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20836B1 - 대마씨앗을 이용한 과립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대마씨앗을 이용한 과립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20836B1
KR101820836B1 KR1020150181946A KR20150181946A KR101820836B1 KR 101820836 B1 KR101820836 B1 KR 101820836B1 KR 1020150181946 A KR1020150181946 A KR 1020150181946A KR 20150181946 A KR20150181946 A KR 20150181946A KR 101820836 B1 KR101820836 B1 KR 10182083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hemp
parts
hemp seed
seed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819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73253A (ko
Inventor
김재민
박주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그린러쉬 농업회사법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그린러쉬 농업회사법인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그린러쉬 농업회사법인
Priority to KR102015018194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20836B1/ko
Publication of KR2017007325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7325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2083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2083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05Plant extracts, their artificial duplicates or their derivativ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35Bacteria or derivatives thereof, e.g. probiotic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5/00Preparation or treatment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Food or foodstuffs obtained thereby; Materials therefor
    • A23L5/20Removal of unwanted matter, e.g. deodorisation or detoxification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PSHAPING OR WORKING OF FOODSTUFFS, NOT FULLY COVERED BY A SINGLE OTHER SUBCLASS
    • A23P10/00Shaping or working of foodstuffs characterised by the products
    • A23P10/20Agglomerating; Granulating; Tabletting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20Ingredients acting on or related to the structure
    • A23V2200/202Agglomerating agent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28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having effect on glycaemic control and diabet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50/00Food ingredients
    • A23V2250/76Yeasts
    • A23Y2220/03
    • A23Y2220/15
    • A23Y2220/67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Mycology (AREA)
  • Botany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 Medicines Containing Material From Animals Or Micro-Organis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대마씨앗을 이용한 과립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대마씨앗의 껍질을 제거하는 대마씨앗가공단계, 상기 대마씨앗가공단계를 통해 껍질이 제거된 대마씨앗을 압착하여 기름을 제거하는 압착단계, 상기 압착단계를 통해 기름이 제거된 대마씨앗을 발효하는 발효단계, 상기 발효단계를 통해 발효된 대마씨앗에 맥아, 귀리, 누에가루, 동충하초, 백출, 산약, 코로솔산 및 찹쌀풀을 혼합하는 첨가제혼합단계 및 상기 첨가제혼합단계를 통해 첨가제가 혼합된 혼합물을 과립형태로 성형하는 성형단계로 이루어진다.
상기의 과정을 통해 제조되는 과립은 대마씨앗의 유효성분이 함유되어 인체에 유익한 효과를 나타내며, 대마씨오일 성분이 제거되어 소화가 잘된다.

Description

대마씨앗을 이용한 과립의 제조방법 {MANUFACTURING METHOD OF GRANULE USING HEMP SEED}
본 발명은 대마씨앗을 이용한 과립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대마씨앗의 유효성분이 함유되어 인체에 유익한 효과를 나타내며, 대마씨오일 성분이 제거되어 소화가 잘되는 대마씨앗을 이용한 과립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대마는 삼이라고 부르는 한해살이 풀로 줄기를 가늘게 꼬아 삼베를 삼았기 때문에 우리에게 매우 친숙한 풀이었으나 산업화 이후 대마초를 마약으로 규정하면서 요즘은 보기가 쉽지 않은 식물이다.
한방에서는 대마의 잎과 종자를 약재로 사용하고 있으며, 종자를 마자인이라 부른다. 껍질을 벗긴 대마씨는 마약 성분이 없고 고협압, 고지혈증, 동맥 경화 및 당뇨 등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항암 효과에 관한 보고도 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대마씨앗은 우수한 효능에도 불구하고, 섭취가 까다로우며 보관이 용이하지 않은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대마씨앗 속에는 지방유가 30%나 들어 있어 환으로 제조하는 과정에서 뭉침성이 저하되기 때문에 제조공정의 효율성이 저하되며, 지방유가 함유되어 있는 대마씨앗을 섭취하게 되면, 노약자와 같이 소화기가 약한 사람의 경우 소화를 제대로 시키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당뇨병(Diabetes mellitus)은 인슐린 작용이 부족하여 글루코스의 대사장애가 생기는 질환군으로, 인슐린-의존성 당뇨병(Insulin dependent diabetes) 즉 제1형 당뇨병(Type 1 diabetes mellitus)과 인슐린 비의존성 당뇨병(Noninsulin dependent diabetes mellitus)인 제2형 당뇨병으로 나눌 수 있는데, 당뇨병은 현재의 치료법으로 완치할 수 없는 만성질환이므로 평소에 섭취와 보관이 용이한 형태의 항당뇨소재 및 건강식품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한국특허등록 제10-1360223호(2014.02.03). 한국특허등록 제10-1536974호(2015.07.13.).
본 발명의 목적은 대마씨앗의 유효성분이 함유되어 인체에 유익한 효과를 나타내며, 대마씨오일 성분이 제거되어 소화가 잘되는 대마씨앗을 이용한 과립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대마씨앗의 껍질을 제거하는 대마씨앗가공단계, 상기 대마씨앗가공단계를 통해 껍질이 제거된 대마씨앗을 압착하여 기름을 제거하는 압착단계, 상기 압착단계를 통해 기름이 제거된 대마씨앗을 발효하는 발효단계, 상기 발효단계를 통해 발효된 대마씨앗에 맥아, 귀리, 누에가루, 동충하초, 백출, 산약, 코로솔산 및 찹쌀풀을 혼합하는 첨가제혼합단계 및 상기 첨가제혼합단계를 통해 첨가제가 혼합된 혼합물을 과립형태로 성형하는 성형단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마씨앗을 이용한 과립의 제조방법을 제공함에 의해 달성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압착단계는 착유기를 이용하여 이루어지며, 40 내지 80℃의 온도에서 진행되는 것으로 한다.
본 발명의 더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발효단계는 상기 압착단계를 통해 기름이 제거된 대마씨앗에 유산균 및 효모를 혼합하여 이루어지는 것으로 한다.
본 발명의 더욱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유산균은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Lactobacillus plantarum), 락토바실러스 불가리커스(Lactobacillus bulgarcus) 및 락토바실러스 애시도필러스(Lactobacillus acidophilus)로 이루어진 그룹에서 선택된 하나인 것으로 한다.
본 발명의 더욱 더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효모는 로도토룰라 글루티니스(Rhodotorula glutinis), 사카로마이세스 세레비시아(Saccharomyces cerevisiae), 사카로마이세스 엘립소이더스(Saccharomyces ellipsoideus) 및 사카로마이세스 바야누스(Saccharomyces Bayanus)로 이루어진 그룹에서 선택된 하나인 것으로 한다.
본 발명의 더욱 더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발효단계는 30 내지 40℃의 온도에서 70 내지 75시간 동안 이루어지는 것으로 한다.
본 발명의 더욱 더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첨가제혼합단계는 상기 발효단계를 통해 발효된 대마씨앗 100 중량부에 맥아 30 내지 50 중량부, 귀리 20 내지 40 중량부, 누에분말 3 내지 7 중량부, 동충하초 3.5 내지 5.5 중량부, 백출 3 내지 7 중량부, 산약 3 내지 7 중량부, 코로솔산 0.3 내지 0.7 중량부 및 찹쌀풀 0.5 내지 1.5 중량부를 혼합하여 이루어지는 것으로 한다.
본 발명의 더욱 더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압착단계와 상기 발효단계 사이에는 상기 압착단계를 통해 기름이 제거된 대마씨앗 100 중량부에 수세미 수액 0.5 내지 1 중량부를 혼합하는 수세미수액첨가단계가 더 진행되는 것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대마씨앗을 이용한 과립의 제조방법은 대마씨앗의 유효성분이 함유되어 인체에 유익한 효과를 나타내며, 대마씨오일 성분이 제거되어 소화가 잘되는 탁월한 효과를 나타낸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대마씨앗을 이용한 과립의 제조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대마씨앗을 이용한 과립의 제조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이하에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와 각 성분의 물성을 상세하게 설명하되, 이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것이지, 이로 인해 본 발명의 기술적인 사상 및 범주가 한정되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는다.
본 발명에 따른 대마씨앗을 이용한 과립의 제조방법은 대마씨앗의 껍질을 제거하는 대마씨앗가공단계(S101), 상기 대마씨앗가공단계(S101)를 통해 껍질이 제거된 대마씨앗을 압착하여 기름을 제거하는 압착단계(S103), 상기 압착단계(S103)를 통해 기름이 제거된 대마씨앗을 발효하는 발효단계(S105), 상기 발효단계(S105)를 통해 발효된 대마씨앗에 맥아, 귀리, 누에가루, 동충하초, 백출, 산약, 코로솔산 및 찹쌀풀을 혼합하는 첨가제혼합단계(S107) 및 상기 첨가제혼합단계(S107)를 통해 첨가제가 혼합된 혼합물을 과립형태로 성형하는 성형단계(S109)로 이루어진다.
상기 대마씨앗가공단계(S101)는 대마씨앗의 껍질을 제거하는 단계로, 거친식감을 나타내며 마약성분이 함유된 대마씨앗의 껍질을 도정기 등과 같은 장치를 이용하여 벗겨내는데, 상기와 같이 도정기 등을 통해 껍질이 제거된 대마씨앗은 마약성분이 제거될 뿐만아니라 거친식감을 나타내는 껍질이 제거되어 환으로 제조됐을 때, 우수한 식감을 나타내게 되며, 도정의 정도는 백미를 도정하는 과정과 같이 대마씨앗의 껍질이 완전히 제거되도록 도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대마씨앗은 한방에서 대마의 잎과 종자를 약재로 사용하고 있으며, 종자를 마자인이라 부른다. 껍질을 벗긴 대마씨는 마약 성분이 없고 고협압, 고지혈증, 동맥 경화 및 당뇨 등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항암 효과에 관한 보고도 되어 있는데, 이 외에도 혈압을 낮추며 불포화 지방산이 다량 함유되어 있어 노화를 방지할 뿐만 아니라, 혈액순환을 촉진하고 변비 및 피부건조증 완화에 효과적이며, 탈모방지에도 효과적이다.
상기 압착단계(S103)는 상기 대마씨앗가공단계(S101)를 통해 껍질이 제거된 대마씨앗을 압착하여 기름을 제거하는 단계로, 상기 압착단계(S103)는 착유기를 이용하여 이루어지는데, 상기와 같이 착유기를 이용하여 대마씨앗을 압착하는 방식으로 대마씨앗에 함유된 오일성분을 제거하며, 이때, 대마씨앗은 씨앗에 함유된 유효성분의 파괴를 최소화 하기 위해, 착유전이나 착유과정에서 고온 열처리를 진행하지 않고 40 내지 80℃의 온도에서 착유과정을 진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압착단계(S103)가 40℃ 미만에서 진행되며, 대마씨앗에 함유된 오일성분의 추출효율성이 저하되며, 상기 압착단계(S103)가 80℃를 초과하는 온도에서 진행되면 대마씨앗에 함유된 유효성분이 파괴될 수 있다.
상기 발효단계(S105)는 상기 압착단계(S103)를 통해 오일성분이 제거된 대마씨앗을 발효하는 단계로, 상기 압착단계(S103)를 통해 오일성분이 제거된 대마씨앗에 유산균 및 효모를 혼합하고 발효하여 이루어지는데, 상기 압착단계(S103)를 통해 오일성분이 제거된 대마씨앗 100 중량부에 유산균 0.01 내지 0.05 중량부 및 효모 0.01 내지 0.05 중량부를 혼합하고, 30 내지 40℃의 온도에서 70 내지 75시간 동안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의 발효단계(S105)를 거치면 대마씨앗의 응집성과 향이 개선되는데, 응집성이 개선된 대마씨앗은 상기 성형단계에서 과립으로 제조하는 과정에서 우수한 공정효율성을 나타낸다.
이때, 상기 유산균은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Lactobacillus plantarum), 락토바실러스 불가리커스(Lactobacillus bulgarcus) 및 락토바실러스 애시도필러스(Lactobacillus acidophilus)로 이루어진 그룹에서 선택된 하나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효모는 로도토룰라 글루티니스(Rhodotorula glutinis), 사카로마이세스 세레비시아(Saccharomyces cerevisiae), 사카로마이세스 엘립소이더스(Saccharomyces ellipsoideus) 및 사카로마이세스 바야누스(Saccharomyces Bayanus)로 이루어진 그룹에서 선택된 하나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첨가제혼합단계(S107)는 상기 발효단계(S105)를 통해 발효된 대마씨앗에 맥아, 귀리, 누에가루, 동충하초, 백출, 산약, 코로솔산 및 찹쌀풀을 혼합하는 단계로, 상기 발효단계(S105)를 통해 발효된 대마씨앗 100 중량부에 맥아 30 내지 50 중량부, 귀리 20 내지 40 중량부, 누에분말 3 내지 7 중량부, 동충하초 3.5 내지 5.5 중량부, 백출 3 내지 7 중량부, 산약 3 내지 7 중량부, 코로솔산 0.3 내지 0.7 중량부 및 찹쌀풀 0.5 내지 1.5 중량부를 혼합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맥아는 인슐린을 활성화 시키고 혈당을 낮추는 맥록소 성분이 함유되어 있어 당뇨를 개선효과를 나타내고, 영양성분으로는 비타민 C가 사과의 약 60배, 시금치의 약 3배가 함유되어 있고, 칼륨은 우유의 55배, 시금치의 18배가 함유되어 있으며, 칼슘은 우유의 11배가 함유되어 있다. 또한, 효소도 30여종이 함유되어 있고, 엽록소의 함량이 높으며, 마그네슘, 구리, 망간 및 아연 등과 같은 각종 미네랄을 함유하고 있고, 체내 독소를 제거하는 효과를 나타낸다.
또한, 상기 귀리는 식이섬유를 다량함유하고 있어 변비치료와 담즙산 제거에 의한 콜레스테롤 저하작용에 효과를 나타내며, 프로스타클라딘 성분이 함유되어 인슐린수치를 낮추기 때문에 당뇨에 효과적이다.
또한, 상기 누에분말은 데옥시노지리마이신이 함유되어 있어 당을 분해하는 효소를 억제하여 음식물을 섭취한 후에 혈당이 상승하는 것을 억제하여 당뇨에 효과적이다.
또한, 상기 동충하초는 남성의 강정효과, 여성의 생리와 부인병 개선효과, 항암효과 및 항균효과를 나타낼 뿐만 아니라, 1993년 pharmaceutical bulletin 학술지에 "당뇨병에 걸린 쥐의 복강 내에 동충하초를 열수추출한 추출액을 투여한 결과 3 내지 6시간 후 혈당치가 40% 저하"되는 것으로 기재된 내용을 바탕으로 동충하초가 혈당강하를 통한 당뇨개선 효과를 나타낸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상기 백출은 아트락틸론이 함유되어 위액분비 촉진을 통해 소화가 잘되도록 하며, 비타민을 비롯한 영양성분이 풍부하게 함유되어 있을 뿐만 아니라, 혈당강하 효과를 나타내어 당뇨를 개선하는 효과를 나타낸다.
또한, 상기 산약은 다이스타제라는 성분이 다량으로 함유되어 있어 폐의 기능을 강화시켜주며 회복시켜주는 효과를 나타내며, 다이스타제는 녹말 성분으로 포도당으로 전환이 되는데 인슐린 분비를 촉진시켜 당뇨를 개선하는 효과를 나타낸다.
또한, 상기 코로솔산은 트리테르펜(triterpene)의 일종이며, 항당뇨, 항암성이 이미 검증된 폴리페놀 테르페노이드(terpenoid) 패밀리의 중요한 물질로, 화학식은 C30H48O4를 나타내며 인슐린과 유사한 작용을 하여 글루코스를 세포내에서 신속하게 흡수시켜 혈당을 감소시키는 효과를 나타낸다.
상기 찹쌀풀은 상기 발효단계를 통해 발효된 대마씨앗, 맥아, 귀리, 누에가루, 동충하초, 백출, 산약 및 코로솔산을 결속시키는 바인더의 역할을 하는데, 상기 찹쌀풀의 함량이 0.5 중량부 미만이면 상기의 효과가 미미하며, 상기 성분들이 과립의 형태로 제조하는 고정의 효율성이 저하되며, 상기 찹쌀풀의 함량이 1.5 중량부를 초과하게 되면 상기의 효과는 크게 향상되지 않으면서 과립의 보존성을 저하시킬 수 있다.
상기 성형단계(S109)는 상기 첨가제혼합단계(S107)를 통해 첨가제가 혼합된 혼합물을 과립형태로 성형하는 단계로, 상기 첨가제혼합단계(S107)를 통해 첨가제가 혼합된 혼합물을 과립성형기에 투입하여 과립상태로 제조하는 단계다.
이때, 상기 과립성형기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일반적으로 과립형 식품을 제조하는데 사용하는 것이면 어떠한 것이든 사용가능하나, 브로우-크녹스 인스턴타이저(Blaw-Knox Instantizer), 체리-부렐 인스턴타이저(Cherry-Burrell Instantizer) 등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압착단계(S103)와 상기 발효단계(S105) 사이에는 상기 압착단계(S103)를 통해 기름이 제거된 대마씨앗 100 중량부에 수세미 수액 0.5 내지 1 중량부를 혼합하는 수세미수액첨가단계(S104)가 더 진행될 수도 있는데, 상기 수세미 수액은 발효된 대마씨앗의 응집성을 향상시킬 뿐만 아니라, 대마씨앗의 향을 감소시켜 과립의 상품성을 더욱 향상시킨다.
이때, 상기 수세미 수액은 수세미 줄기의 절단면에서 흘러나오는 수세미 수액을 채취한 것으로 상기 수세미 수액의 함량이 0.5 중량부 미만이면 발효된 대마씨앗과 혼합되어 반죽물을 형성하였을 때, 반죽물이 너무 되어서 과립으로 제조하기에 적합한 물성을 갖지 못하며, 상기 수세미 수액의 함량이 1 중량부를 초과하게 되면 반죽물이 너무 질어서 과립으로 제조하기에 적합하지 못하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대마씨앗을 이용한 당뇨개선용 과립의 제조방법은 대마씨앗의 유효성분이 함유되어 인체에 유익한 효과를 나타내며, 대마씨오일 성분이 제거되어 소화가 잘될 뿐만 아니라, 우수한 당뇨개선 효능을 나타내는 과립을 제공한다.
S101 ; 대마씨앗가공단계
S103 ; 압착단계
S104 ; 수세미수액첨가단계
S105 ; 발효단계
S107 ; 첨가제혼합단계
S109 ; 성형단계

Claims (8)

  1. 대마씨앗의 껍질을 제거하는 대마씨앗가공단계;
    상기 대마씨앗가공단계를 통해 껍질이 제거된 대마씨앗을 압착하여 기름을 제거하는 압착단계;
    상기 압착단계를 통해 기름이 제거된 대마씨앗을 발효하는 발효단계;
    상기 발효단계를 통해 발효된 대마씨앗에 맥아, 귀리, 누에가루, 동충하초, 백출, 산약, 코로솔산 및 찹쌀풀을 혼합하는 첨가제혼합단계; 및
    상기 첨가제혼합단계를 통해 첨가제가 혼합된 혼합물을 과립형태로 성형하는 성형단계;로 이루어지며,
    상기 압착단계와 상기 발효단계 사이에는 상기 압착단계를 통해 기름이 제거된 대마씨앗 100 중량부에 수세미 수액 0.5 내지 1 중량부를 혼합하는 수세미수액첨가단계가 더 진행되고,
    상기 발효단계는 상기 압착단계를 통해 기름이 제거된 대마씨앗에 유산균 및 효모를 혼합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유산균은 락토바실러스 애시도필러스(Lactobacillus acidophilus)로 이루어지고,
    상기 효모는 사카로마이세스 로도토룰라 글루티니스(Rhodotorula glutinis), 사카로마이세스 엘립소이더스(Saccharomyces ellipsoideus) 및 사카로마이세스 바야누스(Saccharomyces Bayanus)로 이루어진 그룹에서 선택된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마씨앗을 이용한 과립의 제조방법.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압착단계는 착유기를 이용하여 이루어지며, 40 내지 80℃의 온도에서 진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마씨앗을 이용한 과립의 제조방법.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청구항 1에 잇어서,
    상기 발효단계는 30 내지 40℃의 온도에서 70 내지 75시간 동안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마씨앗을 이용한 과립의 제조방법.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첨가제혼합단계는 상기 발효단계를 통해 발효된 대마씨앗 100 중량부에 맥아 30 내지 50 중량부, 귀리 20 내지 40 중량부, 누에분말 3 내지 7 중량부, 동충하초 3.5 내지 5.5 중량부, 백출 3 내지 7 중량부, 산약 3 내지 7 중량부, 코로솔산 0.3 내지 0.7 중량부 및 찹쌀풀 0.5 내지 1.5 중량부를 혼합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마씨앗을 이용한 과립의 제조방법.
  8. 삭제
KR1020150181946A 2015-12-18 2015-12-18 대마씨앗을 이용한 과립의 제조방법 KR10182083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81946A KR101820836B1 (ko) 2015-12-18 2015-12-18 대마씨앗을 이용한 과립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81946A KR101820836B1 (ko) 2015-12-18 2015-12-18 대마씨앗을 이용한 과립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73253A KR20170073253A (ko) 2017-06-28
KR101820836B1 true KR101820836B1 (ko) 2018-01-29

Family

ID=592808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81946A KR101820836B1 (ko) 2015-12-18 2015-12-18 대마씨앗을 이용한 과립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20836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41114A (ko) 2021-04-12 2022-10-19 농업회사법인 제이헴프코리아 주식회사 탈지대마씨앗 분말의 제조방법
KR102462843B1 (ko) 2022-01-18 2022-11-03 천경도 약용작물의 종자 성분 분리에 이용되는 오일 프레스기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139136A (ja) * 2003-11-07 2005-06-02 National Institute Of Advanced Industrial & Technology インスリン分泌促進剤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139136A (ja) * 2003-11-07 2005-06-02 National Institute Of Advanced Industrial & Technology インスリン分泌促進剤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41114A (ko) 2021-04-12 2022-10-19 농업회사법인 제이헴프코리아 주식회사 탈지대마씨앗 분말의 제조방법
KR102462843B1 (ko) 2022-01-18 2022-11-03 천경도 약용작물의 종자 성분 분리에 이용되는 오일 프레스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73253A (ko) 2017-06-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521447B2 (ja) 酵素含有の健康食品の製造方法及び健康食品
CN1404751A (zh) 保健粉丝、粉条、粉皮
CN105146660B (zh) 天然果蔬酵素饮料及其制备方法
CN102648751B (zh) 一种具有解酒护肝功能工程米及其制备方法
CN105495314A (zh) 一种膳食纤维多孔杂粮粉
CN101810271B (zh) 一种青稞麦绿素的制备方法
CN106538883A (zh) 一种鱼饲料及其制备方法
JP4599426B2 (ja) ニンニクを主成分とする健康食品の製造方法
KR101917115B1 (ko) 발아 현미 여주 흑초 제조 방법
KR102400133B1 (ko) 가축용 사료 및 그 제조 방법
KR101820836B1 (ko) 대마씨앗을 이용한 과립의 제조방법
CN108684819A (zh) 一种青少年果蔬乳品饮料及其制备方法
CN107307407A (zh) 一种水果酵素饮品
KR102017341B1 (ko) 육돈용 사료 조성물
CN106509412A (zh) 一种含中草药的牛饲料及其制备方法
KR20200129787A (ko) 귀리와 [메밀껍질발효액상효소]를 이용한 귀리막걸리 제조방법
CN103493956A (zh) 一种侗果的制作方法
US20080286413A1 (en) Making Process of Extract Containing Ingredients of a Radish and a Pumpkin, and Making Process of Granules and Pills by Using the Extract
KR20110014418A (ko) 당뇨환자의 혈당조절용 고추장
KR20110012047A (ko) 효소 함유의 건강식품의 제조방법 및 건강식품
KR101195316B1 (ko) 알파 글루코시다제 억제제 활성 고추장 및 그 제조방법
CN105076577A (zh) 一种黑茶饮料
KR20160070337A (ko) 여주를 이용한 환 형태의 건강식품 및 이의 제조방법
CN104195001A (zh) 一种山楂酒及其制备方法
CN107114615A (zh) 一种脆肉鲩的替抗饲料添加剂及其制备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