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73438A - 분리형 김 건조대 - Google Patents

분리형 김 건조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73438A
KR20170073438A KR1020160012621A KR20160012621A KR20170073438A KR 20170073438 A KR20170073438 A KR 20170073438A KR 1020160012621 A KR1020160012621 A KR 1020160012621A KR 20160012621 A KR20160012621 A KR 20160012621A KR 20170073438 A KR20170073438 A KR 2017007343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ying
pipe
separating
support
pip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126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869344B1 (ko
Inventor
김영덕
Original Assignee
김영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영덕 filed Critical 김영덕
Publication of KR2017007343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7343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6934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6934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17/00Food-from-the-sea products; Fish products; Fish meal; Fish-egg substitut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17/60Edible seaweed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FPROCESSING OF HARVESTED PRODUCE; HAY OR STRAW PRESSES; DEVICES FOR STORING AGRICULTURAL OR HORTICULTURAL PRODUCE
    • A01F25/00Storing agricultural or horticultural produce; Hanging-up harvested fruit
    • A01F25/12Racks for drying purpos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25/00Details of general application not covered by group F26B21/00 or F26B23/00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2200/00Drying processes and machines for solid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 specific requirements of the drying good
    • F26B2200/16Sea weed; Marine product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Zo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rying Of Solid Mat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분리형 김 건조대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길이가 길게 구성된 김 건조대를 일정 길이로 각각 분리하여 분리된 건조대를 상호 결합되도록 한 후, 하나의 김 건조대가 되도록 한 분리형 김 건조대에 관한 것으로써, 길이가 긴 김 건조대를 분리한 후, 상호 결합이 이루어지며 조립될 수 있도록 하였고, 김 건조대에 구성되는 한 쌍의 파이프와 지지대를 합성수지재로 형성하여 염분에 의한 표면 부식이 되지 않도록 하였으며, 분리된 각각의 건조대에 대해서는 상호 연결이 손쉽게 되는 분리형 김 건조대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분리형 김 건조대{ Separate Kim Hack }
본 발명은 분리형 김 건조대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길이가 길게 구성된 김 건조대를 일정 길이로 각각 분리하여 분리된 건조대를 상호 결합되도록 한 후, 하나의 김 건조대가 되도록 한 분리형 김 건조대에 관한 것이다.
해태의 건조는 자연 건조방법과 건조기를 이용한 강제 건조방법이 있다.
상기 강제 건조방법은 단시간에 대량의 해태를 연속적으로 건조할 수 있어 업계에서 널리 사용하고 있으며,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Y1) 20-0289634호(2002.09.16.)의 해태 건조기의 발장가이드 장치와 같이 체인컨베이어에 설치되어 캐리어에 양단이 걸림되는 발장프레임(해태 건조용 발장틀)의 선단부가 걸림되도록 하여 해태를 연속적으로 건조할 수 있게 하고 있다.
한편 해태 건조용 발장틀의 경우 상기 선행기술 및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A)10-2012-0111845호(2012.10.11.)의 설치가 용이하고 자동 정렬되는 해태 건조용 발장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 하측 지지봉 사이에 일정간격으로 지지간을 설치한 구성으로 이들은 환봉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한 종래 발장틀의 경우 여러 개의 발장을 고정할 수 있도록 구성할 때 지지봉의 길이가 3m 이상으로 길어지게 되는데, 이러한 구성은 지지봉에 집중되는 응력에 의해 지지봉이 휘게 되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되어 체인컨베이어를 따라서 이동할 때 주변 기체와 부딪히게 되는 등의 문제점이 발생하게 되어 발장틀의 교체를 수시로 행하고 있는 실정이다.
또, 지지봉 및 지지간을 스테인리스 재질로 구성하고 있기는 하나 염분이나 해수에 장시간 노출됨에 따라 표면부식이 발생하여 위생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고, 발장틀의 일부가 손상되더라도 발장틀 전체를 교체해야 하므로 발장틀의 유지관리 비용이 상승하게 되는 등의 문제점도 있었던 바, 업계에서는 상기한 종래 발장틀이 갖는 여러 문제점을 일소할 수 있는 신규한 구성의 발장틀이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또한, 등록번호 10-1456672호의 ‘해태 건조용 발장틀’도 개시되어 있지만, 상기 발장틀에 구성되는 파이프 및 지지대가 철재로 형성되어 염분에 의한 부식으로 파손이 빈번히 이루어지고, 상기 파이프와 지지대의 형상이 각을 이루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김 건조대 전체에 대한 무게가 상승되어 작업 시, 김 건조대를 회전하게 됨에 따른 무게가 무거워 결론적으로 작업의 효율성이 저하되는 일이 있으며, 길이가 긴 김 건조대를 분리하였지만, 각각의 연결 구조가 복잡하여 연결에 대한 작업시간이 많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해낸 것으로서, 길이가 긴 김 건조대를 분리한 후, 상호 결합이 이루어지며 조립될 수 있도록 하였고, 김 건조대에 구성되는 한 쌍의 파이프와 지지대를 합성수지재로 형성하여 염분에 의한 표면 부식이 되지 않도록 하였으며, 분리된 각각의 건조대에 대해서는 상호 연결이 손쉽게 되는 분리형 김 건조대를 제공함에 주안점을 두고 그 기술적 과제로 창안해낸 것이다.
상기한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르면, 평행하게 상호 이격을 이루며 횡 방향으로 배열되는 한 쌍의 파이프와, 상기 한 쌍의 파이프를 종 방향으로 상호 연결하되 발장이 위치되도록 이격을 이루며 다수개 구성되는 지지대로 구성된 김 건조대에 있어서, 상기 김 건조대는 다수개 구성되는 지지대(13)와 지지대(13) 사이에 위치되는 발장의 수량에 따라 한 쌍의 파이프(11)와 하나 이상 다수개의 지지대(13)로 구성된 분리건조대가 다수개로 분리되어 각각 구성되고, 상기 각각의 분리건조대에 구성된 파이프(11)와 파이프(11)를 상호 연결하는 연결파이프(500)가 구성되되, 상기 파이프(11)와 지지대(13)는 내부가 철심(11a)으로 구성되고, 외주가 상기 철심(11a)을 감싸는 합성수지재(11b)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형 김 건조대를 제공함으로서 그 과제를 해결하고자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분리형 김 건조대에 의하면, 건조대에 구성되는 파이프와 지지대를 내부가 철재, 외부가 합성수지재로 형성하여 건조대 전체에 대한 무게를 저감시키면서 철재의 외부를 합성수지재로 형성하여 염분 등에 의해서도 파이프와 지지대가 부식되지 않도록 하여 파손의 염려가 없도록 하였고, 상기 파이프와 지지대를 철재와 합성수지재의 2중으로 구성하여 수평대에 대한 견고함을 상승시켰으며, 합성수지재의 성형 시, 발장을 고정하는 클립도 일체로 성형할 수 있고, 길이가 긴 김 건조대를 일정 길이로 구분하여 분리된 건조대의 일부에 대한 교체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여 저렴한 비용으로 유지보수가 손쉽게 이루어질 수 있는 등 그 효과가 큰 발명이라 하겠다.
도 1은 본 발명인 김 건조대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2는 도 1의 A에 대한 확대를 나타낸 단면도
도 3은 도 1의 연결을 나타내는 연결상태도
도 4는 도 3의 좌분리건조대를 나타내는 확대도
도 5는 도 3의 중심분리건조대를 나타내는 확대도
도 6은 도 3의 우분리건조대를 나타내는 확대도
도 7은 본 발명인 김 건조대의 파이프와 연결파이프에 대한 연결을 나타내는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인 김 건조대에 클립과 밸런스파이프가 연결된 것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인 김 건조대에 대한 발장이 위치되는 수량에 따른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10은 본 발명인 김 건조대에 대한 발장이 위치되는 수량에 따른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11은 도 8의 A에 대한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12는 도 8의 A에 대한 또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내는 사시도
이에 본 발명인 분리형 김 건조대에 대해 설명하면,
본 발명인 김 건조대(10)는 평행하게 상호 이격을 이루며 횡 방향으로 배열되는 한 쌍의 파이프와, 상기 한 쌍의 파이프를 종 방향으로 상호 연결하되 발장이 위치되도록 이격을 이루며 다수개 구성되는 지지대로 구성된 김 건조대에 있어서, 상기 김 건조대는 다수개 구성되는 지지대(13)와 지지대(13) 사이에 위치되는 발장의 수량에 따라 한 쌍의 파이프(11)와 하나 이상 다수개의 지지대(13)로 구성된 분리건조대가 다수개로 분리되어 각각 구성되고, 상기 각각의 분리건조대에 구성된 파이프(11)와 파이프(11)를 상호 연결하는 연결파이프(500)가 구성되되, 상기 파이프(11)와 지지대(13)는 내부가 철심(11a)으로 구성되고, 외주가 상기 철심(11a)을 감싸는 합성수지재(11b)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다수개의 분리건조대는 김 건조대(10) 전체를 기준으로 좌측에 2개의 지지대가 상기 발장이 위치되는 이격 간격보다 좁게 이격된 좌지지대(110)가 구성된 좌분리건조대(100)와, 우측에 2개의 지지대가 상기 발장이 위치되는 이격 간격보다 좁게 이격된 우지지대(210)가 구성된 우분리건조대(200)와, 중심부분에 2개의 지지대가 상기 발장이 위치되는 이격 간격보다 좁게 이격된 중심지지대(310)가 구성된 중심분리건조대(300) 및 상기 좌분리건조대(100)와 중심분리건조대(300) 사이, 상기 중심분리건조대(300)와 우분리건조대(200) 사이에 각각 구성되는 연장분리건조대(400)로 구성된다.
상기 연장분리건조대(400)에는 좌분리건조대(100), 우분리건조대(200) 및 중심분리건조대(300)에 상호 연결 시, 발장이 위치되는 지지대(13)와 지지대(13) 사이의 간격에 따라 한 쌍의 파이프(11)에 상기 지지대(13)가 하나 이상 다수개가 구성된다.
상기 연장분리건조대(400)에 구성되는 지지대(13)가 다수개 구성 시, 각각의 지지대(13)와 지지대(13) 사이 간격은 발장이 위치되도록 이격을 이루거나 또는 발장이 위치되는 이격 간격보다 좁게 이격을 이룬다.
상기 좌지지대(110)의 좌측에 위치된 지지대(13)와, 우지지대(210)의 우측에 위치된 지지대(13) 및 중심지지대(310)는 스테인리스 재질로 구성된다.
상기 연결파이프(500)와 파이프(11)의 연결부분은 다단 형성 또는 일정 각도 형성 또는 나사산의 형성으로 상호 결합된다.
상기 발장이 위치되는 지지대(13)와 지지대(13) 사이의 파이프(11)에는 상기 발장을 지지하는 하나 이상 다수개의 클립(15)이 합성수지재와 일체형 또는 결합형으로 구성된다.
상기 파이프(11) 및 지지대(13)에는 김 건조대(10) 전체에 대한 중량 또는 각각의 분리건조대에 대한 중량 조절을 위한 스테인리스재질로 형성된 하나 이상 다수개의 밸런스파이프(600)가 구성된다.
상기 밸런스파이프(600)는 스프링(610)의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밸런스파이프(600)는 파이프(11) 및 지지대(13) 각각의 길이방향으로 개방 홈(620)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지지대(13)의 일 측은 한 쌍의 파이프 중 하나의 파이프 하부와 연결되고, 타 측은 한 쌍의 파이프 중 다른 하나의 파이프 상부와 연결된다.
상기한 본 발명인 분리형 김 건조대에 대해 도 1 내지 도 10을 참고로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우선,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김 건조대는 평행하게 상호 이격을 이루며 횡 방향으로 배열되는 한 쌍의 파이프와, 상기 한 쌍의 파이프를 종 방향으로 상호 연결하되 발장이 위치되도록 이격을 이루며 다수개 구성되는 지지대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김 건조대는 일정 길이를 가지도록 각각 분리될 수 있도록 하였는데, 분리된 건조대는 상기 지지대와 지지대 사이의 파이프가 분리되도록 하였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상기에서 분리되는 건조대에 대해 한정하며, 더불어 상기 파이프와 지지대에 대한 부식현상 방지 및 각각 분리된 건조대에 대한 상호 결합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분리형 김 건조대를 제공한다.
도 1, 3을 참고로 설명하면,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김 건조대(10)는 다수개 구성되는 지지대(13)와 지지대(13) 사이에 위치되는 발장의 수량에 따라 한 쌍의 파이프(11)와 하나 이상 다수개의 지지대(13)로 구성된 다수개의 분리건조대로 각각 구성한다.
상기 분리건조대는 도 3 내지 도 6 및 도 9,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분리건조대(100), 우분리건조대(200), 중심분리건조대(300) 및 연장분리건조대(400)로 대분 구성된다.
도 3, 도 4를 참고로 설명하면,
좌분리건조대(100)는 김 건조대(10) 전체를 기준으로 좌측에 2개의 지지대가 발장이 위치되는 이격 간격보다 좁게 이격되도록 구성된 좌지지대(110)가 구성되어 있고,
도 3, 도 5를 참고로 설명하면,
우분리건조대(100)는 상기 좌분리건조대(100)의 반대측인 우측에 2개의 지지대가 발장이 위치되는 이격 간격보다 좁게 이격되도록 구성된 우지지대(210)가 구성되어 있으며,
도 3, 도 6을 참고로 설명하면,
중심분리건조대(300)는 김 건조대(10) 전체를 기준으로 중심부분에 2개이 지지대가 발장이 위치되는 이격 간격보다 좁게 이격되도록 구성된 중심지지대(310)가 구성되어 있다.
또한, 도 3, 도 9, 도 10을 참고로 설명하면,
연장분리건조대(400)는 상기 좌분리건조대(100)와 중심분리건조대(300) 사이에 구성되거나 또는 상기 중심분리건조대(300)와 우분리건조대(200) 사이에 구성되는데, 상기 연장분리건조대(400)는 한 쌍의 파이프와 하나 이상 다수개의 지지대(13)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연장분리건조대(400)는 김 건조대(10)의 길이에 따라 하나 이상 다수개가 구성될 수 있으며, 상호 연결되는 좌분리건조대(100), 중심분리건조대(300) 및 우분리건조대(200)의 연결 시, 발장이 위치되는 지지대(13)와 지지대(13) 사이의 간격에 따라 한 쌍의 파이프(11)에 상기 지지대(13)가 하나 이상 다수개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연장분리건조대(400)에도 김 건조대(10)의 길이에 따라 지지대(13)와 지지대(13) 사이의 이격 간격이 발장이 위치되는 간격 또는 상기 발장이 위치되는 간격보다 좁게 이격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도 9, 도 10을 참고로 설명하면,
상기한 좌분리건조대(100), 우분리건조대(200), 중심분리건조대(300) 및 연장분리건조대(400)를 연결파이프(500)로 상호 결합하여 하나의 김 건조대(10)를 완성함에 따라 발장의 수량에 따른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낸 것이다.
도 1, 도 3의 경우, 발장이 위치되는 수량이 10칸을 표현한 것이고, 도 9의 (A)는 12칸, 도 9의 (B)는 9칸, 도 10의 (A)는 8칸, 도 10의 (B)는 7칸에 대해 표현한 것이다.
여기서, 상기 좌분리건조대(100)에 구성되는 좌지지대(110)의 좌측에 위치된 지지대(13)와, 우분리건조대(200)에 구성되는 우지지대(210)의 우측에 위치된 지지대(13) 및 중심분리건조대(300)에 구성되는 중심지지대(310)는 스테인리스 재질로 구성된다.
이는 김 건조대(10) 전체에 대한 중량을 저감시키면서도 스테인리스 재질로 구성하여 염분에 대한 부식을 방지하기 위함이고, 상기한 스테인리스 재질의 지지대의 경우, 외주에 합성수지재가 포함되지 않게 된다.
상기한 각각의 분리건조대에 구성된 파이프(11)와 파이프(11)를 상호 연결하는 연결파이프(500)가 구성되는데, 상기 연결파이프(500)와 파이프(11)의 연결부분은 다단 형성(도 7 (A) 참조) 또는 일정 각도 형성(도 7 (B) 참조) 또는 나사산의 형성으로 상호 결합된다.
상기 다단형성 또는 각도형성의 경우, 용접을 통해 결합하게 되는데, 용접은 스토프 용접을 적용하여 결합한다.
또한, 본 발명인 김 건조대(10)의 경우,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 쌍의 파이프(11)와 지지대(13)는 내부가 철심(11a)으로 구성되고, 외주가 상기 철심(11a)을 감싸도록 합성수지재(11b)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한 합성수지재(11b)로 인해 김 건조대(10)의 사용 상 발생되는 염분에 대해서도 상기 파이프(11)와 지지대(13)가 부식되지 않도록 하였다.
도 8을 참고로 설명하면,
상기 발장이 위치되는 지지대(13)와 지지대(13) 사이의 파이프(11)에는 상기 발장을 지지하는 하나 이상 다수개의 클립(15)이 합성수지재와 일체형 또는 결합형으로 구성된다.
상기 클립(15)에 대한 일체형 또는 결합형은 종래 사용되고 있는 김 건조대의 경우에는 상기한 클립을 파이프의 외주를 감싸도록 끼움 결합하여 사용할 수도 있거나 또는 분리되는 건조대 부분에 대한 교체로 상기한 일체형 또는 결합형 클립을 적용시킬 수 있도록 하였다.
또한, 상기 파이프(11) 및 지지대(13)에는 김 건조대(10) 전체에 대한 중량 또는 각각의 분리건조대에 대한 중량 조절을 위한 스테인리스재질로 형성된 하나 이상 다수개의 밸런스파이프(600)가 구성된다.
상기 밸런스파이프(600)는 김 건조대가 일정 무게보다 낮게 되면, 건조장치에서 이탈되게 되고, 무겁게 되면, 김 건조대에 대한 작동이 원활히 이루어지지 않게 되는 것에 대한 김 건조대(10) 전체의 중량을 조절하기 위함이다.
또한, 상기한 밸런스파이프(600)의 구성으로 인해 파이프(11)와 지지대(13)의 외주에 합성수지재(11b)를 성형함에 상기한 합성수지재(1b)가 주입될 때, 일 측 방향에 집중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도 하게 된다.
도 11을 참고로 설명하면,
상기 밸런스파이프(600)는 스프링(610)의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는데, 상기 스프링(610)의 구성으로 인해 각각의 분리건조대에 대한 완충이 가능토록 하여 김 건조대 전체에 대한 무게를 조절할 수 있고, 각각의 분리건조대 상호 간의 밸런스 조절도 가능하도록 하였다.
또한, 도 12를 참고로 설명하면,
상기 밸런스파이프(600)는 파이프(11) 및 지지대(13) 각각의 길이방향으로 개방 홈(620)이 형성되어 있는데, 이는 하나의 분리건조대를 완성함에 철심(11a)의 외주로 합성수지재(11b)가 감싸지도록 사출 성형되는 다수개의 사출품이 상기 밸런스파이프(600)를 중심으로 상호 연결을 이루며 결합하게 되는데, 상기 사출품이 사출 성형 시, 상기 개방 홈(620)을 통해 합성수지재(11b)가 주입되어 각각의 사출품이 밸런스파이프(600)를 중심으로 상호 연결을 이루는 것이 아닌 개방 홈(620)을 통해 합성수지재가 주입(도 12의 (B) 참조)되어 한 번의 사출 성형으로 하나의 분리건조대를 완성할 수 있도록 하였다.
상기 지지대(13)의 일 측은 한 쌍의 파이프 중 하나의 파이프 하부와 연결되고, 타 측은 한 쌍의 파이프 중 다른 하나의 파이프 상부와 연결된다.
이는 발장을 지지대(13)와 지지대(13) 사이에 위치한 후, 김 건조대(10)를 건조장치에 결합하여 건조하게 되는데, 이때 건조장치의 특성 상, 발장이 일정 각도를 가지며 경사를 지게 되도록 하여 건조력을 극대화시키기 위함이다.
상기한 본 발명에 따르면, 건조대에 구성되는 파이프와 지지대를 내부가 철재, 외부가 합성수지재로 형성하여 건조대 전체에 대한 무게를 저감시키면서 철재의 외부를 합성수지재로 형성하여 염분 등에 의해서도 파이프와 지지대가 부식되지 않도록 하여 파손의 염려가 없도록 하였고, 상기 파이프와 지지대를 철재와 합성수지재의 2중으로 구성하여 수평대에 대한 견고함을 상승시켰으며, 합성수지재의 성형 시, 발장을 고정하는 클립도 일체로 성형할 수 있고, 길이가 긴 김 건조대를 일정 길이로 구분하여 분리된 건조대의 일부에 대한 교체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여 저렴한 비용으로 유지보수가 손쉽게 이루어질 수 있다.
10 : 김 건조대
11 : 파이프 11a : 철심 11b : 합성수지재
13 : 지지대 15 : 클립
100 : 좌분리건조대 110 : 좌지지대
200 : 우분리건조대 210 : 우지지대
300 : 중심분리건조대 310 : 중심지지대
400 : 연장분리건조대
500 : 연결파이프
600 : 밸런스파이프

Claims (11)

  1. 평행하게 상호 이격을 이루며 횡 방향으로 배열되는 한 쌍의 파이프와, 상기 한 쌍의 파이프를 종 방향으로 상호 연결하되 발장이 위치되도록 이격을 이루며 다수개 구성되는 지지대로 구성된 김 건조대에 있어서,
    상기 김 건조대는 다수개 구성되는 지지대(13)와 지지대(13) 사이에 위치되는 발장의 수량에 따라 한 쌍의 파이프(11)와 하나 이상 다수개의 지지대(13)로 구성된 분리건조대가 다수개로 분리되어 각각 구성되고,
    상기 각각의 분리건조대에 구성된 파이프(11)와 파이프(11)를 상호 연결하는 연결파이프(500)가 구성되되,
    상기 파이프(11)와 지지대(13)는 내부가 철심(11a)으로 구성되고, 외주가 상기 철심(11a)을 감싸는 합성수지재(11b)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형 김 건조대.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개의 분리건조대는 김 건조대(10) 전체를 기준으로 좌측에 2개의 지지대가 상기 발장이 위치되는 이격 간격보다 좁게 이격된 좌지지대(110)가 구성된 좌분리건조대(100)와, 우측에 2개의 지지대가 상기 발장이 위치되는 이격 간격보다 좁게 이격된 우지지대(210)가 구성된 우분리건조대(200)와, 중심부분에 2개의 지지대가 상기 발장이 위치되는 이격 간격보다 좁게 이격된 중심지지대(310)가 구성된 중심분리건조대(300) 및 상기 좌분리건조대(100)와 중심분리건조대(300) 사이, 상기 중심분리건조대(300)와 우분리건조대(200) 사이에 각각 구성되는 연장분리건조대(400)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형 김 건조대.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연장분리건조대(400)에는 좌분리건조대(100), 우분리건조대(200) 및 중심분리건조대(300)에 상호 연결 시, 발장이 위치되는 지지대(13)와 지지대(13) 사이의 간격에 따라 한 쌍의 파이프(11)에 상기 지지대(13)가 하나 이상 다수개가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형 김 건조대.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연장분리건조대(400)에 구성되는 지지대(13)가 다수개 구성 시, 각각의 지지대(13)와 지지대(13) 사이 간격은 발장이 위치되도록 이격을 이루거나 또는 발장이 위치되는 이격 간격보다 좁게 이격을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형 김 건조대.
  5.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좌지지대(110)의 좌측에 위치된 지지대(13)와, 우지지대(210)의 우측에 위치된 지지대(13) 및 중심지지대(310)는 스테인리스 재질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형 김 건조대.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파이프(500)와 파이프(11)의 연결부분은 다단 형성 또는 일정 각도 형성 또는 나사산의 형성으로 상호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형 김 건조대.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발장이 위치되는 지지대(13)와 지지대(13) 사이의 파이프(11)에는 상기 발장을 지지하는 하나 이상 다수개의 클립(15)이 합성수지재와 일체형 또는 결합형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형 김 건조대.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파이프(11) 및 지지대(13)에는 김 건조대(10) 전체에 대한 중량 또는 각각의 분리건조대에 대한 중량 조절을 위한 스테인리스재질로 형성된 하나 이상 다수개의 밸런스파이프(600)가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형 김 건조대.
  9.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밸런스파이프(600)는 스프링(610)의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형 김 건조대.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밸런스파이프(600)는 파이프(11) 및 지지대(13) 각각의 길이방향으로 개방 홈(620)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형 김 건조대.
  11.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대(13)의 일 측은 한 쌍의 파이프 중 하나의 파이프 하부와 연결되고, 타 측은 한 쌍의 파이프 중 다른 하나의 파이프 상부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형 김 건조대.


KR1020160012621A 2015-12-18 2016-02-02 분리형 김 건조대 KR10186934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81468 2015-12-18
KR20150181468 2015-12-1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73438A true KR20170073438A (ko) 2017-06-28
KR101869344B1 KR101869344B1 (ko) 2018-07-19

Family

ID=592808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12621A KR101869344B1 (ko) 2015-12-18 2016-02-02 분리형 김 건조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69344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759014A (zh) * 2019-11-05 2020-02-07 中国水产科学研究院渔业机械仪器研究所 一种海带晾晒杆转运装置
KR102416749B1 (ko) * 2021-07-08 2022-07-06 임준 휨 방지와 제작 편의를 위한 해태건조기용 발장걸이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01114U (ko) * 2011-08-09 2013-02-19 김상철 해태 건조기용 발장걸이
KR20150070889A (ko) * 2013-12-17 2015-06-25 김영덕 김 건조대용 발장틀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11787A (ko) * 2012-07-19 2014-01-29 김지태 김 건조대용 고정클립
KR101456672B1 (ko) * 2012-12-10 2014-11-04 김지태 해태 건조용 발장틀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01114U (ko) * 2011-08-09 2013-02-19 김상철 해태 건조기용 발장걸이
KR20150070889A (ko) * 2013-12-17 2015-06-25 김영덕 김 건조대용 발장틀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759014A (zh) * 2019-11-05 2020-02-07 中国水产科学研究院渔业机械仪器研究所 一种海带晾晒杆转运装置
CN110759014B (zh) * 2019-11-05 2021-05-18 中国水产科学研究院渔业机械仪器研究所 一种海带晾晒杆转运装置
KR102416749B1 (ko) * 2021-07-08 2022-07-06 임준 휨 방지와 제작 편의를 위한 해태건조기용 발장걸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69344B1 (ko) 2018-07-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69344B1 (ko) 분리형 김 건조대
JP2019511655A5 (ko)
CN205998851U (zh) 一种预制墙板多点吊装装置
CN106311984A (zh) 用于无箱造型的砂芯组装卡具及其使用方法
CN111155045B (zh) 弯管镀锌用挂具
CN207430827U (zh) 一种具有固定清洗功能的无缝钢管清洗槽
CN203788870U (zh) 用于宠物护理台的升降式宠物绑定龙门架
CN112740954B (zh) 一种果树栽培搭架结构
KR20150091617A (ko) 자동차 휠 열처리 바스켓
KR102086140B1 (ko) 원형 파이프 용융아연 도금용 행거
CN210900977U (zh) 一种池塘养鱼用制氧机安放机构
CN208687120U (zh) 一种多用管道架设装置
CN202340760U (zh) 烘烤架
KR200447750Y1 (ko) 알루미늄 휠 열처리 바스켓
KR20130059688A (ko) 케이블용 트레이
CN103953792A (zh) 一种多用管道支撑架
KR101990636B1 (ko) 튜브 번들 지지장치
CN203737528U (zh) 一种喷漆挂具
CN203778647U (zh) 钢筋自动弯箍机上挡料架内的托料装置
CN208954723U (zh) 一种便于安装的负载柜
CN209171507U (zh) 一种制鞋用的湿热定型机
CN209991005U (zh) 一种固定稳定的建筑装饰用管道固定支撑架
CN213142240U (zh) 一种用于同步轮硬质氧化池
CN107299510B (zh) 一种方便烘干床上用品的晾晒架
CN205819949U (zh) 一种金属网线中转存放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