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20182B1 - 슬림형 집진기 - Google Patents

슬림형 집진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20182B1
KR100920182B1 KR1020090028355A KR20090028355A KR100920182B1 KR 100920182 B1 KR100920182 B1 KR 100920182B1 KR 1020090028355 A KR1020090028355 A KR 1020090028355A KR 20090028355 A KR20090028355 A KR 20090028355A KR 100920182 B1 KR100920182 B1 KR 10092018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foreign matter
housing
dust collector
compressed 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283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하순철
Original Assignee
그린컨기술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그린컨기술주식회사 filed Critical 그린컨기술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02835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2018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2018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2018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0002Casings; Housings; Frame construc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0039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with flow guiding by feed or discharge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0084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provided with safety means
    • B01D46/0086Filter condition indica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42Auxiliary equipment or operation thereo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42Auxiliary equipment or operation thereof
    • B01D46/44Auxiliary equipment or operation thereof controlling filtr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66Regeneration of the filtering material or filter elements inside the filter
    • B01D46/70Regeneration of the filtering material or filter elements inside the filter by acting counter-currently on the filtering surface, e.g. by flushing on the non-cake side of the filter
    • B01D46/71Regeneration of the filtering material or filter elements inside the filter by acting counter-currently on the filtering surface, e.g. by flushing on the non-cake side of the filter with pressurised gas, e.g. pulsed ai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66Regeneration of the filtering material or filter elements inside the filter
    • B01D46/70Regeneration of the filtering material or filter elements inside the filter by acting counter-currently on the filtering surface, e.g. by flushing on the non-cake side of the filter
    • B01D46/72Regeneration of the filtering material or filter elements inside the filter by acting counter-currently on the filtering surface, e.g. by flushing on the non-cake side of the filter with backwash arms, shoes or nozzl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Cleaning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슬림형 집진기에 관한 것으로, 스크랩, 유해 연기 또는 분진 등의 이물질이 포함된 공기를 회수하는 집진 호스가 접속되는 적어도 하나의 흡입덕트와 이물질이 제거된 공기가 배출되는 적어도 하나의 배출덕트 및 필터 고정판을 갖는 하우징, 필터 고정판에 고정되며 흡입덕트로부터 공기와 함께 유입되는 이물질을 흡착하는 적어도 하나의 필터부, 흡입덕트로 이물질이 포함된 공기를 흡입하여 필터부를 거쳐 이물질이 제거된 공기를 배출턱트를 통하여 외부에 배출하기 위한 구동력을 제공하는 송풍부, 하우징의 일측에 설치되어 일정 시간마다 필터부 내부에 압축 공기를 불어넣어 필터부에 흡착된 이물질을 낙하시키는 압축 공기 분사부, 하우징의 저면에 설치되어 낙하하는 이물질을 저장하는 이물질 저장부, 이물질 저장부에 저장된 이물질을 하우징 저면의 일측으로 이송하는 적어도 하나의 스크류 컨베이어부, 하우징의 일측면에 상향 경사를 이루며 적어도 일부에 스크류 컨베이어부에 의해 이송된 이물질이 낙하하는 적어도 하나의 개구부가 형성되어 있는 집진 이송 통로부, 집진 이송 통로부의 내에 설치되어 개구부를 통해 낙하된 이물질을 하우징의 상부 일측으로 이송하는 체인 컨베이어부, 하우징의 상부 일측에 설치되어 체인 컨베이어부에 의해 이송된 이물질을 외부로 토출하는 토출부, 그리고 각 부의 가동, 정지, 운전관리, 이상경보 등을 제어하고 표시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슬림형 집진기{SLIM TYPE DUST COLLECTOR}
본 발명은 슬림형 집진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집진, 즉 공기에 포함된 스크랩, 유해 연기(fume) 및 분진 등의 이물질의 제거가 필요한 작업장 특히 선박 건조 도크 내의 작은 공간에 활용 설치할 수 있어 철판 절단, 용접 및 그라인딩 작업 중에 발생하는 이물질을 효율적으로 흡착 및 배출할 수 있는 슬림형 집진기에 관한 것이다.
현재 시판되는 일반 범용 집진기는 규모가 커서 그 설치를 위해서는 일정 면적과 높이 5m 이상의 공간이 필요하나, 선박 건조 도크 내의 여유 공간은 선박 건조용 각종 장비 및 부자재 적재 및 작업공간으로 활용되고 있어 일반 범용 집진기의 설치가 사실상 불가능한 실정이다.
유일하게 여유가 있는 공간은 건조 중인 선박 밑면 공간으로 건조중인 선박 밑면과 도크 바닥과의 최소 간격은 약 2m 정도 밖에 되지 않아 이 공간은 높이가 낮아 또한 일반 범용 집진기를 설치할 수 없는 공간이다.
이와 같은 현실로 인하여 현재 조선소에서는 선박 건조 작업 시 철판 절단 및 용접작업과 그라인딩 작업과정에서 발생하는 이물질을 제거하기 위한 집진기를 설치하지 않고 플렉시블 호스(Flexible Hose)를 이용한 배풍기를 통하여 이물질을 단순히 건조 선박 외부로 단순 배기하거나, 이마저도 배풍기 및 플렉시블 호스(Flexible Hose)의 이동성 불편 등으로 설치하지 않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선박 건조 도크는 비산하는 이물질 등으로 작업환경이 매우 열악하여 작업 능률도 떨어지고 비산하는 먼지가 페인트에 접착되어 도색불량의 원인이 되고 있다.
또한, 도크 내 선박 주변에는 대기오염이 가중되어 근로자의 건강을 크게 해치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따라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선박 건조 도크 내와 같이 작업 공간이 협소한 곳에서도 설치 가능하여 스크랩, 유해 연기(fume) 및 분진 등의 이물질을 효과적으로 제거하여 선박 건조 도크의 작업환경을 개선함으로써 제품의 생산성을 크게 높이고, 근로자의 건강 증진에도 크게 기여할 수 있는 소형화된 집진기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다른 기술적 과제는 필터에 흡착된 스크랩, 유해 연기(fume) 및 분진 등의 이물질을 스크류 이송 방식 및 체인 이송 방식을 통해 자동으로 배출이 가능한 슬림형 집진기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또 다른 기술적 과제는 필요에 따라 집진 용량을 가변할 수 있는 슬림형 집진기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기술적 과제들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슬림형 집진기는 스크랩, 유해 연기 또는 분진 등의 이물질이 포함된 공기를 회수하는 집진 호스가 접속되는 적어도 하나의 흡입덕트와 상기 이물질이 제거된 공기가 배출되는 적어도 하나의 배출덕트 그리고 필터 고정판을 갖는 하우징, 상기 필터 고정 판에 고정되며 상기 흡입덕트로부터 상기 공기와 함께 유입되는 이물질을 흡착하는 적어도 하나의 필터부, 상기 흡입덕트로 상기 이물질이 포함된 공기를 흡입하여 상기 이물질을 상기 필터부에 흡착한 후 상기 이물질이 제거된 공기를 상기 배출 턱트를 통하여 외부에 배출하기 위한 구동력을 제공하는 송풍부, 상기 하우징의 일측에 설치되어 있으며 일정 시간마다 상기 필터부 내부에 압축 공기를 불어넣어 상기 필터부에 흡착된 상기 이물질을 하부로 낙하시키는 압축 공기 분사부, 상기 하우징의 저면에 설치되어 하부로 낙하하는 상기 이물질을 저장하는 이물질 저장부, 상기 이물질 저장부에 저장된 상기 이물질을 상기 하우징의 저면의 일측으로 이송하는 적어도 하나의 스크류 컨베이어부, 상기 하우징의 일측면에 상향 경사를 이루도록 배치되어 있으며 적어도 일부에 상기 스크류 컨베이어부에 의해 이송된 상기 이물질이 낙하하는 적어도 하나의 개구부가 형성되어 있는 집진 이송 통로부, 상기 집진 이송 통로부의 내에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개구부를 통해 낙하된 상기 이물질을 상기 하우징의 상부 일측으로 이송하는 체인 컨베이어부, 상기 하우징의 상부 일측에 결합되어 있으며 상기 체인 컨베이어부에 의해 이송된 상기 이물질을 외부로 토출하는 토출부, 그리고 상기 각 부의 가동, 정지, 운전 관리, 이상 경보 등을 제어하고 표시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상기 스크류 컨베이어부는 상기 이물질 저장부의 내부를 통과되도록 설치된 스크류 구동축, 상기 스크류 구동축의 외표면에 방사상으로 결합된 스크류, 그리고 상기 스크류 구동축을 회전 구동하는 스크류 구동용 모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흡입덕트는 유입되는 상기 이물질이 포함된 공기의 유량을 조절하는 버 터플라이 밸브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하우징은 복수 개의 집진 공간부가 형성되도록 내부에 입설된 격벽을 더 포함하며, 상기 필터부는 상기 복수 개의 집진 공간부에 나뉘어 수용되어 있을 수 있다.
상기 압축 공기 분사부는 상기 하우징의 일측에 설치되어 압축 공기를 분사하는 에어 헤드 세트, 상기 에어 헤드 세트에 연결되어 있는 펄스밸브, 그리고 상기 펄스밸브와 연결부재로 결합되어 상기 각각의 필터부에 상기 분사된 압축 공기를 공급하는 다수 개의 압축 공기 공급관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압축 공기 공급관은 상기 분사된 압축 공기를 상기 각각의 필터부 내로 공급하는 적어도 하나의 노즐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집진 이송 통로부는 바닥판, 상기 바닥판의 양단에 설치되어 있는 측판, 그리고 적어도 일부에 상기 개구부가 형성되어 있는 상판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체인 컨베이어부는 상기 하우징의 하부 일측 및 상부 일측에 설치된 한 쌍의 스프라켓휠, 상기 스프라켓휠 중 적어도 하나를 구동시키는 구동모터, 상기 스프라켓휠에 의해서 회전 구동하는 이송체인부, 상기 이송체인부에 결합되어 있으며 상기 이송체인부와 함께 일체로 상기 집진 이송 통로부를 따라 이동하여 상기 집진 이송 통로부 상의 상기 이물질을 긁어서 상기 토출부로 이송시키는 스크래퍼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이송체인부는 제1 단위이송체인과 제2 단위이송체인을 포함하며, 상기 제1 단위이송체인은 제1 로울러, 각각 제1 핀홈 및 제2 핀홈이 형성된 한 쌍의 제1 링크편, 상기 제2 핀홈 사이에 위치하는 제2 로울러, 상기 제2 로울러의 양측에 결합되어 있으며 일측에 제2 링크핀에 의해 상기 제1 링크편과 결합되어지는 제3 핀홈이 형성되어 있으며 타측에 제4 핀홈이 형성되어 있는 한 쌍의 제2 링크편, 및 상기 제2 링크편의 일측 상단에 수평방향으로 절곡되어 형성되어 있으며 제1 스크래퍼 고정홈이 형성되어 있는 제1 플랜지를 포함하고 있으며, 상기 제2 단위이송체인은 제3 로울러, 각각 제5 핀홈 및 제6 핀홈이 형성된 한 쌍의 제3 링크편, 상기 제6 핀홈 사이에 위치하는 제4 로울러, 상기 제4 로울러의 양측에 결합되어 있으며 일측에 제4 링크핀에 의해 상기 제3 링크편과 결합되어지는 제7 핀홈이 형성되어 있으며 타측에 제8 핀홈이 형성되어 있는 한 쌍의 제4 링크편, 및 상기 제4 링크편의 일측 상단에 수평방향으로 절곡되어 형성되어 있으며 제2 스크래퍼 고정홈이 형성되어 있는 제2 플랜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스크래퍼는 상기 제1 플랜지와 상기 제2 플랜지에 나사 결합되어 있는 수평부, 및 상기 수평부로부터 수직방향으로 절곡 형성되어 상기 집진 이송 통로부 상의 상기 이물질을 긁어서 이송시키는 수직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슬림형 집진기에 의하면 집진기의 성능은 유지하되 선박 받침대 하부, 선박 내 탱크, 배관 사이 등의 좁은 공간에서도 설치 가능하여 선박 건조 시 철판 절단, 용접 및 그라인딩 작업 중에 발생하는 유해 연기(fume) 및 분진을 효과적으로 처리하여 선박 건조 도크의 작업환경을 개선함으로써 제품의 생산성을 크게 높이고, 근로자의 건강 증진에도 크게 기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슬림형 집진기에 의하면 스크류 이송 방식 및 체인 이송방식에 의해 집진기의 높이를 낮게 하더라도 하우징의 저부에 저장된 이물질을 효율적으로 톤백(Ton Bag) 등에 담아 외부로 반출시킬 수 있어 선박 건조 도크 내의 공간 높이 약 2m 정도 미만의 작은 공간에도 집진기를 설치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슬림형 집진기에 의하면 슬림형 집진기의 1대로 필요에 따라 집진 용량을 가변시킬 수 있으며, 동시에 다수의 작업 영역에서 집진 작업을 수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이하에서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슬림형 집진기의 사용 상태에 대해 도 1을 참조하여 간략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슬림형 집진기의 사용 상태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슬림형 집진기(1)는 선박 건조 도크(5) 내에 건조 중인 선박(3)의 최소 2m 정도 미만의 밑면 공간에서도 설치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따라서 슬림형 집진기(1)는 선박 건조 시 오염원 자체가 분산되어 있는 선박 받침대 하부, 선박 내 탱크, 배관 사이 등의 좁은 공간에서도 철판 절단, 용접 및 그라운딩 작업 중에 발생하는 스크랩, 유해 연기 또는 분진 등의 이물질을 흡착 및 배출할 수 있다. 도면부호 110은 이물질을 흡입하는 집진 호스이다.
이하,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슬림형 집진기를 도 2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슬림형 집진기의 제1 사시도, 도 3은 도 2의 제1 사시도에 도시한 슬림형 집진기의 제1 사시도의 대각선 방향에서 바라본 제2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슬림형 집진기의 내부 구조를 나타낸 측면 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슬림형 집진기의 내부 구조를 나타낸 평면 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슬림형 집진기의 평면도, 도 7은 도 3의 "A" 영역의 내부 평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슬림형 집진기의 집진 이송 통로부 및 체인 컨베이어부를 나타낸 측면 투시도, 도 9는 도 8의 체인 컨베이어부의 평면 투시도, 도 10은 도 8의 B-B'선의 종단면도, 도 11은 도 9의 "C" 영역의 이송체인부의 부분 사시도, 도 12는 도 11의 이송체인 부의 분해 사시도를 각각 나타낸 것이다.
도 2 내지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슬림형 집진기(1)는 하우징(10), 하우징(10)에 수용 또는 결합된 필터부(20), 송풍부(30), 압축 공기 분사부(40), 이물질 저장부(50), 스크류 컨베이어부(60), 집진 이송 통로부(70), 체인 컨베이어부(80), 토출부(90) 및 제어부(100)를 포함한다.
하우징(10)은,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측에 스크랩, 유해 연기 또는 분진 등의 이물질을 공기와 함께 회수하는 집진 호스가 접속되는 흡입덕트(120)가 형성되어 있으며, 타측에 이물질이 제거된 공기를 배출하는 배출덕트(130)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부로 필터 고정판(140)이 설치되어 있다. 하우징(10)은 가로폭이 약 3000 내지 3300cm 정도이고, 세로폭이 약 1800 내지 2400cm 정도이며, 높이가 약 150 내지 170cm정도로 제작될 수 있으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가로폭(x) 3100cm, 세로폭(y) 2000cm, 높이(z) 1550cm로 제작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슬림형 집진기(1)는 지게차로 이동 가능한 크기의 소형이며, 필요에 따라 하우징(10)의 하부에 바퀴를 구비하여 지게차 없이도 장소 이동이 가능하다.
흡입덕트(12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집진 효율을 높이기 위해 8개(물론 8개로 한정되지 않는다)가 마련되며 이물질을 흡입하는 흡입구(122)가 각각 형성되어 있다. 이는 작업 포인트(point)를 8곳까지 동시 작업이 가능하도록 흡입구(122)를 세분화하고, 4곳 포인트(point)씩 분리 흡입이 가능하도록 하는 것이다. 또한, 흡입덕트(12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흡입구(122)에 결합된 버터플라이 밸브(butterfly valve)(124)를 더 포함하여 버터플라이 밸브(124)를 열고 닫음으로 써 흡입덕트(120)로 유입되는 이물질이 포함된 공기를 유입시키거나 차단 또는 유입되는 공기량을 조절하도록 선택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필터부(2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10)의 상부에 마련된 필터 고정판(140)에 의해 고정 설치되어 있다. 필터부(20)는 흡입덕트(120)로부터 흡입되는 공기 중에 다량으로 포함되어 있는 스크랩이나 유해 연기, 분진 등의 이물질을 공기로부터 걸러내어 회수하는 역할을 한다. 이를 위해 필터부(20)는 하우징(10)의 흡입덕트(120)로부터 흡입된 공기를 여과하도록 내부에 중공부가 형성된 원기둥 형태의 복수 개의 필터(210)가 백 케이지(220)의 외측으로 씌워진 형태로 함께 고정됨과 아울러 그 내측 상단부에 벤츄리관(230)이 고정되어 있다. 이때, 필터(210)는 타원형 형상을 가져 좁은 하우징(10)의 집진 공간 내부에서도 40 내지 50개 정도로 다수 개가 설치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물론 필터부(20)는 본 실시예와 다른 공지의 구성 및 형상으로 마련되는 것도 가능하다.
송풍부(3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10)의 필터부(20)가 설치된 위치에서 더 안쪽 내부에 설치되어 있다. 송풍부(30)는 흡입덕트(120)를 통해 스크랩이나 유해 연기, 분진 등의 이물질이 포함된 외부의 공기를 강제로 유입하기 위하여 송풍팬(310) 및 외부 전원에 의해 송풍팬(310)을 구동시키는 송풍모터(320)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송풍부(30)는 도 4에 점선으로 표시한 공기 흐름선과 같이 흡입덕트(120)로 공급되는 스크랩이나 유해 연기 또는 분진 등의 이물질을 포함한 공기를 흡인한 후 이것을 필터부(20)에 강제적으로 통과시키고 필터부(20)에 의해 이물질이 흡착되어 제거된 공기를 송풍팬(310)의 뒤쪽에 형성된 하우징(10)의 배출 덕트(130)를 통하여 외부로 배출하도록 한다.
한편, 하우징(10)의 상부에는 덮개(150)가 더 구비될 수 있다. 덮개(150)는 도 2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필터부(20)의 상태를 점검하기 위한 제1 덮개(151)와 송풍부(30)의 작동 상태를 점검하기 위한 제2 덮개(152)로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제1 덮개(151)를 열고 필터(210)를 꺼내면 손쉽게 교체할 수 있으며, 제2 덮개(152)를 열어 송풍팬(310) 및 송풍모터(320)의 고장 여부를 확인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제1 덮개(151) 및 제2 덮개(152)의 설치 개수는 필요에 따라 적절히 조절할 수 있다.
압축 공기 분사부(40)는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필터부(20)의 필터(210)가 이물질의 흡착이 계속 이루어지면 흡착 효율, 즉 집진 효율이 떨어지므로 필터(210)에 흡착된 이물질을 주기적으로 털어주어 집진 효율을 유지시켜 주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 압축 공기 분사부(40)는 에어 헤드 세트(410), 펄스밸브(420), 연결부재(430), 압축 공기 공급관(440), 노즐(450)을 포함할 수 있다.
에어 헤드 세트(410)는 필터 고정판(140)의 일측에 설치되어 압축 공기를 분사한다. 에어 헤드 세트(410)는 펄스밸브(420)와 연결된다. 펄스밸브(420)는 후술할 뉴메틱 컨트롤러(470)에 의해 제어되어 에어 헤드 세트(410)로부터의 압축 공기를 압축 공기 공급관(440)에 공급하거나 차단하는 역할을 한다. 에어 헤드 세트(410)의 일측 단부는 연결부재(430)에 의해 각각의 필터(210)의 중공부 내로 분기되어 압축 공기를 공급하는 다수 개의 압축 공기 공급관(440)과 연결되어 있다. 이 압축 공기 공급관(440)에는 각각의 필터(210)의 중공부 내로 분기되어 압축 공 기를 공급하는 노즐(450)이 일정 간격으로 고정될 수 있다. 압축 공기 공급관(440)의 타단부는 하우징(10)의 내벽면에 체결부재(460)를 개재하여 고정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압축 공기 분사부(40)는 도 4에 1점 쇄선으로 표시한 압축 공기 흐름선과 같이 에어 헤드 세트(410)에 결합된 펄스밸브(420)를 주기적으로 개방시키면 에어 헤드 세트(410)에 공급된 압축 공기가 펄스밸브(420)에서 압축 공기 공급관(440)의 노즐(450)을 통하여 필터(210)의 상단부에 신속하게 공급되고, 필터(210)의 상단부에 공급된 압축 공기에 의해 필터(210)가 강하게 진동하게 되며, 이에 따라 필터(210)에 흡착된 이물질이 필터(210)로부터 떨어져 나와 자유 낙하하여 하우징(10)의 하부에 쌓이게 된다. 여기서, 각 필터(210)에 흡착된 이물질을 떨어뜨리는 조작은 압축 공기 분사부(40)로부터 공급되는 압축 공기에 의해 행해지며, 압축 공기의 공급은 후술되는 제어부(100)로부터 자동 제어된다.
한편, 압축 공기 분사부(40)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기(電氣)가 필요치 않는 압축 공기에 의해 작동하는 뉴메틱 컨트롤러(Pneumatic Controller)(47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에어 호스(472)를 통해 필터부(20)로 유입되는 압축 공기의 공급 유무를 담당하는 펄스 밸브(440)를 뉴메틱 컨트롤러(470)에 의하여 제어함으로써 전기(電氣)적인 제어를 배제한 기계적인 조작으로 조작이 쉽고, 단순하며 또한 안정성이 향상된 집진기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뉴메틱 컨트롤러(470)에 관한 기술은 국내공개특허 제2006-0068893호 등에서 이미 개시된 바 있으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뉴메틱 컨트롤러(470)가 사용되었지만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또 다른 실시예로 뉴메틱 컨트롤러(470) 대신에 전기식 타이머 콘트롤러를 사용해도 무방하다.
이물질 저장부(5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필터부(20)로부터 떨어뜨려진 이물질을 저장한다.
스크류 컨베이어부(60)는 도 4, 도 5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물질 저장부(50)에 쌓여진 이물질을 스크류 구동 방식을 통하여 하우징(10)의 일측으로 이송하기 위하여 이물질 저장부(50)의 하부에 설치되어 있다. 스크류 컨베이어부(60)는 스크류 구동축(610), 스크류(620) 및 스크류 구동용 모터(630)를 포함할 수 있다.
스크류 구동축(610)은 이물질 저장부(50)의 내부를 통과하도록 복수 개가 설치되고, 각각의 스크류 구동축(610)의 외표면에 방사상으로 스크류(620)가 결합되어 있다. 그리고 스크류 구동축(610)을 회전 구동시키는 스크류 구동용 모터(630)는 도 3의 "A" 영역의 내부 평면도인 도 7에 도시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스크류 컨베이어부(60)는 도면에 도시된 바에 의하면 많은 이물질을 동시에 처리할 수 있도록 스크류 구동축(610) 및 스크류 구동용 모터(630)가 3개가 도시되어 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스크류 구동축(610) 및 스크류 구동용 모터(630)의 설치 개수는 필요에 따라 적절히 조절할 수 있다. 따라서, 스크류 구동용 모터(630)에 외부 전원을 공급하여 스크류 구동축(610)을 회전시키면 스크류(620)에 의해 이물질 저장부(50)에 저장된 이물질이 하우징(10)의 일측으로 이송된다.
집진 이송 통로부(70)는 도 8 및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10)의 하부 일측에서 하우징(10)의 상부 일측으로 상향 경사를 이루도록 설치되어 있으며, 스크류 컨베이어부(60)의 일측 단부에 밀접하게 배치되어 있다. 이러한 집진 이송 통로부(70)는 바닥판(710)과 상기 바닥판(710)의 양단에 설치된 측판(720)과 상기 측판(720)에 연결되는 상판(730)으로 구성되며, 단면이 사각형상으로 된 금속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판(730)의 일부분에는 스크류 컨베이어(60)로부터 이송된 이물질이 낙하되도록 하기 위한 개구부(732)가 형성되어 있다. 개구부(732)의 개수는 도 4에는 3개가 도시되어 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스크류 컨베이어(60)의 스크류(620) 개수에 따라 적절히 변경될 수 있다. 따라서 스크류 컨베이어(60)로부터 이송된 이물질은 개구부(732)를 통해 바닥판(710) 상에 낙하한다. 또한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닥판(710)의 일부분에는 후술되는 체인 컨베이어부(80)에 의해 이송된 이물질을 배출시키기 위한 배출구(712)가 형성되어 있다.
체인 컨베이어부(80)는 도 4, 도 8 내지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집진 이송 통로부(70)의 내에 설치되어 집진 이송 통로부(70)의 바닥판(710)에 낙하된 이물질을 하우징(10)의 상부 일측으로 이송하는 역할을 한다. 이를 위해 체인 컨베이어부(80)는 종동스프라켓휠(810), 구동스프라켓휠(820), 구동모터(830), 이송체인부(840) 및 스크래퍼(850)를 포함할 수 있다.
종동스프라켓휠(810)은 하우징(10)의 하부 양측 즉, 하우징(10) 하부의 좌우 측에 설치되어지며, 구동스프라켓휠(820)은 하우징(10)의 상부 양측 즉, 하우징(10) 상부의 좌우측에 각각 설치되어지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구동스프라켓휠(820)은 하우징(10)의 상부 일측에 결합된 구동모터(830)와 연결되어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에 의해 구동되도록 설치된다.
이송체인부(840)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동스프라켓휠(810) 및 구동스프라켓휠(820)을 연결하도록 연속되어 이루어지는 것으로, 집진 이송 통로부(70)를 따라 하우징(10)의 하부 일측에서 상부 일측으로 설치되고, 하우징(10)의 상부 일측에서 반전한 후 다시 하우징(10)의 하부 일측으로 무한 궤도 방식으로 주행하도록 설치된다.
또한, 이송체인부(840)는 도 9의 "C" 영역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단위이송체인(8410)과 제2 단위이송체인(8420)이 좌우 한 쌍으로 형성되며, 제1 단위이송체인(8410)과 제2 단위이송체인(8420)의 사이에 스크래퍼(850)가 결합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제1 단위이송체인(8410)과 제2 단위이송체인(8420)은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은 형태로 구성된다. 즉, 도 11은 도 8의 구동스프라켓휠(820)에서 종동스프라켓휠(810)로 내려오는(즉, 도 10의 상단측) 이송체인부(840)의 일부를 도시한 것으로, 종동스프라켓휠(810)에서 반전되어 다시 구동스프라켓휠(820)로 올라갈 때(즉, 도 10의 하단측) 스크래퍼(850)가 집진 이송 통로부(70)에 낙하된 이물질을 긁어서 올라가는 형태이다.
한편, 제1 단위이송체인(8410)은 도 11 및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로 울러(8411), 제1 링크편(8412), 제1 링크핀(8413), 제2 로울러(8414), 제2 링크편(8415), 제2 링크핀(8416) 및 제1 플랜지(8417)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제1 단위이송체인(8410)은 제1 로울러(8411)의 양측으로 일측에 제1 핀홈(8412a)이 형성된 한 쌍의 제1 링크편(8412)이 제1 링크핀(8413)으로 결합되어 있으며, 제1 링크편(8412)의 타측에 형성된 제2 핀홈(8412b) 사이에 제2 로울러(8414)가 제2 링크핀(8416)으로 결합되어 있다.
또한 제1 링크편(8412)의 길이방향에는 제2 링크편(8415)이 연속되어지도록 결합되어 있다. 즉, 제1 링크편(8412)은 제2 로울러(8414)의 양측으로 일측에 제3 핀홈(8415a)이 형성된 한 쌍의 제2 링크편(8415)이 제2 링크핀(8416)으로 결합되어 있으며, 제2 링크편(8415)의 타측에 제4 핀홈(8415b)이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제2 링크편(8415)의 상단에는 수평방향으로 절곡되어 형성되어 있는 제1 플랜지(8417)가 더 형성되어 있다. 제1 플랜지(8417)에는 제1 스크래퍼 고정홈(8417a)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제2 단위이송체인(8420)은 도 11 및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3 로울러(8421), 제3 링크편(8422), 제3링크핀(8423), 제4 로울러(8424), 제4 링크편(8425), 제4 링크핀(8426) 및 제2 플랜지(8427)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제3 로울러(8421)의 양측으로 일측에 제5 핀홈(8422a)이 형성된 한 쌍의 제3 링크편(8422)이 제3링크핀(8423)으로 결합되어 있으며, 제3 링크편(8422)의 타측에 형성된 제6 핀홈(8422b) 사이에 제4 로울러(8424)가 제4 링크핀(8426)으로 결합되어 있다.
또한 제3 링크편(8422)의 길이방향에 제4 링크편(8425)이 연속되어지도록 결합되어 있다. 즉, 제4 로울러(8424)의 양측으로 일측에 제7 핀홈(8425a)이 형성된 한 쌍의 제4 링크편(8425)이 제4 링크핀(8426)으로 결합되어 있으며, 제4 링크편(8425)의 타측에 제8 핀홈(8425b)이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제4 링크편(8425)의 상단에는 수평방향으로 절곡되어 형성되어 있는 제2 플랜지(8427)가 더 형성되어 있다. 제2 플랜지(8427)에는 제2 스크래퍼 고정홈(8427a)이 형성되어 있다.
한편, 집진 이송 통로부(70)는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단위이송체인(8410)에 구비된 제1 로울러(8411)가 회전 시 이탈되지 않고 정위치할 수 있도록 상하에서 눌러주는 로울러 고정부(7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로울러 고정부(740)는 하부 고정부(741), 중간 고정부(742), 상부 고정부(743)를 포함할 수 있다. 물론 로울러 고정부(740)는 제2 단위이송체인(8420)의 제3 로울러(8421)도 회전할 때 이탈되지 않도록 좌우 대칭되게 한 쌍으로 마련된다. 이러한 로울러 고정부(740)는 집진 이송 통로부(70)와 동일한 금속 또는 강도가 있는 다른 금속으로 동시 제작 또는 용접에 의해 부착될 수 있다.
스크래퍼(850)는 집진 이송 통로부(70)의 바닥판(710)에 쌓인 이물질을 직접 긁어 배출시키는 기능을 갖는 것으로, 체결홈(852a)을 형성하여 제1 플랜지(8417)에 형성된 제1 스크래퍼 고정홈(8417a)과 제2 플랜지(8427)에 형성된 제2 스크래퍼 고정홈(8427a)에 나사결합되도록 형성된 수평부(852)와 상기 수평부(852)로부터 수직방향으로 절곡 형성되어 집진 이송 통로부(70) 상의 이물질을 직접 긁어서 이송시키는 수직부(854)로 이루어져 전체적으로 "ㄱ"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여기 서 스크래퍼(850)는 소정 강도를 갖는 철판이나 상기 철판 앞에 고무 등과 같이 유연한 재질이 조립되어 사용될 수 있다. 도 8에 도시된 바에 의하면 스크래퍼(850)는 로울러 5개당 한 개씩 배열되어 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필요한 개수에 따라 좁은 간격으로 적절히 배열될 수도 있다. 또한, 수평부(852)와 제1 플랜지(8417) 및 제2 플랜지(8427)의 결합은 볼트(856) 및 너트(858)로 결합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체인 컨베이어부(80)의 작동을 상세하게 살펴보면, 구동스프라켓휠(820)을 구동모터(830)로 구동시키면 종동스프라켓휠(810)과 함께 무한궤도 형태로 체결된 이송체인부(840)가 구동되고, 결국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송체인부(840)에 결합된 스크래퍼(850)가 집진 이송 통로부(70)의 바닥판(710)에 밀착되어 이물질을 긁어서 이송할 수 있도록 설치되는 것이다.
토출부(90)는 하우징(10)의 일측 상부에 결합되어 체인 컨베이어부(80)에 의해 이송된 이물질을 외부로 토출한다. 토출부(90)의 아래에는 배출되는 이물질을 담는 톤백(Ton Bag) 등에 담겨져 외부로 용이하게 반출시킬 수 있다. 여기서 종래의 집진기는 토출부가 하우징의 하방에 형성되어 있어 이를 톤백(Ton Bag) 등에 담기 위해서는 하우징의 하방에 일정 높이를 갖는 받침부를 더 설치하여야만 하며 이에 따라 하우징의 높이가 높아지는 문제점이 있는 데 반하여, 본 발명에 따른 슬림형 집진기(1)는 토출부(90)가 하우징(10)의 일측 상부에 결합되어 있다 하더라도 스크류 저장부(50), 스크류 컨베이어부(60), 집진 이송 통로부(70) 및 체인 컨베이어부(80)에 의해 하우징(10)의 저면에 저장된 이물질을 토출부(90)로 이동시켜 효 율적으로 톤백(Ton Bag)에 담아 외부로 용이하게 반출시킬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슬림형 집진기(1)가 하우징(10)의 높이를 낮게 하여 소형화할 수 있는 장점을 갖게 되는 것이다.
또한, 토출부(90)의 토출구(910)에는 버터플라이 밸브(butterfly valve)(92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토출부(90)의 버터플라이 밸브(920)를 열고 닫음으로써 집진기의 집진 동작 시에 토출부(90)를 통해 외부의 공기가 송풍부(30)의 송풍팬(310)으로 흡입되지 않도록 제어할 수 있게 된다.
제어부(10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10)의 일측에 설치되는 것으로, 상술한 필터부(20), 송풍부(30), 압축 공기 분사부(40), 스크류 이송부(50), 집진 이송 통로부(70), 체인 컨베이어부(80) 또는 토출부(90)의 각각에 차압 측정기, 리미트 스위치 등과 같은 도시하지 않은 계측 센서를 설치하고, 계측 센서로부터 입력된 각종 신호를 처리하여 상기 각 부의 가동, 정지, 운전 관리, 이상 경보 등을 제어한다. 또한, 제어부(100)는 도시되지 않은 온/오프 스위치, 비상정지 스위치 또는 리셋 스위치 등이 구비될 수 있으며, 전원표시등, 경보 표시등 또는 동작 표시등 등과 같은 표시부가 더 설치될 수 있다. 따라서, 제어부(100)를 통하여 각 부에 마련한 계측 센서 등으로부터 각종 신호의 처리를 집중적으로 실시해, 각 부의 가동, 정지, 운전 관리, 이상 경보 등을 실시한다. 또한 각 부의 전원 공급이나 계측 신호, 제어 신호는 소켓 부착의 케이블로 실시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슬림형 집진기의 작동을 도 2 내지 도 12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슬림형 집진기를 작동(ON)시키면 송풍팬(310)으로부터의 흡인력이 집진 호스(110) 및 흡입덕트(120)에 작용한다. 송풍팬(310)의 흡인력이 집진 호스(110)에 작용하면, 도 4의 점선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선박 건조 도크 내의 용접 등에 의해서 가공된 스크랩 또는 분진 등의 이물질이 집진 호스(110)로부터 흡입덕트(120)로 흡인된다. 이 경우 흡입덕트(120)에 설치된 버터플라이 밸브(124)에 의해서 차단되어 있지 않은 흡입덕트(120)로 유입되고 이물질은 하우징(10) 내의 집진 공간을 통과하여 배출덕트(130)로 배출된다. 이와 동시에 토출부(90)에 설치된 버터플라이 밸브(820)는 닫음으로써 토출부(90)를 통하여 외부의 공기가 흡입되지 않도록 차단한다.
한편, 흡입덕트(120)로 유입된 이물질은 필터부(20)의 필터(210)에 의해 흡착된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필터부(20)에 이물질을 제거하는 작동을 설명한다.
계속되는 필터부(20)의 흡착에 의해 집진 효율이 떨어질 수 있으므로 압축 공기 분사부(40)에 의해 소정 시간마다 필터(210) 내부에 압축 공기를 불어넣어 이물질을 하부로 자유 낙하시킨다. 즉 필터(210)에 흡착된 이물질을 제거할 경우, 노즐(450)에서 도 4의 1점 쇄선으로 나타낸 압축 공기가 필터(210) 내로 분사되면, 분사된 압축 공기에 의해 필터(210)는 순간적으로 팽창하여 필터(210)에 흡착된 이물질을 털어냄으로써 집진 효율의 지속성을 유지하도록 한다.
그리고, 필터(210)에서 털어내어진 이물질은 자유 낙하하여 하우징(10)의 저면에 마련된 이물질 저장부(50)에 저장된다.
이물질 저장부(50)에 저장된 이물질은 스크류 컨베이어부(60)에 의해 일측으로 이송되어 집진 이송 통로부(70)의 개구부(732)로 낙하된다.
집진 이송 통로부(70)에 낙하된 이물질은 체인 컨베이어부(80)의 스크래퍼(850)로 긁어서 집진 이송 통로부(70)를 따라 하우징(10)의 상부 일측에 형성되어 있는 토출부(90)로 이송시키고, 토출부(90)에서는 스크래퍼(850)의 반전에 의해서 반출된 이물질은 톤백(Ton Bag)에 모아져 자동으로 배출되게 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슬림형 집진기(1)는 하우징(10)의 높이를 소형화해서 선박 건조 도크 내의 공간 높이 약 2m 정도 미만의 작은 공간에도 집진기를 설치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슬림형 집진기는 다단으로 쌓아서 사용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처리용량이 300m3/min인 슬림형 집진기 5세트를 수직으로 쌓을 경우 1500m3/min 까지 대용량으로 동시에 사용이 가능하다.
또한, 하우징(10)의 높이를 낮게 하더라도 이물질 저장부(50), 스크류 컨베이어부(60), 집진 이송 통로부(70), 체인 컨베이어부(80) 및 토출부(90)에 의해 하우징(10)의 저부에 저장된 이물질을 효율적으로 톤백(Ton Bag)에 담아 외부로 용이하게 반출시킬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슬림형 집진기에 대해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슬림형 집진기와의 차이점을 중심으로 도 13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슬림형 집진기의 내부 구조를 나타낸 평면 투시도이다.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슬림형 집진기(2)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슬림형 집진기(1)와는 달리 상기 하우징(10)은 복수 개의 집진 공간부(170)가 형성되도록 내부에 입설된 격벽(160)이 포함되어 있는 것을 제외하고는 동일하다.
즉, 집진 공간부(170)는 하우징(10) 내부를 좌우측으로 분할하는 격벽(160)에 의해 제1 집진 공간(171)과 제2 집진 공간(172)으로 분할된다. 이에 따라 필터부(20)는 상기 복수 개의 집진 공간부 즉, 제1 집진 공간(171)과 제2 집진 공간(172)에 나뉘어 수용되어 있을 수 있다.
평상시의 적은 집진 용량이 필요한 경우에는 좌측의 제1 집진 공간(171)에 설치된 제1 송풍부(31)를 통해 집진을 행하고, 추가 용량이 필요한 경우 우측의 제2 집진 공간(172)에 추가로 설치된 제2 송풍부(32)를 함께 가동시켜 더 많은 집진을 행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집진 용량이 적게 필요한 경우에는 좌측의 제1 집진 공간(171)에 설치된 제1 송풍부(31)만 동작시키면 풍량이 약 150m3/min가 될 수 있으며, 많은 집진 용량이 필요한 경우에는 제1 집진 공간(171)의 제1 송풍부(31)와 제2 집진 공간(172)의 제2 송풍부(32)를 모두 동작시켜 풍량이 약 300m3/min가 되게 할 수 있다. 따라서 슬림형 집진기의 1대로 집진 용량에 따라 4곳 작업 포인트(point)씩 2부분으로 제1 집진 공간(171)과 제2 집진 공간(172)으로 분리 흡입하면 작업 포인트(point)를 8곳까지 동시에 작업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상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슬림형 집진기는 하우징(10)의 높이를 소형화해서 선박 건조 도크 내의 공간 높이 약 2m 정도 미만의 작은 공간에도 집진기를 설치할 수 있다.
또한, 하우징(10)의 높이를 소형화하더라도 필터부(20)에 흡착된 스크랩, 유해 연기 또는 분진 등의 이물질을 스크류 컨베이어부(60), 집진 이송 통로부(70), 체인 컨베이어부(80) 및 토출부(90)를 통해 하우징(10)의 바닥에서 외부의 톤백(Ton Bag)으로 용이하게 배출할 수 있는 시스템을 갖춤으로써 작업자의 사용 편의를 한 층 더 높일 수 있게 된다.
다른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슬림형 집진기는 전기가 필요치 않는 압축 공기에 의해 작동하게 하는 뉴메틱 컨트롤러(470)가 설치되어 스크랩 또는 분진 등의 이물질을 흡착한 필터(210)를 일정 시간마다 자동으로 털어주어 필터(210)의 집진 효율의 지속성을 유지할 수 있으며, 슬림형 집진기의 유지 관리 보수를 획기적으로 개선할 수 있는 집진기이다.
이에 의해 선박 건조 도크 내에 간단하게 설치 가능하여 선박 건조 도크의 작업환경을 개선함으로써 제품의 생산성을 크게 높이고, 근로자의 건강 증진에도 크게 기여할 수 있게 되는 유용한 발명인 것이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슬림형 집진기의 사용 상태도,
도 2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슬림형 집진기의 제1 사시도,
도 3은 도 2의 제1 사시도에 도시한 슬림형 집진기를 대각선 방향에서 바라본 제2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슬림형 집진기의 내부 구조를 나타낸 측면 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슬림형 집진기의 내부 구조를 나타낸 평면 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슬림형 집진기의 평면도,
도 7은 도 3의 "A" 영역의 내부 평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슬림형 집진기의 집진 이송 통로부 및 체인 컨베이어부를 나타낸 측면 투시도,
도 9는 도 8의 체인 컨베이어부의 평면 투시도,
도 10은 도 8의 B-B'선의 종단면도,
도 11은 도 9의 "C" 영역의 이송체인부의 부분 사시도,
도 12는 도 11의 이송체인부의 분해 사시도, 그리고
도 1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슬림형 집진기의 내부 구조를 나타낸 평면 투시도를 각각 나타낸 것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관한 부호의 설명*
1,2 : 슬림형 집진기 3 : 선박
5 : 선박 건조 도크 10 : 하우징
20 : 필터부 30 : 송풍부
31 : 제1 송풍부 32 : 제2 송풍부
40 : 압축 공기 분사부 50 : 이물질 저장부
60 : 스크류 컨베이어부 70 : 집진 이송 통로부
80 : 체인 컨베이어부 90 : 토출부
100 : 제어부 110 : 집진 호스
120 : 흡입덕트 122 : 흡입구
124 : 버터플라이 밸브 130 : 배출덕트
132 : 배출구 140 : 필터 고정판
150 : 덮개 151 : 제1 덮개
152 : 제2 덮개 160 : 격벽
170 : 집진 공간부 171 : 제1 집진 공간
172 : 제2 집진 공간 210 : 필터
220 : 백 케이지 230 : 벤츄리관
310 : 송풍팬 320 : 송풍모터
410 : 에어 헤드 세트 420 : 펄스밸브
430 : 연결부재 440 : 압축 공기 공급관
450 : 노즐 460 : 체결부재
470 : 뉴메틱 컨트롤러 472 : 에어 호스
610 : 스크류 구동축 620 : 스크류
630 : 스크류 구동용 모터 710 : 바닥판
712 : 배출구 720 : 측판
730 : 상판 732 : 개구부
740 : 로울러 고정부 741 : 하부 고정부
742 : 중간 고정부 743 : 상부 고정부
810 : 종동 스프라켓휠 820 : 구동 스프라켓휠
830 : 구동모터 840 : 이송체인부
850 : 스크래퍼 852 : 수평부
854 : 수직부 856 : 볼트
858 : 너트 910 : 토출구
920 : 버터플라이 밸브 8410 : 제1 단위이송체인
8420 : 제2 단위이송체인

Claims (10)

  1. 스크랩, 유해 연기 또는 분진 등의 이물질이 포함된 공기를 회수하는 집진 호스가 접속되는 적어도 하나의 흡입덕트와 상기 이물질이 제거된 공기가 배출되는 적어도 하나의 배출덕트 그리고 필터 고정판을 갖는 하우징,
    상기 필터 고정판에 고정되며 상기 흡입덕트로부터 상기 공기와 함께 유입되는 이물질을 흡착하는 적어도 하나의 필터부,
    상기 흡입덕트로 상기 이물질이 포함된 공기를 흡입하여 상기 이물질을 상기 필터부에 흡착한 후 상기 이물질이 제거된 공기를 상기 배출 턱트를 통하여 외부에 배출하기 위한 구동력을 제공하는 송풍부,
    상기 하우징의 일측에 설치되어 있으며, 일정 시간마다 상기 필터부 내부에 압축 공기를 불어넣어 상기 필터부에 흡착된 상기 이물질을 하부로 낙하시키는 압축 공기 분사부,
    상기 하우징의 저면에 설치되어 하부로 낙하하는 상기 이물질을 저장하는 이물질 저장부,
    상기 이물질 저장부에 저장된 상기 이물질을 상기 하우징의 저면의 일측으로 이송하는 적어도 하나의 스크류 컨베이어부,
    상기 하우징의 일측면에 상향 경사를 이루도록 배치되어 있으며, 적어도 일부에 상기 스크류 컨베이어부에 의해 이송된 상기 이물질이 낙하하는 적어도 하나의 개구부가 형성되어 있는 집진 이송 통로부,
    상기 집진 이송 통로부의 내에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개구부를 통해 낙하된 상기 이물질을 상기 하우징의 상부 일측으로 이송하는 체인 컨베이어부,
    상기 하우징의 상부 일측에 결합되어 있으며, 상기 체인 컨베이어부에 의해 이송된 상기 이물질을 외부로 토출하는 토출부, 그리고
    상기 각 부의 가동, 정지, 운전 관리, 이상 경보 등을 제어하고 표시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집진 이송 통로부는
    적어도 일부에 상기 체인 컨베이어부에 의해 이송된 상기 이물질을 배출시키기 위한 배출구가 형성되어 있는 바닥판,
    상기 바닥판의 양단에 설치되어 있는 측판, 그리고
    적어도 일부에 상기 개구부가 형성되어 있는 상판을 포함하며,
    상기 체인 컨베이어부는
    상기 하우징의 하부 일측 및 상부 일측에 설치된 한 쌍의 스프라켓휠,
    상기 스프라켓휠 중 적어도 하나를 구동시키는 구동모터,
    상기 스프라켓휠에 의해서 회전 구동하는 이송체인부, 그리고
    상기 이송체인부에 결합되어 있으며 상기 이송체인부와 함께 일체로 상기 집진 이송 통로부를 따라 이동하여 상기 집진 이송 통로부 상의 상기 이물질을 긁어서 상기 토출부로 이송시키는 스크래퍼를 포함하며,
    상기 이송체인부는
    제1 단위이송체인과 제2 단위이송체인을 포함하며,
    상기 제1 단위이송체인은
    제1 로울러,
    각각 제1 핀홈 및 제2 핀홈이 형성된 한 쌍의 제1 링크편,
    상기 제2 핀홈 사이에 위치하는 제2 로울러,
    상기 제2 로울러의 양측에 결합되어 있으며, 일측에 제2 링크핀에 의해 상기 제1 링크편과 결합되어지는 제3 핀홈이 형성되어 있으며 타측에 제4 핀홈이 형성되어 있는 한 쌍의 제2 링크편, 그리고
    상기 제2 링크편의 일측 상단에 수평방향으로 절곡되어 형성되어 있으며 제1 스크래퍼 고정홈이 형성되어 있는 제1 플랜지를 포함하고 있으며,
    상기 제2 단위이송체인은
    제3 로울러,
    각각 제5 핀홈 및 제6 핀홈이 형성된 한 쌍의 제3 링크편,
    상기 제6 핀홈 사이에 위치하는 제4 로울러,
    상기 제4 로울러의 양측에 결합되어 있으며, 일측에 제4 링크핀에 의해 상기 제3 링크편과 결합되어지는 제7 핀홈이 형성되어 있으며 타측에 제8 핀홈이 형성되어 있는 한 쌍의 제4 링크편, 그리고
    상기 제4 링크편의 일측 상단에 수평방향으로 절곡되어 형성되어 있으며 제2 스크래퍼 고정홈이 형성되어 있는 제2 플랜지를 포함하며,
    상기 집진 이송 통로부는
    내부에 돌출 형성되어 상기 제1 로울러 내지 상기 제4 로울러가 회전시 이탈되지 않고 정위치할 수 있도록 상기 제1 로울러 내지 상기 제4 로울러를 상하로 눌러주는 하부 고정부, 중간 고정부 및 상부 고정부를 갖는 로울러 고정부를
    포함하는 슬림형 집진기.
  2. 제1항에서,
    상기 스크류 컨베이어부는
    상기 이물질 저장부의 내부를 통과되도록 설치된 스크류 구동축,
    상기 스크류 구동축의 외표면에 방사상으로 결합된 스크류, 그리고
    상기 스크류 구동축을 회전 구동하는 스크류 구동용 모터를
    포함하는 슬림형 집진기.
  3. 제1항에서,
    상기 흡입덕트는
    유입되는 상기 이물질이 포함된 공기의 유량을 조절하는 버터플라이 밸브를
    더 포함하는 슬림형 집진기.
  4. 제1항에서,
    상기 하우징은
    복수 개의 집진 공간부가 형성되도록 내부에 입설된 격벽을 더 포함하며,
    상기 필터부는 상기 복수 개의 집진 공간부에 나뉘어 수용되어 있는 슬림형 집진기.
  5. 제1항에서,
    상기 압축 공기 분사부는
    상기 하우징의 일측에 설치되어 압축 공기를 분사하는 에어 헤드 세트,
    상기 에어 헤드 세트에 연결되어 있는 펄스밸브, 그리고
    상기 펄스밸브와 연결부재로 결합되어 상기 각각의 필터부에 상기 분사된 압축 공기를 공급하는 다수 개의 압축 공기 공급관을
    포함하는 슬림형 집진기.
  6. 제5항에서,
    상기 압축 공기 공급관은
    상기 분사된 압축 공기를 상기 각각의 필터부 내로 공급하는 적어도 하나의 노즐을
    더 포함하는 슬림형 집진기.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제1항에서,
    상기 스크래퍼는
    상기 제1 플랜지와 상기 제2 플랜지에 나사 결합되어 있는 수평부, 및
    상기 수평부로부터 수직방향으로 절곡 형성되어 상기 집진 이송 통로부 상의 상기 이물질을 긁어서 이송시키는 수직부를
    포함하는 슬림형 집진기.
KR1020090028355A 2009-04-02 2009-04-02 슬림형 집진기 KR10092018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28355A KR100920182B1 (ko) 2009-04-02 2009-04-02 슬림형 집진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28355A KR100920182B1 (ko) 2009-04-02 2009-04-02 슬림형 집진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20182B1 true KR100920182B1 (ko) 2009-10-06

Family

ID=415720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28355A KR100920182B1 (ko) 2009-04-02 2009-04-02 슬림형 집진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20182B1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51533B1 (ko) * 2009-12-21 2010-04-08 배기은 소형 집진기
KR101064155B1 (ko) 2009-12-21 2011-09-15 엠아이케이기술(주) 석탄재 처리설비의 드래그 컨베이어
KR101574139B1 (ko) 2015-09-16 2015-12-03 배기은 금속성 분진의 집진기
KR101618082B1 (ko) 2014-07-23 2016-05-04 정재성 제철소의 공기순환장치용 필터 제어시스템 및 그 방법
WO2019019511A1 (zh) * 2017-07-28 2019-01-31 广船国际有限公司 船舶狭小舱室焊接通风装置
KR102275470B1 (ko) * 2021-02-03 2021-07-12 송애자 집진 시스템
KR102550718B1 (ko) * 2022-06-30 2023-07-03 (주)대림자원 중량측정이 가능한 고철 압축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29040A (ja) * 1995-07-20 1997-02-04 Mitsubishi Heavy Ind Ltd 除塵装置の運転方法
JP2000107533A (ja) * 1998-09-30 2000-04-18 Kurimoto Ltd バグフィルタ装置
KR100379215B1 (ko) * 2002-04-30 2003-04-08 주식회사공영엔지니어링 원통형 여과포와 사각통형 여과포를 일체로 갖는 집진기
KR100668443B1 (ko) * 2006-08-01 2007-01-12 주목산업(주) 건설폐기물의 습식처리장치용 침전물 배출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29040A (ja) * 1995-07-20 1997-02-04 Mitsubishi Heavy Ind Ltd 除塵装置の運転方法
JP2000107533A (ja) * 1998-09-30 2000-04-18 Kurimoto Ltd バグフィルタ装置
KR100379215B1 (ko) * 2002-04-30 2003-04-08 주식회사공영엔지니어링 원통형 여과포와 사각통형 여과포를 일체로 갖는 집진기
KR100668443B1 (ko) * 2006-08-01 2007-01-12 주목산업(주) 건설폐기물의 습식처리장치용 침전물 배출장치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51533B1 (ko) * 2009-12-21 2010-04-08 배기은 소형 집진기
KR101064155B1 (ko) 2009-12-21 2011-09-15 엠아이케이기술(주) 석탄재 처리설비의 드래그 컨베이어
KR101618082B1 (ko) 2014-07-23 2016-05-04 정재성 제철소의 공기순환장치용 필터 제어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574139B1 (ko) 2015-09-16 2015-12-03 배기은 금속성 분진의 집진기
WO2019019511A1 (zh) * 2017-07-28 2019-01-31 广船国际有限公司 船舶狭小舱室焊接通风装置
KR102275470B1 (ko) * 2021-02-03 2021-07-12 송애자 집진 시스템
KR102550718B1 (ko) * 2022-06-30 2023-07-03 (주)대림자원 중량측정이 가능한 고철 압축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20182B1 (ko) 슬림형 집진기
CN101883622B (zh) 过滤除尘器
CN111422647B (zh) 一种设有抑尘机构的煤矿开采用原煤带式输送机
KR20160149814A (ko) 공압에 의해 운반되는 고형물을 공기로부터 분리하여 배출하는 장치
CN106925430A (zh) 静电空气净化器
KR101592390B1 (ko) 하역차량용 건식 세륜기
CN114028880B (zh) 一种金刚石合成车间粉尘净化装置
KR100645845B1 (ko) 서랍형 백 필터 집진장치
CN216710675U (zh) 一种具有良好防尘效果的煤矿输送机
DE4431063A1 (de) Mobile Untertage-Saugförderanlage
CN113457419A (zh) 一种烟气排放湿度检测系统
CN210013722U (zh) 隧道内空气除尘设备、空气除尘车及隧道内空气除尘系统
CN110420522B (zh) 一种建筑施工用扬尘处理装置及其扬尘处理方法
CN113546762A (zh) 一种静电除尘设备
CN208809655U (zh) 一种除尘输灰系统
KR100951533B1 (ko) 소형 집진기
CN220375633U (zh) 一种回程输送带吸尘清扫装置
CN219744210U (zh) 一种除尘系统的辅助排灰组件
CN211381093U (zh) 一种建筑废渣无尘收集设备
CN214345357U (zh) 一种露天矿山用移动式除尘车
CN114589007B (zh) 一种脱硫脱硝除尘一体化层流反应器
CN218249316U (zh) 除尘箱和集尘设备
CN219596131U (zh) 一种布袋式除尘设备
CN213536620U (zh) 一种混凝土原料输送通道的除尘装置
CN219023695U (zh) 一种刮板式除尘结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2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2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2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2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09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28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28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30

Year of fee payment: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