312-1)(312-2)에 각각 대응되게 두 개로 분리된 형태일 수도 있다.
다시 도 1과 도 3을 참조하면, 원고이송방향(L)을 기준으로 하여 레지 롤러(312)의 하류측에는 원고(D)를 감지하는 레지 센서(registration sensor)(350)가 마련된다. 레지 센서(350)는 제1, 제2레지 센서(350-1)(350-2)를 포함한다. 제1, 제2레지 센서(350-1)(350-2)는 원고(D)의 폭방향(W)으로 정렬되며, 폭방향(W)으로 서로 이격되게 위치된다. 제1, 제2레지 센서(350-1)(350-2)는 각각 제1, 제2레지 롤러(312-1)(312-2)의 하류측에 위치된다. 제1, 제2레지 센서(350-1)(350-2)로서 예를 들어, 광센서(photo-interruptor), 마이크로 스위치 등이 채용될 수 있다.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스캐너 장치(1)는 레지 센서(350) 이외에 추가적으로 원고(D)를 감지하는 센서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스캐너 장치(1)에는, 예를 들어, 급지 트레이(401)에의 원고(D)의 존부를 검출하는 센서, 원고(D)의 길이를 검지하는 센서, 독취부재(210)에 의하여 독취 개시 시점 및 독취 완료 시점을 결정하기 위하여 독취 경로(302)에 설치되어 원고(D)를 검출하는 센서, 배출경로(303)에 설치되어 원고(D)의 배출 완료 여부를 검출하는 센서 등이 마련될 수 있다.
제1, 제2레지 센서(350-1)(350-2)를 이용하여 원고(D)의 스큐량을 검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고(D)가 기울어지게 이송되면, 원고(D)의 좌측 선단이 제2레지 센서(350-2)에 의하여 먼저 검출되고, 뒤이어 원고(D)의 우측 선단이 제1레지 센서(350-1)에 의하여 검출된다. 따라서, 제1, 제2레지 센서(350-1)(350-2)에 의한 원고(D) 검출 시간편차(ΔT)는 원고(D)의 스큐량(d_skew)에 비례한다. 시간편차(ΔT)에 레지 롤러(312)에 의한 원고이송속도, 예를 들어 프로세스 속도를 곱하면 스큐량(d_skew)이 된다.
도 5는 스캐너 장치(1)의 개략적인 블록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스캐너 장치(1)는 메인 모터(main motor)(M1)와 레지 모터(registration motor)(M2)를 포함한다. 레지 모터(M2)는 제1레지 롤러(312-1)를 구동한다. 제2레지 롤러(312-2)는 메인 모터(M1)에 의하여 구동된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여, 제1, 제2레지 롤러(312-1)(312-2)는 개별적으로 구동될 수 있다. 메인 모터(M1)는 제1레지 롤러(312-1) 이외의 다른 롤러들을 구동할 수 있다. 메인 모터(M1) 및 레지 모터(M2)와 롤러들은 기어, 벨트 등의 동력연결요소에 의하여 연결될 수 있다. 메인 모터(M1)로서는 구동 효율이 좋은 브러쉬리스 직류 모터(BLDC motor)가 채용될 수 있다. 레지 모터(M2)로서는 속도 변속 제어가 가능한 스텝 모터(stepping motor), 직류 모터(DC motor), 내부 회전자형 브러쉬리스 직류 모터(inner-rotor type BLDC motor) 등이 채용될 수 있다.
전술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제1, 제2레지 롤러(312-1)(312-2)가 독립적으로 회전될 수 있다. 따라서, 제1, 제2레지 롤러(312-1)(312-2)를 일정 시간동안 서로 다른 회전속도로 회전시킴으로써 원고(D)의 스큐를 보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원고(D)가 우측으로 기울어진 경우, 제1레지 롤러(312-1)를 제2레지 롤러(312-2)보다 빠른 속도로 일정 시간 동안 회전되도록 레지 모터(M2)를 구동할 수 있다. 반대로 원고(D)가 좌측으로 기울어진 경우, 제1레지 롤러(312-1)를 제2레지 롤러(312-2)보다 느린 속도로 일정 시간 동안 회전되도록 레지 모터(M2)를 구동할 수 있다.
도 6은 원고(D)의 선단 스큐 보정 방법의 일 실시예의 흐름도이다. 도 6을 참조하여, 원고(D)의 선단 스큐 보정 방법의 일 실시예를 설명한다. 일 예로서, 메인 모터(M1)는 BLDC 모터이며, 레지 모터(M2)는 스텝 모터이다.
스캔 동작이 개시되면, 제어부(390)는 롤러들이 동일한 선속도(프로세스 속도)로 회전되도록 메인 모터(M1)와 레지 모터(M2)를 구동한다(S1). 이때의 레지 모터(M2)의 회전속도를 기준속도라 한다.
급지 트레이(401)에 적재된 원고(D)는 픽업 롤러(311)에 의하여 픽업된다. ADF부(314)에 의하여 한 장의 원고(D)만이 레지 롤러(312)를 향하여 운반된다. 레지 롤러(312)는 원고(D)를 공급경로(301)를 따라 이송시킨다.
제1, 제2레지 센서(350-1)(350-2)는 레지 롤러(312)를 통과한 원고(D)의 선단을 검출하고, 검출신호를 제어부(390)로 전달한다. 제어부(390)는 제1, 제2레지 센서(350-1)(350-2)의 검출신호로부터 시간편차(ΔT_sensor)를 산출한다(S2). 시간편차(ΔT_sensor)는 제2레지 센서(350-2)가 원고(D)의 선단을 검출한 시간(T_sensor2)과 제1레지 센서(350-1)가 원고(D)의 선단을 검출한 시간(T_sensor1)의 차이(T_sensor1-T_sensor2)이다.
제어부(390)는 시간편차(ΔT_sensor)의 절대값을 미리 설정된 기준편차와 비교한다(S3). 기준 편차는 허용 가능한 스큐량을 고려하여 결정된다. 기준 편차는 예를 들어 메모리(380)에 미리 저장될 수 있다.
시간편차(ΔT_sensor)의 절대값이 기준편차보다 작으면, 스큐 보정 과정을 종료한다. 제어부(390)는 레지 모터(M2)의 구동속도를 변경하지 않고 기준 속도로 유지한다. 원고(D)는 이송롤러(313), 이송롤러(321), 독취부재(210), 이송롤러(322), 배출롤러(331)에 의하여 공급경로(301), 독취경로(302), 배출경로(303)를 따라 프로세스 속도로 이송된다. 제어부(390)는 독취부재(210)를 제어하여 원고(D)로부터 화상정보를 읽어들인다. 독취가 완료된 원고(D)는 배출 트레이(402)로 배출된다.
시간편차(ΔT_sensor)의 절대값이 기준편차보다 크면, 스큐 보정 과정이 수행된다. 스큐 보정 과정은 레지 모터(M2)를 변속 제어함으로써 수행될 수 있다(S4).
도 7은 스큐 보정 과정(S4)의 일 실시예의 흐름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제어부(390)는 스큐량(d_skew)를 산출한다(S410). 프로세스 속도를 V_p라 하면,
d_skew = V_p×ΔT_sensor
이다.
제어부(390)는 시간편차(ΔT_sensor)의 부호를 결정한다(S420). 시간편차(ΔT_sensor)가 양수이면 원고(D)가 도 3에서 우측으로 기울어진 것을 의미하며, 시간편차(ΔT_sensor)가 음수이면 원고(D)가 도 3에서 좌측으로 기울어진 것을 의미한다.
시간편차(ΔT_sensor)가 음수이면, 제어부(390)는 레지 모터(M2)를 감속한다(S431). 레지 모터(M2)의 구동속도가 제1구동속도(V_r1)에 도달되면, 감속하는 동안의 원고(D)의 이동량인 감속이동량을 산출한다. 감속이동량은 예를 들어, 레지 모터(M2)의 회전량과, 레지 모터(M2)와 제1레지 롤러(312-1)와의 동력 연결비, 및 제1레지 롤러(312-1)의 직경으로부터 산출될 수 있다. 감속이동량은 예를 들어 메모리(380)에 저장될 수 있다. 메인 모터(M1)는 가감속되지 않으므로, 제2레지 롤러(312-2)의 선속도는 프로세스속도로 유지된다.
시간편차(ΔT_sensor)가 양수이면, 제어부(390)는 레지 모터(M2)를 증속한다(S441). 레지 모터(M2)의 구동속도가 제2구동속도(V_r2)에 도달되면, 증속하는 동안의 원고(D)의 이동량인 증속이동량을 산출한다. 증속이동량은 예를 들어, 레지 모터(M2)의 회전량과, 레지 모터(M2)와 제1레지 롤러(312-1)와의 동력 연결비, 및 제1레지 롤러(312-1)의 직경으로부터 산출될 수 있다. 증속이동량은 예를 들어 메모리(380)에 저장될 수 있다. 메인 모터(M1)는 가감속되지 않으므로, 제2레지 롤러(312-2)의 선속도는 프로세스속도로 유지된다.
다음으로, 제어부(390)는 레지 모터(M2)가 구동속도(V_r)를 제1구동속도(V_r1) 또는 제2구동속도(V_r2)로 설정하고 변속 이동량을 감속 이동량 또는 증속 이동량으로 설정한(S433, S443) 후에, 구동 속도(V_r)에서 레지 모터(M2)의 단위 스텝 당의 스큐 보정량(d_step)을 산출한다(S450). 레지 모터(M2)가 스텝 모터인 경우, 구동 속도(V_r)를 pps(pulse per second)로 표시될 수 있다. 스큐 보정량(d_step)은 구동 속도(V_r), 프로세스 속도, 및 단위 스텝 당 제1레지 롤러(312-1)에 의한 원고(D)의 이동 거리(d_r)에 의하여 표현될 수 있다. 이동 거리(d_r1)는 레지 모터(M2)의 단위 스텝 당의 회전량과, 레지 모터(M2)와 제1레지 롤러(312-1)와의 동력 연결비와, 제1레지 롤러(312-1)의 직경으로부터 산출될 수 있다. 이제, 구동 속도(V_r)를 N(pps ), 프로세스 속도를 V_p라 하면, 스큐 보정량(d_step)은,
d_step = V_p/N - d_r ---식(1)
에 의하여 산출될 수 있다.
다음으로 제어부(390)는 스큐 보정량(d_step)을 누적하여 누적 보정량을 산출하고(S460), 스큐량(d_skew)에서 변속 이동량을 뺀 값을 누적 보정량과 비교한다(S470). 누적 보정량이 스큐량(d_skew)에서 변송 이동량을 뺀 값보다 작으면, S420단계로 전환되어 전술한 단계를 반복한다. 이때, 제1구동속도(V_r1) 또는 제2구동속도(V_r2)가 설정된 최소 구동속도보다 낮아지거나 또는 최대 구동속도를 넘지 않도록 제어될 수 있다. 제어부(390)는 제1구동속도(V_r1) 또는 제2구동속도(V_r2)가 설정된 최소 구동속도 또는 최대 구동속도에 도달되면 그 속도로 유지되도록 레지 모터(M2)를 제어할 수 있다.
단계 S470에서 누적 보정량이 스큐량(d_skew)에서 변속 이동량을 뺀 값 이상이면, 제어부(390)는 시간편차(ΔT_sensor)의 부호에 따라서 레지 모터(M2)의 증속 또는 감속 여부를 결정한다(S510).
제어부(390)는 시간편차(ΔT_sensor)가 양수이면, 레지 모터(M2)를 제3구동속도(V_r3)로 감속한다(S521). 그런 다음, 구동 속도(v_r)를 제3구동속도(V_r3)로 설정한다(S522).
시간편차(ΔT_sensor)가 음수이면, 제어부(390)는 레지 모터(M2)를 제4구동속도(V_r4)로 증속한다(S531). 그런 다음, 구동 속도(v_r)를 제4구동속도(V_r4)로 설정한다(S532).
그런 다음, 제어부(390)는 위의 식(1)을 이용하여 스큐 보정량(d_step)을 산출하고(S540), 스큐 보정량(d_step)을 누적하여 누적 보정량을 산출하고(S550), 누적 보정량을 스큐량(d_skew)과 비교한다(S560). 누적 보정량이 스큐량(d_skew)보다 작으면, S510단계로 전환되어 S510이하의 단계를 반복한다. 이때, 제3구동속도(V_r4) 또는 제4구동속도(V_r4)가 설정된 최소 구동속도보다 낮아지거나 또는 최대 구동속도를 넘지 않도록 제어될 수 있다. 누적 보정량이 스큐량(d_skew)보다 작지 않으면, 선단 스큐 보정 과정을 종료한다.
스큐 보정 과정이 종료되면, 제어부(390)는 레지 모터(M2)를 기준 속도로 구동한다. 원고(D)는 이송롤러(313), 이송롤러(321), 독취부재(210), 이송롤러(322), 배출롤러(331)에 의하여 공급경로(301), 독취경로(302), 배출경로(303)를 따라 프로세스 속도로 이송된다. 제어부(390)는 독취부재(210)를 제어하여 원고(D)로부터 화상정보를 읽어들인다. 독취가 완료된 원고(D)는 배출 트레이(402)로 배출된다.
도 8a와 도 8b는 시간편차(ΔT_sensor)가 음수인 경우의 레지 모터(M2)의 구동 프로파일의 예들을 보여준다. 도 8a는 스큐량(d_skew)이 커서, 최초 감속 과정에서 제1구동속도(V_r1)가 최소 구동속도에 도달된 경우의 프로파일이다. 레지 모터(M2)의 구동 속도는 제1구동속도(V_r1)가 최소 구동속도에 도달되면, 제1구동속도(V_r1)는 최소 구동 속도로 유지되며, 이후에 제4구동속도(V_r4)로 증속된다. 도 8b는 스큐량(d_skew)이 작아서 최초 감속 과정에서 제1구동속도(V_r1)가 최소 구동속도에 도달되지만 곧 다시 최소 구동속도보다 큰 제4구동속도(V_r4)로 증속된 경우의 프로파일이다. 도 8a와 도 8b에서 프로파일의 내부 면적(A1)(A2)는 레지 모터(M2)의 속도 제어에 의하여 보정된 누적 보정량이다.
도 8c와 도 8d는 시간편차(ΔT_sensor)가 양수인 경우의 레지 모터(M2)의 구동 프로파일의 예들을 보여준다. 도 8c는 스큐량(d_skew)이 커서, 최초 증속 과정에서 제2구동속도(V_r2)가 최대 구동속도에 도달된 경우의 프로파일이다. 레지 모터(M2)의 구동 속도가 최대 구동속도에 도달되면, 제2구동속도(V_r1)는 최대 구동 속도로 유지되며, 이후에 제3구동속도(V_r3)로 감속된다. 도 8d는 스큐량(d_skew)이 작아서 최초 증속 과정에서 제2구동속도(V_r2)가 최대 구동속도에 도달되지만 곧 다시 최대 구동속도보다 작은 제3구동속도(V_r3)로 감속된 경우의 프로파일이다. 도 8c와 도 8d에서 프로파일의 내부 면적(A3)(A4)는 레지 모터(M2)의 속도 제어에 의하여 보정된 누적 보정량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스캐너 장치(1)에 따르면, 선단 스큐 보정 과정에서 메인 모터(M1)는 구동이 개시되면 정지되지 않고 지속적으로 구동된다. 또한 메인 모터(M1)의 구동 속도는 롤러들이 프로세스 속도를 유지할 수 있도록 유지된다. 따라서, 모터 기동 소음을 줄일 수 있으며, 메인 모터(M1)로서 구동효율이 높은 BLDC모터를 사용할 수 있다.
종래의 스큐 보정 구조에 따르면, 일체형 레지 롤러가 정지된 상태에서 원고(D)를 이송시켜, 레지 롤러에 원고(D)의 선단이 접촉된 후에도 원고(D)를 계속하여 이송시킨다. 예를 들어 원고(D)의 좌측 선단이 먼저 레지 롤러에 접촉되면, 원고(D)의 좌측 선단은 이송되지 않고 탄력적으로 구부러지며 우측 선단만이 이송된다. 이에 의하여 스큐가 보정되며, 원고(D)의 선단이 레지롤러에 정렬된다. 어느 정도 시간이 경과된 후에 레지 롤러를 회전시키면, 원고(D)는 스큐가 보정된 상태로 레지롤러에 의하여 이송된다. 이와 같은 종래의 스큐 보정 구조에 따르면, 원고(D)가 정지된 레지롤러에 부딪혀서 충격소음이 발생될 수 있다. 또한, 레지롤러가 회전되기 시작할 때에 탄력적으로 구부러진 원고(D)가 펴지면서 소음이 발생될 수 있다. 이러한 소음은 스캐너 장치의 구동속도가 빨라질수록, 또 원고(D)의 강성이 클수록 더 커진다. 또, 레지롤러를 별도의 모터로 구동하는 경우 모터의 기동 소음이 발생될 수 있으며, 클러치를 이용하여 레지롤러로 전달되는 모터의 구동력을 단속하는 구조에서는 클러치의 단속 소음의 발생된다. 또한 급격한 가감속이 이루어지므로 용량이 큰 모터가 필요하다. 또한, 레지롤러의 회전 개시 시점을 결정하기 위하여 레지롤러의 상류측에 레지 센서가 위치된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레지 롤러(312)를 제1, 제2레지 롤러(312-1)(312-2)로 구분하고, 제2레지 롤러(312-2)하나의 회전속도를 프로세스 속도로 고정시키고 제1레지 롤러(312-1)의 회전속도를 제어함으로써 스큐를 보정한다. 따라서, 종래의 스큐보정구조와 같은 레지롤러와 원고(D)와의 충격음이 발생되지 않는다. 또한, 스큐 보정 과정에서 원고(D)의 구부러짐 등이 없으므로, 원고(D) 자체에서 발생되는 소음 또한 없다. 또, 레지롤러(312)는 일단 구동이 개시되면, 지속적으로 회전되며 정지 후 재기동되지 않는다. 따라서, 다수의 원고(D)를 순차로 이송시킬 때에도 레지 모터(M2)의 기동 소음이 한 번만 발생된다. 따라서, 종래의 스큐 보정 구조의 문제점인 고주파 소음문제를 해소할 수 있다. 또한, 레지 롤러(312)의 하류측에 위치된 레지 센서(350)를 이용하여 원고(D)의 스큐량을 검출하여 스큐를 보정하므로, 원고(D)의 종류와 관계없이 안정적인 스큐 보정이 가능하다. 레지 롤러가 지속적으로 회전되는 상태에서 가감속이 이루어지므로 정지-회전 구동되는 종래의 스큐 보정 구조에 비하여 작은 용량의 모터를 레지 모터(M2)로서 채용할 수 있으며, 속도 변속 제어가 가능한 일반적이 모터, 예를 들어 스텝 모터, 직류 모터, 내부 회전자형 BLDC모터의 채용이 가능하여, 부품비용을 절감할 수 있으며, 소비 전력 또한 줄일 수 있다.
전술한 선단 스큐 보정이 수행되면, 원고(D)의 후단은 제1, 제2레지 센서(350-1)(350-2)에 의하여 동시에 검출되는 것이 이상적이다. 그러나, 제1레지 롤러(321-1)와 제2레지 롤러(321-2)가 각각 레지 모터(M2)와 메인 모터(M1)에 의하여 구동되므로, 제1, 제2레지 롤러(312-1)(312-2)의 회전량이 달라질 수 있으며, 이에 의하여 원고(D)의 후단 스큐가 발생될 수도 있다. 제1, 제2레지 롤러(312-1)(312-2)의 회전량의 차이를 레지 모터(M2)의 구동 속도에 반영하여, 다음 번 원고(D)를 이송시킬 때에 레지 모터(M2)의 기준 속도를 제어할 수 있다.
제1, 제2레지 롤러(312-1)(312-2)의 회전량의 차이는 제1, 제2레지 센서(350-1)(350-2)에 의한 원고(D) 후단 감지의 시간편차(ΔT_sensor2)에 의하여 검출될 수 있다.
제어부(390)는 제1, 제2레지 센서(350-1)(350-2)의 검출신호로부터 원고(D) 후단 감지의 시간편차(ΔT_sensor2)를 산출한다. 시간편차(ΔT_sensor2)는 제2레지 센서(350-2)가 원고(D)의 선단을 검출한 시간(T_sensor2)과 제1레지 센서(350-1)가 원고(D)의 선단을 검출한 시간(T_sensor1)의 차이(T_sensor1-T_sensor2)이다.
제어부(390)는 시간편차(ΔT_sensor2)의 절대값을 미리 설정된 기준편차와 비교한다. 기준 편차는 허용 가능한 스큐량을 고려하여 결정된다. 기준 편차는 예를 들어 메모리(380)에 미리 저장될 수 있다. 기준 편차를 선단 스큐 보정 시의 기준 편차와 동일할 수 있으며, 다를 수도 있다.
시간편차(ΔT_sensor2)의 절대값이 기준편차보다 작으면, 제어부(390)는 레지 모터(M2)의 기준 속도를 변경하지 않는다. 시간편차(ΔT_sensor2)의 절대값이 기준편차보다 크면, 제어부(390)는 레지 모터(M2)의 기준 속도를 변경하는 제어 과정을 개시한다.
도 9는 레지 모터(M2)의 기준 속도 변경 제어 회로의 일 실시예를 보여주는 블록도이다. 도 9에 도시된 제어 회로는 제어부(390)의 일부로서 구현될 수 있다. 도 9를 참조하면, 목표 스큐량과 스큐량(후단 스큐량)이 감산기(391)에 입력된다. 목표 스큐량은 예를 들어 전술한 기준 편차에 대응되는 스큐량일 수 있다. 스큐량(d_skew2)은 제1, 제2레지 센서(350-1)(350-2)에 의한 원고(D) 후단 감지의 시간편차(ΔT_sensor2)로부터 산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스 속도를 V_p라 하면, 스큐량(d_skew2)은,
d_skew2 = V_p×ΔT_sensor
가 된다.
제어속도 산출기(392)는 목표 스큐량과 스큐량으로부터 기준 속도의 변경량, 즉 제어 속도를 산출한다. 제어속도 산출기(392)는 예를 들어 비례제어기, 비례적분 제어기, 비례미분 제어기, 또는 이들 중 둘 이상의 조합에 의하여 구현될 수 있다.
가산기(393)는 기준 속도와 제어 속도를 가산하여 새로운 기준 속도를 산출한다. 제어부(390)는 새로이 산출된 기준 속도에 기반하여 레지 모터(M2)를 구동한다.
도 10은 원고(D1) 한 장을 이송시키는 경우 레지 모터(M2)의 구동 프로파일의 일 예를 보여준다. 도 10에서 굵은 실선은 스큐 보정을 위하여 레지 모터(M2)가 증속되는 경우이며, 굵은 점선은 스큐 보정을 위하여 레지 모터(M2)가 감속되는 경우이다.
도 11은 본 실시예에 따른 스큐 보정 구조를 적용한 경우와 그렇지 않은 경우의 스큐량을 시험한 결과를 보여주는 그래프이다. 도 11에서, 스큐량은 각도로 표시된다. 도 11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스큐 보정 구조가 적용된 경우, 적용되지 않은 경우에 비하여 평균 스큐량이 절반 이하임을 알 수 있다.
스캐너 장치(1)는 단독으로, 또는 용지에 화상을 인쇄하는 인쇄유닛을 구비하는 프린터 또는 복사기와 복합되는 복합기의 형태로 사용될 수 있다. 도 12는 화상형성장치의 일 실시예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12를 참조하면, 스캐너 장치(1)와 인쇄유닛(4)이 개시되어 있다. 본 실시예의 인쇄유닛(4)은 전자사진방식에 의하여 용지에 화상을 인쇄하는 전자사진방식 인쇄유닛이다. 스캐너 장치(1)는 인쇄유닛(4)의 상부에 위치된다. 스캐너 장치(1)는 도 1 내지 도 11에 도시된 스캐너 장치(1)일 수 있다. 이하에서 인쇄유닛(4)의 일 예를 설명한다.
도 12를 참조하면, 감광드럼(11), 대전롤러(12), 노광기(20), 현상기(30), 및 전사롤러(40)가 도시되어 있다. 감광드럼(11)은 정전잠상이 형성되는 감광체의 일 예로서, 원통형 금속 파이프의 외주에 광도전성을 가지는 감광층이 형성된 것이다. 대전롤러(12)는 감광드럼(11)의 그 표면을 균일한 전위로 대전시키는 대전기의 일 예이다. 대전롤러(12)에는 대전바이어스가 인가된다. 대전롤러(12) 대신에 코로나 대전기(미도시)가 사용될 수도 있다.
노광기(20)는 화상정보에 따라 변조된 광(L)을 균일한 전위로 대전된 감광드럼(11)의 표면에 주사하여 정전잠상을 형성한다. 노광기(20)로서, 예를 들면 레이저 다이오드로부터 조사되는 광을 폴리곤미러를 이용하여 주주사방향으로 편향시켜 감광드럼(11)에 주사하는 LSU(laser scanning unit)가 채용될 수 있다.
현상기(30)는 감광드럼(11)에 형성된 정전잠상에 토너를 공급하여 현상시킨다. 현상기(30)에는 토너가 수용된다. 현상롤러(13)는 토너를 감광드럼(11)의 표면에 형성되는 정전잠상에 공급하여 가시적은 토너 화상으로 현상시키기 위한 것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비접촉 현상방식이 채용되며, 현상롤러(13)의 표면은 감광드럼(11)의 표면과 수백 미크론 정도의 간격을 두고 서로 이격되게 위치된다. 이 간격을 현상갭이라 한다. 현상롤러(13)에 현상바이어스 전압이 인가되면 이 현상갭을 통하여 토너가 감광드럼(11)의 표면에 형성된 정전잠상으로 이동되어 부착된다. 접촉 현상방식을 채용하는 경우에, 현상롤러(13)는 감광드럼(11)에 접촉된다. 현상기(30)에는 토너를 현상롤러(13)에 부착시키기 위한 공급롤러(14)가 더 마련될 수 있다. 공급롤러(14)에는 토너를 현상롤러(13)로 부착시키기 위하여 공급바이어스 전압이 인가될 수 있다. 참조부호 15는 현상롤러(13)의 표면에 부착되는 토너의 양을 규제하기 위한 규제부재를 표시한다. 규제부재(15)는 예를 들어 그 선단이 현상롤러(13)에 소정의 압력으로 접촉되는 규제 블레이드일 수 있다. 참조부호 16은 대전 전에 감광드럼(11)의 표면으로부터 잔류토너 및 이물질을 제거하기 위한 클리닝 부재를 표시한다. 클리닝 부재(16)는 예를 들어 그 선단이 감광드럼(11)의 표면에 접촉되는 클리닝 블레이드일 수 있다. 교반기(17)는 토너를 현상롤러(13)로 이송하는 역할을 한다. 교반기(17)는 토너를 휘저어 토너를 소정 전위로 대전시키는 역할을 겸할 수 있다.
전사롤러(40)는 감광드럼(1)의 표면과 대면되게 위치되어 전사닙을 형성하는 전사기의 일 예이다. 전사롤러(40)에는 감광드럼(11)의 표면에 현상된 토너화상을 기록매체(P)로 전사시키기 위한 전사바이어스 전압이 인가된다. 전사롤러(40) 대신에 코로나 전사기가 사용될 수도 있다.
화상이 인쇄될 기록매체(P)는 픽업 롤러(52)에 의하여 급지 카세트(51)로부터 인출된다. 인출된 기록매체(P)는 이송롤러(53)에 하여 전사롤러(40)와 감광드럼(11)이 대면된 영역으로 공급된다. 전사롤러(40)에 인가되는 전사 바이어스 전압에 의하여 감광드럼(11) 상의 토너 화상은 기록매체(P)의 표면으로 전사되어 정전기적 인력에 의하여 기록매체(P)의 표면에 유지된다.
정착부(60)는 토너화상에 열과 압력을 가하여 기록매체(P)에 정착시킴으로써 기록매체(P)에 영구적인 인쇄화상을 형성한다. 정착부(50)는 예를 들어 가열수단(63)이 내장된 가열롤러(61)와 가압롤러(62)가 서로 맞물려 정착닙을 형성하는 형태일 수 있다. 정착부(60)를 통과한 기록매체(P)는 배출롤러(54)에 의하여 배출트레이(55)로 배출된다.
상기한 바와 같은 화상형성장치에 따르면, 인쇄, 복사, 독취 동작이 가능하다. 인쇄 동작은 외부의 호스트(미도시)로부터 화상정보에 근거하여 용지에 화상을 인쇄하는 동작을 말한다. 복사 동작은 스캐너 장치(3)를 이용하여 원고(D)로부터 화상정보를 읽어들이고, 이 화상정보를 인쇄유닛(4)으로 전달하여 용지에 화상을 인쇄하는 동작을 말한다. 독취 동작은 원고(D)로부터 화상정보를 읽어들이는 동작을 말하며, 예를 들어 독취된 화상정보는 호스트(미도시)로 전송될 수 있다. 통신수단(미도시)이 마련된 경우에는 독취된 화상정보를 전화선 등의 통신 라인을 이용하여 전송하는 팩스 송신 기능과 전화선 등을 통하여 수신된 화상정보를 인쇄유닛(4)을 이용하여 인쇄하는 팩스 수신 기능이 가능하다.
상술한 실시예에서는 하나의 현상기(30)를 구비하는 단색 전자사진방식 인쇄유닛(4)에 관하여 설명하였으나, 이에 의하여 본 발명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칼라 전자사진방식 인쇄유닛의 경우에는 예를 들어 각각 시안(C:cyan), 마젠타(M:magenta), 옐로우(Y:yellow), 블랙(K:black) 색상의 토너를 수용한 4개의 현상기(30)가 채용될 수 있다. 또한 인쇄유닛(4)으로서는 다른 화상형성방식, 예를 들어 잉크젯 방식, 열전사 방식 등이 채용될 수 있다.
상기한 실시예들은 예시적인 것에 불과한 것으로, 당해 기술분야의 통상을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만 할 것이다.
1...스캐너 장치 4...인쇄유닛
100... 원고이송유닛 210...독취 부재
220...플라텐 글래스 230...독취창
300...원고이송경로 301...공급 경로
302...독취 경로 303...배출 경로
311...픽업롤러 312...레지 롤러
312-1...제1레지롤러 312-2...제2레지 롤러
313, 321, 322...이송 롤러 314...ADF부
331...배출롤러 340...독취 가이드 부재
350..레지 센서 350-1, 350-2...제1, 제2레지 센서
401...공급 트레이 402...배출 트레이

Claims (15)

  1. 원고로부터 화상을 읽어들이는 독취부재가 배치된 원고 이송 경로;
    상기 원고 이송 경로를 따라 원고를 이송시키는 것으로서, 상기 원고의 이송 방향을 기준으로 하여 상기 독취부재의 상류측에 위치되는 제1레지 롤러;
    상기 제1레지 롤러와 상기 원고의 폭방향으로 정렬되고, 상기 제1레지 롤러로부터 상기 폭방향으로 이격되게 위치되는 제2레지 롤러;
    상기 제1레지 롤러를 구동하는 레지 모터;
    상기 제2레지 롤러를 구동하는 메인 모터;를 구비하는 스캐너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제2레지 롤러의 서로 인접하는 단부들은 베어링을 개재하여 서로 연결된 스캐너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제2레지 롤러 중 어느 하나의 단부에 고정되고 상기 베어링이 지지되는 베어링 홀더;를 더 구비하며,
    상기 제1, 제2레지 롤러 중 다른 하나의 단부는 상기 베어링에 지지되는 스캐너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제2레지 롤러의 서로 인접하는 단부들을 지지하는 제1, 제2지지부;를 더 구비하는 스캐너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원고 이송 경로를 따라 상기 원고를 이송시키는 원고이송롤러;를 더 구비하며,
    상기 메인 모터는 상기 원고이송롤러를 구동하는 스캐너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레지 센서는, 상기 제1, 제2레지 롤러에 각각 대응되는 제1, 제2레지 센서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제2레지 센서에 의한 상기 원고의 선단의 검출 시간 편차로부터 상기 원고의 선단 스큐량을 검출하는 제어부;를 더 구비하는 스캐너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모터와 상기 레지 모터를 상기 제1, 제2레지 롤러의 회전 선속도가 프로세스 속도가 되도록 정속 구동하며,
    상기 제1, 제2레지 센서에 의하여 상기 원고의 선단이 검출된 후에, 상기 선단 스큐를 보정하도록 상기 레지 모터를 변속 제어하는 스캐너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원고의 선단 스큐량의 보정이 완료된 후에 상기 레지 모터를 상기 제1레지 롤러의 회전 선속도가 프로세스 속도가 되는 기준 속도로 구동하는 스캐너 장치.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제2레지 센서에 의한 상기 원고의 후단의 검출 시간 편차로부터 상기 원고의 후단 스큐량을 검출하고,
    상기 후단 스큐량에 기반하여 새로운 기준 속도를 산출하고,
    상기 새로운 기준 속도에 근거하여 상기 레지 모터를 구동하는 스캐너 장치.
  10.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모터는 BLDC 모터를 포함하는 스캐너 장치.
  11.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레지 모터는 스텝 모터, 직류 모터, 내부 회전자형 BLDC 모터 중 어느 하나인 스캐너 장치.
  12.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스캐너 장치;
    기록 매체에 화상을 형성하는 인쇄유닛;을 구비하는 화상형성장치.
  13. 원고의 이송 방향을 기준으로 하여 독취부재의 상류측에 위치되는 제1레지 롤러를 레지 모터를 이용하여 프로세스 속도로 회전시키는 단계;
    상기 제1레지 롤러와 상기 원고의 폭방향으로 정렬되고 상기 제1레지 롤러로부터 상기 폭방향으로 이격되게 위치되는 제2레지 롤러를 메인 모터를 이용하여 상기 프로세스 속도로 회전시키는 단계;
    상기 제1, 제2레지 롤러의 하류측에 상기 폭방향으로 이격되게 위치된 제1, 제2레지 센서에 의한 상기 원고 선단의 검출 시간편차로부터 선단 스큐량을 산출하는 단계;
    상기 레지 모터를 변속 제어하여 상기 선단 스큐량을 보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스큐 보정 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선단 스큐량을 보정하는 단계가 완료된 후에 상기 레지 모터를 상기 제1레지 롤러가 상기 프로세스 속도로 회전되도록 기준 속도로 구동하는 단계;를 더 구비하는 스큐 보정 방법.
  15. 제14항에 있어서,
    제1, 제2레지 센서에 의한 상기 원고 후단의 검출 시간편차로부터 후단 스큐량을 산출하는 단계;
    상기 후단 스큐량을 보정하기 위한 새로운 기준 속도를 산출하는 단계;
    상기 새로운 기준 속도로 상기 레지 모터를 구동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스큐 보정 방법.
KR1020160001609A 2016-01-06 2016-01-06 스캐너 장치, 이를 채용한 화상형성장치, 및 스큐 보정 방법 KR20170082339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01609A KR20170082339A (ko) 2016-01-06 2016-01-06 스캐너 장치, 이를 채용한 화상형성장치, 및 스큐 보정 방법
US15/392,062 US10209662B2 (en) 2016-01-06 2016-12-28 Scanner apparatus, image forming apparatus employing the same, and skew correction method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01609A KR20170082339A (ko) 2016-01-06 2016-01-06 스캐너 장치, 이를 채용한 화상형성장치, 및 스큐 보정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82339A true KR20170082339A (ko) 2017-07-14

Family

ID=592355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01609A KR20170082339A (ko) 2016-01-06 2016-01-06 스캐너 장치, 이를 채용한 화상형성장치, 및 스큐 보정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10209662B2 (ko)
KR (1) KR20170082339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25081A (ko) * 2018-04-27 2019-11-06 휴렛-팩커드 디벨롭먼트 컴퍼니, 엘.피. 화상독취를 위한 원고간 지간 제어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278624A (en) * 1992-07-07 1994-01-11 Xerox Corporation Differential drive for sheet registration drive rolls with skew detection
US6928929B1 (en) * 1996-03-25 2005-08-16 The Procter & Gamble Company Process for making sheet having indicia registered with lines of termination
JP3729960B2 (ja) * 1997-01-28 2005-12-21 株式会社リコー 回転体構造およびこれを用いるポリゴンスキャナ
US6281609B1 (en) * 1998-05-29 2001-08-28 Ricoh Company, Ltd. Direct-current brushless motor, and polygon scanner and image forming apparatus having the same and a method thereof
US6533268B2 (en) * 2001-07-27 2003-03-18 Xerox Corporation Printer sheet lateral registration and deskewing system
US6575458B2 (en) * 2001-07-27 2003-06-10 Xerox Corporation Printer sheet deskewing system
US7243917B2 (en) * 2004-05-27 2007-07-17 Xerox Corporation Print media registration using active tracking of idler rotation
JP4818038B2 (ja) * 2006-09-25 2011-11-16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読み取り装置
US7686299B2 (en) * 2008-06-26 2010-03-30 Xerox Corporation Registration carriage nip release with reduced reaction forces
JP5528053B2 (ja) * 2009-10-19 2014-06-25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JP4851580B2 (ja) * 2009-11-20 2012-01-11 シャープ株式会社 画像読取装置、及びそれを備えた画像データ出力処理装置、並びに画像読取方法
JP5595366B2 (ja) 2010-12-15 2014-09-24 キヤノン株式会社 斜行補正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2012144348A (ja) 2011-01-13 2012-08-02 Canon Inc シート搬送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5981179B2 (ja) * 2012-03-19 2016-08-31 シャープ株式会社 用紙搬送装置、これを備えた画像形成装置、及び用紙搬送方法
JP2013220932A (ja) 2012-04-18 2013-10-28 Canon Inc シート搬送装置、画像形成装置及び画像読取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70192383A1 (en) 2017-07-06
US10209662B2 (en) 2019-02-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480355B2 (ja) シート給送装置,画像形成装置
US20080240821A1 (en) Conveying devic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US10491768B2 (en) Image reading device configured to selectively stop a sheet based on image reading readiness and image forming apparatus incorporating same
US11290669B2 (en) Image reading apparatus and image forming apparatus
US10070010B2 (en) Shade correcting image reading by biasing force of a color reference body in the document width direction
US9848092B2 (en) Image reading device determining whether or not hole of original document is to travel on edge of conveyance roller
JP2012197171A (ja) 用紙搬送装置、それを備えた原稿読取り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4910470B2 (ja) 画像形成装置
JP6214354B2 (ja) シート給送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US20170327330A1 (en) Paper feeder and medium processing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KR20170082339A (ko) 스캐너 장치, 이를 채용한 화상형성장치, 및 스큐 보정 방법
JP5485964B2 (ja) 記録紙搬送装置、原稿送り装置及びそれらを備えた画像形成装置
JP7300926B2 (ja) 画像読取装置および画像読取装置を備えた画像形成装置
JP2011213429A (ja) シート搬送装置、原稿読取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KR20100049168A (ko) 화상독취장치 및 이를 갖춘 화상형성장치
JP6897201B2 (ja) 給紙装置、原稿読取装置、画像形成装置および後処理装置
JP4375371B2 (ja) 自動原稿送り装置
JPH04235848A (ja) シート材搬送装置
JP5068721B2 (ja) 自動原稿搬送装置および画像形成装置
JP2005324872A (ja) 自動原稿給紙装置
JP5513473B2 (ja) 記録紙搬送装置、原稿送り装置及びそれらを備えた画像形成装置
JP7130187B2 (ja) シート搬送装置、画像読取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2006298515A (ja) 給紙装置、これを用いた画像形成装置
JP2011013381A (ja) 画像形成装置
JP5021544B2 (ja) 自動原稿搬送装置および画像読取り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