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97252B1 - 고철 압축장치 - Google Patents

고철 압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97252B1
KR102497252B1 KR1020220037963A KR20220037963A KR102497252B1 KR 102497252 B1 KR102497252 B1 KR 102497252B1 KR 1020220037963 A KR1020220037963 A KR 1020220037963A KR 20220037963 A KR20220037963 A KR 20220037963A KR 102497252 B1 KR102497252 B1 KR 10249725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pression
scrap
scrap metal
main body
compress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379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서상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부경스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부경스틸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부경스틸
Priority to KR102022003796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9725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9725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9725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0PRESSES
    • B30BPRESSES IN GENERAL
    • B30B9/00Press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urposes
    • B30B9/32Press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urposes for consolidating scrap metal or for compacting used cars
    • B30B9/327Press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urposes for consolidating scrap metal or for compacting used cars for briquetting scrap met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0PRESSES
    • B30BPRESSES IN GENERAL
    • B30B15/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presses; Auxiliary measures in connection with pressing
    • B30B15/32Discharging pres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0PRESSES
    • B30BPRESSES IN GENERAL
    • B30B9/00Press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urposes
    • B30B9/28Press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urposes for forming shaped articl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10/00Technologies related to metal processing
    • Y02P10/20Recycl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rocessing Of Solid Wastes (AREA)
  • Manufacture And Refinement Of Met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다른 본 발명은 고철 압축장치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고철 압축장치는 내부에 압축하고자 하는 고철조각을 수용할 수 있도록 상부가 개방된 압축틀(112)이 마련된 본체(110)와, 상기 본체(110)의 일측에 힌지결합되어 상기 압축틀(112)의 개방된 상부를 덮어 압축틀(112) 내의 고철조각을 덩어리 형태의 고철뭉치로 압축시킬 수 있도록 한 1차압축부(120)와, 상기 본체(110)의 내부에 설치되며 상기 1차압축부(120)에 의해 압축된 고철조각을 일방향으로 가압하여 재압축할 수 있도록 한 2차압축부(130)와, 상기 압축틀(112)의 배면 일측에 설치되어 2차압축된 고철조각을 압축시켜 정육면체 형상으로 압축하고 정육면체로 압축된 고철뭉치를 외부로 배출할 수 있도록 한 3차압축부(140)와, 상기 2차압축부(130)가 위치되는 상기 본체(110)의 내측에 설치되어 2차압축시 본체(110) 내로 유실되는 고철조각을 제거할 수 있도록 유실조각 제거부(150)를 포함하는 고철 압축장치가 제공된다.

Description

고철 압축장치{scrap metal compactor}
본 발명은 고철 압축장치에 관한 것으로, 대량의 고철 압축시 장치 내에 고철이 끼어 작동이 중단되거나 고장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고철 압축장치에 관한 것이다.
생활 쓰레기 또는 각종 산업현장에서 배출되는 폐기물 중 철재 또는 알루미늄과 같은 금속자재들은 고철로서 수집되어 용융을 통해 재활용되고 있다.
이러한 고철은 조각 형태로 이루어진 다수의 고철 조각을 고철 수집소와 같은 일정한 장소에서 수집한 후, 소정의 크기고 압축되어 제철소 등으로 운반하는 실정이다.
즉, 제철소로 운반되는 고철의 경우, 대량의 작은 조각을 운반하기 불편하고 고철의 양에 비해 부피가 크기 때문에 운반에 불편한 단점이 있으며, 또한, 그 부피가 비교적 크고 중량도 많이 나가는 고철의 경우 취급 및 운반성이 매우 좋지 않고 또 이와 같이 큰 부피를 갖는 고철을 용광로에 직접 투입시켜 용융하게 되면 용융시간이 많이 걸리게 됨은 물론 용광로의 가열에 따른 전력소모가 많아 고철의 재생에 따른 비용이 많이 들게 되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압축을 통해 고철 뭉치로 생성하여 부피를 최소화한 다음 이를 제철소 등으로 운반하고 있다. 이를 위해 고철 압축장치가 사용되고 있으며, 상술한 고철 압축장치는 압축틀 내에 고철 조각을 적재하고, 상부에서 하부 방향으로 빈틈없이 압축하여 밀폐에 가까운 공간을 만드는 1차압축단계를 거치고, 이후 측면 일측으로 압축하는 2차압축단계를 거쳐 소정의 길이를 갖는 직육면체에 가까운 압축 고철을 만들어 낼 수 있다. 이후, 소정의 길이를 갖는 압축고철을 또 다른 방향에서 3차적으로 압축하는 3차압축단계를 거쳐 정육면체에 가까운 압축 고철을 만들어 낸 후 이를 제철소로 공급하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상술한 종래의 고철 압축장치는 2차압축을 진행하는 과정에서 일부 고철이 압축을 진행하는 2차압축부재와 1차압축부재 사이에 끼게 되고, 이렇게 2차압축부재와 1차압축부재 사이에 끼게 된 고철은 2차압축부재가 후진하면서 2차압축부재가 최종 위치되는 압축장치의 일측에 내측에 지속적으로 적재되면서 압축장치의 오작동 및 고장이 발생하는 원인이 되었다.
따라서, 본 출원인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도록 한 고철 압축장치를 강구하게 되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2차압축시 압축틀에서 빠져나와 압축장치 내에 적재된 고철 조각을 제거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고철 압축장치의 오작동 및 고장을 방지할 수 있는 고철 압축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고철 압축장치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고철 압축장치는 내부에 압축하고자 하는 고철조각을 수용할 수 있도록 상부가 개방된 압축틀이 마련된 본체와, 상기 본체의 일측에 힌지결합되어 상기 압축틀의 개방된 상부를 덮어 압축틀 내의 고철조각을 덩어리 형태의 고철뭉치로 압축시킬 수 있도록 한 1차압축부와, 상기 본체의 내부에 설치되며 상기 1차압축부에 의해 압축된 고철조각을 일방향으로 가압하여 재압축할 수 있도록 한 2차압축부와, 상기 압축틀의 배면 일측에 설치되어 2차압축된 고철조각을 압축시켜 정육면체 형상으로 압축하고 정육면체로 압축된 고철뭉치를 외부로 배출할 수 있도록 한 3차압축부와, 상기 2차압축부가 위치되는 상기 본체의 내측에 설치되어 2차압축시 본체 내로 유실되는 고철조각을 제거할 수 있도록 유실조각 제거부를 포함하는 고철 압축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고철 압축장치는 압축시 고철 압축장치 내에 적재된 고철 조각을 자석을 이용하여 흡착 및 제거할 수 있어 압축장치의 오작동 및 고장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고철 압축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고철 압축장치의 측면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철 압축장치의 2차압축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철 압축장치의 3차압축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철 압축장치의 유실물 제거부 설치모습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은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고철 압축장치는 압축시 압축장치 내로 적재되는 유실 고철 조각을 제거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고철 압축장치의 오작동 및 고장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고철 압축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고철 압축장치(100)는 내부에 압축하고자 하는 고철조각을 수용할 수 있도록 상부가 개방된 압축틀(112)이 마련된 본체(110)와, 상기 본체(110)의 일측에 힌지결합되어 상기 압축틀(112)의 개방된 상부를 덮어 압축틀(112) 내의 고철조각을 덩어리 형태의 고철뭉치로 압축시킬 수 있도록 한 1차압축부(120)와, 상기 본체(110)의 내부에 설치되며 상기 1차압축부(120)에 의해 압축된 고철조각을 일방향으로 가압하여 재압축할 수 있도록 한 2차압축부(130)와, 상기 압축틀(112)의 배면 일측에 설치되어 2차압축된 고철조각을 압축시켜 정육면체 형상으로 압축하고 정육면체로 압축된 고철뭉치를 외부로 배출할 수 있도록 한 3차압축부(140)와, 상기 2차압축부(130)가 위치되는 상기 본체(110)의 내측에 설치되어 2차압축시 본체(110) 내로 유실되는 고철조각을 제거할 수 있도록 유실조각 제거부(150)를 포함할 수 있다.
본체(110)는 내부에 수용공간을 갖는 함체 형상으로 이루어져 압축하고자 하는 고철조각을 상부에 임시 적재할 수 있다.
본체(110)의 일측에는 상부가 개방된 사각틀 형태의 압축틀(112)이 마련되어 있으며, 상기 압축틀(112)은 본체(110) 내부의 수용공간과 연통될 수 있게 형성된다. 또한, 상기 압축틀(112)은 상기 본체(110)의 일측에 위치되며, 임시적재된 고철조각을 압축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는 것으로, 상부가 개방되게 형성되며 내부에 상기 고철조각을 수용할 수 있게 소정의 높이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1차압축부(120)는 상기 본체(110)의 압축틀(112) 내에 수용되는 고철조각을 압축시킬 수 있도록 한 것으로, 상기 압축틀(112)의 개방된 상부와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압축틀(112)의 상부를 덮을 수 있게 상기 압축틀(112)의 일측에 힌지결합된 1차압축판(122)과, 상기 1차압축판(122)이 힌지결합된 상기 압축틀(112)의 후방에 상측으로 돌출되게 지지대(123)가 형성되고 상기 지지대(123)에 일부가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되, 일단이 상기 1차압축판(122)과 힌지축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가압실린더(124)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상기 압축틀(112)의 일측벽에 상기 1차압축판(122)이 힌지결합되어 회전될 수 있으며, 상기 1차압축판(122)의 후방에 상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된 지지대(123)에 가압실린더(124)가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가압실린더(124)의 구동에 따라 상기 1차압축판(122)이 회전되면서 상기 압축틀(112) 내에 수용되는 고철조각을 압축할 수 있게 된다.
2차압축부(130)는 상기 1차압축부(120)에 의해 압축된 고철뭉치를 측방향에서 가압하여 소정의 길이를 갖는 직육면체 형태로 압축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 상기 본체(110)의 내측에 고정설치되는 2차가압실린더(132)와, 상기 2차가압실린더(132)의 로드 말단에 결합되어 수평방향으로 이동되는 것으로 상기 1차압축된 고철뭉치를 가압할 수 있도록 한 2차압축판(134)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2차가압실린더(132)는 상기 본체(110)의 내측에 고정설치되며, 상기 2차가압실린더(132)의 로드 말단에 결합되는 2차압축판(134)은 상기 압축틀(112)을 관통하여 압축틀(112) 내에 1차압축된 고철뭉치의 측면을 가압하여 직육면체 형태로 소정의 길이를 갖는 고철뭉치 형태로 가압할 수 있게 설치된다.
즉, 상기 1차압축부(120)에 의해 상하부가 압축된 고철뭉치의 측면 일측에 설치된 2차압축부(130)의 2차가압실린더(132)를 구동시켜 2차압축판(134)이 고철뭉치의 측면을 가압하여 소정의 길이를 갖는 직육면체 형태로 고철뭉치를 압축시킨다.
3차압축부(140)는 상기 2차압축부(130)에 의해 직육면체 형태로 압축된 고철뭉치를 일방향으로 가압하여 정육면체 형태로 압축시키고 최종적으로 압축된 정육면체의 고철뭉치를 외부로 배출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를 위해, 3차압축부(140)는 본체(110)의 압축틀(112) 측면 일측에 고정설치되는 3차가압실린더(142)와, 상기 3차가압실린더(142)의 로드 말단에 결합되어 수평방향으로 이동되어 상기 직육면체로 압축된 고철뭉치를 재가압할 수 있도록 한 3차압축판(144)과, 상기 3차압축판(144)에 의해 압축된 고철뭉치를 본체(110) 외부로 배출할 수 있도록 한 배출유닛(146)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3차압축부(140)의 3차가압실린더(142)와 3차압축판(144)의 구성은 상기 2차압축부(130)와 설치 위치에서만 차이가 있을 뿐 동일한 구성으로 이루어져 있는 바,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상기 3차압축판(144)에 의해 가압된 고철뭉치를 외부로 배출할 수 있도록 한 배출유닛(146)은 압축된 고철뭉치가 본체(110) 즉, 압축틀(112)의 외부로 배출될 수 있게 배출공(113)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배출공(113)을 밀폐할 수 있게 수평방향으로 슬라이딩될 수 있게 설치되는 밀폐부재(147)와, 상기 밀폐부재(147)의 일측에 결합되어 신장 또는 축소에 따라 상기 밀폐부재(147)를 슬라이딩시키는 배출실린더(148)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상기 밀폐부재(147)가 상기 배출공(113)을 닫은 상태에서 3차가압실린더(142)가 구동되면서 상기 3차압축판(144)이 직육면체 형태로 압축된 고철뭉치를 길이방향으로 가압하여 정육면체 형태로 고철뭉치를 압축시킨다. 이후 압축이 완료되면 배출실린더(148)가 구동되면서 상기 밀폐부재(147)를 슬라이딩시켜 배출공(113)이 개방되도록 한 다음 3차가압실린더(142)가 재구동되면서 배출공(113)으로 고철뭉치가 배출될 수 있게 되는 구조이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철 압축장치(100)는 2차압축시 1차압축판(122)과 이동되는 2차압축판(134) 사이의 틈새를 통해 본체(110) 내부로 유출되는 고철조각을 외부로 배출할 수 있도록 한 유실조각 제거부(150)를 더 포함하도록 하고 있다.
도 5를 참고하면, 상기 유실조각 제거부(150)는 상기 2차압축부(130)의 2차가압실린더(132)가 설치된 본체(110) 내부에 설치되어 길이가 신장 또는 축소될 수 있도록 한 배출실린더(152)와, 상기 배출실린더(152)의 로드 말단에 결합되며 선택적으로 자력을 발생시켜 본체(110) 내로 유입된 고철조각을 흡착하여 상기 본체(110)의 일측에 형성되는 유실조각 배출공(114)을 통해 본체(110) 외부로 배출할 수 있도록 한 흡착부재(154)와, 상기 흡착부재(154)의 하부에 설치되어 흡착부재(154)의 이동을 안내할 수 있도록 한 가이드부재(156)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배출실린더(152)는 상기 2차가압실린더(132)와 직교한 방향으로 설치되며 전원의 인가에 따라 로드의 길이가 신장 또는 축소될 수 있게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로드의 말단에는 흡착부재(154)가 마련될 수 있다. 상기 흡착부재(154)는 전자석으로서 선택적으로 자력을 발생시켜 고철조각을 흡착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흡착부재(154)의 하부에는 가이드부재(156)가 마련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부재(156)는 한 쌍의 레일(156a)과, 상기 레일(156a)을 따라 이동될 수 있게 상기 흡착부재(154)의 하부에 고정설치되는 이송블럭(156b)으로 이루어진다.
즉,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상기 유실조각 제거부(150)는 상기 2차압축시 본체(110) 내로 고철조각이 유출되면 상기 흡착부재(154)를 작동시켜 고철조각이 흡착될 수 있도록 하는 동시에 상기 배출실린더(152)를 작동시켜 흡착부재(154)가 수평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상기 흡착부재(154)는 상기 유실조각 배출공(114)으로 향하도록 가이드부재(156)에 의해 안내되어 고철조각을 흡착한 상태에서 이동되며, 상기 유실조각 배출공(114)으로의 이동이 완료되면 자력을 없애 고철조각이 상기 흡착부재(154)에서 이탈되도록 한 후 본래의 위치로 이동되게 되는 구조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철 압축장치(100)는 기존 압축장치에서 발생하였던 2차압축시 고철조각이 본체(110) 내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압축장치의 오작동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하거나 등가적 변형이 있는 모든 것들은 본 발명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00 : 고철 압축장치 110 : 본체
112 : 압축틀 113 : 배출공
114 : 유실조각 배출공 120 : 1차압축부
122 : 1차압축판 123 : 지지대
124 : 가압실린더 130 : 2차압축부
132 : 2차가압실린더 134 : 2차압축판
140 : 3차압축부 142 : 3차가압실린더
144 : 3차압축판 146 : 배출유닛
147 : 밀폐부재 148 : 배출실린더
150 : 유실조각 제거부 152 : 배출실린더
154 : 흡착부재 156 : 가이드부재
156a : 레일 156b : 이송블럭

Claims (4)

  1. 내부에 압축하고자 하는 고철조각을 수용할 수 있도록 상부가 개방된 압축틀(112)이 마련된 본체(110)와,
    상기 본체(110)의 일측에 힌지결합되어 상기 압축틀(112)의 개방된 상부를 덮어 압축틀(112) 내의 고철조각을 덩어리 형태의 고철뭉치로 압축시킬 수 있도록 한 1차압축부(120)와,
    상기 본체(110)의 내부에 설치되며 상기 1차압축부(120)에 의해 압축된 고철조각을 일방향으로 가압하여 재압축할 수 있도록 한 2차압축부(130)와,
    상기 압축틀(112)의 배면 일측에 설치되어 2차압축된 고철조각을 압축시켜 정육면체 형상으로 압축하고 정육면체로 압축된 고철뭉치를 외부로 배출할 수 있도록 한 3차압축부(140)와,
    상기 2차압축부(130)가 위치되는 상기 본체(110)의 내측에 설치되어 2차압축시 본체(110) 내로 유실되는 고철조각을 제거할 수 있도록 유실조각 제거부(150)를 포함하며,
    상기 유실조각 제거부(150)는
    상기 2차압축부(130)의 2차가압실린더(132)가 설치된 본체(110) 내부에 설치되어 길이가 신장 또는 축소될 수 있도록 한 배출실린더(152)와,
    상기 배출실린더(152)의 로드 말단에 결합되며 선택적으로 자력을 발생시켜 본체(110) 내로 유입된 고철조각을 흡착하여 상기 본체(110)의 일측에 형성되는 유실조각 배출공(114)을 통해 본체(110) 외부로 배출할 수 있도록 한 흡착부재(154)와,
    상기 흡착부재(154)의 하부에 설치되어 흡착부재(154)의 이동을 안내할 수 있도록 한 가이드부재(156)를 포함할 수 있는 고철 압축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1차압축부(120)는
    상기 본체(110)의 압축틀(112) 내에 수용되는 고철조각을 압축시킬 수 있도록 한 것으로, 상기 압축틀(112)의 개방된 상부와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압축틀(112)의 상부를 덮을 수 있게 상기 압축틀(112)의 일측에 힌지결합된 1차압축판(122)과,
    상기 1차압축판(122)이 힌지결합된 상기 압축틀(112)의 후방에 상측으로 돌출되게 지지대(123)가 형성되고 상기 지지대(123)에 일부가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되, 일단이 상기 1차압축판(122)과 힌지축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가압실린더(124)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철 압축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3차압축부(140)는
    본체(110)의 압축틀(112) 측면 일측에 고정설치되는 3차가압실린더(142)와,
    상기 3차가압실린더(142)의 로드 말단에 결합되어 수평방향으로 이동되어 상기 2차압축부(130)에 의해 압축된 고철뭉치를 재가압할 수 있도록 한 3차압축판(144)과,
    상기 3차압축판(144)에 의해 압축된 고철뭉치를 본체(110) 외부로 배출할 수 있도록 한 배출유닛(146)을 포함하고,
    상기 배출유닛(146)은 압축된 고철뭉치가 본체(110)의 압축틀(112) 외부로 배출될 수 있게 배출공(113)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배출공(113)을 밀폐할 수 있게 수평방향으로 슬라이딩될 수 있게 설치되는 밀폐부재(147)와, 상기 밀폐부재(147)의 일측에 결합되어 신장 또는 축소에 따라 상기 밀폐부재(147)를 슬라이딩시키는 배출실린더(148)를 포함하는 고철 압축장치.

  4. 삭제
KR1020220037963A 2022-03-28 2022-03-28 고철 압축장치 KR10249725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37963A KR102497252B1 (ko) 2022-03-28 2022-03-28 고철 압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37963A KR102497252B1 (ko) 2022-03-28 2022-03-28 고철 압축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97252B1 true KR102497252B1 (ko) 2023-02-08

Family

ID=852257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37963A KR102497252B1 (ko) 2022-03-28 2022-03-28 고철 압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97252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37388B1 (ko) * 2013-09-27 2014-09-05 신용수 재활용 물품 압축기의 내부 잔여물 제거 장치
KR200478786Y1 (ko) * 2015-04-07 2015-11-17 (주)아이셈자원 고철 압축기
KR102016280B1 (ko) * 2019-02-22 2019-08-29 정광현 대용량 고철폐기물 압착장치
KR102076300B1 (ko) * 2019-09-20 2020-02-11 홍승묵 재활용 스크랩의 펠렛화가 가능한 압축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37388B1 (ko) * 2013-09-27 2014-09-05 신용수 재활용 물품 압축기의 내부 잔여물 제거 장치
KR200478786Y1 (ko) * 2015-04-07 2015-11-17 (주)아이셈자원 고철 압축기
KR102016280B1 (ko) * 2019-02-22 2019-08-29 정광현 대용량 고철폐기물 압착장치
KR102076300B1 (ko) * 2019-09-20 2020-02-11 홍승묵 재활용 스크랩의 펠렛화가 가능한 압축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70721B1 (ko) 폐기용 고철의 유압식 압축 및 자동 절단장치
CN101830332B (zh) 双向垃圾压缩机
US3575103A (en) Refuse compaction handling equipment utilizing fluids under low pressure
KR102016280B1 (ko) 대용량 고철폐기물 압착장치
KR102497252B1 (ko) 고철 압축장치
CN107757678A (zh) 一种电力柜方便搬运装置
KR101327213B1 (ko) 천공된 금속 스크랩 압축물 배출 장치
US10486382B2 (en) Coil spring compactor
KR102550718B1 (ko) 중량측정이 가능한 고철 압축장치
CN107140247A (zh) 一种用于文化传播公司的废弃报纸处理装置
KR101807626B1 (ko) 락킹을 이용한 고철 압축장치
KR102407271B1 (ko) 고철 폐기물 압착장치
CN206511466U (zh) 一种新型转运站
KR101916839B1 (ko) 폐차 스크랩 압축 시스템
KR101510635B1 (ko) 쓰레기 압축장치
KR200396103Y1 (ko) 폐기물 압축기의 배출 장치
CN107736673A (zh) 一种便于携带的服装收边装置
KR101807999B1 (ko) 회전을 이용한 고철 압축장치
KR100332228B1 (ko) 음료 캔과 같은 금속 용기를 압축, 및 분리 저장하기 위한장치
CN218967846U (zh) 一种垃圾压实器
KR102369123B1 (ko) 방사성 폐기물의 압축장치
CN216307827U (zh) 一种使用寿命长的干渣机
JP2009189922A (ja) 減容機、該減容機を用いた産業廃棄物のセメントリサイクル方法
KR101214093B1 (ko) 지지프레임의 상면으로 고철 스크랩이 안착 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방지수단이 구비된 고철 압축기
CN220280568U (zh) 一种用于板材真空压机的调节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