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59845A - 와이어 고정 클립 장치 - Google Patents

와이어 고정 클립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59845A
KR20170059845A KR1020150164325A KR20150164325A KR20170059845A KR 20170059845 A KR20170059845 A KR 20170059845A KR 1020150164325 A KR1020150164325 A KR 1020150164325A KR 20150164325 A KR20150164325 A KR 20150164325A KR 20170059845 A KR20170059845 A KR 2017005984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xing
wire
fixing body
circumferential surface
connection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643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50292B1 (ko
Inventor
권재민
이영종
김세권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주식회사 유라코퍼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주식회사 유라코퍼레이션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16432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50292B1/ko
Publication of KR201700598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5984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5029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5029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B60R16/0207Wire harness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2/00Friction-grip releasable fastenings
    • F16B2/02Clamps, i.e. with gripping action effected by positive means other than the inherent resistance to deformation of the material of the fastening
    • F16B2/06Clamps, i.e. with gripping action effected by positive means other than the inherent resistance to deformation of the material of the fastening external, i.e. with contracting action
    • F16B2/08Clamps, i.e. with gripping action effected by positive means other than the inherent resistance to deformation of the material of the fastening external, i.e. with contracting action using band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2/00Friction-grip releasable fastenings
    • F16B2/20Clips, i.e. with gripping action effected solely by the inherent resistance to deformation of the material of the fastening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lamps And Clips (AREA)
  • Mutual Connection Of Rods And Tub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와이어 고정 클립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와이어의 일단을 고정시키는 제1고정체와; 상기 와이어의 타단을 고정시키는 제2고정체와; 상기 제1고정체와 상기 제2고정체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제2고정체가 상기 제1고정체를 따라 이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연결부로 구성되어, 제1고정체와 제2고정체 내주면을 조절할 수 있게 하여 와이어의 외경 크기에 상관없이 적용이 가능하며, 제2고정체가 제1고정체로부터 연결된 상태에서 회전 가능하므로 협소한 공간 및 굴곡부 공간에서도 와이어 조립 경로 설계가 가능하여 작업 편의성을 향상시키고, 와이어뿐만 아니라 호스, 튜브 및 파이프 등에도 적용할 수 있어 상품성을 증대시키는데 효과가 있도록 하는 것이다.

Description

와이어 고정 클립 장치{Fixing clip device of wire}
본 발명은 와이어 고정 클립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협소한 공간 및 굴곡부 공간에서 하나의 클립을 통해 와이어 경로 설계가 가능하게 하기 위한 와이어 고정 클립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와이어 하네스(Wire harness)는 자동차 혹은 각종 전기장치에서 전기적으로 통전되는 전기 배선을 통칭하는 것으로, 자동차의 엔진 룸과 차체에 배치되는 각종 전기부품에 접속되는 와이어 하네스는 그 배선수가 많아 임의의 벽체 상에 고정되지 않을 경우, 그로 인한 미관이 저하될 뿐만 아니라, 와이어 하네스가 서로 뒤엉켜 단선이나 화재가 발생할 수 있기 때문에, 한 묶음으로 뭉쳐진 채로 차체의 패널, 관류 등과 같은 임의 벽체 상에 고정된다.
이러한 와이어 하네스를 차체 내의 패널 및 각종 부품 등과 같은 벽체에 고정하기 위해 테이핑을 이용한 와이어 하네스 고정용 클립은 말굽 형상의 단면을 구비한 외장재와, 외장재의 내측 상에 결합되는 내부 클립과, 외장재의 일측에 일체형으로 형성된 고정플레이트로 이루어진다.
또한, 종래에는 협소한 공간이나 굴절된 공간에서 와이어를 고정시킬 경우에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 클립 외에 별도의 브라켓이나 볼트, 너트가 구비되어야 하기 때문에 부품 증가로 인한 공정 및 원가가 상승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특허 1 :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288596호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와이어 고정 클립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협소한 공간 및 굴곡부 공간에서 하나의 클립을 통해 와이어 경로 설계가 가능하게 하기 위한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러한 본 발명은 와이어의 일단을 고정시키는 제1고정체와; 상기 와이어의 타단을 고정시키는 제2고정체와; 상기 제1고정체와 상기 제2고정체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제2고정체가 상기 제1고정체를 따라 이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연결부;를 포함함으로써 달성된다.
상기 제1고정체 내주면에는 상기 와이어의 일단을 고정시키기 위한 돌기면이 형성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돌기면은 원형 구조로 이루어져 상기 제1고정체 내주면 일단에만 접착되어 상기 제1고정체 내주면과 상기 돌기면 외주면 사이에 형성되는 소정 간격 사이로 상기 연결부가 이동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연결부 하단에는 가이드홈이 형성되어 상기 연결부의 가이드홈이 상기 제1고정체의 내주면과 상기 돌기면 사이에 삽입되도록 하여 상기 연결부 이동에 따라 상기 제1고정체의 내주면 공간을 조절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연결부 하단에는 걸림돌기가 형성되며, 상기 제1고정체 외주면에는 상기 걸림돌기가 삽입되어 상기 제1고정체를 고정시키는 걸림홈이 형성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걸림홈은 상기 제2고정부 외주면에 소정 간격으로 복수 개 형성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2고정체는 라인 구조로 이루어져 상기 제2고정체 끝단이 상기 연결부에 관통 삽입되며, 상기 제2고정체 외주면에는 고정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연결부에는 상기 고정돌기를 고정시키는 걸림턱이 형성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걸림턱은 상기 제2고정체에 형성된 고정돌기와 역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은 제1고정체와 제2고정체 내주면을 조절할 수 있게 하여 와이어의 외경 크기에 상관없이 적용이 가능하며, 제2고정체가 제1고정체로부터 연결된 상태에서 회전 가능하므로 협소한 공간 및 굴곡부 공간에서도 와이어 조립 경로 설계가 가능하여 작업 편의성을 향상시키고, 와이어뿐만 아니라 호스, 튜브 및 파이프 등에도 적용할 수 있어 상품성을 증대시키는데 효과가 있는 발명인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와이어 고정 클립 장치를 도시하는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와이어 고정 클립 장치의 요부를 도시하는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와이어 고정 클립 장치를 도시하는 분해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와이어 고정 클립 장치의 제1고정체와 제2고정체와 연결부의 연결 부위를 도시하는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와이어 고정 클립 장치에서 제2고정체의 회전 상태를 도시하는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와이어 고정 클립 장치를 도시하는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와이어 고정 클립 장치의 실시예를 도시하는 도면.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와이어 고정 클립 장치는 도 1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와이어(1)의 일단을 고정하는 제1고정체(100)와, 와이어(1)의 타단을 고정하는 제2고정체(200)와, 제1고정체(100)와 제2고정체(200)를 연결하는 연결부(300)를 포함한다.
한편, 본 발명의 와이어 고정 클립 장치에서 고정시키는 주체는 와이어인 것을 기본으로 하되, 와이어 외에 호스, 튜브 및 파이프 등에도 적용할 수 있다. 다만, 이하 설명에서는 와이어에 대해서만 설명하도록 한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고정체(100)는 와이어(1) 일단이 삽입 고정될 수 있도록 관통홀이 형성된다.
제2고정체(200)는 제1고정체(100) 외측에 구비되어 와이어(1) 타단이 삽입 고정될 수 있게 한다.
연결부(300)는 제1고정체(100)와 제2고정체(200) 사이에 구비되어 제2고정체(200)가 제1고정체(100)를 따라 이동 가능하게 한다.
이때, 제1고정체(100) 내주면에는 와이어(1)의 일단을 고정시킬 수 있도록 돌기면(110)이 형성되도록 한다.
여기서, 돌기면(110)은 원형 구조로 이루어져 제1고정체(100) 내주면 일단에만 접착되도록 하여 제1고정체(100) 내주면과 돌기면(110) 외주면 사이에 소정 간격(S, 도 3 및 도 6 참조)을 형성하도록 함으로써 제1고정체(100) 내주면과 돌기면(110) 외주면 사이의 소정 간격(S) 사이로 연결부(300)가 이동하는 것이 가능하게 한다.
또한, 연결부(300) 하단에는 가이드홈(310)이 연장 형성되어 연결부(300)의 가이드홈(310)이 제1고정체(100)의 내주면과 돌기면(110) 사이에 삽입되도록 하여 연결부(300) 이동에 따라 제1고정체(100)의 내주면 공간을 조절할 수 있게 한다.
그 결과, 제1고정체(100)에 삽입되는 와이어(1)의 고정력을 향상시키고, 와이어(1)의 외경에 따른 조절이 가능하게 한다.
또한, 연결부(300)에 형성된 가이드홈(310)에 의해 연결부(300)가 제1고정체(100)로부터 이탈되지 않고 이동하는 것이 가능하다.
한편,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부(300) 하단에는 걸림돌기(320)가 형성되며, 제1고정체(100) 외주면에는 걸림홈(120)이 형성되도록 하여 걸림홈(120)에 걸림돌기(320)가 삽입되어 연결부(300)에 제1고정체(100)를 고정시키도록 함으로써 연결부(300)가 제1고정체(100)를 따라 이동 후 제1고정체(100)의 외주면 일정 위치에서 고정될 수 있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걸림홈(120)은 제2고정부 외주면에 소정 간격으로 복수 개 형성되도록 하여 연결부(300)가 고정되는 위치를 선택할 수 있게 한다.
한편, 제2고정체(200)는 케이블타이와 같은 라인 구조로 이루어져 제2고정체(200) 끝단이 연결부(300)에 관통 삽입되며, 제2고정체(200) 외주면에는 고정돌기(210)가 형성되고 연결부(300)에는 고정돌기(210)를 고정시키는 걸림턱(330)이 형성되도록 하여 제2고정체(200)의 내경 길이를 조절할 수 있게 하는 동시에 조절 완료 후에는 제2고정체(200)의 내경이 고정될 수 있게 한다.
이때, 연결부(300)에는 제2고정체(200)의 끝단이 관통 삽입될 수 있도록 관통홀이 형성되도록 한다.
또한, 걸림턱(330)은 제2고정체(200)에 형성된 고정돌기(210)와 역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도록 하여 고정된 제2고정체(200)가 자율적으로 풀어지는 현상을 방지하도록 한다.
이처럼, 본 발명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와이어(1)의 일단을 고정시키는 제1고정체(100)와, 와이어(1)의 타단을 고정시키는 제2고정체(200)와, 제1고정체(100)와 제2고정체(200) 사이에 구비되어 제2고정체(200)가 제1고정체(100)를 따라 이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연결부(300)로 이루어져, 제1고정체(100)와 제2고정체(200) 내주면을 조절할 수 있게 하여 와이어(1)의 외경 크기에 상관없이 적용이 가능하며, 제2고정체(200)가 제1고정체(100)로부터 연결된 상태에서 회전 가능하므로 협소한 공간 및 굴곡부 공간에서도 와이어(1) 조립 경로 설계가 가능하여 작업 편의성을 향상시키고, 와이어(1)뿐만 아니라 호스, 튜브 및 파이프 등에도 적용할 수 있게 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1 : 와이어 100 : 제1고정체
110 : 돌기면 200 : 제2고정체
300 : 연결부

Claims (8)

  1. 와이어의 일단을 고정시키는 제1고정체와;
    상기 와이어의 타단을 고정시키는 제2고정체와;
    상기 제1고정체와 상기 제2고정체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제2고정체가 상기 제1고정체를 따라 이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연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 고정 클립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고정체 내주면에는 상기 와이어의 일단을 고정시키기 위한 돌기면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 고정 클립 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돌기면은 원형 구조로 이루어져 상기 제1고정체 내주면 일단에만 접착되어 상기 제1고정체 내주면과 상기 돌기면 외주면 사이에 형성되는 소정 간격 사이로 상기 연결부가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 고정 클립 장치.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 하단에는 가이드홈이 형성되어 상기 연결부의 가이드홈이 상기 제1고정체의 내주면과 상기 돌기면 사이에 삽입되도록 하여 상기 연결부 이동에 따라 상기 제1고정체의 내주면 공간을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 고정 클립 장치.
  5.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 하단에는 걸림돌기가 형성되며, 상기 제1고정체 외주면에는 상기 걸림돌기가 삽입되어 상기 제1고정체를 고정시키는 걸림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 고정 클립 장치.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걸림홈은 상기 제2고정부 외주면에 소정 간격으로 복수 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 고정 클립 장치.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2고정체는 라인 구조로 이루어져 상기 제2고정체 끝단이 상기 연결부에 관통 삽입되며, 상기 제2고정체 외주면에는 고정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연결부에는 상기 고정돌기를 고정시키는 걸림턱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 고정 클립 장치.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걸림턱은 상기 제2고정체에 형성된 고정돌기와 역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 고정 클립 장치.
KR1020150164325A 2015-11-23 2015-11-23 와이어 고정 클립 장치 KR10225029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64325A KR102250292B1 (ko) 2015-11-23 2015-11-23 와이어 고정 클립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64325A KR102250292B1 (ko) 2015-11-23 2015-11-23 와이어 고정 클립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59845A true KR20170059845A (ko) 2017-05-31
KR102250292B1 KR102250292B1 (ko) 2021-05-11

Family

ID=590526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64325A KR102250292B1 (ko) 2015-11-23 2015-11-23 와이어 고정 클립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50292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205969A (ja) * 1998-01-09 1999-07-30 Nihon Kensetsu Kogyo Co Ltd ケーブル固縛装置
KR200275797Y1 (ko) * 2002-02-01 2002-05-17 경신공업 주식회사 와이어 하네스 고정용 클립
KR200288596Y1 (ko) 2002-05-31 2002-09-10 경신공업 주식회사 다용도 와이어 하네스 고정용 클립
KR200400715Y1 (ko) * 2005-08-30 2005-11-08 경신공업 주식회사 와이어 고정클립의 분기 조립구조
KR20100053918A (ko) * 2008-11-13 2010-05-24 경신공업 주식회사 자동차용 클리어런스 클립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205969A (ja) * 1998-01-09 1999-07-30 Nihon Kensetsu Kogyo Co Ltd ケーブル固縛装置
KR200275797Y1 (ko) * 2002-02-01 2002-05-17 경신공업 주식회사 와이어 하네스 고정용 클립
KR200288596Y1 (ko) 2002-05-31 2002-09-10 경신공업 주식회사 다용도 와이어 하네스 고정용 클립
KR200400715Y1 (ko) * 2005-08-30 2005-11-08 경신공업 주식회사 와이어 고정클립의 분기 조립구조
KR20100053918A (ko) * 2008-11-13 2010-05-24 경신공업 주식회사 자동차용 클리어런스 클립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50292B1 (ko) 2021-05-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40166825A1 (en) Clamp
US10267436B2 (en) Holding device for holding a cable
TWI511398B (zh) Cable locating elements and charging guns using this cable locating element
US20130071179A1 (en) Fastening Device for Attachment to a Mounting Rail
KR101495512B1 (ko) 역조립 방지 케이블 고정용 클립
JP2019500832A (ja) ワイヤアセンブリを固定するための装置および方法
CN109980403A (zh) 电插头连接器
JP2017099205A (ja) 電線外装材およびワイヤハーネス
KR101701963B1 (ko) 차량용 그로밋
JP6207134B2 (ja) 配線装置
JP6424793B2 (ja) グロメットおよびワイヤハーネス
JP2016085825A (ja) ケーブル接続用コネクタ
KR20160053603A (ko) 장착 각도 변경 가능한 밴드 케이블
KR20170059845A (ko) 와이어 고정 클립 장치
KR20180043136A (ko) 차량용 와이어링 고정클립
KR101349697B1 (ko) 케이블 분배기
KR20110008871U (ko) 아울렛 박스의 공용 커버
JP2017143707A (ja) バンドクリップおよびこれを備えたワイヤハーネス
JP6148773B1 (ja) 手摺装置
JP3208884U (ja) 光ケーブル引込具用の取付金具
JP5669194B2 (ja) 長尺体カバー取付け具、及び、長尺体カバー装置
KR101637991B1 (ko) 배선 파이프용 고정부재
KR20190012876A (ko) 차량용 그로멧
KR20150033232A (ko) 관연결구
JP2017219056A (ja) 管体保持部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