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73325A - 청삼 종실유 및 그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청삼 종실유 및 그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73325A
KR20170073325A KR1020150182091A KR20150182091A KR20170073325A KR 20170073325 A KR20170073325 A KR 20170073325A KR 1020150182091 A KR1020150182091 A KR 1020150182091A KR 20150182091 A KR20150182091 A KR 20150182091A KR 20170073325 A KR20170073325 A KR 2017007332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ue
blue ginseng
ginseng seed
seed
seed oi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820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811000B1 (ko
Inventor
노중균
Original Assignee
노중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노중균 filed Critical 노중균
Priority to KR102015018209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11000B1/ko
Publication of KR2017007332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7332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110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1100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DEDIBLE OILS OR FATS, e.g. MARGARINES, SHORTENINGS, COOKING OILS
    • A23D9/00Other edible oils or fats, e.g. shortenings, cooking oils
    • A23D9/02Other edible oils or fats, e.g. shortenings, cooking oils characterised by the production or working-up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DEDIBLE OILS OR FATS, e.g. MARGARINES, SHORTENINGS, COOKING OILS
    • A23D9/00Other edible oils or fats, e.g. shortenings, cooking oi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60Moraceae (Mulberry family), e.g. breadfruit or fig
    • A61K36/605Morus (mulberry)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06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having an effect on bone mass, e.g. osteoporosis prevention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16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having an effect on regeneration or building of ligaments or muscl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18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having an effect on skin health and hair or coat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26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having effect on cardiovascular health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32Promoters of weight control and weight los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50/00Food ingredients
    • A23V2250/18Lipids
    • A23V2250/186Fatty acids
    • A23V2250/1872Linoleic acid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50/00Food ingredients
    • A23V2250/18Lipids
    • A23V2250/186Fatty acids
    • A23V2250/1882Polyunsaturated fatty acid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50/00Food ingredients
    • A23V2250/20Natural extracts
    • A23V2250/21Plant extract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Botan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Microbiology (AREA)
  • Myc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청삼 종실유 및 그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환각성분인 테트라하이드로칸나비놀(THC: TetraHydroCannabinol)을 다량(10mg/kg 이상)포함하는 청삼 종실을 소정의 방법을 이용하여 탈피, 착유 및 정제함으로써 미량(10mg/kg 미만)의 테트라하이드로칸나비놀(THC: TetraHydroCannabinol) 갖는 인체에 안전한 청삼 종실유와 그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청삼 종실유의 제조방법은 청삼종실을 세척하는 세척단계(S100)와; 세척된 청삼종실을 탈피하는 탈피단계(S200)와; 탈피된 청삼종실의 수분을 제거하기 위한 수분제거단계(S300)와; 수분제거된 청삼종실을 착유하는 착유단계(S400)와; 착유물을 정제하는 정제단계(S5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청삼 종실유 및 그의 제조방법{Hempseed Oil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청삼 종실유 및 그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환각성분인 테트라하이드로칸나비놀(THC: TetraHydroCannabinol)을 다량(10mg/kg 이상)포함하는 청삼 종실을 소정의 방법을 이용하여 탈피, 착유 및 정제함으로써 미량(10mg/kg 미만)의 테트라하이드로칸나비놀(THC: TetraHydroCannabinol) 갖는 인체에 안전한 청삼 종실유와 그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뽕나무과에 속하는 대마는 삼, 칸나비스 사티바(Cannabi sativa), 헴프(Hemp) 등으로 불리며, 중앙아시아가 주 원산지로서, 주로 습하고 온화한 기후를 가진 열대 지방과 온대 지방에서 섬유 식물로 재배하고 있다.
대마에는 테트라하이드로칸나비놀(THC: TetraHydroCannabinol)을 주성분으로하는 마취성 물질이 함유되어 있는데, 이 성분은 산지나 재배법에 따라 함유량에 큰 차이가 발생하기도 한다.
이 마취성 물질은 약품으로 이용되지만, 환각제로 악용되기도 하기 때문에 대부분의 나라에서는 그 산업화 및 상품화를 엄격히 규제하고 있다.
일반적으로 청삼은 1997년 저 마약형 대마 도입 유전자원인 IH3을 모본으로, 우리나라 환경에 오랫동안 적응한 재래종을 부본으로 교잡육종에 의해 육성된 1대잡종 품종이다. 이러한 청삼은 1997년 국립식량과학원 바이오에너지 작물센터에서 재래종 IH3 등 20조합을 인공교배하여 1998년 포장에서 조합능력검정 결과 저 마약형이면서도 섬유수량이 많은 인공교배번호 MH2의 IH3 재래종 조합을 선발하여 1999년 생산력검정시험을 거쳐 저 마약성과 수량성을 확인한 후 목포1호로 계통명을 부여하여 2000년, 2001년 2년동안 무안 등 5개지역에서 지역적응 시험을 실시하였다. 지역적응시험에서 저 마약형과 수량성을 거듭 확인한 후 2001년 12월 농작물직무육성 신품종심의위원회에서 청삼으로 명명하고 전국 장려품종으로 결정되었다.
이러한 청삼은 일반 대마에 존재하는 마약성분인 테트라하이드로칸나비놀 (THC: TetraHydroCannabinol) 함량이 0.34%로서, 산업용으로 사용될 수 있는 THC 함량 기준인 0.5% 미만이 되어 섬유용 및 산업용으로 활용할 수 있다.
한국 공개특허 제 10-2015-0113681호(청삼 농축액 제조 장치 및 그 방법)에서는 청삼 원료에 압력을 가하고 중탕시켜 형성된 청삼 수액을 원심분리방법을 이용하여 농축액을 추출하여 콘크리트 조성물로 이용하기 위한 청삼 농축액 제조 장치 및 그 방법을 제시하고 있다.
한편, 청삼의 종실은 불포화지방산을 다량 포함하고 있으며, 특히, 감마 리놀레산(GLA)가 함유되어 있어 피부노화방지 및 신경성 피부염, 심장혈관계 질병, 류머티스 관절염 등의 예방과 치료가 가능하게 한다. 또한, 그밖에 단백질을 다량 포함하고 있어 의료용 식품 및 다이어트 식품으로 이상적이다.
이렇듯 인체에 유익한 영양성분을 다량 포함하고 있는 청삼 종실이지만, 지금까지 식품의약품 안전처에서 식용으로 활용할 수 있는 기준을 마련하지 않아 활용되고 있지 못하고 있었다.
그러나 2015년 2월 3일에 식품의약품 안전처에서 대마 종실과 관련한 기준을 식품공전에 등재함으로써 한국도 외국과 같이 대마종실을 식품으로 활용할 수 있게 되었다.
대마 종실을 이용한 식품활용이 가능하게 되었다고 해서 대마가 가지고 있는 THC 성분에서 비롯되는 환각작용이 전혀 없는 것은 아니다.
그래서 식품의약품 안전처에서는 그 기준을 대마종실유는 10mg/kg, 껍질벗긴 대마종실은 5mg/kg의 기준을 정해놓았다.
종래에는 대마 종실을 압착 및 정제하여 대마 종실유를 제조하였지만, 상기 방법으로 대마 종실유를 제조할 시, 식품의약품 안전처의 기준 THC의 수십 배를 함유한 것으로 확인되어 식품으로 활용하기가 힘들다는 것을 보여준다.(도 1의 시험성적서)
이러한 이유로 상기 THC 함량 기준을 초과하지 않는 새로운 청삼 종실유 및 제조방법이 필요하다.
한국 공개특허 제 10-2015-0113681호(청삼 농축액 제조 장치 및 그 방법)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테트라하이드로칸나비놀(THC: TetraHydroCannabinol)을 기준치(10mg/kg) 미만으로 포함하는 청산 종실유와 그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청삼 종실유 및 그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환각성분인 테트라하이드로칸나비놀(THC: TetraHydroCannabinol)을 다량(10mg/kg 이상)포함하는 청삼 종실을 소정의 방법을 이용하여 탈피, 착유 및 정제함으로써 미량(10mg/kg 미만)의 테트라하이드로칸나비놀(THC: TetraHydroCannabinol) 갖는 인체에 안전한 청산 종실유와 그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청삼 종실유의 제조방법은 청삼종실을 세척하는 세척단계(S100)와; 세척된 청삼종실을 탈피하는 탈피단계(S200)와; 탈피된 청삼종실의 수분을 제거하기 위한 수분제거단계(S300)와; 수분제거된 청삼종실을 착유하는 착유단계(S400)와; 착유물을 정제하는 정제단계(S5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탈피단계(S200)는 청삼 종실의 종실과육과 종피를 분리하는 1차 분리단계와; 종피가 제거되지 못한 종실과육의 종피를 분리하는 2차 분리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세척단계(S100)의 전단계로서 소정의 크기를 갖는 청삼종실을 선별하는 청삼 종실 입도선별단계(S5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입도 선별단계(S50)는 2.5mm 이상의 청삼 종실을 선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수분제거단계(S300)는 170 내지 200 ℃로 예열된 가열기에서 8분 내지 15분 동안 건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수분제거단계(S300)와 상기 착유단계(S400) 사이에 수분제거된 청삼 종실을 50 내지 70 ℃ 로 조절하면서 상기 수분제거단계에서 발생된 종피를 제거하는 정선단계(S35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정제단계(S500)는 활성탄소섬유와 금속산화물의 복합체가 상호 결합하여 형성된 기공을 갖는 다공메쉬에 통과시켜 정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기공의 크기는 10nm 내지 500nm 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청삼 종실유는 상기 제조방법을 이용하여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10 mg/kg 미만의 테트라하이드로칸나비놀(THC: TetraHydroCannabinol)을 갖는 것을 특징을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청산 종실유와 그의 제조방법에 의하면, 테트라하이드로칸나비놀(THC: TetraHydroCannabinol)을 기준치(10mg/kg) 미만으로 포함하여 식품으로 활용될 수 있는 청산 종실유와 그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방법으로 제조된 청삼 종실유의 THC 함량 시험성적서.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청삼 종실유의 제조방법을 보여주는 순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a)세척단계에서 세척된 청삼종실과 (b)탈피단계에서 탈피된 청삼종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청삼 종실유의 영양성분 함량을 나타내는 시험 성적서.
도 5는 청삼종실유의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청삼 종실유의 불포화 지방산 및 비타민E 함량을 보여주는 시험성적서.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청삼종실유의 THC 함량 시험성적서.
본 발명의 구체적 특징 및 이점들은 이하에서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이에 앞서 본 발명에 관련된 기능 및 그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구체적인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은 청삼 종실유 및 그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환각성분인 테트라하이드로칸나비놀(THC: TetraHydroCannabinol)을 다량(10mg/kg 이상)포함하는 청삼 종실을 소정의 방법을 이용하여 탈피, 착유 및 정제함으로써 미량(10mg/kg 미만)의 테트라하이드로칸나비놀(THC: TetraHydroCannabinol) 갖는 인체에 안전한 청삼 종실유와 그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청삼 종실유의 제조방법을 보여주는 순서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청삼 종실유의 제조방법은 청삼종실을 세척하는 세척단계(S100)와 세척된 청삼종실을 탈피하는 탈피단계(S200) 탈피된 청삼종실의 수분을 제거하기 위한 수분제거단계(S300)와 수분제거된 청삼종실을 착유하는 착유단계(S400)와 착유물을 정제하는 정제단계(S5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세척단계(S100)의 전단계로서 소정의 크기를 갖는 청삼종실을 선별하는 청삼종실 입도선별단계(S50)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입도 선별단계(S50)는 2.5mm 이상의 청삼종실을 선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입도선별단계(S50)에서 청삼종실을 선별하는 방법은 한정하지 않으며, 입도 선별기 및 메쉬망 등을 이용하여 수확한 벌크상의 청삼종실에 포함된 평균적인 크기로 성장하지 못한 미성장 및 불량 청삼종실, 섬유 파편 등을 걸러낸다.
상기 세척단계(S100)에서는 수확한 벌크상의 청삼종실을 세척하는 단계로서, 청삼종실 벌크에 포함된 먼지, 광물 등의 불순물을 제거하게 된다.
세척하는 방법은 한정하지 않지만, 소정의 수압 및 회전력을 갖는 클리닝 장치와 같이 후공정이 필요없고, 약품처리를 하지 않는 방법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이때 상기 클리닝 장치는 청삼종실의 손상 및 파괴를 초래하지 않는 범위 내의 수압 및 회전력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상기 탈피단계(S200)에서는 세척된 청삼종실을 탈피기를 이용하여 탈피하는 단계로서, 환각성분인 테트라하이드로칸나비놀(THC: TetraHydroCannabinol)을 다량 포함하는 종피를 탈피 및 제거하게 된다.
상기 탈피단계(S200)는 청삼 종실의 종실과육과 종피를 분리하는 1차 분리단계(S210)와 종피가 제거되지 못한 종실과육의 종피를 분리하는 2차 분리단계(S22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1차 분리단계(S210)에서는 청삼 종실에 프레스 및 가압장치를 이용하여 압력을 가해 청삼 종실의 종실과육과 종피를 분리시키게 되며, 이 단계에서 종피가 분리되지 못한 종실과육은 반송하여 종피를 재분리하는 2차 분리단계(S220)를 거치게 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a)세척단계에서 세척된 청삼종실과 (b)탈피단계에서 탈피된 청삼종실을 보여준다.
상기 수분제거단계(S300)는 착유단계를 수행하기 전의 선공정으로서, 청삼종실에 남아있는 수분을 제거하여 착유시 고농축의 순수한 착유물을 얻을 수 있고, 탈피된 청삼 종실(종실과육)에 열을 가함으로써 내부를 활성화시켜 착유 효율을 높일 수 있게 된다.
상기 수분제거단계(S300)에서는 170 내지 200 ℃로 예열된 가열기에서 8분 내지 15분 동안 건조하는데, 이 단계(S300)에서 탈피된 청삼종실의 온도가 60 내지 80 ℃로 상승되어, 상기 효과를 달성할 수 있게 된다.
이때, 가열기의 온도 및 건조 시간이 상기 범위 미만이면 그 효과가 미미하고, 상기 범위를 초과하면 탈피된 청삼 종실이 탄화되어 영양성분이 소실될 수 있다.
상기 탈피단계에서 완전히 제거되지 못하고 종실과육에 붙어있던 미세 종피가 상기 수분제거단계에서 가열됨으로써 분리되어 약한 결합력을 가지고 붙어있을 수 있으며, 상기 수분제거단계(S300)와 상기 착유단계(S400) 사이에 정선단계(S350)를 더 포함하여 이를 제거하게 된다.
상기 정선단계(S350)는 착유단계를 위한 선공정으로서 압착 효율성을 저하하지 않는 온도 범위(50 내지 70 ℃)를 유지하면서, 기압 및 풍력으로 미세 종피를 날려보내게 된다.
상기 착유단계(S400)는 50 내지 70 ℃를 갖는 탈피된 청삼종실(종실과육)을 착유기 및 압착 장치를 이용하여 착유하여 착유물을 형성하게 되며, 상기 정제단계(S500)에서 상기 착유물에 포함된 불순물을 걸러내게 된다.
상기 정제단계(S500)는 활성탄소섬유와 금속산화물의 복합체가 상호 결합하여 형성된 기공을 갖는 다공메쉬에 통과시켜 정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기공의 크기는 10nm 내지 500nm 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활성 탄소 섬유에 금속 산화물을 균일하게 분산시킨 후 이를 가열 및 소결시키면 상호 결합되면서 망상 구조 및 기공을 갖는 다공메쉬가 형성된다.
이때 상기 활성 탄소 섬유는 넓은 비표면적을 갖기 때문에 상기 다공메쉬를 통과하는 착유물의 불순물 정제 효율을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기공의 크기는 10 nm 내지 500 nm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데, 기공의 크기가 10 nm 미만이면 착유물의 흐름성이 떨어지고, 500 nm 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미세 입자를 가지는 불순물을 정제하기 힘들기 때문에 상기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정제단계(S500)는 활성 탄소 섬유에 무기 흡착제를 균일하게 분산시킨 후 이를 가열 및 소결하여 무기 다공막을 형성하여 착유물을 여과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상기 정제단계(S500)는 50 내지 60 ℃ 까지 급속히 가열하여 불용성 물질이 침전되도록 한 후 바닥에 침전된 불용성 물질 이외에 윗쪽에 형성된 순수한 청삼 종실유를 분리하는 방법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정제단계(S500)는 0 내지 10 ℃에서 2 내지 4시간 냉각시켜 불용성 물질을 응집시켜 이를 분리하는 방법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청삼 종실유는 상기 청삼 종실유의 제조방법으로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본 발명에 따른 청삼 종실유는 10 mg/kg 미만의 테트라하이드로칸나비놀(THC: TetraHydroCannabinol)을 갖는 것을 특징을 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표 1은 본 발명에 따른 탈피 단계를 거친 청삼 종실과육과 종피의 중량을 보여준다.
탈피 중량(kg) 청삼 종실과육(kg) 종피(kg)
1 12 3.9 8.1
2 12 4.2 7.8
3 12 4.1 7.9
4 12 3.9 8.1
5 12 4.1 7.9
평균 - 4.04 7.96
60kg의 청삼 종실을 1회당 12kg씩 탈피기에 5회 주입하였을 때 청삼 종실과육과 종피가 약 1: 2 의 중량비로 분리되었다.
표 2는 본 발명에 따른 수분제거단계와 착유단계의 조건을 달리하였을 때, 착유효율을 보여준다.
수분제거단계 착유단계
예열온도(℃) 건조시간(분) 투입온도(℃) 투입량(kg) 착유물(kg)
비교예1 100 5 40 4 1.01
비교예2 100 8 40 4 1.05
실시예1 180 12 70 4 1.52
실시예2 180 13 70 4 1.43
실시예3 180 13 65 4 1.39
실시예4 180 15 60 4 1.35
전반적으로 수분제거단계 및 착유단계에서 온도가 낮게 형성되거나 건조 시간이 짧은 경우(비교예 1과 2) 착유 효율이 약 25% 정도 밖에 되지 않은 반면, 실시예의 경우 착유 효율이 33 내지 38% 를 나타내었다.
영양성분 검사는 경북테크노파크 대구한의대특화센터 식품위생검사소에 의뢰하였으며,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청삼 종실유의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청삼 종실유의 영양성분 함량을 나타내는 시험 성적서를 보여준다.
이때 (a)는 100g 당 영양성분이고, (b)는 1회 제공량(12g)당 영양성분을 나타낸다.
청삼 종실유에는 지방이 99% 포함되어 있으며, 그 중 포화 지방산이 약 11%, 불포화 지방산이 약 89% 인것으로 확인되었다.
도 5는 청삼종실유의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청삼 종실유의 불포화 지방산 및 비타민E 함량을 보여주는 시험성적서이다.
한국식품연구원에 의뢰하였으며, 시험 결과 오메가 지방을 다량함유(약 90%)한 것을 확인 확인할 수 있었다.
한편, 오메가-3지방과 오메가-6지방의 최적 균형비는 1: 3 내지 4가 바람직하나, 통계에 따르면 현대인은 오메가 6 지방산을 20 배 내지 120 배 더 섭취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있다.
오메가-3지방과 오메가-6지방의 섭취 불균형은 인체 내에서 다양한 질병을 유발하는 요인이 될 수 있으며, 이러한 불균형을 해소하기 위하여 오메가-3지방을 별도로 섭취하고 있는 실정이지만, 본 발명에 따른 청삼종실유는 오메가 3와 오메가 6의 비가 각각 18 g/100g와 58 g/100g로 최적의 균형비 1 : 3 내지 4를 충족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청삼종실유의 THC함량을 보여주는 것으로서, 식품의약품 안전처의 대마 종실유에 대한 허용 THC 함량(10mg/kg 미만)을 만족한 것으로 확인되며, 이는 식용 및 미용으로 사용하기에 안전하다는 것을 보여준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바람직한 실시예를 중심으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기술적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또는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주는 이러한 많은 변형의 예들을 포함하도록 기술된 청구범위에 의해서 해석되어야 한다.

Claims (8)

  1. 청삼종실을 세척하는 세척단계(S100)와;
    세척된 청삼종실을 탈피하는 탈피단계(S200)와;
    탈피된 청삼종실의 수분을 제거하기 위한 수분제거단계(S300)와;
    수분제거된 청삼종실을 착유하는 착유단계(S400)와;
    착유물을 정제하는 정제단계(S5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삼 종실유의 제조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탈피단계(S200)는
    청삼 종실의 종실과육과 종피를 분리하는 1차 분리단계와;
    종피가 제거되지 못한 종실과육의 종피를 분리하는 2차 분리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삼 종실유의 제조방법.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세척단계(S100)의 전단계로서
    소정의 크기를 갖는 청삼종실을 선별하는 청삼 종실 입도선별단계(S5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입도 선별단계(S50)는
    2.5mm 이상의 청삼 종실을 선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삼 종실유의 제조방법.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수분제거단계(S300)는
    170 내지 200 ℃로 예열된 가열기에서 8분 내지 15분 동안 건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삼 종실유의 제조방법.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수분제거단계(S300)와 상기 착유단계(S400) 사이에
    수분제거된 청삼 종실을 50 내지 70 ℃ 로 조절하면서 상기 수분제거단계에서 발생된 종피를 제거하는 정선단계(S35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삼 종실유의 제조방법.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정제단계(S500)는
    활성탄소섬유와 금속산화물의 복합체가 상호 결합하여 형성된 기공을 갖는 다공메쉬에 통과시켜 정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기공의 크기는 10nm 내지 500nm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삼 종실유의 제조방법.
  7. 제 1항 내지 제 6항 중 어느 한 항을 이용한 제조방법을 이용한 청삼 종실유.
  8. 제 7항에 있어서,
    10 mg/kg 미만의 테트라하이드로칸나비놀(THC: TetraHydroCannabinol)을 갖는 것을 특징을 하는
    청삼 종실유.
KR1020150182091A 2015-12-18 2015-12-18 청삼 종실유 및 그의 제조방법 KR10181100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82091A KR101811000B1 (ko) 2015-12-18 2015-12-18 청삼 종실유 및 그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82091A KR101811000B1 (ko) 2015-12-18 2015-12-18 청삼 종실유 및 그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73325A true KR20170073325A (ko) 2017-06-28
KR101811000B1 KR101811000B1 (ko) 2017-12-20

Family

ID=592804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82091A KR101811000B1 (ko) 2015-12-18 2015-12-18 청삼 종실유 및 그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1100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93702B1 (ko) 2021-04-12 2023-10-25 농업회사법인 제이헴프코리아 주식회사 탈지대마씨앗 분말의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11000B1 (ko) 2017-12-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4388182A (zh) 一种物理压榨茶籽油及其提取制备方法
CN101946828B (zh) 竹叶豆腐及其加工方法
CN102746943A (zh) 一种非转基因大豆油的冷榨制取工艺
CN103156011A (zh) 野生益身茶及其制备方法
CN101880594A (zh) 一种高油酸型初榨花生油的制备方法
CN104818111A (zh) 有机瓜蒌籽油及其生产工艺
JP2008100999A (ja) ジンセノサイド成分含量の多い人参果実と人参花柄の製造方法
CN107653054A (zh) 一种茶籽油的生产工艺
CN105296275A (zh) 一种火麻保健白酒及其酿造方法
CN103082027B (zh) 一种高级木本调和油及其生产工艺
KR101811000B1 (ko) 청삼 종실유 및 그의 제조방법
CN107550947B (zh) 灵芝孢子破壁方法
KR101980700B1 (ko) 식용유의 제조방법
JP2011500065A5 (ko)
CN1279153C (zh) 一种提取花生油和生产花生蛋白的方法
JP2011500065A (ja) 天然栄養食品、医薬素材用トロロアオイ種子(仁)製品
CN103980244A (zh) 一种紫薯提取分离紫薯花青素生产新方法
CN110903888A (zh) 一种新型芍药籽食用油及其制备工艺
CN106118865A (zh) 一种富含活性成分的原生态瓜蒌籽油冷榨方法
CN102273517A (zh) 一种吊瓜子植物蛋白饮料及其生产方法
CN105146654A (zh) 一种辣木饮料及其制备方法
KR20030008236A (ko) 고순도 참기름의 제조방법
CN106072396A (zh) 一种复合型调味品以及制作方法
CN105124086A (zh) 一种草莓甜味高钙软糖及其制备方法
CN111205920A (zh) 一种亚麻籽油制备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