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56672B1 - 해태 건조용 발장틀 - Google Patents

해태 건조용 발장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56672B1
KR101456672B1 KR1020120142984A KR20120142984A KR101456672B1 KR 101456672 B1 KR101456672 B1 KR 101456672B1 KR 1020120142984 A KR1020120142984 A KR 1020120142984A KR 20120142984 A KR20120142984 A KR 20120142984A KR 101456672 B1 KR101456672 B1 KR 10145667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rizontal
unit
fixing
drying
unit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429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75106A (ko
Inventor
김지태
Original Assignee
김지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지태 filed Critical 김지태
Priority to KR102012014298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56672B1/ko
Publication of KR2014007510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7510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5667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5667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17/00Food-from-the-sea products; Fish products; Fish meal; Fish-egg substitut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17/60Edible seaweed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00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e.g. pasteurising, sterilising, specially adapted for foods or foodstuffs
    • A23L3/40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e.g. pasteurising, sterilising, specially adapted for foods or foodstuffs by drying or kilning; Subsequent reconstitution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300/00Processes
    • A23V2300/10Drying, dehydrating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Zoology (AREA)
  • Drying Of Solid Mat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해태(海苔;김)를 건조할 때 사용하는 해태 건조용 발장틀에 관한 것으로서, 처짐 현상이 없도록 하여 작업 안전성을 보장하고, 외부를 코팅 구성하여 해수로부터 부식이 없도록 하며, 조립식으로 구성하여 파손시 쉽게 유지 보수할 수 있는 내구성과 내부식성이 우수한 해태 건조용 발장틀을 제공코자 하는 것이다.
즉, 본 발명은 발장의 폭에 부합하도록 2개의 수평대를 배열하고, 이들 수평대 사이에 발장의 길이를 수용하는 거리마다 수개의 연결대를 수평대에 고정하며, 이웃하는 연결대 사이의 양측 수평대에는 서로 마주보도록 복수의 고정클립을 설치한 해태 건조용 발장틀에 있어서, 폭 방향이 상부로 향하도록 평철로 수평대와 연결대를 구성한 모듈화된 제1 내지 제3 단위부재를 합성수지로 피복하여 조립하되,
상기 제1단위부재는 단부에 환봉의 걸림부가 용접된 제1수평대에 1개의 연결대를 결합하고, 걸림부와 제1수평대 및 연결대의 외부에는 고정클립 베이스를 일체로 하는 복수의 제1피복을 사출성형하며, 상기 제2단위부재는 제2수평대에 2개의 연결대를 결합하고, 제2수평대 및 연결대의 외부에는 고정클립 베이스를 일체로 하는 복수의 제2피복을 사출성형하며, 상기 제3단위부재는 단부에 환봉의 걸림부가 용접된 제3수평대에 2개의 연결대를 결합하고, 걸림부와 제2수평대 및 연결대의 외부에는 고정클립 베이스를 일체로 하는 복수의 제3피복을 사출 성형한 것이다.

Description

해태 건조용 발장틀{Drying screen of laver mold for laver drying}
본 발명은 해태(海苔;김)를 건조할 때 사용하는 해태 건조용 발장틀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처짐 현상이 없도록 하여 작업 안전성을 보장하고, 외부를 코팅 구성하여 해수로부터 부식이 없도록 하며, 아울러 조립식으로 구성하여 파손시 쉽게 유지 보수할 수 있는 내구성과 내부식성이 우수한 해태 건조용 발장틀을 제공코자 하는 것이다.
해태의 건조는 자연 건조방법과 건조기를 이용한 강제 건조방법이 있다.
상기 강제 건조방법은 단시간에 대량의 해태를 연속적으로 건조할 수 있어 업계에서 널리 사용하고 있으며,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Y1) 20-0289634호(2002.09.16.)의 해태 건조기의 발장가이드 장치와 같이 체인컨베이어에 설치되어 캐리어에 양단이 걸림되는 발장프레임(해태 건조용 발장틀)의 선단부가 걸림되도록 하여 해태를 연속적으로 건조할 수 있게 하고 있다.
한편 해태 건조용 발장틀의 경우 상기 선행기술 및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A)10-2012-0111845호(2012.10.11.)의 설치가 용이하고 자동 정렬되는 해태 건조용 발장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하측 지지봉 사이에 일정간격으로 지지간을 설치한 구성으로 이들은 환봉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한 종래 발장틀의 경우 여러 개의 발장을 고정할 수 있도록 구성할 때 지지봉의 길이가 3m 이상으로 길어지게 되는데, 이러한 구성은 지지봉에 집중되는 응력에 의해 지지봉이 휘게 되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되어 체인컨베이어를 따라서 이동할 때 주변 기체와 부딪히게 되는 등의 문제점이 발생하게 되어 발장틀의 교체를 수시로 행하고 있는 실정이다.
또 지지봉 및 지지간을 스테인리스 재질로 구성하고 있기는 하나 염분이나 해수에 장시간 노출됨에 따라 표면 부식이 발생하여 위생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고, 발장틀의 일부가 손상되더라도 발장틀 전체를 교체해야 하므로 발장틀의 유지관리 비용이 상승하게 되는 등의 문제점도 있었던 바, 업계에서는 상기한 종래 발장틀이 갖는 여러 문제점을 일소할 수 있는 신규한 구성의 발장틀이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KR 200289634 Y1 2002.09.16. KR 1020120111845 A 2012.10.11.
이에 본 발명자는 상기한 문제점을 일소코자 본 발명을 연구 개발한 것으로서, 본 발명에서는 처짐 현상이 없도록 하여 작업 안전성을 보장하고, 외부를 코팅 구성하여 해수로부터 부식이 없도록 하며, 아울러 조립식으로 구성하여 파손시 쉽게 유지 보수할 수 있는 내구성과 내부식성이 우수한 해태 건조용 발장틀을 제공함에 기술적 과제를 두고 본 발명을 완성한 것이다.
과제 해결수단으로 본 발명에서는 발장의 폭에 부합하도록 2개의 수평대를 배열하고, 이들 수평대 사이에 발장의 길이를 수용하는 거리마다 수개의 연결대를 수평대에 고정하며, 이웃하는 연결대 사이의 양측 수평대에는 서로 마주보도록 복수의 고정클립을 설치한 해태 건조용 발장틀에 있어서,
폭 방향이 상부로 향하도록 평철로 수평대와 연결대를 구성한 모듈화된 제1 내지 제3 단위부재를 합성수지로 피복하여 조립하되,
상기 제1단위부재는 단부에 환봉의 걸림부가 용접된 제1수평대에 1개의 연결대를 결합하고, 걸림부와 제1수평대 및 연결대의 외부에는 고정클립 베이스를 일체로 하는 복수의 제1피복을 사출성형하며,
상기 제2단위부재는 제2수평대에 2개의 연결대를 결합하고, 제2수평대 및 연결대의 외부에는 고정클립 베이스를 일체로 하는 복수의 제2피복을 사출성형하며,
상기 제3단위부재는 단부에 환봉의 걸림부가 용접된 제3수평대에 2개의 연결대를 결합하고, 걸림부와 제2수평대 및 연결대의 외부에는 고정클립 베이스를 일체로 하는 복수의 제3피복을 사출 성형하였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제1단위부재와 제3단위부재 사이에 복수의 제2단위부재를 연결하여 구성하되,
제1단위부재에는 걸림부 반대쪽으로 단부에 내입홈이 형성되도록 고정편을 절곡 형성하고, 제2단위부재에는 일측으로 상기 제1단위부재의 내입홈에 내입되는 고정부가 그 반대쪽에는 단부에 내입홈이 형성되도록 고정편을 절곡 형성하고, 제3단위부재에는 걸림부 반대쪽으로 상기 제2단위부재의 내입홈에 내입되는 고정부를 형성하며,
상기 각 고정편과, 고정편에 대응하는 고정부에는 각각 연통하는 나사구멍을 적어도 2개 이상 형성하여 볼트로 모듈화된 제1 내지 제3 단위부재를 조립하도록 하였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상기 각 고정편에 엠보싱된 걸림돌기를 형성하고, 고정편에 대응하는 고정부에는 걸림돌기가 내입되는 걸림홈을 형성하였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상기 제1내지 제3수평대를 피복하는 제1 내지 제3피복에 고정클립 베이스를 일체로 형성하고, 이에 고정클립을 조립 구성하였다.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해태 건조용 발장틀을 사용할 경우 하기와 같은 효과가 있다.
-해태 건조용 발장틀이 평철로 구성되어 있어 수직 하중에 매우 유리하므로 수평대의 휨 현상을 최소화 할 수 있다.
-수평대 및 연결대가 합성수지에 의해 피복 구성되므로 해수등에 해태 건조용 발장틀이 노출되더라도 부식 염려 없이 장구히 사용할 수 있다.
-각 구성부재가 모듈화 되어 있어 사용 중 일부가 파손되더라도 저렴한 비용으로 신속한 유지보수가 가능하다.
-고정클립 베이스가 일체형으로 사출되므로 별도의 고정 작업 없이 고정클립의 조립이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해태 건조용 발장틀의 바람직한 일 실시례를 보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해태 건조용 발장틀의 제1단위부재바람직한 일 실시례를 보인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해태 건조용 발장틀의 중요부분 발췌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해태 건조용 발장틀의 중요부분 결합상태를 보인 일부 파절상태 평면도
도 5는 본 발명에서 제1단위부재 내지 제3단위부재의 결합부분의 다른 예를 보인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적용될 수 있는 고정클립의 예를 보인 사시도
본 발명은 발장의 폭에 부합하도록 2개의 수평대를 배열하고, 이들 수평대 사이에 발장의 길이를 수용하는 거리마다 수개의 연결대를 수평대에 고정하며, 이웃하는 연결대 사이의 양측 수평대에는 서로 마주보도록 복수의 고정클립을 설치한 해태 건조용 발장틀의 구성을 적극적으로 개량한 것으로, 이하에서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김 건조대의 실시례를 첨부 도면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해태 건조용 발장틀의 바람직한 일 실시례를 보인 사시도를 도시한 것이고, 도 2는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해태 건조용 발장틀의 바람직한 일 실시례를 보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해태 건조용 발장틀의 중요부분 발췌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해태 건조용 발장틀의 중요부분 결합상태를 보인 일부 파절상태 평면도 등을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해태 건조용 발장틀(1)은 두께가 상부로 향하도록 스테인리스 재질의 평철로 수평대(2)와 연결대(3)를 구성한 모듈화된 제1 내지 제3 단위부재(10)(20)(30)를 합성수지로 피복(4)하여 조립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는 평철의 넓은 폭에 응력이 제공되게 함으로 해서 길이가 긴 수평대(2)의 휨 현상을 일소할 수 있게 한 것이다.
도면에서 볼 때 제1단위부재(10)는 왼쪽에 위치되며 바깥쪽(왼쪽)에 환봉으로 구성된 걸림부(11)가 일체형으로 구비되며, 제3단위부재(30)는 오른쪽에 위치되며 바깥쪽(오른쪽)에 환봉으로 구성된 걸림부(31)가 일체형으로 구비되어 있다. 그리고 제2연결부재(20)는 상기 제1단위부재(10) 및 제3단위부재(30)의 사이에 2~4개가 연결되는 부재이다.
즉, 발장을 10개 결합하는 해태 건조용 발장틀(1)을 제공코자 할 시에는 제1,3단위부재(10)(30)와 3개의 제2단위부재(20)를 연결하면 되며, 발장을 12개 결합하는 해태 건조용 발장틀(1)을 제공코자 할 시에는 제1,3단위부재(10)(30)와 4개의 제2단위부재(20)를 연결하면 된다.
상기 제1단위부재(10)는 단부에 환봉으로 구성된 걸림부(11)가 용접된 제1수평대(2a)에 1개의 연결대(3)를 결합하고, 걸림부(11)와 제1수평대(2a) 및 연결대(3)의 외부에는 제1피복(4a)을 사출 성형한 구성으로 이루어지며, 제1수평대(2a)를 감싸는 에 제1피복(4a)에는 복수의 고정클립 베이스(5)를 일체로 형성한다.
상기 제2단위부재(20)는 제2수평대(2b)에 2개의 연결대(3)를 결합하고, 제2수평대(2b) 및 연결대(3)의 외부에는 제2피복(4b)을 사출 성형한 구성으로 이루어지며, 제2수평대(2b)를 감싸는 제2피복(4b)에는 복수의 고정클립 베이스(5)를 일체로 형성한다.
상기 제3단위부재(30)는 단부에 환봉으로 구성된 걸림부(31)가 용접된 제3수평대(2c)에 2개의 연결대(3)를 결합하고, 걸림부(31)와 제3수평대(2c) 및 연결대(3)의 외부에는 제3피복(4c)을 사출 성형한 구성으로 이루어지며, 제3수평대(2c)를 감싸는 제3피복(4c)에는 복수의 고정클립 베이스(5)를 일체로 형성한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제1단위부재(10)와 제3단위부재(30) 사이에 복수의 제2단위부재(20)를 연결하여 구성하되, 이들 각 단위부재들의 결합은 하기의 구성에 의해 이루어진다.
즉, 본 발명에서는 제1단위부재(10)에는 걸림부(11) 반대쪽의 제1수평대(2a)의 단부에 내입홈(6)이 형성되도록 고정편(7)을 절곡 형성하며, 상기 제2단위부재(20)에는 일측으로 상기 제1단위부재(10)의 내입홈(6)에 내입되는 고정부(8)가 그 반대쪽에는 단부에 내입홈(6')이 형성되도록 고정편(7')을 절곡 형성한다.
그리고 제3단위부재(30)에는 걸림부(31) 반대쪽으로 상기 제2단위부재(20)의 내입홈(6')에 내입되는 고정부(8')를 형성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제1 내지 제3단위부재(10)(20)(30)의 각 고정편(7)(7')과, 고정편(7)(7')에 대응하는 고정부(8)(8')에는 각각 연통하는 나사구멍(7a)(8a)을 적어도 2개 이상 형성하여 볼트(9)로 모듈화된 제1 내지 제3 단위부재(10)(20)(30)를 조립한다.
한편 상기 제1,2,3피복(4a)(4b)(4c)은 고정편(7)(7')과 이에 대응하는 고정부(8)(8')의 접합면 쪽은 제외되어 있다.
상기 볼트(9)는 접시머리 볼트를 사용하여 머리가 피복(4)에 함몰된 상태로 결합되어 피복(4) 내부로 수분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한다.
본 발명의 제1 또는 제3단위부재(10)(30)에 환봉 구성의 걸림부(11)(31)를 형성하는 것은 기존 사용하고 있는 해태 건조장치에 설치되어 있는 체인구동부(도시되지 않음)에 부합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상기 각 고정편(7)(7')에 엠보싱된 걸림돌기(7b)를 형성하고, 고정편(7)(7')에 대응하는 고정부(8)(8')에는 걸림돌기(7b)가 내입되는 걸림홈(8b)을 형성한다. 상기 걸림돌기(7b)와 걸림홈(8b)의 형상은 원형, 삼각형, 사각형 등 다양하게 구성할 수 있으며, 본 발명에서는 사각형 구성의 것을 도시하였다.
상기 각 고정편(7)(7')에 엠보싱된 걸림돌기(7b) 및 고정부(8)(8')에 형성된 걸림홈(8b)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양측에 형성된 나사구멍(7a)(8a) 사이에 장방향으로 길게 형성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걸림돌기(7b)와 걸림홈(8b)을 볼트(9) 결합구조와 병행할 경우 각 단위부재가 조립된 상태에서 결합부분의 유격으로 해태 건조용 발장틀(1)이 휘어지는 등의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또한 본 발명에서는 상기 제1 내지 제3수평대(2a)(2b)(2c)를 피복하는 제1 내지 제3피복(4a)(4b)(4c)에 고정클립 베이스(5)를 일체로 형성하고, 이에 고정클립(40)을 조립 구성한다.
본 발명에서는 이웃하는 연결대(3) 사이에 3개의 고정클립 베이스(5)를 형성한 예가 도시되어 있으며, 필요에 따라 2개 혹은 4개를 형성할 수도 있다.
상기 고정클립(40)은 본 발명자가 특허출원(10-2012-0078926호)한 김 건조대용 고정클립을 적용토록 하며, 이의 구성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클립 베이스(5)에 형성된 조립공(5a)에 끼워지는 수직방향의 축부(41) 하측에 발장에 끼워지도록 수평방향으로 걸이봉(42)을 일체 형성한 개략 ㄴ 형상의 걸고리(43)와, 상기 고정클립 베이스(5) 상측으로 노출되도록 축부(41)에 형성된 사각축(44)에 결합되는 회동구(45)와, 상기 회동구(45)가 90도 각운동 상태로 고정되도록 직각방향으로 고정클립 베이스(5)에 설치되며 단부에 걸림돌기(46a)(47a)가 형성된 제1,2탄성스토퍼(46)(47)를 12시 방향과 9시 방향에 설치하며, 상기 축부(41)와 걸이봉(42) 사이에는 고정클립 베이스(5)의 하면과 접하는 걸림턱(48)을 형성하고, 걸이봉(48)은 하측으로 삼각형상의 돌출부(49)를 형성한 것으로 이에 대한 작용 등은 생략키로 한다.
이상과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은 해태 건조장치를 이용하여 대량의 김을 연속적으로 건조시킬 때 사용하는 것으로, 본 발명을 사용할 경우 기존 환봉 제품에 비해 수직하중에 대한 응력이 높아지므로 특히 수평대(2)가 휘는 문제점을 일소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을 스테인리스 재질의 평철과 환봉을 이용하여 심재를 만들고 그 외부에 합성수지로 피복을 씌워 구성한 것으로 해수나 염분에 장시간 노출되더라도 부식 염려 없이 해태 건조용 발장틀(1)을 청결하게 유지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은 단위부재를 연결하여 해태 건조용 발장틀(1)이 완성되는 구성이어서, 사용 중 일부가 파손되더라도 해당부재만 교체하는 간단한 방법으로 보수작업이 이루어지므로 유지관리의 편리성을 제공하게 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례에 관해 설명하고 있으나, 본 발명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설명된 실시례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 되며, 후술하는 청구범위 뿐만 아니라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1:해태 건조용 발장틀 2:수평대
2a:제1수평대 2b:제2수평대
2c:제3수평대 3:연결대
4:피복 4a:제1피복
4b:제2피복 4c:제3피복
5:고정클립 베이스 10:제1단위부재
20:제2단위부재 30:제3단위부재
11,31:걸림부 6,6':내입홈
7,7':고정편 8,8':고정부
7a,8a:나사구멍 7b:걸림돌기
8b:걸림홈 9:볼트

Claims (4)

  1. 발장의 폭에 부합하도록 2개의 수평대(2)를 배열하고, 이들 수평대(2) 사이에 발장의 길이를 수용하는 거리마다 수개의 연결대(3)를 배치하여 수평대(2)에 고정하며, 이웃하는 연결대(3) 사이의 양측 수평대(2)에는 서로 마주보도록 복수의 고정클립(40)을 설치한 해태 건조용 발장틀(1)에 있어서;
    상기 해태 건조용 발장틀(1)은 수평대(2)와 연결대(3)를 좁은 두께 방향이 상부로 향하도록 평철로 구성한 모듈화된 제1 내지 제3단위부재(10)(20)(30)를 합성수지로 피복(4)하여 조립하되;
    상기 제1단위부재(10)는 일측에 환봉으로 구성된 걸림부(11)가 용접된 제1수평대(2a)에 1개의 연결대(3)를 결합하고, 걸림부(11)와 제1수평대(2a) 및 연결대(3)의 외부에는 복수의 고정클립 베이스(5)를 일체로 하는 제1피복(4a)을 사출성형하며;
    상기 제2단위부재(20)는 제2수평대(2b)에 2개의 연결대(3)를 결합하고, 제2수평대(2b) 및 연결대(3)의 외부에는 복수의 고정클립 베이스(5)를 일체로 하는 제2피복(4b)을 사출성형하며;
    상기 제3단위부재(30)는 일측에 환봉으로 구성된 걸림부(31)가 용접된 제3수평대(2c)에 2개의 연결대(3)를 결합하고, 걸림부(31)와 제3수평대(2c) 및 연결대(3)의 외부에는 복수의 고정클립 베이스(5)를 일체로 하는 제3피복(4c)을 사출 성형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태 건조용 발장틀.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단위부재(10)와 제3단위부재(30)와 복수의 제2단위부재(20)의 연결은;
    제1단위부재(10)에는 걸림부(11) 반대쪽으로 내입홈(6)이 형성되도록 고정편(7)을 절곡 형성하고, 제2단위부재(20)에는 일측으로 상기 제1단위부재(10)의 내입홈(6)에 내입되는 고정부(8)가 그 반대쪽에는 내입홈(6')이 형성되도록 고정편(7')을 절곡 형성하고, 제3단위부재(30)에는 걸림부(31) 반대쪽으로 상기 제2단위부재(20)의 내입홈(6')에 내입되는 고정부(8')를 형성하며;
    상기 각 고정편(7)(7')과, 고정편(7)(7')에 대응하는 고정부(8)(8')에는 각각 연통하는 나사구멍(7a)(8a)을 적어도 2개 이상 형성하여 볼트(9)로 조립토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태 건조용 발장틀.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각 고정편(7)(7')에 엠보싱된 걸림돌기(7b)를 형성하고, 고정편(7)(7')에 대응하는 고정부(8)(8')에는 걸림돌기(7b)가 내입되는 걸림홈(8b)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태 건조용 발장틀.
  4.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3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내지 제3수평대(2a)(2b)(2c)를 피복(4)하는 제1 내지 제3피복(4a)(4b)(4c)에 일체 형성된 고정클립 베이스(5)에는 고정클립(40)을 조립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태 건조용 발장틀.
KR1020120142984A 2012-12-10 2012-12-10 해태 건조용 발장틀 KR10145667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42984A KR101456672B1 (ko) 2012-12-10 2012-12-10 해태 건조용 발장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42984A KR101456672B1 (ko) 2012-12-10 2012-12-10 해태 건조용 발장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75106A KR20140075106A (ko) 2014-06-19
KR101456672B1 true KR101456672B1 (ko) 2014-11-04

Family

ID=511278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42984A KR101456672B1 (ko) 2012-12-10 2012-12-10 해태 건조용 발장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5667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69344B1 (ko) * 2015-12-18 2018-07-19 김영덕 분리형 김 건조대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10002383Y1 (en) * 1980-12-31 1981-12-21 Joon Seok Ok Appatatus for drying the seaweed
JPS57117996U (ko) * 1981-01-17 1982-07-22
KR20100005220U (ko) * 2008-11-12 2010-05-20 지 혁 최 해초 양식용 채묘 틀
KR100966152B1 (ko) 2009-08-06 2010-06-25 주식회사 에어패스 김 건조용 발장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10002383Y1 (en) * 1980-12-31 1981-12-21 Joon Seok Ok Appatatus for drying the seaweed
JPS57117996U (ko) * 1981-01-17 1982-07-22
KR20100005220U (ko) * 2008-11-12 2010-05-20 지 혁 최 해초 양식용 채묘 틀
KR100966152B1 (ko) 2009-08-06 2010-06-25 주식회사 에어패스 김 건조용 발장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69344B1 (ko) * 2015-12-18 2018-07-19 김영덕 분리형 김 건조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75106A (ko) 2014-06-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H0317976Y2 (ko)
CA2486904C (en) Cable rack for power and communication cables
KR101318839B1 (ko) 방화문의 도어록 설치용 커버
KR101456672B1 (ko) 해태 건조용 발장틀
RU2011139423A (ru) Линейная система обшивки поверхностей
KR101075156B1 (ko) 케이블 트레이
US10508443B2 (en) Securing clip and system for installation of flooring elements comprising such a securing clip
EA017561B1 (ru) Рейка плинтуса для закрепления края напольного покрытия
CN107636346B (zh) 具有用于外管线的保持器的导能链、接收元件和相应的侧接板
KR20190034750A (ko) 데크 체결용 클립
KR200465511Y1 (ko) 천장 판넬의 설치 구조
KR200453060Y1 (ko) 빨래건조대의 널판
KR101532384B1 (ko) 천장패널의 시공구조
RU164015U1 (ru) Плинтус
KR101759841B1 (ko) 빨래 건조용 스페이서
KR200482541Y1 (ko) 커튼 구조체
KR200437011Y1 (ko) 분체도장용 빨래 건조대의 부식 방지구조
KR20160147684A (ko) 케이블트레이
CN220014070U (zh) 低温仓库防温湿空气侵入结构
KR200433347Y1 (ko) 케이블지지 구
JP3559807B2 (ja) 溝蓋
KR20150070889A (ko) 김 건조대용 발장틀
KR20210017679A (ko) 데크 클립 및 이를 구비한 목재 데크
KR200451912Y1 (ko) 바닥재 고정장치
KR101225489B1 (ko) 천장패널의 결합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03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