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75851A - 열간 저항성이 우수한 고강도 구조용 강판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열간 저항성이 우수한 고강도 구조용 강판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70075851A KR20170075851A KR1020150184775A KR20150184775A KR20170075851A KR 20170075851 A KR20170075851 A KR 20170075851A KR 1020150184775 A KR1020150184775 A KR 1020150184775A KR 20150184775 A KR20150184775 A KR 20150184775A KR 20170075851 A KR20170075851 A KR 20170075851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teel sheet
- steel
- temperature
- less
- strength
- Prior art date
Links
- 238000010438 heat treatment Methods 0.000 title claims description 43
- 229910000746 Structural steel Inorganic materials 0.000 title description 12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title description 12
- 229910001568 polygonal ferrite Inorganic material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5
- 239000012535 impurity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7
- 229910000859 α-Fe Inorganic material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7
- 229910052758 niobium Inorganic material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6
- 229910052750 molybdenum Inorganic material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5
- 229910000831 Steel Inorganic materials 0.000 claims description 76
- 239000010959 steel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76
- 238000001816 cool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31
- 238000005096 rolling process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4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0
- 238000001953 recrystallisa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8
- 238000003303 reheat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29910052759 nickel Inorganic materials 0.000 abstract description 5
- 229910001220 stainless steel Inorganic materials 0.000 abstract 1
- 230000000052 compara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39
- 239000002244 precipita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7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4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11
- 239000013078 cryst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0
- 229910045601 alloy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9
- 239000000956 alloy Substances 0.000 description 9
- 230000006866 deterior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8
- 239000000203 mixtur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8
- 230000015572 biosynthetic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7
- XEEYBQQBJWHFJM-UHFFFAOYSA-N iron Substances [Fe] XEEYBQQBJWHFJM-UHFFFAOYSA-N 0.000 description 5
- 229910052748 manganese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9466 transform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29910001566 austenite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5728 strengthening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5452 ben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3247 decreas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9863 impact test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29910052742 iron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6104 solid solut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OKTJSMMVPCPJKN-UHFFFAOYSA-N Carbon Chemical compound [C] OKTJSMMVPCPJKN-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29910017263 Mo—C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29910001563 bainite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99 carbon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0960 cold rolled stee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749 continuous cast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797 corro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260 corros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336 crack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547 de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1035 dry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349 favourabl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159 matrix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150000001247 metal acetylide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150000004767 nitride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704 physic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1556 precipit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994 raw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HEMHJVSKTPXQMS-UHFFFAOYSA-M sodium hydroxide Substances [OH-].[Na+] HEMHJVSKTPXQMS-UHFFFAOYSA-M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243 solut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864 tensile test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16—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opper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B—ROLLING OF METAL
- B21B3/00—Rolling materials of special alloys so far as the composition of the alloy requires or permits special rolling methods or sequences ; Rolling of aluminium, copper, zinc or other non-ferrous metals
-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D—MODIFY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FERROUS METALS; GENERAL DEVICES FOR HEAT TREATMENT OF FERROUS OR NON-FERROUS METALS OR ALLOYS; MAKING METAL MALLEABLE, e.g. BY DECARBURISATION OR TEMPERING
- C21D8/00—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 C21D8/02—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during manufacturing of plates or strips
- C21D8/0221—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during manufacturing of plates or strips characterised by the working steps
- C21D8/0226—Hot rolling
-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D—MODIFY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FERROUS METALS; GENERAL DEVICES FOR HEAT TREATMENT OF FERROUS OR NON-FERROUS METALS OR ALLOYS; MAKING METAL MALLEABLE, e.g. BY DECARBURISATION OR TEMPERING
- C21D8/00—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 C21D8/02—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during manufacturing of plates or strips
- C21D8/0247—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during manufacturing of plates or strips characterised by the heat treatment
-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D—MODIFY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FERROUS METALS; GENERAL DEVICES FOR HEAT TREATMENT OF FERROUS OR NON-FERROUS METALS OR ALLOYS; MAKING METAL MALLEABLE, e.g. BY DECARBURISATION OR TEMPERING
- C21D8/00—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 C21D8/02—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during manufacturing of plates or strips
- C21D8/0247—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during manufacturing of plates or strips characterised by the heat treatment
- C21D8/0263—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during manufacturing of plates or strips characterised by the heat treatment following hot rolling
-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001—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N
-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02—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silicon
-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04—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manganese
-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06—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aluminium
-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08—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nickel
-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12—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tungsten, tantalum, molybdenum, vanadium, or niobium
-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14—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titanium or zirconium
-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D—MODIFY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FERROUS METALS; GENERAL DEVICES FOR HEAT TREATMENT OF FERROUS OR NON-FERROUS METALS OR ALLOYS; MAKING METAL MALLEABLE, e.g. BY DECARBURISATION OR TEMPERING
- C21D2211/00—Microstructure comprising significant phases
- C21D2211/004—Dispersions; Precipitations
-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D—MODIFY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FERROUS METALS; GENERAL DEVICES FOR HEAT TREATMENT OF FERROUS OR NON-FERROUS METALS OR ALLOYS; MAKING METAL MALLEABLE, e.g. BY DECARBURISATION OR TEMPERING
- C21D2211/00—Microstructure comprising significant phases
- C21D2211/005—Ferrite
-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D—MODIFY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FERROUS METALS; GENERAL DEVICES FOR HEAT TREATMENT OF FERROUS OR NON-FERROUS METALS OR ALLOYS; MAKING METAL MALLEABLE, e.g. BY DECARBURISATION OR TEMPERING
- C21D8/00—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 C21D8/02—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during manufacturing of plates or strips
- C21D8/0205—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during manufacturing of plates or strips of ferrous alloys
-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D—MODIFY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FERROUS METALS; GENERAL DEVICES FOR HEAT TREATMENT OF FERROUS OR NON-FERROUS METALS OR ALLOYS; MAKING METAL MALLEABLE, e.g. BY DECARBURISATION OR TEMPERING
- C21D9/00—Heat treatment, e.g. annealing, hardening, quenching or tempering,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Furnaces therefor
- C21D9/46—Heat treatment, e.g. annealing, hardening, quenching or tempering,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Furnaces therefor for sheet metal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etallur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Heat Treatment Of Steel (AREA)
- Heat Treatment Of Sheet Stee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중량%로, C : 0.03 ~ 0.07%, Si : 0.05 ~ 0.2%, Mn : 1.6 ~ 2.3%, P : 0.008% 이하, S : 0.002% 이하, Al : 0.025% 이하, Cu : 0.1 ~ 0.4%, Ni : 1.4 ~ 2.3%, Mo : 0.08 ~ 0.2%, Nb : 0.01 ~ 0.025%, Ti : 0.008 ~ 0.02%, N: 0.001~0.008%, 나머지 Fe 및 불가피한 불순물을 포함하고, 표면 10mm이내에서의 미세조직은 부피분율로 80%이상의 침상 페라이트 및 20% 이하의 폴리고날 페라이트를 포함하는 열간 저항성이 우수한 고강도 구조용 강판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열간 저항성이 우수한 고강도 구조용 강판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선박, 해양 및 건축 구조물의 외관은 평면과 곡면이 동시에 존재하는 구조를 가지고 있다.
평면에 대한 가공은 판재 성형 시 결정되기 때문에 선박, 해양구조물의 건조 시 별도의 공정을 거치지 않고 외관을 성형하지만, 곡면 성형 시에는 판재를 가공하는 과정을 거치게 되는데 이를 수행하기 위해 강판의 표면을 가열하는 작업인 선상가열을 행하게 된다.
선상가열에 의한 굽힘가공은 가열부의 열팽창 후 냉각에 의해 수축할 때 주위의 비가열 영역으로부터의 구속에 의해 변형되는 성질을 이용한다.
이러한 선상가열을 적용하기 위해서 강판의 표면은 600~900℃ 정도의 온도로 가열하거나 가열 후 수냉을 실시하여 하므로, 선상가열 후 강판의 물성이 열위해질 수 있다. 강재의 오스테나이트 개시 변태온도까지의 가열은 전위의 풀림 등에 의해, 변태온도 이상 또는 재결정온도 이상 가열되는 경우 결정립의 성장에 의해 주로 재질의 열화를 가져오게 된다.
또한 강판 표면의 가열, 냉각의 열사이클로 인해 취화되어 인성의 저하를 초래될 수 있다.
따라서, 선상가열 후에도 항복강도, 인장강도 및 충격인성이 우수한 열간 저항성이 우수한 고강도 구조용 강판 및 그 제조방법에 대한 개발이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본 발명은 선상가열 후에도 항복강도, 인장강도 및 충격인성이 우수한 열간 저항성이 우수한 고강도 구조용 강판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기 위함이다.
한편, 본 발명의 과제는 상술한 내용에 한정하지 않는다. 본 발명의 과제는 본 명세서의 내용 전반으로부터 이해될 수 있을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지는 자라면 본 발명의 부가적인 과제를 이해하는데 아무런 어려움이 없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은 중량%로, C : 0.03 ~ 0.07%, Si : 0.05 ~ 0.2%, Mn : 1.6 ~ 2.3%, P : 0.008% 이하, S : 0.002% 이하, Al : 0.025% 이하, Cu : 0.1 ~ 0.4%, Ni : 1.4 ~ 2.3%, Mo : 0.08 ~ 0.2%, Nb : 0.01 ~ 0.025%, Ti : 0.008 ~ 0.02%, N: 0.001~0.008%, 나머지 Fe 및 불가피한 불순물을 포함하고,
표면 10mm이내에서의 미세조직은 부피분율로 80%이상의 침상 페라이트 및 20% 이하의 폴리고날 페라이트를 포함하는 열간 저항성이 우수한 고강도 구조용 강판을 제공하기 위함이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측면은 중량%로, C : 0.03 ~ 0.07%, Si : 0.05 ~ 0.2%, Mn : 1.6 ~ 2.3%, P : 0.008% 이하, S : 0.002% 이하, Al : 0.025% 이하, Cu : 0.1 ~ 0.4%, Ni : 1.4 ~ 2.3%, Mo : 0.08 ~ 0.2%, Nb : 0.01 ~ 0.025%, Ti : 0.008 ~ 0.02%, N: 0.001~0.008%, 나머지 Fe 및 불가피한 불순물을 포함하는 슬라브를 재가열하는 단계;
상기 재가열된 슬라브를 750~850℃에서 미재결정역 압연하는 단계; 및
미재결정역 압연 후 10℃/초 이상의 냉각속도로 380~440℃의 냉각종료온도까지 냉각단계;를 포함하는 열간 저항성이 우수한 고강도 구조용 강판의 제조방법을 제공하기 위함이다.
덧붙여, 상기한 과제의 해결수단은, 본 발명의 특징을 모두 열거한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다양한 특징과 그에 따른 장점과 효과는 아래의 구체적인 실시형태를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선상가열 전에는 물론, 열간 저항성이 우수하여 선상가열 후에도 항복강도, 인장강도 및 저온 충격인성이 우수한 고강도 구조용 강판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선상가열에 의한 곡면 성형의 일례를 나타낸 모식도이다.
도 2는 발명예 1의 강판의 표면으로부터 10mm깊이의 단면 조직 사진이다.
도 2는 발명예 1의 강판의 표면으로부터 10mm깊이의 단면 조직 사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들을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이하 설명하는 실시 형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당해 기술분야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더욱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이다.
본 발명자들은 선박, 해양 및 건축 구조물의 외관이 곡면을 갖도록 고강도 구조용 강판을 선상가열하여 곡가공하는 경우, 선상가열 후 강판의 물성이 열위해질 수 있음을 발견하였다.
이러한 선상가열은 강판의 표면을 600~900℃까지 가열하기 때문에 기지조직 및 결정립계의 연화, 결정립 성장, 카바이드(Fe3C)의 조대화 등에 의해 강도 및 인성이 동시에 저하되는 현상이 발생하게 된다.
또한, 오스테나이트 개시 변태온도까지의 가열은 전위의 풀림 등에 의해 재질의 열화가 발생되며, 변태온도 이상 또는 재결정온도 이상 가열되는 경우 결정립의 성장에 의해 주로 재질의 열화를 가져오게 된다.
본 발명자들은 상기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서 고Mn, Ni의 첨가로 Ar3온도를 낮추어 저온 압연 및 강냉에 의해 표면 10mm이내에서의 미세조직이 부피분율로 80% 이상의 침상 페라이트 및 20% 이하의 폴리고날 페라이트를 포함하도록 함으로써, 선상가열 이후의 결정립 성장을 방지할 수 있으며, NbC, Mo2C의 석출물들의 결정립계 pinning 효과를 이용하여 결정립의 성장 및 조대한 카바이드의 형성을 방지할 수 있어, 선상가열 전에는 물론, 선상가열 후에도 항복강도, 인장강도 및 저온 충격인성이 우수한 고강도 구조용 강판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할 수 있음을 깨닫고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열간 저항성이 우수한 고강도 구조용 강판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열간 저항성이 우수한 고강도 구조용 강판은 중량%로, C : 0.03 ~ 0.07%, Si : 0.05 ~ 0.2%, Mn : 1.6 ~ 2.3%, P : 0.008% 이하, S : 0.002% 이하, Al : 0.025% 이하, Cu : 0.1 ~ 0.4%, Ni : 1.4 ~ 2.3%, Mo : 0.08 ~ 0.2%, Nb : 0.01 ~ 0.025%, Ti : 0.008 ~ 0.02%, N : 0.001~0.008%, 나머지 Fe 및 불가피한 불순물을 포함하고, 표면 10mm이내에서의 미세조직은 90%이상의 침상 페라이트를 포함한다.
C : 0.03 ~ 0.07중량%(이하, 각 원소 함량의 단위는 중량%이다.)
C은 강도를 확보하기 위한 매우 중요한 원소이다.
충분한 강도 확보를 위하여 0.03% 이상 첨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반면에 과다 첨가하는 경우, 선상가열 이후의 냉각 중 조대한 탄화물을 형성하여 충격인성을 저하시킬 우려가 있으므로 그 상한은 0.07%인 것이 바람직하다.
Si : 0.05 ~ 0.2%
Si는 탈산제로 유용한 원소이지만 그 함량이 과다한 경우 인성의 저하의 원인이 될 수 있다. 탈산을 위해서는 Si 함량이 0.05%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며, Si 함량이 0.2%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인성이 저하될 수 있다. 따라서, Si 함량은 0.05~0.2%인 것이 바람직하다.
Mn : 1.6 ~ 2.3%
Mn은 고용강화 원소로서 강도를 향상시키고 결정립 미세화 및 모재 인성을 개선하는 효과를 가진다. 또한, Ar3온도를 낮추어 저온 압연 및 강냉에 의해 폴리고날 페라이트의 형성을 최소화할 수 있다.
상기 효과를 충분히 나타내기 위하여 1.6% 이상 첨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반면에 과다 첨가하는 경우, 중심부에 MnS의 비금속 개재물을 형성하고, 상기 MnS 개재물은 압연 후 연신되어 저온인성을 크게 저하시킬 수 있다. 따라서, 그 상한은 2.3%인 것이 바람직하다.
P : 0.008% 이하
P는 강도 향상과 내식성에 유리한 원소이지만, 충격인성을 크게 저해하는 원소이므로 가능한 낮게 유지하는 것이 유리하므로 그 상한을 0.008%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S : 0.002% 이하
S는 MnS 등을 형성하여 충격인성을 크게 저해하므로 가능한 낮게 하는 것이 유리하므로 그 상한을 0.002%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Al : 0.025% 이하
Al는 효과적으로 탈산을 할 수 있는 원소로서 0.005~0.025% 로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 하한을 특별히 제어할 필요는 없으나, 탈산을 위해 0.005% 이상 포함될 수 있다.
Cu : 0.1 ~ 0.4%
Cu는 고용강화 및 석출강화 원소로서 모재의 인성 저하를 최소화하면서 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원소이다. 충분한 강도 향상의 효과를 달성하기 위해서는 0.1% 이상 함유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반면에 과도한 첨가는 열간취성에 의한 강재 표면의 결함을 야기할 수 있으므로 그 상한은 0.4% 이하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Ni : 1.4 ~ 2.3%
Ni은 모재의 강도와 인성을 동시에 향상시킬 수 있는 원소이다. 또한, Ar3온도를 낮추어 저온 압연 및 강냉에 의해 폴리고날 페라이트의 형성을 최소화할 수 있다.
Ni 함량이 1.4% 미만인 경우에는 상술한 효과가 불충분하고, Ni 함량이 2.3% 초과인 경우에는 경화능이 상승되고, 베이나이트 형성으로 충격인성이 저하될 수 있다. 따라서, Ni 함량은 1.4~2.3%인 것이 바람직하다.
Mo : 0.08 ~ 0.2%
Mo는 소량의 첨가로 강도를 효과적으로 상승시키는 원소로서 선상가열 후 미세한 Mo-C 계열의 석출물을 형성하여 강도의 열화를 방지하기 때문에 0.08% 이상 첨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하지만 과도한 Mo 첨가로 인해 석출물의 조대화가 발생할 수 있으므로 그 상한은 0.2%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Nb : 0.01 ~ 0.025%
선상가열 전 강판에 고용되어 있던 Nb는 선상가열시 NbC, NbCN 등의 형태로 석출되어 모재의 강도를 향상시킨다. 이는 선상가열 후 강도 유지에 중요하며, Nb의 첨가효과를 유효하게 발휘하기 위해서 0.01% 이상이 첨가되어야 한다. 하지만 과도한 Nb 첨가로 인해 석출물의 조대화가 발생할 수 있으므로 그 상한은 0.025%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Ti : 0.008 ~ 0.02%
Ti는 N과 질화물을 형성하여 고온에서 결정립이 성장하는 것을 방지한다. 이러한 효과를 충분히 확보하기 위해서는 0.008% 이상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반면에, 과도한 Ti첨가는 Ti 석출물의 조대화에 따라 충격인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으므로 그 상한은 0.02%인 것이 바람직하다.
N: 0.001~0.008%
N은 Ti, Nb, Al등과 함께 석출물을 형성하여 재가열시 오스테나이트 조직을 미세하기 만들어 강도와 인성을 향상시키는 원소이다.
N 함량이 0.001% 미만인 경우에는 상술한 효과를 충분히 얻을 수 없다. 반면에, N 함량이 0.008% 초과인 경우에는 고온에서 표면 크랙을 유발할 수 있고, 잔류하는 N은 원자상태로 존재하여 인성을 감소시킬 수 있다. 따라서, N 함량은 0.001~0.008%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강판의 나머지 성분은 철(Fe)이다. 다만, 통상의 제조과정에서는 원료 또는 주위 환경으로부터 의도되지 않는 불순물들이 불가피하게 혼입될 수 있으므로, 이를 배제할 수는 없다. 이들 불순물들은 통상의 제조과정의 기술자라면 누구라도 알 수 있는 것이기 때문에 그 모든 내용을 특별히 본 명세서에서 언급하지는 않는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열간 저항성이 우수한 고강도 구조용 강판의 미세조직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열간 저항성이 우수한 고강도 구조용 강판의 표면 10mm이내에서의 미세조직은 부피분율로 80%이상의 침상 페라이트 및 20% 이하의 폴리고날 페라이트를 포함한다.
폴리고날 페라이트는 가열에 의한 결정립 성장이 쉽게 이루어지기 때문에, 폴리고날 페라이트가 10mm이내에서의 미세조직에 20부피%를 초과하여 존재하는 경우에는 선상가열시 결정립 성장, 조대한 카바이드 형성 및 기지조직의 열화의 원인이 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강판의 두께는 40mm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강판의 두께가 40mm를 초과하는 경우, 선상가열에 의한 곡가공을 적용하기 어렵기 때문이다. 이때, 강판의 최소 두께는 12mm일 수 있다.
상기와 같이 합금조성 및 미세조직을 제어함으로써, 상기 강판은 항복강도가 500MPa이상이며, 인장강도가 600MPa 이상이고, -40℃에서 충격인성이 100J 이상이다. 이에 따라, 선박, 해양 및 건축 구조물 등에 바람직하게 이용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합금조성 및 미세조직을 갖는 열간 저항성이 우수한 고강도 구조용 강판을 선상가열시, Mo2C 석출물 및 NbC 석출물 중 하나 이상이 석출되게 된다.
선상가열에 의한 곡가공의 일 례인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선상가열에 의한 곡가공(굽힘가공)은 가열부의 열팽창 후 냉각에 의해 수축할 때 주위의 비가열 영역으로부터의 구속에 의해 변형되는 성질을 이용한다.
또한, 선상가열은 일반적으로 강판의 표면을 600~900℃까지 가열하게 되는데, 비교적 낮은 온도인 600~800℃에서는 강판에 고용되어 있던 Mo가 선상가열 후 냉각시 Mo2C로 석출되고, 비교적 높은 온도인 800℃ 이상에서는 강판에 고용되어 있던 Nb가 선상가열 후 냉각시 NbC로 석출된다.
상기 Mo2C 석출물 또는 NbC 석출물은 결정립계에 석출되어 결정립의 성장을 억제(pinning 효과)하고 조대한 카바이드의 형성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C가 석출물로 많이 소모됨에 따라서, 카바이드의 생성 및 조대화를 방지할 수 있다. 이때, 상기 Mo2C 석출물 및 NbC 석출물의 크기는 2~20nm인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강판은 600~900℃로 선상가열하고 곡가공을 하여도 항복강도가 500MPa이상이며, 인장강도가 600MPa 이상이고, -40℃에서 충격인성이 100J 이상을 확보할 수 있는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다른 일 측면인 열간 저항성이 우수한 고강도 구조용 강판의 제조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측면인 열간 저항성이 우수한 고강도 구조용 강판의 제조방법은 상술한 합금조성을 갖는 슬라브를 재가열하는 단계; 상기 재가열된 슬라브를 750~850℃에서 미재결정역 압연하는 단계; 및 미재결정역 압연 후 10℃/초 이상의 냉각속도로 380~440℃의 냉각종료온도까지 냉각단계;를 포함한다.
재가열 단계
상술한 합금조성을 갖는 슬라브를 재가열한다. 상기 슬라브의 재가열온도는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1100~1200℃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미재결정역
압연 단계
상기 재가열된 슬라브를 750~850℃에서 미재결정역 압연한다. 결정립을 미세화하기 위함이다.
결정립을 미세화하기 위해서는 미재결정 압연이 Ar3온도 직상의 최대한 낮은 온도에서 수행해야 되는데, 본 발명에서는 충분히 낮은 Ar3온도를 갖기 위해 Mn, Ni의 함량을 높게함으로써 충분히 낮은 Ar3온도를 갖도록 하였으므로 750℃ 이상에서 미재결정역 압연을 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미재결정 압연 온도가 850℃ 초과인 경우에는 결정립 미세화가 이루어지기 어려워 인성이 열위해진다. 따라서, 미재결정 압연 온도의 상한은 850℃가 바람직하며, 보다 바람직한 상한은 800℃이다.
냉각단계
미재결정역 압연 후 10℃/초 이상의 냉각속도로 380~440℃의 냉각종료온도까지 냉각한다.
상기와 같이 냉각단계를 제어함으로써, 강판 표면으로부터 10mm이내에서의 미세조직이 부피분율로 80% 이상의 침상 페라이트 및 20% 이하의 폴리고날 페라이트를 포함하도록 할 수 있다.
냉각속도가 10℃/초 미만이거나, 냉각종료온도가 440℃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충분한 냉각이 이루어지지 않아 폴리고날 페라이트가 다량 형성되고 선상가열시 결정립 성장과 기지의 열화가 발생하게 된다.
한편, 상기 냉각된 강판을 600~900℃에서 선상가열하여 곡가공 하는 단계를 추가로 행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선상가열에 의해, 강판의 곡가공이 가능하게 되며, 선상가열 후 냉각시 Mo2C 석출물 및 NbC 석출물이 석출됨으로써, 결정립의 성장을 억제(pinning 효과)하고 조대한 카바이드의 형성을 방지할 수 있다.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고자 한다.
(
실시예
)
하기 표 1과 같은 합금조성을 갖는 용강을 마련한 후 연속주조를 이용하여 강슬라브를 제조하였다. 발명강 A, B, C는 본 발명에서 규정한 성분범위를 만족하는 강판이며, 비교강 D, F, G, H는 본 발명의 성분범위를 초과하거나, 미달된 합금 성분이 포함되는 강판으로서 비교강 D는 탄소, 비교강 E는 Mo, 비교강 F는 Nb, 비교강 G는 Ni, Mn의 성분이 본 발명의 성분범위를 벗어난 경우이다.
상기 발명강 및 비교강을 하기 표 2의 제조조건으로 압연, 냉각하여 후강판을 제조하였다. 구체적으로 압연종료온도 780℃, 880℃, 냉각종료온도 400℃, 600℃로 수행하였다. 그리고 제조된 강판을 선상가열할 수 있는 사이즈로 절단하여 4개의 온도조건(600℃, 700℃, 800℃, 900℃)으로 곡가공을 위한 선상가열을 수행하였다.
또한, 하기 표 3에는 상기 조건들로 제조된 모재의 기계적 물성 및 선상가열후의 기계적 물성을 나타내었다.
모재의 인장강도는 강판의 전두께로부터 압연방향에 수직한 방향으로 JIS1B호 시편을 채취하여 상온에서 인장시험을 실시하여 인장강도를 측정하였다. 모재의 저온인성은 강판의 표면부 2mm직하 부위로부터 압연방향에 수직한 방향으로 시편을 채취하여 V-노치 시험편을 제작 후 -40℃에서 샤르피 충격 시험을 3회 실시하여 평균값을 표 3에 나타내었다.
또한, 강판 표면 10mm이내에서의 미세조직을 관찰하여 폴리고날 페라이트의 부피분율을 표 3에 기재하였다. 폴리고날 페라이트 외의 조직은 침상 페라이트였다.
구분 | C | Si | Mn | P | S | Al | Ni | Cu | Mo | Nb | Ti | N |
발명강 A | 0.042 | 0.086 | 1.95 | 0.0055 | 0.0015 | 0.011 | 1.71 | 0.274 | 0.13 | 0.015 | 0.010 | 0.0038 |
발명강 B | 0.054 | 0.116 | 1.83 | 0.0057 | 0.0012 | 0.010 | 1.75 | 0.249 | 0.125 | 0.021 | 0.012 | 0.0042 |
발명강 C | 0.045 | 0.123 | 1.92 | 0.0062 | 0.0011 | 0.011 | 1.82 | 0.254 | 0.119 | 0.013 | 0.013 | 0.0039 |
비교강 D | 0.126 | 0.123 | 1.88 | 0.0061 | 0.0012 | 0.010 | 1.80 | 0.249 | 0.121 | 0.017 | 0.011 | 0.0049 |
비교강 E | 0.052 | 0.118 | 1.91 | 0.0052 | 0.0014 | 0.015 | 1.68 | 0.261 | 0.052 | 0.02 | 0.012 | 0.0051 |
비교강 F | 0.046 | 0.121 | 1.89 | 0.0075 | 0.0013 | 0.012 | 1.76 | 0.248 | 0.125 | 0.008 | 0.010 | 0.0045 |
비교강 G | 0.048 | 0.119 | 1.25 | 0.0065 | 0.0013 | 0.013 | 0.65 | 0.253 | 0.132 | 0.018 | 0.012 | 0.0042 |
단, 상기 표 1에서 각 원소 함량의 단위는 중량%이다.
구분 | 강종 | FM시작온도 | FM종료온도 | 냉각시작온도 | 냉각마침온도 | 냉각속도 | 선상가열온도 |
발명예1 | 발명강 A | 795 | 770 | 732 | 432 | 11.3 | 600 |
700 | |||||||
800 | |||||||
900 | |||||||
비교예 1 | 발명강 A | 885 | 864 | 832 | 412 | 13.2 | 600 |
700 | |||||||
800 | |||||||
900 | |||||||
발명예 2 | 발명강 B | 789 | 761 | 726 | 408 | 12.5 | 600 |
700 | |||||||
800 | |||||||
900 | |||||||
비교예 2 | 발명강 B | 796 | 769 | 733 | 603 | 9.8 | 600 |
700 | |||||||
800 | |||||||
900 | |||||||
발명예 3 | 발명강 C | 792 | 775 | 740 | 410 | 11.8 | 600 |
700 | |||||||
800 | |||||||
900 | |||||||
비교예 3 | 비교강 D | 801 | 779 | 746 | 408 | 13.5 | 600 |
700 | |||||||
800 | |||||||
900 | |||||||
비교예 4 | 비교강 E | 795 | 776 | 742 | 411 | 12.5 | 600 |
700 | |||||||
800 | |||||||
900 | |||||||
비교예 5 | 비교강 F | 803 | 776 | 738 | 403 | 12.8 | 600 |
700 | |||||||
800 | |||||||
900 | |||||||
비교예 6 | 비교강 G | 795 | 768 | 734 | 411 | 11.6 | 600 |
700 | |||||||
800 | |||||||
900 |
단, 상기 표 2에서 온도의 단위는 ℃이고, 냉각속도의 단위는 ℃/초이고, FM 시작온도는 미재결정역 압연 시작온도를 뜻하며, FM 종료온도는 미재결정역 압연 종료온도를 뜻한다.
구분 | 강종 | 모재 | 선상가열 후 | ||||||
항복강도 | 인장강도 | 폴리고날 페라이트(부피%) | 충격인성 평균 | 항복강도 | 인장강도 | 충격인성 개별 | 충격인성 평균 | ||
발명예1 | 발명강 A | 527 | 665 | 7.5 | 278 | 514 | 661 | 267/262/253 | 260 |
513 | 649 | 265/288/302 | 285 | ||||||
532 | 642 | 277/322/326 | 308 | ||||||
507 | 627 | 194/130/184 | 170 | ||||||
비교예 1 | 발명강 A | 525 | 654 | 24.5 | 79 | 509 | 646 | 45/56/128 | 76 |
502 | 635 | 79/65/84 | 76 | ||||||
500 | 624 | 56/102/28 | 62 | ||||||
498 | 612 | 57/58/38 | 51 | ||||||
발명예 2 | 발명강 B | 538 | 672 | 6.7 | 247 | 534 | 668 | 245/167/158 | 190 |
529 | 659 | 264/286/302 | 284 | ||||||
518 | 642 | 268/231/188 | 229 | ||||||
510 | 621 | 154/186/109 | 150 | ||||||
비교예 2 | 발명강 B | 510 | 623 | 31.8 | 183 | 507 | 612 | 203/264/197 | 221 |
498 | 601 | 174/123/184 | 160 | ||||||
488 | 596 | 156/89/205 | 150 | ||||||
482 | 584 | 142/76/87 | 102 | ||||||
발명예 3 | 발명강 C | 542 | 671 | 7.9 | 281 | 538 | 664 | 221/265/287 | 258 |
531 | 659 | 234/212/264 | 237 | ||||||
528 | 640 | 198/187/234 | 206 | ||||||
513 | 627 | 265/188/203 | 219 | ||||||
비교예 3 | 비교강 D | 587 | 689 | 22.1 | 134 | 567 | 678 | 75/68/32 | 58 |
552 | 670 | 15/78/54 | 49 | ||||||
542 | 652 | 103/28/36 | 56 | ||||||
523 | 641 | 28/64/28 | 40 | ||||||
비교예 4 | 비교강 E | 524 | 625 | 35.5 | 226 | 514 | 615 | 52/105/39 | 65 |
508 | 611 | 64/103/154 | 107 | ||||||
501 | 602 | 51/136/121 | 103 | ||||||
492 | 598 | 25/38/65 | 43 | ||||||
비교예 5 | 비교강 F | 536 | 628 | 38.4 | 193 | 523 | 613 | 156/123/158 | 146 |
512 | 607 | 126/154/130 | 137 | ||||||
503 | 598 | 78/123/162 | 121 | ||||||
494 | 588 | 58/28/42 | 43 | ||||||
비교예 6 | 비교강 G | 506 | 624 | 42 | 133 | 503 | 611 | 120/175/56 | 117 |
493 | 608 | 89/45/37 | 57 | ||||||
483 | 594 | 36/48/56 | 47 | ||||||
479 | 578 | 59/21/34 | 38 |
단, 상기 표 3에서 항복강도 및 인장강도의 단위는 MPa이며, 충격인성의 단위는 J이다.
상기 표 3에 모재의 기계적 물성 및 선상가열후 기계적 물성을 비교하여 보면, 본 발명에 따른 합금조성 및 제조조건을 모두 만족하는 발명예 1 내지 3의 경우, 항복강도, 인장강도 및 -40℃에서의 충격인성이 모두 목표한 물성에 만족하고 있다.
구체적으로 선상가열 전후 모두 항복강도 500MPa 이상, 인장강도 600MPa이상, -40도 충격인성 100J이상의 특성을 보이고 있다.
비교예 3은 C의 성분이 초과된 비교강 D를 이용한 경우로서, 강도는 목표 수준을 크게 상향하고 있으나 충격인성은 현저하게 감소하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는 조대한 카바이드 형성으로 충격 테스트시 파괴의 원인이 되기 때문인 것으로 판단된다.
비교예 4는 Mo 성분이 미달되는 비교강 E를 이용한 경우이고, 비교예 5는 Nb 성분이 미달되는 비교강 F를 이용한 경우로서, 강도가 현저하게 감소하고 충격인성도 저하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는 고용된 Mo, Nb 양이 작고 선상가열 이후 석출물을 형성할 충분한 Mo, Nb의 양이 부족하기 때문이다. 만약 Mo, Nb가 과도하게 첨가될 경우 조대한 석출물로 인해 오히려 인성의 저하가 발생할 수 있기 때문에 본 발명에서 제어하는 범위로 첨가하여야 한다.
또한, 비교예 6은 Mn, Ni의 성분이 미달되는 비교강 G를 이용한 경우로서, 충분히 낮은 Ar3온도의 확보가 되지 않아 낮은 온도에서의 압연시 폴리고날 페라이트가 다량 형성되어 강도와 인성의 저하를 초래하였다.
비교예 1의 경우 본 발명의 합금조성은 만족하였으나, 압연온도가 850℃를 초과하여 충격 인성이 열위하였다. 비교예 3의 경우 본 발명의 합금조성은 만족하였으나, 냉각 조건이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서 폴리고날 페라이트 분율의 증대로 인하여 선상가열 후 결정립 성장에 의한 강도와 인성의 저하가 발생하였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은 당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는 자명할 것이다.
Claims (6)
- 중량%로, C : 0.03 ~ 0.07%, Si : 0.05 ~ 0.2%, Mn : 1.6 ~ 2.3%, P : 0.008% 이하, S : 0.002% 이하, Al : 0.025% 이하, Cu : 0.1 ~ 0.4%, Ni : 1.4 ~ 2.3%, Mo : 0.08 ~ 0.2%, Nb : 0.01 ~ 0.025%, Ti : 0.008 ~ 0.02%, N: 0.001~0.008%, 나머지 Fe 및 불가피한 불순물을 포함하고,
표면 10mm이내에서의 미세조직은 부피분율로 80%이상의 침상 페라이트 및 20% 이하의 폴리고날 페라이트를 포함하는 열간 저항성이 우수한 고강도 구조용 강판.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강판의 두께는 40mm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간 저항성이 우수한 고강도 구조용 강판.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강판은 항복강도가 500MPa이상이며, 인장강도가 600MPa 이상이고, -40℃에서 충격인성이 100J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간 저항성이 우수한 고강도 구조용 강판.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강판은 600~900℃로 선상가열하고 곡가공한 후의 항복강도가 500MPa이상이며, 인장강도가 600MPa 이상이고, -40℃에서 충격인성이 100J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간 저항성이 우수한 고강도 구조용 강판.
- 중량%로, C : 0.03 ~ 0.07%, Si : 0.05 ~ 0.2%, Mn : 1.6 ~ 2.3%, P : 0.008% 이하, S : 0.002% 이하, Al : 0.025% 이하, Cu : 0.1 ~ 0.4%, Ni : 1.4 ~ 2.3%, Mo : 0.08 ~ 0.2%, Nb : 0.01 ~ 0.025%, Ti : 0.008 ~ 0.02%, N: 0.001~0.008%, 나머지 Fe 및 불가피한 불순물을 포함하는 슬라브를 재가열하는 단계;
상기 재가열된 슬라브를 750~850℃에서 미재결정역 압연하는 단계; 및
미재결정역 압연 후 10℃/초 이상의 냉각속도로 380~440℃의 냉각종료온도까지 냉각단계;를 포함하는 열간 저항성이 우수한 고강도 구조용 강판의 제조방법.
-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냉각된 강판을 600~900℃에서 선상가열한 후 곡가공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간 저항성이 우수한 고강도 구조용 강판의 제조방법.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50184775A KR101758520B1 (ko) | 2015-12-23 | 2015-12-23 | 열간 저항성이 우수한 고강도 구조용 강판 및 그 제조방법 |
PCT/KR2016/014964 WO2017111443A1 (ko) | 2015-12-23 | 2016-12-21 | 열간 저항성이 우수한 고강도 구조용 강판 및 그 제조방법 |
JP2018533626A JP6718510B2 (ja) | 2015-12-23 | 2016-12-21 | 熱間抵抗性に優れた高強度構造用鋼板及びその製造方法 |
EP16879310.7A EP3395988B1 (en) | 2015-12-23 | 2016-12-21 | High-strength structural steel sheet excellent in hot resistanc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
CN201680075866.6A CN108431276B (zh) | 2015-12-23 | 2016-12-21 | 抗热性优异的高强度结构用钢板及其制造方法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50184775A KR101758520B1 (ko) | 2015-12-23 | 2015-12-23 | 열간 저항성이 우수한 고강도 구조용 강판 및 그 제조방법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70075851A true KR20170075851A (ko) | 2017-07-04 |
KR101758520B1 KR101758520B1 (ko) | 2017-07-17 |
Family
ID=590906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50184775A KR101758520B1 (ko) | 2015-12-23 | 2015-12-23 | 열간 저항성이 우수한 고강도 구조용 강판 및 그 제조방법 |
Country Status (5)
Country | Link |
---|---|
EP (1) | EP3395988B1 (ko) |
JP (1) | JP6718510B2 (ko) |
KR (1) | KR101758520B1 (ko) |
CN (1) | CN108431276B (ko) |
WO (1) | WO2017111443A1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19074236A1 (ko) * | 2017-10-11 | 2019-04-18 | 주식회사 포스코 | 저온 변형시효 충격특성이 우수한 후강판 및 그 제조방법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6673320B2 (ja) * | 2017-02-16 | 2020-03-25 | Jfeスチール株式会社 | 厚鋼板および厚鋼板の製造方法 |
KR101999018B1 (ko) * | 2017-12-24 | 2019-07-10 | 주식회사 포스코 | 저온인성이 우수한 후강판 및 그 제조방법 |
Family Cites Families (18)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S63183123A (ja) * | 1987-01-26 | 1988-07-28 | Kobe Steel Ltd | 線状及び点状再加熱加工後の低温靭性にすぐれる高張力鋼の製造方法 |
JPH11152540A (ja) * | 1997-11-18 | 1999-06-08 | Sumitomo Metal Ind Ltd | 線状加熱に伴う靱性劣化が少ない鋼材 |
JP2002235114A (ja) * | 2001-02-05 | 2002-08-23 | Kawasaki Steel Corp | 大入熱溶接部靱性に優れた厚肉高張力鋼の製造方法 |
KR100544638B1 (ko) * | 2001-12-24 | 2006-01-24 | 주식회사 포스코 | 항복강도 및 저온 파괴정지 특성이 우수한 후판강관구조용 강재의 제조방법 |
JP4066850B2 (ja) * | 2003-03-03 | 2008-03-26 | Jfeスチール株式会社 | 溶接部のctod特性に優れる高張力鋼の製造方法 |
JP4846242B2 (ja) * | 2005-01-25 | 2011-12-28 | 新日本製鐵株式会社 | 加熱曲げ特性に優れた厚鋼板の曲げ加工方法 |
JP4751137B2 (ja) * | 2005-08-26 | 2011-08-17 | 新日本製鐵株式会社 | 線状加熱による曲げ加工が容易な鋼板の製造方法 |
KR100660230B1 (ko) | 2005-12-26 | 2006-12-21 | 주식회사 포스코 | 두께 중심부의 강도와 인성이 우수한 용접구조용 극후물강판 및 그 제조방법 |
ES2402548T3 (es) * | 2007-12-04 | 2013-05-06 | Posco | Lámina de acero con alta resistencia y excelente dureza a baja temperatura y método de fabricación de la misma |
KR100957982B1 (ko) * | 2007-12-24 | 2010-05-17 | 주식회사 포스코 | Ctod 특성이 우수한 용접이음부를 포함하는용접구조용강 |
JP4308312B1 (ja) * | 2008-01-08 | 2009-08-05 | 新日本製鐵株式会社 | 線状加熱による曲げ加工性に優れた厚鋼板及びその製造方法 |
JP5187151B2 (ja) * | 2008-11-17 | 2013-04-24 | 新日鐵住金株式会社 | 線状加熱による曲げ加工性に優れた厚鋼板及びその製造方法 |
KR20110022308A (ko) * | 2009-08-27 | 2011-03-07 | 현대제철 주식회사 | 고강도 강재 및 그 제조방법 |
KR101360737B1 (ko) * | 2009-12-28 | 2014-02-07 | 주식회사 포스코 | 취성 균열 발생 저항성이 우수한 고강도 강판 및 그 제조방법 |
WO2011148754A1 (ja) * | 2010-05-27 | 2011-12-01 | 新日本製鐵株式会社 | 厚鋼板の製造方法 |
KR20120075274A (ko) * | 2010-12-28 | 2012-07-06 | 주식회사 포스코 | 극저온 인성이 우수한 고강도 강판 및 그 제조방법 |
JP5833964B2 (ja) * | 2012-03-29 | 2015-12-16 | 株式会社神戸製鋼所 | 曲げ加工性、衝撃特性および引張特性に優れた鋼板およびその製造方法 |
KR101482359B1 (ko) * | 2012-12-27 | 2015-01-13 | 주식회사 포스코 | 극저온 인성이 우수하고 저항복비 특성을 갖는 고강도 강판 및 그의 제조방법 |
-
2015
- 2015-12-23 KR KR1020150184775A patent/KR101758520B1/ko active IP Right Grant
-
2016
- 2016-12-21 EP EP16879310.7A patent/EP3395988B1/en active Active
- 2016-12-21 CN CN201680075866.6A patent/CN108431276B/zh active Active
- 2016-12-21 WO PCT/KR2016/014964 patent/WO2017111443A1/ko active Application Filing
- 2016-12-21 JP JP2018533626A patent/JP6718510B2/ja active Active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19074236A1 (ko) * | 2017-10-11 | 2019-04-18 | 주식회사 포스코 | 저온 변형시효 충격특성이 우수한 후강판 및 그 제조방법 |
CN111225987A (zh) * | 2017-10-11 | 2020-06-02 | 株式会社Posco | 具有优异的低温应变时效冲击特性的厚钢板及其制造方法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CN108431276B (zh) | 2020-04-14 |
WO2017111443A1 (ko) | 2017-06-29 |
JP6718510B2 (ja) | 2020-07-08 |
EP3395988A1 (en) | 2018-10-31 |
CN108431276A (zh) | 2018-08-21 |
EP3395988B1 (en) | 2024-02-07 |
WO2017111443A8 (ko) | 2017-10-26 |
EP3395988C0 (en) | 2024-02-07 |
KR101758520B1 (ko) | 2017-07-17 |
JP2019505676A (ja) | 2019-02-28 |
EP3395988A4 (en) | 2019-02-27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657828B1 (ko) | Pwht 후 인성이 우수한 고강도 압력용기용 강재 및 그 제조방법 | |
CN108431272B (zh) | 对pwht具有优异抗性的低温压力容器用钢板及其制造方法 | |
KR101917453B1 (ko) | 극저온 충격인성이 우수한 후강판 및 이의 제조방법 | |
KR101799202B1 (ko) | 저항복비 특성 및 저온인성이 우수한 고강도 강판 및 그 제조방법 | |
KR101746999B1 (ko) | 취성균열전파 저항성이 우수한 고강도 강재 및 그 제조방법 | |
CN111356781B (zh) | 弯曲性和低温韧性优异的高强度热轧钢板及其制造方法 | |
JP6847225B2 (ja) | 低温靭性に優れた低降伏比鋼板及びその製造方法 | |
KR101758520B1 (ko) | 열간 저항성이 우수한 고강도 구조용 강판 및 그 제조방법 | |
KR102031445B1 (ko) | 내충격특성이 우수한 고강도 강판 및 그 제조방법 | |
KR101657840B1 (ko) | 취성균열전파 저항성이 우수한 고강도 강재 및 그 제조방법 | |
KR20160075927A (ko) | 두께 중심부 강도 및 인성이 우수한 강재 및 이의 제조방법 | |
KR102220739B1 (ko) | 두께 중심부 인성이 우수한 극후물 강판의 제조방법 | |
KR101568504B1 (ko) | Pwht 후 강도 및 인성이 우수한 압력용기용 강판 및 그 제조방법 | |
KR101406527B1 (ko) | 대입열 용접열영향부 인성이 우수한 고강도 극후물 강판 및 이의 제조방법 | |
KR20160138771A (ko) | Tmcp 강재 및 그 제조 방법 | |
KR101560894B1 (ko) | 중탄소 고인성 선재 및 이의 제조방법 | |
KR102560057B1 (ko) | 굽힘 가공성이 우수한 고항복비 고강도 강판 및 그 제조방법 | |
KR101105113B1 (ko) | 저온인성 및 내식성이 우수한 저항복비 라인파이프용열연강판의 제조방법 | |
KR102200225B1 (ko) | 극저온 횡팽창이 우수한 압력용기용 강판 및 그 제조 방법 | |
KR100782761B1 (ko) | 두께 중심부의 강도와 인성이 우수한 극후물 강판의제조방법 | |
KR101543463B1 (ko) | 고인성 후강판의 제조방법 | |
KR101246273B1 (ko) | 고강도와 저항복비 특성을 갖는 강판 및 그 제조방법 | |
KR20200065417A (ko) | 취성균열전파 저항성이 우수한 극후물 강재 및 그 제조방법 | |
KR20160078775A (ko) | 저온 인성이 우수한 초고강도 강재 및 그 제조방법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