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13899A - 분진 포집 및 자동 포장 시스템 - Google Patents

분진 포집 및 자동 포장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13899A
KR20230013899A KR1020210094962A KR20210094962A KR20230013899A KR 20230013899 A KR20230013899 A KR 20230013899A KR 1020210094962 A KR1020210094962 A KR 1020210094962A KR 20210094962 A KR20210094962 A KR 20210094962A KR 20230013899 A KR20230013899 A KR 2023001389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ust
packaging bag
damper
unit
vacuu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949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07348B1 (ko
Inventor
박경신
김용표
Original Assignee
바테크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바테크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바테크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09496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07348B1/ko
Publication of KR2023001389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1389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0734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0734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42Auxiliary equipment or operation thereo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0027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with additional separating or treating func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02Particle separators, e.g. dust precipitators, having hollow filters made of flexible material
    • B01D46/023Pockets filters, i.e. multiple bag filters mounted on a common fram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4CENTRIFUGAL APPARATUS OR MACHINES FOR CARRYING-OUT 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 B04CAPPARATUS USING FREE VORTEX FLOW, e.g. CYCLONES
    • B04C5/00Apparatus in which the axial direction of the vortex is reversed
    • B04C5/24Multiple arrangement thereo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1/00Packaging fluent solid material, e.g. powders, granular or loose fibrous material, loose masses of small articles, in individual containers or receptacles, e.g. bags, sacks, boxes, cartons, cans, or jars
    • B65B1/30Devices or methods for controlling or determining the quantity or quality or the material fed or filled
    • B65B1/32Devices or methods for controlling or determining the quantity or quality or the material fed or filled by weigh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51/00Devices for, or methods of, sealing or securing package folds or closures; Devices for gathering or twisting wrappers, or necks of bags
    • B65B51/04Applying separate sealing or securing members, e.g. clips
    • B65B51/08Applying binding material, e.g. to twisted bag nec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7/00Closing containers or receptacles after filling
    • B65B7/02Closing containers or receptacles deformed by, or taking-up shape, of, contents, e.g. bags, sacks
    • B65B7/06Closing containers or receptacles deformed by, or taking-up shape, of, contents, e.g. bags, sacks by collapsing mouth portion, e.g. to form a single flap
    • B65B7/12Closing containers or receptacles deformed by, or taking-up shape, of, contents, e.g. bags, sacks by collapsing mouth portion, e.g. to form a single flap and twis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53/00Conveying materials in bulk through troughs, pipes or tubes by floating the materials or by flow of gas, liquid or foam
    • B65G53/04Conveying materials in bulk pneumatically through pipes or tubes; Air slides
    • B65G53/24Gas suction syste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53/00Conveying materials in bulk through troughs, pipes or tubes by floating the materials or by flow of gas, liquid or foam
    • B65G53/34Details
    • B65G53/36Arrangements of contain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65/00Loading or unloading
    • B65G65/30Methods or devices for filling or emptying bunkers, hoppers, tanks, or like containers, of interest apart from their use in particular 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or their application in particular machines, e.g. not covered by a single other subclass
    • B65G65/34Emptying devices
    • B65G65/40Devices for emptying otherwise than from the top
    • B65G65/46Devices for emptying otherwise than from the top using screw convey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1/00Indexing codes relating to handling devices, e.g. conveyor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product or load being conveyed or handled
    • B65G2201/04Bulk
    • B65G2201/042Granular materi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Basic Packing Techniqu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제조산업 현장에서 발생하는 분진을 포집하는 집진기에 연결되어 분진을 포집하고 포장백에 자동으로 포장할 수 있는 분진 포집 및 자동 포장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분진 포집 및 자동 포장 시스템은, 분진을 흡입하여 집진하는 집진기의 하단부에 형성된 제1분진배출구에 연통되게 설치되어 집진기의 제1분진배출구를 통해 낙하하는 분진을 1차적으로 포집하는 분진통; 상기 제1분진배출구를 개폐하는 집진기댐퍼; 상기 분진통의 하단부에 형성되어 있는 제2분진배출구에 연결되어 분진통의 하부에 포집된 분진을 흡입하여 2차 포집하는 진공집진부; 상기 진공집진부의 하단부에 형성된 제3분진배출구를 개폐하도록 설치되는 댐퍼유닛; 및, 상기 댐퍼유닛의 하측에 연결되어 상기 제3분진배출구를 통해서 배출되는 분진을 포집하는 유연한 재질의 포장백과, 상기 포장백 내부에 분진이 채워진 후 포장백의 상단부를 자동으로 밀봉하는 자동포장수단을 포함하는 분진포장부;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분진 포집 및 자동 포장 시스템{Dust Collecting And Packing System}
본 발명은 분진을 포집하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제조산업 현장에서 발생하는 분진을 포집하는 집진기에 연결되어 분진을 포집하고 포장백에 자동으로 포장할 수 있는 분진 포집 및 자동 포장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반도체 및 LCD공정 등 각종 제조산업의 작업장 내에는 더스트(dust) 및 각종 유해물질 불순물이 포함된 배기가스가 발생된다.
이러한 배기 가스는 질식성, 지연성, 가연성, 폭발성, 유독성 및 부식성이 강하기 때문에 인체에 유해할 뿐만 아니라 그대로 대기 중으로 방출될 경우 환경 오염을 유발하는 원인이 되기 때문에 반드시 외부로 배출되는 공기 내의 유해성분 함량을 허용 농도 이하로 낮추는 집진 처리 및 정화 처리 과정이 반드시 필요하다.
더불어, 반도체 공정 등 작업장 내에서 배출되는 배기 가스 내에 미세한 입자들이 포함되어 있으며, 이러한 미세 입자들이 대기로 배출되지 않도록 제거하여야 한다.
이에 본 출원인은 공개특허 제2017-0073453호에 작업장 내 발생하는 유해가스 내 미세분진을 외부에 누출하지 않도록 자동 포장 처리부까지 이송할 수 있는 유해분진 밀폐 이송 및 포장시스템을 제시한 바 있다.
이러한 유해분진을 포집하여 처리하는 분진 처리 시스템은 집진기에서 포집된 분진을 분진통으로 이송한 후 분진 포장기에서 흡입하여 처리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예를 들어, 도 1에 도시한 것과 같이, 종래의 분진 처리 시스템은 싸이클론 집진기(1)의 하부에 2개의 댐퍼(2a, 2b)가 연속하여 배치되고, 하측 댐퍼(2b)의 하부에 분진을 포집하기 위한 포장백(4)과 분진통(3)이 설치된다.
이러한 분진 처리 시스템에서는 싸이클론 집진기(1)의 상측 유입구(1a)를 통해 유입된 분진이 싸이클론 집진기(1)의 하단부 및 상측 댐퍼(2a) 위에 쌓이게 되고, 하부에 쌓인 분진을 하측의 분진통(3)으로 배출하고자 할 경우 싸이클론 집진기(1)의 유입구(1a) 및 배출구(1b)를 폐쇄하고, 상측 댐퍼(2a)와 하측 댐퍼(2b)를 순차적으로 개방하여 분진을 낙하시켜 분진통(3) 내에 수용된 비닐 포장백(4)에 포집하게 된다.
그런데, 이러한 종래의 분진 처리 시스템에서 분진을 포집하는 과정에서 싸이클론 집진기(1)의 유입구(1a) 및 배출구(1b)를 동시에 폐쇄하면 싸이클론 집진기(1) 내부에 저진공이 형성되어 상측 댐퍼(2a)가 개방되더라도 싸이클론 집진기(1)의 하부에 쌓인 분진이 하측으로 원활하게 낙하하지 않고 잔류하여 분진 포집 기능이 현저하게 저하되는 문제가 발생한다.
또한 싸이클론 집진기(1) 내부에 저진공이 형성됨에 따라 분진통(3) 내의 포장백(4)이 위로 빨려 올라가는 문제가 발생하게 되어,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포장백(4) 내부에 와이어네트(7)와 같은 별도의 구조물을 삽입하게 되는데, 이러한 와이어네트(7)는 포장백(4)을 포장할 때 작업자가 포장백(4) 내부에서 인출해야 하므로 작업이 번거롭고, 인출 작업 중 분진이 외부로 흘러나와 오염되는 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
그리고, 하측 댐퍼(2b)가 개방될 때 상측의 싸이클론 집진기(1) 내의 진공 상태가 파기되면서 공기가 급팽창하여 분진이 하측 댐퍼(2b) 바로 아래 쪽에서 급팽창하는 현상이 발생하게 되며, 이로 인해 분진이 분진통(3)과 하측 댐퍼(2a)의 댐퍼하우징을 연결하는 밴드(6) 사이로 누출되어 오염되는 문제도 발생한다. 이러한 분진의 누출은 포장백(4)을 포장할 때 작업자를 오염시켜 작업 환경을 저해하고, 포장의 어려움을 가중시키는 문제를 일으킨다.
또한 종래의 분진 처리 시스템은 작업자가 포장백을 수작업으로 포장해야 하므로 포장 작업 효율이 낮고, 포장 과정에서 분진에 오염될 가능성이 높은 문제도 있다.
이외에도 종래의 분진 처리 시스템은 댐퍼(2a, 2b)의 상부면과 싸이클론 집진기(1) 하단의 분진배출구 사이를 밀폐하는 패킹재에 분진이 쌓이면서 굳는 현상이 발생하고, 이로 인해 패킹 불량에 따른 분진 누출이 발생하는 문제도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7-0073453호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307600호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148210호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의 제반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집진기의 하부에 포집된 분진을 분진통으로 이송하는 과정에서 분진의 누출이나 급팽창없이 분진을 원활하게 이송할 수 있으며, 포집된 분진을 포장백 내에 원활하게 유입시켜 포집할 수 있는 분진 포집 및 자동 포장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포장백 내에 분진이 포집된 후 포장백을 자동으로 포장하여 작업자의 수고와 분진으로부터의 오염을 최소화할 수 있는 분진 포집 및 자동 포장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분진 포집 및 자동 포장 시스템은, 분진을 흡입하여 집진하는 집진기의 하단부에 형성된 제1분진배출구에 연통되게 설치되어 집진기의 제1분진배출구를 통해 낙하하는 분진을 1차적으로 포집하는 분진통; 상기 제1분진배출구를 개폐하는 집진기댐퍼; 상기 분진통의 하단부에 형성되어 있는 제2분진배출구에 연결되어 분진통의 하부에 포집된 분진을 흡입하여 2차 포집하는 진공집진부; 상기 진공집진부의 하단부에 형성된 제3분진배출구를 개폐하도록 설치되는 댐퍼유닛; 및, 상기 댐퍼유닛의 하측에 연결되어 상기 제3분진배출구를 통해서 배출되는 분진을 포집하는 유연한 재질의 포장백과, 상기 포장백 내부에 분진이 채워진 후 포장백의 상단부를 자동으로 밀봉하는 자동포장수단을 포함하는 분진포장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분진 포집 및 자동 포장 시스템은, 상기 분진통에 외부로 개방되게 형성되는 통기공과, 상기 통기공을 개폐하는 진공파기제어밸브와, 상기 통기공에 설치되어 통기공을 통한 분진통 내부로의 공기 유입만 허용하는 체크밸브를 포함하는 진공파기유닛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한 형태에 따른 분진 포집 및 자동 포장 시스템은, 상기 분진통의 하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분진통의 하부에 포집된 분진을 제2분진배출구 쪽으로 이송하는 제1스크류유닛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진공집진부는, 일측 상부에 상기 분진통의 제2분진배출구와 연통되는 분진유입구가 형성되고 일측 하단부에 분진을 배출하기 위한 제3분진배출구가 형성되어 있는 집진챔버를 구비한 집진부본체와, 상기 집진부본체의 일측에 연통되게 설치되어 상기 분진유입구로부터 집진챔버 내로 흡입력을 발생시키는 진공발생기와, 상기 진공발생기에 의해 흡입되는 공기 중의 분진을 걸러내는 필터와, 상기 집진챔버의 하부에 설치되어 집진챔버의 하부에 포집된 분진을 제3분진배출구 쪽으로 밀어내어 이송하는 제2스크류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분진통의 제2분진배출구와 상기 집진챔버의 분진유입구는 기다란 관 형태의 흡입관에 의해 연결되고, 상기 진공발생기를 구성하는 진공모터 및 흡기팬은 유연한 흡기관을 통해 집진부본체에 연결되어 흡입력을 발생시킬 수 있다.
상기 댐퍼유닛은 일측이 제3분진배출구와 연통되게 설치되는 함체 형태의 댐퍼하우징과, 댐퍼하우징의 내부에 댐퍼액추에이터에 의해 전후진하도록 설치되어 제3분진배출구를 개폐하는 제1댐퍼와, 제1댐퍼의 하부에 댐퍼작동모터에 의해 회전하도록 설치되어 댐퍼하우징의 하단부와 포장백의 상단부 사이의 공간을 차폐하는 제2댐퍼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분진포장부는 상기 포장백으로부터 가해지는 하중을 측정하는 중량측정센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자동포장수단은, 상기 포장백의 상단부를 고정하며 상기 댐퍼유닛에 밀착되는 척과, 상기 포장백을 지면(地面)에 대해 연직한 축을 중심으로 회전시켜 포장백의 상부를 꼬이게 하여 차폐시키는 회전유닛과, 상기 회전유닛에 의해 포장백의 상부가 꼬여서 차폐되었을 때 포장백의 상부를 결속하는 결속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한 형태에 따르면, 상기 회전유닛은, 베이스부재와, 상기 베이스부재 상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포장백의 하단부를 지지하는 턴테이블과, 상기 턴테이블과 베이스부재 사이에 설치되어 턴테이블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함과 더불어 턴테이블과 함께 상하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하중전달테이블과, 상기 턴테이블을 베이스부재 및 하중전달테이블에 대해 회전시키는 회전모터를 포함하며, 상기 하중전달테이블과 상기 베이스부재 사이에 포장백으로부터 가해지는 하중을 측정하는 중량측정센서가 설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한 형태에 따른 분진 포집 및 자동 포장 시스템은, 에어펌프와, 일단이 상기 에어펌프와 연결되고 다른 일단이 댐퍼유닛에 연결되어 상기 댐퍼유닛의 하부에 포장백이 장착된 후 댐퍼유닛을 통해 포장백의 상단 입구로 공기를 공급하여 포장백을 팽창시키는 급기라인과, 상기 급기라인을 개폐하는 제1제어밸브와, 일단이 상기 에어펌프와 연결되고 다른 일단이 댐퍼유닛의 상단부에 연결되어 상기 제1제어밸브가 급기라인을 폐쇄했을 때 에어펌프의 작동에 의해 포장백 내부의 공기를 흡입하여 포장백을 수축시키는 진공라인과, 상기 진공라인을 개폐하는 제2제어밸브와, 일단이 상기 댐퍼유닛의 상단부와 연결되고 다른 일단이 대기로 연통되거나 상기 진공집진부와 연통되어 포장백 내부로 분진이 투입될 때 개방되면서 포장백 내부의 공기가 외부로 자연 배출되도록 하는 배기라인과, 상기 배기라인을 개폐하는 제3제어밸브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집진기의 하부에 포집된 분진을 분진통으로 이송하는 과정에서 분진의 누출이나 급팽창없이 분진을 원활하게 이송할 수 있으며, 분진통 내에 포집된 분진을 진공집진부를 이용하여 포장백 내로 원활하게 이송하여 포집할 수 있다.
또한 포장백 내부에 분진이 채워진 후에 포장백을 일방향으로 정해진 회전수만큼 회전시켜 상단이 꼬이게 한 다음, 꼬여진 상단을 자동으로 결속하여 포장할 수 있으므로 작업자가 일일히 수작업으로 포장백의 상단을 결속하지 않아도 된다. 따라서 포장백의 결속과 배출 과정에서 작업자가 분진에 오염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고, 포장백의 포장 및 배출 작업 효율을 대폭 향상시킬 수 있는 이점을 얻을 수 있다.
특히 포장백으로의 원활한 분진 유입을 위해 포장백의 상단을 척으로 고정한 상태에서 급기라인을 통해 포장기하우징 내부로 공기를 유입시켜 포장백을 자동으로 부풀릴 수 있고, 포장백의 자동 포장이 완료된 후에는 진공이젝터를 작동시켜 포장백수축 배기라인을 통해서 포장백 내부의 공기를 빼내어 포장백을 수축시킬 수 있다.
따라서 작업자가 포장기하우징에서 포장백을 분리하는 작업이 더욱 용이하며, 포장백의 부피를 줄일 수 있어 포장백의 이송과 폐기에도 유리한 이점을 얻을 수 있다.
또한 분진 포집 및 자동 포장 시스템을 바퀴가 마련된 이동식 대차에 구성할 경우 하나의 분진 포집 및 자동 포장 시스템을 여러 대의 집진장치(예를 들어 싸이클론 집진기)로 이동하여 연결하여 분진을 포집 및 포장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분진 처리 시스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진 포집 및 자동 포장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개시된 발명의 바람직한 일 예에 불과할 뿐이며, 본 출원의 출원시점에 있어서 본 명세서의 실시예와 도면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분진 포집 및 자동 포장 시스템을 후술된 실시예에 따라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진 포집 및 자동 포장 시스템은, 집진기(10)와, 집진기댐퍼(20), 분진통(30), 진공집진부(40), 댐퍼유닛(50), 분진포장부(60) 등을 포함한다.
분진통(30)은 상부면이 개방된 통 형태로 되어 분진을 흡입하여 집진하는 집진기(10)의 하단부에 연결된다. 집진기(10)는 상단부에 분진이 포함된 공기가 유입되는 입구(11)가 형성되고 측면부 상단에 공기가 배출되는 출구(12)가 형성되어 있는 원추형으로 된 공지의 싸이클론 방식의 집진기(10)를 적용하여 구성할 수 있으나, 이외에도 백필터 방식의 집진기 등 공지의 집진기가 적용될 수 있다.
집진기(10)의 하단부에는 집진기(10) 하부에 퇴적된 분진을 하측으로 배출하기 위한 제1분진배출구(13)가 하측으로 개방되게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제1분진배출구(13)에 제1분진배출구(13)를 개폐하는 집진기댐퍼(20)가 설치된다. 이 실시예에서 상기 집진기댐퍼(20)는 1개가 설치되지만, 2개의 집진기댐퍼(20)가 상하로 일정한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더블댐퍼(double damper)를 구성할 수도 있다.
집진기(10)의 하부에 연결되는 분진통(30)은 집진기댐퍼(20)가 개방되었을 때 집진기(10)의 제1분진배출구(13)를 통해 낙하하는 분진을 1차적으로 포집하는 기능을 한다. 집진기(10)의 입구와 출구가 모두 폐쇄되어 집진기(10) 내부가 저진공 상태로 되고, 집진기댐퍼(20)가 개방될 때 집진기(10) 하측의 분진이 분진통(30) 내부로 원활하게 낙하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분진통(30)에 분진통(30) 내부의 진공 상태를 파기하기 위한 진공파기유닛이 설치된다.
상기 진공파기유닛은, 상기 분진통(30)에 외부로 개방되게 형성되는 통기공(31)과, 상기 통기공(31)을 개폐하는 진공파기제어밸브(32)와, 상기 통기공(31)에 설치되어 통기공(31)을 통한 분진통(30) 내부로의 공기 유입만 허용하는 체크밸브(33)를 포함한다.
상기 진공파기제어밸브(32)는 상기 집진기(10)의 폐쇄와 집진기댐퍼(20)의 개방 작동을 수행하는 제어부(미도시)에 의해 작동하여 통기공(31)을 개폐할 수 있다.
따라서 집진기(10)의 분진을 분진통(30)으로 낙하시켜 포집하고자 할 경우, 집진기(10)를 폐쇄하고 집진기댐퍼(20)를 개방함과 더불어, 진공파기제어밸브(32)를 개방하면 외부의 공기가 통기공(31)을 통해 분진통(30) 내부로 유입되면서 분진통(30) 내의 진공이 파기되어 집진기(10)의 분진이 분진통(30) 내로 원활하게 낙하할 수 있게 된다. 이 때 분진통(30) 내부로 유입된 분진은 체크밸브(33)에 의해 통기공(31)을 통해서는 외부로 누출되지 않으므로 진공 파기 시 통기공(31)을 통한 분진의 누출이 원천적으로 방지될 수 있다.
또한 분진통(30)의 하단부 일측에는 포집된 분진을 진공집진부(40)로 배출하기 위한 제2분진배출구(35)가 외부로 개방되게 형성되어 있고, 분진통(30) 하단부에 분진을 제2분진배출구(35) 쪽으로 이송하는 제1스크류유닛(34)이 설치된다. 상기 제1스크류유닛(34)은 분진을 이송하기 위한 나선형 블레이드가 축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있는 제1스크류(34a)와, 상기 제1스크류(34a)를 회전시키기 위한 제1스크류모터(34b)를 포함할 수 있다.
진공집진부(40)는 상기 분진통(30) 하단부의 제2분진배출구(35)에 연결되어 분진통(30)의 하부에 포집된 분진을 강제로 흡입하여 2차 포집하는 기능을 한다. 여기서 진공집진부(40)는 일측 상부에 분진통(30)의 제2분진배출구(35)와 연통되는 분진유입구(42a)가 형성되고 일측 하단부에 분진을 배출하기 위한 제3분진배출구(42b)가 형성되어 있는 집진챔버(42)를 구비한 집진부본체(41)와, 상기 집진부본체(41)의 상부에 설치되어 상기 분진유입구(42a)로부터 집진챔버(42) 내로 흡입력을 발생시키는 진공발생기(43)와, 상기 진공발생기(43)에 의해 흡입되는 공기 중의 분진을 걸러내는 필터(48)와, 상기 집진챔버(42)의 하부에 설치되어 집진챔버(42)의 하부에 포집된 분진을 제3분진배출구(42b) 쪽으로 밀어내어 이송하는 제2스크류유닛(45)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분진통(30)의 제2분진배출구(35)와 상기 집진부본체(41)의 분진유입구(42a)는 기다란 관 형태의 흡입관(44)에 의해 연결된다. 상기 흡입관(44)은 주름관이나 유연한 수지 재질의 호스 등을 적용할 수 있다. 또한 흡입관(44)이 연결되는 집진부본체(41)의 분진유입구(42a)에는 집진챔버(42) 내부로만 공기 및 분진이 흡입될 수 있도록 체크밸브(44a)가 설치될 수 있다. 그리고 흡입관(44) 내부 또는 분진유입구(42a)에 분진을 감지하는 분말감지센서(44b)가 추가로 설치될 수 있다.
진공발생기(43)는 1개 이상의 진공모터(43a)와 진공모터(43a)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는 흡기팬(43b)을 포함할 수 있다. 진공발생기(43)는 집진부본체(41)의 상부에 설치될 수 있지만, 설치 공간 상의 제약 등으로 인하여 집진부본체(41)의 상부에 설치하기 어려울 경우 주름관 등의 유연한(flexible) 관으로 된 흡기관(43c)을 매개로 집진부본체(41)의 상부에 연결되어 공기를 흡입할 수 있다.
필터(48)는 상기 진공모터(43a) 및 흡기팬(43b)의 바로 하측에 배치되어 진공모터(43a)와 흡기팬(43b)으로 유동하는 분진을 걸러냄으로써 진공모터(43a)와 흡기팬(43b)이 분진에 의해 오염되는 것을 방지한다. 이러한 필터(48)는 백필터와 같은 공지의 분진 여과용 필터를 적용하여 구성할 수 있으며, 교체 및/또는 세척이 가능한 것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집진부본체(41)의 집진챔버(42) 내부에는 분진이 쌓인 정도를 감지하기 위한 복수의 레벨센서(49)가 설치될 수 있다.
제2스크류유닛(45)은 집진챔버(42)의 하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집진챔버(42)의 하부에 포집된 분진을 제3분진배출구(42b) 쪽으로 밀어내어 이송하는 작용을 한다. 상기 제2스크류유닛(45)은 분진을 이송하기 위한 나선형 블레이드가 축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있는 제2스크류(45a)와, 상기 제2스크류(45a)를 회전시키기 위한 제2스크류모터(45b)를 포함할 수 있다.
진공집진부(40)의 제3분진배출구(42b)와 분진포장부(60) 사이에는 제3분진배출구(42b)를 통한 분진의 배출을 허용하거나 차단하는 댐퍼유닛(50)이 구성된다. 댐퍼유닛(50)은 일측이 제3분진배출구(42b)와 연통되게 설치되는 함체 형태의 댐퍼하우징(56)과, 댐퍼하우징(56) 내부에 댐퍼액추에이터에 의해 전후진하도록 설치되어 제3분진배출구(42b)를 개폐하는 제1댐퍼(51)와, 제1댐퍼(51)의 하부에 댐퍼작동모터(54)에 의해 회전하도록 설치되어 댐퍼하우징(56)의 상단부와 포장백(B)의 상단부 사이의 공간을 차폐하는 제2댐퍼(53)를 포함한다.
제1댐퍼(51)는 진공발생기(43)가 작동할 때 제3분진배출구(42b)를 폐쇄하고 집진부본체(41) 하부의 분진을 제3분진배출구(42b)를 통해 배출하고자 할 때에는 제3분진배출구(42b)를 개방한다. 그리고 제2댐퍼(53)는 본 발명의 분진 포집 및 자동 포장 시스템을 이동식 대차에 구성하여 이동하는 과정에서 제1댐퍼(51) 외측으로 누출된 분진이 외부로 누출되어 오염되는 현상을 방지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분진포장부(60)는 상기 진공집진부(40)에서 포집된 분진을 비닐과 같이 유연한 재질로 된 포장백(B)에 포집한 후 포장백(B)의 상단 입구를 자동으로 밀봉함으로써 작업 효율을 향상시킴과 동시에 작업자가 분진에 오염되는 현상을 최소화할 수 있게 한 것이다. 이 실시예에서 분진포장부(60)는 댐퍼유닛(50)을 통해서 배출되는 분진을 포집하는 유연한 재질의 포장백(B)과, 상기 포장백(B) 내부에 분진이 채워진 후 포장백(B)을 자동으로 밀봉하는 자동포장수단 및, 포장백(B)의 하단부를 지탱하도록 설치되어 포장백(B)으로부터 가해지는 하중을 측정하는 중량측정센서(69)를 포함한다.
상기 자동포장수단은, 상기 포장백(B)의 상단부를 고정하는 척(65)과, 포장백(B)을 지면(地面)에 대해 연직한 축을 중심으로 회전시켜 포장백(B)의 상부를 꼬이게 하여 차폐시키는 회전유닛과, 상기 회전유닛에 의해 포장백(B)의 상부가 꼬여서 차폐되었을 때 포장백(B)의 상부를 결속하는 결속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척(65)은 원형 링 형태로 되어 포장백(B)의 상단부를 해제 가능하게 고정하며, 공압실린더와 같은 척 리프팅유닛(66)에 의해 상하로 일정 거리 승강운동하면서 댐퍼유닛(50)의 댐퍼하우징(56)의 하단부에 밀착된다. 이 때 댐퍼하우징(56)과 척(65) 간에 틈새가 발생하지 않도록 댐퍼하우징(56)의의 하단부에 고무와 같은 탄성재질로 된 오링으로 된 패킹링(55)이 설치되어 척(65)의 상부면과 밀착된다.
회전유닛은 바닥면에 설치되는 베이스부재(63) 상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포장백(B)의 하단부를 지지하는 턴테이블(61)과, 상기 턴테이블(61)과 베이스부재(63) 사이에 설치되어 턴테이블(61)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함과 더불어 턴테이블(61)과 함께 상하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하중전달테이블(62)과, 상기 턴테이블(61)을 베이스부재(63) 및 하중전달테이블(62)에 대해 회전시키는 회전모터(64)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회전모터(64)는 벨트나 기어와 같은 공지의 동력전달장치를 통해 턴테이블(61)에 연결되어 회전력을 전달할 수 있으나, 이 실시예에와 같이 텐테이블(61)의 중심부에 형성되어 있는 회전축부(61a)와 직접 결합되어 회전력을 전달할 수도 있을 것이다.
텐테이블(61)의 회전축부(61a)는 스플라인 구조로 회전모터(64)의 축(64a)과 연결되어 상하로는 상대 이동이 가능하지만 상대 회전은 불가능하게 구속되어 회전모터(64)의 축(64a)과 함께 회전한다.
또한 하중전달테이블(62)과 베이스부재(63) 사이에는 포장백(B)으로부터 가해지는 하중을 측정하는 중량측정센서(69)가 설치된다. 중량측정센서(69)는 로드셀을 적용할 수 있으며, 정확한 측정을 위해 복수개(예를 들어 3개)가 일정한 간격을 두고 배열될 수 있다.
하중전달테이블(62)은 베어링(62a)을 매개로 텐테이블(61)의 회전축부(61a)의 외면과 결합되어 포장백(B)으로부터 하중이 가해질 때 턴테이블(61)과 하중전달테이블(62)이 함께 하측으로 이동하여 중량측정센서(69)에 의한 중량 측정이 가능하고, 회전모터(64)의 축(64a)이 회전할 때에는 하중전달테이블(62)이 정지된 상태에서 텐테이블(61)의 회전축부(61a)가 하중전달테이블(62)에 대해 회전하게 된다.
결속유닛은 턴테이블(61)이 회전하여 포장백(B)의 상부가 꼬여서 차폐되었을 때 결속기모터(67a)에 의해 와이어가 자동으로 오므려지면서 포장백(B)의 상부를 결속하는 결속기(67)와, 상기 결속기(67)를 포장백(B) 쪽으로 접근시키는 공압실린더와 같은 결속기 전후진기(68)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결속기(67)는 결속기모터(67a)에 의해 와이어가 자동으로 권선되면서 포장백(B)의 상단을 묶을 수 있는 공지의 포장기용 자동 결속기를 채택하여 구성할 수 있다.
포장백(B)은 비닐과 같이 유연한 재질로 이루어지며, 초기에 댐퍼유닛(50)에 장착되었을 때 수축된 상태로 되어 있기 때문에 포장백(B)을 벌려주어야 분진이 포장백(B) 내부로 원활하게 유입될 수 있다. 또한 포장백(B) 내부에 포장백(B)이 분진이 소정량만큼 채워지고 포장백(B)의 상단부가 결속기(67)에 의해 차폐되었을 때 포장백(B) 내부의 공기를 빼내어 포장백(B)을 압축시키면 작업자가 댐퍼유닛(50)에서 포장백(B)을 분리하여 이송하기가 용이해진다. 그리고 포장백(B) 내부에 분진이 포집될 때 포집되는 분진의 양만큼 포장백(B) 내부의 공기가 외부로 배기되어야 한다.
이러한 분진 포집 작업 이전의 공기의 주입과 분진 포집 과정 및 포집 완료 후 공기의 배출을 위해, 에어펌프(71)와, 일단이 상기 에어펌프(71)와 연결되고 다른 일단이 댐퍼유닛(50)의 댐퍼하우징(56)에 연결되어 상기 댐퍼유닛(50)의 하부에 포장백(B)이 장착된 후 댐퍼유닛(50)을 통해 포장백(B)의 상단 입구로 공기를 공급하여 포장백(B)을 팽창시키는 급기라인(72)과, 상기 급기라인(72)을 개폐하는 제1제어밸브(73)와, 일단이 상기 에어펌프(71)와 연결되고 다른 일단이 댐퍼유닛(50)의 상단부에 연결되어 상기 제1제어밸브(73)가 급기라인(72)을 폐쇄했을 때 에어펌프(71)의 작동에 의해 포장백(B) 내부의 공기를 흡입하여 포장백(B)을 수축시키는 진공라인(74)과, 상기 진공라인(74)을 개폐하는 제2제어밸브(75)와, 일단이 상기 댐퍼유닛(50)의 상단부와 연결되고 다른 일단이 대기로 연통되거나 상기 진공집진부(40)와 연통되어 포장백(B) 내부로 분진이 투입될 때 개방되면서 포장백(B) 내부의 공기를 외부로 자연 배출되도록 하는 배기라인(76)과, 상기 배기라인(76)을 개폐하는 제3제어밸브(77)가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배기라인(76)에는 분진이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배기필터(65)가 추가로 설치될 수 있다.
제1제어밸브(73)와 제2제어밸브(75), 제3제어밸브(77)는 전기에 의해 작동하는 솔레노이드밸브를 적용할 수 있다.
상술한 것과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분진 포집 및 자동 포장 시스템의 작동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분진 포집 작업을 개시하기 전에, 척(65)이 하측으로 이동하여 댐퍼유닛(50)과 분리되어 있는 상태에서 작업자가 척(65)에 포장백(B)의 상단을 고정시키고, 척 리프팅유닛(66)을 작동시켜 척(65)을 상측으로 이동시켜 댐퍼유닛(50)의 하단부에 밀착시킨다.
이 때 포장백(B)은 양면이 접혀져서 수축되어 있는 상태이므로 포장백(B)으로의 원활한 분진 유입을 위해, 제1제어밸브(73)를 개방시키고 에어펌프(71)를 작동하여 급기라인(72)을 통해서 댐퍼유닛(50) 내부로 공기를 공급한다. 댐퍼유닛(50) 내부로 공급된 공기는 포장백(B)의 상단 입구를 통해서 포장백(B) 내부로 공급되어 포장백(B)을 자동으로 부풀릴 수 있게 된다.
분진포장부(60)에 포장백(B)이 장착되면, 제1댐퍼(51)로 제3분진배출구(42b)를 폐쇄하고, 분진 포집 작업을 개시할 수 있는 상태로 대기한다.
집진기(10)의 상단 입구(11)를 통해 유입된 분진은 집진기(10)의 하부에 포집되어 집진기댐퍼(20) 위에 쌓이게 된다. 집진기(10) 하부에 분진이 소정량만큼 쌓이게 되면, 집진기(10)의 입구(11) 및 출구(12)가 폐쇄되고, 집진기댐퍼(20)가 개방된다. 이 때 집진기(10) 내부는 저진공 상태가 되고 집진기댐퍼(20) 하부의 분진통(30) 내부도 저진공 상태가 되어 분진이 하측으로 원활하게 낙하하지 않을 수 있다.
이 때, 전술한 것과 같이 진공파기제어밸브(32)를 개방하면 외부의 공기가 통기공(31)을 통해 분진통(30) 내부로 유입되면서 분진통(30) 내의 진공이 파기되어 집진기(10)의 분진이 분진통(30) 내로 원활하게 낙하할 수 있다.
집진기댐퍼(20)가 개방되면서 분진통(30) 하부로 낙하한 분진은 제1스크류유닛(34)에 의해 제2분진배출구(35) 쪽으로 이송된다.
그리고 진공집진부(40)의 진공발생기(43)의 진공모터(43a)가 작동하면, 분진통(30)의 제2분진배출구(35) 부근으로 이송된 분진이 흡입관(44)을 통해서 집진챔버(42) 내부로 유입된 다음, 분진은 싸이클론 집진 원리에 의해 집진챔버(42) 하부로 낙하하여 쌓이게 되고, 공기와 미세 분진은 필터(48)로 유동한 후, 미세 분진은 필터(48)에서 걸러지고 공기만 진공발생기(43)를 통해서 외부로 배출된다. 이 때 집진부본체(41)의 제3분진배출구(42b)는 제1댐퍼(51)에 의해 폐쇄되어 흡입관(44)을 통해서만 분진통(30)에 흡입력이 전달될 수 있다.
집진챔버(42) 내부에 분진이 쌓여서 레벨센서(49)가 분진의 높이를 감지하면, 진공발생기(43)의 작동을 중지시키고, 제1댐퍼(51)를 후진시켜 제3분진배출구(42b)를 개방시킨다. 그리고, 댐퍼작동모터(54)의 작동에 의해 제2댐퍼(53)가 회전하여 댐퍼유닛(50)의 하단부를 개방한다.
제1댐퍼(51) 및 제2댐퍼(53)가 개방되면, 제2스크류유닛(45)의 제2스크류모터(45b)에 전원을 인가하여 제2스크류(45a)를 회전시킴으로써 집진챔버(42) 하부에 포집된 분진을 제3분진배출구(42b) 쪽으로 이송하여 외부로 배출한다.
상기 제3분진배출구(42b)를 통해서 배출되는 분진은 댐퍼유닛(50)을 통해 하측으로 낙하하여 포장백(B)의 상단 입구를 통해서 포장백(B) 내부로 유입된다. 이 때, 제3제어밸브(77)가 개방되어 포장백(B) 및 댐퍼유닛(50)의 공기가 배기라인(76)을 통해 외부로 자연스럽게 배출될 수 있게 되어 포장백(B) 내부로의 분진 유입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포장백(B) 내부에 분진이 유입되고, 포장백(B)의 하중에 의해 턴테이블(61)과 하중전달테이블(62)이 베이스부재(63)에 대해 하강하여 중량측정센서(69)가 포집된 분진의 중량을 측정하게 된다. 중량측정센서(69)에 의해 측정된 포장백(B)의 중량이 제어부(미도시)에 미리 정해진 값 이상이 되거나, 분진 포집 후 일정 시간이 경과하면, 제1댐퍼(51)로 제3분진배출구(42b)를 폐쇄한다.
그리고 제1제어밸브(73)가 폐쇄된 상태에서 제2제어밸브(75)를 개방하고 에어펌프(71)를 작동시키면, 포장백(B) 내부의 공기가 댐퍼유닛(50) 및 진공라인(74)을 통해서 흡입되어 포장백(B)이 수축하게 된다. 이와 같이 포장백(B)이 수축하면 이후에 작업자가 포장백(B)을 분리하여 외부로 이송하기가 용이해진다.
포장백(B) 내부의 공기가 배출되어 수축이 완료되면 제2제어밸브(75)가 폐쇄되고 에어펌프(71)의 작동이 중지된다. 그리고 제2댐퍼(53)가 댐퍼유닛(50) 하단부를 폐쇄한다.
이어서 회전유닛의 회전모터(64)에 전원을 인가하여 턴테이블(61)을 일방향으로 회전시킨다. 턴테이블(61)이 회전함에 따라 척(65)에 의해 상단이 댐퍼유닛(50)의 상부에 고정된 포장백(B)의 상부가 꼬이면서 포장백(B)의 상단 입구가 차폐된다. 그리고 결속유닛의 결속기 전후진기(68)를 작동시켜 결속기(67)를 포장백(B) 상단의 꼬여진 부분에 접근시킨 다음, 결속기모터(67a)를 작동시켜 결속기(67)로 포장백(B)의 상단을 결속하면 포장백(B)이 자동으로 포장된다.
이 후 척 리프팅유닛(66)이 작동하여 척(65)이 하강하여 댐퍼유닛(50)에서 분리되고, 작업자가 척(65)으로부터 포장백(B)의 상단을 분리하고 정해진 장소로 이송하여 처리한다.
상술한 것과 같이 본 발명의 분진 포집 및 자동 포장 시스템은, 집진기(10)의 하부에 포집된 분진을 분진통(30)으로 이송하는 과정에서 분진의 누출이나 급팽창없이 분진을 원활하게 이송할 수 있으며, 분진통(30) 내에 포집된 분진을 진공집진부(40)를 이용하여 포장백(B) 내로 원활하게 이송하여 포집할 수 있다.
또한 포장백(B) 내부에 분진이 채워진 후에 포장백(B)을 일방향으로 정해진 회전수만큼 회전시켜 상단이 꼬이게 한 다음, 꼬여진 상단을 자동으로 결속하여 포장할 수 있으므로 작업자가 일일히 수작업으로 포장백의 상단을 결속하지 않아도 된다. 따라서 포장백(B)의 결속과 배출 과정에서 작업자가 분진에 오염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고, 포장백(B)의 포장 및 배출 작업 효율을 대폭 향상시킬 수 있는 이점을 얻을 수 있다.
특히 포장백(B)으로의 원활한 분진 유입을 위해 포장백(B)의 상단을 척(65)으로 고정한 상태에서 급기라인(72)을 통해 댐퍼유닛(50) 내부로 공기를 유입시켜 포장백(B)을 자동으로 부풀릴 수 있고, 포장백(B)에 분진이 채워진 후에는 에어펌프(71)와 진공라인(74)을 이용하여 포장백(B) 내부의 공기를 빼내어 포장백(B)을 수축시켜 부피를 최소화할 수 있다. 따라서 작업자가 분진포장부(60)에서 포장백(B)을 분리하는 작업이 더욱 용이하며, 포장백(B)의 부피를 줄일 수 있어 포장백(B)의 폐기에도 유리한 이점을 얻을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분진 포집 및 자동 포장 시스템은 집진기(10)에 고정식으로 연결될 수 있지만, 이와 다르게 분진 포집 및 자동 포장 시스템을 바퀴가 마련된 이동식 대차에 구성하여, 하나의 분진 포집 및 자동 포장 시스템의 구성요소 전부 또는 일부를 여러 대의 집진장치(예를 들어 싸이클론 집진기)로 이동하면서 연결하여 분진을 포집 및 포장할 수도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분진 포집 및 자동 포장 시스템의 진공집진부(40)와 댐퍼유닛(50)과 분진포장부(60) 및 에어펌프(71) 등의 구성요소를 복수의 바퀴가 마련된 이동식 대차에 탑재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은 실시예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에서 설명된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부가 및 변형이 가능할 것임은 당연하며, 이와 같은 변형된 실시 형태들 역시 아래에 첨부한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정하여지는 본 발명의 보호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10 : 집진기 11 : 입구
12 : 출구 13 : 제1분진배출구
20 : 집진기댐퍼 30 : 분진통
31 : 통기공 32 : 진공파기제어밸브
33 : 체크밸브 34 : 제1스크류유닛
34a : 제1스크류 34b : 제1스크류모터
35 : 제2분진배출구 40 : 진공집진부
41 : 집진부본체 42 : 집진챔버
42a : 분진유입구 42b : 제3분진배출구
43 : 진공발생기 43a : 진공모터
43b : 흡기팬 43c : 흡기관
44 : 흡입관 44a : 체크밸브
44b : 분말감지센서 45 : 제2스크류유닛
45a : 제2스크류 45b : 제2스크류모터
48 : 필터 50 : 댐퍼유닛
51 : 제1댐퍼 52 : 댐퍼액추에이터
53 : 제2댐퍼 54 : 댐퍼작동모터
55 : 패킹링 60 : 분진포장부
61 : 턴테이블 62 : 하중전달테이블
63 : 베이스부재 64 : 회전모터
65 : 척 66 : 척 리프팅유닛
67 : 결속기 67a : 결속기모터
68 : 결속기 전후진기 69 : 중량측정센서
71 : 에어펌프 72 : 급기라인
73 : 제1제어밸브 74 : 진공라인
75 : 제2제어밸브 76 : 배기라인
77 : 제3제어밸브 B : 포장백

Claims (10)

  1. 분진을 흡입하여 집진하는 집진기의 하단부에 형성된 제1분진배출구에 연통되게 설치되어 집진기의 제1분진배출구를 통해 낙하하는 분진을 1차적으로 포집하는 분진통;
    상기 분진통의 하단부에 형성되어 있는 제2분진배출구에 연결되어 분진통의 하부에 포집된 분진을 흡입하여 2차 포집하는 진공집진부;
    상기 진공집진부의 하단부에 형성된 제3분진배출구를 개폐하도록 설치되는 댐퍼유닛; 및,
    상기 댐퍼유닛의 하측에 연결되어 상기 제3분진배출구를 통해서 배출되는 분진을 포집하는 유연한 재질의 포장백과, 상기 포장백 내부에 분진이 채워진 후 포장백의 상단부를 자동으로 밀봉하는 자동포장수단을 포함하는 분진포장부;
    를 포함하는 분진 포집 및 자동 포장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분진통에 외부로 개방되게 형성되는 통기공과, 상기 통기공을 개폐하는 진공파기제어밸브와, 상기 통기공에 설치되어 통기공을 통한 분진통 내부로의 공기 유입만 허용하는 체크밸브를 포함하는 진공파기유닛을 더 포함하는 분진 포집 및 자동 포장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분진통의 하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분진통의 하부에 포집된 분진을 제2분진배출구 쪽으로 이송하는 제1스크류유닛을 더 포함하는 분진 포집 및 자동 포장 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진공집진부는,
    일측 상부에 상기 분진통의 제2분진배출구와 연통되는 분진유입구가 형성되고 일측 하단부에 분진을 배출하기 위한 제3분진배출구가 형성되어 있는 집진챔버를 구비한 집진부본체와, 상기 집진부본체의 일측에 연통되게 설치되어 상기 분진유입구로부터 집진챔버 내로 흡입력을 발생시키는 진공발생기와, 상기 진공발생기에 의해 흡입되는 공기 중의 분진을 걸러내는 필터와, 상기 집진챔버의 하부에 설치되어 집진챔버의 하부에 포집된 분진을 제3분진배출구 쪽으로 밀어내어 이송하는 제2스크류유닛을 포함하는 분진 포집 및 자동 포장 시스템.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분진통의 제2분진배출구와 상기 집진챔버의 분진유입구는 기다란 관 형태의 흡입관에 의해 연결되고, 상기 진공발생기를 구성하는 진공모터 및 흡기팬은 유연한 흡기관을 통해 집진부본체에 연결되어 흡입력을 발생시키는 분진 포집 및 자동 포장 시스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댐퍼유닛은 일측이 제3분진배출구와 연통되게 설치되는 함체 형태의 댐퍼하우징과, 댐퍼하우징의 내부에 댐퍼액추에이터에 의해 전후진하도록 설치되어 제3분진배출구를 개폐하는 제1댐퍼와, 제1댐퍼의 하부에 댐퍼작동모터에 의해 회전하도록 설치되어 댐퍼하우징의 하단부와 포장백의 상단부 사이의 공간을 차폐하는 제2댐퍼를 포함하는 분진 포집 및 자동 포장 시스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분진포장부는 상기 포장백으로부터 가해지는 하중을 측정하는 중량측정센서를 더 포함하는 분진 포집 및 자동 포장 시스템.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자동포장수단은, 상기 포장백의 상단부를 고정하며 상기 댐퍼유닛에 밀착되는 척과, 상기 포장백을 지면(地面)에 대해 연직한 축을 중심으로 회전시켜 포장백의 상부를 꼬이게 하여 차폐시키는 회전유닛과, 상기 회전유닛에 의해 포장백의 상부가 꼬여서 차폐되었을 때 포장백의 상부를 결속하는 결속유닛을 포함하는 분진 포집 및 자동 포장 시스템.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유닛은, 베이스부재와, 상기 베이스부재 상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포장백의 하단부를 지지하는 턴테이블과, 상기 턴테이블과 베이스부재 사이에 설치되어 턴테이블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함과 더불어 턴테이블과 함께 상하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하중전달테이블과, 상기 턴테이블을 베이스부재 및 하중전달테이블에 대해 회전시키는 회전모터를 포함하며,
    상기 하중전달테이블과 상기 베이스부재 사이에 포장백으로부터 가해지는 하중을 측정하는 중량측정센서가 설치된 분진 포집 및 자동 포장 시스템.
  10. 제1항에 있어서, 에어펌프와, 일단이 상기 에어펌프와 연결되고 다른 일단이 댐퍼유닛에 연결되어 상기 댐퍼유닛의 하부에 포장백이 장착된 후 댐퍼유닛을 통해 포장백의 상단 입구로 공기를 공급하여 포장백을 팽창시키는 급기라인과, 상기 급기라인을 개폐하는 제1제어밸브와, 일단이 상기 에어펌프와 연결되고 다른 일단이 댐퍼유닛의 상단부에 연결되어 상기 제1제어밸브가 급기라인을 폐쇄했을 때 에어펌프의 작동에 의해 포장백 내부의 공기를 흡입하여 포장백을 수축시키는 진공라인과, 상기 진공라인을 개폐하는 제2제어밸브와, 일단이 상기 댐퍼유닛의 상단부와 연결되고 다른 일단이 대기로 연통되거나 상기 진공집진부와 연통되어 포장백 내부로 분진이 투입될 때 개방되면서 포장백 내부의 공기가 외부로 자연 배출되도록 하는 배기라인과, 상기 배기라인을 개폐하는 제3제어밸브를 더 포함하는 분진 포집 및 자동 포장 시스템.
KR1020210094962A 2021-07-20 2021-07-20 분진 포집 및 자동 포장 시스템 KR10250734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94962A KR102507348B1 (ko) 2021-07-20 2021-07-20 분진 포집 및 자동 포장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94962A KR102507348B1 (ko) 2021-07-20 2021-07-20 분진 포집 및 자동 포장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13899A true KR20230013899A (ko) 2023-01-27
KR102507348B1 KR102507348B1 (ko) 2023-03-14

Family

ID=851017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94962A KR102507348B1 (ko) 2021-07-20 2021-07-20 분진 포집 및 자동 포장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07348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239293A (ja) * 2004-02-24 2005-09-08 Matsui Mfg Co 吊り下げ式ダンパー装置、吸引式粉粒体捕集器、気流混合吸引式粉粒体捕集器
KR20060095650A (ko) * 2005-02-28 2006-09-01 동양피엔에프 주식회사 액정유리 스크랩의 자동 처리장치
KR101148210B1 (ko) 2009-01-05 2012-06-26 정재열 수직포장기
KR101307600B1 (ko) 2013-07-10 2013-09-12 이경옥 집진기용 분진제거장치
KR20170073453A (ko) 2015-12-18 2017-06-28 바테크 주식회사 유해분진 밀폐 이송 및 포장시스템
KR20190139581A (ko) * 2018-06-08 2019-12-18 바테크 주식회사 분진 포집 장치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239293A (ja) * 2004-02-24 2005-09-08 Matsui Mfg Co 吊り下げ式ダンパー装置、吸引式粉粒体捕集器、気流混合吸引式粉粒体捕集器
KR20060095650A (ko) * 2005-02-28 2006-09-01 동양피엔에프 주식회사 액정유리 스크랩의 자동 처리장치
KR101148210B1 (ko) 2009-01-05 2012-06-26 정재열 수직포장기
KR101307600B1 (ko) 2013-07-10 2013-09-12 이경옥 집진기용 분진제거장치
KR20170073453A (ko) 2015-12-18 2017-06-28 바테크 주식회사 유해분진 밀폐 이송 및 포장시스템
KR20190139581A (ko) * 2018-06-08 2019-12-18 바테크 주식회사 분진 포집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07348B1 (ko) 2023-03-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516597B2 (ja) 粉粒体の吸引装置、粉粒体の吸引システムおよび吸引方法
KR101858490B1 (ko) 유해분진 밀폐 이송 및 포장시스템
WO2015070326A1 (en) Silo dust collection
CN210376288U (zh) 一种环境检测气体探测装置
KR20230050926A (ko) 이동형 분진 포집 및 자동 포장 시스템
KR102507348B1 (ko) 분진 포집 및 자동 포장 시스템
JP2014117650A (ja) 吸引捕集装置
KR20230051381A (ko) 분진 포집 및 포장 시스템
CN112233830B (zh) 一种具有排污系统的放射性物料密闭处理系统
KR20150076478A (ko) 집진기
CN212173911U (zh) 一种无尘投料站
CN112278342B (zh) 一种面粉生产用无尘包装机
KR20100069048A (ko) 드라이어 흡착제 교체 장치
JP2001174586A (ja) 放射性ダストの捕集方法および捕集装置
CN212608297U (zh) 可除尘卸料装置及包含可除尘卸料装置的可移动卸料小车
JP4553469B2 (ja) 有害粉末をボックスに制御投入するための装置
US6447366B1 (en) Integrated decontamination and characterization system and method
KR102201435B1 (ko) 가스 포집장치
CN211719274U (zh) 一种含氚放射性固体废物处理系统
JP5072437B2 (ja) 放射性物体の袋詰め用吸引ノズル
KR102637907B1 (ko) 더블 플랩 댐퍼
CN114803008B (zh) 一种无人化粉碎真空人用抗生菌素超细药粉全自动包装线
CN113226962B (zh) 高抑制卸载装置
CN216395760U (zh) 一种放射性粉尘收集处理系统
CN212722254U (zh) 一种双通道的空气采样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