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16839B1 - 폐차 스크랩 압축 시스템 - Google Patents

폐차 스크랩 압축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16839B1
KR101916839B1 KR1020180044483A KR20180044483A KR101916839B1 KR 101916839 B1 KR101916839 B1 KR 101916839B1 KR 1020180044483 A KR1020180044483 A KR 1020180044483A KR 20180044483 A KR20180044483 A KR 20180044483A KR 101916839 B1 KR101916839 B1 KR 10191683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crap
unit
hopper
compression
compression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444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곽명헌
Original Assignee
인선모터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인선모터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인선모터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04448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1683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168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1683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0PRESSES
    • B30BPRESSES IN GENERAL
    • B30B9/00Press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urposes
    • B30B9/32Press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urposes for consolidating scrap metal or for compacting used cars
    • B30B9/327Press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urposes for consolidating scrap metal or for compacting used cars for briquetting scrap met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0PRESSES
    • B30BPRESSES IN GENERAL
    • B30B15/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presses; Auxiliary measures in connection with pressing
    • B30B15/30Feeding material to pres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0PRESSES
    • B30BPRESSES IN GENERAL
    • B30B15/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presses; Auxiliary measures in connection with pressing
    • B30B15/32Discharging press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nufacture And Refinement Of Metals (AREA)
  • Processing Of Solid Wast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폐차 스크랩 압축 시스템은 일정 사이즈로 파쇄된 스크랩이 투입되는 스크랩 투입유닛과, 상기 스크랩 투입유닛를 통해 공급되는 스크랩이 저장되는 호퍼 유닛과, 상기 호퍼 유닛에 저장된 정량의 스크랩이 공급되어 직사각형 형태로 압축하는 제1압축유닛과, 상기 제1압축유닛과 이웃하여 배치되고 제1압축유닛과 교대로 스크랩을 압축하는 제2압축유닛과, 상기 호퍼 유닛에 설치되어 제1압축유닛과 제2압축유닛에 교대로 스크랩을 정량 공급하는 스크랩 공급유닛과, 상기 제1압축유닛 및 제2압축유닛에서 직사각형 형태로 압축된 압축 스크랩을 배출하는 압축 스크랩 배출유닛으로 구성되어, 보관 및 이송이 쉽고 편리하고 스크랩의 이송 및 보관시 발생되는 분진이나 환경 유해물질이 발생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으며, 스크랩을 용융로에 투입하기 편리하다.

Description

폐차 스크랩 압축 시스템{CRUSHING SYSTEM FOR CAR BODY}
본 발명은 차체를 파쇄한 스크랩을 압축하여 일정 사이즈의 스크랩 압축물을 생산하는 폐차 스크랩 압축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폐차 처리 시스템은 폐차에서 기름이나 오일 등 각종 액상류를 회수하는 액상류 회수공정과, 폐차에서 부품, 엔진, 변속기 등을 순차적으로 해체하는 부품 분리공정과, 폐차의 타이어 등의 외장부품과 폐차 실내에 장착된 각종 내장 부품을 회수하는 공정을 순차적으로 진행하게 되면 최종적으로 차체만 남게 된다.
차체는 재활용할 수 있도록 소정의 크기로 파쇄하고, 철과 비철금속을 분리하는 선별공정을 진행하게 된다.
종래의 고철 파쇄 및 선별 시스템은 한국 등록특허공보 10-1550491(2015년 08월 31일)에 개시된 바와 같이, 고철을 공급받아 저장하는 호퍼와, 고철을 공급받아 소정의 입도로 파쇄하는 유압 파쇄기와, 호퍼 및 유압 파쇄기로부터 공급받은 고철을 파쇄하는 조크러셔와, 조크러셔로부터 배출된 소정 입도를 갖는 고철로부터 철 성분을 분리하는 제1자력 분리기와, 제1자력분리기 후단에 배치되어 철 성분이 분리된 나머지 고철 성분을 필터링하여 기준치 이하의 고철과 기준치 이상의 고철로 분리하는 적층형 필터와, 적층형 필터에서 기준치 이상으로 분류된 고철 및 제1자력 분리기에서 분리된 철 성분을 공급받아 파쇄하는 로드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와 같은 종래의 고철 파쇄 및 선별 시스템은 고철을 철과 비철금속으로 분리하고, 소정의 크기로 파쇄하는 공정만 진행하므로 소정의 사이즈로 파쇄된 고철 스크랩은 보관이나 이동시 분진이나 유해물질이 발생되는 문제가 있다.
또한, 일정 사이즈의 스크랩으로 구성되어 이송시 차량에 싣는 과정이나 차량에서 내리는 과정에서 각종 유해물질 및 분진이 발생하여 환경오염을 초래하게 되는 문제가 있다.
또한, 고철을 재활용하기 위해 용융로에 투입할 때 스크랩을 투입할 경우 투입공정이 어렵고, 정량을 투입하기 어려운 문제가 있다.
한국 등록특허공보 10-1550491(2015년 08월 31일)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폐차 차체를 소정의 사이즈로 파쇄한 스크랩을 압축하여 직육면체 형태로 제조함으로써, 보관 및 이송이 쉽고 편리하고 스크랩의 이송 및 보관시 발생되는 분진이나 환경 유해물질이 발생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으며, 스크랩을 용융로에 투입하기 편리한 폐차 스크랩 압축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압축유닛이 복수로 구비되고 스크랩이 복수의 압축유닛에 교대로 공급되도록 하여 스크랩 압축시간을 단축할 수 있는 폐차 스크랩 압축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폐차 스크랩 압축 시스템은 일정 사이즈로 파쇄된 스크랩이 투입되는 스크랩 투입유닛과, 상기 스크랩 투입유닛를 통해 공급되는 스크랩이 저장되는 호퍼 유닛과, 상기 호퍼 유닛에 저장된 정량의 스크랩이 공급되어 직사각형 형태로 압축하는 제1압축유닛과, 상기 제1압축유닛과 이웃하여 배치되고 제1압축유닛과 교대로 스크랩을 압축하는 제2압축유닛과, 상기 호퍼 유닛에 설치되어 제1압축유닛과 제2압축유닛에 교대로 스크랩을 정량 공급하는 스크랩 공급유닛과, 상기 제1압축유닛 및 제2압축유닛에서 직사각형 형태로 압축된 압축 스크랩을 배출하는 압축 스크랩 배출유닛을 포함한다.
상기 호퍼 유닛은 스크랩 투입부에서 스크랩이 투입되는 제1호퍼부와, 상기 제1호퍼부와 제1통로로 연결되고 제1압축유닛으로 스크랩을 공급하는 제2호버퍼부와, 상기 제1호퍼부와 제2통로로 연결되고 제2압축유닛으로 스크랩을 공급하는 제3호퍼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스크랩 공급유닛은 제1호퍼부로 투입된 스크랩이 제1통로와 제2통로에 교대로 공급하도록 공급방향을 전환하는 공급방향 전환부와, 상기 제2호퍼부에 설치되어 제2호퍼부를 개폐하는 제1도어부와, 상기 제3호퍼부에 설치되어 제3호퍼부를 개폐하는 제2도어부와, 상기 제2호퍼부 및 제3호퍼부에 설치되어 제2호퍼부 및 제3호퍼부에 저장되는 스크랩의 무게를 측정하는 중량 측정부와, 상기 중량 측정부에서 인가되는 신호에 따라 공급방향 전환부, 제1도어부 및 제2도어부를 제어하는 제어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유닛은 중량 측정부에서 인가되는 신호에 따라 제2호퍼부 및 제3호버푸에 저장되는 스크랩의 무게가 설정치에 도달하면 제2도어부 및 제3도어부를 개방하여 스크랩을 제1압축유닛 및 제2압축유닛으로 공급하고 공급방향 전환부를 작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압축유닛은 내부에 스크랩이 압축되는 압축공간이 구비되는 바디부와, 상기 바디부의 측면이 개방된 제1개구부와 연통되게 설치되고 제2호퍼부에 저장된 스크랩이 개방된 제1개구부를 통해 압축공간으로 투입하는 투입호퍼와, 상기 바디부의 제1개구부에 직선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스크랩을 가압하여 압축하는 압축부와, 상기 바디부의 제2개구부에 직선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압축공간에서 압축된 압축 스크랩을 배출하도록 푸시하는 푸시부와, 상기 바디부의 제3개구부에 설치되어 제3개구부를 개폐하는 도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압축 스크랩 배출유닛은 제1압축유닛과 제2압축유닛 사이에 배치되고 압축 스크랩이 일렬로 이동되는 이동 레일부와, 상기 제1압축유닛 및 제2압축유닛에서 교대로 압축 스크랩이 배출되면 압축 스크랩을 푸시하여 이동 레일부로 이동시키는 압축 스크랩 푸시유닛과, 상기 이동 레일부에 일렬로 배열된 압축 스크랩을 자력을 이용하여 들어올린 후 차례로 적층하는 전자석 이동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폐차 스크랩 압축 시스템은 폐차 차체를 소정의 사이즈로 파쇄한 스크랩을 직육면체 형태로 압축하여, 보관 및 이송이 쉽고 편리하고 스크랩의 이송 및 보관시 발생되는 분진이나 환경 유해물질이 발생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으며, 스크랩을 용융로에 투입하기 편리하다.
또한, 압축유닛이 복수로 구비되고 스크랩이 복수의 압축유닛에 교대로 공급되도록 하여 스크랩 압축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폐차 스크랩 압축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폐차 스크랩 압축 시스템의 호퍼 유닛의 측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폐차 압축 시스템의 스크랩 공급유닛을 나타낸 블럭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폐차 스크랩 압축 시스템의 압축유닛의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폐차 스크랩 압축 시스템의 스크랩 배출유닛의 평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구성요소의 크기나 형상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을 고려하여 특별히 정의된 용어들은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한다.
삭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폐차 파쇄 시스템은 폐차의 차체를 투입하는 차체 투입부와, 투입된 차체를 1차 파쇄하여 균일한 사이즈로 절단하는 1차 파쇄부와, 1차 파쇄된 차체를 작은 사이즈로 파쇄하는 2차 파쇄부와, 2차 파쇄된 스크랩에 에어를 공급하여 비중차를 이용하여 가벼운 물질과 무거운 물질로 선별 분리하는 에어 선별부와, 에어 선별부를 통과한 스크랩을 자력을 이용하여 철과 비철금속으로 분리하는 자력 선별부와, 스크랩이 진동 스크린을 통과하여 스크랩에 포함된 사이즈가 작은 잔유물을 분리하는 진동 스크린부와, 전도성이 좋은 비자성금속(구리, 알루미늄 및 아연 등) 내에 와전류가 발생되도록 하여 반발력이 생기도록 하고 반발력에 의해 비철금속을 분리하는 와전류 선별부와, 파쇄된 스크랩을 원심력 및 중력을 이용하여 먼지 및 가벼운 물질을 포집하여 분리하고 세정하여 미세먼지를 제거하는 세정 및 집진부와, 파쇄된 스크랩을 압축하여 균일한 사이즈로 제작하는 스크랩 압축 시스템을 포함한다.
차체를 형성하는 강은 제강할 때 망간(Mn)을 가하여 탈산시키기 때문에 망간이 함유된 망간강이 주로 사용된다. 망간강은 망간이 0.4~1.0% 정도 함유된 저 망간강과, 망간이 9~14% 정도 함유된 고 망간강으로 구분된다.
자동차의 경우 자동차의 종류에 따라 저 망간강을 사용하는 차체와, 고 망간강을 사용하는 차체로 구분된다.
본 발명에서는 저 망간강을 생산할 수 있는 시스템이 구비된다. 즉, 차체 투입공정에서 저 망간강이 사용된 차체와 고 망간강이 사용된 차체를 분리 선별하고, 저 망간강을 생산하고자 할 경우 저 망간강이 사용된 차체를 투입하고, 고 망간강을 생산하고자 할 경우 고 망간강이 사용된 차체를 투입한다.
차체 선별방법은 차량에 따라 망간 함유량을 확인하여 차체를 선별할 수 있고, 세단은 대개의 경우 저 망간강이 사용되고, SUV 및 RV의 경우는 고 망간강이 사용되므로 차량의 종류에 따라 선별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차체 투입부에서 저 망간강이 사용된 차체와 고 망간강이 사용된 차체를 분리하여 투입함으로써, 저 망간강을 생산할 수 있다.
1차 파쇄부는 선별된 차량이 투입되면 차체를 비교적 큰 사이즈로 절단하는 것으로, 프리 슈레더가 주로 사용되고, 차체는 50㎝ 정도의 사이즈로 절단된다. 1차 파쇄부는 본격적인 파쇄 작업에 앞서 차체를 균일한 사이즈로 절단하여 후단 파쇄작업의 부하를 감소시키는 역할을 하는 전처리 공정으로, 차체의 설치된 폭발위험부품을 제거하는 기능도 함께 수행한다.
2차 파쇄부는 1차 파쇄부를 통과하면서 균일한 사이즈로 절단된 차체를 비교적 작은 사이즈로 파쇄하는 공정으로, 자유 회전되는 복수의 햄머에 의해 차체가 파쇄되는 파쇄장치가 사용되고, 10~15㎝ 정도의 사이즈를 갖는 스크랩을 생산한다.
2차 파쇄부에서 발생되는 먼지 및 철가루 등의 오염물질은 집진 및 세정시설에 의해 제거된다.
에어 선별부는 하부에서 상부방향으로 일정 압력의 에어를 분사하고, 2차 파쇄부에서 파쇄된 스크랩을 투입하면 비중차에 의해 가벼운 물질과 무거운 물질로 분리된다. 즉, 파쇄된 스크랩에 포함된 금속 이외의 이물질을 분리하는 작업을 수행한다. 그리고, 에어 선별부에서 발생되는 먼지 및 이물질이 포함된 공기는 집진 시설로 공급되어 미세먼지가 제거된 상태로 외부로 방출되어 환경오염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한다.
자력 선별부는 전자석이 이용되어 강력한 자력이 발생함과 아울러 자력의 세기를 조절할 수 있어 철과 비철금속의 선별성능을 향상시킨다.
진동 스크린부는 일정 사이즈의 구멍을 갖고 경사지게 설치되는 스크린 망에 스크랩을 투입하고 스크린 망에 진동을 가하면 스크랩에 포함된 사이즈가 작은 파쇄 잔유물이나 이물질이 스크린 망을 통해 분리된다.
와전류 선별부는 와전류를 이용하여 비철금속을 선별하는 시스템으로, 비자성 금속(구리, 알루미늄, 아연 등)의 비철금속 내에 와전류가 발생되어 반발력이 생기고, 이 반발력의 차이에 의해 비철금속을 분리한다.
세정 및 집진부는 파쇄된 스크랩에 원심력과 중력을 이용하여 먼지나 이물질 등의 가벼운 물질을 분리하고, 분리된 먼지 및 이물질은 집진시설에서 포집하여 미세 먼지 등의 유해물질이 외부로 방출되는 것을 방지한다.
그리고, 마지막으로 수작업으로 스크랩에 포함된 각종 물질을 작업자가 직접 제거하는 인력 선별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공정을 완료한 스크랩은 고순도의 저 망간 스크랩만 선별되고, 압축부를 통과하면서 일정 사이즈의 압축 스크랩을 제조한다.
스크랩 압축 시스템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와 같은 파쇄공정을 통과하면서 일정 사이즈로 파쇄된 스크랩이 투입되는 스크랩 투입부(102)와, 스크랩 투입부(102)를 통해 공급되는 스크랩이 저장되는 호퍼 유닛(110)과, 호퍼 유닛(110)에 저장된 정량의 스크랩이 공급되어 직육면체 형태로 압축하는 제1압축유닛(120)과, 제1압축유닛(120)과 이웃하여 배치되고 호퍼 유닛(110)에서 정량의 스크랩이 공급되어 직육면체 형태로 압축하는 제2압축유닛(130)과, 제1압축유닛(120) 및 제2압축유닛(130)에서 직육면체 형태로 압축된 압축 스크랩이 배출되는 압축 스크랩 배출유닛(140)과, 호퍼 유닛(110)에 설치되어 제1압축유닛(120)과 제2압축유닛(130)에 교대로 스크랩을 정량 공급하는 스크랩 공급유닛을 포함한다.
스크랩 투입부(102)는 벨트 컨베이어로 구성되어 위의 폐차 파쇄 시스템을 통과하면서 일정 사이즈로 파쇄된 스크랩을 호퍼 유닛(110)에 공급하는 역할을 한다.
호퍼 유닛(110)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크랩 투입부(102)를 통해 스크랩이 공급되는 제1호퍼부(112)와, 제1호퍼부(112)와 제1통로(118)로 연결되어 제1압축유닛(120)으로 스크랩을 공급하는 제2호퍼부(114)와, 제1호퍼부(112)와 제2통로(122)로 연결되어 제2압축유닛(130)으로 스크랩을 공급하는 제3호퍼부(116)를 포함한다.
스크랩 공급유닛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호퍼 유닛(110)으로 투입되는 스크랩의 중량을 측정하는 중량 측정부(132)와, 제1호퍼부(112)로 투입된 스크랩을 제1통로(118)와 제2통로(122)에 교대로 공급하도록 공급방향을 전환하는 공급방향 전환부(160)과, 제2호퍼부(114)에 설치되어 제2호퍼부(114)에 저장된 스크랩의 중량이 설정 중량이 되면 제2호퍼부(114)에 저장된 스크랩을 제1압축유닛(120)으로 공급하는 제1도어부(162)과, 제3호퍼부(116)에 설치되어 제3호퍼부(116)에 저장된 스크랩의 중량이 설정 중량이 되면 제3호퍼부(116)에 저장된 스크랩을 제2압축유닛(130)으로 공급하는 제2도어부(164)와, 중량 측정부(132)로부터 인가되는 신호에 따라 중량 측정부, 제1도어부 및 제2도어부를 제어하는 제어유닛(170)을 포함한다.
공급방향 전환부(160)는 제1호퍼부(112)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는 회전축(160a)과, 회전축(160a)에 고정되고 제1통로(118)와 제2통로(122)가 교대로 제1호퍼부(112)와 연통되도록 하는 방향 전환부재(160b)와, 회전축(160a)을 회전시키는 구동유닛(미도시)을 포함한다.
제1도어부(162)는 제2호퍼부(114)의 하측에 형성되는 입구부를 개폐하는 것이고, 제2도어부(164)는 제3호퍼부(116)의 하측에 형성되는 입구부를 개폐하는 것으로, 제어유닛(170)으로부터 신호가 인가되면 교대로 개폐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크랩 공급유닛의 작용을 설명한다.
먼저, 스크랩 투입부(102)를 통해 제1호퍼부로 스크랩이 투입되면 공급방향 전환부의 방향 전환부재가 제2통로를 막아 제1호퍼부로 투입되는 스크랩이 제1통로로 공급되고 제2호퍼부에 저장된다. 이때, 제2호퍼부에 설치되는 중량 측정부에서 스크랩의 무게를 측정하여 그 신호를 제어유닛으로 인가한다.
그러면 제어유닛은 스크랩의 무게가 설정 무게가 되면 제1도어를 작동하여 제2호퍼부에 저장된 스크랩을 제1압축유닛으로 공급함과 아울러 방향 전환부를 작동하여 제1통로를 막고 제2통로를 개방하여 제1호퍼부로 투입되는 스크랩이 제2통로를 통해 제3호퍼부로 저장되도록 한다.
이와 같이, 스크랩이 제3호퍼부에 저장되는 시간동안 제1압축유닛은 스크랩 압축 작업을 진행한다. 이때, 제3호퍼부로 스크랩을 설정 중량만큼 저장하는 시간과 제1압축유닛이 스크랩을 압축하는 시간이 거의 동일하여 스크랩이 제3호퍼부에 저장되는 동안 제1압축유닛이 스크랩 압축 작업을 수행하고, 반대로 제2호퍼부에 스크랩을 저장하는 동안 제2압축유닛이 스크랩 압축 작업을 수행한다.
따라서, 스크랩을 투입하는 동안 스크랩 압축작업을 멈출 필요가 없어 작업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
제1압축유닛(120)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에 스크랩이 압축되는 압축공간(192)이 구비되는 바디부(180)와, 바디부(180)의 측면이 개방된 제1개구부(190)와 연통되게 설치되고 제2호퍼부(114)에 저장된 스크랩이 개방된 제1개구부(190)를 통해 압축공간으로 투입하는 투입호퍼(182)와, 바디부(180)의 제1개구부에 직선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스크랩을 가압하여 압축하는 압축부(184)와, 바디부(180)의 제2개구부(194)에 직선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압축공간에서 압축된 압축 스크랩을 배출하도록 푸시하는 푸시부(186)와, 바디부(180)의 제3개구부(190)에 설치되어 제3개구부(190)를 개폐하는 도어부(196)를 포함한다.
제2압축유닛(130)은 위에서 설명한 제1압축유닛(120)과 동일한 구조를 갖는다.
압축부(184), 푸시부(186) 및 도어부(196)는 각각 압축공간(192)의 측면 부분을 형성하면서 유압 실린더와 연결되어 직선 이동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제1압축유닛의 작용을 제2호퍼부(114)에 저장된 스크랩이 투입호퍼(182)로 투입되면 압축부(184)가 작동되어 투입호퍼(182)에 저장된 스크랩을 바디부(180)의 압축공간(192)으로 밀어 넣어줌과 아울러 가압하여 스크랩이 압축공간과 동일한 직육면체 형태로 압축한다.
그리고, 도어부(196)가 작동되어 바디부(180)의 제3개구부(190)가 개방되고 푸시부(186)가 작동되면 압축공간(192) 내부에 있는 직육면체 형태의 압축 스크랩이 제2개구부(190)를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압축공간(192)에서 배출된 스크랩은 압축 스크랩 배출부(140)에 의해 이동되어 적재된다.
압축 스크랩 배출유닛(140)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압축유닛(120)과 제2압축유닛(130) 사이에 배치되어 압축 스크랩(210)이 일렬로 이동되는 이동 레일부(212)와, 제1압축유닛(120) 및 제2압축유닛(130)에서 교대로 압축 스크랩(210)이 배출되면 압축 스크랩(210)을 푸시하여 이동 레일부(212)로 이동시키는 압축 스크랩 푸시유닛(214)과, 이동 레일부(212)에 일렬로 배열된 압축 스크랩(210)을 자력을 이용하여 들어올린 후 차례로 적층하는 전자석 이동장치를 포함한다.
여기에서, 제1압축유닛(120)의 압축 스크랩 배출통로(220)와 제2압축유닛(130)의 압축 스크랩 배출통로(222)가 서로 마주보게 배치되고 그 중간에 이동 레일부(212)가 설치되어 제1압축유닛(120)과 제2압축유닛(130)에서 교대로 배출되는 압축 스크랩(210)이 모두 하나의 이동 레일부(212)로 이동될 수 있도록 한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을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를 들어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정신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경과 수정이 가능할 것이다.
90: 스크랩 압축 시스템 102: 스크랩 투입부
110: 호퍼유닛 112; 제1호퍼부
114: 제2호퍼부 116: 제3호퍼부
118: 제1통로 122: 제2통로
120: 제1압축유닛 130: 제2압축유닛
140: 압축 스크랩 배출유닛


Claims (6)

  1. 일정 사이즈로 파쇄된 스크랩이 투입되는 스크랩 투입유닛;
    상기 스크랩 투입유닛를 통해 공급되는 스크랩이 저장되는 호퍼 유닛;
    상기 호퍼 유닛에 저장된 정량의 스크랩이 공급되어 직사각형 형태로 압축하는 제1압축유닛;
    상기 제1압축유닛과 이웃하여 배치되고 제1압축유닛과 교대로 스크랩을 압축하는 제2압축유닛;
    상기 호퍼 유닛에 설치되어 제1압축유닛과 제2압축유닛에 교대로 스크랩을 정량 공급하는 스크랩 공급유닛; 및
    상기 제1압축유닛 및 제2압축유닛에서 압축된 압축 스크랩을 배출하는 압축 스크랩 배출유닛; 을 포함하며,
    상기 호퍼 유닛은,
    스크랩 투입부에서 스크랩이 투입되는 제1호퍼부; 상기 제1호퍼부와 제1통로로 연결되고 제1압축유닛으로 스크랩을 공급하는 제2호퍼부; 및 상기 제1호퍼부와 제2통로로 연결되고 제2압축유닛으로 스크랩을 공급하는 제3호퍼부를 포함하고,
    상기 스크랩 공급유닛은,
    제1호퍼부로 투입된 스크랩이 제1통로와 제2통로에 교대로 공급하도록 공급방향을 전환하는 공급방향 전환부;
    상기 제2호퍼부에 설치되어 제2호퍼부를 개폐하는 제1도어부;
    상기 제3호퍼부에 설치되어 제3호퍼부를 개폐하는 제2도어부;
    상기 제2호퍼부 및 제3호퍼부에 설치되어 제2호퍼부 및 제3호퍼부에 저장되는 스크랩의 무게를 측정하는 중량 측정부; 및
    상기 중량 측정부에서 인가되는 신호에 따라 공급방향 전환부, 제1도어부 및 제2도어부를 제어하는 제어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차 스크랩 압축 시스템.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유닛은 중량 측정부에서 인가되는 신호에 따라 제2호퍼부 및 제3호퍼부에 저장되는 스크랩의 무게가 설정치에 도달하면 제2도어부 및 제3도어부를 개방하여 스크랩을 제1압축유닛 및 제2압축유닛으로 공급하고 공급방향 전환부를 작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차 스크랩 압축 시스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압축유닛은 내부에 스크랩이 압축되는 압축공간이 구비되는 바디부;
    상기 바디부의 측면이 개방된 제1개구부와 연통되게 설치되고 제2호퍼부에 저장된 스크랩이 개방된 제1개구부를 통해 압축공간으로 투입하는 투입호퍼;
    상기 바디부의 제1개구부에 직선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스크랩을 가압하여 압축하는 압축부;
    상기 바디부의 제2개구부에 직선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압축공간에서 압축된 압축 스크랩을 배출하도록 푸시하는 푸시부; 및
    상기 바디부의 제3개구부에 설치되어 제3개구부를 개폐하는 도어부를 포함하는 폐차 스크랩 압축 시스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압축 스크랩 배출유닛은 제1압축유닛과 제2압축유닛 사이에 배치되고 압축 스크랩이 일렬로 이동되는 이동 레일부;
    상기 제1압축유닛 및 제2압축유닛에서 교대로 압축 스크랩이 배출되면 압축 스크랩을 푸시하여 이동 레일부로 이동시키는 압축 스크랩 푸시유닛; 및
    상기 이동 레일부에 일렬로 배열된 압축 스크랩을 자력을 이용하여 들어올린 후 차례로 적층하는 전자석 이동장치를 포함하는 폐차 스크랩 압축 시스템.


KR1020180044483A 2018-04-17 2018-04-17 폐차 스크랩 압축 시스템 KR10191683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44483A KR101916839B1 (ko) 2018-04-17 2018-04-17 폐차 스크랩 압축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44483A KR101916839B1 (ko) 2018-04-17 2018-04-17 폐차 스크랩 압축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16839B1 true KR101916839B1 (ko) 2018-11-08

Family

ID=643299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44483A KR101916839B1 (ko) 2018-04-17 2018-04-17 폐차 스크랩 압축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1683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939933A (zh) * 2022-05-31 2022-08-26 常德市三一机械有限公司 上料系统、上料控制方法、搅拌站及上料控制装置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16574B1 (ko) * 2017-07-14 2018-01-09 한석희 캔 재활용 처리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16574B1 (ko) * 2017-07-14 2018-01-09 한석희 캔 재활용 처리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939933A (zh) * 2022-05-31 2022-08-26 常德市三一机械有限公司 上料系统、上料控制方法、搅拌站及上料控制装置
CN114939933B (zh) * 2022-05-31 2024-01-23 常德市三一机械有限公司 上料系统、上料控制方法、搅拌站及上料控制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97250B1 (ko) 건설폐기물 선별장치
US6974097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orting recyclable products
KR101556406B1 (ko) 작업효율성을 향상시킨 재활용쓰레기 선별시스템
KR102392207B1 (ko) 비철금속의 파분쇄에 의한 선별 분리장치 및 그 분리방법
KR102222636B1 (ko) 폐기물자원 재활용장치
KR101916839B1 (ko) 폐차 스크랩 압축 시스템
KR101768096B1 (ko) 슬래그 처리장치
KR101732689B1 (ko) 폐차잔재 재활용 처리시스템
KR101665501B1 (ko) 폐차 잔재물 선별장치 및 이를 이용한 선별방법
US8002211B2 (en) Scrap material shredding and compressing apparatus and system
KR101550491B1 (ko) 산업 폐기물 및 지금고철 순도를 극대화하기 위한 파쇄 및 선별 시스템
KR101976775B1 (ko) 폐차잔재 재활용 처리장치
WO2017159603A1 (ja) プレス装置及び該プレス装置を用いた金属小スクラップのプレス法
US9156191B2 (en) Method for processing a textile fraction, which was produced in the processing of discarded tires, and installation for implementing the method
KR101647947B1 (ko) 엔진 블럭 파쇄 및 비철 선별시스템
CN210450269U (zh) 垃圾筛分车
JP7172936B2 (ja) ごみ分別処理方法及び装置
KR20230020763A (ko) 순도가 좋은 고철만을 선별하여 재생 자원화 가능한 파쇄 및 선별 시스템
KR20220046745A (ko) 석탄 공급용 괴탄 처리 설비
KR100765085B1 (ko) 고로 빈 트리퍼의 슈트막힘 제거장치
JPH0826408A (ja) 再生資源回収車
WO2009066137A2 (en) Unit for separating glass from multi-materials
KR20190036283A (ko) 폐차잔재 재활용 풍력선별기
KR102611695B1 (ko) 폐기물 파쇄 및 선별 시스템
US20100078360A1 (en) Waste recycling apparatus and process thereof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