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93702B1 - 탈지대마씨앗 분말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탈지대마씨앗 분말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93702B1
KR102593702B1 KR1020210047256A KR20210047256A KR102593702B1 KR 102593702 B1 KR102593702 B1 KR 102593702B1 KR 1020210047256 A KR1020210047256 A KR 1020210047256A KR 20210047256 A KR20210047256 A KR 20210047256A KR 102593702 B1 KR102593702 B1 KR 10259370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mp
seeds
defatted
oil
pow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472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141114A (ko
Inventor
노중균
강신규
Original Assignee
농업회사법인 제이헴프코리아 주식회사
강신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농업회사법인 제이헴프코리아 주식회사, 강신규 filed Critical 농업회사법인 제이헴프코리아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04725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93702B1/ko
Publication of KR202201411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4111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937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93702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5/00Food consisting mainly of nutmeat or seed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25/30Mashed or comminuted products, e.g. pulp, pastes, meal, powders; Products made therefrom, e.g. blocks, flakes, snacks; Liquid or semi-liquid product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DEDIBLE OILS OR FATS, e.g. MARGARINES, SHORTENINGS, COOKING OILS
    • A23D9/00Other edible oils or fats, e.g. shortenings, cooking oils
    • A23D9/02Other edible oils or fats, e.g. shortenings, cooking oils characterised by the production or working-up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5/00Preparation or treatment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Food or foodstuffs obtained thereby; Materials therefor
    • A23L5/57Chemical peeling or cleaning of harvested fruits, vegetables or othe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PSHAPING OR WORKING OF FOODSTUFFS, NOT FULLY COVERED BY A SINGLE OTHER SUBCLASS
    • A23P10/00Shaping or working of foodstuffs characterised by the products
    • A23P10/20Agglomerating; Granulating; Tabletting
    • A23P10/22Agglomeration or granulation with pulverisation of solid particles, e.g. in a free-falling curtai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0PRESSES
    • B30BPRESSES IN GENERAL
    • B30B9/00Press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urposes
    • B30B9/02Press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urposes for squeezing-out liquid from liquid-containing material, e.g. juice from fruits, oil from oil-containing material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300/00Processes
    • A23V2300/31Mechanical treatmen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60/00Technologies relating to agriculture, livestock or agroalimentary industries
    • Y02P60/80Food processing, e.g. use of renewable energies or variable speed drives in handling, conveying or stacking
    • Y02P60/87Re-use of by-products of food processing for fodder production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reparation Of Fruits And Vegetables (AREA)
  • Coloring Foods And Improving Nutritive Qualit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대마씨로부터 대마껍질을 완전하게 제거하고 오일을 분리한 탈지대마씨앗 케이크를 분쇄하여 분말을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며, 대마씨앗으로부터 껍질제거 및 건조하는 공정, 껍질이 제거된 대마씨앗을 압착 및 초임계추출에 의한 2회에 걸쳐 탈지하여 유분을 분리한 다음, 잔류하는 탈지대마씨앗을 얻는 공정 및 탈지대마씨앗을 분쇄하여 탈지대마씨앗의 분말을 얻는 공정으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탈지대마씨앗 분말은 대마껍질이 완전하게 제거되어 테트라 하이드로칸나비놀(THC) 및 칸나비디올(CBD)의 함량이 식품공전에 등재된 기준치 이하로 함유하고 있으므로 제조된 탈지대마씨앗 분말은 여러 종류의 식품 내지 식품첨가물로 이용하는데 적합하다.

Description

탈지대마씨앗 분말의 제조방법{Method of producing a powder of Cannabis seeds oil cake}
본 발명은 탈지대마씨앗 분말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대마씨앗으로부터 껍질 및 오일를 분리한 탈지대마씨앗을 분말로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대마초는 삼의 한 종류로 학명으로는 Cannabis sativa L.이며, 대마, 헴프(Hemp, THC 0.3% 이하), 마리화나(THC 0.3% 초과) 등으로 불리며, 대부분 순마직 및 면마직의 섬유원료로 사용되고 있으나, 칸나비스 종자에는 불포화지방산을 다량 포함하고 있으며, 특히, 감마리놀렌산(GLA)이 함유되어 있어 피부노화방지 및 신경성 피부염, 심장혈관계 질병, 류머티스 관절염 등의 예방과 치료를 가능하게 하며, 그밖에 단백질을 다량 포함하고 있어 다이어트 식품으로서 이상적이다.
상기한 대마에는 테트라하이드로칸나비놀(THC)을 주성분으로 하는 마취성 물질을 함유하고 있어 환각제로 악용되기도 하기 때문에 대부분의 나라에서는 그 산업화 및 상품화를 엄격히 규제하여 왔으나, 식품의약품안전처에서 2015년 2월 3일 껍질이 제거된 칸나비스종자 및 카나비스종자오일에 대하여 테트라하이드로 칸나비놀(THC)이 식품기준 대마씨유 10mg/kg 이하, 대마씨앗 5mg/kg 이하로 함유, 2020년 10월 16일 칸나비디올(CBD)이 식품기준 대마씨유 20mg/kg 이하, 대마씨앗 10mg/kg 이하로 함유하는 것으로 식품공전에 등재함으로써 한국도 외국과 같이 칸나비스종자를 식품으로 활용할 수 있게 되었다.
칸나비스 종자와 관련한 선행기술문헌으로 예를 들면, 특허문헌 1에 청삼 종실 입도선별단계; 청삼종실 세척단계; 청삼종실을 탈피단계; 탈피된 청삼종실의 수분제거단계; 수분제거된 청삼 종실을 50 내지 70 ℃ 로 조절하면서 종피를 제거하는 정선단계;청삼종실 착유단계; 착유물 정제단계를 포함하는 청삼 종실유의 제조방법을 개시하고 있으며, 특허문헌 2에는 대마씨앗의 껍질을 제거하는 대마씨앗가공단계; 대마씨앗을 압착하여 기름을 제거하는 압착단계; 상기 압착단계를 통해 기름이 제거된 대마씨앗을 유산균 및 효모로 발효하는 발효단계; 상기 발효단계를 통해 발효된 대마씨앗에 맥아, 귀리, 누에가루, 동충하초, 백출, 산약, 코로솔산 및 찹쌀풀을 혼합하는 첨가제혼합단계; 및 상기 첨가제혼합단계를 통해 첨가제가 혼합된 혼합물을 과립형태로 성형하는 성형단계로 이루어진 대마씨앗을 이용한 과립의 제조방법을 개시하고 있다.
또 특허문헌 3에 육수제조단계, 양녕장 제조단계, 대마씨분말을 함유한 칼국수 면 성형 및 칼국수를 삶아 냉수로 세척하는 단계, 상기 제조된 육수에 양념장과 쇠고기, 고사리 숙주, 토란 파, 계란을 배합하고 끓여 육개장 육수를 제조하고 상기 대마씨분말을 함유한 칼국수 면를 투입하여 조리하는 것으로 이루어지는 대마씨분말 함유 육개장 칼국수를 제조하는 방법을 개시하고 있으나, 상기한 선행기술은 대미씨유(오일), 대마씨 과립의 제조기술과 대마씨 분말를 이용하는 기술과 관련한 것이며, 환각성분인 테트라 하이드로칸나비놀(THC) 및 칸나비디올(CBD)을 보다 낮은 함량으로 함유하는 대마씨 분말를 제조하는 기술과 관련해서는 특별한 개시가 없다.
본 발명의 발명자는 대마씨로부터 껍질을 완전히 제거하고 오일을 분리한 다음 대마씨앗을 분말로 제조하여 식품 내지 식품첨가물로 이용하는데 적합한 대마씨앗 분말을 제조함으로써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KR 10-1811000 B1 KR 10-1820836 B1 KR 10-1921331 B1
본 발명에서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탈지대마씨앗 분말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에 관한 것이며, 보다 상세하게는 대마씨로부터 껍질을 완전히 제거한 후 오일을 분리한 대마씨앗을 식품 내지 식품첨가물로 이용하는데 적합한 분말로 제조하는 탈지대마씨앗의 분말을 제조하는 방법의 제공을 목적으로 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과제의 해결수단으로 탈지대마씨앗 분말의 제조방법은 정선된 대마씨앗으로부터 껍질을 제거하고 세척 및 건조하는 전처리 공정, 껍질이 제거된 대마씨앗으로부터 2회에 걸쳐 탈지하여 오일을 분리하는 공정 및 오일이 분리된 대마씨앗을 분쇄하여 분말을 얻는 공정으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탈지대마씨앗 분말의 제조방법에 따른 일 실시형태는 a). 정선된 대마씨앗으로부터 껍질을 제거하고 세척 및 탈수하는 전처리공정, b). 껍질이 제거된 대마씨앗을 일정온도에 건조하여 수분을 제거하는 건조공정, c). 건조된 대마씨앗을 1차적으로 압착에 의해 대마씨유를 분리하고, 잔류하는 대마씨앗 케이크를 얻는 1차 탈지공정, d). 1차 탈지공정에서 얻어진 대마씨앗 케이크를 2차적으로 초임계 추출에 의해 대마씨유를 분리하고, 잔류하는 대마씨앗 케이크를 얻는 2차 탈지공정, 및 e). 2회에 걸쳐 탈지된 대마씨앗 케이크를 분쇄하여 탈지대마씨앗의 분말을 얻는 분쇄공정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탈지대마씨앗 분말의 제조방법에 따른 또 다른 실시형태는 a). 정선된 대마씨앗으로부터 껍질을 제거하고 세척 밑 탈수하는 전처리공정, b). 껍질이 제거된 대마씨앗을 55 ~ 60℃ 조건에서 건조하면서 수분을 제거하는 건조공정, c). 건조된 대마씨앗을 1차적으로 55 ~ 60℃ 조건에서 압착에 의해 대마씨유를 분리하고, 잔류하는 대마씨앗 케이크를 얻는 1차 탈지공정, d). 1차 탈지공정에서 얻어진 대마씨앗 케이크를 2차적으로 초임계 추출에 의해 잔여 대마씨유를 분리하고 잔류하는 유지함량 7wt% 이하의 대마씨앗 케이크를 얻는 2차 탈지공정, 및 e). 2회에 걸쳐 탈지된 대마씨앗 케이크를 분쇄하여 탈지대마씨앗의 분말을 얻는 분쇄공정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또 다른 실시형태는 상기 본 발명의 탈지대마씨앗 분말의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탈지대마씨앗 분말은 여러 식품의 제조 내지 조리에 첨가하는 식품첨가물로 이루어지며, 식품으로는 고추장, 헴프페이스트, 헴프소스, 밀가루 반죽, 국수(면), 냉면, 빵, 떡가래 중에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식품으로 이루진다.
본 발명의 제조방법은 대마씨앗으로부터 껍질이 완전하게 제거되어 테트라 하이드로칸나비놀(THC) 및 칸나비디올(CBD)의 함량이 식품공전에 등재된 기준치 이하로 함유하는 털지대마씨앗의 분말을 제조할 수 있는 효과를 나타내며, 제조된 탈지대마씨앗 분말은 여러 종류의 식품 내지 식품첨가물로 이용하는데 적합한 장점이 있다.
이하에서는 실시예 및 시험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하겠으며, 하기 실시예가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탈지대마씨앗 분말의 제조방법은 a). 정성된 대마씨앗으로부터 껍질을 제거하고, 세척 및 탈수하는 전처리공정, b). 껍질이 제거된 대마씨앗을 일정온도에서 건조하여 수분을 제거하는 건조공정, c). 건조된 대마씨앗을 1차적으로 압착에 의해 대마씨유를 분리하고, 잔류하는 대마씨앗 케이크를 얻는 1차 탈지공정, d). 1차 탈지공정에서 얻어진 대마씨앗 케이크를 2차적으로 초임계 추출에 의해 대마씨유를 분리하고, 잔류하는 대마씨앗 케이크를 얻는 2차 탈지공정, 및 e). 2회에 걸쳐 탈지된 대마씨앗 케이크를 분쇄하여 탈지대마씨앗의 분말을 얻는 분쇄공정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대마씨앗은 한국의 재래종과 해외종을 교잡육종하여 얻는 잡종품종인 청삼의 종자가 바람직하며, 재래종은 테트라 하이드로칸나비놀(THC)이 1.74% 함유하고 있으나, 청삼은 테트라 하이드로칸나비놀(THC)을 0.3% 이하로 함유하고 있어 산업용 및 식품으로 활용하는데 매우 유리하다.
그리고 참고적으로 식품의약품안전처에서 2015년 2월 3일 껍질이 제거된 칸나비스종자 및 카나비스종자오일에 대하여 테트라하이드로칸나비놀(THC)이 식품기준 대마씨유 10mg/kg 이하, 대마씨앗 5mg/kg 이하로 함유, 2020년 10월 16일 칸나비디올(CBD)이 식품기준 대마씨유 20mg/kg 이하, 대마씨앗 10mg/kg 이하로 함유하는 것으로 식품공전에 등재하였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전처리공정은 대마씨앗으로부터 껍질을 제거하는 공정으로 대마씨앗은 껍질부분에 환각성분인 테트라 하이드로칸나비놀(THC) 및 칸나비디올(CBD)을 함유하고 있어 대마씨앗으로부터 껍집을 제거하는 것이 매우 중요한 공정이다.
상기 전처리공정에서는 대마씨앗을 깨끗하게 세척하고 건조하여 정선된 대마씨앗을 널리 알려진 헴프씨 도정기(DB-Elephants; Automatic hemp seeds dehulling machine)를 이용하여 껍질을 제거하는 것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도정의 정도는 대마씨앗으로부터의 껍질이 완전히 분리되도록 도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도정작업이 완료된 후 껍질이 분리된 대마씨앗에는 미량의 껍질이 잔류하고 있기 때문에 잔류하고 있는 껍질을 완전히 분리하기 위하여 도정된 대마씨앗을 고압수로 세척하여 잔류하는 껍질을 완전히 제거한 다음, 탈수하는 것으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건조공정은 껍질이 제거된 대마씨앗으로부터 탈지의 효율성을 높이기 위하여 껍질이 제거된 대마씨앗으로부터 수분을 제거하기 위하여 건조시키는 공정이며, 널리 알려진 건조/볶음기을 이용하여 건조하는 것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건조공정은 대마씨앗에 존재하는 유해균을 사멸시키면서 대마씨앗에 함유된 오메가3의 변성을 방지하기 위하여 55 ~ 60℃ 조건에서 함수율 10wt% 이하가 되도록 일정시간 수분을 제거하면서 건조하는 것으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1차 탈지공정은 건조된 대마씨앗을 압착에 의해 대마씨유를 분리한 다음 잔류하는 대마씨앗 케이크를 얻는 공정이며, 상기 1차 탈지공정 역시 오메가3의 변성을 방지하기 위하여 55 ~ 60℃ 조건에서 탈지공정을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1차 탈지공정은 널리 알려진 압착식 오일착유기를 이용하여 탈지하는 것으로 이루어지며, 바림직하게는 압착에 의해 탈지한 후 잔류하는 대마씨 케이크를 진공조건에서 흡인하여 오일을 재차 분리하는 것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1차 탈지공정에 의해서는 오일이 완전하게 분리되지 않고 대마씨앗에 23wt% 함량의 오일이 함유되어 있으며, 대마씨앗에 함유된 오일의 함량이 높으면 높을수록 분쇄공정에서 미세한 분말로 제조하는데 어려움이 있어 대마씨앗에 함유된 오일의 함량을 낮추기 위한 후속공정이 필요하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2차 탈지공정은 분쇄공정에서 분쇄효율을 높이기 위하여 대마씨앗의 오일 함유량을 보다 감소시키기 위하여 1차 탈지된 대마씨앗 케이크를 2차적으로 추출에 의해 탈지하는 것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2차 탈지공정은 초임계추출 방법으로 대마씨앗 케이크로부터 유분을 추출 분리하며, 2차 탈지 즉 초임계 추출에 의해 대마씨에는 7wt% 이하의 오일이 함유되게 되며, 후속하는 분쇄공정에서 분쇄효율이 향상되는 특징을 나타낸다.
상기 초임계추출 방법은 의약품, 화장품, 건강식품을 위한 유효성분의 추출에 널리 이용되고 있는 알려진 추출방법이며, 초임계이산화탄소 추출기가 널리 시판하고 있으므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숙련자이면 본 발명에 따른 상기 2차 탈지공정의 초임계추출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어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분쇄공정은 2차 탈지된 대마씨앗 케이크를 분쇄하여 탈지대마씨앗의 분말을 얻는 공정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분쇄공정은 상온 또는 저온에서 분쇄하는 것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상온분쇄는 25 ~ 28℃에서 분쇄하며, 저온분쇄는 0 ~ 5℃에 분쇄하는 것으로 이루어지며 오일이 함유된 대마씨앗 케이크의 분쇄는 상기 저온분쇄가 분쇄효율이 높아 바람직하며 1200메쉬 크기로 분쇄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탈지대마씨앗 분말의 제조방법은 테트라 하이드로칸나비놀(THC) 및 칸나비디올(CBD)의 함량이 식품공전에 등재된 기준치 이하로 함유하는 탈지대마씨앗의 분말을 제조할 수 있으므로 제조된 탈지대마씨앗 분말은 여러 종류의 식품의 제조 내지 조리에 첨가하는 식품첨가물로 이용되며, 상기 식품으로는 고추장, 헴프페이스트, 헴프소스, 밀가루 반죽, 국수(면), 냉면, 빵, 떡가래 중에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식품으로 이루진다.
<실시예>
a). 전처리공정 및 b). 건조공정
세척 및 건조한 대마씨앗(청삼씨) 12kg을 도정기로 도정하여 껍질과 대마씨을 분리하여 껍질을 제거한 후, 껍질이 분리된 대마씨앗울 고압수로 세척하여 잔류하는 미량의 껍질까지 완전히 제거한 다음 탈수하여 얻어진 껍질이 분리된 대마씨앗을 볶음기에 투입하고, 볶음기의 온도를 60℃로 유지하면서 수분을 제거하고 건조시켜 껍질이 완전히 제거된 대마씨 4kg을 얻었다.
c). 1차 탈지공정
상기 건조시킨 대마씨앗를 압착식 오일착유기(모델명: 동광 D-1694))에 투입하여 공정온도 60℃로 조건에서 압착하여 오일을 분리한 다음, 잔류하는 대마씨앗 케이크를 진공조건에서 흡인하여 오일을 재차 제거하고, 1차적으로 탈지된 대마씨앗 케이크 2.7kg을 얻었다.
d). 2차 탈지공정
상기 1차 탈지된 대마씨앗 케이크를 초임계 CO2 추출기를 이용하여 공정조건으로 추출온도 55℃, CO2 유속 22kg/h에서 2시간 추출한 후 2차적으로 탈지된 대마씨앗 케이크 2.1kg을 얻었다
e). 분쇄공정
상기에서 수득한 탈지된 대마씨앗 케이크를 유수식분쇄기(모델명: HBM-103C)에 투입하고 분쇄하여 1200메쉬 크기의 탈지대마씨앗의 분말을 제조하였다.
<시험예>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실시예>에서 제조한 탈지 대마씨앗 분말에 대한 성분분석을 위하여 한국기능식품연구원에 시험의뢰하고 그 결과를 아래 [표 1] 및 [표 2]에 나타내었다.
구분 나트륨
(㎎/100g)
조단백질
(g/100g)
트랜스지방
(g/100g)
콜레스테롤
(㎎/100g)
탄수화물
(g/100g)
조지방
(g/100g)
함량 2.01 63.43 0.00 2.04 17.19 7.22
구분 구성아미노산
(아르기닌㎎/g)
리놀렌산
(g/100g)
리놀레산
(g/100g)
올레산
(g/100g)
포화지방산
(g/100g)
함량 80.90 2.38 6.83 1.53 1.50
본 발명에 따른 탈지된 대마씨앗 분말은 껍질이 완전히 제거되어 테트라하이드로칸나비놀(THC) 및 칸나비디올(CBD)의 함량이 0%에 근접하여 식품공전에 등재된 기준치 이하로 함유하며, 상기 [표 1] 및 [표 2]에 나타낸 바와같이 본 발명의 제조방법에 따라 제조된 탈지대마씨앗 분말에 함유된 성분으로부터 탈지대마씨앗 분말을 여러 종류의 식품의 제조 내지 조리에 첨가하는 식품첨가물로 활용할 수 있는 것을 예측할 수가 있다.

Claims (7)

  1. a). 정선된 청삼씨를 도정하여 껍질을 제거한 후 고압수로 세척 및 탈수하는 전처리공정
    b). 껍질이 제거된 청삼씨를 볶음기에서 55 ~ 60℃ 조건으로 일정시간 수분을 제거하면서 함수율 10wt% 이하로 건조하는 건조공정,
    c). 건조된 청삼씨를 압착식 착유기를 이용하여 55 ~ 60℃ 조건에서 청삼씨로부터 유분을 분리한 다음, 잔류하는 청삼씨 케이크를 진공조건에서 흡인하여 오일을 재차 분리 제거하여 잔류하는 청삼씨 케이크를 얻는 1차 탈지공정,
    d). 1차 탈지공정에서 얻어진 청삼씨 케이크를 초임계 CO2 추출에 의해 추출온도 55℃, CO2 유속 22kg/h에서 2시간 추출하여 청삼씨 케이크의 유분 함량이 7wt% 이하가 되도록 탈지하여 잔여 청삼씨유를 분리하고 청삼씨 케이크를 얻는 2차 탈지공정 및
    e). 2차에 걸쳐 탈지된 청삼씨 케이크를 0 ~ 5℃에서 1200메쉬 크기로 분쇄하여 탈지 청삼씨의 분말을 얻는 분쇄공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지 청삼씨 분말의 제조방법.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KR1020210047256A 2021-04-12 2021-04-12 탈지대마씨앗 분말의 제조방법 KR10259370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47256A KR102593702B1 (ko) 2021-04-12 2021-04-12 탈지대마씨앗 분말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47256A KR102593702B1 (ko) 2021-04-12 2021-04-12 탈지대마씨앗 분말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41114A KR20220141114A (ko) 2022-10-19
KR102593702B1 true KR102593702B1 (ko) 2023-10-25

Family

ID=838044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47256A KR102593702B1 (ko) 2021-04-12 2021-04-12 탈지대마씨앗 분말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93702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994930A (zh) 2016-05-16 2016-10-12 黄山普和康生物科技有限公司 一种高纯度火麻仁蛋白粉的加工工艺
CN108497482A (zh) 2018-04-19 2018-09-07 陈艳红 一种工业大麻籽仁全粉制作方法及应用
CN110584130A (zh) * 2019-10-12 2019-12-20 云南绿新生物药业有限公司 一种含水溶性大麻二酚的火麻仁蛋白粉的制备方法
JP2021042233A (ja) 2014-10-21 2021-03-18 ユナイテッド カナビス コーポレイション 大麻抽出物ならびにその調製方法および使用方法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134975A (ko) * 2014-05-23 2015-12-02 주식회사 제이엠푸드 대마씨앗을 이용한 장류의 제조방법
KR101820836B1 (ko) * 2015-12-18 2018-01-29 주식회사 그린러쉬 농업회사법인 대마씨앗을 이용한 과립의 제조방법
KR101811000B1 (ko) 2015-12-18 2017-12-20 노중균 청삼 종실유 및 그의 제조방법
KR101921331B1 (ko) 2016-05-13 2018-11-22 박선희 대마씨를 함유한 육개장 칼국수와 그 제조방법
KR20190066701A (ko) * 2017-12-06 2019-06-14 주식회사 그린러쉬 농업회사법인 대마씨 탈각을 위한 전처리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21042233A (ja) 2014-10-21 2021-03-18 ユナイテッド カナビス コーポレイション 大麻抽出物ならびにその調製方法および使用方法
CN105994930A (zh) 2016-05-16 2016-10-12 黄山普和康生物科技有限公司 一种高纯度火麻仁蛋白粉的加工工艺
CN108497482A (zh) 2018-04-19 2018-09-07 陈艳红 一种工业大麻籽仁全粉制作方法及应用
CN110584130A (zh) * 2019-10-12 2019-12-20 云南绿新生物药业有限公司 一种含水溶性大麻二酚的火麻仁蛋白粉的制备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41114A (ko) 2022-10-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6165870B (zh) 核桃脱脂全粉及其制备方法与应用
KR101844790B1 (ko) 솔잎 발효액을 이용한 솔잎 성분 함유 면 및 그 제조방법
CN114403410B (zh) 一种亚麻籽粉的制备方法
CN107043649B (zh) 近固态酶解联合物理压榨制取油茶籽油的方法
KR101891024B1 (ko) 양파를 이용한 간장 및 된장의 제조 방법과 그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간장 및 된장
CN113528227B (zh) 花生油的制备方法及花生油
CN111996073A (zh) 一种芝麻冷榨工艺及由该工艺制成的芝麻食品
KR102593702B1 (ko) 탈지대마씨앗 분말의 제조방법
KR101169189B1 (ko) 청국장 함유 막걸리의 제조 방법
CN108315190B (zh) 一种香兰叶型油莎豆酒及其制备方法
KR101898239B1 (ko) 페이스트리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페이스트리
JP4662276B2 (ja) 焼酎、発酵物、飲食品、飼料及びそれらの製造方法
CN112920893A (zh) 一种山茶油及加工方法
CN114634840A (zh) 亚麻籽油脂的高值化纯天然制取工艺
CN112089036A (zh) 一种芒果糕及其制备方法
KR101791779B1 (ko) 도토리 추출액을 이용한 발효곡주의 제조방법
KR101791780B1 (ko) 도토리 분말을 이용한 발효곡주의 제조방법
JP4719883B2 (ja) 焼酎、発酵物、飲食品、飼料及びそれらの製造方法
CN216808722U (zh) 增香型冷榨亚麻籽油的制取设备
KR102361963B1 (ko) 사과 농축액을 이용한 들기름 제조방법
KR101229469B1 (ko) 굴비가 함유된 고추장의 제조방법 및 그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고추장
KR102358930B1 (ko) 사과 농축액을 이용한 참기름 제조방법
CN113122367B (zh) 花生油及其制备方法
KR101649255B1 (ko) 생들깨, 생산초로부터 오메가 지방산을 추출하는 방법
KR102511181B1 (ko) 생이용성이 증진된 인삼을 포함하는 콩비지 가공물 및 이의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