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72108A - 자동차의 연료탱크용 롤 오버 밸브 - Google Patents

자동차의 연료탱크용 롤 오버 밸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72108A
KR20170072108A KR1020160041441A KR20160041441A KR20170072108A KR 20170072108 A KR20170072108 A KR 20170072108A KR 1020160041441 A KR1020160041441 A KR 1020160041441A KR 20160041441 A KR20160041441 A KR 20160041441A KR 20170072108 A KR20170072108 A KR 2017007210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uel
inlet
fuel tank
tube
floa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414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806679B1 (ko
Inventor
피 스리칸스
박천규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 인도기술연구소
기아자동차주식회사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 인도기술연구소, 기아자동차주식회사,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 인도기술연구소
Publication of KR2017007210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7210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0667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0667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17/00Safety valves; Equalising valves, e.g. pressure relief valves
    • F16K17/36Safety valves; Equalising valves, e.g. pressure relief valves actuated in consequence of extraneous circumstances, e.g. shock, change of posi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5/00Arrangement in connection with fuel supply of combustion engines or other fuel consuming energy converters, e.g. fuel cells; Mounting or construction of fuel tanks
    • B60K15/03Fuel tanks
    • B60K15/035Fuel tanks characterised by venting means
    • B60K15/03519Valve arrangements in the vent lin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5/00Arrangement in connection with fuel supply of combustion engines or other fuel consuming energy converters, e.g. fuel cells; Mounting or construction of fuel tanks
    • B60K15/01Arrangement of fuel condui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5/00Arrangement in connection with fuel supply of combustion engines or other fuel consuming energy converters, e.g. fuel cells; Mounting or construction of fuel tanks
    • B60K15/03Fuel tan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5/00Arrangement in connection with fuel supply of combustion engines or other fuel consuming energy converters, e.g. fuel cells; Mounting or construction of fuel tanks
    • B60K15/03Fuel tanks
    • B60K15/04Tank inle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24/00Devices, e.g. valves, for venting or aerating enclosures
    • F16K24/04Devices, e.g. valves, for venting or aerating enclosures for venting only
    • F16K24/042Devices, e.g. valves, for venting or aerating enclosures for venting only actuated by a float
    • F16K24/044Devices, e.g. valves, for venting or aerating enclosures for venting only actuated by a float the float being rigidly connected to the valve element, the assembly of float and valve element following a substantially translational movement when actuated, e.g. also for actuating a pilot valv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5/00Arrangement in connection with fuel supply of combustion engines or other fuel consuming energy converters, e.g. fuel cells; Mounting or construction of fuel tanks
    • B60K15/01Arrangement of fuel conduits
    • B60K2015/016Fuel conduits having more than one internal passage, e.g. for different types of fue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5/00Arrangement in connection with fuel supply of combustion engines or other fuel consuming energy converters, e.g. fuel cells; Mounting or construction of fuel tanks
    • B60K15/03Fuel tanks
    • B60K2015/03256Fuel tanks characterised by special valves, the mounting thereof
    • B60K2015/03289Float valves; Floats therefo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137/00Fluid handling
    • Y10T137/0753Control by change of position or inertia of system
    • Y10T137/0801Position relative body of water [e.g., marine governors]
    • Y10T137/0826Float controlled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137/00Fluid handling
    • Y10T137/0753Control by change of position or inertia of system
    • Y10T137/0874Vent opening or closing on tipping contain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oling, Air Intake And Gas Exhaust, And Fuel Tank Arrangements In Propulsion Uni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연료탱크용 롤 오버 밸브의 연료유입구를 2개 이상 분할 형성하여, 연료탱크의 연료 충진 용량 증대 및 벤팅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자동차의 연료탱크용 롤 오버 밸브에 관한 것이다.
즉, 본 발명은 싱글 타입 롤 오버 밸브의 플로트로 연료가 유입되는 입구에 복수의 갈래를 이루는 유면 가변용 연료유입 튜브를 장착하여, 플로트가 증발가스 배출구인 오리피스를 막는 순간인 크로그 포인트(Clog point)를 마치 가변시키는 효과를 얻을 수 있도록 함으로써, 듀얼 타입 롤 오버 밸브와 같은 효과를 낼 수 있고, 그에 따라 연료탱크의 연료 충진 용량을 증대시킬 수 있도록 한 자동차의 연료탱크용 롤 오버 밸브를 제공하고자 한 것이다.

Description

자동차의 연료탱크용 롤 오버 밸브{ROLL OVER VALVE FOR FUEL TANK}
본 발명은 자동차의 연료탱크용 롤 오버 밸브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연료탱크용 롤 오버 밸브의 연료유입구를 2개 이상 분할 형성하여, 연료탱크의 연료 충진 용량 증대 및 벤팅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자동차의 연료탱크용 롤 오버 밸브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이 일정 각도 이상으로 기울어지거나 전복되는 등의 상황에서 연료탱크내의 연료가 캐니스터쪽으로 누출되는 것을 차단하는 롤 오버 밸브가 장착되어 있고, 평상시에는 연료탱크 내부의 증발가스가 롤 오버 밸브를 통과하여 캐니스터에서 포집된다.
여기서, 종래의 연료탱크용 싱글 타입 롤 오버 밸브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첨부한 도 1 및 도 2는 종래의 연료탱크용 롤 오버 밸브를 도시한 사시도 및 개략적 단면도이고, 도 3은 종래의 롤 오버 밸브 작동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 및 도 2에서, 도면부호 10은 롤 오버 밸브의 하우징을 지시한다.
상기 하우징(10)의 상부에는 증발가스 배출용 캐니스터와의 연결을 위한 니플(12)이 형성되고, 하부에는 증발가스 또는 연료가 유입되는 유입구(14)가 형성되며, 내부에는 부력에 의하여 승하강 가능한 플로트(float, 20)가 내재되어 있다.
또한, 상기 하우징(10)의 상면 즉, 플로트(20)의 상면과 대응되는 바로 위쪽 위치에는 증발가스가 빠져나가는 오리피스(16)가 형성되어 있고, 플로트(20)의 상면에는 연료가 빠져나가는 것을 차단하기 위하여 오리피스(16)를 막아주는 차단돌기(22)가 일체로 돌출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연료탱크내의 연료가 플로트(20) 이하로 충진되어 있는 경우, 도 3a에서 보듯이 연료로부터 증발된 증발가스가 상기 하우징(10)의 유입구(14)로 진입하는 동시에 하우징(10)의 내벽과 플로트(20) 사이틈새를 지난 다음, 오리피스(16)를 통하여 캐니스터쪽으로 빠져나가게 되며, 빠져나간 증발가스는 엔진 연소에 이용된다.
또한, 연료탱크(30)내의 연료가 플로트(20) 이상으로 충진되어, 플로트(20)에 부력이 작용하면 플로트(20)가 상승하여 플로트(20)의 차단돌기(22)가 오리피스(16)을 막아주게 됨으로써, 연료가 캐니스터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특히, 도 3b에서 보듯이 차량이 일정 각도 이상으로 기울어지거나 전복되는 등의 상황에서도 연료탱크내의 연료에 의하여 플로트(20)에 부력이 작용하면, 플로트(20)의 차단돌기(22)가 오리피스(16)을 막아주게 됨으로써, 연료가 캐니스터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플로트(20)가 부력에 의하여 상승하여 오리피스(16)를 플러그 업(plug-up)시키는 순간을 크로그 포인트(clog point)라 칭한다
그러나, 종래의 롤 오버 밸브는 증발가스 배출 및 연료 차단 기능을 원활하게 수행하지만, 연료 차단시 연료탱크의 위쪽 공간이 연료 충진 가능한 여유공간으로 많이 남게 되어, 연료탱크의 내부 체적이 롤 오버 밸브의 크로그 포인트에 의하여 제한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점을 감안하여, 연료탱크를 큰 용량(capacity)의 것으로 채택하면 연료를 보다 많이 충진할 수 있지만, 자동차용 연료탱크 사이즈를 배기계 부품, 서스펜션, 스페어 타이어 등과 같은 인접 부품의 장착 공간을 확보하기 위하여 연료를 좀 많이 충진할 수 있는 용량의 것으로 채택하는데 한계가 있다.
이에, 동일한 크기의 연료탱크내에 좀 더 많은 연료를 넣기 위하여, 연료탱크에 듀얼 타입 롤 오버 밸브가 장착되기도 한다.
첨부한 도 4를 참조하면, 듀얼 타입 롤 오버 밸브는 연료탱크의 양측부에 각각 하나씩 롤 오버 밸브를 장착한 것으로서, 차량이 일정 각도 이상으로 기울어진 상태에서 두 개 중 하나의 롤 오버 밸브에서 연료를 차단하면 되므로, 연료 차단시 연료탱크의 위쪽 공간(연료 충진 가능한 여유공간)이 싱글 타입 롤 오버 밸브에 비하여 줄어들게 되어, 동일 체적의 연료탱크에 대한 연료 충진 용량을 보다 증대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듀얼 타입 롤 오버 밸브는 두 개의 롤 오버 밸브를 연료탱크에 장착해야 하므로, 부품수 증가 및 제조 비용 증가를 초래하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싱글 타입 롤 오버 밸브의 플로트로 연료가 유입되는 입구에 복수의 갈래를 이루는 유면 가변용 연료유입 튜브를 장착하여, 플로트가 증발가스 배출구인 오리피스를 막는 플로그 업(plug up) 순간인 크로그 포인트(Clog point)를 마치 가변시키는 효과를 얻을 수 있도록 함으로써, 듀얼 타입 롤 오버 밸브와 같은 효과를 낼 수 있고, 그에 따라 연료탱크의 연료 충진 용량을 증대시킬 수 있도록 한 자동차의 연료탱크용 롤 오버 밸브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연료탱크에 장착되는 싱글 타입 롤 오버 밸브내의 플로트로 연료가 유입되는 유입구에 복수의 갈래를 이루는 유면 가변용 연료유입 튜브를 장착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연료탱크용 롤 오버 밸브를 제공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플로트로 연료가 유입되는 유입구를 등간격을 이루는 복수의 유입구로 형성하고, 각 유입구에 유면 가변용 연료유입 튜브가 장착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유면 가변용 연료유입 튜브는 플로트로 연료가 유입되는 유입구 중 일측에 형성된 유입구에 장착되는 제1 U자형 튜브와, 타측에 형성된 유입구에 장착되는 제2 U자형 튜브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상기 유면 가변용 연료유입 튜브는 플로트로 연료가 유입되는 유입구 중 일측에 형성된 유입구에 장착되는 제1 절곡형 튜브와, 타측에 형성된 유입구에 장착되는 제2 절곡형 튜브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상기 유면 가변용 연료유입 튜브는 플로트로 연료가 유입되는 복수의 유입구에 하나의 유입구에 장착되는 제1튜브와, 다른 하나의 유입구에 장착되는 제2튜브와, 또 다른 하나의 유입구에 장착되는 제3튜브로 구성되고, 상기 제1튜브 내지 제3튜브는 동심원 배열을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유면 가변용 연료유입 튜브는 1°~ 5°범위로 하향 경사지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특히, 상기 연료탱크가 차량과 함께 일정 각도 이상으로 기울어지는 경우, 복수 갈래의 유면 가변용 연료유입 튜브 중 위쪽에 위치하는 유면 가변용 연료유입 튜브의 입구가 크로그 포인트 작용를 위한 연료유입구가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과제 해결 수단을 통하여,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효과를 제공한다.
첫째, 싱글 타입 롤 오버 밸브의 플로트로 연료가 유입되는 입구에 복수의 갈래를 이루는 유면 가변용 연료유입 튜브를 장착하여, 플로트가 증발가스 배출구인 오리피스를 막는 순간인 크로그 포인트(Clog point)가 마치 가변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도록 함으로써, 듀얼 타입 롤 오버 밸브와 같은 효과를 낼 수 있다.
둘째, 연료탱크가 차량과 함께 일정 각도 이상으로 기울어지는 경우, 복수 의 유면 가변용 연료유입 튜브 중 위쪽에 위치하는 유면 가변용 연료유입 튜브의 입구가 크로그 포인트 작용를 위한 연료유입구가 되도록 함으로써, 플로트가 오리피스를 막는 크로그 포인트 작용시 연료탱크의 위쪽 공간(연료 충진 가능한 여유공간)이 줄어들게 되어, 동일 체적의 연료탱크에 대한 연료 충진 용량을 증대시킬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연료탱크용 롤 오버 밸브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종래의 연료탱크용 롤 오버 밸브를 도시한 개략적 단면도,
도 3은 종래의 연료탱크용 롤 오버 밸브의 작동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4는 종래의 싱글 타입 롤 오버 밸브와 듀얼 타입 롤 오버 밸브의 작동 상태를 비교한 개략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연료탱크용 롤 오버 밸브를 도시한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연료탱크용 롤 오버 밸브를 도시한 개략적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연료탱크용 롤 오버 밸브의 작동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8 및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연료탱크용 롤 오버 밸브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개략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로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은 연료탱크의 상부 중앙영역에 장착되는 싱글 타입 롤 오버 밸브를 제공하고자 한 것으로서, 롤 오버 밸브의 증발가스 또는 연료 유입구에 복수 갈래를 갖는 유면 가변용 연료유입 튜브를 장착하여, 마치 듀얼 타입 롤 오버 밸브와 같이 연료탱크내의 연료 충진 용량을 증대시키는 효과를 낼 수 있도록 한 점에 주안점이 있다.
특히, 본 발명의 롤 오버 밸브는 캐니스터가 없는 디젤 차량의 연료탱크에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첨부한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연료탱크용 롤 오버 밸브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연료탱크용 롤 오버 밸브를 도시한 개략적 단면도이다.
도 5 및 도 6에서, 도면부호 10은 롤 오버 밸브의 하우징을 지시한다.
상기 하우징(10)의 상부에는 증발가스 배출용 캐니스터와의 연결을 위한 니플(12)이 형성되고, 하부에는 증발가스 또는 연료가 유입되는 유입구(14)가 형성되며, 내부에는 부력에 의하여 승하강 가능한 플로트(float, 20)가 내재된다.
또한, 상기 하우징(10)의 상면 즉, 플로트(20)의 상면과 대응되는 바로 위쪽 위치에는 증발가스가 빠져나가는 오리피스(16)가 형성되고, 플로트(20)의 상면에는 연료가 빠져나가는 것을 차단하기 위하여 오리피스(16)를 막아주는 차단돌기(22)가 일체로 돌출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연료탱크내의 연료가 플로트(20) 이하로 충진되어 있는 경우, 연료로부터 증발된 증발가스가 상기 하우징(10)의 유입구(14)로 진입하는 동시에 하우징(10)의 내벽과 플로트(20) 사이틈새를 지난 다음, 오리피스(16)를 통하여 캐니스터쪽으로 빠져나가게 되며, 빠져나간 증발가스는 엔진 연소에 이용된다.
여기서, 상기 하우징(10)의 하부에서 증발가스 또는 연료가 플로트(20)의 저부쪽으로 유입되는 유입구(14)에 복수의 갈래를 이루는 일정 길이의 유면 가변용 연료유입 튜브(40)가 일체로 장착 또는 성형된다.
상기 유면 가변용 연료유입 튜브(40)를 여러개 장착하기 위하여 상기 플로트(20)로 연료가 유입되는 하우징(10)의 유입구(14)를 등간격을 이루는 복수의 유입구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상기 복수의 각 유입구(14)에 유면 가변용 연료유입 튜브(40)를 장착함으로써, 각 유면 가변용 연료유입 튜브(40)가 복수의 갈래를 이루며 연장 배열되는 상태가 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유면 가변용 연료유입 튜브(40)는 도 5 및 도 6에서 보듯이, 싱글 타입 롤 오버 밸브의 유입구(14) 즉, 플로트(20)의 저부로 연료가 유입되는 유입구(14)를 하우징(10)의 하단 양측부에 형성한 상태에서, 일측에 형성된 유입구(14)에 장착되는 제1 U자형 튜브(41)와, 타측에 형성된 유입구(14)에 장착되는 제2 U자형 튜브(42)로 구성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상기 유면 가변용 연료유입 튜브(40)는 굴곡 형상, "ㄷ"자 형상, "S"자 형상 등 다양한 형상으로 절곡된 절곡형 튜브를 이용한 것으로서, 첨부한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로트로 연료가 유입되는 통로인 일측의 유입구(14)에 장착되는 제1 절곡형 튜브(43)와, 타측에 형성된 유입구(14)에 장착되는 제2 절곡형 튜브(44)로 구성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상기 유면 가변용 연료유입 튜브는 첨부한 도 9에서 보듯이 플로트로 연료가 유입되는 통로인 3개 이상의 유입구(14)를 등간격으로 형성한 상태에서, 하나의 유입구(14)에 장착되는 제1튜브(45)와, 다른 하나의 유입구(14)에 장착되는 제2튜브(46)와, 또 다른 하나의 유입구(14)에 장착되는 제3튜브(47)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제1튜브(45) 내지 제3튜브(47)는 서로 동심원 배열을 이루며 연장되고, 각 튜브(45,46,47)의 끝단은 등간격을 이루면서 서로 다른 위치에 배열된다.
한편, 상기한 본 발명의 각 실시예에 따른 유면 가변용 연료유입 튜브(40)는 도 6에서 보듯이 1°~ 5°범위로 하향 경사지게 연결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그 이유는 연료가 유면 가변용 연료유입 튜브(40)내로 들어간 후, 다시 연료탱크의 바닥쪽으로 자연 낙하하여 배출되는 벤팅 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함에 있다.
다시 말해서, 상기 유면 가변용 연료유입 튜브(40)를 1°~ 5°범위로 하향 경사지게 연결한 이유는 연료탱크내에 연료가 충진되어 유면 가변용 연료유입 튜브(40)의 내부까지 채워진 후, 연료 소모에 따라 유면 가변용 연료유입 튜브(40) 이하로 연료량이 줄어든 경우, 하향 경사진 유면 가변용 연료유입 튜브(40)내의 연료를 연료탱크의 바닥쪽으로 자연 낙하시켜 연료의 벤팅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고, 결국 유면 가변용 연료유입 튜브(40)내에 연료가 계속 체류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에 있다.
여기서,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의 연료탱크용 롤 오버 밸브에 대한 작동 흐름을 첨부한 도 7을 참조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작동 흐름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하여, 상기 크로스 포인트 가변 튜브가 제1 U자형 튜브 및 제2 U자형 튜브로 구성된 일 실시예를 예로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유면 가변용 연료유입 튜브는 플로트(20)의 저부로 연료가 유입되는 유입구(14) 중 일측에 형성된 유입구(14)에 장착되는 제1 U자형 튜브(41)와, 타측에 형성된 유입구(14)에 장착되는 제2 U자형 튜브(42)로 구성된다.
도 7a에서 보듯이, 상기 연료탱크(30)내의 연료가 플로트(20) 이하로 충진되어 있는 경우, 연료로부터 증발된 증발가스가 상기 하우징(10)의 유입구(14)로 진입하는 동시에 하우징(10)의 내벽과 플로트(20) 사이틈새를 지난 다음, 오리피스(16)를 통하여 캐니스터쪽으로 빠져나가게 되며, 빠져나간 증발가스는 엔진 연소에 이용된다.
또한, 상기 연료탱크(30)가 수평 상태를 유지한 상태에서 연료탱크(30)내의 연료가 플로트(20) 이상으로 충진되면, 연료가 제1 U자형 튜브(41)와 제2 U자형 튜브(42)를 통과한 후, 유입구(14)를 통하여 플로트(20)내로 들어가면, 플로트(20)에 부력이 작용하게 되고, 이에 플로트(20)가 상승하여 플로트(20)의 차단돌기(22)가 오리피스(16)을 막아주게 됨으로써, 연료가 캐니스터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때, 도 7b에서 보듯이 차량이 일정 각도 이상으로 기울어진 상태가 되면, 연료탱크(30)도 기울어져서 제1 U자형 튜브(41)는 아래쪽을 향하고 제2 U자형 튜브(42)는 위쪽을 향하는 상태가 되어, 제2 U자형 튜브(42)가 연료에 잠기는 동시에 제1 U자형 튜브(41)는 연료에 잠기지 않을 수 있다.
이러한 상태에서, 연료가 제1 U자형 튜브(41)를 통과한 후, 플로트(20)쪽으로 들어가게 되더라도, 플로트(20)에 부력이 발생하지 않게 되어 오리피스가 닫히지 않게 되며, 그 이유는 제2 U자형 튜브(42)의 내부 및 제2 U자형 튜브(42)의 입구 위까지 플로트(20)에 부력을 제공하기 위한 연료가 충진되지 않았기 때문이다.
반면, 상기 연료탱크(30)내에 연료가 더 많이 충진된 상태에서 차량이 일정 각도 이상으로 기울어진 상태가 되면, 도 7c에서 보듯이 제1 U자형 튜브(41) 및 제2 U자형 튜브(42)가 모두 연료에 잠기게 된다.
이렇게, 상기 제1 U자형 튜브(41) 및 제2 U자형 튜브(42)가 모두 연료에 잠긴 상태가 되면, 연료가 제1 U자형 튜브(41)를 통과한 후 플로트(20)쪽으로 들어가게 되고, 이와 동시에 연료가 제2 U자형 튜브(42)의 입구 및 그 내부를 통과한 후 플로트(20)쪽으로 들어가게 되어, 플로트(20)에 부력이 작용하게 되고, 이에 플로트(20)가 상승하여 플로트(20)의 차단돌기(22)가 오리피스(16)을 막아주는 크로그 포인트가 작용됨으로써, 연료가 캐니스터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때, 도 7의 (c)를 참조하면, 상기 오리피스(16)가 닫히는 크로그 포인트는 제1 U자형 튜브(41) 및 제2 U자형 튜브(42)가 모두 연료에 잠기는 순간, 즉 제2 U자형 튜브(42)의 입구 위까지 연료가 채워지는 순간이 되므로, 기존의 오리피스가 닫히는 크로그 포인트에서의 연료 유면에 비하여 보다 높은 연료 유면에서 오리피스가 닫히는 크로그 포인트가 작용하게 된다.
다시 말해서, 상기 연료탱크(30)가 차량과 함께 일정 각도 이상으로 기울어지는 경우, 복수 갈래의 유면 가변용 연료유입 튜브(40) 중 가장 위쪽에 위치하는 유면 가변용 연료유입 튜브(40)의 입구 위까지 연료가 충진될 때의 시점에서 오리피스(16)가 닫히게 되므로, 마치 크로그 포인트가 가변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이와 같이, 연료탱크가 차량과 함께 일정 각도 이상으로 기울어지는 경우, 복수의 유면 가변용 연료유입 튜브 중 가장 위쪽에 위치하는 유면 가변용 연료유입 튜브의 입구 위까지 연료가 충진될 때, 플로트가 부력에 의하여 오리피스를 막게 되므로, 마치 오리피스의 크로그 포인트를 보다 위쪽으로 가변시키는 효과를 얻을 수 있고, 그에 따라 오리피스의 연료 차단시점에서 연료탱크내에 충진된 연료에 의하여 연료탱크의 위쪽 공간(연료 충진 가능한 여유공간)이 줄어들게 되므로, 결국 동일 체적의 연료탱크에 대한 연료 충진 용량을 증대시킬 수 있다.
10 : 하우징
12 : 니플
14 : 유입구
16 : 오리피스
20 : 플로트
22 : 차단돌기
30 : 연료탱크
40 : 유면 가변용 연료유입 튜브
41 : 제1 U자형 튜브
42 : 제2 U자형 튜브
43 : 제1 절곡형 튜브
44 : 제2 절곡형 튜브
45 : 제1튜브
46 : 제2튜브
47 : 제3튜브

Claims (8)

  1. 연료탱크에 장착되는 싱글 타입 롤 오버 밸브내의 플로트로 연료가 유입되는 유입구에 복수의 갈래를 이루는 유면 가변용 연료유입 튜브를 장착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연료탱크용 롤 오버 밸브.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플로트로 연료가 유입되는 유입구를 등간격을 이루는 복수의 유입구로 형성하고, 각 유입구에 유면 가변용 연료유입 튜브가 장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연료탱크용 롤 오버 밸브.
  3.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유면 가변용 연료유입 튜브는 플로트로 연료가 유입되는 유입구 중 일측에 형성된 유입구에 장착되는 제1 U자형 튜브와, 타측에 형성된 유입구에 장착되는 제2 U자형 튜브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연료탱크용 롤 오버 밸브.
  4.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유면 가변용 연료유입 튜브는 플로트로 연료가 유입되는 유입구 중 일측에 형성된 유입구에 장착되는 제1 절곡형 튜브와, 타측에 형성된 유입구에 장착되는 제2 절곡형 튜브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연료탱크용 롤 오버 밸브.
  5.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유면 가변용 연료유입 튜브는 플로트로 연료가 유입되는 복수의 유입구 에 하나의 유입구에 장착되는 제1튜브와, 다른 하나의 유입구에 장착되는 제2튜브와, 또 다른 하나의 유입구에 장착되는 제3튜브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연료탱크용 롤 오버 밸브.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제1튜브 내지 제3튜브는 동심원 배열을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연료탱크용 롤 오버 밸브.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유면 가변용 연료유입 튜브는 1°~ 5°범위로 하향 경사지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연료탱크용 롤 오버 밸브.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연료탱크가 차량과 함께 일정 각도 이상으로 기울어지는 경우, 복수 갈래의 유면 가변용 연료유입 튜브 중 위쪽에 위치하는 유면 가변용 연료유입 튜브의 입구가 크로그 포인트 작용를 위한 연료유입구가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연료탱크용 롤 오버 밸브.
KR1020160041441A 2015-12-16 2016-04-05 자동차의 연료탱크용 롤 오버 밸브 KR10180667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IN4136/DEL/2015 2015-12-16
IN4136DE2015 2015-12-16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72108A true KR20170072108A (ko) 2017-06-26
KR101806679B1 KR101806679B1 (ko) 2017-12-07

Family

ID=589945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41441A KR101806679B1 (ko) 2015-12-16 2016-04-05 자동차의 연료탱크용 롤 오버 밸브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9903492B2 (ko)
KR (1) KR101806679B1 (ko)
CN (1) CN106882036B (ko)
DE (1) DE10201610647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340412B (zh) * 2018-11-27 2024-03-08 戴胜汽车科技(苏州)有限公司 用于汽车油箱上的带积液功能的组合阀
KR102237445B1 (ko) * 2019-11-18 2021-04-07 (주)대창솔루션 탱크차압측정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4329876B4 (de) * 1993-09-03 2004-07-29 Fa. Andreas Stihl Belüftungsventil für einen Kraftstoffbehälter
IT1266832B1 (it) 1994-02-28 1997-01-21 Sirio Srl Valvola di sfiato e di sicurezza in caso di ribaltamento per serbatoi di veicoli
JPH094526A (ja) 1995-06-16 1997-01-07 Nissan Motor Co Ltd フューエルタンク装置
KR19990026417U (ko) 1997-12-19 1999-07-15 양재신 자동차의 연료탱크에 구비된 롤오버 밸브
ITTO20001147A1 (it) * 2000-12-11 2002-06-11 Ergom Materie Plastiche Spa Sistema di recupero dei vapori di carburante da un serbatoio di un autoveicolo e relativo gruppo evaporatore.
DE10227471A1 (de) * 2002-06-20 2004-01-15 Daimlerchrysler Ag Kraftstofftankanlage
JP2006118412A (ja) 2004-10-21 2006-05-11 Piolax Inc 燃料タンクの燃料蒸気配管構造
KR20070059551A (ko) 2005-12-07 2007-06-12 기아자동차주식회사 알오브이 밸브 구조
JP2009227032A (ja) 2008-03-21 2009-10-08 Toyoda Gosei Co Ltd 燃料遮断弁
JP2010070029A (ja) * 2008-09-18 2010-04-02 Toyoda Gosei Co Ltd 遮断弁
JP5163610B2 (ja) 2009-07-30 2013-03-13 豊田合成株式会社 燃料タンク用ユニット
JP5428993B2 (ja) 2010-03-26 2014-02-26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過給油防止装置
JP5421463B2 (ja) * 2010-10-13 2014-02-19 株式会社パイオラックス 弁装置
CN102407773B (zh) * 2011-12-01 2014-03-26 宜昌市车的技术有限公司 应急手动汽车主、副油箱转换阀
EP2647516B1 (en) 2012-04-03 2014-12-17 Inergy Automotive Systems Research (Société Anonyme) Method and valve for the venting of a saddle fuel tank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6882036A (zh) 2017-06-23
US20170175911A1 (en) 2017-06-22
CN106882036B (zh) 2021-09-10
KR101806679B1 (ko) 2017-12-07
DE102016106475A1 (de) 2017-06-22
US9903492B2 (en) 2018-02-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139084B2 (en) Small engine emissions control valve
US7188613B2 (en) Fuel cut off valve
US8371326B2 (en) Fuel vapor vent valve with dynamic pressure relief
KR20100106612A (ko) 연료 증기 시스템용 다기능 제어 밸브
KR101806679B1 (ko) 자동차의 연료탱크용 롤 오버 밸브
JP3909837B2 (ja) 燃料タンクの燃料流出規制装置
US9248735B2 (en) Liquid fuel trap device
KR101928855B1 (ko) 연료 밸브
EP2671009B1 (en) Fuel valve
WO2018085325A1 (en) Fill limit venting valve with high shut-off height
KR20160136329A (ko) 연료 탱크용 밸브 장치
US10035091B2 (en) Liquid fuel catcher
CN211230663U (zh) 燃料箱用阀装置
CN106917701A (zh) 一种多功能控制阀
JP6569371B2 (ja) 液体燃料捕捉器
KR100632255B1 (ko) 연료 증발가스 배출 제어시스템
CN206647186U (zh) 一种多功能控制阀
JP6303662B2 (ja) 液体燃料捕捉器
KR100779975B1 (ko) 연료 증발가스 배출제어 시스템용 콘트롤 밸브
JP5428993B2 (ja) 過給油防止装置
JP2004036449A (ja) 燃料タンク用統合バルブ
CN110985724A (zh) 一种gvv阀保压结构及gvv阀
JP7198840B2 (ja) 燃料タンク用制御弁
JP7422246B2 (ja) 満タン規制バルブ
CN216200939U (zh) 紧凑式燃油箱安全阀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