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20261B1 - 평판형 인덕션 레인지 - Google Patents

평판형 인덕션 레인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20261B1
KR102020261B1 KR1020170047729A KR20170047729A KR102020261B1 KR 102020261 B1 KR102020261 B1 KR 102020261B1 KR 1020170047729 A KR1020170047729 A KR 1020170047729A KR 20170047729 A KR20170047729 A KR 20170047729A KR 102020261 B1 KR102020261 B1 KR 10202026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mperature
sensing
cooking
time
control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477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48271A (ko
Inventor
이재환
최진열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성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성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성화
Priority to KR102017004772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20261B1/ko
Publication of KR201700482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4827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2026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2026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6/00Heating by electric, magnetic or electromagnetic fields
    • H05B6/02Induction heating
    • H05B6/06Control, e.g. of temperature, of power
    • H05B6/062Control, e.g. of temperature, of power for cooking plates or the like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6/00Heating by electric, magnetic or electromagnetic fields
    • H05B6/02Induction heating
    • H05B6/04Sources of current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6/00Heating by electric, magnetic or electromagnetic fields
    • H05B6/02Induction heating
    • H05B6/10Induction heating apparatus, other than furnaces, for specific applications
    • H05B6/12Cooking devices
    • H05B6/1209Cooking devices induction cooking plates or the like and devices to be used in combination with them
    • H05B6/1245Cooking devices induction cooking plates or the like and devices to be used in combination with them with special coil arrangements
    • H05B6/1281Cooking devices induction cooking plates or the like and devices to be used in combination with them with special coil arrangements with flat coil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ookers (AREA)
  • Induction Heating Cooking Devices (AREA)

Abstract

온도 센서를 세라믹 평판의 저면에 매립하고 용기 전체로부터 방사되는 복사열을 감지함으로써 실제 조리 대상물에 대한 조리가 이루어지는 용기 전체의 온도와 비례적인 온도를 얻을 수 있어 외관이 수려할 뿐만 아니라 맛있게 조리하는 가장 적합한 온도로 정확하게 설정하는 것이 가능하며, 용기에 구애 받지 않고 일반 용기 또는 밥솥을 그대로 사용할 수 있도록 온도와 시간의 복합 제어 기능을 탑재한 평판형 인덕션 레인지가 개시된다.
본 발명에 따른 평판형 인덕션 레인지는 저면에는 구동회로 기판이 장착될 공간부(102)가 형성되도록 바닥면으로부터 이격시키는 한 쌍의 다리로 이루어지는 이격 다리부(104)를 구비하는 알루미늄 몰드(100)와, 알루미늄 몰드(100)의 저면측 공간부(102)에 장착되는 구동 회로 기판(12)과, 상기 알루미늄 몰드(100)의 상면에 고정되는 인덕션 코일부(14)와, 상기 인덕션 코일부(14)의 상면에 장착되는 세라믹 상판(15), 및 인덕션 코일부(14)와 상기 세라믹 상판(15) 사이에 매립되어 용기 전체로부터 방사되는 복사열을 감지함으로써 실제 조리 대상물에 대한 조리가 이루어지는 용기 전체의 온도와 비례적인 온도를 얻는 온도 센서부(16)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평판형 인덕션 레인지{Flat-plate type induction range}
본 발명은 인덕션 레인지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온도 센서를 세라믹 평판의 저면에 매립하고 용기 전체로부터 방사되는 복사열을 감지함으로써 실제 조리 대상물에 대한 조리가 이루어지는 용기 전체의 온도와 비례적인 온도를 얻을 수 있어 외관이 수려할 뿐만 아니라 맛있게 조리하는 가장 적합한 온도로 정확하게 설정하는 것이 가능하며, 용기의 크기에 구애받지 않고 인덕션 전용의 일반 밥솥 용기 또는 압력 밥솥 용기를 그대로 사용할 수 있도록 온도와 시간의 복합 제어 기능을 탑재한 평판형 인덕션 레인지에 관한 것이다.
핵가족화를 넘어 혼자 기거하는 일명 싱글족이 증가하고 있고 바쁜 일상에서 신속하게 조리할 수 있는 조리 기구에 대한 요구는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는 실정이다. 인덕션 타입의 조리 기구는 빠른 조리 시간이 장점이나 인덕션 타입을 사용하면서 전용 압력 밥솥 또는 전용 인덕션 밥솥 중에서 편리한 용기를 선택하여 편리하게 가마솥밥과 유사한 맛있는 밥을 조리할 수 있는 조리 기구는 시장에 유통되고 있지 못하다.
대한민국 공개 특허 10-2014-0124106호에는 복수의 온도감지부를 구비하여 다른 온도 감지부의 오작동 또는 피가열체의 편심이 발생할 때 피가열체의 정확한 온도 감지를 수행하여 제품의 안전성이 향상되도록 피가열체를 지지하도록 구비된 탑플레이트와, 상기 탑플레이트의 하측에 배치되어 워킹코일이 권취되는 워킹코일베이스; 상기 피가열체의 온도를 측정하도록 상기 워킹코일베이스 중앙부에 배치되는 메인센서; 상기 워킹코일베이스의 중앙부에 권취된 워킹코일 외측에 배치되어 상기 피가열체의 온도를 감지하는 편심온도센서, 및 상기 메인센서 및 상기 편심온도센서에서 감지된 온도에 따라 상기 워킹코일의 전원공급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인덕션 레인지가 개시되어 있다.
상기 공개 특허에 개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인덕션 레인지는 직접 접촉식 센서로 이루어진 것이 일반적이다. 하지만, 이와 같은 종래의 방식은 용기에 직접 접촉되는 부분의 온도를 측정하기 때문에 맛있게 조리하는 가장 적합한 온도와 상당한 오차가 발생할 뿐만 아니라 용기의 바닥 부분 온도에 국한되어 측정되므로 용기 내부의 온도와 상당한 차이가 있어 맛있는 조리온도로 설정하는 것이 사실상 불가능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일반적인 인덕션 레인지는 용기 크기 및 밥량과 무관하게 온도를 설정하고 적절하게 사용자가 조리 시간을 조절하기 때문에 용기 크기와 밥량에 따라 용기 내부에서 실제 가장 맛있는 조리 온도에 맞게 설정하는 것이 불가능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발명된 것으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온도 센서를 세라믹 평판의 저면에 매립하고 용기 전체로부터 방사되는 복사열을 감지함으로써 실제 조리 대상물에 대한 조리가 이루어지는 용기 전체의 온도와 비례적인 온도를 얻을 수 있어 외관이 수려할 뿐만 아니라 맛있게 조리하는 가장 적합한 온도로 정확하게 설정하는 것이 가능한 평판형 인덕션 레인지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일정 온도에 도달하는 시간을 측정함으로써 용기 크기와 밥량을 감지하는 센서링 기능을 탑재함으로써 사용자가 다양한 크기의 용기를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평판형 인덕션 레인지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과제를 이루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평판형 인덕션 레인지는,
저면에는 구동회로 기판이 장착될 공간부(102)가 형성되도록 바닥면으로부터 이격시키는 한 쌍의 다리로 이루어지는 이격 다리부(104)를 구비하는 알루미늄 몰드(100)와;
상기 알루미늄 몰드(100)의 저면측 공간부(102)에 장착되는 구동 회로 기판(12)과;
상기 알루미늄 몰드(100)의 상면에 고정되는 인덕션 코일부(14)와;
상기 인덕션 코일부(14)의 상면에 장착되는 세라믹 상판(15); 및
상기 인덕션 코일부(14)와 상기 세라믹 상판(15) 사이에 매립되어 용기 전체로부터 방사되는 복사열을 감지함으로써 실제 조리 대상물에 대한 조리가 이루어지는 용기 전체의 온도와 비례적인 온도를 얻는 온도 센서부(16);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평판형 인덕션 레인지는 시스템 제어부(30)를 더 포함하고, 상기 시스템 제어부(30)는,
사용자로부터 취사 모드의 선택(S400)을 입력받아,
사용자가 일반 취사(S410) 선택시 센서링 및 EN/PWM 제어(S412)를 수행하되,
복사열의 감지에 의한 온도 센서링으로 목표하는 제1 온도까지의 도달 시간인 센서링 시간을 측정(S414)하여 제1 온도에 도달하면 센서링 완료후 제1 소정 시간 미만에 제1 온도에 도달하였으면 추가 센서링 시간을 부여하고 제1 소정 시간을 초과하여 제1 온도에 도달하였으면 추가 센서링 시간을 부여하지 않는 선택적 시간보상을 수행(S416)한 후, 제1 듀티 설정에서 제1 듀티값보다 작은 제2 듀티값을 사용한 PWM 제어로 전환(S418)하고 남은 시간을 표시하며 뜸들이기 또는 누룽지 모드로 조리 완료후 보온 기능을 구동(S420)하고,
사용자가 압력 취사(S440) 선택시 센서링 및 EN/PWM 제어(S442)를 수행하되,
복사열의 감지에 의한 온도 센서링으로 목표하는 제1 온도보다 높은 제2 온도까지의 도달 시간인 센서링 시간을 측정(S444)하여 제2 온도에 도달하면 센서링 완료후 제2 소정 시간 미만에 제2 온도에 도달하였으면 추가 센서링 시간을 부여하고 제2 소정 시간을 초과하여 제2 온도에 도달하였으면 추가 센서링 시간을 부여하지 않는 선택적 시간보상을 수행(S446)한 후, 제1 듀티 설정에서 제1 듀티값보다 작은 제2 듀티값을 사용한 PWM 제어로 전환(S448)하고 남은 시간을 표시하며 뜸들이기 또는 누룽지 모드로 조리 완료후 보온 기능을 구동(S450)하도록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시스템 제어부(30)는,
펄스폭 변조 모드를 인에이블시켜 듀티 제어를 할 것인지를 결정하는 인에이블신호 입/출력 제어부(301); 및
인에이블신호 입/출력 제어부(301)로부터 PWM 인에이블 신호가 입력되면 펄스폭의 듀티 제어를 통하여 출력을 제어하는 PWM 출력 제어부(303);를 포함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인덕션 레인지는 온도 센서를 세라믹 평판의 저면에 매립하고 용기 전체로부터 방사되는 복사열을 감지함으로써 실제 조리 대상물에 대한 조리가 이루어지는 용기 전체의 온도와 비례적인 온도를 얻을 수 있어 맛있게 조리하는 가장 적합한 온도로 정확하게 설정하는 것이 가능하며 미관도 심플하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1인용의 초소형의 전용 인덕션 밥솥 용기를 사용할 때 빠른 시간내에 가마솥밥맛과 유사한 맛있는 밥을 조리하는 것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평판형 인덕션 레인지의 주요 기구물의 구조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주요 기구물을 별도의 하우징에 안착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평판형 인덕션 레인지의 제어부 및 구동부의 구조를 도시한 블록도,
도 4는 제어부 및 구동부의 제어 과정을 나타낸 흐름도,
도 5는 일반 취사 모드의 제어 과정의 일 예를 나타낸 도면,
도 6은 압력 취사 모드의 제어 과정의 일 예를 나타낸 도면, 및
도 7은 PWM 제어에서 제1 듀티에서 제2 듀티로 전환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에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평판형 인덕션 레인지의 주요 기구물의 구조를 분해 사시도로써 나타내었으며, 도 2에는 도 1의 주요 기구물을 별도의 하우징에 안착한 상태를 나타낸 상태를 사시도로써 나타내었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평판형 인덕션 레인지는,
저면에는 구동회로 기판이 장착될 공간부(102)가 형성되도록 바닥면으로부터 이격시키는 한 쌍의 다리로 이루어지는 이격 다리부(104)를 구비하는 알루미늄 몰드(100)와,
상기 알루미늄 몰드(100)의 저면측 공간부(102)에 장착되는 구동 회로 기판(12)과,
상기 알루미늄 몰드(100)의 상면에 고정되는 인덕션 코일부(14)와,
상기 인덕션 코일부(14)의 상면에 장착되는 세라믹 상판(15), 및
상기 인덕션 코일부(14)와 상기 세라믹 상판(15) 사이에 매립되는 온도 센서부(16)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은 주요 기구물들은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은 별도의 하우징(200)에 장착된다. 도 1에서 알루미늄 몰드(100)는 도 2에서 참조 번호 "202"에 해당하고 인덕션 코일부(14)는 도 2에서 참조 번호 "204"에 해당한다.
도 3에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평판형 인덕션 레인지의 제어부 및 구동부의 구조를 블록도로써 나타내었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평판형 인덕션 레인지는 시스템 제어부(30)와 주전원 제어부(33) 및 출력 구동부(34)를 더 포함하며, 시스템 제어부(30)는 인에이블신호 입/출력 제어부(301)와 전류 센서 감지 제어부(302)와 PWM 출력 제어부(303)를 구비한다. 또한, 시스템 제어부(30)는 온도를 감지하는 온도 센서 감지 제어부(304)와 시간을 감지하는 타임 센서 감지 제어부(305) 및 팬이 회전하는지를 감지하는 팬 센서 감지 제어부(306)를 구비한다. PWM 출력 제어부(303)는 인에이블신호 입/출력 제어부(301)로부터 PWM 인에이블 신호가 입력되면 펄스폭의 듀티 제어를 통하여 출력을 제어한다.
도 4에는 제어부 및 구동부의 제어 과정을 흐름도로써 나타내었다. 또한 도 5에는 일반 취사 모드의 제어 과정의 일 예를 나타내었으며, 도 6에는 압력 취사 모드의 제어 과정의 일 예를 나타내었다. 도 4를 참조하면, 취사 모드를 선택(S400)하는 과정에서는 일반 조기 용기를 선택하는 일반 취사 또는 압력 밥솥과 같은 압력 조리 용기를 선택한다.
도면에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취사 버튼이 눌리었는지를 감지하여 취사버튼이 눌린 것으로 감지되면 전압을 인가하고 전류 센서 감지 제어부(302)에서 전류를 감지함으로써 용기 감지를 수행하고 용기가 감지되지 않으면 에러를 표시한다. 용기 감지는 전압을 인가후 전류를 감지하여 이루어진다. 즉, 용기가 있는 경우에는 전압을 인가하면 정상적으로 전류가 흐르게 되지만 용기가 없는 경우에는 전압을 인가하면 전류가 매우 낮게 흐르거나 거의 흐르지 않게 됨으로써 용기가 있는지를 감지할 수 있다. 이러한 용기 감지 기능은 모든 기능의 전 구간과 END 표시후 보온 기능 구간에서도 수행된다.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시스템 제어부(30)는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일반 취사 제어 모드와 압력 취사 온도/시간 제어 모드로 전환할 수 있도록 제어한다.
본 발명에 따른 평판형 인덕션 레인지는 시스템 제어부(30)를 포함하고, 시스템 제어부(30)는,
사용자로부터 취사 모드의 선택(S400)을 입력받아,
사용자가 일반 취사(S410) 선택시 센서링 및 EN/PWM 제어(S412)를 수행하되,
복사열의 감지에 의한 온도 센서링으로 목표하는 제1 온도, 본 실시예에서는 95℃까지의 도달 시간인 센서링 시간을 측정(S414)하여 95℃에 도달하면 센서링 완료후 제1 소정 시간, 본 실시예에서는 5분 미만에 95℃에 도달하였으면 추가 센서링 시간, 본 실시예에서는 2분의 추가 센서링 시간을 부여하고 5분을 초과하여 95℃에 도달하였으면 추가 센서링 시간을 부여하지 않는 선택적 시간보상을 수행(S416)한다. 본 병세서에서 PWM 제어는 펄스폭변조(pulse width modulation)을 칭하며, 'EN'은 PWM 제어를 "인에이블(ENable)" 하는 것을 의미한다.
다음으로, 제1 듀티 설정에서 제1 듀티값보다 작은 제2 듀티값을 사용한 PWM 제어로 전환(S418)하고 남은 시간을 표시하며 뜸들이기 또는 누룽지 모드로 조리 완료후 보온 기능을 구동(S420)한다.
한편, 사용자가 압력 취사(S440) 선택시 센서링 및 EN/PWM 제어(S442)를 수행하며,
복사열의 감지에 의한 온도 센서링으로 목표하는 제1 온도보다 높은 제2 온도, 본 실시예에서는 100℃까지의 도달 시간인 센서링 시간을 측정(S444)하여 100℃에 도달하면 센서링 완료후 제2 소정 시간 미만, 본 실시예에서는 5분 미만에 100℃에 도달하였으면 추가 센서링 시간, 본 실시예에서는 2분을 부여하고 5분을 초과하여 100℃에 도달하였으면 추가 센서링 시간을 부여하지 않는 선택적 시간보상을 수행(S446)한다.
다음으로, 제1 듀티 설정에서 제1 듀티값보다 작은 제2 듀티값을 사용한 PWM 제어로 전환(S448)하고 남은 시간을 표시하며 뜸들이기 또는 누룽지 모드로 조리 완료후 보온 기능을 구동(S450)하도록 제어한다.
본 명세서에서 센서링(sensoring)은 센싱(sensing)과 달리 센서(sensor)에 의한 감지를 수행하여 목표한 일정 온도에 도달할 때까지 특정한 제어가 수반되는 상태를 칭한다.
시스템 제어부(30)의 일반 취사 제어 모드에서는 온도 감지 기능 및 시간 감지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팬 센서 감지 제어부(306)는 온도 센서(16)에 의하여 측정된 제품 내부 온도가 70℃ 이상이면 팬을 구동하고 과열 방지 보호 기능으로 동작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르면 인덕션 레인지에서 사용하는 주파수 제어가 아닌, 주파수는 고정된 상태에서 펄스폭의 듀티를 제어하는 PWM(pulse width modulation) 기반 제어를 적용한다. 일정 온도에 도달하기 까지의 시간을 측정하고 그 시간에 따라 선택적으로 추가 조리 시간을 부여할 것인지를 결정하며 이후에는 펄스폭의 듀티를 줄여 뜸들이기 또는 누룽지 만들기와 같은 후속 공정을 진행하는 것에 그 특징이 있고, 이와 같이 PWM 기반 제어에 의하면 특히 밥을 지을때 급격한 온도 변화가 생기지 않아 밥이 타거나 눌어 붙는 현상이 적고 일정한 밥맛을 구현하는데 매우 효과적이었음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도 5 및 도 6에서 참조 번호 "50" 및 "60"으로 각각 나타낸 바와 같이 예컨대 측정된 제품 내부 온도가 70℃인 것으로 감지되면 시스템을 정지시키고 팬을 가동하며 "51" 및 "61"로 나타낸 바와 같이 "COOL" 표시를 출력하며 EN/PWM 정지 모드로 진입하고, 팬의 구동에 의하여 제품 내부 온도가 70℃ 미만으로 내려가면 "52" 및 "62"로 나타낸 바와 같이 EN/PWM 구동 모드로 진입하여 취사를 계속 진행한다.
이때, 참조 번호 "54" 및 "64"로 각각 나타낸 바와 같이 취사 모드에 따라 미리 설정된 온도 정보를 사용하여 취사를 진행할 때, 참조 번호 "55" 및 "65"로 각각 나타낸 바와 같이 온도 센서를 세라믹 평판의 저면에 매립하고 용기 전체로부터 방사되는 복사열을 감지하는 방법으로 온도를 측정하여 일반 취사시 제1 온도 및 압력 취사시 제2 온도의 설정값에 도달할 때까지의 시간, 즉, 일반 취사 모드에서는 95℃, 압력 취사 모드에서는 100℃에 도달하는 시간을 측정하고, 센서링 완료, 즉, 일반 취사 모드에서는 95℃, 압력 취사 모드에서는 100℃에 도달하는데 까지 소요된 시간이 5분 미만인지에 따라 시간 보상을 하는 것이 본원 발명의 중요한 제어 과정의 하나이다.
또한, 참조 번호 "56" 및 "66"으로 각각 나타낸 바와 같이 센서링 완료후 선택적 시간 보상까지 완료되면, PWM 제어를 제1 듀티에서 제1 듀티보다 펄스폭이 작은 제2 듀티로 전환하고, 남은 시간을 표시하며, 참조 번호 "57" 및 "67"로 각각 나타낸 바와 같이 제2 듀티 상태에서 일정 온도 범위내로 유지되도록 EN/PWM 구동 및 정지를 반복하고, 취사를 완료하며 보온 모드로 진입한다.
이와 같이 제어함으로써 일반 인덕션 용기 또는 압력 인덕션 용기에 조리하는 것인지 또는 조리 대상물의 양과도 무관하게 맛있는 조리에 적합한 용기 내 실제 온도를 맞추어주는 것이 가능하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평판형 인덕션 레인지는 온도 센서를 세라믹 평판의 저면에 매립하고 용기 전체로부터 방사되는 복사열을 감지함으로써 실제 조리 대상물에 대한 조리가 이루어지는 용기 전체의 온도와 비례적인 온도를 얻을 수 있다. 더욱이 상판에 노출된 것이 없어 외관이 수려할 뿐만 아니라 맛있게 조리하는 가장 적합한 온도로 정확하게 제어하는 것이 가능하며, 용기에 구애받지 않고 일반 용기 또는 밥솥을 그대로 사용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평판형 인덕션 레인지는 1 인용의 초소형의 전용 인덕션 밥솥 용기를 사용할 때 빠른 시간내에 가마솥밥의 밥맛과 유사한 맛있는 밥을 조리하는 것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10 : 알루미늄 몰드
102 : 공간부 104 : 이격 다리부
12 : 구동 회로 기판
14 : 인덕션 코일부
15 : 세라믹 상판
16 : 온도 센서부

Claims (3)

  1. 저면에는 구동회로 기판이 장착될 공간부(102)가 형성되도록 바닥면으로부터 이격시키는 한 쌍의 다리로 이루어지는 이격 다리부(104)를 구비하는 알루미늄 몰드(100);
    상기 알루미늄 몰드(100)의 저면측 공간부(102)에 장착되는 구동 회로 기판(12);
    상기 알루미늄 몰드(100)의 상면에 고정되는 인덕션 코일부(14);
    상기 인덕션 코일부(14)의 상면에 장착되는 세라믹 상판(15);
    상기 인덕션 코일부(14)와 상기 세라믹 상판(15) 사이에 매립되어 용기 전체로부터 방사되는 복사열을 감지함으로써 실제 조리 대상물에 대한 조리가 이루어지는 용기 전체의 온도와 비례적인 온도를 얻는 온도 센서부(16); 및
    시스템 제어부(30)를 포함하고, 상기 시스템 제어부(30)는,
    사용자로부터 취사 모드의 선택(S400)을 입력받아,
    사용자가 일반 취사(S410) 선택시 센서링 및 EN/PWM 제어(S412)를 수행하되,
    복사열의 감지에 의한 온도 센서링으로 목표하는 제1 온도까지의 도달 시간인 센서링 시간을 측정(S414)하여 제1 온도에 도달하면 센서링 완료후 제1 소정 시간 미만에 제1 온도에 도달하였으면 추가 센서링 시간을 부여하고 제1 소정 시간을 초과하여 제1 온도에 도달하였으면 추가 센서링 시간을 부여하지 않는 선택적 시간보상을 수행(S416)한 후, 제1 듀티 설정에서 제1 듀티값보다 작은 제2 듀티값을 사용한 PWM 제어로 전환(S418)하고 남은 시간을 표시하며 뜸들이기 또는 누룽지 모드로 조리 완료후 보온 기능을 구동(S420)하고,
    사용자가 압력 취사(S440) 선택시 센서링 및 EN/PWM 제어(S442)를 수행하되,
    복사열의 감지에 의한 온도 센서링으로 목표하는 제1 온도보다 높은 제2 온도까지의 도달 시간인 센서링 시간을 측정(S444)하여 제2 온도에 도달하면 센서링 완료후 제2 소정 시간 미만에 제2 온도에 도달하였으면 추가 센서링 시간을 부여하고 제2 소정 시간을 초과하여 제2 온도에 도달하였으면 추가 센서링 시간을 부여하지 않는 선택적 시간보상을 수행(S446)한 후, 제1 듀티 설정에서 제1 듀티값보다 작은 제2 듀티값을 사용한 PWM 제어로 전환(S448)하고 남은 시간을 표시하며 뜸들이기 또는 누룽지 모드로 조리 완료후 보온 기능을 구동(S450)하도록 제어하며,
    상기 시스템 제어부(30)는,
    펄스폭 변조 모드를 인에이블시켜 듀티 제어를 할 것인지를 결정하는 인에이블신호 입/출력 제어부(301); 및
    인에이블신호 입/출력 제어부(301)로부터 PWM 인에이블 신호가 입력되면 펄스폭의 듀티 제어를 통하여 출력을 제어하는 PWM 출력 제어부(303);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평판형 인덕션 레인지.
  2. 삭제
  3. 삭제
KR1020170047729A 2017-04-13 2017-04-13 평판형 인덕션 레인지 KR10202026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47729A KR102020261B1 (ko) 2017-04-13 2017-04-13 평판형 인덕션 레인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47729A KR102020261B1 (ko) 2017-04-13 2017-04-13 평판형 인덕션 레인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48271A KR20170048271A (ko) 2017-05-08
KR102020261B1 true KR102020261B1 (ko) 2019-09-11

Family

ID=601640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47729A KR102020261B1 (ko) 2017-04-13 2017-04-13 평판형 인덕션 레인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2026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57388B1 (ko) * 2018-03-14 2019-03-12 주식회사 히트인덕션 펌웨어 기반의 전기레인지 출력 제어 장치
KR101982781B1 (ko) * 2019-03-05 2019-05-27 주식회사 히트인덕션 조리에 소요되는 시간에 따라 발열 주기를 제어하는 전기레인지의 출력 제어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06844B1 (ko) * 1996-12-30 1999-07-01 구자홍 유도가열 조리기의 가열제어 장치
KR101209599B1 (ko) * 2010-06-22 2012-12-07 린나이코리아 주식회사 오븐의 조리물 량에 따른 온도제어방법
KR102026770B1 (ko) * 2013-04-16 2019-09-30 쿠쿠전자 주식회사 인덕션레인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48271A (ko) 2017-05-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191998B2 (en) Multi cooker
KR101261647B1 (ko) 가열조리기기의 제어방법
RU2005116312A (ru) Варочный аппарат с индукционным нагревом
KR102020261B1 (ko) 평판형 인덕션 레인지
JP5272612B2 (ja) 誘導加熱調理器
JP5929531B2 (ja) 調理器
JP2013109940A (ja) 誘導加熱調理器およびその制御方法
JP5103812B2 (ja) 炊飯器
JP2004275226A (ja) 電気炊飯器とその炊飯量判定方法
JP2009043587A (ja) 誘導加熱調理器
JP5679039B2 (ja) 誘導加熱調理器
JP4301064B2 (ja) 誘導加熱調理器
JP5029774B1 (ja) 誘導加熱調理器
JP4009507B2 (ja) 炊飯器
JPH064850Y2 (ja) 炊飯器
JP5218287B2 (ja) 誘導加熱調理器
JP4923286B2 (ja) 電気炊飯器
JP4301097B2 (ja) 誘導加熱調理器
JP2006114371A (ja) 誘導加熱調理器
JP5889130B2 (ja) 誘導加熱調理器およびその制御方法
JP5889092B2 (ja) 誘導加熱調理器
JP5445628B2 (ja) 誘導加熱調理器
JPH0960900A (ja) 温度センサ付きオイルヒータ
JPH04361714A (ja) 調理器
JP4265391B2 (ja) 誘導加熱調理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