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68096B1 - 슬래그 처리장치 - Google Patents

슬래그 처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68096B1
KR101768096B1 KR1020160036705A KR20160036705A KR101768096B1 KR 101768096 B1 KR101768096 B1 KR 101768096B1 KR 1020160036705 A KR1020160036705 A KR 1020160036705A KR 20160036705 A KR20160036705 A KR 20160036705A KR 101768096 B1 KR101768096 B1 KR 10176809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lag
unit
iron
magnetic force
convey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367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62751A (ko
Inventor
윤영환
박관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스코플랜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스코플랜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스코플랜텍
Priority to KR102016003670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68096B1/ko
Publication of KR201600627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6275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6809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6809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BMANUFACTURE OF IRON OR STEEL
    • C21B3/00General features in the manufacture of pig-iron
    • C21B3/04Recovery of by-products, e.g. sla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23/00Auxiliary methods or auxiliary device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crushing or disintegrating not provided for in preceding groups or not specially adapted to apparatus covered by a single preceding group
    • B02C23/08Separating or sorting of material, associated with crushing or disintegra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3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USING LIQUIDS OR USING PNEUMATIC TABLES OR JIGS; 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1/00Magnetic separation
    • B03C1/02Magnetic separation acting directly on the substance being separated
    • B03C1/16Magnetic separation acting directly on the substance being separated with material carriers in the form of bel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3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USING LIQUIDS OR USING PNEUMATIC TABLES OR JIGS; 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1/00Magnetic separation
    • B03C1/02Magnetic separation acting directly on the substance being separated
    • B03C1/23Magnetic separation acting directly on the substance being separated with material carried by oscillating fields; with material carried by travelling fields, e.g. generated by stationary magnetic coils; Eddy-current separators, e.g. sliding ramp
    • B03C1/24Magnetic separation acting directly on the substance being separated with material carried by oscillating fields; with material carried by travelling fields, e.g. generated by stationary magnetic coils; Eddy-current separators, e.g. sliding ramp with material carried by travelling fields
    • B03C1/247Magnetic separation acting directly on the substance being separated with material carried by oscillating fields; with material carried by travelling fields, e.g. generated by stationary magnetic coils; Eddy-current separators, e.g. sliding ramp with material carried by travelling fields obtained by a rotating magnetic dru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3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USING LIQUIDS OR USING PNEUMATIC TABLES OR JIGS; 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1/00Magnetic separation
    • B03C1/02Magnetic separation acting directly on the substance being separated
    • B03C1/30Combinations with other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BPRODUCTION AND REFINING OF METALS; PRETREATMENT OF RAW MATERIALS
    • C22B7/00Working up raw materials other than ores, e.g. scrap, to produce non-ferrous metals and compounds thereof; Methods of a general interest or applied to the winning of more than two metals
    • C22B7/04Working-up sla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10/00Technologies related to metal processing
    • Y02P10/20Recycling
    • Y02P10/212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50Reuse, recycling or recovery technolog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50Reuse, recycling or recovery technologies
    • Y02W30/52Mechanical processing of waste for the recovery of materials, e.g. crushing, shredding, separation or disassembly
    • Y02W30/521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tallurgy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Geology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rocessing Of Solid Waste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슬래그 처리장치는, 슬래그를 크기별로 선별하는 슬래그선별유닛; 상기 슬래그선별유닛에 의해 선별된 상대적으로 입자가 작은 상기 슬래그를 파쇄하는 슬래그파쇄유닛; 상기 슬래그파쇄유닛에 의해 파쇄된 상기 슬래그에서 철을 분리하는 철분리유닛; 및 상기 슬래그선별유닛, 슬래그파쇄유닛, 및 철분리유닛 사이에서 상기 슬래그를 이송시키는 슬래그이송라인;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슬래그 처리장치{APPARATUS FOR TREATING SLAG}
본 발명은 슬래그 처리장치로서, 고로에서 발생하는 슬래그를 처리하는 슬래그 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라 고로 슬래그를 처리하는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제강 슬래그에 포함된 철, 실리콘, 마그네슘, 망간 등을 매립장에 매립하거나 폐기처분한다.
이에 따라, 슬래그를 상차장비(1)로 상차한 후 운반장비(2)로 운반하는 슬래그의 처리비용(적재, 운반, 하역) 발생은 물론, 슬래그에 포함된 철 성분의 재활용이 곤란하고, 매립에 따라 빗물 유입 시 침출수가 발생하고, 이로 인하여 심각한 토양 및 수질오염의 원인이 되는 등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서, 슬래그를 재활용하도록 처리하는 슬래그 처리장치를 제공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슬래그 처리장치는, 슬래그를 크기별로 선별하는 슬래그선별유닛; 상기 슬래그선별유닛에 의해 선별된 입자가 큰 슬래그와 입자가 작은 슬래그 중 입자가 작은 슬래그를 파쇄하는 슬래그파쇄유닛; 상기 슬래그파쇄유닛에 의해 파쇄된 상기 슬래그에서 철을 분리하는 철분리유닛; 및 상기 슬래그선별유닛, 슬래그파쇄유닛, 및 철분리유닛 사이에서 상기 슬래그를 이송시키는 슬래그이송라인;을 포함하며,
상기 슬래그선별유닛, 슬래그파쇄유닛, 철분리유닛, 슬래그이송라인에서의 상기 슬래그로부터 비산되는 분체를 집진하여 처리하는 집진설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집진설비는, 상기 슬래그로부터 비산되는 분체를 흡입하여 집진하는 집진기; 및 상기 집진기에 집진된 상기 분체를 분체저장부재로 이송시키는 분체이송부;를 구비하며,
상기 분체이송부는, 상기 분체가 이송 중에 저장되는 중간저장호퍼; 상기 분체가 최종저장되는 최종저장부재; 상기 집진기로부터 상기 분체를 상기 중간저장호퍼로 정량이송시키는 스크류관; 상기 중간저장호퍼의 배출구보다 높은 상기 최종저장부재의 입구와 상기 중간저장호퍼의 배출구를 연결하도록, 상기 최종저장부재 측으로 상방경사진 이송배관; 및 상기 이송배관에 공기압을 제공하여 상기 분체에 대한 이송력을 증대시키도록, 이송배관에서 상기 최종저장부재의 반대 측 단부에 장착된 공기압발생기;를 구비하며,
상기 이송배관은 상기 중간저장호퍼의 배출구와의 연결부위가 상대적으로 직경이 작으며, 상기 최종저장부재의 상부에는 상기 공기압발생기에 의해 유입된 공기를 배출시키는 공기배출부재가 장착된다.
여기에서,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슬래그선별유닛은, 원통형으로서 경사지게 배치되며 상하부가 개구되고 측부에 통과홀이 형성되며, 축회전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다른 실시예에 따른 상기 슬래그선별유닛은, 박스형으로서 상부가 개구되고 평평한 바닥에 통과홀이 형성되고, 진동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슬래그선별유닛은 복수 개가 배치되고, 상기 슬래그파쇄유닛은 복수 개의 상기 슬래그선별유닛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슬래그선별유닛으로부터 상기 슬래그파쇄유닛 또는 상기 슬래그파쇄유닛 및 철분리유닛을 거쳐 다시 동일한 상기 슬래그선별유닛으로 회수되도록 슬래그회수라인이 형성될 수 있다.
나아가, 본 발명은 상기 슬래그파쇄유닛과 철분리유닛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슬래그를 건조시키는 슬래그건조유닛;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슬래그건조유닛은, 상하부가 개구되며, 경사지게 배치되어 축회전하는 건조통; 상기 건조통 내부로 열풍을 공급하는 열풍기; 및 상기 건조통 내부에서 상기 슬래그를 들어올린 후 낙하시키도록, 상기 건조통의 내면에 돌출되게 형성된 리프터;를 구비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철분리유닛은, 상기 슬래그를 이송시키는 제1 컨베이어; 상기 제1 컨베이어의 상측에서 상기 제1 컨베이어를 가로지르게 배치된 제2 컨베이어; 및 상기 제2 컨베이어의 내측에서 상기 제1 컨베이어와 마주보는 부분에 배치되며, 비회전되게 위치고정된 자력발생부재;를 구비하며, 상기 제1 컨베이어에서 이송되는 상기 슬래그에 포함된 철이, 상기 자력발생부재에 의해 발생된 자력에 이끌려 상기 제2 컨베이어에 부착된 후, 상기 제2 컨베이어의 회전에 의해 상기 자력발생부재의 자력범위를 벗어나면 상기 제2 컨베이어로부터 철수거부재로 떨어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서, 상기 철분리유닛은, 축회전하는 분리통; 및 상기 분리통의 회전방향으로 상기 분리통의 내부에서 상측로부터 하측 후부까지 채워지며, 비회전되게 위치고정된 자력발생부재;를 구비하며, 상기 분리통에 낙하안착된 상기 슬래그에 포함된 철이, 상기 자력발생부재에 의해 발생된 자력으로 상기 분리통에 부착된 후, 상기 분리통의 회전에 의해 상기 자력발생부재의 자력범위를 벗어나면 상기 분리통으로부터 철수거부재로 떨어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에 더하여, 상기 철분리유닛은, 상기 슬래그의 이탈을 차단하도록 상기 분리통을 감싸며, 상부에 상기 슬래그가 인입되는 슬래그인입구가, 하측 후부에 상기 철이 배출되는 철배출구가, 하측 전부에 상기 철이 분리된 상기 슬래그가 배출되는 슬래그배출구가 형성된 커버;를 더 구비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철분리유닛의 전단에 배치되어 상기 슬래그를 비적층시키면서 상기 철분리유닛으로 이송시키는 슬래그절출유닛;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슬래그절출유닛은, 상기 슬래그가 안착되는 받침부재; 및 상기 슬래그의 입자들이 비적층되면서 상기 받침부재의 폭방향으로 퍼지도록, 상기 받침부재를 횡방향 진동시키는 진동구동부재;를 구비할 수 있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본 발명에 따른 슬래그 처리장치는, 슬래그를 이송하면서 선별, 파쇄, 및 철 분리를 하도록 구성됨으로써, 슬래그를 폐기하지 않고 재활용할 수 있으며, 특히 슬래그에 포함된 철을 분리하여 효과적으로 재활용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나아가, 슬래그의 매립 또는 폐기로 인하여 발생하는 환경오염을 줄일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라 고로 슬래그를 처리하는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슬래그 처리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도 2의 슬래그 처리장치의 집진설비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도면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슬래그 처리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면에 도시된 본 발명의 슬래그 처리장치에 의한 슬래그 처리공정을 간단하게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슬래그를 슬래그장입호퍼(10)에 장입한 후, 원통 구조인 슬래그선별유닛(100)으로 크기별로 선별하고, 슬래그파쇄유닛(200)으로 파쇄한 후, 박스 구조인 슬래그선별유닛(100)으로 더 작은 입자로 선별한다. 이때, 박스 구조인 슬래그선별유닛(100)에서 입자가 커서 통과하지 못한 슬래그를 슬래그회수라인(R)을 통해 슬래그파쇄유닛(200)으로 회수할 수 있다.
다음으로, 슬래그를 슬래그건조유닛(300)으로 건조시키고, 첫 번째 철분리유닛(400)으로 철을 50%정도 1차 분리하여 철수거부재(440)로 수거하고 두 번째 철분리유닛(400)으로 철을 30%정도 2차 분리하여 철수거부재(440)로 수거한 후, 박스 구조의 슬래그선별유닛(100)으로 더욱더 작은 입자로 선별한다.
그 다음으로, 슬래그를 슬래그절출유닛(500)으로 비적층시키면서 이송하여 세 번째 철분리유닛(400)으로 철을 20%정도 3차 분리하여 철수거부재(480)로 수거한 후, 슬래그에 남은 미량의 철을 네 번재 철분리유닛(400)으로 완전하게 분리하여 철수거부재(480)로 수거한다.
마지막으로, 철이 제거된 슬래그를 박스 구조의 슬래그선별유닛(100)으로 선별하여 슬래그저장부재(20)로 저장한다.
이와 같은 슬래그 처리공정을 통해, 슬래그로부터 분리된 철을 재활용하고, 철이 제거되고 실리콘, 마그네슘, 망간 등을 포함한 슬래그를 별도의 재활용장치에서 재활용하거나 폐기할 수 있다.
그러면, 여기에서 본 발명의 슬래그 처리장치에 대해 알아보기로 한다.
본 발명의 슬래그 처리장치는, 슬래그선별유닛(100), 슬래그파쇄유닛(200), 철분리유닛(400), 및 슬래그이송라인을 포함한다.
먼저, 상기 슬래그선별유닛(100)은 슬래그를 크기별로 선별하도록 구성된다.
이때, 일 실시예에 따른 슬래그선별유닛(100)은 원통형으로서 경사지게 배치되며 상하부가 개구되고 측부에 통과홀이 형성되며, 축회전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슬래그는 선별원통의 개구된 상부로 인입되어 개구된 하부 측으로 이동하는 과정에서, 측부에 형성된 통과홀을 통해 상대적으로 입자가 작은 슬래그만이 통과함으로써 크기별로 선별된다.
이와 같이 슬래그를 슬래그선별유닛(100)에 의해 크기별로 선별할 수 있음으로써, 다음 공정의 슬래그파쇄유닛(200)에 의해 파쇄할 수 있을 정도의 입자 크기를 가진 슬래그를 추출함에 따라, 슬래그파쇄유닛(200)이 파쇄작업을 원활하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슬래그선별유닛(100)은 박스형으로서 상부가 개구되고 평평한 바닥에 통과홀이 형성되며, 진동되도록 구성됨으로서, 통과홀을 통해 상대적으로 입자가 작은 슬래그만이 통과함으로써 크기별로 선별된다.
또한, 상기 슬래그파쇄유닛(200)은 슬래그선별유닛(100)에 의해 선별된 슬래그를 더욱더 입자가 작게 되도록 파쇄한다.
이러한 슬래그파쇄유닛(200)은 슬래그를 파쇄하는 기능을 충실이 수행하면 될 뿐, 본 발명에 의해 한정되지 않고 종래의 어떠한 파쇄기기도 활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나아가, 상술된 슬래그선별유닛(100)은 복수 개 배치되고, 슬래그파쇄유닛(200)은 복수 개의 슬래그선별유닛(10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슬래그선별유닛(100)으로부터 슬래그파쇄유닛(200), 또는 슬래그파쇄유닛(200) 및 철분리유닛(400)을 거쳐 다시 동일한 슬래그선별유닛(100)으로 회수되도록 슬래그회수라인(R)이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슬래그회수라인(R)은 슬래그선별유닛(100)에 의해 선별된 슬래그를 슬래그파쇄유닛(200)을 거치도록 하거나, 슬래그파쇄유닛(200) 및 철분리유닛(400)을 거치도록 한 후, 다시 슬래그선별유닛(100)으로 회수함으로써, 슬래그의 입자를 더욱더 줄일 수 있다.
참고로, 전단 측에 배치된 슬래그선별유닛(100)보다 후단 측에 배치된 슬래그선별유닛(100)의 통과홀 크기가 상대적으로 작다.
그리고, 본 발명은 슬래그를 건조시키는 슬래그건조유닛(30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슬래그건조유닛(300)은 건조통(310), 상기 건조통(310) 내부로 열풍을 공급하는 열풍기(미도시), 및 상기 건조통(310) 내부에 장착된 리프터(320)를 구비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건조통(310)은 상하부가 개구되며, 경사지게 배치되어 축회전하도록 구성됨으로써, 개구된 상부를 통해 인입된 슬래그가 내측면을 타고 슬라이드하면서 하부 측으로 이동하게 된다.
또한, 상기 리프터(320)는 건조통(310) 내부에서 슬래그를 들어올린 후 낙하시키도록, 건조통(310)의 내면에 돌출되게 형성되며, 일례로서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ㄱ'자 형상의 날개구조를 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슬래그는 건조통(310)의 개구된 상부로 인입되어 개구된 하부 측으로 슬라이드 이동하는데, 건조통(310)의 회전에 의해 건조통(310)의 내면에 돌출된 리프터(320)에 의해 들어올려진 후 떨어지는 과정에서, 열풍기로부터 공급된 열풍에 의해 슬래그에 포함된 수분이 제거된다.
한편, 상기 철분리유닛(400)은 슬래그파쇄유닛(200)에 의해 파쇄된 슬래그에서 철을 분리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철분리유닛(400)은 일례로서 제1 컨베이어(410), 제2 컨베이어(420), 및 자력발생부재(430)를 구비할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제1 컨베이어(410)는 슬래그를 이송시키는 역할을 수행하며, 상기 제2 컨베이어(420)는 제1 컨베이어(410)의 상측에서 제1 컨베이어(410)를 가로지르게 배치된다.
또한, 상기 자력발생부재(430)는 제2 컨베이어(420)의 내측에서 제1 컨베이어(410)와 마주보는 부분에 배치되며, 비회전되게 위치고정된다.
이에 따라, 상기 제1 컨베이어(410)에서 이송되는 슬래그에 포함된 철이, 자력발생부재(430)에 의해 발생된 자력에 이끌려 제2 컨베이어(420)에 부착된 후, 제2 컨베이어(420)의 회전에 의해 자력발생부재(430)의 자력범위를 벗어나면 제2 컨베이어(420)로부터 철수거부재(440)로 떨어진다.
즉,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 컨베이어(410)에서 이송되는 슬래그에 포함된 철이, 자력발생부재(430)에 의해 발생된 자력에 이끌려 상승되어 제2 컨베이어(420)의 리턴부 중간위치에 부착된 후, 제2 컨베이어(420)의 회전에 의해 제2 컨베이어(420)의 리턴부 일측위치까지 또는 전환부까지 이동되어 자력발생부재(430)의 자력범위를 벗어나면, 제2 컨베이어(420)로부터 떨어져서 철수거부재(440)로 수거되어 재활용된다.
그리고, 상술된 철분리유닛(400)의 후단에 다른 실시예의 철분리유닛(400)이 설치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의 철분리유닛(400)은, 축회전하는 분리통(460)과, 상기 분리통(460) 내부에 위치고정된 자력발생부재(470)를 구비할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자력발생부재(470)는 분리통(460)의 회전방향으로 분리통(460)의 내부에서 상측로부터 하측 후부까지 채워질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분리통(460)에 낙하안착된 슬래그에 포함된 철이, 자력발생부재(470)에 의해 발생된 자력으로 분리통(460)에 부착된 후, 분리통(460)의 회전에 의해 자력발생부재(470)의 자력범위를 벗어나면 분리통(460)으로부터 떨어져서 철수거부재(480)로 수거되어 재활용된다.
또한, 상기 철분리유닛(400)은 슬래그의 이탈을 차단하도록 분리통(460)을 감싸는 커버(490)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이러한 커버(490)는 상부에 슬래그가 인입되는 슬래그인입구가, 하측 후부에 철이 배출되는 철배출구가, 하측 전부에 철이 분리된 슬래그가 배출되는 슬래그배출구가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커버(490)의 슬래그인입구로 인입된 슬래그가 분리통(460)의 외면에 낙하안착되어, 이러한 슬래그에 있어서 철만이 자력발생부재(470)에 의해 발생된 자력으로 분리통(460)의 외면에 부착된 후, 분리통(460)의 회전에 의해 분리통(460)의 하측 후부까지 이동되어 자력발생부재(470)의 자력범위를 벗어나면 분리통(460)으로부터 떨어져서 커버(490)의 철배출구를 통해 배출된다.
이때, 철이 분리된 슬래그는 분리통(460)의 회전에 의해 분리통(460)의 하측 전부까지 이동되어 분리통(460)으로부터 떨어져서 커버(490)의 슬래그배출구를 통해 배출된다.
참고로, 상기 분리통(460)은 자력이 잘 통과되는 철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아울러, 상술된 각 실시예들의 자력발생부재(430)(470)는 영구자석 또는 전자석이 활용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철분리유닛(400)의 전단에 배치되어 슬래그를 비적층시키면서 철분리유닛(400)으로 이송시키는 슬래그절출유닛(50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슬래그절출유닛(500)은 상부와 일측부가 개구되고 바닥이 평평하며, 경사지게 배치되어 횡진동하는 구조를 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슬래그절출유닛(500)은 바닥에 안착된 슬래그의 입자들이 비적층되면서 폭방향으로 퍼지게 되어, 즉 바닥에 얇게 펴진 형태로 되어, 후단에 배치된 철분리유닛(400)으로 이송됨으로써, 철분리유닛(400)의 분리통(460) 외면에 폭방향으로 균일하게 떨어지도록 함에 따라, 슬래그에 포함된 철이 효과적으로 분리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슬래그이송라인은 도면에 화살표로 표시된 것으로서, 상술된 슬래그선별유닛(100), 슬래그파쇄유닛(200), 및 철분리유닛(400)을 포함하여 상술되는 각각의 유닛 사이에서 슬래그를 이송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으데, 바람직한 일례로서 컨베이어가 활용될 수 있으며, 본 발명에 한정되지 않고 종래의 어떠한 이송수단도 활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3은 도 2의 슬래그 처리장치의 집진설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슬래그 처리장치는, 상술된 슬래그선별유닛(100), 슬래그파쇄유닛(200), 철분리유닛(400), 슬래그이송라인에서의 슬래그로부터 비산되는 분체를 집진하여 처리하는 집진설비(6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집진설비(600)는 슬래그로부터 비산되는 분체를 흡입하여 집진하는 집진기(610)와, 상기 집진기(610)에 집진된 분체를 분체저장부재로 이송시키는 분체이송부를 구비할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집진기(610)는 본 발명이 설치된 설치공간에서 슬래그로부터 비산되는 분체를 흡입하여 효과적으로 집진하도록 구성되면 될 뿐, 본 발명에 의해 한정되지 않고 종래의 어떠한 집진수단도 활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그리고, 상기 분체이송부는 중간저장호퍼(621), 최종저장부재(622), 스크류관(623), 이송배관(624), 및 공기압발생기(625)를 구비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중간저장호퍼(621)는 분체가 이송 중에 저장되는 중간단계의 호퍼이며, 상기 최종저장부재(622)는 분체가 최종적으로 저장되는 부재이며, 상기 스크류관(623)은 집진기(610)로부터 분체를 중간저장호퍼(621)로 정량이송시키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이송배관(624)은 중간저장호퍼(621)의 배출구보다 높은 최종저장부재(622)의 입구와 중간저장호퍼(621)의 배출구를 연결하도록, 최종저장부재(622) 측으로 상방경사진 구조를 취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공기압발생기(625)는 이송배관(624)에 공기압을 제공하여 분체에 대한 이송력을 증대시키도록, 이송배관(624)에서 최종저장부재(622)의 반대 측 단부에 장착될 수 있다.
이에 더하여, 상기 이송배관(624)은 중간저장호퍼(621)의 배출구와의 연결부위(624a)가 상대적으로 직경이 작게 형성됨으로써, 상대적으로 압력이 낮아짐에 따라 중간저장호퍼(621)의 배출구로부터 분체가 용이하게 인입되고, 최종저장부재(622) 측으로도 보다 빠른 속도로 분체가 이송될 수 있다.
나아가, 최종저장부재(622)의 상부에는 공기압발생기(625)에 의해 유입된 공기를 배출시키는 공기배출부재(626)가 장착됨으로써, 밀폐된 최종저장부재(622)에 유입되는 공기를 원활하게 배출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집진설비(600)에 의해 집진된 분체는 제철 세라믹 공정 등에서 재활용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상술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슬래그를 이송하면서 선별, 파쇄, 및 철 분리를 하도록 구성됨으로써, 슬래그를 폐기하지 않고 재활용할 수 있으며, 특히 슬래그에 포함된 철을 분리하여 효과적으로 재활용할 수 있다.
나아가, 슬래그의 매립 또는 폐기로 인하여 발생하는 환경오염을 줄일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 가능함은 물론이다.
10 : 슬래그장입호퍼 100 : 슬래그선별유닛
200 : 슬래그파쇄유닛 R : 슬래그회수라인
300 : 슬래그건조유닛 310 : 건조통
320 : 리프터 400 : 철분리유닛
410 : 제1 컨베이어 420 : 제2 컨베이어
430 : 자력발생부재 440 : 철수거부재
460 : 분리통 470 : 자력발생부재
480 : 철수거부재 490 : 커버
500 : 슬래그절출유닛 20 : 슬래그저장부재
600 : 집진설비 610 : 집진기
621 : 중간저장호퍼 622 : 최종저장부재
623 : 스크류관 624 : 이송배관
624a : 연결부위 625 : 공기압발생기
626 : 공기배출부재

Claims (15)

  1. 슬래그를 크기별로 선별하는 슬래그선별유닛; 상기 슬래그선별유닛에 의해 선별된 입자가 큰 슬래그와 입자가 작은 슬래그 중 입자가 작은 슬래그를 파쇄하는 슬래그파쇄유닛; 상기 슬래그파쇄유닛에 의해 파쇄된 상기 슬래그에서 철을 분리하는 철분리유닛; 및 상기 슬래그선별유닛, 슬래그파쇄유닛, 및 철분리유닛 사이에서 상기 슬래그를 이송시키는 슬래그이송라인;을 포함하며,
    상기 슬래그선별유닛, 슬래그파쇄유닛, 철분리유닛, 슬래그이송라인에서의 상기 슬래그로부터 비산되는 분체를 집진하여 처리하는 집진설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집진설비는, 상기 슬래그로부터 비산되는 분체를 흡입하여 집진하는 집진기; 및 상기 집진기에 집진된 상기 분체를 분체저장부재로 이송시키는 분체이송부;를 구비하며,
    상기 분체이송부는, 상기 분체가 이송 중에 저장되는 중간저장호퍼; 상기 분체가 최종저장되는 최종저장부재; 상기 집진기로부터 상기 분체를 상기 중간저장호퍼로 정량이송시키는 스크류관; 상기 중간저장호퍼의 배출구보다 높은 상기 최종저장부재의 입구와 상기 중간저장호퍼의 배출구를 연결하도록, 상기 최종저장부재 측으로 상방경사진 이송배관; 및 상기 이송배관에 공기압을 제공하여 상기 분체에 대한 이송력을 증대시키도록, 이송배관에서 상기 최종저장부재의 반대 측 단부에 장착된 공기압발생기;를 구비하며,
    상기 이송배관은 상기 중간저장호퍼의 배출구와의 연결부위가 상대적으로 직경이 작으며, 상기 최종저장부재의 상부에는 상기 공기압발생기에 의해 유입된 공기를 배출시키는 공기배출부재가 장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래그 처리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슬래그선별유닛은, 원통형으로서 경사지게 배치되며 상하부가 개구되고 측부에 통과홀이 형성되며, 축회전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래그 처리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슬래그선별유닛은, 박스형으로서 상부가 개구되고 평평한 바닥에 통과홀이 형성되며, 진동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래그 처리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슬래그선별유닛은 복수 개가 배치되고, 상기 슬래그파쇄유닛은 복수 개의 상기 슬래그선별유닛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슬래그선별유닛으로부터 상기 슬래그파쇄유닛 또는 상기 슬래그파쇄유닛 및 철분리유닛을 거쳐 다시 동일한 상기 슬래그선별유닛으로 회수되도록 슬래그회수라인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래그 처리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슬래그파쇄유닛과 철분리유닛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슬래그를 건조시키는 슬래그건조유닛;
    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래그 처리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슬래그건조유닛은,
    상하부가 개구되며, 경사지게 배치되어 축회전하는 건조통;
    상기 건조통 내부로 열풍을 공급하는 열풍기; 및
    상기 건조통 내부에서 상기 슬래그를 들어올린 후 낙하시키도록, 상기 건조통의 내면에 돌출되게 형성된 리프터;
    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래그 처리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철분리유닛은,
    상기 슬래그를 이송시키는 제1 컨베이어;
    상기 제1 컨베이어의 상측에서 상기 제1 컨베이어를 가로지르게 배치된 제2 컨베이어; 및
    상기 제2 컨베이어의 내측에서 상기 제1 컨베이어와 마주보는 부분에 배치되며, 비회전되게 위치고정된 자력발생부재;를 구비하며,
    상기 제1 컨베이어에서 이송되는 상기 슬래그에 포함된 철이, 상기 자력발생부재에 의해 발생된 자력에 이끌려 상기 제2 컨베이어에 부착된 후, 상기 제2 컨베이어의 회전에 의해 상기 자력발생부재의 자력범위를 벗어나면 상기 제2 컨베이어로부터 철수거부재로 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래그 처리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철분리유닛은,
    축회전하는 분리통; 및
    상기 분리통의 회전방향으로 상기 분리통의 내부에서 상측로부터 하측 후부까지 채워지며, 비회전되게 위치고정된 자력발생부재;를 구비하며,
    상기 분리통에 낙하안착된 상기 슬래그에 포함된 철이, 상기 자력발생부재에 의해 발생된 자력으로 상기 분리통에 부착된 후, 상기 분리통의 회전에 의해 상기 자력발생부재의 자력범위를 벗어나면 상기 분리통으로부터 철수거부재로 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래그 처리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철분리유닛은,
    상기 슬래그의 이탈을 차단하도록 상기 분리통을 감싸며, 상부에 상기 슬래그가 인입되는 슬래그인입구가, 하측 후부에 상기 철이 배출되는 철배출구가, 하측 전부에 상기 철이 분리된 상기 슬래그가 배출되는 슬래그배출구가 형성된 커버;
    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래그 처리장치.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철분리유닛의 전단에 배치되어 상기 슬래그를 비적층시키면서 상기 철분리유닛으로 이송시키는 슬래그절출유닛;
    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래그 처리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슬래그절출유닛은,
    상부와 일측부가 개구되고 바닥이 평평하며, 경사지게 배치되어 횡진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래그 처리장치.
  12. 삭제
  13. 삭제
  14. 삭제
  15. 삭제
KR1020160036705A 2016-03-28 2016-03-28 슬래그 처리장치 KR10176809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36705A KR101768096B1 (ko) 2016-03-28 2016-03-28 슬래그 처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36705A KR101768096B1 (ko) 2016-03-28 2016-03-28 슬래그 처리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62751A KR20160062751A (ko) 2016-06-02
KR101768096B1 true KR101768096B1 (ko) 2017-08-16

Family

ID=561358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36705A KR101768096B1 (ko) 2016-03-28 2016-03-28 슬래그 처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68096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01227B1 (ko) 2019-07-30 2021-01-11 주식회사 제이피에스 단위 고형화를 통한 슬래그 처리 시스템
KR102586721B1 (ko) 2023-05-16 2023-10-10 (주)비앤드케이 슬래그 이송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91014B1 (ko) * 2016-10-18 2016-12-29 (주)코어메탈 유가금속 회수장치
KR101691011B1 (ko) * 2016-10-18 2016-12-29 (주)코어메탈 철 분리 효율이 향상된 유가금속 회수장치
CN108940539A (zh) * 2018-08-24 2018-12-07 苏州石川制铁有限公司 一种炉渣再利用处理系统及其处理方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06477B1 (ko) * 2005-12-06 2007-04-10 주식회사 포스코 함철부산물의 분정광 재가공 방법
KR101417335B1 (ko) * 2012-09-03 2014-08-07 주식회사 포스코 고로 수재 슬래그 및 파이넥스 수재 슬래그를 활용한 골재 제조방법 및 골재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06477B1 (ko) * 2005-12-06 2007-04-10 주식회사 포스코 함철부산물의 분정광 재가공 방법
KR101417335B1 (ko) * 2012-09-03 2014-08-07 주식회사 포스코 고로 수재 슬래그 및 파이넥스 수재 슬래그를 활용한 골재 제조방법 및 골재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01227B1 (ko) 2019-07-30 2021-01-11 주식회사 제이피에스 단위 고형화를 통한 슬래그 처리 시스템
KR102586721B1 (ko) 2023-05-16 2023-10-10 (주)비앤드케이 슬래그 이송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62751A (ko) 2016-06-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68096B1 (ko) 슬래그 처리장치
CA1324987C (en) Apparatus and method for separating recyclable materials
US4139454A (en) Reclaiming system for scrap metals
US8695903B2 (en) Processing of steel making slag
KR101479188B1 (ko) 폐건축물에서 발생된 폐골재에 섞인 이물질 선별장치
US20140306037A1 (en) System and Method for Separation of Fiber and Plastics in Municipal Solid Waste
CN109967494B (zh) 一种处理建筑垃圾的工艺方法及系统装置
KR20130123083A (ko) 쓰레기 재활용 자원선별시스템
JP4315953B2 (ja) 混合廃棄物処理装置
JPH09194863A (ja) ごみからの固形燃料製造方法及び装置
JP2007289930A (ja) 破砕残渣からの有価物の回収方法および回収システム
KR20150004632A (ko) 재활용 쓰레기 처리장치
CN109201709A (zh) 一种废冰箱拆解筛选线
US3844491A (en) Material reclaiming and classifying apparatus
JPH07299381A (ja) 移動型磁選装置
KR101934522B1 (ko) 냉장고 및 세탁기 겸용 리싸이클링 시스템
KR20020029059A (ko) 폐기물선별장치
KR100937605B1 (ko) 폐기물 선별장치
JP2852347B2 (ja) 廃棄物分別処理方法及び装置
JP3274061B2 (ja) ごみ処理施設
US20100078360A1 (en) Waste recycling apparatus and process thereof
KR101362578B1 (ko) 폐기물로부터 고철을 분리하는 방법
KR101342724B1 (ko) 폐기물로부터 고철을 분리하는 시스템
JP3192447U (ja) 使用済みボトルの選別装置
CN220143655U (zh) 铝电容破碎分选生产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15R Request for early opening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