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58299A - 폴리엔계 편광 필름의 제조 방법, 폴리엔계 편광 필름, 적층편광 필름 및 표시장치 - Google Patents

폴리엔계 편광 필름의 제조 방법, 폴리엔계 편광 필름, 적층편광 필름 및 표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58299A
KR20170058299A KR1020160152893A KR20160152893A KR20170058299A KR 20170058299 A KR20170058299 A KR 20170058299A KR 1020160152893 A KR1020160152893 A KR 1020160152893A KR 20160152893 A KR20160152893 A KR 20160152893A KR 20170058299 A KR20170058299 A KR 2017005829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m
polyene
layer
polarizing film
pv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528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01280B1 (ko
Inventor
권전구
Original Assignee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17005829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5829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0128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0128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30Polarising elements
    • G02B5/3025Polarisers, i.e. arrangements capable of producing a definite output polarisation state from an unpolarised input state
    • G02B5/3033Polarisers, i.e. arrangements capable of producing a definite output polarisation state from an unpolarised input state in the form of a thin sheet or foil, e.g. Polaroid
    • G02B5/3041Polarisers, i.e. arrangements capable of producing a definite output polarisation state from an unpolarised input state in the form of a thin sheet or foil, e.g. Polaroid comprising multiple thin layers, e.g. multilayer stack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1/00Opti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which they are made; Optical coatings for optical elements
    • G02B1/04Opti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which they are made; Optical coatings for optical elements made of organic materials, e.g. plastic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Polarising Elements (AREA)
  • Laminated Bodies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 Liquid Crystal (AREA)
  • 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AREA)
  • Treatments Of Macromolecular Shaped Articles (AREA)

Abstract

[과제] PVA의 폴리엔화를 보다 저비용이면서도 안전하게 행하는 것이 가능한 신규하고도 개량된 폴리엔계 편광 필름의 제조 방법, 폴리엔계 편광 필름, 적층편광 필름 및 표시장치를 제공한다.
[해결 수단]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소정의 관점에 따르면 제1 폴리비닐알코올층을 포함하는 제1 필름과 제2 필름을 준비하는 제1 공정과 제1 필름의 폴리비닐알코올면과 제2 필름을 압착시키는 동시에 제1 필름의 폴리비닐알코올면과 제2 필름과의 계면에 산촉매 수용액을 공급하는 제2 공정과 제1 필름과 제2 필름이 압착된 압착체를 폴리엔화하는 제3 공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엔계 편광 필름의 제조 방법이 제공된다.

Description

폴리엔계 편광 필름의 제조 방법, 폴리엔계 편광 필름, 적층편광 필름 및 표시장치{METHOD OF PRODUCING POLYENE-BASED POLARIZING FILM, POLYENE-BASED POLARIZING FILM, LAMINATED POLARIZING FILM, AND DISPLAY DEVICE}
본 발명은 폴리엔계 편광 필름의 제조 방법, 폴리엔계 편광 필름, 적층편광 필름 및 표시장치에 관한 것이다.
OLED(유기발광 다이오드)를 사용한 유기발광 표시장치의 보급에 따라서 편광 필름의 투과율을 높게 하는 것이 요구되고 있다. 또 각종 표시장치에 사용되는 편광 필름으로서 요오드계 편광 필름이 알려져 있다. 요오드계 편광 필름은 널리 보급되고 있다.
요오드계 편광 필름에서는 편광에 기여하는 구성(즉, 가시광을 흡수하는 구성)은 요오드이다. 따라서 투과율을 높이기 위해서는 편광 필름 중의 요오드의 양을 저감시킬 필요가 있다. 그러나 고온고습 시에는 요오드가 승화되므로 편광 필름 중의 요오드의 양을 저감시킨 경우 편광 필름 중의 요오드가 부족하고 그 결과로서 편광도가 대폭 저하될 가능성이 있다. 이 때문에 고투과율(예를 들면 투과율이 44% 이상)의 요오드계 편광 필름은 편광 필름의 고온고습에서의 장기 신뢰성이 저하된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는 것이 기대되는 편광 필름으로서 염료계 편광 필름 및 특허문헌 1, 2에 개시된 폴리엔계 편광 필름이 알려져 있다. 염료계 편광 필름은 투과율이 높을 경우이더라도 우수한 내열성을 나타낸다. 그러나 염료계 편광 필름에는 투과율이 높을 경우에 편광도가 저하되기 쉽다고 하는 문제가 있다.
한편 폴리엔계 편광 필름은 요오드계 편광 필름보다도 편광도가 약간 뒤떨어지지만 투과율이 높을 경우이더라도 고온고습에서의 신뢰성이 높다고 하는 이점이 있다. 그 이유로서 폴리엔계 편광 필름에서는 편광에 기여하는 구성(즉, 가시광을 흡수하는 구성)이 폴리엔이 되는 것을 들 수 있다. 여기에서 폴리엔이란 다수의 공액 탄소 이중 결합을 가진 유기물의 총칭이다. 탄소 이중 결합은 온도나 습도에 영향을 받기 어렵다. 따라서 폴리엔계 편광 필름은 근본적으로 고온고습에 대한 내구성이 크다. 이 때문에 폴리엔계 편광 필름은 표시장치용의 편광 필름으로서 매우 주목받고 있다.
폴리엔계 편광 필름의 제조 방법으로서는 폴리비닐알코올 필름(이하, 「폴리비닐알코올」을 「PVA」라고도 칭함)을 폴리엔화시켜서 연신시키는 방법을 들 수 있지만 이 방법으로는 폴리엔계 편광 필름의 박막화에 충분히 대응할 수 없다. 구체적으로는 이 방법으로 박막의 폴리엔계 편광 필름을 제작하기 위해서는 박막의 PVA필름을 연신시킬 필요가 있다. 그러나, 이 경우 PVA필름이 파단하기 쉬워져 버린다. 또 PVA의 폴리엔화란 PVA에 탈수 반응(PVA 중의 수산기를 인접하는 수소 원자와 함께 제거하는 반응)을 일으키게 하는 것을 의미한다. PVA의 폴리엔화에 의해 PVA 중에 다수의 폴리엔 블록이 형성된다. 폴리엔 블록은 다수의 공액 탄소 이중 결합을 갖는다.
그래서 최근에는 기재 필름 상에 PVA층을 형성해서 일체 연신시키는 방법이 제안되어 있다. 이 방법에서는 예를 들면 PVA를 포함하는 도공액을 기재 필름에 도공함으로써 기재 필름 상에 PVA층을 형성한다. 기재 필름 상에 PVA필름을 붙임으로써 기재 필름 상에 PVA층을 형성할 경우도 있다. 다음에 기재 필름 및 PVA층을 일체 연신시킨다. 다음에 PVA층에 산촉매를 함침시킨다. 다음에 PVA층 중의 PVA를 폴리엔화시킨다. 이 방법에 따르면 기재 필름 상에 박막의 PVA층을 형성함으로써 폴리엔계 편광 필름을 박막화할 수 있다. 또한 기재 필름 및 PVA층을 일체 연신시키므로 연신 시에 PVA층이 파단되기 어려워진다. 따라서, 폴리엔계 편광 필름을 박막화할 수 있다.
여기에서 PVA층에 산촉매를 함침시키는 방법으로서는 산촉매 분위기(농염산 등의 증기 등) 중에 PVA층을 노출시키는 방법, 도공액에 미리 산촉매를 포함시켜 두는 방법(특허문헌 2에 개시된 방법) 등을 들 수 있다.
<선행기술문헌>
(특허문헌 1) JP2006-99076 A
(특허문헌 2) JP2014-130226 A
그러나 폴리엔계 편광 필름의 편광특성(예를 들면 편광도)을 높이기 위해서는 폴리엔계 편광 필름의 폴리엔 농도를 충분히 높게 할 필요가 있다. 그러나 충분한 폴리엔 농도를 얻기 위해서는 산촉매로서 파라톨루엔설폰산(PTSA)이나 염산 등의 강산을 이용할 필요가 있다. 이 경우 예를 들면 전술한 산촉매 수용액의 pH값은 2 정도가 된다. 따라서 PVA를 폴리엔화시키기 위한 설비로서 내식성이 높은 설비를 준비할 필요가 있었다.
예를 들면 산촉매 분위기 중에 PVA층을 노출시키는 설비에서는 적어도 산촉매의 증기를 봉입하는 용기, 해당 용기에 산촉매의 증기를 도입하는 배관, 펌프, 액체의 산촉매를 기화시키는 장치, 액체의 산촉매를 저장하는 탱크 등을 모두 내식성이 높은 재료(예를 들면 합금)로 구성할 필요가 있었다. 또한 이 방법에서는 안전성의 관점에서 산촉매의 증기를 봉입하는 용기로부터 산촉매가 누출되지 않도록 해당 용기의 밀봉성을 높일 필요가 있었다.
또한 PVA층의 도공액에 미리 산촉매를 포함시켜 두는 방법에서는 기재 필름 상에 도공액을 도공하기 위한 코터(coater)(예를 들면 슬릿 다이 등), 코터에 산촉매를 도입하기 위한 배관, 펌프, 산촉매를 저장하는 탱크 등을 모두 내식성이 높은 재료(예를 들면 합금)로 구성할 필요가 있었다. 이 때문에 설비 비용이 매우 높아진다고 하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내식성이 높은 합금으로 슬릿 다이를 제작할 경우 연마 정밀도가 저하하고, 나아가서는 도공면의 품질이 저하된다는 다른 문제도 생기고 있었다. 이 때문에 PVA의 폴리엔화를 보다 저비용이면서도 안전하게 행하는 방법이 강하게 요망되고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를 감안해서 이루어진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으로 하는 바는 PVA의 폴리엔화를 보다 저비용이면서도 안전하게 행하는 것이 가능한 신규하면서도 개량된 폴리엔계 편광 필름의 제조 방법, 폴리엔계 편광 필름, 적층편광 필름 및 표시장치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소정의 관점에 따르면 제1 폴리비닐알코올층을 포함하는 제1 필름과, 제2 필름을 준비하는 제1 공정과, 제1 필름의 폴리비닐알코올면과 제2 필름을 압착시키는 동시에 제1 필름의 폴리비닐알코올면과 제2 필름의 계면에 산촉매 수용액을 공급하는 제2 공정과, 제1 필름과 제2 필름이 압착된 압착체를 폴리엔화하는 제3 공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엔계 편광 필름의 제조 방법이 제공된다.
이 관점에 따르면 산촉매 수용액은 제1 필름의 폴리비닐알코올면과 제2 필름의 계면에 공급되기만 하면 되므로 산촉매를 해당 계면에 공급하기 위한 장치를 소형화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노즐과 같은 구성에 의해 산촉매 수용액을 해당 계면에 공급할 수 있다. 따라서 내식성이 요구되는 장치를 소형화, 간략화할 수 있다. 즉 PVA의 폴리엔화를 보다 저비용으로 행할 수 있다. 또한 본 관점에서는 산촉매의 분위기를 형성할 필요가 없다. 따라서, 산촉매의 함침, 나아가서는 PVA의 폴리엔화를 보다 안전하게 행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여기에서 제2 필름은 제2 폴리비닐알코올층을 포함하고, 제2 공정에서는 제1 필름의 폴리비닐알코올면과 제2 필름의 폴리비닐알코올면을 압착해도 된다.
이 관점에 따르면 PVA의 폴리엔화를 보다 저비용이면서도 안전하게 행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 제2 폴리비닐알코올층에는 폴리엔 연쇄억제제가 포함되어 있어도 된다.
이 관점에 따르면 PVA의 폴리엔화를 보다 저비용이면서도 안전하게 행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폴리엔계 편광 필름이 흡수가능한 가시광(보다 상세하게는, 폴리엔의 배향 방향에 평행한 방향의 편광)의 파장대역이 확장된다.
또한 폴리엔 연쇄억제제는 제2 폴리비닐알코올층에 포함되는 폴리비닐알코올의 총질량에 대해서 2 내지 8질량%의 비율로 제2 폴리비닐알코올층에 포함되어도 된다.
이 관점에 따르면 PVA의 폴리엔화를 보다 저비용이면서도 안전하게 행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 폴리엔계 편광 필름이 흡수가능한 가시광(보다 상세하게는 폴리엔의 배향 방향에 평행한 방향의 편광)의 파장 대역이 확장된다.
또한 폴리엔 연쇄억제제는 붕산, 붕사, 글리세린, 금속알콕사이드 화합물 및 테트라에톡시실란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1종 이상이어도 된다.
이 관점에 따르면 PVA의 폴리엔화를 보다 저비용이면서도 안전하게 행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 폴리엔계 편광 필름이 흡수가능한 가시광(보다 상세하게는 폴리엔의 배향 방향에 평행한 방향의 편광)의 파장 대역이 확장된다.
또한 제2 폴리비닐알코올층은 변성기로 변성된 폴리비닐알코올을 포함하고 있어도 된다.
이 관점에 따르면 PVA의 폴리엔화를 보다 저비용이면서도 안전하게 행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 폴리엔계 편광 필름이 흡수가능한 가시광(보다 상세하게는 폴리엔의 배향 방향에 평행한 방향의 편광)의 파장 대역이 확장된다.
또한 제2 공정에서는 계면을 위쪽으로 노출시킨 상태에서 제1 필름의 폴리비닐알코올 필름면과 제2 필름을 압착시키는 동시에 계면의 노출 부분에 산촉매 수용액을 공급해도 된다.
이 관점에 따르면 PVA의 폴리엔화를 보다 저비용이면서도 안전하게 행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 산촉매 수용액에 포함되는 산촉매는 저휘발성의 산촉매이어도 된다.
이 관점에 따르면 PVA의 폴리엔화를 보다 저비용이면서도 안전하게 행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산촉매는 100℃에서의 질량감소율이 3질량% 미만이어도 된다.
이 관점에 따르면 PVA의 폴리엔화를 보다 저비용이면서도 안전하게 행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본 발명의 다른 관점에 따르면 제1 폴리엔계 편광층과, 제1 폴리엔계 편광층 상에 적층된 제2 폴리엔계 편광층을 구비하고, 제1 폴리엔계 편광층의 흡수 피크 파장은 제2 폴리엔계 편광층의 흡수 피크 파장과는 다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엔계 편광 필름이 제공된다.
이 관점에 의한 폴리엔계 편광 필름은 보다 저비용이면서도 안전한 공정에 의해 제작된다. 또 이 관점에 따르면 폴리엔계 편광 필름이 흡수가능한 가시광(보다 상세하게는 폴리엔의 배향 방향에 평행한 방향의 편광)의 파장 대역이 확장된다.
본 발명의 다른 관점에 따르면 상기 폴리엔계 편광 필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편광 필름이 제공된다.
이 관점에 의한 적층편광 필름은 보다 저비용이면서도 안전한 공정에 의해서 제작된다. 또 이 관점에 따르면 적층편광 필름이 흡수가능한 가시광(보다 상세하게는 폴리엔의 배향 방향에 평행한 방향의 편광)의 파장 대역이 확장된다.
본 발명의 다른 관점에 따르면 상기 적층편광 필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장치가 제공된다.
이 관점에 의한 표시장치에 사용되는 적층편광 필름은 보다 저비용이면서도 안전한 공정에 의해 제작된다. 또 이 관점에 따르면 적층편광 필름이 흡수가능한 가시광(보다 상세하게는, 폴리엔의 배향 방향에 평행한 방향의 편광)의 파장 대역이 확장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PVA의 폴리엔화를 보다 저비용이면서도 안전하게 행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서 사용되는 제1 및 제2 필름의 개략구성을 도시한 측단면도;
도 2는 제1 및 제2 필름을 압착시키는 공정을 설명하기 위한 측단면도;
도 3은 본 실시형태에 따른 폴리엔계 편광 필름의 개략구성을 도시한 측단면도;
도 4는 각 필름의 흡광도 스펙트럼을 대비해서 나타낸 그래프.
이하에 첨부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한다. 또 본 명세서 및 도면에 있어서 실질적으로 동일한 기능 구성을 가진 구성 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붙임으로써 중복 설명을 생략한다.
<1. 제1 실시형태>
(1-1. 폴리엔계 편광 필름의 제조 방법)
(1-1-0. 개요)
우선 본 실시형태의 개요를 설명한다. 본 실시형태에 따른 폴리엔계 편광 필름의 제조 방법은 제1 내지 제3 공정을 포함한다. 제1 공정에서는 제1 필름(10) 및 제2 필름(20)을 준비한다(도 1 참조). 여기에서 제1 필름(10)은 제1 PVA층(12)을 포함하고, 제2 필름(20)은 제2 PVA층(22)을 포함한다.
제2 공정에서는 제1 필름(10)의 PVA면(12a)과 제2 필름(20)의 PVA면(22a)을 압착시키는 동시에 제1 필름(10)의 PVA면(12a)과 제2 필름(20)의 PVA면(22a)의 계면(X)에 산촉매 수용액(200)을 공급한다(도 2 참조). 여기에서 제1 필름(10)의 PVA면(12a)과 제2 필름(20)의 PVA면(22a)을 압착할 때는 계면(X)을 위쪽으로 노출시킨다. 그리고 노즐(120)로부터 산촉매 수용액(200)을 계면(X)의 노출 부분에 공급(적하)한다. 이것에 의해 산촉매 수용액(200)은 계면(X)으로부터 제1 PVA층(12) 및 제2 PVA층(22)에 침입한다. 즉 제2 공정에 의해 산촉매를 제1 PVA층(12) 및 제2 PVA층(22)에 함침시킨다. 제3 공정에서는 제1 필름(10)과 제2 필름(20)이 압착된 압착체(30)를 폴리엔화시킨다. 이것에 의해 도 3에 나타낸 폴리엔계 편광 필름(1)을 제작한다.
폴리엔계 편광 필름(1)은 제1 폴리엔계 편광층(12a) 및 제2 폴리엔계 편광층(22a)을 포함한다. 제1 폴리엔계 편광층(12a) 및 제2 폴리엔계 편광층(22a)은 폴리엔계 편광 필름(1)의 편광특성을 발현시키는 부분이며 동일 방향으로 배향된 공액 탄소 이중 결합을 다수 지닌다. 또 제1 실시형태에서는 제1 폴리엔계 편광층(12a) 및 제2 폴리엔계 편광층(22a)은 서로 압착되어 있고, 또한 실질적으로 같은 조성을 지닌다. 이 때문에 폴리엔계 편광 필름(1) 내에서 양자는 실질적으로 일체로 되어 있다. 이하 제1 폴리엔계 편광층(12a) 및 제2 폴리엔계 편광층(22a)으로 이루어진 층을 「압착 폴리엔계 편광층(40a)」이라고도 칭한다. 이하 각 공정을 상세히 설명한다.
(1-1-1. 제1 공정)
제1 공정에서는 도 1에 나타낸 제1 필름(10) 및 제2 필름(20)을 준비한다. 제1 필름(10)은 제1 기재 필름(11)과 제1 PVA층(12)을 구비한다. 제1 기재 필름(11)은 제1 PVA층(12)이 적층되는 필름이다. 제1 기재 필름(11)은 제1 PVA층(12)과 일체 연신된다. 제1 기재 필름(11)은 상기 특성을 갖는 필름이면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제1 기재 필름(11)을 구성하는 수지의 예로서는 예를 들면 폴리프로필렌(PP),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아크릴수지,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제1 기재 필름(11)은 연신 필름이어도 무연신 필름이어도 되지만 무연신 필름인 것이 바람직하다.
제1 PVA층(12)은 PVA를 포함하는 층이며, 제1 기재 필름(11) 상에 형성된다. 제1 PVA층(12)을 제1 기재 필름(11) 상에 형성하는 방법은 예를 들면 이하와 같다. 즉 우선 PVA를 적당한 용매(예를 들면 물)에 투입하고, PVA가 용매에 완전히 용해될 때까지 교반한다. 교반 중에 용매 및 PVA를 가열해도 된다. 이것에 의해 도공액을 제작한다. 다음에 도공액을 제1 기재 필름(11)에 도공하고, 건조함으로써, 제1 PVA층(12)을 제1 기재 필름(11) 상에 형성한다. 또 PVA필름을 기재 필름(11)에 붙임으로써 기재 필름(11) 상에 제1 PVA층(12)을 형성해도 된다.
본 실시 형태에 사용 가능한 PVA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단 후술하는 바와 같이 PVA의 검화도(saponification)에 따라서 폴리엔의 배열 방향과 평행한 방향의 편광의 흡수 피크 파장이 다르다. 즉 폴리엔계 편광 필름의 편광에 대한 흡광도와 편광의 파장의 상관을 측정한 경우 흡광도가 피크로 되는 파장이 관측된다. 이 피크 파장이 PVA의 검화도에 따라서 다르다. 또 흡광도의 측정 방법은 후술한다. 따라서 소망의 흡수 피크 파장에 따른 검화도의 PVA를 사용해도 된다. 여기에서 검화도는 PVA 중의 수산기 및 아세트산기의 총 몰(mol)수에 대한 수산기의 몰수의 비율이다. 검화도는 예를 들면 니혼코교(日本興業) 규격 JIS6726_1994 폴리비닐알코올 시험 방법(http://kikakurui.com/k6/K6726-1994-01.html)에 의해서 측정 가능하다. 또 도공액 중의 PVA의 농도도 특별히 제한되지 않지만, 도공액의 점도를 고려하면 6 내지 9질량%(도공액의 총질량에 대한 질량%)이어도 된다.
또 도공액에는 레벨링제 등의 첨가제를 첨가해도 된다. 여기에서 레벨링제는 제1 PVA층(12)의 표면(즉, PVA면(12a))을 평활화시키기 위하여 도공액에 첨가된다. 레벨링제의 구체예로서는 예를 들면 퍼플루오로알킬에틸렌옥사이드 부가물 등을 들 수 있다. 레벨링제는 PVA와 용매의 총질량에 대해서 1질량% 이하 예를 들면 0.5질량% 이하가 될 수 있다. 상기 범위에서 편광도에 영향을 주지 않으면서 PVA층 평활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제1 기재 필름(11) 상에 도공액을 도공하는 방법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도공액을 제1 기재 필름(11) 상에 도공하는 방법으로서는 예를 들면 그라비어 코터법, 바 코터법, 다이 코터법 등을 들 수 있다.
한편 제2 필름(20)은 제2 기재 필름(21)과 제2 PVA층(22)을 구비한다. 제2 기재 필름(21) 및 제2 PVA층(22)은 제1 기재 필름(11) 및 제1 PVA층(12)과 마찬가지의 것이다. 따라서 제2 필름(20)은 제1 필름(10)과 마찬가지 공정에 의해 준비된다. 이와 같이 제1 실시형태에서는 제1 필름(10)과 제2 필름(20)은 동종의 필름으로 되어 있다.
(1-1-2. 제2 공정)
제2 공정에서는 제1 필름(10)과 제2 필름(20)을 압착시키는 동시에 제1 PVA층(12) 및 제2 PVA층(22)에 산촉매를 함침시킨다. 제2 공정은 예를 들면 도 2에 나타낸 압착 장치(100)를 이용해서 행해진다. 압착 장치(100)는 압착롤러(100a, 100b)와, 가압롤러(110a, 110b)와, 노즐(120)을 구비한다. 물론 제2 공정은 압착 장치(100) 이외의 장치에서 행해져도 된다. 즉 제2 공정을 실현 가능한 장치이면 어떤 장치를 이용해도 된다.
압착롤러(100a, 100b)의 중심축은 서로 평행인 동시에 동일 수평면 위에 배치되어 있다. 제1 필름(10)은 압착롤러(100a)를 향해서 수평으로(구체적으로는 화살표(A) 방향으로) 반송된다. 또한 제2 필름(20)은 압착롤러(100b)를 향해서 수평으로(구체적으로는 화살표(B) 방향으로) 반송된다. 압착롤러(100a, 100b)에 도달한 제1 필름(10) 및 제2 필름(20)은 압착롤러(100a, 100b) 사이를 통과해서 연직 아래쪽(화살표(C) 방향)으로 반송된다. 여기에서 제1 필름(10) 및 제2 필름(20)은 PVA면(12a, 22a)이 대향한 상태에서 압착롤러(100a, 100b) 사이를 통과한다. 압착롤러(100a, 100b)는 이들 사이를 통과하는 제1 필름(10) 및 제2 필름(20)을 압착한다. 즉 압착롤러(100a, 100b)는 제1 필름(10)의 PVA면(12a)과 제2 필름(20)의 PVA면(22a)을 압착한다.
가압롤러(110a)는 압착롤러(100a)와 연동해서 회전하는 동시에 압착롤러(100a)를 화살표(P1) 방향으로 가압한다. 한편 가압롤러(110b)는 압착롤러(100b)와 연동해서 회전하는 동시에 압착롤러(100b)를 화살표(P2) 방향으로 가압한다. 이것에 의해 압착롤러(100a, 100b)는 제1 필름(10)의 PVA면(12a)과 제2 필름(20)의 PVA면(22a)을 압착한다.
여기서 제1 필름(10)의 PVA면(12a)과 제2 필름(20)의 PVA면(22a)의 계면(X)는 위쪽으로 노출된 상태로 되어 있다. 그리고 노즐(120)은 계면(X)의 노출 부분에 산촉매 수용액(200)을 공급(적하)한다. 그 결과 계면(X)의 노출 부분에 액고임이 형성된다. 액고임을 구성하는 산촉매 수용액(200)의 일부는 계면(X) 내에 침입하고, 그 후 계면(X)으로부터 제1 PVA층(12) 및 제2 PVA층(22)에 침입한다. 이것에 의해 산촉매는 제1 PVA층(12) 및 제2 PVA층(22)에 함침한다.
따라서 압착 장치(100)는 계면(X)을 위쪽으로 노출시킨 상태에서 제1 필름(10)의 PVA면(12a)과 제2 필름(20)의 PVA면(22a)을 압착시키는 동시에 계면(X)의 노출 부분에 산촉매 수용액(200)을 공급한다. 이것에 의해 압착 장치(100)는 제1 필름(10)과 제2 필름(20)이 압착된 압착체(30)를 제작한다. 여기에서 압착체(30) 중의 제1 PVA층(12) 및 제2 PVA층(22)에는 산촉매가 함침하고 있다. 또 압착체(30) 중의 제1 PVA층(12) 및 제2 PVA층(22)은 서로 압착되어 있다. 또한 제1 PVA층(12) 및 제2 PVA층(22)은 실질적으로 같은 조성을 지닌다. 이 때문에 압착체(30) 내에서 양자는 실질적으로 일체로 되어 있다. 이하 제1 PVA층(12) 및 제2 PVA층(22)으로 이루어진 층을 「압착 PVA층(40)」이라고도 칭한다.
이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서는 산촉매 수용액(200)을 계면(X)에 공급할 수 있으면 된다. 이 때문에 산촉매 수용액(200)을 계면(X)에 공급하기 위한 장치(여기서는 노즐(120), 노즐(120)에 산촉매 수용액(200)을 공급하기 위한 배관, 펌프 및 산촉매 수용액(200)을 저장하는 탱크)를 소형화, 간략화할 수 있다. 또 후부착의 개조도 비교적 용이한 동시에 저비용으로 행할 수 있다. 따라서 압착 장치(100)를 저비용으로 제조할 수 있다. 이것에 대해서 예를 들면 PVA층의 도공액에 미리 산촉매를 함유시켜 두는 방법에서는 기재 필름 상에 도공액을 도공하기 위한 코터(예를 들면 슬릿 다이 등), 코터에 산촉매를 도입하기 위한 배관, 펌프 등을 모두 내식성이 높은 재료로 구성할 필요가 있다. 이 방법에서는 특히 코터의 내식성을 높이는데 많은 비용이 필요해진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압착 장치(100) 내에 산촉매의 분위기를 형성할 필요가 없다. 따라서 제1 PVA층(12) 및 제2 PVA층(22)에의 산촉매의 함침, 나아가서는 PVA의 폴리엔화를 보다 저비용이면서도 안전하게 행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에서는 제2 PVA층(22)에 산촉매 수용액을 먼저 공급한 다음 제1 PVA층(12)과 압착하여 제1 PVA층(12) 및 제2 PVA층(22)에 산촉매가 함침된 압착체(30)를 제조할 수도 있다. 일 구체예에서 상기 제2필름의 폴리비닐알코올면 즉 제2PVA층(22)에 상기 산촉매 수용액을 공급하고, 상기 제1 필름의 폴리비닐알코올면 즉 제1PVA층(21)과 상기 제2 필름의 폴리비닐알코올면 즉 제2PVA층(22)을 압착시켜 제1 PVA층 및 제2 PVA층에 산촉매가 함침된 압착체를 제조할 수도 있다.
여기에서 산촉매는 PVA의 폴리엔화의 촉매가 되는 것이면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산촉매로서는 유기산, 무기산 등을 들 수 있다. 유기산은, 예를 들면 카르복실산기 및 술폰산기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1개의 작용기을 지니고 있어도 된다. 유기산의 구체적인 구성은 R-X로 표시된다. R은 탄소ㆍ수소로 이루어진 작용기, 또는 탄소ㆍ수소ㆍ불소로 이루어진 작용기, 또는 탄소ㆍ수소ㆍ산소로 이루어진 작용기이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R은 예를 들면 탄소수 1 내지 탄소수 20의 알킬기, 탄소수 1 내지 탄소수 20의 퍼플루오로알킬기, 탄소수 6 내지 탄소수 20의 방향족 작용기, 불소 치환형 탄소수 6 내지 탄소수 20의 방향족 작용기, 탄소수 3 내지 탄소수 30의 지환족기 등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1개이다. X는 카르복실산기 및 술폰산기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1개의 작용기이다. R은 카르보닐기(C=O)를 더 함유하고 있어도 된다. R은 탄소수 1 내지 10의 알킬기로 치환될 수도 있다. 유기산의 예로서는 파라톨루엔설폰산(PTSA), 캠퍼설폰산 등을 들 수 있다. 무기산의 예로서는 염산, 질산, 인산, 황산 등을 들 수 있다.
단 산촉매는 저휘발성의 산촉매인 것이 바람직하다. 산촉매가 저휘발성일 경우 산촉매 수용액(200)으로부터 산촉매가 휘발되기 어려워지므로 압착 장치(100)가 산촉매에 의해 부식될 가능성을 보다 저감시킬 수 있다. 또 폴리엔 생성 시에 산촉매의 증발이 억제되므로 제1 PVA층(12) 및 제2 PVA층(22) 중의 산 농도를 보다 균일하게 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산촉매는 100℃에서의 질량감소율이 3질량% 미만인 것이 바람직하다. 100℃에서의 질량감소율이 3질량% 미만이 될 경우 폴리엔 생성 시에 PVA 중의 산농도를 보다 균일하게 할 수 있다. 여기에서 100℃에서의 질량감소율은 산촉매를 100℃에서 10분간 가열했을 때의 질량감소량을 가열 전의 산촉매의 질량으로 나눔으로써 얻을 수 있다. 질량감소량의 측정 장치(분석 장치)로서는 이온 크로마토그래피장치 등을 들 수 있다. 측정 방법은 이하와 같다. 즉 샘플을 가열판(heat plate) 상에서 가열하여 발생한 가스를 포집한다. 계속해서 그 가스를 수중에서 버블링을 행하여 치환시킨다. 그리고 치환한 이온 크로마토그래피에서 정량 분석을 행한다.
상기 요건을 충족시키는 산촉매로서는 예를 들면 전술한 유기산을 들 수 있다. 예를 들면 파라톨루엔설폰산의 100℃에서 10분간 가열했을 때의 질량감소율은 분석 기기의 검출 한계(10ppm 이하)이다.
또 파라톨루엔설폰산의 포화 수용액 농도는 염산보다도 높으므로 산촉매로서 파라톨루엔설폰산을 사용한 경우 보다 고농도의 산촉매를 제1 PVA층(12) 및 제2 PVA층(22) 내에 분산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폴리엔계 편광 필름에 잔류한 산촉매는 폴리엔계 편광 필름의 내구성을 저하시킬 가능성이 있지만, 파라톨루엔설폰산은 염산보다도 폴리엔계 편광 필름(1)으로부터 용이하게 제거된다.
압착 PVA층(40) 중의 산촉매의 농도에 따라서 폴리엔계 편광 필름(1)의 폴리엔 농도가 변동한다. 따라서, 압착 PVA층(40) 중의 산촉매의 농도는 소망의 폴리엔 농도에 따라서 적당히 조정되면 된다. 여기에서 압착 PVA층(40) 중의 산촉매의 농도는 압착 PVA층(40) 중의 PVA의 질량에 대한 압착 PVA층(40) 중의 산촉매의 질량%를 의미한다. 또한, 폴리엔계 편광 필름(1)의 폴리엔 농도는 예를 들면 압착폴리엔계 편광층(40a) 중의 공액 이중 결합의 총수를 압착 폴리엔계 편광층(40a)의 총체적으로 나눔으로써 얻을 수 있다. 폴리엔 농도는 폴리엔계 편광 필름(1)의 편광 특성에 영향을 줄 수 있는 파라미터의 일종이다. 예를 들면 폴리엔 농도가 지나치게 낮으면 폴리엔계 편광 필름의 편광 특성(예를 들면 편광도)이 저하될 가능성이 있다.
압착 PVA층(40) 중의 산촉매의 농도는 산촉매 수용액(200) 중의 산촉매의 농도, 산촉매 수용액(200)의 공급 속도, 제1 필름(10) 및 제2 필름(20)의 반송 속도에 의해 제어 가능하다.
단 압착 PVA층(40) 중의 산촉매의 농도는 2 내지 10질량% 정도인 것이 바람직하고, 4.0 내지 10.0질량% 정도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이것에 의해 PVA의 폴리엔화에 요하는 시간을 저감시킬 수 있고, 부반응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폴리엔 농도를 용이하게 제어할 수 있다.
여기에서 압착 PVA층(40) 중의 산촉매의 농도의 측정 방법으로서는 예를 들면 이하의 방법을 들 수 있다. 우선, 압착체(30)의 일부를 잘라낸다. 다음에 잘라낸 압착체(30)로부터 제1 기재 필름(11) 및 제2 기재 필름(21)을 박리시킨다. 즉 압착체(30)로부터 압착 PVA층(40)을 취출한다. 다음에 압착 PVA층(40)을 건조시킨다. 이것에 의해 압착 PVA층(40)의 시험편을 제작한다. 다음에 압착 PVA층(40)의 시험편의 질량을 측정한다.
한편 압착 전의 제1 필름(10)의 일부를 잘라낸다. 다음에 잘라낸 제1 필름(10)으로부터 제1 기재 필름(11)을 박리시킨다. 즉 제1 필름(10)으로부터 제1 PVA층(12)을 취출한다. 다음에 제1 PVA층(12)을 건조시킨다. 이것에 의해제1 PVA층(12)의 시험편을 제작한다. 다음에 제1 PVA층(12)의 시험편의 체적 및 질량을 측정한다. 또한 도공액 중의 PVA 및 첨가제의 질량비와 제1 PVA층(12)의 시험편의 질량에 의거해서, 제1 PVA층(12)의 시험편에 포함되는 PVA의 질량을 산출한다.
마찬가지로 압착 전의 제2 필름(20)의 일부를 잘라낸다. 다음에 잘라낸 제2 필름(20)으로부터 제2 기재 필름(21)을 박리시킨다. 즉 제2 필름(20)으로부터 제2 PVA층(22)을 취출한다. 다음에, 제2 PVA층(22)을 건조시킨다. 이것에 의해 제2 PVA층(22)의 시험편을 제작한다. 다음에, 제2 PVA층(22)의 시험편의 질량을 측정한다. 또한 도공액 중의 PVA 및 첨가제의 질량비와 제2 PVA층(22)의 시험편의 질량에 의거해서 제2 PVA층(22)의 시험편에 포함되는 PVA의 질량을 산출한다. 여기에서 제1 PVA층(12)의 시험편 및 제2 PVA층(22)의 시험편의 총체적은 압착 PVA층(40)의 시험편의 체적과 대략 일치한다.
다음에 압착 PVA층(40)의 시험편의 질량으로부터 제1 PVA층(12)의 시험편 및 제2 PVA층(22)의 시험편의 총질량을 감산한다. 이것에 의해 얻어진 값은 압착 PVA층(40)의 시험편에 포함되는 산촉매의 질량을 나타낸다. 다음에 압착 PVA층(40)의 시험편에 포함되는 산촉매의 질량을 제1 PVA층(12)의 시험편 및 제2 PVA층(22)의 시험편에 포함되는 PVA의 총질량으로 나눔으로써, 압착 PVA층(40) 중의 산촉매의 농도를 산출(측정)한다.
또, 산촉매 수용액(200) 중의 산촉매의 농도(즉 산촉매 수용액의 총질량에 대한 산촉매의 질량%)는 전술한 바와 같이 압착 PVA층(40) 중의 산촉매의 농도가 소망의 값이 되도록 조정된다. 단 산촉매 수용액(200) 중의 산촉매의 농도는 20 내지 60질량%인 것이 바람직하고, 30 내지 50질량%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산촉매 수용액(200) 중의 산촉매의 농도가 20질량% 미만이 될 경우, 압착 PVA층(40) 중의 산촉매의 농도를 소망의 값으로 하는 것이 어렵게 될 가능성이 있다. 한편 산촉매 수용액(200) 중의 산촉매의 농도가 60질량%를 초과할 경우 압착 PVA층(40)으로부터 산촉매가 석출될 가능성이 있다. 산촉매가 석출되면 폴리엔계 편광 필름(1)의 품질이 저하될 가능성이 있다.
(1-1-3. 제3 공정)
제3 공정에서는 압착체(30)를 폴리엔화시킨다. 보다 정확하게는 압착체(30) 중의 PVA를 폴리엔화시킨다. 구체적으로는 우선 압착체(30)를 건식 연신시킨다. 건식 연신은 건조된 기체 중(예를 들면 건조된 대기 중)에서 행해지는 연신이다. 건식 연신 시의 온도는 각 기재 필름의 연화 온도에 따라서 적당한 값으로 하면 되고, 예를 들면 100℃ 내지 180℃ 정도이어도 된다. 또한 건식 연신의 배율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예를 들면 3 내지 7배 정도이어도 된다. 건식 연신을 행함으로써 압착체(30) 중의 PVA의 배향을 건식 연신 방향으로 일치시킬 수 있다. 또 건식 연신 시에 PVA의 일부가 폴리엔화할 경우도 있다.
여기에서 압착체(30)는 압착 PVA층(40)의 표리 양면에 제1 기재 필름(11) 및 제2 기재 필름(21)이 형성된 구성을 갖는다. 따라서, 압착체(30)는 두께 방향에 대칭성이 높은 구성을 갖는다. 이 때문에 건식 연신 후에 압착체(30)의 단부에서 컬이 발생하기 어렵다. 이 효과는 제1 기재 필름(11) 및 제2 기재 필름(21)을 연신성이 양호한 저탄성 필름 혹은 박막으로 구성했을 경우에도 마찬가지로 얻어진다. 따라서 압착체(30)의 가공성, 즉 폴리엔계 편광 필름(1)의 가공성이 향상된다.
이어서 압착체(30) 중의 PVA를 폴리엔화시킨다. 구체적으로는 압착체(30)를 소정 시간 가열한다. 이것에 의해 압착체(30) 중의 PVA가 폴리엔화된다. 여기에서 PVA의 폴리엔화는 PVA 중의 어느 쪽인가의 부분에서 개시되고, 그곳으로부터 연쇄적으로 진행되는 것으로 여겨지고 있다. PVA의 폴리엔화에 의해서 PVA 중에 다수의 폴리엔 블록이 형성된다. PVA의 가열 온도 및 가열 시간에 따라서 폴리엔계 편광 필름(1)의 폴리엔 농도가 변동하므로 PVA의 가열 온도 및 가열 시간은 소망의 폴리엔 농도가 얻어지도록 조정되면 된다. 일례로서 PVA의 가열 온도는 110℃ 내지 180℃, 바람직하게는 130℃ 내지 150℃이어도 되고, 가열 시간은 2 내지 7분이어도 된다.
또한 상기 예에서는 압착체(30)의 건식 연신과 폴리엔화를 별개의 공정으로 행하고 있지만, 이들을 병행해서 행해도 된다. 즉 압착체(30)를 건식 연신하면서, 압착체(30)를 폴리엔화 시의 온도에서 가열해도 된다. 단, 압착체(30)의 건식 연신과 폴리엔화를 별개의 공정으로 행함으로써 폴리엔계 편광 필름(1)의 편광특성의 새로운 향상을 기대할 수 있다. 이상의 공정에 의해 도 3에 나타낸 폴리엔계 편광 필름(1)을 제작한다.
(1-1-4. 제4 공정)
상기 제3 공정을 행한 후 이하에서 설명하는 제4 공정을 행해도 된다. 제4 공정에서는 제3 공정에 의해 제작된 폴리엔계 편광 필름(1)을 습식(wet) 연신시킨다. 구체적으로는 폴리엔계 편광 필름(1)으로부터 제1 기재 필름(11) 및 제2 기재 필름(21) 중 적어도 한쪽을 박리시킨다. 다음에 폴리엔계 편광 필름(1)을 붕산 수용액에 침지하고, 붕산 수용액 중에서 연신시킨다. 여기에서 연신 방향은 건식 연신의 방향과 같게 한다. 이러한 습식 연신을 행함으로써 서로 분리된 PVA끼리가 붕산 분자에 의해서 가교된다. 따라서, 폴리엔계 편광 필름(1)의 강도 및 내수성이 향상한다. 습식 연신 후, 폴리엔계 편광 필름(1)을 건조시킴으로써 제 4 공정이 종료된다.
여기에서 붕산 수용액의 pH 및 온도는 폴리엔계 편광 필름(1)의 강도 및 편광특성에 영향을 주므로, 소망의 강도 및 편광특성에 따른 값으로 하면 된다. 일례로서, 붕산 수용액의 pH 및 온도는, pH 2.5 내지 4.5, 50℃ 내지 95℃이어도 된다. 상기 범위에서, 폴리엔계 편광 필름(1)의 강도 및 편광 특성이 좋을 수 있다.
또 습식 연신의 연신 배율도 폴리엔계 편광 필름(1)의 강도 및 편광 특성에 영향을 주므로, 소망의 강도 및 편광특성에 따른 값으로 하면 된다. 일례로서 연신 배율은 1.0 내지 1.5배이어도 된다.
(1-1-5. 제4 공정의 제1 변형예)
제4 공정에서는 습식 연신을 행하기 전에 수화 처리를 행해도 된다. 수화 처리에서는 폴리엔계 편광 필름(1)으로부터 제1 기재 필름(11) 및 제2 기재 필름(21) 중 적어도 한쪽을 박리시킨다. 다음에 폴리엔계 편광 필름(1)을 수화용 수용액에 침지시킨다. 수화용 수용액은 pH가 3.0 내지 4.0, 온도가 85℃ 내지 100℃인 수용액이다. 침지 시간은 0.5 내지 60분이면 된다. 이러한 수화 처리를 행함으로써, 공액 탄소 이중 결합의 일부가 수화된다. 즉, 폴리엔계 편광 필름(1) 내의 공액 탄소 이중 결합이 적어진다. 따라서, 폴리엔계 편광 필름(1)의 단체 투과율이 상승하고, 편광도가 저하될 것이 예측된다. 그러나, 본 발명자들이 실험한 바 어느 정도의 함침 시간까지는 편광도가 거의 변동하지 않고, 단체 투과율만이 상승하는 것이 밝혀졌다. 침지 시간의 상한치는 60분으로 된다. 한편, 침지 시간이 지나치게 짧으면 수화가 거의 진행되지 않고, 수화 효과가 거의 얻어지지 않는다. 침지 시간의 하한값은 0.5분이 된다. 즉, 침지 시간은 0.5 내지 60분이 된다.
또한 수화용 수용액의 pH는 3.0 내지 4.0이 된다. 수화용 수용액의 온도는 85℃ 내지 100℃가 된다. 수화용 수용액의 pH 및 온도가 이들 범위 내의 값이 될 경우에, 단체투과율 및 편광도가 향상된다. 이와 같이 수화 처리에 사용되는 수화용 수용액의 온도는 습식 연신에서 사용되는 산성수용액보다도 고온이 된다. 수화용 수용액의 종류는 특히 문제되지 않지만, 예를 들어 붕산 수용액이 된다. 또한 수화 처리는 수화용 수용액을 폴리엔계 편광 필름(1)에 분무함으로써 행해져도 된다.
(1-1-6. 제4 공정의 제2 변형예)
제4 공정에서는 습식 연신을 행하기 전에 염료욕 침지 처리를 행해도 된다. 염료욕 침지 처리에서는 폴리엔계 편광 필름(1)으로부터 제1 기재 필름(11) 및 제2 기재 필름(21) 중 적어도 한쪽을 박리시킨다. 다음에 폴리엔계 편광 필름(1)을 염료욕에 침지시킨다. 염료욕은 염료를 함유하는 수용액이다. 따라서, 염료욕 침지처리를 행함으로써 압착 폴리엔계 편광층(40a)에 염료가 도입된다. 여기에서, 염료는 그 종류에 따라서 다른 파장대역의 가시광을 흡수하는 것이다. 따라서, 폴리엔계 편광 필름(1)에 의한 흡수가 불충분한 파장 대역이 존재할 경우, 그 파장 대역의 가시광을 흡수가능한 염료를 이용해서 염료욕 침지처리를 행해도 된다. 이것에 의해, 폴리엔계 편광 필름(1)이 흡수가능한 가시광(보다 상세하게는 폴리엔의 배향 방향에 평행한 방향의 편광)의 파장 대역(흡수 파장대역)이 보완된다. 염료욕 침지처리는 폴리엔계 편광 필름(1)에 의한 흡수가 불충분한 파장대역이 존재하지 않거나(즉, 색상에 문제가 없거나) 혹은 보완이 불필요한 경우에는 생략해도 된다.
여기에서 염료욕의 pH 및 온도는 폴리엔계 편광 필름(1)의 강도 및 편광특성에 영향을 주므로 소망의 강도 및 편광특성에 따른 값으로 하면 된다. 일례로서 염료욕의 pH 및 온도는, pH 4 내지 7, 60℃ 내지 95℃이어도 된다. 상기 범위에서 폴리엔계 편광 필름(1)의 강도 및 편광 특성이 좋을 수 있다. 염료욕은 예를 들면 염료를 포함하는 붕산수용액이다. 염료의 농도는 폴리엔계 편광 필름(1)에 요구되는 편광 특성에 따라서 조정되면 된다.
(1-1-7. 제4 공정의 제3 변형예)
제4 공정에서는 습식 연신 후에 중화 처리를 행해도 된다. 즉 습식 연신 후의 폴리엔계 편광 필름(1)에는 프로톤이 잔류하고 있다. 특히 전술한 수화 처리를 행한 경우 폴리엔계 편광 필름(1) 중의 프로톤 농도가 높아질 가능성이 있다. 이러한 프로톤은 특히 고온고습 중에서 폴리엔계 편광 필름(1)의 공액 탄소 이중 결합을 공격하고, 공액 탄소 이중 결합을 소실시켜 버릴 가능성이 있다. 그 결과 폴리엔계 편광 필름(1)의 단체투과율은 고온고습 하에서 시간의 경과와 함께 상승하고 편광도는 고온고습 하에서 시간의 경과와 함께 저하된다. 즉 폴리엔계 편광 필름(1)의 신뢰성이 악화된다.
그래서 제3 변형예에서는 습식 연신 후에 중화 처리를 행한다. 중화 처리에서는 폴리엔계 편광 필름(1)을 중화용 수용액에 침지시킨다. 이것에 의해 폴리엔계 편광 필름(1) 중의 프로톤이 중화된다.
여기에서 중화용 수용액의 pH는 예를 들면 4.5 내지 8.5이다. 중화용 수용액의 온도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지만 예를 들면 65℃ 내지 85℃ 정도이면 된다. 중화용 수용액은 예를 들면 붕산수용액에 수산화나트륨(또는 수산화칼륨)을 첨가함으로써 제작된다. 물론 중화 수용액은 전술한 pH를 지니는 것이면 특별히 그 성분은 문제되지 않는다.
폴리엔계 편광 필름(1)의 침지시간은 특히 문제되지 않지만, 침지시간이 길수록 많은 프로톤을 제거할 수 있으므로 바람직하다. 또 폴리엔계 편광 필름(1)을 중화용 수용액에 침지할 때에는 폴리엔계 편광 필름(1)이 줄어들지 않는 정도의 힘(장력)을 폴리엔계 편광 필름(1)에 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중화 처리는 중화용 수용액을 폴리엔계 편광 필름(1)에 분무함으로써 행해져도 된다.
또 전술한 제1 내지 제3 변형예는 모두 행해져도 되고, 어느 한가지 이상을 선택적으로 행해도 된다.
(1-2. 폴리엔계 편광 필름의 구성)
다음에 도 3에 의거해서 제1 실시형태에 따른 폴리엔계 편광 필름(1)의 구성을 설명한다. 폴리엔계 편광 필름(1)은 전술한 제조 방법에 의해 제작된 것이며 적어도 제1 폴리엔계 편광층(12a) 및 제2 폴리엔계 편광층(22a)을 포함한다. 이들 폴리엔계 편광층은 폴리엔의 배향 방향으로 평행한 방향의 편광(즉, 평행광)을 차단, 바꿔 말하면 흡수하고, 폴리엔의 배향 방향에 수직인 방향의 편광(즉 수직광)을 투과한다. 즉 이들 폴리엔계 편광층은 이색성을 지닌다.
또 도 3에 나타낸 예에서는 폴리엔계 편광 필름(1)은 제1 기재 필름(11)을 더 구비한다. 즉 폴리엔계 편광 필름(1)에는 제1 기재 필름(11)이 잔류하고 있다. 따라서 습식 연신 시 제2 기재 필름(21)을 압착체(30)로부터 박리하게 된다. 물론 습식 연신 시에 제1 기재 필름(11)을 박리시켜도 된다. 이 경우 폴리엔계 편광 필름(1)에는 제2 기재 필름(21)이 잔류한다.
제1 폴리엔계 편광층(12a)은 제1 PVA층(12) 중의 PVA가 폴리엔화함으로써 형성된 것이며, 제2 폴리엔계 편광층(22a)은 제2 PVA층(22) 중의 PVA가 폴리엔화함으로써 형성된 것이다. 제1 실시형태에서는 제1 PVA층(12) 및 제2 PVA층(22)이 같은 조성을 지니므로 제1 폴리엔계 편광층(12a) 및 제2 폴리엔계 편광층(22a)은 같은 조성을 지닌다. 즉 이들 폴리엔계 편광층은 같은 편광특성을 지닌다.
(1-3. 적층 편광 필름의 구성)
폴리엔계 편광 필름(1)을 이용해서 적층편광 필름을 제작해도 된다. 예를 들면 폴리엔계 편광 필름(1)의 폴리엔면(폴리엔계 편광층이 노출된 표면)에 보호 필름(예를 들면 트라이아세틸셀룰로스계 필름(TAC 필름))을 붙인다. 다음에 폴리엔계 편광 필름(1)에 잔류하고 있는 기재 필름을 제거한다. 그리고 노출된 폴리엔면에 보호 필름을 붙인다. 그리고 각 보호 필름 상에 더욱 위상차 필름을 붙인다. 이상의 공정에 의해 적층편광 필름을 제작한다. 이 예에서는 적층편광 필름은 위상차 필름/보호 필름/압착폴리엔계 편광층(40a)/보호 필름/위상차 필름으로 표시되는 구성을 갖는다. 물론 위상차 필름 및 보호 필름 중 어느 하나는 생략되어도 된다. 예를 들면 적층편광 필름은 보호 필름/압착폴리엔계 편광층(40a)/위상차 필름으로 표시되는 구성을 갖고 있어도 된다. 또한 상기 보호 필름 및 위상차 필름 대신에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필름, 아크릴 필름, 사이클로올레핀폴리머(COP) 필름 등의 광학 필름을 이용해서 적층편광 필름을 제작해도 된다.
제1 실시형태에 따르면 노즐(120), 노즐(120)에 산촉매 수용액(200)을 공급하기 위한 배관, 펌프 및 산촉매 수용액(200)을 저장하는 탱크를 내식성이 높은 재료로 구성하면 된다. 따라서, 압착 장치(100)를 저비용으로 제조할 수 있다. 또한 압착 장치(100) 내에 산촉매의 분위기를 형성할 필요가 없다. 따라서 PVA의 폴리엔화를 보다 저비용인 동시에 안전하게 행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두께 방향으로 대칭성이 높은 압착체(30)를 건식 연신시키므로, 건식 연신 후에 필름 단부에서 컬이 발생하기 어렵다. 이 때문에 폴리엔계 편광 필름(1)의 가공성이 향상된다.
<2. 제2 실시형태>
제2 실시형태에서는 제1 필름(10)으로서 제1 기재 필름(11)을 사용하고, 제2 필름(20)으로서 PVA필름을 사용한다. PVA필름은 전술한 제2 PVA층(22)과 마찬가지 특성을 지니는 것이면 된다. 제2 실시형태에 의해서도 제1 실시형태와 마찬가지 효과가 얻어진다.
<3. 제3 실시형태>
제3 실시형태에서는 제1 PVA층(12)과 제2 PVA층(22)이 다른 조성을 지닌다. 구체적으로는 제1 PVA층(12)은 제1 실시형태와 마찬가지 조성을 지닌다. 한편 제2 PVA층(22)에는 폴리엔 연쇄억제제가 포함된다.
여기에서 폴리엔 연쇄억제제는 제2 PVA층(22)의 폴리엔화를 억제하는 첨가제이다. 구체적으로는 폴리엔 연쇄억제제는 제2 PVA층(22) 중의 수산기와 결합한다. 즉, 폴리엔 연쇄억제제는 PVA끼리를 가교시키는 첨가제이다. 제2 PVA층(22)의 폴리엔화는 제2 PVA층(22)을 구성하는 PVA의 일부에서 개시되고, 그곳으로부터 연쇄적으로 진행된다. 따라서 제2 PVA층(22) 중의 수산기가 폴리엔 연쇄 억제제와 반응하고 있을 경우 폴리엔화의 연쇄는 그 부분에서 중지된다. 이것에 의해 폴리엔 연쇄억제제는 제2 PVA층(22)의 폴리엔화를 억제한다.
따라서 폴리엔 연쇄억제제는 PVA의 수산기와 반응 가능한 것이면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폴리엔 연쇄억제제의 예로서는 붕산, 붕사, 글리세린, 금속 알콕사이드 화합물 및 테트라에톡시실란 등을 들 수 있다. 제2 PVA층(22)에는 이들 폴리엔 연쇄억제제 중 적어도 1종 이상이 포함되어 있으면 된다.
또 폴리엔 연쇄억제제의 농도(제2 PVA층(22)에 포함되는 PVA의 총질량에 대한 질량%)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지만 2 내지 8질량%인 것이 바람직하고, 4 내지 6질량%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폴리엔 연쇄억제제의 농도가 2질량% 미만이 될 경우 폴리엔 연쇄억제제의 효과가 충분히 얻어지지 않는다. 또한, 폴리엔 연쇄억제제의 농도가 8질량%를 초과할 경우 폴리엔 연쇄억제제에 의한 가교 부분이 과잉으로 될 가능성이 있다. 폴리엔 연쇄억제제에 의한 가교 부분이 과잉으로 된 경우 건식 연신 시에 압착체(30)가 연신되기 어려워지거나, 균열 등의 손상이 유입되기 쉬워지는 등의 문제가 생길 가능성이 있다.
제3 실시형태에서는 제2 PVA층(22)에 폴리엔 연쇄억제제가 포함되어 있으므로 제1 폴리엔계 편광층(12a)과 제2 폴리엔계 편광층(22a)이 다른 조성을 지닌다. 구체적으로는 제2 폴리엔계 편광층(22a)에는 비교적 짧은 폴리엔 블록이 많이 포함되는데 대해서 제1 폴리엔계 편광층(12a)에는 비교적 긴 폴리엔 블록이 많이 포함된다. 그리고 폴리엔 블록의 길이는 폴리엔계 편광층의 흡수 피크 파장에 영향을 준다. 즉 제2 폴리엔계 편광층(22a)의 흡수 피크 파장은 제1 폴리엔계 편광층(12a)의 흡수 피크 파장보다도 낮다. 제1 폴리엔계 편광층(12a)과 제2 폴리엔계 편광층(22a)은 최대 흡수 피크 파장이 서로 다르다. 그 결과 폴리엔계 편광 필름(1) 전체로서의 흡수 파장 대역이 확장된다. 그 결과 폴리엔계 편광 필름(1)은 예를 들면 전술한 염료욕 침지처리를 행하지 않아도, 넓은 파장대역의 광을 흡수 가능해진다. 한편 이러한 넓은 흡수 파장대역을 1종류의 폴리엔계 편광 필름으로 실현시키는 것은 어렵다.
이와 같이 해서 제3 실시형태에서는 제2 PVA층(22) 중의 수산기와 폴리엔 연쇄억제제를 반응시킴으로써 폴리엔화를 억제하고 있다. 따라서 제2 PVA층(22)을 구성하는 PVA로서 변성기로 변성된 PVA, 즉 수산기가 변성기로 치환된 PVA를 사용해도 된다. 이러한 PVA를 사용했을 경우 변성기의 부분으로 폴리엔화의 연쇄가 스톱한다.
변성기의 종류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지만, 예를 들면 아세트산기, 카복시기 등을 들 수 있다. 변성기의 비율이 높을수록 폴리엔 블록이 짧아진다. 따라서 소망의 흡수 파장 대역이 얻어지도록 변성기의 비율을 조정하면 된다. 또 변성기의 비율에 대응하는 파라미터로서 PVA의 검화도를 들 수 있다. 검화도는 PVA 중의 수산기 및 아세트산기의 총 몰수에 대한 수산기의 몰수의 비율이다. 검화도는 예를 들면 니혼코교 규격 JIS6726_1994 폴리비닐알코올 시험 방법(http://kikakurui.com/k6/K6726-1994-01.html)에 의해 측정가능하다. 검화도는 예를 들면 98 mol% 이하이어도 된다. 이 경우 제1 PVA층(12)을 구성하는 PVA의 검화도는 98 mol%보다 크고, 예를 들면 99mol% 이상이 된다.
이와 같이 제3 실시형태에서는 제1 폴리엔계 편광층(12a)과 제2 폴리엔계 편광층(22a)이 다른 조성을 지닌다. 이 때문에 폴리엔계 편광 필름(1)의 흡수 파장대역을 확장할 수 있다.
또한 제3 실시형태에 의한 적층편광 필름은 뉴트럴 그레이를 실현할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적층편광 필름을 사용한 액정 모니터(LCD)에서는 흑색 표시 화면이 얻어지고, 적층편광 필름을 사용한 유기발광 디스플레이(OLED)에서는 검은 디스플레이 외관이 얻어진다. 따라서 적층편광 필름은, 이들 표시장치에 적합하게 사용할 수 있다. 물론 적층편광 필름은 다른 종류의 표시장치에 사용되어도 된다.
제1 폴리엔계 편광층(12a)과 제2 폴리엔계 편광층(22a)은 각각 광좌표 a*, b*가 각각 5.0 초과이다. 이러한 경우 뉴트럴 그레이가 아니어서 LCD, OLED에 적용시 검은 디스플레이 외관이 얻어지기 어렵다. 그러나 제1 폴리엔계 편광층(12a)과 제2 폴리엔계 편광층(22a)을 포함하는 적층형 편광 필름은 광좌표 a*, b*가 각각 5.0 미만이어서 뉴트럴 그레이가 실현되어 있다고 할 수 있다. 제1 폴리엔계 편광층(12a)과 제2 폴리엔계 편광층(22a)은 동일 방향으로 폴리엔이 배향되어 있으며,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일체로 형성"은 제1폴리엔계 편광층과 제2폴리엔계 편광층 사이에 점착층, 접착층, 또는 임의의 다른 층이 부가되지 않은 것을 의미한다.
[ 실시예 ]
<1. 실시예 1>
우선 실시예 1에 대해서 설명한다. 실시예 1에서는 이하의 공정에 의해 폴리엔계 편광 필름(1)을 제작하였다.
(1-1. 제1 공정)
용매인 물에 PVA(니혼사쿠비ㆍ포발(VAN & POVAL)사 제품 JC-25)를 투입하였다. 다음에 물 및 PVA의 혼합액을 교반하면서 가열함으로써, PVA를 물에 충분히 용해시켰다. 다음에, PVA 수용액을 25℃로 유지하고, PVA 수용액에 레벨링제(DIC주식회사의 메가팍(MEGAFACE))를 투입하고, 교반ㆍ용해시켰다. 이상의 공정에 의해 도공액을 제작하였다. 도공액 중의 물 및 PVA의 질량비는 91.5:8.5로 하였다. 또한, 레벨링제의 질량비는 외수이고, 구체적으로는 물, 폴리비닐알코올의 총질량에 대해서 0.002질량%로 하였다.
다음에 폴리프로필렌(PP)제의 제1 기재 필름(11)에 도공액을 도공하고, 열풍순환 오븐에서 건조시킴으로써, 제1 기재 필름(11) 상에 두께 10㎛의 제1 PVA층(12)을 형성하였다. 이상의 공정에 의해 제1 필름(10)을 제작하였다. 또한, 마찬가지 공정에 의해 제2 필름(20)을 제작하였다. 따라서, 제1 PVA층(12)과 제2 PVA층(22)은 같은 조성을 지닌다.
(1-2. 제2 공정)
제2 공정에서는 제1 필름(10)과 제2 필름(20)을 압착시키는 동시에 제1 PVA층(12) 및 제2 PVA층(22)에 산촉매를 함침시켰다. 여기에서 제2 공정은 압착 장치(100)를 이용해서 행하였다. 또한, 산촉매 수용액(200)으로서 농도가 30질량%인 PTSA 수용액(pH=0.4)을 준비하였다. 또한, 압착 PVA층(40) 중의 산촉매의 농도가 5질량%가 되도록 산촉매 수용액(200)의 공급 속도와 제1 필름(10) 및 제2 필름(20)의 반송 속도를 조정하였다.
(1-3. 제3 공정)
제3 공정에서는 제2 공정에서 제작된 압착체(30)를 130℃로 유지한 건조로에 투입하고, 1축 건식 연신을 행하였다. 건식 연신의 배율은 5배로 하였다. 다음에 압착체(30) 중의 PVA를 폴리엔화하였다. 구체적으로는, 압착체(30)를 해당 130℃의 건조로 중에서 3분간 유지하였다. 이상의 공정에서 폴리엔계 편광 필름(1)을 제작하였다.
(1-4. 제4 공정)
제4 공정에서는 우선, 제3 공정에서 제작된 폴리엔계 편광 필름(1)으로부터 제2 기재 필름(21)을 박리시켰다. 다음에, 폴리엔계 편광 필름(1)을 농도 7질량%, 온도 90℃의 붕산 수용액(수화용 수용액)에 2분간 침지시켰다. 이것에 의해 수화 처리를 행하였다. 다음에 폴리엔계 편광 필름(1)을 농도 4.5질량%, 온도 60℃의 붕산수용액에 침지시키고, 습식 연신시켰다. 습식 연신의 배율은 1.15배로 하였다. 그 후, 폴리엔계 편광 필름(1)을 80℃로 유지한 건조로에 투입하고, 1분간 건조시켰다.
(1-5. 적층편광 필름의 제작)
다음에 폴리엔계 편광 필름(1)의 폴리엔면에 UV 접착제를 두께 2㎛로 도포하였다. 다음에 UV 접착제층 상에 막 두께 50㎛의 보호 필름(자외선흡수제 함유 트라이아세틸셀룰로스계 필름: 후지필름사 제품인 「후지택(FUJITAC)」)을 적층하였다. 다음에, 1000mJ의 UV광을 UV 접착제층에 조사함으로써, UV 접착제를 경화시켰다. 다음에 폴리엔계 편광 필름(1)으로부터 제1 기재 필름(11)을 박리하였다.
다음에 폴리엔계 편광 필름(1)의 폴리엔면에 UV 접착제를 두께 2㎛로 도포하였다. 다음에, 폴리엔계 편광 필름(1)의 UV 접착제층 상에 막 두께 50㎛의 위상차 필름(1/4파장판, 데이진카세이사 제품 「WRS」)을 폴리엔계 편광 필름(1)의 광학흡수축과 1/4파장판의 지상축(遲相軸)이 45°가 되도록 붙였다. 다음에 상기와 같은 처리에 의해 UV 접착제를 경화시켰다. 이것에 의해 평가용의 적층 편광 필름을 제작하였다.
(1-6. 편광특성의 평가)
편광특성으로서 단체투과율, 편광도, 광좌표 a*, b*를 측정하였다. 구체적으로는 파장 380 내지 780nm의 범위에 있어서 MD 투과율과 TD 투과율을 측정하였다. 측정 장치는 적분구 부착 분광 광도계(니혼분코(日本分光) 주식회사 제품, V7100)를 사용하였다. 또한 「MD 투과율」이란 글란-톰슨 프리즘(Glan-Thompson prism)에서 방출되는 편광의 방향과 평가용의 적층편광 필름의 투과축(즉 폴리엔의 배향 방향에 수직인 방향)을 평행하게 했을 때의 투과율이다. 또한 「TD 투과율」이란 글란-톰슨 프리즘으로부터 방출되는 편광의 방향과 평가용의 적층편광 필름의 투과축을 직교로 했을 때의 투과율이다. 또한 「MD 투과율」 및 「TD 투과율」은 JIS Z8701의 2도 시야(C광원)에 의해 측정해서 시감도보정을 행한 Y값이다. 그리고, MD 투과율 및 TD 투과율과 이하의 식(1), (2)에 의거해서 단체투과율 및 편광도를 산출(측정)하였다.
단체투과율(%) = (MD+TD)/2 ...... 식(1)
편광도(%) = {(MD-TD)/(MD+TD)}x100 .......식(2)
식(1), (2) 중 MD는 MD 투과율을 의미하고, TD는 TD 투과율을 의미한다.
또 광좌표 a*, b*는 CIE1976(L*a*b*)표색계의 수치이며 자외가시분광 광도계 V-7100에 내장된 소프트웨어에 의해 측정하였다. 또한 광좌표 a*, b*는 TD 투과율 측정 시의 값이다. 평가 결과를 표 1에 나타낸다. 또 표 1에 있어서 단체투과율 및 편광도는 380 내지 780nm의 파장에 비시감도 곡선에서 가중치 부여해서 적분한 값이다.
단체투과율 편광도 직교 a* 직교 b*
43.351% 98.143% 23.6 -26.1
표 1에 따르면 적층편광 필름은 단체투과율 및 편광도가 우수하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2. 실시예 2>
(2-1. 적층편광 필름의 제작)
실시예 2에서는 이하의 공정에서 제2 필름(20)을 제작한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1과 마찬가지 공정을 행함으로써 적층편광 필름을 제작하였다. 즉 실시예 1과 마찬가지 공정에 의해 도공액을 제작하였다. 또한 이 도공액에 폴리엔 연쇄억제제로서 붕산을 투입하였다. 붕산의 투입량은 도공액 중의 PVA의 질량에 대해서 4질량%로 하였다. 다음에 실시예 1과 마찬가지 처리를 행함으로써 제2 필름(20)을 제작하였다.
(2-2. 편광특성의 평가)
다음에 실시예 1과 마찬가지 처리에 의해 편광특성을 평가하였다. 또 실시예 2에서는 제1 필름(10) 및 제2 필름(20)의 편광 특성도 평가하였다. 구체적으로는 제1 필름(10) 및 제2 필름(20)을 이용해서 적층편광 필름을 작성하고(구체적인 공정은 실시예 1에 준함), 이들 적층편광 필름의 편광특성을 평가하였다. 그 결과를 표 2 및 도 4에 나타낸다. 또한, 표 2에 있어서 단체투과율 및 편광도는 380 내지 780nm의 파장에 비시감도 곡선에서 가중치 부여해서 적분한 값이다. 도 4의 세로축은 흡광도, 즉, (-log10TD)로 표시되는 값을 나타내고 가로축은 측정광의 파장을 나타낸다.
단체투과율 투광도 a* b*
제1 필름 43.686% 98.499% 18.5 -24.8
제2 필름 44.978% 92.746% 47.0 51.5
적층편광 필름
(제1 필름 + 제2 필름)
41.901% 99.863% 3.6 0.9
표 2 및 도 4에 따르면 제1 필름(10) 및 제2 필름(20)을 조합시킨 적층편광 필름은 흡수 파장대역이 확장되어 있다. 또한 흡수 피크 파장이 비교적 큰 흡수 특성을 가지는 제1 필름(10)과 흡수 피크 파장이 비교적 작은 흡수 특성을 가지는 제2 필름은 직교색이 뉴트럴 그레이가 아니다. 그러나 이들을 조합시킨 적층편광 필름은 직교색이 뉴트럴 그레이가 된다. 또, 광좌표 a*, b*에서 정의되는 벡터의 길이가 5 미만이 될 경우 뉴트럴 그레이가 실현되어 있다고 할 수 있다.
이상 첨부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적절한 실시형태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했지만, 본 발명은 이러한 예로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의 분야에 있어서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이면 청구범위에 기재된 기술적 사상의 범주 내에 있어서, 각종 변경예 또는 수정예를 상정할 수 있는 것은 명확한 바 이들에 대해서도 당연히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이해된다.
1: 폴리엔계 편광 필름 10: 제1 필름
11: 제1 기재 필름 12: 제1 PVA층
12a: 제1 폴리엔계 편광층 21: 제2 기재 필름
22: 제2 PVA층 22a: 제2 폴리엔계 편광층
40: 압착 PVA층 40a: 압착폴리엔계 편광층
120: 노즐

Claims (17)

  1. 폴리엔계 편광 필름의 제조 방법으로서
    제1 폴리비닐알코올층을 포함하는 제1 필름과 제2 필름을 준비하는 제1 공정;
    상기 제1 필름의 폴리비닐알코올면과 상기 제2 필름을 압착시키는 동시에 상기 제1 필름의 폴리비닐알코올면과 상기 제2 필름과의 계면에 산촉매 수용액을 공급하는 제2 공정; 및
    상기 제1 필름과 상기 제2 필름이 압착된 압착체를 폴리엔화하는 제3 공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엔계 편광 필름의 제조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필름은 제2 폴리비닐알코올층을 포함하고,
    상기 제2 공정에서는 상기 제1 필름의 폴리비닐알코올면과 상기 제2 필름의 폴리비닐알코올면을 압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엔계 편광 필름의 제조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폴리비닐알코올층에는 폴리엔 연쇄억제제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엔계 편광 필름의 제조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엔 연쇄억제제는 상기 제2 폴리비닐알코올층에 포함되는 폴리비닐알코올의 총질량에 대해서 2 내지 8질량%의 비율로 상기 제2 폴리비닐알코올층에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엔계 편광 필름의 제조 방법.
  5. 제3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엔 연쇄억제제는 붕산, 붕사, 글리세린, 금속알콕사이드 화합물 및 테트라에톡시실란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1종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엔계 편광 필름의 제조 방법.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폴리비닐알코올층은 변성기로 변성된 폴리비닐알코올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엔계 편광 필름의 제조 방법.
  7.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공정에서는 상기 계면을 위쪽으로 노출시킨 상태에서 상기 제1 필름의 폴리비닐알코올 필름면과 상기 제2 필름을 압착시키는 동시에 상기 계면의 노출 부분에 상기 산촉매 수용액을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엔계 편광 필름의 제조 방법.
  8.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산촉매 수용액에 포함되는 산촉매는 저휘발성의 산촉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엔계 편광 필름의 제조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산촉매는 100℃에서의 질량감소율이 3질량% 미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엔계 편광 필름의 제조 방법.
  10.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공정에서는
    상기 제2필름의 폴리비닐알코올면에 상기 산촉매 수용액을 공급하고, 상기 제1 필름의 폴리비닐알코올면과 상기 제2 필름의 폴리비닐알코올면을 압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엔계 편광 필름의 제조 방법.
  11. 폴리엔계 편광 필름으로서
    제1 폴리엔계 편광층;
    상기 제1 폴리엔계 편광층 상에 적층된 제2 폴리엔계 편광층을 포함하되
    상기 제1 폴리엔계 편광층의 흡수 피크 파장은 상기 제2 폴리엔계 편광층의 흡수 피크 파장과는 다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엔계 편광 필름.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폴리엔계 편광층과 상기 제2 폴리엔계 편광층은 최대 흡수 피크 파장이 서로 다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엔계 편광 필름.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엔계 편광 필름은 광좌표 a*, b*가 각각 5.0 미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엔계 편광 필름.
  14.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폴리엔계 편광층과 상기 제2 폴리엔계 편광층은 각각 광좌표 a*, b*가 각각 5.0 초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엔계 편광 필름.
  15.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폴리엔계 편광층과 상기 제2 폴리엔계 편광층은 일체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엔계 편광 필름.
  16. 제11항에 기재된 폴리엔계 편광 필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 편광 필름.
  17. 제16항에 기재된 적층편광 필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장치.

KR1020160152893A 2015-11-18 2016-11-16 폴리엔계 편광 필름의 제조 방법, 폴리엔계 편광 필름, 적층편광 필름 및 표시장치 KR10230128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5-225764 2015-11-18
JP2015225764A JP6675179B2 (ja) 2015-11-18 2015-11-18 ポリエン(polyene)系偏光フィルム(film)の製造方法、ポリエン系偏光フィルム、積層偏光フィルム、及び表示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58299A true KR20170058299A (ko) 2017-05-26
KR102301280B1 KR102301280B1 (ko) 2021-09-10

Family

ID=588166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52893A KR102301280B1 (ko) 2015-11-18 2016-11-16 폴리엔계 편광 필름의 제조 방법, 폴리엔계 편광 필름, 적층편광 필름 및 표시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6675179B2 (ko)
KR (1) KR10230128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7113448B2 (ja) * 2018-05-14 2022-08-05 北川工業株式会社 植物由来黒色粉末の製造方法および樹脂組成物の製造方法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661431A (en) * 1979-10-23 1981-05-26 Nitto Electric Ind Co Ltd Production of polarizing film
JP2850372B2 (ja) * 1989-06-23 1999-01-27 エヌオーケー株式会社 Pva系フィルム積層物の製造法
JP2007017845A (ja) * 2005-07-11 2007-01-25 Konica Minolta Opto Inc 偏光板及び液晶表示装置
KR20140086810A (ko) * 2012-12-28 2014-07-08 제일모직주식회사 폴리엔계 편광 필름의 제조 방법, 폴리엔계 편광 필름, 적층 편광 필름 및 표시장치
JP2014156322A (ja) * 2013-02-15 2014-08-28 Mitsubishi Heavy Ind Ltd 回転式ガイドの振動抑制装置及びこれを有する給紙装置並びにこれを有する製函機
KR20150017654A (ko) * 2013-08-07 2015-02-17 제일모직주식회사 폴리엔계 편광 필름의 제조방법, 폴리엔계 편광 필름, 적층 편광 필름 및 표시장치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229498A (en) * 1979-03-29 1980-10-21 Toyo Boseki Kabushiki Kaisha Light-polarizing film
JP3616854B2 (ja) * 1995-03-08 2005-02-02 住友化学株式会社 偏光素子とその製造方法および液晶表示装置
JP4302393B2 (ja) * 2002-12-02 2009-07-22 株式会社クラレ 偏光フィルム
JP4756639B2 (ja) * 2005-12-08 2011-08-24 日東電工株式会社 偏光子、及び光学フィルム、及び液晶パネル、及び画像表示装置
US7846541B2 (en) * 2007-11-02 2010-12-07 Seiko Epson Corporation Optical element having optical adhesive layer and polarizer
US20090163686A1 (en) * 2007-12-20 2009-06-25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Method of making an intrinsic polarizer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661431A (en) * 1979-10-23 1981-05-26 Nitto Electric Ind Co Ltd Production of polarizing film
JP2850372B2 (ja) * 1989-06-23 1999-01-27 エヌオーケー株式会社 Pva系フィルム積層物の製造法
JP2007017845A (ja) * 2005-07-11 2007-01-25 Konica Minolta Opto Inc 偏光板及び液晶表示装置
KR20140086810A (ko) * 2012-12-28 2014-07-08 제일모직주식회사 폴리엔계 편광 필름의 제조 방법, 폴리엔계 편광 필름, 적층 편광 필름 및 표시장치
JP2014156322A (ja) * 2013-02-15 2014-08-28 Mitsubishi Heavy Ind Ltd 回転式ガイドの振動抑制装置及びこれを有する給紙装置並びにこれを有する製函機
KR20150017654A (ko) * 2013-08-07 2015-02-17 제일모직주식회사 폴리엔계 편광 필름의 제조방법, 폴리엔계 편광 필름, 적층 편광 필름 및 표시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01280B1 (ko) 2021-09-10
JP2017097011A (ja) 2017-06-01
JP6675179B2 (ja) 2020-04-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78275B1 (ko) 내츄럴 블랙에 근접한 편광판 제조 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편광판
CN111373294B (zh) 起偏镜的制造方法
KR20200090759A (ko) 편광자 및 편광판
TW201706640A (zh) 偏光件
KR101758435B1 (ko) 폴리엔계 편광필름의 제조방법, 폴리엔계 편광필름, 적층 편광필름, 및 표시장치
KR20100102292A (ko) 편광자의 제조방법, 편광자 및 이것이 구비된 편광판
KR101790404B1 (ko) 편광자의 제조방법,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편광자, 이를 포함하는 편광판 및 화상표시장치
KR101879833B1 (ko) 편광판 및 이를 포함하는 액정표시장치
KR101613596B1 (ko) 편광자, 이의 제조방법, 이것이 구비된 편광판 및 화상표시장치
KR101584442B1 (ko) Uv 조사에 의해 편광자의 색상을 조절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편광판 제조방법
KR20170058299A (ko) 폴리엔계 편광 필름의 제조 방법, 폴리엔계 편광 필름, 적층편광 필름 및 표시장치
KR20110138529A (ko) Led용 편광자의 제조방법
KR20110135321A (ko) 편광자의 제조방법
TWI702423B (zh) 偏光片之製造方法
KR101768754B1 (ko) 편광자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편광자 및 편광판
KR101788372B1 (ko) 폴리엔계 편광 필름의 제조방법, 폴리엔계 편광 필름, 적층 편광 필름 및 표시 장치
JP6712595B2 (ja) 偏光子の製造方法
KR101640657B1 (ko) 폴리엔계 편광 필름의 제조방법, 폴리엔계 편광 필름, 적층 편광 필름 및 표시장치
KR101748010B1 (ko) 편광자의 제조방법,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편광자 및 이를 포함하는 편광판
JP6723240B2 (ja) 偏光子の製造方法
KR102237003B1 (ko) 폴리엔계 편광 필름의 제조방법, 폴리엔계 편광 필름 제조용 코팅액 및 폴리엔계 편광 필름
KR101640656B1 (ko) 폴리엔계 편광 필름의 제조방법, 폴리엔계 편광 필름, 적층 편광 필름 및 표시장치
KR101588502B1 (ko) 폴리엔계 편광 필름의 제조 방법, 폴리엔계 편광 필름, 적층 편광 필름 및 표시장치
KR20120057924A (ko) 편광자의 제조방법
KR101997662B1 (ko) 편광자 제조장치, 편광자의 제조방법, 상기 방법으로 제조된 편광자, 상기 편광자를 포함하는 편광판 및 상기 편광판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또는 액정 표시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