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53947A - 조리장치 및 그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조리장치 및 그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53947A
KR20170053947A KR1020150156517A KR20150156517A KR20170053947A KR 20170053947 A KR20170053947 A KR 20170053947A KR 1020150156517 A KR1020150156517 A KR 1020150156517A KR 20150156517 A KR20150156517 A KR 20150156517A KR 20170053947 A KR20170053947 A KR 2017005394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oking
zone
cooking zone
unit
temperat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565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서승욱
이재문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15651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053947A/ko
Priority to PCT/KR2016/012380 priority patent/WO2017082566A1/ko
Priority to CN201680065543.9A priority patent/CN108348088B/zh
Priority to EP16864492.0A priority patent/EP3338599B1/en
Priority to US15/774,799 priority patent/US11015814B2/en
Publication of KR2017005394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5394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7/00Stoves or ranges heated by electric energy
    • F24C7/04Stoves or ranges heated by electric energy with heat radiated directly from the heating element
    • F24C7/043Stov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06Roasters; Grills; Sandwich grills
    • A47J37/067Horizontally disposed broiling griddles
    • A47J37/0676Horizontally disposed broiling griddles electrically heated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14Cooking-vessels for use in hotels, restaurants, or cantee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06Roasters; Grills; Sandwich gril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06Roasters; Grills; Sandwich grills
    • A47J37/067Horizontally disposed broiling griddl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15/00Details
    • F24C15/10Tops, e.g. hot plates; Rings
    • F24C15/102Tops, e.g. hot plates; Rings electrically heated
    • F24C15/105Constructive details concerning the regulation of the temperature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1/00Details of electric heating devices
    • H05B1/02Automatic switching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to apparatus ; Control of heating devices
    • H05B1/0227Applications
    • H05B1/0252Domestic applications
    • H05B1/0258For cooking
    • H05B1/0261For cooking of food
    • H05B1/0266Cooktop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06Roasters; Grills; Sandwich grills
    • A47J37/0623Small-size cooking ovens, i.e. defining an at least partially closed cooking cavity
    • A47J37/0629Small-size cooking ovens, i.e. defining an at least partially closed cooking cavity with electric heating el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2250/00Electrical heat generating means
    • F24H2250/08Induction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6/00Heating by electric, magnetic or electromagnetic fields
    • H05B6/02Induction heating
    • H05B6/10Induction heating apparatus, other than furnaces, for specific applications
    • H05B6/12Cooking devices
    • H05B6/1209Cooking devices induction cooking plates or the like and devices to be used in combination with them

Abstract

음식물이 조리되는 조리 영역 중 평면 영역보다 곡면 영역을 고온으로 가열하는 조리장치,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한다.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장치는, 제 1 조리 영역, 및 제 1 조리 영역과 구분되는 제 2 조리 영역이 일면에 마련되는 조리부; 상기 조리부를 가열하는 가열부; 및 상기 제 1 조리 영역을 제 1 온도로 가열하고, 상기 제 2 조리 영역을 상기 제 1 온도와 상이한 제 2 온도로 가열하도록 상기 가열부를 제어하는 제어부; 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조리장치 및 그 제어방법{COOKING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FOR THE SAME}
음식물을 가열하여 조리하는 조리장치,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조리장치는 음식물을 가열하여 조리하는 모든 장치를 의미한다. 이러한 조리장치는 음식물을 가열하는 열을 발생시키는 방법에 따라 구분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조리장치는 전기에 의해 발생된 열을 이용하여 음식물을 가열하는 조리장치와, 가스를 연소시켜 발생되는 열로 음식물을 가열하는 조리장치로 나뉠 수 있다.
한편, 최근에는 전통적인 조리 방법을 대체할 수 있는 간편한 조리 방법에 따른 조리장치가 개발되고 있다. 이를 통해, 각국의 전통음식들도 새로운 조리장치를 통해 새로운 조리 방법에 따라 간편하게 조리될 수 있다.
일 예로, 인도의 로티(Rotti)는 반죽을 굽는 과정과 구워진 반죽을 팽화(Puffing)시키는 과정을 통해 만들어지는데, 이를 간소화 할 수 있는 조리장치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 중이다.
개시된 발명의 일 측면은, 음식물이 조리되는 조리 영역 중 평면 영역보다 곡면 영역을 고온으로 가열하는 조리장치,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한다.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장치는, 제 1 조리 영역, 및 제 1 조리 영역과 구분되는 제 2 조리 영역이 일면에 마련되는 조리부; 상기 조리부를 가열하는 가열부; 및 상기 제 1 조리 영역을 제 1 온도로 가열하고, 상기 제 2 조리 영역을 상기 제 1 온도와 상이한 제 2 온도로 가열하도록 상기 가열부를 제어하는 제어부; 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2 조리 영역은, 상기 가열부 방향으로 오목한 상기 곡면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2 조리 영역은, 미리 정해진 곡률에 따라 오목한 상기 곡면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2 조리 영역은, 평면 영역의 중심부와 상기 중심부를 둘러싸는 상기 곡면 영역의 외곽부로 분할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조리부는, 상기 일면이 상기 제 1 조리 영역과 상기 제 2 조리 영역으로 구성되는 조리 영역 및 상기 조리 영역을 둘러싸는 비조리 영역으로 분할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조리부는, 상기 일면에 상기 조리 영역과 상기 비조리 영역이 단차를 갖도록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조리부는, 상기 비조리 영역으로부터 상기 조리 영역이 분리 가능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조리장치의 상태에 대응되는 조리 방법을 안내하는 출력부; 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 1 조리 영역이 상기 제 1 온도에 도달하면, 상기 제 1 조리 영역에서 조리를 시작할 것을 안내하도록 상기 출력부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 1 조리 영역에서의 조리 시간이 미리 정해진 제 1 시간을 도과하면, 상기 제 1 조리 영역에서 조리되는 음식물을 상기 제 2 조리 영역으로 이동할 것을 안내하도록 상기 출력부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 2 조리 영역에서의 조리 시간이 미리 정해진 제 2 시간을 도과하면, 상기 제 2 조리 영역에서 조리되는 음식물의 조리를 종료할 것을 안내하도록 상기 출력부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조리부는, 상기 일면의 상기 제 2 조리 영역에 적어도 하나의 돌기가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조리부는, 상기 제 2 조리 영역이 마련되는 위치를 안내하는 표식이 상기 일면의 상기 제 1 조리 영역 상에 표시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장치의 제어방법은, 본체; 상기 본체 내부에 마련되는 제 1 조리 공간; 및 상기 본체 외부에 마련되는 제 2 조리 공간; 을 포함하고, 상기 제 2 조리 공간은 제 1 조리 영역, 및 제 1 조리 영역과 구분되는 제 2 조리 영역이 상기 본체의 상면에 마련되는 조리장치에 있어서, 조리 명령을 입력 받는 단계; 및 상기 입력된 조리 명령에 따라, 상기 제 1 조리 영역을 제 1 온도로 가열하고, 상기 제 2 조리 영역은 상기 제 1 온도와 상이한 제 2 온도로 가열하는 단계; 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조리장치의 상태에 대응되는 조리 방법을 안내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조리 방법을 안내하는 단계는, 상기 제 1 조리 영역이 상기 제 1 온도에 도달하면, 상기 제 1 조리 영역에서 조리를 시작할 것을 안내하는 단계; 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조리 방법을 안내하는 단계는, 상기 제 1 조리 영역에서의 조리 시간이 미리 정해진 제 1 시간을 도과하면, 상기 제 1 조리 영역에서 조리되는 음식물을 상기 제 2 조리 영역으로 이동할 것을 안내하는 단계; 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조리 방법을 안내하는 단계는, 상기 제 2 조리 영역에서의 조리 시간이 미리 정해진 제 2 시간을 도과하면, 상기 제 2 조리 영역에서 조리되는 음식물의 조리를 종료할 것을 안내하는 단계; 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조리 방법을 안내하는 단계는, 상기 안내하고자 하는 조리 방법에 대응되는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조리 장치, 및 그 제어방법의 일 측면에 따르면, 평면 영역에서 표면이 조리된 음식물의 내부가 고온의 곡면 영역에서 조리되는 조리 환경이 제공될 수 있다.
특히, 인도의 전통 음식인 로티(Roti)의 조리 시, 표면이 구워진 반죽 형태의 로티가 팽화(Puffing)될 수 있는 곡면 영역이 제공됨으로써, 사용자가 용이하게 로티를 조리할 수 있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장치의 제어 블록도이다.
도 2a는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2b는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장치의 평면도이고, 도 2c는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장치의 X-X′ 방향의 단면도이다.
도 3a 및 3b는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장치에서 로티의 조리 과정을 예시한 도면이다.
도 4a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조리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4b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조리장치의 평면도이고, 도 4c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조리장치의 X-X′ 방향의 단면도이다.
도 5a는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조리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5b는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조리장치의 평면도이다.
도 6a는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조리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6b는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조리장치의 평면도이고, 도 6c는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조리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7a 및 7b는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장치의 입력부 및 출력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a 내지 8c는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장치 중 LED의 형태로 구현된 출력부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a 및 9b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조리장치 중 디스플레이의 형태로 구현된 출력부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0a 및 10b는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장치에서 제 2 조리 영역의 위치 안내 표식의 여러 가지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1은 일 실시예에 따른 복수의 조리 공간을 포함하는 조리 장치의 사시도이다.도 12는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장치 제어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13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조리장치 제어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14는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조리장치 제어방법의 흐름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조리장치(1) 및 그 제어방법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장치의 제어 블록도이고, 도 2a는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2b는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장치의 평면도이고, 도 2c는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장치의 X-X′ 방향의 단면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장치(1)는, 음식물이 놓여질 수 있는 조리 영역이 마련되는 조리부(100); 조리부(100)의 온도를 감지하는 온도 센서(650); 놓여진 음식물이 조리되도록, 조리 영역을 가열하는 가열부(200); 사용자의 제어명령을 입력 받는 입력부(400); 조리장치(1)의 제어에 이용되는 데이터가 미리 저장되는 저장부(600); 조리장치(1)에 대한 정보를 출력하는 출력부(500); 및 조리장치(1)의 각 구성을 제어하는 제어부(300); 를 포함할 수 있다.
가열부(200)는 후술할 조리부(100)의 조리 영역을 가열하도록 조리부(100)의 하단에 마련될 수 있다. 이를 위해, 가열부(200)는 조리 영역을 가열하기 위한 복수의 가열방법 중 적어도 하나를 채택하여, 채택된 방법을 따를 수 있도록 구현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가열부(200)는 외부로부터 공급된 가스를 연소시킴으로써 조리 영역을 가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일 실시예에 따른 가열부(200)는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가스 공급을 조절하는 가스 공급부와 가스를 연소시켜 화염을 발생하는 가스 버너를 포함할 수 있다. 가스 공급부는 벨브와 같은 형태로 구현되어, 사용자의 조작 또는 후술할 제어부(300)의 제어에 따라 개폐될 수 있다. 가스 공급부가 개방되면 외부로부터 가스가 공급되고, 가스 버너는 공급되는 가스를 연소시켜 고온의 화염을 발생시킬 수 있다. 이렇게 생성된 화염이 직간접적으로 조리부(100)의 조리 영역을 가열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가열부(200)는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전기에 의해 발열함으로써 조리 영역을 가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가열부(200)는 전기를 이용하여 니크롬 선으로 구성되는 발열체를 가열하고, 가열된 발열체로부터 발생한 원적외선을 통해 조리 영역을 직접 가열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가열부(200)를 채택하는 조리장치(1)를 하이라이트 전기 레인지라고 한다.
이와는 달리, 가열부(200)는 전기를 이용하여 코일에 자기장을 형성하고, 형성된 자기장을 통해 자성을 띄는 조리 영역을 가열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가열부(200)를 채택하는 조리장치(1)를 인덕션 전기 레인지라고 한다.
또한, 가열부(200)는 전기를 이용하여 전열선을 가열하고, 가열된 전열선이 주철이나 코팅열판으로 구성되는 상판을 가열함으로써, 상판의 상측에 위치하는 조리 영역을 가열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가열부(200)를 채택하는 조리장치(1)를 핫 플레이트라고 한다.
그 이외에도, 가열부(200)가 전기 공급에 의해 할로겐 램프를 가열하고, 가열된 할로겐 램프에서 생성되는 원적외선을 이용하여 조리 영역을 가열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가열부(200)를 채택하는 조리장치(1)를 할로겐 전기 레인지라 한다.
상술한 실시예 이외에도, 가열부(200)는 다양한 방법을 채택하여 조리 영역을 가열할 수 있다. 또한, 조리부(100)는 상술한 방법 중 어느 하나 또는 복수의 방법을 채택하여, 조리 영역을 가열하도록 구현되는 것도 가능할 수 있다.
조리부(100)는 조리장치(1)의 일면에 마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조리부(100)에서 음식물의 조리를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조리부(100)는 조리장치(1)의 상면에 마련될 수 있다. 여기서, 상면이란 지면 또는 특정 사물에 접촉하여 조리장치(1)의 위치를 고정시키는 하면에 대향하는 조리장치(1)의 일면을 의미할 수 있다.
조리부(100)는 가열부(200)에 의해 가열되는 조리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조리부(100)는 가열부(200)의 상측에 마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조리부(100)의 조리 영역이 가열부(200)의 상측에 마련되고, 조리 영역은 가열부(200)와 직간접적으로 접촉하여 가열부(200)로부터 열을 전달받을 수 있다.
조리 영역에는 조리의 목적이 되는 음식물이 놓일 수 있는데, 조리 영역은 조리에 적합한 다양한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도 2a 내지 2c를 참조하면, 조리부(100)는 음식물이 놓여져 조리될 수 있도록, 가열부(200)에 의해 가열되는 조리 영역과 조리 영역을 둘러싸도록 형성되는 비조리 영역(130)으로 분할될 수 있다.
비조리 영역(130)은 가열되는 조리 영역을 둘러싸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사용자는 비조리 영역(130)의 내측에 형성되는 조리 영역에서 음식물의 조리를 수행할 수 있다.
조리 영역이 가열부(200)에 의해 조리를 위한 온도로 가열되는데 비해, 비조리 영역(130)은 조리와는 무관하므로 가열되지 않을 수 있다. 아울러, 가열된 조리 영역으로부터 열 전도를 차단하기 위해, 비조리 영역(130)은 열 전도도가 낮은 물질로 제조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사용자의 안전을 도모할 수 있다.
조리 영역은 가열부(200)에 의해 가열되고, 가열된 조리 영역은 음식물에 열을 전달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조리 영역은 가열부(200)에 의해 가열이 용이할 수 있는 물질로 제조될 수 있다. 가열부(200)가 직접 조리 영역을 가열하는 경우, 가열부(200)는 알루미늄과 같이 열 전도율이 높은 물질로 제조될 수 있다. 또한, 가열부(200)가 자기장을 형성하여 간접적으로 조리 영역을 가열하는 경우, 가열부(200)는 자성을 띄는 물질로 제조될 수도 있다.
조리 영역은 평면 영역을 포함하는 제 1 조리 영역(110), 및 제 1 조리 영역(110)으로부터 연장되는 곡면 영역을 포함하는 제 2 조리 영역(120)을 포함할 수 있다.
도 2a 내지 2c를 참조하면, 제 1 조리 영역(110)은 조리 장치의 상면의 넓은 면적을 점유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제 1 조리 영역(110)과 접촉되는 음식물의 표면이 가열될 수 있으므로, 넓은 면적의 평면 영역을 가지는 제 1 조리 영역(110)은 평면 형상의 음식물의 표면을 조리하는데 유리할 수 있다.
또한, 제 2 조리 영역(120)은 제 1 조리 영역(110)의 평면 영역으로부터 연장되는 곡면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제 2 조리 영역(120)은 가열부(200) 방향으로 오목한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조리부(100)의 조리 영역은 가열부(200)의 상측에 마련될 수 있으므로, 도 2c와 같이, 제 2 조리 영역(120)은 제 1 조리 영역(110)에 비해 하측으로 오목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그 결과, 곡면 영역을 가지는 제 2 조리 영역(120)은 곡면 형상의 음식물을 조리하는데 유리할 수 있다. 또한, 오목한 형상의 제 2 조리 영역(120)을 통해 음식물을 가열할 경우, 오목한 형상에 수용되는 음식물에 열이 집중될 수 있어, 고온으로 음식물을 가열하는 것이 가능할 수 있다.
이처럼, 조리부(100)는 서로 다른 형상의 조리 영역을 포함함으로써, 사용자는 하나의 음식물에 대하여 조리 영역을 달리하여 복수의 조리 방법을 적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평면 형상의 음식물의 표면을 가열하기 위해 제 1 조리 영역(110)에서 조리를 수행한 후, 표면이 조리된 음식물의 내부를 조리하기 위해 제 2 조리 영역(120)에서 조리를 진행할 수 있다.
특히, 개시된 실시예에 따른 조리부(100)를 포함하는 조리장치(1)는 인도의 전통 음식인 로티(Rotti)를 조리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 여기서, 로티란 밀가루 반죽을 둥글고 얇게 만들어 구운 빵을 통칭하는 것으로, 차파티(Chapati),난(Nan), 푸리(Puri), 및 이들의 변형을 포함할 수 있다.
전통적인 로티의 조리 방법에 따르면, 밀가루 반죽을 얇고 넓게 만들어 타와(Tawa)와 같은 철판 위에 올리고, 철판을 인도식 전통 화덕인 탄두르(Tandoor)에 넣어 밀가루 반죽을 가열함으로써 로티를 만든다.
최근에는 탄두르를 대신하여, 밀가루 반죽이 놓여진 타와를 가스 레인지 또는 전기 레인지를 통해 가열함으로써 로티를 만드는 방법이 널리 이용되고 있다.
이 때, 밀가루 반죽을 가열하기 위해 두 단계의 조리 방법이 적용될 수 있다. 먼저, 얇고 넓은 평면 형상의 밀가루 반죽을 낮은 온도(약 220℃)에서 가열할 수 있다.(1단계) 이를 통해, 밀가루 반죽의 표면이 조리될 수 있다. 그 다음, 밀가루 반죽을 높은 온도(약 270~280℃)에서 가열할 수 있다.(2단계) 밀가루 반죽의 내부에는 수분이 포함되는데, 높은 온도에서는 내부의 수분이 단시간에 기화됨으로써 밀가루 반죽이 부풀어 오를 수 있다. 이를 팽화(Puffing)라고 하며, 팽화를 통해 밀가루 반죽의 내부가 조리됨으로써 로티가 완성될 수 있다.
개시된 실시예에 따른 조리장치(1)는 제 1 조리 영역(110)에서 1단계의 조리를 수행할 수 있는 조리 환경을 제공하고, 제 2 조리 영역(120)에서 2단계 조리를 수행할 수 있는 조리 환경을 제공할 수 있다. 그 결과, 사용자는 개시된 실시예에 따른 조리장치(1)를 통해 로티를 조리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제어부(300)는 제 1 조리 영역(110)을 미리 정해진 제 1 온도로 가열하고, 제 2 조리 영역(120)을 제 1 온도보다 고온의 제 2 온도로 가열하도록 가열부(200)를 제어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제어부(300)는 프로세서의 형태로 하드웨어적으로 구현될 수 있으며, 프로세서 상에서 동작하는 소프트웨어로서 구현되는 것도 가능할 수 있다.
또한, 온도 센서(650)는 조리부(100), 구체적으로 제 1 조리 영역(110) 및 제 2 조리 영역(120)의 온도를 감지하고, 이를 제어부(300)로 전달할 수 있다. 제어부(300)는 온도 센서(650)가 감지한 온도에 기초하여 제 1 조리 영역(110)과 제 2 조리 영역(120) 각각이 제 1 온도 및 제 2 온도에 도달할 수 있도록 가열부(200)를 제어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3a 및 3b를 참조하여, 제어부(300)가 조리 영역을 가열하도록 가열부(200)를 제어하는 방법을 설명한다.
도 3a 및 3b는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장치에서 로티의 조리 과정을 예시한 도면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제어부(300)는 제 1 조리 영역(110)을 제 1 온도로, 제 2 조리 영역(120)을 제 1 온도보다 높은 제 2 온도로 가열하도록 가열부(200)를 제어할 수 있다.
도 3a를 참조하면, 사용자는 얇고 넓은 평면 형상의 밀가루 반죽(Rf)을 제 1 조리 영역(110)의 평면 영역에 놓을 수 있다. 밀가루 반죽(Rf)의 표면을 조리하기 위해, 제어부(300)는 제 1 조리 영역(110)을 제 1 온도로 유지하도록 가열부(200)를 제어할 수 있다. 이 때, 제 1 온도는 약 220℃로 미리 결정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밀가루 반죽(Rf)의 표면이 알맞게 조리된 후, 사용자는 밀가루 반죽(Rf)을 제 2 조리 영역(120)으로 이동할 수 있다. 제 2 조리 영역(120)으로 이동된 밀가루 반죽(Rf)의 내부를 조리하기 위해, 제어부(300)는 제 2 조리 영역(120)을 제 1 온도보다 고온의 제 2 온도로 유지하도록 가열부(200)를 제어할 수 있다. 이 때, 제 2 온도는 약 약 270~280℃로 미리 결정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3b를 참조하면, 제 2 조리 영역(120)에서 고온이 가해지면, 내부의 수분이 기화되고, 기체가 팽창됨으로써 밀가루 반죽(Rp)이 부풀어오를 수 있다. 이처럼 부풀어오른 밀가루 반죽(Rp)은 내부는 팽화에 의해 조리될 수 있다. 사용자는 밀가루 반죽(Rp)의 내부가 알맞게 조리되었다고 판단되면, 조리를 종료함으로써 로티를 완성할 수 있다.
도 3a 및 3b와 달리, 개시된 실시예에 따른 조리장치(1)는 로티 이외의 다양한 음식물의 조리가 가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개시된 실시예에 따른 조리장치(1)는 빵, 피자, 한국의 전과 같이 반죽을 이용하는 음식물의 조리에 이용될 수 있고, 그 이외의 음식물 조리에도 이용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조리 영역은 서로 다른 온도로 가열되는 제 1 조리 영역(110)과 제 2 조리 영역(120)으로 구분될 수 있다. 특히, 제 1 조리 영역(110)과 제 2 조리 영역(120)은 단열부(150)에 의해 구분될 수 있다. 단열부(150)는 제 1 조리 영역(110)과 제 2 조리 영역(120)의 사이에 마련될 수 있으며, 제 1 조리 영역(110)과 제 2 조리 영역(120) 간의 열 교환을 차단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단열부(150)는 열 전도도가 낮은 물질로 구현될 수 있다.
다시 도 2a 내지 2c를 참조하면, 조리부(100) 중 제 1 조리 영역(110)은 하면에 수평한 평면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이와는 달리 제 1 조리 영역(110)의 평면 영역이 일 방향으로 기울어져 형성되는 것도 가능할 수 있다.
또한, 제 1 조리 영역(110)의 외곽이 비조리 영역(130)의 외곽에 평행하게 형성될 수 있다. 그 결과, 제 1 조리 영역(110)의 각 모서리가 수직으로 만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도 2a 및 2b를 참조하면, 제 1 조리 영역(110)의 세 모서리가 비조리 영역(130)의 외곽 모서리에 평행하게 형성되어, 각각의 모서리가 서로 직각을 이룸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제 2 조리 영역(120)의 곡면 영역은 미리 정해진 곡률을 갖도록 제조될 수 있다. 도 2a 내지 2c에서는 제 2 조리 영역(120)의 곡면 영역이 미리 정해진 하나의 곡률을 갖는 경우를 예시하고 있다. 이와는 달리, 제 2 조리 영역(120)의 곡면 영역의 중심과 외곽이 서로 다른 곡률을 갖도록 제조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제 2 조리 영역(120)의 곡면 영역의 중심보다 외곽의 곡률이 더 클 수 있다. 이와는 반대로, 제 2 조리 영역(120)의 곡면 영역의 중심보다 외곽의 곡률이 더 작을 수도 있다. 또한, 제 2 조리 영역(120)의 곡면 영역의 곡률이 중심으로 갈수록 작아지거나 커지는 것도 가능할 수 있다.
조리부(100)는 조리 영역과 비조리 영역(130)이 단차를 갖도록 마련될 수 있다. 도 2a 내지 2c를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부(100)는 조리 영역과 비조리 영역(130)의 경계에 단차를 형성하는 단차부(1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단차부(140)는 조리 영역이 비조리 영역(130)에 비해 하측에 위치하도록 단차를 형성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조리 영역에서 조리되는 음식물을 사용자가 용이하게 조작할 수 있도록 도울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조리 영역(110)에서 얇고 넓은 반죽의 일면을 조리한 후, 반대 면을 조리하고자 할 때, 사용자는 음식물을 단차부(140) 쪽으로 이동하여 용이하게 뒤집을 수 있다.
또한, 조리부(100)는 비조리 영역(130)으로부터 조리 영역이 분리 가능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조리 영역에서는 실제 음식물의 조리가 이루어지므로, 조리 영역의 위생이 중요하다. 조리 영역이 비조리 영역(130)으로부터 분리 되면 조리 영역을 용이하게 세척할 수 있어, 사용자에게 보다 위생적인 조리 환경을 제공할 수 있다.
지금까지는 도 2a 내지 2c와 도 3a 및 3c에 개시된 형상의 조리부(100)를 포함하는 조리장치(1)에 대하여 설명하였다. 그러나, 개시된 형상 이외에도, 조리장치(1)는 다양한 형상의 조리부(10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4a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조리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4b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조리장치의 평면도이고, 도 4c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조리장치의 X-X′ 방향의 단면도이다.
도 4a 내지 4c는 도 2a 내지 2c의 조리장치(1)와 제 2 조리 영역(120)만이 상이한 조리장치(1)를 예시한다. 따라서, 이하에서는 도 2a 내지 2c의 조리장치(1)와의 차이를 중심으로 도 4a 내지 4c의 조리장치(1)를 설명한다.
도 2a 내지 2c의 조리장치(1)의 제 2 조리 영역(120)은 미리 정해진 곡률을 가지는 곡면 영역으로 구성되는 경우를 예시하였다. 이와는 달리, 제 2 조리 영역(120)은 평면 영역의 중심부(121)와 중심부(121)를 둘러싸는 곡면 영역의 외곽부(122)로 분할될 수도 있다.
도 4a 내지 4c를 참조하면, 중심부(121)는 제 2 조리 영역(120)의 중심에서 원형의 영역으로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중심부(121)는 하면에 수평하도록 마련되거나, 일 방향으로 기울어지도록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외곽부(122)는 중심부(121)를 둘러싸는 영역을 의미하며, 이 영역은 미리 정해진 곡률을 가질 수 있다. 이 때, 외곽부(122)는 하나의 곡률을 가질 수 있으며, 이와는 달리 위치에 따라 연속적 또는 불연속적으로 변화하는 곡률을 가질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제 2 조리 영역(120)이 중심부(121)와 외곽부(122)로 분할되는 경우, 비교적 넓적한 형상의 음식물을 조리하는데 유리할 수 있다.
또한, 조리장치(1)가 도 2a 내지 2c와 도 3a 및 3c에 개시된 것과는 다른 형상의 제 1 조리 영역(110)을 포함할 수도 있다.
도 5a는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조리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5b는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조리장치의 평면도이다.
도 5a 및 5b는 도 2a 내지 2c의 조리장치(1)와 제 1 조리 영역(110)만이 상이한 조리장치(1)를 예시한다. 따라서, 이하에서는 도 2a 내지 2c의 조리장치(1)와의 차이를 중심으로 도 5a 및 5b의 조리장치(1)를 설명한다.
도 2a 내지 2c의 조리장치(1)의 제 1 조리 영역(110)은 각 모서리가 수직으로 만나는 경우를 예시하였다. 이와는 달리, 제 1 조리 영역(110)의 모서리가 곡선의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다.
도 5a 및 5b를 참조하면, 제 1 조리 영역(110)의 외곽이 비조리 영역(130)의 외곽과 평행하지 않은 부분이 존재함을 확인할 수 있다. 즉, 제 1 조리 영역(110)의 외곽 일부가 미리 정해진 곡률에 따라 곡선의 형태를 가질 수 있다.
그러나, 도 5a 및 5b의 경우도, 제 1 조리 영역(110)의 실시예에 불과하므로, 제 1 조리 영역(110)은 평면 영역을 포함하는 기술적 특징 안에서 다양한 형상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조리부(100)는 일면의 제 2 조리 영역(120)에 적어도 하나의 돌기(123)가 마련될 수 있다.
도 6a는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조리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6b는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조리장치의 평면도이고, 도 6c는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조리장치의 단면도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조리부(100)의 제 2 조리 영역(120)은 오목한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이 때, 제 2 조리 영역(120)의 표면에는 오목한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돌출되는 적어도 하나의 돌기(123)가 마련될 수 있다.
도 6a 내지 6c를 참조하면, 제 2 조리 영역(120)은 조리장치(1)의 하측으로 오목한 반면, 적어도 하나의 돌기(123)는 조리장치(1)의 하측으로 돌출되어 제 2 조리 영역(120)의 표면 상에 형성될 수 있다.
제 2 조리 영역(120)에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돌기(123)는 음식물이 제 2 조리 영역(120)에 달라붙는 것을 방지하고, 음식물이 제 2 조리 영역(120)의 고온에 의해 과도하게 조리되는 것을 막을 수 있다.
다시 도 1을 참조하면, 입력부(400)는 사용자로부터 제어 명령을 입력 받을 수 있고, 출력부(500)는 조리장치(1)의 상태와 관련된 정보를 사용자에게 출력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7a 및 7b를 참조하여, 입력부(400) 및 출력부(500)의 동작을 설명한다.
도 7a 및 7b는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장치의 입력부 및 출력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입력부(400)는 조리장치(1)의 표면상에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입력부(400)는 버튼의 형태로 구현되어, 사용자의 가압을 통한 제어 명령을 입력 받을 수 있다. 이와는 달리, 입력부(400)가 터치 스크린의 형태로 구현되어, 사용자의 터치를 통한 제어 명령을 입력 받을 수도 있다.
도 7a 및 7b에서는 조리부(100)가 형성되는 면에 입력부(400)가 버튼 형태로 구현되는 경우를 예시하고 있다. 특히, 입력부(400)는 전원 온/오프 명령을 입력 받는 제 1 버튼(410); 및 조리 명령을 입력받는 제 2 버튼(420); 을 포함할 수 있다.
입력부(400)를 통해 입력된 제어명령은 제어부(300)로 전달되고, 제어부(300)는 제어 명령에 따라 조리장치(1)의 각 구성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버튼(410)이 가압되면, 제어부(300)는 조리장치(1)의 전원을 온/오프 시킬 수 있다. 또한, 제 2 버튼(420)이 가압되면 제어부(300)는, 가열부(200)를 제어하여 조리부(100)의 조리 영역을 가열할 수 있다.
도 7a 및 7b에서는 입력부(400)가 2개의 버튼을 포함하는 경우를 예시하였으나, 포함하는 버튼의 개수에는 제한이 없다.
출력부(500)는 조리장치(1)의 상태와 관련된 정보를 출력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출력부(500)는 다양한 방법으로 조리장치(1)의 상태와 관련된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출력부(500)는 조리장치(1)의 상태와 관련된 정보를 시각적으로 출력할 수 있다. 이와는 달리, 출력부(500)는 조리장치(1)의 상태와 관련된 정보를 청각적 또는 촉각적으로 출력할 수도 있다.
도 7a 및 7b에서는 조리부(100)가 형성되는 면에 출력부(500)가 LED의 형태로 구현되어 정보를 시각적으로 출력하는 경우를 예시하고 있다. 특히, 출력부(500)는 서로 다른 정보를 출력하는 제 1 LED(510); 및 제 2 LED(520); 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300)는 출력하고자 하는 정보에 대응되는 LED를 출력하고자 하는 정보에 대응되는 패턴으로 출력하도록 출력부(500)를 제어할 수 있다. 만약, 출력하고자 하는 정보가 제 1 LED(510)를 점등하는 것에 대응되는 경우, 도 7a와 같이, 제어부(300)는 제 1 LED(510)를 점등시킬 수 있다. 이와는 달리, 출력하고자 하는 정보가 제 2 LED(520)를 점등하는 것에 대응되는 경우, 도 7b와 같이, 제어부(300)는 제 2 LED(520)를 점등시킬 수 있다.
도 7a 및 7b에서는 출력부(500)가 두 개의 LED를 포함하는 경우를 예시하였으나, 포함하는 LED의 개수에는 제한이 없다.
출력부(500)에 의해 출력되는 정보는 조리장치(1)의 상태에 대응되는 조리 방법을 포함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8a 내지 8c를 참조하여 출력부(500)의 동작을 설명한다.
도 8a 내지 8c는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장치 중 LED로 구현된 출력부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설명의 편의상, 도 8a 내지 8c에서는 로티를 조리하는 경우를 전제로 한다.
도 8a와 같이 사용자가 제 2 버튼(420)을 가압하면, 입력부(400)는 조리 명령을 입력 받아, 이를 제어부(300)로 전송할 수 있다. 조리 명령에 따라, 제어부(300)는 조리부(100)의 제 1 조리 영역(110)을 미리 정해진 제 1 온도로 가열하고, 제 2 조리 영역(120)을 제 1 온도보다 고온의 제 2 온도로 가열하도록 가열부(200)를 제어할 수 있다.
제 1 조리 영역(110)이 미리 정해진 제 1 온도에 도달하면, 제어부(300)는 제 1 조리 영역(110)에서 조리를 시작할 것을 안내하도록 출력부(500)를 제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8b와 같이, 제어부(300)는 제 1 LED(510)를 점등시킴으로써 제 1 조리 영역(110)에서 조리를 시작할 것을 안내할 수 있다. 제 1 LED(510)가 점등되면, 사용자는 이를 시각적으로 확인한 후, 제 1 조리 영역(110)에 얇고 넓은 형상의 밀가루 반죽(Rf)을 올려 놓아 조리를 시작할 수 있다.
제 1 조리 영역(110)에서 조리를 시작한 후로부터 조리 시간이 미리 정해진 제 1 시간을 도과하면, 제어부(300)는 제 1 조리 영역(110)에서 조리되는 음식물을 제 2 조리 영역(120)으로 이동할 것을 안내하도록 출력부(500)를 제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8c와 같이, 제어부(300)는 제 2 LED(520)를 점등시킴으로써 제 1 조리 영역(110)에서 조리되는 음식물을 제 2 조리 영역(120)으로 이동할 것을 안내할 수 있다. 제 2 LED(520)가 점등되면, 사용자는 이를 시각적으로 확인한 후, 제 1 조리 영역(110)에서 조리된 밀가루 반죽을 제 2 조리 영역(120)으로 이동하여 팽화시킬 수 있다. 그 결과 제 2 조리 영역(120)에서 부풀어오른 밀가루 반죽(Rp)을 얻을 수 있다.
도 8a 내지 8c에서는 출력부(500)가 제 1 조리 영역(110)에서 조리 시작 안내 및 제 2 조리 영역(120)으로의 이동 안내를 출력하는 것을 예시하였으나, 이 밖에도 다양한 조리 방법 안내를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2 조리 영역(120)에서의 조리 시간이 미리 정해진 제 2 시간을 도과하면, 출력부(500)는 제 2 조리 영역(120)에서 조리되는 음식물의 조리를 종료할 것을 안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 2 LED(520)는 제 2 조리 영역(120)에서 조리되는 음식물의 조리를 종료하는 빛 패턴을 출력할 수 있다. 여기서, 빛 패턴이란 LED에서 출력하는 빛의 색, 깜빡임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를 시각적으로 확인한 사용자는 제 2 조리 영역(120)에 놓여진 음식물의 조리를 종료함으로써 로티를 완성할 수 있다.
또한, 제 1 조리 영역(110)에서의 조리 시간이 미리 정해진 제 3 시간을 도과하면, 출력부(500)는 제 1 조리 영역(110)에 놓여진 음식물을 뒤집을 것을 안내하는 빛 패턴을 출력할 수 있다. 여기서, 빛 패턴이란 LED에서 출력하는 빛의 색, 깜빡임 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이를 시각적으로 확인한 사용자는 제 1 조리 영역(110)에 놓여진 음식물을 뒤집어 조리를 계속 진행할 수 있다.
이 때, 제 1 조리 영역(110) 또는 제 2 조리 영역(120)에서의 조리 시간은 다양한 방법으로 측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조리 영역(110) 또는 제 2 조리 영역(120)에 가압되는 압력을 측정하거나, 조리가 시작됨을 알리는 명령을 입력부(400)가 입력 받을 수도 있다.
도 8a 내지 8c에서는 출력부(500)가 제 1 LED(510) 및 제 2 LED(520)를 포함하는 경우를 예시하였다. 이와는 달리, 출력부(500)가 디스플레이 형태로 구현되어 조리 방법 안내를 표시하는 것도 가능할 수 있다.
도 9a 및 9b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조리장치 중 디스플레이의 형태로 구현된 출력부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제 1 조리 영역(110)이 미리 정해진 제 1 온도에 도달하면, 제어부(300)는 제 1 조리 영역(110)에서 조리를 시작할 것을 안내하도록 출력부(500)를 제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9a와 같이, 제어부(300)는 출력부(500)가 "Ready"를 출력하도록 제어함으로써, 제 1 조리 영역(110)에서 조리를 시작할 것을 안내할 수 있다. 출력부(500)에 "Ready"가 출력되면, 사용자는 이를 시각적으로 확인한 후, 제 1 조리 영역(110)에 얇고 넓은 형상의 밀가루 반죽을 올려 놓아 조리를 시작할 수 있다.
제 1 조리 영역(110)에서 조리를 시작한 후로부터 조리 시간이 미리 정해진 제 1 시간을 도과하면, 제어부(300)는 제 1 조리 영역(110)에서 조리되는 음식물을 제 2 조리 영역(120)으로 이동할 것을 안내하도록 출력부(500)를 제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9b와 같이, 제어부(300)는 출력부(500)가 "Move"를 출력하도록 제어함으로써, 제 1 조리 영역(110)에서 조리되는 음식물을 제 2 조리 영역(120)으로 이동할 것을 안내할 수 있다. 출력부(500)에 "Move"가 출력되면, 사용자는 이를 시각적으로 확인한 후, 제 1 조리 영역(110)에서 조리된 밀가루 반죽을 제 2 조리 영역(120)으로 이동하여 팽화시킬 수 있다.
한편, 조리부(100)의 제 1 조리 영역(110)은 제 2 조리 영역(120)이 마련되는 위치를 안내하는 표식을 표시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도 10a 및 10b는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장치에서 제 2 조리 영역의 위치 안내 표식의 여러 가지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제 2 조리 영역(120)의 곡면 영역은 제 1 조리 영역(110)의 평면 영역으로부터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사용자는 제 1 조리 영역(110)에서 조리된 음식물을 제 2 조리 영역(120)으로 연속적으로 이동하여 조리하므로, 제 2 조리 영역(120)의 위치 안내 표식을 통해 사용자는 음식물을 이동시킬 방향을 인지할 수 있다.
위치 안내 표식은 제 1 조리 영역(110)의 표면상에 마련될 수 있다. 도 10a에서는 위치 안내 표식(111)이 화살표 형상으로 마련되는 경우를 예시하고, 도 10b에서는 위치 안내 표식이 일정한 간격으로 제 2 조리 영역(120)방향을 향해 배열되는 점들의 집합(112)으로 마련되는 경우를 예시한다.
이와 같은 위치 안내 표식은 제조 시에 제 1 조리 영역(110)의 표면상에 미리 인쇄될 수 있다.
다시 도 1을 참조하면, 저장부(600)는 제어부(300)가 조리 장치를 제어하는데 이용하는 각종 정보가 미리 저장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저장부(600)는 상술한 제 1 온도, 제 2 온도, 제 1 시간, 제 2 시간, 제 3 시간과 같은 정보를 미리 저장하였다가, 필요시 제어부(300)에 이를 제공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저장부(600)는 플래시 메모리 타입(flash memory type), 하드디스크 타입(hard disk type), 멀티미디어 카드 마이크로 타입(multimedia card micro type), 카드 타입의 메모리(예를 들어 SD 또는 XD 메모리 등), 램(Random Access Memory, RAM), SRAM(Static Random Access Memory), 롬(Read Only Memory, ROM),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 Only Memory), PROM(Programmable Read Only Memory), 자기 메모리, 자기 디스크, 광디스크 중 적어도 하나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지금까지는, 조리부(100)에 의해 형성되는 단일 조리 공간을 포함하는 조리장치(1)에 대하여 설명하였다. 이와는 달리, 복수의 조리 공간을 포함하고, 복수의 조리 공간 중 어느 하나에 서로 다른 온도로 가열되는 제 1 조리 영역(110) 및 제 2 조리 영역(120)이 구분되어 마련되는 조리장치도 구현될 수 있다.
도 11은 일 실시예에 따른 복수의 조리 공간을 포함하는 조리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11에 개시된 조리장치는 본체(B)를 구비할 수 있다. 본체(B)는 내부의 제 1 조리 공간(S1)과 외부의 제 2 조리 공간(S2)이 마련될 수 있다.
제 1 조리 공간(S1)은 본체(B)의 일 측에 마련되는 도어(D)에 의해 개폐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사용자가 외부로부터 제 1 조리 공간(S1)에 음식물을 위치시키고자 할 때, 도어(D)에 의해 제 1 조리 공간(S1)이 개방될 수 있다. 또한, 놓여진 음식물에 대한 조리가 시작되기 위해서는 도어(D)에 의해 제 1 조리 공간(S1)이 폐쇄될 수 있다.
제 1 조리 공간(S1)은 공지된 조리 방법 중 적어도 하나를 채택하여 놓여진 음식물을 조리할 수 있다.
본체(B) 외부의 일면에는 제 2 조리 공간(S1)이 마련될 수 있다. 도 11은 본체(B)의 상부에 제 2 조리 공간(S2)이 마련되는 경우를 예시하고 있다.
제 2 조리 공간(S2)은 조리 용기가 놓여질 수 있도록 마련된 조리판(2)이 설치될 수 있다. 조리판(2)은 세라믹 재질일 수 있다. 조리판(2) 하부에는 조리판에 놓여진 조리 용기에 열을 제공하기 위한 복수의 코일(54)이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조리판(2)의 하부에는 코일(54)들을 구동하기 위한 코일 구동부(3)가 마련될 수 있다.
한편, 도 11의 조리장치는 도 1의 조리장치(1)를 포함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특히, 도 11의 조리장치의 제 2 조리 공간(S2)에 도 1의 조리부(100)가 마련될 수 있다. 즉, 도 11의 조리장치의 제 2 조리 공간(S2)은 하부에 코일(54)이 마련되는 조리판(2) 이외에, 조리 영역이 서로 다른 온도의 제 1 조리 영역(110) 및 제 2 조리 영역(120)으로 분할되는 조리부(100)를 포함할 수 있다.
본체(B)의 상부에는 조리장치에 대한 제어 명령을 입력 받는 입력부(80) 및 조리 장치와 관련된 정보를 표시하는 표시부(90)를 포함하는 컨트롤 패널(4)이 마련될 수 있다.
도 11에서는 컨트롤 패널(4)이 도 1의 입력부(400) 및 출력부(500)를 포함하는 경우를 예시하였으나, 컨트롤 패널(4)과 별개로 제 2 조리 공간(S2)에 마련되는 조리부(100)에 대한 입출력을 담당하는 입력부(400) 및 출력부(500)가 마련되는 것도 가능할 수 있다.
도 11에서는 유도 가열 방식의 조리장치가 도 1의 조리장치(1)와 함께 마련되는 경우를 예시하였으나, 그 밖에도 도 가스, 전기, 인덕션 등의 가열 방식을 채택하는 조리장치가 도 1의 조리장치(1)와 함께 마련될 수도 있다.
도 12는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장치 제어방법의 흐름도이다.
먼저, 제어부(300)는 입력부(400)를 통해 조리 명령이 입력되었는지 확인할 수 있다.(700) 만약, 조리 명령이 입력되지 않았다면, 제어부(300)는 반복하여 이를 확인할 수 있다.
반면, 조리 명령이 입력되었다면, 가열부(200)는 조리부(100)의 조리 영역을 가열할 수 있다.(710) 이 때, 가열부(200)는 다양한 방법을 채택하여 조리부(100)의 조리 영역을 가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가열부(200)는 가스를 연소시켜 조리부(100)의 조리 영역을 가열할 수 있고, 이와는 달리 공급되는 전기를 이용하여 조리부(100)의 조리 영역을 가열할 수도 있다. 특히, 전기를 이용하는 경우, 가열부(200)는 직접 열을 생성하여 조리 영역을 가열하거나, 전기장을 형성하여 조리 영역을 간접적으로 가열할 수도 있다.
조리 영역을 가열하면서, 제어부(300)는 제 1 조리 영역(110)이 제 1 온도에 도달하였는지 확인할 수 있다.(720) 만약, 제 1 조리 영역(110)이 제 1 온도에 도달하기 전이라면, 가열부(200)는 계속하여 조리 영역을 가열할 수 있다.
이와는 달리, 제 1 조리 영역(110)이 제 1 온도에 도달하였다면, 제어부(300)는 제 2 조리 영역(120)이 제 2 온도에 도달하였는지 확인할 수 있다.(730) 이 때, 제 2 온도는 제 1 온도보다 고온으로 미리 결정될 수 있다. 만약, 제 2 조리 영역(120)이 제 2 온도에 도달하기 전이라면, 가열부(200)는 계속하여 조리 영역을 가열할 수 있다.
이와는 달리, 제 2 조리 영역(120)이 제 2 온도에 도달하였다면, 출력부(500)는 제 1 조리 영역(110)에서 조리를 시작할 것을 안내할 수 있다.(740) 사용자는 출력부(500)가 출력하는 안내에 따라 제 1 조리 영역(110)에 음식물을 놓음으로써 조리를 시작할 수 있다.
도 13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조리장치 제어방법의 흐름도이다.
먼저, 제어부(300)는 제 1 조리 영역(110)에서 조리가 시작되었는지 결정한다.(800) 제어부(300)는 조리 시작 여부를 결정하기 위해, 제 1 조리 영역(110)에 가해지는 압력을 이용할 수 있다. 제 1 조리 영역(110)에 음식물이 놓여져 압력이 가해진다면 제 1 조리 영역(110)에서 조리가 시작되었음을 의미하므로, 제어부(300)는 제 1 조리 영역(110)에 압력이 가해지는 시점을 조리 시작 시점으로 결정할 수 있다. 이와는 달리, 조리 시작 시점을 알리는 명령을 사용자가 입력할 수도 있다.
만약, 제 1 조리 영역(110)에서 조리가 시작되기 전이라면, 제어부(300)는 반복하여 이를 확인할 수 있다.
반면, 제 1 조리 영역(110)에서 조리가 시작되었다면, 제어부(300)는 제 1 조리 영역(110)에서의 조리 시간이 제 1 시간 t1을 도과하였는지 확인할 수 있다.(810) 여기서 제 1 시간 t1은 제 1 조리 영역(110)에서 요구되는 최적 조리 시간을 의미할 의미할 수 있고, 이는 저장부(600)에 미리 저장될 수 있다.
만약, 제 1 조리 영역(110)에서의 조리 시간이 제 1 시간 t1을 도과하지 않았다면, 제어부(300)는 반복하여 이를 확인할 수 있다.
이와는 달리, 제 1 조리 영역(110)에서의 조리 시간이 제 1 시간 t1을 도과하였다면, 출력부(500)는 제 1 조리 영역(110)에서 조리되는 음식물을 제 2 조리 영역(120)으로 이동할 것을 안내할 수 있다. (820) 사용자는 출력부(500)가 출력하는 안내에 따라 음식물을 제 2 조리 영역(120)으로 이동함으로써, 음식물의 조리를 계속하여 진행할 수 있다.
도 14는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조리장치 제어방법의 흐름도이다.
먼저, 제어부(300)는 제 2 조리 영역(120)에서 조리가 시작되었는지 결정한다.(900) 제어부(300)는 조리 시작 여부를 결정하기 위해, 제 2 조리 영역(120)에 가해지는 압력을 이용할 수 있다. 제 2 조리 영역(120)에 음식물이 놓여져 압력이 가해진다면 제 2 조리 영역(120)에서 조리가 시작되었음을 의미하므로, 제어부(300)는 제 2 조리 영역(120)에 압력이 가해지는 시점을 조리 시작 시점으로 결정할 수 있다. 이와는 달리, 조리 시작 시점을 알리는 명령을 사용자가 입력할 수도 있다.
만약, 제 2 조리 영역(120)에서 조리가 시작되기 전이라면, 제어부(300)는 반복하여 이를 확인할 수 있다.
반면, 제 2 조리 영역(120)에서 조리가 시작되었다면, 제어부(300)는 제 2 조리 영역(120)에서의 조리 시간이 제 2 시간 t2를 도과하였는지 확인할 수 있다.(910) 여기서 제 2 시간 t2는 제 2 조리 영역(120)에서 요구되는 최적 조리 시간을 의미할 수 있고, 이는 저장부(600)에 미리 저장될 수 있다.
만약, 제 2 조리 영역(120)에서의 조리 시간이 제 2 시간 t2를 도과하지 않았다면, 제어부(300)는 반복하여 이를 확인할 수 있다.
이와는 달리, 제 2 조리 영역(120)에서의 조리 시간이 제 2 시간 t2를 도과하였다면, 출력부(500)는 제 2 조리 영역(120)에서 조리되는 음식물의 조리를 종료할 것을 안내할 수 있다.(920) 사용자는 출력부(500)가 출력하는 안내에 따라 제 2 조리 영역(120)에서 조리 중인 음식물의 조리를 종료함으로써 원하는 음식물을 완성할 수 있다.
1: 조리장치
100: 조리부
110: 제 1 조리 영역
120: 제 2 조리 영역
200: 가열부
300: 제어부
400: 입력부
500: 출력부
600: 저장부

Claims (19)

  1. 제 1 조리 영역, 및 제 1 조리 영역과 구분되는 제 2 조리 영역이 일면에 마련되는 조리부;
    상기 조리부를 가열하는 가열부; 및
    상기 제 1 조리 영역을 제 1 온도로 가열하고, 상기 제 2 조리 영역을 상기 제 1 온도와 상이한 제 2 온도로 가열하도록 상기 가열부를 제어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는 조리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조리 영역은,
    상기 가열부 방향으로 오목한 상기 곡면 영역을 포함하는 조리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조리 영역은,
    미리 정해진 곡률에 따라 오목한 상기 곡면 영역을 포함하는 조리장치.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조리 영역은,
    평면 영역의 중심부와 상기 중심부를 둘러싸는 상기 곡면 영역의 외곽부로 분할되는 조리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조리부는,
    상기 일면이 상기 제 1 조리 영역과 상기 제 2 조리 영역으로 구성되는 조리 영역 및 상기 조리 영역을 둘러싸는 비조리 영역으로 분할되는 조리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조리부는,
    상기 일면에 상기 조리 영역과 상기 비조리 영역이 단차를 갖도록 마련되는 조리장치.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조리부는,
    상기 비조리 영역으로부터 상기 조리 영역이 분리 가능하도록 마련되는 조리장치.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조리장치의 상태에 대응되는 조리 방법을 안내하는 출력부; 를 더 포함하는 조리장치.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 1 조리 영역이 상기 제 1 온도에 도달하면, 상기 제 1 조리 영역에서 조리를 시작할 것을 안내하도록 상기 출력부를 제어하는 조리장치.
  10.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 1 조리 영역에서의 조리 시간이 미리 정해진 제 1 시간을 도과하면, 상기 제 1 조리 영역에서 조리되는 음식물을 상기 제 2 조리 영역으로 이동할 것을 안내하도록 상기 출력부를 제어하는 조리장치.
  11.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 2 조리 영역에서의 조리 시간이 미리 정해진 제 2 시간을 도과하면, 상기 제 2 조리 영역에서 조리되는 음식물의 조리를 종료할 것을 안내하도록 상기 출력부를 제어하는 조리장치.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조리부는,
    상기 일면의 상기 제 2 조리 영역에 적어도 하나의 돌기가 마련되는 조리장치.
  1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조리부는,
    상기 제 2 조리 영역이 마련되는 위치를 안내하는 표식이 상기 일면의 상기 제 1 조리 영역 상에 표시되는 조리장치.
  14. 본체; 상기 본체의 내부에 마련되는 제 1 조리 공간; 및 상기 본체 외부에 마련되는 제 2 조리 공간; 을 포함하고, 상기 제 2 조리 공간은 제 1 조리 영역, 및 제 1 조리 영역으로부터 구분되는 제 2 조리 영역이 상기 본체의 상면에 마련되는 조리장치에 있어서,
    조리 명령을 입력 받는 단계; 및
    상기 입력된 조리 명령에 따라, 상기 제 1 조리 영역을 제 1 온도로 가열하고, 상기 제 2 조리 영역은 상기 제 1 온도와 상이한 제 2 온도로 가열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조리장치의 제어방법.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조리장치의 상태에 대응되는 조리 방법을 안내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조리장치의 제어방법.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조리 방법을 안내하는 단계는,
    상기 제 1 조리 영역이 상기 제 1 온도에 도달하면, 상기 제 1 조리 영역에서 조리를 시작할 것을 안내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조리장치의 제어방법.
  17.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조리 방법을 안내하는 단계는,
    상기 제 1 조리 영역에서의 조리 시간이 미리 정해진 제 1 시간을 도과하면, 상기 제 1 조리 영역에서 조리되는 음식물을 상기 제 2 조리 영역으로 이동할 것을 안내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조리장치의 제어방법.
  18.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조리 방법을 안내하는 단계는,
    상기 제 2 조리 영역에서의 조리 시간이 미리 정해진 제 2 시간을 도과하면, 상기 제 2 조리 영역에서 조리되는 음식물의 조리를 종료할 것을 안내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조리장치의 제어방법.
  19.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조리 방법을 안내하는 단계는,
    상기 안내하고자 하는 조리 방법에 대응되는 신호를 출력하는 조리장치의 제어방법.
KR1020150156517A 2015-11-09 2015-11-09 조리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20170053947A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56517A KR20170053947A (ko) 2015-11-09 2015-11-09 조리장치 및 그 제어방법
PCT/KR2016/012380 WO2017082566A1 (ko) 2015-11-09 2016-10-31 조리장치 및 그 제어방법
CN201680065543.9A CN108348088B (zh) 2015-11-09 2016-10-31 烹饪装置及其控制方法
EP16864492.0A EP3338599B1 (en) 2015-11-09 2016-10-31 Cooking device and control method therefor
US15/774,799 US11015814B2 (en) 2015-11-09 2016-10-31 Cooking apparatus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56517A KR20170053947A (ko) 2015-11-09 2015-11-09 조리장치 및 그 제어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53947A true KR20170053947A (ko) 2017-05-17

Family

ID=586957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56517A KR20170053947A (ko) 2015-11-09 2015-11-09 조리장치 및 그 제어방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11015814B2 (ko)
EP (1) EP3338599B1 (ko)
KR (1) KR20170053947A (ko)
CN (1) CN108348088B (ko)
WO (1) WO2017082566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08735A (ko) * 2018-03-15 2019-09-25 (주)광동플랜트 식자재 자동 구이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547669B (zh) * 2019-10-08 2021-06-01 深圳技术大学 一种色谱识别多功能烹饪机器人
CN111035269B (zh) * 2019-11-22 2021-09-10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烹饪设备、烹饪方法、烹饪装置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CN113331707B (zh) * 2021-06-23 2024-02-23 广东德厨商业管理有限公司 一种便于煎饼生产的烙饼装置

Family Cites Families (3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2739760C2 (de) 1977-09-03 1986-03-20 Karl 7519 Oberderdingen Fischer Kochherd mit mehreren Elektrokochplatten
CN1009244B (zh) * 1986-08-26 1990-08-22 利昂·默迪 制作小薄烤饼的机器
WO1990008495A1 (en) 1989-01-24 1990-08-09 Ramalingam Sivalingam Mini cooker and griddle
DE3909374A1 (de) * 1989-03-22 1990-09-27 Ego Elektro Blanc & Fischer Elektrokochplatte
IL90382A (en) * 1989-05-23 1992-08-18 Yahav Shimon Cooking system
US5004121A (en) * 1990-01-22 1991-04-02 Proctor & Gamble Company Controlled heating baking pan
EP0787454B1 (en) * 1996-01-31 2000-03-29 SANYO ELECTRIC Co., Ltd. Bake stuff cooker
US6268592B1 (en) * 2000-01-18 2001-07-31 Tsann Kuen Usa, Inc. Electric grill plate appliance for tortilla cuisine
AUPQ549100A0 (en) 2000-02-08 2000-03-02 Breville Pty Ltd Improvements in cooking appliances
DE10029799A1 (de) * 2000-06-16 2001-12-20 Fischbach A Kunststoff Kg Kartusche
CN2565375Y (zh) * 2002-09-12 2003-08-13 顾南侠 两用电烧锅
JP2004363005A (ja) 2003-06-06 2004-12-24 Mitsubishi Electric Corp 加熱調理器
ITMI20031602A1 (it) * 2003-08-04 2005-02-05 Whirlpool Co Piano di cottura a piazzamento casuale con interfaccia utente
JP2007143804A (ja) * 2005-11-28 2007-06-14 Masayuki Takashima 飲食物加熱装置
DE102006023702A1 (de) * 2006-05-19 2007-11-22 BSH Bosch und Siemens Hausgeräte GmbH Hausgerät, vorzugsweise Kochfeld
CN101491157B (zh) * 2006-07-27 2012-01-18 松下电器产业株式会社 加热烹调器
KR100854839B1 (ko) 2007-01-11 2008-08-27 엘지전자 주식회사 쿡탑, 쿡탑의 온도조정방법
CH698933B1 (de) 2007-11-06 2009-12-15 White House Ag Keramik-Kochfeld.
ATE547920T1 (de) 2008-06-05 2012-03-15 Electrolux Home Prod Corp Garvorrichtung für einen garbehälter
CN201230828Y (zh) * 2008-06-11 2009-05-06 布维恩·鲍威尔 蛋烹饪用具
CN201911931U (zh) * 2011-01-05 2011-08-03 应世林 电饼铛
KR101769327B1 (ko) * 2011-09-02 2017-08-18 삼성전자주식회사 유도 가열 조리기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및 그 제어방법
US20130270251A1 (en) * 2012-04-16 2013-10-17 Whirlpool Corporation Lighted signals to provide direction to user
ES2701412T3 (es) 2012-12-07 2019-02-22 Smithfield Foods Inc Método y sistema para procesar bacon listo para comer con características de bacon frito en sartén
EP2800453B1 (en) * 2013-04-30 2018-09-19 Electrolux Appliances Aktiebolag Hob and methods for operating such a hob
RU2658324C2 (ru) * 2013-07-17 2018-06-20 Конинклейке Филипс Н.В. Беспроводная индукционная передача энергии с управлением температурой приемника
US9980320B2 (en) * 2013-09-06 2018-05-22 Bsh Home Appliances Corporation Method of optimizing use of cooktop and cooktop with optimization
US20170064775A1 (en) * 2014-02-21 2017-03-02 Morphy Richards Limited Magnetic Method for Determining A Cooking Appliance Characteristic
FR3025995B1 (fr) * 2014-09-23 2017-02-17 Seb Sa Recipient de cuisson comportant une face interieure en acier inoxydable partiellement revetue, et procede d'obtention
US10359197B2 (en) * 2014-12-10 2019-07-23 Hestan Commercial Corporation Cooking range
US10314427B2 (en) * 2015-07-27 2019-06-11 Whirlpool Corporation Light guide for generating illuminated indicia for an electric burner of a heating appliance
US10085592B1 (en) * 2015-09-10 2018-10-02 Brava Home, Inc. Sequential broiling
US20190125120A1 (en) * 2016-02-18 2019-05-02 Meyer Intellectual Properties Limited Cooking system for tracking a cooking device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08735A (ko) * 2018-03-15 2019-09-25 (주)광동플랜트 식자재 자동 구이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7082566A1 (ko) 2017-05-18
US20180328589A1 (en) 2018-11-15
CN108348088B (zh) 2021-06-25
EP3338599A4 (en) 2018-11-07
EP3338599B1 (en) 2021-04-28
US11015814B2 (en) 2021-05-25
EP3338599A1 (en) 2018-06-27
CN108348088A (zh) 2018-07-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17220032B2 (en) User interface for a cooking system
US20170238751A1 (en) Wirelessly controlled cooking system
EP3338599B1 (en) Cooking device and control method therefor
CN105026841B (zh) 操作烹饪器具的方法、控制单元以及烹饪器具
US20220010966A1 (en) Cooking appliance and control knob with integrated display
KR102109979B1 (ko) 자동 조리 기능을 갖춘 전열식 프라이팬
WO2010143244A1 (ja) 誘導加熱調理器
JP2010021139A (ja) 誘導加熱調理器
JP2015158344A (ja) 加熱調理システム
JP6257375B2 (ja) 加熱調理システム
KR101808183B1 (ko) 전기레인지
JP2016025031A (ja) 誘導加熱調理器
JP4969350B2 (ja) 誘導加熱調理器
KR102418391B1 (ko) 온도 센서를 포함하는 조리 기기 및 이의 동작 방법
JP6607377B2 (ja) 加熱調理器
JP6435116B2 (ja) 電磁調理器
JP2020056530A (ja) 加熱調理システム
KR102418390B1 (ko) 온도 센서를 포함하는 조리 기기 및 이의 동작 방법
CN217274316U (zh) 灶具
JP2008121989A (ja) 加熱調理器
JP2008232509A (ja) 加熱調理機器
JP3374821B2 (ja) 炊飯器
JP6060041B2 (ja) 誘導加熱調理器
KR101738634B1 (ko) 나노카본히터 전기오븐
GB2603055A (en) Multi-functional slow cooker with temperature control featur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