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53222B1 - 여과식 집진기 - Google Patents

여과식 집진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53222B1
KR102153222B1 KR1020190059534A KR20190059534A KR102153222B1 KR 102153222 B1 KR102153222 B1 KR 102153222B1 KR 1020190059534 A KR1020190059534 A KR 1020190059534A KR 20190059534 A KR20190059534 A KR 20190059534A KR 102153222 B1 KR102153222 B1 KR 10215322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air inlet
passage
chamber
fil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595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상호
Original Assignee
유상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상호 filed Critical 유상호
Priority to KR102019005953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5322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5322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5322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02Particle separators, e.g. dust precipitators, having hollow filters made of flexible material
    • B01D46/04Cleaning filters
    • B01D46/0068
    • B01D46/0071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02Particle separators, e.g. dust precipitators, having hollow filters made of flexible material
    • B01D46/023Pockets filters, i.e. multiple bag filters mounted on a common fram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42Auxiliary equipment or operation thereof
    • B01D46/4227Manipulating filters or filter elements, e.g. handles or extracting too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42Auxiliary equipment or operation thereof
    • B01D46/44Auxiliary equipment or operation thereof controlling filtr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66Regeneration of the filtering material or filter elements inside the filter
    • B01D46/70Regeneration of the filtering material or filter elements inside the filter by acting counter-currently on the filtering surface, e.g. by flushing on the non-cake side of the filter
    • B01D46/71Regeneration of the filtering material or filter elements inside the filter by acting counter-currently on the filtering surface, e.g. by flushing on the non-cake side of the filter with pressurised gas, e.g. pulsed ai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66Regeneration of the filtering material or filter elements inside the filter
    • B01D46/70Regeneration of the filtering material or filter elements inside the filter by acting counter-currently on the filtering surface, e.g. by flushing on the non-cake side of the filter
    • B01D46/72Regeneration of the filtering material or filter elements inside the filter by acting counter-currently on the filtering surface, e.g. by flushing on the non-cake side of the filter with backwash arms, shoes or nozzl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Filtering Of Dispersed Particles In Ga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백필터에 의해 여과되는 입자상 물질을 효율적으로 탈진시킬 수 있는 여과식 집진기를 개시한다. 본 발명은 복수의 필터 모듈, 천장 덕트, 복수의 분기 덕트, 하나 이상의 외부공기 유입관과 공기 흐름 제어 유닛으로 구성되어 있다. 필터 모듈들은 분진을 함유하는 함진 가스가 유입되는 집진실과, 함진 가스를 여과할 수 있도록 집진실 안에 장착되어 있으며 집진실의 위쪽에 노출되는 개구가 형성되어 있는 복수의 백필터를 구비한다. 천장 덕트는 백필터들의 여과를 거친 청정 가스를 배출하는 공기 통로를 형성하도록 필터 모듈들의 위쪽에 장착되어 있고, 공기 통로와 격리되어 있으며 백필터들의 개구와 연결되도록 형성되어 있는 복수의 격실을 갖는다. 분기 덕트들은 청정 가스의 흐름을 위해 격실들 각각과 연결되어 있다. 외부공기 유입관은 천장 덕트에 장착되어 있고, 공기 통로와 연결되어 있으며 외부공기가 유입되도록 형성되어 있는 공기 유입 통로와, 청정 가스와 외부공기의 흐름을 위해 복수의 분기 덕트 각각과 공기 유입 통로를 연결하도록 형성되어 있는 복수의 공기 출입구를 갖는다. 공기 흐름 제어 유닛은 공기 유입 통로 안에 회전할 수 있도록 장착되어 있고 공기 유입 통로로 유입되는 외부공기를 복수의 공기 출입구 중 어느 하나로 보내는 로터리 덕트와, 로터리 덕트를 회전시킬 수 있도록 로터리 덕트와 연결되어 있는 구동원을 구비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단순한 기구적 구성에 의해 청정 가스의 흐름을 차단함과 아울러 외부공기의 흐름을 제어하여 역기류형으로 백필터에 송풍시켜 탈진시킴으로써, 집진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공기 분사를 위한 파이프라인, 분사 기구 등이 필요 없는 단순한 구조에 의해 생산단가와 유지보수비를 낮춰 경제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여과식 집진기{BAG FILTER DUST COLLECTOR}
본 발명은 집진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백필터(Bag filter)에 의해 여과되는 입자상 물질(Particulate matters)을 효율적으로 탈진시킬 수 있는 여과식 집진기에 관한 것이다.
집진설비는 발전소, 제철소, 대형 산업용 보일러, 아스팔트 믹싱 플랜트(Asphalt mixing plant) 등의 각종 산업 현장에서 배출되고 있는 휘발성유기물질(VOCs)은 물론, 수성, 유성, 습성 및 고온성 등의 입자상 물질을 제거하는데 사용되고 있다. 배출가스 중의 분진을 제거하기 위한 집진설비는 전기식, 여과식, 세정식(Washing), 중력식 등으로 분류되고 있다. 여과식 집진기는 백필터로 널리 알려져 있으며, 건식처리 방식을 이용하여 배출수 처리시설이 필요 없다는 장점이 있다.
입자상 물질, 즉 분진은 응집력(Cohesive force)에 의해 집진된 분진층 위에 부착된다. 분진층은 여과 효율을 저하시키는 원인이 되기 때문에 제거해야 한다. 집진설비의 탈진 방식은 래핑(Rapping), 세정, 공기 분사(Air spraying) 등으로 구분되고 있다. 래퍼(Rapper)는 전동 기계 방식(Motor-driver swing hammer), 전자 추타 방식(Magnetic rapper)과 진동 방식(Vibrator, Oscillator)이 있다. 공기 분사는 노즐을 통해 집진극에 공기를 분사하여 탈진하는 방식이며, 집진된 분진층(포집입자)을 효율적으로 제거하기 위해 공기와 입자를 혼합하여 분사하기도 한다.
여과식 집진기는 한국 등록특허 제10-1164550호 '아스콘 제조설비용 집진장치', 한국 등록특허 제10-1475866호 '백필터 집진장치'와 한국 등록특허 제10-1471809호 '서로 분리된 2개의 제어밸브와 압축공기관을 갖는 집진기 백필터 탈진 시스템' 등 많은 특허문헌들에서 쉽게 찾아볼 수 있다. 이 특허문헌들의 여과식 집진기는 배출가스를 나란히 설치된 복수의 백필터 또는 여과포에 통과시키면서 분진을 백필터에 부착하여 포집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초기에 분진은 백필터에 부착되면서 백필터의 섬유들 사이를 봉쇄하여 여과 효율을 증가시키는 역할을 하나, 분진층이 증가되어 백필터가 막힐 경우 기능을 상실하게 된다. 따라서 여과식 집진기는 백필터의 안쪽에서 바깥쪽으로 압축공기를 분사하여 탈진을 수행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위 특허문헌들에 개시되어 있는 내용은 본 명세서에 참고로 포함된다.
상기한 바와 같은 여과식 집진기는 노즐(Nozzle), 노즐 파이프(Nozzle pipe) 등의 분사 기구들에 의해 압축공기를 백필터들 각각에 분사하는 충격제트형(Pulse jet type)으로 구성되기 때문에 압축공기를 공급하기 위한 파이프라인(Pipeline)의 구조가 복잡한 문제가 있다. 또한, 압축공기의 분사와 흐름을 제어하기 위해 많은 수의 분사 기구와 밸브가 소요되어 생산단가와 유지보수비가 크게 상승되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파이프라인과 분사 기구들이 필요 없는 간단한 구조에 의해 백필터의 탈진을 효율적으로 실시할 수 있는 여과식 집진기가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요구를 충족할 수 있는 새로운 여과식 집진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여과식 집진기가 제공된다. 본 발명에 따른 여과식 집진기는, 분진을 함유하는 함진 가스가 유입되는 집진실과, 함진 가스를 여과할 수 있도록 집진실 안에 장착되어 있으며 집진실의 위쪽에 노출되는 개구가 형성되어 있는 복수의 백필터를 구비하는 복수의 필터 모듈과; 복수의 백필터의 여과를 거친 청정 가스를 배출하는 공기 통로를 형성하도록 복수의 필터 모듈의 위쪽에 장착되어 있고, 공기 통로와 격리되어 있으며 복수의 백필터의 개구와 연결되도록 형성되어 있는 복수의 격실을 갖는 천장 덕트와; 청정 가스의 흐름을 위해 복수의 격실 각각과 연결되어 있는 복수의 분기 덕트와; 천장 덕트에 장착되어 있고, 공기 통로와 연결되어 있으며 외부공기가 유입되도록 형성되어 있는 공기 유입 통로와, 청정 가스와 외부공기의 흐름을 위해 복수의 분기 덕트 각각과 공기 유입 통로를 연결하도록 형성되어 있는 복수의 공기 출입구를 갖는 하나 이상의 외부공기 유입관과; 공기 유입 통로 안에 회전할 수 있도록 장착되어 있고 공기 유입 통로로 유입되는 외부공기를 복수의 공기 출입구 중 어느 하나로 보내는 로터리 덕트와, 로터리 덕트를 회전시킬 수 있도록 로터리 덕트와 연결되어 있는 구동원을 구비하는 공기 흐름 제어 유닛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여과식 집진기에 있어서 공기 유입 통로는 천장 덕트의 밖에 배치되도록 외부공기 유입관의 외면 위쪽에 형성되어 있는 공기 유입구와; 공기 유입구와 연결되도록 외부공기 유입관의 안쪽 위에 형성되어 있는 공기 유입실과; 외부공기 유입관의 안쪽 아래에 형성되어 있으며, 복수의 공기 출입구가 연결되어 있는 공기 배출실과; 공기 유입실과 공기 배출실을 구획하도록 외부공기 유입관의 안쪽에 장착되어 있고, 로터리 덕트가 회전할 수 있도록 장착되는 구멍이 형성되어 있는 칸막이와; 공기 통로와 공기 배출실을 연결하도록 외부공기 유입관의 아래쪽에 형성되어 있는 공기 배출구로 이루어진다. 또한, 로터리 덕트는 칸막이의 구멍을 통해 공기 유입실과 공기 배출실에 걸쳐 있도록 장착되어 있고, 공기 흐름을 위해 안쪽에 형성되어 있는 중앙 공기 통로와, 공기 유입실과 중앙 공기 통로를 연결하도록 위쪽에 형성되어 있는 공기 유입구를 가지며, 구동원의 구동에 의해 회전할 수 있도록 구동원과 연결되어 있는 중앙회전관과; 공기 배출실에 배치되도록 중앙회전관의 외면 아래에 반경 방향을 따라 연장되어 있고, 중앙 공기 통로와 연결되도록 안쪽에 형성되어 있는 연결 공기 통로와, 연결 공기 통로로부터 복수의 공기 출입구들 중 어느 하나로 외부공기를 보낼 수 있도록 말단에 형성되어 있는 공기 배출구를 갖는 연결관으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 따른 여과식 집진기는, 단순한 기구적 구성에 의해 청정 가스의 흐름을 차단함과 아울러 외부공기의 흐름을 제어하여 역기류형(Reverse air type)으로 백필터에 송풍시켜 탈진시킴으로써, 집진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공기 분사를 위한 파이프라인, 분사 기구 등이 필요 없는 단순한 구조에 의해 생산단가와 유지보수비를 낮춰 경제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유용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여과식 집진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여과식 집진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여과식 집진기에서 천장 덕트, 외부공기 유입관, 공기 흐름 제어 유닛과 구동원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여과식 집진기에서 외부공기 유입관과 공기 흐름 제어 유닛을 나타낸 종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여과식 집진기에서 공기 흐름 제어 유닛의 작동을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횡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그 밖의 목적, 특정한 장점들과 신규한 특징들은 첨부된 도면들과 연관되어지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과 바람직한 실시예들로부터 더욱 분명해질 것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여과식 집진기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첨부된 도면들에 의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먼저, 도 1과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여과식 집진기(10)는 입자상 물질, 즉 분진을 함유하고 있는 함진 가스 또는 폐가스를 여과하여 집진하는 복수의 필터 모듈(Filter module: 20)을 구비한다. 필터 모듈(20)들은 일렬로 배열되어 필터 모듈 어레이(Filter module array)를 구성하게 된다. 필터 모듈(20)들의 가감에 의해 여과식 집진기(10)의 전체 용량을 유연하게 조절할 수 있다. 필터 모듈(20)들 각각은 캐비닛(Cabinet: 22), 셀 플레이트(Cell plate: 24), 호퍼(Hopper: 26)와 복수의 백필터(28)로 구성되어 있다.
캐비닛(22)은 함진 가스를 여과하여 집진하기 위한 집진실(22a)을 갖는다. 셀 플레이트(24)는 캐비닛(22)의 윗면에 장착되어 있으며, 집진실(22a)과 연결되도록 형성되어 있는 복수의 구멍(24a)을 갖는다. 구멍(24a)들은 셀 플레이트(24)의 양쪽에 직교좌표계를 이루도록 간격을 두고 배열되어 있다. 호퍼(26)는 집진실(22a)과 연결되도록 캐비닛(22)의 아래쪽에 장착되어 있으며, 집진실(22a)로부터 분진을 배출한다. 함진 가스의 유입을 위한 함진 가스 유입구(26a)가 호퍼(26)의 한쪽에 연결되어 있다.
백필터(28)들 각각은 구멍(24a)들을 통해 집진실(22a) 안에 수직하게 장착되어 있다. 백필터(28)들 각각은 구멍(24a)들을 통해 노출되도록 위쪽에 형성되어 있는 개구(28a) 또는 출구를 갖는 봉투 형상(Envelope shape)으로 구성되어 있다. 백필터(28)들 각각은 직교좌표를 이루는 구멍(24a)들을 통해 장착되는 것에 의해 집진실(22a)의 양쪽에 간격을 두고 배열되어 복수의 백필터 어레이(Back filter array)를 구성하게 된다. 몇몇 실시예에 있어서, 백필터(28)들은 여과지에 의해 원통 형상(Cylindrical shape) 또는 원통식(Tube type)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여과식 집진기(10)는 백필터(28)들 각각의 개구(28a)를 덮도록 캐비닛(22)의 위쪽에 장착되어 있는 천장 덕트(Ceiling duct: 30)를 구비한다. 천장 덕트(30)는 공기 통로(32)와 복수의 격실(34; 34-1, …, 34-n)로 구성되어 있다. 공기 통로(32)는 백필터(28)들에 의해 여과된 청정 가스를 배출할 수 있도록 천장 덕트(30)의 가운데에 형성되어 있다. 백필터(28)들 각각은 공기 통로(32)의 양쪽을 따라 배열되도록 집진실(22a) 안에 배치되어 있다.
청정 가스 배출구(36)가 공기 통로(32)의 한쪽 끝에 형성되어 있다. 공기 통로(32)의 다른 쪽 끝은 막혀 있다. 공기 통로(32)는 청정 가스의 원활한 흐름을 위해 청정 가스 배출구(36)를 향하여 단면적이 점진적으로 증가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격실(34)들 각각은 공기 통로(32)와 격리되도록 공기 통로(32)의 양쪽에 형성되어 있으며, 백필터(28)들 각각의 위쪽에 배치되어 있다. 격실(34)들 각각은 공기 통로(32)를 향하도록 형성되어 있는 구멍(38)을 갖는다. 도 1 내지 도 3에 함진 가스 유입구(26a)는 천장 덕트(30)의 한쪽으로부터 호퍼(26)의 한쪽 측면에 연결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이 도시되어 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으로 함진 가스 유입구(26a)는 호퍼(26)의 한쪽 측면이나 아랫면에 형성될 수도 있다.
도 2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여과식 집진기(10)는 청정 가스의 흐름을 위해 격실(34; 34-1, …, 34-n)들 각각과 연결되어 있는 복수의 분기 덕트(Branch duct: 40; 40-1, …, 40-n)를 구비한다. 분기 덕트(40)들 각각은 공기 통로(32) 안에 장착되어 있다. 분기 덕트(40)들 각각의 한쪽 끝은 격실(34)들 각각의 구멍(38)들에 연결되어 있고, 다른 쪽 끝은 공기 통로(32) 안의 한 지점을 향해 집중되도록 배치되어 있다. 청정 가스는 격실(34)들 각각으로부터 분기 덕트(40)들 각각의 공기 통로(42)를 통해 배출된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여과식 집진기(10)는 천장 덕트(30)에 장착되어 있는 하나 이상의 외부공기 유입관(50)을 구비한다. 외부공기 유입관(50)은 공기 통로(32)와 연결되어 있으며 외부공기를 유입할 수 있도록 형성되어 있는 공기 유입 통로(Air inlet passage: 52)와, 청정 가스와 외부공기의 흐름을 위해 형성되어 있는 복수의 공기 출입구(Air entrance: 54; 54-1, …, 54-n)를 갖는다.
공기 유입 통로(52)는 공기 유입구(52a), 공기 유입실(Air inlet chamber: 52b), 공기 배출실(Air outlet chamber: 52c), 칸막이(52d), 칸막이(52d)의 구멍(52e)과 공기 배출구(52f)를 갖는다. 공기 유입구(52a)는 천장 덕트(30)의 밖에 배치되도록 외부공기 유입관(50)의 외면 위쪽에 형성되어 있다. 공기 유입실(52b)은 공기 유입구(52a)와 연결되도록 외부공기 유입관(50)의 안쪽 위에 형성되어 있다. 공기 배출실(52c)은 외부공기 유입관(50)의 안쪽 아래에 형성되어 있다. 칸막이(52d)는 공기 유입실(52b)과 공기 배출실(52c)을 구획하도록 외부공기 유입관(50)의 안쪽에 장착되어 있다. 구멍(52e)은 공기 유입실(52b)과 공기 배출실(52c)을 연결하도록 칸막이(52d)의 중앙에 형성되어 있다. 공기 배출구(52f)는 천장 덕트(30)의 공기 통로(32)와 공기 배출실(52c)을 연결되도록 외부공기 유입관(50)의 아래쪽에 형성되어 있다. 공기 출입구(54)들은 공기 배출실(52c)과 연결되도록 외부공기 유입관(50)의 외면 아래쪽에 형성되어 있다. 분기 덕트(40)들 각각의 다른 쪽 끝은 청정 가스와 외부공기의 흐름을 위해 공기 출입구(54)들 각각에 연결되어 있다.
도 1과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여과식 집진기(10)는 공기 유입 통로(52)로 유입되는 외부공기가 격실(34)들 중 어느 하나로 송풍되도록 외부공기의 흐름을 제어하는 공기 흐름 제어 유닛(Air flow control unit: 60)을 구비한다. 공기 흐름 제어 유닛(60)의 로터리 덕트(Rotary duct: 62)는 공기 유입 통로(52) 안에 회전할 수 있도록 장착되어 있다. 로터리 덕트(62)는 중앙회전관(Central rotary pipe: 64)과 연결관(Connecting pipe: 66)으로 구성되어 있다.
중앙회전관(Central rotary pipe: 64)은 베어링(Bearing: 68)의 지지에 의해 회전할 수 있도록 칸막이(52d)의 구멍(52e)에 장착되어 있으며, 구멍(52e)을 통해 공기 유입실(52b)과 공기 배출실(52c)에 걸쳐 있도록 장착되어 있다. 중앙회전관(64)은 공기 흐름을 위해 안쪽에 형성되어 있는 중앙 공기 통로(64a)와, 공기 유입실(52b)과 중앙 공기 통로(64a)를 연결하도록 위쪽에 형성되어 있는 공기 유입구(64b)를 갖는다. 연결관(66)은 공기 배출실(52c)에 배치되어 있으며, 중앙회전관(64)의 외면 아래에 반경 방향을 따라 연장되어 있다. 연결관(66)은 중앙 공기 통로(64a)와 연결되도록 안쪽에 형성되어 있는 연결 공기 통로(66a)와, 연결 공기 통로(66a)로부터 공기 출입구(54)들 중 어느 하나로 외부공기를 보낼 수 있도록 말단에 형성되어 있는 공기 배출구(66b)를 갖는다. 공기 배출구(66b)는 공기 출입구(54)들 중 어느 하나, 예를 들면 공기 출입구(54-1)와 근접되도록 정렬되어 연결 공기 통로(64a)로부터 외부공기를 배출하여 공기 출입구(54-1)로 보낸다.
공기 흐름 제어 유닛(60)은 로터리 덕트(62)를 회전시키기 위한 구동원(Driving source: 70)으로 전기모터(72)를 구비한다. 전기모터(72)는 외부공기 유입관(50)의 위쪽에 장착되어 있다. 전기모터(72)의 축(72a)은 외부공기 유입관(50)을 통과하여 로터리 덕트(62)의 중앙회전관(64)에 연결되어 있다. 전기모터(72)는 유압모터, 공압모터(Pneumatic motor) 등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지금부터는,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여과식 집진기에 대한 작용을 설명한다.
도 1과 도 2를 참조하면, 아스팔트 믹싱 플랜트 등에서 발생되는 함진 가스는 함진 가스 유입구(26a)를 통해 집진실(22a)로 유입된다. 함진 가스는 백필터(28)들을 거쳐 청정 공기로 여과된 후 개구(28a)를 통해 격실(34)들 각각으로 보내진다. 청정 가스는 격실(34)들 각각으로부터 분기 덕트(40)들과 공기 출입구(54)들을 통해 공기 배출실(52c)로 보내진 후, 공기 배출구(52f), 공기 통로(32)와 청정 가스 배출구(36)를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전기모터(72)의 구동에 의해 로터리 덕트(62)가 회전되어 공기 배출구(66b)가 공기 출입구(54)들 중 어느 하나의 공기 출입구(54-1)와 정렬되면 전기모터(72)가 정지된다. 외부공기는 외부공기 유입관(50)의 공기 유입구(52a), 공기 유입실(52b), 중앙회전관(64)의 공기 유입구(64b), 중앙 공기 통로(64a), 연결관(66)의 연결 공기 통로(66a), 공기 배출구(66b)를 지나 외부공기 유입관(50)의 공기 출입구(54-1)로 보내진다.
계속해서, 외부공기는 공기 출입구(54-1)와 분기 덕트(40-1)를 통해 격실(34-1)로 보내진 후, 백필터(28)들 각각의 개구(28a)를 통해 백필터(28) 안으로 송풍된다. 백필터(28)들 각각의 개구(28a)를 통해 송풍되는 외부공기, 즉 역류는 백필터(28)들 각각의 외면에 부착되어 있는 분진을 탈락시키게 된다. 백필터(28)들로부터 탈락되는 분진은 호퍼(26)를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이상에서 설명된 실시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 것에 불과하고,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특허청구범위 내에서 이 분야의 당업자에 의하여 다양한 변경, 변형 또는 치환이 가능할 것이며, 그와 같은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10: 여과식 집진기 20: 필터 모듈
22: 캐비닛 24: 셀 플레이트
26: 호퍼 28: 백필터
30: 천장 덕트 32: 공기 통로
34: 격실 40: 분기 덕트
42: 공기 통로 50: 외부공기 유입관
52: 공기 통로 54: 공기 출입구
60: 공기 흐름 제어 유닛 62: 로터리 덕트
64: 중앙 회전관 66: 연결관
70: 구동원 72: 전기모터

Claims (4)

  1. 분진을 함유하는 함진 가스가 유입되는 집진실과, 상기 함진 가스를 여과할 수 있도록 상기 집진실 안에 장착되어 있으며 상기 집진실의 위쪽에 노출되는 개구가 형성되어 있는 복수의 백필터를 구비하는 복수의 필터 모듈과;
    상기 복수의 백필터의 여과를 거친 청정 가스를 배출하는 공기 통로를 형성하도록 상기 복수의 필터 모듈의 위쪽에 장착되어 있고, 상기 공기 통로와 격리되어 있으며 상기 복수의 백필터의 개구와 연결되도록 형성되어 있는 복수의 격실을 갖는 천장 덕트와;
    상기 청정 가스의 흐름을 위해 상기 복수의 격실 각각과 연결되어 있는 복수의 분기 덕트와;
    상기 천장 덕트에 장착되어 있고, 상기 공기 통로와 연결되어 있으며 외부공기가 유입되도록 형성되어 있는 공기 유입 통로와, 상기 청정 가스와 상기 외부공기의 흐름을 위해 상기 복수의 분기 덕트 각각과 상기 공기 유입 통로를 연결하도록 형성되어 있는 복수의 공기 출입구를 갖는 하나 이상의 외부공기 유입관과;
    상기 공기 유입 통로 안에 회전할 수 있도록 장착되어 있고 상기 공기 유입 통로로 유입되는 상기 외부공기를 상기 복수의 공기 출입구 중 어느 하나로 보내는 로터리 덕트와, 상기 로터리 덕트를 회전시킬 수 있도록 상기 로터리 덕트와 연결되어 있는 구동원을 구비하는 공기 흐름 제어 유닛을 포함하는 여과식 집진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 통로는 상기 천장 덕트의 가운데에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복수의 백필터 각각은 상기 공기 통로의 양쪽을 따라 배치되도록 상기 집진실 안에 배열되어 있는 여과식 집진기.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 유입 통로는,
    상기 천장 덕트의 밖에 배치되도록 상기 외부공기 유입관의 외면 위쪽에 형성되어 있는 공기 유입구와;
    상기 공기 유입구와 연결되도록 상기 외부공기 유입관의 안쪽 위에 형성되어 있는 공기 유입실과;
    상기 외부공기 유입관의 안쪽 아래에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복수의 공기 출입구가 연결되어 있는 공기 배출실과;
    상기 공기 유입실과 상기 공기 배출실을 구획하도록 상기 외부공기 유입관의 안쪽에 장착되어 있고, 상기 로터리 덕트가 회전할 수 있도록 장착되는 구멍이 형성되어 있는 칸막이와;
    상기 공기 통로와 상기 공기 배출실을 연결하도록 상기 외부공기 유입관의 아래쪽에 형성되어 있는 공기 배출구로 이루어지는 여과식 집진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로터리 덕트는,
    상기 칸막이의 구멍을 통해 상기 공기 유입실과 상기 공기 배출실에 걸쳐 있도록 장착되어 있고, 공기 흐름을 위해 안쪽에 형성되어 있는 중앙 공기 통로와, 상기 공기 유입실과 상기 중앙 공기 통로를 연결하도록 위쪽에 형성되어 있는 공기 유입구를 가지며, 상기 구동원의 구동에 의해 회전할 수 있도록 상기 구동원과 연결되어 있는 중앙회전관과;
    상기 공기 배출실에 배치되도록 상기 중앙회전관의 외면 아래에 반경 방향을 따라 연장되어 있고, 상기 중앙 공기 통로와 연결되도록 안쪽에 형성되어 있는 연결 공기 통로와, 상기 연결 공기 통로로부터 상기 복수의 공기 출입구들 중 어느 하나로 상기 외부공기를 보낼 수 있도록 말단에 형성되어 있는 공기 배출구를 갖는 연결관으로 이루어지는 여과식 집진기.
KR1020190059534A 2019-05-21 2019-05-21 여과식 집진기 KR10215322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59534A KR102153222B1 (ko) 2019-05-21 2019-05-21 여과식 집진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59534A KR102153222B1 (ko) 2019-05-21 2019-05-21 여과식 집진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53222B1 true KR102153222B1 (ko) 2020-09-07

Family

ID=724721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59534A KR102153222B1 (ko) 2019-05-21 2019-05-21 여과식 집진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53222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102974A (ko) * 2008-03-27 2009-10-01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여과집진기 가스 흐름 차단방식 탈진장치 및 방법
KR101385115B1 (ko) * 2012-05-08 2014-04-14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고성능 탈진장치를 구비한 여과집진장치 및 이의 작동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102974A (ko) * 2008-03-27 2009-10-01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여과집진기 가스 흐름 차단방식 탈진장치 및 방법
KR101385115B1 (ko) * 2012-05-08 2014-04-14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고성능 탈진장치를 구비한 여과집진장치 및 이의 작동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850750B2 (en) Modularized hybrid dust collector
CN106422624A (zh) 一种净化空气的气体净化器及其工作方法
CN106861305B (zh) 内滤负压式除尘装置及其除尘方法
US20070226950A1 (en) Vacuum loader with louvered tangential cyclone separator
CN208824109U (zh) 一种可在线清灰的布袋除尘器
KR101573292B1 (ko) 일체형 원통 집진설비
CN212188171U (zh) 一种高效气固分离及除尘装置
CN101244356B (zh) 一种组合净化方法及装置
CN210874454U (zh) 一种矿山设备除尘收集设备
KR101887231B1 (ko) 멀티 충진볼을 이용한 집진장치
KR102153222B1 (ko) 여과식 집진기
CN104353297A (zh) 气箱分室布袋式除尘器
CN112807972B (zh) 一种工业废气高效复合型除尘脱硫脱硝设备
CN106731380A (zh) 一种车载惯性除尘和脉冲喷吹复合作用式除尘器
CN111085048A (zh) 一种高效气固分离及除尘装置
CN106390700A (zh) 一种除尘治霾脱硫脱硝除臭去醛大气污染净化成套装备
CN111871075A (zh) 一种用于焦油加工废气脱硫脱硝一体化设备
CN110748375A (zh) 一种组合式集尘器及其使用方法
US9682340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removing particulate matter from exhaust gas streams
CN107744709B (zh) 高效节能蜗流喷淋式电袋复合除尘器
KR20170060667A (ko) 스택 일체형 집진설비
CN111318116A (zh) 立式旋转除尘器
KR102193296B1 (ko) 산업용 집진기
RU2155630C2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фильтра с мешочной камерой
US4948397A (en) Method, means and device for separation of particulate matter from a carrier mediu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