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73471A - 듀얼 베어링 릴, 및 듀얼 베어링 릴의 스풀 - Google Patents
듀얼 베어링 릴, 및 듀얼 베어링 릴의 스풀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70073471A KR20170073471A KR1020160129097A KR20160129097A KR20170073471A KR 20170073471 A KR20170073471 A KR 20170073471A KR 1020160129097 A KR1020160129097 A KR 1020160129097A KR 20160129097 A KR20160129097 A KR 20160129097A KR 20170073471 A KR20170073471 A KR 20170073471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pool
- hole
- wire winding
- reel
- main body
- Prior art date
Links
- 230000009977 dual effect Effect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5
- 238000004804 winding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63
- 230000002093 peripheral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52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6
- 230000007246 mechanism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73
- 230000004907 flux Effects 0.000 description 12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10
- 238000006243 chemical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6
- 238000005266 casting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7423 decrease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9000004020 conducto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0149 penetra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9471 a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15572 biosynthetic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8859 change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9467 redu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29910000838 Al alloy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323 axial length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3127 knee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696 magnetic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3585 weight reducing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89/00—Reels
- A01K89/015—Reels with a rotary drum, i.e. with a rotating spool
- A01K89/01931—Spool or spool shaft details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89/00—Reels
- A01K89/02—Brake devices for reels
- A01K89/033—Brake devices for reels with a rotary drum, i.e. for reels with a rotating spool
- A01K89/045—Spool bearing brake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89/00—Reels
- A01K89/01—Reels with pick-up, i.e. with the guiding member rotating and the spool not rotating during normal retrieval of the line
- A01K89/0111—Spool details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89/00—Reels
- A01K89/006—Hand crank features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89/00—Reels
- A01K89/015—Reels with a rotary drum, i.e. with a rotating spool
- A01K89/0155—Antibacklash devices
- A01K89/01555—Antibacklash devices using magnets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89/00—Reels
- A01K89/02—Brake devices for reels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89/00—Reels
- A01K89/02—Brake devices for reels
- A01K89/033—Brake devices for reels with a rotary drum, i.e. for reels with a rotating spool
- A01K89/05—Brakes connected to the spool by one-way clutch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89/00—Reels
- A01K89/02—Brake devices for reels
- A01K89/033—Brake devices for reels with a rotary drum, i.e. for reels with a rotating spool
- A01K89/057—Axially engaged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89/00—Reels
- A01K89/02—Brake devices for reels
- A01K89/033—Brake devices for reels with a rotary drum, i.e. for reels with a rotating spool
- A01K89/057—Axially engaged
- A01K89/058—Coaxial with spool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89/00—Reels
- A01K89/06—Reversible reels, i.e. with spool axis shiftable between winding and unwinding position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Storage Of Web-Like Or Filamentary Materials (AREA)
Abstract
스풀의 경량화를 도모할 수 있고, 또한 스풀에 대하여 제동력을 적절히 부여할 수 있는 듀얼 베어링 릴을 제공한다. 듀얼 베어링 릴에서는, 와이어 권취 보디부(51)가, 구멍이 형성된 통부(52)와, 구멍이 형성되지 않은 통부(53)를 가진다. 구멍이 형성되지 않은 통부(53)는, 구멍이 형성된 통부(52)와 일체로 형성된다. 한 쌍의 플랜지부(59)는, 와이어 권취 보디부(51)의 양 단부에 별개로 설치된다. 스풀 제동 기구(7)는, 릴 본체(1)에 설치된다. 스풀 제동 기구(7)는, 적어도 구멍이 형성되지 않은 통부(53)에 자력을 작용하게 함으로써, 스풀(5)을 제동 가능하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듀얼 베어링 릴, 및 듀얼 베어링 릴의 스풀(spool)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듀얼 베어링 릴에서는, 스풀의 경량화를 도모하기 위해, 스풀의 와이어 권취 보디부(bobbin trunk)에는, 복수의 구멍부가 형성되어 있다(특허 문헌 1을 참조). 상세하게는, 이 스풀에서는, 복수의 구멍부가, 한 쌍의 플랜지부의 사이에 있어서 와이어 권취 보디부에 전체적으로 형성되어 있다.
한편, 백래시(backlash)를 방지하기 위해, 자력(磁力)에 의해 스풀을 제동하는 스풀 제동 장치가 제안되어 있다(특허 문헌 2, 3를 참조). 이 스풀 제동 장치에서는, 스풀을 통과하는 자속(磁束)의 수에 따라 스풀의 제동력을 변화시키고 있다.
특허 문헌 1의 듀얼 베어링 릴에서는, 스풀의 와이어 권취 보디부에는 복수의 구멍부가 전체적으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이 스풀을 특허 문헌 2와 같이 제동하기 위해서는 특허 문헌 3와 같이, 바닥이 있는 통형(筒形)의 도전체를 스풀과 일체로 회전시킬 필요가 있었다. 그러므로, 구멍부를 형성하여 경량화(관성 저감)해도, 도전체의 중량(관성)이 증가하여 버리므로, 스풀을 충분히 제동하는 것이 어려웠던.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스풀의 경량화를 도모할 수 있고, 또한 스풀에 대하여 제동력을 적절히 부여할 수 있는 듀얼 베어링 릴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1) 본 발명의 일측면에 관한 듀얼 베어링 릴은, 릴 본체와, 핸들과, 스풀과, 스풀 제동부를 구비한다. 핸들은, 릴 본체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다. 스풀은, 핸들의 회전에 연동하여 회전 가능하도록, 릴 본체에 설치된다. 스풀은, 와이어 권취 보디부와, 한 쌍의 플랜지부를 가진다. 와이어 권취 보디부는, 구멍이 형성된 통부와, 구멍이 형성되지 않은 통부를 가진다. 구멍이 형성된 통부는, 1개 이상의 구멍부를 가진다. 구멍이 형성되지 않은 통부는, 구멍이 형성된 통부와 일체로 형성된다. 한 쌍의 플랜지부는, 와이어 권취 보디부의 양 단부에 별개로 설치된다. 스풀 제동부는, 릴 본체에 설치된다. 스풀 제동부는, 적어도 구멍이 형성되지 않은 통부에 자력을 작용하게 함으로써, 스풀을 제동 가능하다.
본 듀얼 베어링 릴에서는, 와이어 권취 보디부가 구멍이 형성된 통부를 가지고 있으므로, 스풀의 경량화를 도모할 수 있다. 또한, 스풀 제동부의 자력을, 와이어 권취 보디부의 구멍이 형성되지 않은 통부에 작용시키고 있으므로, 스풀에 대하여 제동력을 적절히 부여할 수 있다.
(2)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관한 듀얼 베어링 릴에서는, 스풀 제동부가, 구멍이 형성되지 않은 통부의 내주면(內周面)에 대향 가능하게 릴 본체에 설치된다. 이로써, 상기한 효과에 더하여, 듀얼 베어링 릴의 소형화를 도모할 수 있다.
(3)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관한 듀얼 베어링 릴에서는, 구멍이 형성된 통부의 내주면에는, 직경 방향 내측으로 돌출하는 리브부(rib section)가 형성되어 있다. 이로써, 구멍이 형성된 통부에 구멍부가 형성되었다고 해도, 구멍이 형성된 통부의 강도 및 강성(剛性)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구멍이 형성된 통부에 구멍부가 형성되었다고 해도, 구멍이 형성된 통부 및 구멍이 형성되지 않은 통부의 사이에서의 강도차 및 강성차(剛性差)를 작게 할 수 있다. 즉, 구멍이 형성된 통부 및 구멍이 형성되지 않은 통부 사이의 변형량의 차이를 억제할 수 있다.
(4)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관한 듀얼 베어링 릴에서는, 리브부는, 구멍이 형성된 통부의 내주면에 있어서 주위 방향으로 연장되는 환형(環形) 리브이다. 이로써, 구멍이 형성된 통부 및 구멍이 형성되지 않은 통부 사이의 변형량의 차이를, 보다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
(5)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관한 듀얼 베어링 릴에서는, 구멍이 형성되지 않은 통부의 내주면이, 소경부(小徑部)와, 소경부보다 대경(大徑)인 대경부를 가진다. 스풀 제동부는, 소경부에 대향 가능하게 릴 본체에 설치된다.
이 경우, 구멍이 형성되지 않은 통부의 내주면에서의 소경부와 대경부와의 경계를 기준으로 하여, 소경부에 작용하는 스풀 제동부의 자력을 관리할 수 있다. 즉, 스풀에 대하여 제동력을 적절히 부여할 수 있다.
(6)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관한 듀얼 베어링 릴에서는, 구멍이 형성되지 않은 통부의 내주면이, 주위 방향으로 연장되는 단차부(段差部)를 더 구비한다. 단차부는, 소경부 및 대경부를 접속한다. 이와 같이, 구성해도, 상기한 효과와 마찬가지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7)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관한 듀얼 베어링 릴에서는, 소경부가 단차부를 통하여 대경부에 접속되고, 대경부가 한쪽의 플랜지부에 연속하여 형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해도, 상기한 효과와 마찬가지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8) 본 발명의 일측면에 관한 듀얼 베어링 릴의 스풀은, 통형의 와이어 권취 보디부와, 한 쌍의 플랜지부를 구비한다. 와이어 권취 보디부의 외주(外周)에는, 낚싯줄이 권취된다. 한 쌍의 플랜지부는, 와이어 권취 보디부의 양 단부에 별개로 형성된다.
여기서, 와이어 권취 보디부는, 구멍이 형성된 통부와, 구멍이 형성되지 않은 통부를 가진다. 구멍이 형성된 통부는, 한 쌍의 플랜지부의 한쪽 측에 형성된다. 구멍이 형성된 통부는, 외주에 관통공을 가진다. 구멍이 형성되지 않은 통부는, 한 쌍의 플랜지부의 다른 쪽 측에 형성된다. 이와 같은 구성에 있어서, 와이어 권취 보디부의 구멍이 형성되지 않은 통부의 내주면에 자력식의 스풀 제동부를 대향시키면, 경량화를 도모할 수 있는 동시에, 바닥이 있는 통형의 도전체를 추가하지 않고 스풀에 대하여 제동력을 적절히 부여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스풀의 경량화를 도모할 수 있고, 또한 스풀에 대하여 제동력을 적절히 부여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를 채용한 듀얼 베어링 릴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릴 본체 내부의 구성을 나타낸 단면도(斷面圖)이다.
도 3은 스풀의 단면도 및 측면도이다.
도 4는 스풀의 부분 확대 단면도이다.
도 5는 스풀 및 스풀 제동 기구의 확대 단면도이다.
도 6은 스풀 및 스풀 제동 기구의 확대 단면도이다(제2 통부가 축 방향으로 이동한 경우).
도 7은 스풀 제동 기구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2는 릴 본체 내부의 구성을 나타낸 단면도(斷面圖)이다.
도 3은 스풀의 단면도 및 측면도이다.
도 4는 스풀의 부분 확대 단면도이다.
도 5는 스풀 및 스풀 제동 기구의 확대 단면도이다.
도 6은 스풀 및 스풀 제동 기구의 확대 단면도이다(제2 통부가 축 방향으로 이동한 경우).
도 7은 스풀 제동 기구의 분해사시도이다.
<듀얼 베어링 릴의 구성>
도 1에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가 채용된 듀얼 베어링 릴을 나타낸다. 도 1 및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듀얼 베어링 릴은, 릴 본체(1)와, 핸들(3)과, 스풀(5)과, 스풀 제동 기구(7)를 구비하고 있다.
이하에서는, 낚싯줄을 전방으로 송출하는 방향을 "전방", 낚싯줄을 전방으로 송출하는 방향과는 반대의 방향을 "후방"이라고 표현하는 경우가 있다. 또한, 릴 본체(1)가 낚싯대에 장착되는 측을 "하방", 릴 본체(1)가 낚싯대에 장착되는 측과는 반대의 방향을 "상방"이라고 표현하는 경우가 있다.
또한, 스풀축(spool shaft)(16)이 연장되는 방향, 피니언 기어(36)가 연장되는 방향, 및 나사축(23)이 연장되는 방향은, 실질적으로 같은 방향이다. 그러므로, 이들 방향을, 이하에서는 "축 방향"이라고 표현하는 경우가 있다. 그리고, 스풀축(16), 피니언 기어(36), 및 나사축(23)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릴 본체)
릴 본체(1)는,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프레임(4)과, 제1 측 커버(9) 및 제2 측 커버(11)와, 프레임(4)의 상부에 장착된 썸 레스트(thumb rest)(13)(도 1을 참조)를 가지고 있다.
프레임(4)은, 제1 측판(15)과, 제2 측판(17)과, 복수의 연결부(도시하지 않음)를 가지고 있다. 제1 측판(15) 및 제2 측판(17)은, 소정 간격을 두고 서로 대향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상세하게는, 제1 측판(15)은 핸들(3)과는 반대측에 설치되고, 제2 측판(17)은 핸들(3) 측에 설치되어 있다. 제1 측판(15) 및 제2 측판(17)에는, 스풀(5)을 배치 가능한 개구(15a, 17a)가 형성되어 있다. 복수의 연결부는, 제1 측판(15) 및 제2 측판(17)을 연결한다.
개구(15a)에는, 브레이크 케이스(19)가 고정되어 있다. 브레이크 케이스(19)는, 바닥이 있는 통형의 케이스 부재이다. 브레이크 케이스(19)는, 제1 측판(15)의 개구(15a)에, 예를 들면, 꽂는 구조(bayonet structure)에 의해, 장착된다. 또한, 개구(15a)에는, 캐스팅(casting) 시의 백래시를 억제하기 위한 스풀 제동 기구(7)가, 브레이크 케이스(19)를 통하여, 배치된다.
제1 측 커버(9)는, 핸들(3)과는 반대측에 있어서, 프레임(4) 예를 들면, 제1 측판(15)에 장착되어 있다. 제2 측 커버(11)는, 핸들(3) 측에 있어서, 프레임(4) 예를 들면, 제2 측판(17)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제1 측 커버(9) 및 브레이크 케이스(19)의 사이에는, 스풀 제동 기구(7)를 조작하기 위한 조작 손잡이(63)가 배치된다.
프레임(4)에는, 스풀(5)과, 레벨 와인드 기구(機構)(21)와, 클러치 조작 레버(26)가 배치되어 있다.
레벨 와인드 기구(21)는, 스풀(5)에 낚싯줄을 균일하게 권취하기 위한 기구이다. 레벨 와인드 기구(21)는, 가이드 통(22)과, 나사축(23)과, 라인 가이드(24)을 가지고 있다. 가이드 통(22)은, 라인 가이드(24)를, 축 방향으로 안내한다. 가이드 통(22)은, 제1 측판(15) 및 제2 측판(17)의 사이에 고정된다. 나사축(23)은, 가이드 통(22) 내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된다. 나사축(23)에는 나선형 홈이 형성되어 있고, 나선형 홈에는 라인 가이드(24)이 맞물려 있다.
이 구성에 의해, 나사축(23)이 기어 기구(25)(후술함)에 의해 회전되면, 라인 가이드(24)가, 가이드 통(22)을 따라 왕복 이동한다. 이로써, 라인 가이드(24)에 삽통(揷通)된 낚싯줄이, 스풀(5)에 균일하게 권취된다.
클러치 조작 레버(26)는, 제1 측판(15) 및 제2 측판(17) 간에 있어서, 스풀(5)의 후방에 배치되어 있다. 클러치 조작 레버(26)는, 상하 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클러치 조작 레버(26)는, 클러치 캠(도시하지 않음)을 통하여, 클러치 걸림 및 해제 기구(27)(후술함)를 작동시킬 수 있다.
프레임(4) 및 제2 측 커버(11)의 사이에는, 기어 기구(25)와, 클러치 걸림 및 해제 기구(27)와, 클러치 기구(29)와, 드래그 기구(31)와, 캐스팅 컨트롤 기구(33)가 배치되어 있다.
기어 기구(25)는, 핸들(3)로부터의 회전력을, 스풀(5) 및 레벨 와인드 기구(21)에 전달한다. 기어 기구(25)는, 구동 기어(35)와, 피니언 기어(36)와, 제1 기어(37)와, 제2 기어(38)를 가지고 있다.
구동 기어(35)는, 구동축(30)에 대하여, 일체로 회전 가능하며 또한 상대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상세하게는, 구동 기어(35)는, 드래그 기구(31)에 의해, 구동축(30)에 대하여, 일체로 회전하거나 상대 회전하거나 한다. 피니언 기어(36)는, 제2 측판(17)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피니언 기어(36)는, 스풀축(16)에 축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피니언 기어(36)는, 실질적으로 통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피니언 기어(36)의 중심에는, 스풀축(16)이 삽통된다.
피니언 기어(36)는, 구동 기어(35)에 맞물린다. 제1 기어(37)는, 나사축(23)의 단부(端部)에 고정되어 있다. 제2 기어(38)는, 구동축(30)에 회전 불가능하게 고정되고, 제1 기어(37)에 맞물린다. 이 구성에 의해, 구동축(30)이 회전하면, 제2 기어(38)에 맞물리는 제1 기어(37)가 회전한다. 그러면, 이 제1 기어(37)의 회전에 의해, 나사축(23)이 회전한다. 이로써, 전술한 바와 같이, 레벨 와인드 기구(21)가 작동한다.
클러치 걸림 및 해제 기구(27)는, 클러치 조작 레버(26)의 조작에 따라 클러치 기구(29)의 걸거나 분리하는 것을 행한다. 클러치 걸림 및 해제 기구(27)는, 클러치 요크(clutch yoke)(39)를 가지고 있다. 클러치 걸림 및 해제 기구(27)는, 클러치 조작 레버(26)의 조작에 의해, 클러치 요크(39)를 스풀축(16)의 축심(軸芯)과 평행하게 이동시킨다. 이로써, 클러치 기구(29)가 오프로 되어, 스풀(5)이 회전 가능하게 된다. 또한, 클러치 걸림 및 해제 기구(27)는, 구동축(30)이 낚싯줄 권취 방향으로 회전하면, 클러치 기구(29)가 자동적으로 온으로 되도록, 클러치 요크(39)를 이동시킨다.
클러치 기구(29)는, 구동축(30) 및 스풀축(16)의 연결과, 구동축(30) 및 스풀축(16)의 연결 해제를 행한다. 클러치 기구(29)는, 피니언 기어(36)의 맞물림부(36b)와, 스풀축(16)을 직경 방향으로 관통하는 클러치 핀(16a)으로 구성된다.
여기서, 피니언 기어(36)는, 톱니부(36a)와, 맞물림부(36b)와, 협착부(narrowed part)(36c)를 가지고 있다. 톱니부(36a)는, 피니언 기어(36)의 일단부(一端部)에 설치되고, 구동 기어(35)에 맞물린다. 맞물림부(36b)는, 피니언 기어(36)의 타단부에 설치된다. 맞물림부(36b)에는, 클러치 핀(16a)에 걸어맞춤 가능한 오목부가 형성되어 있다. 협착부(36c)는, 톱니부(36a)와 맞물림부(36b)와의 사이에 설치되어 있다. 협착부(36c)에는, 클러치 걸림 및 해제 기구(27)의 클러치 요크(39)가 걸어맞추어져 있다.
클러치 핀(16a)은, 맞물림부(36b)의 오목부에 걸어맞춤 가능하다. 예를 들면, 클러치 걸림 및 해제 기구(27)의 클러치 요크(39)에 의해 피니언 기어(36)가 스풀축(16)을 따라 이동하면, 맞물림부(36b)의 오목부가 클러치 핀(16a)으로부터 이탈한다. 그러면, 구동축(30) 및 스풀축(16)의 연결이 해제된다. 이 경우, 구동축(30)으로부터의 회전은, 스풀(5)에 전달되지 않는다. 즉, 이 상태가, 클러치 오프 상태이다.
한편, 구동축(30)이 낚싯줄 권취 방향으로 회전하면, 클러치 핀(16a)이 맞물림부(36b)의 오목부에 걸어맞추어진다. 그러면, 구동축(30) 및 스풀축(16)이, 연결된다. 이 경우, 구동축(30)으로부터의 회전은, 스풀(5)에 전달된다. 즉, 이 상태가, 클러치 온 상태이다. 그리고, 통상 상태는, 클러치 온 상태이다.
드래그 기구(31)는, 낚싯줄 송출 시에 스풀(5)을 제동한다. 상세하게는, 드래그력을 초과하는 힘으로 낚싯줄이 인장(引張)된 경우, 드래그 기구(31)가 작동하고, 스풀(5)은 낚싯줄 송출 방향으로 회전한다.
드래그 기구(31)는, 스타 드래그(star drag)(32)와, 마찰 기구(34)를 가진다. 스타 드래그(32)는, 드래그력을 조절하기 위한 것이다. 상세하게는, 스타 드래그(32)를 회전시킴으로써, 마찰 기구(34)의 압압(押壓; pressing) 상태가 변화되어, 드래그력이 조절된다.
마찰 기구(34)는, 복수의 제동판으로 구성된다. 마찰 기구(34)는, 원웨이 클러치(one-way cluch)(43), 및 구동 기어(35)의 사이에 배치된다. 예를 들면, 드래그력을 초과하는 힘으로 낚싯줄이 인장되고, 스풀(5)이 낚싯줄 송출 방향으로 회전한 경우, 마찰 기구(34)가 작동하고, 구동 기어(35)는 구동축(30)에 대하여 상대 회전한다.
캐스팅 컨트롤 기구(33)는, 스풀축(16)의 양단을 협지(sandwich)함으로써, 스풀(5)을 제동한다. 캐스팅 컨트롤 기구(33)는, 캡(40)과, 제1 마찰 플레이트(41)와, 제2 마찰 플레이트(42)를 구비하고 있다. 제1 마찰 플레이트(41) 및 제2 마찰 플레이트(42)는, 스풀축(16)의 양단에 접촉하여, 스풀축(16)을 협지한다. 예를 들면, 캡(40)이 회전된 경우, 제1 마찰 플레이트(41) 및 제2 마찰 플레이트(42)에 의해 스풀축(16)을 협지하는 협지력이 조정된다. 이로써, 스풀(5)의 제동력이 조정된다.
(핸들)
핸들(3)은, 릴 본체(1)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상세하게는, 도 1 및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핸들(3)은, 릴 본체(1)의 측방에 배치되고, 릴 본체(1)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핸들(3)에는, 구동축(30)이 일체로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구동축(30)은, 제2 측판(17) 및 제2 측 커버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여기서는, 구동축(30)은, 베어링을 통하여 제2 측판(17)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고, 원웨이 클러치(43)를 통하여 제2 측 커버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원웨이 클러치(43)는, 낚싯줄 송출 방향의 구동축(30)의 회전을 규제하고, 낚싯줄 권취 방향의 구동축(30)의 회전을 허가한다. 원웨이 클러치(43)는, 제2 측 커버(11)에 장착되고, 구동축(30)을 지지한다. 이 경우, 핸들(3)의 회전 즉 구동축(30)의 회전은, 원웨이 클러치(43) 및 드래그 기구(31)를 통하여, 구동 기어(35)에 전달되고, 스풀(5)이 회전한다.
(스풀)
스풀(5)은, 예를 들면, 알루미늄 합금제이며, 비자성(非磁性)의 도전체이다. 도 1 및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스풀(5)은, 핸들(3)의 회전에 연동하여 회전 가능하도록, 릴 본체(1)에 설치된다.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스풀(5)은, 와이어 권취 보디부(51)와, 한 쌍의 플랜지부(59)와, 장착부(61)를 가지고 있다.
이하에서는, 한 쌍의 플랜지부(59)의 한쪽, 예를 들면, 핸들(3) 측의 플랜지부를, 제1 플랜지부(59a)라고 표현하는 경우가 있다. 또한, 한 쌍의 플랜지부(59) 의 다른 쪽, 예를 들면, 핸들(3)과는 반대측의 플랜지부를, 제2 플랜지부(59b)라고 표현하는 경우가 있다.
와이어 권취 보디부(51)의 외주에는, 낚싯줄이 권취된다. 와이어 권취 보디부(51)는, 실질적으로 통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와이어 권취 보디부(51)는, 구멍이 형성된 통부(52)와, 구멍이 형성되지 않은 통부(53)를 가진다.
구멍이 형성된 통부(52)는, 스풀(5)의 경량화(관성 저감)에 기여하는 부분이다. 구멍이 형성된 통부(52)는, 적어도 제1 플랜지부(59a) 측에 설치된다. 여기서는,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구멍이 형성된 통부(52)는, 제1 플랜지부(59a)의 근방과, 제1 플랜지부(59a) 및 제2 플랜지부(59b)의 축 방향 사이의 중앙부로 구성된다.
구체적으로는, 구멍이 형성된 통부(52)는, 제1 본체부(54)와, 복수의 구멍부(54a)와, 리브부(54b)를 가진다. 제1 본체부(54)는, 실질적으로 통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제1 본체부(54)는, 핸들(3) 측의 와이어 권취 보디부(51)를 형성한다. 제1 본체부(54)는, 제1 플랜지부(59a)에 일체로 형성되고, 또한 구멍이 형성되지 않은 통부(53)의 제2 본체부(55)(후술함)에 일체로 형성된다.
제1 본체부(54)의 외주면(外周面)에는, 낚싯줄이 권취된다. 제1 본체부(54)의 내주면은, 구멍이 형성되지 않은 통부(53)의 제2 본체부(55)의 내주면에 접속된다. 즉, 제1 본체부(54)의 내주면은, 제2 본체부(55)의 내주면과 연속하여 형성되어 있다. 또한, 제1 본체부(54)의 내주면은, 제1 플랜지부(59a)의 외면에 연속하여 접속되어 있다.
복수의 구멍부(54a) 각각은, 제1 본체부(54)를 내주면으로부터 외주면을 향해 관통하는 관통공이다. 즉, 복수의 구멍부(54a) 각각은, 직경 방향으로 관통하는 관통공이다. 복수의 구멍부(54a)는, 제1 본체부(54)에 형성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복수의 구멍부(54a)는, 축 방향에 있어서, 제1 플랜지부(59a) 및 제2 플랜지부(59b) 사이의 중앙부로부터, 제1 플랜지부(59a)까지의 범위에서, 제1 본체부(54)의 주위 방향으로 형성되어 있다. 바꾸어 말하면, 복수의 구멍부(54a)는, 장착부(61)의 웹부(61b)(후술함)의 양측, 장착부(61)의 웹부(61b)의 직경 방향 외측, 및 제1 플랜지부(59a)의 근방에 있어서, 제1 본체부(54)의 주위 방향에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구멍이 형성된 통부(52)[제1 본체부(54)]의 범위는, 복수의 구멍부(54a)가 형성된 범위에 대응하고 있다. 상세하게는, 제1 플랜지부(59a)로부터 가장 이격된 구멍부(54a)의 내주면에 의해, 구멍이 형성된 통부(52) 및 구멍이 형성되지 않은 통부(53)의 경계가 정의되어 있다. 도 3에서는, 이 경계를 파선(破線)으로 나타내고 있다.
리브부(54b)는, 구멍이 형성된 통부(52)의 내주면에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는, 리브부(54b)는, 환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리브부(54b)는, 축 방향으로 인접하는 구멍부(54a)의 사이에 배치된다. 리브부(54b)는, 구멍이 형성된 통부(52)의 내주면 예를 들면, 제1 본체부(54)의 내주면으로부터, 직경 방향 내측을 향해 돌출되도록, 제1 본체부(54)에 형성되어 있다. 또한, 리브부(54b)는, 제1 본체부(54)의 내주면에 있어서 주위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제1 본체부(54)에 형성되어 있다.
구멍이 형성되지 않은 통부(53)는, 스풀 제동 기구(7)의 자력에 의해 제동되는 부분이다. 도 3 및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구멍이 형성되지 않은 통부(53)는, 제2 플랜지부(59b) 측에 설치된다.
구체적으로는, 구멍이 형성되지 않은 통부(53)는, 제2 본체부(55)와, 소경부(56)와, 대경부(57)와, 단차부(58)를 가지고 있다. 제2 본체부(55)는, 실질적으로 통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제2 본체부(55)는, 핸들(3)과는 반대측의 와이어 권취 보디부(51)를 형성한다. 제2 본체부(55)는, 제1 본체부(54)와 일체로 형성되고, 또한 제2 플랜지부(59b)에 일체로 형성된다.
제2 본체부(55)의 외주면에는, 낚싯줄이 권취된다. 즉, 전술한 제1 본체부(54)의 외주면 및 제2 본체부(55)의 외주면에 의해, 와이어 권취 보디부(51)의 외주면이 형성된다. 제2 본체부(55)의 내주면은, 구멍이 형성된 통부(52)의 제1 본체부(54)의 내주면에 접속된다. 즉, 제2 본체부(55)의 내주면은, 제1 본체부(54)의 내주면과 연속하여 형성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제2 본체부(55)의 내주면은, 소경부(56)와, 대경부(57)와, 단차부(58)로 구성된다. 소경부(56)는, 제2 본체부(55)의 내주면을 형성한다. 소경부(56)는, 단차부(58)를 통하여 대경부(57)에 접속된다. 또한, 소경부(56)는, 제1 본체부(54)의 내주면에 접속된다. 여기서는, 소경부(56)의 내경(內徑)은, 제1 본체부(54)의 내경과 같은 직경이다.
소경부(56)에는, 스풀 제동 기구(7)가 대향 가능하다. 여기서는, 소경부(56) 및 단차부(58)에 의해 형성되는 코너 각부(角部)(P)가, 소경부(56)에 작용하는 스풀 제동 기구(7)의 자력을 관리하는 기준으로서 사용된다.
예를 들면, 코너 각부(P)는, 와이어 권취 보디부(51)의 내주면 즉 소경부(56)에 있어서, 주위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이 코너 각부(P)에 의해, 와이어 권취 보디부(51)의 내주면에서의 소경부(56)의 기준선이 정의된다. 여기서, 소경부(56)는, 축 방향에 같은 직경으로 형성되어 있다. 그러므로, 소경부(56)에 있어서 자속이 통과하는 면적(자속의 통과 면적)을, 코너 각부(P)를 기준으로 하여, 용이하게 관리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자속의 통과 면적은, 코너 각부(P)를 기준으로 하여, 소경부(56)의 축 방향의 길이에 따라서 증가하므로, 스풀(5)에 대한 제동력의 변화를 안정시킬 수 있다.
그리고, 와이어 권취 보디부(51)의 내주면에 코너 각부(P)를 형성하지 않을 경우에는, 소경부(56)의 기준을 정의하는 것이 어렵다. 이 경우, 예를 들면, 와이어 권취 보디부(51)의 내주면의 양단 측에는, 만곡부가 형성된다. 또한, 양단의 만곡부의 사이에는, 같은 직경부가 형성된다. 이 구성에서는, 만곡부의 형성 시에, 만곡부 및 같은 직경부의 경계의 위치가, 축 방향으로 불균일해질 우려가 있다. 이로써, 같은 직경부에서의 자속의 통과 면적이, 코너 각부(P)를 형성하는 경우와 비교하여 안정되기 힘들다. 즉, 스풀(5)에 대한 제동력의 변화를 안정시키는 것이 어렵다.
대경부(57)는, 소경부(56)보다 대경으로 형성되어 있다. 대경부(57)는, 제2 본체부(55)의 내주면을 형성한다. 대경부(57)는, 단차부(58)를 통하여 소경부(56)에 접속된다. 대경부(57)는, 제2 플랜지부(59b)의 외면에 연속하여 접속되어 있다.
단차부(58)는, 소경부(56) 및 대경부(57)를 접속하는 부분이다. 단차부(58)는, 주위 방향으로 연장되고, 소경부(56) 및 대경부(57) 간에 있어서 제2 본체부(55)의 내주면을 형성한다. 상세하게는, 단차부(58)는, 소경부(56)로부터 대경부(57)를 향해 확경(擴徑)되고, 제2 본체부(55)의 내주면을 형성한다.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 및 제2 플랜지부(59a, 59b)는, 실질적으로 접시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제1 및 제2 플랜지부(59a, 59b)는, 와이어 권취 보디부(51)의 양 단부에 별개로 설치되어 있다. 상세하게는, 제1 및 제2 플랜지부(59a, 59b) 각각은, 와이어 권취 보디부(51)의 단부로부터 직경 방향 외측으로 연장되도록, 와이어 권취 보디부(51)의 단부에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여기서는, 와이어 권취 보디부(51)의 외주면을 포함하는 곡면과, 상기 곡면보다 직경 방향 외측의 부분을 모아서 제1 및 제2 플랜지부(59a, 59b)라고 정의하고 있다. 제1 및 제2 플랜지부(59a, 59b)와, 와이어 권취 보디부(51)와의 경계가, 도 4에 파선으로 나타나 있다.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장착부(61)는, 보스부(boss)(61a)와, 웹부(61b)를 가지고 있다. 보스부(61a)는, 실질적으로 통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보스부(61a)는, 스풀축(16)에 장착된다. 상세하게는, 보스부(61a)는, 고정 수단 예를 들면, 세레이션(serration) 결합에 의해, 스풀축(16)에 회전 불가능하게 고정되어 있다. 웹부(61b)는, 실질적으로 원환형(圓環形)으로 형성되어 있다. 웹부(61b)는, 보스부(61a)와 와이어 권취 보디부(51)를 연결한다. 상세하게는, 웹부(61b)는, 보스부(61a)의 외주면과 와이어 권취 보디부(51)의 내주면에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도 2 및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스풀축(16)은, 스풀(5)과 일체로 회전 가능하도록 스풀(5)에 장착된다. 스풀축(16)은, 제2 측판(17)을 관통하여 제2 측 커버(11)에 연장되어 있다. 스풀축(16)의 일단부는, 베어링을 통하여, 제2 측 커버(11)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또한, 스풀축(16)의 타단부는, 베어링을 통하여, 브레이크 케이스(19)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이, 스풀축(16)은, 일단부 및 타단부의 사이에 있어서, 스풀(5)[장착부(61)]의 보스부(61a)에 고정되어 있다. 이로써, 스풀축(16)은, 스풀(5)과 함께 회전한다.
(스풀 제동 기구)
스풀 제동 기구(7)는, 자력을 사용하여 스풀(5)을 제동 가능하다. 상세하게는, 스풀 제동 기구(7)는, 스풀(5)의 회전 방향과는 역방향의 힘을 스풀(5)에 부가하여, 스풀(5)을 제동한다. 여기서는, 스풀 제동 기구(7)는, 스풀(5)의 회전 방향과는 역방향의 힘을, 적어도 스풀(5)의 구멍이 형성되지 않은 통부(53)에 부가하여, 스풀(5)을 제동한다.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스풀 제동 기구(7)는, 릴 본체(1)에 설치된다. 상세하게는, 도 5 및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스풀 제동 기구(7)는, 브레이크 케이스(19)를 통하여, 릴 본체(1)에 설치된다. 브레이크 케이스(19)는, 통부(19a)와, 복수의 관통공(19b)을 가지고 있다. 통부(19a)에는, 스풀 제동 기구(7)가 설치된다. 통부(19a)의 내주부에는, 스풀축(16)을 지지하기 위한 베어링이 설치되어 있다. 복수의 관통공(19b)에는, 스풀 제동 기구(7)를 조작하기 위한 조작 손잡이(63)(후술함)가 걸어맞추어져 있다.
도 5 내지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스풀 제동 기구(7)는, 자성체(71)와, 통형의 제1 통부(73)와, 통형의 제2 통부(75)와, 스프링 부재(77)와, 이탈 방지 부재(79)를 가지고 있다. 그리고, 이 경우, 스풀 제동 기구(7)를 스풀 제동부의 일례라고 생각해도 되고, 자성체(71)를 스풀 제동부의 일례라고 생각해도 된다.
자성체(71)는, 스풀(5)에 자력을 작용하게 함으로써, 스풀(5)의 회전을 제동한다. 자성체(71)는, 예를 들면, 복수의 자석(71a)으로 구성되어 있다. 복수의 자석(71a)으로서는, 예를 들면, 영구 자석이 사용된다.
복수의 자석(71a)은, 제2 통부(75)의 외주부에 고정되어 있다. 여기서는, 복수의 자석(71a)이, 주위 방향으로 소정 간격을 두고, 제2 통부(75)의 외주부에 고정되어 있다.
도 4 내지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복수의 자석(71a)은, 스풀(5)에서의 와이어 권취 보디부(51)의 내주면에 대향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상세하게는, 복수의 자석(71a)은, 와이어 권취 보디부(51)에서의 구멍이 형성되지 않은 통부(53)의 내주면에 대향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복수의 자석(71a)은, 구멍이 형성되지 않은 통부(53)의 소경부(56)에 대향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도 5 및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 통부(73)는, 브레이크 케이스(19)의 통부(19a)의 외주부에 장착된다. 상세하게는, 제1 통부(73)의 내주부가, 브레이크 케이스(19)의 통부(19a)의 외주부에 장착된다. 구체적으로는,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 통부(73)는, 피걸어맞춤부(73a)를 가진다. 피걸어맞춤부(73a)에는, 제2 통부(75)의 걸어맞춤부(75a)(후술함)가 걸어맞추어진다. 예를 들면, 피걸어맞춤부(73a)는, 오목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도 5 및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2 통부(75)는, 제1 통부(73)의 외주부에 장착된다. 상세하게는, 제2 통부(75)는, 제1 통부(73)의 외주부에 대하여, 상대 회전 가능하며 또한 축 방향 이동 가능하게 장착된다. 구체적으로는,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2 통부(75)는, 걸어맞춤부(75a)를 가진다. 걸어맞춤부(75a)는, 제2 통부(75)의 내주부에 설치되어 있다. 걸어맞춤부(75a)는, 제1 통부(73)에 형성된 피걸어맞춤부(73a)에 걸어맞추어져 안내된다. 상세하게는, 걸어맞춤부(75a)가 피걸어맞춤부(73a)에 걸어맞추어지면서 이동하면, 제2 통부(75) 및 복수의 자석(71a)이, 제1 통부(73)에 대하여, 상대 회전하면서 축 방향으로 이동한다.
도 5 내지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스프링 부재(77)는, 제2 통부(75)를 가압하기 위한 부재이다. 상세하게는, 스프링 부재(77)는, 제2 통부(75)를 브레이크 케이스(19) 측(도 5 및 도 6의 좌측)으로 가압한다. 스프링 부재(77)는, 이탈 방지 부재(79)와 제2 통부(75)와의 사이에 배치된다. 스프링 부재(77)는, 예를 들면, 원뿔 코일 스프링이다. 스프링 부재(77)는, 자석(71a)에 의해 흡착되지 않도록, 예를 들면, SUS303 등의 비자성 재료를 사용하여 형성되어 있다.
이탈 방지 부재(79)는, 스프링 부재(77)를 이탈 방지하기 위한 부재이다. 이탈 방지 부재(79)는, 제1 통부(73)에 장착된다. 구체적으로는, 제1 통부(73)의 암나사부에 이탈 방지 부재(79)의 수나사부를 나사결합시키는 것에 의해, 이탈 방지 부재(79)가 제1 통부(73)에 장착된다.
이와 같은 스풀 제동 기구(7)에서는, 스풀(5)의 회전에 따라 스풀(5)의 제동력이 조정된다. 상세하게는, 복수의 자석(71a)과 스풀(5)의 와이어 권취 보디부(51)[구멍이 형성되지 않은 통부(53)의 소경부(56)]가 직경 방향에 있어서 대향한 상태에 있어서, 스풀(5)이 회전한 경우에, 스풀(5)의 회전수(회전 속도)에 따라 스풀(5)의 제동력이 조정된다.
구체적으로는, 스풀(5)이 자석(71a)의 자계에 배치된 상태에 있어서, 스풀(5)이 회전하면, 스풀(5)의 회전수에 따른 와전류(渦電流)가 발생한다. 이 와전류의 발생에 의해, 스풀(5)에는, 회전 방향과는 역방향의 힘이 부여된다. 이로써, 스풀(5)은, 회전 속도에 따라 제동된다.
그러면, 스풀(5)의 제동력에 대응하는 반력(反力)이, 제2 통부(75)에 작용한다. 이 반력에 의해, 제2 통부(75)가, 제1 통부(73)에 대하여 회전한다. 이 제2 통부(75)의 회전량에 따라 걸어맞춤부(75a)가 피걸어맞춤부(73a)를 따라 이동한다. 그러면, 제2 통부(75) 및 자석(71a)이, 제1 통부(73)에 대하여 회전하면서 축 방향으로 이동한다.
이로써, 스풀(5)의 와이어 권취 보디부(51)[구멍이 형성되지 않은 통부(53)의 소경부(56)]와 자석(71a)과의 대향 면적이 변화되고, 스풀(5)의 제동력이 변화한다. 그리고, 대향 범위는, 직경 방향에 있어서 스풀(5)의 와이어 권취 보디부(51)[구멍이 형성되지 않은 통부(53)의 소경부(56)]가 자석(71a)에 대향하고 있는 부분의 면적에 대응하고 있다.
조작 손잡이(63)는, 스풀(5)의 초기 제동력을 설정하기 위한 것이다. 도 5 및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조작 손잡이(63)는, 원형의 손잡이부(63a)와, 복수의 압압부(押壓部)(63b)를 가지고 있다. 손잡이부(63a)는, 제1 측 커버(9)에 형성된 개구(9a)로부터 노출되어 있다. 복수의 압압부(63b) 각각은, 손잡이부(63a)로부터 돌출되어 있다. 복수의 압압부(63b) 각각은, 관통공(19b)에 삽통되고, 제1 통부(73)를 압압 가능하게 제1 통부(73)와 맞닿아 있다.
손잡이부(63a)는, 개구(9a)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손잡이부(63a)는, 손잡이부(63a)의 회전을 압압부(63b)의 축 방향 이동으로 변환하는 캠 기구(도시하지 않음)를 포함하고 있다. 이로써, 손잡이(63a)를 시계 방향으로 돌리면, 압압부(63b)에 의해 제1 통부(73)가 압압되고, 제1 통부(73), 제2 통부(75), 및 자석(71a)이, 스풀(5)을 향해 축 방향(도 3의 우측)으로 이동한다. 이 결과, 스풀(5)을 통과하는 자속수가 증가하여, 스풀(5)에 대한 초기 제동력이 강해진다.
한편, 손잡이부(63a)를 반시계 방향으로 돌리면, 제1 통부(73), 제2 통부(75), 및 자석(71a)이, 스풀(5)로부터 이반되도록 축 방향(도 3 좌측)으로 이동한다. 이 결과, 스풀(5)을 통과하는 자속수가 감소하여, 스풀(5)에 대한 초기 제동력이 약해진다.
<듀얼 베어링 릴의 동작>
여기서는, 릴의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통상 상태에서는, 클러치 요크(39)는 내측으로 가압되어 있고 클러치 온의 상태이다. 이 결과, 핸들(3)로부터의 회전력은, 구동축(30), 구동 기어(35), 피니언 기어(36), 및 스풀축(16)을 통하여, 스풀(5)에 전달된다. 즉, 핸들(3)을 회전시키면, 스풀(5)이 낚싯줄 권취 방향으로 회전한다.
캐스팅을 행하는 경우에는, 백래시를 억제하기 위해, 조작 손잡이(63)를 회동(回動)시켜, 초기 제동력을 조정한다. 전체의 제동력을 억제하려는 경우에는, 조작 손잡이(63)를 반시계 방향으로 돌려, 자석(71a)을 스풀(5)로부터 멀리하면 된다. 조작 손잡이(63)를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캠 작용에 의해, 자석(71a)이 스풀(5)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한다. 이로써, 스풀(5)을 통과하는 자속의 수가 감소하여, 전체의 제동력이 약해진다.
한편, 전체의 제동력을 크게 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조작 손잡이(63)를 시계 방향으로 돌려, 자석(71a)을 스풀(5)에 근접시키면 된다. 조작 손잡이(63)를 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캠 작용에 의해, 스풀(5)에 접근하는 방향으로 자석(71a)이 이동한다. 이로써, 스풀(5)을 통과하는 자속의 수가 증가하여, 전체의 제동력이 강해진다.
이어서, 클러치 조작 레버(26)가 하방으로 가압되면, 클러치 조작 레버(26)의 이동에 의해 클러치 요크(39)가 핸들(3) 측으로 이동하고, 피니언 기어(36)가 같은 방향으로 이동한다. 이 결과, 클러치 오프 상태로 된다. 이 클러치 오프 상태에서는, 구동축(30)으로부터의 회전은, 스풀(5) 및 스풀축(16)에 전달되지 않아, 스풀(5)은 가능하게 회전 가능하게 된다. 클러치 오프 상태에 있어서, 스풀을 써밍(thumbing)하면서, 스풀축(16)이 연직면을 따르도록 릴을 축 방향으로 경사지게 하여 낚시대를 진동시키면, 루어(인조미끼)가 투척되고, 스풀(5)이 낚싯줄 송출 방향으로 회전한다.
자석(71a)이 스풀(5)의 와이어 권취 보디부(51)[구멍이 형성되지 않은 통부(53)의 소경부(56)]에 대향한 상태에 있어서, 스풀(5)이 회전하면, 스풀(5)에 제동력이 작용한다. 이와 같이, 스풀(5)이 제동되어 있는 상태에서는, 제2 통부(75)에는, 제동력에 따른 반력이 작용한다. 그리고, 이 반력에 의해 제2 통부(75)가 회전하면, 걸어맞춤부(75a)는 피걸어맞춤부(73a)에 의해 안내되어 이동한다. 그러면, 제2 통부(75) 및 자석(71a)이, 핸들(3) 측(도 4의 우측)을 향해 축 방향으로 이동한다.
여기서, 스풀(5)의 회전수(회전 속도)가 증가하면, 제동력에 따른 반력도 커진다. 그러면, 제2 통부(75) 및 자석(71a)이, 스풀(5)의 와이어 권취 보디부(51)의 내주부를 향해 이동한다. 이로써, 스풀(5)에 작용하는 자속수가 증가하고, 스풀(5)에 대한 제동력이 강해진다. 한편, 스풀(5)의 회전수(회전 속도)가 감소함에 따라 제동력에 따른 반력은 작아진다. 그러면, 제2 통부(75) 및 자석(71a)은, 스프링 부재(77)에 의해, 핸들(3)로부터 이반되도록, 축 방향으로 이동시킨다. 이로써, 스풀(5)에 작용하는 자속수가 감소하고, 스풀(5)에 대한 제동력이 약해진다. 이와 같이, 스풀(5)의 회전에 따라 스풀(5)의 제동력이 자동적으로 조절된다.
<정리>
(1) 듀얼 베어링 릴은, 릴 본체(1)와, 핸들(3)과, 스풀(5)과, 스풀 제동 기구(7)를 구비한다. 핸들(3)은, 릴 본체(1)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다. 스풀(5)은, 핸들(3)의 회전에 연동하여 회전 가능하도록, 릴 본체(1)에 설치된다. 스풀(5)은, 와이어 권취 보디부(51)와, 한 쌍의 플랜지부(59)[제1 및 제2 플랜지부(59a, 59b)]를 가진다. 와이어 권취 보디부(51)는, 구멍이 형성된 통부(52)와, 구멍이 형성되지 않은 통부(53)를 가진다. 구멍이 형성된 통부(52)는, 1개 이상의 구멍부(54a)를 가진다. 구멍이 형성되지 않은 통부(53)는, 구멍이 형성된 통부(52)와 일체로 형성된다. 한 쌍의 플랜지부(59)는, 와이어 권취 보디부(51)의 양 단부에 별개로 설치된다. 스풀 제동 기구(7)는, 릴 본체(1)에 설치된다. 스풀 제동 기구(7)는, 적어도 구멍이 형성되지 않은 통부(53)에 자력을 작용하게 함으로써, 스풀(5)을 제동 가능하다.
듀얼 베어링 릴에서는, 와이어 권취 보디부(51)가 구멍이 형성된 통부(52)를 가지고 있으므로, 스풀(5)의 경량화를 도모할 수 있다. 또한, 스풀 제동 기구(7)의 자력을, 와이어 권취 보디부(51)의 구멍이 형성되지 않은 통부(53)에 작용시키고 있으므로, 스풀(5)에 대하여 제동력을 적절히 부여할 수 있다.
(2) 듀얼 베어링 릴에서는, 스풀 제동 기구(7)가, 구멍이 형성되지 않은 통부(53)의 내주면에 대향 가능하게 릴 본체(1)에 설치된다. 이로써, 상기한 효과에 더하여, 듀얼 베어링 릴의 소형화를 도모할 수 있다.
(3) 듀얼 베어링 릴에서는, 구멍이 형성된 통부(52)의 내주면에는, 직경 방향 내측으로 돌출하는 리브부(54b)가 형성되어 있다. 이로써, 구멍이 형성된 통부(52)에 구멍부(54a)가 형성되었다고 해도, 구멍이 형성된 통부(52)의 강도 및 강성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구멍이 형성된 통부(52)에 구멍부(54a)가 형성되었다고 해도, 구멍이 형성된 통부(52) 및 구멍이 형성되지 않은 통부(53)의 사이에서의 강도차 및 강성차를 작게 할 수 있다. 즉, 구멍이 형성된 통부 및 구멍이 형성되지 않은 통부의 사이의 변형량의 차이를 억제할 수 있다.
(4) 듀얼 베어링 릴에서는, 리브부(54b)는, 구멍이 형성된 통부(52)의 내주면에 있어서 주위 방향으로 연장되는 환형 리브이다. 이로써, 구멍이 형성된 통부(52) 및 구멍이 형성되지 않은 통부(53) 사이의 변형량의 차이를 더욱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
(5) 듀얼 베어링 릴에서는, 구멍이 형성되지 않은 통부(53)의 내주면이, 소경부(56)와, 소경부(56)보다 대경인 대경부(57)를 가진다. 스풀 제동 기구(7)는, 소경부(56)에 대향 가능하게 릴 본체(1)에 설치된다.
이 경우, 구멍이 형성되지 않은 통부(53)의 내주면에서의 소경부(56)와 대경부(57)와의 경계를 기준으로 하여, 소경부(56)에 작용하는 스풀 제동 기구(7)의 자력을 관리할 수 있다. 즉, 스풀(5)에 대하여 제동력을 적절히 부여할 수 있다.
(6) 듀얼 베어링 릴에서는, 구멍이 형성되지 않은 통부(53)의 내주면이, 주위 방향으로 연장되는 단차부(58)를 더 구비한다. 단차부(58)는, 소경부(56) 및 대경부(57)를 접속한다. 이와 같이 구성해도, 상기한 효과와 마찬가지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7) 듀얼 베어링 릴에서는, 소경부(56)가 단차부(58)를 통하여 대경부(57)에 접속되고, 대경부(57)가 한쪽의 플랜지부(59)[제2 플랜지부(59b)]에 연속하여 형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해도, 상기한 효과와 마찬가지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8) 듀얼 베어링 릴의 스풀(5)은, 통형의 와이어 권취 보디부(51)와, 한 쌍의 플랜지부(59)를 구비한다. 와이어 권취 보디부(51)의 외주에는, 낚싯줄이 권취된다. 한 쌍의 플랜지부(59)는, 와이어 권취 보디부(51)의 양 단부에 별개로 설치된다.
여기서, 와이어 권취 보디부(51)는, 구멍이 형성된 통부(52)와, 구멍이 형성되지 않은 통부(53)를 가진다. 구멍이 형성된 통부(52)는, 한 쌍의 플랜지부(59)의 한쪽 측[제1 플랜지부(59a) 측]에 형성된다.
구멍이 형성된 통부(52)는, 외주에 구멍부(54a)를 가진다. 구멍이 형성되지 않은 통부(53)는, 한 쌍의 플랜지부(59)의 다른 쪽[제2 플랜지부(59b) 측]에 설치된다. 이와 같은 구성에 있어서, 와이어 권취 보디부(51)의 구멍이 형성되지 않은 통부(53)의 내주면에 자성체(71)[자석(71a)]을 대향시키면, 경량화를 도모할 수 있는 동시에, 종래 기술과 같은 바닥이 있는 통형의 도전체를 추가하지 않고 스풀(5)에 대하여 제동력을 적절히 부여할 수 있다.
<다른 실시형태>
(a)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복수의 자석(71a)이, 제2 통부(75)의 외주부에 주위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있지만, 자석(71a)의 수나 간격은 임의로 설정 가능하다.
(b)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제2 통부(75)의 축방향으로의 이동량을, 충분히 확보하기 위해, 스프링 부재(77)가 원뿔 코일 스프링인 경우의 예를 나타냈으나, 스프링 부재(77)는, 외형이 일정한 코일 스프링이라도 된다.
(c)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와이어 권취 보디부(51)의 내주면에 있어서, 소경부(56) 및 대경부(57)의 사이에는, 단차부(58)가 형성되는 경우의 예를 나타낸다. 이 대신에, 소경부(56) 및 대경부(57)의 사이에, 환형 홈부를 형성해도 된다. 이 경우, 소경부(56) 및 홈부의 벽부에 의해 형성되는 코너 각부(P)가, 소경부(56)에 작용하는 스풀 제동 기구(7)의 자력을 관리하는 기준으로서 사용될 수 있다.
(d)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복수의 구멍부(54a)가, 축 방향에 있어서, 한 쌍의 플랜지부(59)의 축 방향 사이의 중앙부로부터 제1 플랜지부(59a)까지의 범위에, 형성되는 경우의 예를, 나타낸다. 복수의 구멍부(54a)의 형성 범위는, 상기 실시형태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복수의 구멍부(54a)가, 적어도 제1 플랜지부(59a) 측의 근방에 배치되어 있으면, 복수의 구멍부(54a)의 형성 범위는, 어떻게 설정해도 된다. 예를 들면, 복수의 구멍부(54a)는, 한 쌍의 플랜지부(59)의 축 방향 사이의 중앙부에는 형성하지 않고, 제1 플랜지부(59a)의 근방에만 형성해도 된다.
(e)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리브부(54b)가, 구멍이 형성된 통부(52)[제1 본체부(54)]의 내주면에 있어서 환형으로 형성되는 경우의 예를 나타냈으나, 리브부(54b)의 형상은, 어떻게 형성해도 된다. 예를 들면, 리브부(54b)는, 구멍이 형성된 통부(52)[제1 본체부(54)]의 내주면에 있어서, 주위 방향으로 단속적(斷續的)으로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f)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1개의 리브부(54b)가 구멍이 형성된 통부(52)[제1 본체부(54)]의 내주면에 형성되는 경우의 예를 나타냈으나, 리브부(54b)의 수는, 어떻게든 설정해도 된다. 예를 들면, 복수의 리브부(54b)를, 구멍이 형성된 통부(52)[제1 본체부(54)]의 내주면에 축 방향으로 배열하여 형성해도 된다.
(g)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스풀 제동 기구(7)에 있어서 자성체(71)[자석(71a)]을 축 방향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스풀(5)에 대한 제동력이 조정되는 경우의 예를 나타냈으나, 스풀 제동 기구(7)의 구성은, 다른 구성이라도 된다. 예를 들면, 자성체(71)[자석(71a)]을 도 4 및 도 6의 위치에서 고정하고, 자성체(71)[자석(71a)]을 직경 방향으로 이동시키거나, 자성체(71)[자석(71a)] 및 구멍이 형성되지 않은 통부(53)의 직경 방향 간에 있어서 통형의 차폐판을 축 방향으로 이동시키거나 해도 된다. 이 경우, 단차부(58)를 형성하지 않고, 구멍이 형성되지 않은 통부를 통과하는 자속수를 조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듀얼 베어링 릴에 널리 적용할 수 있다.
1; 릴 본체
3: 핸들
5: 스풀
7: 스풀 제동 기구
51: 와이어 권취 보디부
52: 구멍이 형성된 통부
53: 구멍이 형성되지 않은 통부
54a: 구멍부
54b: 리브부
56: 소경부
57: 대경부
58: 단차부
59: 플랜지부
3: 핸들
5: 스풀
7: 스풀 제동 기구
51: 와이어 권취 보디부
52: 구멍이 형성된 통부
53: 구멍이 형성되지 않은 통부
54a: 구멍부
54b: 리브부
56: 소경부
57: 대경부
58: 단차부
59: 플랜지부
Claims (8)
- 릴 본체;
상기 릴 본체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는 핸들;
상기 핸들의 회전에 연동하여 회전 가능하도록 상기 릴 본체에 설치되고, 1개 이상의 구멍부를 가지는 구멍이 형성된 통부, 및 상기 구멍이 형성된 통부와 일체로 형성되는 구멍이 형성되지 않은 통부를 가지는 와이어 권취 보디부와, 상기 와이어 권취 보디부의 양 단부에 별개로 형성되는 한 쌍의 플랜지부를 가지는 스풀; 및
상기 릴 본체에 설치되고, 적어도 상기 구멍이 형성되지 않은 통부에 자력(磁力)을 작용하게 함으로써 상기 스풀을 제동 가능한 스풀 제동부;
를 포함하는 듀얼 베어링 릴.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풀 제동부는, 상기 구멍이 형성되지 않은 통부의 내주면에 대향 가능하게 상기 릴 본체에 설치되는, 듀얼 베어링 릴. -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구멍이 형성된 통부의 내주면에는, 직경 방향 내측으로 돌출하는 리브부가 형성되어 있는, 듀얼 베어링 릴. -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리브부는, 상기 구멍이 형성된 통부의 내주면에 있어서 주위 방향으로 연장되는 환형 리브인, 듀얼 베어링 릴. -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구멍이 형성되지 않은 통부의 내주면은, 소경부와, 상기 소경부보다 대경인 대경부를 가지고,
상기 스풀 제동부는, 상기 소경부에 대향 가능하게 상기 릴 본체에 설치되는, 듀얼 베어링 릴. -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구멍이 형성되지 않은 통부의 내주면은, 주위 방향으로 연장되는 단차부를 더 가지고,
상기 단차부는, 상기 소경부 및 상기 대경부를 접속하는, 듀얼 베어링 릴. -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소경부는 상기 단차부를 통하여 상기 대경부에 접속되고, 상기 대경부는 한쪽의 상기 플랜지부에 연속하여 형성되는, 듀얼 베어링 릴. - 외주에 낚싯줄이 권취되는 통형의 와이어 권취 보디부; 및
상기 와이어 권취 보디부의 양 단부에 별개로 설치되는 한 쌍의 플랜지부;
를 포함하고,
상기 와이어 권취 보디부는,
한 쌍의 상기 플랜지부의 한쪽 측에 형성되고, 또한 외주에 관통공을 가지는 구멍이 형성된 통부; 및
한 쌍의 상기 플랜지부의 다른 쪽 측에 형성된 구멍이 형성되지 않은 통부;를 가지는,
듀얼 베어링 릴의 스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JP2015246865A JP6093844B1 (ja) | 2015-12-18 | 2015-12-18 | 両軸受リール及び両軸受リールのスプール |
JPJP-P-2015-246865 | 2015-12-18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70073471A true KR20170073471A (ko) | 2017-06-28 |
KR102395200B1 KR102395200B1 (ko) | 2022-05-04 |
Family
ID=582618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60129097A KR102395200B1 (ko) | 2015-12-18 | 2016-10-06 | 듀얼 베어링 릴, 및 듀얼 베어링 릴의 스풀 |
Country Status (6)
Country | Link |
---|---|
US (1) | US9854791B2 (ko) |
JP (1) | JP6093844B1 (ko) |
KR (1) | KR102395200B1 (ko) |
CN (1) | CN106993589B (ko) |
MY (1) | MY178747A (ko) |
TW (1) | TWI682715B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10010061B2 (en) * | 2015-03-18 | 2018-07-03 | Shimano Inc. | Spinning reel |
KR101790778B1 (ko) * | 2016-06-08 | 2017-10-26 | 유한책임회사 도요엔지니어링 | 브레이킹 마그넷의 영점 조절이 가능한 베이트 캐스팅 릴 |
JP6886344B2 (ja) * | 2017-05-17 | 2021-06-16 | 株式会社シマノ | 両軸受リール |
JP6829654B2 (ja) * | 2017-06-05 | 2021-02-10 | 株式会社シマノ | 釣用リール |
JP6946123B2 (ja) * | 2017-09-08 | 2021-10-06 | 株式会社シマノ | 両軸受リールのスプール |
JP6968685B2 (ja) * | 2017-12-20 | 2021-11-17 | 株式会社シマノ | 魚釣用リールのスプール及び魚釣用リール |
KR102095305B1 (ko) * | 2018-05-31 | 2020-04-01 | 유한책임회사 도요엔지니어링 | 가변식 스풀 플레이트를 구비한 베이트 캐스팅 릴 |
JP7114070B2 (ja) * | 2018-10-12 | 2022-08-08 | 株式会社東和電機製作所 | 釣り機 |
JP7244167B2 (ja) * | 2019-05-29 | 2023-03-22 | 株式会社シマノ | 釣り用リール |
JP7227852B2 (ja) * | 2019-05-29 | 2023-02-22 | 株式会社シマノ | 釣り用リール |
WO2021076963A1 (en) * | 2019-10-17 | 2021-04-22 | Trika Inc. | Baitcaster with internal gear set |
JP2022022175A (ja) * | 2020-07-23 | 2022-02-03 | ピュア・フィッシング・インコーポレーテッド | マグネットキャスティングブレーキ |
KR20220095656A (ko) * | 2020-12-30 | 2022-07-07 | 유한책임회사 도요엔지니어링 | 맴돌이 전류를 이용한 스풀 제동장치 및 이를 구비한 낚시 릴 |
JP7502239B2 (ja) * | 2021-08-26 | 2024-06-18 | グローブライド株式会社 | スプールを制動する制動装置及びこれを備えた魚釣用リール |
KR20230061807A (ko) * | 2021-10-29 | 2023-05-09 | 유한책임회사 도요엔지니어링 | 스풀의 축 방향과 교차되는 원주 방향으로 배열된 마그넷을 구비한 낚시 릴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10309158A (ja) | 1997-03-11 | 1998-11-24 | Daiwa Seiko Inc | 魚釣用リール |
JP2001145445A (ja) | 1999-11-19 | 2001-05-29 | Shimano Inc | 両軸受リールのスプール |
JP2002291380A (ja) * | 2001-03-30 | 2002-10-08 | Daiwa Seiko Inc | 魚釣り用リールの構成部材 |
JP2014200227A (ja) | 2013-04-09 | 2014-10-27 | 株式会社シマノ | 両軸受リールのスプール制動装置、及び両軸受リール |
Family Cites Families (1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S59170469U (ja) * | 1983-04-27 | 1984-11-14 | 株式会社シマノ | 両軸受リ−ル |
US4830308A (en) * | 1984-07-25 | 1989-05-16 | Brunswick Corporation | Multiple cam mag brake adjustment for bait cast reel |
JP2929517B2 (ja) * | 1994-04-01 | 1999-08-03 | ダイワ精工株式会社 | 魚釣用リールのバックラッシュ防止装置 |
JP2004141103A (ja) * | 2002-10-25 | 2004-05-20 | Shimano Inc | 両軸受リールのスプール |
SG121857A1 (en) * | 2003-01-06 | 2006-05-26 | Shimano Kk | Braking device for a dual bearing reel |
CN1274212C (zh) * | 2003-07-17 | 2006-09-13 | 宝熊渔具股份有限公司 | 卷线器的线轮煞车装置 |
US7066419B2 (en) * | 2003-09-10 | 2006-06-27 | Shimano Inc. | Reel unit for spinning reel |
JP4362384B2 (ja) * | 2004-02-02 | 2009-11-11 | 株式会社シマノ | 両軸受リール及びそれに用いるスプール制動装置 |
JP4785499B2 (ja) * | 2005-11-15 | 2011-10-05 | 株式会社シマノ | 両軸受リールのスプール制動装置 |
JP5122273B2 (ja) * | 2007-12-28 | 2013-01-16 | 株式会社シマノ | 両軸受リールのスプール制動装置 |
KR100969227B1 (ko) * | 2009-09-28 | 2010-07-14 | 주식회사 코커스 | 낚시용 릴의 브레이크 시스템 |
JP2011125264A (ja) * | 2009-12-17 | 2011-06-30 | Globeride Inc | 魚釣用スピニングリール |
CN202504069U (zh) * | 2012-02-02 | 2012-10-31 | 维亚渔具(珠海)有限公司 | 用于水滴轮的复合刹车装置 |
KR101510728B1 (ko) * | 2012-05-04 | 2015-04-10 | 유한책임회사 도요엔지니어링 | 정밀 원심 제동시스템을 구비한 낚시릴 |
JP5944742B2 (ja) * | 2012-05-17 | 2016-07-05 | 株式会社シマノ | 両軸受リールのスプール制動装置、及び両軸受リール |
JP6085447B2 (ja) * | 2012-10-19 | 2017-02-22 | 株式会社シマノ | 両軸受リールのスプール制動装置 |
-
2015
- 2015-12-18 JP JP2015246865A patent/JP6093844B1/ja active Active
-
2016
- 2016-09-15 US US15/266,586 patent/US9854791B2/en active Active
- 2016-09-21 TW TW105130469A patent/TWI682715B/zh active
- 2016-09-23 MY MYPI2016703476A patent/MY178747A/en unknown
- 2016-10-06 KR KR1020160129097A patent/KR102395200B1/ko active IP Right Grant
- 2016-12-14 CN CN201611154549.1A patent/CN106993589B/zh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10309158A (ja) | 1997-03-11 | 1998-11-24 | Daiwa Seiko Inc | 魚釣用リール |
JP2001145445A (ja) | 1999-11-19 | 2001-05-29 | Shimano Inc | 両軸受リールのスプール |
JP2002291380A (ja) * | 2001-03-30 | 2002-10-08 | Daiwa Seiko Inc | 魚釣り用リールの構成部材 |
JP2014200227A (ja) | 2013-04-09 | 2014-10-27 | 株式会社シマノ | 両軸受リールのスプール制動装置、及び両軸受リール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CN106993589B (zh) | 2021-05-25 |
CN106993589A (zh) | 2017-08-01 |
JP2017108701A (ja) | 2017-06-22 |
TW201725976A (zh) | 2017-08-01 |
MY178747A (en) | 2020-10-20 |
US9854791B2 (en) | 2018-01-02 |
JP6093844B1 (ja) | 2017-03-08 |
US20170172131A1 (en) | 2017-06-22 |
TWI682715B (zh) | 2020-01-21 |
KR102395200B1 (ko) | 2022-05-04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20170073471A (ko) | 듀얼 베어링 릴, 및 듀얼 베어링 릴의 스풀 | |
KR102061077B1 (ko) | 듀얼 베어링 릴의 스풀 제동 장치, 및 듀얼 베어링 릴 | |
US9955678B2 (en) | Spool braking device and fishing reel | |
KR101889843B1 (ko) | 듀얼 베어링 릴 | |
JP5961364B2 (ja) | 両軸受リールのハンドル組立体及び両軸受リール | |
CN105265401B (zh) | 双轴承绕线轮和双轴承绕线轮的离合器机构 | |
JP2013070652A (ja) | 釣り用リールのトルク制限装置 | |
JP2013070652A5 (ko) | ||
JP2013106543A5 (ko) | ||
JP2016002062A5 (ko) | ||
CN110731319A (zh) | 钓鱼用渔线轮 | |
US9510576B2 (en) | Spinning reel | |
JP5536594B2 (ja) | 両軸受リール | |
JP2014212739A (ja) | 両軸受リール | |
JP5855954B2 (ja) | 両軸受リール | |
JP2013153659A5 (ko) | ||
JP6267874B2 (ja) | 両軸受リールのスプール制動装置 | |
JP5985779B1 (ja) | 両軸受リールのスプール | |
JP6946123B2 (ja) | 両軸受リールのスプール | |
JP6693921B2 (ja) | 駆動ギア | |
JPH10327722A (ja) | 両軸受リールの制動装置 | |
JP6200189B2 (ja) | 両軸受リールのスプール制動装置、及び両軸受リール | |
JP2012143202A (ja) | 両軸受リール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A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