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52039B1 - 차량탑재 유해물질 정화장치 - Google Patents

차량탑재 유해물질 정화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52039B1
KR101852039B1 KR1020170051728A KR20170051728A KR101852039B1 KR 101852039 B1 KR101852039 B1 KR 101852039B1 KR 1020170051728 A KR1020170051728 A KR 1020170051728A KR 20170051728 A KR20170051728 A KR 20170051728A KR 101852039 B1 KR101852039 B1 KR 10185203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outlet
adsorption
dust collecting
inl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517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상용
정해영
이재정
노경환
박용우
Original Assignee
(주)엔코아네트웍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엔코아네트웍스 filed Critical (주)엔코아네트웍스
Priority to KR102017005172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5203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520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5203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5/00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by gravity, inertia, or centrifugal forces
    • B01D45/02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by gravity, inertia, or centrifugal forces by utilising gravit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02Particle separators, e.g. dust precipitators, having hollow filters made of flexible material
    • B01D46/023Pockets filters, i.e. multiple bag filters mounted on a common fram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53/00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 B01D53/02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by adsorption, e.g. preparative gas chromatography
    • B01D53/04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by adsorption, e.g. preparative gas chromatography with stationary adsorbents
    • B01D53/0407Constructional details of adsorbing syste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53/00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 B01D53/34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 B01D53/74General processes for purification of waste gases; Apparatus or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01D53/75Multi-step process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Filtering Of Dispersed Particles In Ga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탑재 유해물질 정화장치는, 유입구와 유출구가 위치하며 통과하는 공기 중 먼지가 가라앉도록 구성된 중력 집진 유닛, 중력 집진 유닛의 유출구에 배관 연결되는 유입구가 마련되며, 공기의 먼지를 더 여과하기 위한 백필터들이 내부에 위치하며, 공기를 내보내기 위한 유출구가 마련된 여과 집진 유닛, 중력 집진 유닛의 유출구와 여과 집진 유닛의 유출구에 배관 연결되는 유입구가 마련되며 공기 중 유해가스를 흡착하기 위한 흡착필터가 내부에 위치하며 유해가스를 내보내기 위한 유출구가 마련된 흡착탑 유닛, 그리고 여과 집진 유닛의 유출구와 흡착탑 유닛의 유출구에 배관 연결되어 배기하도록 구성된 배출 유닛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차량에 탑재된 탱크에 대한 액상 폐기물의 처리 동안 발생되는 유해물질에 의한 환경오염을 방지하며, 유해물질로부터 작업자를 보호할 수 있다.

Description

차량탑재 유해물질 정화장치{FILTERING SYSTEM OF HARMFUL SUBSTANCE FOR MOUNTING ON THE VEHICLE}
본 발명은 차량탑재 유해물질 정화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차량에 탑재되어 오염물질 회수 시에 유해물질을 정화할 수 있는 유해물질 정화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음식물 쓰레기 처리수, 분뇨, 오니, 하수와 같은 오수 및 공업 폐수와 같은 액상 폐기물은 처리를 위한 탱크가 탑재된 차량에 진공펌프의 음압에 의한 흡입작용에 의해 탱크 내부로 유입되고, 반대로 양압에 의해 외부로 배출된다.
탱크가 있는 수거 차량의 적재 폐기물을 이송 차량을 옮겨 싣는 과정에서 액상 폐기물로부터 유해물질이 발생될 수 있으며, 이송 과정에서 폐기물의 휘발과 화학반응 등에 의한 가스 발생 등으로 인한 탱크 내 압력 상승에 의해 유해물질이 발생될 수 있다.
또한 폐기물을 이송차량으로부터 처분시설로 옮기는 과정에서 유해물질이 발생되어 오염을 일으킨다. 폐기물별 처분방식이 다르므로 처분시설까지 이송시간이 많이 소요되는 경우도 발생하며, 화학물질의 증기압 상승으로 인한 탱크 내 압력 상승과 폭발 위험 제거를 위한 환기가 필요하다.
이송 차량에서 처분시설로 폐기물 배출시에 유해물질이 발생된다. 이송차량의 적재 폐기물을 처분시설 저장 시설로 옮기는 과정에서 액상 및 분말 형태의 고형 폐기물을 진공펌프를 이용하여 배출하는 과정에서도 유해물질이 발생된다.
저장시설로 폐기물을 배출하는 과정에서는 저장시설 내 증가하는 압력은 대기중으로 배출되는 구조로 만들어져 있어 2차 오염발생 우려가 있다.
액상 폐기 물질의 저장탱크에 물질의 유입과 배출과정에서 증기 또는 비산먼지와 같은 오염물질의 발생된다. 탱크 내부에서 적재 폐기물과의 접촉으로 인해 공기가 오염되어, 그 오염 공기가 대기로 배출될 경우에 오염물질의 유출로 인하 2차 오염이 발생된다.
이와 같이 기존의 액상 폐기물의 탱크 처리에 있어 폐기물로부터 발생되는 유해물질에 의해 공기의 오염으로 인한 환경이 오염될 가능성이 있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차량에 탑재된 탱크에 대한 액상 폐기물의 처리 동안 발생되는 유해물질에 의한 환경오염을 방지하며, 유해물질로부터 작업자를 보호할 수 있는 차량탑재 유해물질 정화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탑재 유해물질 정화장치는, 유입구와 유출구가 위치하며, 통과하는 공기 중 먼지가 가라앉도록 구성된 중력 집진 유닛; 상기 중력 집진 유닛의 유출구에 배관 연결되는 유입구가 마련되며, 공기의 먼지를 더 여과하기 위한 백필터들이 내부에 위치하며, 공기를 내보내기 위한 유출구가 마련된 여과 집진 유닛; 상기 중력 집진 유닛의 유출구와 상기 여과 집진 유닛의 유출구에 배관 연결되는 유입구가 마련되며, 공기 중 유해가스를 흡착하기 위한 흡착필터가 내부에 위치하며, 상기 유해가스를 내보내기 위한 유출구가 마련된 흡착탑 유닛; 및 상기 여과 집진 유닛의 유출구와 상기 흡착탑 유닛의 유출구에 배관 연결되어 배기하도록 구성된 배출 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중력 집진 유닛에서 공기 중 먼지를 중력에 의해 가라 앉혀 제거하며, 공기 중 포함된 먼지 및 유해가스의 농도에 따라 상기 여과 집진 유닛의 백필터에 의해 공기를 여과하는 백필터 정화와 상기 흡착탑 유닛의 흡착필터에 의해 유해가스를 제거하는 흡착필터 정화를 선택적으로 수행하도록 배관과 배관 개폐가 구성된다.
상기 중력 집진 유닛의 유출구에 상기 여과 집진 유닛의 유입구와 상기 흡착탑 유닛의 유입구를 함께 연결하도록 집진 분기부가 마련되며, 상기 중력 집진 유닛의 유출구에서 상기 여관 집진 유닛의 유입구와 상기 흡착탑 유닛의 유입구 측으로 유해가스가 선택적으로 공급되도록 개폐밸브들이 위치하는 집진 분기 유닛; 및 상기 여과 집진 유닛의 유출구에 상기 흡착탑 유닛의 유입구와 상기 배출 유닛을 연결하도록 흡착 분기부가 마련되며, 상기 여과 집진 유닛의 유출구에서 상기 흡착탑 유닛의 유입구와 상기 배출 유닛 측으로 유해가스가 선택적으로 공급되도록 개폐밸브들이 위치하는 흡착 분기 유닛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중력 집진 유닛은, 상기 유출구와 유입구가 상부에 위치하는 중력 집진 본체; 상기 유입구와 유출구 사이에서 상하 유로 형성을 위한 격벽; 및 상기 격벽의 양측 상하 유로를 통과하면서 집진되도록 상기 중력 집진 본체의 하부에 서랍식으로 마련되는 집진 서랍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여과 집진 유닛은, 유입구가 하부에 유출구가 상부에 위치하는 여과 집진 본체; 상기 백필터 측으로 유해가스를 통과시켜 이송하기 위한 이송 팬; 및 상기 유입구와 상기 유출구 사이에 상기 백필터들이 상하 방향으로 결합되며, 상기 백필터를 통과하여 상부에서 하부로 유통되도록 구성된 필터부를 포함하며, 상기 이송 팬은 상기 여과 집진 본체의 유출구 측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흡착탑 유닛은, 유입구가 하부에 위치하며 개구가 상부에 마련되며, 상기 흡착필터들이 복수개씩 일렬로 복층으로 배치된 제1 흡착 본체; 상기 흡착필터 측으로 상기 유해가스를 통과시키기 위한 이송 팬; 및 상기 제1 흡착 본체의 개구에 배관 연결되는 개구가 마련되며 상기 이송 팬이 상부에 위치하며, 상기 이송 팬에 연결되는 유출구가 마련된 제2 흡착 본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흡착필터는 한 쌍의 경사진 부재를 갖는 흡착 트레이와, 상기 흡착 트레이에 제공된 활성탄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흡착 본체의 하부에는, 예비 사용을 위한 흡착필터가 배치되기 위한 예비 적재부와, 상기 적재부의 하부에 배터리가 위치하는 배터리 적재부가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중력 집진 유닛의 유출구 측에는 유해가스 검출부가 위치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기술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차량에 탑재된 탱크에 대한 액상 폐기물의 처리 동안 발생되는 유해물질에 의한 환경오염을 방지하며, 유해물질로부터 작업자를 보호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탑재 유해물질 정화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a 내지 도 2c는 도 1의 정면도, 측면도, 평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중력 집진 유닛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의 정면도이다.
도 5는 도 1의 여과 집진 유닛의 정면도이다.
도 6은 도 5의 측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탑재 유해물질 정화장치의 개념도이다.
도 1 내지 도 4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탑재 유해물질 정화장치는, 유입구와 유출구가 위치하며 통과하는 공기 중 먼지가 가라앉도록 구성된 중력 집진 유닛(100), 중력 집진 유닛(100)의 유출구에 배관 연결되는 유입구가 마련되며, 공기의 먼지를 더 여과하기 위한 백필터(111)들이 내부에 위치하며, 공기를 내보내기 위한 유출구가 마련된 여과 집진 유닛(110), 중력 집진 유닛(100)의 유출구와 여과 집진 유닛(110)의 유출구에 배관 연결되는 유입구가 마련되며 공기 중 유해가스를 흡착하기 위한 흡착필터(121)가 내부에 위치하며 유해가스를 내보내기 위한 유출구가 마련된 흡착탑 유닛(120), 그리고 여과 집진 유닛(110)의 유출구와 흡착탑 유닛(120)의 유출구에 배관 연결되어 배기하도록 구성된 배출 유닛(130)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탑재 유해물질 정화장치는, 중력 집진 유닛(100)에서 공기 중 먼지를 중력에 의해 가라 앉혀 제거하며, 공기 중 포함된 먼지 및 유해가스의 농도에 따라 여과 집진 유닛(110)의 백필터(111)에 의해 공기를 여과하는 백필터(111) 정화와 흡착탑 유닛(120)의 흡착필터(121)에 의해 유해가스를 제거하는 흡착필터(121) 정화를 선택적으로 수행하도록 배관과 배관을 위한 개폐밸브들(142, 143, 152, 153)이 구성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탑재 유해물질 정화장치는, 집진 분기 유닛(140)과 흡착 분기 유닛(15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배관은 파이프 형상과 설계 기호 도시되어 있으며, 각각의 구성 요소들 사이의 공기 이송을 위한 통로를 제공하는 것이다.
집진 분기 유닛(140)은 중력 집진 유닛(100)의 유출구에 여과 집진 유닛(110)의 유입구와 흡착탑 유닛(120)의 유입구를 함께 배관 연결하도록 집진 분기부(141)가 마련된 것이며, 중력 집진 유닛(100)의 유출구에서 여과 집진 유닛(110)의 유입구와 흡착탑 유닛(120)의 유입구 측으로 유해가스가 포함된 공기가 선택적으로 공급되도록 개폐밸브들(142, 143)이 집진 분기부(141)에서 분기하는 배관에 위치하는 것이다.
흡착 분기 유닛(150)은 여과 집진 유닛(110)의 유출구에 흡착탑 유닛(120)의 유입구와 배출 유닛(130)을 연결하도록 흡착 분기부(151)가 마련된 것이며, 여과 집진 유닛(110)의 유출구에서 흡착탑 유닛(120)의 유입구와 배출 유닛(130) 측으로 유해가스가 선택적으로 공급되도록 개폐밸브들(152, 153)이 흡착 분기부(151)에서 분기하는 배관에 위치하는 것이다.
정화 대상 공기는 중력 집진 유닛(100)의 유입구를 통해 유입되며, 중력 집진 유닛(100)의 격벽(103)의 하부를 통과하면서 큰 먼지가 가라 앉으면서 유출구에 연결된 배관으로 유출된다.
중력 집진 유닛(100)을 통과하는 공기는 미세먼지와 유해가스 포함 유무에 따라 여과 집진 유닛(110)과 흡착탑 유닛(120)을 거쳐 배출 유닛(130)을 통해 배출되거나, 여과 집진 유닛(110)만 거쳐 배출 유닛(130)으로 배출될 수 있으며, 여과 집진 유닛(110)을 거치지 않고 흡착탑 유닛(120)만을 거쳐 배출 유닛(130)을 통해 배출될 수 있다.
일 예로, 정화 대상 공기 중에 미세 먼지가 많고 유해가스가 있으면, 공기는 중력 집진 유닛(100), 여과 집진 유닛(110), 그리고 흡착탑 유닛(120) 순서로 정화되어 배출될 수 있다.
다른 일 예로, 정화 대상 공기에 미세 먼지가 적거나 거의 없으면 유해가스가 있으면 공기는 중력 집진 유닛(100)과 흡착탑 유닛(120) 순서로 정화되어 배출될 수 있다.
또 다른 일 예로, 정화 대상 공기에 미세 먼지가 많고 유해가스가 거의 없으면 공기는 중력 집진 유닛(100)과 여과 집진 유닛(110)을 거쳐 배출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공기 중에 미세 먼지가 많은지는 육안에 의해 혹은 정화되는 대상 공기의 종류 혹은 속성에 의해 유추되거나 확인될 수 있다. 유해가스 또한 정화 대상 공기의 종류 혹은 속성과 센서 감지에 의해 확인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탑재 유해물질 정화장치는, 중력 집진 유닛(100)에 의해 비중 높은 물질을 사전 선별하여 백필터(111)를 구성하는 여과포 손상을 예방할 수 있으며, 기체와 액체 분리 기능으로 백필터(111) 여과포의 압력손실을 최소화하며, 구조물 최소화로 압력손실 최소화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탑재 유해물질 정화장치는 중력 집진 유닛(100), 여과 집진 유닛(110), 흡착탑 유닛(120), 집진 분기 유닛(140), 그리고 흡착 분기 유닛(150)이 배관들과 개폐밸브들(132, 142, 143, 152, 153)에 의해 연결된 상태로 차량에 탑재가능하도록 개폐밸브들(132, 142, 143, 152, 153)의 공압 제어를 위한 컴프레셔(160)와 함께 베이스(177) 상에 컴팩트한 구조로 배치된다. 베이스(177)는 사각 형상의 철재 패널이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력 집진 유닛(100)은 구성된다.
상기에서 중력 집진 유닛(100)은, 유출구가 유입구가 상부에 위치하는 중력 집진 본체(105), 유입구와 유출구 사이에서 상하 유로 형성을 위한 격벽(103), 그리고 격벽(103)의 양측 상하 유로를 통과하면서 집진되도록 중력 집진 본체(105)의 하부에 서랍식으로 마련되는 집진 서랍부(106)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여과 집진 유닛(110)이 구성된다.
여과 집진 유닛(110)은 유입구가 하부에 유출구가 상부에 위치하는 여과 집진 본체(115), 백필터(111) 측으로 유해가스를 통과시켜 이송하기 위한 이송 팬(112), 그리고 유입구와 유출구 사이에 백필터(111)들이 상하 방향으로 결합되며 백필터(111)를 통과하여 상부에서 하부로 유통되도록 구성된 필터부(116)를 포함한다. 이송 팬(112)은 여과 집진 본체(115)의 유출구 측에 위치할 수 있다.
이러한 여과 집진 유닛(110)에서는 테프론과 같은 내화학성 재질의 여과포가 백필터(111)에 사용됨으로써 점도와 수분을 가진 분진도 포집 가능하며, 수분의 응축으로 인한 여과포의 눈막힘 현상이 방지되며, 압력변화에 따른 자동 탈진이 가능하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력 집진 유닛(100)과 여과 집진 유닛(110)에 연결된 흡착탑 유닛(120)이 베이스(177) 상에 배치된다.
도 1과, 도 5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흡착탑 유닛(120)은 유입구가 하부에 위치하며 개구가 상부에 마련되며 흡착필터(121)들이 복수개씩 일렬로 복층으로 배치된 제1 흡착 본체(125), 흡착필터(121) 측으로 유해가스를 통과시키기 위한 이송 팬(113), 그리고 제1 흡착 본체(125)의 개구에 배관 연결되는 개구가 마련되며 이송 팬(113)이 상부에 위치하며, 이송 팬(113)에 연결되는 유출구가 마련된 제2 흡착 본체(126)를 포함할 수 있다.
흡착필터(121)는 한 쌍의 경사진 부재를 갖는 흡착 트레이(122)와, 흡착 트레이(122)에 제공된 활성탄(123)을 포함할 수 있다. 유해가스가 포함된 공기는 한 쌍의 흡착 트레이(122)의 하부 사이로 유입되어 활성탈을 지나 상부로 유동될 수 있다.
이러한 흡착탑 유닛(120)에서는 대상가스의 특성(일 예로, 산/알칼리성, 독성 등)에 맞는 활성탄(123) 사용함으로써 트레이형식으로 교체가 용이하며, 접촉 면적 대비 압력손실이 적으며, 자체 동력 사용으로 이송과정에서 진공펌프 불필요하게 된다.
한편 제2 흡착 본체(126)의 하부에는, 예비 사용을 위한 흡착필터(121)가 배치되기 위한 예비 적재부(128)와, 적재부의 하부에 배터리가 위치하는 배터리 적재부(129)가 마련될 수 있다.
중력 집진 유닛(100)의 유출구 측에는 산도를 감지할 수 있는 유해가스 검출부(175)가 위치할 수 있다. 이러한 유해가스 검출부(175)에 의해 가스 산도 측정 값을 기초로 하여 유해가스를 정화하기 위한 흡착탑 유닛(120)의 유입구에 연결된 배관 측으로 유해가스의 유동을 허용하는 개폐밸브들(142, 143, 152, 153)이 개방되거나 차단되도록 작동됨으로써 흡착탑 유닛(120)에 의한 유해가스 정화가 수행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탑재 유해물질 정화장치는, 상기의 유해가스 검출부(175)에 의해 개폐밸브들(142, 143, 152, 153)을 개폐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가 조작 유닛(170)에 마련된다. 제어부에는 각종 센서들에 의한 유량, 온ㅇ 습도, pH 측정 값이 입력될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탑재 유해물질 정화장치는, 설정 압력과 유량에 의한 자동 운전 가능하며, 대상 물질 및 상황에 따른 대처 능력 확보할 수 있으며, 선택운전 기능을 통한 설비의 수명 연장이 가능하며, 자동제어시스템 적용으로 운전 및 제어 용이하며, 유량, 온ㅇ 습도, pH 측정 등의 계측기류를 통한 처리현황 파악이 가능할 수 있다.
한편 배출 유닛(130)에는 여과 집진 유닛(110)과 흡착탑 유닛(120)의 유출구 측에 연결된 배관들이 합류되어 연결된 합류부(131)가 마련되며, 합류부(131)의 흡착탑 유닛(120) 측 배관에는 흡착탑 유닛(120)의 유출구 측에서 배출 유닛(130) 측으로 유동을 단속하며 합류부(131)에서 흡착탑 유닛(120) 측으로 역류를 방지하기 위한 개폐밸브(132)가 구성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이를 기초로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구성 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또는 추가 등에 의해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을 것이며, 이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 내에 포함된다 할 것이다.
100: 중력 집진 유닛 103: 격벽
105: 중력 집진 본체 106: 집진 서랍부
110: 여과 집진 유닛 111: 백필터
112, 113: 이송 팬 115: 여과 집진 본체
116: 필터부 120: 흡착탑 유닛
121: 흡착 필터 122: 흡착 트레이
123: 활성탄
125: 제1 흡착 본체 126: 제2 흡착 본체
128: 예비 적재부 129: 배터리 적재부
130: 배출 유닛 131: 합류부
132: 개폐밸브 140: 집진 분기 유닛
141: 집진 분기부 142, 143: 개폐밸브
150: 흡착 분기 유닛 151: 흡착 분기부
152, 153: 개폐밸브 160: 컴프레셔
170: 조작 유닛

Claims (8)

  1. 유입구와 유출구가 위치하며, 통과하는 공기 중 먼지가 가라앉도록 구성된 중력 집진 유닛;
    상기 중력 집진 유닛의 유출구에 배관 연결되는 유입구가 마련되며, 공기의 먼지를 더 여과하기 위한 백필터들이 내부에 위치하며, 공기를 내보내기 위한 유출구가 마련된 여과 집진 유닛;
    상기 중력 집진 유닛의 유출구와 상기 여과 집진 유닛의 유출구에 배관 연결되는 유입구가 마련되며, 공기 중 유해가스를 흡착하기 위한 흡착필터가 내부에 위치하며, 상기 유해가스를 내보내기 위한 유출구가 마련된 흡착탑 유닛; 및
    상기 여과 집진 유닛의 유출구와 상기 흡착탑 유닛의 유출구에 배관 연결되어 배기하도록 구성된 배출 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중력 집진 유닛에서 공기 중 먼지를 중력에 의해 가라 앉혀 제거하며, 공기 중 포함된 먼지 및 유해가스의 농도에 따라 상기 여과 집진 유닛의 백필터에 의해 공기를 여과하는 백필터 정화와 상기 흡착탑 유닛의 흡착필터에 의해 유해가스를 제거하는 흡착필터 정화를 선택적으로 수행하도록 배관과 배관 개폐가 구성되며,
    상기 중력 집진 유닛은,
    상기 유출구와 유입구가 상부에 위치하는 중력 집진 본체;
    상기 유입구와 유출구 사이에서 상하 유로 형성을 위한 격벽; 및
    상기 격벽의 양측 상하 유로를 통과하면서 집진되도록 상기 중력 집진 본체의 하부에 서랍식으로 마련되는 집진 서랍부를 포함하는 차량탑재 유해물질 정화장치.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중력 집진 유닛의 유출구에 상기 여과 집진 유닛의 유입구와 상기 흡착탑 유닛의 유입구를 함께 연결하도록 집진 분기부가 마련되며, 상기 중력 집진 유닛의 유출구에서 상기 여과 집진 유닛의 유입구와 상기 흡착탑 유닛의 유입구 측으로 유해가스가 선택적으로 공급되도록 개폐밸브들이 위치하는 집진 분기 유닛; 및
    상기 여과 집진 유닛의 유출구에 상기 흡착탑 유닛의 유입구와 상기 배출 유닛을 연결하도록 흡착 분기부가 마련되며, 상기 여과 집진 유닛의 유출구에서 상기 흡착탑 유닛의 유입구와 상기 배출 유닛 측으로 유해가스가 선택적으로 공급되도록 개폐밸브들이 위치하는 흡착 분기 유닛을 더 포함하는 차량탑재 유해물질 정화장치.
  3. 삭제
  4.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여과 집진 유닛은,
    유입구가 하부에 유출구가 상부에 위치하는 여과 집진 본체;
    상기 백필터 측으로 유해가스를 통과시켜 이송하기 위한 이송 팬; 및
    상기 유입구와 상기 유출구 사이에 상기 백필터들이 상하 방향으로 결합되며, 상기 백필터를 통과하여 상부에서 하부로 유통되도록 구성된 필터부를 포함하며,
    상기 이송 팬은 상기 여과 집진 본체의 유출구 측에 위치하는 차량탑재 유해물질 정화장치.
  5.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흡착탑 유닛은,
    유입구가 하부에 위치하며 개구가 상부에 마련되며, 상기 흡착필터들이 복수개씩 일렬로 복층으로 배치된 제1 흡착 본체;
    상기 흡착필터 측으로 상기 유해가스를 통과시키기 위한 이송 팬; 및
    상기 제1 흡착 본체의 개구에 배관 연결되는 개구가 마련되며 상기 이송 팬이 상부에 위치하며, 상기이송 팬에 연결되는 유출구가 마련된 제2 흡착 본체를 포함하는 차량탑재 유해물질 정화장치.
  6.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흡착필터는 한 쌍의 경사진 부재를 갖는 흡착 트레이와, 상기 흡착 트레이에 제공된 활성탄을 포함하는 차량탑재 유해물질 정화장치.
  7.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흡착 본체의 하부에는, 예비 사용을 위한 흡착필터가 배치되기 위한 예비 적재부와, 상기 적재부의 하부에 배터리가 위치하는 배터리 적재부가 마련된 차량탑재 유해물질 정화장치.
  8. 제1 항, 제2 항, 제4 항 내지 제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중력 집진 유닛의 유출구 측에는 유해가스 검출부가 위치하는 차량탑재 유해물질 정화장치.
KR1020170051728A 2017-04-21 2017-04-21 차량탑재 유해물질 정화장치 KR10185203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51728A KR101852039B1 (ko) 2017-04-21 2017-04-21 차량탑재 유해물질 정화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51728A KR101852039B1 (ko) 2017-04-21 2017-04-21 차량탑재 유해물질 정화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52039B1 true KR101852039B1 (ko) 2018-06-08

Family

ID=626003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51728A KR101852039B1 (ko) 2017-04-21 2017-04-21 차량탑재 유해물질 정화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52039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00832B1 (ko) * 2018-10-15 2020-04-14 신평산업(주) 운반형 부식성가스 정제설비
KR20200143171A (ko) * 2019-06-15 2020-12-23 서정수 조립식 공기보다 무거운 물질 분리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11010B1 (ko) * 2003-04-15 2005-08-30 학교법인 영남학원 분진 및 휘발성 유해 유기화합물 동시제거용 집진처리장치
KR100771654B1 (ko) * 2006-04-20 2007-10-30 주식회사 가온솔루션 집진제어시스템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11010B1 (ko) * 2003-04-15 2005-08-30 학교법인 영남학원 분진 및 휘발성 유해 유기화합물 동시제거용 집진처리장치
KR100771654B1 (ko) * 2006-04-20 2007-10-30 주식회사 가온솔루션 집진제어시스템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00832B1 (ko) * 2018-10-15 2020-04-14 신평산업(주) 운반형 부식성가스 정제설비
KR20200143171A (ko) * 2019-06-15 2020-12-23 서정수 조립식 공기보다 무거운 물질 분리장치
KR102263299B1 (ko) * 2019-06-15 2021-06-09 서정수 조립식 공기보다 무거운 물질 분리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014682B2 (en) Apparatus and process for removing contaminants from a flowing gas stream
KR101852039B1 (ko) 차량탑재 유해물질 정화장치
US7896959B1 (en) Filtration apparatus
CN109310934B (zh) 用于从气体流中去除污染物的装置和方法
US8337575B2 (en) Method and system for treating polluted gases
US20220088522A1 (en) Dust and debris filtration system for cleaning air used in the conveyance of granular material to and from the silo, dry bulk trailer, rail car, and other transportation and conveying means
CN1385231A (zh) 排气装置用的空气过滤器
CN214133249U (zh) 一种实验室废气净化通风柜
CN212821587U (zh) 容器清洗装置
KR101643139B1 (ko) 반도체 제조설비용 배기관의 드레인포켓
KR200480334Y1 (ko) 이동식 스크러버를 사용한 공기 오염 지역 정화 장치
JP3539680B2 (ja) 汚液の濾過方法及びその装置
KR100475991B1 (ko) 유류저장탱크 청소차량
KR20150099308A (ko) 여과집진기
US7390340B1 (en) Filtration apparatus
JP2007232438A (ja) 試料採取車両
KR200349932Y1 (ko) 다공성 제올라이트 필터를 사용한 공기정화기 겸용 이동식 후드
RU2324524C2 (ru) Секционный рукавный фильтр для очистки газа
KR101848790B1 (ko) 자가 세정 폐가스 처리 장치
KR101180142B1 (ko) 활성탄소 배출 및 충진장치
KR200344799Y1 (ko) 다공성 제올라이트 필터를 사용한 여과식 닥트리스 흄후드
KR0155244B1 (ko) 유해가스와 미세분진을 고효율로 제거하는 필터의 구조
JP2008000679A (ja) 排水処理装置、排水処理システム、および、排水処理方法
CN214244154U (zh) 干化污泥净化处理系统
KR101693328B1 (ko) 자가 세정 폐가스 처리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