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80612A - 세라믹 복합시트의 분할장치 및 세라믹 복합시트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세라믹 복합시트의 분할장치 및 세라믹 복합시트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80612A
KR20170080612A KR1020177013977A KR20177013977A KR20170080612A KR 20170080612 A KR20170080612 A KR 20170080612A KR 1020177013977 A KR1020177013977 A KR 1020177013977A KR 20177013977 A KR20177013977 A KR 20177013977A KR 20170080612 A KR20170080612 A KR 2017008061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ller
composite sheet
ceramic composite
ceramic
lay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70139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30701B1 (ko
Inventor
마코토 사다이
가츠미 나카이
Original Assignee
도다 고교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도다 고교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도다 고교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700806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8061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3070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3070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DWORKING STONE OR STONE-LIKE MATERIALS
    • B28D5/00Fine working of gems, jewels, crystals, e.g. of semiconductor material; apparatus or device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8/00Ancillary operations in connection with laminating processes
    • B32B38/04Punching, slitting or perfora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7/00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 B32B37/0046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aspects of the apparatus
    • B32B37/0053Constructional details of laminating machines comprising rollers; Constructional features of the roll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7/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on between layer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ve orientation of features between layers, or by the relative values of a measurable parameter between layers, i.e. products comprising layers having different 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4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12Interconnection of layers using interposed adhesives or interposed materials with bonding propert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9/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a particular substance not covered by groups B32B11/00 - B32B29/00
    • B32B9/04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a particular substance not covered by groups B32B11/00 - B32B29/00 comprising such particular substance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32B9/045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a particular substance not covered by groups B32B11/00 - B32B29/00 comprising such particular substance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41/00After-treatment of mortars, concrete, artificial stone or ceramic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41/80After-treatment of mortars, concrete, artificial stone or ceramics; Treatment of natural stone of only ceramics
    • C04B41/81Coating or impregnation
    • C04B41/89Coating or impregnation for obtaining at least two superposed coatings having different composi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41/00After-treatment of mortars, concrete, artificial stone or ceramic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41/80After-treatment of mortars, concrete, artificial stone or ceramics; Treatment of natural stone of only ceramics
    • C04B41/91After-treatment of mortars, concrete, artificial stone or ceramics; Treatment of natural stone of only ceramics involving the removal of part of the materials of the treated articles, e.g. etching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9/00Screening of apparatus or components against electric or magnetic fiel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8/00Ancillary operations in connection with laminating processes
    • B32B38/04Punching, slitting or perforating
    • B32B2038/045Slit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Laminated Bodies (AREA)
  • Devices For Post-Treatments, Processing, Supply, Discharge, And Other Processes (AREA)
  • Perforating, Stamping-Out Or Severing By Means Other Than Cutting (AREA)
  • Processing Of Stones Or Stones Resemblance Materials (AREA)

Abstract

분할장치(60)는, 제 1 롤러(61)와, 제 1 롤러(61)에 비해 강성이 낮고, 탄성복원력을 가지며, 제 1 롤러(61)에 압접된 경우에 제 1 롤러(61)의 표면을 따른 원호 형상의 오목부가 표면에 형성되는 제 2 롤러(62)와, 제 1 롤러(61)와 제 2 롤러(62)를 압접시키는 압접기구(65)를 구비하고, 압접되고 있는 제 1 롤러(61)와 제 2 롤러(62)와의 사이를 향하여 세라믹 복합시트(10)를 도입함과 동시에, 제 1 롤러(61)와 제 2 롤러(62)와의 사이에 세라믹 복합시트(10)를 통과시킴으로써, 소성 세라믹층(3)만을 세편(細片)으로 분할시킨다.

Description

세라믹 복합시트의 분할장치 및 세라믹 복합시트의 제조방법{CERAMIC COMPOSITE SHEET DIVIDING DEVICE AND CERAMIC COMPOSITE SHEET MANUFACTURING METHOD}
본 발명은, 세라믹 복합시트의 분할장치 및 세라믹 복합시트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전자기기의 평면, 곡면 또는 요철(凹凸) 표면에 붙이거나 박리가 가능한 세라믹 복합시트의 소성 세라믹층을 세편(細片)으로 분할시키는 분할장치 및 세라믹 복합시트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자기기 등에는, 그 전자기기로부터 방사되는 전자파를 흡수하고, 전자기기 등에 침입하는 전자파를 흡수하기 위해, 아몰퍼스 자성체(amorphous magnetic substance), 소결 페라이트 자성체, 페라이트 등의 자성분말체와 바인더수지로 이루어진 복합 자성체나, 소결 페라이트 등의 자성체에 필름(수지재층)을 붙인 세라믹 복합시트가 장착되어 있다. 특히, 안테나 코일을 사용하여 전자파로 통신을 행하는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태그에 있어서는, 안테나 코일의 근방, 예를 들어, 후측에 금속과 같은 전기 전도성 부재가 존재한 경우, 송수신이 곤란해지는 일이 있으므로, 교신감도를 높이기 위해 RFID 태그의 안테나 코일과 전기 전도성 부재와의 사이에 고투자율(高透磁率) 세라믹 복합시트를 배치한다.
또, 상술한 바와 같이, 안테나를 FPC 등의 가요성(可撓性)을 갖는 전자재료로 평면 형상으로 하여 제작하고, 이 안테나 기판에, 전자기기 내에서의 금속의 영향을 저감시켜, 양호한 통신특성을 얻을 수 있도록, 세라믹 복합시트가 장착된다. 이러한 경우, 붙이는 부분의 요철에 맞추어 붙여지도록 하기 위해, 소성 세라믹층을 세편으로 분할시켜 두어, 플랙시블한 시트로서 이용하는 것이 일반적으로 행해지고 있다. 그리고, 분할된 세편의 분리를 방지함과 동시에, 세편으로 분할된 부분으로부터의 가루 떨어짐(여기서, "가루 떨어짐"이란, 세라믹파편 등의 미세분말이 분리되어 떨어지는 것을 말한다.)을 방지하기 위해, 소성 세라믹층의 양 표면에, 점착재층을 구비하는 수지필름(수지재층)을 붙이고 나서, 세편으로 분할시키는 것이 행해지고 있다. 이에 따라, 세편의 분할면으로부터의 가루 떨어짐이 방지되게 된다.
이러한 경우, 소성 세라믹층을 세편으로 분할시키는 방법으로서, 세라믹 복합시트를 롤러에 통과시키는 방법이 행해지고 있다. 예를 들어, 특허문헌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전자기기에 장착되는 고투자율 세라믹 복합시트로서, 소성 세라믹층의 일방(一方)의 표면에 수지재층 및 점착재층으로 이루어진 적층재층이 형성된 세라믹 복합시트를 사용하고, 지지 플레이트가 롤러의 주위를 거의 직각으로 구부러지도록 따라 배치되고, 이 지지 플레이트 상의 세라믹 복합시트가 마찬가지로 구부러지며 롤러의 주위를 돎으로써 분할되는 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또, 특허문헌 2에 있어서 대지(臺紙) 상에 소정간격으로 적재시킨 세라믹 복합시트를 롤러의 주위를 약 반 바퀴 돌게 함으로써 방향을 변환시켜 세라믹층을 분할시키는 방법이나, 직경이 다른 닙 롤러 사이를 통과시켜 분할시키는 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선행기술문헌]
[특허문헌]
특허문헌 1 : 일본 특허공개 2012-045121호 공보
특허문헌 2 : 일본 특허 4369519호 공보
상기 특허문헌 1이나 특허문헌 2와 같이, 롤러의 주위를 따라 방향 변환하도록, 세라믹 복합시트를 통과시킴으로써, 세라믹층을 분할시키는 방법에서는, 방향이 변화하도록, 크게 세라믹 복합시트를 구부릴 필요가 있다. 따라서, 분할부분의 간격이 커져, 그 외측에 부착되는 보호시트가, 분할된 소성 세라믹층의 틈새에 들어갈 가능성이 있다. 그 결과, 이 부분이 변형하게 되므로, 성능이나 외관이 악화된다.
또, 특허문헌 2에서는, 추가로, 다른 실시형태로서, 세라믹층을 다른 구조에 의해 분할시키는 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연속 이동하는 대지 상에 세라믹 복합시트가 적재되어 반송(搬送)되고, 세라믹층이 닙 롤러 사이를 통과하여 가로로 분할되며, 연속으로, 반송방향과 직각인 방향의 곡면을 갖는 곡면접촉체에 의해, 세로방향으로 분할시키는 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이 방법의 상세한 내용은 불명확하다. 이 실시형태와 같이, 단순히 직경이 다른 닙 롤러 사이를 통과하는 것만으로, 세라믹층을 분할시킬 수 있다면, 첫 실시형태와 같이, 크게 방향 변환할 필요가 없다고도 추측할 수 있다. 또한, 곡면접촉체에 의해, 세라믹 복합시트의 흐름방향으로 복수로 분할시키는 것은, 구체적인 구조가 명확하지 않고, 전혀 예측할 수 없다.
본 발명은 이러한 점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이며, 그 목적으로 하는 바는, 세라믹 복합시트를 크게 방향을 바꿀 일 없이, 확실하게 분할시킬 수 있는 세라믹 복합시트의 분할장치 및 세라믹 복합시트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서는, 롤러 사이에 세라믹 복합시트를 통과시켜 분할시키는 것에 있어서, 대향하는 롤러로서 강성이 다른 것을 사용하고, 강성이 낮은 롤러가, 강성이 높은 타방의 롤러의 표면을 따라 탄성 변형함으로써, 세라믹 복합시트의 방향성을 강제하는 일 없이, 롤러 사이에 세라믹 복합시트를 통과시키도록 하였다.
구체적으로는, 본 발명의 세라믹 복합시트의 분할장치는, 소성 세라믹층과, 소성 세라믹층의 적어도 편면(片面)에 접착된 수지재층을 구비한 세라믹 복합시트의 소성 세라믹층을 세편으로 분할시키기 위한 세라믹 복합시트의 분할장치에 있어서, 제 1 롤러와, 제 1 롤러에 비해 강성이 낮고, 탄성복원력을 가지며, 제 1 롤러에 압접(壓接)된 경우에 제 1 롤러의 표면을 따른 원호 형상의 오목부가 표면에 형성되는 제 2 롤러와, 제 1 롤러와 상기 제 2 롤러를 압접시키는 압접기구를 구비하고, 압접되고 있는 제 1 롤러와 제 2 롤러와의 사이를 향하여 세라믹 복합시트를 도입함과 동시에, 제 1 롤러와 제 2 롤러와의 사이에 세라믹 복합시트를 통과시킴으로써, 소성 세라믹층만을 세편으로 분할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구성에 의하면, 강제적으로 롤러의 주위를 돌게 하여, 세라믹 복합시트의 방향을 변경할 필요가 없으므로, 세라믹 복합시트의 세라믹층이 크게 갈라져, 이 균열에 보호재층 등의 수지층이 들어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또한 소성 세라믹층을 확실하게 분할시킬 수 있다. 또한, 수지층을 형성하는 소재의 선택범위가 향상된다.
본 발명의 세라믹 복합시트의 분할장치에 있어서는, 제 1 롤러와 제 2 롤러를 다른 소재에 의해 형성하여도 된다.
이 구성에 의하면, 크게 경도(硬度)가 다른 것을 채용할 수 있어, 수지층을 분할시키지 않으며 남겨, 세라믹층을 확실하게 분할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세라믹 복합시트의 분할장치에 있어서는, 제 2 롤러의 직경이 제 1 롤러의 직경보다 커도 된다.
이 구성에 의하면, 수지층을 분할시키지 않으며 남겨, 세라믹층을 더욱 확실하게 분할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세라믹 복합시트의 분할장치에 있어서는, 세라믹 복합시트를 제 1 롤러와 제 2 롤러와의 사이에 안내하는 가이드부를 구비하고, 가이드부는, 가이드부로부터 제 1 롤러와 제 2 롤러와의 사이에 보내지는 세라믹 복합시트가, 제 1 롤러와 제 2 롤러와의 사이에 직접 끼이는 방향, 또는 제 2 롤러에 세라믹 복합시트가 접촉하고 나서 제 1 롤러와 제 2 롤러와의 사이에 끼이는 방향으로, 세라믹 복합시트를 도입하도록 배치되어도 된다.
이 구성에 의하면, 세라믹 복합시트의 선단(先端)이 경도(硬度)가 높은 롤러에 접촉하지 않아도 되어, 세라믹 복합시트의 선단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세라믹 복합시트의 분할장치에 있어서는, 제 1 롤러와 제 2 롤러가 압접되는 때의 가압력을 조정하는 가압력 조정기구를 구비하여도 된다.
이 구성에 의하면, 가압력 조정기구에 의해, 세라믹 복합시트의 상태, 즉, 세라믹층의 종류ㅇ두께, 수지층의 종류ㅇ두께, 분할되는 세편의 크기 등에 따라, 가압력을 조정함으로써, 각종 세라믹 복합시트에 대응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세라믹 복합시트의 분할장치에 있어서는, 제 1 롤러와 제 2 롤러로 이루어진 롤러조(組)가 2조(組) 배치되고, 세라믹 복합시트가, 상기 2조의 롤러조 중, 일방의 롤러조를 통과하는 때의 방향과, 타방의 롤러조를 통과하는 때의 방향이, 세라믹 복합시트와 롤러조의 상대관계에 기초하여 다른 방향이 되도록, 2조의 롤러조를 배치하여도 된다.
이 구성에 의하면, 다른 방향의 롤러조를 배치함으로써, 다른 방향, 예를 들어, 직각방향으로 세편을 분할시킬 수 있으므로, 붙이는 대상부품의 표면의 요철을 따라, 세라믹 복합시트를 붙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세라믹 복합시트의 분할장치에 있어서는, 제 1 롤러는 금속재로 이루어지며, 제 2 롤러는, 경질 심재의 표면에 합성수지제의 쿠션재가 피복되어 이루어지고, 제 2 롤러와 제 1 롤러가 압접되는 때에, 쿠션재가 제 1 롤러의 표면 형상을 따라 압축되도록 구성되어도 된다.
이 구성에 의하면, 롤러 사이에서, 세라믹층을 소정의 간격으로 정렬시켜 분할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세라믹 복합시트의 제조방법은, 소성 세라믹층과, 소성 세라믹층의 적어도 편면에 접착된 수지재층을 구비한 세라믹 복합시트의 소성 세라믹층을 세편으로 분할시키기 위한 세라믹 복합시트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제 1 롤러에 대해, 제 1 롤러에 비해 강성이 낮고, 탄성복원력을 갖는 제 2 롤러를, 제 2 롤러 표면에 제 1 롤러의 표면을 따른 원호 형상의 오목부가 생기도록, 상대적으로 압접시키는 공정과, 압접되고 있는 제 1 롤러와 제 2 롤러와의 사이에 세라믹 복합시트를 통과시킴으로써, 소성 세라믹층만을 세편으로 분할시키는 공정을 적어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구성에 의하면, 강제적으로 롤러의 주위를 돌게 하여, 세라믹 복합시트의 방향을 변경할 필요가 없으므로, 세라믹 복합시트의 세라믹층이 크게 갈라져, 이 균열에 보호재층 등의 수지층이 들어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또한 소성 세라믹층을 확실하게 분할시킬 수 있다. 또한, 수지층을 형성하는 소재의 선택범위가 향상된다.
본 발명의 세라믹 복합시트의 제조방법에 있어서는, 가압력 조정기구에 의해, 제 1 롤러와 제 2 롤러가 압접되는 때의 가압력을 조정한 상태에서, 압접되고 있는 제 1 롤러와 제 2 롤러와의 사이에 세라믹 복합시트를 통과시키는 구성으로 하여도 된다.
이 구성에 의하면, 세라믹 복합시트의 상태에 따라, 가압력을 조정할 수 있으므로, 시트에 대응된 분할상태로 간단하게 설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세라믹 복합시트의 제조방법에 있어서는, 소성 세라믹층의 일방의 표면측에 유인홈이 형성되며, 유인홈이 형성된 표면측을 제 2 롤러측에 배치함과 동시에, 유인홈이 형성되지 않은 타방의 표면측을 제 1 롤러측이 되도록 배치하여, 제 1 롤러와 제 2 롤러와의 사이에 세라믹 복합시트를 통과시키는 구성으로 하여도 된다.
이 구성에 의하면, 유인홈에 의해 확실하게 분할시킬 수 있음과 동시에, 유인홈이, 제 2 롤러측이 되므로, 종래와 같이 크게 시트의 방향을 바꿀 필요 없이, 분할이 확실하게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세라믹 복합시트의 제조방법에 있어서는, 소성 세라믹층의 일방의 표면측에는, 보호재층이 형성되며, 소성 세라믹층의 타방의 표면측에는, 양면 점착테이프를 포함하는 적층재층이 형성되고, 양면 점착테이프의 일방의 점착재층이 소성 세라믹층에 접착되며, 타방의 점착재층에 박리시트가 접착되고, 보호재층측이 제 2 롤러측에 배치됨과 동시에, 박리시트측이 이 제 1 롤러측에 배치되도록 하여, 제 1 롤러와 제 2 롤러와의 사이에 세라믹 복합시트를 통과시키는 구성으로 하여도 된다.
이 구성에 의하면, 세라믹 복합시트는, 강성이 높은 제 1 롤러에 접촉하게 되어, 상대적으로 손상되기 쉬우나, 강성이 높은 제 1 롤러측은 박리시트가 있으며, 대상품에는, 이 박리시트를 박리하여 붙이게 된다. 따라서, 가령 강성이 높은 롤러에 의해 세라믹 복합시트가 손상을 입었다 하더라도, 손상은 박리시트의 표면에 생기게 되고, 대상품에는 박리시트를 제거한 세라믹 복합시트가 붙여지므로, 세라믹 복합시트를 사용하는 때의 품질이나 외관은 악화되는 일이 없어, 문제가 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세라믹 복합시트의 제조방법에 있어서는, 제 1 롤러와 제 2 롤러로 이루어진 롤러조가 2조 배치되고, 세라믹 복합시트가, 2조의 롤러조 중, 일방의 롤러조를 통과하는 때의 방향과, 타방의 롤러조를 통과하는 때의 방향이, 세라믹 복합시트와 롤러조의 상대관계에 기초하여 다른 방향이 되도록, 세라믹 복합시트를 통과시키는 구성으로 하여도 된다.
이 구성에 의하면, 다른 방향의 롤러조를 배치함으로써, 다른 방향, 예를 들어, 직각방향으로 세편을 분할시킬 수 있으므로, 붙이는 대상부품의 표면의 요철을 따라, 세라믹 복합시트를 붙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세라믹 복합시트의 제조방법에 있어서는, 제 1 롤러와 제 2 롤러로 이루어진 롤러조가 2조 배치되고, 2조의 롤러조의 각각에 가압력 조정기구가 배치되며, 2조의 롤러조의 각각을 가압력 조정기구에 의해 다른 가압력으로 조정한 상태에서, 압접되고 있는 제 1 롤러와 제 2 롤러와의 사이에 세라믹 복합시트를 통과시키는 구성으로 하여도 된다.
이 구성에 의하면, 다른 방향의 롤러조를 배치하며, 또한 롤러조마다 가압력을 따로 조정할 수 있으므로, 첫 롤러조와 두번째 롤러조로, 세편의 분할 크기를 변경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세라믹층의 균열에 보호재층 등의 수지층이 들어가는 문제를 일으키는 일 없이, 소성 세라믹층을 확실하게 분할시킬 수 있다. 또, 크게 신장되는 소재에 의해 수지층을 형성할 필요가 없어져, 소재의 선택범위가 향상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의 세라믹 복합시트의 일부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의 세라믹 복합시트의 소성 세라믹층의 분할 상태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의 세라믹 복합시트의 제조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의 세라믹 복합시트의 소성 세라믹층을 세편으로 분할시키는 분할장치를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 5는, 도 4의 분할장치의 일부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4의 분할장치에서, 강성이 높은 제 1 롤러에, 강성이 낮고 탄성복원력을 갖는 제 2 롤러가 접촉하여, 제 2 롤러가 제 1 롤러의 표면의 형상을 따라 탄성 변형되어 있는 상태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7은, 도 4의 분할장치에서, 세라믹 복합시트가 이동하여, 양 롤러에 접촉한 상태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8은, 도 4의 분할장치에서, 세라믹 복합시트가 양 롤러 사이의 가장 좁은 부분으로까지 이동한 상태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9는, 도 4의 분할장치에서, 세라믹 복합시트가 이동하여, 양 롤러 사이의 가장 좁은 부분으로부터 더 앞으로까지 나아간 상태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의 세라믹 복합시트의 제조방법을 나타내는 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의 세라믹 복합시트의 제조방법을 나타내는 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의 세라믹 복합시트의 제조방법을 나타내는 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의 세라믹 복합시트의 제조방법을 나타내는 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의 세라믹 복합시트의 제조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도면에 기초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의 바람직한 실시형태의 설명은, 본질적으로 예시에 지나지 않으며, 본 발명, 그 적용물 또는 그 용도를 제한하는 것을 의도하는 것은 전혀 아니다.
(제 1 실시형태)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 관한 세라믹 복합시트의 일부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에 기초하여, 제 1 실시형태의 세라믹 복합시트를 설명한다.
세라믹 복합시트(10)는, 소정의 형상(예를 들어, 직사각형 형상)의 소성 세라믹층(3)의 일방(一方)(도 1에서는 하측)의 표면에 점착재층(5)이, 또 점착재층(5)의 표면측에 수지재층(4)이, 추가로 수지재층(4)의 표면측에 다른 점착재층(5)이 각각 적층되어 적층재층(6)이 형성된다. 또, 이 적층재층(6)의 표면측에 박리시트(8)가 적층되고, 타방(他方)(도 1에서는 상측)의 표면에 점착재층(5)을 개재하여 수지재층(4)이 적층되어 보호재층(7)이 형성된 적층 구조로 구성된다. 그리고, 도 1의 단면도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각 층의 두께는 실제의 두께보다 과장하여 나타낸다.
소성 세라믹층(3)의 세라믹재로서는, 페라이트 등 공지의 것이 사용된다. 페라이트로서는, 소프트 페라이트라면 특별히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공지의 소프트 페라이트를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Mn-Zn페라이트, Ni-Zn페라이트, Ni-Zn-Cu페라이트, Mn-Mg페라이트, Li페라이트 등을 들 수 있다. 또, 사용하는 전자파의 주파수에 따라 조성이 변경된 소프트 페라이트를 사용할 수도 있다.
소성 세라믹층(3)의 두께는, 0.01㎜∼5㎜이고, 바람직하게는 0.02∼3㎜, 보다 바람직하게는 0.03∼1㎜이다. 두께가 0.01㎜ 미만인 경우에는, 시트로서의 취급이 어려워져, 세라믹 복합시트(10)의 제조작업에서의 수율이 악화된다. 5㎜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소성 세라믹층(3)의 중량이 커져 바람직하지 않다.
소성 세라믹층(3)의 표면에 형성되는, 수지재층(4)이나 점착재층(5)으로 구성된 적층재층(6) 및 보호재층(7) 등의 수지 소재를 포함하는 층을 총칭하여 수지층이라 한다.
수지재층(4) 및 점착재층(5)이 일체로 형성된 적층재층(6)으로서는, 양면 점착테이프를 들 수 있다. 양면 점착테이프로서는, 특별히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공지의 양면 점착테이프를 사용할 수 있다. 또, 적층재층(6)으로서, 소성 세라믹층(3)의 편면에, 점착재층(5), 굴곡성과 신축성을 갖는 수지재층(4), 점착재층(5), 및 박리시트(8)를 차례로 적층한 것이어도 된다.
소성 세라믹층(3)의 적층재층(6)을 형성한 면과는 반대측의 면에 형성되는 보호재층(7)으로서는, 소성 세라믹층(3)이 분할선(2a, 2b)에서 세편(2c)(모두 도 2 참조)으로 분할된 경우에, 파단하는 일 없이 신장되는 수지라면, 특별히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공지의 편면 점착테이프를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폴리에스테르 필름 점착테이프 등을 들 수 있다. 보호재층(7)의 두께는, 0.001∼0.2㎜이고, 바람직하게는 0.005∼0.15㎜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0.01∼0.1㎜이다. 보호재층(7)의 두께가 0.001㎜ 미만인 경우에는, 파단하기 쉬워 가루 떨어짐을 방지하는 것이 곤란하다. 0.2㎜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가루 떨어짐을 방지하는 효과가 포화되기 때문에, 0.2㎜를 초과하여 두껍게 할 필요가 없다.
소성 세라믹층(3)의 양측 면에 형성되는 적층재층(6)과 보호재층(7)의 조합은 특별히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 소성 세라믹층(3)의 양측에 적층재층(6)을 형성하여도 되고, 소성 세라믹층(3)의 양측에 보호재층(7)을 형성하여도 된다.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세라믹 그린시트(2)의 일방의 면에, 소성 전에 유인홈(2a, 2b)을 미리 형성하는 경우가 있다. 이러한 경우에는, 이 유인홈(2a, 2b)이, 분할선(2a, 2b)이 되므로, 유인홈(2a, 2b)은 분할선(2a, 2b)을 따라 균열을 유인하는 홈이면 되고, 그 형상이나 크기(깊이)는,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 유인홈(2a, 2b)은, 연속홈이어도 단속홈이어도 되고, 그 분포형상은 바둑판 눈금형상이어도, 그 밖의 형상이어도 된다. 예를 들어, 일본 특허공개 2005-15293호 공보 등에 개시되어 있는 유인홈(2a, 2b)을 이용할 수 있다. 따라서, 여기서는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유인홈(2a, 2b)의 단면(斷面)형상은, 소성 세라믹층(3)이 유인홈(2a, 2b)에서 분할 가능하면,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보호재층(7)은, 소성 세라믹층(3)이 유인홈(분할선)(2a, 2b)에서 분할 가능하여, 소성 세라믹층(3)에 굴곡성을 부여할 수 있으며, 또한, 소성 세라믹층(3)이 갈라진 때의 투자율의 저하가 적은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보호재층(7)은, 소성 세라믹층(3)이 유인홈(2a, 2b)에서 산접기되어 분할선(2a, 2b)에서 분할되어도, 파단하는 일 없이 신장되는 수지라면 되고, 특별히 제한은 없다. 유인홈(2a, 2b)을 형성한 소성 세라믹층(3)의 표면에 보호재층(7)을 형성함으로써, 소성 세라믹층(3)이 유인홈(분할선)(2a, 2b)에서 분할된 경우의 가루 떨어짐에 대해, 보다 신뢰성 및 내구성을 높일 수 있게 된다.
다음에, 본 발명의 세라믹 복합시트(10)의 제조방법에 대해, 도 3, 및 도 10∼도 13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세라믹 복합시트(10)의 제조방법은, 도 10∼도 1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먼저, PET 등의 수지필름(1) 상에 얻어진 세라믹 그린시트(2)를 소정의 형상으로 절단한 후, 수지필름(1)을 박리하여, 세라믹 그린시트(2)를 얻는다. 다음에, 도 1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세라믹 그린시트(2)를 소성하여 소성 세라믹층(3)으로 하고, 그 양면에 상술한 적층재층(6)과 보호재층(7)을 라미네이트하여, 세라믹 복합시트(10)를 얻는다. 그 후, 적층재층(6)과 보호재층(7)이 라미네이트된 세라믹 복합시트(10)의 소성 세라믹층(3)을 세편으로 분할시키고, 또한, 사용목적이나 사용제품에 따라, 원하는 형상으로 프레스 등의 기계적 수단 또는 레이저 등에 의해 절단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먼저, 도 1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수지필름(1) 상에 세라믹 그린시트(2)를 형성한다(단계 S1).
여기서, 세라믹 그린시트(2)는, 공지의 방법으로 제조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세라믹분말과 바인더수지와 용매를 혼합한 후, 수지필름(또는 수지시트)(1) 상에 닥터 블레이드 등으로 도포하여 세라믹 그린시트(2)를 얻는다.
또, 세라믹 그린시트(2)는, 미리 소정의 크기, 형상으로 성형하도록 하여도 되며, 이러한 경우에는, 소성 전에 절단이 불필요해진다. 또, 연속된 세라믹 그린시트(2)로서 성형한 후에 소정의 크기, 형상으로 절단하여도 된다. 이러한 경우, 세라믹 그린시트(2)를 소정의 크기, 형상으로 하기 위한 절단은, 소성 처리 때까지 행하면 되고, 단계 S1 후에, 또는 후술하는 단계 S2 후에 행하여도 되고, 또, 제 1 단계와 제 2 단계 양쪽 단계에서 절단하여도 된다.
세라믹 그린시트(2)는, 세라믹분말과 바인더수지와 용매를 혼합한 후, 분말압축 성형법, 사출성형법, 캘린더법, 압출법 등을 사용함으로써 얻을 수 있다. 또한, 필요에 따라 세라믹 그린시트(2)를 탈지 처리하여도 된다.
다음에, 도 1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세라믹 그린시트(2)의 편면에, 균열(분할선)이 되는 유인홈(2a, 2b)을 형성한다(단계 S2). 유인홈(2a, 2b)은,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가로세로로 매트릭스 형상으로 형성된다. 또한, 유인홈(2a, 2b)은, 유인홈(2a, 2b)에 대응하는 성형 날을 세라믹 그린시트(2)에 누르는 등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후술하는 바와 같이, 세라믹 그린시트(2)를 소성하여 소성 세라믹층(3)을 형성한 후, 이 유인홈(2a, 2b)을 따라 소성 세라믹층(3)이 분할되어, 유인홈(2a, 2b)이 분할선(2a, 2b)으로 되고, 소성 세라믹층(3)이 세편(2c)으로 미세하게 분할된다.
유인홈(2a, 2b)은, 세라믹 그린시트(2)의 성형 중, 성형 후 또는 소성처리 후에 형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분말압축 성형법 또는 사출성형법으로 유인홈(2a, 2b)을 형성하는 경우에는, 세라믹 그린시트(2)의 성형 중에 홈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캘린더법, 압출법, 또는 수지필름(1) 상에 닥터 블레이드 등으로 도포하여 성형한 세라믹 그린시트(2)에 유인홈(2a, 2b)을 형성하는 경우에는, 세라믹 그린시트(2)의 성형 후, 또한 소성 전에 홈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본 실시형태에서는, 유인홈(2a, 2b)을 형성하나, 이 공정은 생략하는 것이 가능하다. 특히, 세라믹 그린시트(2)가 얇은 경우에는, 유인홈(2a, 2b)을 생략하여, 세편(2c)으로 분할시킬 수 있다.
다음에, 도 1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단계 S2에서 얻어진 세라믹 그린시트(2)로부터 수지필름(1)을 박리하여, 세라믹 그린시트(2)만의 시트로 한다(단계 S3). 후술하는 소성공정에서, 수지필름(1)은 불필요하므로, 이 공정에서 제거한다.
또한, 세라믹 그린시트(2)가 수지필름(1) 상에 형성되지 않은 경우나, 이미 수지필름(1)이 박리되어 있는 경우에는, 이 단계 S3을 생략할 수 있다.
다음에, 단계 S3에서 얻어진 세라믹 그린시트(2)를 가열로에 넣어, 소성처리를 행함으로써, 소성 세라믹층(3)을 제조한다(단계 S4). 이 단계 S4는 이미 알려진 공정이며, 일본 특허공개 2005-15293호 공보 등에 의해 개시되어 있는 방법이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여기서, 세라믹 그린시트(2)를 겹치지 않고 1장만으로 가열로에 연속적으로 넣어 열처리하도록 하고 있으나, 복수 장을 겹쳐 처리하도록 하여도 된다.
다음에, 도 1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단계 S4에서 얻어진 소성 세라믹층(3)의 유인홈(2a, 2b)이 형성되어 있는 면과는 반대측 면에 수지재층(4)과 점착재층(5)이 일체로 된 적층재층(6)(예를 들어 양면 점착테이프)을 형성함과 동시에, 적층재층(6)이 형성되어 있는 면과는 반대측 표면에, 가루 떨어짐 방지를 위한 보호재층(7)을 형성한다(단계 S5).
보호재층(7)은, 보호재층(7)을 구성하는 PET 수지 등의 필름 또는 시트를, 점착재를 개재하여 소성 세라믹층(3)의 표면에 붙이거나, 또는, 보호재층(7)을 구성하는 수지를 함유하는 도료를 소성 세라믹층(3)의 표면에 도포함으로써 형성된다.
구체적으로는, 소성 세라믹층(3)의 편면에 수지필름(수지재층(4)에 점착재층(5)이 형성된 적층재층(6))을 붙이는 라미네이트 처리를 행한다. 그리고,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적층재층(6)의 표면측에는, 점착재층(5)을 개재하여 박리시트(8)가 분할 가능한 상태로 붙여져 있다. 또, 소성 세라믹층(3)을 사이에 둔 타방의 면에는, 보호재층(7)이 붙여져 있다.
또, 본 단계 S5에서는, 소성 세라믹층(3)의 단면(端面)(3a)(도 13을 참조)의 노출을 방지하는 관점에서, 적층재층(6)과 보호재층(7)을, 소성 세라믹층(3)보다 큰 크기의 필름 시트에 의해 구성하고, 도 1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적층재층(6)의 내면과 보호재층(7)의 내면을 접촉시켜 겹치게 함으로써, 접합되어, 소성 세라믹층(3)이 적층재층(6)과 보호재층(7)에 의해 피복되는 구성으로 하여도 된다. 또한, 소성 세라믹층(3)의 가루 떨어짐을 방지할 수 있는 경우에는, 적층재층(6)과 보호재층(7)을, 반드시 접합시킬 필요는 없다.
이와 같이, 소성 세라믹층(3)의 표면과 이면(裏面)을, 적층재층(6), 보호재층(7)으로 피복할 뿐만 아니라, 소성 세라믹층(3)의 주위의 단면(3a)도, 적층재층(6), 보호재층(7)으로 피복하여, 소성 세라믹층(3)의 단면(3a)이 노출되지 않도록 구성된 세라믹 복합시트(10)를 형성한다.
여기서, 소성 세라믹층(3)의 표면에 적층재층(6)과 보호재층(7)을 형성하는 구성으로 하였으나, 소성 세라믹층(3)의 편면에만 적층재층(6) 또는 보호재층(7)을 형성하는 구성으로 하여도 되고, 소성 세라믹층(3)의 양면에 적층재층(6)(또는, 보호재층(7))을 형성하는 구성으로 하여도 된다.
다음에, 단계 S5에서 얻어진 세라믹 복합시트(10)의 소성 세라믹층(3)을, 분할선(2a, 2b)을 기준으로 하여 세편(2c)으로 분할시킨다(단계 S6). 그리고, 이 때, 소성 세라믹층(3)의 일방의 면과 타방의 면에 형성된 적층재층(6)과 보호재층(7)은, 분할되지 않으며 그대로 남아, 소성 세라믹층(3)만이 세편(2c)으로 분할된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 세라믹 복합시트(10)를, 붙이는 대상부품의 표면의 요철상태를 따라 구부려, 형상을 변경할 수 있음과 동시에, 소성 세라믹층(3)의 세편(2c)이 제각각 분리되는 것을 방지한다.
다음에, 도 4∼도 9에 기초하여, 소성 세라믹층(3)을 세편(2c)으로 분할시키기 위한 분할장치(60) 및 분할방법을 설명한다. 도 4∼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분할장치(60)는, 작은 직경의 제 1 롤러(61)(금속제)와 큰 직경의 제 2 롤러(62)(수지제)를 구비한다. 이 제 1 롤러(61)와 제 2 롤러(62)는, 각 롤러의 외주면에서 서로 압접되고 있으며, 압접되고 있는 롤러(61, 62) 사이에 세라믹 복합시트(10)를 통과시킴으로써, 세라믹 복합시트(10)의 소성 세라믹층(3)을 세편(2c)으로 분할시킨다.
또, 제 1 롤러(61)를 모터(도시생략) 등의 회전구동원에 접속시키고, 제 2 롤러(62)는 회전 자유롭게 구성된다. 따라서, 제 1 롤러(61)를 회전시키면, 이 회전에 수반하여, 제 2 롤러(62)가 회전하게 된다. 또한, 제 2 롤러(62)를 구동시키고, 제 1 롤러(61)는 회전 자유롭게 구성되어도 되고, 양쪽을 구동시키는 구성으로 하여도 된다. 또, 양 롤러(61, 62)를 풀리로 하여, 강제적으로 세라믹 복합시트(10)를 보내는 것도 가능하다. 예를 들어, 고무 벨트 등에 세라믹 복합시트(10)를 적재하고, 고무 벨트를 구동시켜 양 롤러(61, 62) 사이에 보내도록 하여, 세라믹 복합시트(10)를 반송하도록 하여도 된다.
제 1 롤러(61)로서는, 제 2 롤러(62)나 세라믹 복합시트(10)에 접촉한 경우에, 거의 변형되지 않으며, 또한, 세라믹 복합시트(10)가, 제 2 롤러(62)와 제 1 롤러(61)에 끼인 경우에, 세라믹 복합시트(10)가 제 1 롤러(61)에 눌러지며, 제 1 롤러(61)의 표면을 따라 이동하는 것이 가능하면, 재질은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금속, 비금속, 경질수지 등, 또는 이들의 조합을 적용할 수 있다. 실제로는, 강체가 바람직하고, 철이나 알루미늄 등의 금속재가 실용적으로는 사용하기 쉽다.
제 2 롤러(62)로서는, 제 1 롤러(61)보다 저경도이며, 제 1 롤러(61)에 접촉(압접)하여 제 1 롤러(61)의 표면을 따라 변형되나, 멀어지면 원래 형상으로 복원되는 탄성복원력을 갖는 것이라면, 재질은 특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연질수지, 우레탄수지, 실리콘수지, 발포수지, 엘라스토머 등, 또는 이들의 조합을 적용할 수 있다. 그리고, 수지나 고무 등의 쿠션재가 실용상으로는 바람직하다. 또,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2 롤러(62)를, 금속 등의 강체로 이루어진 심재(62a)와, 심재(62a)의 표면에 형성되며 소정의 두께를 갖는 수지제 쿠션재(62b)에 의해 구성함으로써, 제 2 롤러(62)를 본체부(64)에 회전 자유롭게 지지하기 쉬워지므로 바람직하다.
다음에, 세라믹 복합시트(10)(즉, 소성 세라믹층(3))의 분할장치(60)의 일례를, 도 5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제 2 롤러(62)는, 그 양단이 본체부(64)에 회전 자유롭게 장착된다. 금속제 제 1 롤러(61)는, 그 양단이 베어링부(63)에 지지되고, 이 베어링부(63)는 긴 원통형상의 삽입가이드부(도시생략)에 상하이동 가능하게 삽입된다. 따라서, 제 1 롤러(61)는 상하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되도록 지지된다. 또, 이 상태에서, 스프링(66)에 의해 베어링부(63)를 누르는 구성으로 되고, 베어링부(63), 삽입가이드부, 스프링(66)에 의해, 양 롤러(61, 62)를 압접시키는 압접기구(65)가 구성된다. 또, 스프링(66)의 장력(tension)을 조정하는 가압력 조정기구(67)가 배치되고, 이 스프링(66)의 장력 조정에 의해, 제 1 롤러(61)의 누르는 힘(가압력)을 조정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제 1 롤러(61)의 상하방향의 위치를 이동시켜 가압력을 조정하도록 하였으나, 가압력을 조정할 수 있는 구성이면, 이 구성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위치를 이동시키지 않고 스프링력의 강도에 의해 가압력을 조정하거나, 또는 스프링(66)이 아니라 액압 실린더를 이용하여 액압에 의해 제어하여 조정하는 구성이어도 된다. 또, 위치와 누르는 힘 양쪽에 의해 가압력을 조정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제 1 롤러(61)는 직경이 다른 것이나 재질이 다른 것으로 교환할 수 있도록 착탈 가능하게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마찬가지로, 제 2 롤러(62)도 마찬가지로 교환 가능해지도록 착탈 가능한 것이 바람직하다. 양 롤러(61, 62)의 롤러 직경의 조합 조정에 의해, 롤러 표면의 형상을 따른 탄성 변형의 정도를 바꿀 수 있어, 분할되는 세편의 크기를 바꿀 수 있다. 또한, 상하의 제 1 롤러(61)와 제 2 롤러(62)는, 상하방향을 반대로 하여 배치하여도 되고, 또 양 롤러(61, 62)를 상하방향이 아니라 전후방향이나 수평방향으로 배치하고, 상하방향으로 세라믹 복합시트(10)를 통과하도록 하여도 된다. 또, 세라믹 복합시트(10)를 비스듬히 통과하도록 양 롤러(61, 62)를 배치하여도 된다.
또, 제 2 롤러(62)의 직경이, 제 1 롤러(61)의 직경보다 크게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 세라믹 복합시트(10)가, 제 2 롤러(62)에 의해, 상대적으로 직경이 작은 롤러의 바깥둘레를 따라 눌리게 된다. 그리고, 이 상태에서, 양 롤러(61, 62)의 회전에 따라 세라믹 복합시트(10)가 이동하고, 짧은 이동거리에 의해, 구부러지게 되므로, 세라믹 복합시트(10)의 이동방향을 크게 변경하는 일 없이, 소성 세라믹층(3)을 효과적으로 분할시킬 수 있다. 즉, 종래기술에서는, 세라믹 복합시트(10)가 양 롤러(61, 62)로부터 멀어지는 때의 방향을, 의도적으로 양 롤러에 들어가는 방향과 변경하여, 세라믹 복합시트(10)가 롤러의 바깥둘레를 따르도록 구성되어 있었으나, 본 발명에서는, 세라믹 복합시트(10)가 양 롤러(61, 62)로부터 멀어지는 때의 방향을 변경할 필요가 없이, 당해 방향을 자유롭게 설정할 수 있으므로, 생산성이 뛰어나다.
다음에, 세라믹 복합시트(10)(즉, 소성 세라믹층(3))의 분할 메커니즘에 대해, 도 6∼도 9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도 6은, 강성이 높으며 작은 직경의 금속제 제 1 롤러(61)와, 탄성복원력을 갖는 발포우레탄수지로 이루어진 쿠션층(62b)을 피복층으로서 금속제 심재(62a)에 피복한 제 2 롤러(62)가 압접되고, 제 2 롤러(62)에 세라믹 복합시트(10)가 접촉한 상태를 나타낸다. 이 압접 상태에서는, 제 2 롤러(62)의 쿠션층(62b)의 일부가 제 1 롤러(61)의 표면의 형상을 따라 탄성 변형된다. 또, 가이드부(70) 상에 적재된 세라믹 복합시트(10)가 이동하여 양 롤러(61, 62)에 접근하여, 세라믹 복합시트(10)의 선단부분이 먼저 제 2 롤러(62)에 접촉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세라믹 복합시트(10)가 제 2 롤러(62)의 쿠션층(62b)에 먼저 접촉하므로, 세라믹 복합시트(10)의 선단부분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세라믹 복합시트(10)의 선단이 금속제 제 1 롤러(61)에 먼저 접촉한 경우에는, 세라믹 복합시트(10)의 선단부분이 손상을 입을 가능성이 있다.
다음에,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2 롤러(62)의 회전에 따라, 세라믹 복합시트(10)는, 양 롤러(61, 62)에 접촉한 상태가 된다. 그리고, 세라믹 복합시트(10)가, 압접상태의 양 롤러(61, 62)에 끼여, 양 롤러(61, 62)의 회전에 따라, 더욱 반송된다. 그리고, 도 7∼도 9에서는, 가이드부(70)나 제 2 롤러(62)의 심재(62a)와 쿠션층(62b)의 경계의 도시를 생략한다.
도 8은, 세라믹 복합시트(10)의 선단부가 압접상태의 양 롤러(61, 62) 사이의 가장 좁은 부분으로까지 이동한 상태를 나타낸다. 이 위치로까지 이동하면, 쿠션층(62b)이 세라믹 복합시트(10)를 제 1 롤러(61)의 바깥둘레에 강하게 누르는 탄력성을 갖는 경우에, 세라믹 복합시트(10)의 선단부가 제 1 롤러(61)의 바깥둘레를 따른 형상으로 약간 만곡됨과 동시에 탄성적으로 협지 가압되어, 소성 세라믹층(3)이 세편(2c)으로 분할된다.
또한, 세라믹 복합시트(10)가 얇으며, 약간의 충격으로 세편(2c)으로 분할 가능한 경우에는, 세라믹 복합시트(10)를 제 1 롤러(61)의 바깥둘레에 강하게 눌러, 당해 바깥둘레를 따르도록 하지 않아도, 제 1 롤러(61)와 제 2 롤러(62)가 가장 가까운 위치(양 롤러(61, 62)의 축 사이를 지나는 평면상의 위치)에서, 소정의 가압력에 의해, 세라믹 복합시트(10)가 확실하게 양 롤러(61, 62)에 협지되게 되므로, 소성 세라믹층(3)이 세편(2c)으로 분할되는 경우가 있다. 이러한 경우, 세라믹 복합시트(10)를 제 1 롤러(61)의 바깥둘레에 강하게 누를 필요가 없으므로, 쿠션층(62b)을 유연한 층으로서 형성하여도 된다. 그 결과, 세라믹 복합시트(10)가 제 1 롤러(61)의 바깥둘레를 따라 변형되지 않아도, 제 1 롤러(61)와 제 2 롤러(62)가 가장 가까운 위치에서 강하게 끼임으로써, 세편(2c)으로 분할될 가능성이 있다. 즉, 본 발명에서는, 세라믹 복합시트(10)가 양 롤러(61, 62)에 끼여, 제 1 롤러(61)의 바깥둘레를 따라 반송되도록 구성되므로, 바깥둘레를 따라 구부러짐과 동시에, 협지 가압함으로써, 세편(2c)으로 분할되나, 상술한 바와 같이, 롤러(61, 62)에, 얇으며, 약간의 충격으로 세편(2c)으로 분할 가능한 세라믹 복합시트(10)를 통과시키도록 하여, 협지 가압함으로써 분할시키는 경우에도 적용할 수 있다.
도 9는, 세라믹 복합시트(10)가 양 롤러(61, 62)의 회전에 수반하여, 양 롤러(61, 62) 사이의 가장 좁은 부분으로부터 더 앞으로 이동한 상태를 나타낸다. 이러한 경우에도, 쿠션층(62b)이 세라믹 복합시트(10)를 제 1 롤러(61)의 바깥둘레에 강하게 누르는 탄력성을 갖는 경우에는, 세라믹 복합시트(10)는 선단부분에 이어 제 1 롤러(61)의 바깥둘레를 따라 나아가, 세라믹 복합시트(10)의 선단부분은 양 롤러(61, 62)로부터 멀어져 간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서는, 피부착물로 붙이기 전 단계에서, 확실하게 세라믹 복합시트(10)를 세편(2c)으로 분할시킬 수 있으며, 또한 세편(2c) 사이의 틈새가 거의 존재하지 않는 상태의 시트로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세라믹 복합시트(10)를, 피부착물, 예를 들어, 전자기기, 전자부품 등의 표면의 곡면부 또는 요철면부를 따라 붙인 경우, 분할선(2a, 2b)을 기점으로 하여, 소성 세라믹층(3)이 굴곡되거나 또는 꺾임으로써, 분할선(2a, 2b) 이외의 장소에서 부정형으로 갈라지는 일 없으며, 또한, 가루 떨어짐 현상이 발생하는 일이 없다. 또한, 평면은 물론, 원주 형상의 측곡면 및 다소 요철이 있는 면에도 밀착, 또는 실질적으로 밀착시킬 수 있다.
그리고, 본 실시형태에서는, 제 1 롤러와 제 2 롤러로 이루어진 롤러조를, 1조로 하였으나, 제 1 롤러(61)와 제 2 롤러(62)로 이루어진 롤러조를 2조로 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세라믹 복합시트(10)가 일방의 롤러조(61, 62)를 통과하는 때의 방향과, 세라믹 복합시트(10)가 타방의 롤러조(61, 62)를 통과하는 때의 방향이, 세라믹 복합시트(10)와 롤러조(61, 62)의 상대관계에 기초하여 다른 방향이 되도록, 각 롤러조(61, 62)를 배치하면 된다. 예를 들어, 일방의 롤러조(61, 62)의 회전방향과 타방의 롤러조(61, 62)의 회전방향이 교차하도록 2조의 롤러조가 수평으로 배치되고, 일방의 롤러조(61, 62)를 통과한 세라믹 복합시트(10)를 회전시키는 일 없이 반송방향만 변경한 후에 타방의 롤러조(61, 62)를 통과시키는 방법이나, 일방의 롤러조(61, 62)의 회전방향과 타방의 롤러조(61, 62)의 회전방향이 직선상에서 일치하도록 2조의 롤러조가 배치되고, 일방의 롤러조(61, 62)를 통과한 세라믹 복합시트(10)를 반송방향을 바꾸는 일 없이 소정의 각도 회전시킨 후에 타방의 롤러조(61, 62)를 통과시키는 방법, 또는, 고무 시트 등의 탄성복원력을 갖는 지지체 상에 적재된 세라믹 복합시트(10)에 대해, 2조의 롤러조가 각각의 롤러조(61, 62)의 롤러 사이를 시트가 통과하도록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고, 일방의 롤러조(61, 62)를 일방향으로 이동시킨 후에, 타방의 롤러조(61, 62)를 타방향으로 이동시키는 방법에 의해, 세라믹 복합시트(10)는 일방의 롤러조(61, 62)와 타방의 롤러조(61, 62)를 다른 방향으로 통과하게 된다. 이 때, 세라믹 복합시트(10)는 각각의 방향으로 분할되므로, 미세한 세편(2c)으로 분할되기 쉽다.
2조의 롤러조를 갖는 경우에도, 양 롤러조(61, 62)에 가압력 조정기구(67)를 배치함으로써, 압접기구(65)의 스프링(66)의 장력을 가압력 조정기구(67)에 의해 조정하여, 제 1 롤러(61)의 누르는 힘(가압력)을 조정할 수 있다. 여기서, 양 롤러조(61, 62)의 각각의 가압력의 값을 동일하게 하여도 되고, 다른 값으로 하여도 된다. 즉, 가압력을 자유롭게 조정할 수 있으므로, 분할장치의 이용가치가 대폭으로 확대된다.
또, 양 롤러조(61, 62)를 3조 이상 배치하여도 된다.
(제 2 실시형태)
다음에, 도 14에 기초하여,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를 설명한다. 여기서, 제 1 실시형태와 다른 부분만 설명한다.
제 2 실시형태는, 제 1 실시형태의 단계 S2를 생략한 제조방법이다. 즉, 세라믹 그린시트(2)의 수지필름(1)과는 반대측 면에, 균열(분할선)이 되는 유인홈(2a, 2b)을 형성하는 단계를 생략한다. 특히, 이 단계 S2를 생략하는 제조방법은, 세라믹 복합시트(10)가 얇아 갈라지기 쉬운 경우나, 세라믹 복합시트(10)의 소재가 유인홈(2a, 2b)을 형성하지 않아도 갈라지기 쉬운 경우에, 특히, 유효한 제조방법이다.
(그 밖의 실시형태)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세라믹 복합시트(10)를, 그대로 양 롤러(61, 62) 사이에 통과시켰으나, 고무제 컨베이어에 세라믹 복합시트(10)를 연속 붙이고, 컨베이어측을 제 2 롤러(62)측으로 설정함과 동시에, 세라믹 복합시트(10)측을 제 1 롤러(61)측으로 설정하여, 양 롤러 사이를 통과하도록 하여도 된다. 이러한 경우, 연속으로 세라믹 복합시트(10)를 통과시킬 수 있다.
[산업상 이용 가능성]
본 발명은, 전자기기의 평면, 곡면 또는 요철 표면에 붙이거나 박리 가능한 세라믹 복합시트의 소성 세라믹층의 분할장치 및 세라믹 복합시트의 제조방법에 유용하다.
1 : 수지필름 2 : 세라믹 그린시트
2a, 2b : 유인홈, 분할선 2c : 세편
3 : 소성 세라믹층 3a : 단면
4 : 수지재층 5 : 점착재층
6 : 적층재층 7 : 보호재층
8 : 박리시트 10 : 세라믹 복합시트
60 : 분할장치 61 : 제 1 롤러
62 : 제 2 롤러 62a : 심재
62b : 쿠션층(쿠션재) 63 : 베어링부
65 : 압접기구 66 : 스프링
67 : 가압력 조정기구 70 : 가이드부

Claims (13)

  1. 소성 세라믹층과, 이 소성 세라믹층의 적어도 편면(片面)에 접착된 수지재층을 구비한 세라믹 복합시트의 상기 소성 세라믹층을 세편(細片)으로 분할시키기 위한 세라믹 복합시트의 분할장치에 있어서,
    제 1 롤러와,
    상기 제 1 롤러에 비해 강성(剛性)이 낮고, 탄성복원력을 가지며, 상기 제 1 롤러에 압접(壓接)된 경우에 이 제 1 롤러의 표면을 따른 원호 형상의 오목부가 표면에 형성되는 제 2 롤러와,
    상기 제 1 롤러와 상기 제 2 롤러를 압접시키는 압접기구를 구비하고,
    압접되고 있는 상기 제 1 롤러와 상기 제 2 롤러와의 사이를 향하여 상기 세라믹 복합시트를 도입함과 동시에, 상기 제 1 롤러와 상기 제 2 롤러와의 사이에 상기 세라믹 복합시트를 통과시킴으로써, 상기 소성 세라믹층만을 세편으로 분할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라믹 복합시트의 분할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 1 롤러와 상기 제 2 롤러가 다른 소재에 의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라믹 복합시트의 분할장치.
  3.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 2 롤러의 직경이 상기 제 1 롤러의 직경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라믹 복합시트의 분할장치.
  4. 청구항 1∼청구항 3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세라믹 복합시트를 상기 제 1 롤러와 상기 제 2 롤러와의 사이에 안내하는 가이드부를 구비하고,
    상기 가이드부는, 이 가이드부로부터 상기 제 1 롤러와 상기 제 2 롤러와의 사이에 보내지는 상기 세라믹 복합시트가, 상기 제 1 롤러와 상기 제 2 롤러와의 사이에 직접 끼이는 방향, 또는 상기 제 2 롤러에 상기 세라믹 복합시트가 접촉하고 나서 상기 제 1 롤러와 상기 제 2 롤러와의 사이에 끼이는 방향으로, 상기 세라믹 복합시트를 도입하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라믹 복합시트의 분할장치.
  5. 청구항 1∼청구항 4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롤러와 상기 제 2 롤러가 압접되는 때의 가압력을 조정하는 가압력 조정기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라믹 복합시트의 분할장치.
  6. 청구항 1∼청구항 5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롤러와 상기 제 2 롤러로 이루어진 롤러조(組)가 2조(組) 배치되고,
    상기 세라믹 복합시트가, 상기 2조의 롤러조 중, 일방(一方)의 상기 롤러조를 통과하는 때의 방향과, 타방(他方)의 상기 롤러조를 통과하는 때의 방향이, 상기 세라믹 복합시트와 상기 롤러조의 상대관계에 기초하여 다른 방향이 되도록, 상기 2조의 롤러조가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라믹 복합시트의 분할장치.
  7. 청구항 1∼청구항 6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롤러는 금속재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 2 롤러는, 경질 심재의 표면에 합성수지제의 쿠션재가 피복되어 이루어지고,
    상기 제 2 롤러와 상기 제 1 롤러가 압접되는 때에, 상기 쿠션재가 상기 제 1 롤러의 표면 형상을 따라 압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라믹 복합시트의 분할장치.
  8. 소성 세라믹층과, 이 소성 세라믹층의 적어도 편면에 접착된 수지재층을 구비한 세라믹 복합시트의 상기 소성 세라믹층을 세편으로 분할시키기 위한 세라믹 복합시트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제 1 롤러에 대해, 이 제 1 롤러에 비해 강성이 낮고, 탄성복원력을 갖는 제 2 롤러를, 이 제 2 롤러 표면에 상기 제 1 롤러의 표면을 따른 원호 형상의 오목부가 생기도록, 상대적으로 압접시키는 공정과,
    압접되고 있는 상기 제 1 롤러와 상기 제 2 롤러와의 사이에 상기 세라믹 복합시트를 통과시킴으로써, 상기 소성 세라믹층만을 세편으로 분할시키는 공정
    을 적어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라믹 복합시트의 제조방법.
  9. 청구항 8에 있어서,
    가압력 조정기구에 의해, 상기 제 1 롤러와 상기 제 2 롤러가 압접되는 때의 가압력을 조정한 상태에서, 압접되고 있는 상기 제 1 롤러와 상기 제 2 롤러와의 사이에 상기 세라믹 복합시트를 통과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라믹 복합시트의 제조방법.
  10. 청구항 8 또는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소성 세라믹층의 일방의 표면측에 유인홈이 형성되며,
    상기 유인홈이 형성된 표면측을 상기 제 2 롤러측에 배치함과 동시에, 상기 유인홈이 형성되지 않은 타방의 표면측을 상기 제 1 롤러측이 되도록 배치하여, 상기 제 1 롤러와 상기 제 2 롤러와의 사이에 상기 세라믹 복합시트를 통과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라믹 복합시트의 제조방법.
  11. 청구항 8∼청구항 10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소성 세라믹층의 일방의 표면측에는, 보호재층이 형성되며,
    상기 소성 세라믹층의 타방의 표면측에는, 양면 점착테이프를 포함하는 적층재층이 형성되고,
    상기 양면 점착테이프의 일방의 점착재층이 이 소성 세라믹층에 접착되며, 타방의 점착재층에 박리시트가 접착되고,
    상기 보호재층측이 이 제 2 롤러측에 배치됨과 동시에, 상기 박리시트측이 이 제 1 롤러측에 배치되도록 하여, 상기 제 1 롤러와 상기 제 2 롤러와의 사이에 상기 세라믹 복합시트를 통과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라믹 복합시트의 제조방법.
  12. 청구항 8∼청구항 11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롤러와 상기 제 2 롤러로 이루어진 롤러조가 2조 배치되고,
    상기 세라믹 복합시트가, 상기 2조의 롤러조 중, 일방의 상기 롤러조를 통과하는 때의 방향과, 타방의 상기 롤러조를 통과하는 때의 방향이, 상기 세라믹 복합시트와 상기 롤러조의 상대관계에 기초하여 다른 방향이 되도록, 상기 세라믹 복합시트를 통과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라믹 복합시트의 제조방법.
  13.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제 1 롤러와 상기 제 2 롤러로 이루어진 롤러조가 2조 배치되고,
    상기 2조의 롤러조의 각각에 상기 가압력 조정기구가 배치되며, 상기 2조의 롤러조의 각각을 상기 가압력 조정기구에 의해 다른 상기 가압력으로 조정한 상태에서, 압접되고 있는 상기 제 1 롤러와 상기 제 2 롤러와의 사이에 상기 세라믹 복합시트를 통과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라믹 복합시트의 제조방법.
KR1020177013977A 2014-10-31 2015-10-28 세라믹 복합시트의 분할장치 및 세라믹 복합시트의 제조방법 KR10243070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4222531 2014-10-31
JPJP-P-2014-222531 2014-10-31
PCT/JP2015/005430 WO2016067615A1 (ja) 2014-10-31 2015-10-28 セラミック複合シートの分割装置及びセラミック複合シートの製造方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80612A true KR20170080612A (ko) 2017-07-10
KR102430701B1 KR102430701B1 (ko) 2022-08-08

Family

ID=558569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7013977A KR102430701B1 (ko) 2014-10-31 2015-10-28 세라믹 복합시트의 분할장치 및 세라믹 복합시트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6690095B2 (ko)
KR (1) KR102430701B1 (ko)
TW (1) TWI680958B (ko)
WO (1) WO201606761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984632A (zh) * 2016-10-26 2018-05-04 南卜电子科技(上海)有限公司 一种用于手机散热石墨片的模切装置
WO2018155162A1 (ja) * 2017-02-23 2018-08-30 株式会社村田製作所 シールド板付き電子部品及び電子部品用シールド板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57599U (ja) * 1993-01-14 1994-08-09 正和産業株式会社 短冊状割溝付基板の分割装置
JP2009182062A (ja) * 2008-01-29 2009-08-13 Maruwa Co Ltd フェライトシート複合体及びその製造方法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396452A (en) * 1965-06-02 1968-08-13 Nippon Electric Co Method and apparatus for breaking a semiconductor wafer into elementary pieces
EP0457998B1 (en) * 1990-05-25 1994-01-26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batch cleaving semiconductor wafers and for coating the cleaved facets
JP2009099646A (ja) * 2007-10-15 2009-05-07 Sumitomo Metal Electronics Devices Inc セラミック基板の分割方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57599U (ja) * 1993-01-14 1994-08-09 正和産業株式会社 短冊状割溝付基板の分割装置
JP2009182062A (ja) * 2008-01-29 2009-08-13 Maruwa Co Ltd フェライトシート複合体及びその製造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6690095B2 (ja) 2020-04-28
TWI680958B (zh) 2020-01-01
TW201628997A (zh) 2016-08-16
JPWO2016067615A1 (ja) 2017-08-10
WO2016067615A1 (ja) 2016-05-06
KR102430701B1 (ko) 2022-08-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369519B2 (ja) フェライトシート複合体及びその製造方法
US9640304B2 (en) Ceramic laminate sheet with flexibility and preparation method thereof
KR101577740B1 (ko) 굴곡성을 갖는 세라믹 적층 시트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70080612A (ko) 세라믹 복합시트의 분할장치 및 세라믹 복합시트의 제조방법
TWI686294B (zh) 陶瓷複合薄片及其製造方法
CN110098043B (zh) 一种可控的阵列式无线充电导磁片制备方法
CN106182152B (zh) 复合基板的分割方法及分割装置
KR101897178B1 (ko) 페라이트 시트 복합체 제조 방법
KR20120053221A (ko) 페라이트 시트 복합체 및 그 제조 방법
JP5086876B2 (ja) 加工対象シートのハーフカット加工方法およびフレキシブルダイ並びにロータリ加工装置
US20190030741A1 (en) Cutting device and cutting method
KR20130002237A (ko) 페라이트 시트 어셈블리 및 그 제조방법
KR101642053B1 (ko) 세라믹 그린시트 제조를 위한 압출 성형 장치, 세라믹 시트 및 이의 제조방법
TW202035086A (zh) 衝切用具及衝切方法
KR101000727B1 (ko) 접착시트 제조물 및 그 제조장치와 제조방법
KR101447533B1 (ko) 유연성 있는 세라믹 부품
WO2016067616A1 (ja) セラミック複合シートの製造方法
JP7261924B1 (ja) 立体形状積層体分離方法および立体形状積層体分離装置
KR101536307B1 (ko) 소결 시트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529980B1 (ko) 페라이트 시트의 벨트식 파쇄기
KR20130039748A (ko) 페라이트 시트 복합체 및 그 제조 방법
CN117393337A (zh) 电子部件的制造装置以及制造方法
KR101775673B1 (ko) 윈도우고정테이프조립체의 제조방법
KR101656822B1 (ko) 세라믹 시트 제조용 압출 성형 장치, 세라믹 시트,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60019300A (ko) 시트 이송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