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07271B1 - 고철 폐기물 압착장치 - Google Patents

고철 폐기물 압착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07271B1
KR102407271B1 KR1020220035475A KR20220035475A KR102407271B1 KR 102407271 B1 KR102407271 B1 KR 102407271B1 KR 1020220035475 A KR1020220035475 A KR 1020220035475A KR 20220035475 A KR20220035475 A KR 20220035475A KR 102407271 B1 KR102407271 B1 KR 10240727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utlet
pressing
scrap
waste
main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354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오근수
Original Assignee
오근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근수 filed Critical 오근수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072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0727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0PRESSES
    • B30BPRESSES IN GENERAL
    • B30B9/00Press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urposes
    • B30B9/32Press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urposes for consolidating scrap metal or for compacting used cars
    • B30B9/327Press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urposes for consolidating scrap metal or for compacting used cars for briquetting scrap met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0PRESSES
    • B30BPRESSES IN GENERAL
    • B30B15/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presses; Auxiliary measures in connection with pressing
    • B30B15/32Discharging press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nufacture And Refinement Of Metals (AREA)
  • Processing Of Solid Wast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상부에 개구부가 형성되고, 상기 개구부를 통하여 고철 폐기물이 공급되면서 일시 저장되는 가압챔버가 내부에 형성된 본체; 상기 본체의 상부에서 상기 개구부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도록 마련되는 덮개부; 상기 가압챔버 내부에 공급된 고철 폐기물을 가압하도록 상기 본체의 일 측에 마련되는 가압부; 상기 가압챔버 내부에서 상기 가압부를 통해 압착된 박스형 고철이 상기 본체의 전방에 배치된 제1배출구를 통하여 선택적으로 배출되도록 슬라이딩 개폐되는 도어부; 를 포함하고, 상기 본체는 상기 도어부가 폐쇄 모드에서 선택적으로 개방되는 제2배출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철 폐기물 압착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고철 폐기물 압착장치{An apparatus for pressing metal scrap}
본 발명은 고철 폐기물 압착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대량의 고철 폐기물을 일정한 크기로 압착 성형할 수 있는 고철 폐기물 압착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다양한 산업현장에서 발생되는 고철 폐기물은 철강재의 원재료로 재활용되고 있으며, 이를 위해 일단 수거된 다양한 형태의 고철폐기물은 재활용을 위한 철강회사로 운반, 보관 및 용광로로 투입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일정한 크기로 압착 성형된다.
이때, 고철 폐기물을 압착 성형하는 장치는 기본적으로 고철 폐기물이 투입되는 압착실과, 압착실 내부에서 수평방향으로 이송 가능하게 설치되는 압착판과, 고철을 압착하기 위한 방향으로 압착판을 이송하는 유압실린더로 구성된다.
이와 관련된 선행기술은 특허등록번호 10-0235540호에 고철 압착장치란 명칭으로 개시되어 있다.
한편, 고철 재활용 회사에서 박스 형태의 고철로 된 압착폐기물은 무게 단위로 구매한다. 따라서 압착폐기물을 고철재활용 회사로 납품하게 되면, 무게를 측정하기 위하여 무게 계량기 근처에 압착폐기물을 여러 단으로 쌓아놓은 상태로 대기하고, 이후 지게차가 쌓아놓은 압착폐기물을 하나하나씩 들어올린 후 이동하여 무게 계량기에 올려놓고, 이후 무게가 측정된 압착폐기물을 지게차가 다시 들어올려 저장을 위한 창고로 이동하게 된다.
그러나, 이러한 고철 폐기물 압착장치는 압착실 내부에서 압착 폐기물을 외부로 배출할 때 도어가 개폐되는데, 이때 도어 주변에 남겨진 잔여 고철 폐기물이 도어의 개폐 작동에 간섭을 일으키고, 이로 인하여 도어 개폐에 이상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지적되고 있다.
(특허문헌0001)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0235540호(1999.09.27 등록)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도어부 주변에 떨어진 잔여 고철 폐기물을 미연에 처리함으로써 도어부의 작동에 이상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고철 폐기물 압착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수행하기 위한 본 발명은 상부에 개구부가 형성되고, 상기 개구부를 통하여 고철 폐기물이 공급되면서 일시 저장되는 가압챔버가 내부에 형성된 본체; 상기 본체의 상부에서 상기 개구부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도록 마련되는 덮개부; 상기 가압챔버 내부에 공급된 고철 폐기물을 가압하도록 상기 본체의 일 측에 마련되는 가압부; 상기 가압챔버 내부에서 상기 가압부를 통해 압착된 박스형 고철이 상기 본체의 전방에 배치된 제1배출구를 통하여 선택적으로 배출되도록 슬라이딩 개폐되는 도어부; 를 포함하고, 상기 본체는 상기 도어부가 폐쇄 모드에서 선택적으로 개방되는 제2배출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철 폐기물 압착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도어부는 폐쇄 모드에서, 상기 제1배출구를 차폐하는 제1차폐부와, 상기 제1차폐부의 일 측에서 배치되어 상기 제1배출구와 제2배출구의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제1배출구에 대응하는 개방 영역이 형성된 테두리부 및 상기 테두리부의 일 측에 배치되어 상기 제2배출구를 차폐하는 제2차폐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도어부는 상기 테두리부가 제2배출구와 중첩되는 경우 상기 제1배출구를 차폐하는 제1연장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도어부는 상기 테두리부의 개방 영역 저면이 상기 제2배출구의 내측 높이와 적어도 같거나 높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2배출구는 내측으로부터 외측 방향을 향하여 하향 경사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본체는 상기 테두리부가 제2배출구와 중첩 배치되는 경우, 상기 개방 영역 내부에 위치하는 고철 폐기물이 상기 제2배출구를 향하여 배출되도록 외력을 제공하는 배출유도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고철 폐기물 압착장치에 따르면,
첫째, 고철 폐기물을 용이하게 압축할 수 있고,
둘째, 압착물을 용이하게 배출할 수 있으며,
셋째, 도어부의 테두리부에 잔여 고철이 위치하는 경우 이를 클린 모드에서 제거할 수 있고,
넷째, 제1배출구와 별도로 제2배출구를 형성하여 압착물의 배출위치와 잔여 고철의 배출을 별도 관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고철 폐기물 압착장치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2 및 도 3은 도 1에 나타낸 고철 폐기물 압착장치의 덮개부가 개폐되는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1에 나타낸 고철 폐기물 압착장치를 상부에서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 5 내지 도 7은 고철 폐기물 압착장치에 고철 폐기물이 공급되어 압축 및 배출되는 과정을 도시하는 참고도이다.
도 8은 고철 폐기물 압착장치의 도어부를 도시하는 정면도이다.
도 9는 도 1에 나타낸 고철 폐기물 압착장치의 제1배출구에서 도어가 개폐되는 상태를 도시하는 참고도이다.
도 10은 도 1에 나타낸 고철 폐기물 압착장치의 제2배출구가 개폐되는 상태를 도시하는 참고도이다.
도 11은 도 4에 나타낸 고철 폐기물 압착장치의 I-I' 단면을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 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2 구성요소는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1 구성요소도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고철 폐기물 압착장치를 도시하는 사시도이고, 도 2 및 도 3은 도 1에 나타낸 고철 폐기물 압착장치의 덮개부가 개폐되는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고철 폐기물 압착장치(100)는 본체(110), 덮개부(120), 도어부(130) 및 가압부(140)를 포함한다.
이하에서, 고철 폐기물은 단순히 수거해 온 고철을 더미 형태로 모아놓고, 압착을 위해서 고철 폐기물 압착장치(100)에 공급할 고철(10)과, 압착장치(100)를 통해서 압착이 완료되어 박스 형상으로 압착된 압착물(20) 및 압착장치(100)에 공급되었으나 압착물(20)로 압착되지 못하거나 또는 압착될 정도로 크기나 부피가 크지 않아 압착물로 가압 성형될 수 없거나 또는 압착 중 부스러진 잔여 고철(30)로 분류하여 지칭한다.
본체(110)는 고철 폐기물 압착장치(100)의 외형을 형성하고, 상부에 형성된 개구부를 통해서 고철이 투입되어 일시 저장되는 가압챔버(111)가 내부에 형성된다.
본체(110)의 전방에는 압착물이 배출되는 제1배출구(113)와, 제1배출구(113)와 이격 배치되어 찌꺼기나 이물질을 포함하는 잔여 고철을 배출하는 제2배출구(114)가 마련된다.
그리고, 덮개부(120)는 상부커버(121)와 제1유압모듈(122)을 포함한다.
상부커버(121)는 본체(110)의 상부에 형성된 개구부(112)를 선택적으로 차폐할 수 있다. 상부커버(121)의 차폐 동작은 제1유압모듈(122)을 통해서 이루어진다. 도 1은 상부커버(121)가 폐쇄된 상태를 나타내고, 도 2는 상부커버(121)가 일부 개방된 상태를 나타내며, 도 3은 상부커버(121)가 완전 개방된 상태를 나타낸다.
물론, 상부커버(121)의 개폐 정도는 공급될 고철의 양이나 부피에 따라서 선택적으로 조절할 수 있다.
도 4는 도 1에 나타낸 고철 폐기물 압착장치(100)를 상부에서 도시하는 평면도이고, 도 5 내지 도 7은 고철 폐기물 압착장치(100)에 고철 폐기물이 공급되어 압축 및 배출되는 과정을 도시하는 참고도이다.
도 4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본체(110)의 일 측에는 가압챔버(111) 내부의 고철을 x축 및 y축 방향으로 가압할 수 있는 가압부(140)가 마련된다.
가압부(140)는 x축 방향으로 고철을 가압하여 압착시키는 제2유압모듈(141)과, y축 방향으로 압착물을 가압하여 제1배출구(113)로 배출시키는 제3유압모듈(142)을 포함한다.
따라서, 가압부(140)는 제2유압모듈(141)이 먼저 고철을 1차 가압하고, 제3유압모듈(142)이 압착물을 가압하여 제1배출구(113)로 배출하게 된다.
고철을 압착하는 과정은 다음과 같다.
먼저, 도 3과 같이 덮개부(120)가 개방되면 집게차 등을 이용하여 고철을 가압챔버(111) 내부에 공급한다. 물론, 가압챔버(111)의 크기에 따라서 공급할 고철의 양이나 압착된 압착물의 크기를 설정할 수 있다.
그리고, 고철의 공급이 완료되면, 덮개부(120)를 닫아서 가압챔버(111)를 폐쇄하고, 이때 도어부(130)는 제1배출구(113)를 폐쇄한다.
그러면, 가압챔버(111)의 길이방향을 따라서 x축 방향으로 제2유압모듈(141)이 작동한다. 제2유압모듈(141)은 가압판(143)과 유압실린더(144)를 포함한다. 가압판(143)은 고철에 직접적으로 압력을 제공하는 부분으로써 충분한 강성을 가진 재질로 구성된다. 유압실린더(144)는 가압챔버(111)의 길이에 대응하도록 작동한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렇게 제2유압모듈(141)이 작동하여 고철이 가압챔버(111) 내부에서 가압되면, 고철에 압력이 가해지면서 변형되어 가압챔버(111)와 제2유압모듈(141)의 가압판에 의해 대략 사각형 또는 박스 형상의 압착물(20)이 완성된다.
그러면, 도어부(130)가 이동하여 제1배출구(113)를 개방하고, 압착물이 제1배출구(113)를 통하여 외부로 배출되도록 제3유압모듈(142)이 작동한다. 제3유압모듈(142)의 실린더가 인장되면서 압착물은 점차 제1배출구(113)를 향해서 이동하고, 제3유압모듈(142)의 가압판이 제1배출구(113)에 인접하도록 이동하면 압착물은 제1배출구(113)에서 배출된다. 이때, 제1배출구(113) 외측에는 별도의 경사면(150)을 구비하여, 경사면을 따라서 압착물을 지정된 장소로 이동시킬 수 있다.
도 8은 고철 폐기물 압착장치(100)의 도어부(130)를 도시하는 정면도이고, 도 9는 도 1에 나타낸 고철 폐기물 압착장치(100)의 제1배출구(113)에서 도어가 개폐되는 상태를 도시하는 참고도이며, 도 10은 도 1에 나타낸 고철 폐기물 압착장치(100)의 제2배출구(114)가 개폐되는 상태를 도시하는 참고도이다.
도어부(130)는 본체(110)의 전방에서 수평방향을 따라서 슬라이딩 이동이 가능하도록 배치되고, 제1배출구(113)와 제2배출구(114)를 선택적으로 개폐할 수 있다. 도어부(130)는 슬라이딩 이동을 위해서 본체(110) 내부에 제4유압모듈(116)이 구비될 수 있다. 물론, 도어부(130)의 개폐동작에 따른 이송은 다른 기계요소에 의해서 작동시킬 수 있다.
도어부(130)는 제1배출구(113)를 기준으로 폐쇄 모드와 개방모드로 작동한다. 다만, 제2배출구(114)를 개폐하는 작동도 이루어지고, 제2배출구(114)는 도어부(130)의 일부 영역에 위치한 잔여 고철을 제거할 때 개방되기 때문에 제2배출구(114)가 개방될 때는 클린 모드로 지칭한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어부(130)는 좌측에서 순차적으로 제1차폐부(131)와, 테두리부(132) 및 제2차폐부(133)를 포함한다. 그리고, 제1차폐부(131)는 더 좌측으로 연장부(134)를 포함한다.
그러면, 도어부(130)는 좌측에서 순차적으로 연장부(134), 제1차폐부(131), 테두리부(132) 및 제2차폐부(133)로 구성된다.
개방 모드에서, 도어부(130)는 테두리부(132)가 제1배출구(113)와 중첩되도록 배치된다. 이때, 테두리부(132)는 내부에 개방 영역(135)이 형성되고, 제1배출구(113)의 크기에 대응하는 형상 및 크기를 제공하여 개방 영역(135)과 제1배출구(113)가 중첩되면서 제1배출구(113)가 개방된다.
따라서, 테두리부(132)를 중심으로 좌측에 제1차폐부(131)가 배치되고, 우측에 제2차폐부(133)가 배치된다. 즉, 테두리부(132)와 제1배출구(113)가 중첩되지 않는 한 제1배출구(113)는 항시 폐쇄 모드로 닫혀있다.
예컨대, 제2유압모듈(141)이 작동 중인 상태에서는 도 9(a)와 같이 제1차폐부(131)가 제1배출구(113)와 중첩되도록 배치되면서 제1배출구(113)를 폐쇄한다. 또한, 제3유압모듈(142)이 작동 중인 상태에서는 도 9(b)와 같이 테두리부(132)와 제1배출구(113)가 중첩되면서 개방된다.
제2배출구(114)는 제1배출구(113)가 개방모드에서 폐쇄되고, 테두리부(132)가 제1배출구(113)와 제2배출구(114) 사이에 위치하는 경우에도 폐쇄된다.
그리고, 제1연장부(134)가 제1배출구(113)와 중첩되는 경우, 테두리부(132)는 제2배출구(114)와 적어도 일부 중첩되도록 배치되기 때문에 제2배출구(114)를 개방할 수 있다.
도 11은 도 4에 나타낸 고철 폐기물 압착장치(100)의 I-I' 단면을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제2배출구(114)의 내측에는 배출유도부(160)가 마련될 수 있다. 배출유도부(160)는 블로워나 유압모듈 등의 구조를 통해서 구현될 수 있다. 예컨대, 배출유도부(160)가 블로워로 적용되는 경우, 클린 모드에서 제2배출구(114)를 향하여 공기를 배출할 수 있다. 즉, 제2배출구(114)와 테두리부가 중첩되면, 제2배출구(114)가 개방되는데, 이때 테두리부(132)의 개방 영역(135) 내부에 위치하는 잔여 고철(30)은 블로워(160)의 바람에 의해서 제2배출구(114)로 배출될 수 있다.
제2배출구(114)는 내측 높이가 적어도 테두리부(132)의 개방 영역(135) 저면과 같은 높이를 갖거나 낮은 높이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제2배출구(114)의 외측 높이는 테두리부(132)의 개방 영역(135) 저면 보다 낮은 높이를 갖기 때문에 제2배출구(114)는 내부 저면이 경사지도록 형성되어 외력의 작용 없이도 잔여 고철의(30) 배출이 자중에 의해서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고철 폐기물 압착장치에 따르면, 고철 폐기물을 용이하게 압축할 수 있고, 압착물을 용이하게 배출할 수 있으며, 도어부의 테두리부에 잔여 고철이 위치하는 경우 이를 클린 모드에서 제거할 수 있고, 제1배출구와 별도로 제2배출구를 형성하여 압착물의 배출위치와 잔여 고철의 배출을 별도 관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예시하기 위해 구체적인 실시 예로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이 구체적인 실시 예와 동일한 구성 및 작용에만 국한되지 않고, 여러 가지 변형이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실시될 수 있다. 따라서, 그와 같은 변형도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간주해야 하며, 본 발명의 범위는 후술하는 청구범위에 의해 결정되어야 한다.
100: 고철 폐기물 압착장치
110: 본체
120: 덮개부
130: 도어부
140: 가압부
150: 경사부
160: 배출유도부

Claims (6)

  1. 상부에 개구부가 형성되고, 상기 개구부를 통하여 고철 폐기물이 공급되면서 일시 저장되는 가압챔버가 내부에 형성된 본체;
    상기 본체의 상부에서 상기 개구부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도록 마련되는 덮개부;
    상기 가압챔버 내부에 공급된 고철 폐기물을 가압하도록 상기 본체의 일 측에 마련되는 가압부;
    상기 가압챔버 내부에서 상기 가압부를 통해 압착된 박스형 고철이 상기 본체의 전방에 배치된 제1배출구를 통하여 선택적으로 배출되도록 슬라이딩 개폐되는 도어부; 를 포함하고,
    상기 본체는 제1배출구와 별도로 이격되어 마련되고, 찌꺼기나 이물질을 포함하는 잔여 고철이 배출될 수 있도록 선택적으로 개방되는 제2배출구를 포함하되,
    상기 도어부는 폐쇄 모드에서,
    상기 제1배출구를 차폐하는 제1차폐부와,
    상기 제1차폐부의 일 측에서 배치되어 상기 제1배출구와 제2배출구의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제1배출구에 대응하는 개방 영역이 형성된 테두리부 및
    상기 테두리부의 일 측에 배치되어 상기 제2배출구를 차폐하는 제2차폐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철 폐기물 압착장치.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도어부는,
    상기 테두리부가 제2배출구와 중첩되는 경우 상기 제1배출구를 차폐하는 제1연장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철 폐기물 압착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도어부는,
    상기 테두리부의 개방 영역 저면이 상기 제2배출구의 내측 높이와 적어도 같거나 높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철 폐기물 압착장치.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제2배출구는,
    내측으로부터 외측 방향을 향하여 하향 경사지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철 폐기물 압착장치.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상기 테두리부가 제2배출구와 중첩 배치되는 경우, 상기 개방 영역 내부에 위치하는 고철 폐기물이 상기 제2배출구를 향하여 배출되도록 외력을 제공하는 배출유도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철 폐기물 압착장치.
KR1020220035475A 2021-11-29 2022-03-22 고철 폐기물 압착장치 KR10240727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66541 2021-11-29
KR20210166541 2021-11-29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07271B1 true KR102407271B1 (ko) 2022-06-10

Family

ID=819866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35475A KR102407271B1 (ko) 2021-11-29 2022-03-22 고철 폐기물 압착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0727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50718B1 (ko) * 2022-06-30 2023-07-03 (주)대림자원 중량측정이 가능한 고철 압축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35540B1 (ko) 1997-04-21 1999-12-15 백충기 고철 압착장치
KR20000002270U (ko) * 1998-07-01 2000-02-07 심영섭 캔 분류 압축기
KR102016280B1 (ko) * 2019-02-22 2019-08-29 정광현 대용량 고철폐기물 압착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35540B1 (ko) 1997-04-21 1999-12-15 백충기 고철 압착장치
KR20000002270U (ko) * 1998-07-01 2000-02-07 심영섭 캔 분류 압축기
KR102016280B1 (ko) * 2019-02-22 2019-08-29 정광현 대용량 고철폐기물 압착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50718B1 (ko) * 2022-06-30 2023-07-03 (주)대림자원 중량측정이 가능한 고철 압축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07271B1 (ko) 고철 폐기물 압착장치
KR102041756B1 (ko) 고철폐기물 압착장치
KR102016280B1 (ko) 대용량 고철폐기물 압착장치
KR200383905Y1 (ko) 재활용쓰레기 분리 수거차량
US10245799B2 (en) Baler for recycled materials
KR20100010732U (ko) 쓰레기 압축기
US2995999A (en) Baling press
KR102029813B1 (ko) 밀어내기식 쓰레기 수거차량
WO2017159603A1 (ja) プレス装置及び該プレス装置を用いた金属小スクラップのプレス法
KR20210135676A (ko) 폐차압축기
KR101593385B1 (ko) 칩 압축장치
US7540234B1 (en) Waste baling machine
CN212354629U (zh) 一种塑料托盘的收纳压缩机
CN206485843U (zh) 一种自带判断功能的垃圾压缩装置
KR102550718B1 (ko) 중량측정이 가능한 고철 압축장치
US20180169986A1 (en) Portable Cardboard Baler
KR102497252B1 (ko) 고철 압축장치
CN104842578B (zh) 防爆废钢压包机
CN220611687U (zh) 一种废旧金属打包装置
KR0138933Y1 (ko) 재활용품 압축장치
KR200489843Y1 (ko) 재활용품수거함
EP2106894B1 (en) Device for destroying a tire rubber envelope and a system for loading and unloading it
KR200249146Y1 (ko) 폐기물 및 재활용품 압축기용 압축판의 가이드 구조
FI87065B (fi) Avfallsbehandlingskomplex.
KR940003420Y1 (ko) 폐기물 가압성형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