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76746A - 음료 공급 장치 - Google Patents

음료 공급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76746A
KR20170076746A KR1020177014141A KR20177014141A KR20170076746A KR 20170076746 A KR20170076746 A KR 20170076746A KR 1020177014141 A KR1020177014141 A KR 1020177014141A KR 20177014141 A KR20177014141 A KR 20177014141A KR 20170076746 A KR20170076746 A KR 2017007674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yrup
beverage
water
main
mix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70141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613814B1 (ko
Inventor
사토시 쿠보이
아츠시 마키노
아키라 고이츠카
후미히로 타카하시
Original Assignee
더 코카콜라 컴파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더 코카콜라 컴파니 filed Critical 더 코카콜라 컴파니
Publication of KR2017007674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7674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1381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1381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1/00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 B67D1/0015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the beverage being prepared by mixing at least two liquid components
    • B67D1/0021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the beverage being prepared by mixing at least two liquid components the components being mixed at the time of dispensing, i.e. post-mix dispensers
    • B67D1/0022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the beverage being prepared by mixing at least two liquid components the components being mixed at the time of dispensing, i.e. post-mix dispensers the apparatus comprising means for automatically controlling the amount to be dispensed
    • B67D1/0027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the beverage being prepared by mixing at least two liquid components the components being mixed at the time of dispensing, i.e. post-mix dispensers the apparatus comprising means for automatically controlling the amount to be dispensed control of the amount of one component, the amount of the other components(s) being dependent on that contro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1/00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 B67D1/08Details
    • B67D1/0888Means comprising electronic circuitry (e.g. control panels, switching or controll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1/00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 B67D1/0042Details of specific parts of the dispensers
    • B67D1/0057Carbona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1/00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 B67D1/08Details
    • B67D1/0878Safety, warning or controlling devices
    • B67D1/0882Devices for controlling the dispensing condi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1/00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 B67D1/08Details
    • B67D1/0889Supports
    • B67D1/0894Supports for the vessel to be filled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1/00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 B67D1/0015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the beverage being prepared by mixing at least two liquid components
    • B67D1/0021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the beverage being prepared by mixing at least two liquid components the components being mixed at the time of dispensing, i.e. post-mix dispens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1/00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 B67D1/04Apparatus utilising compressed air or other gas acting directly or indirectly on beverages in storage containers
    • B67D1/0406Apparatus utilising compressed air or other gas acting directly or indirectly on beverages in storage containers with means for carbonating the beverage, or for maintaining its carbon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AREA)

Abstract

음료 공급 장치는 메인 음료를 형성하기 위해 물 또는 탄산수로 희석되는 다수의 시럽 탱크에 저장된 상이한 종류의 시럽으로부터 메인 시럽을 선택하는 조작을 수신하고, 메인 음료에 향미로서 추가되는 토핑 시럽을 선택하는 조작을 수신하는 터치 패널을 포함할 수 있다. 음료 공급 장치는 또한 물 또는 탄산수를 기 설정 비율로 메인 시럽과 혼합하는 것에 의해 메인 음료가 생성된 후 희석되지 않은 토핑 시럽이 음료를 생성하기 위해 메인 음료와 혼합되는 노즐을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음료 공급 장치{BEVERAGE SUPPLY APPARATUS}
본 출원은 전반적으로 다수의 시럽 공급부로부터 다수의 음료를 공급하는 음료 공급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음료 공급 장치는 시럽과 희석수를 혼합한 후 혼합 음료를 공급하여 음료를 생성할 수 있다. 이러한 종류의 음료 공급 장치는 정상적으로 다수의 종류의 상이한 음료를 생성하고 공급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음료 공급 장치는 생성될 음료를 선택하는 조작을 수신하는 버튼을 포함할 수 있다. 버튼이 눌리면, 음료의 생성에 필요한 시럽이 다수의 시럽 탱크에 저장된 상이한 종류의 시럽으로부터 배출된다. 동시에, 음료 공급 장치는 음료를 생성하기 위해 시럽과 혼합되는 희석수를 배출할 수 있다.
특허 문헌 1(JP 3947914 B2)은 이러한 종류의 음료 공급 장치의 일 예를 개시한다. 가스 압력이 시럽 탱크에 저장된 시럽에 가해질 수 있고, 시럽이 배출되어 물로 희석되도록 시럽 공급 채널에 위치된 솔레노이드 밸브가 단속적으로 개방되고 폐쇄될 수 있다.
그러나, 음료 향미 면에서 제한된 옵션이 특허 문헌 1에 설명된 기술과 관련한 문제일 수 있다. 음료를 생성하는 데에 사용되는 시럽의 종류가 한 종류만으로 제한될 수 있다. 또한, 음료 향미 면에서 막대한 수의 옵션을 제공하기 위해 두 종류의 시럽을 혼합하는 것을 고려할 수 있다. 그러나, 특허 문헌 1에 설명된 기술은 두 종류의 시럽을 혼합하는 것을 기반으로 하지 않으며, 시럽이 혼합되어야 하는 방법에 대한 제시가 없다.
예를 들면, 두 종류의 시럽의 향미를 간단히 혼합하는 것에 의해 두 종류의 시럽의 향미 사이의 균형이 충분히 인정될 수 있는 음료를 생성하기 어려울 수 있다. 따라서, 두 종류의 시럽의 향미 사이의 균형이 충분히 인정될 수 있는 음료의 간단한 생성을 가능하게 하는 기술을 개발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본 출원의 목적은 다수의 향미의 시럽이 혼합되더라도 음료 향미가 적절하게 조절되도록 하면서 음료 향미 면에서 옵션의 수를 효과적으로 증가시킬 수 있는 음료 공급 장치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따라서, 본 출원은 다수의 종류의 음료를 공급하는 음료 공급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음료 공급 장치는 다수의 시럽 탱크에 저장되고 메인 음료를 형성하기 위해 물 또는 탄산수로 희석되는 상이한 종류의 시럽으로부터 제1 시럽을 선택하는 조작을 수신하고, 메인 음료에 향미로서 추가되는 제2 시럽을 선택하는 조작을 수신하는 조작 수신부와, 물 또는 탄산수를 기 설정 비율로 제1 시럽과 혼합하는 것에 의해 메인 음료가 생성되고 희석되지 않은 제2 시럽이 음료를 생성하기 위해 메인 음료와 혼합되는 혼합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출원은 이에 따라 다수의 향미의 시럽이 혼합되더라도 음료 향미가 적절하게 조절되도록 하면서 음료 향미 면에서 옵션의 수를 효과적으로 증가시킬 수 있다.
본 출원의 이러한 특징 및 개선 및 다른 특징 및 개선과, 그 결과에 따른 특허는 여러 도면 및 첨부된 청구범위와 함께 후술하는 상세한 설명을 검토하는 것에 의해 당업자에게 명백하게 될 것이다.
도 1은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음료 공급 장치의 전방 평면도이다.
도 2는 전면 도어가 개방된 도 1에 따른 음료 공급 장치의 내부를 도시하는 전방 평면도이다.
도 3은 도 1에 따른 음료 공급 장치의 외부 구성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1에 따른 음료 공급 장치의 기능 블록도이다.
도 5는 도 1에 따른 음료 공급 장치를 제어하는 데에 사용될 수 있는 데이터 테이블이다.
이제, 여러 도면 전체에서 동일 부호가 동일 요소에 부여된 도면을 참조하여, 먼저,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음료 공급 장치(100)의 구성의 예를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음료 공급 장치(100)의 전방 평면도이다. 도 2는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전면 도어가 개방된 음료 공급 장치(100)의 내부를 도시하는 전방 평면도이다. 도 3은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음료 공급 장치(100)의 외부 구성의 사시도이다.
도 1은 음료 공급 장치(100)의 예를 도시한다. 음료 공급 장치(100)는 전면 도어(1) 상에 터치 패널(2)을 포함할 수 있다. 전면 도어(1)는 개폐될 수 있다. 터치 패널(2)은 음료 공급 장치(100)의 사용자에게 음료 옵션을 표시하고 사용자에 의해 수행된 음료 선택 조작을 수신하는 조작 수신부를 구성한다.
구체적으로, 터치 패널(2)은 메인 음료를 생성하기 위해 탄산수로 희석될 수 있는 메인 시럽용 옵션과 향미로서 메인 음료에 추가될 수 있는 토핑 시럽용 옵션을 표시한다. 터치 패널(2)은 이에 따라 메인 시럽 및 토핑 시럽을 선택하는 사용자의 조작을 수신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물리적 버튼(3a~3c)이 터치 패널(2) 아래에 구비될 수 있다. 물리적 버튼(3a~3c)은 음료의 배출을 명령하는 사용자 조작을 수신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용기(글라스, 컵 등)를 놓는 용기 배치 장소(4a~4c)가 물리적 버튼(3a~3c) 아래에 구비될 수 있다.
물리적 버튼(3a)은 용기 배치 장소(4a)에 대응하며,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은 희석수 노즐(5a) 및 시럽 노즐(40)에도 대응한다. 마찬가지로, 물리적 버튼(3b)은 용기 배치 장소(4b)에 대응하며,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은 노즐(5b)에도 대응한다. 물리적 버튼(3c)은 용기 배치 장소(4c)에 대응하며,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은 희석수 노즐(5c), 시럽 노즐(41) 및 탄산수 노즐(42)에도 대응한다.
사용자가 터치 패널(2)에 음료 선택 조작을 한 후에는, 사용자는 용기 배치 장소(4a~4c) 중 하나에 용기를 놓고, 물리적 버튼(3a~3c) 중 하나를 누른다. 물리적 버튼(3a)이 눌리면, 예를 들면, 도 2에 도시된 백 인 박스(bag-in-box)(이하, "BIB"라 한다)(6) 내측의 시럽이 BIB 튜브 펌프(26)를 통하여 시럽 노즐(40)로부터 배출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배출 유동이 형성된다. 시럽 배출 유동은 희석수 노즐(5a)로부터의 희석수 배출 유동과 충돌할 수 있고, 희석수 배출 유동과 혼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음료가 생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생성된 음료는 용기 배치 장소(4a)에 놓인 용기로 공급될 수 있다.
물리적 버튼(3b)이 눌리면, 예를 들면, 음료가 생성되도록 시럽 및 희석수 및/또는 탄산수가 노즐(5b) 내에서 혼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생성된 음료는 노즐(5b)로부터 배출될 수 있고, 용기 배치 장소(4b)에 놓인 용기로 공급될 수 있다.
물리적 버튼(3c)이 눌리면, 예를 들면, 도 2에 도시된 BIB(7) 내측의 시럽이 BIB 튜브 펌프(27)를 통하여 시럽 노즐(41)로부터 배출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배출 유동이 형성된다. 시럽 배출 유동은 희석수 노즐(5c)로부터 배출된 희석수 배출 유동과 충돌할 수 있고/있거나, 탄산수 노즐(42)로부터 배출된 탄산수 배출 유동과 충돌할 수 있고, 희석수 배출 유동 및/또는 탄산수 배출 유동과 혼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음료가 생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생성된 음료는 용기 배치 장소(4c)에 놓인 용기로 공급될 수 있다.
물리적 버튼(3a~3c)이 눌리는 동안 상술한 음료 각각이 용기로 공급될 수 있다는 것에 주목하여야 한다. 또한, 탄산수 노즐(42)이 동일하게 BIB(6) 측에 구비될 수 있거나, BIB(6) 측 및 BIB(7) 측 모두에 동일하게 구비될 수 있다.
BIB'(6, 7)는 냉장 영역 내에 구비될 수 있다. 냉장이 필요한 시럽이 BIB'(6, 7) 내에 보관될 수 있다. 또한, 냉장을 필요로 하지 않는 시럽은 도 3을 참조하여 추후에 설명될 시럽 탱크(10) 내측에 수용될 수 있다. 여기에서, 본 실시예에서 언급된 "시럽"은 설탕을 함유한 농축액을 포함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설탕을 포함하지 않는 농축액(예를 들면, 녹차, 홍차 등의 희석되지 않은 용액)을 포함할 수 있다.
노즐(5b)은, 물 또는 탄산수를 메인 시럽과 기 설정 비율로 혼합하는 것에 의해 메인 음료가 생성되며, 음료(이하, "향미 첨가 음료"라 한다)를 생성하기 위해 희석되지 않은 토핑 시럽이 메인 음료와 혼합될 수 있는, 혼합부를 구성할 수 있다. 노즐(5b) 내에서 생성된 향미 첨가 음료는 노즐(5b)로부터 용기 배치 장소(4b)에 놓인 용기 내로 배출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두 종류의 시럽, 즉, 메인 시럽 및 토핑 시럽을 혼합하는 것에 의해 사용자에게 제공되는 음료의 향미를 위한 옵션을 상당히 증가시키는 것이 가능할 수 있다. 메인 시럽과 동일한 시럽, 즉, 약 1:3 내지 약 1:10의 희석 비율을 갖는 표준 시럽이 토핑 시럽으로서 사용될 수 있다. "표준 시럽"은 전용 토핑 시럽(약 1:120 내지 약 1:180의 희석 비율을 가짐)이 아닐 수 있고, 오히려, "표준 시럽"은 한 번 희석된 그 자체 그대로 사용자에 의해 소비될 수 있는 시럽일 수 있다. 여기에서, 메인 시럽 및 토핑 시럽은 도 3에 도시된 시럽 탱크(10) 내에 수용될 수 있다. 또한, 노즐(5b)은 향미 첨가 음료를 배출하는 것 이외에도 물 또는 탄산수만을 배출한다는 것에 주목하여야 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음료 공급 장치(100)는 정화 필터(8), 이산화탄소 가스 실린더(9) 및 다수의 시럽 탱크(10)를 구비할 수 있다. 정화 필터(8)는 편조(braided) 튜브(11)로부터 공급된 수돗물을 정화할 수 있고, 정화된 물을 편조 튜브(12)를 통하여 음료 공급 장치(100) 내측으로 공급할 수 있다. 편조 튜브(12)는 음료 공급 장치(100) 내측에 구비된 카보네이터(carbonator)(미도시), 희석수 노즐(5a, 5c) 및 노즐(5b)에 연결될 수 있다.
이산화탄소 가스 실린더(9)는 압축 이산화탄소 가스를 저장할 수 있다. 이산화탄소 가스는 가스 레귤레이터(13)에 의해 설정될 수 있는 기 설정 압력(예를 들면, 약 0.6 MPa)으로 편조 튜브(14)를 통하여 카보네이터로 공급될 수 있다. 이산화탄소 가스는 가스 레귤레이터(13)에 의해 설정된 기 설정 압력(예를 들면, 약 0.2 MPa) 압력으로 편조 튜브(15)를 통하여 시럽 탱크(10) 각각으로 공급될 수 있다. 다수의 시럽 탱크(10)는 상이한 시럽을 저장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이러한 시럽이 메인 시럽 또는 토핑 시럽으로서 사용될 수 있다. 시럽은 이산화탄소 가스 실린더(9)로부터 공급된 가스 압력에 의해 밀려나와 편조 튜브(16)를 통하여 노즐(5b)로 공급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4를 참조하여,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음료 공급 장치(100)의 기능 및 음료를 공급하는 제어 처리를 설명한다. 도 4는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음료 공급 장치(100)의 기능 블록도이다.
음료 공급 장치(100)는, 도 1에 도시된 터치 패널(2) 및 물리적 버튼(3a~3c) 이외에도, 제어 유닛(20), 메모리 유닛(21), 물 솔레노이드 밸브(23), 탄산수 솔레노이드 밸브(24), 시럽 솔레노이드 밸브(25) 및 다수의 BIB 튜브 펌프(26, 27)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 유닛(20)은 중앙 처리 유닛(CPU)와 같은 제어 장치일 수 있다. 제어 유닛(20)은 음료 공급 장치(100)에 구비되는 기능 유닛을 제어한다. 메모리 유닛(21)은 읽기 전용 기억 장치(ROM) 또는 임의 접근 기억 장치(RAM)와 같은 메모리 장치일 수 있다. 예를 들면, 메모리 유닛(21)은 아래에서 보다 상세하게 설명될 데이터 테이블(22) 등을 저장한다. 제어 유닛(20)은 메모리 유닛(21)으로부터 판독된 데이터에 따라 음료 공급(생성, 배출)을 제어할 수 있고 터치 패널(2)을 제어할 수 있다.
사용자가 터치 패널(2)에서 음료를 선택하는 조작을 하면, 제어 유닛(20)은 메모리 유닛(21)으로부터 선택된 음료와 연관된 데이터를 판독할 수 있고, 데이터에 따라 음료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이 데이터는, 메인 시럽 및 토핑 시럽의 조합과 연관되어 등록될 수 있는 물, 탄산수, 메인 시럽 및 토핑 시럽의 희석 비율과 연관된 데이터; 희석 비율에 따라 솔레노이드 밸브(물 솔레노이드 밸브(23), 탄산수 솔레노이드 밸브(24) 및 시럽 솔레노이드 밸브(25))의 개방/폐쇄 제어를 위한 설정 데이터; 및 BIB 튜브 펌프(26, 27)의 구동을 제어하기 위한 설정 데이터를 구성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음료 공급 장치(100)는 물 또는 탄산수를 메인 시럽과 기 설정 비율로 혼합하는 것에 의해 메인 음료를 생성할 수 있고, 그런 다음, 음료를 생성하기 위해 희석되지 않은 토핑 시럽을 메인 음료와 혼합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어 유닛(20)은, 메인 시럽 및 토핑 시럽의 조합에 따라, 물 또는 탄산수가 메인 시럽과 혼합될 때의 상술한 기 설정 비율을 변경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메인 시럽 및 토핑 시럽의 조합과 관계 없이, 주어진 범위 내에서 생성된 음료의 설탕 함량 등을 유지할 수 있다.
후술하는 설명은 물, 탄산수, 메인 시럽 및 토핑 시럽의 공급이 솔레노이드 밸브의 개방/폐쇄에 의해 제어되는 경우와 연관되지만, 이러한 공급은 펌프 등에 의해 동등하게 제어될 수 있다는 것에 주목하여야 한다.
터치 패널(2)에서 음료를 선택하는 조작이 사용자에 의해 수행되면, 제어 유닛(20)은 메모리 유닛(21)으로부터 테이블(22)을 판독할 수 있다. 테이블(22)은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음료에 대응하는 물리적 버튼(3a~3c)을 나타내는 정보를 구성한다. 테이블(22)의 일 예가 도 5에 도시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관련 브랜드의 음료가 배출되는 노즐(5a~5c)과 대응하는 물리적 버튼(3a~3c)(관련 브랜드의 음료가 배출되는 용기 배치 장소(4a~4c)와 대응하는 물리적 버튼(3a~3c))과 연관된 정보가 음료 브랜드와 연관되어 테이블(22)에 등록될 수 있다. 브랜드는 도 5에 문자로 표시된다는 것에 주목하여야 한다.
예를 들면, 브랜드 D는 테이블(22) 내의 물리적 버튼(3a)과 연관된다. 브랜드 D의 음료가 사용자에 의해 선택되고, 물리적 버튼(3a)이 눌리면, 이에 따라, 상술한 방식으로 생성된 브랜드 D의 음료가 물리적 버튼(3a)에 대응하는 용기 배치 장소(4a)에 놓인 용기로 공급된다. 브랜드 G는 테이블(22) 내의 물리적 버튼(3b)과 연관된다. 브랜드 G의 음료가 사용자에 의해 선택되고, 물리적 버튼(3b)이 눌리면, 이에 따라, 상술한 방식으로 생성된 브랜드 G의 음료가 물리적 버튼(3b)에 대응하는 용기 배치 장소(4b)에 놓인 용기로 공급된다. 브랜드 A~C, E, F 및 H~J, 물 및 탄산수가 물리적 버튼(3c)과 연관될 수 있다. 브랜드 A~C, E, F 및 H~J 중 어느 하나인 음료, 물 또는 탄산수가 사용자에 의해 선택되고 물리적 버튼(3c)이 눌리면, 이에 따라, 상술한 방식으로 생성된 음료(예를 들면, 향미 첨가 음료, 물 또는 탄산수)가 물리적 버튼(3c)에 대응하여 용기 배치 장소(4c)에 놓인 용기로 공급된다. 물 및 탄산수는 브랜드가 아니지만, 편의를 위해, 이 실시예에서는, 물 및 탄산수가 일종의 브랜드로 다루어진다는 점을 주목하여야 한다.
제어 유닛(20)이 물리적 버튼(3a~3c) 중 하나가 눌러진 것을 검출하면, 제어 유닛(20)은 눌러진 물리적 버튼(3a~3c)에 대응하는 노즐(희석수 노즐(5a, 5c), 노즐(5b) 또는 시럽 노즐(40, 41))로 물, 탄산수, 메인 시럽 또는 토핑 시럽을 공급하기 위해 솔레노이드 밸브(23~25)을 개방하고 폐쇄는 것 또는 BIB 튜브 펌프(26, 27)를 구동시키는 것을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어 조작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브랜드 A~C, E, F 및 H~J 중 임의의 브랜드의 음료가 사용자에 의해 선택되고 물리적 버튼(3c)이 눌리면, 제어 유닛(20)은 물 솔레노이드 밸브(23) 및/또는 탄산수 솔레노이드 밸브(24)를 개방 상태로 설정하면서도, 선택된 브랜드의 시럽(메인 시럽)이 저장될 수 있는 시럽 탱크(10) 및 노즐(5c) 사이에 구비되는 시럽 솔레노이드 밸브(25)를 개방 상태로 설정한다. 물 솔레노이드 밸브(23) 및 탄산수 솔레노이드 밸브(24)가 개방 상태로 설정되면, 제어 유닛(20)은 물 솔레노이드 밸브(23) 및 탄산수 솔레노이드 밸브(24)를 교대로 개방 상태로 설정할 수 있거나, 이 솔레노이드 밸브들을 동시에 개방 상태로 설정할 수 있다는 것에 주목하여야 한다. 이에 따라, 시럽 및 물 및/또는 탄산수가 노즐(5c) 내에서 혼합될 수 있고, 이에 따라 얻어진 음료가 노즐(5c)로부터 배출될 수 있다.
향미 첨가 음료가 사용자에 의해 선택되면, 제어 유닛(20)은, 메인 시럽이 저장된 시럽 탱크(10) 및 노즐(5c) 사이에 구비된 시럽 솔레노이드 밸브(25)를 개방 상태로 설정하는 것에 더하여,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향미(예를 들면, 오렌지 또는 포도와 같은 과일향)의 토핑 시럽이 저장된 시럽 탱크(10) 및 노즐(5c) 사이에 구비된 시럽 솔레노이드 밸브(25)를 개방 상태로 설정할 수 있다는 것에 주목하여야 한다. 이에 따라, 메인 시럽에 추가적으로, 토핑 시럽도 노즐(5c)로 공급될 수 있고, 이를 물 및/또는 탄산수와 혼합하는 것에 의해 향미 첨가 음료를 생성하는 것이 가능할 수 있다. 이 경우, 희석되지 않은 토핑 시럽이 물 또는 탄산수를 기 설정 비율로 메인 시럽과 혼합하는 것에 의해 생성된 메인 음료로 단속적으로 추가될 수 있고, 토핑 시럽이 메인 음료와 혼합된다.
물이 사용자에 의해 선택되고, 물리적 버튼(3c)이 눌리면, 제어 유닛(20)은 정화 필터(8) 및 노즐(5b) 사이에 구비된 물 솔레노이드 밸브(23)를 개방 상태로 설정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물이 노즐(5c)로부터 배출될 수 있다. 탄산수가 사용자에 의해 선택되고, 노즐(5c)에 대응하는 물리적 버튼(3c)이 눌리면, 제어 유닛(20)은 카보네이터 및 노즐(5c) 사이에 구비된 탄산수 솔레노이드 밸브(24)를 개방 상태로 설정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탄산수가 노즐(5c)로부터 배출될 수 있다.
브랜드 D의 음료가 사용자에 의해 선택되고, 물리적 버튼(3a)이 눌리면, 제어 유닛(20)은, 기 설정 조건 하에서, 선택된 브랜드 D의 시럽이 저장될 수 있는 BIB(6) 및 시럽 노즐(40) 사이에 구비된 BIB 튜브 펌프(26)를 구동시킬 수 있다. 동시에, 제어 유닛(20)은 또한 물 솔레노이드 밸브(23)를 개방 상태로 설정할 수 있고 희석수가 희석수 노즐(5a)로부터 배출되도록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브랜드 D의 시럽 및 희석수가 혼합된 음료는 용기 배치 장소(4a)에 놓인 용기로 공급될 수 있다.
브랜드 G의 음료가 사용자에 의해 선택되고, 물리적 버튼(3b)이 눌리면, 제어 유닛(20)은, 기 설정 조건 하에서, 선택된 브랜드 G의 시럽이 저장될 수 있는 BIB(7) 및 시럽 노즐(41) 사이에 구비된 BIB 튜브 펌프(27)를 구동시킬 수 있다. 동시에, 제어 유닛(20)은 또한 물 솔레노이드 밸브(23) 및/또는 탄산수 솔레노이드 밸브(24)를 개방 상태로 설정하여 희석수 및/또는 탄산수가 희석수 노즐(5b) 및/또는 탄산수 노즐(42)로부터 배출되도록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브랜드 G의 시럽 및 물 및/또는 탄산수가 혼합된 음료가 용기 배치 장소(4b)에 놓인 용기로 공급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이러한 실시예에 따르면, 희석되지 않은 토핑 시럽이 물 또는 탄산수를 기 설정 비율로 메인 시럽과 혼합하는 것에 의해 생성된 메인 음료로 추가될 수 있고, 희석되지 않은 토핑 시럽이 메인 음료와 혼합된다.
이에 따라, 두 종류의 시럽, 즉, 메인 시럽 및 토핑 시럽을 혼합하는 것에 의해 사용자에게 제공되는 음료의 향미를 위한 옵션을 상당히 증가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토핑 시럽은 착향으로서 추가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적은 양으로 추가될 수 있는데, 과도한 양이 추가되면, 메인 시럽 및 토핑 시럽 사이의 향미의 균형이 깨질 수 있다. 따라서, 기 설정량의 토핑 시럽을 정확하게 추가할 필요가 있을 수 있다. 이러한 점에서, 이 실시예에서, 토핑 시럽은 희석되지 않은 상태로 추가될 수 있으며, 희석에 의한 농도 변화가 제거될 수 있다.
또한, 이와 같이 적은 양으로 장시간에 걸쳐 연속적으로 토핑 시럽이 추가되면, 추가된 토핑 시럽의 양을 제어하기 어려울 수 있다. 따라서, 바람직하게는, 토핑 시럽은 가능한 짧을 수 있는 시간에 걸쳐 추가될 수 있다. 이러한 점에서, 이 실시예에서는, 토핑 시럽이 단속적으로 추가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토핑 시럽이 기 설정량으로 정확하게 추가될 수 있으며, 향미의 균형이 깨지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 가능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음료 제조자에 의해 의도된 향미에 따라 향미를 갖는 음료를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것이 가능할 수 있다.
상술한 바는 본 출원 및 그 결과에 따른 특허의 특정 실시예에만 관련된다는 것이 명백해야 한다. 후술하는 청구범위 및 그 균등물에 의해 정의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전반적인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수의 변경 및 수정이 본원에서 당업자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Claims (15)

  1. 두 종류 이상의 음료를 공급하는 음료 공급 장치로서,
    물 또는 탄산수로 희석되는 것에 의해 메인 음료를 구성하는 제1 시럽에 대한 제1 선택 조작 및 상기 메인 음료에 향미로서 추가되는 제2 시럽에 대한 제2 선택 조작을 수신하고, 상기 제1 및 제2 시럽은 복수의 시럽 탱크에 저장된 상이한 종류의 시럽으로부터 선택되는, 조작 수신부; 및
    상기 제1 시럽을 기 설정 비율로 상기 물 또는 상기 탄산수와 혼합하는 것에 의해 상기 메인 음료를 생성하며, 음료를 생성하기 위해 상기 메인 음료를 희석되지 않은 상태의 상기 제2 시럽과 혼합하는 혼합부를 포함하는 음료 공급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혼합부는 상기 제2 시럽을 상기 메인 음료를 혼합하기 위해 상기 제2 시럽을 단속적으로 공급하는, 음료 공급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시럽 및 상기 물 또는 상기 탄산수가 함께 혼합될 때, 상기 제1 시럽 및 상기 제2 시럽의 조합에 따라, 상기 물 또는 상기 탄산수에 대한 상기 제1 시럽의 상기 기 설정 비율을 변경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음료 공급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데이터 테이블을 포함하는, 음료 공급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 수신부는 터치 패널을 포함하는, 음료 공급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 수신부는 복수의 물리적 버튼을 포함하는, 음료 공급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시럽은 토핑 시럽을 포함하는, 음료 공급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혼합부는 복수의 용기 배치 장소를 포함하는, 음료 공급 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혼합부는 복수의 노즐을 포함하는, 음료 공급 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혼합부는 복수의 솔레노이드 밸브를 포함하는, 음료 공급 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혼합부는 압축 가스 소스를 포함하는, 음료 공급 장치.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혼합부는 복수의 펌프를 포함하는, 음료 공급 장치.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두 종류 이상의 음료는 복수의 브랜드를 포함하는, 음료 공급 장치.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두 종류 이상의 음료는 물을 포함하는, 음료 공급 장치.
  15. 두 종류 이상의 음료를 공급하는 방법으로서,
    제1 시럽을 선택하는 단계;
    메인 음료를 형성하도록 기 설정 비율로 상기 제1 시럽을 희석하는 단계;
    토핑 시럽을 선택하는 단계; 및
    상기 메인 음료와, 희석되지 않은 상태의 상기 토핑 시럽을 혼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KR1020177014141A 2014-10-31 2015-10-30 음료 공급 장치 KR10261381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4223638A JP6385797B2 (ja) 2014-10-31 2014-10-31 飲料供給装置
JPJP-P-2014-223638 2014-10-31
PCT/US2015/058226 WO2016069992A1 (en) 2014-10-31 2015-10-30 Beverage supply apparatu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76746A true KR20170076746A (ko) 2017-07-04
KR102613814B1 KR102613814B1 (ko) 2023-12-15

Family

ID=558583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7014141A KR102613814B1 (ko) 2014-10-31 2015-10-30 음료 공급 장치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10526186B2 (ko)
EP (1) EP3212562A4 (ko)
JP (1) JP6385797B2 (ko)
KR (1) KR102613814B1 (ko)
CN (1) CN107108192B (ko)
MX (1) MX2017005592A (ko)
WO (1) WO201606999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067600A1 (ja) * 2014-10-31 2016-05-06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飲料供給装置
US11104568B2 (en) * 2018-12-05 2021-08-31 Pepsico, Inc. Non-electric fountain beverage dispensers and systems
CN114341052A (zh) * 2019-11-21 2022-04-12 富士电机株式会社 饮料供给装置
USD1006520S1 (en) 2021-09-29 2023-12-05 Starbucks Corporation Syrup dispenser
US11751585B1 (en) 2022-05-13 2023-09-12 Sharkninja Operating Llc Flavored beverage carbonation system
WO2023216231A1 (en) 2022-05-13 2023-11-16 Sharkninja Operating Llc Agitator for a carbonation system
US11647860B1 (en) 2022-05-13 2023-05-16 Sharkninja Operating Llc Flavored beverage carbonation system
US11745996B1 (en) 2022-11-17 2023-09-05 Sharkninja Operating Llc Ingredient containers for use with beverage dispensers
US11738988B1 (en) 2022-11-17 2023-08-29 Sharkninja Operating Llc Ingredient container valve control
US11634314B1 (en) 2022-11-17 2023-04-25 Sharkninja Operating Llc Dosing accuracy
US11871867B1 (en) 2023-03-22 2024-01-16 Sharkninja Operating Llc Additive container with bottom cover
US11925287B1 (en) 2023-03-22 2024-03-12 Sharkninja Operating Llc Additive container with inlet tube
US11931704B1 (en) 2023-06-16 2024-03-19 Sharkninja Operating Llc Carbonation chamber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264397A (ja) * 1999-03-19 2000-09-26 Fuji Electric Co Ltd 飲料ディスペンサ
JP3947914B2 (ja) * 2002-02-26 2007-07-25 富士電機リテイルシステムズ株式会社 飲料製造機の原料搬出制御装置
US20070205221A1 (en) * 2006-03-06 2007-09-06 The Coca-Cola Company Beverage Dispensing System
JP2009255990A (ja) * 2009-07-31 2009-11-05 Sanyo Electric Co Ltd 飲料ディスペンサ
US20130106690A1 (en) * 2011-11-01 2013-05-02 Pepsico, Inc. Dispensing System and User Interface
WO2014025753A1 (en) * 2012-08-06 2014-02-13 The Coca-Cola Company Systems and methods for dispensing products selected at remote point-of-sale devices

Family Cites Families (3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757839A (en) * 1952-09-11 1956-08-07 Dixie Cup Co Beverage dispensing system
US3271974A (en) * 1964-10-16 1966-09-13 Clarence W Wheeler Carbonating and dispensing apparatus
US4487333A (en) * 1982-02-26 1984-12-11 Signet Scientific Co. Fluid dispensing system
US4753370A (en) * 1986-03-21 1988-06-28 The Coca-Cola Company Tri-mix sugar based dispensing system
US4903862A (en) * 1987-10-13 1990-02-27 Abc/Sebrn Tech. Corp., Inc. Soft drink dispenser
JPH01161496U (ko) * 1988-04-28 1989-11-09
US4951719A (en) * 1989-02-27 1990-08-28 The Coca-Cola Company Automatic postmix beverage dispensing system with flavor indicators
US4979639A (en) * 1989-05-23 1990-12-25 The Coca-Cola Company Beverage dispenser control valve and ratio control method therefor
US5803320A (en) * 1995-03-27 1998-09-08 Abc Dispensing Technologies Carbonated coffee beverage dispenser
US6387424B2 (en) * 1999-12-17 2002-05-14 Bunn-O-Matic Corporation Conductance based control system and method
US6685054B2 (en) * 2000-08-09 2004-02-03 Sanyo Electric Co., Ltd. Apparatus and method for delivering liquids
US6689410B2 (en) 2001-01-25 2004-02-10 Flavor Burst Co. Product blender and dispenser
RU2297385C2 (ru) * 2002-10-04 2007-04-20 ЛАНСЕР ПАРТНЕРШИП, Лтд.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розлива различных охлажденных напитков
US7661352B2 (en) * 2004-08-31 2010-02-16 Nestec S.A. Method and system for in-cup dispensing, mixing and foaming hot and cold beverages from liquid concentrates
US20060115572A1 (en) * 2004-11-30 2006-06-01 Guerrero Arturo F Method for delivering hot and cold beverages on demand in a variety of flavorings and nutritional additives
JP2006264733A (ja) 2005-03-24 2006-10-05 Sanyo Electric Co Ltd 飲料ディスペンサ及び飲料提供システム
BRPI0618234B1 (pt) 2005-11-04 2021-10-13 The Coca-Cola Company Dispensador de bebida e método para dispensar sabores de bebida e bebidas misturadas
US20070145074A1 (en) * 2005-12-28 2007-06-28 Imi Cornelius Beverage and aroma dispenser
US10631558B2 (en) * 2006-03-06 2020-04-28 The Coca-Cola Company Methods and apparatuses for making compositions comprising an acid and an acid degradable component and/or compositions comprising a plurality of selectable components
MX2010002291A (es) * 2007-09-06 2010-05-03 Coca Cola Co Sistemas y metodos de seleccion y despachado de productos.
US20090095771A1 (en) * 2007-10-15 2009-04-16 Hoover George H Beverage base dispenser and method
EP2058273A3 (en) 2007-11-06 2009-07-08 Manitowoc Foodservice companies, Inc. Multiflavour beverage dispensing nozzle and dispenser using same
US9908767B2 (en) * 2008-11-10 2018-03-06 Automatic Bar Controls, Inc. Beverage dispensing apparatus with presence sensing
US8972048B2 (en) * 2008-11-20 2015-03-03 Disney Enterprises, Inc. Self-service beverage and snack dispensing using identity-based access control
US8672534B2 (en) 2008-12-08 2014-03-18 Enodis Corporation Integrated mixing and cleaning beverage assembly and method thereof
US8910674B2 (en) * 2009-02-11 2014-12-16 Pepsico, Inc. Beverage dispense valve controlled by wireless technology
ITTO20110621A1 (it) 2011-07-14 2013-01-15 N&W Global Vending Spa Distributore automatico di bevande in tazza a piu' punti di erogazione di bevande e con indicazione luminosa del punto di erogazione della bevanda selezionata
US20160023883A1 (en) * 2012-08-30 2016-01-28 Pepsico, Inc. Intermittent Dosing
IN2015DN01769A (ko) * 2012-08-30 2015-05-29 Pepsico Inc
JP5734933B2 (ja) 2012-08-31 2015-06-17 浩一 林 アルコール飲料製造装置およびプログラム
US20140263410A1 (en) 2013-03-15 2014-09-18 The Coca-Cola Company Dispensing beverage components for use as ingredients in recipes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264397A (ja) * 1999-03-19 2000-09-26 Fuji Electric Co Ltd 飲料ディスペンサ
JP3947914B2 (ja) * 2002-02-26 2007-07-25 富士電機リテイルシステムズ株式会社 飲料製造機の原料搬出制御装置
US20070205221A1 (en) * 2006-03-06 2007-09-06 The Coca-Cola Company Beverage Dispensing System
JP2009255990A (ja) * 2009-07-31 2009-11-05 Sanyo Electric Co Ltd 飲料ディスペンサ
US20130106690A1 (en) * 2011-11-01 2013-05-02 Pepsico, Inc. Dispensing System and User Interface
WO2014025753A1 (en) * 2012-08-06 2014-02-13 The Coca-Cola Company Systems and methods for dispensing products selected at remote point-of-sale device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MX2017005592A (es) 2017-07-04
US20170305735A1 (en) 2017-10-26
CN107108192A (zh) 2017-08-29
US10526186B2 (en) 2020-01-07
JP6385797B2 (ja) 2018-09-05
EP3212562A1 (en) 2017-09-06
JP2016088558A (ja) 2016-05-23
CN107108192B (zh) 2019-10-25
KR102613814B1 (ko) 2023-12-15
EP3212562A4 (en) 2018-06-27
WO2016069992A1 (en) 2016-05-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613814B1 (ko) 음료 공급 장치
JP6970938B2 (ja) 飲料供給装置
JP6975909B2 (ja) 飲料供給装置
JP6526958B2 (ja) 飲料供給装置
EP3087025B1 (en) Beverage dispensing device for dispensing different types of beverages or beverage components
JP7025329B2 (ja) 飲料分配システム用の飲料フォント、飲料フォントを含む飲料分配システム、および飲料分配システムを提供することによる混合アルコール飲料製品の分配方法
US20120325845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Recipe Portion Control for a Product Dispenser
WO2016067604A1 (ja) 飲料供給装置
JP6856582B2 (ja) 飲料供給装置
JP6903789B2 (ja) 飲料供給装置
JP2019006504A (ja) 飲料供給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