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76576A - 모종 취출 장치 - Google Patents
모종 취출 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70076576A KR20170076576A KR1020160174294A KR20160174294A KR20170076576A KR 20170076576 A KR20170076576 A KR 20170076576A KR 1020160174294 A KR1020160174294 A KR 1020160174294A KR 20160174294 A KR20160174294 A KR 20160174294A KR 20170076576 A KR20170076576 A KR 20170076576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law
- seedling
- seedling take
- take
- engaging portion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C—PLANTING; SOWING; FERTILISING
- A01C11/00—Transplanting machines
- A01C11/02—Transplanting machines for seedlings
- A01C11/025—Transplanting machines using seedling trays; Devices for removing the seedlings from the trays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C—PLANTING; SOWING; FERTILISING
- A01C11/00—Transplanting machines
- A01C11/006—Other parts or details or planting machin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oil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Transplanting Machines (AREA)
Abstract
구성 부품의 마모를 적게 할 수 있는 모종 취출 장치를 제공한다.
모종을 수용한 트레이에 대하여 진퇴하는 갈고리 지지체와, 갈고리 지지체에 피봇지지된 제1 모종 취출 갈고리와, 갈고리 지지체에 피봇지지되고 또한 제1 모종 취출 갈고리와 병설되어 있어 제1 모종 취출 갈고리와 함께 트레이를 향해서 이동 가능한 제2 모종 취출 갈고리와, 제1 모종 취출 갈고리와 제2 모종 취출 갈고리와의 선단 간격을 넓히는 방향으로 제1 모종 취출 갈고리 및 제2 모종 취출 갈고리를 가압하는 가압 부재와, 제1 모종 취출 갈고리와 일체 회전하는 제1 걸림 결합부와, 제2 모종 취출 갈고리와 일체 회전하는 제2 걸림 결합부와, 제1 모종 취출 갈고리 및 제2 모종 취출 갈고리가 트레이를 향해서 이동할 때, 제1 걸림 결합부 및 제2 걸림 결합부를 가압해서 제1 모종 취출 갈고리 및 제2 모종 취출 갈고리의 선단 간격을 축소시키는 가압 부재이며, 스프링 부재로 형성된 가압 부재를 구비한다.
모종을 수용한 트레이에 대하여 진퇴하는 갈고리 지지체와, 갈고리 지지체에 피봇지지된 제1 모종 취출 갈고리와, 갈고리 지지체에 피봇지지되고 또한 제1 모종 취출 갈고리와 병설되어 있어 제1 모종 취출 갈고리와 함께 트레이를 향해서 이동 가능한 제2 모종 취출 갈고리와, 제1 모종 취출 갈고리와 제2 모종 취출 갈고리와의 선단 간격을 넓히는 방향으로 제1 모종 취출 갈고리 및 제2 모종 취출 갈고리를 가압하는 가압 부재와, 제1 모종 취출 갈고리와 일체 회전하는 제1 걸림 결합부와, 제2 모종 취출 갈고리와 일체 회전하는 제2 걸림 결합부와, 제1 모종 취출 갈고리 및 제2 모종 취출 갈고리가 트레이를 향해서 이동할 때, 제1 걸림 결합부 및 제2 걸림 결합부를 가압해서 제1 모종 취출 갈고리 및 제2 모종 취출 갈고리의 선단 간격을 축소시키는 가압 부재이며, 스프링 부재로 형성된 가압 부재를 구비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모종 적재대에 적재된 트레이로부터 모종을 취출하는 모종 취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 모종 취출 장치로서 특허문헌 1에 개시된 기술이 알려져 있다. 특허문헌 1에 개시된 모종 취출 장치는, 모종(소일 블록 모종)을 갖는 트레이에 대하여 진퇴하는 갈고리 지지체를 갖는다. 갈고리 지지체에는, 지지 블록이 고정되어 있다. 지지 블록에는, 나열하여 배치된 제1 모종 취출 갈고리와 제2 모종 취출 갈고리가 피봇지지되어, 제1 모종 취출 갈고리와 제2 모종 취출 갈고리는, 선단 간격이 신축 가능하게 되어 있다. 갈고리 지지체에는, 요동 부재가 요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요동 부재에는, 레버 부재의 기단부측이 링크를 통해서 연결되어 있다. 레버 부재는, 지지 블록의 가이드 구멍 내를 미끄럼 이동 가능하게 삽입 관통하고 있다. 레버 부재의 선단측에는, 걸림 결합 부재가 고정되어 있다. 걸림 결합 부재에는, 제1 모종 취출 갈고리가 삽입 관통하는 제1 삽입 관통 구멍과, 제2 모종 취출 갈고리가 삽입 관통하는 제2 삽입 관통 구멍이 형성되어 있다.
이 모종 취출 장치에 있어서는, 갈고리 지지체가 트레이의 모종에 대하여 진출할 때, 요동 부재가 모종으로부터 후퇴하는 방향으로 요동해서 레버 부재를 후퇴시킨다. 레버 부재가 후퇴함으로써 걸림 결합 부재가 제1 모종 취출 갈고리 및 제2 모종 취출 갈고리의 선단측으로부터 기단부측을 향해서 이동한다. 걸림 결합 부재가 제1 모종 취출 갈고리 및 제2 모종 취출 갈고리의 기단부측을 향해서 이동함으로써, 제1 모종 취출 갈고리와 제2 모종 취출 갈고리의 선단 간격이 줄어든다. 이와 동시에 제1 모종 취출 갈고리 및 제2 모종 취출 갈고리의 선단측이 모종의 분형근(root ball)에 찔러진다. 이에 의해, 제1 모종 취출 갈고리 및 제2 모종 취출 갈고리의 선단측에서 모종의 분형근을 유지한다. 그 후, 갈고리 지지체가 트레이로부터 후퇴함으로써, 모종이 트레이로부터 취출된다.
제1 모종 취출 갈고리 및 제2 모종 취출 갈고리로부터 모종을 방출할 때는, 요동 부재가 모종에 진출하는 방향으로 요동한다. 그러면, 걸림 결합 부재가 제1 모종 취출 갈고리 및 제2 모종 취출 갈고리의 선단측으로 이동한다. 이에 의해, 걸림 결합 부재에 의해, 제1 모종 취출 갈고리와 제2 모종 취출 갈고리의 선단 간격을 넓힐 수 있는 동시에 모종이 방출된다.
종래의 모종 취출 장치에 있어서는, 제1 모종 취출 갈고리 및 제2 모종 취출 갈고리로 모종의 분형근을 유지할 때, 및 제1 모종 취출 갈고리 및 제2 모종 취출 갈고리로 모종을 방출할 때에 있어서, 레버 부재가 지지 블록의 가이드 구멍 내를 미끄럼 이동한다. 레버 부재가 지지 블록의 가이드 구멍 내를 미끄럼 이동하면 레버 부재가 마모된다. 또한, 걸림 결합 부재가 제1 모종 취출 갈고리 및 제2 모종 취출 갈고리의 선단 간격을 신축할 때에 있어서, 걸림 결합 부재의 제1 삽입 관통 구멍 내를 제1 모종 취출 갈고리가 미끄럼 이동하고, 제2 삽입 관통 구멍 내를 제2 모종 취출 갈고리가 미끄럼 이동한다. 이에 의해, 제1 모종 취출 갈고리 및 제2 모종 취출 갈고리가 마모된다.
본 발명은, 구성 부품의 마모를 적게 할 수 있는 모종 취출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이 강구한 기술적 수단은, 이하에 나타내는 점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모종 취출 장치는, 모종을 수용하는 트레이에 대하여 진퇴하는 갈고리 지지체와, 상기 갈고리 지지체에 피봇지지된 제1 모종 취출 갈고리와, 상기 갈고리 지지체에 피봇지지되고 또한 상기 제1 모종 취출 갈고리와 병설되어 있어 상기 제1 모종 취출 갈고리와 함께 상기 트레이를 향해서 이동 가능한 제2 모종 취출 갈고리와, 상기 제1 모종 취출 갈고리와 상기 제2 모종 취출 갈고리와의 선단 간격을 넓히는 방향으로 상기 제1 모종 취출 갈고리 및 상기 제2 모종 취출 갈고리를 가압하는 가압 부재와, 상기 제1 모종 취출 갈고리와 일체 회전하는 제1 걸림 결합부와, 상기 제2 모종 취출 갈고리와 일체 회전하는 제2 걸림 결합부와, 상기 제1 모종 취출 갈고리 및 상기 제2 모종 취출 갈고리가 상기 트레이를 향해서 이동할 때, 상기 제1 걸림 결합부 및 상기 제2 걸림 결합부를 가압해서 상기 제1 모종 취출 갈고리 및 상기 제2 모종 취출 갈고리의 선단 간격을 축소시키는 가압 부재이며, 스프링 부재로 형성된 가압 부재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모종 취출 장치는, 상기 갈고리 지지체는, 베이스 부재와, 상기 베이스 부재에 피봇지지되어 있고 상기 제1 모종 취출 갈고리가 설치된 제1 갈고리 설치부와, 상기 베이스 부재에 피봇지지되어 있고 상기 제2 모종 취출 갈고리가 설치된 제2 갈고리 설치부를 갖고, 상기 제1 걸림 결합부는, 상기 제1 갈고리 설치부로부터 상기 제2 갈고리 설치부를 향해서 연장되고, 상기 제2 갈고리 설치부는, 상기 제2 갈고리 설치부로부터 상기 제1 갈고리 설치부를 향해서 연장되고, 상기 가압 부재는, 상기 제1 걸림 결합부와 상기 제2 걸림 결합부에 맞닿음으로써 상기 제1 모종 취출 갈고리 및 상기 제2 모종 취출 갈고리의 선단 간격을 축소시키는 맞닿음부를 갖는다.
상기 제1 걸림 결합부와 제2 걸림 결합부는, 오버랩되어 있어도 된다.
또한, 모종 취출 장치는, 상기 갈고리 지지체는, 베이스 부재와, 상기 베이스 부재에 피봇지지되어 있고 상기 제1 모종 취출 갈고리가 설치된 제1 갈고리 설치부와, 상기 베이스 부재에 피봇지지되어 있고 상기 제2 모종 취출 갈고리가 설치된 제2 갈고리 설치부를 갖고, 상기 제1 걸림 결합부는, 상기 제1 갈고리 설치부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 롤러이며, 상기 제2 걸림 결합부는, 상기 제2 갈고리 설치부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 롤러이며, 상기 가압 부재는, 상기 제1 모종 취출 갈고리 및 상기 제2 모종 취출 갈고리의 선단 간격을 축소시키기 위해, 상기 제1 걸림 결합부에 맞닿는 제1 걸림 결합 누름부 및 상기 제2 걸림 결합부에 맞닿는 제2 걸림 결합 누름부를 갖는다.
또한, 상기 갈고리 지지체는, 베이스 부재와, 상기 베이스 부재에 피봇지지되어 있고 상기 제1 모종 취출 갈고리가 설치된 제1 갈고리 설치부와, 상기 베이스 부재에 피봇지지되어 있고 상기 제2 모종 취출 갈고리가 설치된 제2 갈고리 설치부와, 상기 베이스 부재에 설치된 스토퍼와, 상기 제1 갈고리 설치부에 설치되어 있고 상기 스토퍼에 맞닿을 수 있고 또한 상기 스토퍼에 대하여 진퇴 가능한 제1 조정 부재와, 상기 제2 갈고리 설치부에 설치되어 있고 상기 스토퍼에 맞닿을 수 있고 또한 상기 스토퍼에 대하여 진퇴 가능한 제2 조정 부재를 갖는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제1 모종 취출 갈고리와 일체 회전하는 제1 걸림 결합부와, 제2 모종 취출 갈고리와 일체 회전하는 제2 걸림 결합부를 설치하고, 제1 모종 취출 갈고리 및 제2 모종 취출 갈고리가 트레이를 향해서 이동할 때, 가압 부재가 제1 걸림 결합부 및 제2 걸림 결합부를 가압해서 제1 모종 취출 갈고리 및 제2 모종 취출 갈고리의 선단 간격을 축소시키도록 구성하고 있다. 또한, 제1 걸림 결합부 및 제2 걸림 결합부에 대한 가압 부재에 의한 가압이 해제되면, 가압 부재에 의해 제1 모종 취출 갈고리 및 제2 모종 취출 갈고리의 선단 간격이 넓어진다. 이 구조를 채용함으로써, 모종 취출 장치의 구성 부품의 마모를 적게 할 수 있다. 또한, 가압 부재, 제1 걸림 결합부, 제2 걸림 결합부 및 가압 부재로 제1 모종 취출 갈고리와 제2 모종 취출 갈고리의 선단 간격의 신축을 행하는 기구가 구성되어 있으므로, 모종 취출 장치의 구성의 간소화를 도모할 수 있다. 또한, 가압 부재를 스프링 부재로 형성함으로써, 제1 모종 취출 갈고리 및 제2 모종 취출 갈고리의 선단측을 모종의 분형근에 찔러서 분형근 내부의 흙을 제1 모종 취출 갈고리와 제2 모종 취출 갈고리 사이에 끼웠을 때, 스프링 부재의 탄성력에 의해, 분형근 내부의 흙을 너무 강하게 끼우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에 의해, 분형근의 붕괴를 방지할 수 있다.
제1 걸림 결합부를, 제1 갈고리 설치부로부터 제2 갈고리 설치부를 향해서 연장함과 함께, 제2 걸림 결합부를, 제2 갈고리 설치부로부터 제1 갈고리 설치부를 향해서 연장함으로써 구조의 간소화를 도모할 수 있다.
제1 걸림 결합부와 제2 걸림 결합부를 오버랩시킴으로써, 가압 부재를 콤팩트하게 구성할 수 있다.
제1 걸림 결합부와 제2 걸림 결합부를 롤러에 의해 구성함으로써, 가압 부재가 제1 걸림 결합부 및 제2 걸림 결합부에 원활하게 맞닿는다. 이에 의해, 제1 걸림 결합부, 제2 걸림 결합부 및 가압 부재의 마모를 적게 할 수 있다.
또한, 갈고리 지지체의 베이스 부재에 스토퍼를 설치하고, 스토퍼에 맞닿을 수 있고 또한 스토퍼에 대하여 진퇴 가능한 제1 조정 부재를 제1 갈고리 설치부에 설치하고, 스토퍼에 맞닿을 수 있고 또한 스토퍼에 대하여 진퇴 가능한 제2 조정 부재를 제2 갈고리 설치부에 설치함으로써, 제1 모종 취출 갈고리와 제2 모종 취출 갈고리의 선단 간격을 변경할 수 있다.
도 1은 이식기의 측면도이다.
도 2는 기체 및 주행 장치의 평면도이다.
도 3은 기체 및 주행 장치의 측면도이다.
도 4는 이식기의 일부를 도시하는 측면도이다.
도 5는 모종 취출 장치의 측면도이다.
도 6은 모종 취출 장치의 배면도이다.
도 7은 모종 취출 갈고리의 선단 간격이 개방된 상태를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 8은 모종 취출 갈고리의 선단 간격이 폐쇄된 상태를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 9는 모종 취출 장치의 측면도이다.
도 10은 모종 취출 갈고리가 분형근을 찌르기 전의 상태를 도시하는 측면도이다.
도 11은 모종 취출 갈고리가 분형근을 찌른 상태를 도시하는 측면도이다.
도 12는 모종 취출 갈고리로 취출한 모종을 하방으로 이송하는 도중의 상태를 도시하는 측면도이다.
도 13은 모종을 식부체에 방출한 상태를 도시하는 측면도이다.
도 14는 이식기의 후부 측면도이다.
도 15는 이식기의 후부 평면도이다.
도 16은 이식기의 후부 배면도이다.
도 17은 트레이 적재 부재 및 트레이 누름 기구의 측면도이다.
도 18은 위치 결정 기구의 측면도이다.
도 19는 트레이 누름 기구 및 위치 결정 기구의 평면도이다.
도 20은 제1 조작 레버의 지지 부분의 측면도이다.
도 21은 제1 조작 레버의 지지 부분의 확대 측면도이다.
도 22는 제1 조작 레버의 지지 부분의 평면도이다.
도 23은 제1 조작 레버와 주 클러치와의 연동을 도시하는 개략도이다.
도 24는 제1 조작 레버와 브레이크와의 연동을 도시하는 개략도이다.
도 25는 제1 레버 홈의 평면도이다.
도 26은 주 클러치 온 상태의 조작 레버의 측면도이다.
도 27은 주 클러치 온으로부터 클러치 오프의 도중 제1 조작 레버의 측면도이다.
도 28은 주 클러치 오프 상태의 제1 조작 레버의 측면도이다.
도 29는 승강 실린더와 승강 레버의 복귀 기구의 개략도이다.
도 30은 복귀 기구의 개략도이다.
도 31은 승강 레버의 지지부의 평면도이다.
도 32는 승강 레버와 승강 밸브의 연동을 도시하는 개략도이다.
도 33은 제2 레버 홈의 평면도이다.
도 34는 복귀 기구와 승강 실린더와의 관계를 도시하는 측면도이다.
도 35는 복귀 기구와 승강 실린더와의 관계를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 36은 승강 레버를 제1 상승 위치로 조작했을 때의 측면도이다.
도 37은 모종 취출 장치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38은 모종 취출 장치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배면도이다.
도 39는 기타 예의 모종 취출 장치의 모종 취출 갈고리의 선단 간격이 개방된 상태를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 40은 기타 예의 모종 취출 장치의 모종 취출 갈고리의 선단 간격이 폐쇄된 상태를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 2는 기체 및 주행 장치의 평면도이다.
도 3은 기체 및 주행 장치의 측면도이다.
도 4는 이식기의 일부를 도시하는 측면도이다.
도 5는 모종 취출 장치의 측면도이다.
도 6은 모종 취출 장치의 배면도이다.
도 7은 모종 취출 갈고리의 선단 간격이 개방된 상태를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 8은 모종 취출 갈고리의 선단 간격이 폐쇄된 상태를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 9는 모종 취출 장치의 측면도이다.
도 10은 모종 취출 갈고리가 분형근을 찌르기 전의 상태를 도시하는 측면도이다.
도 11은 모종 취출 갈고리가 분형근을 찌른 상태를 도시하는 측면도이다.
도 12는 모종 취출 갈고리로 취출한 모종을 하방으로 이송하는 도중의 상태를 도시하는 측면도이다.
도 13은 모종을 식부체에 방출한 상태를 도시하는 측면도이다.
도 14는 이식기의 후부 측면도이다.
도 15는 이식기의 후부 평면도이다.
도 16은 이식기의 후부 배면도이다.
도 17은 트레이 적재 부재 및 트레이 누름 기구의 측면도이다.
도 18은 위치 결정 기구의 측면도이다.
도 19는 트레이 누름 기구 및 위치 결정 기구의 평면도이다.
도 20은 제1 조작 레버의 지지 부분의 측면도이다.
도 21은 제1 조작 레버의 지지 부분의 확대 측면도이다.
도 22는 제1 조작 레버의 지지 부분의 평면도이다.
도 23은 제1 조작 레버와 주 클러치와의 연동을 도시하는 개략도이다.
도 24는 제1 조작 레버와 브레이크와의 연동을 도시하는 개략도이다.
도 25는 제1 레버 홈의 평면도이다.
도 26은 주 클러치 온 상태의 조작 레버의 측면도이다.
도 27은 주 클러치 온으로부터 클러치 오프의 도중 제1 조작 레버의 측면도이다.
도 28은 주 클러치 오프 상태의 제1 조작 레버의 측면도이다.
도 29는 승강 실린더와 승강 레버의 복귀 기구의 개략도이다.
도 30은 복귀 기구의 개략도이다.
도 31은 승강 레버의 지지부의 평면도이다.
도 32는 승강 레버와 승강 밸브의 연동을 도시하는 개략도이다.
도 33은 제2 레버 홈의 평면도이다.
도 34는 복귀 기구와 승강 실린더와의 관계를 도시하는 측면도이다.
도 35는 복귀 기구와 승강 실린더와의 관계를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 36은 승강 레버를 제1 상승 위치로 조작했을 때의 측면도이다.
도 37은 모종 취출 장치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38은 모종 취출 장치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배면도이다.
도 39는 기타 예의 모종 취출 장치의 모종 취출 갈고리의 선단 간격이 개방된 상태를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 40은 기타 예의 모종 취출 장치의 모종 취출 갈고리의 선단 간격이 폐쇄된 상태를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형태를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은, 이식기(1)의 측면도를 나타내고 있다. 이식기(1)는, 포장에 모종을 이식하는 보행형 이식기(1)이다. 구체적으로는, 이식기(1)는, 포장에 형성된 묘(R1)를 걸쳐서 해당 묘(R1)를 따라 이동하면서, 담배, 야채 등의 셀 성형 모종, 소일 블록 모종, 포트 모종 등이라 불리는 모종(2)(블록 모종)을 소정 간격을 두고 이식해 나가는 이식기(1)이다.
본 실시 형태에서, 도 1, 도 2의 화살표 A1 방향을 전방, 도 1, 도 2의 화살표 A2 방향을 후방, 도 2의 화살표 B1 방향을 좌측 방향, 도 2의 화살표 B2 방향을 우측 방향으로 해서 설명한다.
또한,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식기(1)의 전후에 직교하는 방향인 수평 방향을 기체 폭 방향으로 해서 설명한다. 이식기(1)의 중앙부로부터 우측부, 또는, 좌측부를 향하는 방향을 기체 외측으로 해서 설명한다. 바꿔 말하면, 기체 외측이란, 기체 폭 방향이며 이식기(1)로부터 이격되는 방향이다. 기체 외측과는 반대의 방향을, 기체 내측으로 해서 설명한다. 바꿔 말하면, 기체 내측이란, 기체 폭 방향이며 이식기(1)에 근접하는 방향이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식기(1)는, 기체(9)와, 조향 핸들(7)과, 주행 장치(10)와, 이식 장치(4)를 구비하고 있다.
기체(9)는, 미션 케이스(12)와, 가대(13)와, 지지 프레임(5)을 갖는다. 미션 케이스(12)는, 가대(13)와 지지 프레임(5)과의 사이에 위치한다. 가대(13)는, 미션 케이스(12)의 전방부에 설치되어 있다. 가대(13)는, 미션 케이스(12)로부터 전방으로 돌출되어 있다. 지지 프레임(5)은, 미션 케이스(12)의 후부에 설치되어 있다. 지지 프레임(5)은, 미션 케이스(12)로부터 후방으로 돌출되어 있다. 또한, 지지 프레임(5)은, 후단부측에서 상방측을 향해서 연장되어 있다.
조향 핸들(7)은, 지지 프레임(5)의 후부(기체(9)의 후부)에 설치되어 있다. 또한, 조향 핸들(7)은 지지 프레임(5)으로부터 후방으로 연장되어 있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가대(13)에는, 즉, 기체(9)의 전방부에는, 원동기의 하나인 엔진(11)과, 연료 탱크(3)가 탑재되어 있다. 엔진(11)의 동력은, 벨트 전동 기구 등의 동력 전동 기구를 통해서 미션 케이스(12)에 입력된다. 미션 케이스(12) 내에 입력된 동력은, 클러치나 변속 기구 등을 통해서 미션 케이스(12)로부터 출력된다. 미션 케이스(12)로부터 출력되는 동력에 의해, 주행 장치(10), 이식 장치(4)가 구동된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주행 장치(10)는, 기체(9)의 좌측에 배치된 좌측 주행 기구(6L)와, 기체(9)의 우측에 배치된 우측 주행 기구(6R)를 갖는다. 좌측 주행 기구(6L)는, 전륜(14L)과, 전륜(14L)의 후방에 배치된 크롤러 주행체(18L)를 갖는다. 우측 주행 기구(6R)도, 전륜(14R)과, 전륜(14R)의 후방에 배치된 크롤러 주행체(18R)를 갖는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주행 장치(10)로서, 차륜·크롤러 복합형의 무한 회전 추진 기구가 채용되어 있다. 주행 장치(10)는, 기체(9)의 좌측 및 우측에 배치된 전륜과, 기체(9)의 좌측 및 우측에 배치된 후륜으로 구성된 차륜형의 주행 장치(크롤러 주행체(18L, 18R) 대신에 후륜을 채용한 주행 장치)이어도 된다.
기체(9)의 좌측에는 좌측 전륜(14L)을 지지하는 좌측 지지 아암(17L)이 배치되고, 기체(9)의 우측에는 우측 전륜(14)을 지지하는 우측 지지 아암(17R)이 배치되어 있다. 좌측 및 우측의 지지 아암(17L, 17R)은, 후방으로 감에 따라 상방으로 이행하는 경사 형상으로 배치되어 있다. 좌측 지지 아암(17L)의 후단부측(상단부측)에는 기체 폭 방향의 축심을 갖는 6각통 형상의 좌측 설치구(20L)가 설치되어 있다. 좌측 지지 아암(17L)의 전단부측(하단부측)에는, 좌측 전륜(14L)이 기체 폭 방향의 축심 주위로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우측 지지 아암(17R)의 후단부측(상단부측)에는, 기체 폭 방향의 축심을 갖는 6각통 형상의 우측 설치구(20R)가 설치되어 있다. 우측 지지 아암(17R)의 전단부측(하단부측)에는, 우측 전륜(14R)이 기체 폭 방향의 축심 주위로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가대(13)의 후부 하면측에는, 기체 폭 방향의 축심을 갖는 통 형상의 제1 축 서포트(22)가 설치되어 있다. 이 제1 축 서포트(22)는, 기체(9)(미션 케이스(12) 및 가대(13))에 설치 고정된 브래킷 부재(21)에 지지되어 있다. 제1 축 서포트(22)의 좌측에는, 기체 폭 방향의 축심을 갖는 좌측 전륜 지지축(23L)의 기체 폭 방향 내측 단부측이 삽입되어 있다. 제1 축 서포트(22)의 우측에는, 기체 폭 방향의 축심을 갖는 우측 전륜 지지축(23R)의 기체 폭 방향 내측 단부측이 삽입되어 있다. 좌측 및 우측의 전륜 지지축(23L, 23R)은, 제1 축 서포트(22)에 기체 폭 방향의 축심 주위로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좌측 전륜 지지축(23L)의 기체 폭 방향 외측 단부측은, 기체 폭 방향의 축심을 갖는 육각 통체에 의해 구성된 좌측 아암 설치부(24L)로 되어 있다. 우측 전륜 지지축(23R)의 기체 폭 방향 외측 단부측은 기체 폭 방향의 축심을 갖는 육각 통체에 의해 구성된 우측 아암 설치부(24R)로 되어 있다.
좌측 아암 설치부(24L)에, 좌측 설치구(20L)가 일체 회전 가능하게 밖에서 끼움되고, 우측 아암 설치부(24R)에, 우측 설치구(20R)가 일체 회전 가능하게 밖에서 끼움되어 있다. 이에 의해, 좌측 지지 아암(17L)이, 제1 축 서포트(22)에 좌측 전륜 지지축(23L)의 축심 주위에 상하 요동 가능하게 지지되고, 우측 지지 아암(17R)이, 제1 축 서포트(22)에 우측 전륜 지지축(23R)의 축심 주위에 상하 요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기체(9)(미션 케이스(12))의 좌측에는 좌측 전동 케이스(19L)가 배치되고, 기체(9)의 우측에는 우측 전동 케이스(19R)가 배치되어 있다. 좌측 및 우측의 전동 케이스(19L, 19R)는, 미션 케이스(12)의 측면으로부터 후방을 향해서 연장되는 형상으로 되어 배치되어 있다.
좌측 전동 케이스(19L)의 전단부측(일단부측)은, 미션 케이스(12)의 좌측면에 좌측 케이스 지지체(25L)를 통해서 기체 폭 방향의 축심 주위로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우측 전동 케이스(19R)의 전단부측(일단부측)은, 미션 케이스(12)의 우측면에 우측 케이스 지지체(25R)를 통해서 기체 폭 방향의 축심 주위로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이에 의해, 좌측 및 우측의 전동 케이스(19L, 19R)는, 후부가 상하로 요동 가능하게 되어 있다. 좌측 전동 케이스(19L)의 후단부측(타단부측)에 좌측의 크롤러 주행체(18L)가 설치되고, 우측 전동 케이스(19R)의 후단부측(타단부측)에 우측의 크롤러 주행체(18R)가 설치되어 있다.
좌측 및 우측의 전륜 지지축(23L, 23R)에는, 후방측을 향해서 돌출된 제1 연동 부재(26L, 26R)가 설치되어 있다. 좌측 및 우측의 케이스 지지체(25L, 25R)에는, 전방측으로 돌출된 제2 연동 부재(27L, 27R)가 설치되어 있다. 기체 폭 방향에서 동일한 측에 있는 제1 연동 부재(26L, 26R)와 제2 연동 부재(27L, 27R)는, 연동 링크(28L, 28R)에 의해 연결되어 있다.
또한, 좌측 및 우측의 케이스 지지체(25L, 25R)에는, 상방측으로 연장된 제3 연동 부재(29L, 29R)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가대(13)의 좌측 및 우측에 형성된 전후 방향의 가이드 홈에 기체 폭 방향의 축심을 갖는 제2 축 서포트(30)가 전후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이 제2 축 서포트(30)에는, 지지축(31)이 삽입 관통되어 있다. 이 지지축(31)은, 제2 축 서포트(30)로부터 좌측과 우측으로 돌출되어 있다. 또한, 지지축(31)은, 제2 축 서포트(30)에 기체 폭 방향의 축심 주위로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지지축(31)의 좌측에는, 상방측을 향해서 돌출된 상측 레버(32)가 설치되어 있다. 지지축(31)의 우측에는, 하방측을 향해서 돌출된 하측 레버(33)가 설치되어 있다. 상측 레버(32)와, 좌측의 제3 연동 부재(29L)는, 좌측 연결 링크(34L)로 연결되어 있다. 하측 레버(33)와, 우측의 제3 연동 부재(29R)는, 우측 연결 링크(34R)로 연결되어 있다.
가대(13)에는, 승강 실린더(36)와 롤링 실린더(37)가 설치되어 있다. 이들 승강 실린더(36)와 롤링 실린더(37)는, 복동형의 유압 실린더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승강 실린더(36)는, 기체(9)를 승강시키는 유압 실린더이다. 롤링 실린더(37)는, 기체(9)의 기울기를 조정하는 유압 실린더이다.
미션 케이스(12)의 상부에는, 승강 밸브(61)와 롤링 밸브(73)가 설치되어 있다. 승강 밸브(61)는 승강 실린더(36)를 제어하는 밸브이다. 롤링 밸브(73)는 롤링 실린더(37)를 제어하는 밸브이다.
승강 실린더(36)의 실린더 튜브(36a)는 가대(13)에 고정되어 있다. 승강 실린더(36)의 피스톤 로드(36b)는, 후방측을 향해서 돌출 가능하게 되어 있어 제2 축 서포트(30)에 연결되어 있다.
또한, 롤링 실린더(37)의 실린더 튜브(37a)는, 가대(13)에 전방부측의 피봇부(38)를 중심으로 해서 기체 폭 방향의 축심 주위로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롤링 실린더(37)의 피스톤 로드(37b)는 후방측을 향해서 돌출되어 있다. 이 롤링 실린더(37)의 피스톤 로드(37b)는, 아암(39)에 피봇 부착되어 있다. 이 아암(39)은, 지지축(31)의 좌측에 하방 돌출 형상으로 설치되어 있다.
승강 실린더(36)를 신축(피스톤 로드(36b)를 진퇴)시키면 제2 축 서포트(30) 및 지지축(31)이 전후로 이동한다. 제2 축 서포트(30) 및 지지축(31)이 전후로 이동하면, 좌측 연결 링크(34L) 및 우측 연결 링크(34R)에 의해 좌측 및 우측의 제3 연동 부재(29L, 29R)가 밀고 당겨진다. 이에 의해, 좌측 및 우측의 전동 케이스(19L, 19R)가 모두 상하로 요동한다. 또한, 동시에, 좌측 및 우측의 제2 연동 부재(27L, 27R)가 상하로 요동하여 좌측 및 우측의 연동 링크(28L, 28R)를 통해서 좌측 및 우측의 제1 연동 부재(26L, 26R)가 밀고 당겨진다. 이에 의해, 좌측 및 우측의 지지 아암(17L, 17R)이 모두 상하로 요동한다(좌측 및 우측의 전동 케이스(19L, 19R)의 상하 요동에 연동해서 좌측 및 우측의 지지 아암(17L, 17R)이 상하로 요동함).
좌측 및 우측의 전동 케이스(19L, 19R)와, 좌측 및 우측의 지지 아암(17L, 17R)이 모두 상하로 요동함으로써, 좌측 및 우측의 전륜(14L, 14R)과 좌측 및 우측의 크롤러 주행체(18L, 18R)가, 동시에, 기체(9)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상하 이동한다. 그리고, 전륜(14L, 14R) 및 크롤러 주행체(18L, 18R)가 접지하고 있으므로, 필연적으로 기체(9)가 접지면에 대하여 승강한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승강 실린더(36)를 신장(피스톤 로드(36b)를 후방을 향해서 진출)시키면, 기체(9)가 상승하고, 승강 실린더(36)를 수축(피스톤 로드(36b)를 전방을 향해서 후퇴)시키면, 기체(9)가 하강한다.
또한, 롤링 실린더(37)를 신축(피스톤 로드(37b)를 진퇴)시키면 지지축(31)이 회전하여, 좌측의 연결 링크(34L)가 좌측의 제3 연동 부재(29L)를 가압함과 함께 우측의 연결 링크(34)가 우측의 제3 연동 부재(29R)를 당긴다. 그러면, 기체 폭 방향의 일방측의 전륜(14L, 14R) 및 크롤러 주행체(18L, 18R)가 기체(9)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상승함과 함께, 타방측의 전륜(14L, 14R) 및 크롤러 주행체(18L, 18R)가 기체(9)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하강한다. 이에 의해, 기체(9)의 기체 폭 방향에 대한 기울기를 자동으로 수정(자동 조정)할 수 있다.
따라서, 예를 들어 기체(9)가 우측 상승으로 기울어지면, 좌측의 전륜(14L) 및 크롤러 주행체(18L)가 내려가고, 우측의 전륜(14R) 및 크롤러 주행체(18R)가 올라가서, 기체(9)가 수평 제어된다.
미션 케이스(12)의 좌측 및 우측의 측부에는, 도시 생략된 출력축이 설치되어 있다. 이 출력축에는, 엔진(11)으로부터의 동력이 미션 케이스(12) 내의 동력 전달 기구를 통해서 전달된다.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좌측 및 우측의 전동 케이스(19L, 19R)의 후단부측(타단부측)에는 크롤러 주행체(18L, 18R)를 구동하는 구동축(40)이 기체 폭 방향의 축심 주위로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출력축으로부터 전동 케이스(19) 내에 설치한 동력 전달 기구를 통해서 좌우 각 구동축(40)에 전달되고, 이에 의해, 구동축(40)이 회전된다.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크롤러 주행체(18L, 18R)는, 상부의 구동륜(41)(스프로킷)과, 전방측 아이들러(42)와, 후방측 아이들러(43)와, 크롤러 벨트(15)와, 요동 프레임(44)을 갖는다. 구동륜(41)은 구동축(40)에 의해 구동된다. 전방측 아이들러(42)는, 구동륜(41)의 전방측이며 또한 하방측에 배치되어 있다. 후방측 아이들러(43)는, 구동륜(41)의 후방측이며 또한 하방측에 배치되어 있다. 크롤러 벨트(15)는, 구동륜(41), 전후 아이들러(42, 43)에 걸쳐서 감아 걸린 무단 띠 형상의 벨트이다. 요동 프레임(44)은, 구동축(40)의 축심 X1 주위로 전후로 요동 가능하다. 이 요동 프레임(44)에, 전방측 아이들러(42)와 후방측 아이들러(43)가 설치되어 있다. 구동축(40)에 의해 구동륜(41)이 회전됨으로써 해당 구동륜(41)과 걸림 결합하는 크롤러 벨트(15)가 주위 방향(길이 방향)으로 순환 회주(회전)되어, 크롤러 주행체(18)가 전진 또는 후진한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식 장치(4)는, 모종 적재대(46)와, 부식 장치(45)와, 모종 취출 장치(47)와, 복수의 진압 륜(49)(복토륜)과, 정지 롤러(50)(검출 롤러)를 구비하고 있다. 모종 적재대(46)는, 모종(2)을 수용한 트레이(T1)를 적재해서 지지한다. 부식 장치(45)는, 공급된 모종(2)을 묘(R1)에 식부체(48)에 의해 이식하는 장치이다. 모종 취출 장치(47)는, 모종 적재대(46) 상의 트레이(T1)로부터 모종(2)을 취출해서 식부체(48)에 공급하는 장치이다. 복수의 진압 륜(49)은, 묘(R1)에 이식된 모종(2)의 기체 폭 방향의 양측을 진압하는 부재이다. 정지 롤러(50)는, 식부체(48)의 전방측에서 묘(R1)의 상면을 전동한다.
트레이(T1)는, 플라스틱제로 얇게 형성되어 있어 가요성을 갖는다. 이 트레이(T1)는, 세로 방향이 가로 방향에 대하여 긴 평면에서 보아 직사각형으로 형성되어 있다(도 15 참조). 또한, 트레이(T1)는, 종횡으로 소정 피치로 바둑판 눈 형상으로 배열된 다수의 포트부(P1)를 구비하고 있다. 각 포트부(P1)의 개구 테두리부는 평판 형상의 얇은 벽부에서 서로 접속되어 있다.
이 트레이(T1)의 각 포트부(P1)에 모종(2)이 수용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트레이(T1)에는, 각 포트부(P1)에 공급된 상토에 파종해서 육묘된 모종(2)(소일 블록 모종)이 육성되어 있다.
모종 적재대(46)는, 조향 핸들(7)의 전방측이면서 또한 근방에 배치되어 있다. 모종 적재대(46)는, 전방으로 감에 따라 하방으로 이행하는 경사 형상으로 배치되어 있다. 또한, 모종 적재대(46)는, 트레이(T1)의 저부가 적재되어 해당 트레이(T1)를 지지하는 적재판(35)을 갖는다. 적재판(35)은, 전방으로 감에 따라 하방으로 이행하는 경사 형상으로 되어 있다. 트레이(T1)는, 세로 방향을 적재판(35)의 경사 방향에 일치시켜서 적재판(35) 상에 적재된다. 또한, 모종 적재대(46)는, 지지 프레임(5)의 후부에 기체 폭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또한, 모종 적재대(46)는, 가로 이송 기구에 의해, 트레이(T1)의 가로 방향(기체 폭 방향)의 포트부(P1)의 1 피치분, 간헐적으로 기체 폭 방향으로 가로 이송된다. 또한, 가로 이송 기구에 의해, 모종 적재대(46)는, 기체 폭 방향으로 왕복 이동 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한, 모종 적재대(46)에는, 그 기체 폭 방향의 이동 영역의 좌측 및 우측의 단부에 있어서, 트레이(T1)를 세로 방향의 포트부(P1)의 1 피치분, 하방측으로 세로 이송하는 세로 이송 기구가 구비되어 있다.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부식 장치(45)는, 식부체(48)와, 승강 기구(53)를 갖는다. 식부체(48)는, 상단부가 개방 형상으로 되어, 상측으로부터 모종(2)이 공급 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한, 식부체(48)는, 하부가 개폐 가능하게 되어, 폐쇄된 상태에서 내부에 모종(2)을 유지할 수 있고, 또한 개방함으로써 해당 모종(2)을 하방으로 방출 가능하게 되어 있다. 승강 기구(53)는, 식부체(48)를 승강시키는 기구이다. 이 승강 기구(53)는 부식 프레임(52)에 지지되어 있다. 부식 프레임(52)은, 전단부측이 미션 케이스(12)의 측면에 기체 폭 방향의 축심 주위로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이에 의해, 부식 프레임(52)은 상하 요동 가능하게 되어 있다.
미션 케이스(12)에는, 부식 프레임(52)의 전단부의 회동 축심과 동심 형상으로 취출 축(54)이 설치되어 있다. 이 취출 축(54)에는, 미션 케이스(12) 내의 동력 전달 기구로부터 동력이 전달된다. 취출 축(54)으로부터의 동력은, 부식 프레임(52)에 설치된 동력 케이스(55) 내의 체인 권취 전동 기구를 통해서 승강 기구(53)에 전달된다. 이에 의해, 승강 기구(53)가 구동된다.
식부체(48)는, 상하 이동 범위의 상사점 또는 그 부근의 모종 수취 위치에 있어서, 폐쇄된 상태로 모종 취출 장치(47)로부터 모종(2)이 공급된다. 그 후, 식부체(48)는, 내부에 모종(2)을 유지한 상태로 하강하고, 상하 이동 범위의 하사점측에서 묘(R1)에 돌입하고 또한 개방된다. 이에 의해, 식부체(48)는, 묘(R1)에 이식 구멍을 형성함과 함께 해당 이식 구멍에 모종(2)을 방출한다. 이와 같이 하여, 모종(2)은 묘(R1)에 이식할 수 있다.
모종 취출 장치(47)는, 포트부(P1)로부터 모종(2)을 취출하는 복수의 모종 취출 갈고리(51)를 구비하고 있다. 모종 취출 장치(47)는, 미션 케이스(12) 내의 부식 동력 전달 기구로부터의 동력에 의해 구동되어 모종 취출 갈고리(51)를 동작시키는 운동 기구를 구비하고 있다. 모종 취출 장치(47)는, 포트부(P1) 내의 분형근(2a)에 대하여 전방측으로부터 모종 취출 갈고리(51)를 진행(본 실시 형태에서는, 후방 이동)시켜서 해당 모종 취출 갈고리(51)로 분형근(2a)을 찌른다. 모종 취출 장치(47)는, 모종 취출 갈고리(51)로 분형근(2a)을 찌른 후에 모종 취출 갈고리(51)를 트레이(T1)로부터 후퇴(본 실시 형태에서는, 전방 이동)시킴으로써 포트부(P1)로부터 모종(2)을 취출 가능하게 하고 있다. 또한, 포트부(P1)로부터 취출된 모종(2)은, 모종 수취 위치에 위치하는 식부체(48)의 상방으로 이송되어 식부체(48)에 방출 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한, 트레이(T1)를 가로 방향 및 세로 방향으로 이동시킴으로써, 모든 포트부(P1)로부터 모종(2)(분형근(2a))을 취출할 수 있다.
복수의 진압 륜(49)은, 식부체(48)의 후방측에 설치되어 있다. 복수의 진압 륜(49)은, 식부체(48)의 좌측에 설치한 진압 륜(49)과, 식부체(48)의 우측에 설치한 진압 륜(49)을 포함한다. 진압 륜(49)은, 묘(R1) 상면의 모종(2)의 이식 위치의 측방을 전동한다. 또한, 진압 륜(49)은, 식부체(48)로 형성된 이식 구멍에 투입된 모종(2)의 측방의 흙을 가압한다.
또한, 진압 륜(49)은, 부식 프레임(52)의 후부측에 지지 기구(56)를 통해서 지지되어 있다. 진압 륜(49)에 의해 부식 프레임(52)의 후부측을 지지하고 있다. 진압 륜(49)과 부식 프레임(52)과의 상하 방향에 관한 거리를 변경함으로써, 이식 깊이를 변경할 수 있다.
정지 롤러(50)는, 식부체(48)의 전방측의 묘(R1) 상면을 전동하여, 묘(R1) 상면을 정지함과 함께 묘(R1) 높이를 검출한다.
미션 케이스(12)의 전방부 하단부측에는, 상하 요동 가능하게 된 요동 아암(58)이 설치되어 있다. 요동 아암(58)의 전방부는, 제1 센서 아암(59)의 하부에, 축(57)을 통해서 기체 폭 방향의 축심 주위로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이 요동 아암(17)의 후부측에 정지 롤러(50)가 기체 폭 방향의 축심 주위로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정지 롤러(50)는, 묘(R1)의 상면에 추종해서 해당 묘(R1)의 상면을 전동한다.
미션 케이스(12)에 대한 정지 롤러(50)의 상하 방향의 움직임은, 요동 아암(58)과 일체 요동하는 제1 센서 아암(59) 및 제2 센서 아암(60)에 의해, 승강 밸브(61)에 전달된다. 이 승강 밸브(61)에 의해 승강 실린더(36)를 제어함으로써, 묘(R1)의 상면과의 거리가 일정하게 유지되도록 기체(9)가 승강 제어된다. 이에 의해 부식 프레임(52)이 묘 높이에 추종해서 상하 이동하여 설정된 부식 깊이로 모종(2)을 이식할 수 있다.
한편, 미션 케이스(12)에 대한 진압 륜(49)의 상하 방향에 관한 움직임은, 부식 프레임(52)으로부터 연동 기구(62)를 통해서 승강 밸브(61)에 전달된다. 따라서, 진압 륜(49)의 움직임에 의해서도 묘(R1)의 상면과의 거리가 일정하게 유지되도록 주행 기체(9)를 승강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정지 롤러(50)가 묘 높이를 검지하고 있는 상태에서는, 진압 륜(49)의 움직임은 승강 밸브(61)에는 전해지지 않게 되어 있다.
도 5,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모종 취출 장치(47)는, 갈고리 지지체(71)를 갖는다. 이 갈고리 지지체(71)는, 베이스 부재(72)와, 지지 블록(73)(지지 부재)과, 복수의 갈고리 설치부(74A, 74B)와, 스토퍼(75)와, 롤러(76)를 갖는다. 베이스 부재(72)는, 판면이 기체 폭 방향을 향하는 판재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지지 블록(73)은 베이스 부재(72)에 고정되어 있다. 지지 블록(73)은 우측부가 베이스 부재(72)에 고정되고, 베이스 부재(72)로부터 좌측 방향에 돌출되어 있다. 지지 블록(73)의 좌측부는, 제1 지지부(77A)로 되어 있다. 지지 블록(73)의 우측부는, 제2 지지부(77B)로 되어 있다. 지지 블록(73)의 제1 지지부(77A)와 제2 지지부(77B)와의 사이에는, 요부(78)가 형성되어 있다.
도 5, 도 6,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복수의 갈고리 설치부(74A, 74B)는, 제1 갈고리 설치부(74A)와, 제2 갈고리 설치부(74B)를 포함한다. 제1 갈고리 설치부(74A)와 제2 갈고리 설치부(74B)는, 일 방향으로 긴 판상체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제1 갈고리 설치부(74A)와 제2 갈고리 설치부(74B)는, 판 폭 방향을 기체 폭 방향에 일치시켜, 기체 폭 방향에서 병설되어 있다.
제1 갈고리 설치부(74A)의 일단부는, 제1 설치 축(79A)을 통해서 제1 지지부(77A)에 지지되어 있다. 제1 갈고리 설치부(74A)는, 제1 설치 축(79A)의 축심 주위로 회전 가능하다. 제2 갈고리 설치부(74B)의 일단부는, 제2 설치 축(79B)을 통해서 제2 지지부(77B)에 지지되어 있다. 제2 갈고리 설치부(74B)는, 제2 설치 축(79B)의 축심 주위로 회전 가능하다. 제1 설치 축(79A)과 제2 설치 축(79B)은, 기체 폭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의 축심을 갖는다. 제1 설치 축(79A)의 축심과 제2 설치 축(79B)의 축심은, 평행 형상으로 되어 있다.
제1 갈고리 설치부(74A)에는, 제1 걸림 결합부(81A)가 설치되어 있다. 제1 걸림 결합부(81A)는, 제1 갈고리 설치부(74A)의 일단부로부터 제2 갈고리 설치부(74B)(제2 모종 취출 갈고리(51B))를 향해서 연장되어 있다. 또한, 제1 걸림 결합부(81A)는, 제1 갈고리 설치부(74A)로부터 일체적으로 연장된 연장편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제2 갈고리 설치부(74B)에는, 제2 걸림 결합부(81B)가 설치되어 있다. 제2 걸림 결합부(81B)는, 제2 갈고리 설치부(81B)의 일단부로부터 제1 갈고리 설치부(74A)(제1 모종 취출 갈고리(51A))를 향해서 연장되어 있다. 또한, 제2 걸림 결합부(81B)는, 제2 갈고리 설치부(74B)로부터 일체적으로 연장된 연장편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제1 걸림 결합부(81A)와 제2 걸림 결합부(81B)는, 오버랩되어 있다.
제1 갈고리 설치부(74A)의 타단부는, 제1 스프링 걸이부(82A)로 되어 있다. 제2 갈고리 설치부(74B)의 타단부는, 제2 스프링 걸이부(82B)로 되어 있다. 제1 스프링 걸이부(82A)에는, 인장 코일 스프링으로 이루어지는 가압 부재(83)(제1 가압 부재라고 함)의 일단부가 걸려 있다. 제2 스프링 걸이부(82B)에는, 제1 가압 부재(83)의 타단부가 걸려 있다. 따라서, 제1 가압 부재(83)는, 제1 갈고리 설치부(74A)와 제2 갈고리 설치부(74B)의 타단부를 서로 근접시키는 방향으로, 해당 타단부를 가압하고 있다.
제1 갈고리 설치부(74A)의 타단부측에는, 제1 설치 벽(84A)이 설치되어 있다. 이 제1 설치 벽(84A)은, 제1 가압 부재(83)보다 제1 설치 축(79A)에 치우쳐서 설치되어 있다. 제1 설치 벽(84A)을 사이에 두고 제1 로크 너트(86a)와 제1 지지 너트(86b)가 설치되어 있다. 제1 지지 너트(86b)는, 제1 설치 벽(84A)에 고정되어 있다. 또한, 제1 지지 너트(86b)에는, 볼트로 이루어지는 제1 조정 부재(85A)가 나사 결합되어 있다. 제1 조정 부재(85A)는, 제1 설치 벽(84A)을 삽입 관통하고 있다. 또한, 제1 조정 부재(85A)에는, 제1 로크 너트(86a)가 나사 결합하고 있다.
제2 갈고리 설치부(74B)의 타단부측에는, 제2 설치 벽(84B)이 설치되어 있다. 이 제2 설치 벽(84B)은, 제1 가압 부재(83)보다 제2 설치 축(79B)에 치우쳐서 설치되어 있다. 제2 설치 벽(84B)을 사이에 두고 제2 로크 너트(87a)와 제2 지지 너트(87b)가 설치되어 있다. 제2 지지 너트(867)는, 제2 설치 벽(84B)에 고정되어 있다. 또한, 제2 지지 너트(87b)에는, 볼트로 이루어지는 제2 조정 부재(85B)가 나사 결합되어 있다. 제2 조정 부재(85B)는, 제2 설치 벽(84B)을 삽입 관통하고 있다. 또한, 제2 조정 부재(85B)에는, 제2 로크 너트(87a)가 나사 결합하고 있다. 스토퍼(75)는 판재에 의해 형성되고, 스토퍼부(88)와, 지지벽부(89)를 갖는다. 스토퍼부(88)는, 제1 조정 부재(85A)와 제2 조정 부재(85B)와의 사이에 위치한다. 스토퍼부(88)에는, 제1 조정 부재(85A)의 선단과, 제2 조정 부재(85B)의 선단이 맞닿을 수 있다. 지지벽부(89)는, 스토퍼부(88)의 단부로부터 연장되어 베이스 부재(72)에 고정되어 있다. 제1 조정 부재(85A)는, 제1 로크 너트(86a)를 느슨하게 함으로써, 스토퍼부(88)에 대하여 진퇴시킬 수 있다. 제2 조정 부재(85B)는, 제2 로크 너트(87a)를 느슨하게 함으로써, 스토퍼부(88)에 대하여 진퇴시킬 수 있다.
롤러(76)는, 베이스 부재(72)에 고정된 롤러 축(90)에 지지되어 있다. 롤러 축(90)은 기체 폭 방향의 축심을 갖고, 롤러(76)를 축심 주위로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고 있다.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롤러(76)는, 가이드 부재(91)에 형성된 가이드 홈(92)에 감합되어 있다. 또한, 롤러(76)는, 가이드 홈(92) 내를 이동 가능하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가이드 부재(91)는, 설치 플레이트(93)에 설치되어 있다. 설치 플레이트(93)는, 지지 프레임(5)에 고정의 지지대(94)에 고정되어 있다.
도 5, 도 6,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모종 취출 장치(47)는, 상술한 복수의 모종 취출 갈고리(51A, 51B)를 갖는다. 복수의 모종 취출 갈고리(51A, 51B)는, 제1 모종 취출 갈고리(51A)와, 제2 모종 취출 갈고리(51B)를 포함한다. 제1 모종 취출 갈고리(51A) 및 제2 모종 취출 갈고리(51B)는, 봉재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제1 모종 취출 갈고리(51A)와 제2 모종 취출 갈고리(51B)는, 기체 폭 방향에서 병설되어 있다.
제1 모종 취출 갈고리(51A)는, 끝이 가는 선단부(95A)와, U자 형상으로 구부러진 기부(96A)를 갖는다. 제1 모종 취출 갈고리(51A)의 기부(96A)는, 제1 고정구(97)와 제2 고정구(98)에 의해 제1 갈고리 설치부(74A)에 고정되어 있다. 제1 고정구(97)는, 볼트와 너트로 구성되어 있다. 제2 고정구(98)는, 제1 설치 축(79A)으로부터 연장된 나사축과 너트로 구성되어 있다. 제1 모종 취출 갈고리(51A)는, 제1 갈고리 설치부(74A)의 타단부로부터 일단부를 향하는 방향으로 제1 갈고리 설치부(74A)로부터 돌출되어 있다.
제2 모종 취출 갈고리(51B)는, 끝이 가는 선단부(95B)와, U자 형상으로 구부러진 기부(96B)를 갖는다. 제2 모종 취출 갈고리(51B)의 기부(96B)는, 제3 고정구(99)와 제4 고정구(100)에 의해 제2 갈고리 설치부(74B)에 고정되어 있다. 제3 고정구(99)는, 볼트와 너트로 구성되어 있다. 제4 고정구(100)는, 제2 설치 축(79B)으로부터 연장된 볼트 축과 너트로 구성되어 있다. 제2 모종 취출 갈고리(51B)는, 제2 갈고리 설치부(74B)의 타단부로부터 일단부를 향하는 방향으로 제2 갈고리 설치부(74B)로부터 돌출되어 있다.
제1 모종 취출 갈고리(51A)는, 제1 설치 축(79A)의 축심 주위로 제1 갈고리 설치부(74A)와 일체 회전한다. 제2 모종 취출 갈고리(51B)는, 제2 설치 축(79B)의 축심 주위로 제2 갈고리 설치부(74B)와 일체 회전한다. 이에 의해, 제1 모종 취출 갈고리(51A) 및 제2 모종 취출 갈고리(51B)는, 갈고리 지지체(71)에 피봇지지되어 있다. 또한, 제1 갈고리 설치부(74A)가 제1 설치 축(79A)의 축심 주위로 회전하고, 제2 갈고리 설치부(74B)가 제2 설치 축(79B)의 축심 주위에 회전함으로써, 제1 모종 취출 갈고리(51A)와 제2 모종 취출 갈고리(51B)의 선단 간격(D1)이 확장 수축된다.
또한, 제1 모종 취출 갈고리(51A) 및 제1 걸림 결합부(81A)는, 제1 갈고리 설치부(74A)에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제1 모종 취출 갈고리(51A)와 제1 걸림 결합부(81A)는 일체 회전한다. 또한, 제2 모종 취출 갈고리(51B) 및 제2 걸림 결합부(81B)는, 제2 갈고리 설치부(74B)에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제2 모종 취출 갈고리(51B)와 제2 걸림 결합부(81B)는 일체 회전한다.
제1 가압 부재(83)는, 제1 모종 취출 갈고리(51A)와 제2 모종 취출 갈고리(51B)의 선단 간격(D1)을 넓히는 방향으로 가압하고 있다. 제1 조정 부재(85A) 및 제2 조정 부재(85B)를 스토퍼부(88)에 대하여 진퇴시킴으로써, 제1 모종 취출 갈고리(51A)와 제2 모종 취출 갈고리(51B)와의 선단 간격(D1)의 간격 조정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도 6,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모종 취출 장치(47)는, 갈고리 지지체(71)를 운동시키는 운동 기구(101)를 갖는다. 운동 기구(101)는, 입력축(102)과, 로터리 케이스(103)와, 크랭크축(104)과, 크랭크 아암(105)과, 베이스 지지축(106)을 갖는다. 입력축(102), 크랭크축(104) 및 베이스 지지축(106)은, 기체 폭 방향의 축심을 갖는다.
입력축(102)의 일단부는, 지지대(94)에 고정된 도시 생략된 기어 박스에 지지되어 있다. 입력축(102)의 타단부는, 로터리 케이스(103)에 삽입되어 있다. 입력축(102)에는, 미션 케이스(12)로부터 출력된 동력이 전달되고, 이에 의해, 입력축(102)이 회전한다.
로터리 케이스(103)는, 지지대(94)에 입력축(102)의 축심 주위로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또한, 로터리 케이스(103)는 입력축(102)과 일체 회전한다. 로터리 케이스(103) 내에는, 도시 생략된 유성 기어 기구가 설치되어 있다. 유성 기어 기구는, 입력축(102)에 회전 가능하게 감합되는 태양 기어와, 태양 기어와 교합하는 중간 기어와, 중간 기어와 교합하는 유성 기어를 갖는다.
크랭크축(104)은, 일단부측이 로터리 케이스(103)에 삽입되어 유성 기어에 고정되어 있다. 크랭크축(104)의 타단부측에, 크랭크 아암(105)의 일단부측이 고정되어 있다. 크랭크 아암(105)의 타단부측에, 베이스 지지축(106)이 고정되어 있다. 베이스 지지축(106)은, 베어링(107)을 통해서 베이스 부재(72)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고 있다.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입력축(102)이 회전하면, 로터리 케이스(103)가 화살표 C1 방향으로 입력축(102)과 일체 회전한다. 로터리 케이스(103)가 화살표 C1 방향으로 회전하면, 크랭크 아암(105)이 크랭크축(104)의 축심 주위로 화살표 C2 방향으로 회전한다. 이에 의해, 베이스 지지축(106)이 평평한 타원 형상의 축 이동 궤적(K1) 상을 이동하여, 갈고리 지지체(71)가 왕복 운동한다. 또한, 베이스 지지축(106)이 축 이동 궤적(K1) 상을 이동함으로써 롤러(76)가 가이드 홈(92) 내를 이동한다. 롤러(76)가 가이드 홈(92) 내를 이동함으로써, 갈고리 지지체(71)의 자세가 제어된다. 그리고, 베이스 지지축(106)이 축 이동 궤적(K1) 상을 이동하는 운동과, 롤러(76)가 가이드 홈(92) 내를 이동하는 운동이 복합됨으로써, 제1 모종 취출 갈고리(51A) 및 제2 모종 취출 갈고리(51B)의 선단은, 갈고리 이동 궤적(K2)을 그리듯이 운동한다.
갈고리 이동 궤적(K2)의 상부측에서는, 갈고리 지지체(71)는, 모종(2)을 갖는 트레이(T1)에 대하여 진퇴한다. 그러면, 제1 모종 취출 갈고리(51A) 및 제2 모종 취출 갈고리(51B)가 포트부(P1)를 향해서 진출해서 분형근(2a)을 찌른 후에 후퇴하여 분형근(2a)을 포트부(P1)로부터 취출한다. 또한, 갈고리 지지체(71)는, 모종(2)을 포트부(P1)로부터 취출한 후, 갈고리 이동 궤적(K2)의 하단부에 이를 때, 제1 모종 취출 갈고리(51A) 및 제2 모종 취출 갈고리(51B)가, 선단이 아래를 향하는 세로 방향이 되도록 자세 변경된다.
베이스 지지축(106)에는, 캠(108)이 고정되어 있다. 캠(108)은, 크랭크 아암(105)이 크랭크축(104) 둘레로 회전함으로써, 베이스 부재(72)(갈고리 지지체(71))에 대하여 베이스 지지축(106)과 함께 화살표 C3 방향으로 상대 회전한다. 캠(108)은, 소경부(108a)와, 작용부(108b)를 갖는다. 작용부(108b)는, 소경부(108a)보다 대경으로 되어 있다. 또한, 작용부(108b)는, 회전 방향 전방으로부터 후방으로 감에 따라 서서히 대경으로 되어 있다.
도 5,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모종 취출 장치(47)는, 요동 부재(111)를 갖는다. 요동 부재(111)는 판재에 의해 형성되고, 통 형상의 보스부(112)를 갖는다. 이 보스부(112)는, 베이스 부재(72)에 고정된 요동 지지축(109)에 축심 주위로 회전 가능하게 밖에서 끼움되어 있다. 요동 지지축(109)은, 기체 폭 방향의 축심을 갖는다. 요동 부재(111)는, 베이스 부재(72)에 대하여 요동 지지축(109)의 축심 주위로 요동한다.
요동 부재(111)에는, 캠 종동절(113)과, 제1 압출 부재(114A)와, 제2 압출 부재(114B)와, 가압 부재(116)가 설치되어 있다.
캠 종동절(113)은, 요동 부재(111)에 고정된 폴로워 축(117)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캠 종동절(113)은, 캠(108)의 주위면에 맞닿고, 또한 캠(108)의 주위면 상을 이동한다. 캠 종동절(113)은, 가압 부재(118)(제2 가압 부재라고 함)의 가압력에 의해 캠(108)의 주위면에 압박되어 있다. 제2 가압 부재(118)는, 인장 코일 스프링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제2 가압 부재(118)의 일단부는, 요동 부재(111)에 설치된 제1 걸기부(119)에 걸려 있다. 제2 가압 부재(118)의 타단부는, 지지 블록(73)에 설치된 제2 걸기부(120)에 걸려 있다.
제1 압출 부재(114A) 및 제2 압출 부재(114B)는 선재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제1 압출 부재(114A)는, 원 형상으로 구부러진 제1 기부(121A)를 갖는다. 이 제1 기부(121A)는, 요동 부재(111)의 핀 설치부(122)에 설치된 설치 핀(123)에 피봇지지되어 있다. 제2 압출 부재(114B)는, 원 형상으로 구부러진 제2 기부(121B)를 갖는다. 이 제2 기부(121B)도, 설치 핀(123)에 피봇지지되어 있다. 설치 핀(123)은, 기체 폭 방향의 축심을 갖는다. 제1 압출 부재(114A) 및 제2 압출 부재(114B)는 기체 폭 방향으로 요동 가능하다.
제1 압출 부재(114A)의 선단에는, 링 형상의 제1 압출부(124A)가 형성되어 있다. 이 제1 압출부(124A)에, 제1 모종 취출 갈고리(51A)가 삽입 관통되어 있다. 제1 압출부(124A)는, 제1 모종 취출 갈고리(51A)를 길이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되어 있다. 제2 압출 부재(114B)의 선단에는, 링 형상의 제2 압출부(124B)가 형성되어 있다. 이 제2 압출부(124B)에, 제2 모종 취출 갈고리(51B)가 삽입 관통되어 있다. 제2 압출부(124B)는, 제2 모종 취출 갈고리(51B)를 길이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되어 있다.
가압 부재(116)는 스프링 부재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가압 부재(116)는 탄성을 갖는 선재에 의해 구성되고, 구체적으로는, 피아노 선 등의 탄성 선재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가압 부재(116)의 기부(116a)는, 보스부(118)를 둘러싸는 원호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가압 부재(116)는, 기부(116a)의 일단부로부터 연장된 제1 고정부(116b)와, 기부(116a)의 타단부로부터 연장된 제2 고정부(116c)를 갖는다. 제1 고정부(116b)와 제2 고정부(116c)는, 고정구(125)에 의해, 요동 부재(111)에 고정되어 있다. 따라서, 가압 부재(116)는, 요동 부재(111)와 함께 요동 지지축(109) 주위로 일체 요동한다. 또한, 가압 부재(116)는, 제1 고정부(116b)로부터 연장된 맞닿음부(116d)를 갖는다. 맞닿음부(116d)는, 해당 맞닿음부(116d)가 제1 걸림 결합부(81A) 및 제2 걸림 결합부(81B)에 근접하는 방향으로 요동 부재(111)가 요동함으로써, 제1 걸림 결합부(81A) 및 제2 걸림 결합부(81B)에 맞닿을 수 있게 되어 있다. 또한, 맞닿음부(116d)가 제1 걸림 결합부(81A) 및 제2 걸림 결합부(81B)에 맞닿을 때 맞닿음부(116d)가 요부(78) 내에 들어감으로써, 맞닿음부(116d)가 지지 블록과 간섭하는 것이 방지된다. 또한, 맞닿음부(116d)는 탄성 변형 가능하게 되어 있다.
이상 설명한 모종 취출 장치(47)의 동작을 설명한다.
도 10은, 제1 모종 취출 갈고리(51A) 및 제2 모종 취출 갈고리(51B)가 모종(2)의 분형근(2a)을 찌르기 직전의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이 상태에서는, 캠 종동절(113)은 캠(108)의 소경부(108a)에 위치하고 있다. 또한, 맞닿음부(116d)는, 제1 걸림 결합부(81A) 및 제2 걸림 결합부(81B)로부터 제1 모종 취출 갈고리(51A) 및 제2 모종 취출 갈고리(51B)의 선단측에 이반된 위치에 위치하고 있다. 이 맞닿음부(116d)가 제1 걸림 결합부(81A) 및 제2 걸림 결합부(81B)로부터 이반된 상태에서는, 제1 모종 취출 갈고리(51A)와 제2 모종 취출 갈고리(51B)와의 선단 간격(D1)은 개방되어 있는 상태이다(도 7 참조). 또한, 제1 압출부(124A)가 제1 모종 취출 갈고리(51A)의 선단측에 위치하고, 제2 압출부(124B)가 제2 모종 취출 갈고리(51B)의 선단측에 위치하고 있다(도 7 참조).
이 도 10에 도시하는 상태로부터 입력축(102)이 회전하면,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베이스 지지축(106)이 모종 적재대(46)에 근접하는 방향으로 이동하여, 제1 모종 취출 갈고리(51A) 및 제2 모종 취출 갈고리(51B)의 선단측에서 분형근(2a)을 찌른다. 한편, 캠 종동절(113)은, 캠(108)의 작용부(108b)에 의해 가압된다. 그러면, 요동 부재(111)는, 제1 모종 취출 갈고리(51A) 및 제2 모종 취출 갈고리(51B)의 선단으로부터 이격되는 방향으로 요동 지지축(109) 주위로 요동한다. 이때, 요동 부재(111)는, 제2 가압 부재(118)의 가압력에 저항해서 요동한다. 제1 압출 부재(114A), 제2 압출 부재(114B) 및 가압 부재(116)는, 요동 부재(111)와 함께 요동한다. 이에 의해, 제1 압출 부재(114A) 및 제2 압출 부재(114B)는, 제1 압출부(124A) 및 제2 압출부(124B)가 분형근(2a)과 간섭하지 않는 위치로 이동한다. 또한, 가압 부재(116)가 요동 부재(111)와 일체 요동함으로써, 맞닿음부(116d)가 제1 걸림 결합부(81A) 및 제2 걸림 결합부(81B)를 가압한다.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맞닿음부(116d)가 제1 걸림 결합부(81A) 및 제2 걸림 결합부(81B)를 가압하면, 제1 가압 부재(83)의 가압력에 저항하여, 제1 모종 취출 갈고리(51A) 및 제2 모종 취출 갈고리(51B)가 선단 간격(D1)을 축소시키는 방향으로 회전한다. 따라서, 가압 부재(116)(맞닿음부(116d))는, 제1 모종 취출 갈고리(51A) 및 제2 모종 취출 갈고리(51B)가 분형근(2a)을 찌를 때, 제1 걸림 결합부(81A) 및 제2 걸림 결합부(81B)를 가압해서 제1 모종 취출 갈고리(51A) 및 제2 모종 취출 갈고리(51B)의 선단 간격을 축소시킨다. 이에 의해, 제1 갈고리 설치부(74A) 및 제2 갈고리 설치부(74B)의 선단측에서 분형근(2a) 내부의 흙을 끼움 지지하여, 분형근(2a)을 확실하게 유지한다.
도 11에 도시하는 상태로부터, 또한 입력축(102)이 회전하면, 캠 종동절(113)이 작용부(108b)에서 가압된 상태(제1 갈고리 설치부(74A) 및 제2 갈고리 설치부(74B)의 선단측에서 분형근(2a)을 유지한 상태)를 유지한 채, 갈고리 지지체(71)가 트레이(T1)로부터 이격되는 방향으로 후퇴한다. 이에 의해, 분형근(2a)이 포트부(P1)로부터 취출된다.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또한 입력축(102)이 회전함으로써, 캠 종동절(113)이 작용부(108b)에서 가압된 상태에서, 갈고리 지지체(71)가 자세 변경되어 모종(2)이 갈고리 이동 궤적(K2)의 하단부로 이동한다.
도 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모종 취출 갈고리(51A) 및 제2 모종 취출 갈고리(51B)의 선단이 갈고리 이동 궤적(K2)의 하단부로 이동하면, 캠 종동절(113)이 작용부(108b)로부터 벗어나(작용부(108b)에 의한 규제를 벗어나), 캠 종동절(113)이 소경부(108a)에 빠진다. 그러면, 제2 가압 부재(118)의 가압력에 의해, 요동 부재(111)는, 요동 지지축(109) 주위로 제1 모종 취출 갈고리(51A) 및 제2 모종 취출 갈고리(51B)의 선단에 근접하는 방향으로 요동한다. 이에 의해, 제1 압출부(124A)가 제1 모종 취출 갈고리(51A)의 선단측으로 이동함과 함께 제2 압출부(124B)가 제2 모종 취출 갈고리(51B)의 선단측으로 이동한다. 그러면, 제1 압출부(124A) 및 제2 압출부(124B)에 의해 분형근(2a)이 눌려서 제1 모종 취출 갈고리(51A) 및 제2 모종 취출 갈고리(51B)로부터 모종(2)이 하방으로(식부체(48)에) 방출된다. 또한, 동시에, 맞닿음부(116d)가 제1 걸림 결합부(81A) 및 제2 걸림 결합부(81B)로부터 이반된다. 그러면, 선단 간격(D1)이 넓어져서, 모종(2)의 방출과 동시에, 제1 모종 취출 갈고리(51A) 및 제2 모종 취출 갈고리(51B)에 의한 분형근(2a) 내부의 흙의 끼움 지지가 해제된다.
이상 설명한 모종 취출 장치(47)에 있어서는, 요동 부재(111)가 요동했을 때, 가압 부재(116)(의 맞닿음부(116d))가 제1 걸림 결합부(81A) 및 제2 걸림 결합부(81B)에 맞닿아서 제1 모종 취출 갈고리(51A) 및 제2 모종 취출 갈고리(51B)의 선단 간격(D1)을 축소시키도록 구성하고 있다. 또한, 가압 부재(116)(의 맞닿음부(116d))가 제1 걸림 결합부(81A) 및 제2 걸림 결합부(81B)로부터 이반되면, 제1 가압 부재(83)의 가압력에 의해 제1 모종 취출 갈고리(51A) 및 제2 모종 취출 갈고리(51B)의 선단 간격(D1)을 넓힐 수 있다. 이 구조를 채용함으로써, 모종 취출 장치(47)의 구성 부품의 마모를 적게 할 수 있다. 또한, 가압 부재(116), 제1 걸림 결합부(81A), 제2 걸림 결합부(81B) 및 제1 가압 부재(83)로 제1 모종 취출 갈고리(51A)와 제2 모종 취출 갈고리(51B)의 선단 간격(D1)의 신축을 행하는 기구가 구성되어 있으므로, 모종 취출 장치(47)의 구성의 간소화를 도모할 수 있다.
또한, 가압 부재(116)는 스프링 부재로 형성함으로써, 제1 모종 취출 갈고리(51A) 및 제2 모종 취출 갈고리(51B)의 선단측을 모종(2)의 분형근(2a)에 찔러서 분형근(2a) 내부의 흙을 제1 모종 취출 갈고리(51A)와 제2 모종 취출 갈고리(51B) 사이에 끼웠을 때, 스프링 부재의 탄성력에 의해, 분형근(2a) 내부의 흙을 너무 강하게 끼우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에 의해, 분형근(2a)의 붕괴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제1 모종 취출 갈고리(51A) 및 제2 모종 취출 갈고리(51B)의 선단측을 폐쇄한 후에도 폐쇄 방향으로 힘이 가해지고 있다.
또한, 제1 걸림 결합부(81A)를 제1 갈고리 설치부(74A)로부터 제2 갈고리 설치부(74B)를 향해서 연장함과 함께, 제2 걸림 결합부(81B)를 제2 갈고리 설치부(74B)로부터 제1 갈고리 설치부(74A)를 향해서 연장함으로써 구조의 간소화를 도모할 수 있다.
또한, 제1 걸림 결합부(81A)와 제2 걸림 결합부(81B)를 오버랩시킴으로써, 가압 부재(116)를 콤팩트하게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스토퍼(75)와, 제1 조정 부재(85A)와, 제2 조정 부재(85B)를 설치함으로써, 제1 모종 취출 갈고리(51A)와 제2 모종 취출 갈고리(51B)의 선단 간격(D1)을 변경할 수 있다. 또한, 제1 모종 취출 갈고리(51A) 및 제2 모종 취출 갈고리(51B)의 선단측을 폐쇄하는 부재와, 제1 모종 취출 갈고리(51A)와 제2 모종 취출 갈고리(51B)의 선단 간격(D1)을 변경하는 부재가, 별도의 부재이므로, 폐쇄 양에 관계없이, 제1 모종 취출 갈고리(51A)와 제2 모종 취출 갈고리(51B)의 개방량을 조정할 수 있다.
도 14, 도 1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지지 프레임(5)의 후부는, 좌측의 제1 프레임재(131A)와, 우측의 제2 프레임재(131B)와, 연결재(133)(지지재)를 갖는다. 제1 프레임재(131A), 제2 프레임재(131B) 및 연결재(133)는, 파이프재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제1 프레임재(131A)와 제2 프레임재(131B)는, 기체 폭 방향에서 간격을 두고 설치되어 있다. 제1 프레임재(131A)와 제2 프레임재(131B)는, 전방측의 부분이 전후 방향을 따르고 있고, 후방측의 부분이 후방을 향함에 따라서 상방으로 이행하는 경사 형상으로 되어 있다. 또한, 제1 프레임재(131A)와 제2 프레임재(131B)의 간격은, 전단부에서부터 중도부까지 평행 형상이고, 중도부로부터 후방으로 감에 따라 서서히 넓어지고 있다.
연결재(133)는, 제1 프레임재(131A)와 제2 프레임재(131B)의 간격이 넓어지는 부분의 중도부끼리를 연결하고 있다.
조향 핸들(7)은, 파이프재에 의해 형성되고, 제1 레버부(134A)와, 제2 레버부(134B)와, 제3 레버부(134C)를 갖는다. 제1 레버부(134A)는, 제2 레버부(134B)의 좌측 방향에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있다. 제3 레버부(134C)는, 제1 레버부(134A)와 제2 레버부(134B)의 후단부끼리를 연결되어 있다. 제1 레버부(134A)와 제2 레버부(134B)의 전방부는, 전방으로 감에 따라 하방으로 이행하는 경사 형상으로 되어 있다. 제1 레버부(134A)와 제2 레버부(134B)의 후부는 전후 방향을 따르고 있다. 제1 레버부(134A)의 전방부는, 제1 프레임재(131A)의 후방측 부분에 연결되어 있다. 제2 레버부(134B)의 전방부는, 제2 프레임재(131B)의 후방측 부분에 연결되어 있다. 조향 핸들(7)의 후부에는, 조작 패널(135)이 설치되어 있다. 조작 패널(135)은, 제1 레버부(134A)와 제2 레버부(134B)에 걸쳐 설치되어 있다.
조향 핸들(7)에는, 복수의 조작 레버(136, 137)가 지지되어 있다. 복수의 조작 레버(136, 137)는, 제1 조작 레버(136)와, 제2 조작 레버(137)를 포함한다.
도 14, 도 1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모종 적재대(46)는, 기체(9)의 후부이고 또한 조향 핸들(7)의 전방측 근방에 설치되어 있다. 지지 프레임(5)의 후부(기체(9)의 후부)에는, 모종 적재대(46)를 지지하는 대 프레임(138)이 설치되어 있다. 대 프레임(138)은, 기체 폭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프레임이다. 대 프레임(138)은, 좌측 프레임(139L)과, 우측 프레임(139R)과, 상측 연결 프레임(140)과, 하측 연결 프레임(141)을 갖는다. 상측 연결 프레임(140)은, 좌측 프레임(139L)과 우측 프레임(139R)의 상부끼리를 연결하고 있다. 하측 연결 프레임(141)은, 좌측 프레임(139L)과 우측 프레임(139R)의 하부끼리를 연결하고 있다.
또한, 적재판(35) 상을 세로 이송하는 트레이(T1)는, 모종 적재대(46)의 하단부측에서 가이드 레버(142)에 의해 안내되어 모종 적재대(46)의 배면측으로 이송된다. 모종(2)이 취출된 빈 트레이(T1)는, 다음 트레이(T1)에 밀려서 모종 적재대(46)의 배면측을 상방으로 이송된다. 빈 트레이(T1)는, 상방으로 인출되어, 가이드 레버(142)로부터 취출된다.
도 1 및 도 1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지지 프레임(5)(기체(9))의 후부에는, 트레이 적재 부재(143)가 설치되어 있다. 트레이 적재 부재(143)는, 적재 위치(E1)와, 스탠드 위치(E2)와, 수납 위치(E3)로 위치 변경 가능하다. 적재 위치(E1)는, 빈 트레이(T1)를 적재하는 위치이다. 스탠드 위치(E2)는, 이식기(1)의 미사용 시에 기체(9)의 후부를 지지하는 위치이다. 따라서, 트레이 적재 부재(143)는, 후부의 스탠드로서 겸용되고 있다. 수납 위치(E3)는, 이식기(1)의 이동 시 등, 모종(2)의 부식 작업을 하지 않고 또한 트레이 적재 부재(143)를 스탠드로서 사용하지 않는 경우의 위치이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기체(9)의 전방부에는, 기체(9)의 전방부를 지지하는 전방 스탠드(144)가 설치되어 있다. 전방 스탠드(144)는, 가상선으로 나타내는 스탠드 위치와, 실선으로 나타내는 수납 위치로 위치 변경 가능하다. 전방 스탠드(144)를 스탠드 위치로 함과 함께 트레이 적재 부재(143)를 스탠드 위치로 한 상태에서, 기체(9)를 하강함으로써, 전방 스탠드(144)와 트레이 적재 부재(143)로 기체(9)를 지지할 수 있다.
도 14에 도시한 바와 같이, 트레이 적재 부재(143)는, 모종 적재대(46)의 하방측(배면측)이며 또한 조향 핸들(7)의 하방에 배치되어 있다. 트레이 적재 부재(143)는, 적재 위치(E1)에서는, 대략 수평 형상으로 되어 있고, 조향 핸들(7)과의 사이에 간격이 형성되어 있다. 도 15에 도시한 바와 같이, 트레이 적재 부재(143)는, 조향 핸들(7)의 기체 폭 방향의 폭 내이며 또한 제1 레버부(134A)와 제2 레버부(134B)의 사이의 중앙부에 위치하고 있다. 또한, 트레이 적재 부재(143)는 연결재(133)에 설치되어 있다.
도 15에 도시한 바와 같이, 트레이 적재 부재(143)는, 본체부(146)와, 제1 감합부(147A)와, 제2 감합부(147B)와, 고정 부재(148)와, 트레이 걸림 부재(149)를 갖는다.
본체부(146)는 파이프재에 의해 형성되고, 제1 부위(150A)와, 제2 부위(150B)와, 제3 부위(150C)와, 제4 부위(150D)를 갖는다. 제1 부위(150A)는 제2 부위(150B)의 좌측 방향에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있다. 제3 부위(150C)는 제1 부위(150A)와 제2 부위(150B)의 일단부끼리를 연결하고 있다. 제4 부위(150D)는 제1 부위(150A)와 제2 부위(150B)의 중도부끼리를 연결하고 있다.
도 1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감합부(147A)는 제1 부위(150A)의 타단부에 고정되어 있다. 제1 감합부(147A)는 U자 형상으로 형성되고, 연결재(133)에 축심 주위로 회전 가능하게 감합되어 있다. 제1 감합부(147A)는, 고정 핀(151)에 의해 연결재(133)로부터 고정되어 있다. 고정 핀(151)은, 제1 감합부(147A)의 일단부 벽(152)과 타단부 벽(153)에 걸쳐 삽입 관통되어 있다.
도 1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2 감합부(147B)는, 제2 부위(150B)의 타단부에 고정되어 있다. 제2 감합부(147B)는 U자 형상으로 형성되고, 연결재(133)에 축심 주위로 회전 가능하게 감합되어 있다. 제2 감합부(147B)는, 고정 부재(148)에 의해 연결재(133)로부터 고정되어 있다. 고정 부재(148)는, 제1 벽(152)과, 제2 벽(153)과, 제3 벽(154)을 갖는다. 제1 벽(152)은 일단부측이 제2 부위(150B)에 볼트(158)에 의해 고정되어 있다. 볼트(158)는, 제2 부위(150B)에 고정된 너트 부재(157)에 나사 결합되어 있다. 제2 벽(153)은 제1 벽(152)의 타단부측으로부터 연장되어 있다. 또한, 제2 벽(153)은, 제2 감합부(147B)의 일단부 벽(159) 및 타단부 벽(160)의 단부에 맞닿아 있다. 제3 벽(154)은 제2 벽(153)의 단부로부터 연장되어, 제2 감합부(147B)의 일단부 벽(159)을 따라 형성되어 있다. 제2 벽(153)과 연결재(133)와의 사이에는 간격이 형성되어 있다. 이에 의해, 제2 감합부(147B) 및 제2 부위(150B)는, 연결재(133)의 직경 방향 외측으로 이동 가능하게 되어 있다.
도 15, 도 16, 도 17에 도시한 바와 같이, 트레이 걸림 부재(149)는 봉재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트레이 걸림 부재(149)는, 적재 위치(E1)에서의 트레이 적재 부재(143)의 상방측에 설치되어 있다. 트레이 걸림 부재(149)는, 제1 걸림부(161A)와, 제2 걸림부(161B)와, 제3 걸림부(161C)와, 제1 다리부(162A)와, 제2 다리부(162B)를 갖는다. 제1 걸림부(161A)는 제1 부위(150A)를 따라 설치되어 있다. 또한, 제1 걸림부(161A)는 제1 부위(150A)와 간격을 두고 설치되어 있다. 제2 걸림부(161B)는 제2 부위(150B)를 따라 설치되어 있다. 제2 걸림부(161B)는 제2 부위(150B)와 간격을 두고 설치되어 있다. 제3 걸림부(161C)는 제1 걸림부(161A)와 제2 걸림부(161B)와의 일단부끼리를 연결하고 있다. 제1 다리부(162A)는 제1 걸림부(161A)의 타단부와 제1 부위(150A)를 연결하고 있다. 제2 다리부(162B)는 제2 걸림부(161B)의 타단부와 제2 부위(150B)를 연결하고 있다.
도 1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빈 트레이(T1)는, 적재 위치(E1)에서의 트레이 적재 부재(143) 상에 적재된다. 트레이(T1)는, 세로 방향이 기체 폭 방향으로 되도록 트레이 적재 부재(143) 상에 적재된다. 제1 걸림부(161A), 제2 걸림부(161B) 및 제3 걸림부(161C)가 포트부(P1)의 사이에 끼워짐으로써, 트레이(T1)의 전후 방향 및 기체 폭 방향의 위치 결정이 된다.
도 1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식기(1)는 위치 결정 기구(163)를 갖는다. 위치 결정 기구(163)는, 트레이 적재 부재(143)를, 적재 위치(E1)와, 스탠드 위치(E2)와, 수납 위치(E3)의 각 위치에 위치 결정하는 기구이다.
도 18, 도 1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위치 결정 기구(163)는, 고정판(164)과, 걸림판(165)과, 가압 부재(166)(제3 가압 부재라고 함)를 갖는다. 위치 결정 기구(163)는 제2 부위(150B)의 우측에 설치되어 있다.
고정판(164)은, 판면이 기체 폭 방향을 향하는 판재에 의해 형성되고, 전방부가 연결재(133)에 고정되어 있다. 고정판(164)은, 제1 걸림 홈(167A)과, 제2 걸림 홈(167B)과, 제3 걸림 홈(167C)을 갖는다. 제1 걸림 홈(167A)은, 고정판(164) 후부의 상하 중도부에 형성되고, 후방을 향해서 개방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제2 걸림 홈(167B)은, 고정판(164)의 하부에 형성되고, 하방을 향해서 개방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제3 걸림 홈(167C)은, 고정판(164) 후부의 상부에 형성되고, 상방으로 비스듬한 후방을 향해서 개방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걸림판(165)은 제2 부위(150B)의 우측에 고정되어 있다. 걸림판(165)과 제2 부위(150B)는, 보강 부재(168)에 의해 연결되어 있다. 걸림판(165)은, 본체부(146)를 연결재(133) 주위로 회전시킴으로써 제1 걸림 홈(167A), 제2 걸림 홈(167B) 및 제3 걸림 홈(167C)에 대향 가능하게 되어 있다. 걸림판(165)을 제1 걸림 홈(167A)에 감입하면, 트레이 적재 부재(143)를 적재 위치(E1)에 고정할 수 있다. 또한, 걸림판(165)을 제2 걸림 홈(167B)에 감입하면, 트레이 적재 부재(143)를 스탠드 위치(E2)에 고정할 수 있다. 또한, 걸림판(165)을 제3 걸림 홈(167C)에 감입하면, 트레이 적재 부재(143)를 수납 위치(E3)에 고정할 수 있다.
도 14에 도시한 바와 같이, 트레이 적재 부재(143)는, 적재 위치(E1)에서 연결재(133)로부터 후방 돌출 형상이 된다. 또한, 트레이 적재 부재(143)는, 스탠드 위치(E2)에서 연결재(133)로부터 하방 돌출 형상이 된다. 또한, 트레이 적재 부재(143)는, 수납 위치(E3)에서 연결재(133)로부터 상방으로 비스듬한 상방으로 돌출 형상이 된다. 또한, 트레이 적재 부재(143)는, 수납 위치(E3)에서 적재 위치(E1)보다 상방에 위치한다.
제3 가압 부재(166)는, 인장 코일 스프링으로 구성되어 있다. 제3 가압 부재(166)의 일단부는, 걸림판(165)에 걸려 있다. 제3 가압 부재(166)의 타단부는, 연결재(133)에 고정된 걸기편(169)에 걸려 있다. 제3 가압 부재(166)는, 걸림판(165)이 제1 걸림 홈(167A), 제2 걸림 홈(167B) 및 제3 걸림 홈(167C)에 끼우는 방향으로 걸림판(165)을 가압하고 있다. 제2 부위(150B)를 연결재(133)의 직경 방향 외측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제3 가압 부재(166)의 가압력에 저항하여, 걸림판(165)을 제1 걸림 홈(167A), 제2 걸림 홈(167B) 및 제3 걸림 홈(167C)으로부터 이탈시킬 수 있다.
도 14 내지 도 1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식기(1)는, 누름 기구(171)를 갖는다. 누름 기구(171)는, 트레이 적재 부재(143) 상에 적재된 트레이(T1)를 누르는 기구이다. 누름 기구(171)는, 모종 적재대(46)의 하방에(모종 적재대(46)와 트레이 적재 부재(143)와의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또한, 누름 기구(171)는, 제1 프레임재(131A)와 제2 프레임재(131B)와의 사이에 설치되어 있다.
도 17, 도 19에 도시한 바와 같이, 누름 기구(171)는, 지지 브래킷(172)과, 트레이 누름부(173)와, 가압 부재(174)(제4 가압 부재라고 함)와, 접촉부(175)를 갖는다.
지지 브래킷(172)은 판재로 이루어지고, 상측 연결 프레임(140)에 고정되어 있다. 지지 브래킷(172)은, 피봇부(176A)와, 규제부(176B)와, 제1 걸기 벽부(176C)를 갖는다.
트레이 누름부(173)는, 봉재로 형성되고, 아암부(177A)와, 누름부(177B)로 L자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아암부(177A)는, 일단부가 피봇부(176A)에 기체 폭 방향의 축심 주위로 상하 요동 가능하게 피봇지지되어 있다. 도 1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아암부(177A)가 상하로 요동함으로써, 트레이 누름부(173)는, 누름 자세(G1)와, 퇴피 자세(G2)로 자세 변경 가능하다. 아암부(177A)는, 퇴피 자세(G2)에서 규제부(176B)에 맞닿아, 상방 요동이 규제된다. 누름부(177B)는, 아암부(177A)의 타단부로부터 기체 폭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또한, 누름부(177B)는, 누름 자세(G1)에서 트레이 적재 부재(143) 상의 트레이(T1)에 맞닿는다.
제4 가압 부재(174)는, 인장 코일 스프링으로 구성되어 있다. 제4 가압 부재(174)의 일단부는, 제1 걸기 벽부(176C)에 걸려 있다. 제4 가압 부재(174)의 타단부는, 아암부(177A)에 고정된 제2 걸기 벽부(178)에 걸려 있다. 제4 가압 부재(174)는, 누름 자세(G1)에서 트레이 누름부(173)를 하방(트레이(T1)에 압박되는 방향)으로 가압하고 있다. 또한, 제4 가압 부재(174)는, 퇴피 자세(G2)에서 트레이 누름부(173)를 상방으로 가압하고 있다.
접촉부(175)는, 지지 브래킷(172)에 맞닿음으로써, 트레이 누름(173)의 하방 요동을 규제한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기체(9)의 후부이며 또한 조향 핸들(7)의 전방측에 설치된 모종 적재대(46)를 갖고, 빈 트레이(T1)를 적재하는 트레이 적재 부재(143)를 조향 핸들(7)의 하방에 설치하고 있다. 이에 의해, 빈 트레이(T1)를 트레이 적재 부재(143)에 적재하는 작업의 간소화를 도모할 수 있다. 또한, 트레이 적재 부재(143)를, 적재 위치와, 스탠드 위치로 위치 변경 가능하게 함으로써, 트레이 적재 부재(143)를 스탠드로 겸용할 수 있다. 이 부재의 겸용화에 의해 비용 저감을 도모할 수 있다.
또한, 트레이 걸림 부재(149)를 설치함으로써, 트레이 적재 부재(143) 상에 적재한 빈 트레이(T1)의 위치 결정을 할 수 있다.
또한, 모종 적재대(46)의 하방에, 트레이 적재 부재(143) 상에 적재한 빈 트레이(T1)를 누르는 트레이 누름부(173)를 설치함으로써, 트레이 적재 부재(143) 상의 트레이(T1)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
또한, 트레이 적재 부재(143)를, 적재 위치(E1)와, 스탠드 위치(E2)와, 수납 위치(E3)에 위치 결정하는 위치 결정 기구(163)를 설치함으로써, 트레이 적재 부재(143)를 사용하지 않을 때, 트레이 적재 부재(143)를 방해가 되지 않는 수납 위치(E3)에 배치해 둘 수 있다.
도 21, 도 22, 도 2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조작 레버(136)는, 조향 핸들(7)의 제1 레버부(134A)의 우측방이며 또한 근방에 배치되어 있다. 제1 조작 레버(136)는, 제1 레버부(134A)에 지지되어 있다. 제1 조작 레버(136)는, 주행 장치(10)에의 동력을 절단하는 주 클러치의 조작 부재와, 주행 장치(10)를 제동하는 브레이크의 조작 부재를 겸용한 조작 레버이다. 즉, 제1 조작 레버(136)는, 좌측 주행 기구(6L) 및 우측 주행 기구(6R)의 크롤러 주행체(18L, 18R)에의 동력을 절단함과 함께 크롤러 주행체(18L, 18R)를 제동한다.
제1 조작 레버(136)의 기부(하단부측)는, 설치 브래킷(186)(제1 설치 브래킷이라고 함)에 레버 축(187)(제1 레버 축이라고 함)을 개재해서 설치되어 있다. 제1 조작 레버(136)는, 제1 레버 축(187)의 축심 주위로 요동 가능하며, 기체 폭 방향으로 요동 가능하다. 제1 설치 브래킷(186)의 하단부에, 설치 통(188)(제1 설치 통이라고 함)이 고정되어 있다. 제1 설치 통(188)은, 기체 폭 방향의 축심을 갖는 요동 지지축(189)(제1 요동 지지축이라고 함)에 축심 주위로 회전 가능하게 밖에서 끼움되어 있다. 제1 요동 지지축(189)은, 제1 레버부(134A)에 고정된 좌측 설치 부재(190)에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제1 조작 레버(136)는, 전후 방향으로도 요동 가능하게 되어 있다.
제1 설치 통(188)의 전방부에는, 브레이크 아암(191)의 기부가 고정되어 있다. 도 2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브레이크 아암(191)의 선단에는, 브레이크 와이어(192)가 연결되어 있다. 브레이크 와이어(192)는 보덴 와이어로 구성되고, 이너 와이어(192a)와 아우터 와이어(192b)를 갖는다. 브레이크 와이어(192)의 이너 와이어(192a)의 일단부는, 연결 부재(193)를 통해서 브레이크 아암(191)의 선단에 연결되어 있다. 도 2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브레이크 와이어(192)의 이너 와이어(192a)의 타단부는, 스프링을 통해서 브레이크(194)를 작동시키는 브레이크 레버(195)에 연결되어 있다.
제1 설치 통(188)에는, 가압 부재(196)의 기부가 고정되어 있다. 가압 부재(196)는, 제1 설치 통(188)으로부터 상방측으로 돌출 형상으로 되어 있다. 가압 부재(196)는, 가압부(197)와, 해제부(198)를 갖는다. 가압부(197)는 가압 부재(196)의 후방면측에 설치되고, 만곡 형상으로 오목해지는 오목면에 형성되어 있다. 가압부(197)는 요동 링크(203)를 가압하는 부분이다. 해제부(198)는, 가압 부재(196)의 상면측에 설치되고, 제1 요동 지지축(189)의 축심(O1)(제1 조작 레버(136)의 요동 중심)을 중심으로 하는 원호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해제부(198)는 요동 링크(203)에 대한 가압을 해제하는 부분이다.
해제부(198)는 유지 부위(199)를 갖는다. 해제부(198)의 후부측의 소정 범위가 유지 부위(199)로 되어 있다. 또한, 유지 부위(199)는, 오목부(200)를 갖는다. 가압부(197)와 해제부(198)와의 사이의 코너부(201)는, 볼록 형상의 원호면에 형성되어 있다. 가압 부재(196)의 상부의 후부측에는, 걸림 결합 핀(202)이 설치되어 있다. 걸림 결합 핀(202)은, 기체 폭 방향의 축심을 갖고, 우측 방향으로 돌출 형상으로 되어 있다.
가압 부재(196)의 후방측에는, 요동 링크(203)가 배치되어 있다. 요동 링크(203)의 일단부측은, 제1 링크 핀(204)에 의해, 좌측 설치 부재(190)에 기체 폭 방향의 축심 주위로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제1 링크 핀(204)은, 제1 요동 지지축(189)의 후측 상방에 위치하고 있다. 요동 링크(203)의 타단부측에는, 걸림 결합 부재(205)가 설치되어 있다. 이 걸림 결합 부재(205)는, 기체 폭 방향의 축심을 갖는 원기둥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걸림 결합 부재(205)는, 요동 링크(203)의 측면에 고정되어 있다. 또한, 걸림 결합 부재(205)는, 가압 부재(196)의 가압부(197) 및 해제부(198)에 맞닿을 수 있다. 또한, 걸림 결합 부재(205)는, 요동 링크(203)와 하나의 부재로 일체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요동 링크(203)의 타단부측에는, 제2 링크 핀(206)이 설치되어 있다. 이 제2 링크 핀(206)은, 걸림 결합 부재(205)와 동심 형상으로 설치되어 있다. 이 제2 링크 핀(206)에, 클러치 링크(207)의 일단부측(후단부측)이 피봇지지되어 있다.
도 23에 도시한 바와 같이, 클러치 링크(207)의 타단부측(전단부측)에는, 클러치 와이어(208)가 연결되어 있다. 클러치 와이어(208)는, 보덴 와이어로 구성되고, 이너 와이어(208a)와 아우터 와이어(208b)를 갖는다. 클러치 와이어(208)의 이너 와이어(208a)의 일단부측은, 연결 부재(209)를 통해서 클러치 링크(207)의 타단부측에 연결되어 있다. 클러치 와이어(208)의 이너 와이어(208a)의 타단부측은, 주 클러치(210)를 온오프 조작하는(주 클러치(210)를 접속 및 절단하는) 클러치 레버(211)에 연결되어 있다. 클러치 레버(211)에는, 주 클러치(210)를 조작하는 릴리즈 포크(212)가 설치되어 있다.
도 20, 도 21, 도 2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레버부(134A)의 우측방에는, 보조 조작 부재(213)가 설치되어 있다. 보조 조작 부재(213)는, 아암부(214)와, 조작부(215)를 갖는다. 아암부(214)의 기부(214a)는, 좌측 설치 부재(190)에 고정된 고정 브래킷(216)에 피봇 핀(217)을 통해서 피봇지지되어 있다. 피봇 핀(217)은 기체 폭 방향의 축심을 갖는다. 피봇 핀(217)은, 제1 링크 핀(204)의 후측 하방에 위치하고 있다. 아암부(214)의 선단측(214b)은, 기부(214a)로부터 제1 요동 지지축(189)의 전방측으로 연장되어 있다. 아암부(214)의 선단측(214b)은, 걸림 결합 핀(202)이 삽입 관통하는 걸림 결합 홈(218)을 갖는다. 걸림 결합 홈(218)은, 전방측의 제1 홈부(218a)와, 후방측의 제2 홈부(218b)를 갖는다. 제1 홈부(218a)는, 제2 홈부(218b)의 전단부로부터 전방 하강으로 경사 형상이며 또한 전방으로 볼록한 원호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제2 홈부(218b)는, 제1 홈부(218a)의 상단부로부터 후방 하강으로 경사 형상이며 또한 상방으로 볼록한 원호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조작부(215)는, 아암부(214)의 기부(214a)로부터 후측 상방으로 연장되어 있다. 조작부(215)는, 조향 핸들(7)을 파지한 채, 엄지 손가락 등에 의해 조작 가능하다. 바꾸어 말하면, 보조 조작 부재(213)는, 조향 핸들(7)을 파지한 상태에서 조작 가능하다.
도 2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조작 패널(135)의 좌측에는, 제1 조작 레버(136)를 안내하는 레버 홈(219)(제1 레버 홈이라고 함)이 형성되어 있다. 이 제1 레버 홈(219)에, 제1 조작 레버(136)가 삽입 관통되어 있다. 제1 조작 레버(136)는, 제1 레버 홈(219) 내를 이동 가능하다. 제1 조작 레버(136)는, 클러치 온 위치(H1)와, 클러치 오프 위치(H2)와, 브레이크 오프 위치(H3)와, 브레이크 온 위치(H4)와, 걸림 위치(H5)로 조작 가능하다.
제1 조작 레버(136)를, 클러치 온 위치(H1)로 조작하면, 주 클러치(210)가 접속되고, 좌측 및 우측의 크롤러 주행체(18L, 18R)에의 동력이 전달된다. 클러치 온 위치(H1)에서는, 브레이크(194)는 해제 상태(크롤러 주행체(18L, 18R)를 제동하지 않는 상태)이다. 제1 조작 레버(136)를 클러치 온 위치(H1)로부터 후방으로 요동시켜서 클러치 오프 위치(H2)로 조작하면, 주 클러치(210)가 절단되고, 크롤러 주행체(18L, 18R)에의 동력의 전달이 차단된다. 이 클러치 오프 위치(H2)에서는, 브레이크(194)는 아직 해제 상태이다. 클러치 오프 위치(H2)로부터 제1 조작 레버(136)를 바로 뒤로 요동시킬 수는 없다. 제1 조작 레버(136)를 클러치 오프 위치(H2)로부터 브레이크 오프 위치(H3)로 조작하면, 클러치 온, 또한 브레이크 해제 상태를 유지하고, 제1 조작 레버(136)의 후방에의 요동이 허용된다. 제1 조작 레버(136)를 브레이크 오프 위치(H3)로부터 브레이크 온 위치(H4)로 조작하면, 클러치 오프 상태를 유지한 상태에서, 브레이크(194)가 작동되어, 크롤러 주행체(18L, 18R)가 제동된다. 제1 조작 레버(136)를 브레이크 온 위치(H4)로부터 걸림 위치(H5)로 조작하면, 클러치 오프, 또한 브레이크 온 상태에서, 제1 조작 레버(136)를 유지할 수 있다.
도 26은, 제1 조작 레버(136)를 클러치 온 위치(H1)로 조작한 상태의 측면도를 나타내고 있다. 이 클러치 온 위치(H1)에서는, 걸림 결합 부재(205)가 가압부(197)에 맞닿아 있음과 함께 걸림 결합 부재(205)가 제1 링크 핀(204)보다 전방측이며 또한 상방에 위치하고 있다. 이 클러치 온 위치(H1)에서는, 주 클러치(210)의 복귀 스프링의 가압력(F1)에 의해, 제1 조작 레버(136)의 후방에의 요동이 규제된다. 즉, 제1 조작 레버(136)가 클러치 온 위치(H1)로 유지된다. 또한, 걸림 결합 핀(202)은, 제1 홈부(218a)의 하단부에 위치하고 있다.
도 2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조작 레버(136)를, 클러치 온 위치(H1)로부터 후방으로 요동하여, 클러치 온 위치(H1)와 클러치 오프 위치(H2)와의 중간 위치로 조작하면, 가압 부재(196)가 후방으로 요동한다. 가압 부재(196)가 후방으로 요동하면, 걸림 결합 부재(205)가 가압부(197)에 가압된다. 가압부(197)에 가압된 걸림 결합 부재(205)는, 가압부(197)에 접한 채 상방 이동한다. 이에 의해, 요동 링크(203)가 후측 상방으로 요동한다. 요동 링크(203)가 후측 상방으로 요동하면, 가압력(F1)에 저항해서 클러치 링크(207)가 후방으로 끌려가, 클러치 와이어(208)를 통해서 클러치 레버(211)가 당김 작동된다. 그러면, 릴리즈 포크(212)에 의해, 주 클러치(210)가 동력을 절단하는 방향으로 조작된다. 또한, 걸림 결합 핀(202)은, 제1 홈부(218a) 내를 상방으로 이동한다.
도 2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조작 레버(136)를 또한 후방으로 요동시켜, 클러치 오프 위치(H2)로 조작하면, 가압 부재(196)는, 또한 후방으로 요동해서 걸림 결합 부재(205)를 가압한다. 그러면, 걸림 결합 부재(205)는, 가압부(197)의 상단부로부터 코너부(201)를 넘어서, 해제부(198)의 유지 부위(199)에 올라앉는다. 걸림 결합 부재(205)가 유지 부위(199)에 올라앉으면, 요동 링크(203)의 하방에의 요동이 규제되고, 가압력(F1)은, 가압 부재(196)를 전방으로 요동시키는 방향(제1 조작 레버(136)를 클러치 온 위치(H1)로 요동시키는 방향)으로는 작용하지 않는다. 이때, 브레이크(194)는 조작되지 않으므로, 브레이크(194)의 복귀 스프링의 가압력은, 제1 조작 레버(136)에는 작용하지 않는다. 따라서, 클러치 오프 위치(H2)에서는, 제1 조작 레버(136)를 조작하지 않으면, 가압 부재(196)는 요동하지 않는다. 바꾸어 말하면, 클러치 오프 위치(H2)에서는, 제1 조작 레버(136)는 자기 요동 불능으로 유지된다. 또한, 제1 조작 레버(136)를 클러치 오프 위치(H2)로 조작하면, 걸림 결합 부재(205)가 오목부(200)에 끼워진다. 또한, 이 클러치 오프 위치(H2)에서는, 걸림 결합 핀(202)은 제1 홈부(218a)의 상단부에 위치한다.
이 클러치 오프 위치(H2)에 있어서, 보조 조작 부재(213)의 조작부(215)를 엄지 손가락 등에 의해 밀어 내리면, 아암부(214)의 선단측이 피봇 핀(217) 주위로 상방으로 요동한다. 아암부(214)가 상방으로 요동하면, 걸림 결합 핀(202)이 제1 홈부(218a)의 상부의 하측 테두리부(220)에 의해 가압된다. 그러면, 걸림 결합 핀(202)이 제1 홈부(218a) 내를 하방측으로 이동하고, 이에 의해, 가압 부재(196)가 전방으로 요동한다. 가압 부재(196)가 전방으로 요동하면, 걸림 결합 부재(205)가 해제부(198)(유지 부위(199))로부터 어긋나고, 그 후, 코너부(201)를 거쳐서 가압부(197)의 상단부로 이동한다. 걸림 결합 부재(205)가 가압부(197)로 이동하면, 가압력(F1)에 의해, 걸림 결합 부재(205)가 가압 부재(196)를 전방으로 가압한다. 이에 의해, 제1 조작 레버(136)가 클러치 온 위치(H1)로 조작된다. 제1 홈부(218a)의 상부의 하측 테두리부가, 걸림 결합 핀(202)을 가압하는 누름부(220)로 되어 있다.
도 2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조작 레버(136)를, 클러치 오프 위치(H2)로부터 브레이크 오프 위치(H3)로 조작하고, 또한 브레이크 온 위치(H4)로 조작하면, 브레이크 아암(191)이 후측 상방으로 요동한다. 그러면, 브레이크 와이어(192)에 의해, 브레이크 레버(195)가 당김 작동되어, 브레이크(194)가 작동한다. 이때, 브레이크 아암(191)에는, 브레이크(194)의 복귀 스프링의 가압력(F2)이 작용한다. 이 가압력(F2)은, 제1 조작 레버(136)를 브레이크 오프 위치(H3)로 되돌리는 방향으로 작용한다. 또한, 제1 조작 레버(136)를 브레이크 온 위치(H4)로 조작할 때 걸림 결합 부재(205)가 해제부(198) 상을 전방으로 이동한다. 걸림 결합 부재(205)가 이 해제부(198) 상에 위치하는 상태일 때는, 가압력(F1)은 제1 조작 레버(136)를 요동시키는 방향으로는 작용하지 않는다. 즉, 요동 링크(203)는 가압 부재(196)의 가압력이 작용하지 않는 상태가 된다. 또한, 브레이크 온 위치(H4)에서는, 걸림 결합 핀(202)은 제2 홈부(218b)의 후단부에 위치한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주 클러치(210)를 절단한 후에, 걸림 결합 부재(205)가 해제부(198)에 올라앉으므로, 요동 링크(203)에 가압 부재(196)의 가압력이 작용하지 않는 상태가 된다. 이에 의해, 주 클러치(210)의 절단 후, 제1 조작 레버(136)에 가압력(F1)이 작용하지 않게 되어, 브레이크(194)를 작동시키는 조작을 할 때의 제1 조작 레버(136)의 조작력을 경감시킬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해제부(198)가, 제1 조작 레버(136)의 요동 중심(O1)을 중심으로 하는 원호 형상으로 되고, 주 클러치(210)의 절단 후에, 가압 부재(196)에 가압되는 걸림 결합 부재(205)가 해제부(198)에 올라앉는다. 이에 의해, 브레이크(194)를 작동시키는 조작을 할 때, 걸림 결합 부재(205)가 해제부(198) 상을 이동하므로, 제1 조작 레버(136)의 조작을 원활하게 행할 수 있다.
또한, 해제부(198)가 주 클러치(210)를 절단하고 또한 브레이크(194)를 해제한 위치에서 제1 조작 레버(136)가 유지되는 유지 부위(199)를 가짐으로써, 주 클러치(210)를 절단하고 또한 브레이크(194)를 해제한 상태에서 제1 조작 레버(136)를 유지할 수 있다.
또한, 해제부(198)의 유지 부위(199)에 걸림 결합 부재(205)가 끼워지는 오목부(200)를 형성함으로써, 제1 조작 레버(136)를 클러치 오프 위치(H2)로 했을 때 반응이 있어, 제1 조작 레버(136)의 유지 위치를 작업자가 용이하게 인식할 수 있다.
또한, 조향 핸들(7)을 파지한 상태에서 조작 가능한 보조 조작 부재(213)를 설치하고, 이 보조 조작 부재(213)에 의해, 걸림 결합 부재(205)가 유지 부위(199)에 위치하는 상태에서 주 클러치(210)가 접속되는 방향으로 요동 가능하게 함으로써, 주 클러치(210)가 절단되고 또한 브레이크(194)가 해제된 상태에서, 조향 핸들(7)로부터 손을 떼지 않고, 주 클러치(210)를 접속시킬 수 있다.
이식기(1)에 있어서는, 묘(R1)의 종단부에까지 모종(2)이 이식되면, 포장의 개자리(headland) 등에서 선회하여, 진행 방향을 역방향으로 해서, 인접하는 묘(R1)에 모종(2)을 이식한다. 보행형의 이식기(1)에서는, 개자리 등에 있어서 선회하는 경우, 기체(9)를 상승시키고, 그 후, 조향 핸들(7)을 밀어 내려서 전륜(14)을 지면으로부터 뜨게 해서 선회시킨다. 개자리가 좁은 경우에는, 기체(9)를 상승시킬 때 주 클러치(210)를 절단한다. 그리고, 기체(9)가 상승하면, 조향 핸들(7)을 밀어 내려서 전륜(14)을 지면으로부터 뜨게 하고, 그 후, 주 클러치(210)를 접속한다. 이때, 제1 조작 레버(136)를 왼손으로 조작하면, 조향 핸들(7)을 오른손만으로 파지해야만 한다. 그러나, 본 실시 형태에서는, 보조 조작 부재(213)에 의해, 조향 핸들(7)로부터 손을 떼지 않고, 제1 조작 레버(136)를 클러치 오프 위치(H2)로부터 클러치 온 위치(H1)로 조작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조향 핸들(7)을 양손으로 안정되게 파지할 수 있다.
또한, 가압 부재(196)에 걸림 결합 핀(202)을 설치하고, 보조 조작 부재(213)에, 주 클러치(210)가 접속되는 방향으로 가압 부재(196)를 요동시키기 위해 걸림 결합 핀(202)을 가압하는 누름부(220)를 설치함으로써, 구조의 간소화를 도모할 수 있다.
도 29, 도 30, 도 3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2 조작 레버(137)는, 조향 핸들(7)의 제2 레버부(134B)의 좌측이며 또한 근방에 배치되어 있다. 제2 조작 레버(137)는 제2 레버부(134B)에 지지되어 있다. 제2 조작 레버(137)는, 승강 밸브(61)를 조작해서 기체(9)를 승강시키는 조작 레버임과 함께, 이식 장치(4)에의 동력 전달을 단속시키는 조작 레버이다.
제2 조작 레버(137)의 기부(하단부측)는, 설치 브래킷(226)(제2 설치 브래킷이라고 함)에 레버 축(227)(제2 레버 축이라고 함)을 개재해서 설치되어 있다. 제2 조작 레버(137)는, 제2 레버 축(227)의 축심 주위로 요동 가능하며, 기체 폭 방향으로 요동 가능하다. 제2 설치 브래킷(226)의 하단부에, 설치 통(228)(제2 설치 통이라고 함)이 고정되어 있다. 제2 설치 통(228)은, 기체 폭 방향의 축심을 갖는 요동 지지축(229)(제2 요동 지지축이라고 함)에 축심 주위로 회전 가능하게 밖에서 끼움되어 있다. 제2 요동 지지축(229)은, 제2 레버부(134B)에 고정된 우측 설치 부재(230)에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제2 조작 레버(137)는 전후 방향으로도 요동 가능하게 되어 있다.
도 3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2 조작 레버(137)의 요동은, 링크 기구(231)와, 승강 와이어(232)에 의해, 승강 밸브(61)에 전달된다. 링크 기구(231)는, 제2 조작 레버(137)와 승강 와이어(232)와의 사이에 설치되어 있다. 링크 기구(231)는, 제1 승강 링크(233)와, 제2 승강 링크(234)를 갖는다. 제1 승강 링크(233)의 기부는, 제2 설치 통(228)의 상부에 고정되어 있다. 제1 승강 링크(233)의 선단에는, 제2 승강 링크(234)의 일단부측(후단부측)이 제1 연결 핀(236)을 통해서 피봇지지되어 있다. 제2 승강 링크(234)의 타단부측(전단부측)에는, 연결 부재(238)가 제2 연결 핀(237)을 통해서 피봇지지되어 있다.
승강 와이어(232)는, 보덴 와이어로 구성되고, 이너 와이어(232a)와 아우터 와이어(232b)를 갖는다. 승강 와이어(232)의 이너 와이어(232a)의 일단부는, 연결 부재(238)에 설치되어 있다. 이너 와이어(232a)의 타단부는, 승강 밸브(61)에 연동 연결되어 있다. 이너 와이어(232a)에는, 승강 밸브(61)측으로부터 화살표 F3 방향의 가압력이 작용한다.
도 3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조작 패널(135)의 우측에는, 제2 조작 레버(137)를 안내하는 레버 홈(239)(제2 레버 홈이라고 함)이 형성되어 있다. 이 제2 레버 홈(239)에, 제2 조작 레버(137)가 삽입 관통되어 있다. 제2 조작 레버(137)는, 제2 레버 홈(239) 내를 이동 가능하다. 제2 조작 레버(137)는, 부식 위치(M1)와, 고정 위치(M2)와, 인하 위치(M3)와, 복수의 인상 위치(M4, M5)로 조작 가능하다. 복수의 인상 위치(M4, M5)는, 제1 인상 위치(M4)와 제2 인상 위치(M5)를 포함한다.
제2 조작 레버(137)를 부식 위치(M1)로 조작하면, 이식 장치(4)에 동력을 전달하는 부식 클러치가 접속되어, 모종 취출 장치(47), 모종 적재대(46), 부식 장치(45)가 구동된다. 제2 조작 레버(137)가 부식 위치(M1)로부터 벗어나면, 부식 클러치가 절단된다. 또한, 제2 조작 레버(137)가 부식 위치(M1)로 조작된 상태에서는, 승강 밸브(61)는 정지 롤러(50) 또는 진압 륜(49)이 묘(R1)의 상면에 추종하는 움직임에 따라서, 상승 위치, 중립 위치, 하강 위치로 전환된다. 승강 밸브(61)가 상승 위치로 전환되면, 승강 실린더(36)가 신장되어 기체(9)가 상승한다. 승강 밸브(61)가 중립 위치로 전환되면, 승강 실린더(36)가 신축되지 않게 되어 기체(9)의 상하 이동이 정지한다. 승강 밸브(61)가 상승 위치로 전환되면, 승강 실린더(36)가 수축되어 기체(9)가 하강한다. 제2 조작 레버(137)를 고정 위치(M2)로 조작하면, 승강 밸브(61)가 중립 위치로 고정되고, 승강 실린더(36)의 신축이 불능으로 된다.
제2 조작 레버(137)를 인하 위치(M3)로 조작하면, 기체(9)가 하강한다. 그리고, 정지 롤러(50) 또는 진압 륜(49)이 묘(R1)의 상면에 접지해서 승강 밸브(61)가 중립 위치로 복귀될 때까지 기체(9)가 하강한다. 제2 조작 레버(137)를 제1 인상 위치(M4) 또는 제2 인상 위치(M5)로 조작하면, 승강 실린더(36)가 신장되어, 기체(9)가 상승한다.
부식 위치(M1), 고정 위치(M2), 인하 위치(M3), 제1 인상 위치(M4)에서는, 제1 연결 핀(236)과 제2 연결 핀(237)을 연결하는 연결 선(Y1)이, 제2 레버 축(227)의 상방에 위치하고 있다(도 30 참조). 이에 의해, 부식 위치(M1), 고정 위치(M2), 인하 위치(M3), 제1 인상 위치(M4)의 각 위치에서, 가압력(F3)은, 제2 조작 레버(137)를 전방으로 요동하는 방향으로 가압하고 있다. 또한, 부식 위치(M1), 고정 위치(M2), 인하 위치(M3), 제1 인상 위치(M4)의 각 위치에서, 제2 조작 레버(137)가 제2 레버 홈(239)의 테두리부에 맞닿음으로써, 각 위치에 유지된다.
도 3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2 조작 레버(137)를 제2 인상 위치(M5)로 조작한 상태에서는, 연결 선(Y1)은, 제2 레버 축(227)의 하방에 위치한다. 즉, 제2 조작 레버(137)를 제2 인상 위치(M5)로 조작한 상태에서는, 가압력(F3)은, 제2 조작 레버(137)를 후방으로 요동시키는 방향으로 가압하고 있다. 이에 의해, 제2 조작 레버(137)는, 제2 레버 홈(239)의 테두리부에 맞닿아, 제2 인상 위치(M5)로 유지된다. 이상과 같이, 링크 기구(231)에 의해 가압력(F3)이 전환된다.
보행형의 이식기(1)에서는, 선회하는 경우, 제2 조작 레버(137)를 제2 인상 위치(M5)로 조작하여, 기체(9)를 최상승 위치까지 상승시킨다. 그때, 기체(9)가 최상승 위치로 상승한 상태에서, 제2 조작 레버(137)를 고정 위치(M2)로 되돌리는 것을 잊은 경우, 승강 실린더(36)를 제어하는 유압 회로의 릴리프 밸브가 개방된 채가 된다.
따라서, 본 실시 형태에서는, 기체(9)가 소정 위치(예를 들어, 최상승 위치 또는 최상승 위치의 근방)로 상승했을 때, 승강 실린더(36)에 걸림 결합하는 복귀 기구(241)가 설치되어 있다. 이 복귀 기구(241)는, 기체(9)를 상승시키고 있을 때에 있어서, 기체(9)가 소정 위치로 상승했을 때, 승강 실린더(36)에 걸림 결합함으로써, 제2 조작 레버(137)를 제2 인상 위치(M5)로부터 고정 위치(M2)로 자동으로 위치 변경시킨다.
도 29, 도 30, 도 31, 도 34, 도 3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복귀 기구(241)는, 작동 부재(242)와, 복귀 스프링(243)과, 복귀 와이어(244)를 갖는다.
작동 부재(242)는 승강 실린더(36)의 근방이며, 가대(13)의 후부의 우측 외측면에 설치되어 있다. 가대(13)의 후부의 우측 외측면에는, 고정판(245)이 볼트에 의해 설치되어 있다. 이 고정판(245)의 전방 상부에 기체 폭 방향의 축심을 갖는 추축(246)이 설치되어 있다. 작동 부재(242)에는, 통 보스(247)가 고정되어 있다. 통 보스(247)는, 추축(246)에 축심 주위로 회전 가능하게 밖에서 끼움되어 있다. 이에 의해, 작동 부재(242)가, 추축(246) 주위로 전후 요동 가능하게 되어 있다.
작동 부재(242)는 판재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작동 부재(242)는, 맞닿음부(248)와, 회전 방지부(249)와, 스프링 걸이 벽(250)과, 연결벽(251)을 갖는다. 맞닿음부(248)는 통 보스(247)의 상방에 위치한다. 회전 방지부(249)는 통 보스(247)의 하방으로부터 후방으로 연장되어 있다. 스프링 걸이 벽(250)은, 통 보스(247)의 하방으로부터 기체 폭 방향 외측으로 연장되어 있다. 연결벽(251)은, 스프링 걸이 벽(250)의 외측 단부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되어 있다.
고정판(245)의 후부에는, 걸림벽(252)이 기체 폭 방향의 외측으로 연장 형상으로 설치되어 있다.
복귀 스프링(243)은 인장 코일 스프링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복귀 스프링(243)의 일단부는, 스프링 걸이 벽(250)에 걸려 있다. 복귀 스프링(243)의 타단부는, 걸림벽(252)에 걸려 있다. 이 복귀 스프링(243)은, 맞닿음부(248)를 전방으로 요동시키는 방향으로 작동 부재(242)를 가압하고 있다. 또한, 회전 방지부(249)가 걸림벽(252)에 전방측으로부터 맞닿음으로써, 복귀 스프링(243)에 의한 작동 부재(242)의 회전이 규제되어 있다.
도 3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맞닿음부(248)는, 승강 실린더(36)의 신축에 수반하여 이동하는 가동 부재(253)가 맞닿는 부위이다. 도 34, 도 3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승강 실린더(36)의 피스톤 로드(36b)는, 제2 축 서포트(30)에 연결되어 있다. 이 제2 축 서포트(30)의 우측에는, 가대(13)에 전후 방향 이동 가능하게 지지된 가이드(254)가 설치되어 있다. 이 가이드(254)에 가동 부재(253)가 고정되어 있다. 따라서, 가동 부재(253)는, 피스톤 로드(36b)의 이동에 수반하여 이동한다. 그리고, 피스톤 로드(36b)가 후방으로 이동(실린더 튜브(36a)로부터 돌출된 방향으로 이동)하여, 기체(9)가 소정 위치로 상승했을 때, 가동 부재(253)가 맞닿음부(248)(작동 부재(242))를 가압한다.
도 3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작동 부재(242)는 실선으로 나타내는 위치인 대기 위치와, 가상선으로 나타내는 위치인 작동 위치로 위치 변경 가능하게 되어 있다. 대기 위치는, 회전 방지부(249)가 걸림벽(252)에 맞닿아서 복귀 스프링(243)에 의한 회전이 규제된 위치이다. 또한, 대기 위치는, 가동 부재(253)가 작동 부재(242)를 가압하기 전의 상태이다. 작동 위치는, 가동 부재(253)가 맞닿음부(248)를 가압함으로써, 상부가 후방으로 요동하도록 작동 부재(242)가 요동한 상태이다. 가동 부재(253)가 맞닿음부(248)로부터 이격되면, 작동 부재(242)는, 복귀 스프링(243)에 의해 대기 위치로 복귀된다.
도 29, 도 30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복귀 와이어(244)는, 제2 조작 레버(137)와 작동 부재(242)를 연동하는 와이어이다. 복귀 와이어(244)는 보덴 와이어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복귀 와이어(244)는, 이너 와이어(244a)와 아우터 와이어(244b)를 갖는다. 복귀 와이어(244)의 이너 와이어(244a)의 일단부는, 연결 부재(255)에 설치되어 있다. 연결 부재(255)는, 연결부(251)에 핀(259)을 통해서 기체 폭 방향의 축심 주위로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복귀 와이어(244)의 아우터 와이어(244b)의 일단부는, 걸림벽(252)에 설치되어 있다. 복귀 와이어(244)의 이너 와이어(244a)의 타단부는, 스프링 부재(256)를 통해서 제2 조작 레버(137)에 연결되어 있다. 복귀 와이어(244)의 아우터 와이어(244b)의 타단부는, 제2 프레임재(131B)에 설치되어 있다.
도 30, 도 3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복귀 와이어(244)의 이너 와이어(244a)의 타단부에는, 스프링 걸이 부재(257)가 설치되어 있다. 제2 설치 통(228) 및 제2 설치 브래킷(226)에, 요동편(258)의 기부가 고정되어 있다. 스프링 부재(256)는, 인장 코일 스프링으로 구성되어 있다. 스프링 부재(256)의 일단부는, 스프링 걸이 부재(257)에 걸려 있다. 스프링 부재(256)의 타단부는, 요동편(258)의 선단측에 걸려 있다.
도 29, 도 30은, 제2 조작 레버(137)가 고정 위치(M2)에 위치하고 있는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제2 조작 레버(137)는, 가압력(F3)에 의해 고정 위치(M2)에 유지되어 있다. 또한, 가동 부재(253)는, 작동 부재(242)로부터 전방으로 이격되어 있고, 작동 부재(242)는 대기 위치로 되어 있다. 이 상태에서 제2 조작 레버(137)를 제2 인상 위치(M5)로 조작하면, 가압력(F3)의 가압 방향이 전환되어 제2 조작 레버(137)는 가압력(F3)에 의해 제2 인상 위치(M5)로 유지된다. 또한, 제2 조작 레버(137)를 제2 인상 위치(M5)로 함으로써, 승강 밸브(61)가 조작되어, 승강 실린더(36)의 피스톤 로드(36b)가 후방으로 이동하고, 기체(9)가 상승한다. 이때, 피스톤 로드(36b)의 이동에 따라, 가동 부재(253)도 후방으로 이동한다. 기체(9)가 소정 위치에 달하면(본 실시 형태에서는, 피스톤 로드(36b)가 풀 스트로크로 되어 기체(9)가 최상승 위치에 달하면), 가동 부재(253)가 작동 부재(242)의 맞닿음부(248)를 가압한다. 그러면, 작동 부재(242)가 복귀 와이어(244)의 이너 와이어(244a)를 당김 작동한다. 이에 의해, 이너 와이어(244a)가 스프링 부재(256)를 통해서 요동편(258)을 인장한다. 이때의 스프링 부재(256)의 스프링력은, 가압력(F3)보다도 커서, 요동편(258)을 제2 레버 축(227) 주위로 전방으로 요동시킨다. 이에 의해, 제2 조작 레버(137) 및 제1 승강 링크(233)가 전방으로 요동한다. 제1 승강 링크(233)가 전방으로 요동하면, 제2 조작 레버(137)를 전방으로 요동시키도록 가압력(F3)이 전환된다. 그리고, 가압력(F3)에 의해, 제2 조작 레버(137)가 자동으로 고정 위치(M2)로 복귀된다. 제2 조작 레버(137)가 고정 위치(M2)로 복귀되면, 승강 밸브(61)가 중립으로 되돌려져, 승강 실린더(36)의 신장이 정지한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제2 조작 레버(137)가 고정 위치(M2)에 위치할 때, 복귀 와이어(244)의 이너 와이어(244a)가 아우터 와이어(244b)의 타단부와 요동편(258)과의 사이에서 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제2 조작 레버(137)를 제2 인상 위치(M5)로 했을 때, 복귀 와이어(244)의 이너 와이어(244a)가 팽팽해지게 구성되어 있다. 또한, 제2 조작 레버(137)를 제2 인상 위치(M5)로 했을 때, 스프링 부재(256)의 가압력이 제2 조작 레버(137)에 작용하지 않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제2 조작 레버(137)를 제2 인상 위치(M5)로 했을 때, 스프링 부재(256)의 스프링력이 요동편(258)에 작용해도, 이때의 스프링 부재(256)의 스프링력이 가압력(F3)보다도 작고, 또한 작동 부재(242)에 의해 복귀 와이어(244)가 당김 작동되었을 때, 스프링 부재(256)의 스프링력이 가압력(F3)보다도 커지면 문제는 없다.
본 실시 형태에 따르면, 제2 조작 레버(137)를 제2 인상 위치(M5)에 위치시키고 있을 때에 있어서 기체(9)가 소정 위치로 상승했을 때, 승강 실린더(36)에 걸림 결합해서 제2 조작 레버(137)를 고정 위치(M2)에 위치 변경시키는 복귀 기구(241)를 설치하고 있다. 이에 의해, 기체(9)가 소정 위치로 상승했을 때, 제2 조작 레버(137)를 제2 인상 위치(M5)로부터 고정 위치(M2)로 자동으로 위치 변경시킬 수 있다.
또한, 복귀 기구(241)는, 기체(9)가 소정 위치에 위치했을 때 승강 실린더(36)의 신축에 수반하여 이동하는 가동 부재(253)가 가압하는 작동 부재(242)와, 가동 부재(253)가 작동 부재(242)를 가압했을 때 제2 조작 레버(137)를 제2 인상 위치(M5)로부터 고정 위치(M2)로 위치 변경시키기 위해 제2 조작 레버(137)와 작동 부재(242)를 연동하는 복귀 와이어(244)를 갖는다. 이에 의해, 복귀 기구(241)를 간단한 구조로 실현할 수 있다.
또한, 작동 부재(242)를 대기 위치로 복귀시키는 복귀 스프링(243)을 설치함으로써, 작동 부재(242)를 대기 위치로 복귀시키는 수고를 줄일 수 있다.
또한, 제2 조작 레버(137)와, 제2 조작 레버(137)의 조작력을 승강 밸브(61)에 전달하는 승강 와이어(232)와의 사이에 설치된 링크 기구(231)이며, 제2 조작 레버(137)가 고정 위치(M2)에 위치할 때 승강 와이어(232)에 작용하는 가압력에 의해 제2 조작 레버(137)가 고정 위치(M2)에 유지되고, 제2 조작 레버(137)가 제2 인상 위치(M5)에 위치할 때 가압력에 의해 제2 조작 레버(137)가 제2 인상 위치(M5)에 유지되도록 가압력을 전환하는 링크 기구(231)를 구비한 이식기(1)에 복귀 기구(241)를 설치하고 있다. 이에 의해, 복귀 기구(241)를 간단한 구조로 구성할 수 있다.
도 37 내지 도 40은 모종 취출 장치의 다른 예를 나타낸다.
그 밖의 예의 모종 취출 장치(47)에 대해서는, 상술한 모종 취출 장치(47)와 마찬가지의 부재는 마찬가지의 부호를 붙여서 설명을 생략하고, 상이한 점을 설명한다.
그 밖의 예의 모종 취출 장치(47)에 있어서는, 제1 걸림 결합부(261A) 및 제2 걸림 결합부(261B)는, 롤러(베어링 롤러)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또한, 가압 부재(262)는 판 스프링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제1 걸림 결합부(261A)는, 제1 갈고리 설치부(74A)의 일단부와 타단부와의 사이의 중간부에 설치되어 있다. 상세하게는, 제1 걸림 결합부(261A)는, 제1 모종 취출 갈고리(51A)의 기부(96A)와 제1 가압 부재(83)와의 사이에 설치되어 있다. 또한, 제1 걸림 결합부(261A)는, 제1 모종 취출 갈고리(51A)의 설치측과는 반대측에 설치되어 있다. 이 제1 걸림 결합부(261A)는, 제1 갈고리 설치부(74A)에 제1 롤러축(263A)에 의해 축심 주위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제2 걸림 결합부(261B)는, 제2 갈고리 설치부(74B)의 일단부와 타단부와의 사이의 중간부에 설치되어 있다. 상세하게는, 제2 걸림 결합부(261B)는, 제2 모종 취출 갈고리(51B)의 기부(96B)와 제1 가압 부재(83)와의 사이에 설치되어 있다. 또한, 제2 걸림 결합부(261B)는, 제2 모종 취출 갈고리(51B)의 설치측과는 반대측에 설치되어 있다. 이 제2 걸림 결합부(261B)는, 제2 갈고리 설치부(74B)에 제2 롤러축(263A)에 의해 축심 주위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제1 롤러축(263A)은, 제1 갈고리 설치부(74A)의 판 두께 방향의 축심을 갖는다. 제2 롤러축(263A)은, 제2 갈고리 설치부(74B)의 판 두께 방향의 축심을 갖는다. 제1 롤러축(263A) 및 제2 롤러축(263A)의 축심은, 평행 형상으로 되어 있다.
가압 부재(262)는, 제1 갈고리 설치부(74A)와, 제2 갈고리 설치부(74B)와의 사이에 설치되어 있다. 가압 부재(262)는, 제1 탄성편(266A)과, 제2 탄성편(266B)과, 제1 고정편(267A)과, 제2 고정편(267B)과, 제1 접속부(269A)와, 제2 접속부(269B)와, 제3 접속부(270)와, 제1 설치편(268A)과, 제2 설치편(268B)을 포함한다.
제1 고정편(267A)은 요동 부재(111)의 좌측면에 위치하고 있다. 제2 고정편(267B)은 요동 부재(111)의 우측면에 위치하고 있다. 제1 고정편(267A)으로부터 제1 설치편(268A)이 연장 설치되어 있다. 제2 고정편(267B)으로부터 제2 설치편(268B)이 연장 설치되어 있다. 제1 설치편(268A) 및 제2 설치편(268B)은, 복수의 나사(271a, 271b)와 각 나사(271a, 271b)에 나사 결합된 너트 부재(273a, 273b)에 의해, 요동 부재(111)에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가압 부재(262)는, 요동 부재(111)와 일체 요동한다.
복수의 나사(271a, 271b)는, 요동 부재(111)의 요동 방향으로 병설되어 있다. 나사(271a, 271b)를 삽입 관통하는 나사 삽입 관통 구멍(272a, 272b)이며, 요동 부재(111)에 형성된 나사 삽입 관통 구멍(272a, 272b)은, 요동 방향으로 긴 구멍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에 의해, 제1 설치편(268A) 및 제2 설치편(268B)(가압 부재)은, 요동 부재(111)의 요동 방향으로 위치 조정 가능하게 되어 있다.
제1 탄성편(266A)은, 제1 고정편(267A)의 좌측 방향에 배치되어 있다. 제1 탄성편(266A)은, 제1 걸림 결합 누름부(264A)와, 제1 걸림 결합 해제부(265A)를 갖는다. 제1 걸림 결합 누름부(264A)는, 제1 걸림 결합 해제부(265A)보다 제1 모종 취출 갈고리(51A)의 선단부에 치우쳐서 위치한다. 제2 탄성편(266B)은, 제2 고정편(267B)의 우측 방향에 배치되어 있다. 제2 탄성편(266B)은, 제2 걸림 결합 누름부(264B)와, 제2 걸림 결합 해제부(265B)를 갖는다. 제2 걸림 결합 누름부(264B)는, 제2 걸림 결합 해제부(265B)보다 제2 모종 취출 갈고리의 선단부 근처에 위치한다.
제1 접속부(269A)는, 원호 형상(만곡 형상)으로 형성되고, 제1 걸림 결합 해제부(265A)와, 제1 고정편(267A)을 접속하고 있다. 제1 탄성편(266A)은, 제1 접속부(269A)를 통해서 제1 고정편(267A)에 편측 고정 지지되어 있다. 이에 의해, 제1 탄성편(266A)은 탄성 변형 가능하게 되어 있다. 제2 접속부(269B)는, 원호 형상(만곡 형상)으로 형성되고, 제2 걸림 결합 해제부(265B)와, 제2 고정편(267B)을 접속하고 있다. 제2 탄성편(266B)은, 제2 접속부(269B)를 통해서 제2 고정편(267B)에 편측 고정 지지되어 있다. 이에 의해, 제2 탄성편(266B)은, 탄성 변형 가능하게 되어 있다.
제3 접속부(270)는, 제1 고정편(267A)과 제2 고정편(267B)을 접속하고 있다.
또한, 도면 예에서는, 가압 부재(262)는, 1매의 스프링판을 절곡함으로써 구성되어 있지만, 가압 부재(262)를, 제1 탄성편(266A), 제1 고정편(267A) 및 제1 설치편(268A)을 갖는 스프링판과, 제1 탄성편(266A), 제1 고정편(267A) 및 제1 설치편(268A)을 갖는 스프링 판으로 구성해도 된다.
도 37, 도 39에 도시한 바와 같이, 그 밖의 예의 모종 취출 장치(47)에 있어서는, 제1 모종 취출 갈고리(51A) 및 제2 모종 취출 갈고리(51B)가 포트부(P1) 내의 분형근(2a)을 찌르기 직전의 상태(도 10에 도시하는 상태와 동일한 상태)에서는, 제1 걸림 결합 해제부(265A)가 제1 걸림 결합부(261A)에 대응(맞닿음)하고, 제2 걸림 결합 해제부(265B)가 제2 걸림 결합부(261B)에 대응(맞닿은)하고 있다. 이 상태에서는, 제1 모종 취출 갈고리(51A)와 제2 모종 취출 갈고리(51B)와의 선단 간격(D1)은 개방된 상태가 된다.
이 분형근(2a)을 찌르기 직전의 상태로부터 갈고리 지지체(71)가 트레이(T1)에 진출하면, 제1 모종 취출 갈고리(51A) 및 제2 모종 취출 갈고리(51B)의 선단측에서 분형근(2a)을 찌른다. 이때, 캠 종동절(113)은, 캠(108)의 작용부(108b)에 의해 가압되어, 요동 부재(111)가 제1 모종 취출 갈고리(51A) 및 제2 모종 취출 갈고리(51B)의 선단으로부터 이격되는 방향으로 요동한다. 그러면, 가압 캠(262)이 요동 부재(111)와 일체 요동하고, 제1 걸림 결합 누름부(264A)가 제1 걸림 결합부(261A)를 가압하고, 제2 걸림 결합 누름부(264B)가 제2 걸림 결합부(261B)를 가압한다. 이에 의해, 제1 모종 취출 갈고리(51A) 및 제2 모종 취출 갈고리(51B)가 선단 간격(D1)을 단축하는 방향으로 회전하여, 제1 모종 취출 갈고리(51A) 및 제2 모종 취출 갈고리(51B)의 선단이 폐쇄된다(도 40 참조).
기타 구성은, 상술한 모종 취출 장치(47)와 마찬가지로 구성된다.
제1 걸림 결합부(263A) 및 제2 걸림 결합부(263B)를 롤러에 의해 구성함으로써, 가압 부재(262)가 제1 걸림 결합부(263A) 및 제2 걸림 결합부(263B)에 원활하게 맞닿는다. 이에 의해, 제1 걸림 결합부(263A), 제2 걸림 결합부(263B) 및 가압 부재(262)의 마모를 적게 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에 대해서 설명했지만, 금회 개시된 실시 형태는 모든 점에서 예시이며 제한적인 것이 아니라고 생각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설명이 아니라 특허 청구 범위에 의해 나타내어지며, 특허 청구 범위와 균등한 의미 및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이 포함되는 것이 의도된다.
2 : 모종
2a : 분형근
51A : 제1 모종 취출 갈고리 51B : 제2 모종 취출 갈고리
71 : 갈고리 지지체 72 : 베이스 부재
74A : 제1 갈고리 설치부 74B : 제2 갈고리 설치부
75 : 스토퍼 81A : 제1 걸림 결합부
81B : 제2 걸림 결합부 83 : 가압 부재(제1 가압 부재)
85A : 제1 조정 부재 85B : 제2 조정 부재
116 : 가압 부재 261A : 제1 걸림 결합부
261B : 제2 걸림 결합부 262 : 가압 부재
T1 : 트레이
51A : 제1 모종 취출 갈고리 51B : 제2 모종 취출 갈고리
71 : 갈고리 지지체 72 : 베이스 부재
74A : 제1 갈고리 설치부 74B : 제2 갈고리 설치부
75 : 스토퍼 81A : 제1 걸림 결합부
81B : 제2 걸림 결합부 83 : 가압 부재(제1 가압 부재)
85A : 제1 조정 부재 85B : 제2 조정 부재
116 : 가압 부재 261A : 제1 걸림 결합부
261B : 제2 걸림 결합부 262 : 가압 부재
T1 : 트레이
Claims (5)
- 모종을 수용한 트레이에 대하여 진퇴하는 갈고리 지지체와,
상기 갈고리 지지체에 피봇지지된 제1 모종 취출 갈고리와,
상기 갈고리 지지체에 피봇지지되고 또한 상기 제1 모종 취출 갈고리와 병설되어 있어 상기 제1 모종 취출 갈고리와 함께 상기 트레이를 향해서 이동 가능한 제2 모종 취출 갈고리와,
상기 제1 모종 취출 갈고리와 상기 제2 모종 취출 갈고리와의 선단 간격을 넓히는 방향으로 상기 제1 모종 취출 갈고리 및 상기 제2 모종 취출 갈고리를 가압하는 가압 부재와,
상기 제1 모종 취출 갈고리와 일체 회전하는 제1 걸림 결합부와,
상기 제2 모종 취출 갈고리와 일체 회전하는 제2 걸림 결합부와,
상기 제1 모종 취출 갈고리 및 상기 제2 모종 취출 갈고리가 상기 트레이를 향해서 이동할 때, 상기 제1 걸림 결합부 및 상기 제2 걸림 결합부를 가압해서 상기 제1 모종 취출 갈고리 및 상기 제2 모종 취출 갈고리의 선단 간격을 축소시키는 가압 부재이며, 스프링 부재로 형성된 가압 부재
를 구비한 모종 취출 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갈고리 지지체는, 베이스 부재와, 상기 베이스 부재에 피봇지지되어 있고 상기 제1 모종 취출 갈고리가 설치된 제1 갈고리 설치부와, 상기 베이스 부재에 피봇지지되어 있고 상기 제2 모종 취출 갈고리가 설치된 제2 갈고리 설치부를 갖고,
상기 제1 걸림 결합부는, 상기 제1 갈고리 설치부로부터 상기 제2 갈고리 설치부를 향해서 연장되고,
상기 제2 걸림 결합부는, 상기 제2 갈고리 설치부로부터 상기 제1 갈고리 설치부를 향해서 연장되고,
상기 가압 부재는, 상기 제1 걸림 결합부와 상기 제2 걸림 결합부에 맞닿음으로써 상기 제1 모종 취출 갈고리 및 상기 제2 모종 취출 갈고리의 선단 간격을 축소시키는 맞닿음부를 갖는, 모종 취출 장치.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걸림 결합부와 제2 걸림 결합부는 오버랩되어 있는, 모종 취출 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갈고리 지지체는, 베이스 부재와, 상기 베이스 부재에 피봇지지되어 있고 상기 제1 모종 취출 갈고리가 설치된 제1 갈고리 설치부와, 상기 베이스 부재에 피봇지지되어 있고 상기 제2 모종 취출 갈고리가 설치된 제2 갈고리 설치부를 갖고,
상기 제1 걸림 결합부는, 상기 제1 갈고리 설치부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 롤러이며,
상기 제2 걸림 결합부는, 상기 제2 갈고리 설치부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 롤러이며,
상기 가압 부재는, 상기 제1 모종 취출 갈고리 및 상기 제2 모종 취출 갈고리의 선단 간격을 축소시키기 위해, 상기 제1 걸림 결합부에 맞닿는 제1 걸림 결합 누름부 및 상기 제2 걸림 결합부에 맞닿는 제2 걸림 결합 누름부를 갖는, 모종 취출 장치. -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갈고리 지지체는, 베이스 부재와, 상기 베이스 부재에 피봇지지되어 있어 상기 제1 모종 취출 갈고리가 설치된 제1 갈고리 설치부와, 상기 베이스 부재에 피봇지지되어 있어 상기 제2 모종 취출 갈고리가 설치된 제2 갈고리 설치부와, 상기 베이스 부재에 설치된 스토퍼와, 상기 제1 갈고리 설치부에 설치되어 있어 상기 스토퍼에 맞닿을 수 있고 또한 상기 스토퍼에 대하여 진퇴 가능한 제1 조정 부재와, 상기 제2 갈고리 설치부에 설치되어 있어 상기 스토퍼에 맞닿을 수 있고 또한 상기 스토퍼에 대하여 진퇴 가능한 제2 조정 부재를 갖는, 모종 취출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JP2015251743A JP6419686B2 (ja) | 2015-12-24 | 2015-12-24 | 苗取出し装置 |
JPJP-P-2015-251743 | 2015-12-24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70076576A true KR20170076576A (ko) | 2017-07-04 |
KR101914838B1 KR101914838B1 (ko) | 2018-11-02 |
Family
ID=592324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60174294A KR101914838B1 (ko) | 2015-12-24 | 2016-12-20 | 모종 취출 장치 |
Country Status (2)
Country | Link |
---|---|
JP (1) | JP6419686B2 (ko) |
KR (1) | KR101914838B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6569621B2 (ja) * | 2016-07-29 | 2019-09-04 | 井関農機株式会社 | 移植機 |
JP6866281B2 (ja) * | 2017-12-25 | 2021-04-28 | 株式会社クボタ | 苗取出し装置 |
CN109792870B (zh) * | 2019-02-15 | 2020-05-22 | 山东劳动职业技术学院(山东劳动技师学院) | 一种带有机械臂的移栽机及其应用 |
Family Cites Families (8)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4644880A (en) * | 1985-02-22 | 1987-02-24 | Growers Transplanting, Inc. |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planting corps |
JPH0348413U (ko) * | 1989-09-13 | 1991-05-09 | ||
JP2000092925A (ja) * | 1998-09-18 | 2000-04-04 | Yanmar Agricult Equip Co Ltd | 野菜移植機 |
JP4126142B2 (ja) * | 2000-01-20 | 2008-07-30 | ヤンマー農機株式会社 | 野菜移植機 |
JP2001320916A (ja) | 2000-05-17 | 2001-11-20 | Yanmar Agricult Equip Co Ltd | 苗移植機における苗取り出し装置 |
JP2001346411A (ja) * | 2000-06-05 | 2001-12-18 | Yanmar Agricult Equip Co Ltd | 野菜移植機 |
JP3514706B2 (ja) | 2000-07-10 | 2004-03-31 | 株式会社クボタ | 移植機の苗取出装置 |
JP5939211B2 (ja) * | 2013-07-02 | 2016-06-22 | 井関農機株式会社 | 移植機 |
-
2015
- 2015-12-24 JP JP2015251743A patent/JP6419686B2/ja active Active
-
2016
- 2016-12-20 KR KR1020160174294A patent/KR101914838B1/ko active IP Right Gran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JP6419686B2 (ja) | 2018-11-07 |
JP2017112906A (ja) | 2017-06-29 |
KR101914838B1 (ko) | 2018-11-02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914838B1 (ko) | 모종 취출 장치 | |
JP5831822B2 (ja) | 移植機 | |
JP5783198B2 (ja) | 苗移植機 | |
JP5526560B2 (ja) | 複数条植え苗移植機 | |
JP2010273617A (ja) | 苗移植機 | |
JP2020031612A5 (ko) | ||
JP4798345B2 (ja) | 複数条植えの苗移植機 | |
JP2009261278A (ja) | 苗移植機 | |
JP2010226982A (ja) | 乗用苗植機 | |
JP2019024415A (ja) | 移植機 | |
JP4941002B2 (ja) | 苗移植機 | |
JP2016116529A (ja) | 苗移植機 | |
JP6407135B2 (ja) | 移植機 | |
JP6248828B2 (ja) | 移植機 | |
JP5732983B2 (ja) | 苗移植機 | |
JP5526568B2 (ja) | 農作業機 | |
JP6419685B2 (ja) | 移植機 | |
WO2013046753A1 (ja) | 苗移植機の苗載台 | |
JP6516667B2 (ja) | 移植機 | |
JP2010207144A5 (ko) | ||
JP6459735B2 (ja) | 作業車両 | |
JP2006121967A (ja) | 苗移植機 | |
JP4821073B2 (ja) | 苗移植機 | |
JP6056940B2 (ja) | 移植機 | |
JP2000209909A (ja) | 苗移植機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