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53898A - 듀플렉서 디바이스 및 듀플렉서 탑재용 기판 - Google Patents

듀플렉서 디바이스 및 듀플렉서 탑재용 기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53898A
KR20170053898A KR1020150156382A KR20150156382A KR20170053898A KR 20170053898 A KR20170053898 A KR 20170053898A KR 1020150156382 A KR1020150156382 A KR 1020150156382A KR 20150156382 A KR20150156382 A KR 20150156382A KR 20170053898 A KR20170053898 A KR 2017005389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uplexer
pad
pads
terminal
recep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563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99634B1 (ko
Inventor
모토유키 다지마
다카히로 사토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핸디인터네셔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핸디인터네셔널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핸디인터네셔널
Priority to KR102015015638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99634B1/ko
Priority to US15/343,388 priority patent/US20170133738A1/en
Priority to EP16197736.8A priority patent/EP3166225A1/en
Priority to CN201610985830.3A priority patent/CN107040281A/zh
Publication of KR201700538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5389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9963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9963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PWAVEGUIDES; RESONATORS, LINES, OR OTHER DEVICES OF THE WAVEGUIDE TYPE
    • H01P5/00Coupling devices of the waveguide type
    • H01P5/12Coupling devices having more than two ports
    • H01P5/16Conjugate devices, i.e. devices having at least one port decoupled from one other port
    • H01P5/19Conjugate devices, i.e. devices having at least one port decoupled from one other port of the junction typ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40Circuits
    • H04B1/50Circuits using different frequencies for the two directions of communication
    • H04B1/52Hybrid arrangements, i.e. arrangements for transition from single-path two-direction transmission to single-direction transmission on each of two paths or vice versa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HIMPEDANCE NETWORKS, e.g. RESONANT CIRCUITS; RESONATORS
    • H03H7/00Multiple-port networks comprising only passive electrical elements as network components
    • H03H7/46Networks for connecting several sources or loads, working on different frequencies or frequency bands, to a common load or source
    • H03H7/463Duplexer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HIMPEDANCE NETWORKS, e.g. RESONANT CIRCUITS; RESONATORS
    • H03H9/00Networks comprising electromechanical or electro-acoustic devices; Electromechanical resonators
    • H03H9/02Details
    • H03H9/05Holders; Supports
    • H03H9/0538Constructional combinations of supports or holders with electromechanical or other electronic elements
    • H03H9/0566Constructional combinations of supports or holders with electromechanical or other electronic elements for duplexers
    • H03H9/0576Constructional combinations of supports or holders with electromechanical or other electronic elements for duplexers including surface acoustic wave [SAW] devic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00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 H01Q1/36Structural form of radiating elements, e.g. cone, spiral, umbrella; Particular materials used therewith
    • H01Q1/38Structural form of radiating elements, e.g. cone, spiral, umbrella; Particular materials used therewith formed by a conductive layer on an insulating suppor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00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 H01Q1/50Structural association of antennas with earthing switches, lead-in devices or lightning protector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HIMPEDANCE NETWORKS, e.g. RESONANT CIRCUITS; RESONATORS
    • H03H9/00Networks comprising electromechanical or electro-acoustic devices; Electromechanical resonators
    • H03H9/70Multiple-port networks for connecting several sources or loads, working on different frequencies or frequency bands, to a common load or source
    • H03H9/703Networks using bulk acoustic wave devices
    • H03H9/706Duplexer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HIMPEDANCE NETWORKS, e.g. RESONANT CIRCUITS; RESONATORS
    • H03H9/00Networks comprising electromechanical or electro-acoustic devices; Electromechanical resonators
    • H03H9/70Multiple-port networks for connecting several sources or loads, working on different frequencies or frequency bands, to a common load or source
    • H03H9/72Networks using surface acoustic wave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HIMPEDANCE NETWORKS, e.g. RESONANT CIRCUITS; RESONATORS
    • H03H9/00Networks comprising electromechanical or electro-acoustic devices; Electromechanical resonators
    • H03H9/70Multiple-port networks for connecting several sources or loads, working on different frequencies or frequency bands, to a common load or source
    • H03H9/72Networks using surface acoustic waves
    • H03H9/725Duplex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14Two-way operation using the same type of signal, i.e. duplex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1/00Printed circuits
    • H05K1/02Details
    • H05K1/0213Electrical arrang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1/0237High frequency adapt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1/00Printed circuits
    • H05K1/02Details
    • H05K1/11Printed elements for providing electric connections to or between printed circuits
    • H05K1/111Pads for surface mounting, e.g. lay-ou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urface Acoustic Wave Elements And Circuit Networks Thereof (AREA)
  • Transceivers (AREA)

Abstract

[과제] 복수의 듀플렉서를 듀플렉서 탑재용 기판 상에 탑재한 듀플렉서 디바이스에 있어서, 양호한 아이솔레이션 특성을 얻는 것.
[해결 수단] 듀플렉서 디바이스는, 제 1 변과, 제 1 변에 인접하고, 또한 상기 제 1 변에 연결된 제 2 변과, 제 2 변과 대향하고, 제 1 변에 인접한 제 3 변과, 제 2 및 제 3 변에 연결되고, 제 1 변과 대향하는 제 4 변을 갖는 직사각형 형상을 가짐과 함께, 복수의 패드를 표면에 갖는 듀플렉서 탑재용 기판과, 듀플렉서 탑재용 기판에 탑재되고, 제 1 안테나 단자와 제 1 송신 단자와 제 1 수신 단자를 갖는 제 1 듀플렉서와, 듀플렉서 탑재용 기판에 탑재되고, 제 2 안테나 단자와 제 2 송신 단자와 제 2 수신 단자를 갖는 제 2 듀플렉서를 구비하며, 제 1 안테나 단자 및 제 2 안테나 단자는, 복수의 패드 중, 제 1 변을 따라서 설치되어 있는 패드와 각각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제 1 수신 단자 및 제 2 수신 단자는, 복수의 패드 중, 제 2 변을 따라서 설치되어 있는 패드와 각각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제 1 송신 단자 및 제 2 송신 단자는, 복수의 패드 중, 제 3 변을 따라서 설치되어 있는 패드와 각각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Description

듀플렉서 디바이스 및 듀플렉서 탑재용 기판{DUPLEXER DEVICE AND SUBSTRATE FOR MOUNTING DUPLEXER}
본 발명은 듀플렉서 디바이스 및 듀플렉서 탑재용 기판에 관한 것이다.
휴대 단말 등의 통신 디바이스에는, 안테나의 송신 경로와 수신 경로를 전기적으로 분리하기 위하여, 탄성 표면파(SAW: Surface Acoustic Wave) 장치에 의해서 구성되는 듀플렉서가 탑재되어 있다.
최근에는, 통신 디바이스를 주파수 대역이 상이한 복수의 밴드에 대응시키기 위하여, 송신 대역, 및, 수신 대역이 상이한 복수의 듀플렉서를 탑재하고, 대응하는 밴드에 따른 듀플렉서를 스위치에 의해 전환하는 기술이 등장하고 있다.
특허문헌 1에는, 2개의 표면파 필터에 의해서 구성된 듀얼 듀플렉서를 포함하는 모듈이 기재되어 있다. 도시된 모듈은 입력측과 출력측을 구비하고, 입력측에 안테나 및 스위치를 설치하고, 출력측에 수신측 전환 스위치, 송신측 전환 스위치를 설치한 구성을 갖고 있다.
일본 공표특허 특표2003-517239호 공보
그러나, 특허문헌 1은, 상기한 구성의 모듈에 있어서의 과제에 대하여 하등 기재하지 않고 있다. 특히, 2개의 표면파 필터의 ANT(안테나) 단자, Rx(수신) 단자, 및 Tx(송신) 단자를 배치한 경우에 있어서의 과제에 대하여 특허문헌 1은 하등 고려하지 않고 있다.
듀얼 듀플렉서를 모듈화한 경우, 2개의 듀플렉서 간의 아이솔레이션 특성이 열화(劣化)되는 것은 피할 수 없는 것이라고 생각되고, 특허문헌 1의 모듈에서는, 양호한 아이솔레이션 특성을 얻을 수 없을 가능성이 있다.
본 발명자들의 연구, 실험에 의하면, 모듈화된 듀얼 듀플렉서 디바이스에서는, 각 듀플렉서를 구성하는 표면파 필터의 ANT 단자, Tx 단자 및 Rx 단자의 배치에 따라서 크게 변화된다는 것이 판명되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지견에 기초하여, 양호한 아이솔레이션 특성을 용이하게 얻을 수 있는 듀플렉서 디바이스, 및 듀플렉서 탑재용 기판을 제공하는 데에 있다.
본 발명의 일 태양(態樣)의 듀플렉서 디바이스는, 제 1 변과, 당해 제 1 변에 인접하고, 또한 상기 제 1 변에 연결된 제 2 변과, 당해 제 2 변과 대향하고, 상기 제 1 변에 인접한 제 3 변과, 상기 제 2 및 상기 제 3 변에 연결되고, 상기 제 1 변과 대향하는 제 4 변을 갖는 직사각형 형상을 가짐과 함께, 복수의 패드를 표면에 갖는 듀플렉서 탑재용 기판과, 상기 듀플렉서 탑재용 기판에 탑재되고, 제 1 안테나 단자와 제 1 송신 단자와 제 1 수신 단자를 갖는 제 1 듀플렉서와, 상기 듀플렉서 탑재용 기판에 탑재되고, 제 2 안테나 단자와 제 2 송신 단자와 제 2 수신 단자를 갖는 제 2 듀플렉서를 구비하며, 상기 제 1 안테나 단자 및 상기 제 2 안테나 단자는, 상기 복수의 패드 중, 상기 제 1 변을 따라서 설치되어 있는 패드와 각각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상기 제 1 수신 단자 및 상기 제 2 수신 단자는, 상기 복수의 패드 중, 상기 제 2 변을 따라서 설치되어 있는 패드와 각각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상기 제 1 송신 단자 및 상기 제 2 송신 단자는, 상기 복수의 패드 중, 상기 제 3 변을 따라서 설치되어 있는 패드와 각각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태양의 듀플렉서 탑재용 기판은, 제 1 변과, 당해 제 1 변에 인접하고, 또한 상기 제 1 변에 연결된 제 2 변과, 당해 제 2 변과 대향하고, 상기 제 1 변에 인접한 제 3 변과, 상기 제 2 및 상기 제 3 변에 연결되고, 상기 제 1 변과 대향하는 제 4 변을 갖고, 복수의 듀플렉서를 탑재하기 위한 직사각형 형상 기판과, 상기 제 1 변에 인접하고, 당해 제 1 변을 따라서 배치된 상기 복수의 듀플렉서의 안테나와 접속되는 복수의 안테나용 패드와, 상기 제 2 변에 인접하고, 당해 제 2 변을 따라서 배치된 상기 복수의 듀플렉서의 수신 단자와 접속되는 복수의 수신용 패드와, 상기 제 3 변에 인접하고, 당해 제 3 변을 따라서 배치된 상기 복수의 듀플렉서의 송신 단자와 접속되는 복수의 송신용 패드와, 상기 직사각형 형상 기판의 중앙부에 배치된 상기 복수의 듀플렉서를 공통적으로 접지하기 위한 그라운드 패드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양호한 아이솔레이션 특성을 용이하게 얻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관련된 듀플렉서 디바이스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관련된 듀플렉서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관련된 듀플렉서 탑재용 기판의 구성을 나타낸 모식도이다.
도 4a는 본 발명에 관련된 듀플렉서 탑재용 기판의 단면도이다.
도 4b는 본 발명에 관련된 듀플렉서 탑재용 기판의 배선의 패턴을 나타낸 모식도이다.
도 4c는 본 발명에 관련된 듀플렉서 탑재용 기판의 배선의 패턴의 변형례를 나타낸 모식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관련된 듀플렉서 디바이스의 구성을 나타낸 모식도이다.
도 6a는 제 1 듀플렉서의 송신측의 주파수 특성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6b는 제 1 듀플렉서의 수신측의 주파수 특성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6c는 제 1 듀플렉서의 아이솔레이션 특성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7a는 제 2 듀플렉서의 송신측의 주파수 특성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7b는 제 2 듀플렉서의 수신측의 주파수 특성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7c는 제 2 듀플렉서의 아이솔레이션 특성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이하에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또한, 반복해서 설명하는 것에 따른 번잡함을 피하기 위하여, 각 도면에 있어서 동일 또는 상당하는 부분에는 동일한 부호를 붙여 설명은 적당히 생략한다.
[실시 형태]
도 1은 본 발명에 관련된 듀플렉서 디바이스(10)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듀플렉서 디바이스(10)는, 제 1 듀플렉서(11)와 제 2 듀플렉서(12)와 듀플렉서 탑재용 기판(100)을 구비한다. 듀플렉서 디바이스(10)는, 제 1 듀플렉서(11) 및 제 2 듀플렉서(12)를 듀플렉서 탑재용 기판(100)에 탑재함으로써 구성되어 있다.
[제 1 듀플렉서(11)의 구성]
도 2는 제 1 듀플렉서(11) 및 제 2 듀플렉서(12)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 1 듀플렉서(11)는, 제 1 수신 필터(111)와 제 1 송신 필터(112)와 제 1 안테나 단자(113)와 제 1 수신 단자(114)와 제 1 송신 단자(115)를 구비한다.
제 1 수신 필터(111)는, 제 1 수신 대역을 통과시키는 필터이며, 통상, 더블 모드형의 탄성 표면파 장치에 의해서 구성되어 있다. 제 1 수신 대역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요구되는 대역에 따라서 적절하게 설계 가능하다. 또, 제 1 수신 필터(111)는, 더블 모드형의 탄성 표면파 장치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의 탄성 표면파 장치에 의해서 구성되어 있어도 된다.
제 1 송신 필터(112)는, 제 1 송신 대역을 통과시키는 필터이며, 통상, 래더형의 탄성 표면파 장치에 의해서 구성되어 있다. 제 1 송신 대역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요구되는 대역에 따라서 적절하게 설계 가능하다. 또, 제 1 송신 필터(112)는, 래더형의 탄성 표면파 장치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의 탄성 표면파 장치에 의해서 구성되어 있어도 된다.
제 1 안테나 단자(113)는, 통신 디바이스의 안테나, 제 1 수신 필터(111) 및 제 1 송신 필터(112)에 접속되는 단자이다.
제 1 수신 단자(114)는, 제 1 수신 필터(111)에 접속되는 단자이다. 즉, 제 1 수신 단자(114)는, 제 1 수신 필터(111)를 개재하여 제 1 안테나 단자(113)와 접속된다.
제 1 송신 단자(115)는, 제 1 송신 필터(112)에 접속되는 단자이다. 즉, 제 1 송신 단자(115)는, 제 1 송신 필터(112)를 개재하여 제 1 안테나 단자(113)와 접속된다.
[제 2 듀플렉서(12)의 구성]
제 2 듀플렉서(12)는, 제 2 수신 필터(121)와 제 2 송신 필터(122)와 제 2 안테나 단자(123)와 제 2 수신 단자(124)와 제 2 송신 단자(125)를 구비한다.
제 2 수신 필터(121)는, 제 2 수신 대역을 통과시키는 필터이며, 통상, 더블 모드형의 탄성 표면파 장치에 의해서 구성되어 있다. 제 2 수신 대역은, 제 1 수신 대역과 마찬가지로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요구되는 대역에 따라서 적절하게 설계 가능하다. 또, 제 2 수신 대역은, 제 1 수신 대역과 동일해도 되고 달라도 된다. 또한, 제 2 수신 필터(121)는, 더블 모드형의 탄성 표면파 장치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의 탄성 표면파 장치에 의해서 구성되어 있어도 된다.
제 2 송신 필터(122)는, 제 2 송신 대역을 통과시키는 필터이며, 통상, 래더형의 탄성 표면파 장치로 구성되어 있다. 제 2 송신 대역은, 제 1 송신 대역과 마찬가지로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요구되는 대역에 따라서 적절하게 설계 가능하다. 또, 제 2 송신 대역은, 제 1 송신 대역과 동일해도 되고 달라도 된다. 또한, 제 2 송신 필터(122)는, 래더형의 탄성 표면파 장치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의 탄성 표면파 장치에 의해서 구성되어 있어도 된다.
제 2 안테나 단자(123)는, 통신 디바이스의 안테나, 제 2 수신 필터(121) 및 제 2 송신 필터(122)에 접속되는 단자이다.
제 2 수신 단자(124)는 제 2 수신 필터(121)에 접속되는 단자이다. 즉, 제 2 수신 단자(124)는, 제 2 수신 필터(121)를 개재하여 제 2 안테나 단자(123)와 접속된다.
제 2 송신 단자(125)는 제 2 송신 필터(122)에 접속되는 단자이다. 즉, 제 2 송신 단자(125)는, 제 2 송신 필터(122)를 개재하여 제 2 안테나 단자(123)와 접속된다.
[듀플렉서 탑재용 기판(100)의 구성]
도 3은 본 발명에 관련된 듀플렉서 탑재용 기판(100)의 구체적인 구성의 일례를 나타낸 모식도이다.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듀플렉서 탑재용 기판(100)은, 제 1 변(110)과 제 2 변(120)과 제 3 변(130)과 제 4 변(140)을 갖는 직사각형의 기판이다.
제 2 변(120)은, 제 1 변(110)에 연결되어 있는 변이다. 제 3 변(130)은, 제 1 변(110)에 연결되고, 또한 제 2 변(120)과 대향하는 변이다. 제 4 변(140)은, 제 2 변(120) 및 제 3 변(130)에 연결되고, 제 1 변(110)과 대향하는 변이다. 또, 듀플렉서 탑재용 기판(100)의 표면에는 복수의 패드가 설치되어 있다.
이들 패드에는, 제 1 듀플렉서(11), 및 제 2 듀플렉서(12)의 제 1 송신 단자(115), 및 제 2 송신 단자(125)에, 파워 앰프(도시 생략)로부터의 출력을 각각 공급하는 송신 패드가 포함되어 있다. 또, 제 1 듀플렉서(11), 및 제 2 듀플렉서(12)의 제 1 수신 단자(114), 및 제 2 수신 단자(124)에 부여되는 수신 출력을 선형 증폭기 등(도시 생략)에 공급하는 수신 패드가 포함되어 있다. 또한, 제 1 안테나 단자(113) 및 제 2 안테나 단자(123)에 접속되는 안테나 패드도 포함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듀플렉서 탑재용 기판(100)의 표면에는, 제 1 변(110)을 따라서, 패드(101a)와 패드(101j)와 패드(101k)와 패드(101l)가 설치되어 있다. 또, 제 1 변(110)에 접속된 제 2 변(120)을 따라서, 패드(101b)와 패드(101c)와 패드(101d)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제 1 변(110)에 접속되고, 제 2 변(120)과 대향하는 제 3 변(130)을 따라서, 패드(101g)와 패드(101h)와 패드(101i)가 설치되어 있다. 또, 제 1 변(110)에 대향하고, 제 2 변(120), 및 제 3 변(130)에 접속된 제 4 변(140)을 따라서, 패드(101e)와 패드(101f)가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중앙에 패드(101m)가 설치되어 있다. 즉, 도시된 듀플렉서 탑재용 기판(100)의 표면에는, 13개의 패드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도 3에 나타낸 듀플렉서 탑재용 기판(100)은, 예시이며, 설계자들은 설계에 따라서 패드의 수를 임의로 변경할 수 있다.
이하에서, 듀플렉서 탑재용 기판(100)의 표면에 설치된 패드(101a∼101m)에 대하여 더 상세하게 설명한다.
제 1 변(110)을 따라서 설치된 패드(101a), 패드(101j), 패드(101k) 및 패드(101l)는, 제 1 안테나 단자(113) 및 제 2 안테나 단자(123)가 접속되는 안테나 단자용의 패드이다. 즉, 안테나 단자용의 패드는, 동일한 변을 따라서 설치되어 있다. 또한, 패드(101a), 패드(101j), 패드(101k) 및 패드(101l) 중, 제 1 안테나 단자(113) 및 제 2 안테나 단자(123)가 접속되지 않는 패드는 그라운드용 패드이다.
제 2 변(120)을 따라서 설치된 패드(101b), 패드(101c) 및 패드(101d)는, 제 1 수신 단자(114) 및 제 2 수신 단자(124)가 접속되는 수신 단자용의 패드이다. 즉, 수신 단자용의 패드는, 동일한 변을 따라서 송신용의 패드 및 안테나용의 패드와는 독립되게 설치되어 있다. 또한, 패드(101b), 패드(101c) 및 패드(101d) 중, 제 1 수신 단자(114) 및 제 2 수신 단자(124)가 접속되지 않는 패드는 그라운드용의 패드이다.
제 3 변(130)을 따라서 설치된 패드(101g), 패드(101h) 및 패드(101i)는, 제 1 송신 단자(115) 및 제 2 송신 단자(125)가 접속되는 송신 단자용의 패드이다. 즉, 송신 단자용의 패드는, 수신용의 패드 및 안테나용의 패드와는 다른 변을 따라서, 또한 동일한 변을 따라서 설치되어 있다. 또한, 패드(101g), 패드(101h), 패드(101i) 중, 제 1 송신 단자(115) 및 제 2 송신 단자(125)가 접속되지 않는 패드는 그라운드용의 패드이다.
제 4 변(140)을 따라서 설치된 패드(101e), 및 패드(101f)는 그라운드용의 패드이다.
도 4a는 듀플렉서 탑재용 기판(100)의 단면도의 모식도이다.
도 4a에 나타낸 바와 같이, 듀플렉서 탑재용 기판(100)은, 제 1 층(200)과 제 2 층(300)과 제 3 층(400)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하에서는, 듀플렉서 탑재용 기판(100)은, 세 개의 층으로 구성되어 있는 것으로서 설명하지만, 이것은 예시이며, 듀플렉서 탑재용 기판(100)의 층의 수는 3층에 한정되지 않는다는 것은 말할 것까지도 없다.
도 4b는 제 1 층(200), 제 2 층(300) 및 제 3 층(400)을 상부에서 본 모식도이다. 도 4b에 나타낸 검은 동그라미는, 비아 홀을 나타내고 있고, 제 1 층(200), 제 2 층(300) 및 제 3 층(400)은 비아 홀을 개재하여 각각 접속되어 있다.
제 1 층(200)은, 듀플렉서 탑재용 기판(100)의 표면에 설치된 패드를 구성하는 층이다. 즉, 제 1 층(200)은, 도 3에 나타난 듀플렉서 탑재용 기판(100)의 표면에 대응하고 있고, 패드(101a∼101m)를 나타내고 있다.
제 2 층(300)은, 안테나용 패드, 송신용 패드, 수신용 패드 및 그라운드 배선의 패턴을 모식적으로 나타내고 있다. 도시된 제 2 층(300)은, 제 1 수신측 그라운드 배선(310)과 제 2 수신측 그라운드 배선(320)을 갖는다. 또, 제 2 층(300)의 송신측에는, 제 1 층(200)의 송신측의 패드(101g∼101j)에 각각 접속되는 비아 홀이 형성되어 있다. 다른 한편, 제 2 층(300)의 수신측에는, 제 1 층(200)의 수신측의 패드(101c 및 101d)에 각각 접속된 비아 홀이 형성되어 있고, 이들 비아 홀은 듀플렉서 탑재용 기판(100)의 제 2 변(120)의 중심보다 제 4 변(140)측에 치우쳐서 배치되어 있다.
제 2 층(200)의 제 1 수신측 그라운드 배선(310)은, 제 1 듀플렉서(11)의 수신측의 그라운드와 접속되는 그라운드 배선이다. 또, 제 1 수신측 그라운드(310)에는 패드(101a), 패드(101b) 및 패드(101m)가 접속되어 있다. 즉, 제 2 층(300)에 있어서, 패드(101a), 패드(101b) 및 패드(101m)는 제 1 듀플렉서(11)의 수신측의 그라운드이다.
제 2 수신측 그라운드 배선(320)은, 제 2 듀플렉서(12)의 수신측의 그라운드와 접속되는 그라운드 배선이다. 또, 제 2 수신측 그라운드(320)에는 패드(101e), 패드(101f) 및 패드(101m)가 접속되어 있다. 즉, 제 2 층(300)에 있어서, 패드(101e), 패드(101f) 및 패드(101m)는, 제 2 듀플렉서(12)의 수신측의 그라운드이다.
도 4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 1 수신측 그라운드 배선(310)과, 제 2 수신측 그라운드 배선(320)은, 접속되어 있지 않고 독립적으로 설치되어 있다. 또, 제 2 층(300)에 있어서, 제 1 듀플렉서(11)의 수신용의 패드(101c)와, 제 2 듀플렉서(12)의 수신용 패드(101d)에 대응하는 패턴, 및 비아 홀은, 서로 독립적이며, 제 2 변(120)의 중앙보다 제 4 변(140)측에 치우쳐서 배치되어 있다.
제 3 층(400)은, 제 2 층(300)과 마찬가지로, 안테나용 패드, 송신용 패드, 수신용 패드 및 그라운드 패드에 대응한 배선의 패턴을 나타내고 있다. 제 3층(400)은, 제 3 수신측 그라운드 배선(410)과 제 4 수신측 그라운드 배선(420)과 제 1 송신측 그라운드 배선(430)과 제 2 송신측 그라운드 배선(440)을 갖는다. 이들 그라운드 배선(410∼440)에는, 수신측 및 송신측의 그라운드용으로 비아 홀을 개재하여 패드가 접속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제 3 수신측 그라운드 배선(410)은, 제 1 듀플렉서(11)의 수신측의 그라운드 패드가 접속되는 그라운드 배선이다. 또, 제 3 수신측 그라운드(410)에는 패드(101a), 패드(101b) 및 패드(101m)가 비아 홀을 개재하여 접속되어 있다. 즉, 제 3 층(400)의 제 3 수신측 그라운드 배선(410)은, 패드(101a), 패드(101b) 및 패드(101m)에 접속되는 수신측의 그라운드 배선이다.
제 4 수신측 그라운드 배선(420)은, 제 2 듀플렉서(12)의 수신측의 그라운드가 접속되는 그라운드 배선이다. 또, 제 4 수신측 그라운드(420)는, 패드(101e) 및 패드(101m)에 비아 홀을 개재하여 접속되어 있다. 즉, 제 3 층(400)에 있어서, 패드(101e) 및 패드(101m)는, 제 2 듀플렉서(12)의 수신측의 그라운드 패드를 구성하고 있다.
도 4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 3 수신측 그라운드 배선(410)과 제 4 수신측 그라운드 배선(420)은, 접속되어 있지 않고 독립적으로 설치되어 있다. 즉, 제 1 듀플렉서(11)와, 제 2 듀플렉서(12)의 수신측의 그라운드는, 제 2 층(300) 뿐만 아니라 제 3 층(400)에 있어서도 독립적이다.
제 1 송신측 그라운드 배선(430)은, 제 1 듀플렉서(11)의 송신측의 그라운드가 접속되는 그라운드 배선이다. 또, 제 1 송신측 그라운드(430)에는, 패드(101j)가 비아 홀을 개재하여 접속되어 있다. 즉, 제 1 송신측 그라운드(430)에 있어서, 패드(101j)는 제 1 듀플렉서(11)의 송신측의 그라운드이다.
제 2 송신측 그라운드 배선(440)은, 제 2 듀플렉서(12)의 송신측의 그라운드가 접속되는 그라운드 배선이다. 또, 제 2 송신측 그라운드(440)에는, 패드(101h)가 비아 홀을 개재하여 접속되어 있다. 즉, 제 2 송신측 그라운드(440)에 있어서, 패드(101h)는 제 2 듀플렉서(12)의 송신측의 그라운드이다.
도 4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 1 송신측 그라운드 배선(430) 및 제 2 송신측 그라운드 배선(440)에 관해서도, 접속되어 있지 않고 독립적으로 설치되어 있다. 즉, 제 3 층(400)에 있어서, 제 1 듀플렉서(11), 및 제 2 듀플렉서(12)의 송신측의 그라운드는 독립적이다. 따라서, 듀플렉서 디바이스(10)에 있어서, 제 1 듀플렉서(11) 및 제 2 듀플렉서(12)의 그라운드는 독립적이다.
상기로부터, 제 1 변(110)을 따라서 설치되어 있는 패드 중, 그라운드에 접속되어 있지 않은 패드(101l), 및 패드(101k)는, 제 1 안테나 단자(113) 및 제 2 안테나 단자(123)가 접속되는 안테나용 패드이다.
또, 제 2 변(120)을 따라서 설치되어 있는 패드 중, 그라운드에 접속되어 있지 않은 패드(101c), 및 패드(101d)는, 제 1 수신 단자(114) 및 제 2 수신 단자(124)가 접속되는 수신용 패드이다.
또한, 제 3 변(130)을 따라서 설치되어 있는 패드 중, 그라운드에 접속되어 있지 않은 패드(101i), 및 패드(101g)는, 제 1 송신 단자(115) 및 제 2 송신 단자(125)가 접속되는 송신용 패드이다.
듀플렉서 탑재용 기판(100)에 있어서, 안테나용 패드와 수신용 패드 사이는 접속되어 있지 않지만, 듀플렉서 탑재용 기판(100)에 탑재되는 제 1 듀플렉서(11) 및 제 2 듀플렉서(12)의 내부에 있어서 접속된다. 마찬가지로, 안테나용 패드와 송신용 패드 사이에 대해서도 접속되어 있지 않지만, 듀플렉서 탑재용 기판(100)에 탑재되는 제 1 듀플렉서(11) 및 제 2 듀플렉서(12)의 내부에 있어서 접속된다.
또한, 도 4b에 나타낸 안테나용 패드, 송신용 패드, 수신용 패드, 및 그라운드 배선의 패턴은 예시이며, 설계자들은 설계에 따라서 각각의 패턴을 임의로 변경할 수 있다.
도 4c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형태에 관련된 듀플렉서 탑재용 기판을 나타내고, 여기서는 제 2 층(300') 및 제 3 층(400')만이 모식적으로 나타나 있다.
제 2 층(300')은, 제 2 층(300)의 변형례이며, 제 1 수신측 그라운드 배선(310')과 제 2 수신측 그라운드 배선(320')을 갖는다. 또한, 도 4c에 나타낸 제 2 층(300') 및 제 3 층(400')은, 각각, 제 2 층(300) 및 제 3 층(400)의 변형례의 일례로서, 본 발명의 변형례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도 4c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 1 수신측 그라운드 배선(310')은, 제 2 수신측 그라운드 배선(320')과 접속되어 있다. 따라서, 제 2 층(300')에 있어서, 패드(101a), 패드(101b), 패드(101e), 패드(101f) 및 패드(101m)는 공통이다. 즉, 제 2 층(300')에 있어서, 제 1 듀플렉서(11), 및 제 2 듀플렉서(12)의 수신측의 그라운드는 공통이다.
제 3 층(400')은, 제 3 층(400)의 변형례이며, 제 3 수신측 그라운드 배선(410')과 제 4 수신측 그라운드 배선(420')과 제 1 송신측 그라운드 배선(430')과 제 2 송신측 그라운드 배선(440')을 갖고 있다.
도 4c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 3 수신측 그라운드 배선(410')은, 제 4 수신측 그라운드 배선(420')과 접속되어 있다. 따라서, 제 3 층(400')에 있어서, 패드(101a), 패드(101b), 패드(101e) 및 패드(101m)는 공통이다. 즉, 제 1 듀플렉서(11), 및 제 2 듀플렉서(12)의 수신측의 그라운드는, 제 2 층(300') 뿐만 아니라 제 3 층(400')에 있어서도 공통적이다.
제 1 송신측 그라운드 배선(430') 및 제 2 송신측 그라운드 배선(440')은, 각각, 제 1 송신측 그라운드 배선(430) 및 제 2 송신측 그라운드 배선(440)과 마찬가지이다. 또, 도 4c에 있어서, 안테나용 패드, 송신용 패드, 수신용 패드의 패턴도, 도 4b와 마찬가지이며, 특히, 듀플렉서 탑재용 기판의 제 2 변(120)을 따라서 배치되고, 수신용의 패드는, 제 2 변(120)의 중심보다 제 4 변(140) 측에 배치되어 있다. 이와 같이, 수신용의 패드를 듀플렉서 탑재용 기판의 1 변을 따라서 배치함과 함께, 안테나용의 패드의 배치된 제 1 변(110)보다 떨어져 있는 위치에 설치함으로써, 제 1 듀플렉서(11) 및 제 2 듀플렉서(12)의 아이솔레이션 특성을 개선할 수 있다는 것이 판명되었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제 1 듀플렉서(11) 및 제 2 듀플렉서(12)의 수신측의 그라운드는, 독립적이어도 되고 공통이어도 된다.
[듀플렉서 디바이스(10)의 구성]
도 5는 듀플렉서 디바이스(10)의 구성의 일례를 나타낸 모식도이다.
제 1 안테나 단자(113)는, 패드(101a), 패드(101j), 패드(101k) 및 패드(101l) 중 어느 하나와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제 2 안테나 단자(123)는, 예를 들면, 제 1 안테나 단자(113)가 패드(101l)와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는 경우, 패드(101a)와 패드(101j)와, 및 패드(101k) 중 어느 하나와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즉, 제 1 안테나 단자(113) 및 제 2 안테나 단자(123)는, 제 1 변(110)을 따라서 설치된 패드와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이 예에서는, 제 1 듀플렉서(11)의 제 1 수신 단자(114)는, 제 2 듀플렉서(12)측에 설치된 패드(101c), 및 패드(101d) 중 어느 하나와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제 2 수신 단자(124)는, 예를 들면, 제 1 수신 단자(114)가 패드(101c)에 접속되어 있는 경우, 패드(101d)와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즉, 제 1 수신 단자(114) 및 제 2 수신 단자(124)는, 제 2 변(120)을 따라서 설치된 패드와 전기적으로 접속 됨과 함께, 안테나 단자와 충분히 이격된 위치에 설치된 제 2 듀플렉서(12)측의 패드와 접속된다. 또한, 제 1 수신 단자(114)는 제 2 변(120)의 제 1 듀플렉서(11) 측의 패드(101b)와 접속해도 된다.
제 1 송신 단자(115)는, 패드(101g)와 패드(101h)와, 및 패드(101i) 중 어느 하나와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제 2 송신 단자(125)는, 예를 들면, 제 1 송신 단자(115)가 패드(101i)와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는 경우, 패드(101g) 및 패드(101h) 중 어느 하나와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즉, 제 1 송신 단자(115) 및 제 2 송신 단자(125)는, 제 3 변(130)을 따라서 설치된 패드와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구체적으로는, 제 1 안테나 단자(113) 및 제 2 안테나 단자(123)가 동일한 변 상에 설치된 패드와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으면 된다. 또, 제 1 수신 단자(114) 및 제 2 수신 단자(124)가 동일한 변 상에 설치된 패드와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으면 된다. 또한, 제 1 송신 단자(115) 및 제 2 송신 단자(125)가 동일한 변 상에 설치된 패드와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으면 된다.
[제 1 듀플렉서(11)의 아이솔레이션 특성]
도 6a, 도 6b 및 도 6c는, 듀플렉서 디바이스(10)에 있어서, 제 1 듀플렉서(11)의 주파수 특성 및 아이솔레이션 특성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6a∼도 6c에 나타낸 그래프는, 가로축이 주파수(㎒), 세로축이 삽입 손실(dB)이다.
도 6a에 나타낸 그래프는, 가로축이 약 680∼820 ㎒이고, 세로축이 -100∼0 dB이다. 도 6a에는, 제 1 주파수 특성(61a)과 제 2 주파수 특성(62a)이 나타나 있다. 제 1 주파수 특성(61a) 및 제 2 주파수 특성(62a)은, 제 1 듀플렉서(11)의 송신측의 주파수 특성을 나타내고 있다.
제 1 주파수 특성(61a)을 나타내는 경우와, 제 2 주파수 특성(62a)을 나타내는 경우에서는, 제 1 듀플렉서(11), 제 2 듀플렉서(12) 및 듀플렉서 탑재용 기판(100)의 접속이 다르다.
구체적으로는, 제 1 주파수 특성(61a)을 나타내는 경우, 도 5에 있어서, 제 1 안테나 단자(113)가 패드(101l)에 접속되고, 제 2 안테나 단자(123)가 패드(101k)에 접속되어 있다. 또, 제 1 수신 단자(114)가 패드(101b)에 접속되고, 제 2 수신 단자(124)가 패드(101d)에 접속되어 있다. 즉, 제 2 수신 단자(124)는, 제 2 변(120)을 따라서 설치되어 있는 패드 중, 제 1 변(110)으로부터 가장 떨어져 있는 패드에 접속되어 있다. 또한, 제 1 송신 단자(115)는 패드(101i)에 접속되고, 제 2 송신 단자(125)가 패드(101g)에 접속되어 있다.
이에 비하여, 제 2 주파수 특성(62a)을 나타내는 경우, 제 1 수신 단자(114)가 패드(101c)에 접속되어 있는 점에서, 제 1 주파수 특성(61a)을 나타내는 경우와 다르다. 즉, 이 경우, 제 1 수신 단자(114)는, 제 2 변(120)을 따라서 설치된 패드 중, 제 2 수신 단자(124)가 접속되어 있는 패드와 인접하는 패드에 접속되어 있다.
도 6a에 있어서, 703∼733 ㎒의 범위는, 제 1 듀플렉서(11)의 송신 대역이다. 도 6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 1 주파수 특성(61a) 및 제 2 주파수 특성(62a)의 송신 대역에 있어서의 삽입 손실은, 거의 일치하고 있다.
도 6b에 나타낸 그래프는, 가로축이 약 680∼820 ㎒이고, 세로축이 -100∼0 dB이다. 도 6b에는, 제 1 주파수 특성(61b)과 제 2 주파수 특성(62b)이 나타나 있다. 제 1 주파수 특성(61b) 및 제 2 주파수 특성(62b)은 제 1 듀플렉서(11)의 수신측의 주파수 특성을 나타내고 있다.
제 1 주파수 특성(61b)을 나타내는 경우의 제 1 듀플렉서(11), 제 2 듀플렉서(12), 및 듀플렉서 탑재용 기판(100)의 접속은, 도 6a에 나타낸 제 1 주파수 특성(61a)을 나타내는 경우와 마찬가지이다.
제 2 주파수 특성(62b)을 나타내는 경우의 제 1 듀플렉서(11), 제 2 듀플렉서(12), 및 듀플렉서 탑재용 기판(100)의 접속은, 도 6a에 나타낸 제 2 주파수 특성(62a)을 나타내는 경우와 마찬가지이다.
도 6b에 있어서, 758∼788 ㎒의 범위는, 제 1 듀플렉서(11)의 수신 대역이다. 도 6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 1 주파수 특성(61b) 및 제 2 주파수 특성(62b)의 수신 대역에 있어서의 삽입 손실은, 거의 일치하고 있다.
즉, 도 6a 및 도 6b는, 제 1 수신 단자(114)를 제 1 변(110)으로부터 떨어져 있는 위치의 패드에 접속하더라도, 제 1 듀플렉서(11)의 송신측 및 수신측의 주파수 특성은 거의 변화하지 않는 것을 나타내고 있다.
도 6c에 나타낸 그래프는, 가로축이 약 680∼820 ㎒이고, 세로축이 -80∼-30 dB이다. 도 6c에는, 제 1 아이솔레이션 특성(63), 제 2 아이솔레이션 특성(64)이 나타나 있다. 제 1 아이솔레이션 특성(63) 및 제 2 아이솔레이션 특성(64)은, 제 1 듀플렉서(11)의 아이솔레이션 특성을 나타내고 있다.
제 1 아이솔레이션 특성(63)을 나타내는 경우의 제 1 듀플렉서(11), 제 2 듀플렉서(12) 및 듀플렉서 탑재용 기판(100)의 접속은, 도 6a에 나타낸 제 1 주파수 특성(61a)을 나타내는 경우와 마찬가지이다.
제 2 아이솔레이션 특성(64)을 나타내는 경우의 제 1 듀플렉서(11), 제 2 듀플렉서(12) 및 듀플렉서 탑재용 기판(100)의 접속은, 도 6a에 나타낸 제 1 주파수 특성(62a)을 나타내는 경우와 마찬가지이다.
도 6c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 2 아이솔레이션 특성(64)은, 703∼733 ㎒의 송신 대역에 있어서, 제 1 아이솔레이션 특성(63)보다 평균적으로 10 dB 정도나 특성이 양호하다. 즉, 도 6c는, 제 1 듀플렉서(11)의 아이솔레이션 특성은, 제 1 수신 단자(114)를 제 1 변(110)으로부터 떨어져 있는 위치의 패드에 접속하는 것에 의해서 향상하는 것을 나타내고 있다. 또한, 도 6c에 나타낸 바와 같이, 758∼788 ㎒의 수신 대역에 있어서는, 제 1 아이솔레이션 특성(63)과 제 2 아이솔레이션 특성은 거의 일치하고 있다.
이것은, 제 1 수신 단자(114)를 제 1 변(110)으로부터 떨어져 있게 함으로써, 제 1 수신 단자(114)와, 제 1 안테나 단자(113) 및 제 2 안테나 단자(123)와의 사이의 거리가 길어져, 단자 사이의 신호의 간섭이 억제되었기 때문이다. 그 때문에, 제 1 수신 단자(113) 및 제 2 수신 단자(114)가 접속되는 제 2 변(120)을 따라서 설치되는 패드는, 제 1 변(110)으로부터 이격하여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제 4 변(140)측에 치우쳐서 설치하는 것이 더 바람직하다. 또, 제 1 수신 단자(114) 및 제 2 수신 단자(124) 중 어느 일방(一方)을, 제 1 변(110)으로부터 가장 떨어져 있는 위치에 설치된 패드에 접속하고, 타방(他方)을 인접하여 접속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듀플렉서 탑재용 기판(100)은, 제 1 수신 단자(114)를 패드(101b)가 아니라 패드(101c)에 접속함으로써, 패드(101b)를 제 1 듀플렉서(11)의 그라운드로 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제 1 듀플렉서(11)는, 그라운드가 강화되므로, 안정적으로 동작할 수 있다.
[제 2 듀플렉서(12)의 아이솔레이션 특성]
도 7a, 도 7b 및 도 7c는, 듀플렉서 디바이스(10)에 있어서, 제 2 듀플렉서(12)의 주파수 특성 및 아이솔레이션 특성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7a∼도 7c에 나타낸 그래프는, 가로축이 주파수(㎒), 세로축이 삽입 손실(dB)이다.
도 7a에 나타낸 그래프는, 가로축이 약 700∼840 ㎒이고, 세로축이 -100∼0 dB이다.
도 7a를 참조하면, 제 3 주파수 특성(71a)과 제 4 주파수 특성(72a)이 나타나 있다.
제 3 주파수 특성(71a)을 나타내는 경우, 제 1 듀플렉서(11), 제 2 듀플렉서(12) 및 듀플렉서 탑재용 기판(100)의 접속은, 도 6a에 나타낸 제 1 주파수 특성(61a)을 나타내는 경우와 마찬가지이다.
제 4 주파수 특성(72a)을 나타내는 경우, 제 1 듀플렉서(11), 제 2 듀플렉서(12) 및 듀플렉서 탑재용 기판(100)의 접속은, 도 6a에 나타낸 제 2 주파수 특성(62a)을 나타내는 경우와 마찬가지이다.
제 3 주파수 특성(71a) 및 제 4 주파수 특성(72a)에 있어서, 718∼748 ㎒의 범위는 제 2 듀플렉서(12)의 송신 대역이다. 도 7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 3 주파수 특성(71a) 및 제 4 주파수 특성(72a)의 송신 대역에 있어서의 삽입 손실은, 거의 일치하고 있다.
도 7b에 나타낸 그래프는, 가로축이 약 700∼840 ㎒이고, 세로축이 -100∼0 dB이다. 도 7b에는, 제 3 주파수 특성(71b)과 제 4 주파수 특성(72b)이 나타나 있다. 제 3 주파수 특성(71b) 및 제 4 주파수 특성(72b)은, 제 2 듀플렉서(12)의 수신측의 주파수 특성을 나타내고 있다.
제 3 주파수 특성(71b)을 나타내는 경우의 제 1 듀플렉서(11), 제 2 듀플렉서(12) 및 듀플렉서 탑재용 기판(100)의 접속은, 도 7a에 나타낸 제 3 주파수 특성(71a)을 나타내는 경우와 마찬가지이다.
제 4 주파수 특성(72b)을 나타내는 경우의 제 1 듀플렉서(11), 제 2 듀플렉서(12) 및 듀플렉서 탑재용 기판(100)의 접속은, 도 7a에 나타낸 제 4 주파수 특성(72a)을 나타내는 경우와 마찬가지이다.
도 7b에 있어서, 773∼803 ㎒의 범위는 제 2 듀플렉서(12)의 수신 대역이다. 도 7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 3 주파수 특성(71b) 및 제 4 주파수 특성(72b)의 수신 대역에 있어서의 삽입 손실은, 거의 일치하고 있다. 즉, 도 7a 및 도 7b는, 제 1 수신 단자(114)를 제 1 변(110)으로부터 떨어져 있는 위치의 패드에 접속하더라도, 제 2 듀플렉서(12)의 송신측 및 수신측의 주파수 특성은, 거의 변화하지 않는 것을 나타내고 있다.
도 7c에 나타낸 그래프는, 가로축이 약 700∼840 ㎒이고, 세로축이 -80∼-30 dB이다. 도 7c에는, 제 3 아이솔레이션 특성(73)과 제 4 아이솔레이션 특성(74)이 나타나 있다. 제 3 아이솔레이션 특성(73) 및 제 2 아이솔레이션 특성(74)은, 제 2 듀플렉서(12)의 아이솔레이션 특성을 나타내고 있다.
제 3 아이솔레이션 특성(73)을 나타내는 경우의 제 1 듀플렉서(11), 제 2 듀플렉서(12) 및 듀플렉서 탑재용 기판(100)의 접속은, 도 7a에 나타낸 제 3 주파수 특성(71a)을 나타내는 경우와 마찬가지이다.
제 4 아이솔레이션 특성(74)을 나타내는 경우의 제 1 듀플렉서(11), 제 2 듀플렉서(12) 및 듀플렉서 탑재용 기판(100)의 접속은, 도 7a에 나타낸 제 4 주파수 특성(72a)을 나타내는 경우와 마찬가지이다.
도 7c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 3 아이솔레이션 특성(73) 및 제 4 아이솔레이션 특성(74)의 718∼748 ㎒의 송신 대역, 및 773∼803 ㎒의 수신 대역에 있어서의 삽입 손실은, 거의 일치하고 있다. 즉, 도 7c는, 제 2 듀플렉서(12)의 아이솔레이션 특성은, 제 1 수신 단자(114)를 제 1 변(110)으로부터 떨어져 있는 위치의 패드에 접속하더라도, 거의 변화하지 않는 것을 나타내고 있다.
[듀플렉서 디바이스(10)의 아이솔레이션 특성]
이상으로부터, 듀플렉서 디바이스(10)는, 제 2 수신 단자(124)를, 제 1 변(110)으로부터 가장 떨어져 있는 위치의 패드에 접속하고, 또한 제 1 수신 단자(114)를 제 2 수신 단자(124)가 접속되는 패드에 인접하는 패드에 접속함으로써, 가장 양호한 아이솔레이션 특성을 얻을 수 있다.
10 : 듀플렉서 디바이스
11 : 제 1 듀플렉서
12 : 제 2 듀플렉서
61a, 61b : 제 1 주파수 특성
62a, 62b : 제 2 주파수 특성
63 : 제 1 아이솔레이션 특성
64 : 제 2 아이솔레이션 특성
71a, 71b : 제 3 주파수 특성
72a, 72b : 제 4 주파수 특성
73 : 제 3 아이솔레이션 특성
74 : 제 4 아이솔레이션 특성
100 : 듀플렉서 탑재용 기판
101a, 101b, 101c, 101d, 101e, 101f, 101g, 101h, 101i, 101j, 101k, 101l, 101m : 패드
111 : 제 1 수신 필터
112 : 제 1 송신 필터
113 : 제 1 안테나 단자
114 : 제 1 수신 단자
115 : 제 1 송신 단자
121 : 제 2 수신 필터
122 : 제 2 송신 필터
123 : 제 2 안테나 단자
124 : 제 2 수신 단자
125 : 제 2 송신 단자
200 : 제 1 층
300 : 제 2 층
310, 310' : 제 1 수신측 그라운드 배선
320, 320' : 제 2 수신측 그라운드 배선
400 : 제 3 층
410, 410' : 제 3 수신측 그라운드 배선
420, 420' : 제 4 수신측 그라운드 배선
430, 430' : 제 1 송신측 그라운드 배선
440, 440' : 제 2 송신측 그라운드 배선

Claims (17)

  1. 제 1 변과, 당해 제 1 변에 인접하고, 또한 상기 제 1 변에 연결된 제 2 변과, 당해 제 2 변과 대향하고, 상기 제 1 변에 인접한 제 3 변과, 상기 제 2 및 상기 제 3 변에 연결되고, 상기 제 1 변과 대향하는 제 4 변을 갖는 직사각형 형상을 가짐과 함께, 복수의 패드를 표면에 갖는 듀플렉서 탑재용 기판과,
    상기 듀플렉서 탑재용 기판에 탑재되고, 제 1 안테나 단자와 제 1 송신 단자와 제 1 수신 단자를 갖는 제 1 듀플렉서와,
    상기 듀플렉서 탑재용 기판에 탑재되고, 제 2 안테나 단자와 제 2 송신 단자와 제 2 수신 단자를 갖는 제 2 듀플렉서를 구비하며,
    상기 제 1 안테나 단자 및 상기 제 2 안테나 단자는, 상기 복수의 패드 중, 상기 제 1 변을 따라서 설치되어 있는 안테나용 패드와 각각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상기 제 1 수신 단자 및 상기 제 2 수신 단자는, 상기 복수의 패드 중, 상기 제 2 변을 따라서 설치되어 있는 수신용 패드와 각각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상기 제 1 송신 단자 및 상기 제 2 송신 단자는, 상기 복수의 패드 중, 상기 제 3 변을 따라서 설치되어 있는 송신용 패드와 각각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는, 듀플렉서 디바이스.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수신 단자 및 상기 제 2 수신 단자 중 어느 일방은, 상기 제 2 변을 따라서 설치되어 있는 패드 중, 상기 제 1 변으로부터 이격된 패드와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는, 듀플렉서 디바이스.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수신 단자 및 상기 제 2 수신 단자 중 어느 일방은, 상기 제 2 변을 따라서 설치되어 있는 패드 중, 상기 제 1 변으로부터 가장 떨어져 있는 위치의 패드와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는, 듀플렉서 디바이스.
  4. 제 2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수신 단자 및 상기 제 2 수신 단자 중 타방은, 일방이 접속되어 있는 상기 패드와 인접하는 패드와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는, 듀플렉서 디바이스.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변을 따라서 배치되는 상기 복수의 수신용 패드와, 상기 제 1 변을 따라서 배치되는 상기 복수 안테나용 패드와의 사이에는, 상기 복수의 듀플렉서 중 1개의 듀플렉서를 접지하기 위한 그라운드용 패드가 개재하고 있는 복수 듀플렉서 디바이스.
  6.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변을 따라서 배치되는 상기 복수의 수신용 패드는, 상기 제 4 변 측에 치우쳐서 배치되어 있는 복수 듀플렉서 디바이스.
  7.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듀플렉서 탑재용 기판은, 상기 제 1 듀플렉서의 그라운드 및 상기 제 2 듀플렉서의 수신측의 그라운드가, 독립적으로 설치되어 있는, 듀플렉서 디바이스.
  8.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듀플렉서용 기판은, 상기 제 1 듀플렉서의 수신측의 그라운드 및 상기 제 2 듀플렉서의 수신측의 그라운드는, 공통적으로 설치되어 있는, 듀플렉서 디바이스.
  9. 제 1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듀플렉서 및 상기 제 2 듀플렉서는, 수신측의 통과 대역 및 송신측의 통과 대역이 각각 상이한, 듀플렉서 디바이스.
  10. 제 1 변과, 당해 제 1 변에 인접하고, 또한 상기 제 1 변에 연결된 제 2 변과, 당해 제 2 변과 대향하고, 상기 제 1 변에 인접한 제 3 변과, 상기 제 2 및 상기 제 3 변에 연결되고, 상기 제 1 변과 대향하는 제 4 변을 갖고, 복수의 듀플렉서를 탑재하기 위한 직사각형 형상 기판과,
    상기 제 1 변에 인접하고, 당해 제 1 변을 따라서 배치된 상기 복수의 듀플렉서의 안테나와 접속되는 복수의 안테나용 패드와,
    상기 제 2 변에 인접하고, 당해 제 2 변을 따라서 배치된 상기 복수의 듀플렉서의 수신 단자와 접속되는 복수의 수신용 패드와,
    상기 제 3 변에 인접하고, 당해 제 3 변을 따라서 배치된 상기 복수의 듀플렉서의 송신 단자와 접속되는 복수의 송신용 패드와,
    상기 직사각형 형상 기판의 중앙부에 배치된 상기 복수의 듀플렉서를 공통적으로 접지하기 위한 그라운드 패드를 포함하는, 복수 듀플렉서 탑재용 기판.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변을 따라서 배치되는 상기 복수의 수신용 패드 중 1개는, 상기 제 1 변을 따라서 배치되는 상기 복수의 안테나 패드로부터 이격된 상기 제 4 변의 근방의 위치에 배치되어 있는, 복수 듀플렉서 탑재용 기판.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변을 따라서 배치되는 상기 복수의 수신용 패드 중 1개는, 상기 제 1 변을 따라서 배치되는 상기 복수의 안테나용 패드로부터 가장 떨어져 있는 위치에 배치되어 있는, 복수 듀플렉서 탑재용 기판.
  13. 제 11 항 또는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변을 따라서 배치되는 상기 복수의 수신용 패드 중에는, 서로 인접하여 배치되어 있는, 복수 듀플렉서 탑재용 기판.
  14. 제 10 항 내지 제 1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변을 따라서 배치되는 상기 복수의 수신용 패드와, 상기 제 1 변을 따라서 배치되는 상기 복수 안테나용 패드와의 사이에는, 상기 복수의 듀플렉서 중 1개의 듀플렉서를 접지하기 위한 그라운드 패드가 개재하고 있는 복수 듀플렉서 탑재용 기판.
  15. 제 10 항 내지 제 1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변을 따라서 배치되는 상기 복수의 수신용 패드는, 상기 제 4 변측에 치우쳐서 배치되어 있는 복수 듀플렉서 탑재용 기판.
  16. 제 10 항 내지 제 1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듀플렉서의 그라운드가 독립적으로 설치되어 있는, 듀플렉서 탑재용 기판.
  17. 제 10 항 내지 제 1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듀플렉서의 수신측의 그라운드가 공통적으로 설치되어 있는, 듀플렉서 탑재용 기판.
KR1020150156382A 2015-11-09 2015-11-09 듀플렉서 디바이스 및 듀플렉서 탑재용 기판 KR102499634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56382A KR102499634B1 (ko) 2015-11-09 2015-11-09 듀플렉서 디바이스 및 듀플렉서 탑재용 기판
US15/343,388 US20170133738A1 (en) 2015-11-09 2016-11-04 Duplexer device and substrate for mounting duplexer
EP16197736.8A EP3166225A1 (en) 2015-11-09 2016-11-08 Duplexer device and substrate for mounting duplexer
CN201610985830.3A CN107040281A (zh) 2015-11-09 2016-11-09 双工器设备及双工器设备搭载用基板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56382A KR102499634B1 (ko) 2015-11-09 2015-11-09 듀플렉서 디바이스 및 듀플렉서 탑재용 기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53898A true KR20170053898A (ko) 2017-05-17
KR102499634B1 KR102499634B1 (ko) 2023-02-13

Family

ID=572881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56382A KR102499634B1 (ko) 2015-11-09 2015-11-09 듀플렉서 디바이스 및 듀플렉서 탑재용 기판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20170133738A1 (ko)
EP (1) EP3166225A1 (ko)
KR (1) KR102499634B1 (ko)
CN (1) CN107040281A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07114A (ko) * 1999-06-04 2001-01-26 아끼구사 나오유끼 안테나 듀플렉서
JP2003517239A (ja) 1999-12-14 2003-05-20 エプコス アクチエンゲゼルシャフト 改善された送信帯域/受信帯域分離を有するデュプレクサ
US20110221542A1 (en) * 2008-12-10 2011-09-15 Murata Manufacturing Co., Ltd. High-frequency module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363870B2 (ja) * 2000-05-29 2003-01-08 沖電気工業株式会社 弾性表面波分波器
JP4524864B2 (ja) * 2000-06-08 2010-08-18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複数周波用アンテナ共用器
JP2005159896A (ja) * 2003-11-27 2005-06-16 Sanyo Electric Co Ltd アンテナ共用器
WO2006038421A1 (ja) * 2004-09-30 2006-04-13 Sanyo Electric Co., Ltd. 電子デバイス及びこれに用いるパッケージ
US20090043376A1 (en) * 2007-08-08 2009-02-12 Hamer Rochelle M Endoluminal Prosthetic Conduit Systems and Method of Coupling
WO2010032389A1 (ja) * 2008-09-18 2010-03-25 株式会社 村田製作所 デュプレクサモジュール
KR101271108B1 (ko) * 2009-01-29 2013-06-04 가부시키가이샤 무라타 세이사쿠쇼 듀플렉서 모듈
CN103283152B (zh) * 2011-01-06 2015-06-24 株式会社村田制作所 高频模块
JP5494840B2 (ja) * 2011-02-04 2014-05-21 株式会社村田製作所 高周波モジュール
CN103348593B (zh) * 2011-02-04 2016-04-20 株式会社村田制作所 滤波器模块
CN103416001B (zh) * 2011-03-02 2015-05-20 株式会社村田制作所 高频模块
WO2012144229A1 (ja) * 2011-04-22 2012-10-26 株式会社村田製作所 分波器およびこれを備える回路モジュール
JP5823168B2 (ja) * 2011-05-24 2015-11-25 太陽誘電株式会社 通信モジュール
CN103636136B (zh) * 2011-06-28 2016-08-17 株式会社村田制作所 高频模块
DE102011114642B4 (de) * 2011-09-30 2015-07-30 Epcos Ag Modul und Chip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07114A (ko) * 1999-06-04 2001-01-26 아끼구사 나오유끼 안테나 듀플렉서
JP2003517239A (ja) 1999-12-14 2003-05-20 エプコス アクチエンゲゼルシャフト 改善された送信帯域/受信帯域分離を有するデュプレクサ
US20110221542A1 (en) * 2008-12-10 2011-09-15 Murata Manufacturing Co., Ltd. High-frequency modul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99634B1 (ko) 2023-02-13
US20170133738A1 (en) 2017-05-11
EP3166225A1 (en) 2017-05-10
CN107040281A (zh) 2017-08-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917615B2 (en) Radio-frequency module
JP5677499B2 (ja) 高周波回路モジュール
KR101271108B1 (ko) 듀플렉서 모듈
US9985681B2 (en) Front end circuit, module, and communication device
US9001710B2 (en) High-frequency module
CN107615669B (zh) 高频前置电路
JP6409873B2 (ja) 高周波モジュール
JPWO2013047358A1 (ja) 高周波モジュール
US9112473B2 (en) Branching circuit and RF circuit module
JP5304272B2 (ja) デュプレクサモジュール
US10320364B2 (en) Radio-frequency module
US10262875B2 (en) High-frequency module
KR20170053898A (ko) 듀플렉서 디바이스 및 듀플렉서 탑재용 기판
WO2010087304A1 (ja) デュプレクサモジュール
KR102342504B1 (ko) 필터 장치 및 필터 모듈
KR20110046284A (ko) 고주파 모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