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81876A - 플랫 드릴 - Google Patents

플랫 드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81876A
KR20170081876A KR1020160000854A KR20160000854A KR20170081876A KR 20170081876 A KR20170081876 A KR 20170081876A KR 1020160000854 A KR1020160000854 A KR 1020160000854A KR 20160000854 A KR20160000854 A KR 20160000854A KR 20170081876 A KR20170081876 A KR 2017008187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at
flat drill
present
cutting
ang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008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851528B1 (ko
Inventor
강광현
최윤석
손홍승
지동룡
김영흠
Original Assignee
한국야금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야금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국야금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00085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51528B1/ko
Priority to CN201680078065.5A priority patent/CN108472746A/zh
Priority to PCT/KR2016/014955 priority patent/WO2017119635A1/ko
Publication of KR2017008187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8187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5152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5152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BTURNING; BORING
    • B23B51/00Tools for drilling machines
    • B23B51/02Twist dril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BTURNING; BORING
    • B23B2251/00Details of tools for drilling machines
    • B23B2251/04Angles, e.g. cutting ang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BTURNING; BORING
    • B23B2251/00Details of tools for drilling machines
    • B23B2251/08Side or plan views of cutting edg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BTURNING; BORING
    • B23B2251/00Details of tools for drilling machines
    • B23B2251/14Configuration of the cutting part, i.e. the main cutting edg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BTURNING; BORING
    • B23B2251/00Details of tools for drilling machines
    • B23B2251/24Overall form of drilling too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Drilling Too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플랫 드릴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플랫 드릴은, 절삭날의 절입각과 절삭날의 여유각이 플랫 드릴의 중심에 가까운 쪽과 중심에서 먼 쪽에서 서로 다르게 구성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플랫 드릴은, 제1 절삭날과 제2 절삭날의 경계부분에 형성되는 치즐부가 평탄하게 형성된다.

Description

플랫 드릴{Flat drill}
본 발명은 플랫 드릴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플랫 드릴 선단부의 강성을 보강할 수 있도록 하는 플랫 드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플랫 드릴은 선단부가 평평한 형태이다. 종래의 플랫 드릴은 첨부도면 도 1 내지 6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 및 도 2는 종래의 플랫 드릴을 설명하기 위한 정면도 및 평면도이다. 도 3은 도 2의 A-A선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2의 B-B선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2의 A부분 상세도이다. 도 6은 도 5의 C-C선 단면도이다.
플랫 드릴(10)은 선단부에 제1, 2 절삭날(12, 14)이 형성되고, 제1 절삭날(12)과 제2 절삭날(14)의 접하는 부분에 치즐부(16)가 형성된다. 상기 제1,2 절삭날(12, 14)은 절삭가공을 수행한다.
또한, 플랫 드릴(10)은 외주연에 제1 플루트(18)와 제2 플루트(20)가 형성된다. 제1 플루트(18)는 상기 제1 절삭날(12)에 의해 생성되는 절삭 칩이 배출되는 데에 통로로 이용되고, 제2 플루트(20)는 상기 제2 절삭날(14)에 의해 생성되는 절삭 칩이 배출되는 데에 통로로 이용된다.
종래의 플랫 드릴(10)은 도 3 및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 절삭날(12)에서 절입각과 여유각이 일정하다. 좀 더 구체적으로는 치즐부(16)에서 상대적으로 먼 쪽의 제1 절삭날(12)의 단면은 도 3에 나타낸 내었고, 치즐부(16)에 상대적으로 가까운 쪽의 제1 절삭날(12)의 단면은 도 4에 나타낸 내었다.
즉, 도 3에 기재된 절입각(α˚)과 도 4에 기재된 절입각(α˚)의 크기가 동일하다. 그리고 도 3에 기재된 여유각(β˚)과 도 4에 기재된 여유각(β˚)의 크기가 동일하다.
한편으로, 종래의 플랫 드릴(10)의 제1 절삭날(12)은 어느 위치에서나 절입각(α˚)은 플러스(+)각 형태 즉, 포지티브 형태를 갖는다.
마찬가지로 제2 절삭날(14)도 제1 절삭날(12)과 동일한 구조를 갖는다.
따라서 종래의 플랫 드릴(10)은 제1, 2 절삭날(12, 14)의 단면은 일관성 있게 좁게 형성된 구성으로써 강성이 취약한 문제점이 있다.
다른 한편으로, 종래의 플랫 드릴(10)은 치즐부(16)가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치즐부 각도(γ˚)를 가지며 이로써 오목형태로 형성된다.
그러나 종래의 플랫 드릴(10)은 치즐부(16)에 형성된 오목한 형상에 의하여 절삭가공이 수행되지 않는 미가공 영역(16a 참조)이 존재한다.
따라서 종래의 플랫 드릴(10)은 치즐부(16)의 형상에 의하여 가공 품질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다.
국제공개특허번호 WO 2005/118191(2005.12.15.)
따라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플랫 드릴을 구성하는 선단부에 구비된 절삭날의 강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플랫 드릴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치즐부에 형상을 평탄하게 형성함으로써 종래의 미가공 영역을 배제할 수 있도록 하여 가공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플랫 드릴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플랫 드릴은, 선단부에 형성된 제1, 2 절삭날(112, 114); 상기 제1 절삭날(112)과 상기 제2 절삭날(114)의 경계에서 평탄하게 형성된 치즐부(116); 및 외주연에 나선형으로 형성된 제1, 2 플루트(118, 120);를 포함하고, 상기 제1, 2 절삭날(112, 114)은 절입각이 상기 치즐부(116)에서 먼 쪽과 상기 치즐부(116)에 가까운 쪽이 서로 다른 것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플랫 드릴은, 상기 치즐부(116)에서 먼 쪽의 절입각은 포지티브(+) 형태이고, 상기 치즐부(116)에 가까운 쪽의 절입각은 네가티브(-) 형태인 것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플랫 드릴은, 상기 제1, 2 절삭날(112, 114)은 여유각이 상기 치즐부(116)에서 먼 쪽과 상기 치즐부(116)에 가까운 쪽이 서로 다른 것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플랫 드릴은, 상기 치즐부(116)에서 먼 쪽의 여유각이 상기 치즐부(116)에 가까운 쪽의 여유각보다 큰 것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플랫 드릴의 상기 제1, 2 절삭날(112, 114)는, 중심선에 대하여 직교되도록 평평하게 형성된 플랫부(D1) 및 상기 플랫부에 대하여 경사지게 형성된 선단 경사부(130)를 포함하고, 상기 플랫부는 플랫 드릴의 외경(D0)에 대하여 60%이상 내지 90%이하의 범위이고, 상기 선단 경사부(130)는 경사각도(δ˚)가 1˚이상 내지 20˚이하 인 것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플랫 드릴은, 상기 선단 경사부(130)에는 랜드부(140)가 더 형성된 것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플랫 드릴의 상기 랜드부(140)는 평탄한 면으로 형성된 것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플랫 드릴의 상기 랜드부(140)는 볼록한 곡면으로 형성된 것일 수 있다.
기타 실시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플랫 드릴은 절삭날의 위치에 따라 절입각과 여유각의 크기를 다르게 형성하고, 특히 절삭날은 치즐부에 가까운 쪽이 치즐부에서 먼 쪽보다 두껍게 형성함으로써 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플랫 드릴은 치즐부의 형상을 평탄하게 형성함으로써 종래에 미가공 영역이 형성된 것을 개선할 수 있다. 특히, 절삭날의 전 구간에서 절삭가공이 이루어짐으로써 절삭가공의 품질이 향상될 수 있다.
도 1 및 도 2는 종래의 플랫 드릴을 설명하기 위한 정면도 및 평면도이다.
도 3은 도 2의 A-A선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2의 B-B선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2의 A부분 상세도이다.
도 6은 도 5의 C-C선 단면도이다.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랫 드릴을 설명하기 위한 정면도 및 평면도이다.
도 9는 도 8의 D-D선 단면도이다.
도 10은 도 8의 E-E선 단면도이다.
도 11은 도 8의 B부분 상세도이다.
도 12는 도 11의 F-F선 단면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랫 드릴의 사용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랫 드릴에서 토크의 변화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랫 드릴에서 버(Burr)의 량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6은 도 7의 C부분 상세도이다.
도 17은 도 16의 G-G선 단면도이다.
도 1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랫 드릴의 축방향 절삭력을 설명하기 위한 그래프이다.
도 1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랫 드릴의 변위량을 설명하기 위한 그래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를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하에서 설명되는 실시예는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예시적으로 나타낸 것이며, 본 발명은 여기서 설명되는 실시예와 다르게 다양하게 변형되어 실시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다만,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요소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 및 구체적인 도시를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실제축척대로 도시된 것이 아니라 일부 구성요소의 크기가 과장되게 도시될 수 있다.
한편,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다른 한편,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설정된 용어들로서 이는 생산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요소를 지칭한다.
<실시예1>
이하, 도 7 내지 도 1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랫 드릴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랫 드릴을 설명하기 위한 정면도 및 평면도이다. 도 9는 도 8의 D-D선 단면도이다. 도 10은 도 8의 E-E선 단면도이다. 도 11은 도 8의 B부분 상세도이다. 도 12는 도 11의 F-F선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플랫 드릴(100)은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 2 절삭날(112, 114), 치즐부(116) 및 제1, 2 플루트(118, 12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2 절삭날(112, 114)은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플랫 드릴(100)의 선단부에 회전 대칭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치즐부(116)는 상기 제1 절삭날(112)과 상기 제2 절삭날(114)의 경계에서 형성되고, 도 1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오목한 형상이 없이 평탄하게 형성될 수 있다. 이로써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플랫 드릴(100)은 절삭가공이 수행되지 않는 부분이 없이 제1, 2 절삭날(112, 114)의 전구간에서 절삭가공이 수행될 수 있고, 나아가 절삭가공의 품질이 향상될 수 있다.
상기 제1, 2 플루트(118, 120)는 플랫 드릴(100)의 외주연에 나선형으로 형성된다. 제1 플루트(118)는 상기 제1 절삭날(112)에 의해 생성되는 절삭 칩이 배출되는 데에 통로로 이용되고, 제2 플루트(120)는 상기 제2 절삭날(114)에 의해 생성되는 절삭 칩이 배출되는 데에 통로로 이용된다.
상기 제1, 2 절삭날(112, 114)은 절입각이 상기 치즐부(116)에서 먼 쪽(도9 참조)과 상기 치즐부(116)에 가까운 쪽(도 10 참조)이 서로 다른 것일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플랫 드릴(100)은 제1, 2 절삭날(112, 114)에서 강성이 취약한 부분을 더욱 두껍게 형성할 수 있고, 이로써 강성이 취약한 부분에 대하여 강성상을 향상시킬 수 있다.
<실시예 2>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플랫 드릴(100)은 상기 치즐부(116)에서 먼 쪽의 절입각(α˚)은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포지티브(+) 형태이고, 상기 치즐부(116)에 가까운 쪽의 절입각(α˚)은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네가티브(-) 형태인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플랫 드릴(100)은 축방향으로 누르는 힘이 작용될 때에 치즐부(116)에 가까울수록 더욱 큰 하중이 작용될 수 있는데, 치즐부(116)에 가까운 쪽의 제1, 2 절삭날(112, 114)은 절입각(α˚)이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네가티브(-)로 형성됨으로써 더욱 두껍게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플랫 드릴(100)은 강성이 특히 취약한 부분에 대하여 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실시예 3>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플랫 드릴(100)의 상기 제1, 2 절삭날(112, 114)은 여유각이 상기 치즐부(116)에서 먼 쪽과 상기 치즐부(116)에 가까운 쪽이 서로 다른 것일 수 있다.
절삭 가공을 수행할 때에, 제1, 2 절삭날(112, 114)의 각 부분마다 작용되는 저항의 크기가 다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플랫 드릴(100)은 제1, 2 절삭날(112, 114)에 저항의 크기가 다르게 작용되는 것에 대하여 대응할 수 있고, 이로써 본 발명에 따른 플랫 드릴(100)은 좀 더 안정되게 절삭가공을 수행할 수 있다.
<실시예 4>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플랫 드릴(100)은, 상기 치즐부(116)에서 먼 쪽의 여유각(β1˚)이 상기 치즐부(116)에 가까운 쪽의 여유각(β2˚)보다 큰 것일 수 있다.
플랫 드릴(100)은 회전하면서 절삭가공을 수행한 것이므로, 플랫 드릴(100)의 외주연으로 갈수록 선속도가 빠르고, 중심에 가까울수록 선속도가 느려진다. 그리고 선속도가 빠를수록 저항이 더 크게 작용될 것이고, 선속도가 느릴수록 저항이 작게 작용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플랫 드릴(100)은 상기 치즐부(116)에서 먼 쪽의 여유각(β1˚)이 더 크게 형성된 것으로써 저항의 크기를 줄일 수 있고, 이로써 좀 더 양호하게 절삭가공을 수행할 수 있다.
다른 한편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플랫 드릴(100)은 상기 치즐부(116)에 가까운 쪽의 여유각(β2˚)이 더 작게 형성됨으로써 해당 부분의 제1, 2 절삭날(112, 114)은 두껍게 형성될 수 있다. 이로써 해당 부분의 제1, 2 절삭날(112, 114)은 강성이 증대될 수 있다.
<실시예 5>
이하, 도 13 내지 도 17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랫 드릴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랫 드릴의 사용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랫 드릴에서 토크의 변화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랫 드릴에서 버(Burr)의 량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6은 도 7의 C부분 상세도이다. 도 17은 도 16의 G-G선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플랫 드릴(100)은, 제1, 2 절삭날(112, 114)에 플랫부(D1)와 선단 경사부(13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플랫부(D1)는 중심선에 대하여 직교되도록 평평하게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플랫부(D1)는 플랫 드릴(100)의 외경(D0)에 대하여 60%이상 내지 90%이하의 범위일 수 있다.
상기 플랫부(D1)가 플랫 드릴(100)의 외경(D0)에 대하여 60%이상이면, 절삭가공이 되지 않은 잔량부를 소량으로 남길 수 있고, 이로써 플랫 드릴(100)이 진행된 후에 다른 공구를 이용하여 추가적인 가공을 수행할 때에 추가적인 가공량을 감소시킬 수 있다.
상기 플랫부(D1)가 플랫 드릴(100)의 외경(D0)에 대하여 90%이하이면, 축 방향으로 작용되는 스러스트 힘이 과도하게 증가되지 않고, 이로써 양호하게 절삭가공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플랫부(D1)가 플랫 드릴(100)의 외경(D0)에 대하여 90%이하이면, 랜드부(140)를 적용할 수 있고, 제작이 용이해질 수 있다.
한편, 상기 선단 경사부(130)는 상기 플랫부에 대하여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선단 경사부(130)는 경사각도(δ˚)가 1˚이상 내지 20˚이하 인 것일 수 있다.
상기 선단 경사부(130)는 경사각도(δ˚)가 1˚미만인 경우에, 플랫 드릴(100)에 의하여 자리 홈을 선행가공하고, 선단 경사각(210)을 갖는 드릴 공구(200)를 이용하여 후가공을 수행할 때에, 도 13에서 C부분으로 표시된 부분에서 충격이 발생할 수 있다. 그 충격에 의하여 드릴 공구(200)가 파손되거나 가공품질이 저하될 수 있다.
반면에, 상기 선단 경사부(130)는 경사각도(δ˚)가 1˚이상인 경우에, 상기와 같은 충격은 발생하지 않거나 약화될 수 있다.
다른 한편으로, 플랫 드릴(100)에 의해 가공된 홀에 드릴 공구(200)가 진입되어 홀 가공을 수행할 때에 드릴 공구(200)에 작용되는 토크는 선단 경사부(130)의 경사각도(δ˚)에 따라 다르게 작용될 수 있다.
도 14의 (a)는 선단 경사부(130)의 경사각도(δ˚)가 큰 경우이고, 도 14의 (b)는 선단 경사부(130)의 경사각도(δ˚)가 상대적으로 작은 경우이다.
선단 경사부(130)의 경사각도(δ˚)가 큰 경우에 작용되는 토크를 제1 토크(t1)이라 하고, 선단 경사부(130)의 경사각도(δ˚)가 상대적으로 작은 경우에 작용되는 토크를 제2 토크(t2)이라 하면, 제2 토크(t2)가 제1 토크(t1)보다 작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플랫 드릴(100)은 선단 경사부(130)의 경사각도(δ˚)를 20˚이하로 설정하였다. 이로써 플랫 드릴(100)에 의해 자리 홈을 선행하여 가공한 후에, 드릴 공구(200)를 이용하여 후행 가공할 때에 충격이 발생하지 않으면서 드릴 공구(200)에 작용되는 축 방향의 토크를 양호하게 감소시킬 수 있다.
또 다른 한편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플랫 드릴(100)은 선단 경사부(130)의 경사각도(δ˚)가 클수록 도 15의 (a)에 나타낸 비와 같이 버(burr)의 범위가 크게(e1) 나타난다. 반면에,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플랫 드릴(100)은 선단 경사부(130)의 경사각도(δ˚)가 작을수록 도 15의 (b)에 나타낸 비와 같이 버(burr)의 범위가 작게(e2) 나타난다.
따라서, 선단 경사부(130)는 경사각도(δ˚)가 1˚이상 내지 20˚이하의 범위로 제공된 플랫 드릴(100)로 자리 홈을 선행하여 가공한 후에, 드릴 공구(200)로 후행하여 가공하게 되면, 드릴 공구(200)에 작용되는 충격을 저감시킬 수 있으면서도 버(burr)의 발생 범위를 감소시킬 수 있다.
<실시예6>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플랫 드릴(100)은 상기 선단 경사부(130)에는 도 16에 나타낸 바와 같이 랜드부(140)가 더 형성될 수 있다.
랜드부(140)는 제1, 2 절삭날(112, 114)에서 예리한 부분이 무디도록 가공한 것이다. 이로써 응력을 분산시킬 수 있고, 나아가 제1, 2 절삭날(112, 114)의 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실시예7>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플랫 드릴(100)은 상기 랜드부(140)가 도 17의 (a)에 나타낸 바와 같이, 평탄한 면으로 형성된 것일 수 있다.
즉, 랜드부(140)는 예리한 부분이 둔탁한 형상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고, 이로써, 랜드부(140)의 강성이 향상될 수 있으며, 나아가 제1, 2 절삭날(112, 114)의 강성이 향상될 수 있다.
<실시예8>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플랫 드릴(100)은 상기 랜드부(140)가 볼록한 곡면으로 형성된 것일 수 있다.
즉, 랜드부(140)에서 예리한 모서리를 배제함으로써 충격에 대한 강성을 가질 수 있고, 나아가 제1, 2 절삭날(112, 114)의 강성이 향상될 수 있다.
이하, 도 18 및 도 19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플랫 드릴(100)의 작용효과를 설명한다. 도 1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랫 드릴의 축방향 절삭력을 설명하기 위한 그래프이다. 도 1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랫 드릴의 변위량을 설명하기 위한 그래프이다.
도 18 및 도 19는 피삭재 SCM440를 대상으로 절삭속도 60(m/min), 회전당 이송거리 0.120.3(mm/rev), 깊이 20(mm)의 가공조건으로 가공하여 비교한 실험 그래프이다.
비교예1는 선단 경사부(130)의 경사각도(δ˚)가 45˚로 설정된 경우이고, 비교예2은 선단 경사부(130)의 경사각도(δ˚)가 없이 평평한 경우이다. 실시예는 선단 경사부(130)의 경사각도(δ˚)가 1˚내지 20 ˚의 범위로 설정된 경우이다.
도 18에서 알 수 있듯이, 축방향 절삭력은 비교예1, 2에 비교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플랫 드릴(100)에서 가장 낮게 나타났다. 즉,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플랫 드릴(100)은 절삭가공을 수행할 때에 플랫 드릴(100)에 작용되는 축방향 절삭력이 낮게 작용됨으로써 파손의 위험이 낮아짐을 알 수 있다.
또한, 도 19에서 알 수 있듯이, 변위량은 비교예1, 2에 비교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플랫 드릴(100)에서 가장 낮게 나타났다. 즉,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플랫 드릴(100)은 절삭가공을 수행할 때에 플랫 드릴(100)에 작용되는 변형량이 작음으로써 파손의 위험이 낮아짐을 알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플랫 드릴은 절삭날의 위치에 따라 절입각과 여유각의 크기를 다르게 형성하고, 특히 절삭날은 치즐부에 가까운 쪽이 치즐부에서 먼 쪽보다 두껍게 형성함으로써 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플랫 드릴은 치즐부의 형상을 평탄하게 형성함으로써 종래에 미가공영역이 형성된 것을 개선할 수 있다. 특히, 절삭날의 전 구간에서 절삭가공이 이루어짐으로써 절삭가공의 품질이 향상될 수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범위는 후술하는 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플랫 드릴은 자리 홈을 가공하는 데에 이용될 수 있다.
10: 플랫 드릴 12, 14: 제1, 2 절삭날
16: 치즐부 16a: 미가공 영역
18, 20: 제1, 2 플루트
100: 플랫 드릴 112, 114: 제1, 2 절삭날
116: 치즐부 118, 120: 제1, 2 플루트
130: 선단부 경사부 140: 랜드부
200: 드릴 공구 210: 드릴 선단 각도

Claims (8)

  1. 선단부에 형성된 제1, 2 절삭날(112, 114);
    상기 제1 절삭날(112)과 상기 제2 절삭날(114)의 경계에서 평탄하게 형성된 치즐부(116); 및
    외주연에 나선형으로 형성된 제1, 2 플루트(118, 120);를 포함하고,
    상기 제1, 2 절삭날(112, 114)은 절입각이 상기 치즐부(116)에서 먼 쪽과 상기 치즐부(116)에 가까운 쪽이 서로 다른 것을 포함하는 플랫 드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치즐부(116)에서 먼 쪽의 절입각은 포지티브(+) 형태이고,
    상기 치즐부(116)에 가까운 쪽의 절입각은 네가티브(-) 형태인 것
    을 포함하는 플랫 드릴.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2 절삭날(112, 114)은 여유각이 상기 치즐부(116)에서 먼 쪽과 상기 치즐부(116)에 가까운 쪽이 서로 다른 것을 포함하는 플랫 드릴.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치즐부(116)에서 먼 쪽의 여유각이 상기 치즐부(116)에 가까운 쪽의 여유각보다 큰 것을 포함하는 플랫 드릴.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2 절삭날(112, 114)는,
    중심선에 대하여 직교되도록 평평하게 형성된 플랫부(D1) 및
    상기 플랫부에 대하여 경사지게 형성된 선단 경사부(130)를 포함하고,
    상기 플랫부는 플랫 드릴의 외경(D0)에 대하여 60%이상 내지 90%이하의 범위이고,
    상기 선단 경사부(130)는 경사각도(δ˚)가 1˚이상 내지 20˚이하 인 것을 포함하는 플랫 드릴.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선단 경사부(130)에는 랜드부(140)가 더 형성된 것을 포함하는 플랫 드릴.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랜드부(140)는 평탄한 면으로 형성된 것을 포함하는 플랫 드릴.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랜드부(140)는 볼록한 곡면으로 형성된 것을 포함하는 플랫 드릴.
KR1020160000854A 2016-01-05 2016-01-05 플랫 드릴 KR101851528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00854A KR101851528B1 (ko) 2016-01-05 2016-01-05 플랫 드릴
CN201680078065.5A CN108472746A (zh) 2016-01-05 2016-12-20 扁钻
PCT/KR2016/014955 WO2017119635A1 (ko) 2016-01-05 2016-12-20 플랫 드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00854A KR101851528B1 (ko) 2016-01-05 2016-01-05 플랫 드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81876A true KR20170081876A (ko) 2017-07-13
KR101851528B1 KR101851528B1 (ko) 2018-04-24

Family

ID=592737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00854A KR101851528B1 (ko) 2016-01-05 2016-01-05 플랫 드릴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KR (1) KR101851528B1 (ko)
CN (1) CN108472746A (ko)
WO (1) WO2017119635A1 (ko)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0441349C (zh) * 2004-05-28 2008-12-10 钴碳化钨硬质合金公司 钻头
SE528156C2 (sv) * 2005-01-05 2006-09-12 Sandvik Intellectual Property Borr
MX2010013619A (es) * 2008-06-21 2011-02-24 Mapal Fab Praezision Taladro.
KR101011053B1 (ko) * 2008-10-20 2011-01-25 대구텍 유한회사 엔드밀 및 엔드밀용 절삭 삽입체
IL202196A (en) * 2009-11-17 2015-03-31 Kennametal Inc Optimizing the geometric cutting edge in spherical nibs
CN102294505B (zh) * 2011-08-08 2013-07-17 深圳市金洲精工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子母刃微型钻头及其加工方法
JP6268716B2 (ja) * 2013-02-28 2018-01-31 三菱マテリアル株式会社 ドリル
CN103611970B (zh) * 2013-11-28 2018-05-22 天津市量具刃具有限公司 前角趋同钻头的实现方法及前角趋同钻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51528B1 (ko) 2018-04-24
WO2017119635A1 (ko) 2017-07-13
CN108472746A (zh) 2018-08-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421792B2 (ja) ドリル及びドリルヘッド
JP5823840B2 (ja) ドリルおよび切削加工物の製造方法
JP6108264B2 (ja) 2枚刃ダブルマージンドリル
US20150258616A1 (en) End mill
JP2008279547A (ja) 溝加工方法および総形回転切削工具
JP5828217B2 (ja) ドリル
KR102434577B1 (ko) 절삭 공구
JP2016190299A (ja) 総形エンドミル
JP5940208B1 (ja) ドリル
US10220451B2 (en) End mill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machined product
WO2019044791A1 (ja) テーパーリーマ
JP4677722B2 (ja) 3枚刃ボールエンドミル
WO2017043129A1 (ja) ドリル
JP6918013B2 (ja) 切削工具および切削加工方法
WO2017057517A1 (ja) ねじ切りフライス及びそれを用いた管用めねじ加工方法
JP5940205B1 (ja) ドリル
US20220001464A1 (en) Method of producing drill
JP4326301B2 (ja) エンドミル
JP2016064477A (ja) ドリル
JP2009184044A (ja) 段付きツイストドリル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101851528B1 (ko) 플랫 드릴
WO2016047803A1 (ja) ドリル及びドリルヘッド
JP5849817B2 (ja) スクエアエンドミル
WO2018134924A1 (ja) ねじ切りフライス
US20230150039A1 (en) Dril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