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57414A - 광학 보상 소자 조정 기구 및 프로젝터 - Google Patents

광학 보상 소자 조정 기구 및 프로젝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57414A
KR20170057414A KR1020177010818A KR20177010818A KR20170057414A KR 20170057414 A KR20170057414 A KR 20170057414A KR 1020177010818 A KR1020177010818 A KR 1020177010818A KR 20177010818 A KR20177010818 A KR 20177010818A KR 20170057414 A KR20170057414 A KR 2017005741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ptical compensation
compensation element
optical
holding
l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70108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카즈유키 이이누마
Original Assignee
세이코 엡슨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세이코 엡슨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세이코 엡슨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claimed from PCT/JP2015/005345 external-priority patent/WO2016067580A1/ja
Publication of KR201700574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5741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9/00Details of colour television systems
    • H04N9/12Picture reproducers
    • H04N9/31Projection devices for colour picture display, e.g. using electronic spatial light modulators [ESLM]
    • H04N9/3141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 H04N9/317Convergence or focusing system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21/00Projectors or projection-type viewers; Accessories therefor
    • G03B21/14Details
    • G03B21/147Optical correction of image distortions, e.g. keystone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0025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for optical correction, e.g. distorsion, aberration
    • G02B27/0068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for optical correction, e.g. distorsion, aberration having means for controlling the degree of correction, e.g. using phase modulators, movable element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308Support structures for LCD panels, e.g. frames or bezel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02F1/133528Polariser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02F1/13363Birefringent elements, e.g. for optical compensation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21/00Projectors or projection-type viewers; Accessories therefor
    • G03B21/005Projectors using an electronic spatial light modulator but not peculiar thereto
    • G03B21/006Projectors using an electronic spatial light modulator but not peculiar thereto using LCD'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21/00Projectors or projection-type viewers; Accessories therefor
    • G03B21/14Detail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21/00Projectors or projection-type viewers; Accessories therefor
    • G03B21/14Details
    • G03B21/145Housing details, e.g. position adjustments thereof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21/00Projectors or projection-type viewers; Accessories therefor
    • G03B21/14Details
    • G03B21/16Cooling; Preventing overheating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33/00Colour photography, other than mere exposure or projection of a colour film
    • G03B33/10Simultaneous recording or projection
    • G03B33/12Simultaneous recording or projection using beam-splitting or beam-combining systems, e.g. dichroic mirror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rojection Apparatus (AREA)
  • Transforming Electric Information Into Light Information (AREA)

Abstract

광학 보상 소자의 기울기를 고정밀도로 조정할 수 있는 광학 보상 소자 조정 기구 및 프로젝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의 하나로 한다. 액정 패널을 광학적으로 보상하는 광학 보상 소자와, 액정 패널에 대한 광학 보상 소자의 각도를 조정하는 조정 프레임을 구비하는 광학 보상 소자 조정 기구로서, 조정 프레임은, 광학 보상 소자를 보유지지하는 대략 직사각형의 보유지지부와, 보유지지부의 대각이 되는 위치로부터 각각 보유지지부에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장하고, 조정 프레임이 부착되는 제1 보유지지 부재에 각각 고정되는 한 쌍의 고정부와, 한 쌍의 고정부로부터 떨어진 위치에 배치되어, 한 쌍의 고정부를 연결하는 가상선을 중심으로 하여 보유지지부를 경사시킴으로써, 광학 보상 소자를 경사시키는 조정부를 갖는다.

Description

광학 보상 소자 조정 기구 및 프로젝터{OPTICAL COMPENSATION ELEMENT ADJUSTING MECHANISM AND PROJECTOR}
본 발명은, 광학 보상 소자 조정 기구 및 프로젝터에 관한 것이다.
종래, 광원 장치와, 당해 광원 장치로부터 출사된 빛을 변조하는 광 변조 장치와, 변조된 빛을 투사시키는 투사 광학 장치를 구비한 프로젝터가 알려져 있다. 이러한 프로젝터로서, 투영 화상의 콘트라스트를 향상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광 변조 장치로서의 액정 패널의 광 출사측에 광학 보상 소자를 구비한 프로젝터가 제안되고 있다(예를 들면, 특허문헌 1 참조).
이 특허문헌 1에 기재된 프로젝터에서는, 액정 패널에 대하여 광학 보상 소자의 기울기 자세를 조정하는 보상 소자 조정 기구를 구비하고 있다.
구체적으로, 당해 보상 소자 조정 기구는, 광학 보상 소자를 지지하는 프레임과, 당해 프레임이 부착되는 홀더 부재와, 고정 부재와, 고정용 판금을 구비한다.
이들 중, 프레임에는, 각도 조정에 이용하는 레버 부재가 형성되어 있다.
홀더 부재는, 일방측에 위치하여 액정 패널이 접합되는 제1 접합부와, 타방측에 위치하여 편광 필터가 부착되는 제2 접합부를 갖고, 이들 접합부의 사이에, 상기 프레임이 수납되는 공간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각 접합부를 접속하는 각 측벽부에는, 슬릿 형상의 지지홈이 형성되어 있고, 일방의 지지홈에는, 프레임의 정면 좌하에 형성된 축 부재가 소정의 느슨함을 갖고 끼워맞춤하고, 타방의 지지홈에는, 프레임의 정면 우하에 형성된 축 부재가 동일한 느슨함을 갖고 끼워맞춤한다. 이때, 각각의 축 부재의 단부에 형성된 갈고리부가 협동하여, 광학 보상 소자의 주면(main surface)에 평행한 가로 방향에 관하여 프레임의 움직임을 규제하기 때문에, 프레임이 홀더 부재 내에서 원활하게 회전가능해진다. 이러한 홀더 부재에 있어서의 광 출사측에는, 고정용 판금이 부착된다.
고정 부재는, 홀더 부재의 제1 접합부에 있어서의 상부에 부착된다. 이 고정 부재는, 레일의 역할을 다하는 한 쌍의 돌기부를 갖고, 이들 돌기부에 의해, 상기 레버 부재가 끼워짐으로써, 프레임의 자세가 안정되는 것 외, 프레임이나 광학 보상 소자의 자세의 미조정이 가능해진다.
그리고, 레버 부재에 대한 조작에 의해, 프레임이 회전되고, 광학 보상 소자의 기울기 자세가 조정된 후, 프레임과 홀더 부재가 접착제에 의해 고정된다.
일본공개특허공보 2009-42262호
그러나, 특허문헌 1에 기재된 보상 소자 조정 기구는, 복수의 부재를 조합한 복잡한 구성인 점에서, 당해 보상 소자 조정 기구의 제조 비용이 비교적 높아진다. 이 때문에, 간이한 구성으로, 제조 비용을 저감할 수 있는 구성이 요망되어 왔다.
본 발명은, 간이한 구성으로 광학 보상 소자의 위치를 조정할 수 있는 광학 보상 소자 조정 기구 및 프로젝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의 하나로 한다.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광학 보상 소자 조정 기구는, 광 변조 장치를 광학적으로 보상하는 광학 보상 소자와, 상기 광 변조 장치에 대한 상기 광학 보상 소자의 각도를 조정하는 조정 프레임을 구비하고, 상기 조정 프레임은, 상기 광학 보상 소자를 보유지지하는 대략 직사각형의 보유지지부와, 상기 보유지지부의 대략 대각이 되는 위치로부터 각각 상기 보유지지부에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장하고, 상기 조정 프레임이 부착되는 부착 부재에 각각 고정되는 한 쌍의 고정부와, 상기 한 쌍의 고정부로부터 떨어진 위치에 배치되고, 상기 한 쌍의 고정부를 연결하는 가상선을 중심으로 하여 상기 보유지지부를 경사시킴으로써, 상기 광학 보상 소자를 경사시키는 조정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 실시 형태에 의하면, 조정 프레임은, 광학 보상 소자를 보유지지하는 보유지지부가, 2개의 고정부에 의해 부착 부재에 고정된다. 그리고, 조정부에 의해 보유지지부가 경사짐으로써, 상기 가상선을 회전축으로 하여 보유지지부가 회전되고, 부착 부재에 대한 광학 보상 소자의 경사량이 조정된다. 이에 의하면, 광 변조 장치에 대한 적절한 위치에 배치된 부착 부재에 대하여, 광학 보상 소자를 보유지지하는 보유지지부의 경사량이 조정됨으로써, 광 변조 장치에 대한 광학 보상 소자의 경사량을 적절하게 조정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서는, 조정 프레임은, 일체품으로서 구성할 수 있기 때문에, 복수의 부재를 조합하여 구성되는 경우에 비해, 간이한 구성의 광학 보상 소자 조정 기구를 구성할 수 있다. 따라서, 간이한 구성의 조정 프레임에 의해, 광학 보상 소자의 위치를 조정할 수 있다.
상기 제1 실시 형태에서는, 상기 조정부는, 상기 부착 부재에 대하여 근접하는 방향으로 이동됨으로써, 상기 보유지지부를 경사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 실시 형태에 의하면, 조정부를 부착 부재에 대하여 근접하는 방향으로 이동시킴으로써, 간단하고 용이하게 보유지지부, 나아가서는, 광학 보상 소자의 경사량을 조정할 수 있다. 따라서, 광학 보상 소자의 위치 조정을 간단하고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다.
상기 제1 실시 형태에서는, 상기 조정부는, 상기 부착 부재에 삽입되는 삽입 부재가 삽입 통과하는 구멍부를 갖고, 상기 부착 부재로의 상기 삽입 부재의 삽입량에 따라서 상기 부착 부재에 대한 이동량이 조정됨으로써, 상기 보유지지부의 경사량이 조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삽입 부재로서는, 부착 부재에 나사맞춤(screwing)되는 나사를 예시할 수 있다.
상기 제1 실시 형태에 의하면, 삽입 부재의 삽입량이 증대하면, 조정부가 부착 부재에 대하여 근접하는 방향으로 이동되기 때문에, 광학 보상 소자의 경사량을 간단하고 용이하게 조정할 수 있는 것 외, 당해 삽입량을 조정함으로써, 광학 보상 소자의 위치를 미조정할 수 있다. 따라서, 간단한 구성으로 용이하게 광학 보상 소자의 위치를 조정할 수 있는 것 외, 부착 부재에 조정 프레임을 고정한 후라도, 광학 보상 소자의 위치를 미조정할 수 있다.
상기 제1 실시 형태에서는, 상기 보유지지부는, 상기 조정부에 의해 경사짐으로써, 상기 삽입 부재를 삽입 방향과 반대의 방향으로 탄성 지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 실시 형태에 의하면, 보유지지부는, 삽입 부재의 삽입에 따라서 경사지게 되었을 때에, 삽입 방향과는 반대 방향으로 삽입 부재를 탄성 지지한다. 이에 의해, 보유지지부의 경사량을, 삽입 부재의 삽입량에 따른 값으로 설정할 수 있어, 보유지지부의 경사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상기 제1 실시 형태에서는, 상기 조정부는, 상기 보유지지부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고정부의 배치 위치와는 상이한 각부(corner portion) 근방에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 실시 형태에서는, 대략 직사각형 형상의 보유지지부의 대각의 관계에 있는 2개의 각부에 고정부가 형성되고, 다른 각부 근방에 조정부가 형성되어 있다. 이에 의하면, 가상선으로부터 조정부의 위치가 떨어진다. 이에 의해, 예를 들면, 상기 가상선을 회전축으로 하여 보유지지부를 회전시키는 힘이 조정부에 작용시켰을 때의 토크를 크게 할 수 있기 때문에, 보유지지부를 회전시키기 쉽게 할 수 있다. 따라서, 광학 보상 소자의 위치 조정을 한층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다.
상기 제1 실시 형태에서는, 상기 조정부는, 상기 조정 프레임로부터 외주측으로 연장하도록 형성되고, 상기 조정부는, 상기 부착 부재에 맞닿는 제1 맞닿음부와, 상기 부착 부재에 있어서 상기 광학 보상 소자에 대향하는 면과 대략 평행하게 이동하는 이동 부재가 맞닿음되는 제2 맞닿음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1 맞닿음부는, 가요성(flexibility)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이동 부재로서는, 부착 부재에 나사맞춤되는 나사 등을 예시할 수 있다.
상기 제1 실시 형태에 의하면, 제2 맞닿음부가 이동 부재의 이동에 따라서 이동하고, 제2 맞닿음부의 이동에 따라서 제1 맞닿음부가 휘기 때문에, 예를 들면, 제2 맞닿음부가 최대한 이동 부재에 의해 이동되면, 보유지지부가 최대한 경사진다. 이에 의하면, 간이한 구성의 조정 프레임에 의해, 광학 보상 소자의 위치를 조정할 수 있다. 또한, 이동 부재가 부착 부재의 광학 보상 소자에 대향하는 면과 대략 평행하게 이동하기 때문에, 예를 들면, 이동 부재가 다른 부재(예를 들면, 출사측 편광판)에 의해 덮인 경우에서도, 이동 부재를 이동시킬 수 있다. 따라서, 광학 보상 소자 조정 기구가 조립된 후에도, 보유지지부 및 보유지지부에 보유지지된 광학 보상 소자의 위치를 조정할 수 있다.
상기 제1 실시 형태에서는, 상기 보유지지부의 경사량은, 상기 제2 맞닿음부에 맞닿음된 상태에서의 상기 이동 부재의 이동량에 따라서 조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 실시 형태에 의하면, 광학 보상 소자의 경사량을 간단하고 용이하게 조정할 수 있는 것 외, 당해 이동량을 조정함으로써, 광학 보상 소자의 위치를 미조정할 수 있다. 따라서, 간단한 구성으로 용이하게 광학 보상 소자의 위치를 조정할 수 있는 것 외, 부착 부재에 조정 프레임을 고정한 후에도, 광학 보상 소자의 위치를 미조정할 수 있다.
상기 제1 실시 형태에서는, 상기 조정 프레임은, 상기 조정부를 한 쌍 갖고, 한 쌍의 상기 조정부는, 상기 부착 부재측에서 보아, 상기 광학 보상 소자의 중심에 대하여 대략 점 대칭이 되는 위치에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에서, 이러한 광학 보상 소자 조정 기구가 프로젝터에 이용되는 경우, 적색광용 액정 패널, 녹색광용 액정 패널 및 청색광용 액정 패널 중, 녹색광용 액정 패널은, 다른 액정 패널과는 상이하게, 당해 액정 패널에 입사된 빛을 반전시킬 필요가 있기 때문에, 당해 녹색광용 액정 패널에 대응하는 광학 보상 소자 조정 기구의 광학 보상 소자를 경사시키는 회전축을 상이하게 할 필요가 있다. 이 때문에, 종래의 광학 보상 조정 기구에서는, 적색광용 및 청색광용 액정 패널에 대응하는 광학 보상 소자 조정 기구와, 녹색광용 액정 패널에 대응하는 광학 보상 소자 조정 기구를 각각 형성할 필요가 있다.
이에 대하여, 상기 제1 실시 형태에 의하면, 한 쌍의 조정부가 광학 보상 소자의 중심에 대하여 대략 점 대칭으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당해 조정 프레임을 180° 회전시킴으로써, 광학 보상 소자의 회전축을 상이하게 할 수 있다. 따라서, 모든 액정 패널의 각각에 대응하는 광학 보상 소자 조정 기구에 있어서, 동일한 조정 프레임을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제조 비용을 저감할 수 있다.
상기 제1 실시 형태에서는, 상기 제2 맞닿음부는, 상기 제1 맞닿음부가 상기 부착 부재로부터 받는 반력에 의해, 상기 이동 부재를 탄성 지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 실시 형태에 의하면, 제2 맞닿음부는, 이동 부재의 이동에 따라서 이동되었을 때에, 제1 맞닿음부가 부착 부재로부터 받는 반력에 의해 이동 방향과는 반대 방향으로 제2 맞닿음부를 탄성 지지한다. 이에 의해, 보유지지부의 경사량을, 이동 부재의 이동량에 따른 값으로 설정할 수 있어, 보유지지부의 경사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상기 제1 실시 형태에서는, 상기 가상선은, 상기 보유지지부에 보유지지된 상기 광학 보상 소자의 각 변에 대하여 대략 45° 경사지는 직선인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에서, 상기 광 변조 장치가 VA(Vertical Alignment) 방식의 액정 패널인 경우, 광학 보상 소자의 광학축(느린축)은, 대략 직사각형의 광학 보상 소자의 각 변(단연(end edge))에 대하여 대략 45° 경사진다.
이에 대하여, 상기 제1 실시 형태에 의하면, 고정부 사이를 접속하는 가상선이, 광학 보상 소자의 각 변에 대하여 대략 45° 경사지는 직선임으로써, 광학 보상 소자의 느린축을 회전축으로 하여, 당해 광학 보상 소자를 회전시킬 수 있다. 따라서, 광 변조 장치에 대하여 광학 보상 소자의 위치를 적절하게 그리고 확실하게 조정할 수 있다.
또한, 가상선이 광학 보상 소자의 각 변에 대하여 대략 45° 경사진다는 것은, 당해 가상선의 경사각이, 45°를 중심으로 하여, 광학 보상 소자를 소망하는 정밀도로 위치 결정 가능한 각도 범위에 포함되는 것을 의미한다.
상기 제1 실시 형태에서는, 상기 부착 부재는, 상기 한 쌍의 고정부가 걸어맞춤되는 복수의 걸어맞춤부를 구비하고, 상기 한 쌍의 고정부 및 상기 복수의 걸어맞춤부는, 서로 걸어맞춤하는 절결을 각각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 실시 형태에 의하면, 부착 부재의 복수의 걸어맞춤부 중 어느 하나와, 한 쌍의 고정부의 걸어맞춤부가 걸어맞춤함으로써, 당해 걸어맞춤 개소를 지점(fulcrum)으로 하여 보유지지부가 경사진다. 이에 의해, 적어도 2개의 지점을 중심으로 하는 회전축을 중심으로 하여 광학 보상 소자를 회전시킬 수 있다. 따라서, 광 변조 장치에 대하여 광학 보상 소자의 위치를 적절하게 그리고 확실하게 조정할 수 있다.
상기 제1 실시 형태에서는, 상기 한 쌍의 고정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상기 보유지지부로부터 굴곡하는 굴곡부와, 상기 굴곡부의 선단으로부터 상기 보유지지부와 대략 평행하게 연장하고, 상기 부착 부재에 고정되는 고정 본체부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 실시 형태에 의하면, 한 쌍의 고정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보유지지부로부터 굴곡하는 굴곡부와, 당해 굴곡부의 선단측으로부터 연장하는 고정 본체부를 갖고, 고정부는, 당해 고정 본체부에서 부착 부재에 고정된다. 이에 의하면, 굴곡부가 휨으로써, 보유지지부를 경사시키기 쉽게 할 수 있다. 따라서, 광학 보상 소자의 위치 조정을 한층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2 실시 형태에 따른 프로젝터는, 광원 장치와, 상기 광원 장치로부터 출사된 빛을 변조하는 광 변조 장치와, 상기 광 변조 장치에 의해 변조된 빛을 투사하는 투사 광학 장치와, 상기 제1 실시 형태의 광학 보상 소자 조정 기구를 구비하고, 상기 광학 보상 소자 조정 기구는, 상기 광 변조 장치와 상기 투사 광학 장치의 사이에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2 실시 형태에 의하면, 상기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광학 보상 소자 조정 기구와 동일한 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 또한, 이에 의해, 광 변조 장치를 광학적으로 적절하게 그리고 확실하게 보상할 수 있기 때문에, 투사되는 화상의 콘트라스트를 향상할 수 있다.
상기 제2 실시 형태에서는, 상기 광 변조 장치는, 입사되는 빛을 변조하는 액정 패널과, 상기 액정 패널이 광 입사측에서 보유지지되는 보유지지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보유지지 부재는, 상기 부착 부재이고, 상기 보유지지 부재의 광 출사측의 면에는, 상기 한 쌍의 고정부가 고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2 실시 형태에 의하면, 액정 패널을 광 입사측에서 보유지지하는 보유지지 부재는, 조정 프레임의 고정부가 고정되는 부착 부재이다. 따라서, 보유지지 부재에 대하여 광학 보상 소자의 위치(경사량)를 조정함으로써, 광 변조 장치에 대한 경사량을 확실하게 조정할 수 있다.
상기 제2 실시 형태에서는, 상기 광 변조 장치와 상기 투사 광학 장치의 사이에 배치되는 편광판과, 당해 프로젝터의 냉각 대상이 되는 부재로 냉각풍을 송출하는 냉각 장치를 구비하고, 상기 조정 프레임은, 상기 냉각 장치로부터 송풍된 냉각풍을 상기 편광판을 향하여 유통시키는 정류부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2 실시 형태에 의하면, 조정 프레임은, 편광판을 향하여 냉각풍을 유통시키는 정류부를 구비한다. 이에 의하면, 조정부를 향하여 유통한 냉각풍을, 편광판을 향하게 할 수 있다. 따라서, 편광판을 효율 좋게 냉각할 수 있다.
상기 제2 실시 형태에서는, 상기 조정부에 의한 상기 광학 보상 소자가 경사지기 전에 있어서, 상기 광 변조 장치로부터 출사되는 빛의 중심축은, 상기 광학 보상 소자의 중심으로부터 떨어진 위치를 투과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에서, 광학 보상 소자는, 상기 가상선을 회전축으로 하여 회전되고, 광 변조 장치에 대하여 경사진다. 이 경우, 광학 보상 소자는, 상기 한 쌍의 고정부에 따른 대각과는 상이한 대각의 일방이 광 변조 장치에 가까워지고, 타방이 떨어지는 방향으로 경사진다.
한편, 광 변조 장치로부터 출사된 빛이, 당해 빛의 진행 방향을 향함에 따라 확대되는 경우, 광 변조 장치로부터 떨어진 광학 보상 소자의 각부측을 통과하는 빛은, 광 변조 장치에 가까운 광학 보상 소자의 각부측을 통과하는 빛보다도 외측으로 확대된다.
가령, 광 변조 장치로부터 출사되는 빛의 중심축과, 광학 보상 소자의 중심이 일치하도록 당해 광학 보상 소자를 배치함과 함께, 광 변조 장치로부터 출사된 빛의 모두가 광학 보상 소자에 입사되도록 당해 광학 보상 소자를 형성 및 배치한다. 이 경우, 광학 보상 소자를 경사시켰을 때에, 광 변조 장치에 가까운 광학 보상 소자의 각부에 있어서, 빛이 입사되지 않는 영역이 커진다. 즉, 광학 보상 소자가 대형이 된다.
이에 대하여, 상기 제2 실시 형태에 의하면, 광 변조 장치로부터 출사되는 빛의 중심축이, 광학 보상 소자의 중심과 어긋나 있다. 이 때문에, 예를 들면, 광학 보상 소자의 경사시에 있어서, 광 변조 장치에 가까운 각부측의 위치를 통과하도록 구성함으로써, 빛이 입사되지 않는 상기 영역을 작게 할 수 있다. 따라서, 광학 보상 소자 및 보유지지부를 소형화할 수 있기 때문에, 광학 보상 소자 조정 기구, 나아가서는, 프로젝터를 소형화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프로젝터의 구성을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2는 상기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전기 광학 장치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상기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광학 보상 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4는 상기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광학 보상 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5는 상기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광학 보상 장치의 조정 프레임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6은 상기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광학 보상 장치의 조정 프레임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7은 상기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액정 패널로부터의 광속의 중심축 상에 광학 보상 소자의 중심이 위치하는 경우의, 액정 패널로부터의 광속이 광학 보상 소자를 투과하는 범위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8은 상기 제1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액정 패널로부터의 광속이 광학 보상 소자를 투과하는 범위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9는 상기 제1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냉각 공기의 흐름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0은 상기 제2 실시 형태에 따른 전기 광학 장치를 구성하는 화상 형성부를 빛의 입사 방향측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 11은 상기 제2 실시 형태에 따른 화상 형성부를 빛의 출사 방향측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 12는 상기 제2 실시 형태에 따른 화상 형성부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3은 상기 제2 실시 형태에 따른 입사측 편광판, 광학 보상 장치 및 제1 보유지지 부재를 빛의 출사 방향측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 14는 상기 제2 실시 형태에 따른 광학 보상 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5는 상기 제2 실시 형태에 따른 광학 보상 장치를 구성하는 조정 프레임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6은 상기 제2 실시 형태에 따른 조정 프레임을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17은 상기 제2 실시 형태에 따른 광학 보상 장치를 구성하는 부착 부재의 사시도이다.
도 18은 상기 제2 실시 형태에 따른 부착 부재에 조정 프레임 및 나사가 부착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9는 상기 제2 실시 형태에 따른 조정 프레임이 경사질 때의 회전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0은 상기 제2 실시 형태에 따른 조정 프레임이 최대한 경사진 상태의 광학 보상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1은 상기 제2 실시 형태에 따른 조정 프레임이 경사질 때의 회전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2는 상기 제2 실시 형태에 따른 광학 보상 장치의 냉각 공기의 흐름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형태)
[제1 실시 형태]
[프로젝터의 개략 구성]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프로젝터(1)의 구성을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본 실시 형태에 따른 프로젝터(1)는, 내부에 설치된 광원 장치(31)로부터 출사된 빛을 변조하여 화상 정보에 따른 화상을 형성하고, 당해 화상을 스크린 등의 피투사면(도시 생략)에 확대 투사하는 화상 표시 장치이다. 이 프로젝터(1)는,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당해 프로젝터(1)의 외장을 구성하는, 평면에서 보아 대략 직사각형 형상의 외장 케이스체(2)와, 당해 외장 케이스체(2) 내에 수납 배치되는 광학 유닛(3)을 구비한다. 이 외에, 프로젝터(1)는, 당해 프로젝터(1)를 제어하는 제어 장치(도시 생략), 당해 프로젝터(1)를 구성하는 전자 부품에 전력을 공급하는 전원 장치(도시 생략), 및, 프로젝터(1)를 구성하는 부재 중 냉각 대상이 되는 부재를 냉각하는 냉각 장치(CU)를 구비한다.
[외장 케이스체의 구성]
외장 케이스체(2)는, 프로젝터(1)의 천면(top surface)(도시 생략), 정면(2B), 배면(2C), 좌측면(2D), 우측면(2E) 및 저면(bottom surface)(도시 생략)을 형성하고, 당해 저면에는, 도시를 생략했지만, 복수의 다리부가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저면이 연직 방향 하방을 향하도록 배치됨으로써, 프로젝터(1)는 정배치 자세가 되고, 또한, 정배치 자세와는 상하를 반대로 하여 저면이 연직 방향 상방을 향하도록 배치됨으로써, 프로젝터(1)는, 역배치 자세가 된다.
[광학 유닛의 구성]
광학 유닛(3)은, 전술한 제어 장치로부터 입력되는 신호에 따른 화상을 형성 및 투사한다. 이러한 광학 유닛(3)은, 광원 장치(31), 조명 광학 장치(32), 색 분리 장치(33), 릴레이 장치(34), 전기 광학 장치(35), 투사 광학 장치(36) 및 광학 부품용 케이스체(37)를 구비하고, 이들은 조명 광축(AX)(설계상의 광축)에 따라서 배치되어 있다.
광원 장치(31)는, 조명 광학 장치(32)에 빛을 출사한다. 이 광원 장치(31)는, 본 실시 형태에서는, 초고압 수은 램프 등의 광원 램프(311), 리플렉터(312) 및 평행화 렌즈(313)를 구비한다. 그러나, 이러한 구성에 한정하지 않고, 광원 램프를 대신하여, LED(Light Emitting Diode)나 LD(Laser Diode) 등의 고체 광원을 채용해도 좋다.
조명 광학 장치(32)는, 광원 장치(31)로부터 출사된 광속의 중심축에 대한 직교면 내의 조도를 균일화한다. 이 조명 광학 장치(32)는, 한 쌍의 멀티 렌즈(321, 322)와, 편광 변환 소자(323)와, 중첩 렌즈(324)를 구비한다.
색 분리 장치(33)는, 조명 광학 장치(32)로부터 입사되는 광속을, 적, 녹 및 청의 3개의 색광으로 분리한다. 이 색 분리 장치(33)는, 다이크로익 미러(331, 332) 및 반사 미러(333)를 갖는다.
릴레이 장치(34)는, 녹색광 및 청색광의 광로보다 긴 적색광의 광로 상에 설치되고, 빛의 손실을 억제하면서, 적색광을 적색광용의 필드 렌즈(351)에 입사시킨다. 이 릴레이 장치(34)는, 입사측 렌즈(341), 릴레이 렌즈(343) 및 반사 미러(342, 344)를 갖는다.
전기 광학 장치(35)는, 입사되는 적, 녹 및 청의 각 색광을 색광마다 변조한 후, 당해 각 색광을 합성하여 화상을 형성한다. 전기 광학 장치(35)는, 각각 각 색광에 따라서 설치된 3개의 필드 렌즈(351), 3개의 입사측 편광판(352), 광 변조 장치로서의 3개의 액정 패널(353)(적색광용, 녹색광용 및 청색광용의 액정 패널을 각각 353R, 353G, 353B로 함), 3개의 광학 보상 장치(5), 및, 3개의 출사측 편광판(354)과, 색 합성 장치로서의 크로스 다이크로익 프리즘(355)을 구비한다.
도 2는, 전기 광학 장치(35)의 구성을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또한, 도 2에 있어서는, 청색광 및 적색광용의 액정 패널(353B, 353R), 광학 보상 장치(5), 출사측 편광판(354), 제1 보유지지 부재(41) 및 제2 보유지지 부재(42)의 도시를 생략하고 있다.
이러한 전기 광학 장치(35)의 구성 중, 액정 패널(353), 광학 보상 장치(5), 출사측 편광판(354) 및 크로스 다이크로익 프리즘(355)은,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1 보유지지 부재(41) 및 제2 보유지지 부재(42)에 의해 일체화되어 있다.
구체적으로, 제1 보유지지 부재(41)의 광 입사측의 면(41A)에는, 액정 패널(353)이 부착되고, 광 출사측의 면(41B)에는, 광학 보상 장치(5)가 부착된다. 이 제1 보유지지 부재(41)의 대략 중앙에는, 도시를 생략하지만, 액정 패널(353)을 통과하여 광학 보상 장치(5)에 입사되는 빛이 통과하는 개구부가 형성되어 있다.
제2 보유지지 부재(42)는, 출사측 편광판(354)을 개재하여 크로스 다이크로익 프리즘(355)에 있어서 대응하는 광 입사면에 고정된다. 이 제2 보유지지 부재(42)의 대략 중앙에는, 광학 보상 장치(5)를 통과한 빛을 출사측 편광판(354)에 입사시키는 개구부(421)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제2 보유지지 부재(42)의 네 모퉁이에는, 광 입사측으로 돌출하는 돌출부(422)가 형성되어 있고, 이들 돌출부(422)는, 제1 보유지지 부재(41)의 네 모퉁이에 형성된 대략 직사각형 형상의 구멍부(411)에 삽입된다. 그리고, 이들 구멍부(411)에 돌출부(422)를 삽입한 후, 당해 구멍부(411)에 접착제를 주입하여 고정함으로써, 상기 구성이 제1 보유지지 부재(41) 및 제2 보유지지 부재(42)에 의해 일체화된다.
이러한 전기 광학 장치(35)에 있어서, 액정 패널(353)은, 본 실시 형태에서는, VA 방식의 액정 패널이 채용되고 있다.
또한, 광학 보상 장치(5)는, 액정 패널(353)과 출사측 편광판(354)의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이 광학 보상 장치(5)는, 액정 패널(353)에서 발생하는 복굴절에 의한 정상광과 이상광의 사이에 발생하는 위상차를 보상하여, 액정 패널(353)의 명시(bright view) 특성을 개선하는 것이다. 이 광학 보상 장치(5)의 구성에 대해서는, 후에 상술한다.
도 1로 돌아와, 투사 광학 장치(36)는, 크로스 다이크로익 프리즘(355)으로부터 입사되는 각 색광(상기 화상광)을, 상기 피투사면 상에 확대 투사한다. 이러한 투사 광학 장치(36)로서는, 경통(lens barrel)과 당해 경통 내에 배치되는 복수의 렌즈를 구비한 조립 렌즈를 예시할 수 있다.
광학 부품용 케이스체(37)는, 내부에 설정된 조명 광축(AX)에 대한 소정 위치에 각 장치(31∼34)를 수납 배치한다.
[광학 보상 장치의 구성]
도 3 및 도 4는, 광학 보상 장치(5)를 광 출사측에서 본 사시도이다. 이들 중, 도 3은, 광학 보상 장치(5)를 외장 케이스체(2)의 천면측에서 본 사시도이고, 도 4는, 외장 케이스체(2)의 저면측에서 본 사시도이다.
각각의 광학 보상 장치(5)는, 본 발명의 광학 보상 소자 조정 기구를 포함하는 장치이고, 상기와 같이, 대응하는 액정 패널(353)을 광학적으로 보상한다. 이들 광학 보상 장치(5)는, 각각, 도 3 및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대응하는 액정 패널(353)을 보유지지하는 상기 제1 보유지지 부재(41)의 광 출사측의 면(41B)에 부착된다.
이러한 광학 보상 장치(5)는, 광학 보상 소자(51)와, 당해 광학 보상 소자(51)를 보유지지함과 함께, 면(41B)(나아가서는, 대응하는 액정 패널(353))에 대하여 광학 보상 소자(51)의 기울기를 조정하는 조정 프레임(52)을 구비한다.
[광학 보상 소자의 구성]
광학 보상 소자(51)는, 광속이 액정 패널(353)에 경사 방향 입사(액정 패널(353)의 광속 입사면의 법선 방향에 대하여 경사지게 입사)한 경우에, 당해 액정 패널(353)에서 발생하는 복굴절에 의한 정상광과 이상광의 사이에 발생하는 위상차를 보상한다. 이 광학 보상 소자(51)의 광학축(느린축)은, 대략 직사각형의 당해 광학 보상 소자(51)의 각각의 단연에 대하여 대략 45° 경사져 있다.
이러한 광학 보상 소자(51)로서는, 예를 들면, 트리아세틸셀룰로오스(TAC) 등의 투명 지지체 상에 배향막을 개재하여 디스코텍(원반 형상) 화합물층을 형성한 것에 의해 구성할 수 있고, WV 필름(후지 필름사 제조)을 채용할 수 있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서는, Z 방향은, 각각의 색광에 있어서, 액정 패널(353)로부터 크로스 다이크로익 프리즘(355)을 향하는 빛의 진행 방향을 나타내고, X 방향 및 Y 방향은, 당해 Z 방향으로 직교함과 함께 서로 직교하는 방향을 나타낸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프로젝터(1)가 상기 정상 배치 자세로 배치되고, Z 방향이 수평 방향을 따르는 경우에, Y 방향은, 연직 방향을 따라 아래에서 위를 향하는 방향으로 하고, X 방향은, Z 방향을 따라 본 경우에 수평 방향을 따라 좌에서 우를 향하는 방향으로 한다. 또한, Z 방향측이란, Z 방향에 있어서의 하류측(Z 방향 선단측)을 가리키고, Z 방향과는 반대측이란, Z 방향에 있어서의 상류측(Z 방향 기단측)을 가리킨다. 다른 방향도 동일하다.
[조정 프레임의 구성]
도 5 및 도 6은, 조정 프레임(52)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구체적으로, 도 5는, 조정 프레임(52)을 Z 방향과는 반대측에서, 또한, Y 방향과는 반대측에서 본 사시도이다. 또한, 도 6은, 조정 프레임(52)을 Z 방향측에서 본 평면도이다.
조정 프레임(52)은, 상기 제1 보유지지 부재(41)에 부착되는 것이고, 광학 보상 소자(51)를 보유지지한 상태에서 상기 면(41A)에 대한 각도가 조정됨으로써, 액정 패널(353)에 대한 광학 보상 소자(51)의 기울기를 조정하는 것이다. 이 조정 프레임(52)은, 도 3∼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보유지지부(521), 한 쌍의 고정부(522), 조정부(523) 및 정류부(524)를 구비하고, 판금을 절곡 가공함으로써 형성된다.
[보유지지부의 구성]
보유지지부(521)는, 상기 광학 보상 소자(51)를 보유지지하는 부위이고,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Z 방향을 따라 보아, 대략 직사각형 형상의 외형을 갖는다. 이 보유지지부(521)에 있어서의 Z 방향과는 반대측의 면(광 입사측의 면)에는, 광학 보상 소자(51)가 접착제 등에 의해 고정된다. 이러한 보유지지부(521)는, 대략 중앙에 직사각형 형상의 개구부(5211)를 갖고, 대응하는 액정 패널(353)을 통하여 광학 보상 소자(51)에 입사된 빛은, 당해 개구부(5211)를 통과하여, 상기 출사측 편광판(354)에 입사된다.
[고정부의 구성]
한 쌍의 고정부(522)의 각각은, 도 3∼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보유지지부(521)의 일부를 절곡하여 형성되고, 상기 제1 보유지지 부재(41)의 면(41B)에 나사(도시 생략)에 의해 고정됨으로써, 조정 프레임(52)을 당해 면(41B)에 고정하는 부위이다.
이들 고정부(522)는, 대략 직사각형의 보유지지부(521)의 각부(CR1∼CR4) 중, 당해 보유지지부(521)의 Y 방향측의 각부이고, 또한, X 방향과는 반대측의 각부(CR2)와, 당해 각부(CR2)의 대각이고, 가장 떨어진 각부(CR3)에 있어서의 외연측(out edge side)의 부위, 즉, 각부(CR2, CR3)의 근방에 위치하고 있다. 이러한 고정부(522)는, 각각, 굴곡부(5221) 및 고정 본체부(5222)를 갖는다.
굴곡부(5221)는, Z 방향과는 반대측, 즉, 상기 제1 보유지지 부재(41)를 향하여 보유지지부(521)로부터 굴곡하여 연장하는 부위이고, 각각의 고정부(522)에서, 동일 직선 상에 위치하는 평판 형상의 부위이다. 이러한 굴곡부(5221)는, 가요성을 갖고, 상세하게는 후술하지만, 보유지지부(521)가 경사질 때, 당해 보유지지부(521)의 회전 중심이 된다.
고정 본체부(5222)는, 굴곡부(5221)의 선단이 재차 굴곡되어 형성된 부위이고, 면(41B)과 대략 평행하게 형성되어 있다. 이 고정 본체부(5222)는,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각각의 고정부(522)에 있어서, 보유지지부(521)에 의해 덮여지도록, 각각의 굴곡부(5221)로부터 서로 반대 방향으로 연장하고 있다. 이러한 고정 본체부(5222)에는, 각각 구멍부(5223)(도 5 참조)가 형성되어 있고, 당해 구멍부(5223)를 삽입 통과하는 나사(S1)가, 면(41B)에 고정됨으로써, 조정 프레임(52)이, 제1 보유지지 부재(41)에 고정된다.
[조정부의 구성]
조정부(523)는, 조정 프레임(52)이 부착된 면(41B)에 대하여 보유지지부(521)를 기울어지게 함으로써, 당해 보유지지부(521)에 보유지지된 광학 보상 소자(51)를 기울어지게 하고, 나아가서는, 액정 패널(353)에 대한 광학 보상 소자(51)의 기울기를 조정하는 부위이다. 이 조정부(523)는, 상기 보유지지부(521)의 일부로서 구성되어 있고, 상세히 서술하면, 당해 보유지지부(521)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고정부(522)가 위치하는 각부(CR2, CR3)와는 상이한 각부(CR1)의 근방에 위치하고 있다.
이러한 조정부(523)는, 보유지지부(521)를 관통하는 구멍부(5231)를 갖는다. 그리고, 구멍부(5231)를 삽입 통과하여 제1 보유지지 부재(41)의 면(41B)에 삽입되는나사(S2)의 삽입량을 따라, 당해 면(41B)에 대하여 조정부(523)가 근접하는 방향으로 이동함으로써, 보유지지부(521)를 면(41B)에 대하여 경사지게 하고, 나아가서는, 광학 보상 소자(51)를 경사지게 한다.
즉, 당해 면(41B)에 대하여 근접 또는 이간하는 방향에 있어서의 조정부(523)의 이동량이, 나사(S2)의 삽입량에 따라서 조정됨으로써, 광학 보상 소자(51)의 경사량이 조정된다.
여기에서, 고정부(522)는,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직사각형 형상의 개구부(5211)의 중심(CN1)을 통과하는 가상선(R1) 상에 위치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상세히 서술하면, 상기 굴곡부(5221)는, 당해 가상선(R1) 상에 각각 위치하고 있다. 이러한 가상선(R1)은, 보유지지부(521)에 보유지지된 대략 직사각형의 광학 보상 소자(51)의 각 단연에 대하여 대략 45° 경사진 직선이고, 보유지지부(521)에 보유지지되는 광학 보상 소자(51)의 광학축(느린축)과 대략 평행한 직선이다. 이 때문에, 상기와 같이, 조정부(523)가 갖는 구멍부(5231)를 삽입 통과하는 나사(S2)의 삽입량에 따라 보유지지부(521)가 경사질 때에는, 당해 보유지지부(521)의 회전축은, 가상선(R1)에 의해 나타나는 회전축이 된다. 이 때문에, 광학 보상 소자(51)를, 상기 느린축을 중심으로 하여 회전시킬 수 있다.
그리고, 광학 보상 소자(51)는, Z 방향과는 반대측에서 보아, 대응하는 액정 패널(353)의 러빙 방향과 당해 느린축이 겹치도록 배치된다. 이 때문에, 당해 느린축을 회전축으로 하여 광학 보상 소자(51)를 회전(경사)시킬 수 있음으로써, 당해 광학 보상 소자(51)의 기울기 조정을 적절하게 실시할 수 있다.
[액정 패널을 통과하는 빛의 중심축과 광학 보상 소자의 중심의 위치 관계]
여기에서, Z 방향과는 반대측에서 본 경우, 광학 보상 소자(51)가 경사지기 전의 단계에서는,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당해 광학 보상 소자(51)의 중심(CN1)은, 개구부(5211)에 있어서 액정 패널(353)로부터 출사된 빛의 중심축(CN2)(조명 광축 AX와 동일함)의 위치에 대하여 어긋나 있다. 상술하면, 중심(CN1)은, 중심축(CN2)에 대하여, 당해 중심(CN1)을 통과하는 상기 가상선(R1)에 직교하는 가상선(R2)을 따라 조정부(523)가 위치하는 측과는 반대측의 각부측으로 치우쳐 있다.
도 7은, 액정 패널(353)로부터 출사된 광속의 중심축(CN2) 상에 광학 보상 소자(51)의 중심(CN1)이 위치하는 경우에, 액정 패널(353)로부터 출사된 광속이 광학 보상 소자(51)를 투과하는 범위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또한, 도 8은, 액정 패널(353)로부터 출사된 광속의 중심축(CN2)에 대하여 광학 보상 소자(51)의 중심(CN1)이 상기와 같이 어긋나 있는 경우에, 액정 패널(353)로부터 출사된 광속이 광학 보상 소자(51)를 투과하는 범위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또한, 도 7 및 도 8에 있어서는, 상기 가상선(R2)을 따라 본 경우의 범위를 나타내고 있고, 각부(CR1)측이 상방, 각부(CR4)측이 하방이 되도록 도시하고 있다.
도 7 및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나사(S2)의 삽입량을 조정하고, 액정 패널(353)에 대하여 광학 보상 소자(51)를 기울인 경우에, 당해 광학 보상 소자(51)의 중심(CN1)에 대하여, 광학 보상 소자(51)에 있어서의 각부(CR1)측의 단부가 Z 방향과는 반대 측에 위치하고, 각부(CR4)측의 단부가 Z 방향측에 위치한다.
여기에서, 액정 패널(353)로부터 출사된 빛은, Z 방향을 향함에 따라 확대된다. 이 때문에, 액정 패널(353)로부터 떨어진 각부(CR4)측의 단부를 통과하는 빛은, 액정 패널(353)에 가까운 각부(CR1)측의 단부를 통과하는 빛보다도 외측으로 확대된다. 이 때문에, 상기 중심축(CN2) 상에 광학 보상 소자(51)의 중심(CN1)이 위치하는 상태에서는, 당해 액정 패널(353)로부터 출사된 광속의 모두가 광학 보상 소자(51)에 입사되도록, 당해 광학 보상 소자(51)를 형성 및 배치하면,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각부(CR1)측의 광학 보상 소자(51)의 단부에 있어서, 빛이 입사되지 않는 영역이 커져 버린다. 이러한 이유에 의해, 상기 중심축(CN2) 상에 중심(CN1)이 위치하는 경우에는, 광학 보상 소자(51)의 소형화가 어렵다.
이에 대하여, 본 실시 형태에서는, 중심축(CN2)이 중심(CN1)보다도 각부(CR1)측을 통과함으로써, 액정 패널(353)로부터 출사된 광속의 모두가 광학 보상 소자(51)에 입사되도록, 당해 광학 보상 소자(51)를 형성 및 배치한 경우에,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각부(CR1)측의 광학 보상 소자(51)의 단부에 있어서, 빛이 입사되지 않는 영역을 작게 할 수 있다. 따라서, 광학 보상 소자(51) 및 보유지지부(521)를 소형화할 수 있고, 나아가서는, 광학 보상 장치(5)를 소형화할 수 있다.
또한, 상기에서는, 중심(CN1)과 중심축(CN2)이 어긋나 있는 구성을 예시했지만, 이러한 구성에 한정하지 않고, 다른 구성을 채용해도 좋다.
[정류부의 구성]
정류부(524)는, 도 4∼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보유지지부(521)로부터 연장하고, 선단측이 Z 방향과는 반대측으로 절곡되어 형성되고, 냉각 장치(CU)(도 1 참조)로부터의 냉각풍을, 출사측 편광판(354)을 향하도록 정류한다.
구체적으로, 정류부(524)는, 보유지지부(521)에 있어서 각부(CR3, CR4)에 의해 끼워진 단연으로부터 Y 방향과는 반대측으로 연장하고, 또한 선단이 Z 방향과는 반대측(액정 패널(353)에 근접하는 방향이고, 출사측 편광판(354)으로부터 떨어지는 방향)으로 경사져 있다.
도 9는, 정류부(524)에 의한 정류되는 냉각풍의 흐름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러한 정류부(524)는,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냉각 장치(CU)로부터 송출된 냉각풍을, 출사측 편광판(354)을 향하여 유통시킨다. 즉, 정류부(524)를 향하여 유통된 냉각풍은, 당해 정류부(524)의 선단 부분에 있어서의 광 출사측의 단면을 따라 유통되기 때문에, 당해 냉각풍의 유통 방향은, 출사측 편광판(354)을 향하는 방향이 된다. 그리고, 출사측 편광판(354)을 향한 냉각풍은, 당해 출사측 편광판(354)을 따라 Y 방향으로 유통된다. 이에 의해, 출사측 편광판(354)이 냉각된다.
[제1 실시 형태의 효과]
이상 설명한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프로젝터(1)에 의하면, 이하의 효과가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광학 보상 소자(51)를 보유지지하는 보유지지부(521)는, 2개의 고정부(522)에 의해 액정 패널(353)측에 고정되어 있다. 이 보유지지부(521)가, 조정부(523)에 의해, 가상선(R1)을 중심으로 회전됨으로써, 당해 보유지지부(521)의 부착 부재로서의 제1 보유지지 부재(41)에 대한 경사량이 조정된다. 이에 의하면, 액정 패널(353)에 대한 적절한 위치에 배치된 제1 보유지지 부재(41)에 대하여, 광학 보상 소자(51)를 보유지지하는 보유지지부(521)의 경사량이 조정됨으로써, 액정 패널(353)에 대한 광학 보상 소자(51)의 경사량을 적절하게 조정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서는, 조정 프레임(52)은, 일체품으로서 구성할 수 있기 때문에, 복수의 부재를 조합하여 구성되는 경우에 비해, 광학 보상 장치(5)를 간이한 구성으로 할 수 있다. 따라서, 간이한 구성의 조정 프레임(52)에 의해, 광학 보상 소자(51)의 위치를 조정할 수 있다. 또한, 액정 패널(353)을 광학적으로 적절하고 확실하게 보상할 수 있기 때문에, 투사되는 화상의 콘트라스트를 향상할 수 있다.
또한, 보유지지부(521)는, 액정 패널(353)을 보유지지하는 제1 보유지지 부재(41)에 대하여 나사(S1)로 강고하게 고정되어 있다. 이에 의해, 액정 패널(353)에 대한 보유지지부(521)의 위치 어긋남을 억제할 수 있다. 따라서, 광학 보상 소자(51)의 경사량의 조정시에 있어서의, 보유지지부(521)의 회전축인 가상선(R1)의 위치 변화를 억제할 수 있기 때문에, 상기 경사량을 고정밀도로 조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경사량의 조정 후에도, 상기 가상선(R1)의 위치 변화를 억제할 수 있기 때문에, 광학 보상 소자의 기울기를 유지할 수 있다.
조정부(523)는, 제1 보유지지 부재(41)에 대하여 근접하는 방향으로 이동되고, 이에 의해 보유지지부(521)가 경사진다. 이러한 구성에서는, 조정부(523)를 제1 보유지지 부재(41)에 대하여 근접하는 방향으로 이동시킴으로써, 간단하고 용이하게 보유지지부(521), 나아가서는, 광학 보상 소자(51)의 경사량을 조정할 수 있다. 따라서, 광학 보상 소자(51)의 위치 조정을 간단하고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다.
또한, 광학 보상 장치(5)에서는, 구멍부(5231)에 삽입되는 나사(S2)의 삽입량을 따라, 보유지지부(521)의 경사량이 조정된다. 이러한 구성에서는, 상기 삽입량이 증대하면, 조정부(523)가 제1 보유지지 부재(41)(액정 패널(353))에 대하여 근접하는 방향으로 이동되기 때문에, 광학 보상 소자(51)의 경사량을 간단하고 용이하게 조정할 수 있는 것 외, 당해 삽입량을 조정함으로써, 광학 보상 소자(51)의 위치를 미조정할 수 있다. 따라서, 간단한 구성으로 용이하게 광학 보상 소자(51)의 위치를 조정할 수 있는 것 외, 제1 보유지지 부재(41)에 조정 프레임(52)을 고정한 후에도, 광학 보상 소자(51)의 위치를 미조정할 수 있다.
또한, 나사(S2)의 나사맞춤량을 조정함으로써, 상기 삽입량을 보다 고정밀도로 조정할 수 있다. 따라서, 광학 보상 소자(51)의 경사량을 보다 고정밀도로 조정할 수 있다.
또한, 광학 보상 장치(5)에서는, 대략 직사각형 형상의 보유지지부(521)의 대각의 관계에 있는 2개의 각부(CR2, CR3)에 각각 고정부(522)가 설치되고, 다른 각부(CR1)에 조정부(523)가 설치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에서는, 가상선(R1)으로부터 조정부(523)의 위치를 떨어뜨릴 수 있다. 이에 의해, 상기 가상선(R1)을 회전축으로 하여 보유지지부(521)를 회전시키는 힘이 조정부(523)에 작용시켰을 때의 토크를 크게 할 수 있기 때문에, 보유지지부(521)를 회전시키기 쉽게 할 수 있다. 따라서, 광학 보상 소자(51)의 위치 조정을 한층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다.
또한, 한 쌍의 고정부(522)는, 보유지지부(521)로부터 굴곡하는 굴곡부(5221)와, 당해 굴곡부(5221)의 선단측으로부터 연장하는 고정 본체부(5222)를 갖고, 고정부(522)는, 당해 고정 본체부(5222)에 의해 제1 보유지지 부재(41)에 고정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에서는, 이에 의하면, 굴곡부(5221)가 휨으로써, 보유지지부(521)를 경사시키기 쉽게 할 수 있다. 따라서, 광학 보상 소자(51)의 위치 조정을 한층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다.
또한, 굴곡부(5221)는, Z 방향으로 본 평면에서 본 것에 있어서, 가상선(R1)에 따라서 배치된 판 형상 부재이고, 굴곡부(5221)가 Z축에 대하여 비틀어지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따라서, 가상선(R1)이 기울어지는 것을 억제할 수 있기 때문에, 광학 보상 소자(51)의 위치 조정을 고정밀도로 실시할 수 있다.
또한, 나사(S2)의 삽입량에 따라서 굴곡부(5221)가 휘기 때문에, 이 굴곡부(5221)의 복원력에 의해, 보유지지부(521) 및 광학 보상 소자(51)가 더욱 경사지는 것이 억제되고, 이들 경사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환언하면, 보유지지부(521)가, 경사량에 따라서 나사(S2)를 삽입 방향과 반대의 방향으로 탄성 지지하는 형태가 되어, 경사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따라서, 접착제 등에 의한 고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고, 조립시의 가고정 등의 시에 접착제를 사용하는 수고를 생략할 수 있다. 또한, 접착제 등에 의해 고정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예를 들면, 상기 경사량을 재조정하는 경우나, 조정 프레임(52)을 떼어내는 경우의 작업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보유지지부(521)의 회전축으로서의 가상선(R1)이, 광학 보상 소자(51)의 각 변에 대하여 대략 45°의 각도의 직선이 되어 있다. 여기에서, 본 실시 형태에서는, 광학 보상 소자(51)의 느린축은, 대략 직사각형의 광학 보상 소자(51)의 각 변(단연)에 대하여 대략 45° 경사져 있다.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이, VA 방식의 액정 패널(353)의 러빙 방향과 당해 느린축이 겹치도록 배치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실시 형태에서는, 가상선(R1)이, 광학 보상 소자(51)의 각 변에 대하여 대략 45° 경사지는 직선임으로써, 광학 보상 소자(51)의 느린축을 회전축으로 하여, 당해 광학 보상 소자(51)를 회전시킬 수 있다. 따라서, 액정 패널(353)에 대하여 광학 보상 소자(51)의 위치를 적절하고 확실하게 조정할 수 있다.
또한, 보유지지부(521)가 경사질 때에, 광 변조 장치로부터 출사되는 빛의 중심축(CN2)은, 광학 보상 소자(51)의 중심(CN1)으로부터 떨어진 위치를 투과한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보유지지부(521)가 경사졌을 때에, 중심축(CN2)이, 개구부(5211)에 있어서, 중심(CN1)보다도 액정 패널(353)에 가까운 위치를 통과하도록, 조정 프레임(52)이 제1 보유지지 부재(41)에 고정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에서는, 전술한 바와 같이, 중심축(CN2)과, 중심(CN1)이 일치하도록 배치된 경우에 비해, 개구(5211) 중의 액정 패널(353)로부터의 빛이 통과하지 않는 영역을 작게 할 수 있기 때문에, 광학 보상 소자(51) 및 보유지지부(521)를 소형화할 수 있다. 따라서, 광학 보상 장치(5), 나아가서는, 프로젝터(1)를 소형화할 수 있다.
또한, 조정 프레임(52)은, 출사측 편광판(354)을 향하여 냉각풍을 유통시키는 정류부(524)를 구비한다. 이에 의하면, 조정부(523)를 향하여 유통한 냉각풍을, 출사측 편광판(354)을 향하게 할 수 있다. 따라서, 출사측 편광판(354)을 효율 좋게 냉각할 수 있다.
[제2 실시 형태]
다음으로, 본 발명의 제2 실시 형태에 대해서 설명한다.
본 실시 형태에 따른 프로젝터는, 상기 프로젝터(1)와 동일한 구성을 구비하지만, 전기 광학 장치를 구성하는 제1 보유지지 부재 및 제2 보유지지 부재의 형상이 상이한 것 외, 광학 보상 장치의 구성이 상이한 점에서, 상기 프로젝터(1)와 상위(相違)하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서는, 이미 설명한 부분과 동일 또는 대략 동일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교부하여 설명을 생략한다.
도 10은, 본 실시 형태에 따른 프로젝터의 전기 광학 장치를 구성하는 화상 형성부(6)를 빛의 입사 방향측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 11은, 화상 형성부(6)를 빛의 출사 방향측에서 본 사시도이고, 도 12는, 화상 형성부(6)의 분해 사시도이다. 또한, 도 10∼도 12에 있어서는, 도 2와 동일하게, 청색광 및 적색광용의 액정 패널(353B, 353G), 광학 보상 장치(7), 출사측 편광판, 제1 보유지지 부재(61) 및 제2 보유지지 부재(62)의 도시를 생략하고 있다.
본 실시 형태에 따른 프로젝터는, 전기 광학 장치(35)에 대신하여 전기 광학 장치(35A)를 구비하는 것 외에는, 상기 프로젝터(1)와 동일한 구성 및 기능을 갖는다. 또한, 전기 광학 장치(35A)는, 제1 보유지지 부재(41), 제2 보유지지 부재(42) 및 광학 보상 장치(5)에 대신하여 제1 보유지지 부재(61), 제2 보유지지 부재(62) 및 광학 보상 장치(7)를 갖는 것 외는, 상기 전기 광학 장치(35)와 동일한 구성 및 기능을 갖는다. 즉, 전기 광학 장치(35A)는, 상기 색광마다 각각 설치되는 입사측 편광판(352), 액정 패널(353), 출사측 편광판(354)(도 22 참조), 제1 보유지지 부재(61), 제2 보유지지 부재(62) 및 광학 보상 장치(7)와, 크로스 다이크로익 프리즘(355)을 갖는다.
이들 중, 제1 보유지지 부재(61)는, 상기 제1 보유지지 부재(41)와 대략 동일 형상이고, 당해 제1 보유지지 부재(61)의 네 모퉁이에는, 대략 직사각형 형상의 구멍부(611)가 형성되어 있다. 이 제1 보유지지 부재(61)의 광 입사측의 면(61A)에는, 액정 패널(353)이 부착되고, 광 출사측의 면(61B)에는, 광학 보상 장치(7)가 부착된다. 이 제1 보유지지 부재(61)의 대략 중앙에는, 도 1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액정 패널(353)을 통과하여 광학 보상 장치(7)에 입사되는 빛이 통과하는 개구부(612)가 형성되어 있다.
제2 보유지지 부재(62)는, 상기 제2 보유지지 부재(42)와 대략 동 형상이고, 당해 제2 보유지지 부재(62)의 네 모퉁이에는, 광 입사측으로 돌출하는 돌출부(622)가 형성되어 있다.
제2 보유지지 부재(62)는, 크로스 다이크로익 프리즘(355)에 있어서 대응하는 광 입사면에 고정된다. 이 제2 보유지지 부재(62)의 대략 중앙에는, 광학 보상 장치(7) 및 출사측 편광판(354)을 통과한 빛을 크로스 다이크로익 프리즘(355)에 입사시키는 개구부(621)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제2 보유지지 부재(62)의 돌출부(622)는, 제1 보유지지 부재(61)의 네 모퉁이에 형성된 대략 직사각형 형상의 구멍부(611)에 삽입된다. 그리고, 이들 구멍부(611)에 돌출부(622)를 삽입한 후, 당해 구멍부(611)에 접착제를 주입하여 고정함으로써, 상기 구성이 제1 보유지지 부재(61) 및 제2 보유지지 부재(62)에 의해 일체화된다.
[광학 보상 장치의 구성]
도 13은, 광학 보상 장치(7) 및 제1 보유지지 부재(61)를 광 출사측에서 본 사시도이고, 도 14는, 도 13의 광학 보상 장치(7) 및 제1 보유지지 부재(61)의 분해 사시도이다.
상기 색광마다 설치되는 광학 보상 장치(7)는, 본 발명의 광학 보상 소자 조정 기구를 포함하는 장치이며, 상기와 같이, 대응하는 액정 패널(353)을 광학적으로 보상한다. 이들 광학 보상 장치(7)는, 각각, 도 13 및 도 1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광학 보상 소자(51)와, 제1 보유지지 부재(61)에 부착되는 부착 부재(71)와, 상기 광학 보상 소자(51)를 보유지지함과 함께, 면(41B)(나아가서는, 대응하는 액정 패널(353))에 대하여 광학 보상 소자(51)의 기울기를 조정하는 조정 프레임(72)을 구비한다. 그리고, 각 광학 보상 장치(7)는, 대응하는 액정 패널(353)을 보유지지하는 상기 제1 보유지지 부재(61)의 광 출사측의 면(61B)에 부착된다.
[조정 프레임의 구성]
도 15는, 조정 프레임(72)을 Z 방향측에서 본 사시도이고, 도 16은, 조정 프레임(72)을 Y 방향측에서 본 평면도이다.
조정 프레임(72)은, 상기 부착 부재(71)에 부착된다. 이 조정 프레임(72)에 보유지지된 광학 보상 소자(51)의 액정 패널(353)에 대한 기울기는, 상기 면(71A)에 대한 조정 프레임(72)의 각도가 조정됨으로써 조정된다.
이러한 조정 프레임(72)은, 도 14∼도 1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보유지지부(721), 한 쌍의 고정부(722, 723), 한 쌍의 조정부(724, 725), 및, 정류부(726, 727, 728, 729)를 구비하여, 판금을 절곡 가공함으로써 형성된다.
[보유지지부의 구성]
보유지지부(721)는, 상기 광학 보상 소자(51)를 보유지지하는 부위이고, 도 1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Z 방향을 따라 보아, 대략 직사각형 형상의 외형을 갖는다. 이 보유지지부(721)에 있어서의 Z 방향과는 반대측의 면(광 입사측의 면)에는, 광학 보상 소자(51)가 접착제 등에 의해 고정된다. 이러한 보유지지부(721)는, 대략 중앙에 직사각형 형상의 개구부(7211)를 갖고, 대응하는 액정 패널(353)을 통하여 광학 보상 소자(51)에 입사된 빛은, 당해 개구부(7211)를 통과하여, 상기 출사측 편광판(354)에 입사된다.
[고정부의 구성]
한 쌍의 고정부(722, 723)는, 도 15 및 도 1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보유지지부(721)의 대략 대각이 되는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구체적으로, 한 쌍의 고정부(722, 723)는, 보유지지부(721)의 Y 방향측의 가장자리부에 있어서의 X 방향측의 단부 및, 보유지지부(721)의 Y 방향과는 반대 방향측의 가장자리부에 있어서의 X 방향과는 반대 방향측의 단부에 형성되어 있다.
이들 중, 고정부(722)에 있어서의 Y 방향측의 가장자리부에는, 절결(7221)이 형성되고, 고정부(723)의 Y 방향과는 반대 방향측의 가장자리에는, 절결(7231)이 형성되어 있다. 이들 절결(7221, 7231)은, 후술하는 돌출부(712∼715)의 절결(7121, 7131, 7141, 7151) 중 어느 하나와 걸어맞춤한다(도 17 참조).
또한, 자세한 것은 후술하지만, 고정부(722, 723)의 절결(7221, 7231)은, 보유지지부(721)가 경사질 때에, 당해 보유지지부(721)의 회전 중심이 된다.
[조정부의 구성]
한 쌍의 조정부(724, 725)는, 후술하는 나사(S3)와 함께, 조정 프레임(72)이 부착된 부착 부재(71)의 면(71B)에 대하여 보유지지부(721)를 기울어지게 함으로써, 당해 보유지지부(721)에 보유지지된 광학 보상 소자(51)를 기울어지게 하고, 나아가서는, 액정 패널(353)에 대한 광학 보상 소자(51)의 기울기를 조정하는 부위이다.
이들 한 쌍의 조정부(724, 725)는, 도 15 및 도 1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보유지지부(721)(조정 프레임(72))의 외주 부분으로부터 외측으로 연장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구체적으로, 조정부(724)는, 보유지지부(721)의 Y 방향측의 가장자리부에 있어서의 X 방향과는 반대 방향측에 형성된다. 또한, 조정부(725)는, 보유지지부(721)의 Y 방향과는 반대 방향측의 가장자리부에 있어서의 X 방향측에 형성된다.
이러한 한 쌍의 조정부(724, 725) 중, 조정부(724)는, 도 15 및 도 1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1 맞닿음부(7241) 및 제2 맞닿음부(7242)를 구비하고, 조정부(725)는, 제1 맞닿음부(7251) 및 제2 맞닿음부(7252)를 구비한다. 이들 중, 제1 맞닿음부(7241, 7251)는, 부착 부재(71)의 면(71B)에 맞닿는 부위이다. 이 제1 맞닿음부(7241)는, 대략 U자 형상으로 형성되고, 가요성을 갖는다. 구체적으로, 제1 맞닿음부(7241)는, Z 방향과는 반대 방향측으로 대략 U자 형상으로 돌출하고, 제1 맞닿음부(7251)는, Z 방향과는 반대 방향측으로 대략 U자 형상으로 돌출하고 있다.
제2 맞닿음부(7242, 7252)는, 후술하는 나사(S3)에 맞닿는 부위이다. 이 제2 맞닿음부(7242, 7252)는, 제1 맞닿음부(7241, 7251)의 단부로부터 당해 제1 맞닿음부(7241, 7251)와는 반대 방향측으로 돌출하는 판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즉, 한 쌍의 조정부(724, 725)는, 동일 형상으로 형성되고, 광학 보상 소자(51)(광학 보상 소자(51)의 중심)에 대하여 대략 점 대칭으로 형성되어 있다.
[정류부의 구성]
정류부(726, 727, 728, 729)는, 보유지지부(721)로부터 연장하고, 선단측이 Z 방향 및 Z 방향과는 반대 방향측으로 절곡되어 형성되고, 냉각 장치(CU)(도 1 참조)로부터의 냉각풍을, 조정 프레임(72)의 광 출사측에 위치하는 출사측 편광판(354)을 향하도록 정류한다.
이들 정류부(726∼729) 중, 정류부(726)는, 고정부(722) 및 조정부(724)의 사이에 형성되고, Z 방향과는 반대 방향측으로 경사져 있다. 또한, 정류부(727)는, 고정부(723) 및 조정부(725)의 사이에 형성되고, Z 방향측으로 경사져 있다. 즉, 정류부(726) 및 정류부(727)는, 도 16 및 도 1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조정 프레임(72)에 의해 보유지지되는 광학 보상 소자(51)(자세하게는, 광학 보상 소자(51)의 중심이며, 조정 프레임(72)의 중심)에 대하여 대략 점 대칭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정류부(728)는, 조정부(724)의 X 방향과는 반대 방향측, 즉, 보유지지부(721)의 Y 방향측의 가장자리부에 있어서의 X 방향과는 반대 방향측에 형성되어, Z 방향측으로 경사져 있다. 이와 동일하게, 정류부(729)는, 조정부(725)의 X 방향측, 즉, 보유지지부(721)의 Y 방향과는 반대 방향측의 단부에 있어서의 X 방향측에 형성되고, Z 방향과는 반대 방향측으로 경사져 있다. 즉, 정류부(727) 및 정류부(728)는, 도 15 및 도 1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광학 보상 소자(51)(광학 보상 소자(51)의 중심)에 대하여 대략 점 대칭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정류부(726, 727)의 X 방향을 따르는 방향의 치수 및 Y 방향을 따르는 치수는, 정류부(728, 729)의 X 방향을 따르는 방향의 치수 및 Y 방향을 따르는 치수보다 크다.
또한, 이러한 정류부(726, 727, 728, 729)에 의한 냉각풍의 정류에 대해서는, 후에 상술한다.
[부착 부재의 구성]
도 17은, 부착 부재(71)를 Z 방향측에서 본 사시도이다.
부착 부재(71)는, 도 13 및 도 1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1 보유지지 부재(61)의 Z 방향측의 면(61B)에 부착되고, 조정 프레임(72)을 보유지지하는 기능을 갖는다. 이 부착 부재(71)는, 도 14 및 도 1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체부(711) 및, 돌출부(712, 713, 714, 715, 716, 717, 718)를 구비한다.
이들 중, 대략 직사각형 형상의 본체부(711)의 대략 중앙 부분에는, 상기 제1 보유지지 부재(61)의 개구부(612)와 대략 동일 형상의 개구부(7111)가 형성되어 있다. 이 부착 부재(71)의 내측에 광학 보상 소자(51)가 부착된 조정 프레임(72)이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개구부(612)로부터 입사된 빛이 당해 개구부(7111)를 통하여 광학 보상 소자(51)에 입사된다.
돌출부(712∼718)는, 도 1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각각 본체부(711)에서 Z 방향으로 돌출하는 판 형상부이고, 예를 들면, 판금을 절곡 가공함으로써 형성되어 있다.
이들 중, 돌출부(712, 713)는, 본체부(711)의 Y 방향측의 양단부에 형성되고, 당해 돌출부(712, 713)의 Y 방향과는 반대 방향측에는, 절결(7121, 7131)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돌출부(712, 713)의 대략 중앙 부분에는, 개구부(7122, 7132)가 형성되어 있다. 이들 개구부(7122, 7132)는, 당해 개구부(7122, 7132)를 통하여, 후술하는 나사(S3)(도 14 참조)를 회전시키는 지그(예를 들면, 드라이버의 선단부)가 삽입 가능한 크기로 형성되어 있다.
돌출부(714, 715)는, 본체부(711)에 있어서의 Y 방향과는 반대측의 양단부에 형성되고, 당해 돌출부(714, 715)의 Y 방향측에는, 절결(7141, 7151)이 형성되어 있다. 이들 절결(7141, 7151) 및 상기 절결(7121, 7131)은, 후술하는 조정 프레임(72)의 고정부(722, 723)의 절결(7221, 7231)과 걸어맞춤한다.
돌출부(716, 717)는, 본체부(711)의 대략 중앙 부분의 양측부에 형성되어 있다.
또한, 돌출부(712∼715)는, 본 발명의 복수의 걸어맞춤부에 상당한다.
돌출부(718)는, 도 14 및 도 1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체부(711)에 있어서 돌출부(712, 713)의 사이에 형성되어 있다. 이 돌출부(718)에는, 상기 나사(S3)가 나사맞춤하는 구멍부(7181)가 형성되어 있고, 당해 구멍부(7181)에 나사(S3)가 나사맞춤함으로써, 당해 나사(S3)가 X 방향을 따르는 방향으로 이동한다(도 18 참조).
도 18은, 부착 부재(71)에 조정 프레임(72) 및 나사(S3)가 부착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19는, 조정 프레임(72)이 경사질 때의 회전축(R3)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또한, 도 18 및 도 19에 있어서의 조정 프레임(72)은, 액정 패널(353) 중, 적색광용 액정 패널(353R) 및 청색광용 액정 패널(353B)에 대응하는 광학 보상 장치(7)의 조정 프레임(72)의 배치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부착 부재로의 조정 프레임의 설치]
상기 조정 프레임(72)은, 도 1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광학 보상 소자(51)의 표면(51A)이 Z 방향측을 향한 상태로 고정되어 있다. 구체적으로, 조정 프레임(72)의 고정부(722, 723)의 절결(7221, 7231)이 각각 부착 부재(71)의 돌출부(712, 715)의 절결(7121, 7151)과 걸어맞춤한다. 한편, 부착 부재(71)의 돌출부(713, 714)의 절결(7131, 7141)에는, 조정 프레임(72)의 어느 고정부(722, 723)의 절결(7221, 7231)도 걸어맞춤하지 않는다. 이에 의해, 조정 프레임(72)은, 도 1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절결(7121, 7221) 및 절결(7151, 7231)의 2점에서 지지받고, 당해 2점을 지점으로 하는 회전축(R3)을 중심으로 회전 자유롭게 부착 부재(71)에 고정된다.
[광학 보상 소자의 기울기 조정]
도 20은, 조정 프레임(72)이 최대한 경사진 상태의 광학 보상 장치(7)를 Y 방향측에서 본 사시도이다.
이하, 적색광용 액정 패널(353R)에 대한 광학 보상 소자(51)의 위치 조정(기울기 조정)에 대해서 설명하지만, 청색광용 액정 패널(353B)에 대한 광학 보상 소자(51)의 위치 조정도 동일하다.
부착 부재(71)의 돌출부(718)에는, 도 2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구멍부(7181)가 형성되고, 당해 구멍부(7181)에 나사(S3)가 나사맞춤한다. 그리고, 구멍부(7181)에 X 방향측으로부터 삽입되는 나사(S3)는, 부착 부재(71)의 면(71B)과 대략 평행, 즉, X 방향을 따르는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부착된다. 이 때문에, 나사(S3)를 회전시켜, 도 18 및 도 20에 나타내는 위치까지 이동시키면, 조정부(724)의 제2 맞닿음부(7242)가 X 방향과는 반대 방향으로 이동한다. 이 제2 맞닿음부(7242)가 X 방향과는 반대 방향으로 이동함으로써, 제1 맞닿음부(7241)가 Z 방향과는 반대 방향측으로 휘고, 조정 프레임(72)의 Y 방향측, 또한, X 방향과는 반대 방향측의 단부가 Z 방향으로 경사진다. 이에 의해, 조정 프레임(72)이 회전축(R3)을 중심으로 하여 Z 방향과는 반대 방향으로 경사진다.
즉, 상기 부착 부재(71)의 면(71B)에 대하여 근접 또는 이간하는 방향에 있어서의 조정부(724)의 이동량(제1 맞닿음부(7241)의 휨량)이, 나사(S3)의 삽입량에 따라서 조정됨으로써, 광학 보상 소자(51)의 경사량이 조정된다. 또한, 나사(S3)는, 본 발명의 이동 부재에 상당한다.
도 21은, 조정 프레임(72)이 경사질 때의 회전축(R4)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또한, 도 21에 있어서의 조정 프레임(72)은, 액정 패널(353) 중, 녹색광용 액정 패널(353G)에 대응하는 광학 보상 장치(7)의 조정 프레임(72)의 배치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다음으로, 녹색광용 액정 패널(353G)에 대한 광학 보상 소자(51)의 위치 조정에 대해서 설명한다.
녹색광용 액정 패널(353G)에 대응하는 광학 보상 장치(7)의 조정 프레임(72)은, 도 2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광학 보상 소자(51)의 이면(51B)이 Z 방향을 향한 상태로 부착 부재(71)에 부착된다. 즉, 상기 적색광용 액정 패널(353R) 및 청색광용 액정 패널(353B)에 대응하는 조정 프레임(72)에 있어서의 고정부(722)가 Y 방향과는 반대 방향측에 위치하도록, 180도 회전된 상태로 부착된다.
구체적으로, 조정 프레임(72)의 고정부(722, 723)의 절결(7221, 7231)이 각각 부착 부재(71)의 돌출부(713, 714)의 절결(7131, 7141)과 걸어맞춤한다. 한편, 부착 부재(71)의 돌출부(712, 715)의 절결(7121, 7151)에는, 조정 프레임(72)의 어느 고정부(722, 723)의 절결(7221, 7231)도 걸어맞춤하지 않는다. 이에 의해, 조정 프레임(72)은, 도 2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절결(7131, 7221) 및 절결(7141, 7231)의 2점에서 지지받고, 당해 2점을 지점으로 하는 회전축(R4)을 중심으로 회전 자유롭게 부착 부재(71)에 고정된다.
또한, 부착 부재(71)의 돌출부(718)에는, 도 2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구멍부(7181)가 형성되고, 당해 구멍부(7181)에 나사(S3)가 나사맞춤한다. 그리고, 구멍부(7181)에 X 방향과는 반대 방향측으로부터 삽입되는 나사(S3)는, 부착 부재(71)의 면(71B)과 대략 평행, 즉, X 방향을 따르는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부착된다. 이 때문에, 나사(S3)를 회전시키면, 조정부(725)의 제2 맞닿음부(7252)가 X 방향측으로 이동한다. 이 제2 맞닿음부(7252)가 X 방향측으로 이동함으로써, 제1 맞닿음부(7251)가 Z 방향과는 반대 방향측으로 휘고, 조정 프레임(72)의 Y 방향측, 또한, X 방향측의 단부가 Z 방향으로 경사진다. 이에 의해, 조정 프레임(72)이 회전축(R4)을 중심으로 Z 방향과는 반대 방향으로 경사진다.
즉, 상기 부착 부재(71)의 면(71B)에 대하여 근접 또는 이간하는 방향에 있어서의 조정부(724)의 이동량(제1 맞닿음부(7241)의 휨량)이, 나사(S3)의 삽입량에 따라서 조정됨으로써, 광학 보상 소자(51)의 경사량이 조정된다.
[정류부에 의한 냉각풍의 정류]
도 22는, 정류부(729)에 의해 정류되는 냉각풍의 흐름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또한, 도 22에 있어서의 조정 프레임(72)은, 액정 패널(353) 중, 적색광용 액정 패널(353R) 및 청색광용 액정 패널(353B)에 대응하는 광학 보상 장치(7)의 조정 프레임(72)의 배치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상기 냉각 장치(CU)로부터 송출된 냉각풍은, 각 액정 패널(353), 광학 보상 장치(7) 및 출사측 편광판(354)에 대하여 Y 방향을 따라 유통한다. 이때, 정류부(729)는, 도 2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당해 냉각풍을, 출사측 편광판(354)을 향하여 유통시킨다.
구체적으로, 당해 냉각풍의 일부는, 정류부(729)의 선단 부분에 있어서의 광 출사측의 단면을 따라 유통하여, 출사측 편광판(354)을 향하는 방향으로 유통한다. 그리고, 이 냉각풍은, 당해 출사측 편광판(354)에 따라서 Y 방향으로 유통하고, 이에 의해, 출사측 편광판(354)이 냉각된다.
한편, 도시를 생략하지만, 정류부(727)를 향하여 유통한 냉각풍은, 당해 정류부(727)의 선단 부분에 있어서의 광 입사측의 단면을 따라 유통하고, 액정 패널(353)을 향하여 유통한다. 이 냉각풍은, 당해 액정 패널(353)을 따라 Y 방향으로 유통하고, 이에 의해, 액정 패널(353)이 냉각된다.
또한, 도시는 생략하지만, 녹색광용 액정 패널(353G)에 대응하는 광학 보상 장치(7)에서는, 상기 정류부(726)가 정류부(727)와 동일하게 기능하고, 상기 정류부(728)가 정류부(729)와 동일하게 기능한다.
[제2 실시 형태의 효과]
이상 설명한 본 실시 형태에 따른 프로젝터는, 상기 프로젝터(1)와 동일한 효과를 나타내는 것 외, 이하의 효과를 나타낸다.
제2 맞닿음부(7242, 7252)가 나사(S3)의 이동에 따라서 이동하고, 제2 맞닿음부(7242, 7252)의 이동에 따라서 제1 맞닿음부(7241, 7251)가 휘기 때문에, 제2 맞닿음부(7242, 7252)가 최대한 나사(S3)에 의해 이동되면, 보유지지부(721)가 최대한 경사진다. 이에 의하면, 간이한 구성의 조정 프레임(72)에 의해, 광학 보상 소자(51)의 위치를 조정할 수 있다. 또한, 나사(S3)가 부착 부재(71)의 광학 보상 소자(51)에 대향하는 면(71B)과 대략 평행하게 이동하기 때문에, 나사(S3)가 출사측 편광판(354)에 의해 덮여진 경우라도, 나사(S3)를 이동시킬 수 있다. 따라서, 광학 보상 장치(7)가 조립된 후에도, 보유지지부(721) 및 보유지지부(721)에 보유지지된 광학 보상 소자(51)의 위치를 조정할 수 있다.
제2 맞닿음부(7242, 7252)에 대한 나사(S3)의 이동량에 따라서, 보유지지부(721)의 경사량이 조정되기 때문에, 광학 보상 소자(51)의 경사량을 간단하고 용이하게 조정할 수 있는 것 외, 당해 이동량을 조정함으로써, 광학 보상 소자(51)의 위치를 미조정할 수 있다. 따라서, 간단한 구성으로 용이하게 광학 보상 소자(51)의 위치를 조정할 수 있는 것 외, 부착 부재(71)에 조정 프레임(72)을 고정한 후에도, 광학 보상 소자(51)의 위치를 미조정할 수 있다.
여기에서, 적색광용 액정 패널, 녹색광용 액정 패널 및 청색광용 액정 패널 중, 녹색광용 액정 패널(353G)은, 다른 액정 패널(353R, 353B)과는 상이하게, 당해 액정 패널(353G)에 입사된 빛을 반전시킬 필요가 있기 때문에, 당해 녹색광용 액정 패널(353G)에 대응하는 광학 보상 장치(7)의 광학 보상 소자(51)를 경사시키는 회전축을 상이하게 할 필요가 있다. 이 때문에, 종래의 광학 보상 장치에서는, 적색광용 액정 패널(353R) 및 청색광용 액정 패널(353B)에 대응하는 광학 보상 장치와, 녹색광용 액정 패널(353G)에 대응하는 광학 보상 장치를 각각 설치할 필요가 있다.
이에 대하여, 본 실시 형태에 의하면, 한 쌍의 조정부(724, 725)가 광학 보상 소자(51)의 중심에 대하여 대략 점 대칭으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당해 조정 프레임(72)을 180° 회전시킴으로써, 광학 보상 소자(51)의 회전축을 상이하게 할 수 있다. 따라서, 모든 액정 패널(353)의 각각 대응하는 광학 보상 장치에 있어서, 동일한 조정 프레임(72)을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제조 비용을 저감할 수 있다.
제2 맞닿음부(7242, 7252)는, 나사(S3)의 이동에 따라서 이동된 때에, 제1 맞닿음부(7241, 7251)가 부착 부재(71)로부터 받는 반력에 의해 이동 방향과는 반대 방향으로 제2 맞닿음부(7242, 7252)를 탄성 지지한다. 이에 의해, 보유지지부(721)의 경사량을, 나사(S3)의 이동량에 따른 값으로 설정할 수 있어, 보유지지부(721)의 경사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부착 부재(71)의 복수의 절결(7121, 7131, 7141, 7151) 중 어느 하나와, 한 쌍의 고정부(722, 723)의 절결(7221, 7231)이 걸어맞춤함으로써, 당해 걸어맞춤 개소를 지점으로 하여 보유지지부(721)가 경사진다. 이에 의해, 적어도 2개의 지점을 중심으로 하는 회전축(R3, R4)을 중심으로 하여 광학 보상 소자(51)를 회전시킬 수 있다. 따라서, 액정 패널(353)에 대하여 광학 보상 소자(51)의 위치를 적절하고 확실하게 조정할 수 있다.
[실시 형태의 변형]
본 발명은 상기 각 실시 형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는 범위로의 변형, 개량 등은 본 발명에 포함되는 것이다.
상기 제1 실시 형태에서는, 조정부(523)는, 삽입 부재로서의 나사(S2)의 나사맞춤량이 조정됨으로써, 부착 부재로서의 제1 보유지지 부재(41)에 근접하고, 광학 보상 소자(51)를 보유지지하는 보유지지부(521)의 경사량을 조정한다고 했다. 또한, 조정부(523)는, 고정부(522)가 위치하는 보유지지부(521)의 각부(CR2, CR3)와는 상이한 각부(CR1)에 위치한다고 했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즉, 광학 보상 소자(51)의 경사량이 조정되고, 당해 광학 보상 소자(51)의 위치가 조정 가능하다면, 조정부(523)의 구성 및 위치는 묻지 않는다.
예를 들면, 삽입 부재를 삽발함으로써 삽입량을 조정하여 상기 경사량을 조정하고, 조정 후에, 삽입 부재를 고정 부재(예를 들면, 접착제 등)로 고정하는 구성으로 해도 좋다.
또한, 예를 들면, 조정부로서, 중심(CN1)으로부터 떨어지는 방향으로 돌출하는 레버를 보유지지부(521)에 설치하고, 당해 레버를 조작하여 경사량을 조정하고, 조정 후에 보유지지부(521)를 고정하는 구성으로 해도 좋다.
또한, 조정부(523)는, 제1 보유지지 부재(41)에 대한 나사(S2)의 삽입량에 따라서, 당해 제1 보유지지 부재(41)에 근접하는 방향으로 이동하고, 보유지지부(521) 및 광학 보상 소자(51)를 경사시키는 것으로 했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조정부가, 제1 보유지지 부재(41)로부터 이간하는 방향으로 이동하여, 보유지지부(521) 및 광학 보상 소자(51)를 경사시키는 구성으로 해도 좋다.
상기 제1 실시 형태에서는, 대각의 관계에 있는 2개의 각부(CR2, CR3)의 각각에, 굴곡부(5221) 및 고정 본체부(5222)가 설치되는 구성을 예시했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한 쌍의 고정부(522) 중 어느 일방에만, 굴곡부(5221) 및 고정 본체부(5222)가 설치되는 구성이라도 좋다. 또한, 고정부(522)는, 고정 본체부(5222)가 없고, 부착 부재로서의 제1 보유지지 부재(41)에 굴곡부(5221)가 삽입됨으로써, 당해 제1 보유지지 부재(41)에 고정되는 구성이라도 좋다.
또한, 한 쌍의 고정부(522)의 각각에 굴곡부(5221) 및 고정 본체부(5222)를 설치함으로써, Z축에 대한 가상선(R1)의 회전을 보다 확실하게 억제할 수 있어, 광학 보상 소자(51)의 위치 조정을 보다 적절하게 실시할 수 있다.
상기 제1 실시 형태에서는, 대각의 관계에 있는 2개의 각부(CR2, CR3)에 고정부(522)를 설치하여, 광학 보상 소자(51)의 각변에 대략 45°로 교차하는 가상선(R1)을 중심으로 보유지지부(521)를 회전시켜, 광학 보상 소자(51)의 경사량을 조정하는 구성을 예시했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즉, 광학 보상 소자(51)의 각변에 대한 가상선(R1)의 각도가 45°보다 커도 좋고, 45° 미만이라도 좋다.
또한, 광학 보상 소자(51)의 변에 직교하는 가상선을 따라, 예를 들면, 각부(CR2, CR4)에, 고정부(522)를 설치해도 좋다. 이 경우, 예를 들면, 조정부(523)를 각부(CR3)에 설치해도 좋고, 각부(CR1)와 각부(CR3)의 사이에 설치해도 좋다.
또한, 고정부(522)를 2개 설치하는 구성을 예시했다. 그러나, 이에 한정하지 않고, 예를 들면, X 방향이나 Y 방향의 일 방향을 따라 복수의 고정부(522)를 설치해도 좋다. 또한, X 방향이나 Y 방향의 일 방향을 따라, 보유지지부(521)를 절곡시켜 굴곡부를 형성함으로써, 1개의 고정부를 형성해도 좋다. 이러한 구성에서도, 고정부의 배치 위치를 통과하는 가상선에 따라서 보유지지부(521)를 경사시킬 수 있다. 또한, 고정부에 의해, 보유지지부(521)를 고정할 수 있어, 위치 차이를 억제할 수 있기 때문에, 경사량을 보다 고정밀도로 조정할 수 있다.
상기 각 실시 형태에서는, 광학 보상 소자 조정 기구로서의 광학 보상 장치(5, 7)는, 광 변조 장치로서의 액정 패널(353)을 광 입사측의 면에서 보유지지하는 제1 보유지지 부재(41, 61)의 광 출사측의 면에 고정된다고 했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즉, 광학 보상 장치(5, 7)는, 액정 패널(353)을 보유지지하는 제1 보유지지 부재(41, 61)와는 다른 부재에 부착되어 있어도 좋다.
상기 각 실시 형태에서는, 조정 프레임(52, 72)은, 광학 보상 소자(51)의 광 로 후단에 위치하는 광학 부품인 출사측 편광판(354)을 향하여 공기를 유통시키는 정류부(524, 726∼729)를 구비하는 구성이었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정류부(524, 726∼729)는, 보유지지부(521)와 일체적으로 설치되지 않아도 좋고, 따로 설치해도 좋다. 또한, 정류부(524, 726∼729)에 의해 유통 방향이 변경된 공기가 송풍되는 냉각 대상은, 출사측 편광판(354)에 한정하지 않고, 액정 패널(353) 등의 다른 부품이라도 좋다. 또한, 정류부(524, 726∼729)는, 없어도 좋다.
상기 제1 실시 형태에서는, 위치가 조정되기 전의 광학 보상 소자(51)의 중심(CN1)과, 액정 패널(353)로부터 출사된 빛의 중심축(CN2)과는 일치하지 않는다고 했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즉, 이들이 일치하고 있어도 좋다.
상기 제1 실시 형태에서는, 보유지지부(521)는, 한 쌍의 고정부(522)를 구비하는 것으로 했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보유지지부(521)가 상기 한 쌍의 고정부(522)를 대신하여, 제2 실시 형태에 따른 한 쌍의 고정부(722, 723)를 구비하는 것으로 해도 좋다. 이 경우라도, 상기 제1 실시 형태와 동일한 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
상기 제2 실시 형태에서는, 조정 프레임(72)은, 한 쌍의 고정부(722, 723)를 구비하는 것으로 했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조정 프레임(72)이 상기 한 쌍의 고정부(722, 723)에 대신하여,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한 쌍의 고정부(522)를 구비하도록 해도 좋다. 이 경우라도, 상기 제2 실시 형태와 동일한 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
상기 제2 실시 형태에서는, 나사(S3)가 부착 부재(71)의 면(71B)과 평행(X 방향을 따르는 방향)하게 이동하는 것으로 했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나사(S3)가 부착 부재(71)의 면(71B)에 대향하는 방향(Z 방향을 따르는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으로 해도 좋다. 이 경우, 부착 부재(71)는, 조정부(724, 725)의 제2 맞닿음부(7242, 7252)에 대향하는 위치에 돌출하는 돌출부 및 당해 돌출부에 나사(S3)가 나사맞춤하는 구멍부을 설치하면 좋다.
상기 제2 실시 형태에서는, 조정 프레임(72)은, 보유지지부(721)의 Y 방향측의 가장자리부 및 Y 방향과는 반대 방향측의 가장자리부에 한 쌍의 조정부(724, 725)를 설치하는 것으로 했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조정부(724, 725) 중, 어느 일방만을 설치하는 것으로 해도 좋다. 즉, 적색광용 액정 패널(353R) 및 청색광용 액정 패널(353B)에 대응하는 광학 보상 장치(7)의 조정 프레임(72)과 녹색광용 액정 패널(353G)에 대응하는 광학 보상 장치(7)의 조정 프레임(72)을 각각 설치하도록 해도 좋다.
상기 제2 실시 형태에서는, 부착 부재(71)는, 돌출부(712∼715)를 구비하고, 당해 돌출부(712∼715)의 각각은, 절결(7121, 7131, 7141, 7151)이 형성되어 있는 것으로 했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돌출부(712, 715)만을 구비하도록 해도 좋고, 돌출부(713, 714)만을 구비하는 것으로 해도 좋다. 즉, 적색광용 액정 패널(353R) 및 청색광용 액정 패널(353B)에 대응하는 광학 보상 장치(7)의 부착 부재(71)와, 녹색광용 액정 패널(353G)에 대응하는 광학 보상 장치(7)의 부착 부재(71)를 각각 설치하도록 해도 좋다.
상기 각 실시 형태에서는, 광원 장치(31)는, 광원 램프(311)를 갖는 구성이었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즉, 상기와 같이, LED나 LD 등의 고체 광원을 갖는 구성이라도 좋고, LD로부터 출사된 빛을 형광체에 입사시켜, 당해 형광체로부터 출사되는 빛을 이용하는 구성이라도 좋다.
또한, 광원 장치는, 1개로 한정하지 않고, 복수의 광원 장치가 설치되어 있어도 좋다.
상기 각 실시 형태에서는, 프로젝터(1)는, 광 변조 장치로서 3개의 액정 패널(353)을 구비하고 있었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즉, 2 이하, 혹은, 4 이상의 액정 패널을 이용한 프로젝터에도, 본 발명을 적용 가능하다.
상기 각 실시 형태에서는, 광학 유닛(3)에 있어서의 각 광학 부품의 배치 위치는, 적당히 변경 가능하고, 예를 들면, 평면에서 보아 대략 L자형 형상을 갖는 구성이나, 평면에서 보아 대략 U자형 형상을 갖는 구성을 채용해도 좋다.
상기 각 실시 형태에서는, 광속 입사면과 광속 사출면이 상이한 투과형의 액정 패널(353)을 채용했지만, 광 입사면과 광 사출면이 동일하게 되는 반사형의 액정 패널을 이용해도 좋다.
상기 각 실시 형태에서는, 광 변조 장치로서 액정 패널(353)을 구비한 프로젝터(1)를 예시했지만, 입사 광속을 화상 정보에 따라서 변조 가능한 광 변조 장치라면, 마이크로 미러를 이용한 디바이스, 예를 들면 DMD(Digital Micromirror Device) 등을 이용한 것 등, 액정 외의 광 변조 장치를 이용한 광 변조 장치를 이용해도 좋다. 이러한 광 변조 장치를 이용한 경우, 광학 보상 소자로서 시야각 보상 기능 외의 기능을 갖는 광학 소자를 이용해도 좋다. 또한, 이러한 광 변조 장치를 이용한 경우, 각 편광판(352, 354)은 생략할 수 있다.
1 : 프로젝터
5, 7 : 광학 보상 장치(광학 보상 소자 조정 기구)
41 : 제1 보유지지 부재(부착 부재)
51 : 광학 보상 소자
52, 72 : 조정 프레임
71 : 부착 부재
353 : 액정 패널(광 변조 장치)
354 : 출사측 편광판
521, 721 : 보유지지부
522, 722, 723 : 고정부
523, 724, 725 : 조정부
524, 726, 727, 728, 729 : 정류부
712, 713, 714, 715 : 돌출부(복수의 걸어맞춤부)
5211, 7211 : 개구부
5221 : 굴곡부
5222 : 고정 본체부
5231 : 구멍부
7121, 7131,7141, 7151, 7221, 7231 : 절결
7241, 7251 : 제1 맞닿음부
7242, 7252 : 제2 맞닿음부
CN1 : 중심
CN2 : 중심축
CR1, CR2, CR3 : 각부
CU : 냉각 장치
R1 : 가상선
S2 : 나사(삽입 부재)
S3 : 나사(이동 부재)

Claims (16)

  1. 광 변조 장치를 광학적으로 보상하는 광학 보상 소자와,
    상기 광 변조 장치에 대한 상기 광학 보상 소자의 각도를 조정하는 조정 프레임을 구비하고,
    상기 조정 프레임은,
    상기 광학 보상 소자를 보유지지하는 대략 직사각형의 보유지지부와,
    상기 보유지지부의 대략 대각이 되는 위치로부터 각각 상기 보유지지부에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장하고, 상기 조정 프레임이 부착되는 부착 부재에 각각 고정되는 한 쌍의 고정부와,
    상기 한 쌍의 고정부로부터 떨어진 위치에 배치되고, 상기 한 쌍의 고정부를 연결하는 가상선을 중심으로 하여 상기 보유지지부를 경사시킴으로써, 상기 광학 보상 소자를 경사시키는 조정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 보상 소자 조정 기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정부는, 상기 부착 부재에 대하여 근접하는 방향으로 이동됨으로써, 상기 보유지지부를 경사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 보상 소자 조정 기구.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조정부는, 상기 부착 부재에 삽입되는 삽입 부재가 삽입 통과하는 구멍부을 갖고,
    상기 부착 부재로의 상기 삽입 부재의 삽입량에 따라서 상기 부착 부재에 대한 이동량이 조정됨으로써, 상기 보유지지부의 경사량이 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 보상 소자 조정 기구.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보유지지부는, 상기 조정부에 의해 경사짐으로써, 상기 삽입 부재를 삽입 방향과 반대의 방향으로 탄성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 보상 소자 조정 기구.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조정부는, 상기 보유지지부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고정부의 배치 위치와는 상이한 각부 근방에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 보상 소자 조정 기구.
  6. 광 변조 장치를 광학적으로 보상하는 광학 보상 소자와,
    상기 광 변조 장치에 대한 상기 광학 보상 소자의 각도를 조정하는 조정 프레임을 구비하고,
    상기 조정 프레임은,
    상기 광학 보상 소자를 보유지지하는 대략 직사각형의 보유지지부와,
    상기 보유지지부의 대략 대각이 되는 위치로부터 각각 상기 보유지지부에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장하고, 상기 조정 프레임이 부착되는 부착 부재에 각각 고정되는 한 쌍의 고정부와,
    상기 한 쌍의 고정부로부터 떨어진 위치에 배치되어, 상기 한 쌍의 고정부를 연결하는 가상선을 중심으로 하여 상기 보유지지부를 경사시킴으로써, 상기 광학 보상 소자를 경사시키는 조정부를 갖고,
    상기 조정부는, 상기 조정 프레임로부터 외주측으로 연장하도록 형성되고,
    상기 조정부는,
    상기 부착 부재에 맞닿는 제1 맞닿음부와,
    상기 부착 부재에 있어서 상기 광학 보상 소자에 대향하는 면과 대략 평행하게 이동하는 이동 부재가 맞닿음되는 제2 맞닿음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1 맞닿음부는, 가요성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 보상 소자 조정 기구.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보유지지부의 경사량은, 상기 제2 맞닿음부에 맞닿음 된 상태에서의 상기 이동 부재의 이동량에 따라서 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 보상 소자 조정 기구.
  8. 제6항 또는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조정 프레임은, 상기 조정부를 한 쌍 갖고,
    한 쌍의 상기 조정부는, 상기 부착 부재측에서 보아, 상기 광학 보상 소자의 중심에 대하여 대략 점 대칭이 되는 위치에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 보상 소자 조정 기구.
  9. 제6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맞닿음부는, 상기 제1 맞닿음부가 상기 부착 부재로부터 받는 반력에 의해, 상기 이동 부재를 탄성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 보상 소자 조정 기구.
  10.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가상선은, 상기 보유지지부에 보유지지된 상기 광학 보상 소자의 각 변에 대하여 대략 45° 경사지는 직선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 보상 소자 조정 기구.
  11. 제6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부착 부재는, 상기 한 쌍의 고정부가 걸어맞춤되는 복수의 걸어맞춤부를 구비하고,
    상기 한 쌍의 고정부 및 상기 복수의 걸어맞춤부는, 서로 걸어맞춤하는 절결을 각각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 보상 소자 조정 기구.
  12. 제1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고정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상기 보유지지부로부터 굴곡하는 굴곡부와,
    상기 굴곡부의 선단으로부터 상기 보유지지부와 대략 평행하게 연장하고, 상기 부착 부재에 고정되는 고정 본체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 보상 소자 조정 기구.
  13. 광원 장치와,
    상기 광원 장치로부터 출사된 빛을 변조하는 광 변조 장치와,
    상기 광 변조 장치에 의해 변조된 빛을 투사하는 투사 광학 장치와,
    제1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광학 보상 소자 조정 기구를 구비하고,
    상기 광학 보상 소자 조정 기구는, 상기 광 변조 장치와 상기 투사 광학 장치의 사이에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젝터.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광 변조 장치는,
    입사되는 빛을 변조하는 액정 패널과,
    상기 액정 패널이 광 입사측에서 보유지지되는 보유지지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보유지지 부재는, 상기 부착 부재이고,
    상기 보유지지 부재의 광 출사측의 면에는, 상기 한 쌍의 고정부가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젝터.
  15. 제13항 또는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광 변조 장치와 상기 투사 광학 장치의 사이에 배치되는 편광판과,
    당해 프로젝터의 냉각 대상이 되는 부재로 냉각풍을 송출하는 냉각 장치를 구비하고,
    상기 조정 프레임은, 상기 냉각 장치로부터 송풍된 냉각풍을 상기 편광판을 향하여 유통시키는 정류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젝터.
  16. 제13항 내지 제1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조정부에 의한 상기 광학 보상 소자가 경사지기 전에 있어서,
    상기 광 변조 장치로부터 출사되는 빛의 중심축은, 상기 광학 보상 소자의 중심으로부터 떨어진 위치를 투과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젝터.

KR1020177010818A 2014-10-27 2015-10-23 광학 보상 소자 조정 기구 및 프로젝터 KR20170057414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4218488 2014-10-27
JPJP-P-2014-218488 2014-10-27
JPJP-P-2015-158558 2015-08-10
JP2015158558A JP6668635B2 (ja) 2014-10-27 2015-08-10 光学補償素子調整機構及びプロジェクター
PCT/JP2015/005345 WO2016067580A1 (ja) 2014-10-27 2015-10-23 光学補償素子調整機構及びプロジェクタ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57414A true KR20170057414A (ko) 2017-05-24

Family

ID=559736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7010818A KR20170057414A (ko) 2014-10-27 2015-10-23 광학 보상 소자 조정 기구 및 프로젝터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10073329B2 (ko)
EP (1) EP3214494A4 (ko)
JP (1) JP6668635B2 (ko)
KR (1) KR20170057414A (ko)
CN (1) CN106687859A (ko)
TW (1) TWI572969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830766B (zh) * 2019-04-19 2022-03-08 中强光电股份有限公司 光学模块及投影机
JP2021033208A (ja) * 2019-08-29 2021-03-01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表示装置、および表示装置の光学系の調整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25445B1 (ko) 1991-02-22 1999-10-15 야스카와 히데아키 투사형 액정 프로젝터
JP3767047B2 (ja) * 1996-04-26 2006-04-19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投写型表示装置
JP3794250B2 (ja) * 2000-07-17 2006-07-05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プロジェクタ
JP3982551B2 (ja) * 2003-03-10 2007-09-26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光学部品用筐体、およびプロジェクタ
JP4168899B2 (ja) * 2003-10-16 2008-10-22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光学部品用筐体、光学装置、およびプロジェクタ
JP4103803B2 (ja) 2004-01-15 2008-06-18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光学装置およびプロジェクタ
JP4158719B2 (ja) * 2004-02-18 2008-10-01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光学装置、およびプロジェクタ
TWI291039B (en) * 2006-04-20 2007-12-11 Benq Corp Apparatus for adjusting position of mirror and image forming apparatus having the same
JP4190546B2 (ja) * 2006-05-02 2008-12-03 三洋電機株式会社 液晶プロジェクタ装置
JP4404113B2 (ja) * 2007-08-06 2010-01-27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補償素子調整機構及びプロジェクタ
JP2009169046A (ja) * 2008-01-16 2009-07-30 Seiko Epson Corp 補償素子調整機構およびプロジェクタ
JP2010020052A (ja) * 2008-07-10 2010-01-28 Seiko Epson Corp 光学装置およびプロジェクタ
JP2010054657A (ja) * 2008-08-27 2010-03-11 Panasonic Corp 位相補償板調整保持装置
JP2010230726A (ja) * 2009-03-25 2010-10-14 Seiko Epson Corp 画像表示装置及び視野角補償方法
JP2010286691A (ja) 2009-06-12 2010-12-24 Seiko Epson Corp プロジェクター
JP5817264B2 (ja) * 2011-07-05 2015-11-18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プロジェクタ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201617722A (zh) 2016-05-16
CN106687859A (zh) 2017-05-17
EP3214494A1 (en) 2017-09-06
EP3214494A4 (en) 2018-03-21
US20170307967A1 (en) 2017-10-26
JP2016085443A (ja) 2016-05-19
TWI572969B (zh) 2017-03-01
JP6668635B2 (ja) 2020-03-18
US10073329B2 (en) 2018-09-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922332B2 (en) Compensation element adjustment mechanism and projector
JP2008250277A (ja) 投写型表示装置
JP4168899B2 (ja) 光学部品用筐体、光学装置、およびプロジェクタ
US20130016322A1 (en) Reflective polarizing plate apparatus, electro-optic apparatus, optical apparatus, and projector
JP3702890B2 (ja) 光学組立体、及びプロジェクタ
JP5084242B2 (ja) 光学素子調整機構、液晶表示装置、および投写型表示装置
JPWO2020026706A1 (ja) 光学モジュール、投射型画像表示装置、光学モジュールの製造方法
JP2009169046A (ja) 補償素子調整機構およびプロジェクタ
KR20170057414A (ko) 광학 보상 소자 조정 기구 및 프로젝터
JP2009169042A (ja) 補償素子調整機構およびプロジェクタ
US9470884B2 (en) Image projection apparatus and illumination optical system
JP5849589B2 (ja) 反射型偏光板装置、電気光学装置、光学装置、及びプロジェクター
JP2005084596A (ja) 光学装置、光学変換素子姿勢調整装置、およびプロジェクタ
JP2007057598A (ja) 光学部品用筐体、光学装置、およびプロジェクタ
JP2003172975A (ja) 光学部品用筐体、光学ユニット、およびプロジェクタ
JP6874433B2 (ja) 光学装置、プロジェクター及び製造方法
JP2010091645A (ja) 調整機構、およびプロジェクタ
WO2016067580A1 (ja) 光学補償素子調整機構及びプロジェクター
JP5725221B2 (ja) プロジェクター
JP5861330B2 (ja) プロジェクター
JP5115365B2 (ja) 光学装置、およびプロジェクタ
JP2010190926A (ja) 光学装置及びプロジェクター
JP2004246059A (ja) 光学部品用筐体、光学ユニット、およびプロジェクタ
JP2015152843A (ja) プロジェクター
JP2000304905A (ja) レンズ、レンズ装置、レンズの位置調整装置、及びプロジェク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