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69147A - 리클라이닝 의자 - Google Patents

리클라이닝 의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69147A
KR20170069147A KR1020160163301A KR20160163301A KR20170069147A KR 20170069147 A KR20170069147 A KR 20170069147A KR 1020160163301 A KR1020160163301 A KR 1020160163301A KR 20160163301 A KR20160163301 A KR 20160163301A KR 20170069147 A KR20170069147 A KR 2017006914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ngle
arm
back frame
stop position
deploy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633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시게타카 하시다
다케시 야마와키
Original Assignee
히카리 컴퍼니 리미티드
메이코 인터내셔널 트레이딩 (상하이) 컴퍼니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히카리 컴퍼니 리미티드, 메이코 인터내셔널 트레이딩 (상하이) 컴퍼니 리미티드 filed Critical 히카리 컴퍼니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17006914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6914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1/00Chairs adapted for special purposes
    • A47C1/02Reclining or easy chairs
    • A47C1/022Reclining or easy chairs having independently-adjustable supporting parts
    • A47C1/024Reclining or easy chairs having independently-adjustable supporting parts the parts, being the back-rest, or the back-rest and seat unit, having adjustable and lockable inclination
    • A47C1/026Reclining or easy chairs having independently-adjustable supporting parts the parts, being the back-rest, or the back-rest and seat unit, having adjustable and lockable inclination by means of peg-and-notch or pawl-and-ratchet mechanism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36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 A47C7/40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for the back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Dent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airs For Special Purposes, Such As Reclining Chairs (AREA)
  • Chairs Characterized By Structure (AREA)

Abstract

시트 프레임에 대한 백 프레임의 전개 각도를 백 프레임이 등받이로서 사용될 때의 사용 범위 내로 규제할 수 있고, 또한 제조 작업을 용이하게 수행하는 리클라이닝 의자를 제공한다.
백 프레임과 시트 프레임을 연결한 적어도 일측 관절기(10)는 시트 프레임 및 백 프레임에 각각 장착된 제1 아암(11) 및 제2 아암(21)을 구비한다. 제1 아암(11)에 제2 아암(21)이 피봇 결합되어 있다. 또한, 관절기(10)는 백 프레임이 등받이로서 사용될 때의 백 프레임의 확장 각도(θ)를 제1 각도(θ1)로부터 제2 각도(θ2)까지의 사용 범위(θ1 - 2)로 규제하는 규제 기구(30)를 구비함과 동시에, 전개 각도(θ)가 사용 범위(θ1 - 2)에서 벗어난 제3 각도(θ3)로부터 사용 범위(θ1 -2) 내로 변위되었을 때, 규제 기구(30)에 의해 확장 각도(θ)가 사용 범위(θ1 - 2)로 규제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Description

리클라이닝 의자{Reclining chair}
본 발명은 시트부에 대한 등받이부의 전개 각도를 조절 가능한 리클라이닝 의자에 관한 것이다.
시트부와 등받이부를 구비한 리클라이닝 의자는 시트부에 대한 등받이부의 전개 각도를 착석자의 취향에 대응시킬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 단계적으로 또는 무단계적으로 조절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는 것이 통상적이다.
일반적으로 등받이부의 백 프레임은 시트부의 시트 프레임에 좌우 한 쌍의 관절기를 통하여 연결되어 있다. 그리고 등받이부의 전개 각도를 단계적 또는 무단계적으로 조절 가능하게 하기 위해서, 양 관절기 중 적어도 일측 관절기는 시트 프레임에 대한 백 프레임의 전개 각도를 단계적으로 또는 무단계적으로 조절 가능한 각도 조절 기구(예: 래칫 기구)를 구비하고 있다(예를 들어 특허 문헌 1 내지 7 참조).
종래의 관절기의 대부분은 백 프레임의 전개 각도를 약 80°내지 약 180°의 범위 내에서 조절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었다.
특허 문헌 1: 일본 공개 특허 평9-19339호 공보 특허 문헌 2: 일본 공개 특허 2006-34709호 공보 특허 문헌 3: 일본 공개 특허 2008-80049호 공보 특허 문헌 4: 일본 공개 특허 2009-189391호 공보 특허 문헌 5: 일본 공개 특허 2010-88682호 공보 특허 문헌 6: 일본 공개 특허 2011-167354호 공보 특허 문헌 7: 일본 공개 특허 2013-231487호 공보
그러나 리클라이닝 의자에 있어서 착석자가 등받이부를 등받이로서 사용할 때의 시트 프레임에 대한 백 프레임의 전개 각도의 범위(이 범위를 "사용 범위"라고 함)는 대체로 정해져 있고, 예를 들어 약 85°내지 약 150°의 범위이다. 또한, 리클라이닝 의자의 후방으로의 전도를 확실하게 방지하기 위해서 백 프레임의 전개 각도의 최대 각도는 규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백 프레임의 전개 각도는 기본적으로는 등받이부가 등받이로서 사용될 때의 사용 범위 내에서만 조절 가능하면 되고, 또한 백 프레임의 전개 각도가 사용 범위보다 큰 각도가 되지 않도록 규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리클라이닝 의자의 제조 과정에 있어서, 시트 프레임 및 백 프레임에 장착되는 쿠션 부재나 표면 커버 등은 일반적으로 양 프레임이 양 관절기를 통하여 연결된 상태에서 그 장착 작업이 이루어진다. 이 장착 작업을 수행할 때에 백 프레임의 전개 각도가 상술한 사용 범위로 규제되어 있는 경우에는 장착 작업을 행하는 것이 곤란하다.
본 발명은 상술한 기술 배경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그 목적은 시트 프레임에 대한 백 프레임의 전개 각도를 백 프레임이 등받이로서 사용될 때의 사용 범위 내로 규제할 수 있고, 또한 제조 작업을 수행하기 쉬운 리클라이닝 의자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은 이하의 수단을 제공한다.
[1] 시트부의 시트 프레임에 등받이부의 백 프레임이 좌우 한 쌍의 관절기를 통하여 연결됨과 동시에, 상기 시트 프레임에 대한 상기 백 프레임의 전개 각도가 단계적 또는 무단계적으로 조절 가능하고,
상기 양 관절기 중 적어도 일측의 관절기인 제1 관절기는 상기 시트 프레임 및 상기 백 프레임 중 어느 일측에 고정 상태로 장착된 제1 아암과, 타측에 고정 상태로 장착된 제2 아암을 구비함과 동시에, 상기 제1 아암에 상기 제2 아암이 상기 제1 아암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회전 가능하게 피봇 결합되어 있고,
또한, 상기 제1 관절기는 상기 백 프레임이 등받이로서 사용될 때의 상기 백 프레임의 상기 전개 각도를 제1 각도로부터 제2 각도까지의 사용 범위로 규제하는 규제 기구를 구비함과 동시에, 상기 백 프레임의 상기 전개 각도가 상기 사용 범위에서 벗어난 제3 각도로부터 상기 사용 범위 내로 변위되었을 때, 상기 규제 기구에 의해 상기 백 프레임의 상기 전개 각도가 상기 사용 범위로 규제되도록 구성되어 있고,
상기 규제 기구는
상기 제2 아암에 일체로 회전 가능하게 또한 상기 제2 아암의 회전 방향으로 서로 이격되어 형성된 2개의 제1 및 제2 충돌부와, 상기 양 충돌부의 사이에서 벗어난 위치인 비스톱 위치로부터 상기 양 충돌부 사이의 위치인 스톱 위치로 이동 가능한 스토퍼 부재를 구비함과 동시에,
상기 스토퍼 부재가 상기 스톱 위치에 배치된 상태하에서 상기 백 프레임의 상기 전개 각도가 상기 제1 각도일 때 상기 제1 충돌부가 상기 스토퍼 부재에 충돌하고 또한 상기 백 프레임의 상기 전개 각도가 상기 제2 각도일 때 상기 제2 충돌부가 상기 스토퍼 부재에 충돌함으로써, 상기 백 프레임의 상기 전개 각도를 상기 사용 범위로 규제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리클라이닝 의자.
[2] 전항1에 있어서,
상기 제1 관절기는 상기 규제 기구에 의한 상기 백 프레임의 상기 전개 각도의 규제를 해제하는 규제 해제 기구를 구비하고 있고,
상기 제2 아암은 상기 제2 아암과 일체로 회전 가능한 회전판부를 가짐과 동시에, 상기 회전판부의 거의 중심부에서 상기 제1 아암에 피봇 결합되어 있고,
상기 제1 아암과 상기 제2 아암의 피봇 축선은 상기 제2 아암의 상기 회전판부의 두께 방향과 거의 평행하고,
상기 스토퍼 부재는 상기 피봇 축선과 거의 평행한 방향으로 상기 비스톱 위치로부터 상기 스톱 위치로 이동 가능하게 배치됨과 동시에, 부세 부재에 의해 상기 비스톱 위치로부터 상기 스톱 위치로 이동하는 방향으로 부세되어 있고,
상기 양 충돌부는 상기 제2 아암의 상기 회전판부에 상기 회전판부의 회전 방향으로 서로 이격되어 형성되어 있고,
상기 규제 해제 기구는 상기 스토퍼 부재가 상기 부세 부재의 부세력에 대항하여 상기 스톱 위치로부터 상기 비스톱 위치로 이동됨으로써, 상기 규제 기구에 의한 상기 백 프레임의 상기 전개 각도의 규제를 해제하도록 구성되어 있고,
상기 규제 기구는
상기 스톱 부재가 상기 비스톱 위치에 배치된 상태일 때에 상기 백 프레임의 상기 전개 각도가 상기 사용 범위로부터 상기 제3 각도측으로 변위되어 상기 스토퍼 부재의 선단부가 상기 제2 아암의 상기 회전판부의 측면에 충돌함으로써, 상기 스토퍼 부재가 상기 부세 부재의 부세력에 대항하여 상기 비스톱 위치에 지지됨과 동시에,
상기 백 프레임의 상기 전개 각도가 상기 제3 각도로부터 상기 사용 범위 내로 변위되었을 때, 상기 스토퍼 부재의 상기 선단부의, 상기 회전판부의 상기 측면에 대한 충돌이 해제되어 상기 스토퍼 부재가 상기 부세 부재의 부세력에 의해 상기 비스톱 위치로부터 상기 스톱 위치로 이동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리클리이닝 의자.
[3] 전항2에 있어서,
상기 규제 해제 기구는
상기 시트부에 대하여 상기 제1 관절기의 외측방향으로 선단부측이 돌출한 상태로 배치된 해제 조작핀을 구비함과 동시에, 상기 해제 조작핀의 상기 선단부가 상기 해제 조작핀의 축선 방향을 따라 상기 제1 관절기측으로 누름 이동됨으로써, 상기 스토퍼 부재가 상기 부세 부재의 부세력에 대항하여 상기 스톱 위치로부터 상기 비스톱 위치로 이동되도록 구성되어 있는 리클라이닝 의자.
[4] 전항3에 있어서,
상기 해제 조작핀은 상기 제1 아암과 상기 제2 아암의 상기 피봇 축선과 거의 평행하게 또한 상기 제2 아암의 상기 양 충돌부와 충돌하지 않는 위치에 배치되어 있고,
상기 해제 조작핀의 기단부와 상기 스토퍼 부재가, 상기 해제 조작핀과 상기 스토퍼 부재가 일체로 이동 가능해지도록 연결되어 있는 리클라이닝 의자.
[5] 전항1 내지 전항4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아암은 서로 이격되어 거의 평행 형상으로 배치된 좌우 한 쌍의 측판부를 구비하고 있고,
상기 제2 아암의 상기 양 충돌부는 상기 제1 아암의 상기 양 측판부의 사이에 배치되어 있고,
상기 양 측판부에는 각각, 상기 스토퍼 부재를 상기 비스톱 위치로부터 상기 스톱 위치로 이동하는 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삽입 통과시켜 지지하는 홀드공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규제 기구는
상기 스토퍼 부재가 상기 스톱 위치에 배치된 상태일 때 상기 스토퍼 부재가 상기 양 홀드공에 걸쳐 상기 양 홀드공에 삽입 통과하여 지지되도록 구성되어 있는 리클라이닝 의자.
[6] 전항1 내지 전항5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양 관절기 중 일측 관절기만이 상기 제1 관절기이고,
상기 양 관절기 중 타측 관절기만이 상기 백 프레임의 상기 전개 각도를 적어도 상기 사용 범위 내에서 단계적으로 또는 무단계적으로 조절 가능한 각도 조절 기구를 구비하고 있는 리클라이닝 의자.
본 발명은 이하의 효과를 발휘한다.
전항 [1]에서는 제1 관절기는 백 프레임이 등받이로서 사용될 때의 백 프레임의 전개 각도를 제1 각도로부터 제2 각도까지의 사용 범위로 규제하는 규제 기구를 구비하고 있기 때문에, 백 프레임의 전개 각도를 규제 기구에 의해 사용 범위로 규제할 수 있다.
또한, 제1 관절기는 백 프레임의 전개 각도가 사용 범위에서 벗어난 제3 각도로부터 사용 범위 내로 변위되었을 때, 규제 기구에 의해 백 프레임의 전개 각도가 사용 범위로 규제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의자를 제조하는 과정에 있어서, 백 프레임의 전개 각도가 제3 각도일 때에 시트 프레임 및 백 프레임에 대하여 소정의 작업(예를 들어 쿠션 부재 등의 장착 작업) 등을 수행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의자의 제조 작업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다.
또한, 규제 기구는 스토퍼 부재가 스톱 위치에 배치된 상태하에서 백 프레임의 전개 각도가 제1 및 제2 각도일 때 각각 제1 및 제2 충돌부가 스토퍼 부재에 충돌함으로써, 백 프레임의 전개 각도를 사용 범위로 규제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에 따라, 백 프레임의 전개 각도를 사용 범위로 확실하게 규제할 수 있다.
전항 [2]에서는 규제 기구는 백 프레임의 전개 각도가 제3 각도로부터 사용 범위 내로 변위되었을 때, 스토퍼 부재의 선단부의, 회전판부의 측면에 대한 충돌이 해제되어 스토퍼 부재가 부세 부재의 부세력에 의해 비스톱 위치로부터 스톱 위치로 이동하도록 구성되어 있음으로써, 백 프레임의 전개 각도를 사용 범위로 규제하는 규제 조작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다.
전항 [3]에서는 규제 해제 기구는 해제 조작핀의 선단부가 해제 조작핀의 축선 방향을 따라 누름 이동됨으로써, 스토퍼 부재가 부세 부재의 부세력에 대항하여 스톱 위치로부터 비스톱 위치로 이동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백 프레임의 전개 각도의 규제를 해제하는 규제 해제 조작을 해제 조작핀의 선단부를 푸시하는 누름 조작에 의해 수행할 수 있고, 이에 따라 규제 해제 조작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다.
전항 [4]에서는 규제 해제 조작을 확실하고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고, 규제 해제 기구의 간소화를 도모할 수 있다.
전항 [5]에서는 규제 기구는 스토퍼 부재가 스톱 위치에 배치된 상태일 때 스토퍼 부재가 양 홀드공에 걸쳐 양 홀드공에 지지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스토퍼 부재에 제1 및 제2 충돌부가 각각 충돌하였을 때에 스토퍼 부재에 가해지는 충격력을 양 홀드공에서 안정적으로 받아 막아낼 수 있다. 이에 따라, 백 프레임의 전개 각도를 제1 및 제2 각도로 각각 확실하게 규제할 수 있다.
전항 [6]에서는 양 관절기 중 일측 관절기만이 제1 관절기이고, 양 관절기 중 타측 관절기만이 각도 조절 기구를 구비하고 있다. 이에 따라, 양측 관절기에 대하여 각각 소형화를 도모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형태에 따른 리클라이닝 의자를 좌측 정면 대각선 위쪽에서 바라본 사시도.
도 2은 동 리클라이닝 의자의 백 프레임의 동작을 설명하는 동 리클라이닝 의자의 좌측도.
도 3은 동 리클라이닝 의자를 다리부와 시트부로 분리하여 나타낸 동 리클라이닝 의자의 사시도.
도 4는 백 프레임의 전개 각도가 제3 각도일 때의 동 리클라이닝 의자의 좌측 관절기(제1 관절기)를 좌측 정면 대각선 위쪽에서 바라본 사시도.
도 5는 백 프레임의 전개 각도가 제3 각도일 때의 동 좌측 관절기를 우측 대각선 위쪽에서 바라본 사시도.
도 6은 백 프레임의 전개 각도가 제3 각도일 때의 동 좌측 관절기의 우측면도.
도 7은 백 프레임의 전개 각도가 제3 각도일 때의 동 좌측 관절기의 평면도.
도 8은 동 좌측 관절기의 분해 사시도.
도 9a는 도 6 중의 X-X선 단면도.
도 9b는 도 7 중의 Y-Y선 단면도.
도 10a는 백 프레임의 전개 각도가 제2 각도일 때 도 6 중의 X-X선에 대응하는 동 좌측 관절기의 단면도.
도 10b는 제2 아암의 전개 각도가 제2 각도일 때 도 7 중의 Y-Y선에 대응하는 동 좌측 관절기의 단면도.
도 11은 제2 아암의 전개 각도가 재1 각도일 때 도 7 중의 Y-Y선에 대응하는 동 좌측 관절기의 단면도.
도 12는 동 의자의 우측 관절기를 우측 대각선 위쪽에서 바라본 사시도.
도 13은 동 우측 관절기의 분해 사시도.
도 14는 백 프레임의 전개 각도가 제3 각도이고 또한 백 프레임의 회전이 잠겼을 때의 동 우측 관절기의 단면도.
도 15는 백 프레임의 전개 각도가 제3 각도이고 또한 백 프레임의 회전 잠금이 해제되었을 때의 동 우측 관절기의 단면도.
도 16은 좌측 관절기(제1 관절기)의 한 변형 모양을 좌측 정면 대각선 위쪽에서 바라본 사시도.
도 17은 동 좌측 관절기를 우측 대각선 위쪽에서 바라본 사시도.
도 18은 동 좌측 관절기의 분해 사시도.
다음으로 본 발명의 일실시형태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이하에서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3에 있어서 부호 (1)은 본 발명의 일실시형태에 따른 리클라이닝 의자 이다. 또한 화살표 " F","B","L"및"R"은 각각 의자(1)의 전방, 후방, 좌측 및 우측을 나타내고 있다.
도 1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의자(1)은 시트부(2A)와 등받이부(3A)와 다리부(4A)를 구비하고 있다. 다리부(4A)는 시트부(2A)를 하측으로부터 바닥면에 대하여 소정의 높이에 대략 수평 형상으로 지지하는 것으로서, 금속제 다리 프레임(metal leg frame)(4)를 가지고 있다. 시트부(2A)는 다리부(4A)(다리 프레임 4)의 상부측에 배치된 상태에서 다리부(4A)에 연결 볼트(7) 등의 연결 수단에 의해 분리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도 3 참조). 이와 같은 시트부(2A)와 다리부(4A)의 연결 작업은 의자(1)를 진열 판매하는 매장 프론트에서 이루어지거나, 의자(1)를 구매한 구매자에 의해 의자(1)의 설치 현장 등에서 주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본 실시형태의 의자(1)는 소위 녹다운식(knockdown type)의 것이라고도 할 수 있다.
시트부(2A)는 금속 파이프로 형성된 시트 프레임(2)을 구비하고 있다. 시트 프레임(2)은 서로 이격되어 평행한 모양으로 배치된 좌우 한 쌍의 사이드 프레임부(2a)(2a)와, 양 사이드 프레임부(2a)(2a)의 양 전단부를 연결한 프론트 프레임부(2b)와, 양 사이드 프레임부(2a)(2a)의 양 후단부를 서로 연결한 후 리어 프레임부(2c)를 가지고 있다. 양 사이드 프레임부(2a)(2a)의 전후 방향의 대략 중간부분은 2개의 좁은 띠모양의 판인 연결판부(2d)(2d)로 연결되어 있다.
등받이부(3A)는 금속 파이프로 형성된 백 프레임(3)를 구비하고 있다. 백 프레임(3)은 서로 이격되어 평행한 모양으로 배치된 좌우 한 쌍의 사이드 프레임부(3a)(3a)와, 양 사이드 프레임부(3a)(3a)의 양 상단부를 연결한 상부 프레임부(3b)를 가지고 있다. 또한, 각 사이드 프레임부(3a)의 하단부에는 원통형상의 금속제 연결 소켓(3c)이 외부 결합 상태로 고정되어 있다. 양 사이드 프레임부(3a)(3a)의 상하방향의 대략 중간부분은 연결 프레임부(3d)로 연결되어 있다.
그리고 시트 프레임(2)의 좌우 양단부로서의 좌우 양측 프레임부(2a)(2a)의 양 후단부에 백 프레임(3)의 좌우 양 하단부로서의 좌우 양측 프레임부(3a)(3a)의 양 하단부가 좌우 한 쌍의 관절기(10)(40)를 통해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즉, 상세하게 설명하면 시트 프레임(2)의 좌측 프레임부(2a) 후단부에 백 프레임의 좌측 프레임부(3a)의 하단부로서의 연결 소켓(3c)이 좌측 관절기(10)를 통해 연결되어 있으며, 시트 프레임(2)의 우측 프레임부(2a)의 후단부에 백 프레임(3)의 우측 프레임부(3a)의 하단부로서의 연결 소켓(3c)이 우측 관절기(40)를 통해 연결되어 있다. 양측 관절기(10)(40)는 각각 금속제이다.
도 1과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시트 프레임(2) 및 백 프레임(3)에는 양 프레임(2)(3)이 양측 관절기(10)(40)를 통해 연결된 상태에서 쿠션 부재(5)(이점쇄선으로 나타낸다)가 양 프레임(2)(3) 및 양 관절기(10)(40)의 거의 전체를 덮도록 설치되어 있다. 쿠션부제(5)는 탄력 있는 폴리우레탄(예: 우레탄폼) 등으로 이루어진다. 쿠션부재(5)의 표면 전체는 유연한 표면 커버로 덮여 있다.
양측 관절기(10)(40) 중에서 우측 관절기(40)는 시트 프레임(2)에 대한 백 프레임(3)의 전개 각도를 단계별로 조절 가능한 각도조절기구(60)를 구비하고 있다. 이 우측 관절기(40) 구성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양측 관절기(10)(40) 중 제1 관절기로서의 좌측 관절기(10)는 도 4 내지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시트 프레임(2)의 좌측 프레임부(2a)의 후단부에 고정 상태로 장착된 금속제 제1 아암(11)과, 백 프레임(3)의 좌측 프레임부(3a)의 하단부로서의 연결 소켓(3c)에 고정 상태로 장착된 금속제 제2 아암(21)을 구비하고 있다(도 1 참조).
제1 아암(11)은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시트 프레임(2)의 좌측 프레임부(2a)의 후단부에 장착된 원통형의 장착부(12)와, 장착부(12)의 기단측(즉 후단측)에 장착부(12)와 일체로 형성된 좌우 한 쌍의 측판부(13)(13)를 구비하고 있다. 양 측판부(13)(13)는 서로 이격되어 평행한 모양으로 배치되어 있다. 양 측판부(13)(13) 하단부는 바닥판부(14)로 일체로 연결되어 있다(도 9B 참조). 양 측판부(13)(13)의 상단부는 상판부(18)로 일체로 연결되어 있다. 그리고,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좌측 관절기(10)의 제1 아암(11)의 장착부(12)가 시트 프레임(2)의 좌측 프레임부(2a)의 후단부에 그 상면상에 배치된 상태로 소정의 고정 수단(예: 용접, 리베팅)에 의해 고정 상태로 설치되어 있다. 즉, 제1 아암(11)이 시트 프레임(2)의 좌측 프레임부(2a)의 후단부에 시트 프레임(2)에 대하여 움직이지 않도록 고정되어 있다.
제2 아암(21)은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좌우 한 쌍의 제2 아암 구성편(21A)(21A)이 일체적으로 조립되어 구성된 것이다. 양 구성편(21A)(21A)의 조립 전의 상태에 있어서, 각 구성편(21A)의 조립면에는 양 구성편(21A)(21A) 사이의 위치가 어긋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서로 결합 가능한 복수의 결합공부 (21a) 및 결합 볼록부(21b)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제2 아암(21)은 백 프레임(3)의 좌측 프레임부(3a)의 하단부로서의 연결 소켓(3c)에 장착된 원통형의 장착부(22)와, 회전판부(23)를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장착부(22)에 백 프레임(3)의 좌측 프레임부(3a)의 연결 소켓(3c)이 결합되고, 이 상태에서 장착부(22)가 연결 소켓(3c)에 소정의 고정 수단(예: 리베팅, 코킹)에 의해 고정 상태로 설치되어 있으며, 이에 따라 제2 아암(21)이 백 프레임(3)의 사이드 프레임부(3a)의 하단부에 백 프레임(3)과 일체로 이동(회전)하도록 고정되어 있다.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회전판부(23)는 대략 원판형상이며, 장착부(22)의 기단측(즉, 하단측)에 장착부(22)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이에 따라, 회전판부(23)는 장착부(22)(제2 아암(21))와 일체로 회전 가능하게 되어 있다.
회전판부(23)의 중심부에는 단면 원형 모양의 피봇공(pivot hole)(25)이 회전판부(23)의 두께 방향으로 관통하여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회전판부(23)가 제1 아암(11)의 양 측판부(13)(13) 사이에 배치되어 있으며, 이 상태에서 리벳으로 이루어진 단면 원형 모양의 회전축(19)이 일측의 측판부(13)에 형성된 단면 원형 모양의 피봇공(pivot hole)(15)과 회전판부(23)의 피봇공(25)과 타측의 측판부(13)에 형성된 단면 원형 모양의 피봇공(15)에 연통하여 삽입되어 있고, 이에 따라, 제1 아암(11)에 제2 아암(21)(상세히 설명하면 제2 아암(21)의 회전판부(23)) 이 그 회전판부(23)의 중심부에서 회전축(19)을 통하여 회전 가능하게 피봇 결합되어 있다. 제1 아암(11)과 제2 아암(21)의 피봇 축선(즉, 회전축(19)의 중심축선)(J1)은 회전판부(23)의 두께 방향과 평행이다.
여기에서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좌측 관절기(10)의 제1 아암(11)에 대한 제2 아암(21)의 배포 각도를 θ라고 한다. 이 전개 각도(θ)는 의자(1)의 시트 프레임(2)에 대한 백 프레임(3)의 전개 각도에 대응하고 있다. 따라서, 이하에서는 좌측 관절기(10)의 제1 아암(11)에 대한 제2 아암(21)의 전개 각도(θ)를, 의자(1) 시트 프레임(2)에 대한 백 프레임(3)의 전개 각도(θ)로서 설명한다.
본 실시 형태의 의자(1)에서는 백 프레임(3)이 의자(1)의 등받이로서 사용 될 때에는 백 프레임(3)(좌측 관절기(10)의 제2 아암(21))은 시트 프레임(2)(제1 아암(11))에 대한 백 프레임(3)(제2 아암(21))의 전개 각도(θ)가 제1 각도(θ1 )로부터 제2 각도(θ2 )까지의 범위에 배치된다. 또한, 백 프레임(3)(제2 아암(21))의 전개 각도(θ)가 사용 범위(θ1 -2 )에서 벗어난 각도로 예를 들면 약 180°의 각도를 "제3 각도(θ3)"라고 정의한다.
또한, 설명의 편의상 백 프레임(3)(제2 아암(21))의 전개 각도(θ)가 줄어드는 회전방향(S)을 백 프레임(3)(제2 아암(21))의 "정회전 방향 S"로 정의하고, 백 프레임(3)(제2 아암(21))의 전개각도(θ)가 증가하는 회전 방향(G)을 백 프레임(3)(제2 아암(21))의 "역회전 방향(G)"라고 정의한다.
좌측 관절기(10)는 백 프레임(3)의 전개 각도(θ)를 제1 각도(θ1 )로부터 제2 각도(θ2 )까지의 사용 범위(θ1 - 2)로 규제하는 규제 기구(30)와, 규제 기관(30)에 의한 백 프레임(3)의 전개 각도(θ)의 규제를 해제하는 규제 해제 기구(31)를 구비하고 있다. 여기서, 규제 기구(30)는 상술하면 좌측 관절기(10)의 제1 아암(11)에 대한 제2 아암(21)의 전개 각도를 소정의 범위로 규제함으로써 시트 프레임(2)에 대한 백 프레임(3)의 전개 각도(θ)를 사용 범위 (θ1 - 2)로 규제하는 것이다.
제2 각도(θ2 )는 제1 각도(θ1)보다 크게 설정된다(즉, θ2 1 ). Θ1 및 θ2는 각각 임의로 설정되는 것으로서, 구체적으로는 θ1 은 예를 들면 약 70°~약 100°의 범위 내의 한 각도로 설정되고, θ2 는 예를 들면 약 130 °~약 160°범위 내의 한 각도로 설정되고, θ1-2 는 θ1 에서 θ2 까지의 범위로 설정된다.
다만 본 발명에서는 θ1 과 θ2 는 상술한 각도나 범위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의자(1)의 사용목적, 설치장소, 시트부(2A)(시트 프레임(2))에 대한 다리부 4A(다리 프레임 4)의 후방 하단 위치, 시트부(2A)(시트 프레임(2))에 대한 등받이부(3A)(백 프레임(3))의 높이 등에 따라 여러가지로 설정되는 것이다. 또한, θ3 는 약 180°인 것이 특히 바람직하지만 본 발명은 θ3 이 반드시 약 180°이어야할 필요는 없다.
다음으로, 규제 기구(30)에 대해 다음과 같이 설명한다.
도 8 및 도 9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좌측 관절기(10)의 제2 아암(21)의 회전판부(23)의 외주연부에서의 소정 부분에는 그 외주 방향으로 연장된 오목부(24c)가 절취되어 형성되어 있으며, 이에 따라 회전판부(23)의 외주연부에 오목부(24c)의 서로 대향하는 한 쌍의 측면으로부터 이루어진 제1 충돌부(24a)와 제2 충돌부(24b)가 회전판부(23)의 회전 방향(즉, 제2 아암(21)의 회전 방향)으로 서로 이격되어 또한 회전판부(23)의 반경 바깥쪽으로 돌출된 상태로 회전판부(23)와 일체로 회전 가능하게 형성되어 있다.
규제기구(30)는 상술한 제1 및 제2 충돌부(24a)(24b)를 구비함과 동시에, 또한 스토퍼 부재로서의 스트레이트 단면 원형상(shape of a straight circular cross section)의 금속 스토퍼핀(26)을 구비하고 있다.
여기에서 도 9A 및 도 9B에 나타낸 좌측 관절기(10)에서는 제2 아암(21)은 백 프레임(3)의 전개 각도(θ)가 제3 각도(θ3)(약 180°)의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도 10A 및 도 10B에서는 제2 아암(21)은 백 프레임(3)의 전개 각도(θ)가 제2 각도(θ2)의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도 11에서는 제2 아암(21)은 백 프레임(3)의 전개 각도(θ)가 제1각도(θ1 )의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도 9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스토퍼핀(26)의 축선(J2)는 제1 아암(11)과 제2 아암(21)의 피봇 축선(pivotal mounting axis line)(J1)과 평행하게 배치되어 있다. 또한, 스토퍼핀(26)은 회전판부(23)의 양 충돌부(24a)(24b) 사이의 위치인 오목부(24c)의 내측으로 이루어진 스톱 위치(도 10A, 도 10B와 도 11 참조)와, 양 충돌부(24a)(24b) 사이의 위치(즉, 스톱 위치)로부터 회전판부(23)의 두께 방향의 한쪽(상술하면 회전판부(23)의 우측방향)으로 벗어난 위치인 비스톱 위치(도 9A 및 도 9B 참조)와의 사이를 피봇 축선(pivotal mounting axis line)(J1)과 평행한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어 있다.
도 10A, 도 10B 및 도 1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백 프레임(3)의 전개 각도(θ)가 사용 범위(θ1 -2) 내인 상태에서는 스토퍼핀(26)은 양 충돌부(24a)(24b) 사이의 위치인 스톱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또한, 이 상태에서는 스토퍼핀(26)은 도 10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 아암(11)의 양측판부(13)(13)에 각각 형성된 단면 원형 형상의 양 홀드공(16)(16)에 걸쳐서 스토퍼핀(26)을 비스톱 위치로부터 스톱 위치로 이동하는 방향(Q)으로 슬라이드 가능하게 양 홀드공(16)(16)에 삽입 지지되어 있다.
스토퍼핀(26)이 스톱 위치에 배치된 상태에서, 백 프레임(3)의 역회전 방향 (G)에 대한 회전에 의해 백 프레임(3)의 전개 각도(θ)가 제2 각도(θ2)가 되었을 때, 도 10B에 나타낸 바와 같이 회전판부(23)의 제2 충돌부(24b)가 스토퍼핀(26)에 충돌된다. 이에 따라 백 프레임(3)의 역회전 방향(G)의 회전이 정지되어서 백 프레임(3)의 전개 각도(θ)가 제2 각도(θ2)로 규제된다. 한편, 백 프레임(3)의 정회전 방향(S)에 대한 회전에 의해 백 프레임(3)의 전개 각도(θ)가 제1 각도(θ1)가 되었을 때, 도 11에 나타낸 바와 같이 회전판부(23)의 제1 충돌부(24a)가 스토퍼핀(26)에 충돌된다. 이에 따라 백 프레임(3)의 정회전 방향(S)의 회전이 정지되어서 백 프레임(3)의 전개 각도(θ)가 제1 각도(θ1 )로 규제된다. 따라서, 스토퍼핀(26)이 스톱 위치에 배치된 상태에서는 백 프레임(3)의 전개 각도(θ)는 제1 각도(θ1 )로부터 제2 각도(θ2 )까지의 사용 범위(θ1-2 )에 규정된다.
이상과 같이 규제 기구(30)는 스토퍼핀(26)이 스톱 위치에 배치된 상태에서 백 프레임(3)의 전개 각도(θ)가 제1 각도(θ1)일 때 제 1 충돌부(24a)가 스토퍼핀에 충돌하고, 또한 백 프레임(3)의 전개 각도(θ)가 제2 각도(θ2)일 때 제 2 충돌부(24b)가 스토퍼핀(26)에 충돌됨으로써, 백 프레임(3)의 전개 각도(θ)를 사용 범위(θ1-2)에 규제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다음으로 규제 해제 기구(31)에 대해 이하에서 설명한다.
규제 해제 기구(31)는 스토퍼핀(26)이 도 10A에 도시한 스톱 위치로부터 도 9A에 나타낸 비스톱 위치로 이동됨으로써, 규제 기구(30)에 의한 백 프레임(3) 의 전개 각도(θ)의 규제를 해제함으로써, 스트레이트 단면 원형 형상의 금속제 해제 조작핀(27) 등을 구비하고 있다. 해제 조작핀(27)은 헤드부 부착 리벳으로 이루어진다(도 8 참조).
해제 조작핀(27)은 도 9A 및 도 9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 아암(11)과 제2 아암(21)의 피봇 축선(J1)과 평행하고 또한 제2 아암(21)의 양 충돌부(24a)(24b)와 충돌되지 않는 위치에서, 제1 아암(11)의 좌측판부(13)의 좌측방향으로 해제 조작핀(27)의 선단부(27a)측(즉, 리벳의 헤드부측)이 돌출한 상태에 배치되어 있다. 또한, 제1 아암(11)의 좌측판부(13)의 좌측방향과는 시트부(2A)(의자 1)에 대하여 좌측 관절기(10)의 외측 방향에 대응하고 있다.
또한, 해제 조작핀(27)은 제1 아암(11)의 양 측판부(13)(13)에 각각 형성된 단면 원형 모양의 양 홀드공(17)(17)에 걸쳐서 해제 조작핀(27)의 축선(J3) 방향을 따라 슬라이드 가능하게 양 홀드공(17)(17)에 삽입 지지되어 있다.
그리고, 해제 조작핀(27)의 기단부(27b)와 스토퍼핀(26)의 기단부(26b)가 제1 아암(11)의 우측판부(13)의 오른쪽에서 연결편(28)을 통해 연결되어 있으며, 이에 따라 해제 조작핀(27)과 스토퍼핀(26)이 일체로 이동 가능하게 되도록 연결되어 있다. 또한, 제1 아암(11)의 우측판부(13)의 오른쪽과는 시트부(2A)(의자 1)에 대하여 좌측 관절기(10)의 내측 방향측에 대응하고 있다.
즉,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연결편(28)은 높은 강성을 갖는 금속으로서, 제1 아암(11)의 우측판부(13)의 오른쪽에 배치되어 있다. 연결편(28)의 일단부 및 타단부에는 각각 단면 원형 모양의 장착공(28a)(28b)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도 9A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해제 조작핀(27)의 기단부(27b)가 연결편(28)의 일측의 장착공(28a)에 삽입된 상태에서 국부적으로 직경이 큰 형상으로 납작하게 눌려짐으로써, 해제 조작핀(27)의 기단부(27b)가 연결편(28)에 고정 상태로 장착되어 있다. 또한, 스토퍼핀(26)의 기단부(26b)가 연결편(28)의 타측의 장착공(28b)에 삽입된 상태에서 국부적으로 직경이 큰 형상으로 납작하게 눌려짐으로써, 스토퍼핀(26)의 기단부(26b)가 연결편(28)에 고정 상태로 장착되어 있다. 그 결과, 해제 조작핀(27)의 기단부(27b)와 스토퍼핀(26)의 기단부(26b)가 연결편(28)을 통해 해제 조작핀(27)과 스토퍼핀(26)이 일체로 이동 가능하게 되도록 연결되어 있다.
해제 조작핀(27)에는 해제 조작핀(27) 및 스토퍼핀(26)에 부세력을 부여하는 제1 부세 부재로서의 압축 코일 스프링(29)이 해제 조작핀(28)에 삽입 상태로 장착되어 있다. 또한, 압축 코일 스프링(29)은 해제 조작핀(27)의 선단부(27a)에 국지적으로 형성된 큰 직경부와 제1 아암(11)의 좌측판부(13)의 좌측면과의 사이에 끼워진 상태로 배치되어 있다. 또한, 해제 조작핀(27)의 상기 큰 직경부는 해제 조작핀(27)를 형성하는 리벳의 헤드부로 이루어진다.
스토퍼핀(26)은 압축 코일 스프링(29)에 의해 비스톱 위치(도 9A 참조)로부터 스톱 위치(도 10A 참조)로 이동하는 방향(Q)으로 항상 부세되고 있다.
그리고, 규제 해제 기구(31)는 도 10A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해제 조작핀(27)의 선단부(27a)가 좌측 관절기(10)(상술하면 제1 아암 및 제2 아암(11)(21))쪽으로 화살표 (P)의 방향으로 눌려져서 해제 조작핀(27)이 해제 조작핀(27)의 축선(J3) 방향을 따라 이동됨으로써, 도 9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스토퍼핀(26)이 압축 코일 스프링(29)의 부세력에 대항하여 스톱 위치로부터 비스톱 위치로 이동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다음으로 우측 관절기(40)의 구성에 대하여 도 12 내지 도 15을 참조하여 이하에 설명한다.
우측 관절기(40)는 상술한 바와 같이 백 프레임(3)의 전개 각도(θ)를 단계적으로 조절 가능한 각도조절기구(60)를 구비하고 있으며, 또한 시트 프레임(2)의 우측 프레임부(2a)의 후단부에 시트 프레임(2)에 대하여 움직이지 않도록 고정 상태로 장착된 제1 아암(41)과, 백 프레임(3)의 우측 프레임부(3a)의 하단부로서의 연결 소켓(3c)에 백 프레임(3)과 일체로 이동(회전)되도록 고정 상태로 장착된 제2 아암(51)을 구비하고 있다(도 1 참조). 그리고, 제1 아암(41)에 대한 제2 아암(51)의 회전축(49)을 통해 피봇 결합되어 있다. 여기서, 각도조절기구(60)는 상술하면 우측 관절기(40)의 제1 아암(41)에 대한 제2 아암(51)의 전개 각도를 단계적으로 조절함으로써 시트 프레임(2)에 대한 백 프레임(3)의 전개 각도(θ)를 단계적으로 조절하는 것이다.
제1 아암(41)은 시트 프레임(2)의 우측 프레임부(2a)의 후단부에 장착된 원통형의 장착부(42)와, 장착부(42)의 기단측(즉 후단측)에 장착부(42)와 일체로 형성된 좌우 한 쌍의 측판부(43)(43)를 구비하고 있다.
제2 아암(51)은 백 프레임(3)의 우측 프레임부(3a)의 하단부로서의 연결 소켓(3c)에 장착된 원통형의 장착부(52)와, 장착부(52)의 기단측(즉, 하단측)에 장착부(52)와 일체로 형성된 대략 원판모양의 회전판부(53) 등을 구비하고 있다.
도 1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2 아암(51)은 좌측 관절기(10)의 제2 아암(21)과 마찬가지로, 좌우 한 쌍의 제2 아암 구성편(51A)(51A)이 일체적으로 조립되어 구성된 것이다. 두 구성편(51A)(51A)은 리벳(51a)에 체결되어 있다.
제2 아암(51)의 회전판부(53)의 중심부에는 축공으로서의 단면 비원형 형상(상술하면 단면 육각형상)의 결합공(55)이 회전판부(53)의 두께 방향으로 관통 하여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회전판부(53)가 제1 아암(41)의 좌우 한 쌍의 측판부(43)(43) 사이에 배치되어 있으며, 이 상태에서 회전축(49)이 일측의 측판부(43)에 형성된 단면 원형 형상의 피봇공(pivot hole)(45)과 회전판부(53)의 결합공(55)과 타측의 측판부(43)에 형성된 단면 원형 형상의 피봇공(45)에 연통하여 삽입되어 있으며, 이에 따라 상술한 바와 같이, 제1 아암(41)에 제2 아암(51)이 그 회전판부(53)의 중심부에서 회전축(49)을 통하여 피봇 결합되어 있다. 또한, 양 측판부(43)(43)의 하단부는 바닥판부(44)에 함께 연결되어 있다.
도 13에 나타낸 바와 같이, 회전축(49)의 축선 방향의 중간부(49c)는 회전판부(53)의 결합공(55)의 단면 형상에 대응한 단면 비원형 형상(상술하면 단면 육각 모양)에 국지적으로 형성되어 있고, 회전축(49)의 축선 방향의 선단부(49a) 및 기단부(49b)는 각각 단면 원형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회전축(49)의 중간부(49c)가 회전판부(53)의 결합공(55)에 결합 상태로 삽입되어 있다. 이에 따라, 회전축(49)은 제2 아암(51)의 회전판부(53)의 회전 동작에 따라 양 피봇공(45)(45)에 제2 아암(51)과 일체로 회전하도록 되어 있다.
회전축(49)이 일측의 측판부(43)의 피봇공(45)과 회전판부(53)의 결합공(55)과 타측의 측판부(43)의 피봇공(45)에 연통하여 삽입된 상태에서는 회전축(49)의 선단부(49a)는 제1 아암(41)의 좌측판부(43)의 좌측 방향으로 돌출되어 있으며, 이 선단부(49a)에는 계지홈(49d)이 형성된다. 그리고, 백 프레임(3)(제2 아암(51))을 정회전방향(S)로 항상 부세하는 제2 부세부재의 일단부로서의 나선형 스프링(spiral spring)의 내단부(70a)가 계지홈(49d)에 계지되어 있다.
제1 아암(41)의 양 측판부(43)(43)에는 리벳으로 이루어진 단면 원형 형상의 요동축(66)이 좌측판부(43)의 좌측방향으로 돌출되어 장착되어 있다. 그리고, 제2 부세부재의 타측부로서의 나선형 스프링(70)의 외단부(70b)가 요동축(66)의 돌출 된 선단부(66a)에 계지되어 있다(도 123 참고). 이에 따라, 백 프레임(3)(제2 아암(51))은 나선형 스프링(70)에 의해 정회전방향(S)으로 항상 부세되어 있다. 도 13 중의 부호 "47"및"4"은 요동축(66)용 장착공이다.
각도조절기구(60)는 판형상의 금속제 톱니부재(61) 등을 구비하고 있다. 톱니부재(61)는 좌우 한 쌍의 톱니부재 구성편(61A)(61A)이 일체적으로 조립되어서 구성된 것이다.
도 14와 도 15에 나타낸 바와 같이, 톱니부재(61)는 제1 아암(41)의 양측판부(43)(43)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톱니부제(61)의 기단부로서의 상단부는 요동축(66)(상술하면 요동축(66)의 기단부)에 요동 가능하게 피봇식으로 지지되어 있다. 도 13 중 부호"63"은 요동축공이다. 제2 아암(51)의 회전판부(53)의 외주연부에는 복수의 기어치(gear teeth)가 결합공(55)을 중심으로 원호 형상으로 나란하게 형성되어 있다. 톱니부재(61)의 외주연부에서의 회전판부(53)의 기아치(54)측을 향한 측연부에는 기어치(54)와 맞물릴 수 있는 복수의 톱니(62)가 형성되어 있다.
도 14에서는 톱니부재(61)의 톱니(62)는 회전판부(53)의 기아치(54)에 맞물려 있으며, 이에 따라 백 프레임(3)(제2 아암(51))이 정회전 방향(S) 및 역회전 방향(G)에 회전하지 않도록 백 프레임(3)(제2 아암(51))의 회전이 잠겨있다.
도 15에서는 톱니 부재(61)의 톱니(62)는 회전판부(53)의 기어치(54)로부터 분리되어 톱니(62)와 기아치(54)와의 맞물림이 해제되어 있고, 이에 따라 백 프레임(3)(제 2암(51))의 회전의 잠금이 해제되어 있다.
또한, 톱니 부재(61)에는 톱니 부재(61)의 유단부로서의 하단부로부터 상단부로 진행하는 방향에 대하여 회전판부(53)의 기아치(54)측에 대략 < 모양으로 굴곡되어 연장된 조작 장공(64)이 형성되어 있다. 제1 아암(41)의 양 측판부(43)(43)에는 각각 회전축(49)(피봇공(45))을 중심으로 원호 모양으로 연장된 안내 장공(46)(46)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조작핀(65)이 일측의 안내 장공(46)과 조작 장공(64)과 타측의 안내 장공(46)에 연통하여 삽입되어 있으며, 또한 조작핀(65)의 기단부가 레버식 조작레버(67)에 고정상태로 장착되어 있다(도 13 참고). 부호 "67d"는 조작핀(65)용 장착공이다.
조작 레버(67)는 톱니 부재(61)의 톱니(62)를 회전판부(53)의 기아치(54)에 맞물리는 잠금 조작과, 톱니(62)와 기아치(54)의 맞물림을 해제시키는 잠금 해제 조작을 수행하는 것이다. 조작 레버(67)의 기단부에는 단면 원형 형상의 축공(67a)이 형성되어 있고, 이 축공(67a)에 회전축(49)의 단면 원형 형상의 기단부(49b)가 삽입됨으로써 조작 레버(67)의 선단부(67b)가 회전축(49)를 중심으로 상하 방향으로 요동 가능하게 되도록 조작 레버(67)가 우측 관절기(40)(상술하면 우측 관절기(40)의 제1 아암(41))에 장착되어 있다.
도 13 중 부호 "68"는 조작 레버(67)의 선단부(67b)를 하부 방향으로 항상 부세하는 제3 부세부재로서의 인장 코일 스프링이다. 도 1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인장 코일 스프링(68)의 일단부(68a)는 제1 아암(41)의 양 측판부(43)(43)에 고정 설치된 리벳으로 이루어진 계지핀(69)에 장착된 원통형 칼러(69a)에 계지되어 있으며, 인장 코일 스프링(68)의 타단부(68b)는 조작레버(67)에 형성된 계지편부(67c)에 계지되어 있다. 이에 따라, 조작 레버(67)는 인장 코일 스프링(68)에 의해 조작 레버(67)의 선단부(67b)가 하부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항상 부세되어 있다.
도 14에 있어서 우측 관절기(40)에서는 의자(1)에 앉은 착석자(도시하지 않음)의 손(상술하면 착석자의 오른손)으로 조작 레버(67)의 선단부(67b)에 장착된 그립부(도시하지 않음)를 잡고 조작 레버(67)의 선단부(67b)를 인장 코일 스프링(68)의 부세력에 대항하여 도 14에 나타낸 위치로부터 도 1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부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조작 레버(67)에 고정 설치된 조작핀(65)이 양 안내 장공(46)(46) 및 조작장공(64) 내에서 상부 방향으로 이동되고, 이 이동 동작에 따라 톱니 부재(61)가 요동축(66)을 중심으로 회전판부(53)로부터 떨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하여 톱니 부재(61)의 톱니(62)와 회전판부(53)의 기아치(54)의 맞물림이 해제된다. 그 결과, 백 프레임(3)(제2 아암(51))의 회전의 잠금이 해제된다. 이 조작을 우측 관절기(40)에 대한 잠금 해제 조작이라고 한다. 이렇게 하면 백 프레임(3)은 나선형 스프링(70)의 부세력에 의해 정회전방향(S)로 회전한다.
백 프레임(3)의 전개 각도(θ)가 착석자가 원하는 각도일 때, 조작 레버(67)의 선단부(67b)를 도 15에 나타낸 위치로부터 도 1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원래 위치를 향하여 하부 방향으로 이동시킨다. 이에 따라, 톱니 부재(61)가 요동축(66)을 중심으로 회전판부(53)에 접근하는 방향으로 이동하여 톱니 부재(61)의 톱니(62)가 회전판부(53)의 기아치(54)에 맞물린다. 그 결과, 백 프레임(3)(제2 아암(51))의 회전이 잠겨서 백 프레임(3)의 전개 각도(θ)가 원하는 각도로 고정된다. 이 조작을 우측 관절기(40)에 대한 잠금 조작이라고 한다.
우측 관절기(40)에서는 백 프레임(3)의 전개 각도(θ)는 제2 아암(51)의 회전 판부(53)의 기아치(54)의 피치에 대응하여 단계적으로 조절 가능하다.
우측 관절기(40)에서 각도조절기구(60)로 조절 가능한 백 프레임(3)의 전개 각도(θ)의 범위는 제1 각도(θ1)로부터 제3 각도(θ3)까지의 범위와 동일하거나 이것보다 큰 범위로 설정하는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각도조절기구(60)로 조절 가능한 백 프레임(3)의 전개 각도(θ)의 범위는 이와 같은 범위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적어도 사용범위(θ1 - 2)(즉, 제 1 각도(θ1)로부터 제2 각도(θ2)까지)로 하면 좋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각도조절기구(60)는 상술한 바와 같이 백 프레임(3)의 전개 각도(θ)를 단계적으로 조절 가능한 것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그 외 일본 공개 특허 2011-167354호 공보, 일본 공개 특허 2013-231487호 공보, 일본 공개 특허 2014-61175호 공보, 일본 공개 특허 2015-53970호 공보 등에 개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백 프레임(제2 아암)의 전개 각도(θ)를 무단계적으로 조절 가능한 것이어도 좋다.
다음으로 본 실시 형태의 의자(1)의 동작 및 사용 방법에 대해 이하에서 설명 한다.
의자(1)를 제조하는 과정에 있어서는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의자(1)의 다리부(4A)(다리 프레임 4)은 시트부(2A)(시트 프레임(2))으로부터 분리되어 있다. 시트 프레임(2)과 백 프레임(3)은 양 관절기(10)(40)를 통해 서로 연결되어 있으며, 시트 프레임(2)에 대한 백 프레임(3)의 전개 각도(θ)는 제3 각도(θ3)인 약 180°로 되어 있다. 이 때, 백 프레임(3)이 정회전 방향(S) 및 역회전 방향(G)으로 회전하지 않도록 백 프레임(3)의 회전이 우측 관절기(40)의 각도조절기구(60)의 톱니 부재(61)의 톱니(62)와 회전판부(53)의 기아치(54)의 맞물림에 의해 잠겨 있다.
이 제3 각도(θ3 )의 상태일 때 시트 프레임(2) 및 백 프레임(3)에 쿠션 부재 (5) 등이 장착된다. 이에 따라 이 장착 작업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다.
장착 작업이 완료된 후에, 의자(1)를 그 제조 공장으로부터 출하하는 목적 등을 위하여 의자(1)을 반송할 때에는 시트부(2A) 및 등받이부(3A)는 시트 프레임(2)에 대한 백 프레임(3)의 전개 각도(θ)를 제3 각도(θ3)(즉, 약 180°)로 유지한 상태로 포장 박스 안에 포장된다. 따라서 포장 크기가 작고 의자(1)의 반송 비용 절감을 도모할 수 있다. 또한, 다리부(4A)(다리 프레임 4)에는 일반적으로 시트부(2A) 및 등받이부(3A)와는 별도로 포장되어 반송된다.
그리고 반송처에서 다리부(4A) 및 시트부(2A)의 연결 작업이 이루어진다. 반송처로서는 의자(1)를 진열 판매하는 매장 프론트가 예시된다. 또한, 다리부(4A) 및 시트부(2A)의 연결 작업은 의자(1)를 구매한 구매자에 의해 의자(1)의 설치 장소 등에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시트 프레임(2)에 대한 백 프레임(3)의 전개 각도(θ)가 제3 각도(θ3)(즉, 약 180°)인 상태에서는 도 9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좌측 관절기(10)의 제2 아암(21)이 제1 아암(11)에 형성된 스토퍼부로서의 바닥판부(14) 후단부(14a)에 충돌하고 있으며, 이에 따라, 백 프레임(3)의 역회전 방향(G)의 회전이 규제되어 있으며, 즉 백 프레임이(3)의 전개 각도(θ)가 제3 각도(θ3)보다 증가하지 않도록 제3 각도(θ3)로 규제되어 있다.
또한, 도 9A 및 9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좌측 관절기(10)의 규제 기구(30)인 스토퍼핀(26)의 선단부(상술하면 스토퍼핀(26)의 선단면)(26a)이 제2 아암(21)의 회전판부(23)의 측면(23a)에 회전판부(23)의 두께 방향으로 충돌하고 있으며, 이에 따라 스토퍼핀(26)이 압축 코일 스프링(29)의 부세력에 대항하여 비스톱 위치에 지지되어 있다. 이 때 도 9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스토퍼핀(26)은 제1 아암(11)의 우측판부(13)의 홀드공(16) 내에 배치되어 있고, 또한 압축 코일 스프링(29)은 밀착 상태로 되어 있으며, 규제 해제 기구(31)의 해제 조작핀(27)의 누름 이동이 밀착 상태의 압축 코일 스프링(29)에 의해 규제되고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해제 조작핀(27)의 누름 이동의 규제는 압축 코일 스프링(29)이 밀착 상태가 됨으로써 이루어지는 것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그 외 예를 들면 해제 조작핀(27)의 외주면에 반경 바깥쪽으로 불룩한 모양으로 형성된 단부(?i?")(27c)(도 83 참조)가 제1 아암(11)의 좌측판부(13)의 좌측면에 당접함으로써 이루어지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우측 관절기(40)에서도 백 프레임(3)의 전개 각도(θ)가 제3 각도(θ3)(즉, 약 180°)인 상태에서는 도 1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우측 관절기(40)의 제2 아암(51)이 제1 아암(41)에 형성된 스토퍼부로서의 바닥판부(44)의 후단부(44a)에 충돌하고 있고, 이에 따라 백 프레임(3) 역회전 방향(G)의 회전이 규제되어 있으며, 즉 백 프레임(3)의 전개 각도(θ)가 제3 각도(θ3)보다 증가하지 않도록 제3 각도(θ3)로 규제되어 있다.
또한, 각도조절기구(60)의 톱니 부재(61)의 톱니(62)가 제2 아암(51)의 회전 판부(53)의 기아치(54)에 맞물리고, 이에 따라 상술한 바와 같이 백 프레임(3)이 정회전 방향(S) 및 역회전 방향(G)으로 회전하지 않도록 백 프레임(3)의 회전이 잠겨있다. 이 잠금 상태에서, 시트 프레임(2) 및 백 프레임(3)에 대하여 쿠션 부재(5) 등의 장착 조작을 수행하거나, 시트 프레임(2) 및 백 프레임(3)이 포장되거나 한다.
다리부(4A) 및 시트부(2A)를 연결한 후에 있어서, 백 프레임(등받이부(3A))을 등받이로서 사용하기 위한 백 프레임(3)의 전개 각도(θ)를 제3 각도(θ3)(약 180°)로부터 줄이는 경우, 즉 백 프레임(3)을 정회전 방향(S)으로 회전시키는 경우에는 도 1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잠금 해제 조작자(예를 들면, 다리부(4A)와 시트부(2A)의 연결 작업자, 의자(1)에 앉는 착석자)가 우측 관절기(40)에 대하여 상술한 잠금 해제 조작을 수행한다.
이와 같이 하면 나선형 스프링(70)의 부세력에 의해 백 프레임(3)이 정회전 방향(S)으로 회전하여 백 프레임(3)의 전개 각도(θ)가 줄어든다. 즉, 좌측 관절기(10)에서는 백 프레임(3)의 전개 각도(θ)가 도 9B에 나타낸 제3 각도(θ3)(약 180°)에서 제2 각도(θ2 )측으로 변위되도록 회전판부(23)가 회전한다. 이 회전판부(23)의 회전 동작에 따라 스토퍼핀(26)의 선단부(26a)가 회전판부(23)의 측면(23a)상을 제1 및 제2 충돌부(24a)(24b)의 사이(즉, 오목부(24c))를 향해 상대적으로 슬라이딩된다.
그리고, 백 프레임(3)의 전개 각도(θ)가 제2 각도(θ2)로 변위되었을 때, 도 10A 및 도 10B에 나타낸 바와 같이 규제기구(30)의 스토퍼핀(26)의 선단부(26a)의, 회전판부(23)의 측면(23a)(도 9A 참조)에 대한 충돌이 해제되어 스토퍼핀(26)이 압축 코일 스프링(29)의 부세력에 의해 비스톱 위치로부터 스톱 위치측으로 자동적으로 이동된다. 그리고, 스토퍼핀(26)이 스톱 위치로 이동하였을 때, 백 프레임(3)의 전개 각도(θ)가 사용 범위(θ1 - 2)에 규제됨과 동시에, 도 10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연결편(28)이 제1 아암(11)의 우측판부(13)의 우측면에 충돌되며. 이에 따라 스토퍼핀(26)이 스톱 위치에 배치되도록 규제된다. 이 상태에서는 스토퍼핀(26)은 양 홀드공(16)(16)에 걸쳐서 양 홀드공(16)(16) 내에 배치되고 있다. 이 상태가 되면서부터 백 프레임(3)(등받이부(3A))은 의자(1)의 등받이로서 사용된다.
백 프레임(3)의 전개 각도(θ)가 사용 범위(θ1 -2) 내인 상태에 있어서, 의자(1)에 앉은 착석자가 백 프레임(3)의 전개 각도(θ)를 조절할 때에는 착석자의 등으로 백 프레임(3)를 받은 상태에서 착석자가 우측 관절기(40)에 대하여 상술한 잠금 해제 조작을 수행한다. 이에 따라, 백 프레임(3)의 전개 각도(θ)가 사용 범위 (θ1 -2) 내에서 단계적으로 조절 가능하게 된다. 그리고, 백 프레임(3)의 전개 각도(θ)가 착석자가 원하는 각도가 되도록 착석자가 등을 앞뒤로 움직여 백 프레임(3)의 전개 각도(θ)가 원하는 각도일 때 착석자가 우측 관절기(40)에 대하여 상술한 잠금 조작을 수행함으로써, 백 프레임(3)의 전개 각도(θ)가 원하는 각도로 고정된다.
이와 같은 백 프레임(3)의 전개 각도(θ)의 조절 작업에 있어서, 만약 백 프레임(3)의 전개 각도(θ)가 사용 범위(θ1 -2) 내인 예를 들면 약 중간 각도로부터 제1 각도(θ1)로 변위되었을 때, 도 1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좌측 관절기(10)에서는 제2 아암(21)의 회전판부(23)의 제1 충돌부(24a)가 스토퍼핀(26)에 충돌하고, 이에 따라 백 프레임(3)의 정회전 방향(S)으로의 회전이 규제되며 즉 백 프레임(3)의 전개 각도(θ)가 제1 각도(θ1)보다는 줄어들지 않도록 제1 각도(θ1)로 규제된다. 이 때, 또한 좌측 관절기(10)에서는 제2 아암(21)이 제1 아암(11)에 형성된 스토퍼부로서의 상판부(18)의 후단부(18a)에 충돌하고, 이에 따라 백 프레임(3)의 정회전 방향(S)으로의 회전이 확실하게 규제되도록 되어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좌측 관절기(10)는 제1 충돌부(24a)가 스토퍼핀(26)에 충돌될 때에 제2 아암(21)이 제1 아암(11)의 상판부(18)의 후단부(18a)에 충돌되지 않도록 구성되는 것을 배제하는 것은 아니다.
만약 백 프레임(3)의 전개 각도(θ) 사용 범위(θ1 - 2)의 예를 들면 의미 중간 각도에서 두 각 θ2 에 진지 할 때, 도(10)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2 아암(21) 회전판부(23)의 제2 충돌부(24a)가 스토퍼핀(26)에 충돌하고 있고, 이에 따라 백 프레임(3) 역회전 방향(G)에 혁명이 규제 즉 백 프레임(3)의 전개 각도(θ) 제2 각도(θ2)보다 증가하지 않도록 제2 각도(θ2)에 규정된다.
한편, 백 프레임(3)의 전개 각도(θ)를 사용 범위(θ)로부터 제3 각도(θ3)(약 180°)로 변위시킬 경우에는 잠금 해제 조작자가 우측 관절기(40)에 대하여 상술한 잠금 해제 조작을 수행함과 동시에, 도 10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잠금 해제 조작의 을 사람의 손으로 시트부(2A)에 대하여 좌측으로부터 좌측 관절기(10)의 규제 해제 기구(31)의 해제 조작핀(27)의 선단부(27a)를 해제 조작핀(27)의 축선(J3) 방향에 따라 좌측 관절기(10)(상술하면 제1 및 제2 아암(11)(21))측으로 화살표(P)의 방향으로 누름 이동시킨다. 이에 따라, 스토퍼핀(26)이 압축 코일 스프링(29)의 부세력에 대항하여 스톱 위치로부터 비스톱 위치측으로 이동되며, 그리고 스토퍼핀(26)이 비스톱 위치에 배치되었을 때 압축 코일 스프링(29)이 압축 상태로 되어 해제 조작핀(27)의 누름 이동이 정지(규제)된다(도 9A 참조).
이와 같이 스토퍼핀(26)을 비스톱 위치로 배치된 상태에서(즉, 해제 조작핀(27)의 선단부(27a)를 손가락으로 누른 상태에서) 백 프레임(3)을 역회전 방향(G)으로 회전시켜 백 프레임(3)의 전개 각도(θ)를 사용 범위(θ1 - 2)로부터 제3 각도(θ3)측으로 변위시킴으로써, 도 9A 및 도 9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스토퍼핀(26)의 선단부(26a)가 제2 아암(21)의 회전판부(23)의 측면(23a)에 당접하여 충돌된다. 이에 따라, 스토퍼핀(26)이 압축 코일 스프링(29)의 부세력에 대항하여 비스톱 위치로 유지된다. 이 때문에 해제 조작핀(27)의 선단부(27a)에서 손을 떼어도 스토퍼핀(26)의 스톱 위치로 이동하지 않고 비스톱 위치로 유지된다.
이 상태에서 백 프레임(3)을 다시 역회전 방향(G)시켜서 백 프레임(3)의 전개 각도(θ)를 제3 각도(θ3)로 변위시킨다. 그러면 도 9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좌측 관절기(10)에서는 제2 아암(21)이 제1 아암(11)의 바닥판부(14)의 후단부(14a)에 충돌하고, 백 프레임(3)의 역회전 방향(G)의 회전이 규제되어 즉, 백 프레임(3)의 전개 각도(θ)가 제3 각도(θ3 )보다 증가하지 않도록 제3 각도(θ3)로 규제된다. 이 때, 도 1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우측 관절기(40)에서도 제2 아암(51)이 제1 아암(41)의 바닥판부(44)의 후단부(44a)에 충돌하여, 백 프레임(3)의 역회전 방향(G)의 회전이 규제된다. 그리고, 우측 관절기(40)에 대하여 상술한 잠금 조작을 수행하여 백 프레임(3)의 전개 각도(θ)가 제3 각도(θ3)로 고정된다.
본 실시 형태의 의자(1)에 따르면, 좌측 관절기(10)는 규제 기구(30)는 스토퍼핀(26)이 스톱 위치에 배치된 상태 하에서 백 프레임(3)의 전개 각도(θ)가 제1 및 제2 각도(θ1)(θ2)일 때 각각 제1 및 제2 충돌부(24a)(24b)가 스토퍼핀(26)에 충돌됨으로써, 백 프레임(3)의 전개 각도(θ)를 사용 범위(θ1 - 2)로 규제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에 따라, 백 프레임(3)의 전개 각도(θ)를 사용 범위(θ1 - 2)로 확실하게 규제할 수 있다.
또한, 규제기구(30)는 스토퍼핀(26)이 비스톱 위치에 배치된 상태일 때에 백 프레임(3)의 전개 각도(θ)가 사용 범위(θ1 - 2)로부터 제3 각도(θ3)측으로 변위되어 스토퍼핀(26)의 선단부(26a)가 제2 아암(21)의 회전판부(23)의 측면(23a)에 충돌됨으로써, 스토퍼핀(26)이 압축 코일 스프링(29)의 부세력에 대항하여 비스톱 위치로 유지되도록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백 프레임(3)의 전개 각도(θ)의 규제를 해제하는 규제 해제 조작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다.
또한, 규제기구(30)는 백 프레임(3)의 전개 각도(θ)가 제3 각도(θ3)로부터 사용 범위(θ1 -2) 내로 변위되었을 때, 스토퍼핀(26)의 선단부(26a)의, 회전판부(23) 측면(23a)에 대한 충돌이 해제되어서 스토퍼핀(26)이 압축 코일 스프링(29)의 부세력에 의해 비스톱 위치로부터 스톱 위치로 이동하도록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백 프레임(3)의 전개 각도(θ)를 사용 범위(θ1 - 2)로 규제하는 규제 작업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다.
좌측 관절기(10)의 규제 해제 기구(31)는 해제 조작핀(27)의 선단부(27a)가 해제 조작핀(27)의 축선(J3) 방향을 따라서 누름 이동됨으로써, 연결편(28)을 통해 스토퍼핀(26)이 압축 코일 스프링(29)의 부세력에 대항하여 스톱 위치로부터 비스톱 위치로 이동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백 프레임(3)의 전개 각도(θ)의 규제를 해제하는 규제 해제 조작을 해제 조작핀(27)의 선단부(27a)를 누르는 누름 조작에 의해 수행할 수 있다. 따라서, 규제 해제 조작이 해제 조작핀(27) 등의 해제 조작 부재를 잡아당김으로써 이루어지는 경우에 비하여 규제 해제 조작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다.
또한, 해제 조작핀(27)은 제1 아암(11)과 제2 아암(21)의 피봇 축선(J1)과 평행하게 또한 제2 아암(21)의 제1 및 제2 충돌부(24a)(24b)와 충돌되지 않는 위치에 배치되어 있으며, 해제 조작핀(27)의 기단부(27b)와 스토퍼핀(26)의 기단부(26b)가 해제 조작핀(27)과 스토퍼핀(26)이 일체로 이동 가능하게 되도록 연결편(28)을 통해 연결되어 있음에 따라, 규제 해제 작업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으며, 규제 해제 기구(31)의 단순화를 도모할 수 있다.
또한, 규제기구(30)는 도 9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스토퍼핀(26)이 스톱 위치에 배치된 상태일 때, 스토퍼핀(26)이 양 홀드공(16)(16)에 걸쳐서 양 홀드공(16)(16) 내에 배치되어 유지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스톱 위치에 배치된 스토퍼핀(26)에 제1 및 제2 충돌부(24a)(24b)가 각각 충돌되었을 때에 스토퍼핀(26)에 가해지는 충격력을 양 홀드공(16)(16)에서 안정적으로 수용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백 프레임(3)의 전개 각도(θ)를 제1 및 제2 각도(θ1)(θ2 )로 각각 확실하게 규정할 수 있다.
또한, 해제 조작핀(27)은 양 홀드공(17)(17)에 걸쳐서 양 홀드공(17)(17) 내에 배치되어 지지되고 있다. 이에 해제 조작핀(27)의 단부(27a)를 누르면 해제 조작핀(27)이 그 축선(J3) 방향을 따라서 확실하게 이동하기 때문에, 규제 해제 조작을 확실하게 수행할 수 있다.
여기에서 본 발명에서는 좌측 관절기(10)뿐만 아니라 또한 우측 관절기(40)도 규제기구(30) 및 규제 해제 기구(31)를 구비할 수도 있다. 그러함에도 불구하고 본 실시 형태와 같이 양측 관절기 중 일측의 관절기인 좌측 관절기(10)만 규제기구(30) 및 규제 해제 기구(31)를 구비하고, 타측의 관절기인 우측 관절기(40)만 각도조절기구(60)를 구비하는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그 이유는 다음과 같다.
즉, 만약 일측의 관절기가 규제 기구(30), 규제 해제 기구(31) 및 각도조절기구(60)를 구비하는 경우, 해당 일측 관절기의 크기가 대형이 된다. 이에 비해, 본 실시 형태와 같이 일측 관절기(좌측 관절기(10))만이 규제기구(30) 및 규제 해제 기구(31)를 구비하고, 타측 관절기(우측 관절기(40))만 각도조절기구(60)를 구비함으로써, 양측 관절기(10)(40)에 대해 소형화를 도모할 수 있다.
또한, 우측 관절기(40)는 백 프레임(3)의 전개 각도(θ)가 줄어드는 회전 방향인 정회전방향(S)으로 백 프레임(3)을 부세하는 제2 부세 부재로서의 나선형 스프링(70)을 구비하고 있으므로, 착석자는 백 프레임(3)의 전개 각도(θ)의 조절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여기에서 본 발명에서는 우측 관절기(40)뿐만 아니라 또한 좌측 관절기(10)도 백 프레임(3)을 정회전 방향(S)으로 부세하는 제2 부세 부재를 구비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좌측 관절기가 제2 부세 부재를 구비하는 경우의 좌측 관절기(110)의 일례를 도 16~도 18에 나타낸다. 이 도면들에는 상기 실시 형태에 나타낸 요소와 동일한 작용을 나타내는 요소에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며 그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좌측 관절기(10)만이 백 프레임(3)을 정회전 방향(S)으로 부세하는 제2 부세 부재를 구비하는 경우를 배제하는 것이 아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 형태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 실시 형태에 국한 되지 않고 본 발명의 요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여러 가지로 변경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상기 실시 형태와 같이 좌측 관절기(10)의 제1 아암(11)이 시트 프레임(2)에 제2 아암(21)이 백 프레임(3)에 각각 고정 상태로 장착되어 있는 것이 특히 바람직하지만, 그 외 예를 들면 좌측 관절기(10)의 제1 아암(11)이 백 프레임(3)에, 제2 아암(21)이 시트 프레임(3)에 각각 고정 상태로 장착되는 경우를 배제하는 것이 아니다.
본 발명은 시트부에 대한 등받이부의 전개 각도를 조절 가능한 리클라이닝 의자에 이용 가능하다.
1: 리클라이닝 의자 2: 시트 프레임
3: 백 프레임 10: 좌측 관절기(제1 관절기)
11: 제1 아암 13: 측판부
16: 홀드공 21: 제2 아암
23: 회전판부 24a: 제1 충돌부
24b: 제2 충돌부 24c: 오목부(제1 충돌부와 제2 충돌부의 사이)
26: 스토퍼핀(스토퍼 부재) 27: 해제 조작핀
30: 규제기구 31: 규제 해제 기구
40: 우측 관절기 60: 각도조절기구
θ: 백 프레임의 전개각도 θ1: 제1 각도
θ2: 제2 각도 θ3: 제3 각도
θ1 -2: 사용범위

Claims (9)

  1. 시트부의 시트 프레임에 등받이부의 백 프레임이 좌우 한 쌍의 관절기를 통하여 연결됨과 동시에, 상기 시트 프레임에 대한 상기 백 프레임의 전개 각도가 단계적 또는 무단계적으로 조절 가능하고,
    상기 양 관절기 중 적어도 일측의 관절기인 제1 관절기는 상기 시트 프레임 및 상기 백 프레임 중 어느 일측에 고정 상태로 장착된 제1 아암과, 타측에 고정 상태로 장착된 제2 아암을 구비함과 동시에, 상기 제1 아암에 상기 제2 아암이 상기 제1 아암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회전 가능하게 피봇 결합되어 있고,
    또한, 상기 제1 관절기는 상기 백 프레임이 등받이로서 사용될 때의 상기 백 프레임의 상기 전개 각도를 제1 각도로부터 제2 각도까지의 사용 범위로 규제하는 규제 기구를 구비함과 동시에, 상기 백 프레임의 상기 전개 각도가 상기 사용 범위에서 벗어난 제3 각도로부터 상기 사용 범위 내로 변위되었을 때, 상기 규제 기구에 의해 상기 백 프레임의 상기 전개 각도가 상기 사용 범위로 규제되도록 구성되어 있고,
    상기 규제 기구는
    상기 제2 아암에 일체로 회전 가능하게 또한 상기 제2 아암의 회전 방향으로 서로 이격되어 형성된 2개의 제1 및 제2 충돌부와, 상기 양 충돌부의 사이에서 벗어난 위치인 비스톱 위치로부터 상기 양 충돌부 사이의 위치인 스톱 위치로 이동 가능한 스토퍼 부재를 구비함과 동시에,
    상기 스토퍼 부재가 상기 스톱 위치에 배치된 상태하에서 상기 백 프레임의 상기 전개 각도가 상기 제1 각도일 때 상기 제1 충돌부가 상기 스토퍼 부재에 충돌하고 또한 상기 백 프레임의 상기 전개 각도가 상기 제2 각도일 때 상기 제2 충돌부가 상기 스토퍼 부재에 충돌함으로써, 상기 백 프레임의 상기 전개 각도를 상기 사용 범위로 규제하도록 구성되어 있고,
    상기 제1 관절기는 상기 규제 기구에 의한 상기 백 프레임의 상기 전개 각도의 규제를 해제하는 규제 해제 기구를 구비하고 있고,
    상기 제2 아암은 상기 제2 아암과 일체로 회전 가능한 회전판부를 가짐과 동시에, 상기 회전판부의 거의 중심부에서 상기 제1 아암에 피봇 결합되어 있고,
    상기 제1 아암과 상기 제2 아암의 피봇 축선은 상기 제2 아암의 상기 회전판부의 두께 방향과 거의 평행하고,
    상기 스토퍼 부재는 상기 피봇 축선과 거의 평행한 방향으로 상기 비스톱 위치로부터 상기 스톱 위치로 이동 가능하게 배치됨과 동시에, 부세 부재에 의해 상기 비스톱 위치로부터 상기 스톱 위치로 이동하는 방향으로 부세되어 있고,
    상기 양 충돌부는 상기 제2 아암의 상기 회전판부에 상기 회전판부의 회전 방향으로 서로 이격되어 형성되어 있고,
    상기 규제 해제 기구는 상기 스토퍼 부재가 상기 부세 부재의 부세력에 대항하여 상기 스톱 위치로부터 상기 비스톱 위치로 이동됨으로써, 상기 규제 기구에 의한 상기 백 프레임의 상기 전개 각도의 규제를 해제하도록 구성되어 있고,
    상기 규제 기구는
    상기 스톱 부재가 상기 비스톱 위치에 배치된 상태일 때에 상기 백 프레임의 상기 전개 각도가 상기 사용 범위로부터 상기 제3 각도측으로 변위되어 상기 스토퍼 부재의 선단부가 상기 제2 아암의 상기 회전판부의 측면에 충돌함으로써, 상기 스토퍼 부재가 상기 부세 부재의 부세력에 대항하여 상기 비스톱 위치에 지지됨과 동시에,
    상기 백 프레임의 상기 전개 각도가 상기 제3 각도로부터 상기 사용 범위 내로 변위되었을 때, 상기 스토퍼 부재의 상기 선단부의, 상기 회전판부의 상기 측면에 대한 충돌이 해제되어 상기 스토퍼 부재가 상기 부세 부재의 부세력에 의해 상기 비스톱 위치로부터 상기 스톱 위치로 이동하도록 구성되어 있 리클리이닝 의자.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규제 해제 기구는
    상기 시트부에 대하여 상기 제1 관절기의 외측방향으로 선단부측이 돌출한 상태로 배치된 해제 조작핀을 구비함과 동시에, 상기 해제 조작핀의 상기 선단부가 상기 해제 조작핀의 축선 방향을 따라 상기 제1 관절기측으로 누름 이동됨으로써, 상기 스토퍼 부재가 상기 부세 부재의 부세력에 대항하여 상기 스톱 위치로부터 상기 비스톱 위치로 이동되도록 구성되어 있는 리클라이닝 의자.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해제 조작핀은 상기 제1 아암과 상기 제2 아암의 상기 피봇 축선과 거의 평행하게 또한 상기 제2 아암의 상기 양 충돌부와 충돌하지 않는 위치에 배치되어 있고,
    상기 해제 조작핀의 기단부와 상기 스토퍼 부재가, 상기 해제 조작핀과 상기 스토퍼 부재가 일체로 이동 가능해지도록 연결되어 있는 리클라이닝 의자.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아암은 서로 이격되어 거의 평행 형상으로 배치된 좌우 한 쌍의 측판부를 구비하고 있고,
    상기 제2 아암의 상기 양 충돌부는 상기 제1 아암의 상기 양 측판부의 사이에 배치되어 있고,
    상기 양 측판부에는 각각, 상기 스토퍼 부재를 상기 비스톱 위치로부터 상기 스톱 위치로 이동하는 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삽입 통과시켜 지지하는 홀드공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규제 기구는
    상기 스토퍼 부재가 상기 스톱 위치에 배치된 상태일 때 상기 스토퍼 부재가 상기 양 홀드공에 걸쳐 상기 양 홀드공에 삽입 통과하여 지지되도록 구성되어 있는 리클라이닝 의자.
  5. 시트부의 시트 프레임에 등받이부의 백 프레임이 좌우 한 쌍의 관절기를 통하여 연결됨과 동시에, 상기 시트 프레임에 대한 상기 백 프레임의 전개 각도가 단계적 또는 무단계적으로 조절 가능하고,
    상기 양 관절기 중 적어도 일측 관절기인 제1 관절기는 상기 시트 프레임 및 상기 백 프레임 중 어느 일측에 고정 상태로 장착된 제1 아암과, 타측에 고정 상태로 장착된 제2 아암을 구비함과 동시에, 상기 제1 아암에 상기 제2 아암이 상기 제1 아암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회전 가능하게 피봇 결합되어 있고,
    또한, 상기 제1 관절기는 상기 백 프레임이 등받이로서 사용될 때의 상기 백 프레임의 상기 전개 각도를 제1 각도로부터 제2 각도까지의 사용 범위로 규제하는 규제 기구를 구비함과 동시에, 상기 백 프레임의 상기 전개 각도가 상기 사용 범위에서 벗어난 제3 각도로부터 상기 사용 범위 내로 변위되었을 때, 상기 규제 기구에 의해 상기 백 프레임의 상기 전개 각도가 상기 사용 범위로 규제되도록 구성되어 있고,
    상기 규제 기구는
    상기 제2 아암에 일체로 회전 가능하게 또한 제2 아암의 회전 방향으로 서로 이격되어 형성된 2개의 제1 및 제2 충돌부와, 상기 양 충돌부의 사이에서 벗어난 위치인 비스톱 위치로부터 상기 양 충돌부 사이의 위치인 스톱 위치로 이동 가능한 스토퍼 부재를 구비함과 동시에,
    상기 스토퍼 부재가 상기 스톱 위치에 배치된 상태하에서 상기 백 프레임의 상기 전개 각도가 상기 제1 각도일 때 상기 제1 충돌부가 상기 스토퍼 부재에 충돌하고 또한 상기 백 프레임의 상기 전개 각도가 상기 제2 각도일 때 상기 제2 충돌부가 상기 스토퍼 부재에 충돌함으로써, 상기 백 프레임의 상기 전개 각도를 상기 사용 범위로 규제하도록 구성되어 있고,
    상기 제1 아암은 서로 이격되어 거의 평행 형상으로 배치된 좌우 한 쌍의 측판부를 구비하고 있고,
    상기 제2 아암의 상기 양 충돌부는 상기 제1 아암의 상기 양측판부의 사이에 배치되어 있고,
    상기 양 측판부에는 각각, 상기 스토퍼 부재를 상기 비스톱 위치로부터 상기 스톱 위치로 이동하는 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삽입 통과시켜 지지하는 홀드공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규제 기구는
    상기 스토퍼 부재가 상기 스톱 위치에 배치된 상태일 때 상기 스토퍼 부재가 상기 양 홀드공에 걸쳐 상기 양 홀드공에 삽입 통과하여 지지되도록 구성되어 있 리클라이닝 의자.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양 관절기 중 일측 관절기만이 상기 제1 관절기이고,
    상기 양 관절기 중 타측 관절기만이 상기 백 프레임의 상기 전개 각도를 적어도 상기 사용 범위 내에서 단계적으로 또는 무단계적으로 조절 가능한 각도 조절 기구를 구비하고 있는 리클라이닝 의자.
  7. 시트부의 시트 프레임에 등받이부의 백 프레임이 좌우 한 쌍의 관절기를 통하여 연결됨과 동시에, 상기 시트 프레임에 대한 상기 백 프레임의 전개 각도가 단계적 또는 무단계적으로 조절 가능하고,
    상기 양 관절기 중 적어도 일측 관절기인 제1 관절기는 상기 시트 프레임 및 상기 백 프레임 중 어느 일측에 고정 상태로 장착된 제1 아암과, 타측에 고정 상태로 장착된 제2 아암을 구비함과 동시에, 상기 제1 아암에 상기 제2 아암이 상기 제1 아암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회전 가능하게 피봇 결합되어 있고,
    또한, 상기 제1 관절기는 상기 백 프레임이 등받이로서 사용될 때의 상기 백 프레임의 상기 전개 각도를 제1 각도로부터 제2 각도까지의 사용 범위로 규제하는 규제 기구를 구비함과 동시에, 상기 백 프레임의 상기 전개 각도가 상기 사용 범위에서 벗어난 제3 각도로부터 상기 사용 범위 내로 변위되었을 때, 상기 규제 기구에 의해 상기 백 프레임의 상기 전개 각도가 상기 사용 범위로 규제되도록 구성되어 있고,
    상기 규제 기구는
    상기 제2 아암에 일체로 회전 가능하게 또한 제2 아암의 회전 방향으로 서로 이격되어 형성된 2개의 제1 및 제2 충돌부와, 상기 양 충돌부의 사이에서 벗어난 위치인 비스톱 위치로부터 상기 양 충돌부 사이의 위치인 스톱 위치로 이동 가능한 스토퍼 부재를 구비함과 동시에,
    상기 스토퍼 부재가 상기 스톱 위치에 배치된 상태하에서 상기 백 프레임의 상기 전개 각도가 상기 제1 각도일 때 상기 제1 충돌부가 상기 스토퍼 부재에 충돌하고 또한 상기 백 프레임의 상기 전개 각도가 상기 제2 각도일 때 상기 제2 충돌부가 상기 스토퍼 부재에 충돌함으로써, 상기 백 프레임의 상기 전개 각도를 상기 사용 범위로 규제하도록 구성되어 있고,
    상기 양 관절기 중 일측 관절기만이 상기 제1 관절기이고,
    상기 양 관절기 중 타측 관절기만이 상기 백 프레임의 상기 전개 각도를 적어도 상기 사용 범위 내에서 단계적으로 또는 무단계적으로 조절 가능한 각도 조절 기구를 구비하고 있 리클라이닝 의자.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각도는 상기 제1 각도보다 크게 설정되어 있고,
    상기 제3 각도는 상기 제2 각도보다 크고 또한 약 180°로 설정되어 있는 리클라이닝 의자.
  9. 시트부의 시트 프레임에 등받이부의 백 프레임이 좌우 한 쌍의 관절기를 통하여 연결됨과 동시에, 상기 시트 프레임에 대한 상기 백 프레임의 전개 각도가 단계적 또는 무단계적으로 조절 가능하고,
    상기 양 관절기 중 적어도 일측 관절기인 제1 관절기는 상기 시트 프레임 및 상기 백 프레임 중 어느 일측에 고정 상태로 장착된 제1 아암과, 타측에 고정 상태로 장착된 제2 아암을 구비함과 동시에, 상기 제1 아암에 상기 제2 아암이 상기 제1 아암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회전 가능하게 피봇 결합되어 있고,
    또한, 상기 제1 관절기는 상기 백 프레임이 등받이로서 사용될 때의 상기 백 프레임의 상기 전개 각도를 제1 각도로부터 제2 각도까지의 사용 범위로 규제하는 규제 기구를 구비함과 동시에, 상기 백 프레임의 상기 전개 각도가 상기 사용 범위에서 벗어난 제3 각도로부터 상기 사용 범위 내로 변위되었을 때, 상기 규제 기구에 의해 상기 백 프레임의 상기 전개 각도가 상기 사용 범위로 규제되도록 구성되어 있고,
    상기 규제 기구는
    상기 제2 아암에 일체로 회전 가능하게 또한 제2 아암의 회전 방향으로 서로 이격되어 형성된 2개의 제1 및 제2 충돌부와, 상기 양 충돌부의 사이에서 벗어난 위치인 비스톱 위치로부터 상기 양 충돌부 사이의 위치인 스톱 위치로 이동 가능한 스토퍼 부재를 구비함과 동시에,
    상기 스토퍼 부재가 상기 스톱 위치에 배치된 상태하에서 상기 백 프레임의 상기 전개 각도가 상기 제1 각도일 때 상기 제1 충돌부가 상기 스토퍼 부재에 충돌하고 또한 상기 백 프레임의 상기 전개 각도가 상기 제2 각도일 때 상기 제2 충돌부가 상기 스토퍼 부재에 충돌함으로써, 상기 백 프레임의 상기 전개 각도를 상기 사용 범위로 규제하도록 구성되어 있고,
    상기 제2 각도는 상기 제1 각도보다 크게 설정되어 있고,
    상기 제3 각도는 상기 제2 각도보다 크고 또한 약 180°로 설정되어 있는 리클라이닝 의자.
KR1020160163301A 2015-12-10 2016-12-02 리클라이닝 의자 KR20170069147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5-241152 2015-12-10
JP2015241152A JP5969103B1 (ja) 2015-12-10 2015-12-10 リクライニング椅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69147A true KR20170069147A (ko) 2017-06-20

Family

ID=566895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63301A KR20170069147A (ko) 2015-12-10 2016-12-02 리클라이닝 의자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5969103B1 (ko)
KR (1) KR20170069147A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08255A (ko) 2019-05-14 2022-01-20 가부시키가이샤 에아렉크스 패스박스
KR20220010394A (ko) 2020-07-17 2022-01-25 주식회사 바디프랜드 리클라이닝 의자
KR20220113317A (ko) 2020-07-17 2022-08-12 주식회사 바디프랜드 리클라이닝 의자
KR20230157835A (ko) 2022-05-10 2023-11-17 주식회사 바디프랜드 리클라이닝 기능을 갖는 의자형 마사지 장치
KR20240039990A (ko) 2022-09-20 2024-03-27 주식회사 바디프랜드 리클라이닝 의자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7198951U (ko) * 1981-06-15 1982-12-17
CN2602671Y (zh) * 2003-01-28 2004-02-11 李国伟 调节限位装置
US20060125302A1 (en) * 2002-07-05 2006-06-15 Katsuhiko Shinozaki Vehicle seat reclining device
JP2008259613A (ja) * 2007-04-11 2008-10-30 Koyo Giken Kk 背もたれ付家具
JP2009297280A (ja) * 2008-06-13 2009-12-24 Imasen Electric Ind Co Ltd リクライニング装置
KR100949775B1 (ko) * 2008-03-10 2010-03-31 권양섭 버튼식 리클라이닝 사무용 의자
CN204245627U (zh) * 2014-11-20 2015-04-08 康龙国际有限公司 椅背调整装置及座椅结构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940930B2 (ja) * 2012-08-03 2016-06-29 株式会社ヒカリ 家具及びその製造方法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7198951U (ko) * 1981-06-15 1982-12-17
US20060125302A1 (en) * 2002-07-05 2006-06-15 Katsuhiko Shinozaki Vehicle seat reclining device
CN2602671Y (zh) * 2003-01-28 2004-02-11 李国伟 调节限位装置
JP2008259613A (ja) * 2007-04-11 2008-10-30 Koyo Giken Kk 背もたれ付家具
KR100949775B1 (ko) * 2008-03-10 2010-03-31 권양섭 버튼식 리클라이닝 사무용 의자
JP2009297280A (ja) * 2008-06-13 2009-12-24 Imasen Electric Ind Co Ltd リクライニング装置
CN204245627U (zh) * 2014-11-20 2015-04-08 康龙国际有限公司 椅背调整装置及座椅结构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08255A (ko) 2019-05-14 2022-01-20 가부시키가이샤 에아렉크스 패스박스
KR20220010394A (ko) 2020-07-17 2022-01-25 주식회사 바디프랜드 리클라이닝 의자
KR20220113317A (ko) 2020-07-17 2022-08-12 주식회사 바디프랜드 리클라이닝 의자
KR20230157835A (ko) 2022-05-10 2023-11-17 주식회사 바디프랜드 리클라이닝 기능을 갖는 의자형 마사지 장치
KR20240039990A (ko) 2022-09-20 2024-03-27 주식회사 바디프랜드 리클라이닝 의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5969103B1 (ja) 2016-08-10
JP2017104318A (ja) 2017-06-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70069147A (ko) 리클라이닝 의자
US5749624A (en) Seat reclining device
US7490907B2 (en) Seat for vehicle
US20140145417A1 (en) Armrest folding device for a foldable stroller
US9371015B2 (en) Vehicle seat
TW201213173A (en) Child car safety seat
WO2016009877A1 (ja) 車両用シートリクライニング装置
JP5776503B2 (ja) 車両用シート調整装置
JP6852558B2 (ja) シート駆動装置
JP6852630B2 (ja) 乗物用シート
JP5855311B1 (ja) 家具
KR101585273B1 (ko) 시트백의 폴딩 각도 증대 장치
JP6917316B2 (ja) リクライニング装置及び車両用シート
JP6056525B2 (ja) シートバック連動式オットマン装置
JP5976190B1 (ja) ヘッドレスト
KR20210125618A (ko) 차량 시트의 암레스트 각도 조절장치
JP5640558B2 (ja) リクライニング装置
JP3154256U (ja) テーブル付チェア
JP2015000320A (ja) 車いすの背折れ機構
KR101881860B1 (ko) 폴딩겸용 파워 리클라이너 유닛
JP6546299B1 (ja) 位置調節機構
JP2009061007A (ja) 車両用シートの回転留め装置
JP5209657B2 (ja) マッサージ機
JP2007302190A (ja) シートヒンジフック
JP5245660B2 (ja) 車両用シートの連結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