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73453A - 유해분진 밀폐 이송 및 포장시스템 - Google Patents

유해분진 밀폐 이송 및 포장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73453A
KR20170073453A KR1020160059956A KR20160059956A KR20170073453A KR 20170073453 A KR20170073453 A KR 20170073453A KR 1020160059956 A KR1020160059956 A KR 1020160059956A KR 20160059956 A KR20160059956 A KR 20160059956A KR 20170073453 A KR20170073453 A KR 2017007345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ust
screw conveyor
film
sealing
harmfu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599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858490B1 (ko
Inventor
박경신
이경욱
Original Assignee
바테크 주식회사
이경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바테크 주식회사, 이경욱 filed Critical 바테크 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17007345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7345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5849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5849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4CENTRIFUGAL APPARATUS OR MACHINES FOR CARRYING-OUT 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 B04CAPPARATUS USING FREE VORTEX FLOW, e.g. CYCLONES
    • B04C9/00Combinations with other devices, e.g. fans, expansion chambers, diffusors, water loc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02Particle separators, e.g. dust precipitators, having hollow filters made of flexible material
    • B01D46/023Pockets filters, i.e. multiple bag filters mounted on a common fram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4CENTRIFUGAL APPARATUS OR MACHINES FOR CARRYING-OUT 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 B04CAPPARATUS USING FREE VORTEX FLOW, e.g. CYCLONES
    • B04C5/00Apparatus in which the axial direction of the vortex is revers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4CENTRIFUGAL APPARATUS OR MACHINES FOR CARRYING-OUT 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 B04CAPPARATUS USING FREE VORTEX FLOW, e.g. CYCLONES
    • B04C5/00Apparatus in which the axial direction of the vortex is reversed
    • B04C5/14Construction of the underflow ducting; Apex constructions; Discharge arrangements ; discharge through sidewall provided with a few slits or perforations
    • B04C5/15Construction of the underflow ducting; Apex constructions; Discharge arrangements ; discharge through sidewall provided with a few slits or perforations with swinging flaps or revolving sluices; Sluices; Check-val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4CENTRIFUGAL APPARATUS OR MACHINES FOR CARRYING-OUT 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 B04CAPPARATUS USING FREE VORTEX FLOW, e.g. CYCLONES
    • B04C5/00Apparatus in which the axial direction of the vortex is reversed
    • B04C5/24Multiple arrangement thereo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15/00Preventing escape of dirt or fumes from the area where they are produced; Collecting or removing dirt or fumes from that area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33/00Screw or rotary spiral conveyors
    • B65G33/08Screw or rotary spiral conveyors for fluent solid materia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37/00Combinations of mechanical conveyors of the same kind, or of different kinds, of interest apart from their application in particular machines or use in particular manufacturing proces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4CENTRIFUGAL APPARATUS OR MACHINES FOR CARRYING-OUT 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 B04CAPPARATUS USING FREE VORTEX FLOW, e.g. CYCLONES
    • B04C9/00Combinations with other devices, e.g. fans, expansion chambers, diffusors, water locks
    • B04C2009/002Combinations with other devices, e.g. fans, expansion chambers, diffusors, water locks with external filt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Processing Of Solid Wastes (AREA)
  • Filtering Of Dispersed Particles In Ga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작업장 내 발생하는 유해분진 및 이에 포함된 유해가스를 외부에 누출되지 않도록 자동 포장 처리부까지 이송할 수 있는 유해분진 밀폐 이송 및 포장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이와 같은 본 발명은, 유해분진에 포함된 일정 크기 이상의 고형분진은 걸러내고, 일정 크기 이하의 미세분진은 미세분진 다음 처리를 위해 이송시키는 집진 처리부와; 상기 집진 처리부에서 이송되는 상기 미세분진을 걸러내고, 걸러지지 않는 미세분진은 외부로 배출시키는 정화 처리부와; 상기 집진 처리부와 상기 정화 처리부와 각각 연통되도록 연결되며, 상부에 수직방향으로 적어도 하나 이상의 가스 배출공이 형성되며, 상기 집진 처리부와 상기 정화 처리부로부터 인입된 상기 고형분진 또는 상기 미세분진을 스크류의 회전력을 이용하여 배출시키는 스크류 컨베이어와; 상기 스크류 컨베이어의 끝단부와 밀폐되도록 연결되고, 상기 스크류 컨베이어의 동작에 의해 배출된 상기 고형분진 및 상기 미세분진이 섞인 혼합분진을 밀봉되도록 자동으로 포장하여 배출하는 자동 포장 처리부로 구성된다.

Description

유해분진 밀폐 이송 및 포장시스템{Dust collection equipment and processing systems}
본 발명은 유해분진 밀폐 이송 및 포장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반도체 및 LCD공정 등 각종 제조산업 작업장 내에서 발생하는 유해분진 및 이에서 발생하는 유해가스를 외부에 누출되지 않고 자동 포장설비까지 이송 및 밀봉형태로 포장할 수 있는 유해분진 밀폐 이송 및 포장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반도체 및 LCD공정 등 각종 제조산업의 작업장 내에는 더스트(dust) 및 각종 유해물질 불순물이 포함된 배기가스가 발생된다.
이러한 배기 가스는 질식성, 지연성, 가연성, 폭발성, 유독성 및 부식성이 강하기 때문에 인체에 유해할 뿐만 아니라 그대로 대기 중으로 방출될 경우 환경 오염을 유발하는 원인이 되기 때문에 반드시 외부로 배출되는 공기 내의 유해성분 함량을 허용 농도 이하로 낮추는 집진 처리 및 정화 처리 과정이 반드시 필요하다.
더불어, 반도체 공정 등 작업장 내에서 배출되는 배기 가스 내에 미세한 입자들이 포함되어 있으며, 이러한 미세 입자들이 대기로 배출되지 않도록 제거하여야 한다.
이러한 미세 입자를 제거하는 종래의 방법으로는 분무(Water Spray)방식 또는 백 필터(Back Filter)방식이 사용되고 있다.
하지만, 반도체의 고직접화와 액정표시장치(TFT LCD) 패널의 대용량화로 인하여 배기 가스 및 미세 입자의 배출량이 현격히 증가하고 있으며, 제거된 고형의 불순물을 처리함에 있어서 많은 인력 소모 및 비용 증가의 문제가 발생하고 있다.
이러한 공기 중 불순물을 집진 처리할 수 있도록 구성된 백 필터 집진 장치 기술로 (특허문헌 1)의 제10-1475866호 "백 필터 집진장치" 등록기술과 (특허문헌 2)의 제10-2015-0062302호의 "백 필터를 이용하는 집진장치" 공개기술을 들 수 있다.
이와 같은, 종래의 공개된 집진장치에서 집진장치를 통해 제거된 고형의 불순물은 하부 배출부를 통해 배출되어 필요에 따라 각각의 별도 수거함을 통해 외부 이송되어 처리되도록 구성되었다.
이와 같은 종래의 집진장치의 고형 불순물 처리에 있어, 처리된 고형 불순물은 외부 공기와 2차 접촉이 이루어지게 되고, 이송 과정 중 비산되거나 주위환경을 오염시킬 수 있는 2차적 오염이 발생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각각의 수거함을 통해 필요에 따라 처리됨에 있어 집진장치를 통해 처리되는 불순물의 양을 정확히 파악하기 어려웠으며, 집진 장치를 필요 이상으로 가동하여 사용자 측의 유지 보수 및 비용 증가를 가져오게 하는 문제가 발생하였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475866호(2014.12.17. 등록)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5-0062302(2015.06.08. 공개)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들을 해결하고자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작업장 내 발생하는 유해분진 및 이에 포함된 유해가스를 외부에 누출되지 않도록 자동 포장 처리부까지 이송할 수 있는 유해분진 밀폐 이송 및 포장시스템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작업장 내 발생하는 유해분진을 스크류 컨베이어를 이용하여 이송시, 미리 설정된 고온의 질소가스를 주입함으로써 유해분진을 건조된 상태로 이송할 수 있는 유해분진 밀폐 이송 및 포장시스템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자동 포장시 연속적으로 공급되는 필름을 실링한 후 유해분진을 미리 설정된 중량단위로 밀봉하여 연속적으로 배출할 수 있는 유해분진 밀폐 이송 및 포장시스템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유해분진 밀폐 이송 및 포장시스템은, 유해분진에 포함된 일정 크기 이상의 고형분진은 걸러내고, 일정 크기 이하의 미세분진은 미세분진 다음 처리를 위해 이송시키는 집진 처리부와; 상기 집진 처리부에서 이송되는 상기 미세분진을 걸러내고, 걸러지지 않는 미세분진은 외부로 배출시키는 정화 처리부와; 상기 집진 처리부와 상기 정화 처리부와 각각 연통되도록 연결되며, 상부에 수직방향으로 적어도 하나 이상의 가스 배출공이 형성되며, 상기 집진 처리부와 상기 정화 처리부로부터 인입된 상기 고형분진 또는 상기 미세분진을 스크류의 회전력을 이용하여 배출시키는 스크류 컨베이어와; 상기 스크류 컨베이어의 끝단부와 밀폐되도록 연결되고, 상기 스크류 컨베이어의 동작에 의해 배출된 상기 고형분진 및 상기 미세분진이 섞인 혼합분진을 밀봉되도록 자동으로 포장하여 배출하는 자동 포장 처리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자동 포장 처리부는, 필름랙에서 공급되는 필름을 미리 설정된 텐션과 공급속도로 공급하는 필름공급부와; 상기 스크류 컨베이어부에서 배출되는 상기 혼합분진의 배출량을 조절하면서 하부로 배출하는 깔대기 형상의 호퍼와; 상기 호퍼의 하부에 위치되어 상기 혼합분진을 포장 대기상태로 수용하는 실린더와; 상기 실린더의 상부에 설치되어, 상기 필름을 상기 실린더의 외주면에 수직방향으로 밀착되도록 가이드하는 꼬깔형상의 필름 가이더와; 상기 실린더의 외측면에 설치되어, 상기 실린더의 외주면에 수직방향으로 밀착된 상기 필름을 하측방향으로 이송시키는 한 쌍의 벨트롤러와; 상기 실린더의 외측면에 설치되어, 상기 한 쌍의 벨트롤러에 의해 하측방향으로 이송되는 상기 필름의 측면을 차례로 실링처리하는 수직 실링부와; 상기 수직 실링부에서 측면이 실링처리된 필름이 하측방향으로 미리 설정된 일정 길이 또는 일정 무게를 갖는 경우 하측방향으로 이송된 상기 필름을 수평방향으로 커팅 및 실링처리하는 수평 실링부와; 상기 혼합분진의 공급을 제어하고, 상기 필름 가이더에 상기 필름을 공급하는 동력을 제어하고, 상기 벨트롤러의 동작을 제어하고, 상기 수직 실링부 및 상기 수평 실링부의 실링동작을 각각 제어하는 제어기;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유해분진 밀폐 이송 및 포장시스템은, 작업장 내 발생하는 유해분진 및 이에 포함된 유해가스를 외부에 누출되지 않도록 자동 포장 처리부까지 이송할 수 있어, 작업장을 유해분진 또는 유해가스로부터 안전성을 높일 수 있다.
또한, 유해분진을 스크류 컨베이어를 이용하여 이송시, 미리 설정된 고온의 질소가스를 주입함으로써 유해분진을 건조된 상태로 이송할 수 있어, 유해분진이 스크류 컨베이어에 달라붙지 않고 자연스럽게 배출될 수 있다.
또한, 자동 포장시 연속적으로 공급되는 필름을 실링한 후 유해분진을 미리 설정된 중량단위로 밀봉하여 연속적으로 배출할 수 있어, 유해분진을 최종적으로 배출하거나 실외에서 이송할 때도 유해분진의 노출을 원천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유해분진 밀폐 이송 및 포장시스템을 보여주는 계통 도면이다.
도 2(a)(b)는 본 발명에 따른 유해분진 밀폐 이송 및 포장시스템에 적용되는 스크래퍼부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유해분진 밀폐 이송 및 포장시스템에 적용되는 배출부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유해분진 밀폐 이송 및 포장시스템의 스크류 컨베이어의 상단에 설치된 유해가스 처리부의 단면도이다.
도 5 내지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유해분진 밀폐 이송 및 포장시스템의 자동포장처리부의 구성과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유해분진 밀폐 이송 및 포장시스템을 통하여 최종적으로 포장상태로 배출되는 유해분진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에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유해분진 밀폐 이송 및 포장시스템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먼저,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유해분진 밀폐 이송 및 포장시스템을 보여주는 계통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유해분진 밀폐 이송 및 포장시스템에 적용되는 턴 테이블 배출부를 보여주는 도면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유해분진 밀폐 이송 및 포장시스템에 적용되는 연속 배출부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유해분진 밀폐 이송 및 포장시스템은, 반도체 및 LCD공정 등 각종 제조산업의 작업장 내에서 배출되는 공기 중 포함된 분진, 미세먼지 및 각종 유해물질을 포함한 불순물을 제거하여 정화된 공기만을 외부로 배출할 수 있도록 구성된 처리 시스템이다.
그리고, 집진 처리되어 분리된 고형 불순물을 처리함에 있어 처리과정 중 외부 노출이 없이 고형 불순물 만을 모아 이송하여 별도의 자동 포장 처리부(400)를 통해 처리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고, 스크류 컨베이어(300)를 통한 이송으로 회전수 측정을 통해 발생되는 고형 불순물을 양을 측정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유해분진 밀폐 이송 및 포장시스템(1)은, 크게 작업장 내의 공기를 일정한 압력으로 흡입하여 처리 장치 측으로 이송시키는 덕트 라인(2)을 가지며, 상기 덕트 라인(2)을 통해 이송된 공기 중 불순물을 처리하는 집진 처리부(100)와, 정화 처리부(200) 그리고 집진 처리된 고형 불순물을 상기 자동 포장 처리부(400)로 이송시키는 스크류 컨베이어(3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보다 상세하게, 상기 덕트 라인(2)은 일측에 압력 지시계를 가지며 일정한 압력으로 공기가 이송될 수 있게 한다.
그리고, 상기 집진 처리부(100)는 상기 덕트 라인(2)을 통해 인입된 공기 중 불순물을 집진 처리하여 고형물은 하부 일측에 연통된 고형 배출 라인(4a, 4b)을 통해 이송시키고, 집진 처리된 공기는 다시 상부 일측에 연통된 미세분진 배출 라인(2a, 2b)을 통해 이송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정화 처리부(200)는, 집진 처리부(100)의 미세분진 배출 라인(2a, 2b)와 연통되어 이송된 공기를 재차 정화처리하도록 구성되는데, 집진 처리된 미세 먼지는 미세분진 배출 라인(2a, 2b)을 통해 이송시키고, 정화 처리된 공기는 연통된 외부 배출 라인(3)을 통해 외부 대기 중으로 배출된다.
한편, 상기 스크류 컨베이어(300)는, 상기 집진 처리부(100)의 고형 배출 라인(4)과 연통되도록 구성되며, 바람직하게 외부와의 공기 접촉이 발생되지 않도록 상기 고형 배출 라인(4)은 밀폐 구조를 가진다.
또한, 상기 스크류 컨베이어(300)는 일측에 스크류 회전수를 측정할 수 있는 카운터 센서(미도시.)를 포함하여 구성되는데, 상기 스크류 회전수 측정에 따라 별도의 제어 시스템을 통해 이송되는 고형 불순물의 배출량을 확인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스크류 컨베이어(300)의 단부 측은 상기 자동 포장 처리부(400)와 연결되고, 스크류 컨베이어(300)를 통해 이송된 고형 불순물은 자동 포장 처리부(400) 내의 호퍼로 모아졌다가 별도의 수거함 또는 수거팩 등에 일정한 양으로 포장 처리되어 외부 반출 처리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자동 포장 처리부(400)는 상기 스크류 컨베이어(300)와 연결관에 의해 고형 불순물의 외부 노출이 없도록 연결된다.
한편,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서는 스크류 컨베이어(300)의 전단에 질소압력탱크(330)가 설치되며, 스트류 컨베이어(300)에 의해 배출되는 상기 고형분진 또는 미세분진을 건조시키기 위해, 스크류 컨베이어(300)가 동작하면 미리 설정된 압력과 온도 조건하에서 질소가스를 상기 스크류 컨베이어(300)의 내부로 공급하는데, 상기 질소압력탱크(330)에서 공급되는 질소의 압력은 100~150 BAR를 유지하고, 질소의 온도는 70~80℃를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질소를 사용하는 이유는 스크류 컨베이어(300)의 내부에 유입되는 고형분진 또는 미세분진을 건조시켜 자연스럽게 이송하기 위함이며, 공기중의 약4/5를 차지하면서도 화학적으로 안정된 질소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유해분진 밀폐 이송 및 포장시스템(1)은, 집진 처리부(100)를 통해 처리된 고형 불순물을 스크류 컨베이어(300)를 통해 자동 포장 처리부(400)로 이송하여 처리됨으로써 고형 불순물이 설비 내 공기와 접촉할 수 없어 이송 처리 과정 중 재차 공기 중 포함되지 않아 처리 효율을 극대화 할 수 있다.
또한, 스크류 컨베이어(300)를 통해 이송되는 고형 불순물의 양을 측정함으로써, 작업장 내 발생되는 대기 상태를 확인할 수 있으며 상기 집진 처리부(100)와 정화 처리부(200)의 교체 및 보수 유지 시점을 확인할 수 있다.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상기 유해분진 밀폐 이송 및 포장시스템(1)을 보다 상세하게 살펴보면 하기와 같다.
보다 상세하게, 상기 집진 처리부(100)는, 집진 효율을 극대화 할 수 있도록 다수개의 집진기를 직렬 또는 병렬 구조로 설치하여 구성하는데, 바람직하게는 사이클론 집진기(110)와 백 필터 집진기(120)로 구성된다.
상기 사이클론 집진기(cyclone collector, 110)는, 작업장 내의 불순물을 포함한 공기를 이송하는 덕트 라인(2)의 단부와 인입구(111)를 통해 연통되어 연결되고, 하부에 응집된 불순물을 고형 배출 라인(4a)으로 배출시키는 사이클론 배출부(140a)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인입구(111)를 통해 인입된 불순물을 포함한 공기는 사이클론 집진기(110)의 내부 구조에 따라 선회 운동을 하게 되며 입자의 원심력을 이용해 분진 입자는 분리되어 하부로 낙하하여 모이게 된다.
이와 같은 고형의 불순물은 상기 사이클론 배출부(140a)를 통해 고형 배출 라인(4a)으로 이송되고, 후술될 스크류 컨베이어(300)에 의해 이송된다.
상기의 사이클론 집진기(110)의 내부 구조 및 작동 관계는 일반적으로 널리 알려진 내용으로 이에 대한 작동 관계 등은 생략하기로 한다.
한편, 상기 사이클론 집진기(110)를 통해 집진 처리된 공기는 재차 상부 배출구(112)를 통해 이어지는 이송 덕트라인(2a)을 통해 백 필터 집진기(120) 내로 인입되어 재차 집진 처리된다.
상기 백 필터 집진기(120)는, 상기 이송 덕트라인(2a)를 통해 이송된 공기가 인입구(121)를 통해 내부로 인입되고 상부 여과층을 통해 집진 처리된 공기는 재차 이송 덕트라인(2b)을 통해 정화 처리부(200)로 이송처리되며, 집진 처리된 고형의 불순물은 하부에 설치된 백 필터 배출부(140b)를 통해 고형 배출 라인(4b)으로 이송되어 후술될 스크류 컨베이어(300)로 이송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백 필터 집진기(120)는, 상기 이송 덕트라인(2a)과 각각 연통된 제1 백 필터 집진기(120a)와 제2 백 필터 집진기(120b)로 구성되는데, 상기 제1, 2 백 필터 집진기(120a, 120b)는 병렬로 구비되어 외부 제어에 의해 개별 또는 동시 작동된다.
한편, 재차 도 1과 도 2(a)(b)를 참조하면, 보다 상세하게 상기 백 필터 집진기(120)는. 백 필터 집진기(120)를 구성하는 외부 하우징의 하부에 인입구(121)를 형성하고 상부에 배출구(122)를 형성하며, 상부 내측에 여과포 등을 이용한 여과층을 형성하며, 하부에 상기 여과층에 의해 집진 처리된 불순물이 떨어져 모이는 집진실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집진실에는 집진된 고형 불순물을 상기 백 필터 배출부(140b)로 배출시킬 수 있도록 별도의 스크래퍼부(1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스크래퍼부(130)는 백 필터 집진기(120)의 하부에 구성되되, 집진기(120)의 하부판 저면에 형성된 배출공(123)을 통해 고형의 불순물을 자유 낙하시켜 이송할 수 있게 하며, 크게 회전하는 샤프트 축(131)과, 상기 샤프트 축(131)에 의해 회전하는 스크래퍼(132)로 구성된다.
보다 상세하게, 상기 샤프트 축(131)은 구동모터(133)와 감속기(134)에 의해 집진기(120)의 집진실 내부에 이탈된 고형의 불순물을 모을 수 있도록 적정 회전수로 회전한다.
그리고, 상기 스크래퍼(132)는 상기 샤프트 축(131)을 중심으로 사방에 다수개가 형성되며, 상기 스크래퍼(132)는 상기 백 필터 집진기(120)의 하측 내부 저면의 직경을 포함할 수 있는 길이를 가진다.
이와 같이 구성된 스크래퍼부(130)는, 외부 제어 신호에 따라 구동모터(133)와 감속기(134)가 샤프트 축(131)을 회전시키고, 상기 샤프트 축(131)과 일체형의 스크래퍼(132)는 회전에 따라 고형의 불순물을 한 곳으로 모으게 되고 상기 배출공(123) 측으로 고형의 불순물을 유도하여 자유낙하시킨다.
그리고, 상기 고형의 불순물은 상기 배출공(123)과 연통된 배출관(124)을 통해 상술된 백 필터 배출부(140b)로 떨어진다.
한편, 재차 도 1과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백 필터 집진기(120)의 백 필터 배출부(140b)와 사이클론 배출부(140a)는, 이중 개폐 구조를 가지는 플랩 댐퍼 형상을 가진다.
상기 플랩 댐퍼는 물체를 상부에서 하부로 배출할 때 공기의 흐름을 차단하고자 할 때 설치되는 것으로 2대의 댐퍼가 연속적으로 설치되며, 상기 2대의 댐퍼는 개폐가 어긋나게 이루어져 어떠한 경우에도 동시에 열리지 않게 구성된다.
도 3은 상기 백 필터 집진기(120)에 구비된 백 필터 배출부(140b)를 예시로 도시하였으며, 사이클론 배출부(140a)는 동일 구조를 가지며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하기와 같다.
보다 상세하게, 상기 백 필터 배출부(140b)는, 1차 댐퍼(140b-1)와 2차 댐퍼(140b-2)가 연속되게 구성된다.
이때, 상기 1차 댐퍼(140b-1)와 2차 댐퍼(140b-2)는, 배출관(도2b, 124)와 연통되게 형성되며 소정 크기의 케이싱(141)과, 상기 케이싱 내부에 구비되고 하부에 경사된 개구부를 가지는 관 형상의 슈트(142)와, 상기 슈트(142)의 경사 개구부를 완전히 밀폐시킬 수 있는 크기의 댐퍼 플레이트(143)와, 상기 댐퍼 플레이트(143)와 아암(144)에 의해 연결되어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댐퍼 플레이트(143)의 동작을 제어하여 슈트(142)의 개폐를 제어하는 실린더(145)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케이싱(141)의 외측에는 상기 댐퍼 내부의 청소 또는 유지 보수 검사를 위한 도어(146)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1차 댐퍼(140b-1)와 2차 댐퍼(140b-2)는 연속되게 구성되어 단일 백 필터 배출부(140b)를 구성하며, 상기 2차 댐퍼(140b-2)의 배출공(147)은 상술된 스크류 컨베이어(300)와 연통되도록 고형 배출 라인(4b)과 연결된다.
또한, 상기 댐퍼 플레이트(143)는 별도의 외부 제어신호 뿐 아니라 슈트(142)를 통과해 하부로 모이는 고형 불순물의 무게가 적정 무게를 넘게 되면 밀려 열리게 되며 고형 불순물이 슈트(142)를 통과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와 같이 이중 구조를 가지는 백 필터 배출부(140b)에 의해 분진 운에 의한 폭발 등 위험 요소를 최소화할 수 있으며, 외부와의 접촉이 이루어지지 않게 된다.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사이클론 배출부(140a)는 백 필터 배출부(140b)와 동일 구조를 가지며, 사이클론 집진기(110)의 사이클론 집진실을 통해 모여진 고형의 불순물을 이중의 댐퍼 구조를 통해 상기 백 필터 배출부(140b)와 동일하게 상술된 스크류 컨베이어(300)와 연통되는 고형 배출 라인(4a)으로 배출시킨다.
한편, 재차 도 1을 참조하면, 상술된 백 필터 집진기(120)는 여과포를 가지는 여과층의 상부와 하부에 차압계(DPT)를 설치하여, 집진기의 성능 저하를 체크할 수 있도록 구성되며, 집진실 일측에 소화기 등의 불꽃차단수단(125)을 설치하여 분진 운에 의한 폭발 등 위험요소를 차단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어서, 재차 도 1을 참조하여, 상기 정화 처리부(200)를 설명하면 하기와 같다.
바람직하게, 상기 정화 처리부(200)는, 이송 덕트라인(2b)과 연통되게 연결되고 헤파 필터로 구성된 헤파 필터부(210)와, 상기 헤파 필터부(210)를 통과한 공기를 외부 배출 라인(3) 측으로 이송시키는 블로어부(2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외부 배출 라인(3)을 구성하는 덕트 관 상의 일측에는 정화된 공기의 배출시 발생되는 소음을 저감시키기 위한 배기 소음기(23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와 같은 헤파 필터부(210)는 필요에 따라 다수개가 병렬 설치될 수 있다.
이어서, 재차 도 1을 참조하여, 상기 스크류 컨베이어(300)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하기와 같다.
바람직하게, 상기 스크류 컨베이어(300)는, 크게 상기 집진 처리부(100)의 고형 배출 라인(4a, 4b)과 연통된 수평 스크류 컨베이어(310)와, 상기 수평 스크류 컨베이어(310)의 단부와 연결관(301)에 의해 연통되고 상기 자동 포장 처리부(400)의 상부 호퍼 측으로 이송된 고형 불순물을 이송시키는 경사 스크류 컨베이어(320)로 구성된다.
보다 상세하게, 상기 스크류 컨베이어(300)의 수평 스크류 컨베이어(310)와 경사 스크류 컨베이어(320)는, 일정 길이를 가지는 관 현상으로 외부 구동모터(M1)에 의해 위치 고정 회전하는 스크류(311, 321)를 내부에 포함한다.
상기 스크류(311, 321)는 스크류 컨베이어(300)의 관 내부 직경과 동일 직경을 가지도록 형성됨이 바람직하며 상기 스크류(311, 321)의 회전에 따라 투입된 고형의 불순물은 밀려져 이송 방향으로 이동된다.
한편, 상기 스크류 컨베이어(300)는 일측에 스크류 회전수를 측정할 수 있는 카운터 센서(미도시.)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스크류 회전수에 따라 이송되는 고형 불순물의 배출량을 확인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어서, 상기 스크류 컨베이어(300)를 통해 이송된 고형 불순물은 스크류 회전에 따라 자동 포장 처리부(400) 측으로 이송되는데, 바람직하게 상기 자동 포장 처리부(400)와 스크류 컨베이어(300)는 연결관에 의해 고형 불순물의 외부 노출이 없도록 연결되며, 자동 포장 처리부(400) 내의 호퍼로 모아졌다가 별도의 수거함 또는 수거팩 등에 일정한 양으로 포장 처리되어 외부 반출 처리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유해분진 밀폐 이송 및 포장시스템(1)에 적용되는, 상술된 불순물을 포함한 공기 또는 정화된 공기가 이송되는 덕트 라인(2)과 미세분진 배출 라인(2a, 2b)은 이송되는 라인 관 내부에 일정한 압력으로 공기가 이송될 수 있도록 필요에 따라 다수개의 압력 지시계(PT)를 설치하여 일정한 압력을 유지할 수 있도록 구성되며, 상기 집진 처리부(100)의 인입구 측과 연결된 부분에는 각각 오토 밸브(V1)를 설치하여 집진 처리 과정을 자동 제어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더불어 상기 정화 처리부(200)로 인입되는 라인과 배출되는 라인의 일측에는 수동 밸브(V2)를 설치하여 수동 제어될 수 있도록 구성하여 전체 설비의 안정성을 높일 수 있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정화 처리부(200)로 공기를 이송시키는 미세분진 배출 라인(2b)과 연결된 일측에는 BV(Breather valve)와 같은 안전밸브(V3)를 설치하여 내부 압력이 설정 압력 이상으로 초과될 시 자동 팝핑 모션(poping motion)에 의해 순간적으로 밸브가 열려 내부압력을 분출시켜주는 안전장치를 구비함이 바람직하다.
한편,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크류 컨베이어(300)의 상부에 형성된 가스배출공(313)에 연통되도록 유해가스처리부(340,350)가 설치되는데, 유해가스처리부(340,350)는 상기 스크류 컨베이어(300)를 따라 이송하는 상기 유해분진에 잔류하는 질식성, 지연성, 가연성, 폭발성, 독성, 부식성 가스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가스를 포함하는 인체유해가스를 수평 스크류 컨베이어(310) 또는 경사 스크류 컨베이어(320)의 끝단 상부에 형성된 가스배출공(313)에 연결된 카본필터(342,352) 및 마이크로필터(344,354)로 이루어진 유해가스처리부(340,350)를 통하여 흡입하여 제거한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서, 상기 자동 포장 처리부(400)는, 도 5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필름랙(410), 필름공급부(420), 깔대기 형상의 호퍼(430), 실린더(434), 필름 가이더(440),한 쌍의 벨트롤러(442), 수직 실링부(450), 수평 실링부(460), 무게감지센서(470), 제어기(480)로 구성된다.
여기서, 필름공급부(42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기(480)의 제어에 따라 필름랙(410)에서 공급되는 필름을 미리 설정된 텐션과 공급속도로 공급하는데, 필름은 정전기가 처리된 투명 또는 불투명 합성비닐종류의 재료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깔대기 형상의 호퍼(430)는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스크류 컨베이어부(300)에서 배출되는 상기 혼합분진의 배출량을 제어기(480)의 제어에 따라 하단부에 설치된 체크밸브(432)의 조절하면서 하부로 배출한다.
또한, 원통형의 실린더(434)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호퍼(430)의 하부에 설치되어 상기 혼합분진을 포장 대기상태로 수용하는 원통형상으로 설치된다.
또한, 필름 가이더(440)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실린더(434)의 상부에 설치되어, 상기 낱장 형태로 연속적으로 공급되는 필름을 상기 실린더(434)의 외주면에 수직방향으로 밀착되도록 가이드한다.
또한, 한 쌍의 벨트롤러(442)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실린더(434)의 외측면에 설치되어, 제어기(480)의 제어에 따라 상기 실린더(434)의 외주면에 수직방향으로 밀착된 상기 필름을 하측방향으로 연속적으로 이송시킨다.
이때, 실린더(434)의 외측면에 설치된 수직 실링부(450)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한 쌍의 벨트롤러(442)에 의해 하측방향으로 이송되면서 상기 필름의 측면을 차례로 실링처리한다.
한편, 수평 실링부(460)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직 실링부(450)에서 측면이 실링 처리된 필름이 하측방향으로 미리 설정된 일정 길이 또는 일정 무게를 갖는 경우 하측방향으로 이송된 상기 필름을 수평방향으로 커팅 및 실링처리한다.
여기서, 수평 실링부(460)에는 무게감지센서(470)가 구비되어 있어, 제어기(480)가 미리 설정된 무게가 감지되는 경우 수평 실링부(460)를 구동시키도록 동작하는 것으로서, 수평실링부(460)는 서로 수평방향으로 열을 가하는 한 쌍의 실링판(461,463)과, 한 쌍의 실링판(461,463) 사이에 장착된 커터(462)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자동 포장 처리부(400)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크류 컨베이어(300)의 동작에 의해 배출된 상기 유해 분진을 필름을 이용하여 낱개 포장지 단위로 밀봉되도록 자동으로 포장하여 배출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있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므로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1 : 유해분진 밀폐 이송 및 포장시스템 2 : 덕트 라인
2b : 미세분진 배출 라인 3 : 외부 배출 라인
4a, 4b : 고형 배출 라인 100 : 집진 처리부
110 : 사이클론 집진기 120 : 백 필터 집진기
120a : 제1 백 필터 집진기 120b : 제2 백 필터 집진기
130 : 스크래퍼부 140a : 사이클론 배출부
140b : 백 필터 배출부 200 : 정화 장치부
210 : 헤파 필터부 220 : 블로어부
230 : 배기 소음기 300 : 스크류 컨베이어
310 : 수평 스크류 컨베이어 320 : 경사 스크류 컨베이어
400 : 자동 포장 처리부 410 : 필름랙
420 : 필름공급부 롤러 : 421~428
430 : 호퍼 432 : 체크밸브
434 : 실린더 440 : 필름 가이더
442 : 벨트 롤러 450 : 수직 실링부
460 : 수평 실링부 461: 상부 실링판
462: 커터 463: 하부 실링판
470 : 무게감지센서 480 : 제어부
490 : 배출 컨베이어 600 : 수거함
V1 : 오토밸브 V2 : 수동밸브
V3 : 안전밸브

Claims (4)

  1. 유해분진에 포함된 일정 크기 이상의 고형분진은 걸러내고, 일정 크기 이하의 미세분진은 미세분진 다음 처리를 위해 이송시키는 집진 처리부와;
    상기 집진 처리부에서 이송되는 상기 미세분진을 걸러내고, 걸러지지 않는 미세분진은 외부로 배출시키는 정화 처리부와;
    상기 집진 처리부와 상기 정화 처리부와 각각 연통되도록 연결되며, 상부에 수직방향으로 적어도 하나 이상의 가스 배출공이 형성되며, 상기 집진 처리부와 상기 정화 처리부로부터 인입된 상기 고형분진 또는 상기 미세분진을 스크류의 회전력을 이용하여 배출시키는 스크류 컨베이어와;
    상기 스크류 컨베이어의 끝단부와 밀폐되도록 연결되고, 상기 스크류 컨베이어의 동작에 의해 배출된 상기 고형분진 및 상기 미세분진이 섞인 혼합분진을 밀봉되도록 자동으로 포장하여 배출하는 자동 포장 처리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해분진 밀폐 이송 및 포장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크류 컨베이어의 후단에 설치되어, 상기 스트류 컨베이어에 의해 배출되는 상기 고형분진을 건조시키기 위해, 상기 스크류 컨베이어가 동작하면 미리 설정된 압력과 온도 조건하에서 질소가스를 상기 스크류 컨베이어의 내부로 공급하는 질소압력탱크를 더 포함하며;
    상기 질소압력탱크에서 공급되는 질소의 압력은 100~150 BAR를 유지하고, 질소의 온도는 70~80℃를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해분진 밀폐 이송 및 포장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크류 컨베이어의 상부에 형성된 가스배출공에 연통되도록 설치되어, 상기 스크류 컨베이어를 따라 이송하는 상기 인체유해분진에 잔류하는 인체유해가스를 흡입하여 제거하는 유해가스처리부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해분진 밀폐 이송 및 포장시스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자동 포장 처리부는,
    필름랙에서 공급되는 필름을 미리 설정된 텐션과 공급속도로 공급하는 필름공급부와;
    상기 스크류 컨베이어부에서 배출되는 상기 혼합분진의 배출량을 조절하면서 하부로 배출하는 깔대기 형상의 호퍼와;
    상기 호퍼의 하부에 위치되어 상기 혼합분진을 포장 대기상태로 수용하는 실린더와;
    상기 실린더의 상부에 설치되어, 상기 필름을 상기 실린더의 외주면에 수직방향으로 밀착되도록 가이드하는 꼬깔형상의 필름 가이더와;
    상기 실린더의 외측면에 설치되어, 상기 실린더의 외주면에 수직방향으로 밀착된 상기 필름을 하측방향으로 이송시키는 한 쌍의 벨트롤러와;
    상기 실린더의 외측면에 설치되어, 상기 한 쌍의 벨트롤러에 의해 하측방향으로 이송되는 상기 필름의 측면을 차례로 실링처리하는 수직 실링부와;
    상기 수직 실링부에서 측면이 실링처리된 필름이 하측방향으로 미리 설정된 일정 길이 또는 일정 무게를 갖는 경우 하측방향으로 이송된 상기 필름을 수평방향으로 커팅 및 실링처리하는 수평 실링부와;
    상기 혼합분진의 공급을 제어하고, 상기 필름 가이더에 상기 필름을 공급하는 동력을 제어하고, 상기 벨트롤러의 동작을 제어하고, 상기 수직 실링부 및 상기 수평 실링부의 실링동작을 각각 제어하는 제어기;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해분진 밀폐 이송 및 포장시스템.
KR1020160059956A 2015-12-18 2016-05-17 유해분진 밀폐 이송 및 포장시스템 KR10185849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82123 2015-12-18
KR20150182123 2015-12-1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73453A true KR20170073453A (ko) 2017-06-28
KR101858490B1 KR101858490B1 (ko) 2018-07-04

Family

ID=592807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59956A KR101858490B1 (ko) 2015-12-18 2016-05-17 유해분진 밀폐 이송 및 포장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58490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21210A (ko) 2018-08-20 2020-02-28 바테크 주식회사 분진 포장용 초음파 실링장치
CN115159185A (zh) * 2022-05-26 2022-10-11 吉水金诚新材料加工有限公司 全封闭式尾气处理设备
CN115352660A (zh) * 2022-09-21 2022-11-18 南漳龙蟒磷制品有限责任公司 一种气粉态磷化工产品的包装方法
KR20230013899A (ko) 2021-07-20 2023-01-27 바테크 주식회사 분진 포집 및 자동 포장 시스템
KR20230063124A (ko) * 2021-11-01 2023-05-09 씨티피 코리아 주식회사 더블 플랩 댐퍼
CN115352660B (zh) * 2022-09-21 2024-05-31 南漳龙蟒磷制品有限责任公司 一种气粉态磷化工产品的包装方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95425B1 (ko) * 2020-02-06 2021-08-27 대구대학교 산학협력단 전자부품의 Fab 공정 후 배출 유해가스를 포집하기 위한 포집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053232A (ja) * 2002-07-18 2004-02-19 Kazuhiko Harada 誘導加熱方式の熱分解炉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21210A (ko) 2018-08-20 2020-02-28 바테크 주식회사 분진 포장용 초음파 실링장치
KR20230013899A (ko) 2021-07-20 2023-01-27 바테크 주식회사 분진 포집 및 자동 포장 시스템
KR20230063124A (ko) * 2021-11-01 2023-05-09 씨티피 코리아 주식회사 더블 플랩 댐퍼
CN115159185A (zh) * 2022-05-26 2022-10-11 吉水金诚新材料加工有限公司 全封闭式尾气处理设备
CN115159185B (zh) * 2022-05-26 2024-03-15 吉水金诚新材料加工有限公司 全封闭式尾气处理设备
CN115352660A (zh) * 2022-09-21 2022-11-18 南漳龙蟒磷制品有限责任公司 一种气粉态磷化工产品的包装方法
CN115352660B (zh) * 2022-09-21 2024-05-31 南漳龙蟒磷制品有限责任公司 一种气粉态磷化工产品的包装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58490B1 (ko) 2018-07-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58490B1 (ko) 유해분진 밀폐 이송 및 포장시스템
KR0153402B1 (ko) 배기가스내의 더스트농도 자동측정장치
US9617088B2 (en) Pneumatic conveyor for transporting bulk materials
JP2008183168A (ja) 錠剤製造システム
CN103112630A (zh) 一种拆袋通风除尘设备及方法
CN208531005U (zh) 一种自动拆包计量配料系统
KR20080086633A (ko) 집진장치
CN107804682A (zh) 一种弧形遮蔽板式链板称重给料机及称重方法
JP2009532293A (ja) 包装機械に製品を給送する装置及び方法
KR100920182B1 (ko) 슬림형 집진기
KR100718912B1 (ko) 진공호퍼를 이용한 분체 원료 이송장치
KR101532336B1 (ko) 집진설비 및 분진 처리 방법
CN105259093A (zh) 滤袋式除尘实验系统
US6783743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absorbing and recycling material in a blender
KR860002722A (ko) 방사능 성분을 측정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KR101852039B1 (ko) 차량탑재 유해물질 정화장치
JP5981833B2 (ja) Ptp包装機
KR20230050926A (ko) 이동형 분진 포집 및 자동 포장 시스템
CN212173911U (zh) 一种无尘投料站
CN210874620U (zh) 一种电石库房及其电石粉尘回收系统
CN201244413Y (zh) 尿素包装收尘系统
CN210543842U (zh) 一种具有除尘袋检漏功能的袋式除尘器
KR20090092188A (ko) 정제약 계수 포장기의 비산분진 포집장치
KR20230051381A (ko) 분진 포집 및 포장 시스템
CN211140942U (zh) 卸粮机粉尘收集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