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50718B1 - 중량측정이 가능한 고철 압축장치 - Google Patents

중량측정이 가능한 고철 압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50718B1
KR102550718B1 KR1020220080612A KR20220080612A KR102550718B1 KR 102550718 B1 KR102550718 B1 KR 102550718B1 KR 1020220080612 A KR1020220080612 A KR 1020220080612A KR 20220080612 A KR20220080612 A KR 20220080612A KR 102550718 B1 KR102550718 B1 KR 10255071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pression
scrap
main body
pieces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806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고대민
Original Assignee
(주)대림자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대림자원 filed Critical (주)대림자원
Priority to KR102022008061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5071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5071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5071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0PRESSES
    • B30BPRESSES IN GENERAL
    • B30B9/00Press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urposes
    • B30B9/32Press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urposes for consolidating scrap metal or for compacting used cars
    • B30B9/327Press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urposes for consolidating scrap metal or for compacting used cars for briquetting scrap met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0PRESSES
    • B30BPRESSES IN GENERAL
    • B30B7/00Presses characterised by a particular arrangement of the pressing members
    • B30B7/04Presses characterised by a particular arrangement of the pressing members wherein pressing is effected in different directions simultaneously or in turn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GWEIGHING
    • G01G3/00Weighing apparatu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elastically-deformable members, e.g. spring balances
    • G01G3/12Weighing apparatu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elastically-deformable members, e.g. spring balances wherein the weighing element is in the form of a solid body stressed by pressure or tension during weighing
    • G01G3/14Weighing apparatu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elastically-deformable members, e.g. spring balances wherein the weighing element is in the form of a solid body stressed by pressure or tension during weighing measuring variations of electrical resistanc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rocessing Of Solid Wast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중량측정이 가능한 고철 압축장치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고철 압축장치는 내부에 압축하고자 하는 고철조각을 수용할 수 있도록 상부가 개방된 압축틀(112)이 마련된 본체(110)와, 상기 압축틀(112) 내 하부에 설치되어 상기 압축틀(112) 내로 적재되는 고철조각의 중량을 측정할 수 있도록 한 중량측정부(120)와, 상기 본체(110)의 상부 일측에 힌지결합되어 상기 압축틀(112)의 개방된 상부를 덮어 압축틀(112) 내의 고철조각을 덩어리 형태의 고철뭉치로 압축시킬 수 있도록 한 1차압축부(130)와, 상기 본체(110)의 내부에 설치되며 상기 1차압축부(130)에 의해 압축된 고철조각을 일방향으로 가압하여 재압축할 수 있도록 한 2차압축부(140)와, 상기 압축틀(112)의 배면 일측에 설치되어 2차압축된 고철조각을 압축시켜 정육면체 형상으로 압축하고 정육면체로 압축된 고철뭉치를 외부로 배출할 수 있도록 한 3차압축부(150)와, 상기 2차압축부(140)가 위치되는 상기 본체(110)의 내측에 설치되어 2차압축시 본체(110) 내로 유실되는 고철조각을 제거할 수 있도록 유실조각 제거부(160)를 포함하는 중량측정이 가능한 고철 압축장치가 제공된다.

Description

중량측정이 가능한 고철 압축장치{scrap metal compactor capable of weighing}
본 발명은 고철 압축장치에 관한 것으로, 대량의 고철 압축시 압축하고자 하는 고철의 중량을 측정하여 정량의 고철을 압축할 수 있으며, 압축시 압축부재가 인출입되는 틈새로 유입될 수 있는 고철조각을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는 중량측정이 가능한 고철 압축장치에 관한 것이다.
생활 쓰레기 또는 각종 산업현장에서 배출되는 폐기물 중 철재 또는 알루미늄과 같은 금속자재들은 고철로서 수집되어 용융을 통해 재활용되고 있다.
이러한 고철은 조각 형태로 이루어진 다수의 고철 조각을 고철 수집소와 같은 일정한 장소에서 수집한 후, 소정의 크기고 압축되어 제철소 등으로 운반하는 실정이다.
즉, 제철소로 운반되는 고철의 경우, 대량의 작은 조각을 운반하기 불편하고 고철의 양에 비해 부피가 크기 때문에 운반에 불편한 단점이 있으며, 또한, 그 부피가 비교적 크고 중량도 많이 나가는 고철의 경우 취급 및 운반성이 매우 좋지 않고 또 이와 같이 큰 부피를 갖는 고철을 용광로에 직접 투입시켜 용융하게 되면 용융시간이 많이 걸리게 됨은 물론 용광로의 가열에 따른 전력소모가 많아 고철의 재생에 따른 비용이 많이 들게 되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압축을 통해 고철 뭉치로 생성하여 부피를 최소화한 다음 이를 제철소 등으로 운반하고 있다. 이를 위해 고철 압축장치가 사용되고 있으며, 상술한 고철 압축장치는 압축틀 내에 고철 조각을 적재하고, 상부에서 하부 방향으로 빈틈없이 압축하여 밀폐에 가까운 공간을 만드는 1차압축단계를 거치고, 이후 측면 일측으로 압축하는 2차압축단계를 거쳐 소정의 길이를 갖는 직육면체에 가까운 압축 고철을 만들어 낼 수 있다. 이후, 소정의 길이를 갖는 압축고철을 또 다른 방향에서 3차적으로 압축하는 3차압축단계를 거쳐 정육면체에 가까운 압축 고철을 만들어 낸 후 이를 제철소로 공급하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상술한 종래의 고철 압축장치는 상기 압축틀 내에 적재되는 고철의 양을 파악할 수 없어 작업자가 육안으로 적재되는 고철의 양을 임의적으로 판단한 후 압축부재를 이용하여 압축을 진행함으로써, 압축되는 고철의 중량을 파악할 수 없는 단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고철 압축장치는 2차압축을 진행하는 과정에서 일부 고철이 압축을 진행하는 2차압축부재와 1차압축부재 사이에 끼게 되고, 이렇게 2차압축부재와 1차압축부재 사이에 끼게 된 고철은 2차압축부재가 후진하면서 2차압축부재가 최종 위치되는 압축장치의 내측에 지속적으로 적재되면서 압축장치의 오작동 및 고장이 발생하는 원인이 되었다.
따라서, 본 출원인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도록 한 중량측정이 가능한 고철 압축장치를 강구하게 되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압축틀 내에 적재되는 고철조각의 중량을 확인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정량의 압축고철을 획득할 수 있도록 하고, 2차압축시 압축틀에서 빠져나와 압축장치 내에 적재될 수 있는 고철 조각을 제거할 수 있도록 한 중량측정이 가능한 고철 압축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중량측정이 가능한 고철 압축장치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고철 압축장치는 내부에 압축하고자 하는 고철조각을 수용할 수 있도록 상부가 개방된 압축틀이 마련된 본체와, 상기 압축틀 내 하부에 설치되어 상기 압축틀 내로 적재되는 고철조각의 중량을 측정할 수 있도록 한 중량측정부와, 상기 본체의 상부 일측에 힌지결합되어 상기 압축틀의 개방된 상부를 덮어 압축틀 내의 고철조각을 덩어리 형태의 고철뭉치로 압축시킬 수 있도록 한 1차압축부와, 상기 본체의 내부에 설치되며 상기 1차압축부에 의해 압축된 고철조각을 일방향으로 가압하여 재압축할 수 있도록 한 2차압축부와, 상기 압축틀의 배면 일측에 설치되어 2차압축된 고철조각을 압축시켜 정육면체 형상으로 압축하고 정육면체로 압축된 고철뭉치를 외부로 배출할 수 있도록 한 3차압축부와, 상기 2차압축부가 위치되는 상기 본체의 내측에 설치되어 2차압축시 본체 내로 유실되는 고철조각을 제거할 수 있도록 유실조각 제거부를 포함하는 중량측정이 가능한 고철 압축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중량측정이 가능한 고철 압축장치는 압축하고자 하는 고철의 중량을 확인할 수 있게 압축틀의 하부에 무게 측정용 로드셀을 구비하고, 이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디지털 및 알림음을 설치하여 작업자가 압축틀 내로 적재되는 고철조각의 중량을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동시에 본체 내측에 유실조각 제거부를 설치함으로써, 2차압축시 압축틀 내에서 이탈해 쌓이게 되는 유실 고철조각을 제거할 수 있어 압축장치의 오작동 및 고장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고철 압축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고철 압축장치의 측면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철 압축장치의 2차압축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철 압축장치의 3차압축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철 압축장치의 유실물 제거부 설치모습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은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고철 압축장치는 압축시 압축장치 내로 적재되는 유실 고철 조각을 제거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고철 압축장치의 오작동 및 고장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중량측정이 가능한 고철 압축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중량측정이 가능한 고철 압축장치(100)는 내부에 압축하고자 하는 고철조각을 수용할 수 있도록 상부가 개방된 압축틀(112)이 마련된 본체(110)와, 상기 압축틀(112) 내 하부에 설치되어 상기 압축틀(112) 내로 적재되는 고철조각의 중량을 측정할 수 있도록 한 중량측정부(120)와, 상기 본체(110)의 상부 일측에 힌지결합되어 상기 압축틀(112)의 개방된 상부를 덮어 압축틀(112) 내의 고철조각을 덩어리 형태의 고철뭉치로 압축시킬 수 있도록 한 1차압축부(130)와, 상기 본체(110)의 내부에 설치되며 상기 1차압축부(130)에 의해 압축된 고철조각을 일방향으로 가압하여 재압축할 수 있도록 한 2차압축부(140)와, 상기 압축틀(112)의 배면 일측에 설치되어 2차압축된 고철조각을 압축시켜 정육면체 형상으로 압축하고 정육면체로 압축된 고철뭉치를 외부로 배출할 수 있도록 한 3차압축부(150)와, 상기 2차압축부(140)가 위치되는 상기 본체(110)의 내측에 설치되어 2차압축시 본체(110) 내로 유실되는 고철조각을 제거할 수 있도록 유실조각 제거부(160)를 포함할 수 있다.
본체(110)는 내부에 수용공간을 갖는 함체 형상으로 이루어져 압축하고자 하는 고철조각을 상부에 임시 적재할 수 있다.
또한, 본체(110)의 일측에는 상부가 개방되며 내부에 고철조각을 수용할 수 있는 압축틀(112)이 마련되어 있으며, 상기 압축틀(112)은 본체(110) 내부의 수용공간과 연통될 수 있게 형성된다. 또한, 상기 압축틀(112)은 상기 본체(110)의 일측에 위치되며, 임시적재된 고철조각을 압축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는 것으로, 상부가 개방되게 형성되며 내부에 상기 고철조각을 수용할 수 있게 소정의 높이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중량측정부(120)는 상기 압축틀(112) 내로 쌓이게 되는 고철조각의 무게를 측정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 도 2를 참고하면, 압축틀(112)의 바닥부에 승하강 가능하게 설치되는 플레이트(122)와, 상기 플레이트(122)를 상기 압축틀에(112) 대해 일정높이 이격되게 위치되도록 탄성지지하는 것으로, 상기 압축틀(112)의 바닥에 매립되게 설치되는 복수개의 탄성부재(124)와, 상기 탄성부재(124)의 하부에 하부에 설치되며 상기 플레이트(122)에 적재되는 고철조각의 무게를 측정할 수 있도록 한 로드셀(126)과, 상기 로드셀(126)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플레이트(122)에 적재되는 고철조각의 무게를 작업자게 알릴 수 있도록 한 알림부재(128)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상기 플레이트(122)는 사각 판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압축틀(112)의 바닥부에 위치될 수 있다. 이때, 상기 플레이트(122)의 하부에는 복수개의 탄성부재(124)에 의해 탄성지지되도록 설치되어 있으며, 복수개의 탄성부재(124)는 각각 일단이 상기 압축틀(112)의 바닥부에 매립되게 위치되어 있다. 또한, 고철조각이 일정무게 이상 상기 플레이트(122)에 적재되면 상기 탄성부재(124)의 탄성력을 무시하면서 플레이트(122)가 하강하여 상기 압착틀(112)의 바닥부와 접촉되면서 상기 플레이트(122)를 지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플레이트(122)는 적재되는 고철조각의 무게에 의해 하강하게 되는데, 일정 높이 하강되면 더 이상 하강되지 않으면서 상기 압축틀(112)의 바닥면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플레이트(122)를 탄성지지하도록 한 상기 탄성부재(124)의 하부에는 상기 탄성부재(124)의 압축정도에 따라 상기 플레이트(122) 상측에 적재되는 고철조각의 무게에 의해 상기 플레이트(122)가 하강하게 되면 알림부재(128)가 현재의 고철조각 무게를 작업자에게 알려줄 수 있다.
1차압축부(130)는 상기 본체(110)의 압축틀(112) 내에 수용되는 고철조각을 압축시킬 수 있도록 한 것으로, 상기 압축틀(112)의 개방된 상부와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압축틀(112)의 상부를 덮을 수 있게 상기 압축틀(112)의 일측에 힌지 결합된 1차압축판(132)과, 상기 1차압축판(132)이 힌지결합된 상기 압축틀(112)의 후방에 상측으로 돌출되게 지지대(133)가 형성되고 상기 지지대(133)에 일부가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되, 일단이 상기 1차압축판(132)과 힌지축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가압실린더(134)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상기 압축틀(112)의 일측벽에 상기 1차압축판(132)이 힌지결합되어 회전될 수 있으며, 상기 1차압축판(132)의 후방에 상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된 지지대(133)에 가압실린더(134)가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가압실린더(134)의 구동에 따라 상기 1차압축판(132)이 회전되면서 상기 압축틀(112) 내에 수용되는 고철조각을 압축할 수 있게 된다.
2차압축부(140)는 상기 1차압축부(130)에 의해 압축된 고철뭉치를 측방향에서 가압하여 소정의 길이를 갖는 직육면체 형태로 압축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 상기 본체(110)의 내측에 고정설치되는 2차가압실린더(142)와, 상기 2차가압실린더(142)의 로드 말단에 결합되어 수평방향으로 이동되는 것으로 상기 1차압축된 고철뭉치를 가압할 수 있도록 한 2차압축판(144)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2차가압실린더(142)는 상기 본체(110)의 내측에 고정설치되며, 상기 2차가압실린더(142)의 로드 말단에 결합되는 2차압축판(144)은 상기 압축틀(112)을 관통하여 압축틀(112) 내에 1차압축된 고철뭉치의 측면을 가압하여 직육면체 형태로 소정의 길이를 갖는 고철뭉치 형태로 가압할 수 있게 설치된다.
즉, 상기 1차압축부(130)에 의해 상하부가 압축된 고철뭉치의 측면 일측에 설치된 2차압축부(140)의 2차가압실린더(142)를 구동시켜 2차압축판(144)이 고철뭉치의 측면을 가압하여 소정의 길이를 갖는 직육면체 형태로 고철뭉치를 압축시킨다.
3차압축부(150)는 상기 2차압축부(140)에 의해 직육면체 형태로 압축된 고철뭉치를 일방향으로 가압하여 정육면체 형태로 압축시키고 최종적으로 압축된 정육면체의 고철뭉치를 외부로 배출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를 위해, 3차압축부(150)는 본체(110)의 압축틀(112) 측면 일측에 고정설치되는 3차가압실린더(152)와, 상기 3차가압실린더(152)의 로드 말단에 결합되어 수평방향으로 이동되어 상기 직육면체로 압축된 고철뭉치를 재가압할 수 있도록 한 3차압축판(154)과, 상기 3차압축판(154)에 의해 압축된 고철뭉치를 본체(110) 외부로 배출할 수 있도록 한 배출유닛(156)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3차압축부(150)의 3차가압실린더(152)와 3차압축판(154)의 구성은 상기 2차압축부(140)와 설치 위치에서만 차이가 있을 뿐 동일한 구성으로 이루어져 있는 바,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상기 3차압축판(154)에 의해 가압된 고철뭉치를 외부로 배출할 수 있도록 한 배출유닛(156)은 압축된 고철뭉치가 본체(110) 즉, 압축틀(112)의 외부로 배출될 수 있게 배출공(113)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배출공(113)을 밀폐할 수 있게 수평방향으로 슬라이딩될 수 있게 설치되는 밀폐부재(157)와, 상기 밀폐부재(157)의 일측에 결합되어 신장 또는 축소에 따라 상기 밀폐부재(157)를 슬라이딩시키는 배출실린더(158)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상기 밀폐부재(157)가 상기 배출공(113)을 닫은 상태에서 3차가압실린더(152)가 구동되면서 상기 3차압축판(154)이 직육면체 형태로 압축된 고철뭉치를 길이방향으로 가압하여 정육면체 형태로 고철뭉치를 압축시킨다. 이후 압축이 완료되면 배출실린더(158)가 구동되면서 상기 밀폐부재(157)를 슬라이딩시켜 배출공(113)이 개방되도록 한 다음 3차가압실린더(152)가 재구동되면서 배출공(113)으로 고철뭉치가 배출될 수 있게 되는 구조이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철 압축장치(100)는 2차압축시 1차압축판(132)과 이동되는 2차압축판(144) 사이의 틈새를 통해 본체(110) 내부로 유출되는 고철조각을 외부로 배출할 수 있도록 한 유실조각 제거부(1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유실조각 제거부(160)는 상기 2차압축부(140)의 2차가압실린더(142) 및 2차압축판(144)이 위치되는 상기 본체(110) 내에 설치되어 수평방향으로 이동되는 상기 2차압축판(144)에 의해 본체(110) 내로 유입되는 고철조각을 외부로 배출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상기 2차압축부(140)가 설치된 본체(110)의 내측과 연통되게 형성되는 유실조각 배출구(114)와, 상기 본체(110) 내에 설치되며 상기 유실조각 배출구(114)측으로 향하도록 설치되는 순환체인(162)과, 상기 순환체인(162) 상에 등간격을 갖도록 설치되며 본체(110) 내의 유실조각과 접촉되어 유실조각을 유실조각 배출구(114)로 향하도록 안내하는 배출부재(164)와, 상기 순환체인(162)이 순환될 수 있게 동력을 제공하는 모터(166)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상기 2차압축부(140)의 작동에 의해 고철조각이 상기 본체(110)의 내측으로 유실되면 유실된 고철조각, 즉 유실조각을 유실조각 제거부(160)를 이용하여 외부로 배출하여 압축장치(100)의 오작동을 최소화하는 등 고장의 발생을 최소화하도록 하고 있다.
따라서, 고철조각이 상기 본체(110) 내로 유입되면, 모터(166)를 정회전 또는 역회전 구동시켜 상기 순환체인(162)이 전후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상기 순환체인(162)은 한 쌍이 평행하게 위치되어 있으며, 상기 한 상의 순환체인(162) 상에는 배출부재(164)가 등간격을 갖도록 연결되게 돌출설치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배출부재(164)는 일단이 상기 순환체인(162)과 고정결합되고, 타단은 진행방향으로 절곡되어 마치 "ㄱ"자 형상을 띄도록 함으로써, 유실조각을 상기 유실조각 배출구(114)측으로 이동시켜 배출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중량측정이 가능한 고철 압축장치(100)는 압축하고자 하는 고철조각의 중량을 확인할 수 있으며, 기존 2차압축시 본체(110) 내로 유실되는 고철조각을 효과적으로 배출할 수 있어 압축장치의 오작동을 방지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사상은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하거나 등가적 변형이 있는 모든 것들은 본 발명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00 : 고철 압축장치 110 : 본체
112 : 압축틀 113 : 배출공
114 : 유실조각 배출구 120 : 중량측정부
122 : 플레이트 124 : 탄성부재
126 : 로드셀 128 : 알림부재
130 : 1차압축부 132 : 1차압축판
133 : 지지대 134 : 가압실린더
140 : 2차압축부 142 : 2차가압실린더
144 : 2차압축판 150 : 3차압축부
152 : 3차가압실린더 154 : 3차압축판
156 : 배출유닛 157 : 밀폐부재
158 : 배출실린더 160 : 유실조각 제거부
162 : 순환체인 164 : 배출부재
166 : 모터

Claims (4)

  1. 내부에 압축하고자 하는 고철조각을 수용할 수 있도록 상부가 개방된 압축틀(112)이 마련된 본체(110)와,
    상기 압축틀(112) 내 하부에 설치되어 상기 압축틀(112) 내로 적재되는 고철조각의 중량을 측정할 수 있도록 한 중량측정부(120)와,
    상기 본체(110)의 상부 일측에 힌지결합되어 상기 압축틀(112)의 개방된 상부를 덮어 압축틀(112) 내의 고철조각을 덩어리 형태의 고철뭉치로 압축시킬 수 있도록 한 1차압축부(130)와,
    상기 본체(110)의 내부에 설치되며 상기 1차압축부(130)에 의해 압축된 고철조각을 일방향으로 가압하여 재압축할 수 있도록 한 2차압축부(140)와,
    상기 압축틀(112)의 배면 일측에 설치되어 2차압축된 고철조각을 압축시켜 정육면체 형상으로 압축하고 정육면체로 압축된 고철뭉치를 외부로 배출할 수 있도록 한 3차압축부(150)와,
    상기 2차압축부(140)가 위치되는 상기 본체(110)의 내측에 설치되어 2차압축시 본체(110) 내로 유실되는 고철조각을 제거할 수 있도록 유실조각 제거부(160)를 포함하고,
    상기 유실조각 제거부(160)는
    상기 2차압축부(140)가 설치된 본체(110)의 내측과 연통되게 형성되는 유실조각 배출구(114)와,
    상기 본체(110) 내에 설치되며 상기 유실조각 배출구(114)측으로 향하도록 전후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는 한 쌍의 순환체인(162)과,
    상기 한 쌍의 순환체인(162)의 상측을 연결하며 등간격을 갖도록 설치되는 것으로, 일단이 상기 한 쌍의 순환체인(162)과 고정결합되고, 타단은 상기 순환체인의 진행방향으로 절곡되는 "ㄱ"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본체(110) 내의 유실조각과 접촉되어 유실조각을 상기 유실조각 배출구(114)로 향하도록 안내하는 배출부재(164)와,
    상기 순환체인(162)이 전후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게 정회전 또는 역회전하여 동력을 제공하는 모터(166)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량측정이 가능한 고철 압축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중량측정부(120)는
    상기 압축틀(112) 내로 쌓이게 되는 고철조각의 무게를 측정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
    압축틀(112)의 바닥부에 승하강 가능하게 설치되는 플레이트(122)와,
    상기 플레이트(122)를 상기 압축틀에(112) 대해 일정높이 이격되게 위치되도록 탄성지지하는 것으로, 상기 압축틀(112)의 바닥에 매립되게 설치되는 복수개의 탄성부재(124)와,
    상기 탄성부재(124)의 하부에 하부에 설치되며 상기 플레이트(122)에 적재되는 고철조각의 무게를 측정할 수 있도록 한 로드셀(126)과,
    상기 로드셀(126)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플레이트(122)에 적재되는 고철조각의 무게를 작업자게 알릴 수 있도록 한 알림부재(128)를 포함하는 중량측정이 가능한 고철 압축장치.
  3. 삭제
  4. 삭제
KR1020220080612A 2022-06-30 2022-06-30 중량측정이 가능한 고철 압축장치 KR10255071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80612A KR102550718B1 (ko) 2022-06-30 2022-06-30 중량측정이 가능한 고철 압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80612A KR102550718B1 (ko) 2022-06-30 2022-06-30 중량측정이 가능한 고철 압축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50718B1 true KR102550718B1 (ko) 2023-07-03

Family

ID=871578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80612A KR102550718B1 (ko) 2022-06-30 2022-06-30 중량측정이 가능한 고철 압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50718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20182B1 (ko) * 2009-04-02 2009-10-06 그린컨기술주식회사 슬림형 집진기
KR102016280B1 (ko) * 2019-02-22 2019-08-29 정광현 대용량 고철폐기물 압착장치
KR102407271B1 (ko) * 2021-11-29 2022-06-10 오근수 고철 폐기물 압착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20182B1 (ko) * 2009-04-02 2009-10-06 그린컨기술주식회사 슬림형 집진기
KR102016280B1 (ko) * 2019-02-22 2019-08-29 정광현 대용량 고철폐기물 압착장치
KR102407271B1 (ko) * 2021-11-29 2022-06-10 오근수 고철 폐기물 압착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585609C2 (ru) Устройство и способ прессования металлоотходов в пакеты
KR100870721B1 (ko) 폐기용 고철의 유압식 압축 및 자동 절단장치
KR102016280B1 (ko) 대용량 고철폐기물 압착장치
KR102041756B1 (ko) 고철폐기물 압착장치
CN106944177A (zh) 一种餐饮垃圾处理装置
WO2011140955A1 (zh) 双向垃圾压缩机
CN105965945B (zh) 一种金属废料压紧输送机构
KR102550718B1 (ko) 중량측정이 가능한 고철 압축장치
TWI512098B (zh) 用於連續製造適合於煉焦爐室之煤壓塊的方法和裝置
CN207520671U (zh) 一种污泥压滤机
CN220114086U (zh) 一种用于金属压块机的预压结构
KR102497252B1 (ko) 고철 압축장치
CN200988314Y (zh) 升降机提升侧装整体式垂直垃圾压块机
KR101807626B1 (ko) 락킹을 이용한 고철 압축장치
ITRE20010032A1 (it) Frantumatore a martelli
US3762321A (en) Scrap crusher with loading means
KR102407271B1 (ko) 고철 폐기물 압착장치
US588938A (en) Press
CN105666930B (zh) 一种固定平台式移动垂直垃圾压缩站
CN211893843U (zh) 一种皮革碎屑打包机
CN201009447Y (zh) 卷压式卧式垃圾压缩机
CN209772230U (zh) 一种混凝土固废处理用废料打包装置
KR101916839B1 (ko) 폐차 스크랩 압축 시스템
KR102619922B1 (ko) 폐자원 재순환을 위한 고철블록 제조 장치
KR101807999B1 (ko) 회전을 이용한 고철 압축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