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78985A - 유기발광 표시장치 - Google Patents

유기발광 표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78985A
KR20170078985A KR1020150189011A KR20150189011A KR20170078985A KR 20170078985 A KR20170078985 A KR 20170078985A KR 1020150189011 A KR1020150189011 A KR 1020150189011A KR 20150189011 A KR20150189011 A KR 20150189011A KR 20170078985 A KR20170078985 A KR 2017007898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ne
power supply
disposed
supply line
active lay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890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68366B1 (ko
Inventor
이정화
신민재
Original Assignee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18901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68366B1/ko
Priority to US15/210,386 priority patent/US9859496B2/en
Priority to CN201610921556.3A priority patent/CN106952933B/zh
Publication of KR201700789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78985A/ko
Priority to US15/824,084 priority patent/US9929344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6836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6836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71/00Manufacture or treatment specially adapted for the organic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 H10K71/70Testing, e.g. accelerated lifetime tests
    • H01L27/3276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2/00Testing or measuring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Reliability measurements, i.e. testing of parts without further processing to modify the parts as such; Structural arrangements therefor
    • H01L22/30Structural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testing or measuring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r specially adapted for reliability measurements
    • H01L22/32Additional lead-in metallisation on a device or substrate, e.g. additional pads or pad portions, lines in the scribe line, sacrificed conduct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2/00Testing or measuring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Reliability measurements, i.e. testing of parts without further processing to modify the parts as such; Structural arrangements therefor
    • H01L22/30Structural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testing or measuring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r specially adapted for reliability measurements
    • H01L22/34Circuits for electrically characterising or monitoring manufacturing processes, e. g. whole test die, wafers filled with test structures, on-board-devices incorporated on each die, process control monitors or pad structures thereof, devices in scribe line
    • H01L27/3258
    • H01L27/3262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10OLED displays
    • H10K59/12Active-matrix OLED [AMOLED] displays
    • H10K59/131Interconnections, e.g. wiring lines or terminal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71/00Manufacture or treatment specially adapted for the organic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20/00Control of display operating conditions
    • G09G2320/02Improving the quality of display appearance
    • G09G2320/0209Crosstalk reduction, i.e. to reduce direct or indirect influences of signals directed to a certain pixel of the displayed image on other pixels of said image, inclusive of influences affecting pixels in different frames or fields or sub-images which constitute a same image, e.g. left and right images of a stereoscopic display
    • G09G2320/0214Crosstalk reduction, i.e. to reduce direct or indirect influences of signals directed to a certain pixel of the displayed image on other pixels of said image, inclusive of influences affecting pixels in different frames or fields or sub-images which constitute a same image, e.g. left and right images of a stereoscopic display with crosstalk due to leakage current of pixel switch in active matrix panels
    • H01L2227/32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2102/00Constructional details relating to the organic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 H10K2102/301Details of OLEDs
    • H10K2102/341Short-circuit prevention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10OLED displays
    • H10K59/12Active-matrix OLED [AMOLED] displays
    • H10K59/1201Manufacture or treatment

Abstract

본 실시예들은 쇼트방지소자 및 유기발광 표시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패드영역에 배치되는 제 1 신호라인과, 비 표시영역에서 제 1 신호라인과 동일층에서 이격하도록 배치되는 제 2 신호라인과, 제 1 신호라인 및 제 2 신호라인에 모두 접촉하도록 배치되는 액티브층과, 액티브층의 상부 또는 하부에 배치되는 연장라인을 포함하는 구조를 갖는다. 이를 통해, 패드영역에서 이물로 인해 신호 라인 간의 단락(Short)이 발생하거나, 신호 라인을 통한 원치 않는 누설전류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해줄 수 있다.

Description

유기발광 표시장치{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Device}
본 실시예들은 유기발광 표시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패드영역에서 배선간의 쇼트(short)를 방지할 수 있는 유기발광 표시장치에 관한 것이다.
정보화 사회로 발전함에 따라 화상을 표시하기 위한 표시장치에 대한 요구가 다양한 형태로 증가하고 있으며, 근래에는 액정표시 장치(LCD :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플라즈마표시 장치(PDP : plasma display panel device), 유기발광 표시장치(OLED :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device)와 같은 여러 가지 평판표시장치(flat panel display device)가 활용되고 있다.
이와 같은 표시장치 중, 유기발광 표시장치는 자발광소자를 이용함으로써, 비발광소자를 사용하는 액정표시장치에 사용되는 백라이트가 필요하지 않기 때문에 경량, 박형이 가능하다. 또한, 유기발광 표시장치는 액정표시장치에 비해 시야각 및 대조비가 우수하며, 소비전력 측면에서도 유리하다. 이와 더불어, 유기발광 표시장치는 직류저전압 구동이 가능하고, 응답속도가 빠르며, 내부 구성요소가 고체이기 때문에 외부충격에 강하고, 사용 온도범위도 넓으며, 특히 제조비용 측면에서도 저렴한 장점을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다수의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의 패널들은 하나의 모기판 상에 형성된 후 절단(scribing)되어 각각의 패널들로 분리된다. 그리고, 각각의 패널들의 라인 쇼트(short), 단선 등과 같은 라인 불량과, TFT의 불량 등을 검출하기 위한 신호 검사를 수행하게 된다.
이를 위해, 패드영역에 배치되는 복수의 라인들을 전도성 물질로 이루어지는 쇼팅바에 연결한다. 쇼팅바를 통해 복수의 라인들에 신호를 인가하여 패널 전체 화소의 TFT가 정상적으로 구동되는지 검사한다. TFT 어레이의 신호 검사가 완료된 후, 스크라이빙 라인을 따라 기판을 절단한다.
이 때, 패드영역에 형성된 쇼팅바를 제거하는 절단 공정에서 발생되는 이물 또는 수분으로 인해 라인들 사이의 쇼트 및 누설전류(leakage current)가 발생하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이를 해결할 수 있는 방안이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본 실시예들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패드영역에서 기판 절단으로 인해 발생한 이물로 인해 라인 사이의 쇼트 및 누설전류가 발생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이는 유기발광 표시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실시예들에 따른 유기발광 표시장치는 기판의 패드영역 상에 배치되는 복수의 데이터라인, 데이터라인과 평행하게 배치되는 전원공급라인 및 기준전원라인을 포함한다.
그리고, 패드영역에는 복수의 데이터라인과 전원공급라인 또는 기준전원라인 중 적어도 1 개의 라인과 중첩하는 연장라인이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패드영역에서 연장라인 상에 배치되는 액티브층을 더 포함하고, 액티브층은 복수의 데이터라인, 전원공급라인 또는 기준전원라인 중 적어도 1 개의 라인과 중첩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들에 따른 유기발광 표시장치는 패드영역에 배치되고 동일층에서 서로 이격하여 배치되는 제 1 및 제 2 신호라인과 모두 접촉하는 액티브층을 포함할 수 있다.
더불어, 액티브층 상부 및 하부에 배치되는 연장라인을 구비할 수 있다.
본 실시예들에 따른 유기발광 표시장치는 패드영역에 적어도 1 개의 박막 트랜지스터가 배치되고, 박막 트랜지스터는 복수의 데이터라인, 전원공급라인 또는 기준전원라인 중 적어도 1 개의 라인을 구비하도록 구성됨으로써, 이물로 인해 라인들 사이의 쇼트 및 누설전류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실시예들에 따른 유기발광 표시장치는 패드영역에 배치되는 박막 트랜지스터가 기준전원라인을 구성요소로 구비함으로써, 이물로 인해 센싱 오류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실시예들이 적용되는 표시장치의 모기판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2는 1 개의 표시패널 및 표시패널을 둘러싸도록 배치되는 쇼팅바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3은 본 실시예들에 따른 표시장치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4는 도 2의 X 영역을 확대한 도면이다.
도 5는 도 4의 스크라이빙 라인을 따라 쇼팅바를 제거한 후 패드영역의 일부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6은 도 5를 A-B를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7은 비교예에 따른 유기발광 표시장치의 패드영역의 일부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8은 제 2 실시예에 따른 표시패널의 패드영역에서 복수의 쇼팅바와 복수의 라인들이 연결된 구조의 일부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9는 도 8의 스크라이빙 라인을 따라 쇼팅바를 제거한 후 패드영역의 일부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10은 도 9를 C-D를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이하, 본 실시예들은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다음에 소개되는 실시예들은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예로서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하 설명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상으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그리고 도면들에 있어서, 장치의 크기 및 두께 등은 편의를 위하여 과장되어 표현될 수도 있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서 동일한 참조번호들은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상으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요소를 지칭한다. 도면에서 층 및 영역들의 크기 및 상대적인 크기는 설명의 명료성을 위해 과장될 수 있다.
소자(element) 또는 층이 다른 소자 또는 "위(on)" 또는 "상(on)"으로 지칭되는 것은 다른 소자 또는 층의 바로 위뿐만 아니라 중간에 다른 층 또는 다른 소자를 개재한 경우를 모두 포함한다. 반면, 소자가 "직접 위(directly on)" 또는 "바로 위"로 지칭되는 것은 중간에 다른 소자 또는 층을 개재하지 않는 것을 나타낸다.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인 "아래(below, beneath)", "하부 (lower)", "위(above)", "상부(upper)" 등은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하나의 소자 또는 구성 요소들과 다른 소자 또는 구성 요소들과의 상관관계를 용이하게 기술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는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방향에 더하여 사용시 또는 동작 시 소자의 서로 다른 방향을 포함하는 용어로 이해 되어야 한다. 예를 들면,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소자를 뒤집을 경우, 다른 소자의 "아래(below)" 또는 "아래(beneath)"로 기술된 소자는 다른 소자의 "위(above)"에 놓여질 수 있다. 따라서, 예시적인 용어인 "아래"는 아래와 위의 방향을 모두 포함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 차례, 순서 또는 개수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도 1은 본 실시예들이 적용되는 표시장치의 모기판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들에 의한 표시장치의 모기판(10)은 매트릭스 타입으로 배열되는 복수의 표시패널(1000)과 복수의 패널들(1000)로 검사신호를 공급하는 복수의 배선을 전기적으로 연결시키는 쇼팅바(150)를 포함한다.
자세하게는, 모기판(10) 상에 서로 이격하도록 표시패널(1000) 영역이 지정될 수 있다. 모기판(10) 상에는 서로 인접하도록 배치되는 표시패널(1000) 사이에 이격공간(600)이 발생할 수 있다.
각각의 표시패널(1000)에 TFT 어레이를 제조한 후, 라인들의 쇼트, 단선 등과 같은 라인 불량과 TFT 불량들을 검출하기 위한 신호 검사를 수행한다. 이를 위해, 복수의 배선들을 전기적으로 연결시키는 쇼팅바(150)를 각각의 표시패널(1000)의 패드영역에 배치한다.
쇼팅바(150)를 통해 복수의 데이터라인에 구동 전류를 인가하고, 기준전원라인에 기준전압을 인가하여 전체 화소(pixel)의 TFT가 정상적으로 구동되는지를 검사한다. 그리고, TFT 어레이의 신호 검사가 완료된 후, 스크라이빙 라인(500)을 따라 에지 그라인딩(edge grinding)하여 절단한다. 이와 같은 과정으로 모기판(10)으로부터 각각의 표시패널(1000)을 제조할 수 있다.
1 개의 표시패널(1000) 및 표시패널(1000)을 둘러싸도록 배치되는 쇼팅바(150)를 구체적으로 검토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1 개의 표시패널 및 표시패널을 둘러싸도록 배치되는 쇼팅바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1 개의 표시패널(1000)의 외곽에는 쇼팅바(150)가 배치될 수 있다. 쇼팅바(150)는 1 개의 표시패널(1000)을 둘러싸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 때, 복수의 데이터라인(120), 복수의 기준전원라인(미도시) 및 복수의 게이트라인(130)은 각각 쇼팅바(150)에 연결될 수 있다. 복수의 데이터라인(120), 복수의 기준전원라인(미도시) 등과 연결되는 쇼팅바(150) 및 복수의 게이트라인(130)과 연결되는 쇼팅바(150)는 서로 분리되어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쇼팅바(150)를 통해 신호라인을 독립적으로 검사할 수 있다. 도 2 에서는 복수의 데이터라인(120), 복수의 기준전원라인(미도시) 등과 연결되는 쇼팅바(150) 및 복수의 게이트라인(130)과 연결되는 쇼팅바(150)가 서로 분리되는 구성을 개시하고 있으나, 본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가 이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다.
자세하게는, 복수의 데이터라인(120)과 복수의 기준전원라인(미도시)은 서로 평행하게 배치될 수 있으며, 복수의 데이터라인(120) 및 기준전원라인(미도시)은 평면도 상에서 표시패널(1000) 상부 및 하부에 배치되는 쇼팅바(150)에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복수의 게이트라인(130)은 복수의 데이터라인(120) 및 복수의 기준전원라인(미도시)과 교차하도록 배치될 수 있으며, 복수의 게이트라인(130)은 평면도 상에서 표시패널(1000) 우측 및 좌측에 배치되는 쇼팅바(150)에 연결될 수 있다.
한편, 1 개의 표시패널(1000)을 둘러싸도록 배치되는 4 개의 쇼팅바(150) 사이는 도전성이 없어야 하기 때문에 쇼팅바(150) 사이의 저항을 측정하여 불량한 패널을 찾아낼 수 있다. 그리고, 패널 검사 후 쇼팅바(150)와 표시패널(1000) 사이의 영역의 스크라이빙 라인(500)을 따라 절단하여 쇼팅바(150)를 제거한다.
한편, 본 실시예들이 적용되는 표시패널(1000)을 포함하는 표시장치는 도 3 과 같이 이루어질 수 있다. 도 3은 본 실시예들에 따른 표시장치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들에 따른 표시장치(1100)는 복수의 데이터라인(120) 및 복수의 게이트라인(130)이 배치되고, 복수의 서브화소(SP)가 배치된 표시패널(1000), 복수의 데이터라인(120)을 구동하는 데이터 드라이버(1200), 복수의 게이트라인(130)을 구동하는 게이트 드라이버(1300), 데이터 드라이버(1200) 및 게이트 드라이버(1300)를 제어하는 타이밍 컨트롤러(1400) 등을 포함한다.
한편, 도 3에 도시된 복수의 데이터라인(120) 및 복수의 게이트라인(130) 각각은 도 2에서 개시하고 있는 쇼팅바(150)와 연결된 복수의 데이터라인(130) 및 복수의 데이터라인(130)으로부터 연장되는 구성일 수 있다.
데이터 드라이버(1200)는 복수의 데이터라인(120)으로 데이터 전압을 공급함으로써 복수의 데이터라인(120)을 구동한다. 그리고, 게이트 드라이버(1300)는 복수의 게이트라인(130)으로 스캔 신호를 순차적으로 공급함으로써, 복수의 게이트라인(130)을 순차적으로 구동한다.
또한, 타이밍 컨트롤러(1400)는 데이터 드라이버(1200) 및 게이트 드라이버(1300)로 제어신호를 공급함으로써 데이터 드라이버(1200) 및 게이트 드라이버(1300)를 제어한다. 이러한 타이밍 컨트롤러(1400)는 각 프레임에서 구현하는 타이밍에 따라 스캔을 시작하고, 외부에서 입력되는 입력 영상 데이터를 데이터 드라이버(1200)에서 사용하는 데이터 신호 형식에 맞게 전환하여 전환된 영상 데이터를 출력하고, 스캔에 맞춰 적당한 시간에 데이터 구동을 통제한다.
게이트 드라이버(1300)는 타이밍 컨트롤러(1400)의 제어에 따라 온(On) 전압 또는 오프(OFF) 전압의 스캔 신호를 복수의 게이트라인(130)으로 순차적으로 공급하여 복수의 게이트라인(130)을 순차적으로 구동한다. 또한, 게이트 드라이버(1300)는 구동 방식이나 표시패널 설계 방식 등에 따라서, 도 1에서와 같이, 표시패널(1000)의 일 측에만 위치할 수도 있고, 경우에 따라서는 양측에 위치할 수도 있다.
또한, 게이트 드라이버(1300)는 하나 이상의 게이트 드라이버 집적회로(Gate Driver Integrated Circuit)를 포함할 수 있다. 각 게이트 드라이버 집적회로는 테이프 오토메티드 본딩(TAB: Tape Automated Bonding) 방식 또는 칩 온 글래스(COG) 방식으로 표시패널(1100)의 본딩 패드(Bonding Pad)에 연결되거나, GIP(Gate In Panel) 타입으로 구현되어 표시패널(1100)에 직접 배치될 수도 있으며, 경우에 따라서 표시패널(1100)에 집적화되어 배치될 수도 있다.
또한, 각 게이트 드라이버 집적회로는, 칩 온 필름(COF: Chip On Film)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다. 이 경우, 각 게이트 드라이버 집적회로에 해당하는 게이트 구동 칩은 연성 필름에 실장되고, 연성 필름의 일 단이 표시패널(1100)에 본딩될 수 있다.
데이터 드라이버(1200)는 특정 게이트라인(130)이 열리면 상기 타이밍 컨트롤러(1400)로부터 수신한 영상 데이터를 아날로그 형태의 데이터 전압으로 변환하여 복수의 데이터라인으로 공급함으로써, 복수의 데이터라인(120)을 구동한다. 그리고, 데이터 드라이버(1200)는 적어도 하나의 소스 드라이버 집적회로(Source Driver Integrated Circuit)를 포함하여 복수의 데이터라인(120)을 구동할 수 있다.
각 소스 드라이버 집적회로는 테이프 오토메티드 본딩(TAB: Tape Automated Bonding) 방식 또는 칩 온 글래스(COG) 방식으로 표시패널(1100)의 본딩 패드(Bonding Pad)에 연결되거나, 표시패널(1100)에 직접 배치될 수도 있으며, 경우에 따라서, 표시패널(1100)에 집적화되어 배치될 수도 있다.
또한, 각 소스 드라이버 집적회로는 칩 온 필름(COF: Chip On Film)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다. 이 경우, 각 소스 드라이버 집적회로에 해당하는 소스 구동 칩은 연성 필름에 실장되고, 연성 필름의 일 단은 적어도 하나의 소스 인쇄회로기판(Source Printed Circuit Board)에 본딩되고, 타 단은 표시패널(1100)에 본딩된다.
소스 인쇄회로기판은 연성 플랫 케이블(FFC: Flexible Flat Cable) 또는 연성 인쇄 회로(FPC: Flexible Printed Circuit) 등의 연결 매체를 통해 컨트롤 인쇄회로기판(Control Printed Circuit Board)과 연결된다. 컨트롤 인쇄회로기판에는 타이밍 컨트롤러(1400)가 배치된다.
또한, 컨트롤 인쇄회로기판에는 표시패널(1100), 데이터 드라이버(1200) 및 게이트 드라이버(1300) 등으로 전압 또는 전류를 공급해주거나 공급할 전압 또는 전류를 제어하는 전원 컨트롤러(미 도시)가 더 배치될 수 있다. 위에서 언급한 소스 인쇄회로기판과 컨트롤 인쇄회로기판은 하나의 인쇄회로기판으로 되어 있을 수도 있다.
한편, 표시패널(1000)의 표시영역에서는 데이터라인(120) 및 게이트라인(130)이 교차하는 영역에 서브화소(SP)이 정의될 수 있다. 이 때, 2 개 내지 4 개의 서브화소(SP)는 1 개의 화소를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서브화소(SP)에서 정의하는 색상으로 적색(R), 녹색(G), 청색(B) 및 백색(W)을 선택적으로 포함할 수 있으나, 본 실시예들이 이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다.
다만, 설명의 편의를 위해 본 실시예들에 따른 표시장치는 1 개의 화소가 4개의 서브화소(SP)를 포함하고, 각각의 서브화소(SP)는 적색(R), 백색(W), 녹색(G) 및 청색(B) 서브화소(SP)인 구성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도 4는 도 2의 X 영역을 확대한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X 영역은 제 1 실시예에 따른 표시패널의 패드영역에서 복수의 쇼팅바(150)와 복수의 라인들(120, 121, 124)이 연결된 구조의 일부를 나타낸다. 제 1 실시예에 따른 표시패널의 패드영역은 적어도 1 개의 쇼트방지소자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제 1 실시예에 따른 표시패널의 패드영역은, 비 표시영역(액티브 영역(Active Area) 또는 베젤 영역(Bezel Area)이라고도 하는 화상 표시 영역의 외곽 영역에 해당함)의 일부 영역으로 신호 전달을 위한 패드들이 위치하는 영역을 의미하며, 복수의 쇼팅바(150) 및 복수의 쇼팅바(150)와 연결되는 복수의 데이터라인(120), 전원공급라인(121) 및 기준전원라인(124)을 포함한다. 그리고, 패드영역은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전원들 및/또는 신호들을 표시패널 내부로 전달하기 위한 다수의 패드(160)를 구비한다. 복수의 데이터라인(120), 전원공급라인(121) 및 기준전원라인(124) 각각은 패드(160)를 통해 표시패널의 표시영역까지 연장될 수 있다.
도 4에서는 기준전원라인(124)이 1 개인 구성을 도시하고 있으나, 도 4는 패드영역 중 일부 만을 도시하고 있는 것으로, 제 1 실시예에 따른 표시패널은 복수의 기준전원라인(124)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복수의 쇼팅바(150)는 제 1 쇼팅바(151), 제 2 쇼팅바(152), 제 3 쇼팅바(153), 제 4 쇼팅바(154), 제 5 쇼팅바(155) 및 제 6 쇼팅바(156)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 1 쇼팅바(151)는 전원공급라인(121)과 연결되고, 제 2 쇼팅바(152)는 기준전원라인(124)과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제 3 쇼팅바(153)는 적색(R) 데이터라인(122)과 연결되고, 제 4 쇼팅바(154)는 백색(W) 데이터라인(123)과 연결되고, 제 5 쇼팅바(155)는 청색(B) 데이터라인(125)과 연결되며, 제 6 쇼팅바(156)는 녹색(G) 데이터라인(126)과 연결될 수 있다.
도 4에서는 개시하고 있지 않으나, 적색(R) 데이터라인(122), 백색(W) 데이터라인(123), 청색(B) 데이터라인(125) 및 녹색(G) 데이터라인(126) 각각은 패드영역에서 표시영역까지 연장되어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적색(R) 데이터라인(122), 백색(W) 데이터라인(123), 청색(B) 데이터라인(125) 및 녹색(G) 데이터라인(126) 각각은 적색(R) 서브화소, 백색(W) 서브화소, 청색(B) 서브화소 및 녹색(G) 서브화소에 구동 전류를 공급할 수 있다.
한편, 복수의 데이터라인(120), 전원공급라인(121) 및 기준전원라인(124)과 연결되는 복수의 쇼팅바(150)를 통해 TFT 어레이의 신호 검사를 수행할 수 있다. 이 때, 복수의 쇼팅바(150)는 복수의 데이터라인(120), 전원공급라인(121) 및 기준전원라인(124)에 구동 전류를 공급할 수 있다. 이 때, 복수의 쇼팅바(150)는 복수의 데이터라인(120), 전원공급라인(121) 및 기준전원라인(124)과 컨택홀(180)을 통해 연결될 수 있다.
즉, 복수의 쇼팅바(150)를 통해 적색(R), 백색(W), 녹색(G) 및 청색(B) 데이터라인(122, 123, 125, 126)에 구동 전류를 인가하고, 기준전원 라인(124)에 기준전압(Vref)를 인가하여 전체 화소의 TFT가 정상적으로 형성되어 구동하는지를 검사(예를 들어, on/off 검사)할 수 있다.
또한,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으나, 패드영역은 외부 보상을 위한 센싱 신호를 공급하기 위한 센싱신호라인(미도시)이 표시 영역 및 패드영역에 더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적색(R), 백색(W), 녹색(G) 및 청색(B) 서브화소에 게이트 구동 신호(스캔 신호)를 공급하기 위한 게이트라인(미도시)이 표시 영역 및 패드영역에 더 배치될 수 있다.
한편, 패드영역에는 기준전원라인(124)과 중첩되는 연장라인(110)이 더 배치될 수 있다. 이 때, 연장라인(110)은 복수의 쇼팅바(150) 중 어느 1 개의 쇼팅바(150)로부터 분기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연장라인(110)은 제 1 쇼팅바(151)로부터 분기되어 기준전원라인(124)과 중첩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도 4에서는 연장라인(110)이 제 1 쇼팅바(151)로부터 분기되는 구성을 개시하고 있으나, 제 1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는 이에 국한되지 않는다.
복수의 쇼팅바(150)와 연장라인(110)은 동일층에 배치되고, 동일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면, 복수의 쇼팅바(150)와 연장라인(110)은 게이트라인(미도시)과 동일층에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복수의 쇼팅바(150)와 연장라인(110)은 구리(Cu), 몰리브덴(Mo), 알루미늄(Al), 은(Ag), 티타늄(Ti), 이들의 조합으로부터 구성되는 합금, ITO(indium tin oxide), IZO(indium zinc oxide), IGO(indium gallium oxide) 또는 IGZO(indium gallium zinc oxide)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적층한 구성일 수 있다.
한편, 연장라인(110)과 기준전원라인(124)이 중첩되는 영역에서 액티브층(115)이 더 중첩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자세하게는, 연장라인(110)이 기판(100) 상에 배치되고, 연장라인(110) 상에 액티브층(115)이 배치되며, 액티브층(115)의 상에 기준전원라인(124)이 배치될 수 있다. 한편, 액티브층(115)은 표시영역에 배치되는 액티브층(미도시)과 동일층에 배치되고, 동일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 때, 액티브층(115)은 비정질 실리콘, 다결정 실리콘 또는 금속 산화물 등의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를 통해, 액티브층(115)을 형성하는 공정이 간단해질 수 있다.
한편, 기준전원라인(124)은 액티브층(115)의 상면의 일부와 중첩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즉, 기준전원라인(124)은 액티브층(115)이 배치된 영역에서 이격공간을 구비할 수 있다. 자세하게는, 기준전원라인(124)은 제 2 쇼팅바(152)와 연결되고, 액티브층(115)의 일부와 중첩하는 제 1 기준전원라인(124a) 및 제 1 기준전원라인(124a)과 이격하고 액티브층(115)의 일부와 중첩하는 제 2 기준전원라인(124b)으로 구성될 수 있다.
한편, 연장라인(110), 액티브층(115), 제 1 기준전원라인(124a) 및 제 2 기준전원라인(124b)이 중첩하여 배치됨으로써, 박막 트랜지스터(Tr)가 구비될 수 있다. 즉, 연장라인(110)이 게이트라인(미도시)과 동일층에 배치되고, 제 1 기준전원라인(124a)과 제 2 기준전원라인(124b)이 서로 이격하여 배치됨으로써, 박막 트랜지스터(Tr)의 쇼트를 방지할 수 있다.
여기서, 복수의 쇼팅바(150)를 이용하여 TFT 어레이의 신호 검사를 수행할 때, 제 1 쇼팅바(151)로부터 연장라인(110)으로 구동신호가 인가되어 박막 트랜지스터(Tr)가 on 상태일 수 있다.
TFT 어레이의 신호 검사 완료 후, 스크라이빙 라인(500)을 따라 기판(100)을 절단한다. 이 때, 스크라이빙(scribing) 또는 그라인딩(grinding) 공정을 수행하여 기판(100)을 절단할 수 있다. 이를 통해, 패드영역에 배치된 복수의 쇼팅바(150)를 제거한다.
한편, 스크라이빙 라인(500)을 따라 복수의 쇼팅바(150)를 제거하는 공정에서 라인들의 이물(200) 또는 수분 침투에 의해 라인들 간의 쇼트 및 누설전류(leakage current)가 발생할 수 있다. 이를 도 7을 참조하여 검토하면 다음과 같다.
도 7은 비교예에 따른 유기발광 표시장치의 패드영역의 일부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복수의 데이터라인(20)과 기준전원라인(24) 간에 누설전류가 발생하면, TFT의 특성을 센싱할 때 TFT의 실제 문턱전압(Vth) 값보다 낮은 전류를 센싱하게 되어 센싱 오류가 발생한다.
이러한 센싱 오류로 인해서, TFT의 문턱전압(Vth)이 포지티브 (positive) 방향으로 쉬프트한 것으로 오인되어 센싱 값에 기초하여 생성되는 보상 값에 오류가 발생하고 실제보다 많은 보상 값이 반영되어 보상 오류가 발생된다. 이러한, 누설전류에 의한 보상 오류로 인해서 기준전원라인(24)을 공유하는 적색(R), 백색(W), 녹색(G) 및 청색(B) 데이터라인(22, 23, 25, 26)의 화소들이 실제보다 밝게 발광하여 세로선 화질 불량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 뿐만 아니라, 이물(200)로 인해 복수의 데이터라인(20), 전원공급라인(21) 또는 기준전원라인(24) 중 적어도 2 개의 배선 사이에 쇼트가 발생할 수 있다.
한편, 제 1 실시예에 따른 유기발광 표시장치는 이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패드영역에 배치되는 복수의 배선 중 적어도 하나의 배선이 배치되는 영역에 박막 트랜지스터를 구비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을 도 5를 참조하여 검토하면 다음과 같다. 도 5는 도 4의 스크라이빙 라인을 따라 쇼팅바를 제거한 후 패드영역의 일부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복수의 쇼팅바의 제거를 위해 스크라이빙 라인을 따라 기판(100)을 절단함으로써, 복수의 데이터라인(220), 전원공급라인(221) 및 기준전원라인(224)의 일부 역시 절단 될 수 있다. 즉, 적색(R), 백색(W), 녹색(G) 및 청색(B) 데이터라인(222, 223, 225, 226)의 일부 역시 절단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쇼팅바 중 어느 하나의 쇼팅바로부터 분기된 연장라인(111)의 일부가 절단될 수 있다. 여기서, 연장라인(111)에 신호를 공급하는 쇼팅바 역시 제거됨으로써, 패드영역에 배치된 박막 트랜지스터(Tr)는 off 상태로 변할 수 있다.
한편, 기판(100) 상에 배치되는 연장라인(111)은 기준전원라인(224)과 평행하게 배치되는 제 1 및 제 2 연장라인(111a, 111b) 및 기준전원라인(224)과 중첩하는 제 3 연장라인(111c)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 때, 제 1 연장라인(111a)과 제 2 연장라인(111b)은 제 3 연장라인(111c)을 사이에 두고 서로 이격하여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1 연장라인(111a)은 백색(W) 데이터라인(223)과 기준전원라인(224) 사이에 배치되고, 제 2 연장라인(111b)은 기준전원라인(224)과 청색(B) 데이터라인(225)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제 1 연장라인(111a)의 일 끝 단은 제 3 연장라인(111c)의 일 끝 단과 연결되고, 제 2 연장라인(111b)의 일 끝 단은 제 3 연장라인(111c)의 다른 끝 단과 연결될 수 있다. 즉, 서로 이격하여 배치되는 제 1 연장라인(111a)과 제 2 연장라인(111b)은 제 3 연장라인(111c)을 통해 연결될 수 있다.
여기서, 스크라이빙 라인을 따라 절단된 기판(100)의 경계면에는 절단 공정 중 발생하는 이물(200)로 인해 서로 이격하여 배치되는 배선들이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특히, 기준전원라인(224)과 다른 배선 사이에 이물로 인해 전기적으로 연결될 경우, 센싱 오류로 인한 화질 불량이 발생하게 된다.
한편, 제 1 실시예에 따른 유기발광 표시장치는 패드영역에 박막 트랜지스터(Tr)가 배치되고, 박막 트랜지스터(Tr)는 기준전원라인(224)을 구성요소로 구비함으로써, 이를 개선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백색(W) 데이터라인(223)과 기준전원라인(224) 사이에 이물(200)이 형성될 경우, 백색(W) 데이터라인(223) 측에서 신호가 인가될 때, 인가된 신호는 이물(200)을 통해 기준전원라인(224)으로 전달되나, 기준전원라인(224)이 배치되는 영역에 배치되는 박막 트랜지스터(Tr)가 오프(off) 상태이므로, 백색(W) 데이터라인(223)으로부터 전달된 신호가 차단될 수 있다. 즉, 연장라인(111)이 단선(Disconnected)됨으로써, 박막 트랜지스터(Tr)가 오프(off) 상태일 수 있으며, 이를 통해, 백색(W) 데이터라인(223)으로부터 전달된 신호가 차단될 수 있다.
따라서, 백색(W) 데이터라인(223)과 기준전원라인(224) 사이에 이물(200)이 존재하더라도 기준전원라인(224)이 배치되는 영역에 배치되는 박막 트랜지스터(Tr)로 인해, 백색(W) 데이터라인(223)으로부터 전달된 신호가 차단되어 백색 데이터라인(223) 및 기준전원라인(224)에 독립적으로 전류를 흐를 수 있게 할 수 있다. 즉, 기준전원라인(224)이 배치되는 영역에 배치되는 박막 트랜지스터(Tr)로 인해 이물(200)로 인한 서로 다른 배선 사이의 쇼트를 방지할 수 있다.
한편, 기준전원라인(224) 및 기준전원라인(224)을 구성요소로 구비하는 박막 트랜지스터(Tr)를 도 6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검토하면 다음과 같다. 도 6은 도 5를 A-B를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기판(100) 상에 제 3 연장라인(111c)이 배치된다. 제 3 연장라인(111c) 상에 제 1 절연막(112)이 배치된다. 제 1 절연막(112) 상에는 제 3 연장라인(111c)과 중첩하도록 액티브층(115)이 배치된다. 그리고, 액티브층(115)의 일 끝 단 상에 제 1 기준전원라인(124a)과 다른 끝 단 상에 제 2 기준전원라인(124b)이 배치된다. 그리고, 제 1 기준전원라인(124a)과 제 2 기준전원라인(124b) 상에 제 2 절연막(113)이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제 3 연장라인(111c)은 게이트 전극 역할을 할 수 있다. 그리고, 제 1 기준전원라인(124a)은 소스전극 역할을 할 수 있으며, 제 2 기준전원라인(124b)은 드레인전극 역할을 할 수 있다. 즉, 제 3 연장라인(111c), 액티브층(115), 제 1 기준전원라인(124a) 및 제 2 기준전원라인(124b)으로 박막 트랜지스터(Tr)를 구성할 수 있다.
제 1 실시예에 따른 유기발광 표시장치는 패드영역에 배치되는 박막 트랜지스터(Tr)가 기준전원라인을 포함함으로써, 기준전원라인 및 기준전원라인과 인접하여 배치되는 다른 배선 사이에 이물로 인한 쇼트 또는 누설전류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도 4 내지 도 6에서는 패드영역에 배치되는 박막 트랜지스터(Tr)가 기준전원라인을 포함하는 구성을 예시로 하였으나, 제 1 실시예에 따른 유기발광 표시장치는 이에 국한되지 않으며, 패드영역에 배치되는 박막 트랜지스터(Tr)는 패드영역에 배치되는 복수의 신호라인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신호라인을 포함하는 구성이면 충분하다. 이 때, 적어도 어느 하나의 신호라인은 패드영역에서 액티브층(115)과 중첩하는 영역에서 서로 이격하여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복수의 신호라인은 데이터라인, 게이트라인 또는 전원공급라인 등일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들에 따른 유기발광 표시장치는 이에 국한되지 않으며, 도 8 내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성될 수도 있다. 도 8은 제 2 실시예에 따른 표시패널의 패드영역에서 복수의 쇼팅바와 복수의 라인들이 연결된 구조의 일부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제 2 실시예에 따른 유기발광 표시장치는 앞서 설명한 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앞서 설명한 실시예와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할 수 있다. 또한, 동일한 구성은 동일한 도면부호를 갖는다.
도 8을 참조하면, 제 2 실시예에 따른 표시패널의 패드영역은 복수의 쇼팅바(150) 및 복수의 쇼팅바(150)와 연결되는 복수의 데이터라인(320), 전원공급라인(321) 및 기준전원라인(324)을 포함한다.
복수의 쇼팅바(150)는 제 1 쇼팅바(151), 제 2 쇼팅바(152), 제 3 쇼팅바(153), 제 4 쇼팅바(154), 제 5 쇼팅바(155) 및 제 6 쇼팅바(156)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 1 쇼팅바(151)는 전원공급라인(321)과 연결되고, 제 2 쇼팅바(152)는 기준전원라인(324)과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제 3 쇼팅바(153)는 적색(R) 데이터라인(322)과 연결되고, 제 4 쇼팅바(154)는 백색(W) 데이터라인(323)과 연결되고, 제 5 쇼팅바(155)는 청색(B) 데이터라인(325)과 연결되며, 제 6 쇼팅바(156)는 녹색(G) 데이터라인(326)과 연결될 수 있다.
한편, 패드영역에는 복수의 배선들과 중첩하는 연장라인(210)이 배치될 수 있다. 이 때, 연장라인(210)은 복수의 쇼팅바(150) 중 어느 1 개의 쇼팅바(150)로부터 분기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연장라인(210)은 제 1 쇼팅바(151)로부터 분기될 수 있다. 도 8에서는 연장라인(110)이 제 1 쇼팅바(151)로부터 분기되는 구성을 개시하고 있으나, 제 2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는 이에 국한되지 않는다.
연장라인(210)은 제 1 쇼팅바(151)로부터 분기되어 복수의 데이터라인(320), 전원공급라인(321) 및 기준전원라인(324)과 중첩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 때, 복수의 데이터라인(320)은 적색(R) 데이터라인(322), 백색(W) 데이터라인(323), 청색 데이터라인(325) 및 녹색 데이터라인(326)을 포함한다.
한편, 연장라인(210)이 복수의 데이터라인(320), 전원공급라인(321) 및 기준전원라인(324)과 중첩되는 영역에서 액티브층(215)이 중첩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자세하게는, 연장라인(210)이 기판(100) 상에 배치되고, 연장라인(210) 상에 액티브층(215)이 배치되며, 액티브층(215)의 상에 복수의 데이터라인(320), 전원공급라인(321) 또는 기준전원라인(324)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구성이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복수의 데이터라인(320), 전원공급라인(321) 및 기준전원라인(324)은 액티브층(215)의 상면의 일부와 중첩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즉, 복수의 데이터라인(320), 전원공급라인(321) 및 기준전원라인(324)은 액티브층(215)이 배치된 영역에서 이격공간을 구비할 수 있다.
자세하게는, 적색(R) 데이터라인(322), 백색(W) 데이터라인(323), 청색(B) 데이터라인(325) 및 녹색(G) 데이터라인(326), 전원공급라인(321) 및 기준전원라인(324) 각각은 복수의 쇼팅바(150) 중 어느 하나의 쇼팅바와 연결되고, 액티브층(215)의 일부와 중첩하는 제 1 적색(R) 데이터라인(322a), 제 1 백색(W) 데이터라인(323a), 제 1 청색(B) 데이터라인(325a) 및 제 1 녹색(G) 데이터라인(326a), 제 1 전원공급라인(321a) 및 제 1 기준전원라인(324a)을 포함한다.
그리고, 적색(R) 데이터라인(322), 백색(W) 데이터라인(323), 청색(B) 데이터라인(325) 및 녹색(G) 데이터라인(326), 전원공급라인(321) 및 기준전원라인(324) 각각은 제 1 적색(R) 데이터라인(322a), 제 1 백색(W) 데이터라인(323a), 제 1 청색(B) 데이터라인(325a) 및 제 1 녹색(G) 데이터라인(326a), 제 1 전원공급라인(321a) 및 제 1 기준전원라인(324a)과 이격하고, 액티브층(215)의 일부와 중첩하는 제 2 적색(R) 데이터라인(322b), 제 2 백색(W) 데이터라인(323b), 제 2 청색(B) 데이터라인(325b) 및 제 2 녹색(G) 데이터라인(326b), 제 2 전원공급라인(321b) 및 제 2 기준전원라인(324b)을 포함한다.
다시 설명하면, 적색(R) 데이터라인(322)은 제 1 적색(R) 데이터라인(322a) 및 제 2 적색(R) 데이터라인(322b)을 포함하고, 백색(W) 데이터라인(323)은 제 1 백색(W) 데이터라인(323a) 및 제 2 백색(W) 데이터라인(323b)을 포함하고, 청색(B) 데이터라인(325)은 제 1 청색(B) 데이터라인(325a) 및 제 2 청색(B) 데이터라인(325b)을 포함하며, 녹색(G) 데이터라인(326)은 제 1 녹색(G) 데이터라인(326a) 및 제 2 녹색(G) 데이터라인(326b)을 포함한다. 그리고, 전원공급라인(321)은 제 1 전원공급라인(321a) 및 제 2 전원공급라인(321b)을 포함하고, 기준전원라인(324)은 제 1 기준전원라인(324a) 및 제 2 기준전원라인(324b)을 포함한다.
이와 같이, 연장라인(210)이 복수의 데이터라인(320), 전원공급라인(321) 및 기준전원라인(324)과 중첩되는 영역에서 액티브층(215)이 중첩되도록 배치됨으로써, 복수의 박막 트랜지스터(Tr)가 구비될 수 있다. 한편, 복수의 쇼팅바(150)를 이용하여 TFT 어레이의 신호 검사를 수행할 때, 제 1 쇼팅바(151)로부터 연장라인(210)으로 구동신호가 인가되어 박막 트랜지스터(Tr)가 on 상태일 수 있다.
또한, TFT 어레이의 신호 검사 완료 후, 스크라이빙 라인(500)을 따라 기판(100)을 절단한다. 이를 통해, 패드영역에 배치된 복수의 쇼팅바(150)를 제거한다.
복수의 쇼팅바(150)가 제거된 구성을 도 9를 참조하여 검토하면 다음과 같다. 도 9는 도 8의 스크라이빙 라인을 따라 쇼팅바를 제거한 후 패드영역의 일부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9를 참조하면, 복수의 쇼팅바의 제거를 위해 기판(100)을 절단함으로써, 복수의 데이터라인(420), 전원공급라인(421) 및 기준전원라인(424)의 일부 역시 절단 될 수 있다. 즉, 적색(R), 백색(W), 녹색(G) 및 청색(B) 데이터라인(422, 423, 425, 426)의 일부 역시 절단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쇼팅바 중 어느 하나의 쇼팅바로부터 분기된 연장라인(211)의 일부가 절단될 수 있다. 여기서, 연장라인(211)에 신호를 공급하는 쇼팅바 역시 제거됨으로써, 패드영역에 배치된 박막 트랜지스터(Tr)는 off 상태일 수 있다.
한편, 기판(100) 상에 배치되는 연장라인(211)은 복수의 데이터라인(420), 전원공급라인(421) 및 기준전원라인(424)과 평행하게 배치되는 제 1 및 제 2 연장라인(211a, 211b) 및 복수의 데이터라인(420), 전원공급라인(421) 및 기준전원라인(424)과 중첩하는 제 3 연장라인(211c)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 때, 제 1 연장라인(211a)과 제 2 연장라인(211b)은 제 3 연장라인(211c)을 사이에 두고 서로 이격하여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1 연장라인(211a)은 전원공급라인(321)의 일 측에 배치되고, 제 2 연장라인(211b)은 녹색(G) 데이터라인(426)의 일 측에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제 1 연장라인(211a)의 일 끝 단은 제 3 연장라인(211c)의 일 끝 단과 연결되고, 제 2 연장라인(211b)의 일 끝 단은 제 3 연장라인(211c)의 다른 끝 단과 연결될 수 있다. 즉, 서로 이격하여 배치되는 제 1 연장라인(211a)과 제 2 연장라인(211b)은 제 3 연장라인(211c)을 통해 연결될 수 있다. 한편, 쇼팅바를 제거하기 위해 기판(100)을 절단하기 전, 쇼팅바로부터 제 1 연장라인(221a) 또는 제 2 연장라인(221b)에 신호가 인가되어 제 3 연장라인(221c)으로 전달될 수 있다. 제 3 연장라인(221c)으로 신호가 절단되면, 박막 트랜지스터(Tr)가 on 상태가 될 수 있다.
여기서, 절단된 기판(100)의 경계면에는 절단 공정 중 발생하는 이물(201)로 인해 서로 이격하여 배치되는 배선들이 전기적으로 연결됨으로써, 배선 간의 쇼트가 일어날 수 있다. 한편, 제 2 실시예에 따른 유기발광 표시장치는 복수의 데이터라인(420), 전원공급라인(421) 및 기준전원라인(424)의 일부와 중첩하도록 박막 트랜지스터(Tr)가 배치됨으로써, 이를 개선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적색(R) 데이터라인(422)과 백색(W) 데이터라인(423) 사이에 이물(201)이 형성될 경우, 적색(R) 데이터라인(422) 측에서 신호가 인가될 때, 인가된 신호는 이물(201)을 통해 백색(W) 데이터라인(423)으로 전달되나, 백색(W) 데이터라인(423)이 배치되는 일부 영역에 배치된 박막 트랜지스터(Tr)가 off 상태이므로, 적색(R) 데이터라인(422)으로부터 전달된 신호가 차단될 수 있다.
따라서, 적색(R) 데이터라인(422)과 백색(W) 데이터라인(423) 사이에 이물(201)이 존재하더라도 백색(W) 데이터라인(423)이 배치되는 영역에 배치되는 박막 트랜지스터(Tr)로 인해, 적색(R) 데이터라인(422)으로부터 전달된 신호가 차단되어 적색(R) 데이터라인(422)과 백색(W) 데이터라인(423)에 독립적으로 전류를 흐를 수 있게 할 수 있다. 즉, 복수의 데이터라인(420), 전원공급라인(421) 및 기준전원라인(424)이 배치되는 일부 영역에 배치된 박막 트랜지스터(Tr)로 인해 이물(201)로 인한 서로 다른 배선 사이의 쇼트를 방지할 수 있다. 한편, 패드영역에 배치되는 박막 트랜지스터(Tr)가 복수의 데이터라인(420), 전원공급라인(421) 및 기준전원라인(424)이 배치되는 일부 영역에 배치되는 구성을 개시하고 있으나, 제 2 실시예에 따른 유기발광 표시장치는 이에 국한되지 않으며, 복수의 게이트라인(미도시)이 배치되는 영역에서 상술한 구성과 동일한 박막 트랜지스터(Tr)가 배치될 수 있다.
한편, 복수의 데이터라인(420), 전원공급라인(421) 및 기준전원라인(424)이 배치되는 일부 영역에 배치된 박막 트랜지스터(Tr)를 도 10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검토하면 다음과 같다. 도 10은 도 9를 C-D를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제 3 연장라인(211c)은 게이트 전극 역할을 할 수 있다. 그리고, 제 1 기준전원라인(424a)은 소스전극 역할을 할 수 있으며, 제 2 기준전원라인(424b)은 드레인전극 역할을 할 수 있다. 즉, 제 3 연장라인(211c), 액티브층(215), 제 1 기준전원라인(424a) 및 제 2 기준전원라인(424b)으로 박막 트랜지스터(Tr)를 구성할 수 있다.
한편, 도 10에서는 기준전원라인을 포함하는 박막 트랜지스터(Tr)만을 개시하고 있으나, 제 2 실시예는 이에 국한되지 않으며, 복수의 데이터라인 및 전원공급라인을 포함하는 박막 트랜지스터의 단면 역시 도 10에 개시한 구성과 동일한 구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와 같이, 제 2 실시예에 따른 유기발광 표시장치는 패드영역에 박막 트랜지스터(Tr)가 배치되고, 박막 트랜지스터(Tr)는 기준전원라인(224)을 구성요소로 구비할 수 있다. 여기서, 박막 트랜지스터(Tr)가 off 상태이므로, 특정 라인에서 발생된 신호가 이물을 통해 다른 라인으로 전달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상술한 실시예에 설명된 특징, 구조, 효과 등은 본 발명의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에 포함되며, 반드시 하나의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나아가, 각 실시예에서 예시된 특징, 구조, 효과 등은 실시예들이 속하는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지는 자에 의하여 다른 실시예들에 대해서도 조합 또는 변형되어 실시 가능하다. 따라서 이러한 조합과 변형에 관계된 내용들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이상에서 실시예들을 중심으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단지 예시일 뿐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실시예의 본질적인 특성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이상에 예시되지 않은 여러 가지의 변형과 응용이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실시예들에 구체적으로 나타난 각 구성 요소는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120: 데이터라인
130: 게이트라인
150: 쇼팅바
500: 스크라이빙 라인
1000: 표시패널

Claims (17)

  1. 기판;
    상기 기판의 패드영역 상에 배치되는 복수의 데이터라인;
    상기 데이터라인과 평행하게 배치되는 전원공급라인 및 기준전원라인;
    상기 복수의 데이터라인, 전원공급라인 또는 기준전원라인 중 적어도 1 개의 라인과 중첩하도록 배치되는 연장라인; 및
    상기 연장라인 상에 배치되는 액티브층;을 포함하고,
    상기 액티브층은 상기 복수의 데이터라인, 전원공급라인 또는 기준전원라인 중 적어도 1 개의 라인과 중첩하도록 배치되는 쇼트방지소자.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기판 상에 연장라인이 배치되고,
    상기 연장라인 상에 액티브층이 배치되고,
    상기 액티브층 상에 복수의 데이터라인, 전원공급라인 또는 기준전원라인 중 적어도 1 개의 라인이 배치되는 쇼트방지소자.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연장라인은 상기 기준전원라인과 평행하게 배치되는 제 1 연장라인 및 제 2 연장라인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데이터라인, 전원공급라인 또는 기준전원라인 중 적어도 1 개의 라인과 교차하는 제 3 연장라인을 포함하고,
    상기 제 3 연장라인은 액티브층과 중첩하도록 배치되는 쇼트방지소자.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연장라인과 제 2 연장라인은 서로 이격하여 배치되고,
    상기 제 1 연장라인의 일 끝 단은 제 3 연장라인의 일 끝 단과 연결되고, 제 2 연장라인의 일 끝 단은 제 3 연장라인의 다른 끝 단과 연결되는 쇼트방지소자.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액티브층과 중첩하도록 배치되는 상기 복수의 데이터라인, 전원공급라인 및 기준전원라인 각각은 상기 액티브층과 중첩하는 일부 영역에서 이격공간을 구비하는 쇼트방지소자.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액티브층 상에서 서로 이격하여 배치되는 상기 복수의 데이터라인, 전원공급라인 및 기준전원라인 각각은 상기 액티브층의 끝 단과 중첩하도록 배치되는 쇼트방지소자.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데이터라인과 교차하도록 배치되는 게이트라인을 더 포함하고,
    상기 연장라인은 상기 게이트라인과 동일층에 배치되고 게이트라인과 동일물질로 이루어지는 쇼트방지소자.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연장라인 및 액티브층과 상기 복수의 데이터라인, 전원공급라인 및 기준전원라인 중 적어도 1 개의 라인은 상기 패드영역에서 박막 트랜지스터를 구성하는 쇼트방지소자.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패드영역에서,
    상기 연장라인과 액티브층 사이에 배치되는 1 절연막 및
    상기 복수의 데이터라인, 전원공급라인 및 기준전원라인 중 적어도 1 개의 라인 상에 배치되는 제 2 절연막을 더 포함하는 쇼트방지소자.
  10.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박막 트랜지스터는 오프(off) 상태인 쇼트방지소자.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기판의 표시영역에 배치되는 다른 액티브층을 더 포함하고,
    상기 액티브층은 상기 표시영역에 배치되는 다른 액티브층과 동일층에 배치되고 동일물질로 이루어지는 쇼트방지소자.
  12. 복수의 데이터 라인을 구동하는 데이터 드라이버;
    복수의 게이트 라인을 구동하는 게이트 드라이버;
    기판의 패드영역 상에 배치되고, 상기 데이터 드라이버와 연결되는 복수의 데이터라인;
    상기 데이터라인과 평행하게 배치되는 전원공급라인 및 기준전원라인;
    상기 복수의 데이터라인, 전원공급라인 또는 기준전원라인 중 적어도 1 개의 라인과 중첩하도록 배치되는 연장라인; 및
    상기 연장라인 상에 배치되는 액티브층;을 포함하고,
    상기 액티브층은 상기 복수의 데이터라인, 전원공급라인 또는 기준전원라인 중 적어도 1 개의 라인과 중첩하도록 배치되는 유기발광 표시장치.
  13. 패드영역에 배치되는 제 1 신호라인;
    상기 비 표시영역에서 상기 제 1 신호라인과 동일층에서 이격하도록 배치되는 제 2 신호라인;
    상기 제 1 및 제 2 신호라인에 모두 접촉하도록 배치되는 액티브층; 및
    상기 액티브층 상부 또는 하부에 배치되는 연장라인;을 포함하는 유기발광 표시장치.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기판 상에 연장라인이 배치되고,
    상기 연장라인 상에 액티브층이 배치되고,
    상기 액티브층 상에 제 1 및 제 2 신호라인이 이격하여 배치되는 유기발광 표시장치.
  15.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연장라인은 전기적으로 단선된(Disconnected) 상태인 유기발광 표시장치.
  16.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연장라인, 액티브층, 제 1 및 제 2 신호라인은 상기 패드영역에서 박막 트랜지스터를 구성하는 유기발광 표시장치.
  17.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패드영역에서,
    상기 연장라인과 액티브층 사이에 배치되는 1 절연막 및
    상기 제 1 및 제 2 신호라인 상에 배치되는 제 2 절연막을 더 포함하는 유기발광 표시장치.
KR1020150189011A 2015-12-29 2015-12-29 유기발광 표시장치 KR102468366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89011A KR102468366B1 (ko) 2015-12-29 2015-12-29 유기발광 표시장치
US15/210,386 US9859496B2 (en) 2015-12-29 2016-07-14 Organic light-emitting diode display device having an extension line crossing second signal lines
CN201610921556.3A CN106952933B (zh) 2015-12-29 2016-10-21 具有显示面板的显示装置及其制造方法
US15/824,084 US9929344B1 (en) 2015-12-29 2017-11-28 Method of forming an organic light-emitting diode display device having an extension line crossing second signal line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89011A KR102468366B1 (ko) 2015-12-29 2015-12-29 유기발광 표시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78985A true KR20170078985A (ko) 2017-07-10
KR102468366B1 KR102468366B1 (ko) 2022-11-18

Family

ID=590884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89011A KR102468366B1 (ko) 2015-12-29 2015-12-29 유기발광 표시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2) US9859496B2 (ko)
KR (1) KR102468366B1 (ko)
CN (1) CN106952933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676495B (zh) * 2016-04-14 2018-11-27 深圳市华星光电技术有限公司 检测单元、阵列基板、液晶显示装置以及检测方法
KR102450621B1 (ko) * 2017-10-12 2022-10-06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CN108565278A (zh) * 2018-02-28 2018-09-21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阵列基板母板、阵列基板、显示装置及其制作方法
CN108807492B (zh) 2018-06-29 2021-12-28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显示面板及其制作方法、检测方法和显示装置
KR102569929B1 (ko) 2018-07-02 2023-08-24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KR102586039B1 (ko) * 2018-07-26 2023-10-10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장치
CN109461403B (zh) * 2018-11-05 2022-01-11 合肥鑫晟光电科技有限公司 一种显示器件及其制备方法和显示装置
KR102559089B1 (ko) * 2018-12-19 2023-07-24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신축성 표시 장치
CN110221491A (zh) * 2019-05-06 2019-09-10 惠科股份有限公司 阵列基板及其制作方法、液晶显示面板
CN110289225B (zh) * 2019-06-28 2022-04-15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测试装置及方法、显示装置
CN110544711B (zh) * 2019-08-13 2022-09-27 深圳市华星光电半导体显示技术有限公司 显示面板
CN111292660B (zh) * 2020-02-12 2022-09-30 合肥鑫晟光电科技有限公司 Oled驱动背板、其检测方法及显示装置
CN111341821B (zh) * 2020-03-12 2022-02-22 武汉华星光电半导体显示技术有限公司 有机发光二极管显示面板以及显示设备
CN111681609A (zh) * 2020-06-11 2020-09-18 武汉华星光电半导体显示技术有限公司 一种显示装置和驱动电路检测方法
CN113539131A (zh) * 2021-07-20 2021-10-22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显示面板及制作方法、显示母板及检测方法、显示装置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47097A (ko) * 2005-11-01 2007-05-04 엘지.필립스 엘시디 주식회사 박막트랜지스터 어레이 기판 및 그 제조방법
KR20120078077A (ko) * 2010-12-31 2012-07-10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백색 유기발광다이오드 표시장치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1256297B (zh) * 2008-03-28 2010-06-23 昆山龙腾光电有限公司 液晶显示装置及其阵列基板和母基板
CN101833910B (zh) * 2009-03-11 2012-11-28 上海天马微电子有限公司 显示装置及其阵列基板的测试方法
KR102107383B1 (ko) * 2012-12-27 2020-05-07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용 어레이 기판
KR102058516B1 (ko) * 2013-07-05 2020-02-10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발광표시장치용 모기판
CN104407481B (zh) * 2014-12-09 2017-05-10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阵列基板、信号线不良的检测方法、显示面板及显示装置
US9772708B2 (en) * 2015-12-18 2017-09-26 Lg Display Co., Ltd. Display device with asymmetric masking layer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47097A (ko) * 2005-11-01 2007-05-04 엘지.필립스 엘시디 주식회사 박막트랜지스터 어레이 기판 및 그 제조방법
KR20120078077A (ko) * 2010-12-31 2012-07-10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백색 유기발광다이오드 표시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6952933A (zh) 2017-07-14
CN106952933B (zh) 2020-05-19
US20180083194A1 (en) 2018-03-22
US9859496B2 (en) 2018-01-02
KR102468366B1 (ko) 2022-11-18
US9929344B1 (en) 2018-03-27
US20170186957A1 (en) 2017-06-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68366B1 (ko) 유기발광 표시장치
US11315454B2 (en) Display device
US20240107869A1 (en)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fabricating the same
JP7163017B2 (ja) 表示装置
US11355041B2 (en)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inspection thereof
KR102597071B1 (ko) 발광 다이오드 표시 장치
US7746417B2 (en) Thin film transistor array panel for a display
JP2008070873A (ja) 平板表示装置
US20140132873A1 (en) Active matrix display device
US7897965B2 (en) Display substrate, display panel having the same, and method of testing a display substrate
US9405162B2 (en) Active matrix display device with auxiliary repair line
US11930672B2 (en) Display device
KR20160077511A (ko) 표시 장치용 어레이 기판
CN101408683B (zh) 显示面板修补方法及应用此方法所修补的显示面板
KR102008324B1 (ko) 가요성 표시장치
US20230354658A1 (en)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CN102012572B (zh) 显示面板修补方法及应用此方法所修补的显示面板
KR102389384B1 (ko) 폴더블 디스플레이 장치
CN116322181A (zh) 电致发光显示器
JP5142964B2 (ja) 表示装置
CN116367607A (zh) 具有修复结构的电致发光显示器
CN117750813A (zh) 显示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