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18390B1 - 온도 센서를 포함하는 조리 기기 및 이의 동작 방법 - Google Patents

온도 센서를 포함하는 조리 기기 및 이의 동작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18390B1
KR102418390B1 KR1020200165979A KR20200165979A KR102418390B1 KR 102418390 B1 KR102418390 B1 KR 102418390B1 KR 1020200165979 A KR1020200165979 A KR 1020200165979A KR 20200165979 A KR20200165979 A KR 20200165979A KR 102418390 B1 KR102418390 B1 KR 10241839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mperature
cooking
sensor
heating
cooking applian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659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76962A (ko
Inventor
이승철
Original Assignee
(주)쿠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쿠첸 filed Critical (주)쿠첸
Priority to KR102020016597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18390B1/ko
Publication of KR202200769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7696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1839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1839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7/00Stoves or ranges heated by electric energy
    • F24C7/08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F24C7/087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of electric circuits regulating heat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6/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ooking-vessels
    • A47J36/32Time-controlled igniting mechanisms or alarm devi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7/00Stoves or ranges heated by electric energy
    • F24C7/06Arrangement or mounting of electric heating elements
    • F24C7/067Arrangement or mounting of electric heating elements on rang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JMEASUREMENT OF INTENSITY, VELOCITY, SPECTRAL CONTENT, POLARISATION, PHASE OR PULSE CHARACTERISTICS OF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COLORIMETRY; RADIATION PYROMETRY
    • G01J5/00Radiation pyrometry, e.g. infrared or optical thermometry
    • G01J5/0022Radiation pyrometry, e.g. infrared or optical thermometry for sensing the radiation of moving bodi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JMEASUREMENT OF INTENSITY, VELOCITY, SPECTRAL CONTENT, POLARISATION, PHASE OR PULSE CHARACTERISTICS OF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COLORIMETRY; RADIATION PYROMETRY
    • G01J5/00Radiation pyrometry, e.g. infrared or optical thermometry
    • G01J5/10Radiation pyrometry, e.g. infrared or optical thermometry using electric radiation detector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KMEASURING TEMPERATURE; MEASURING QUANTITY OF HEAT; THERMALLY-SENSITIVE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K3/00Thermometers giving results other than momentary value of temperature
    • G01K3/005Circuits arrangements for indicating a predetermined temperature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JMEASUREMENT OF INTENSITY, VELOCITY, SPECTRAL CONTENT, POLARISATION, PHASE OR PULSE CHARACTERISTICS OF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COLORIMETRY; RADIATION PYROMETRY
    • G01J5/00Radiation pyrometry, e.g. infrared or optical thermometry
    • G01J5/10Radiation pyrometry, e.g. infrared or optical thermometry using electric radiation detectors
    • G01J2005/106Arrays

Abstract

온도 센서를 포함하는 조리 기기 및 이의 동작 방법이 개시된다.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의 일측면에 따른 조리 기기는, 제1 부위와 제2 부위를 포함하는 조리 용기를 가열하는 가열부와 상기 조리 용기의 온도를 측정하여, 복수의 온도 측정값들을 포함하는 온도 정보를 생성하는 센서부와 상기 온도 정보를 기초로, 각 온도 측정값들을 상기 조리 용기의 상기 제1 부위 및 상기 제2 부위 중 특정 부위에 대응시킴으로써, 상기 제1 부위의 온도 또는 상기 제2 부위의 온도를 결정하고, 가열 모드에 따라 상기 제1 부위의 온도 또는 상기 제2 부위의 온도가 목표 온도로 되도록 상기 가열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온도 센서를 포함하는 조리 기기 및 이의 동작 방법{COOCKER INCLUDING TEMPERATURE SENSOR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은 조리 기기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온도 센서를 포함하는 조리 기기 및 이의 동작 방법에 관한 것이다.
조리 기기의 하나로서, 전기레인지(Electric Range)는 전기를 에너지원으로 하여 화구의 가열부를 구동함으로써 화구에 놓여진 피가열체를 가열할 수 있다. 전기레인지는 피가열체를 가열함으로써 용기에 담긴 음식을 조리하는 용도로 사용되기도 하며, 용기에 담긴 다양한 액체를 가열하는 용도로 사용될 수 있다.
피가열체, 즉 조리 용기는 바닥부와 용기부로 구성되어 있으며, 동일한 가열 모드 하에서도 용기부에 담긴 내용물에 따라 온도 특성이 달라질 수 있다. 따라서 바닥부와 용기부의 온도 특성을 고려하지 않고, 일률적으로 온도를 측정하는 경우 내용물의 온도를 정확하게 제어하는 것이 어려울 수 있다.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이 해결하려는 과제는, 조리 기기 상판에 위치하여 조리 용기의 바닥부와 용기부를 구분하여 온도를 정확히 측정하는 온도 센서를 포함하는 조리 기기 및 이의 동작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의 일측면에 따른 조리 기기는, 제1 부위와 제2 부위를 포함하는 조리 용기를 가열하는 가열부와 상기 조리 용기의 온도를 측정하여, 복수의 온도 측정값들을 포함하는 온도 정보를 생성하는 센서부와 상기 온도 정보를 기초로, 각 온도 측정값들을 상기 조리 용기의 상기 제1 부위 및 상기 제2 부위 중 특정 부위에 대응시킴으로써, 상기 제1 부위의 온도 또는 상기 제2 부위의 온도를 결정하고, 가열 모드에 따라 상기 제1 부위의 온도 또는 상기 제2 부위의 온도가 목표 온도로 되도록 상기 가열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어부는, 기준 시간당 상기 각 온도 측정값들의 온도 변화량, 상기 각 온도 측정값들이 기준 온도에 도달하는 시간, 및 상기 각 온도 측정값들이 기준 온도에 도달하는 순서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상기 각 온도 측정값들을 상기 조리 용기의 상기 제1 부위 및 상기 제2 부위 중 특정 부위에 대응시킬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1 부위의 온도는, 상기 제2 부위의 온도에 비하여 상기 기준 시간당 온도 변화량이 크거나, 상기 기준 온도에 도달하는 시간이 짧거나, 상기 기준 온도에 먼저 도달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1 부위는 상기 조리 용기의 바닥부로서, 상기 가열부의 온도 변화에 의해 온도가 변화하고, 상기 제2 부위는 상기 조리 용기의 용기부로서, 상기 바닥부의 온도 변화에 의해 온도가 변화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가열 모드는 상기 용기부의 내용물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내용물이 상기 용기부의 바닥을 덮는 유체인지 여부에 따라, 상기 제1 부위의 온도 또는 상기 제2 부위의 온도가 목표 온도로 되도록 상기 가열부를 제어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센서부는 어레이 타입의 온도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센서부는 상기 제어부에 상기 온도 정보를 무선 통신으로 전송하는 통신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센서부는 상기 조리 용기와 수평 방향으로 소정 거리만큼 이격되고, 상기 조리 기기의 상판에 배치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가열부는 제1 발열체 및 제2 발열체를 포함하고, 상기 센서부는 제1 센서부 및 제2 센서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온도 정보를 기초로, 상기 제1 발열체에 의해 가열되는 제1 조리 용기의 온도를 측정하는 상기 제1 센서부와 상기 제2 발열체에 의해 가열되는 제2 조리 용기의 온도를 측정하는 상기 제2 센서부를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의 일측면에 따른 제1 부위와 제2 부위를 포함하는 조리 용기의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 센서는, 복수의 픽셀들을 포함하는 어레이 타입의 온도 센서를 포함하고, 각 픽셀들이 상기 조리 용기의 온도를 측정함으로써, 복수의 온도 측정값들을 포함하는 온도 정보를 생성하는 센서부와 상기 온도 정보를 조리 기기에 무선 통신으로 전송하는 통신부를 포함하고, 상기 조리 기기는, 상기 온도 정보를 기초로 각 온도 측정값들을 상기 조리 용기의 상기 제1 부위 및 상기 제2 부위 중 특정 부위에 대응시킴으로써, 상기 제1 부위의 온도 또는 상기 제2 부위의 온도를 결정하고, 가열 모드에 따라 상기 제1 부위의 온도 또는 상기 제2 부위의 온도가 목표 온도로 되도록 상기 조리 기기의 가열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의 온도 센서를 포함하는 조리 기기 및 이의 동작 방법에 따르면, 조리 용기의 바닥부와 용기부를 구분하여 온도를 측정하므로, 내용물의 온도를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고 이에 따라 내용물의 온도를 정확히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의 온도 센서를 포함하는 조리 기기 및 이의 동작 방법에 따르면,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 센서가 가열부의 하부에 위치하는 것이 아니라 조리 기기 상판에 위치하므로, 조리 용기의 바닥부 뿐만 아니라 용기부의 온도를 정확히 측정할 수 있다.
도 1은 본 개시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조리 기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개시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조리 기기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3a 및 도 3b는 본 개시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온도 센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개시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조리 기기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5는 본 개시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온도 정보를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도 6은 본 개시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조리 기기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7a 및 도 7b는 본 개시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조리 기기에 의해 가열되는 조리 용기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8a 내지 도 8c는 본 개시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조리 기기의 조리 용기 부위 판단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테이블이다.
도 9는 본 개시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조리 기기의 동작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10은 본 개시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조리 기기의 동작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개시의 실시예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개시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조리 기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조리 기기(100)는 가열부(10), 온도 센서(20) 및 본체(30)를 포함할 수 있다. 한 예로서, 가열부(10)는 본체(30)에 구비되는 것으로 구현될 수 있고, 온도 센서(20)는 본체(30) 외부에 구비되며, 본체(30)와 탈부착되는 것으로 구현될 수 있다.
한 예로서, 조리 기기(100)는 조리 기기(100)와 별개로 구성된 예를 들어, 전기레인지 또는 전기 밥솥 등일 수 있다. 다른 예로서, 조리 기기(100)는 조리 기기(100)와 일체형으로 구성된 조리 용기(200)를 가열하는 조리 기기(100)일 수 있고, 예를 들어, 전기 포트 또는 분유 포트 등일 수 있다.
가열부(10)는 가열 구동부에 의해 조리 용기(200)를 가열하며, 한 예로서 가열부(10)는 유도 가열 방식으로 조리 용기(200)를 가열하는 워킹 코일을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가열부(10)는 하이라이트 방식으로 조리 용기(200)를 가열하는 열선을 포함할 수 있다. 가열부(10)의 구성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조리 용기(200)를 가열하기 위한 다양한 구성을 가질 수 있다.
온도 센서(20)는 조리 용기(200)로부터 방사되는 전자기파(Electromagnetic Wave)에 기반하여 조리 용기(200)의 온도를 센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가열된 조리 용기(200)에서 방사되는 전자기파는, 적외선(Infrared Ray, IR)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온도 센서(20)는 조리 용기(200)로부터 수신한 전자기파의 방사량을 전압 또는 전류로 환산하고, 이에 기반하여 조리 용기(200)의 온도를 측정할 수 있다.
온도 센서(20)는 본체(30)와 물리적으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으며, 본체(30)와 유선 또는 무선 통신으로 정보를 송수신할 수 있다. 통신 방법은 어느 하나로 제한되지 않으며, 예를 들어 Wi-fi, NFC(Near Field Communication), 블루투스(Bluetooth), RFID(Radio-Frequency Identification) 등의 무선 통신일 수 있다.
온도 센서(20)는 조리 용기(200)의 서로 다른 부위의 온도를 센싱할 수 있다. 또한 온도 센서(20)는 서로 다른 가열부(10)에 배치된 서로 다른 조리 용기(200) 각각의 온도를 센싱할 수 있다.
본체(30)는 피가열체 예를 들어 조리 용기(200)가 놓여지면, 조리 용기(200)를 가열하여 조리 용기(200) 내부의 음식물을 가열할 수 있다. 본체(30)는 상판을 포함할 수 있고, 조리 용기(200)가 배치되는 화구를 포함할 수 있다. 화구는 가열부(10)를 포함하는 상판의 일부 영역에 형성될 수 있다.
비교예에 따르면, 온도 센서는 상판의 하부, 구체적으로 가열부(10) 밑면에 배치될 수 있다. 이 때 가열부(10) 밑면에 배치된 온도 센서는 가열부(10) 위에 배치된 조리 용기(200)의 바닥면의 온도를 센싱할 수 있다. 그러나 조리 용기(200) 내부에 담긴 내용물 또는 가열 모드에 따라서, 가열부(10) 밑면의 온도뿐만 아니라 조리 용기(200)의 용기부의 온도를 센싱하여 제어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온도 센서(20)는 본체(30) 위에 배치될 수 있으며, 조리 용기(200)의 바닥부(예를 들어, 도 6의 210) 또는 용기부(예를 들어, 도 6의 220)의 온도를 센싱할 수 있다. 이로써 온도 센서(20)는 조리 용기(200)의 내용물 또는 가열 모드에 따라서 바닥부의 온도를 센싱하거나, 용기부의 온도를 센싱할 수 있고, 바닥부의 온도 또는 용기부의 온도를 기초로 조리 용기(200)의 내용물이 가열될 수 있다.
도 2는 본 개시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조리 기기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고, 도 3a 및 도 3b는 본 개시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온도 센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 도 2, 도 3a 및 도 3b를 함께 참조하면, 조리 기기(100)는 온도 센서(20)와 본체(30)를 포함할 수 있다. 온도 센서(20)는 센서부(21) 및 통신부(22)를 포함할 수 있고, 본체(30)는 전원부(31), 제어부(32), 통신부(33), 가열부(34), 사용자 인터페이스(35) 및 메모리(36)를 포함할 수 있다.
센서부(21)는 조리 용기(200)의 온도를 측정할 수 있고, 구체적으로 조리 용기(200)의 바닥부 또는 용기부의 온도를 측정할 수 있다. 센서부(21)는 적외선 온도 센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일 지점의 온도를 측정하는 셀 타입 센서이거나 복수의 센서들(또는, 픽셀들)이 어레이 형태로 배치되어 하나의 모듈로 구성된 어레이 센서일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는 센서부(21)가 어레이 센서(IRS)로 구현된 경우에 대해 설명한다.
한 예시로, 어레이 센서(IRS)는 도 3a와 같이 4X16 픽셀들, 총 64개의 적외선 온도 센서들을 포함하는 모듈일 수 있다. 각각의 픽셀들은 조리 용기(200)의 특정 부위의 온도를 측정할 수 있다. 각 픽셀이 측정한 조리 용기(200)의 온도는 픽셀의 값 또는 색상에 대응될 수 있다. 설명의 편의상 각 픽셀들이 측정한 온도는 픽셀값으로 지칭할 수 있다.
특정 시점에서 어레이 센서(IRS)의 측정 값을 온도 정보로 지칭할 수 있고, 온도 정보는 도 3b와 같이 나타날 수 있다. 예를 들어 각 픽셀값이 제1 온도 내지 제4 온도 중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경우, 각 픽셀들은 4가지의 색깔 중 어느 하나로 표현될 수 있다. 어레이 센서(IRS)에서 생성된 온도 정보는 제1 온도에 해당하는 픽셀값들(P1), 제2 온도에 해당하는 픽셀값들(P2), 제3 온도에 해당하는 픽셀값들(P3) 및 제4 온도에 해당하는 픽셀값들(P4)을 포함할 수 있다. 한 예로서, 제1 온도에서 제4 온도로 갈수록 온도가 높아지고, 이에 따라 명도가 진해지는 것으로 표현될 수 있다. 제1 온도 내지 제4 온도는 특정 값이거나 범위일 수 있다.
조리 기기(100)는 어레이 센서(IRS)의 각 픽셀이 조리 용기(200)의 어떤 부위의 온도를 측정할 것인지 미리 설정할 수 있다. 다만 사용자에 의해 온도 센서(20)의 위치가 자유롭게 변경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어레이 센서(IRS)의 각 픽셀이 적외선을 방사함으로써 온도를 측정하는 조리 용기(200)의 부위는 미리 지정된 부위와 달라질 수 있다.
따라서, 조리 기기(100)는 어레이 센서(IRS)의 각 픽셀값의 특성을 파악하고, 이를 기초로 각 픽셀값이 조리 용기(200)의 어떤 부위의 온도에 대응되는지 판단할 수 있다. 한 예로서, 조리 기기(100)는 도 3b와 같은 온도 정보를 기초로, 제1 온도 내지 제3 온도에 해당하는 픽셀들(P1~P3)을 제1 그룹으로 결정하고, 제1 그룹의 픽셀들(P1~P3)의 픽셀값은 조리 용기(200)의 용기부의 온도에 대응되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제4 온도에 해당하는 픽셀들(P4)을 제2 그룹으로 결정하고, 제2 그룹의 픽셀들(P4)의 픽셀값은 조리 용기(200)의 바닥부의 온도에 대응되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조리 기기(100)가 제1 그룹의 픽셀들 및 제2 그룹의 픽셀들을 결정하기 위한 판단 기준은 다양할 수 있고, 도 8a 내지 도 8c를 통해 자세히 설명한다.
조리 기기(100)가 각 픽셀값에 대응되는 조리 용기(200)의 부위를 결정한 이후, 조리 기기(100)는 가열 모드에 따라 온도 센서(20)가 수집하는 온도 정보를 기초로 조리 용기(200)의 온도 제어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위의 예에서, 조리 기기(100)는 제1 그룹의 픽셀들(P1~P3)의 픽셀값을 기초로 조리 용기(200)의 용기부의 온도를 제어할 수 있고, 제2 그룹의 픽셀들(P4)의 픽셀값을 기초로 조리 용기(200)의 바닥부의 온도를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어레이 센서(IRS)가 향하는 방향은 변경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온도 센서(20)는 조리 용기(200)를 향하는 방향으로 어레이 센서(IRS)를 회전시킬 수 있다.
통신부(22)는 센서부(21)에서 측정한 온도 정보를 본체(30)에 전송할 수 있다. 통신 방식은 무선 또는 유선일 수 있다.
본체(30)의 전원부(31)는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상용 전원을 수신하고, 교류 전원에 대한 평활화 동작을 통해 직류 전압을 생성하여 가열부(34)에 제공할 수 있다. 상용 전원은 사용하는 국가 및/또는 지역에 따라 110V 교류 전원, 220V 교류 전원, 380V 교류 전원 또는 그 외의 임의의 전압 레벨을 갖는 교류 전원에 해당할 수 있다.
제어부(32)는 조리 기기(100)의 동작을 전반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32)는 마이컴으로 구현될 수 있다. 제어부(32)는 사용자 인터페이스(35)로부터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고, 사용자 입력에 응답하여 제어 동작을 개시할 수 있다.
제어부(32)는 온도 센서(20)로부터 복수의 픽셀값들을 포함하는 온도 정보를 수신하고, 메모리(36)에 저장된 판단 정보와 온도 정보를 기초로 어레이 센서(IRS)의 각 픽셀값이 조리 용기(200)의 어떤 부위에 대응되는 온도인지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32)는, 사용자 인터페이스(35)를 통해 입력받은 가열 모드에 따라, 조리 용기(200)의 온도를 목표 온도로 제어하기 위한 일련의 동작들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입력받은 가열 모드가 제1 가열 모드인 경우, 제어부(32)는 조리 용기(200)의 바닥부의 온도를 제어하기 위한 동작들을 수행할 수 있다. 제어부(32)는 입력받은 가열 모드가 제2 가열 모드인 경우, 조리 용기(200)의 용기부의 온도를 제어하기 위한 동작들을 수행할 수 있다. 온도 제어 과정에서 어레이 센서(IRS)의 모든 픽셀 값들이 이용되거나 특정 픽셀 값들만 이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그룹의 픽셀값들 및/또는 제2 그룹의 픽셀값들이 이용될 수 있다.
한편, 제어부(32)는 조리 용기(200)의 바닥부 또는 용기부의 온도를 정확하게 제어하기 위해, 센싱 동작으로 인해 발생한 딜레이를 고려하여 온도 보상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통신부(33)는 온도 센서(20)와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온도 센서(20)로부터 온도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온도 센서(20)의 통신부(22)와 본체(30)의 통신부(33)는 무선 통신을 수행할 수 있으며, 통신 방식은 어느 하나로 제한되지 않는다.
가열부(34)는 전원부(31)로부터 전력을 수신하고, 조리 용기(200)를 가열하기 위한 구성, 예를 들어 워킹 코일 또는 열선에 전력을 인가할 수 있다. 가열부(34)는 인가하는 전력의 온 또는 오프 타이밍을 제어하거나, 전압 또는 전류의 크기를 변동시킴으로써 가열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가열부(34)는 가스량 또는 다른 에너지원의 양을 변동시킬 수 있다. 가열부(34)는 도 1의 가열부(10)에 대응될 수 있다.
사용자 인터페이스(35)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할 수 있고, 다양한 사용자 입력들을 수신하기 위한 복수의 입력 버튼들 및/또는 스마트 다이얼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입력은 조리 동작의 개시, 가열 단계의 선택 등을 지시하는 터치 입력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인터페이스(35)는 감압 방식 및 정전용량 방식 등을 포함하는 다양한 방식에 따른 터치 입력을 감지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인터페이스(35)는 조리 기기(100)의 상태 정보, 설정 정보 또는 사용자 입력에 대응하는 정보 등을 출력할 수 있다. 한 예로서, 사용자 인터페이스(35)는 다양한 정보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인터페이스(35)는 LCD, PDP, TFT LCD, OLED 등을 포함하는 다양한 디스플레이 장치들 중 적어도 하나로 구현될 수 있다. 한 예로서, 사용자 인터페이스(35)는 음성 신호를 입출력할 수 있는 마이크 및 스피커를 포함할 수도 있다.
메모리(36)는 제어부(32)의 동작과 관련된 제어 알고리즘 및/또는 제어 알고리즘의 실행에 의해 생성되는 각종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메모리(36)는 휘발성 메모리 또는 비휘발성 메모리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메모리(36)는 제어부(32) 내에 구비될 수도 있고, 예를 들어, 제어부(32) 내에 구비되는 레지스터일 수 있다.
한 예로서, 메모리(36)는 어레이 센서(IRS)의 각 픽셀이 조리 용기(200)의 특정 부위의 온도를 측정하도록 대응된 정보를 저장할 수 있고, 각 픽셀값이 조리 용기(200)의 특정 부위의 온도에 대응되도록 판단하기 위한 판단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또한 가열 모드에 따라 가열부(34)의 온도를 제어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포함할 수 있다.
도 4는 본 개시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조리 기기를 나타내는 평면도이고, 도 5는 본 개시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온도 정보를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도 4 및 도 5를 함께 참조하면, 조리 기기(100)의 본체(30)에 복수의 가열체들이 존재하고, 각 가열체 위에 서로 다른 조리 용기들(200_1, 200_2)이 배치될 수 있다. 조리 기기(100)의 본체(30) 위에 온도 센서(20)가 배치될 수 있으며, 온도 센서(20)는 본체(30) 또는 조리 용기들(200_1, 200_2)과 소정의 거리만큼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고, 본체(30)에 탈부착될 수 있다.
하나의 온도 센서(20)로 복수의 조리 용기들(200_1, 200_2)의 온도를 측정하기 위해서, 온도 센서(20)에 포함된 어레이 센서의 각 픽셀은 서로 다른 조리 용기들(200_1, 200_2)의 온도를 측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어레이 센서의 일부 픽셀들은 제1 조리 용기(200_1)의 온도를 측정하고 다른 일부 픽셀들은 제2 조리 용기(200_2)의 온도를 측정할 수 있다. 이 때 어레이 센서가 측정한 온도 정보는 도 5와 같이 나타날 수 있다. 연한 색이 낮은 온도, 진한 색이 높은 온도를 나타낼 수 있다.
조리 기기(100)는 온도 센서(20)로부터 온도 정보를 수신하고, 픽셀값들의 분포를 바탕으로 온도 센서(20)가 복수의 조리 용기들(200_1, 200_2)의 온도를 측정한 것임을 파악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가장 높은 온도를 나타내는 픽셀들(P4)이 두 개의 영역으로 구분되는 경우, 조리 기기(100)는 온도 센서(20)가 두 개의 조리 용기들(200_1, 200_2)의 온도를 측정하고 있는 것으로 파악할 수 있다.
조리 기기(100)는, 판단 정보를 기초로 각 픽셀이 복수의 조리 용기들(200_1, 200_2) 중 어떤 조리 용기의 온도를 측정하는지 대응시킬 수 있다. 또한 조리 기기(100)는 각 픽셀이 각 조리 용기(200_1, 200_2)의 어떤 부위의 온도를 측정하는지 대응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조리 기기(100)는, 픽셀들(P4) 중 제1 그룹(G1)에 속한 픽셀들은 제1 조리 용기(200_1)의 온도를 측정하고, 픽셀들(P4) 중 제2 그룹(G2)에 속한 픽셀들은 제2 조리 용기(200_2)의 온도를 측정하는 것으로 결정할 수 있다. 조리 기기(100)는 그룹을 생성하고, 픽셀값과 조리 용기(200_1, 200_2)의 부위를 대응시키기 위해 다양한 기준들을 이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8a 내지 도 8c의 기준들이 이용될 수 있다.
조리 기기(100)는 대응된 정보를 기초로 각각의 조리 용기(200_1, 200_2)의 온도를 서로 다른 목표 온도로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조리 기기(100)는, 픽셀들(P4) 중 왼쪽에 위치한 픽셀값들을 기초로 제1 조리 용기(200_1)의 바닥부의 온도를 제어하고, 픽셀들(P4) 중 오른쪽에 위치한 픽셀값들을 기초로 제2 조리 용기(200_2)의 바닥부의 온도를 제어할 수 있다.
도 6은 본 개시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조리 기기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온도 센서(20)가 정방향으로 놓여진 경우 어레이 센서(IRS)의 가장 아래쪽의 행은 조리 용기(200)의 바닥부(210)의 온도를 측정하고, 어레이 센서(IRS)의 가장 위쪽의 행은 조리 용기(200)의 용기부(220)의 온도를 측정할 수 있다.
조리 기기(100)의 제어부는 온도 센서(20)에 포함된 어레이 센서(IRS)의 각 픽셀과 조리 용기(200)의 부위를 대응시키고, 각 픽셀로 하여금 대응된 부위의 온도를 측정하게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는, 어레이 센서(IRS)의 아래쪽에 위치한 제1행 및 제2행에 위치한 픽셀들은 조리 용기(200)의 바닥부(210)의 온도를 측정하도록 대응시키고, 제3행 및 제4행에 위치한 픽셀들은 조리 용기(200)의 용기부(220)의 온도를 측정하도록 대응시킬 수 있다.
한편 조리 용기(200)의 형태는 어느 하나로 제한되지 않으며, 바닥부(210)의 높이는 온도 센서(20)로부터 방사되는 적외선이 도달할 수 있도록, 측면에서 관찰 가능할 정도의 높이를 가질 수 있다. 바닥부(210)의 높이 또는 용기부(220)의 높이가 달라지면, 이에 따라 온도 센서(20)의 어레이 센서(IRS)의 위치 또는 각도도 변경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바닥부(210)의 높이가 상대적으로 높은 조리 용기(200)의 경우, 어레이 센서(IRS)는 위쪽을 향하도록 회전될 수 있다.
조리 용기(200)는 온도 센서(20)의 특성에 따라, 방사율을 높이기 위해 무채색 또는 검은색으로 도색될 수 있다. 한 예로서, 온도 센서(20)로부터 적외선이 도달하는 특정 부위만 도색될 수 있다.
도 7a 및 도 7b는 본 개시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조리 기기에 의해 가열되는 조리 용기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7a 및 도 7b를 참조하면, 조리 용기(200_3, 200_4)의 안에 담긴 내용물이 달라질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사용자가 입력하는 가열 모드도 달라질 수 있다. 예를 들어, 가열 모드는 조리 용기(200_3, 200_4)의 바닥부(210)의 온도를 기초로 바닥부(210)의 온도를 조절하는 제1 가열 모드 및 조리 용기(200_3, 200_4)의 용기부(220)의 온도를 기초로 용기부(220)의 온도를 조절하는 제2 가열 모드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가열 모드에서 온도 센서(20)는 바닥부(210)의 온도를 센싱하고, 제2 가열 모드에서 온도 센서(20)는 용기부(220)의 온도를 센싱할 수 있다.
가열 모드에 따라 조리 용기(200_3, 200_4)의 특정 부위의 온도를 기초로, 조리 용기(200_3, 200_4)의 특정 부위의 온도가 조절될 수 있다.
한 예로서, 조리 용기(200_3)에 담긴 내용물이 고체 형태이거나 내용물이 없는 경우, 내용물 또는 용기부(220)의 안쪽 바닥의 온도를 목표 온도로 제어할 필요가 있다. 예를 들어 조리 용기(200_3)의 예열, 구이 요리 또는 팬 요리가 이러한 경우에 해당할 수 있다.
이때, 온도 제어 대상은 내용물 또는 용기부(220) 안쪽 바닥이 되고, 온도 제어 대상의 온도 특성은 조리 용기(200_3)의 바닥부(210)의 온도 특성과 유사할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가열 모드에서 온도 제어 대상의 온도를 목표 온도로 제어하기 위해, 온도 센서(20)는 바닥부(210)의 온도를 측정하고, 조리 기기(100)의 제어부는 바닥부(210)의 온도를 목표 온도로 제어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조리 용기(200_4)에 담긴 내용물이 액체 형태로서, 용기부(220)의 바닥을 덮고 소정의 수위를 형성하는 경우, 내용물의 온도를 목표 온도로 제어할 필요가 있다. 예를 들어 물을 끓이거나, 내용물의 보온 또는 튀김 조리를 위한 기름 예열이 이러한 경우에 해당할 수 있다.
이때, 온도 제어 대상은 액체 상태의 내용물로서, 온도 제어 대상의 온도 특성은 조리 용기(200_4)의 용기부(220)의 온도 특성과 유사할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가열 모드에서 온도 제어 대상의 온도를 목표 온도로 제어하기 위해, 온도 센서(20)는 용기부(220)의 온도를 측정하고, 조리 기기(100)의 제어부는 용기부(220)의 온도를 목표 온도로 제어할 수 있다.
도 8a 내지 도 8c는 본 개시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조리 기기의 조리 용기 부위 판단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테이블이다.
도 1, 도 8a 내지 도 8c를 함께 참조하면, 조리 기기(100)는 온도 센서(20)가 전송한 온도 정보와 미리 저장된 판단 정보를 기초로, 온도 정보에 포함된 각 온도가 조리 용기(200)의 어떤 부위의 온도에 해당하는지 결정할 수 있다. 판단 정보는 기준 시간당 온도 변화량, 기준 온도에 도달하는 시간 및 기준 온도에 도달하는 순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에서 각각의 경우에 대해 자세히 설명한다.
설명의 편의상, 온도 센서(20)는 하나의 조리 용기(200)의 온도를 측정하며, 4개의 행을 포함하는 어레이 센서로 구현되는 것을 가정한다. 어레이 센서의 가장 아래쪽에 위치한 행을 제1행, 가장 위쪽에 위치한 행을 제4행으로 지칭한다. 또한 제1행의 픽셀값을 제1 온도, 제2행의 픽셀값을 제2 온도, 제3행의 픽셀값을 제3 온도, 제4행의 픽셀값을 제4 온도로 지칭한다. 온도 센서(20)는 제1 온도 내지 제4 온도가 포함된 온도 정보를 본체(30)의 제어부로 전송할 수 있다. 도 8a 내지 도 8c는 행을 기준으로 픽셀들을 구분하였으나 반드시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도 8a를 참조하면, 조리 기기(100)는 기준 시간당 온도 변화량을 기초로 온도 정보에 포함된 제1 온도 내지 제4 온도를 조리 용기(200)의 특정 부위와 대응시키고, 조리 용기(200)의 특정 부위의 온도를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온도 센서(20)의 제1행 내지 제4행의 픽셀들은 각각 조리 용기(200)의 특정 부위의 온도를 측정하고, 기준 시간이 경과한 후 다시 온도를 측정할 수 있다.
조리 기기(100)는 기준 시간 동안 제1 온도의 변화량 내지 제4 온도의 변화량을 산출하고, 각각을 기준값과 비교할 수 있다. 한 예로서, 제1 온도의 변화량이 기준값을 초과하는 경우, 제1 온도는 바닥부의 온도로 결정될 수 있다. 제2 온도 내지 제4 온도의 변화량이 기준값 이하인 경우, 제2 온도 내지 제4 온도는 용기부의 온도로 결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기준 시간이 10초이고, 기준값이 50
Figure 112020130036841-pat00001
일 수 있다. 이때 제1 행의 픽셀들이 처음 측정한 온도가 25
Figure 112020130036841-pat00002
이고 10초 후 측정한 온도가 80
Figure 112020130036841-pat00003
라면, 온도 변화량은 55
Figure 112020130036841-pat00004
로써 기준값 50
Figure 112020130036841-pat00005
을 초과하므로 제1 행의 픽셀들이 측정한 재1 온도는 바닥부의 온도로 결정될 수 있다.
도 8b를 참조하면, 조리 기기(100)는 기준 온도에 도달하는 시간을 기초로 온도 정보에 포함된 제1 온도 내지 제4 온도를 조리 용기(200)의 특정 부위와 대응시키고, 조리 용기(200)의 특정 부위의 온도를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행 내지 제4행의 픽셀들은 각각 조리 용기(200)의 특정 부위의 온도를 반복적으로 측정하고, 온도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조리 기기(100)는 제1 온도 내지 제4 온도가 기준 온도에 도달할 때까지의 시간을 산출할 수 있다.
이후 조리 기기(100)는 제1 온도의 기준 온도 도달 시간 내지 제4 온도의 기준 온도 도달 시간을 각각 기준값과 비교할 수 있다. 한 예로서, 제2 온도의 기준 온도 도달 시간이 기준값 이하인 경우, 제2 온도는 바닥부의 온도로 결정될 수 있고, 제3 온도의 기준 온도 도달 시간이 기준값을 초과하는 경우, 제3 온도는 용기부의 온도로 결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기준 온도는 100
Figure 112020130036841-pat00006
이고, 기준값은 15초일 수 있다. 제4 행의 픽셀들이 처음 측정한 제4 온도가 25
Figure 112020130036841-pat00007
이고, 반복적으로 측정한 결과로써 제4 온도가 100
Figure 112020130036841-pat00008
에 도달하기까지 23초가 걸렸다면, 기준 온도에 도달하는 시간은 23초로써 기준값을 초과하므로 제4 행의 픽셀들이 측정한 온도는 용기부의 온도로 결정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조리 기기(100)는 기준 온도에 도달하는 순서를 판단 기준으로 할 수도 있다. 도 8c를 참조하면, 제1행의 픽셀들 내지 제4행의 픽셀들이 각각 조리 용기(200)의 특정 부위의 온도를 측정하고, 정해진 주기마다 반복적으로 온도를 측정할 수 있다. 조리 기기(100)는 제1 온도 내지 제4 온도 중 어느 것이 먼저 기준 온도에 도달하는지 판단할 수 있다. 한 예로서, 기준 온도가 100
Figure 112020130036841-pat00009
이고, 제1 온도 및 제2 온도가 먼저 100
Figure 112020130036841-pat00010
에 도달한 경우, 조리 기기(100)는 제1 온도 및 제2 온도를 이용하여 바닥부의 온도를 결정할 수 있다.
한편, 전술한 판단 기준은 변경될 수 있으며, 조리 기기(100)는 전술한 판단 기준들을 복합적으로 이용하여 조리 용기(200)의 부위와 온도를 대응시킬 수도 있다. 또한 도 4 및 도 5의 경우와 같이 복수의 조리 용기들(200_1, 200_2)의 온도를 측정하는 경우, 판단 기준이 달라질 수 있다.
조리 기기(100)는 온도 정보와 조리 용기(200)의 특정 부위를 대응시킨 결과를 기초로, 용기부의 온도를 측정한 것으로 판단되는 픽셀들을 제1 그룹으로 결정하고, 바닥부의 온도를 측정한 것으로 판단되는 픽셀들을 제2 그룹으로 결정할 수 있다.
조리 기기(100)는 용기부의 온도를 제어하기 위해, 제1 그룹의 픽셀값 및/또는 제2 그룹의 픽셀값을 이용할 수 있다.
도 9는 본 개시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조리 기기의 동작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로서, 조리 기기의 조리 용기 부위 판단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1 및 도 9를 함께 참조하면, 조리 기기(100)는 가열부(10)를 제어하여 조리 용기(200)를 가열할 수 있다(S110). 이하에서는 조리 용기(200)가 1개인 것으로 설명하나, 조리 용기(200)는 복수 개일 수 있으며, 이 경우 조리 기기(100)는 복수 개의 가열부(10)들을 포함할 수 있다.
조리 기기(100)는 온도 센서(20)로부터 온도 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S120). 온도 센서(20)는 어레이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는 픽셀값이 제1 온도 내지 제4 온도 중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것으로 가정하여 설명하나 반드시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수집된 온도 정보는 도 3b 또는 도 5와 같은 어레이 형태일 수 있다. 온도 센서(20)는 무선 통신으로 본체(30)의 제어부에 온도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조리 기기(100)는 온도 정보를 기초로 제1 온도 내지 제4 온도를 조리 용기(200)의 각 부위의 온도에 대응시킬 수 있다(S130). 예를 들어, 조리 기기(100)는 도 8a 내지 도 8c를 통해 전술한 바와 같이, 제1 온도 내지 제4 온도가 조리 용기(200)의 바닥부의 온도인지 또는 용기부의 온도인지 판단할 수 있다.
이후 조리 기기(100)는 조리 용기(200)의 부위와 온도를 대응시킨 결과를 기초로, 바닥부의 온도를 측정한 것으로 판단되는 픽셀들을 제1 그룹으로 결정하고, 용기부의 온도를 측정한 것으로 판단되는 픽셀들을 제2 그룹으로 결정할 수 있다. 한편 온도 센서(20)가 도 4 및 도 5의 경우와 같이 복수의 조리 용기들(200_1, 200_2)의 온도를 센싱하는 경우, 그룹의 개수는 달라질 수 있을 것이다.
도 10은 본 개시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조리 기기의 동작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로서, 온도 제어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1 및 도 10을 함께 참조하면, 조리 기기(100)는 사용자로부터 가열 모드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S210). 예를 들어 사용자는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가열 모드를 입력할 수 있다.
조리 기기(100)는 가열 모드가 제1 가열 모드인지 또는 제2 가열 모드인지 확인할 수 있다(S220). 예를 들어 제1 가열 모드는 조리 용기(200)의 예열, 구이 요리 또는 팬 요리일 수 있고, 제2 가열 모드는 물을 끓이거나, 내용물의 보온 또는 튀김 조리를 위한 기름 예열일 수 있다.
조리 기기(100)는 조리 용기(200)를 가열하고(S230), 온도 센서(20)가 측정한 온도 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S240). 조리 기기(100)의 본체(30)는 온도 센서(20)로부터 온도 정보를 무선 통신으로 수집할 수 있다. 온도 정보는 제1 그룹의 픽셀값들 및/또는 제2 그룹의 픽셀값들을 포함할 수 있다. 조리 기기(100)는 제1 그룹의 픽셀값들 및/또는 제2 그룹의 픽셀값들을 이용하여 온도 제어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조리 기기(100)는 제1 그룹의 최고 온도와 목표 온도를 비교하여(S250), 제1 그룹의 최고 온도가 목표 온도 이상인 경우 단계를 종료하고, 제1 그룹의 최고 온도가 목표 온도 미만인 경우 S230 단계로 되돌아갈 수 있다.
S230 내지 S250 단계를 통해, 조리 기기(100)는 조리 기기(100)는 제1 그룹의 픽셀값이 목표 온도가 되도록 조리 용기(200)를 가열할 수 있다. 이로써 조리 용기(200)의 바닥부의 온도가 목표 온도에 도달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한편 제1 그룹의 픽셀값은 각 픽셀마다 다를 수 있으며, 조리 기기(100)는 제1 그룹의 픽셀값들 중 최대값이 목표 온도가 되도록 가열부(10)를 제어할 수 있다. 조리 기기(100)는 제1 그룹의 픽셀값들 중 최소값, 평균값 또는 어느 특정 픽셀값이 목표 온도가 되도록 가열부(10)를 제어할 수 있다.
S220 단계에서 제2 가열 모드가 입력된 경우, 조리 기기(100)는 조리 용기(200)를 가열하고(S260), 온도 센서(20)로부터 온도 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S270). 온도 정보는 제2 그룹의 픽셀값들 및/또는 제1 그룹의 픽셀값들을 포함할 수 있다.
조리 기기(100)는 제2 그룹의 최고 온도와 목표 온도를 비교하여(S280), 제2 그룹의 최고 온도가 목표 온도 이상인 경우 단계를 종료하고, 제2 그룹의 최고 온도가 목표 온도 미만인 경우 S260 단계로 되돌아갈 수 있다.
S260 내지 S280 단계를 통해, 조리 기기(100)는 조리 용기(200)의 용기부의 온도가 목표 온도에 도달하도록 설정함으로써, 온도 제어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도면과 명세서에서 예시적인 실시예들이 개시되었다. 본 명세서에서 특정한 용어를 사용하여 실시예들을 설명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에서 사용된 것이지 의미 한정이나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개시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하여 사용된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개시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Claims (11)

  1. 제1 부위와 제2 부위를 포함하는 조리 용기를 가열하는 가열부;
    상기 조리 용기의 온도를 측정하여, 복수의 온도 측정값들을 포함하는 온도 정보를 생성하는 센서부; 및
    상기 온도 정보를 기초로, 각 온도 측정값들을 상기 조리 용기의 상기 제1 부위 및 상기 제2 부위 중 특정 부위에 대응시킴으로써, 상기 제1 부위의 온도 또는 상기 제2 부위의 온도를 결정하고, 가열 모드에 따라 상기 제1 부위의 온도 또는 상기 제2 부위의 온도가 목표 온도로 되도록 상기 가열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 기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기준 시간당 상기 각 온도 측정값들의 온도 변화량, 상기 각 온도 측정값들이 기준 온도에 도달하는 시간, 및 상기 각 온도 측정값들이 기준 온도에 도달하는 순서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상기 각 온도 측정값들을 상기 조리 용기의 상기 제1 부위 및 상기 제2 부위 중 특정 부위에 대응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 기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부위의 온도는, 상기 제2 부위의 온도에 비하여 상기 기준 시간당 온도 변화량이 크거나, 상기 기준 온도에 도달하는 시간이 짧거나, 상기 기준 온도에 먼저 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 기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부위는 상기 조리 용기의 바닥부로서, 상기 가열부의 온도 변화에 의해 온도가 변화하고,
    상기 제2 부위는 상기 조리 용기의 용기부로서, 상기 바닥부의 온도 변화에 의해 온도가 변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 기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가열 모드는 상기 용기부의 내용물에 따라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 기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내용물이 상기 용기부의 바닥을 덮는 유체인지 여부에 따라, 상기 제1 부위의 온도 또는 상기 제2 부위의 온도가 목표 온도로 되도록 상기 가열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 기기.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부는 어레이 타입의 온도 센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 기기.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부는 상기 제어부에 상기 온도 정보를 무선 통신으로 전송하는 통신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 기기.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부는 상기 조리 용기와 수평 방향으로 소정 거리만큼 이격되고, 상기 조리 기기의 상판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 기기.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열부는 제1 발열체 및 제2 발열체를 포함하고,
    상기 센서부는 제1 센서부 및 제2 센서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온도 정보를 기초로, 상기 제1 발열체에 의해 가열되는 제1 조리 용기의 온도를 측정하는 상기 제1 센서부와 상기 제2 발열체에 의해 가열되는 제2 조리 용기의 온도를 측정하는 상기 제2 센서부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 기기.
  11. 제1 부위와 제2 부위를 포함하는 조리 용기의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 센서로서,
    복수의 픽셀들을 포함하는 어레이 타입의 온도 센서를 포함하고, 각 픽셀들이 상기 조리 용기의 온도를 측정함으로써, 복수의 온도 측정값들을 포함하는 온도 정보를 생성하는 센서부; 및
    상기 온도 정보를 조리 기기에 무선 통신으로 전송하는 통신부를 포함하고,
    상기 조리 기기는,
    상기 온도 정보를 기초로 각 온도 측정값들을 상기 조리 용기의 상기 제1 부위 및 상기 제2 부위 중 특정 부위에 대응시킴으로써, 상기 제1 부위의 온도 또는 상기 제2 부위의 온도를 결정하고, 가열 모드에 따라 상기 제1 부위의 온도 또는 상기 제2 부위의 온도가 목표 온도로 되도록 상기 조리 기기의 가열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도 센서.
KR1020200165979A 2020-12-01 2020-12-01 온도 센서를 포함하는 조리 기기 및 이의 동작 방법 KR10241839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65979A KR102418390B1 (ko) 2020-12-01 2020-12-01 온도 센서를 포함하는 조리 기기 및 이의 동작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65979A KR102418390B1 (ko) 2020-12-01 2020-12-01 온도 센서를 포함하는 조리 기기 및 이의 동작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76962A KR20220076962A (ko) 2022-06-08
KR102418390B1 true KR102418390B1 (ko) 2022-07-08

Family

ID=819812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65979A KR102418390B1 (ko) 2020-12-01 2020-12-01 온도 센서를 포함하는 조리 기기 및 이의 동작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18390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049959A (ja) * 2008-08-22 2010-03-04 Mitsubishi Electric Corp 誘導加熱調理器
JP2010272481A (ja) * 2009-05-25 2010-12-02 Mitsubishi Electric Corp 加熱調理器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049959A (ja) * 2008-08-22 2010-03-04 Mitsubishi Electric Corp 誘導加熱調理器
JP2010272481A (ja) * 2009-05-25 2010-12-02 Mitsubishi Electric Corp 加熱調理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76962A (ko) 2022-06-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884196B2 (en) Cooking device for a cooking container
CN113678571B (zh) 烹饪装置及烹饪系统
KR102324199B1 (ko) 조리기기 및 그 제어방법
CN109696841B (zh) 烹饪器具及其烹饪控制方法和装置
CN104823518A (zh) 用于控制感应烹饪炉架上的烹饪过程的方法和控制单元
KR20200141781A (ko) 내용물의 온도 유지를 위한 전기레인지의 화구제어방법
GB2553906B (en) Induction heated cooking vessel
US11015814B2 (en) Cooking apparatus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KR102418390B1 (ko) 온도 센서를 포함하는 조리 기기 및 이의 동작 방법
KR102418391B1 (ko) 온도 센서를 포함하는 조리 기기 및 이의 동작 방법
CN112005054B (zh) 加热烹调器
KR102020261B1 (ko) 평판형 인덕션 레인지
KR102238453B1 (ko) 주변 환경에 따라 가열 보상을 수행하는 조리 기기 및 그 동작 방법
KR20170070535A (ko) 전기레인지의 자동제어 장치 및 방법
KR100746393B1 (ko) 전기압력보온밥솥의 취사제어장치 및 그 방법
KR20200137783A (ko) 파우셋부가 구비된 전기레인지를 이용한 자동조리 제어방법
TW201828770A (zh) 智慧型多功能烹調設備
CN211424484U (zh) 电磁炉和锅具
US20230048201A1 (en) Electric range adjusting heat power based on properties of heating target
KR102226616B1 (ko) 포토 센서를 포함하는 조리 기기 및 그 동작 방법
US20220349584A1 (en) Cooking hob having heating zones with different temperatures
KR102357792B1 (ko) 전기 압력조리기 및 그 제어방법
KR20230174990A (ko) 음식물 가열 조리장치 및 조리방법
WO2020011136A1 (zh) 基于对电磁脉冲的响应确定灶具器具上的炊具位置
KR20210003631A (ko) 센서 모듈을 포함하는 조리 기기 및 그 동작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