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56744A - 시트용 워크인장치 - Google Patents

시트용 워크인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56744A
KR20170056744A KR1020150159404A KR20150159404A KR20170056744A KR 20170056744 A KR20170056744 A KR 20170056744A KR 1020150159404 A KR1020150159404 A KR 1020150159404A KR 20150159404 A KR20150159404 A KR 20150159404A KR 20170056744 A KR20170056744 A KR 2017005674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ail
memory
work
link bracket
ge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594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63737B1 (ko
Inventor
최진욱
박진문
Original Assignee
현대다이모스(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다이모스(주) filed Critical 현대다이모스(주)
Priority to KR102015015940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63737B1/ko
Publication of KR201700567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5674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6373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6373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0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 B60N2/06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slidable
    • B60N2/08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slidable characterised by the locking devi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0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 B60N2/06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slidable
    • B60N2/08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slidable characterised by the locking device
    • B60N2/0831Movement of the latch
    • B60N2/0837Movement of the latch pivo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0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 B60N2/06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slidable
    • B60N2/08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slidable characterised by the locking device
    • B60N2/0831Movement of the latch
    • B60N2/0837Movement of the latch pivoting
    • B60N2/085Movement of the latch pivoting about a transversal axi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0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 B60N2/1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tilta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0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 B60N2/1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slidable and tiltable
    • B60N2/123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slidable and tiltable and provided with memory locks

Abstract

본 발명은 워크인 메모리 기능을 위한 구조를 단순화하면서도 메모리 기능의 작동성을 향상시키는 시트용 워크인장치에 관한 것으로, 고정레일에 길이방향을 따라 마련된 워크인레일; 이동레일에 마련되고, 워크인 작동과 연동하여 워크인레일에 선택적으로 맞물리되 워크인레일에 맞물린 상태에서 이동레일과 함께 전후방으로 이동하면서 회전하며, 회전방향에 따라 그 축방향 일측 또는 타측으로 이동하는 메모리기어; 및 워크인 작동 초기에 이동레일의 후방 이동에 상응하는 메모리기어의 회전을 규제하면서 이동레일의 전방 이동에 상응하는 회전은 허용하도록 마련된 규제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Description

시트용 워크인장치{WALK-IN APPARATUS FOR SEAT}
본 발명은 워크인 메모리 기능을 위한 구조를 단순화하면서도 메모리 기능의 작동성을 향상시키는 시트용 워크인장치에 관한 것이다.
RV차량이나, 3도어 타입의 차량에는 후석 시트 승객의 승하차를 위해 전석 시트는 워크인 기능을 갖추고 있다.
시트의 워크인 기능이란 초기 상태에서 후석 시트의 승객이 전석 시트의 워크인레버를 조작하면, 시트백이 소정 각도 전방으로 폴딩되면서 동시에 전석 시트가 전방으로 소정 거리로 슬라이드 이동하는 기능이며, 이를 통해 전석 시트와 후석 시트 사이의 공간을 확보해서 후석 시트의 승객이 용이하게 승하차를 할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을 말한다.
한편, 상기 워크인 장치에 있어, 종래에는 시트를 전방으로 워크인 이동시에, 메모리모듈을 끌고 가는 로크부재가 메모리모듈로부터 로크 해제되면 메모리모듈이 워크인레일에 걸려지면서 워크인 작동 지점을 기억할 수 있도록 한 워크인 메모리장치가 제안된 바 있다.
하지만, 이 같은 워크인 메모리장치의 경우, 메모리모듈과 로크부재의 로킹구조는 물론, 메모리 기능을 위한 메모리모듈의 구조 역시 복잡하게 이루어져 장치의 원가 및 중량이 커지는 문제가 있다.
상기의 배경기술로서 설명된 사항들은 본 발명의 배경에 대한 이해 증진을 위한 것일 뿐,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이미 알려진 종래기술에 해당함을 인정하는 것으로 받아들여져서는 안 될 것이다.
JP 2010-0247594 A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 워크인 메모리 기능을 위한 구조를 단순화하면서도 메모리 기능의 작동성을 향상시키는 시트용 워크인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구성은, 고정레일에 길이방향을 따라 마련된 워크인레일; 이동레일에 마련되고, 워크인 작동과 연동하여 워크인레일에 선택적으로 맞물리되 워크인레일에 맞물린 상태에서 이동레일과 함께 전후방으로 이동하면서 회전하며, 회전방향에 따라 그 축방향 일측 또는 타측으로 이동하는 메모리기어; 및 워크인 작동 초기에 이동레일의 후방 이동에 상응하는 메모리기어의 회전을 규제하면서 이동레일의 전방 이동에 상응하는 회전은 허용하도록 마련된 규제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워크인레일은 고정레일의 바닥면에 랙기어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메모리기어는 상기 워크인레일에 치합되는 피니언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워크인레버의 조작에 연동하여 회전하는 제1링크브라켓; 상기 제1링크브라켓과 연동하여 회전하고, 단부에 메모리기어가 구비된 제2링크브라켓;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링크브라켓의 일단에 워크인레버와 이어지는 워크인케이블이 연결되고; 상기 제1링크브라켓의 중단이 이동레일에 힌지구조로 결합되며; 상기 제1링크브라켓의 타단이 제2링크브라켓의 일단에 지지되고; 상기 제2링크브라켓의 중단이 이동레일에 힌지구조로 결합되며; 상기 제2링크브라켓의 타단에 메모리기어가 메모리회전축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상기 메모리기어가 메모리회전축에 나사 구조로 결합되어, 메모리회전축의 축방향을 따라 이동할 수 있다.
상기 규제수단은, 상기 메모리기어의 일측면이 상기 제2링크브라켓의 타단 측면에 밀착된 상태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2링크브라켓의 타단에는 제2링크브라켓의 일단으로부터 분기된 형상으로 제1,2축고정부가 각각 구비되고; 상기 제1,2축고정부 사이에 메모리회전축과 메모리기어가 구비되어, 상기 메모리기어가 제1,2축고정부 사이의 구간 내에서 축방향으로 이동되며; 워크인 작동 초기에는 상기 메모리기어의 일측면이 제1축고정부의 내측면에 밀착된 상태로 구비되고; 상기 메모리기어의 타측면이 제2축고정부의 내측면에 밀착되면서 이동레일의 이동을 규제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한 과제 해결수단을 통해 본 발명은, 워크인 메모리 기능이 메모리기어 및 워크인레일의 선택적인 치합 구조와 함께 메모리기어의 위치 규제만으로 이루어짐으로써, 메모리 기능을 위한 워크인 장치의 구조를 간소화하게 되는바, 워크인장치의 원가 및 중량을 저감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워크인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사시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워크인장치에서 워크인 작동 초기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3은 도 2에 대한 메모리기어의 작동 및 배치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워크인장치에서 워크인 작동을 통해 시트가 최전방으로 이동된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5는 도 4에 대한 메모리기어의 작동 및 배치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메모리기어와 메모리회전축의 구성을 확대하여 나타낸 도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시트용 워크인장치는 크게, 워크인레일(250)과, 메모리기어(150) 및 규제수단을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먼저 워크인레일(250)은 고정레일(200)에 길이방향을 따라 마련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워크인레일(250)은 고정레일(200)의 바닥면에 랙기어 형상으로 길게 형성될 수 있는 것으로, 워크인 작동에 의한 시트의 최대 이동거리에 상응하는 길이만큼 형성될 수 있다.
메모리기어(150)는, 이동레일(100)과 함께 이동 가능하게 마련되는 것으로, 워크인 작동과 연동하여 워크인레일(250)에 선택적으로 맞물리되 워크인레일(250)에 맞물린 상태에서 이동레일(100)과 함께 전후방으로 이동하면서 회전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예컨대, 워크인 작동시 메모리기어(150)가 워크인레일(250)을 향해 이동하여 맞물리고, 워크인 작동 이 외에는 메모리기어(150)가 워크인레일(250)로부터 이격되어 워크인레일(250)과 맞물림이 해제될 수 있다.
이에, 상기 메모리기어(150)는 상기 워크인레일(250)에 치합 가능한 피니언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특히, 상기 메모리기어(150)는 메모리기어(150)가 회전하는 방향에 따라 그 축방향의 일측 또는 타측으로 이동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메모리기어(150)가 도 2를 기준으로 시계방향으로 회전시, 상기 메모리기어(150)는 이 같은 회전작동과 함께 도 3을 기준으로 우측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고, 반면 상기 메모리기어(150)가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는 경우에는 좌측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다만, 후술하는 규제수단에 의해 워크인 작동 초기에는 메모리기어(150)의 반시계방향 회전이 규제된다.
아울러, 규제수단은 워크인 작동 초기에 이동레일(100)의 후방 이동에 상응하는 메모리기어(150)의 회전을 규제하면서 이동레일(100)의 전방 이동에 상응하는 회전은 허용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즉, 메모리기어(150)의 위치를 초기 워크인 작동 시점을 기억하기 위한 위치로 셋팅시킬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 워크인 작동을 실시하는 시점에서, 규제수단을 통해 시트의 후방 이동(워크인 복귀 이동)에 대응하는 메모리기어(150)의 회전은 제한하고, 시트의 전방 이동(워크인 이동)에 대응하는 메모리기어(150)의 회전은 허용한다.
따라서, 워크인 작동 이 후 시트의 복귀 이동시, 초기 워크인 작동이 일어난 시점에 시트가 도달하면, 규제수단에 의해 메모리기어(150)의 회전이 제한됨으로써, 워크인 작동 시점의 메모리 기능을 구현 가능하게 된다.
이 같은 구성에 따르면, 본 발명은 워크인 메모리 기능이 메모리기어(150) 및 워크인레일(250)의 선택적인 치합 구조와 함께 메모리기어(150)의 위치 규제만으로 이루어짐으로써, 메모리 기능을 위한 워크인 장치의 구조를 간소화하게 되는바, 워크인장치의 원가 및 중량을 저감하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은 워크인레버의 조작에 연동하여 회전하는 제1링크브라켓(110)과, 상기 제1링크브라켓(110)과 연동하여 회전하고, 단부에 메모리기어(150)가 구비된 제2링크브라켓(120)을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링크브라켓(110)의 일단에 워크인레버(도시생략)와 이어지는 워크인케이블(170)이 연결될 수 있고, 상기 제1링크브라켓(110)의 중단이 이동레일(100)에 힌지구조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으며, 상기 제1링크브라켓(110)의 타단이 제2링크브라켓(120)의 일단에 지지될 수 있다.
즉, 워크인레버의 조작에 따라 워크인케이블(170)이 당겨지면, 제1링크브라켓(110)이 회전하면서 제2링크브라켓(120)을 들어 올려 회전 작동된다.
그리고, 상기 제2링크브라켓(120)의 중단이 이동레일(100)에 힌지구조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고, 상기 제2링크브라켓(120)의 타단에 메모리기어(150)가 메모리회전축(140)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즉, 제2링크브라켓(120)이 제1링크브라켓(110)과 연동하여 회전 작동됨으로써, 메모리기어(150)가 워크인레일(250)에 치합된다.
이때에, 상기 메모리기어(150)의 중심에 형성된 홀 내주면과 메모리회전축(140)의 외주면이 나사 구조로 결합됨으로써, 메모리기어(150)의 회전시 메모리회전축(140)의 축방향을 따라 메모리기어(150)가 이동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링크브라켓(110)의 타단과 이동레일(100)에 리턴스프링(130)을 구비하여, 제1링크브라켓(110) 및 제2링크브라켓(120)의 회전 작동에 대한 탄성복원력을 제공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서 상기 규제수단의 바람직한 예시로서, 상기 메모리기어(150)의 일측면이 상기 제2링크브라켓(120)의 타단 측면에 밀착된 상태로 구비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2링크브라켓(120)의 타단에는 제2링크브라켓(120)의 일단으로부터 분기된 형상으로 제1,2축고정부(121,122)가 각각 구비되고, 상기 제1축고정부(121)와 제2축고정부(122) 사이에 메모리기어(150)가 결합된 메모리회전축(140)이 구비되어, 상기 메모리기어(150)가 제1,2축고정부(121,122) 사이의 구간 내에서 축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이때에, 도 6과 같이 상기 제2링크브라켓(120)의 외면과 이동레일(100)의 내면 사이에는 홀더브라켓이 더 구비될 수 있는바, 상기 홀더브라켓을 통해 메모리기어(150)의 이동을 한층 안정적으로 규제할 수 있다.
특히, 도 3과 같이 워크인 작동 초기에는 상기 메모리기어(150)의 일측면이 제1축고정부(121)의 내측면에 밀착된 상태로 구비됨으로써, 초기 워크인 작동 지점에 대한 시트 위치를 메모리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메모리기어(150)의 타측면이 제2축고정부(122)의 내측면에 밀착되면서 이동레일(100)의 이동을 규제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워크인 작동에 따라 시트의 전방 이동시, 메모리기어(150)의 타측면이 제2축고정부(122)의 내측면에 밀착됨으로써, 시트의 전방 이동을 규제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시트용 워크인장치의 워크인 작동에 대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시트에 구비된 워크인레버를 작동하면, 도 2와 같이 워크인케이블(170)이 당겨지면서 제1링크브라켓(110)이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고, 제1링크브라켓(110)의 타단이 제2링크브라켓(120)의 일단을 들어올리면서 제2링크브라켓(120) 역시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한다.
그러면, 제2링크브라켓(120)의 타단이 하방으로 이동하여, 메모리기어(150)가 워크인레일(250)에 치합 결합된다.
이 경우, 도 3과 같이 메모리기어(150)의 일측면이 제1축고정부(121)의 내측면에 밀착된 상태에 있게 되는바, 메모리기어(150)는 좌측으로의 이동(시트의 후방 이동)이 규제되고, 우측으로의 이동(시트의 전방 이동)만이 허용됨으로써, 시트의 워크인 작동 시점을 메모리할 수 있게 된다.
이 상태에서, 시트가 전방으로 이동되면 도 4와 같이 이동레일(100)과 함께 메모리기어(150)가 워크인레일(250)을 따라 회전하면서 전방으로 이동하게 되고, 특히 도 5와 같이 메모리기어(150)는 메모리회전축(140)을 따라 오른쪽으로 이동하게 된다.
그리고, 메모리기어(150)의 타측면이 제2축고정부(122)의 내측면에 밀착되면, 메모리기어(150)의 회전이 제한되면서 이동레일(100)의 전방 이동이 규제되고, 이에 시트의 워크인 작동이 이루어지게 된다.
이어서, 시트를 다시 후방으로 복귀 이동하면, 이동레일(100)과 함께 메모리기어(150)가 워크인레일(250)을 따라 회전하면서 후방으로 이동하게 되고, 특히 메모리기어(150)가 후방으로 이동하여 워크인 작동 시점 위치에 도달하는 경우, 메모리기어(150)의 일측면도 제1축고정부(121)의 내측면에 규제되어 이동레일(100)의 후방 이동이 규제됨으로써, 워크인 메모리 기능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워크인 메모리 기능이 메모리기어(150) 및 워크인레일(250)의 선택적인 치합 구조와 함께 메모리기어(150)의 위치 규제만으로 이루어짐으로써, 메모리 기능을 위한 워크인 장치의 구조를 간소화하게 되는바, 워크인장치의 원가 및 중량을 저감하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은 상기한 구체적인 예에 대해서만 상세히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의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수정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함은 당연한 것이다.
100 : 이동레일 110 : 제1링크브라켓
120 : 제2링크브라켓 121 : 제1축고정부
122 : 제2축고정부 140 : 메모리회전축
150 : 메모리기어 170 : 워크인케이블
200 : 고정레일 250 : 워크인레일

Claims (7)

  1. 고정레일에 길이방향을 따라 마련된 워크인레일;
    이동레일에 마련되고, 워크인 작동과 연동하여 워크인레일에 선택적으로 맞물리되 워크인레일에 맞물린 상태에서 이동레일과 함께 전후방으로 이동하면서 회전하며, 회전방향에 따라 그 축방향 일측 또는 타측으로 이동하는 메모리기어; 및
    워크인 작동 초기에 이동레일의 후방 이동에 상응하는 메모리기어의 회전을 규제하면서 이동레일의 전방 이동에 상응하는 회전은 허용하도록 마련된 규제수단;을 포함하는 시트용 워크인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워크인레일은 고정레일의 바닥면에 랙기어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메모리기어는 상기 워크인레일에 치합되는 피니언 형상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용 워크인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워크인레버의 조작에 연동하여 회전하는 제1링크브라켓;
    상기 제1링크브라켓과 연동하여 회전하고, 단부에 메모리기어가 구비된 제2링크브라켓;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용 워크인장치.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제1링크브라켓의 일단에 워크인레버와 이어지는 워크인케이블이 연결되고;
    상기 제1링크브라켓의 중단이 이동레일에 힌지구조로 결합되며;
    상기 제1링크브라켓의 타단이 제2링크브라켓의 일단에 지지되고;
    상기 제2링크브라켓의 중단이 이동레일에 힌지구조로 결합되며;
    상기 제2링크브라켓의 타단에 메모리기어가 메모리회전축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용 워크인장치.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메모리기어가 메모리회전축에 나사 구조로 결합되어, 메모리회전축의 축방향을 따라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용 워크인장치.
  6.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규제수단은,
    상기 메모리기어의 일측면이 상기 제2링크브라켓의 타단 측면에 밀착된 상태로 구비되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용 워크인장치.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제2링크브라켓의 타단에는 제2링크브라켓의 일단으로부터 분기된 형상으로 제1,2축고정부가 각각 구비되고;
    상기 제1,2축고정부 사이에 메모리회전축과 메모리기어가 구비되어, 상기 메모리기어가 제1,2축고정부 사이의 구간 내에서 축방향으로 이동되며;
    워크인 작동 초기에는 상기 메모리기어의 일측면이 제1축고정부의 내측면에 밀착된 상태로 구비되고;
    상기 메모리기어의 타측면이 제2축고정부의 내측면에 밀착되면서 이동레일의 이동을 규제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용 워크인장치.
KR1020150159404A 2015-11-13 2015-11-13 시트용 워크인장치 KR10226373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59404A KR102263737B1 (ko) 2015-11-13 2015-11-13 시트용 워크인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59404A KR102263737B1 (ko) 2015-11-13 2015-11-13 시트용 워크인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56744A true KR20170056744A (ko) 2017-05-24
KR102263737B1 KR102263737B1 (ko) 2021-06-14

Family

ID=590516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59404A KR102263737B1 (ko) 2015-11-13 2015-11-13 시트용 워크인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63737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71520B1 (ko) * 2018-10-31 2020-01-30 주식회사 다스 자동차 시트의 워크인 메모리 장치
KR20230013544A (ko) 2021-07-19 2023-01-26 현대트랜시스 주식회사 차량의 시트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202813A (ja) * 2008-02-29 2009-09-10 Gifu Auto Body Industry Co Ltd シートトラック装置
JP2010247594A (ja) 2009-04-14 2010-11-04 Fuji Kiko Co Ltd 車両のシートスライド装置
US20110169294A1 (en) * 2010-01-13 2011-07-14 Lear Corporation Vehicle seat easy entry assembly with position memory
US20110198906A1 (en) * 2008-12-19 2011-08-18 Lear Corporation Internal Full Memory Module for Seat Tracks
JP2014166821A (ja) * 2013-02-28 2014-09-11 Aisin Seiki Co Ltd 車両用シートスライド装置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202813A (ja) * 2008-02-29 2009-09-10 Gifu Auto Body Industry Co Ltd シートトラック装置
US20110198906A1 (en) * 2008-12-19 2011-08-18 Lear Corporation Internal Full Memory Module for Seat Tracks
JP2010247594A (ja) 2009-04-14 2010-11-04 Fuji Kiko Co Ltd 車両のシートスライド装置
US20110169294A1 (en) * 2010-01-13 2011-07-14 Lear Corporation Vehicle seat easy entry assembly with position memory
JP2014166821A (ja) * 2013-02-28 2014-09-11 Aisin Seiki Co Ltd 車両用シートスライド装置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71520B1 (ko) * 2018-10-31 2020-01-30 주식회사 다스 자동차 시트의 워크인 메모리 장치
KR20230013544A (ko) 2021-07-19 2023-01-26 현대트랜시스 주식회사 차량의 시트
WO2023003306A1 (ko) 2021-07-19 2023-01-26 현대트랜시스 주식회사 차량의 시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63737B1 (ko) 2021-06-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64690B1 (ko) 자동차 시트 쿠션 익스텐션장치
CN106573554A (zh) 车辆座椅和调整车辆座椅的方法
US20150251569A1 (en) Vehicle seat
JP5795397B2 (ja) 電気的手動解除シート
KR101634881B1 (ko) 차량 시트 제어장치 및 제어방법
KR20170056744A (ko) 시트용 워크인장치
US10279711B2 (en) Locking system for a seat arrangement of a motor vehicle
JP7362201B2 (ja) 座席支持装置
JP2009029272A (ja) ウォークインシートスライド装置
US20210145676A1 (en) Boarding/deboarding controller
JP2007196899A (ja) シートの操作装置及びシート
KR101371868B1 (ko) 워크인 시트
KR102570786B1 (ko) 차량용 플랫시트
KR100769829B1 (ko) 자동차용 시트백 폴딩장치
KR101607206B1 (ko) 비대칭 트랙의 워크인 메모리장치
RU2381918C1 (ru) Механизм стопорения салазок автомобильных сидений
JP2018043540A (ja) シート操作システム及び線状部材作動装置
KR101610726B1 (ko) 시트용 워크인장치
CN112424022A (zh) 具有能摆动的桌元件的用于车辆的调节结构组件
KR20120072604A (ko) 광역 시트백 폴딩타입 리클라이너
KR101801972B1 (ko) 헤드레스트 장치
KR101716971B1 (ko) 시트용 워크인장치
KR101716968B1 (ko) 차량용 시트의 워크인 장치
JP2002293224A (ja) 自動車におけるブレーキペダル回動制御装置
KR101447749B1 (ko) 시트백의 폴딩 조절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