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57731A - 디스플레이 모듈 제조 방법 및 편광판 조립체 - Google Patents

디스플레이 모듈 제조 방법 및 편광판 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57731A
KR20170057731A KR1020150161245A KR20150161245A KR20170057731A KR 20170057731 A KR20170057731 A KR 20170057731A KR 1020150161245 A KR1020150161245 A KR 1020150161245A KR 20150161245 A KR20150161245 A KR 20150161245A KR 20170057731 A KR20170057731 A KR 2017005773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lease film
polarizing plate
polarizer
display
display pan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612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08390B1 (ko
Inventor
이범석
박경혁
이석재
장응진
최항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화학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to KR102015016124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08390B1/ko
Publication of KR201700577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5773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0839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0839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02F1/133528Polarisers
    • H01L27/3232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2202/00Materials and properties
    • G02F2202/28Adhesive materials or arrangement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Polarising Elements (AREA)
  • Liquid Crystal (AREA)

Abstract

디스플레이 모듈 제조 방법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모듈 제조 방법은, (a) 제1 부분과 제2 부분으로 구분하는 구분선이 형성된 이형필름이 점착층에 의해 합지된 편광판 조립체를 준비하는 단계; (b) 상기 이형필름의 제1 부분을 편광판 조립체로부터 제거하는 단계; (c) 상기 이형필름의 제1 부분이 제거된 편광판 조립체를 디스플레이 패널의 적어도 일면에 상기 점착층을 이용하여 부착시키는 단계; 및 (d) 상기 구분선을 따라 편광판 조립체를 절단하여 상기 이형필름의 제2 부분에 상응하는 편광판 조립체를 제거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디스플레이 모듈 제조 방법 및 편광판 조립체{METHOD FOR MANUFACTURING DISPLAY MODULE AND POLARIZING PLATE ASSEMBLY}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 모듈 제조 방법 및 편광판 조립체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편광판에 부착되어 있는 점착제가 디스플레이 패널에 잔류하지 않으므로 디스플레이 패널의 오염을 방지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 모듈 제조 방법 및 편광판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최근 들어, 반도체 산업 중 전자 디스플레이 산업이 급속도로 발전하면서 평면디스플레이(Flat Panel Display, FPD)가 등장하기 시작하였다.
평면디스플레이는, 종전에 TV나 컴퓨터 모니터 등에 디스플레이로 주로 사용된 음극선관(Cathode Ray Tube, CRT)보다 두께가 얇고 가벼운 영상 표시 장치로서, 이에는 액정 표시 장치(Liquid crystal display, LCD),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Plasma Display Panel, PDP), 유기EL(Organic Light Emitting Diode, OLED) 등이 있다.
특히, 정보를 표시하기 위한 다양한 종류의 평면디스플레이 중에서 액정 표시 장치는 그 화질이 선명하고 구동 전력이 매우 낮을 뿐만 아니라 소형 정보 기기에도 손쉽게 적용할 수 있는 여러 가지 장점으로 인하여, 그 필요성이 크게 증대되고 있다.
그리고, 고화질 TV(HDTV : High Definition Television)용 방송 송출이 본격화됨에 따라, 선명한 화질을 시청하고자 하는 사용자의 구매 욕구를 충족시키기 위하여, 액정 표시 장치에 대한 연구 개발이 지속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액정 표시 장치는 전기적인 신호를 영상으로 표시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 패널을 구비한다. 이와 같은 디스플레이 패널의 외면에는 광학적 특성을 부여하기 위한 편광판이 부착되며, 전체 방향으로 진동하는 빛을 특정 방향으로만 진동하는 빛으로 편광시켜 원하는 영상을 구현시킨다. 즉, 편광판은 PC, 노트북, 모바일 폰 및 캠코더 등의 액정 표시 장치에 사용되는 광학필름으로서, 이러한 편광판은 액정 표시 장치의 양쪽에 위치하여 액정 표시 장치의 전압 온오프에 따라 원하는 방향 성분의 빛만 통과시키는 기능을 통해 액정 표시 장치의 광특성을 결정짓는다.
종래의 경우, 편광판 제작 업체로부터 디스플레이 패널의 크기에 대응되는 크기로 절단된 편광판을 공급받아 편광판을 디스플레이 패널에 부착하여 사용하였다. 그러나, 편광판은 온도 내지 습도에 따라 크기가 변화되는 특성을 가지고 있으므로 운반되는 과정에서 편광판이 수축 내지 팽창하게 되며, 이러한 편광판을 디스플레이 패널에 부착하는 경우 그 치수에 오차가 발생되어 불량률이 증가하는 문제가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종래에는 편광판을 디스플레이 패널에 부착 후 편광판의 불필요한 부분을 절단하였는데, 이에 대해, 이하,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a) 내지 도 1(c)는 종래 기술로서, 편광판을 디스플레이 패널에 부착 후 편광판의 불필요한 부분을 절단하여 제거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a)를 참조하면, 디스플레이 패널(1)에 편광판(2)이 부착된다. 그리고, 도 1(b)를 참조하면, 디스플레이 패널(1)에 부착된 편광판(2)이 커팅 라인(3)을 따라 적절한 크기로 절단된다. 하지만, 도 1(c)를 참조하면, 디스플레이 패널(1)로부터 편광판(2)의 불필요한 부분을 절단하여 제거하는 경우 편광판(2)에 부착되어 있던 점착제(4)가 디스플레이 패널(1)에 잔류하게 되어 디스플레이 패널(1)을 오염시키는 문제가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공개번호:제10-2010-0064250호(공개일자:2010년06월14일)
따라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편광판에 부착되어 있는 점착제가 디스플레이 패널에 잔류하지 않으므로 디스플레이 패널의 오염을 방지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 모듈 제조 방법 및 편광판 조립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디스플레이 패널에 편광판을 부착시 치수 정밀도가 높은 디스플레이 모듈 제조 방법 및 편광판 조립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여러 기능층으로 합지된 편광판 조립체의 특정 필름만 절단하는 기술을 사용하여, 디스플레이 패널 형태에 따라 이형필름의 자유로운 형상을 만들 수 있는 디스플레이 모듈 제조 방법 및 편광판 조립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a) 제1 부분과 제2 부분으로 구분하는 구분선이 형성된 이형필름이 점착층에 의해 합지된 편광판 조립체를 준비하는 단계; (b) 상기 이형필름의 제1 부분을 편광판 조립체로부터 제거하는 단계; (c) 상기 이형필름의 제1 부분이 제거된 편광판 조립체를 디스플레이 패널의 적어도 일면에 상기 점착층을 이용하여 부착시키는 단계; 및 (d) 상기 구분선을 따라 편광판을 절단하여 상기 이형필름의 제2 부분에 상응하는 편광판과 상기 이형필름의 제2 부분을 제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모듈 제조 방법이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구분선은 상기 이형필름의 제1 부분과 제2 부분을 구획하는 절취선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d) 단계는 레이저 또는 나이프를 이용하여 상기 편광판을 절단시키도록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부분은 디스플레이 기기의 디스플레이부에 대응되고, 상기 제2 부분은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감싸는 적어도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테두리부일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전술한 디스플레이 모듈 제조 방법에 의해 제조된 디스플레이 모듈이 제공될 수 있고, 또한,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을 구비하는 디스플레이 기기가 제공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구분선에 의해 제1 부분과 제2 부분으로 구분되고 점착층에 의해 편광판에 탈착 및 부착 가능하게 마련된 이형필름을 포함하는 편광판 조립체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구분선은 절취선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이형필름의 제1 부분은 상기 편광판이 부착될 디스플레이 패널의 디스플레이부에 상응하고, 디스플레이부에 부착되기 전에 상기 편광판으로부터 제거될 수 있도록 구성되고, 상기 이형필름의 제2 부분은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감싸는 적어도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테두리부를 구성하고, 상기 편광판 조립체가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에 부착된 후 상기 구분선을 따라 절취되어 제거될 수 있도록 마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이형필름의 제1 부분만 제거하고 디스플레이 패널에 편광판을 부착 후 이형필름의 제거되지 않은 제2 부분과 편광판의 불필요한 부분을 함께 제거하여 편광판에 부착되어 있는 점착제가 디스플레이 패널에 잔류하지 않으므로 디스플레이 패널의 오염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 패널에 편광판을 부착 후 편광판의 불필요한 부분을 제거하므로, 운반되는 과정에서 온도 내지 습도에 따라 편광판의 크기가 변화되는 것을 방지하여 치수 정밀도를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여러 기능층으로 합지된 편광판 조립체의 특정 필름만 절단하는 기술을 사용하여, 디스플레이 패널 형태에 따라 이형필름의 자유로운 형상을 만들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a) 내지 도 1(c)는 종래 기술로서, 편광판을 디스플레이 패널에 부착 후 편광판의 불필요한 부분을 절단하여 제거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편광판 조립체의 개략적인 구조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편광판 조립체에서 하나의 실시예에 해당하는 개략적인 평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편광판 조립체에서 다른 실시예에 해당하는 개략적인 평면도이다.
도 5(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모듈 제조 방법에서 이형필름의 제1 부분이 제거된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5(b)는 도 5(a)의 측단면도이다.
도 6(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모듈 제조 방법에서 이형필름의 제1 부분이 제거된 후 편광판에 디스플레이 패널이 부착된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6(b)는 도 6(a)의 측단면도이다.
도 7(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모듈 제조 방법에서 절취선을 따라 편광판이 절단되는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7(b)는 도 7(a)의 측단면도이다.
도 8(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모듈 제조 방법에서 절취선을 따라 편광판이 절단된 후 편광판과 이형필름이 제거된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8(b)는 도 8(a)의 측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모듈 제조 방법 및 편광판 조립체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하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면에서 각 구성요소 또는 그 구성요소를 이루는 특정 부분의 크기는 설명의 편의 및 명확성을 위하여 과장되거나 생략되거나 또는 개략적으로 도시되었다. 따라서, 각 구성요소의 크기는 실제 크기를 전적으로 반영하는 것은 아니다.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러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결합' 또는 '연결'이라는 용어는, 하나의 부재와 다른 부재가 직접 결합되거나, 직접 연결되는 경우뿐만 아니라 하나의 부재가 이음부재를 통해 다른 부재에 간접적으로 결합되거나, 간접적으로 연결되는 경우도 포함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편광판 조립체의 개략적인 구조를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편광판 조립체에서 하나의 실시예에 해당하는 개략적인 평면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편광판 조립체에서 다른 실시예에 해당하는 개략적인 평면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편광판 조립체(10)는, 편광판(100)과, 이형필름(200)을 포함하며, 편광판(100)을 보호하도록 편광판(100)에 부착되는 보호필름(30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편광판(100)은 편광막(110)과, 보호지지막(120)과, 점착층(130)을 포함할 수 있다. 편광막(110)은 입사광을 소정 방향으로 편광시키도록 마련되며, 요오드 물질이 배향된 PVA(Poly Vinyl Alcohol)로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보호지지막(120)은 편광막(110)의 양면에 부착되어 편광막(110)을 보호하여 지지하며 광학 필름에 해당되는 등방성 필름인 TAC(Tri Acetyl Cellulose) 필름으로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점착층(130)은 보호지지막(120)에 결합되며 점착 성분이 함유되어 디스플레이 패널(400)에 결합될 수 있다.
여기서, 편광판(100)에는, 점착층(130)에 부착되어 점착 성분을 보호하는 이형필름(200)이 결합될 수 있으며, 이형필름(200)은 점착층(130)에 의해 편광판(100)에 탈착 및 부착 가능하게 마련될 수 있다.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이형필름(200)은 구분선(210)에 의해 제1 부분(220)과 제2 부분(230)으로 구분된다. 구분선(210)은 절취선(500)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즉, 이형필름(200)의 제1 부분(220)과 제2 부분(230)은 구분선(210)에 의해 미리 커팅되어 있으며, 제1 부분(220)과 제2 부분(230)은 경계에 의해 서로 분리되어 있다. 즉, 이형필름(200)의 제1 부분(220)과 제2 부분(230) 중 하나가 편광판(100)으로부터 제거되더라도 다른 하나는 이와 무관하게 편광판(100)의 점착층(130)에 점착된 상태가 유지될 수 있다. 다시 설명하면, 이형필름(200)은 구분선(210)을 통해 이형필름(200)의 제1 부분(220)과 제2 부분(230) 중 하나만이 제거될 수 있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이형필름(200)의 제1 부분(220)은, 예를 들어, 이형필름(200)의 중심을 포함하는 중심부일 수 있으며, 편광판(100)이 부착될 디스플레이 패널(400)의 디스플레이부에 상응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여기서, 이형필름(200)의 제1 부분(220)은 디스플레이부에 부착되기 전에 편광판(100)으로부터 제거될 수 있다. 즉, 이형필름(200)의 제1 부분(220)이 편광판(100)으로 먼저 제거되고, 이형필름(200)의 제2 부분(230)은 제거되지 않은 채, 이형필름(200)의 제1 부분(220)에 대응되는 편광판(100)의 점착층(130)을 통해 편광판(100)이 디스플레이 패널(400)에 부착된다. 이 경우, 이형필름(200)의 제1 부분(220)에 대응되는 편광판(100)의 부분은 디스플레이 패널(400)에 부착되지만, 이형필름(200)의 제2 부분(230)에 대응되는 편광판(100)의 부분은 디스플레이 패널(400)에 부착되지 않은 상태가 된다.
이형필름(200)의 제2 부분(230)은,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부를 감싸는 적어도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테두리부일 수 있다. 즉,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형필름(200)의 제2 부분(230)은 이형필름(200)의 전체 테두리가 일체형으로 형성되도록 마련될 수도 있고, 또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형필름(200)의 제2 부분(230a, 230b, 230c, 230d)은 전체 테두리가 복수개의 분리형으로 형성되도록 마련될 수도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이형필름(200)의 제1 부분(220)만 제거되고 이형필름(200)의 제2 부분(230)은 제거되지 않은 채 편광판(100)이 디스플레이 패널(400)에 부착되며, 이후, 편광판 조립체(10)가 구분선(210)을 따라 절취되어 이형필름(200)의 제2 부분(230)과 편광판(100)의 테두리 부분이 함께 제거된다. 이에 의해, 이형필름(200)의 제2 부분(230)에 결합되는 편광판(100)의 점착제(PSA, Pressure-Sensitive Adhesive)는 디스플레이 패널(400)에 부착되지 않았으므로, 디스플레이 패널(400)에는 편광판(100)의 점착제가 잔존하지 않으며, 이에 의해, 디스플레이 패널(400)이 오염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5(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모듈 제조 방법에서 이형필름의 제1 부분이 제거된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5(b)는 도 5(a)의 측단면도이고, 도 6(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모듈 제조 방법에서 이형필름의 제1 부분이 제거된 후 편광판에 디스플레이 패널이 부착된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6(b)는 도 6(a)의 측단면도이며, 도 7(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모듈 제조 방법에서 절취선을 따라 편광판이 절단되는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7(b)는 도 7(a)의 측단면도이고, 도 8(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모듈 제조 방법에서 절취선을 따라 편광판이 절단된 후 편광판과 이형필름이 제거된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8(b)는 도 8(a)의 측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모듈 제조 방법에 대해 설명하되, 본 발명에 따른 편광판 조립체(10)에서 설명한 내용과 공통되는 부분은 전술한 설명으로 대체한다.
전술한 본 발명에 따른 편광판 조립체(10)가 준비된다. 즉, 편광판 조립체(10)는, 편광판(100)과, 편광판(100)의 점착층(130)에 합지된 이형필름(200)을 포함하며, 이형필름(200)은 구분선(210)에 의해 제1 부분(220)과 제2 부분(230)으로 구분된다. 여기서, 이형필름(200)의 제1 부분(220)은, 예를 들어, 이형필름(200)의 중심을 포함하는 중심부일 수 있으며, 특히, 편광판(100)이 디스플레이 기기의 디스플레이부에 결합될 때 이형필름(200)의 제1 부분(220)이 디스플레이부에 결합될 수 있도록 이형필름(200)의 제1 부분(220)은 디스플레이 기기의 디스플레이부에 대응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그리고, 이형필름(200)의 제2 부분(230)은,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부를 감싸는 적어도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테두리부일 수 있다. 이형필름(200)의 제2 부분(230)이 하나 또는 그 이상으로 마련되는 것은 전술한 본 발명에 따른 편광판 조립체(10)의 설명과 공통되므로, 전술한 설명으로 대체한다.
도 5(a) 및 도 5(b)를 참조하면, 이형필름(200)의 제1 부분(220), 예를 들어, 이형필름(200)의 중심을 포함하는 중심부가 편광판 조립체(10)로부터 제거된다. 이형필름(200)의 중심부가 편광판 조립체(10)로부터 제거되면, 이형필름(200)의 중심부가 있던 편광판(100)의 중심부에는 이형필름(200)에 부착되어 있던 점착층(130)이 외부로 드러나게 되어 디스플레이 패널(400)에 부착될 수 있는 상태가 된다. 그러나, 이형필름(200)의 제2 부분(230),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부를 감싸는 테두리부는 편광판(100)으로부터 제거되지 않고 편광판(100)의 테두리부에 여전히 부착되어 있으므로, 이형필름(200)의 테두리부가 있던 편광판(100)의 테두리부에는 점착층(130)이 외부로 드러나지 않게 된다. 한편, 이형필름(200)의 제1 부분(220), 예를 들어, 이형필름(200)의 중심부의 면적이나 형상은 필요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도 6(a) 및 도 6(b)을 참조하면, 이형필름(200)의 제1 부분(220), 예를 들어, 이형필름(200)의 중심부가 제거된 편광판 조립체(10)가 디스플레이 패널(400)의 적어도 일면에 점착층(130)을 이용하여 부착된다. 이 경우, 이형필름(200)의 제1 부분(220), 예를 들어, 이형필름(200)의 중심부에 대응되는 편광판(100) 부분은 디스플레이 패널(400)에 부착되지만, 이형필름(200)의 제2 부분(230), 예를 들어, 이형필름(200)의 테두리부에 대응되는 편광판(100)의 부분에는 여전히 이형필름(200)이 부착되어 있으므로, 이형필름(200)의 테두리부에 대응되는 편광판(100)의 부분은 디스플레이 패널(400)에 부착되지 않는다. 즉, 편광판(100)의 중심부는 디스플레이 패널(400)에 부착된 상태지만, 편광판(100)의 테두리부는 이형필름(200)에 의해 디스플레이 패널(400)에 부착되지 않은 상태가 된다.
도 7(a) 및 도 7(b)을 참조하면, 이형필름(200)의 제1 부분(220), 예를 들어, 이형필름(200)의 중심부와, 이형필름(200)의 제2 부분(230), 예를 들어, 이형필름(200)의 테두리부를 구분하는 구분선(210)을 따라 다양한 종류의 나이프 또는 레이저에 의해 편광판(100)이 절단된다. 레이저를 이용한 편광판 절단방식은 스캐너 타입(Scanner Type) 또는 노즐 타입(Nozzle Type)으로 마련될 수 있다. 스캐너 타입의 레이저는 X축 내지 Y축 방향으로 이동하는 리니어 스테이지(Linear Stage)에 스캐너가 장착되며, 절단 크기에 무관하게 가공이 가능하다. 그리고, 노즐 타입의 레이저는 반사 미러와 포커스 렌즈가 고정되며, 편광판이 X축 내지 Y축의 스테이지에 고정된 후 스테이지의 이동에 의해 가공이 가능하다. 편광판의 절단 크기 내지 절단 특성 등을 고려하여 레이저는 스캐너 타입 또는 노즐 타입 중 적어도 하나를 사용할 수 있다. 특히, 레이저는 파장 9.0μm~11.0μm의 CO2 레이저이거나, 또는, 파장 5.0μm~6.0μm의 CO 레이저이거나, 또는, 파장 3.0μm~4.0μm의 UV 레이저일 수 있다.
여기서, 구분선(210)은 이형필름(200)의 제1 부분(220)과 제2 부분(230)을 구획하는 절취선(500)을 포함할 수 있는데, 구분선(210)을 따라 편광판(100)을 절단하게 되면 절취선(500)에 의해 이미 절단되어 있는 이형필름(200)의 제2 부분(230)과, 이형필름(200)의 제2 부분(230)에 상응하며 구분선(210)에 의해 절단된 편광판(100)이 함께 제거될 수 있다. 즉, 이형필름(200)은 절취선(500)에 의해 이미 절단되어 있는 상태이므로, 절취선(500)으로 마련될 수 있는 구분선(210)을 따라 편광판(100)을 절단하는 것만으로도 이형필름(200)의 제2 부분(230), 예를 들어, 이형필름(200)의 테두리부와 이에 상응하는 편광판(100)의 테두리부를 함께 제거할 수 있게 된다.
도 8(a) 및 도 8(b)을 참조하면, 이형필름(200)의 제2 부분(230), 즉, 이형필름(200)의 테두리부는 편광판(100)의 점착층(130)에 의해 편광판(100)에 부착된 상태에서 편광판(100)과 함께 제거되며, 편광판(100)의 테두리부는 디스플레이 패널(400)에 부착된 적이 없으므로, 디스플레이 패널(400)의 테두리부에는 편광판(100)의 점착제가 존재하지 않게 된다. 따라서, 본 실시예의 경우, 점착제에 의한 디스플레이 패널(400)의 오염을 방지할 수 있으며, 디스플레이 패널(400)에 편광판(100)을 부착 후 편광판(100)의 불필요한 부분을 제거하므로, 운반되는 과정에서 온도 내지 습도에 따라 편광판(100)의 크기가 변화되는 것을 방지하여 치수 정밀도를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한편, 도 6(b) 및 도 7(b)에서 편광판(100)의 중심 부분의 점착층(130)이 디스플레이 패널(400)로부터 떨어지도록 도시되어 있지만, 이는 발명을 보다 명확하게 이해하기 위해 도면을 과도하게 크고 두껍게 도시한 결과 이와 같이 표현된 것이며, 실제로는 편광판(100)의 중심 부분의 점착층(130)에 의해 편광판(100)의 중심 부분이 디스플레이 패널(400)에 부착되어져 있음을 밝혀 둔다.
한편, 디스플레이 모듈은, 전기적인 신호를 영상으로 표시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 패널(400)에 편광판(100)이 부착되어 제조될 수 있는데,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모듈은, 액정 표시 장치(Liquid crystal display, LCD),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Plasma Display Panel, PDP), 유기EL(Organic Light Emitting Diode, OLED)이 해당될 수 있으며, 전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모듈 제조 방법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기기는, TV나 컴퓨터, 모니터 등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모듈 제조 방법에 의해 제조된 디스플레이 모듈이 구비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10 : 편광판 조립체 100 : 편광판
110 : 편광막 120 : 보호지지막
130 : 점착층 200 : 이형필름
210 : 구분선 220 : 제1 부분
230 : 제2 부분 300 : 보호필름
400 : 디스플레이 패널 500 : 절취선

Claims (9)

  1. (a) 제1 부분과 제2 부분으로 구분하는 구분선이 형성된 이형필름이 점착층에 의해 합지된 편광판 조립체를 준비하는 단계;
    (b) 상기 이형필름의 제1 부분을 편광판 조립체로부터 제거하는 단계;
    (c) 상기 이형필름의 제1 부분이 제거된 편광판 조립체를 디스플레이 패널의 적어도 일면에 상기 점착층을 이용하여 부착시키는 단계; 및
    (d) 상기 구분선을 따라 편광판을 절단하여 상기 이형필름의 제2 부분에 상응하는 편광판과 상기 이형필름의 제2 부분을 제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모듈 제조 방법.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구분선은 상기 이형필름의 제1 부분과 제2 부분을 구획하는 절취선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모듈 제조 방법.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d) 단계는 레이저 또는 나이프를 이용하여 상기 편광판을 절단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모듈 제조 방법.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부분은 디스플레이 기기의 디스플레이부에 대응되고, 상기 제2 부분은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감싸는 적어도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테두리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모듈 제조 방법.
  5.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4 중 어느 한 항의 방법에 의해 제조된 디스플레이 모듈.
  6. 청구항 5의 디스플레이 모듈을 구비하는 디스플레이 기기.
  7. 구분선에 의해 제1 부분과 제2 부분으로 구분되고 점착층에 의해 편광판에 탈착 및 부착 가능하게 마련된 이형필름을 포함하는 편광판 조립체.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구분선은 절취선에 의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광판 조립체.
  9.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이형필름의 제1 부분은 상기 편광판이 부착될 디스플레이 패널의 디스플레이부에 상응하고, 디스플레이부에 부착되기 전에 상기 편광판으로부터 제거될 수 있도록 구성되고,
    상기 이형필름의 제2 부분은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감싸는 적어도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테두리부를 구성하고, 상기 편광판 조립체가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에 부착된 후 상기 구분선을 따라 절취되어 제거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광판 조립체.
KR1020150161245A 2015-11-17 2015-11-17 디스플레이 모듈 제조 방법 및 편광판 조립체 KR10200839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61245A KR102008390B1 (ko) 2015-11-17 2015-11-17 디스플레이 모듈 제조 방법 및 편광판 조립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61245A KR102008390B1 (ko) 2015-11-17 2015-11-17 디스플레이 모듈 제조 방법 및 편광판 조립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57731A true KR20170057731A (ko) 2017-05-25
KR102008390B1 KR102008390B1 (ko) 2019-10-21

Family

ID=590510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61245A KR102008390B1 (ko) 2015-11-17 2015-11-17 디스플레이 모듈 제조 방법 및 편광판 조립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08390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445000A (zh) * 2019-01-03 2019-03-08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保护膜及母膜、偏光片组件及制备方法、母片组件、显示模组的制备方法
CN111025712A (zh) * 2018-10-10 2020-04-17 三星显示有限公司 液晶显示装置及其制造方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64250A (ko) 2008-12-04 2010-06-14 주식회사 엘지화학 편광판의 부착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KR20130025113A (ko) * 2011-09-01 2013-03-11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평판 표시장치의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64250A (ko) 2008-12-04 2010-06-14 주식회사 엘지화학 편광판의 부착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KR20130025113A (ko) * 2011-09-01 2013-03-11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평판 표시장치의 제조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025712A (zh) * 2018-10-10 2020-04-17 三星显示有限公司 液晶显示装置及其制造方法
CN109445000A (zh) * 2019-01-03 2019-03-08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保护膜及母膜、偏光片组件及制备方法、母片组件、显示模组的制备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08390B1 (ko) 2019-10-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09657B1 (ko) 플렉서블 표시패널 및 이의 제조방법, 영상표시 단말기
US8854803B2 (en) Buffer assembly and application method thereof
KR102307693B1 (ko) 표시패널 및 이의 제조방법
CN110945095B (zh) 双面带粘合剂的光学膜、及图像显示装置
JP2009036842A (ja) 表示装置
JP2005250437A (ja) 干渉ディスプレイプレートおよびその製造方法
WO2010116569A1 (ja) 表示装置およびその製造方法
US20150086063A1 (en) Speaker and display having same
JP2008286860A (ja) 表示装置
CN105278138A (zh) 液晶显示装置
JP2007047693A (ja) フラットパネル型表示装置のフレーム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20170057731A (ko) 디스플레이 모듈 제조 방법 및 편광판 조립체
JP2006317865A (ja) 表示装置の製造方法及び面状部材
US20180129102A1 (en)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producing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JP2001108830A (ja) 光学フィルム
KR101753775B1 (ko) 액정 표시 장치 및 그 제조방법
KR100932041B1 (ko) 편광필름 커팅방법 및 이에 사용되는 편광필름 커팅장치
JP7127566B2 (ja) 液晶デバイスの製造方法
CN104465528A (zh) 柔性基板的制备方法和柔性基板预制组件
JP2002055328A (ja) 液晶表示装置
JP2020046466A (ja) 液晶表示装置の製造方法及び液晶表示装置
JP2010032951A (ja) 表示装置
JP2007118486A (ja) 光学フィルム及びこの光学フィルムを備えた表示装置
JP2019109396A (ja) 表示パネルの製造方法
JP2018169475A (ja) 画像表示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