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79920A - 차량의 주차위치 알림 시스템 - Google Patents

차량의 주차위치 알림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79920A
KR20170079920A KR1020150190974A KR20150190974A KR20170079920A KR 20170079920 A KR20170079920 A KR 20170079920A KR 1020150190974 A KR1020150190974 A KR 1020150190974A KR 20150190974 A KR20150190974 A KR 20150190974A KR 20170079920 A KR20170079920 A KR 2017007992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rking position
vehicle
photographing
unit
camer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909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종수
오세준
Original Assignee
(주)이에스브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이에스브이 filed Critical (주)이에스브이
Priority to KR102015019097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079920A/ko
Publication of KR2017007992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7992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123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indicating the position of vehicles, e.g. scheduled vehicles; Managing passenger vehicles circulating according to a fixed timetable, e.g. buses, trains, tra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5/0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 B60R25/1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actuating a signalling device
    • B60R25/102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actuating a signalling device a signal being sent to a remote location, e.g. a radio signal being transmitted to a police station, a security company or the owner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20Monitoring the location of vehicles belonging to a group, e.g. fleet of vehicles, countable or determined number of vehicles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의 주차위치 알림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차량의 엔진 구동 온(ON)/오프(OFF)를 감지하며, 상기 차량이 주차위치에 주차시 상기 차량의 엔진 구동 오프(OFF)를 감지하여 상기 주차위치의 촬영을 요청하는 감지부; 상기 차량의 내부에 카메라가 형성된 블랙박스가 구비되고, 상기 감지부의 촬영 요청에 의해 상기 블랙박스의 카메라가 작동하여 상기 주차위치를 촬영하는 촬영부; 상기 촬영부의 상기 주차위치 촬영을 제어하는 제어부; 상기 블랙박스의 카메라에서 촬영한 상기 주차위치 이미지를 근거리 무선통신이 가능한 휴대용 단말기로 전송하는 전송부; 및 상기 휴대용 단말기에 애플리케이션이 설치되어 상기 전송부에서 전송한 상기 주차위치 이미지를 상기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확인하는 확인부; 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하여 주차구역에서 차량의 시동이 꺼지면 차량에 구비된 카메라의 촬영이 작동되어 주차구역에 따른 촬영된 주차위치 이미지를 무선통신이 가능한 운전자의 휴대용 단말기로 자동으로 전송되므로, 운전자가 주차위치를 별도로 기억하거나 메모할 필요가 없어 운전자에게 편리성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촬영된 주차위치 이미지가 블루투스(Bluetooth) 통신 모듈과 와이-파이(Wi-Fi) 통신 모듈 등의 근거리 무선통신 모듈을 이용하여 전송이 가능하므로, 문자, 카카오톡과 같은 데이터통신망을 사용하지 않는 효과도 있다.

Description

차량의 주차위치 알림 시스템{CAR PARKING POSITION NOTIFICATION SYSTEM}
본 발명은 차량의 주차위치 알림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주차구역에서 차량의 시동이 꺼지면 차량에 구비된 카메라의 촬영이 작동되어 주차구역에 따른 촬영된 주차위치 이미지를 무선통신이 가능한 운전자의 휴대용 단말기로 자동으로 전송되므로, 운전자가 주차위치를 별도로 기억하거나 메모할 필요가 없어 운전자에게 편리성을 제공할 수 있는 차량의 주차위치 알림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백화점, 쇼핑센터, 공연장, 경기장, 아파트 단지 등 많은 차량이 몰려드는 장소에는 대형 주차장을 갖추고 있다.
대형 주차장의 경우에 그 장소가 넓고, 구조가 유사한 것으로, 이를 테면, 차량의 주차위치가 "B3(지하 3층) A-31"과 같은 복잡하게 표시된 주차위치정보를 운전자가 찾기가 어렵다.
이에, 운전자는 차량의 주차위치정보를 기억하거나 메모지에 메모하는 것으로, 차량의 주차위치를 정확하게 알 수 있다.
그러나, 복잡하게 표시된 차량의 주차위치를 기억에만 의존하는 부정확성 내지 메모 수단을 구비해야 하는 불편함을 수반할 뿐만 아니라 메모 수단 중 메모한 메모지가 찢어지거나 분실하면 차량의 주차위치를 찾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아울러, 위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GPS(Global Positioning System)를 이용하여 차량의 주차위치를 찾는 기술이 개발되었으나, GPS와 같은 별도의 장비를 구비해야 하는 설비 비용이 필요로 하고, 사용자의 조작에 따른 불편함이 가중되는 문제점도 있다.
관련 선행기술로는 등록특허공보 제10-1042360호(발명의 명칭: 핫코드를 이용한 주차위치 확인 시스템 및 그 방법, 등록일자: 2011년 06월 10일) 및 등록특허공보 제10-0781698호(발명의 명칭: 주차위치 제공 시스템과 그 방법, 등록일자: 2007년 11월 27일)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 주차구역에서 차량의 시동이 꺼지면 차량에 구비된 카메라의 촬영이 작동되어 주차구역에 따른 촬영된 주차위치 이미지를 무선통신이 가능한 운전자의 휴대용 단말기로 자동으로 전송되므로, 운전자가 주차위치를 별도로 기억하거나 메모할 필요가 없어 운전자에게 편리성을 제공할 수 있는 차량의 주차위치 알림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본 발명의 특징을 통해 이해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실시 예를 통해 보다 분명하게 알 수 있고,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난 수단 및 조합에 의해 실현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아래와 같은 기술적 특징을 갖는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주차위치 알림 시스템은, 차량의 엔진 구동 온(ON)/오프(OFF)를 감지하며, 상기 차량이 주차위치에 주차시 상기 차량의 엔진 구동 오프(OFF)를 감지하여 상기 주차위치의 촬영을 요청하는 감지부; 상기 차량의 내부에 카메라가 형성된 블랙박스가 구비되고, 상기 감지부의 촬영 요청에 의해 상기 블랙박스의 카메라가 작동하여 상기 주차위치를 촬영하는 촬영부; 상기 촬영부의 상기 주차위치 촬영을 제어하는 제어부; 상기 블랙박스의 카메라에서 촬영한 상기 주차위치 이미지를 근거리 무선통신이 가능한 휴대용 단말기로 전송하는 전송부; 및 상기 휴대용 단말기에 애플리케이션이 설치되어 상기 전송부에서 전송한 상기 주차위치 이미지를 상기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확인하는 확인부; 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주차위치 알림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촬영부는 상기 블랙박스에 형성된 상기 카메라를 이용하여 상기 차량의 전방주변을 촬영하고, 상기 블랙박스에 연계되어 상기 차량의 후방에 카메라가 형성되어 상기 차량의 후방주변을 촬영한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주차위치 알림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촬영부는 상기 차량의 좌측과 우측사이드미러에 각각 형성된 카메라를 이용하여 상기 차량의 좌측주변과 우측주변을 각각 촬영한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주차위치 알림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주차위치를 촬영하는 상기 촬영부의 촬영컷 수를 제어가 가능하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주차위치 알림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전송부는 상기 휴대용 단말기와 근거리 무선통신이 가능하되, 블루투스(Bluetooth) 통신과 와이-파이(Wi-Fi) 통신 중 어느 하나를 이용하여 가능하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과제의 해결 수단을 통해 주차구역에서 차량의 시동이 꺼지면 차량에 구비된 카메라의 촬영이 작동되어 주차구역에 따른 촬영된 주차위치 이미지를 무선통신이 가능한 운전자의 휴대용 단말기로 자동으로 전송되므로, 운전자가 주차위치를 별도로 기억하거나 메모할 필요가 없어 운전자에게 편리성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촬영된 주차위치 이미지가 블루투스(Bluetooth) 통신 모듈과 와이-파이(Wi-Fi) 통신 모듈 등의 근거리 무선통신 모듈을 이용하여 전송이 가능하므로, 문자, 카카오톡과 같은 데이터통신망을 사용하지 않는다.
본 발명의 다른 효과는 본 발명의 특징을 통해 이해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실시 예를 통해 보다 분명하게 알 수 있고,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난 수단 및 조합에 의해 발휘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주차위치 알림 시스템의 일 실시예의 블록도,
도 2는 도 1에 따른 차량에 형성된 복수개의 카메라가 제어부에 의해 촬영이 제어되는 도면,
도 3은 도 1에 따른 제어부에 의해 촬영부의 촬영이 제어되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후술하는 본 발명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특정 실시예를 예시로서 도시하는 첨부 도면을 참조한다. 이들 실시 예는 당업자가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기에 충분하도록 상세히 설명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는 서로 다르지만 상호 배타적일 필요는 없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여기에 기재되어 있는 특정 형상, 구조 및 특성은 일 실시 예에 관련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른 실시 예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개시된 실시 예 내의 개별 구성요소의 위치 또는 배치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변경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후술하는 상세한 설명은 한정적인 의미로서 취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는 그 청구항들이 주장하는 것과 균등한 모든 범위와 더불어 첨부된 청구항에 의해서만 한정된다.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부호는 여러 측면에서 걸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을 지칭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주차위치 알림 시스템의 일 실시예의 블록도이고, 도 2는 도 1에 따른 차량에 형성된 복수개의 카메라가 제어부에 의해 촬영이 제어되는 도면이며, 도 3은 도 1에 따른 제어부에 의해 촬영부의 촬영이 제어되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주차위치 알림 시스템(100)은,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감지부(110), 촬영부(120), 제어부(130), 전송부(140), 확인부(15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감지부(110)는 차량(10)의 엔진 구동 온(ON)/오프(OFF)를 감지하며, 차량(10)이 주차위치에 주차시 차량(10)의 엔진 구동 오프(OFF)를 감지하여 주차위치의 촬영을 요청한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감지부(110)는 차량(10)의 엔진에 연결되어 차량(10)의 엔진 구동 온(ON)/오프(OFF)를 감지하여 차량의 엔진 구동 오프(OFF) 즉, 시동의 꺼짐을 감지할 시 아래에서 설명하게 되는 촬영부(120)에 주차위치에 따른 촬영을 요청한다.
주차를 인식하는 방법으로, 감지부(110)는 충격을 감지하는 충격감지센서로 이루어져 차량(10)의 엔진 구동 온(ON) 즉, 시동의 켜짐으로부터 전달되는 충격을 감지하여 차량(10)이 현재 운행 중으로 인식되고, 반대로 차량(10)의 엔진 구동이 온(ON, 켜짐)에서 오프(OFF, 꺼짐)로 전환하면 전달되는 충격을 감지할 수 없으므로, 차량(10)이 현재 주차로 인식된다.
다른 주차를 인식하는 방법으로, 감지부(110)는 차량(10)으로부터 전원을 공급받는데, 차량(10)의 엔진 구동이 온(ON)에서 오프(OFF)로 전환되면 공급되는 전원의 양이 바뀔 수 있는데, 이를 이용하여 차량(10)이 현재 주차로 인식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감지부(110)는 충격감지센서나 공급되는 전원을 통해 차량(10)의 주차를 인식하는 것으로 예시하고 있으나, 차량(10)의 변속 레버가 주차 모드인 P단인 경우 주차상황으로 인식되는 등의 다른 방법으로도 바뀔 수 있다.
촬영부(120)는 차량(10)의 내부에 카메라(11a)가 형성된 블랙박스(20)가 구비되고, 감지부(110)의 촬영 요청에 의해 블랙박스(20)의 카메라(11a)가 작동하여 주차위치를 촬영한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촬영부(120)는 감지부(110)에서 현재 차량(10)의 주차위치에 따른 촬영을 요청받아 블랙박스(20)에 형성된 카메라(11a)를 작동하여 주차장 기둥에 주차위치에 표시되는 문자, 숫자, 기호 중 어느 하나 또는 이들 조합을 촬영한다.
예를 들어, 촬영부(120)가 촬영한 주차위치 이미지에서 주차장 기둥의 둘레에 표시된 B₄63은 현재 차량(10)의 주차위치를 알리는 정보로 B구역 지하 4층 63을 알린다.
촬영부(120)는 블랙박스(20)에 형성된 카메라(11a)를 이용하여 차량(10)의 전방주변을 촬영하고, 블랙박스(20)에 연계되어 차량(10)의 후방에 카메라(11b)가 형성되어 차량(10)의 후방주변을 촬영한다.
차량(10)의 후방주변을 촬영하도록 차량(10)에 형성된 카메라(11b)는 차량(10)의 번호판 위 또는 차량(10)의 후방유리에 거치형으로 형성된다.
촬영부(120)는 차량(10)의 좌측(12a)과 우측사이드미러(12b)에 각각 형성된 카메라(11c, 11d)를 이용하여 차량(10)의 좌측주변과 우측주변을 각각 촬영한다.
복수개의 카메라(11a, 11b, 11c, 11d)를 촬영하는 촬영부(120)는 아래에서 설명하게 되는 제어부(130)에 의해 촬영 작동이 각각 제어되는데, 이를 테면, 차량(10)의 전방주변에 SUV와 같은 장애물이 위치하여 시야확보가 안되는 경우 전방주변을 촬영하는 전방카메라(11a)를 제외한 다른 주변을 촬영하는 카메라(11b, 11c, 11d)를 작동한다. 이로 인해, 운전자는 정확하게 차량(10)의 주차위치를 확인할 수 있다.
전방주변을 촬영하는 카메라(11a)가 형성된 블랙박스(20)는 차량(10)의 앞유리에 거치형으로 형성되어 차량(10)의 내부와 외부를 촬영한 영상을 녹화하여 주행, 주차 중에 생기는 차량사고에 대한 중요한 증거로 사용된다.
블랙박스(20)는 블랙박스(20)의 일면에 형성된 카메라(11a)에 대응되는 타면에 화면이 형성되어 촬영한 영상을 확인이 가능하다.
블랙박스(20)는 카메라(11a)와 화면을 포함하여 촬영한 영상을 저장하는 메모리가 구비된다.
블랙박스(20)는 차량(10)의 주차상황으로 촬영된 영상을 운전자의 휴대용 단말기(30)로 전송하는데, 이를 위해 메모리에 주차영상이 임시적으로 저장된다.
제어부(130)는 촬영부(120)의 주차위치 촬영을 제어한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제어부(130)는 차량(10)에 형성된 복수개의 카메라(11a, 11b, 11c, 11d) 촬영을 제어하는 것으로, 복수개의 카메라(11a, 11b, 11c, 11d) 중에서 적어도 2개 이상의 카메라를 촬영토록 한다.
복수개의 카메라(11a, 11b, 11c, 11d) 중에서 1개의 카메라를 이용하여 촬영할 경우 SUV와 같은 장애물에 가려져 주차 구역을 정확하게 촬영하지 못하는 경우가 있다.
이에 제어부(130)는 주차위치를 정확하게 촬영을 하지 못하는 카메라를 포함한 다른 카메라도 촬영토록 하여 주차위치를 정확하게 촬영하여 주차위치의 촬영에 따른 성공확률을 향상시킨다.
예를 들어, 블랙박스(20)에 형성되어 차량(10)의 전방주변을 촬영하는 카메라(11a)와 차량(10)의 우측주변을 촬영하는 카메라(11d)는 제어부(130)에 의해 동시에 촬영된다.
차량(10)의 전방주변을 촬영하는 카메라(11a)는 장애물에 가려져 주차위치를 정확하게 촬영하지 못하는 반면에 차량(10)의 우측주변을 촬영하는 카메라(11d)는 장애물에 가려지지 않아 주차위치를 정확하게 촬영이 가능하다.
제어부(130)는 주차위치를 촬영하는 촬영부(120)의 촬영컷 수를 제어가 가능하다.
촬영부(120)에 촬영된 주차위치 이미지 중에서 흐릿하거나 뿌옇게 되는 등의 주차위치가 육안으로 선명하지 않는 이미지가 포함되어 있다.
제어부(130)는 운전자의 휴대용 단말기(30)에 촬영된 여러장의 주차위치 이미지를 전송하여 선택적으로 선명한 주차위치 이미지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은 제어부(130)에 의해 촬영컷의 수를 제어하여 선택적으로 선명한 주차위치 이미지를 확인할 수 있는 것으로 예시하고 있으나, 선명한 주차위치 이미지를 확인할 수 있는 것이라면 제어부(130)에 의해 촬영시간을 제어할 수도 있다.
전송부(140)는 블랙박스(20)의 카메라(11a)에서 촬영한 주차위치 이미지를 근거리 무선통신이 가능한 휴대용 단말기(30)로 전송한다.
전송부(140)는 휴대용 단말기(30)와 근거리 무선통신이 가능한 것으로, 블루투스(Bluetooth) 통신과 와이-파이(Wi-Fi) 통신 중 어느 하나를 이용하여 근거리 무선통신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전송부(140)는 블루투스(Bluetooth) 통신과 와이-파이(Wi-Fi) 통신 등의 근거리 무선통신 모듈을 이용하여 전송이 가능하므로, 문자, 카카오톡과 같은 데이터통신망을 사용하지 않는다.
전송부(140)가 블루투스(Bluetooth) 통신을 이용하는 경우, 전송부(140)와 휴대용 단말기(30)간에는 서로 블루투스 통신을 통해 한쪽이 마스터 또는 슬레이브가 되는 방식으로 연결되어 무선통신한다.
통상적으로 블루투스는 짧게는 10m, 길게는 100m 내지 1km까지 무선통신이 가능하다.
전송부(140)가 와이-파이(Wi-Fi) 통신을 이용하는 경우, AP(Access Point)에 의해 서로 통신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휴대용 단말기(30)가 핫스핏(Hot spot) 기능에 의해 AP가 되고, 블랙박스(20)에서 휴대용 단말기(30)에 접속하는 방식이 연결되어 무선통신한다.
확인부(150)는 휴대용 단말기(30)에 애플리케이션이 설치되어 전송부(140)에서 전송한 주차위치 이미지를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확인한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확인부(150)는 전송부(140)로부터 전송되는 주차위치 이미지를 용이하게 확인하기 위해 애플리케이션이 설치된 휴대용 단말기(30)로 전송되어 휴대용 단말기(30)에 구비된 화면에 영상으로 출력되어 운전자가 차량(10)의 주차위치를 확인한다.
애플리케이션은 일반적으로 응용프로그램으로, 특정한 업무를 수행하기 위해 고안된 일련의 컴퓨터 프로그램 집합을 말한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 예에 의거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고, 청구항에 기재된 범위 내에서 변형이나 변경 실시가 가능함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백한 것이며, 그러한 변형이나 변경은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할 것이다.
100 : 차량의 주차위치 알림 시스템
110 : 감지부
120 : 촬영부
130 : 제어부
140 : 전송부
150 : 확인부
10 : 차량
11 : 카메라
12 : 사이드미러
20 : 블랙박스
30 : 휴대용 단말기

Claims (5)

  1. 차량의 엔진 구동 온(ON)/오프(OFF)를 감지하며, 상기 차량이 주차위치에 주차시 상기 차량의 엔진 구동 오프(OFF)를 감지하여 상기 주차위치의 촬영을 요청하는 감지부;
    상기 차량의 내부에 카메라가 형성된 블랙박스가 구비되고, 상기 감지부의 촬영 요청에 의해 상기 블랙박스의 카메라가 작동하여 상기 주차위치를 촬영하는 촬영부;
    상기 촬영부의 상기 주차위치 촬영을 제어하는 제어부;
    상기 블랙박스의 카메라에서 촬영한 상기 주차위치 이미지를 근거리 무선통신이 가능한 휴대용 단말기로 전송하는 전송부; 및
    상기 휴대용 단말기에 애플리케이션이 설치되어 상기 전송부에서 전송한 상기 주차위치 이미지를 상기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확인하는 확인부; 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주차위치 알림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촬영부는 상기 블랙박스에 형성된 상기 카메라를 이용하여 상기 차량의 전방주변을 촬영하고, 상기 블랙박스에 연계되어 상기 차량의 후방에 카메라가 형성되어 상기 차량의 후방주변을 촬영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주차위치 알림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촬영부는 상기 차량의 좌측과 우측사이드미러에 각각 형성된 카메라를 이용하여 상기 차량의 좌측주변과 우측주변을 각각 촬영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주차위치 알림 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주차위치를 촬영하는 상기 촬영부의 촬영컷 수를 제어가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주차위치 알림 시스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송부는 상기 휴대용 단말기와 근거리 무선통신이 가능하되, 블루투스(Bluetooth) 통신과 와이-파이(Wi-Fi) 통신 중 어느 하나를 이용하여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주차위치 알림 시스템.
KR1020150190974A 2015-12-31 2015-12-31 차량의 주차위치 알림 시스템 KR2017007992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90974A KR20170079920A (ko) 2015-12-31 2015-12-31 차량의 주차위치 알림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90974A KR20170079920A (ko) 2015-12-31 2015-12-31 차량의 주차위치 알림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79920A true KR20170079920A (ko) 2017-07-10

Family

ID=593563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90974A KR20170079920A (ko) 2015-12-31 2015-12-31 차량의 주차위치 알림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70079920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17112A (ko) * 2018-04-06 2019-10-16 이가원 주차 위치 확인 시스템 및 방법
KR20200142700A (ko) * 2019-06-13 2020-12-23 주식회사 가린시스템 차량의 주차위치 안내 시스템 및 방법
KR20220135319A (ko) 2021-03-30 2022-10-07 쌍용자동차 주식회사 스마트폰과 연계된 다중이용시설 주차위치 경로안내시스템 및 방법
WO2023132440A1 (ko) * 2022-01-07 2023-07-13 주식회사 이엠비 주차위치 알림 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17112A (ko) * 2018-04-06 2019-10-16 이가원 주차 위치 확인 시스템 및 방법
KR20200142700A (ko) * 2019-06-13 2020-12-23 주식회사 가린시스템 차량의 주차위치 안내 시스템 및 방법
KR20220135319A (ko) 2021-03-30 2022-10-07 쌍용자동차 주식회사 스마트폰과 연계된 다중이용시설 주차위치 경로안내시스템 및 방법
WO2023132440A1 (ko) * 2022-01-07 2023-07-13 주식회사 이엠비 주차위치 알림 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0023148B (zh) 终端、以及终端的控制方法
CN108216214B (zh) 自动泊车辅助装置以及使用该装置的辅助停放的方法
WO2016140192A1 (ja) 車両用表示制御装置および車両用表示装置
JP6213567B2 (ja) 予測進路提示装置及び予測進路提示方法
JP6429892B2 (ja) 車載表示手段上にオブジェクトを表示するための方法、並びに、装置
JP4792948B2 (ja) 車車間通信システム
JP7233426B2 (ja) 駐車支援システム及び駐車支援装置
JP5024121B2 (ja) カメラコントロール装置及び撮影システム
KR20170079920A (ko) 차량의 주차위치 알림 시스템
JP4772409B2 (ja) 画像表示システム
CN110293962B (zh) 基于全景影像的自动泊车车位显示方法及系统
CN105564343B (zh) 用于连接移动照相机装置的装置和方法
US20150015709A1 (en) Monitoring a parking permit of a motor vehicle
CN106169258A (zh) 用于辅助车辆操纵过程的方法和装置
JP7060418B2 (ja) 車両遠隔操作装置及び車両遠隔操作方法
JP2005136561A (ja) 車両周辺画像表示装置
JP4802686B2 (ja) 車車間通信システム
JP2009284386A (ja) 車両用駐車支援装置
WO2019172333A1 (ja) 駐車支援装置
US20210197800A1 (en) In-vehicle processing apparatus and in-vehicle processing system
JP6852564B2 (ja) 駐車制御方法及び駐車制御装置
JP5720400B2 (ja) 画像処理装置及び画像処理方法
WO2018047393A1 (ja) 映像出力システム
CN115113562A (zh) 远程挪车的控制方法及远程挪车系统
JP4725310B2 (ja) 車車間通信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