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77299A - 발포비드의 코팅 방법 및 이를 이용한 발포성형물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발포비드의 코팅 방법 및 이를 이용한 발포성형물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77299A
KR20170077299A KR1020150169837A KR20150169837A KR20170077299A KR 20170077299 A KR20170077299 A KR 20170077299A KR 1020150169837 A KR1020150169837 A KR 1020150169837A KR 20150169837 A KR20150169837 A KR 20150169837A KR 20170077299 A KR20170077299 A KR 2017007729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coating
bead
parts
ethyle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698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경만
한동훈
김영민
이지은
김관용
김성혜
이단비
Original Assignee
한국신발피혁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신발피혁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신발피혁연구원
Priority to KR102015016983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077299A/ko
Publication of KR2017007729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7729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9/00Working-up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to porous or cellular articles or materials; After-treatment thereof
    • C08J9/22After-treatment of expandable particles; Forming foamed products
    • C08J9/224Surface treatment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7/00Chemical treatment or coating of shaped articles made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7/04Coating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9/00Working-up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to porous or cellular articles or materials; After-treatment thereof
    • C08J9/16Making expandable particl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anufacture Of Porous Articles, And Recovery And Treatment Of Waste Products (AREA)
  • Paints Or Removers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인 발포비드의 코팅방법 및 발포성형물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발포비드 제조방법은, 펠렛으로 제조된 발포비드 100중량부에 대해 코팅제 6 내지 30중량부로 코팅처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발포성형물 제조방법은, 용융지수(MI)가 20이상이고, 점도가 500 내지 5000cps 인 코팅제를 비드(bead) 100중량부에 대해 6 내지 30중량부로 코팅하여 건조하는 제 1단계와, 상기 비드(bead)가 저밀도폴리에틸렌(LDPE) 인 경우에는 90 내지 120℃ 로 가열하고, 상기 비드(bead)가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EVA) 인 경우에는 80 내지 110℃ 로 가열하여 상기 비드들을 융착시키는 제 2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발포비드의 코팅 방법 및 이를 이용한 발포성형물 제조방법{A Foaming Bead Coating Method and A Foam Manufacturing Method Using Thereof}
본 발명은 발포비드의 코팅방법 및 이를 이용한 발포성형물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스팀에 의한 열융착에 의해서도 형태가 유지되는 발포비드의 코팅방법 및 이를 이용한 발포성형물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비드 발포는 미니펠렛을 고온 고압하의 오토클레이브에 발포제(CO2, 부탄 등)와 함께 넣은 후, 감압시킴으로써 얻는 방법(이하, 뱃치식(batch)이라고 명명함)과 압출기의 구조를 변경하여 발포제를 넣어 압출하면서 다이에서 감압시킨 후, 절단과정을 통해  발포비드를 만드는 방법(압출식 물리발포 혹은 연속식 물리발포로 명명함)으로 크게 나눌 수 있는데, 상업적으로는 뱃치식으로 제조한 방법이 압출식 대비 비드 물성과 성형성이 우수하다고 알려져 있으며, 전 세계적으로는 일본의 JSP, Kaneka, 그리고 독일 BASF가 상업화에 성공하였다(일본특허 제3195676호, 일본공개특허 제2007-023172호, WO96/37541). 이러한 뱃치식 제조방법으로 얻어지는 발포비드의 우수한 물리적, 성형적 특성은 높은 비율의 폐쇄 셀(closed cell) 구조와 함께 저온 용융 특성 피크 때문인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러나, 여러가지 물리적장점에도 불구하고, 제조시 생산성이 낮아 발포비드 및 발포성형물 가격이 타발포소재보다 높은 약점을 가지고 있다. 생산성에 대한 약점을 극복하고자 여러가지 압축식 물리발포 기술개발노력이 지속적으로 전개되고 있다.
대한민국공개특허 10-2011-85443호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스팀에 의한 열융착으로 비드 간의 접착력이 유지될 수 있는 발포비드의 코팅방법 및 이를 이용한 발포성형물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인 발포비드의 코팅방법은, 펠렛으로 제조된 발포비드 100중량부에 대해 코팅제 6 내지 30중량부로 코팅처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발포비드는,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공중합체, 에틸렌 부텐공중합체, 에틸렌옥텐공중합체, 저밀도폴리에틸렌, 선형저밀도폴리에틸렌, 고밀도폴리에틸렌 중에서 단독 또는 2종 이상을 병용하여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코팅제는, 용융지수(MI)가 20이상이고,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 에틸렌메틸아크릴레이트, 에틸렌에틸아크릴레이트, 에틸렌부틸아크릴레이트, 에틸렌아크릴레이트코폴리머를 코팅기재로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코팅제는, 점도가 500 내지 5000cps인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 에멀젼을 코팅기재로 사용하여 제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코팅제는, 코팅기재의 농도가 10 내지 50중량%이고, 에탄올, 알코올계, 카르복시산계, 방향족계, 할로겐탄화수소계 중 한가지 또는 2가지 이상의 것을 혼합한 용매에 용해하여 40℃ 내지 50℃에서의 점도가 500 내지 5000cps 로 제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코팅시 습식, 건식, 용융, 분무, 함침, 캐스팅 방법 중 한가지 또는 2가지 이상을 병행하여 제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코팅 후 건조를 하며, 상기 건조 방법은 열풍, 분무, 원적외선, 감압방식 중 한가지 또는 2가지 이상을 병행하여 제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인 발포성형물 제조방법은, 용융지수(MI)가 20이상인 알파올레핀계 폴리머를 코팅기재로 하고, 점도가 500 내지 5000cps 인 코팅제를 비드(bead) 100중량부에 대해 6 내지 30중량부로 코팅하여 건조하는 제 1단계와, 상기 비드(bead)가 저밀도폴리에틸렌(LDPE) 인 경우에는 90 내지 120℃ 로 가열하고, 상기 비드(bead)가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EVA) 인 경우에는 80 내지 110℃ 로 가열하여 상기 비드들을 융착시키는 제 2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발포비드의 코팅방법 및 이를 이용한 발포성형물 제조방법에서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각각의 비드들을 코팅하여, 스팀에 의한 저온에서도 간단하게 열융착시킬 수 있으며, 각각의 비드 간의 결합력이 높아 발포체의 물성이 높아지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발포성형물의 제조과정을 보인 순서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발포성형물의 제조과정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순서도.
이하, 본 발명에 의한 발포비드의 코팅방법 및 이를 이용한 발포성형물의 제조방법을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에 의한 비드발포용 비드의 제조방법은, 발포비드 100중량부에 대해 40 내지 50℃에서의 점도가 500 내지 5000cps 인 코팅제 6 내지 30중량부를 코팅하고 건조하여 제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비드는, 폴리올레핀계 수지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폴리올레핀 수지는 예를 들면,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공중합체, 에틸렌 부텐공중합체, 에틸렌옥텐공중합체, 저밀도폴리에틸렌, 선형저밀도폴리에틸렌, 고밀도폴리에틸렌 중에서 단독 또는 2종 이상을 병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 폴리올레핀계 수지는 발포시켜 비드 형상으로 형성한다. 상기 비드 발포를 수행하기 위해 장치는 특별하게 한정되지 않으며, 배치식, 압출식 비드 발포 장비 어느 것이라도 사용될 수 있다.
상기 비드의 계면 융착성을 보완하기 위해, 코팅제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코팅제는, 알파올레핀계 폴리머 즉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 에틸렌메틸아크릴레이트, 에틸렌에틸아크릴레이트, 에틸렌부틸아크릴레이트, 에틸렌아크릴레이트코폴리며를 코팅기재로 하고 용매에 용융하여 점도가 500 내지 5000cps 로 제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코팅제는 점도가 500 내지 5000cps 인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 에멀젼을 사용할 수도 있다.
상기 코팅제는,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EVA)의 경우, 용융지수(MI)가 20 이상이고, 용매에 용융시킨 코팅제의 점도가 40 내지 50℃에서 500 내지 5000cps 인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의 용융지수가 20보다 작은 경우, 용매에 용융시킨 코팅제의 점도가 5000cps 이상으로 나타나 발포비드에 코팅시키기가 어렵고, 상기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 코팅제의 점도가 500cps 보다 작은 경우, 접착력이 약해서 물성이 떨어지게 되고, 점도가 5000cps 보다 높은 경우, 점도가 높아 분산에 문제가 있어 비드계면 간의 일정한 코팅이 어려워 일정한 품질유지에 문제가 발생한다.
상기 코팅제는 에탄올, 알코올계, 카르복산계, 방향족계, 할로겐탄화수소계 중 한가지 또는 2가지 이상의 것을 혼합한 용매에 용해하여 코팅기재의 농도가 10 내지 50중량%가 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코팅제를 상기 발포비드에 코팅할 때, 습식, 건식, 용융, 분무, 함침, 캐스팅 방법 중 한가지 또는 2가지 이상을 병행하여 적용할 수 있다.
상기 코팅후 건조할 때, 열풍, 분무, 원적외선 ,감압방식 중 한가지 또는 2가지 이상을 병행하여 적용할 수 있다.
그리고, 상술한 코팅제를 이용하여 발포체를 제조하는 방법은, 용융지수(MI)가 20 이상이고, 점도가 500cps 내지 5000cps 인 코팅제를 비드(bead) 100중량부에 대해 6 내지 30중량부로 분사 및 함침방식으로 코팅하여 열풍, 분무, 원적외선, 감압방식 중 한 가지를 사용해서 건조하는 제 1단계와, 상기 비드(bead)가 저밀도폴리에틸렌(LDPE) 인 경우에는 90 내지 120℃로 가열하고, 상기 비드(bead)가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EVA) 인 경우에는 80 내지 110℃로 가열하여 상기 비드들을 융착시켜 제조할 수 있다.
이하, 상술한 방법에서와 같이, 코팅제는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EVA)와 아크릴레이트를 이용하고, 발포비드는 저밀도폴리에틸렌(LDPE)와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EVA)를 이용하여 아래의 표에서와 같은 조성으로 실험한 내용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실시예1 실시예2 실시예3 실시예4 실시예5 실시예6 실시예7 실시예8 실시예9 실시예10 실시예11 실시예12 비교예1 비교예2
LDPE Bead 100 100 100 100 100 100 - - - - - - 100 -
EVA Bead - - - - - - 100 100 100 100 100 100 - 100
Coating
polymer
1~5 6~20 21~30 1~5 6~20 21~30 1~5 6~20 21~30 1~5 6~20 21~30 - -
Acrylate MI20 EVA MI 20 EVA MI 20 EVA MI 400 - -
1. LDPE : 한화석유화학의 LDPE 5321
2. EVA : 한화석유화학의 EVA 1317
3. 아크릴레이트 : 듀폰사의 Elvaloy 741
4. EVA(MI 20) : 한화석유화학이 EVA 1533
5. EVA(MI 400) : 한화석유화학의 EVA 1520
[ 비교예 1 ]
비교예 1에서는 순수 저밀도폴리에틸렌 100중량부를 발포비드로 해서, 코팅제 없이 90 내지 120℃ 에서 스팀에 의한 열융착으로 성형하여 성형물을 제조하였다.
[ 비교예 2 ]
비교예 2에서는 순수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 100중량부를 발포비드로 해서, 코팅제 없이 80 내지 110℃ 에서 스팀에 의한 열융착으로 성형하여 성형물을 제조하였다.
[ 실시예 1 ]
실시예 1에서는 저밀도폴리에틸렌 100중량부 발포비드에 대하여, 코팅제로 용융지수가 20인 아크릴레이트를 1 내지 5중량부를 혼합하여 비드 계면에 코팅한 후 폴리머의 융착성을 고려해서 스팀성형온도 90 내지 120℃ 에서 스팀에 의한 열융착으로 성형하여 성형물을 제조하였다.
[ 실시예 2 ]
실시예 2에서는 저밀도폴리에틸렌 100중량부 발포비드에 대하여, 코팅제로 용융지수가 20인 아크릴레이트를 6 내지 20중량부를 혼합하여 비드 계면에 코팅한 후 폴리머의 융착성을 고려해서 스팀성형온도 90 내지 120℃ 에서 스팀에 의한 열융착으로 성형하여 성형물을 제조하였다.
[ 실시예 3 ]
실시예 3에서는 저밀도폴리에틸렌 100중량부 발포비드에 대하여, 코팅제로 용융지수가 20인 아크릴레이트를 21 내지 30중량부를 혼합하여 비드 계면에 코팅한 후 폴리머의 융착성을 고려해서 스팀성형온도 90 내지 120℃ 에서 스팀에 의한 열융착으로 성형하여 성형물을 제조하였다.
[ 실시예 4 ]
실시예 4에서는 저밀도폴리에틸렌 100중량부 발포비드에 대하여, 코팅제로 용융지수가 20인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를 1 내지 5중량부를 혼합하여 비드 계면에 코팅한 후 폴리머의 융착성을 고려해서 스팀성형온도 90 내지 120℃ 에서 스팀에 의한 열융착으로 성형하여 성형물을 제조하였다.
[ 실시예 5 ]
실시예 5에서는 저밀도폴리에틸렌 100중량부 발포비드에 대하여, 코팅제로 용융지수가 20인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를 6 내지 20중량부를 혼합하여 비드 계면에 코팅한 후 폴리머의 융착성을 고려해서 스팀성형온도 90 내지 120℃ 에서 스팀에 의한 열융착으로 성형하여 성형물을 제조하였다.
[ 실시예 6 ]
실시예 6에서는 저밀도폴리에틸렌 100중량부 발포비드에 대하여, 코팅제로 용융지수가 20인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를 21 내지 30중량부를 혼합하여 비드 계면에 코팅한 후 폴리머의 융착성을 고려해서 스팀성형온도 90 내지 120℃ 에서 스팀에 의한 열융착으로 성형하여 성형물을 제조하였다.
[ 실시예 7 ]
실시예 7에서는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 100중량부 발포비드에 대하여, 코팅제로 용융지수가 20인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를 1 내지 5중량부를 혼합하여 비드 계면에 코팅한 후 폴리머의 융착성을 고려해서 스팀성형온도 80 내지 110℃ 에서 스팀에 의한 열융착으로 성형하여 성형물을 제조하였다.
[ 실시예 8 ]
실시예 8에서는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 100중량부 발포비드에 대하여, 코팅제로 용융지수가 20인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를 6 내지 20중량부를 혼합하여 비드 계면에 코팅한 후 폴리머의 융착성을 고려해서 스팀성형온도 80 내지 110℃ 에서 스팀에 의한 열융착으로 성형하여 성형물을 제조하였다.
[ 실시예 9 ]
실시예 9에서는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 100중량부 발포비드에 대하여, 코팅제로 용융지수가 20인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를 21 내지 30중량부를 혼합하여 비드 계면에 코팅한 후 폴리머의 융착성을 고려해서 스팀성형온도 80 내지 110℃ 에서 스팀에 의한 열융착으로 성형하여 성형물을 제조하였다.
[ 실시예 10 ]
실시예 10에서는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 100중량부 발포비드에 대하여, 코팅제로 용융지수가 400인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를 1 내지 5중량부를 혼합하여 비드 계면에 코팅한 후 폴리머의 융착성을 고려해서 스팀성형온도 80 내지 110℃ 에서 스팀에 의한 열융착으로 성형하여 성형물을 제조하였다.
[ 실시예 11 ]
실시예 11에서는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 100중량부 발포비드에 대하여, 코팅제로 용융지수가 400인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를 6 내지 20중량부를 혼합하여 비드 계면에 코팅한 후 폴리머의 융착성을 고려해서 스팀성형온도 80 내지 110℃ 에서 스팀에 의한 열융착으로 성형하여 성형물을 제조하였다.
[ 실시예 12 ]
실시예 12에서는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 100중량부 발포비드에 대하여, 코팅제로 용융지수가 400인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를 21 내지 30중량부를 혼합하여 비드 계면에 코팅한 후 폴리머의 융착성을 고려해서 스팀성형온도 80 내지 110℃ 에서 스팀에 의한 열융착으로 성형하여 성형물을 제조하였다.
상술한 바와 같은 비교예 1, 비교예 2 및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11을 각각, 인장강도, 신장율, 인열강도(split tear), 영구압축줄음률(compression set)을 분석하여 표 2에서와 같이 나타냈다.

실시예1 실시예2 실시예3 실시예4 실시예5 실시예6 실시예7 실시예8 실시예9 실시예10 실시예11 실시예12 비교예1 비교예2
인장강도 7.3 9.2 8.0 7.4 10.5 8.0 9.2 13.0 10.5 9.9 15.2 12.1 7.5 9.3
신장율 30 40 30 30 60 40 50 80 60 50 100 60 30 50
split tear 1.0 2.2 1.5 1.1 2.3 1.4 1.5 2.4 1.8 1.4 2.3 1.7 1.1 1.5
Compression set 102 93 95 100 87 90 87 77 79 83 75 78 101 90
표 2에서 나타난 바와 같이, 비교예 1과 실시예 1 내지 6의 비교 결과, 발포비드를 저밀로폴리에틸렌을 사용한 경우에는, 코팅제로 아크릴레이트와, 에틸렌아세테이트를 사용한 경우가 인장강도와 신장율, 인열강도 및 영구압축줄음률이 좋아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특히, 상기 코팅제로 아크릴레이트 보다는 에틸렌아세테이트를 사용한 경우가 물성이 더욱 좋아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코팅제는 6 내지 30중량부로 혼합되는 경우에, 물성이 좋으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코팅제가 6 내지 20중량부로 혼합되는 경우가 가장 좋다.
또한, 비교예 2와 실시예 7 내지 12의 비교 결과, 발포비드를 에틸렌아세테이트를 사용한 경우에는, 코팅제로 에틸렌아세테이트를 사용한 경우가 인장강도와 신장율, 인열강도가 좋아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특히, 상기 코팅제는 6 내지 30중량부로 혼합되는 경우에, 물성이 좋으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코팅제가 6 내지 20중량부로 혼합되는 경우가 가장 좋다.
그리고, 상기 에틸렌아세테이트의 경우, 용융지수가 20 보다는 400 인 경우가 물성이 더욱 좋아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상기 코팅제는 용융지수가 20 내지 400인 에틸렌아세테이트를 상기 발포비드 100중량부에 대해 6 내지 30중량부를 혼합하였을 때 가장 물성이 좋은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코팅제가 6 내지 20중량부로 혼합되는 경우가 가장 좋다.
이하, 상술한 방법에서와 같이, 코팅제는 에틸렌 비닐아세테이트 에멀젼을 이용하고, 발포비드는 저밀도폴리에틸렌(LDPE)와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EVA)를 이용하여 아래의 표에서와 같은 조성으로 실험한 내용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실시예13 실시예14 실시예15 실시예16 실시예17 실시예18 비교예1 비교예2
Low density poly ethylene Bead 100 100 100 - - - 100 -
Ethylene vinyl Bead - - - 100 100 100 - 100
Coating agent
polymer 50%
1~5 6~20 21~30 1~5 6~20 21~30 - -
ethylene vinyl acetate emulsion - -
[ 실시예 13 ]
실시예 13에서는 저밀도폴리에틸렌 100중량부 발포비드에 대하여, 코팅제로 점도가 500내지 5000cps인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 에멀젼을 1내지 5중량부를 혼합하여 비드 계면에 코팅한 후 폴리머의 융착성을 고려해서 스팀성형온도 90 내지 120℃ 에서 스팀에 의한 열융착으로 성형하여 성형물을 제조하였다.
[ 실시예 14 ]
실시예 14에서는 저밀도폴리에틸렌 100중량부 발포비드에 대하여, 코팅제로 점도가 500내지 5000cps인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 에멀젼을 6내지 20중량부를 혼합하여 비드 계면에 코팅한 후 폴리머의 융착성을 고려해서 스팀성형온도 90 내지 120℃ 에서 스팀에 의한 열융착으로 성형하여 성형물을 제조하였다.
[ 실시예 15 ]
실시예 14에서는 저밀도폴리에틸렌 100중량부 발포비드에 대하여, 코팅제로 점도가 500내지 5000cps인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 에멀젼을 21내지 30중량부를 혼합하여 비드 계면에 코팅한 후 폴리머의 융착성을 고려해서 스팀성형온도 90 내지 120℃ 에서 스팀에 의한 열융착으로 성형하여 성형물을 제조하였다.
[ 실시예 16 ]
실시예 16에서는 저밀도폴리에틸렌 100중량부 발포비드에 대하여, 코팅제로 점도가 500내지 5000cps인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 에멀젼을 1내지 5중량부를 혼합하여 비드 계면에 코팅한 후 폴리머의 융착성을 고려해서 스팀성형온도 80 내지 110℃ 에서 스팀에 의한 열융착으로 성형하여 성형물을 제조하였다.
[ 실시예 17 ]
실시예 17에서는 저밀도폴리에틸렌 100중량부 발포비드에 대하여, 코팅제로 점도가 500내지 5000cps인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 에멀젼을 6내지 20중량부를 혼합하여 비드 계면에 코팅한 후 폴리머의 융착성을 고려해서 스팀성형온도 80 내지 110℃ 에서 스팀에 의한 열융착으로 성형하여 성형물을 제조하였다.
[ 실시예 18 ]
실시예 16에서는 저밀도폴리에틸렌 100중량부 발포비드에 대하여, 코팅제로 점도가 500내지 5000cps인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 에멀젼을 21내지 30중량부를 혼합하여 비드 계면에 코팅한 후 폴리머의 융착성을 고려해서 스팀성형온도 80 내지 110℃ 에서 스팀에 의한 열융착으로 성형하여 성형물을 제조하였다.
상술한 바와 같은 비교예 1, 비교예 2 및 실시예 13 내지 실시예 18을 각각, 인장강도, 신장율, 인열강도(split tear), 영구압축줄음률(compression set)을 분석하여 표 4에서와 같이 나타냈다.

실시예13 실시예14 실시예15 실시예16 실시예17 실시예18 비교예1 비교예2
인장강도 7.2 11.7 9.2 10.1 16.5 11.9 7.5 9.3
신장율 20 50 40 40 100 60 30 50
split tear 1.0 2.0 1.5 1.3 2.35 1.8 1.1 1.5
Compression set 99 87 90 80 71 75 101 90
표 4에서 나타난 바와 같이, 비교예 1과 실시예 13 내지 15의 비교 결과, 발포비드를 저밀로폴리에틸렌을 사용한 경우에는,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 에멀젼을 사용하는 것이 영구압축줄음률이 좋아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코팅제는 6 내지 30중량부로 혼합되는 경우에, 물성이 좋으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코팅제가 6 내지 20중량부로 혼합되는 경우가 가장 좋다.
또한, 비교예 2와 실시예 16 내지 18의 비교 결과, 발포비드를 에틸렌아세테이트를 사용한 경우에는, 코팅제로 에틸렌아세테이트 에멀젼을 사용한 경우가 인장강도와 신장율, 인열강도가 좋아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특히, 상기 코팅제는 6 내지 30중량부로 혼합되는 경우에, 물성이 좋으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코팅제가 6 내지 20중량부로 혼합되는 경우가 가장 좋다.
결과적으로, 상기 코팅제는 상기 발포비드 100중량부에 대해 6 내지 30중량부를 혼합하였을 때 가장 물성이 좋은 것을 확인할 수 있으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코팅제가 6 내지 20중량부로 혼합되는 경우가 가장 좋다.
본 발명의 권리는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청구범위에 기재된 바에 의해 정의되며, 본 발명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청구범위에 기재된 권리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과 개작을 할 수 있다는 것은 자명하다.

Claims (8)

  1. 펠렛으로 제조된 발포비드 100중량부에 대해 코팅제 6 내지 30중량부로 코팅처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포비드의 코팅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발포비드는,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공중합체, 에틸렌 부텐공중합체, 에틸렌옥텐공중합체, 저밀도폴리에틸렌, 선형저밀도폴리에틸렌, 고밀도폴리에틸렌 중에서 단독 또는 2종 이상을 병용하여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포비드의 코팅방법.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코팅제는,
    용융지수(MI)가 20이상이고,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 에틸렌메틸아크릴레이트, 에틸렌에틸아크릴레이트, 에틸렌부틸아크릴레이트, 에틸렌아크릴레이트코폴리머를 코팅기재로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포비드의 코팅방법.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코팅제는,
    점도가 500 내지 5000cps인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 에멀젼을 코팅기재로 사용하여 제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포비드의 코팅방법.
  5. 제 3항 및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코팅제는,
    코팅기재의 농도가 10 내지 50중량%이고,
    에탄올, 알코올계, 카르복시산계, 방향족계, 할로겐탄화수소계 중 한가지 또는 2가지 이상의 것을 혼합한 용매에 용해하여 40℃ 내지 50℃에서의 점도가 500 내지 5000cps 로 제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포비드의 코팅방법.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코팅시 습식, 건식, 용융, 분무, 함침, 캐스팅 방법 중 한가지 또는 2가지 이상을 병행하여 제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포비드의 코팅 방법.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코팅 후 건조를 하며, 상기 건조 방법은 열풍, 분무, 원적외선, 감압방식 중 한가지 또는 2가지 이상을 병행하여 제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포비드의 코팅 방법.
  8. 용융지수(MI)가 20이상인 알파올레핀계 폴리머를 코팅기재로 하고, 점도가 500 내지 5000cps 인 코팅제를 비드(bead) 100중량부에 대해 6 내지 30중량부로 코팅하여 건조하는 제 1단계;
    상기 비드(bead)가 저밀도폴리에틸렌(LDPE) 인 경우에는 90 내지 120℃ 로 가열하고, 상기 비드(bead)가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EVA) 인 경우에는 80 내지 110℃ 로 가열하여 상기 비드들을 융착시키는 제 2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포성형물 제조방법.
KR1020150169837A 2015-12-01 2015-12-01 발포비드의 코팅 방법 및 이를 이용한 발포성형물 제조방법 KR2017007729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69837A KR20170077299A (ko) 2015-12-01 2015-12-01 발포비드의 코팅 방법 및 이를 이용한 발포성형물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69837A KR20170077299A (ko) 2015-12-01 2015-12-01 발포비드의 코팅 방법 및 이를 이용한 발포성형물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77299A true KR20170077299A (ko) 2017-07-06

Family

ID=593541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69837A KR20170077299A (ko) 2015-12-01 2015-12-01 발포비드의 코팅 방법 및 이를 이용한 발포성형물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70077299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100797A (ko) 2021-12-28 2023-07-06 한국신발피혁연구원 접착 특성이 우수한 고탄성 발포비드 및 이의 제조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100797A (ko) 2021-12-28 2023-07-06 한국신발피혁연구원 접착 특성이 우수한 고탄성 발포비드 및 이의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09242811A5 (ko)
JP5042036B2 (ja) ポリアミドフォーム、これらの製造方法、およびこれらの用途
TWI444417B (zh) Polypropylene resin foamed beads and molded articles thereof
EP2217644B1 (en) Process for making fluoropolymer foams with the use of blowing agents
US7413785B2 (en) Heat-recoverable foam tubing
TWI687475B (zh) 多孔質膜及收納袋
JPH0739501B2 (ja) 無架橋直鎖状低密度ポリエチレン予備発泡粒子
US20180319062A1 (en) Molded-foam production process and molded foam
TW202039665A (zh) 製造發泡體材料之新穎發泡方法
US20170334104A1 (en) Process for Producing a Foam Film Laminate and Use Thereof
KR20170077299A (ko) 발포비드의 코팅 방법 및 이를 이용한 발포성형물 제조방법
TWI552875B (zh) 樹脂發泡片材及樹脂發泡片材之製造方法
JP3735538B2 (ja) 発泡能力を有するポリオレフィン系樹脂組成物、その製造方法及び該組成物を用いた発泡構造体の製造方法
KR101389099B1 (ko) 연속기포 구조를 갖는 발포체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발포체
JP2004249558A (ja) 表皮付発泡体
CN105713147A (zh) 一种辐照交联同轴电缆用材料及其制备方法
CN102344596B (zh) 再回收性优异的交联聚烯烃类连续气泡发泡体、其制备方法以及面罩用缓冲材料
JP3667101B2 (ja) 無架橋ポリプロピレン系樹脂製押出発泡シートの製造方法
JP2709395B2 (ja) 発泡用無架橋直鎖状低密度ポリエチレン樹脂粒子及び無架橋直鎖状低密度ポリエチレン発泡粒子の製造方法
EP3116948B1 (en) High temperature non-crosslinked polyethylene-based foam and methods of making the same
JPH0647273B2 (ja) 積層発泡成形体の製造方法
JP2001239539A (ja) 液晶ポリマー強化発泡体の製造方法
JP4569238B2 (ja) 熱可塑性樹脂発泡シートの真空成形方法
JP3982310B2 (ja) ポリオレフィン系樹脂組成物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634222B2 (ja) 発泡シート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