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75991B1 - 유류저장탱크 청소차량 - Google Patents

유류저장탱크 청소차량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75991B1
KR100475991B1 KR10-2002-0066198A KR20020066198A KR100475991B1 KR 100475991 B1 KR100475991 B1 KR 100475991B1 KR 20020066198 A KR20020066198 A KR 20020066198A KR 100475991 B1 KR100475991 B1 KR 10047599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orage tank
oil
oil storage
chamber
fil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661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37631A (ko
Inventor
김명술
김용대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동명엔터프라이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동명엔터프라이즈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동명엔터프라이즈
Priority to KR10-2002-006619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75991B1/ko
Publication of KR200400376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3763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7599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75991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9/00Cleaning hollow articles by 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to 
    • B08B9/08Cleaning containers, e.g. tan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PVEHICLES ADAPTED FOR LOAD TRANSPORTATION OR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3/00Vehicles adapted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3/22Tank vehicles
    • B60P3/224Tank vehicles comprising auxiliary devices, e.g. for unloading or level indicating
    • B60P3/225Adaptations for pumps or val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PVEHICLES ADAPTED FOR LOAD TRANSPORTATION OR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3/00Vehicles adapted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3/22Tank vehicles
    • B60P3/224Tank vehicles comprising auxiliary devices, e.g. for unloading or level indicating
    • B60P3/2265Arrangements for hoses, tubes, or re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10Road Vehicles
    • B60Y2200/14Trucks; Load vehicles, Busses
    • B60Y2200/146Silo or fluid transporting veh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Transportation (AREA)
  • Treatment Of Sludge (AREA)
  • Sewage (AREA)
  • Cleaning In General (AREA)

Abstract

개시된 내용은 청소장비를 탑재하고 청소를 요하는 장소로 자유롭게 이동하며 유류저장탱크내에 쌓인 슬러지나 물들을 흡입하여 청소할 수 있는 유류저장탱크 청소차량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의 청소차량은 유류저장탱크를 청소하기 위한 장치에 있어서, 차량의 차대상에 탑재되고 상기 유류저장탱크로부터 유류를 흡입하여 상기 유류속에 포함된 불순물을 분리제거하는 처리탱크; 상기 처리탱크로 상기 유류저장탱크로부터 유류를 이동시키는 흡입배관; 상기 처리탱크내에서 처리된 물질을 외부로 배출시키기 위한 배출배관; 및 상기 처리탱크내에 부압을 발생시켜 상기 유류저장탱크내의 유류가 상기 흡입배관을 타고 흡입되게 하는 진공수단; 및 상기 진공수단의 구동에 필요한 동력을 제공하는 동력제공수단을 구비한다.

Description

유류저장탱크 청소차량{Vehicle for cleaning oil tanks}
본 발명은 유류저장탱크의 내부를 청소하는 차량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청소장비를 탑재하고 청소를 요하는 장소로 자유롭게 이동하며 유류저장탱크내에 쌓인 슬러지나 물들을 유류와 함께 흡입하여 청소할 수 있는 유류저장탱크 청소차량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주유소를 비롯하여 유류를 취급하는 각종업소들은 폐수처리장치등을 설치사용하도록 법적으로 강제되어 있으며, 유류를 저장하는 탱크의 청결도 일정수준을 유지토록 하고 있다. 이러한 주유소나 각종 공장등에서 유류를 저장하는데 사용되는 탱크는 시간이 흐름에 따라 내부에 슬러지가 쌓이고 물들이 유입되어 유류와 섞이게 된다. 따라서, 이러한 유류저장탱크는 일정기간이 지나면 정기적으로 내부를 청소해주어야 한다.
종래에는 유류저장탱크에 있는 물이 섞인 유류를 펌프로 퍼올려 이것을 분리처리할 수 있는 장소로 이동시켜 처리하고, 탱크바닥에 쌓여있는 슬러지는 지상으로 인양하여 대기중에 일정기간동안 방치시켜 수분이 제거되도록 한 후 처리하거나 별도의 슬러지 처리장치로 슬러지에서 수분을 제거하여 케이크상태로 만들어 폐기물매립지등으로 이송시켜 매립처리하였다.
이와 같이, 기존의 유류저장탱크의 청소는 유류저장탱크내의 기름을 거의 다 사용한 후, 탱크바닥에 약간 남은 기름을 빼고나서 그 바닥에 쌓인 슬러지를 퍼올려 외부로 제거하기 때문에, 각 공정들을 사람이 일일이 진행해야 되므로 일손이 많이 필요하여 인력비가 많이 소요될 뿐만 아니라, 각 단계를 별도의 작업도구를 사용하여 진행하므로 작업이 더딘 단점이 있었다. 특히, 슬러지를 외부에 야적시켜 건조처리하므로, 빗물이나 기타 외부의 유입물로 인해 슬러지에서 침출수가 발생되어 토양의 오염은 물론 하천과 식수를 오염시키게 되는 문제가 발생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술한 제결점들을 해소하기 위해서 안출한 것으로서, 청소장비를 탑재하고 청소를 요하는 장소로 자유롭게 이동하며 유류저장탱크내에 쌓인 슬러지나 물들을 유류와 함께 흡입하여 청소할 수 있는 유류저장탱크 청소차량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유류저장탱크 청소차량은 유류저장탱크를 청소하기 위한 장치에 있어서, 차량의 차대상에 탑재되고 상기 유류저장탱크로부터 유류를 흡입하여 상기 유류속에 포함된 불순물을 분리제거하는 처리탱크; 상기 처리탱크로 상기 유류저장탱크로부터 유류를 이동시키는 흡입배관; 상기 처리탱크내에서 처리된 물질을 외부로 배출시키기 위한 배출배관; 및 상기 처리탱크내에 부압을 발생시켜 상기 유류저장탱크내의 유류가 상기 흡입배관을 타고 흡입되게 하는 진공수단; 및 상기 진공수단의 구동에 필요한 동력을 제공하는 동력제공수단을 포함한다.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유류저장탱크 청소차량에 탑재된 청소시스템의 개요도로, 이 도면을 보면서 본 청소차량의 청소시스템에 대해 개략적으로 알아보도록 한다.
본 장치는 도시한 바와 같이 유류저장탱크로부터 유류를 흡입시켜 그로부터 물 및 슬러지를 분리하는 처리탱크(100)를 구비하고 있다. 이 처리탱크(100)는 하나의 공간으로 사용하여도 무방하나, 용도에 따라 내부를 분할하여 여러 공간으로 분리하여 사용하면 편리하다. 본 실시예에서는 처리탱크(100)의 내부가 분할되어 3개의 격실로 구획되어 있으며, 그 각각은 제 1정화실(110), 제 2정화실(120) 및 슬러지처리실(130)로 되어 있다.
처리탱크(100)에는 유류저장탱크로부터 유류를 공급하기 위하여 흡입배관(200,200a)이 구비되어 있는데, 이 흡입배관(200,200a)은 제 1정화실(110)과 제 2정화실(120)에 각각 개별적으로 설치되어 있다. 특히, 흡입배관(200,200a)의 외측단에는 호스(210)를 연결하기 위한 커플링(220,220a)이 장착되어 있다. 커플링(220,220a)의 후단에는 여과기(230,230a)가 각각 연결되어 있는데, 제 1커플링(220)에는 제 1여과기(230)가 제 2커플링(220a)에는 제 2여과기(230a)가 연결되어 있다. 이 제 1,제 2여과기(230,230a)는 대략 900메쉬(Mesh)정도의 것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 1,제 2여과기(230,230a)의 후단에는 제 1,제 2정화실(110,120)로 각각 유입되는 유류를 통제하는 제 1,제 2단속밸브(240,240a)가 장착되어 있다.
한편, 제 1여과기(230)의 후단은 제 2여과기(230a)의 전단으로도 연결되어 있으며, 그 연결관(250)에는 여과기선택밸브(252)가 개재되어 있다. 따라서, 제 1단속밸브(240)를 폐쇄하고 여과기선택밸브(252)를 개방한 상태에서 제 1흡입배관(200)을 통해 유류를 흡입하면 제 1여과기(230)를 거친 후 제 2여과기(230a)로 유입되어 2중의 여과동작이 수행되므로 보다 깨끗한 유류를 제 2정화실(120)로 흡입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은 2중 여과작동은 유류의 오염도가 심할 경우 행해지며, 오염이 심하지 않을 경우에는 여과기선택밸브(252)를 폐쇄하고 제 1단속밸브(240)를 개방하여 제 1흡입배관(200)으로 유입된 유류저장탱크의 유류가 제 1여과기(230)만을 거치고 곧바로 제 1정화실(110)로 유입되게 한다. 본 처리탱크(100)에 두개의 제 1,제 2정화실(110,120)을 마련한 것은 종류가 다른 오일, 예를 들어 가솔린, 경유 등을 별개의 정화실로 흡입시켜 처리할 수 있게 하기 위한 것으로, 처리탱크(100)내부를 3개이상으로 구획하여 정화실을 더 많이 만들어 사용할 수도 있다.
제 1,제 2정화실(110,120) 및 슬러지처리실(130)에는 내부를 진공으로 만들어 유류 및 슬러지를 흡입하기 위한 진공수단(300)이 연결되어 있다. 즉, 제 1,제 2정화실(110,120) 및 슬러지처리실(130)에는 각각 진공배관(310)이 배설되어 진공펌프(320)와 같은 진공발생장치와 연결되어 있으며, 이 진공배관(310)과 진공펌프(320) 사이에는 제 1,제 2정화실(110,120) 및 슬러지처리실(130)에 연결된 진공배관(310)들을 선택적으로 활성화시킬 수 있는 진공선택밸브(330)가 배치되어 있다.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도 3를 참조하여 후술하기로 한다. 제 1,제 2정화실(110,120) 및 슬러지처리실(130)에는 또한 배출배관(400)이 설치되어 있는데, 이 배출배관(400)에는 배출통제밸브(410)와 커플링(420)이 설치되어 있다. 이 배출배관(400)은 각 격실에 적어도 1개이상, 바람직하게는 도면에서 보는 바와 같이 각 격실에 높이가 다르게 2개가 설치된다. 이 배출배관(400)을 통해 제 1,제 2정화실(110,120)로부터 물 및 슬러지가 외부로 배출되며, 이와 더불어 이곳을 통해 정제된 유류가 유류저장탱크로 재공급된다. 특히, 유류저장탱크내로의 정제유류공급시 배출배관(400)의 커플링(520)에 호스(500)를 연결하고 필터(510)를 개재하여 정제된 유류에서 다시 한번더 불순물을 걸러서 유류저장탱크로 보내게 된다. 이때, 사용되는 필터(510)는 40,000메쉬(Mesh)정도가 적합하다.
도 2a 내지 도 2c는 본 발명에 따른 유류저장탱크 청소차량의 측면도, 평면도 및 배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청소차량의 유류청소시스템을 구체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또한, 도 4a 및 도 4b는 본 청소차량의 처리탱크내부에 설치된 격판들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이제, 이 도면들을 참조하여 앞에서 개략적으로 설명한 본 발명의 구성에 대해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도 2a 내지 도 2c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청소차량(10)은 후방부 차대(20)상에 탑재된 처리탱크(100)를 구비하고 있다. 이 처리탱크(100)는 주유소등의 유류저장탱크로부터 유류를 흡입하여 그 내부에서 유류에 포함된 물과 슬러지를 분리하여 정제처리한 후 물과 슬러지는 폐기하고 정재된 유류는 다시 유류저장탱크로 공급하여 사용할 수 있게 하는 처리가 행해지는 곳이다.
처리탱크(100)는 그 내부가 3개의 공간으로 분할되어 있으며, 이 분할된 공간은 앞서도 설명했듯이 제 1,제 2정화실(110,120) 그리고 슬러지처리실(130)로 되어 있다. 제 1,제 2정화실(110,120)에는 유류를 흡입저장하여 유류중에 포함된 불순물, 즉 물이나 슬러지를 분리정제하는 처리가 행해지는 공간이고, 슬러지처리실(130)은 슬러지를 흡입시켜 슬러지폐기장소까지 이동할 수 있게 저장하는 공간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도면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좌측에서부터 차례로 제 1정화실(110), 슬러지처리실(130) 및 제 2정화실(120)이 배치되어 있으며, 특히 제 1정화실(110)과 슬러지처리실(130)은 그 내부공간이 다시 두개로 구획되어 있다. 이에 대해 좀더 상세히 부연설명하면, 처리탱크(100)내부는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양측으로 연락하게 하는 어떤 구멍이나 홈이 전혀 없는 2개의 제 1,제 2격판(102,104)이 설치되어 탱크내부가 3개의 공간인 제 1정화실(110), 슬러지처리실(130) 및 제 2정화실(120)로 완전히 분할되고, 제 1정화실(110) 및 슬러지처리실(130)은 그 내부에 도 4b에서와 같이 유동공(112a,132a)들이 천공된 제 1,제 2유동격판(112,132)이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제 1정화실(110) 및 슬러지처리실(130)내에 흡입저장된 그 내용물들은 어느정도 유동이 가능하지만 공간이 분할되어 있어 저장압력이 한곳에 집중되지 않으므로 작업시 처리탱크(100)에 작용하는 압력을 분산시켜 안전도가 향상된다.
이러한 제 1,제 2정화실(110,120)에는 각각 제 1,제 2흡입배관(200,200a)이 배치되어 있어 이 제 1,제 2흡입배관(200,200a)을 통해 유류저장탱크로부터 처리하고자 하는 유류를 흡입하게 된다. 이 제 1,제 2흡입배관(200,200a)은 각각 그 내단이 제 1,제 2정화실(110,120)내에 존재하고, 그 외단은 처리탱크(100)외부에 위치한다. 특히, 제 1,제 2흡입배관(200,200a)의 외단은 탱크후방을 돌출하고 있으며, 그들은 각각 탱크(100)후방에 장착된 제 1,제 2여과기(230,230a)와 연결되고나서 단부에 제 1,제 2커플링(220,220a)이 결합되어 있어, 이 커플링들(220,220a)에 호스(210)를 연결하여 유류저장탱크로부터 유류를 흡입할 수 있게 되어 있다. 또한, 제 1,제 2여과기(230,230a)는 연결관(250)을 통해 서로 연결되어 있고, 그 중간에 여과기선택밸브(252)가 설치되어 있다. 즉, 제 1여과기(230)의 후방에서 제 2여과기(230a)의 전방으로 연결관(250)이 연결되어 있어, 제 1여과기(230)를 통해 여과된 유류가 제 2여과기(230a)로 공급되어 재차 여과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이러한 2차에 걸친 여과는 흡입되는 유류의 오염정도가 심할 경우 행해지며, 이때에는 여과기선택밸브(252)를 개방하여 연결관(250)이 연통되게 한다. 따라서, 오염된 유류는 제 1흡입배관(200)쪽으로 흡입시켜 제 1,제 2여과기(230,230a)를 거친후 제 2흡입배관(200a)을 통해 제 2정화실(120)로 공급한다. 반면에, 유류의 오염정도가 심하지 않을 경우는 여과기선택밸브(252)를 폐쇄하여 제 1여과기(230)와 제 2여과기(230a)가 별개로 동작하게 한다. 즉, 제 1흡입배관(200)을 통해 흡입된 유류는 제 1여과기(230)를 통해 여과된 후 곧바로 제 1정화실(110)로 유입되며, 제 2흡입배관(200a)을 통해 흡입된 유류는 제 2여과기(230a)를 통해 여과된 후 제 2정화실(120)로 유입된다.
한편, 처리탱크(100)의 일측면 하방에는 제 1,제 2정화실(110,120) 및 슬러지처리실(130)과 연결된 배출배관(400,400a,400b)들이 마련되어 있다. 물론, 이 배출배관(400,400a,400b)은 배출통제밸브(410)를 거쳐 그 단부에 커플링(420)들이 연결되어 있어 호스와 연결이 가능한 구조를 이루고 있다. 이 배출배관(400,400a,400b)은 제 1,제 2정화실(110,120) 및 슬러지처리실(130)에 각각 한쌍씩 구비되어 있는데, 그중 하나는 높은 곳에 그리고 다른 하나는 그보다 낮은 곳에 설치되어 있다. 특히, 슬러지처리실(130)과 연결된 배출배관(400b)은 슬러지를 배출하는 용도외에도 흡입하는 흡입관의 용도로도 사용된다.
위에 설명한 제 1,제 2정화실(110,120) 및 슬러지처리실(130)의 상부에는 진공맨홀(114,124,134)이 구비되어 있고, 특히 제 1정화실(110) 및 슬러지처리실(130)은 그 내부가 두개의 유동가능한 공간으로 분할되어 있어 그 중 일측(좌측)공간상부에는 전술한 진공맨홀(114,134)이 설치되어 있고, 타측(우측)공간상부에는 일반맨홀(116,136)이 구비되어 있다. 그리고, 제 1,제 2정화실(110,120) 및 슬러지처리실(130)의 상부에는 내부의 진공을 해제하고 대기압상태로 복귀시키기 위한 공기구멍(118,128,138)이 형성되어 있다. 물론, 이 공기구멍(118,128,138)에는 개폐수단이 설치되어 있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제 1,제 2정화실(110,120) 및 슬러지처리실(130)로 유류 및 슬러지를 처리하기 위해서 본 발명에서는 진공압을 이용하는데, 이를 위해 본 청소차량에는 처리탱크(100)와 연결된 진공수단(300)이 구비되어 있다.
진공수단(300)은 제 1,제 2정화실(110,120) 및 슬러지처리실(130)에 연결된 진공배관(310) 및 진공선택밸브(330)와, 이 진공선택밸브(330)의 후단에 위치하는 진공펌프(320)를 구비한다. 이 진공수단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 1,제 2정화실(110,120) 및 슬러지처리실(130)에 해당하는 처리탱크(100)의 상부에는 각각 진공맨홀들(114,124,134)이 설치되어 있는데, 이 진공맨홀들(114,124,134)에는 각각 진공세관들(312,314,316)이 연결되어 있다. 진공세관들(312,314,316)상에는 개폐밸브들(332,334,336)이 각각 설치되고 나서, 하나의 통합관(318)으로 통합되어 사방밸브(340)와 연결되어 있다. 통합관(318)에는 압력계(317) 및 통합단속밸브(319)가 설치되어 있다. 사방밸브(340)에는 유체에서 공기를 분리하여 배출하는 에어분리기(342)를 거쳐 두개의 진공펌프들(320,320a)이 병렬로 연결되어 있으며, 진공펌프들(320,320a)의 전단에는 역류를 방지하는 체크밸브들(322,322a)이 설치되어 있다. 이 진공펌프들(320,320a)의 후단에서 진공배관은 하나로 통합되어 오일분리기(350)와 오일통(352)을 차례로 경유하여 사방밸브(340)와 다시 연결되어 있다. 사방밸브(340)의 나머지 하나의 포트에는 대기관(360)과 연결되어 가압시 필요한 압력을 형성하기 위하여 대기로부터 공기를 흡입할 수 있게 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 진공수단(300)은 차대(20)의 하부측에 장치되어 있다.
본 발명은 또한 진공펌프(320,320a)등으로 구동에 필요한 동력을 제공하기 위한 동력제공수단(미도시)을 구비하고 있다. 이 동력제공수단으로는 별도의 발전기를 차량에 탑재하거나 차량의 PTO(Power Take-Off)가 이용될 수 있다. 물론, 본 청소차량(10)에 설치되어 유로를 개폐하는 밸브들은 솔레노이드등에 의해 자동으로 구동될 수 있게 구성할 수 있으며, 이때 솔레노이드는 동력제공수단에 의해 공급된 동력(전원)에 의해 구동된다.
도 5는 본 청소차량을 사용하여 유류저장탱크를 청소하고 있는 상태를 보여주는 사용상태도로, 도면에서 보는 바와 같이 처리탱크(100)의 일측 흡입배관(200)에 구비된 커플링(220)에 호스(210)를 연결하고 그 호스(210)의 일단을 유류저장탱크(30)내에 집어넣어 처리탱크(100)로 유류를 빨아올리게 된다. 이제, 도 5 및 상술한 전도면들을 참조하며 본 발명의 청소차량을 이용하여 유류저장탱크를 청소하는 작업과정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주유소나 유류저장탱크가 있는 공장에서 청소요청이 접수되면, 담당자는 본 발명의 유류저장탱크 청소차량(10)을 운전하고 해당 유류저장탱크(30)가 있는 곳으로 이동한다. 그리고, 유류저장탱크(30)의 뚜껑을 열고 유류저장탱크(30)내의 상태를 확인한 다음, 처리탱크(100)의 제 1,제 2정화실(110,120)중 어느 곳을 이용할 것인지와 유류의 오염정도에 따라 여과기를 하나만 사용할 것인지 아니면 이중으로 사용할 것인지를 결정하여 해당 정화실과 연결된 단속밸브를 개방하는 한편 여과기선택밸브도 개폐조절한다. 가령 제 1정화실(110)을 사용하고 여과기는 하나만 사용한다고 결정한다면, 단속밸브중 제 1정화실(100)과 연결된 제 1단속밸브(240)를 개방하고 여과기선택밸브(252)를 폐쇄한 다음, 제 1흡입배관(200)의 커플링(220)에 호스(210)를 연결하여 유류저장탱크(30)내에 호스(210)를 집어넣는다. 그런후, 진공펌프(320,320a)를 가동시키면 제 1정화실(110)내에는 부압이 형성되어 유류저장탱크(30)에 담거진 호스(210)를 통해 유류가 이동되어 제 1흡입배관(200)을 타고 제 1정화실(110)로 흡입된다. 이때, 제 1흡입배관(200)에 마련된 제 1여과기(230)를 통과하며 눈에 보일 정도의 입자를 갖는 슬러지는 여과된 후 유류가 공급되게 된다. 따라서, 제 1정화실(110)내에는 위와 같이 유류저장탱크(30)내에서 흡입된 유류가 저장되며, 어느정도의 시간이 흐르면 유류에 포함된 물이나 슬러지는 비중차에 의해 슬러지와 물은 하층에 침전되고 순수한 유류만이 상층에 존재하게 된다. 이렇게 분리되면 제 1정화실(110)의 하부측에 마련된 배출배관(400)을 통해 슬러지 및 물을 외부로 배출한다. 이렇게 배출된 슬러지와 물은 외부의 별도의 저장통(미도시)을 마련하여 받게 되고, 이 저장통에서 슬러지와 물은 슬러지처리실(130)의 배출배관(400b)에 호스를 연결하여 슬러지처리실(130)로 흡입저장한다.
위와 같이 제 1정화실(110)내에서 슬러지 및 물을 배출하여 분리하면 제 1정화실(110)내에는 순수한 유류만이 존재하게 되는데, 이렇게 정제한 유류는 다시 제 1정화실(100)에 마련된 배출배관(400)에 호스(500)를 연결하여 유류저장탱크(30)내로 이동저장하게 된다. 이때, 제 1정화실(110)에서 정제한 유류중에는 어느정도의 미세한 이물질이 포함되어 있을지 모르므로, 배출배관(400)과 연결된 호스(500)에 필터(510)를 장치하여 다시 한번더 정밀하게 여과한후 유류저장탱크(30)로 반송하게 된다.
여기에 개시되는 실시예는 여러가지 실시가능한 예 중에서 당업자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가장 바람직한 예를 선정하여 제시한 것일 뿐,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반드시 이 실시예에 의해서만 한정되거나 제한받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화와 변경이 가능함은 물론,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유류저장탱크 청소차량은 청소가 필요한 어느 곳이나 손쉽게 이동할 수 있어 접근성이 좋고 활동성이 뛰어난 장점이 있다. 또한, 진공펌프를 사용하여 처리탱크로 유류저장탱크내의 오염된 유류를 흡입하여 인양하고 그 내부에서 유류내의 불순물을 정제하여 분리하므로 순수한 유류를 다시 유류저장탱크내로 반환시켜 사용할 수 있으며, 이러한 일련의 과정을 하나의 청소차량내에서 모두 구현하므로 편리하고 신속한 청소가 가능하다. 나아가, 탱크청소시 발생한 슬러지는 슬러지처리실로 흡입하여 싣고 폐기장소로 운반하므로 하나의 본 차량을 통하여 유류저장탱크를 완전히 청소할 수 있는 잇점이 있다. 특히, 냄새나고 더러운 작업인 유류저장탱크의 청소를 작업자가 직접 탱크내로 들어가 작업하지 않고 본 차량을 통해 모든 작업이 순차적으로 진행되게 함으로써 기계화, 자동화가 가능하고 청소비 및 인력비를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관한 상세한 설명은 첨부하는 도면들을 참조하여 이루어질 것이며, 도면에서 대응되는 부분을 지정하는 번호는 같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유류저장탱크 청소차량에 탑재된 청소시스템의 개요도이고,
도 2a 내지 도 2c는 본 발명에 따른 유류저장탱크 청소차량의 측면도, 평면도 및 배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청소차량의 유류청소시스템을 구체적으로 나타낸 도면이고,
도 4a 및 도 4b는 본 청소차량의 처리탱크내부에 설치된 격판들을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5는 본 청소차량을 사용하여 유류저장탱크를 청소하고 있는 상태를 보여주는 사용상태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 처리탱크 102,104 : 격판
110,120 : 제 1,제 2정화실 130 : 슬러지처리실
112,132 : 유동격판 114,124,134 : 진공맨홀
116,136 : 일반맨홀 118,128,138 : 공기구멍
200,200a : 제 1,제 2흡기배관 210 : 호스
220,220a : 제 1,제 2커플링 230,230a : 제 1,제 2여과기
240,240a : 제 1,제 2단속밸브 300 : 진공수단
310 : 진공배관 320 : 진공펌프
330 : 진공선택밸브 340 : 사방밸브
350 : 오일분리기 352 : 오일통
360 : 대기관 400,400a,400b : 배출배관
410 : 배출통제밸브 420 : 커플링
500 :호스 510 : 필터

Claims (7)

  1. 유류저장탱크 청소차량에 있어서,
    1개 이상의 정화실과, 슬러지처리실로 구성되는 처리탱크와;
    상기 정화실에 각각 연결된 흡입배관과;
    상기 흡입배관에 각각 설치된 여과기와;
    상기 정화실의 하부에 설치된 배출배관과;
    상기 슬러지처리실의 하부에 설치된 또 다른 배출배관과;
    상기 처리탱크에 연결 설치되는 진공발생장치와;
    상기 진공발생장치와 상기 정화실 및 슬러지처리실을 선택적으로 연결하는 진공선택밸브와;
    를 포함하는 구성되며,
    상기 흡입배관 중 적어도 하나는 연료저장탱크에 연결되는 구성이 1대의 차량에 모두 탑재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류저장탱크 청소차량.
  2. 제1항에 있어서,
    연료저장탱크에 연결되는 흡입배관의 여과기와 정화실 사이에는 단속밸브가 설치되어 있고,
    하나의 흡입배관에 설치된 여과기의 출력측은, 연결관을 개재하여 다른 흡입배관에 설치된 여과기의 입력측과 연속적으로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연결관에는 여과기선택밸브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류저장탱크 청소차량.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탱크를 구성하는 정화실과 슬러지처리실은 격판에 의해 상호 소통이 없이 공간분리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류저장탱크 청소차량.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정화실과 상기 슬러지처리실, 또는 상기 정화실이나 슬러지처리실은 유동공들이 천공된 유동격판에 의해 다시 2개의 공간씩 분할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류저장탱크 청소차량.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흡입배관들에는 호스와 연결하기 위한 커플링이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류저장탱크 청소차량.
  6. 삭제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정화실에서 정제된 순수한 유류를 상기 배출배관을 통해 다시 상기 유류저장탱크내로 반송시 정제된 유류를 다시 한번더 정밀정제하기 위한 필터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류저장탱크 청소차량.
KR10-2002-0066198A 2002-10-29 2002-10-29 유류저장탱크 청소차량 KR10047599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66198A KR100475991B1 (ko) 2002-10-29 2002-10-29 유류저장탱크 청소차량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66198A KR100475991B1 (ko) 2002-10-29 2002-10-29 유류저장탱크 청소차량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37631A KR20040037631A (ko) 2004-05-07
KR100475991B1 true KR100475991B1 (ko) 2005-03-10

Family

ID=373359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66198A KR100475991B1 (ko) 2002-10-29 2002-10-29 유류저장탱크 청소차량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7599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5011Y1 (ko) * 2013-04-08 2014-10-31 한국위험물환경기술(주) 세척용 배관이 구비된 유류저장탱크
CN103240247A (zh) * 2013-05-07 2013-08-14 西安石油大学 一种成品油清洗系统
KR101522904B1 (ko) * 2014-09-02 2015-05-27 (주)동명엔터프라이즈 유류저장탱크 청소장치 및 이를 이용한 유류저장탱크 청소방법
KR101522659B1 (ko) * 2014-12-01 2015-05-26 실리기업 주식회사 일체형 지중시설물 청소 및 점검장치를 이용한 청소 및 점검방법
US10589287B2 (en) 2015-07-10 2020-03-17 NGL Solids Solutions, LLC Systems and methods for oil field solid waste processing for re-injection
US9925572B2 (en) 2015-07-10 2018-03-27 NGL Solids Solutions, LLC Devices, systems, and processes for cleaning the interiors of frac tanks
US9656308B2 (en) 2015-07-10 2017-05-23 NGL Solids Solutions, LLC Systems and processes for cleaning tanker truck interiors
US11911732B2 (en) 2020-04-03 2024-02-27 Nublu Innovations, Llc Oilfield deep well processing and injection facility and methods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71626B1 (ko) * 1992-09-24 1999-02-18 오사까다 히로미 탱크의 세정과 탱크내의 잔류액체의 회수 및 처리를 위한 장치 및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71626B1 (ko) * 1992-09-24 1999-02-18 오사까다 히로미 탱크의 세정과 탱크내의 잔류액체의 회수 및 처리를 위한 장치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37631A (ko) 2004-05-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679335B1 (en) Vehicle-mounted vacuum system and method of separating liquid and solids fractions of a sludge-like mixture inside a container
US7368054B2 (en) Apparatus to separate oil and debris from an aqueous fluid
US6616834B2 (en) Wastewater processor
KR100475991B1 (ko) 유류저장탱크 청소차량
TW200427597A (en) Waste liquid filtration system vehicle
KR101839817B1 (ko) 건식 필터 분리 방식의 건습식 겸용 준설차
CA2799808C (en) Vehicle-mounted vacuum system and method of separating liquid and solids fractions of a sludge-like mixture inside a container
US6569320B1 (en) Apparatus for changing an engine fuel filter
US7967151B1 (en) Universal fuel recycling machine
US11795050B2 (en) Device and method for pumping low evaporation products under vacuum
US6391208B2 (en) Filter for a carpet cleaning system
KR100436330B1 (ko) 유수분리조 청소차량
JPH0596189U (ja) 吸引流体の再利用タンク装置
JP2565283Y2 (ja) タンク車両
JP4394258B2 (ja) 可搬式オイルタンククリーナー
CN219118348U (zh) 一种清洗吸污车臭氧消杀装置
JP2001239111A (ja) 石油浄化器及び該石油浄化器を用いた石油の浄化方法
CN221557652U (zh) 排泥水处理系统
CN215905904U (zh) 陶瓷膜过滤器及含油污水预处理装置
KR102046753B1 (ko) 차량 탑재형 유해화학물질 포집시스템
JP2869778B2 (ja) 洗浄車
CN110523164B (zh) 吸污车的气体过滤装置
JPH03290542A (ja) 多目的吸入処理装置および多目的洗浄車
KR200264106Y1 (ko) 오니(汚泥)처리장치
KR100798455B1 (ko) 지하시설물 청소용 오폐수 재활용장치 및 그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04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303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24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22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26

Year of fee payment: 1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302

Year of fee payment: 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