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70418A -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성형품 - Google Patents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성형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70418A
KR20170070418A KR1020150177889A KR20150177889A KR20170070418A KR 20170070418 A KR20170070418 A KR 20170070418A KR 1020150177889 A KR1020150177889 A KR 1020150177889A KR 20150177889 A KR20150177889 A KR 20150177889A KR 20170070418 A KR20170070418 A KR 2017007041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sin composition
thermoplastic resin
block copolymer
molded article
we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778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88901B1 (ko
Inventor
김윤용
이수민
김응수
김홍진
김윤영
임성남
유재정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화학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to KR102015017788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88901B1/ko
Publication of KR201700704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7041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8890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88901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3/02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8L23/10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propene
    • C08L23/12Polypropen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5/00Manufacture of articles or shaped materials contain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K3/0033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18Oxygen-containing compounds, e.g. metal carbonyls
    • C08K3/24Acids; Salts thereof
    • C08K3/26Carbonates; Bicarbonat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3/02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8L23/10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propene
    • C08L23/14Copolymers of propen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3/02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8L23/16Elastomeric ethene-propene or ethene-propene-diene copolymers, e.g. EPR and EPDM rubb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2300/00Characterised by the use of unspecified polymers
    • C08J2300/22Thermoplastic resin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성형품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결정화도가 30 내지 47 % 폴리프로필렌 블록 공중합체 30 내지 60 중량%, 결정화도가 48 내지 60 %인 폴리프로필렌 블록 공중합체 10 내지 40 중량%, 폴리올레핀 엘라스토머 10 내지 40 중량%, 충진제 1 내지 15 중량% 및 폴리프로필렌-아크릴계 화합물 그라프트 공중합체 0.1 내지 5 중량%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성형품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금속 대비 가볍고, 가공성이 우수하며, 설계 상 높은 자유도를 가지면서도, 기존 금속재의 크래쉬 박스(Crash box)와 동등 수준의 충돌 안전 성능을 제공함과 동시에, 동일한 좌굴 및 파단 형태를 구현한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성형품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성형품{THERMOPLASTIC RESIN COMPOSITION AND MOLDED ARTICLE COMPRISING THE SAME}
본 발명은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성형품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금속 대비 가볍고, 가공성이 우수하며, 설계 상 높은 자유도를 가지면서도, 기존 금속재의 크래쉬 박스(Crash box)와 동등 수준의 충돌 안전 성능을 제공함과 동시에, 동일한 좌굴 및 파단 형태를 구현한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성형품에 관한 것이다.
최근 고분자 재료는 자동차, 가전기기, IT 제품, 건축 부자재 등 실생활과 밀접한 매우 다양한 분야에서 사용되고 있다. 특히, 자동차 관련 분야에서 금속에 비해 경량화가 가능하고, 가공성이 우수하며, 제품 설계 시 높은 자유도를 갖고, 원가 절감이 가능하여 그 적용이 점차 확대되고 있다.
이와 관련하여, 자동차의 충돌 시 1차적 안전 부품에 해당하는 자동차 범퍼의 내부에 위치하는 백 빔(back beam)의 경우, 일반적으로 유리섬유 강화 열가소성 수지(Glass fiber reinforced Thermoplastics) 또는 금속 소재가 이용되고 있다. 하지만, 이는 최근 자동차 시장의 큰 이슈인 안전성과 경량화를 동시에 만족하지 못한다는 문제가 있다. 유리섬유 강화 열가소성 수지의 경우, 충돌 후 수지의 터짐 및 찢김 등으로 인해 충돌 에너지를 효율적으로 흡수하지 못해 충돌 안전성이 저하되고, 보는 사람으로 하여금 안전에 대한 불신과 불안을 심어줄 수 있으며, 금속 소재의 경우 고분자 재료에 비해 중량이 무거워 자동차 출력 저하의 원인이 된다. 이에, 경량화와 함께, 충돌 안전 성능이 확보된 고분자 재료의 개발이 지속적으로 요구되고 있다.
KR 0353066 B1
본 발명은 이러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해, 금속 대비 가볍고, 가공성이 우수하며, 설계 상 높은 자유도를 가지면서도, 기존 금속재의 크래쉬 박스(Crash box)와 동등 수준의 충돌 안전 성능을 제공함과 동시에, 동일한 좌굴 및 파단 형태를 구현한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을 포함하는 성형품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상기 목적 및 기타 목적들은 하기 설명된 본 발명에 의하여 모두 달성될 수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결정화도가 30 내지 47 %인 폴리프로필렌 블록 공중합체 30 내지 60 중량%, 결정화도가 48 내지 60 %인 폴리프로필렌 블록 공중합체 10 내지 40 중량%, 폴리올레핀 엘라스토머 10 내지 40 중량%, 충진제 1 내지 15 중량% 및 폴리프로필렌-아크릴계 화합물 그라프트 공중합체 0.1 내지 5 중량%를 포함하는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을 포함하는 성형품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금속 대비 가볍고, 가공성이 우수하며, 설계 상 높은 자유도를 가지면서도, 기존 금속재의 크래쉬 박스(Crash box)와 동등 수준의 충돌 안전 성능을 제공함과 동시에, 동일한 좌굴 및 파단 형태를 구현한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성형품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자들은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제조 시, 일반적인 폴리프로필렌 블록 공중합체와 함께, 고결정성 폴리프로필렌 블록 공중합체를 혼합하여 사용하고, 특정 충진제 및 첨가제를 포함함으로써, 수지 조성물 내의 결합력이 향상되어, 충돌 시 좌굴 및 파단 형상이 금속 소재와 같은 형태로 구현되는 것을 확인하여 이를 토대로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본 발명에 의한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은 결정화도가 30 내지 47 %인 폴리프로필렌 블록 공중합체 30 내지 60 중량%, 결정화도가 48 내지 60 %인 폴리프로필렌 블록 공중합체 10 내지 40 중량%, 폴리올레핀 엘라스토머 10 내지 40 중량%, 충진제 1 내지 15 중량% 및 폴리프로필렌-아크릴계 화합물 그라프트 공중합체 0.1 내지 5 중량%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을 상세하게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A. 결정화도가 30 내지 47 %인 폴리프로필렌 블록 공중합체
상기 결정화도가 30 내지 47 %인 폴리프로필렌 블록 공중합체는 일례로 에틸렌-프로필렌 블록 공중합체일 수 있고, 이 경우 충돌 안전 성능 및 가공성이 우수한 효과가 있다.
상기 결정화도가 30 내지 47 %인 폴리프로필렌 블록 공중합체는 일례로 에틸렌 함량이 1 내지 30 중량%, 5 내지 25 중량%, 혹은 5 내지 15 중량%일 수 있고, 이 범위 내에서 충돌 안전 성능 및 가공성이 우수한 효과가 있다.
상기 결정화도가 30 내지 47 %인 폴리프로필렌 블록 공중합체는 일례로 용융지수(230 ℃, 2.16 kg)가 30 내지 60 g/10 min, 40 내지 60 g/10 min, 혹은 45 내지 55 g/10 min일 수 있고 이 범위 내에서 분산성이 우수한 효과가 있다.
상기 결정화도가 30 내지 47 %인 폴리프로필렌 블록 공중합체는 일례로 결정화도가 30 내지 47 %인, 33 내지 46 %, 혹은 35 내지 45 %인일 수 있고, 이 범위 내에서 충돌 안전 성능 및 가공성이 우수한 효과가 있다.
상기 결정화도가 35 내지 45 %인 폴리프로필렌 블록 공중합체는 일례로 상기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에 대하여 30 내지 60 중량%, 35 내지 55 중량%, 혹은 40 내지 50 중량%로 포함될 수 있고, 이 범위 내에서 가공성이 우수한 효과가 있다.
B. 결정화도가 48 내지 60 %인 폴리프로필렌 블록 공중합체
상기 결정화도가 48 내지 60 %인 폴리프로필렌 블록 공중합체는 일례로 에틸렌-프로필렌 블록 공중합체일 수 있고, 이 경우 충돌 안전 성능 및 가공성이 우수한 효과가 있다.
상기 결정화도가 48 내지 60 %인 폴리프로필렌 블록 공중합체는 일례로 에틸렌 함량이 1 내지 25 중량%, 1 내지 15 중량%, 혹은 5 내지 10 중량%일 수 있고, 이 범위 내에서 충돌 안전 성능 및 가공성이 우수한 효과가 있다.
상기 결정화도가 48 내지 60 %인 폴리프로필렌 블록 공중합체는 일례로 용융지수(230 ℃, 2.16 kg)가 70 내지 130 g/10 min, 75 내지 120 g/10 min, 혹은 85 내지 110 g/10 min일 수 있고, 이 범위 내에서 높은 흐름성으로 인해 연속섬유복합재(CFT)의 인서트(insert) 사출 시 연속섬유복합재의 밀림을 최소화하여, 성형성이 우수한 효과가 있다.
상기 결정화도가 48 내지 60 %인 폴리프로필렌 블록 공중합체는 상기 결정화도 범위 내에서 충돌 안전 성능 및 가공성이 우수한 효과가 있다.
상기 결정화도가 48 내지 60 %인 폴리프로필렌 블록 공중합체는 일례로 상기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에 대하여 10 내지 40 중량%, 10 내지 30 중량%, 혹은 13 내지 23 중량%로 포함될 수 있고, 이 범위 내에서 가공성이 우수한 효과가 있다.
상기 결정화도가 30 내지 47 % 폴리프로필렌 블록 공중합체 및 결정화도가 48 내지 60 %인 폴리프로필렌 블록 공중합체는 일례로 1:1 내지 5:1, 1.5:1 내지 4:1, 혹은 1.5:1 내지 3:1의 중량비로 포함될 수 있고, 이 범위 내에서 가공성, 충돌 안전 성능 및 물성 밸런스가 우수한 효과가 있다.
C. 폴리올레핀 엘라스토머
상기 폴리올레핀 엘라스토머는 상기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내에서 가공성 및 물성 밸런스를 개선하기 위한 것으로, 일례로 에틸렌 및 α-올레핀의 공중합체일 수 있다. 상기 α-올레핀은 일례로 1-부텐, 1-펜텐, 1-헥센 및 1-옥텐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일 수 있다.
상기 폴리올레핀 엘라스토머는 일례로 에틸렌-옥텐 엘라스토머, 에틸렌-부텐 엘라스토머 또는 이들의 혼합일 수 있다.
상기 폴리올레핀 엘라스토머는 일례로 상기 에틸렌 및 α-올레핀을 포함하여 중합된 주쇄(backbone)에 에틸렌 또는 α-올레핀이 가지 결합된(branched) 것일 수 있고, 상기 주쇄에 가지 결합된 에틸렌 또는 α-올레핀은 일례로 상기 폴리올레핀 엘라스토머에 대하여 20 내지 50 중량%, 25 내지 45 중량%, 혹은 30 내지 40 중량%일 수 있으며, 이 범위 내에서 가공성 및 물성 밸런스가 우수한 효과가 있다.
상기 폴리올레핀 엘라스토머는 일례로 밀도가 0.8 내지 0.9 g/cm3, 0.85 내지 0.88 g/cm3, 혹은 0.865 내지 0.870 g/cm3일 수 있고, 이 범위 내에서 충돌 안전 성능이 우수한 효과가 있다.
상기 폴리올레핀 엘라스토머는 일례로 용융지수(190 ℃, 2.16 kg)가 0.1 내지 10 g/10 min, 0.5 내지 6.5 g/10 min, 0.5 내지 1.5 g/10 min, 혹은 3.5 내지 6.5 g/10 min일 수 있고, 이 범위 내에서 가공성 및 물성 밸런스가 우수한 효과가 있다.
상기 폴리올레핀 엘라스토머는 일례로 상기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에 대하여 10 내지 40 중량%, 15 내지 40 중량%, 혹은 20 내지 35 중량%로 포함될 수 있고, 이 범위 내에서 가공성 및 충돌 안전 성능이 우수한 효과가 있다.
D. 충진제
상기 충진제는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충진제인 경우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일례로 광물 충진제(mineral filler)일 수 있으며, 이 경우 충돌 안전 성능이 우수한 효과가 있다.
상기 광물 충진제는 일례로 탄산칼슘, 탈크, 마이카 및 규석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일 수 있다.
상기 광물 충진제는 일례로 히드록시기(-OH)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고, 이 경우 상기 히드록시기(-OH)에서 수소가 해리되고, 상기 폴리프로필렌-아크릴계 화합물 그라프트 공중합체와 수소 결합(hydrogen bond)을 형성하여 결합력이 우수하고, 이에 따라 충돌 시 수지 조성물의 터짐 현상을 최소화시키는 효과가 있다.
상기 충진제는 일례로 상기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에 대하여 1 내지 15 중량%, 5 내지 15 중량%, 혹은 7 내지 13 중량%로 포함될 수 있고, 이 범위 내에서 충돌 안전 성능 및 물성 밸런스가 우수한 효과가 있다.
E. 폴리프로필렌-아크릴계 화합물 그라프트 공중합체
상기 폴리프로필렌-아크릴계 화합물 그라프트 공중합체는 폴리프로필렌을 주쇄(backbone)로 하여, 아크릴계 화합물이 그라프트 중합된 그라프트 공중합체로, 폴리프로필렌에 극성기를 부여함으로써, 상기 아크릴계 화합물이 상기 충진제의 표면과 수소 결합(hydrogen bond)을 형성하여 결합력이 우수하고, 이에 따라 충돌 시 수지 조성물의 터짐 현상을 최소화시키는 효과가 있다.
상기 폴리프로필렌-아크릴계 화합물 그라프트 공중합체의 아크릴계 화합물은 일례로 (메트)아크릴산 알킬 에스테르 화합물일 수 있고, 구체적인 예로 (메트)아크릴산 메틸 에스테르, (메트)아크릴산 에틸 에스테르, (메트)아크릴산 프로필 에스테르, (메트)아크릴산 2-에틸헥실 에스테르, (메트)아크릴산 데실 에스테르 및 (메트)아크릴산 라우릴 에스테르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일 수 있고, 이 경우 충돌 안전 성능이 우수한 효과가 있다.
상기 아크릴계 화합물은 일례로 상기 폴리프로필렌에 그라프트 중합 시, 에텐, 1-부텐, 1-펜텐, 1-헥센 및 1-옥텐과 함께 공중합될 수 있고, 또 다른 예로 에틸렌과 공중합될 수 있다.
상기 폴리프로필렌-아크릴계 화합물 그라프트 공중합체는 일례로 25 ℃에서의 밀도가 0.85 내지 0.99 g/cm3, 0.88 내지 0.97 g/cm3, 혹은 0.9 내지 0.94 g/cm3일 수 있다.
상기 폴리프로필렌-아크릴계 화합물 그라프트 공중합체는 일례로 상기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에 대하여 0.1 내지 5 중량%, 1 내지 5 중량%, 1.5 내지 3 중량%로 포함될 수 있고, 이 범위 내에서 상기 충진제의 표면과 수소 결합(hydrogen bond) 형성 면적이 최대화되어 결합력이 우수하고, 충돌 안전 성능이 뛰어난 효과가 있다.
F.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상기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은 일례로 폴리프로필렌 블록 공중합체의 결정 성장을 유도하기 위한 핵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폴리프로필렌 블록 공중합체의 결정 생성 시, 알파-결정(α-modification) 형태가 아닌 베타-결정(β-modification) 형태의 결정 생성을 유도하는 효과가 있다. 이와 같이 베타-결정(β-modification) 형태의 결정 생성이 생성되는 경우에는, 충돌 시 베타-결정(β-modification) 형태의 결정이 1차적으로 알파-결정(α-modification) 형태의 결정으로 전환되고, 이에 따라 충돌 에너지를 흡수하여, 알파-결정(α-modification) 형태의 결정 상을 가진 폴리프로필렌 블록 공중합체가 충돌 시 알파-결정(α-modification) 형태의 결정이 파단되는 것에 비해 충돌 안전 성능이 우수한 효과가 있다.
상기 핵제는 일례로 수산화칼슘 및 규회석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일 수 있고, 또 다른 예로 폴리프로필렌과 함께 마스터배치를 이룰 수 있으며, 이 경우 상기 핵제가 수지 조성물 내에 고루 분산되는 효과가 있다.
상기 핵제는 일례로 상기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에 대하여 0 내지 5 중량%, 0.1 내지 3 중량%, 혹은 0.5 내지 2 중량%로 포함될 수 있고, 이 범위 내에서 충돌 안전 성능 및 물성 밸런스가 우수한 효과가 있다.
상기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은 필요에 따라 윤활제, 산화방지제, 사슬연장제, 촉매, 이형제, 안료, 염료, 대전방지제, 항균제, 가공조제, 금속불활성화제, 발연억제제, 내마찰제, 내마모제 및 커플링제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의 첨가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첨가제는 일례로 본 발명의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의 물성에 악영향을 미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은 일례로 베타-결정(β-modification)의 형태를 가질 수 있고, 또 다른 예로 충돌에 따른 파단 형태가 연성(ductile) 파단일 수 있다.
상기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은 일례로 -30 ℃의 면충격 에너지가 23 J 이상, 23 내지 40 J, 혹은 24 내지 32 J일 수 있다.
G. 성형품
본 발명에 의한 성형품은 상기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성형품은 일례로 연속섬유복합재(Continuous fiber thermoplastic, CFT)를 포함할 수 있고, 구체적인 예로 상기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상기 연속섬유복합재의 인서트(insert) 사출 성형품일 수 있다.
상기 연속섬유복합재는 일례로 폴리프로필렌 및 유리섬유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고, 상기 유리섬유는 일례로 연속상의 유리섬유일 수 있다.
상기 성형품은 일례로 자동차 백빔(back beam)용 성형품일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바람직한 실시예를 제시하나,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범주 및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은 통상의 기술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하는 것도 당연한 것이다.
[실시예]
실시예 1 내지 3 및 비교예 1 내지 4
하기 표 1에 나타낸 성분들을 그 기재된 함량(중량%)으로 믹서를 이용해 혼합하고, 이축 압출기를 이용하여 190 내지 260 ℃의 온도 구간에서 용융 및 혼련시켜 펠렛을 제조하였다. 상기 제조된 펠렛 형태의 수지 조성물 2.1 내지 2.3 kg 및 연속섬유복합재 0.7 내지 1.1 kg을 인서트(insert) 사출기를 이용해 인서트 사출하여 물성을 측정하기 위한 시편을 제작하였다.
구분 실시예 비교예
1 2 3 1 2 3 4
PP-1 46.5 45 45 48 13 - 65
PP-2 16 16 15 16 40 65 -
POE 26 26 26 26 24 20 20
MF 10 10 10 10 20 15 15
AD 1.5 3 3 - 3 - -
NA - - 1 - - - -
* PP(폴리프로필렌)-1: 결정화도가 30 내지 47 % 폴리프로필렌 블록 공중합체(폴리미래 사 제조, 제품명 Moplen 542T)
* PP(폴리프로필렌)-2: 결정화도가 48 내지 60 %인 폴리프로필렌 블록 공중합체(대한유화 사 제조, 제품명 YUHWA POLYPRO CB5290)
* POE(폴리올레핀 엘라스토머): 가지 결합된 옥텐의 함량이 35 중량%인 에틸렌-옥텐 엘라스토머
* MF(광물 충진제): 탈크(Koch 사 제조, 제품명 KCM6300)
* AD(첨가제): 폴리프로필렌에 아크릴산 에틸 에스테르가 그라프트 중합된 그라프트 공중합체
* NA(핵제): 수산화칼슘(폴리프로필렌 마스터배치)
[시험예]
상기 실시예 1 내지 3 및 비교예 1 내지 4에서 수득한 시편의 물성을 하기의 방법으로 측정하여, 그 결과를 하기의 표 2에 나타내었다.
측정 방법
* 용융지수: 시편을 이용하여 표준 측정 ASTM D1238(230 ℃, 2.16 kg 조건)에 의거하여 측정하였다.
* 결정화도: 겔투과크로마토그래피(Gel Permeation Chromatography, GPC)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 면충격 에너지(J): 시편을 이용하여 표준측정 ASTM D3763에 의거하여 상온(23 ℃) 및 저온(-30 ℃)의 면충격 에너지를 측정하였다.
* 좌굴 형태: 시편을 이용하여, RCAR Test 중 40 % Off set test에 의거하여 충돌시킨 후, 좌굴 형태를 육안으로 평가하여, 기존의 알루미늄 크래쉬 박스(Crash Box)와 동일한 형태로 찌그러진 경우 ◎, 크래쉬 박스 일부에서 터짐이 발생한 경우 ○, 크래쉬 박스의 형태가 파괴된 경우 △ 및 크래쉬 박스의 형태가 완전 파괴되어 떨어져 나간 경우×로 나타내었다.
* 파단 형태: 시편을 이용하여, 저온(-30 ℃)에서 표준측정 ASTM D3763에 의거하여 충돌시킨 후, 파단 형태를 육안으로 평가하여, 충돌에 의해 시편의 깨짐이 없는 경우 연성(ductile), 충돌에 의해 시편이 깨진 경우 취성(Brittle)으로 나타내었다.
구분 실시예 비교예
1 2 3 1 2 3 4
면충격 에너지(상온) 20 23 25 20 25 31 18
면충격 에너지(저온) 24 26 32 20 22 29 19
좌굴 형태 × × ×
파단 형태 연성 연성 연성 취성 취성 취성 취성
상기 표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된 실시예 1 내지 3의 경우, 충돌 안전 성능이 우수하고, 기존 알루미늄 크래쉬 박스(Crash Box)와 유사 또는 동등 수준의 좌굴 및 파단 형태를 가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반면, 폴리프로필렌-아크릴계 화합물 그라프트 공중합체 첨가제를 포함하지 않은 비교예 1의 경우, 충돌 안전 성능이 저하되고, 충돌 시험 시, 좌굴 형태가 구현되지 않고, 크래쉬 박스의 형태가 완전 파괴되어 떨어져 나갔으며, 파단 형태가 충돌에 의해 깨짐이 발생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고, 폴리프로필렌 블록 공중합체를 미량으로 포함하고, 고결정성 폴리프로필렌 블록 공중합체를 과량으로 포함한 비교예 2의 경우, 파단 형태가 충돌에 의해 깨짐이 발생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결정화도가 30 내지 47 % 폴리프로필렌 블록 공중합체를 포함하지 않은 비교예 3의 경우, 좌굴 형태가 구현되지 않고, 크래쉬 박스의 형태가 완전 파괴되어 떨어져 나갔으며, 파단 형태가 충돌에 의해 깨짐이 발생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결정화도가 결정화도가 48 내지 60 %인 폴리프로필렌 블록 공중합체를 포함하지 않은 비교예 4의 경우에도 충돌 안전 성능이 저하되고, 충돌 시험 시, 좌굴 형태가 구현되지 않고, 크래쉬 박스의 형태가 완전 파괴되어 떨어져 나갔으며, 파단 형태가 충돌에 의해 깨짐이 발생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로부터 본 발명자들은 폴리프로필렌 블록 공중합체와 함께, 고결정성 폴리프로필렌 블록 공중합체를 혼합하여 사용하고, 특정 충진제 및 첨가제를 포함할 경우, 충돌 안전 성능이 우수하고, 충돌 시 좌굴 및 파단 형상이 금속 소재와 같은 형태로 구현된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을 구현할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Claims (16)

  1. 결정화도가 30 내지 47 % 폴리프로필렌 블록 공중합체 30 내지 60 중량%, 결정화도가 48 내지 60 %인 폴리프로필렌 블록 공중합체 10 내지 40 중량%, 폴리올레핀 엘라스토머 10 내지 40 중량%, 충진제 1 내지 15 중량% 및 폴리프로필렌-아크릴계 화합물 그라프트 공중합체 0.1 내지 5 중량%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결정화도가 30 내지 47 % 폴리프로필렌 블록 공중합체 및 결정화도가 48 내지 60 %인 폴리프로필렌 블록 공중합체는 각각 에틸렌-프로필렌 블록 공중합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결정화도가 30 내지 47 % 폴리프로필렌 블록 공중합체는 에틸렌 함량이 1 내지 30 중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결정화도가 48 내지 60 %인 폴리프로필렌 블록 공중합체는 에틸렌 함량이 1 내지 25 중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올레핀 엘라스토머는 에틸렌 및 α-올레핀의 공중합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충진제는 광물 충진제(mineral filler)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광물 충진제는 탄산칼슘, 탈크, 마이카 및 규석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은 핵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핵제는 수산화칼슘 및 규회석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은 베타-결정(β-modification)의 형태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은 충돌에 따른 파단 형태가 연성(ductile) 파단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은 -30 ℃의 면충격 에너지가 23 J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13. 제1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성형품.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성형품은 연속섬유복합재(Continuous fiber thermoplastic)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성형품.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성형품은 상기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상기 연속섬유복합재의 인서트(insert) 사출 성형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성형품.
  16.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성형품은 자동차 백빔(back beam)용 성형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성형품.
KR1020150177889A 2015-12-14 2015-12-14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성형품 KR10208890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77889A KR102088901B1 (ko) 2015-12-14 2015-12-14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성형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77889A KR102088901B1 (ko) 2015-12-14 2015-12-14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성형품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70418A true KR20170070418A (ko) 2017-06-22
KR102088901B1 KR102088901B1 (ko) 2020-03-13

Family

ID=592827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77889A KR102088901B1 (ko) 2015-12-14 2015-12-14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성형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8890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76498A (ko) * 2017-12-22 2019-07-02 주식회사 엘지화학 폴리프로필렌계 복합재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18683A (ko) * 2000-04-21 2002-03-08 마쯔모또 에이찌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조성물
KR20020029777A (ko) * 1999-09-03 2002-04-19 엑손 케미칼 패턴츠 인코포레이티드 가소화된 폴리프로필렌 열가소성플라스틱
KR100353066B1 (ko) 1999-12-31 2002-09-1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열가소성 수지조성물
JP2008544068A (ja) * 2005-06-22 2008-12-04 エクソンモービル・ケミカル・パテンツ・インク 不均質ポリマーブレンド及びその生成方法
KR20110114609A (ko) * 2009-01-31 2011-10-19 신닛폰 리카 가부시키가이샤 폴리프로필렌계 수지 성형체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29777A (ko) * 1999-09-03 2002-04-19 엑손 케미칼 패턴츠 인코포레이티드 가소화된 폴리프로필렌 열가소성플라스틱
KR100353066B1 (ko) 1999-12-31 2002-09-1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열가소성 수지조성물
KR20020018683A (ko) * 2000-04-21 2002-03-08 마쯔모또 에이찌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조성물
JP2008544068A (ja) * 2005-06-22 2008-12-04 エクソンモービル・ケミカル・パテンツ・インク 不均質ポリマーブレンド及びその生成方法
KR20110114609A (ko) * 2009-01-31 2011-10-19 신닛폰 리카 가부시키가이샤 폴리프로필렌계 수지 성형체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76498A (ko) * 2017-12-22 2019-07-02 주식회사 엘지화학 폴리프로필렌계 복합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88901B1 (ko) 2020-03-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497156B1 (en) Polypropylene composition with flame retardant activity
US9714337B2 (en) Mineral filled polypropylene composition
US10358547B2 (en) Low density polyolefin resins with high dimensional stability
CN108350241B (zh) 具有优异的低温冲击的高流动性tpo组合物
CN108350240B (zh) 用于汽车内饰的具有力学性能间的优异平衡的高流动性tpo组合物
JP6171666B2 (ja) 難燃性熱可塑性エラストマー組成物の製造方法
EP3856829A1 (en) Glass fiber filled flame retardant propylene composition
KR20130020678A (ko) 열가소성 중합체 조성물, 그것으로 이루어지는 성형체 및 전선
JP2021107556A (ja) プロピレン系樹脂組成物及びその射出成形体
KR101476057B1 (ko) 천질감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
CA3003227A1 (en) High flow tpo composition with excellent tensile strain at break and low powder stickiness
EP3237536B1 (en) Polypropylene composition
JP2019085478A (ja) ポリプロピレン系樹脂組成物及び成形品
KR20170070418A (ko)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성형품
DE102014019529B4 (de)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r flammhemmenden, thermoplastischen Elastomerzusammensetzung
JP3485756B2 (ja) ポリプロピレン系樹脂組成物
JP4927522B2 (ja) プロピレン系樹脂組成物およびその成形体
KR102187566B1 (ko)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 및 이의 성형품
JP5131910B2 (ja) ポリプロピレン樹脂組成物及びその製造方法
CN108570203B (zh) 聚丙烯树脂组合物及其成型产品
KR102212683B1 (ko)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 및 이의 성형품
KR101124334B1 (ko) 고유동성 및 성형외관이 우수한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
JP2013209448A (ja) 射出成形体の製造方法および射出成形体のウェルド外観向上方法
JPH05169479A (ja) 射出成形体の製造法
KR20050011322A (ko) 폴리프로필렌 수지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