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53643A - 매체의 계량된 분배를 위한 장치용 하우징 및 상기 하우징에 사용하기 위한 계량 장치 - Google Patents

매체의 계량된 분배를 위한 장치용 하우징 및 상기 하우징에 사용하기 위한 계량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53643A
KR20170053643A KR1020177008296A KR20177008296A KR20170053643A KR 20170053643 A KR20170053643 A KR 20170053643A KR 1020177008296 A KR1020177008296 A KR 1020177008296A KR 20177008296 A KR20177008296 A KR 20177008296A KR 20170053643 A KR20170053643 A KR 2017005364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ing
metering device
inlet
line
mete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70082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61802B1 (ko
Inventor
홀거 슈미트
디터 쉔헤어
위르겐 크로이츠캄러
Original Assignee
에스케이에프 루브리케이션 시스템즈 저머니 게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케이에프 루브리케이션 시스템즈 저머니 게엠베하 filed Critical 에스케이에프 루브리케이션 시스템즈 저머니 게엠베하
Publication of KR2017005364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5364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618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6180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FMEASURING VOLUME, VOLUME FLOW, MASS FLOW OR LIQUID LEVEL; METERING BY VOLUME
    • G01F15/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apparatus of groups G01F1/00 - G01F13/00 insofar as such details or appliances are not adapted to particular types of such apparatus
    • G01F15/14Casings, e.g. of special materia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NLUBRICATING
    • F16N25/00Distributing equipment with or without proportioning devices
    • F16N25/02Distributing equipment with or without proportioning devices with reciprocating distributing slide valve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FMEASURING VOLUME, VOLUME FLOW, MASS FLOW OR LIQUID LEVEL; METERING BY VOLUME
    • G01F15/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apparatus of groups G01F1/00 - G01F13/00 insofar as such details or appliances are not adapted to particular types of such apparatus
    • G01F15/006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apparatus of groups G01F1/00 - G01F13/00 insofar as such details or appliances are not adapted to particular types of such apparatu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 particular material, e.g. anti-corrosive materia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2201/00Special arrangements for pipe couplings
    • F16L2201/10Indicators for correct coupl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NLUBRICATING
    • F16N21/00Conduits; Junctions; Fittings for lubrication apertur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NLUBRICATING
    • F16N25/00Distributing equipment with or without proportioning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asuring Volume Flow (AREA)
  • Loading And Unloading Of Fuel Tanks Or Ships (AREA)

Abstract

매체의 계량된 분배를 위한 장치용 하우징 및 상기 하우징에 사용하기 위한 계량 장치.
예시적인 실시예는 매체의 계량 분배용 장치를 위한 하우징(1)에 관한 것으로, 상기 하우징(1)은 재료로서 플라스틱을 포함한다.

Description

매체의 계량된 분배를 위한 장치용 하우징 및 상기 하우징에 사용하기 위한 계량 장치{HOUSING FOR A DEVICE FOR THE METERED DISTRIBUTION OF A MEDIUM, AND METERING DEVICE FOR USE IN SAID HOUSING}
예시적인 실시예는 매체의 계량된 분배를 위한 장치용 하우징 및 상기 하우징에 사용하기 위한 계량 장치에 관한 것이다.
많은 기술 분야에서 계량된 매체 분배에 장치가 사용된다. 이러한 매체는 액체 또는 기체, 예를 들어, 압축 공기, 윤활제, 세정제, 염료, 유압 매체 등일 수 있다. 대응 장치는 예를 들어 윤활 시스템, 충전 장치, 세정 시스템, 유압-공기 시스템 및/또는 이와 유사한 것일 수 있다. 이들의 다른 추가적인 예는 중심 윤활 시스템에서 피스톤 분배기라고도 불리는 계량 밸브이다.
통상적인 피스톤 분배기 또는 계량 밸브는 일반적으로 아연 또는 알루미늄, 강철, 황동 또는 혼합된 부품으로 제조된 다이 캐스팅 재료 또는 압출된 프로파일, 반제품 등으로 구성되며 제조 공정에서 많은 필수 공정 단계를 가진다. 이들은 일반적으로 실린더 표면을 정밀 가공뿐만 아니라, 다수의 스레드의 절단을 포함한다. 이러한 처리 단계가 오늘날 매우 자동화된 방식으로 이루어지기는 하지만 제조 비용이 상대적으로 비싸다. 종래의 개념으로, 특정 환경 하에서는 입증된 계량 기술을 유지하면서 제조 비용을 추가로 절감할 수 없다. 또한, 공정의 하류 공정 단계는 종종 축적된 칩(chip) 및 버(burrs)를 안전하게 분산시키는 세정 작업에 많은 노력을 필요로 한다. 이러한 어려움은 계량된 다른 매체 분배 장치에서도 발생할 수 있다.
또한, 계량된 분배를 위한 종래의 장치는 종종 큰 중량을 갖는다. 모바일 기기의에서, 예를 들어 농업 및 건설 기계에서의 사용에 있어, CO2 절감을 달성하는 관점에서 중앙 윤활 시스템의 전체 중량을 감소하는 것이 일반적으로 바람직하다.
따라서 매체의 계량된 분배를 위한 장치의 제조를 개선하고 동시에 유사한 크기를 가지는 장치의 중량을 감소할 필요성이 존재한다. 이러한 필요성은 독립 청구항에 따른 계량 장치뿐만 아니라 하우징에 의해 해결된다.
예시적인 실시예는 매질의 계량 분배를 위한 장치용 하우징에 관한 것으로, 상기 하우징은 재료로서 플라스틱을 포함한다. 플라스틱이 재료로서 사용되기 때문에, 일부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하우징은 유사한 크기의 낮은 중량을 가질 수 있고, 특정 상황 하에서보다 간단한 방식으로 제조될 수 있다.
또한, 일부 실시예에서는 상기 하우징은 매체 저장조는 펌프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저장조로부터 상기 하우징 내로 들어가도록 구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입구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계량 밸브 역할을 하는 경우뿐만 아니라 다른 경우에 하우징을 압력 상승 장치 및/또는 감압 장치에 연결할 수 있다. 이들은 예를 들어 입구 라인을 통해 상기 하우징에 연결될 수 있다. 장치는 예를 들어 릴리프 밸브를 포함하는 펌프 일 수 있다. 예를들어 오일 강하와 같이 오직 중력을 통한 저장조로부터의 유입은 충분하지 않을 수 있다. 상기 유입은 카트리지 저장 탱크 또는 펌프없는 저장조와는 다를 수 있다. 추가적으로 또는 선택적으로 입구는 예를들어 입구 라인에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일부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하우징 또는 계량 밸브는 매체용 분배 시스템, 예를 들어 매체 라인으로 지칭될 수 있는 메인 라인 및/또는 적어도 하나의 윤활 라인으로 지칭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펌프, 적어도 하나의 입구 라인을 포함하는 중앙 윤활 시스템 또는 다른 시스템을 위한 분배 시스템에 설치되거나 사용될 수 있도록 제조될 수 있다. 여기서 하우징 또는 계량 밸브는 펌프, 메인 라인 및/또는 윤활 라인에 유체 연결될 수 있다. 여기서 윤활 라인은 하우징 및 매체가 적용되거나 분배되는 지점에 연결될 수 있다. 부가적으로 또는 선택적으로 메인 라인은 하우징을 펌프에 연결할 수 있다. 여기서 연결은 예를 들어 추가 구성 요소 또는 미디어 소모없이 직접적으로 또는 다른 구성 요소를 개재하여 간접적으로 수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복수의 하우징 또는 계량 밸브는 메인 라인의 길이를 따라 균일 또는 비균일하게 분배되거나 거기에 연결될 수 있다. 스킨 라인 또는 입구 라인은, 예를 들어, 적어도 0.1m, 0.2m, 0.3m, 0.5m 1m, 1.5m 2m, 2.5m, 3,m, 3.5m, 4-m 일 수 4.5m 5m, 5.5m, 6m, 6.5m 및/또는 10m, 20m, 30m까지의 길이를 가질 수 있다. 적어도 2개 및/또는 5, 10, 15, 18, 20, 22, 25, 또는 30개 까지의 하우징 또는 윤활 지점은 입구 라인에 연결될 수 있다. 윤활 지점은, 예를 들면, 매체가 적용되는 지점이다. 일부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각각의 윤활 지점에서, 매체의 부분량은 다른 윤활 지점에서의 매체의 부분 량과 다른 부분 량의 매체가 적용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물론 동일한 부분 량의 매체를 다른 위치에 적용될 수 있다.
부가적으로 또는 선택적으로 하우징은 적어도 하나의 계량 장치를 위한 적어도 하나의 리셉터클을 포함할 수 있다. 입구는 라인 시스템을 통해 상기 리셉터클에 연결된다. 따라서, 일부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매체가 하우징 내의 라인 시스템에 의해 계량 시스템을 위한 리셉터클에 안내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라인 시스템 만이 전체 하우징이 아닌 매체에 대해 밀봉되면 충분할 수 있다. 여기서 라인 시스템은 예를 들어 하우징 자체보다 작은 직경을 가질 수 있다. 라인 시스템은 적어도 하우징 폭의 적어도 0.2, 0.25, 0.5, 0.75, 또는 1의 값을 구성하는 길이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면, 하우징 자체 리셉터클, 및/또는 하우징의 입구는 비-스레드로 형성될 수 있다. 일부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매체의 계량 분배를 위한 종래의 장치의 계량 원리는 플라스틱 지향 구조로 전달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후 처리 없는 실시예는 통상 플라스틱으로만 고비용으로 재현되는 스레드의 회피에 의해 가능해질 수있고, 바람직하지 않은 상태에서 좁은 스레드 플랭크로 인해 침하 형성을 초래할 수 있다. 입구 및 리셉터클에서, 다른 구성 요소의 연결은 비-스레드 부착 수단을 통해 가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하우징 또는 계량 밸브는 완전히 비-스레드일 수 있고 하우징 또는 플라스틱과 접촉하는 스레드 형성 스크류가 없을 수 있다. 즉, 일부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연결 피스 및/또는 하우징 내로 결합되는 스레드를 갖는 부착 스크류가 생략될 수 있다. 물론, 일부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샤우벤(Schauben) 또는 스레드를 가지거나 금속으로 제조된 구성 요소는 하우징 상에 배치된 구성 요소에 배치될 수 있다.
부가적으로 또는 선택적으로, 하우징 자체, 리셉터클 및/또는 하우징의 입구는 금속없이 구성될 수 있다. 일부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예를들어 입구 및/또는 리셉터클의 영역의 금속 슬리브 또는 다른 구성 요소의 주입은 생략될 수 있다.
리셉터클은, 예를 들어, 계량 장치가 적어도 매체의 유동 방향으로 리셉터클에 고정되고, 그 결과, 계량 장치의 카운터-부착 구조와 상호 작용하도록 구성된 부착 구조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일부 예시적인 실시예들의 특정 환경 하에서, 계량 장치가 계량될 매체에 의해 하우징으로부터 밀려 나오는 것을 피할 수 있다. 또한, 부착 구조 및 카운터-부착 구조는 유동 방향에 대한 하우징상의 변위에 대해 계량 장치를 고정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특정 환경 하에서, 카운터-부착 구조에 대한 부착 구조의 회전 자유도가 허용될 수 있다. 이들은 다른 수단에 의해 제한될 수 있다. 또한, 적어도 하나의 씰 요소가 계량 장치와 리셉터클 사이에 배치되어 이송되는 매체에 대해 계량 장치를 밀봉 연결시킬 수 있다. 계량 장치는 측정되는 더 큰 부분량에 따라 교환가능할 수 있다.
부가적으로 또는 선택적으로 하우징은 전면 패널을 포함할 수 있다. 전면 패널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또는 완전히 하우징의 하우징 쉘을 둘러싸기 위해 구성될 수 있고, 상기 하우징 쉘은 역시 적어도 하나의 리셉터클이 배치되고 및/또는 입구가 배치되는 하우징 몸체로 언급될 수 있다. 일부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전방 패널은 또한 리셉터클에 대해 회전하는 것에 대해 적어도 하나의 계량 장치를 고정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특정 상황 하에서 추가 부착 장치가 생략될 수 있다.
추가적으로 또는 선택적으로, 전면 패널은 하우징 내의 적어도 하나의 설치 개구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설치 개구를 포함할 수 있다. 전면 패널은 두 개의 설치 개구를 통해 안내되는 부착 요소를 통해 하우징에 부착될 수 있다. 경우에 따라서는 하우징을 홀더에 부착할 수도 있다. 일부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홀더 또는 다른 구성 요소 상에 하우징을 장착하기 위해 추가의 설치 개구, 부착 요소 및 그에 대한 설치 공간이 생략될 수 있다.
추가적으로 또는 선택적으로, 일부 실시예에서는 잘못된 장착을 인식할 수 있는 방식으로 상기 하우징의 잘못된 장착을 차단하는 수단이 하우징에 제공된다.따라서, 일부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부정확한 장착의 위험이 적어도 감소될 수 있다.
특정 상황에서, 입구는 입구에 스레드 없이 삽입되어 연결부분을 통해 입구 라인에 연결될 수 있다. 여기서 커넥터 부분은 예를 들어 클램프, 스크류 및/또는 플러그 연결을 통해 커넥터 라인에 연결될 수 있다. 입구 라인은 예를들어 입구의 직경에 대응하는 직경을 가질 수 있다. 직경은 또한 서로로부터 1%, 2%, 3%, 5%, 6%, 7%, 8%, 9%, 10%, 12% 또는 15%까지 벗어날 수 있다.
추가적으로 또는 선택적으로, 하우징은 매체의 유동 방향으로 입구에서 커넥터 부분을 고정하도록 구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축 방향 스톱을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일부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커넥터 부분이 유동 방향 및/또는 역류 방향으로 하우징 상에 보유될 수 있게 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연결부분은 하우징의 입구에 회전가능하게 삽입된다. 특정 상황 하에서, 커넥터 부분에 작용하는 토크가 하우징으로 전달되는 것을 피할 수 있다. 이것은 예를 들어, 커넥터 부분이 커넥터 라인의 스레드에 연결된 내부 스레드가 포함하는 경우에 적절하다.
예시적인 실시예는 또한 전술한 예시적인 실시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따른 하우징에서 사용하기 위한 계량 장치에 관한 것으로, 적어도 하나의 계량 장치가 플라스틱으로 제조된 계량 몸체 및/또는 플라스틱으로 제조된 피스톤을 포함한다.예를 들어, 상술된 제조의 간소화 및 계량 장치의 중량 감소가 또한 달성될 수 있다. 특정 상황 하에서, 계량 장치는 플라스틱으로 제조된 커넥터 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되는 스프링 또는 스프링 요소는 스프링 강 및/또는 플라스틱으로 제조될 수 있다. 하우징뿐만 아니라, 계량 장치는 리셉터클의 연결 지점에서만 또는 완전히 스레드없는 상태로 제조될 수도 있다.
추가적인 바람직한 설계가 도면에 도시된 예시적인 실시예를 참조하여 하기에 보다 상세히 설명되지만, 이러한 예시적인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면은 따라서 다음의 보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1은 부분적으로 에 있된 상태에서 계량 장치를 포함하는 실시예에 따른 하우징의 개략적 사시도;
도 2는 에 있된 상태에서 계량 장치를 포함하는 실시예에 따른 상기 하우징의 개략적 사시도;
도 3은 에 있된 상태의 계량 장치를 포함하는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하우징의 개략적 정면도;
도 4는 에 있된 상태에서 개량 장치를 포함하는 실시예에 따른 하우징의 개략적 측면도;
도 5는 에 있된 상태의 계량 장치를 포함하는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하우징의 개략적 평면도;
도 6은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하우징을 위한 커넥터 부분의 개략적인 단면도;
도 7은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하우징을 위한 추가 커넥터 부분의 개략도.
첨보된 도면의 하기 설명에서, 동일한 참조 번호는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 요소를 나타낸다. 또한, 참조 번호를 요약하는 것은 예시적인 실시예 또는 묘사에서 여러 번 나타나지만 하나 이상의 특징과 관련하여 함께 설명되는 구성 요소 및 대상에 대해 사용된다. 동일하거나 요약된 참조 번호로 기재된 구성 요소 또는 대상은 개별, 복수 또는 모든 특징 예를들어 크기에 대해 동일할 수 있지만, 명시적 또는 암시적으로 다르게 표시하지 않는 한 다르게 구현될 수도 있다.
도 1은 부분적으로 에 있된 상태의 계량 장치(2)를 포함하는 하우징(1)의 개략적 사시도를 도시한다. 매체의 계량 분배를 위한 장치의 하우징(1)은 플라스틱으로 제조된다.
매체의 계량 분배를 위한 장치는 제 1 지점에서 매체의 제 1 부분량 및 제 2 지점에서 매체의 제 2 부분 량을 적용하기 위한 임의의 장치, 예를 들어 피스톤 분배기 또는 계량 밸브일 수 있다. 분배는 예를 들어 장치를 움직이지 않고 실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부분량은 제 1 계량 장치를 통해 제 2 부분량은 제 2 계량 장치를 통해 적용될 수 있다. 여기서 부분량은 예를 들어 각각 미리 결정된 크기를 가질 수 있다. 크기는 예를 들어 사용된 계량 장치 및/또는 펌핑 간격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부분량의 분배는, 예를 들어 분할된 방식으로 발생하는 적용 후, 두 부분량이 서로 분리된 상태로 유지되도록 수행될 수 있다. 여기에서 분할 또는 계량은 예를 들어, 미리 결정되거나 미리 설정된 부피로 매체의 부분량을 적용하는 것일 수 있다.
특정 환경 하에서, 상기 매체는 액체 및/또는 기체, 예를 들어 압축 공기, 세정제, 염료, 유압 매질, 윤활제 및/또는 이와 유사한 것일 수 있다. 윤활제는 상이한 점성의, 예를 들어 윤활 액체, 윤활유 및/또는 윤활 그리스를 가질 수 있다.
플라스틱은 예를들어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폴리옥시 메틸렌, 폴리에틸렌, 폴리프로이렌, 폴리아미드,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라트 및/또는 등, 또는 열경화성 수지, 폴리에스테르 수지, 폴리 우레탄 수지 등과 같은 열플라스틱일 수 있다. 하우징(1) 및/또는 하우징(1)의 개별 구성 요소는 예를 들어 플라스틱 사출 성형 부분으로 제조될 수 있다. 또한 가능한 제조 방법으로 압출, 블로우 성형, 열 성형 및/또는 발포가 고려된다.
일부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하우징(1)은 단독 재료로서 플라스틱을 포함할 수 있다. 하우징(1)은 금속없이 형성된다. 다른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하우징은 예를 들어 안정화 목적을 위해 추가의 재료를 포함할 수 있다. 하우징(1)은 일체형 플라스틱 사출 성형 부분으로 제조된다. 다른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하우징은 또한 구성 요소로부터 에 있될 수 있다. 상기 하우징이 플라스틱으로 제조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상기 하우징은 임의적 일 비-스레드로 제조될 수 있다. 스레드는 대개 플라스틱이나 후처리 가능한 고가의 플라스틱 사출 성형 부분으로 제조될 수 있다. 하우징(1)을 포함하는 장치에서, 개별적인 구성 요소, 특히 하우징(1)의 후 처리는 생략될 수 있다. 개별 구성 요소는 선택적으로 공구에서 직접 에 있될 수 있다.
하우징(1)은 하기에 더욱 자세히 설명되는 바와 같이 하우징 쉘(4)과 전방 패널(5)을 포함한다. 하우징 쉘(4)은 직사각형 입방체 형상과 전방 패널에 의해 폐쇄될 수 있는 개방 측면을 포함한다. 하우징(1)은 분배되는 매가 하우징(1)으로 들어가는 제 1 입구(6) 및 제 2 입구(7)를 포함한다. 메인 라인 커넥터로 지칭될 수 있는 입구들(6, 7)은 각각 대향하는 측벽(8)에 배치된다. 상기 입구들(6, 7)은 메인 라인(10)을 통해 서로 유체 연결된다. 상기 메인 라인(10)은 본질적으로 하우징 쉘(4)의 베이스(11)에 평행하게 배치된 튜브이다. 5 개의 분배 라인(12, 13, 14, 15, 16)은 메인 라인(10)으로부터 분기된다. 이들은 역시 튜브로 구성된다. 분배 라인(12, 13, 14, 15, 16)은 하우징 쉘(5) 내에 배치되고 측벽(8 및 9)에 각각 평행하게 배치된다. 각 분배 라인(12, 13, 14, 15, 16)은 매체가 개량된 방식으로 분배되는 계량 장치(2)를 위해 각각 리셉터클(17) 내의 메인 라인과 각각 대향하는 단부에서 끝난다. 따라서, 제 1 부분 량은 계량 장치들(2) 중 하나로부터 적용되고 다른 부분량은 다른 계량 장치로부터 적용된다. 따라서, 입구들(6, 7)은 메인 라인(10) 및 분배라인(12, 13, 14, 15, 16)을 포함하는 라인 시스템을 통해 연결된다.
하우징 쉘(4)에는 하우징(1)의 커버 측면(19)에 평행한 2 개의 측벽(8, 9) 사이에서 연장되는 중간 벽(18)이 배치된다. 분배 라인(12, 13, 14, 15, 16)은 각각 중간 벽(18)에서 끝난다. 중간 벽(18)은 복수의 브리지(20, 21, 22 및 23)를 통해 커버 측면(19)에 연결되며, 각각의 브리지는 항상 2 개의 분배 라인 사이에 배치된다. 브리지와 중간 벽은 안정화를 위한 역할을 한다. 추가로, 도시되지 않은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이들 구성 요소는 선택적으로 적어도 부분적으로 또는 심지어 완전히 생략될 수 있다.
하우징 쉘(4)에 배치된 구성요소-메인 라인(10), 리셉터클(17), 중간 벽(18), 분배 라인(12, 13, 14, 15, 16) 및 브리지(20, 21, 22, 23)-는 각각 하우징과 일체로 뿐만 아니라 개별 부품으로 에 있될 수 있다. 일부 또한, 도시되지 않은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하우징은 오직 하나 또는 다수의 입구 및/또는 분배 라인을 포함할 수 있다. 특정 상황에서 이들은 또한 다르게 배치될 수 있다. 다른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하우징은 또한 상이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하우징은 하나 또는 여러 부분으로 형성될 수 있다. 경우에 따라, 하우징은 적어도 하나의 하프 쉘을 포함할 수 있다. 특정 상황 하에서, 하프 쉘은 다른 부분을 통해 부분적으로 개방된 상태로 유지되거나 및/또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또는 완전히 폐쇄될 수 있다.
커버 측면(19)은 각각 분배 라인(12, 13, 14, 15, 16) 중 하나에 동심으로 배치되는 복수의 개구(24)를 포함한다. 개구(24) 및 분배 라인(12, 13, 14, 15, 16) 각각은 동일한 직경을 갖는다. 추가의 도시되지 않은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이들은 또한 상이한 직경을 가질 수 있다. 2 개의 개구(25, 26)는 각각 원형 개구(24)에 연결되고, 개구(25, 26)는 베이어닛 클로저의 일부이며, 계량 장치(2)는 리셉터클(17)에 고정된다. 개구(25, 26)은 서로 배향 배치된다.
계량 장치(2) 또는 그 구성 요소는 상술된 재료 및 설명된 방법을 사용하여 제조될 수 있다. 계량 장치(2)는 구성 요소로서의 계량 몸체(3)를 포함한다. 특정의 상황에서, 계량 장치(3)의 내부 부피는 계량 장치(2)를 사용하여 계량 또는 분배되는 양을 결정할 수 있다. 도시되지 않은 피스톤이 계량 몸체(3)에 삽입된다. 또 다른 구성 요소로서, 계량 장치(2)는 계량 장치(2)로부터 가해진 매체가 계량 장치(3)로 복귀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예를 들어 체크 밸브로서 작용하는 계량 몸체(3)를 위한 도시되지 않은 클로저 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도시되지 않은 스프링 또는 스프링 요소는 스프링 강 및/또는 플라스틱으로 제조될 수 있다. 계량 장치(2)는 계량 밸브이다. 적용되거나 계량될 양을 변경하기 위해, 여기서 측정 장치(2)는 선택적으로 다른 내부 체적을 갖는 계량 장치로 대체될 수 있다.
또한, 일부 다른 비도시된 실시예에서, 계량 장치가 또한 작동 원리에 기초하여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펌핑량 또는 비례 부분량의 부피는 계량 장치의 폐쇄 및/또는 개방을 통해 결정될 수 있다.
하우징(1)과 마찬가지로, 계량 장치(2)는 비 스레드로 구성될 수도 있다. 하기에 더 상세히 설명하는 바와 같이 상기 하우징(1)의 리셉터클(4)에 계량 장치를 연결하는 것은 비 스레드 부착 수단을 통해 이루어진다. 도시되지 않은 일부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계량 장치(2)는 또한 예를 들어 매체가 계량되는 라인에 연결하기 위한 스레드를 포함할 수 있다.
계량 몸체는 분배 라인(12 내지 16) 중 하나보다 작은 직경을 갖는 섹션을 포함한다. 상기 섹션은 분배 라인(12 내지 16) 중 하나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계량 장치(2)는 계량 장치(2)상의 베이어닛 클로저의 일부를 형성하는 러그를 더 포함한다. 상기 러그는 또한 대향 배치된다. 외측 케이싱 표면에서, 상기 계량 장치(2)는 밀봉 링이 계량 장치(2)를 밀봉하기 위해 배치되는 분배 라인에 대해 배치될 수 있는 둘러싸는 그루브(30)을 포함한다. 허브(28, 29)와 동일한 높이의 매체 유동 방향에서, 계량 장치(2)는 하기에 기능이 서술되는 리세스(31)를 갖는다. 리세스(31)는 직사각형 형상을 갖는다. 여기서, 상기 리세스(31)는 계량 몸체(3)의 벽을 완전히 관통하지 않는다.
매체가 계량 방식으로 도입될 수 있는 라인에 연결하기 위해 상기 측정 장치(2)는 클램프 연결로 구성된 라인 커넥터(32)를 갖는다. 상기 목적을 위해 라인 커넥터(32)는 도 5에 도시된 C 자형상을 갖는다. 두 개의 레그(33, 34)는 아크(35)를 통해 연결된다. 라인, 예를 들어 윤활 라인은 아크와 본질적으로 동심으로 배치될 수 있다. 2 개의 아암(34, 35)은 스크류 연결부(36)를 통해 서로 클램핑될 수 있다. 스크류 연결부는 스크류 및 도시되지 않은 너트일 수 있다. 특정 상황에서 육각 리세스는 너트에 대한 회전을 고정하도록 라인 커넥터(32)에 제공될 수 있다.물론 리세스는 다른 다각형 모양을 가질 수도 있다. 라인 커넥터(32)는 계량 몸체(3)와 일체로 제조될 수 있다. 특정 상황에서 동일한 부분 즉 각 계량 장치(2)의 동일한 부분이 라인 커넥터로서 각각 사용될 수 있다. 선택적으로, 라인 커넥터(32)는 또한 매체가 예를 들어 클램핑 조(clamping jaw)와 같이 계량 몸체(3)에 계량되는 도시되지 않은 라인과 클램핑될 수 있다. 매체의 유동 방향 및 물론 역시 다른 방향에서 라인 커넥터(32)를 고정하기 위해 고정 링 및 대응하는 그루브가 제공될 수 있다. 여기서 그루브는 계량 몸체 및/또는 라인 커넥터(32)에 제공될 수 있다.
계량 장치(2)를 리셉터클(17)에 연결하기 위해, 계량 장치(2)는 러그(28, 29)가 그루브(24, 25)와 정렬되도록 개구(24) 위에 위치된다. 그후 계량 장치는 러그(24,25)가 매체의 유동 방향으로 중간 벽(18)과 커버 측(19) 사이에 위치하기에 충분히 거리로 리셉터클(17) 내로 들어간다. 그 후, 계량 장치(2)는 매체의 유동 방향에 평행하게 배치된 축을 중심으로 리셉터클(17)에 대해 회전된다. 러그(28, 29)는 더 이상 그루브(24, 25)와 정렬 배치되지 않는다; 계량 장치(2)는 이에따라 매체의 유동 방향으로 고정된다. 러그(28, 29) 및 그루브(24, 25)은 각각 직사각형 형상을 갖는다. 일부 다른 실시예에서, 러그 및/또는 그루브는 베이오넷 클로저를 위한 구조-또는 역-구조로 기능할 수 이쓴 다른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러그 대신 복수의 핀 또는 이와 유사한것이 제공될 수 있어 대응 역-구조를 통해 안내될 수 있다. 계량 장치(2)는 예를 들어, 교체되거나 세정되기 위해 각각 회전되고 당겨질 수 있다. 따라서 윤활 라인 커넥터로 역시 언급될 수 있는 계량 장치는 다음의 기능, 윤활라인(클램핑 조) 수용, 씰링 설치 개구 폐쇄 및 계량 스트로크의 제한(계량)에 의해 계량 량을 정의를 포함할 수 있다.
전방 패널(5)은 본질적으로 하우징 쉘(5)의 측면 크기를 갖는 플레이트로 구성된다. 하우징 쉘(4)은 전방 패널(5)을 통해 폐쇄될 수 있다. 상기 목적을 위해 래치로 언급될 수 있는 래치 연결이 제공된다. 설치 상태에서 계량 장치(2)를 향하는 내부 측면(37) 상에, 전방 패널(5)은 하우징 쉘의 대응하는 래치 개구(45-48)와 결합하는 복수의 래치 돌출부(38-44)를 포함한다. 추가의 도시되지 않은 예시적인 일부 실시예에서, 래치 돌출부는 하우징 쉘 상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또는 완전히 제공될 수 있다. 전면 패널과 하우징 쉘은 힌지를 통해 연결될 수도 있다.
구성 상, 플라스틱 하우징인 하우징(1)은 재료 축적없이, 즉 균일한 벽 두께로 구현된다. 이러한 조건 하에서, 장치의 기하학적 형상은 특정 환경에서 비교적 견고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의 커버로서의 기능에서, 전방 패널(5)은 제품 패밀리 또는 시리즈의 인식을 위해 디자인 기술 특징을 나타낼 수 있는 부드럽고 세정이 쉬운 외부 형상(소위 클린 디자인)을 보장한다.
추가의 도시되지 않은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전면 패널은 또한 하우징의 다수의 측면을 폐쇄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러한 목적을 위해 전면 패널은 각진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일부 또한, 도시되지 않은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전면 패널은 위 및/또는 아래에서부터 후방에 측면으로 하우징을 폐쇄할 수 있다.
각각의 계량 장치(2)를 위해 전방 패널(5)은 또한 역시 폐쇄 개구로 언급될 수 있는 리세스(31)로 계량 장치(2)를 그립하기 위해 설치된 상태로 각각 구성된 복수의 바(49-53)를 내부 측면에 포함한다. 또한 래치(latch)로도 지칭될 수 있는 바(49-53)는 계량 장치(2)를 회전에 대해 간섭 끼워 맞춤 방식으로 고정한다. 각각의 바(49-53)는 윤활제 라인 커넥터로도 지칭되는 도어 록(lock)과 유사한 방식으로 계량 장치(2)의 리세스(31) 내로 돌출한다. 따라서, 계량 장치(2)가 회전하고 러그(28, 29)가 그루브(24, 25)과 중첩되어 계량 장치(2)가 리셉터클(17) 밖으로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한다. 따라서, 전방 패널(5) 기계적 고정 기능을 한다. 계량 장치(2)의 회전 및 미끄러짐에 대한 고정이 달성된다. 플라스틱의 특성에 대한 특별한 강조로, 스레드 구성 요소는 상기 하우징(1)에 사용되지 않는다; 플라스틱 중심의 구조가 구현된다. 계량 장치(2)는 베이어 닛 록(bayonet lock)을 사용하여 하우징(1)에 고정되고, 도시되지 않은 스프링 요소 및 클램핑 플랫폼에 의존하는 일부 예시적인 실시예에서는 회전에 대한 비교적 낮은 자체 잠금을 가짐에 따라 느슨해진다. 그러나 토크는 부적절한 설치 또는 윤활 지점의 이동의 결과로서 도시되지 않은 라인, 예를 들어 윤활 라인을 통해 계량 장치(2)에 작용할 수 있다.
전방 패널(5)을 하우징 패널(4) 또한 래치에 연결하고 또한 래치에 연결하기 위해, 부착 홀들이 설치 개구(55, 56)로 지칭될 수 있는 전방 패널(5)에 제공된다. 상기 목적을 위해, 하우징 쉘(4)은 상응하는 설치 개구(57, 58)를 포함한다. 설치 개구(55, 56, 57, 58)는 각각 타원형 단부 섹션을 갖는다.
일부의 또한, 도시되지 않은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설치 개구는 예컨대, 원형 또는 사각형과 같은 다른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부가적으로 또는 선택적으로 다른 수의 설치 개구가 또한 제공될 수 있다. 여기서, 설치 개구(58)는 최외곽의 분배 라인(16) 및 인접한 분배 라인(15)과 메인 라인(10) 사이에 유사하게 배치된다.설치 개구(57, 58)는 관통 개구로 구성되며, 이들을 사용함에 따라 하우징(1)은 홀더에 부착될 수 있다. 상기 목적을 위해, 도시되지 않은 부착 수단은 설치 개구(55-58)를 통해 안내될 수 있다. 부착 요소는 예를 들어, 스크류 연결, 스크류, 못, 핀, 및/또는 이와 유사한 것 등이다. 여기서 홀더는 예를 들어 장치 또는 하우징이 작동을 위해 부착되는 구성 요소, 예를 들어 프레임, 기계 및/또는 차량의 하우징, 또는 하우징을 위해 특히 제공되는 홀더 또는 장착수단일 수 있다.
또한, 일부 실시예에서 계량 밸브로 지칭될 수 있는 수단이 하우징에 제공되고 상기 수단은 잘못된 에 있이 인식되도록 하우징(1)의 잘못된 에 있을 방해한다. 상기 목적 위해 하우징 쉘(4)은 부정확 조립 지시자로서 설치 개구(57, 58)의 영역에 각각 러그(59, 60)를 포함한다. 러그(59, 60)는 각각 대향 표면 위로 상승한다. 따라서 설치 개구(55, 56)의 영역에서, 전방 패널은 러그 리세스(61, 62)를 포함한다. 이들은 설치딘 전방 패널(5)과 함께 러그(59, 60)가 연결되거나 박히는 부정확 조립 지시자로 기능한다. 상기 전방 패널(5)은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에따라 하우징 쉘(4)과 정확하게 인접한다. 상기 러그(59, 60)는 예를들어 하우징(1)이 전방 패널(5)없이 설치되는 위험을 방지하거나 적어도 감소시킨다. 하우징 쉘(4)이 전방 패널(5)없이 설치되는 경우, 스크류 또는 스크류 헤드는 어떠한 평평한 인접 표면을 발견할 수 없다. 상기 스크류는 보어에 대해 사선으로 설치되므로 부정확한 조립이 자명하다.
일부 다른 비 도시된 실시예에서, 다른 부정확 조립 지시자는 또한 하우징의 설치 개구 근처에 제공될 수 있고 상기 부정확 조립 지시자는 부착 요소가 설치 개구에 편향되게 설치되는 것을 차단하도록 구성된다. 일부 다른 비도시된 실시예에서, 부정확 조립 지시자는 역시 예를들어 베벨 형태의 전방 패널의 해당 경사진 역구조와 함께 놓여질 수 있는 경사진 평면과 같은 다른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설치된 상태에서, 부정확 조립 지시자와 부정확 조립 지시자 리셉터클은 예를들어 원통형 부착 슬리브에 결합될 수 있다.
전방 패널(5)은 이와 같은 장치의 부정확한 사용을 방지하는 기능을 갖는다.일부 실시예에서는, 설치된 상태에서 장치가 오고정된다((영어로 "잘못된 사용").상기 목적을 위해, 전방 패널(5)은 하우징 쉘(4)에 래칭되고, 적절한 레버 도구의 도움으로(예를 들면, 드라이버)을 제거가능하다. 계량 밸브와 같은 일부 장치의 경우, 벽 설치는 용도에 따라 규정된다. 플라잉 설치, 즉, 단순히 라인에 걸리는 것은 예를들어 라인 파손 등과 같은 사고의 위험을 방지하기 위해 허용되지 않는다. 부착 스크류 또는 다른 부착 수단은 벽 또는 다른 홀더에 하우징(1)을 고정시키기 위해 전방 패널(6)와 하우징 쉘(4)을 통해 안내될 수 있다. 벽이나 다른 홀더에 장착되는 장치와 함께 전면 패널(5)의 제거는 불가능하다. 전면 패널 없는 장치의 설치는 부착 또는 설치 개구에 두 러그(59)로 방해되고 부정확한 설치를 명확하게 보여준다.
일부 실시예에서, 전방 패널(5) 따라서 3 가지 작업을 수행할 수 있으며, 신뢰성과 모양에 제한없이 플라스틱 지향적인 구조의 구현을 가능하게하므로 하우징의 설계와 관련이 있다. 또한, 전방 패널(5)은 커버 및 기계적 고정으로 기능할 수 있고, 설치된 상태에서 오용을 방지할 수 있다.
입구 들(6, 7) 각각은 매체가 하우징으로 펌핑되는 도시되지 않은 메인 연결라인로 클램핑 연결로 구성된 커넥터 부분(63)을 통해 각각 연결될 수 있다. 커넥터 부분(63, 64)은 각각 개량 장치(2)에 대해 이미 서술된 바와 같은 클램핑 조로 각각 구성된다. 도시되지 않은 메인 커넥터 라인은 예를들어 O-링과 같은 씰을 가진 메인 라인 (10)에 삽입된다. 포켓(65, 66)은 각각 입구 외측 영역에서 하우징 쉘(4)의 측벽(8, 9)에 각각 배치된다. 내부에서 이들은 도시되지 않은 고정 링을 위해 적어도 하나의 도시되지 않은 축상 스톱을 가진다. 이에따라 메인 커넥터 라인은 매체의 흐름 방향과 역 흐름 방향으로 하우징(1)에 부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2 또는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넥터 부분(63, 64)은 육각형 단면을 갖는 개구(68)를 포함한다. 일부 다른 도시되지 않은 실시예에서, 상기 개구는 예컨대, 원형, 직사각형, 정사각형 등과 같은 다른 형상을 가질 수 있다. 개구(68)에서, 스크류(67)가 삽입되고, 커넥터 부분(63, 64)의 암을 클램핑하기 위하여 도시되지 않은 너트가 서로 삽입된다. 너트가 개구에 삽입되기 때문에, 개구는 너트 회전 고정을 위해 육각형 단면을 가진다. 일부 또한, 도시되지 않은 실시예에서, 개구는 상기 개구에 삽입된 너트 또는 스크류 연결에 대한 회전 고정으로 기능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라인 커넥터(32)와 상기 커넥터 부분(63, 64)은 복수의 기능을 가지고 또한 플라스틱으로 제조되며 비 스레드 형태이다. 특정 상황에서, 계량 장치(2) 및 메인 커넥터 라인에 연결된 윤활 라인 또는 다른 라인은 설치에 의존하는 방식으로 동작해야 하므로 연결 시스템에서 토크 및 인장력을 가할 수 있다.
윤활 및 메인 라인을 위한 종래의 계량 밸브에서 연결 피팅을 위한 하우징의 스레드, 예를들어 DIN 3862(압축 피팅)에 따른 테이퍼 링과의 솔더리스 튜브 피팅, 예를들어 DIN ISO 8434-1(절단 링 피팅)에 따른 절단 링과의 솔더리스 튜브 피팅 또는 클로 플라이어(claw plier)와의 플러그 연결은 종래 연결 기수로 사용된다. 연결 아마츄어는 따라서 풀림에 대해 자체 잠금(긴장)를 달성하기 위해 고정 체결되어야 한다. 테이퍼- 및 절단- 링 피팅은 링을 위한 필수 변형 력을 발생하고 풀림에 대해 자체 잠금(긴장)을 달성하기 위해 상응하는 체결 토크가 요구된다.
설계 때문에, 플러그 커넥터는 라인을 통해 토크를 전달하지 않는다; 그러나, 회전 운동은 밀봉을 강조한다. 인장력은 클로 플라이어에 의해 흡수되어야 한다; 플러그 커넥터 자체는 기존의 스레드로 나사결합되어야 한다. 상술한 모든 종래의 커넥터에 대해 스레드, 테이퍼 링, 절단 링, 클로 플라이어 등과 같은 높은 로드 지점에서 사용되기 위해 금속이 추천된다. 모든 언급한 시스템 또는 가능성이 많거나 적은 수의 구성 요소로 구성된다.
대조적으로, 예시적인 실시에서 상기 하우징은 윤활 시스템에서 이용되고, 상기 커넥터는 중앙 윤활 시스템의 모든 공통 라인 형태를 위해 적절할 수 있는 플라스틱 적합 클램핑 기술에 따라 플라스틱으로 구현된다. 유압 씰은 O 링에 의해 수행되고; 토크와 인장력은 라인 커넥터(32)와 상기 커넥터 부분(63) 또는 플라스틱으로 만들어진 클램핑 조를 통해 흡수된다. 여기서 O- 링은 오직 정적으로 밀봉되고 따라서 따라서 오직 약간만 마모되거나 또는 전혀 마모되지 않는다. 클램핑 힘은 상업적으로 이용가능한 스크류/너트 연결에 의해 발생 및 유지된다.
도 6 및 도 7은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하우징(1-a)을 위한 커넥터 부분(102, 161)의 개략적인 단면도를 도시한다. 하우징(1-a)은 하우징(1)과 실질적으로 유사하게 구성될 수 있다; 입구들은 상술한 연결 조립체(100 또는 160) 중 하나를 통해 메인 커넥터 라인에 연결될 수 있다.
미디어 운반 라인의 연결 조립체(100)는 적어도 하나의 보어(101)을 포함하는 하우징(1-a)을 포함한다. 상기 보어(101)는 여기서 입구로 기능한다. 상기 보어(101)에서, 커넥터 부분(102)은 중심 축(M)에 대해 회전 가능하고 라인에서 전달되는 매체에 대해 밀봉 배치된다. 또한 인서트로 지칭될 수 있는 커넥터 부분(102)은, 하우징(1-a) 이외의 다른 재료로 제조된다. 커넥터 부분은 적어도 하나의 슬리브 형 단면을 포함한다.
보어(101)의 커넥터 부분(102)의 회전가능한 배치는 여기서 예를들어 하우징(1-a) 또는 커넥터 부분(102)의 손상을 초래하지 않고 1/4, 1/2, 전체 또는 복수의 회전으로 적어도 중앙 축(M)에 대해 보어(101)에서 회전할 수 있도록 수행될 수 있다. 따라서 커넥터 부분(102)에 인가되는 토크는 하우징(1-a)에 전송되지 않는다. 특정 상황에서 임계 토크는 이를 초과할 때 까지 커넥터(102) 부분이 마찰 끼워 맞춤 방식으로 보어(101) 내에 유지될 때 까지 조절될 수 있다. 오직 임계토크를 초과한 후 커넥터 부분(102)는 보어(101)에서 회전된다. 또한 하우징(1-a)과 커넥터 부분(102)를 통해 하우징(1-a)에 연결되는 라인 사이의 연결은 커넥터 부분(102)이 보어(101)에서 회전될때까지 밀봉된다.
커넥터 부분(102)은 매체가 커넥터 부분(102)을 통과할 수 있는 관통 보어(103)를 포함한다. 상기 관통 보어(103)는 슬리브 형상 섹션(104)에 의해 둘러싸여지고, 상기 슬리브 형상 섹션(104)과 동심으로 배치된다. 상기 관통 보어(103)는 세 개의 서로 다른 직경을 갖는 단차 보어으로 구성된다. 중간 직경을 갖는 영역은 최대 직경과 최소 직경을 갖는 영역들 사이에 축 방향으로 배치된다. 제 1 견부(105) 및 제 2 견부(106)는 이에따라 커넥터 부분(102)내에 방사상으로 상승된다. 상기 커넥터 부분(102)은 가장 큰 직경을 가지는 영역이 하우징(1-a) 외부로 돌출하도록 하우징(1-a)에 배치된다.
방사상 외측으로 향하는 외부 표면(107)에서 커넥터 부분(102)은, 커넥터 부분(102)이 보어(101)에서 회전 가능함에 따라, 적어도 단면적으로, 상기 보어(101)의 내경의 간극에 끼워지도록 하는 직경을 가진다. 상기 커넥터 부분(102)은 또한 방사상 외부로 향하는 외부 표면(107)에 유지 표면(108)을 포함한다. 상기 커넥터 부분(102)은 상기 유지 표면(108)에 도구에 의해 선택적으로 유지될 수 있다. 도 2 및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유지 표면(108)은 두 평평한 섹션을 포함한다. 상기 목적을 위 서클 세그먼트는 각각 가상의 원통형 외부 표면(107)으로부터 각각 제거된다. 유지 표면(108)은 축 방향 단부가 조립된 상태에서 상기 하우징(1-a)으로부터 돌출되는 커넥터(102)의 축 방향 단부에 배치된다. 유지 표면(108)은 커넥터 부분(102)의 단부 표면(109)이 연결되는 커넥터 부분(102)의 전방 에지에서 끝난다.
일부 또한, 도시되지 않은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유지 표면은 생략 또는 상이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특정 상황에서, 유지 표면은 파지하는 공구와 연결부를 그립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공구는, 예를 들어, 렌치일 수 있다. 따라서, 유지 표면은 예를들어 육각형인 다각형 에지를 가질 수 있다. 추가적으로 또는 선택적으로 유지 표면은 예를 들어 공구에 의해 연결될 수 있는 보어와 같은 리세스일 수 있다. 마찬가지로, 유지 표면은 플라이어로 그립되도록 구성되는 표면을 가질 수 있다. 특정 상황에서 상기 표면은 융기 및/또는 오목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유지 표면은 상기 커넥터 요소에 카운터 토크를 적용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카운터 토크는 라인 또는 상기 라인을 위한 연결 피스에 커넥터 부분을 연결하도록 가해지는 토크에 반대 방향일 수 있다.
견부(110)는 축 방향으로 유지 표면(108)에 인접하게 배치된다. 유지 표면(108)의 영역보다 큰 직경을 갖는 섹션이 또한 상기 견부(110)에 연결된다. 일부 또한 도시되지 않은 실시예에서, 상기 견부와 이로부터 비롯되는 외경 변화는 역시 생략될 수 있다. 유지 표면(108)으로부터 이격되어 측면으로 면하는 견부(110)의 일 측면에서, 커넥터 부분(102)은 반경 방향 외측으로 향하는 외부 표면(107)에 그루브(111)을 포함한다. 상기 그루브는 원주 방향 둘레에 배치되고, 씰을 수용하도록 기능한다. 설치된 상태에서, 씰(112)은 하우징(1-a)의 벽(113)과 축 방향으로 중첩하도록 위치된다. 여기서, 하우징(1-a)의 벽(113)은 하우징(1-a)이 평균 두께를 갖는 영역이다. 예를 들면, 벽(113)은 환경에 대하여 상기 하우징(1-a)의 내부를 차폐하는 보호 쉘일 수 있다. 예를 들면, 벽(113)은 하우징(1-a)의 익스텐션에 대해 얇을 수 있다. 하우징은 평균 벽 두께가 연장되는 동일 방향에서 적어도 인자 4, 5, 8, 10, 15, 20, 25, 30, 50, 100에 의해 벽 두께보다 큰 익스텐션을 가질 수 있다. 씰(112)은, 예를 들어, 탄성 재료를 포함하거나 이로부터 제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씰(112)은 링 또는 그루브(111)에 삽입된 스트립(strip)일 수 있다. ㅂ반사 방향에서, 씰(112)은 외부에서 하우징(1-a)으로 침투하는 먼지와 습기에 대한 밀봉을 수행하기 위해 그루브(111)로부터 돌출하도록 그루브(111) 보다 더큰 익스텐션을 가진다. 많은 적용예에서, 보호되는 전기 및/또는 기계적 구성 요소가 하우징(1-a)에 위치될 수 있다.
또한, 커넥터 부분(102)은 역시 원주 방향 외부 표면(107) 둘레에 배치되는 씰 수용 그루브(116)를 포함한다. 씰 수용 그루브(116)는 유지 표면(108)으로부터 이격되어 면하는 커넥터 부분(102)의 축방향 단부 근처에 위치된다. 씰 수용 그루브(116)는 섹션 내부에 축 방향으로 배치되고, 상기 커넥터 부분(102)은 테이퍼 형상이고 작은 직경을 갖는다. 상기 커넥터 부분(102)이 테이퍼 형상이므로, 특정 상황 하에서 상기 하우징(1-a) 내로 삽입하는 것이 용이해진다. 씰(117)은 씰 수용 그루브(116)에 배치된다. 씰(117)은 O-링으로 구성된다. 커넥터 부분(102)는 또한 전송되거나 통상 가압되는 매체에 대해 하우징(1-a)에 관한 밀봉 기능을 수행한다.
일부 또한, 도시되지 않은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연결 부분은 다른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슬리브 형상의 섹션은 매체가 외벽에 의해 안내되어 통과할 수 있도록 구성된 임의의 구성요소일 수 있다. 예를 들어, 구성 요소는 상기 목적을 위한 보어를을 포함할 수 있다. 보어 및/또는 슬리브 형 섹션의 외부 표면은 예를 들면 원형, 직사각형, 다각형 등과 같은 모든 가능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보어는 외부 표면에 동심으로 배치될 수 있다. 슬리브 형 섹션은 원통형으로 구성될 수 있거나 한편, 역시 축 방향에서 그 형상 및/또는 크기를 변경할 수 있다.
도면의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라인(10-a)는 매체가 도입되는 도 1의 메인 라인(10)에 실질적으로 유사한 방식으로, 하우징의 벽(113)으로 포켓(118)을 통해 연결된다. 하우징(1-a)의 벽(113), 포켓(118) 및 라인(10-a)는 일체형으로 제조된다. 커넥터 부분(102)은 따라서 라인(10-a) 반경 방향 내측에 축 방향으로 부분 중첩 하도록 배치된다. 또한, 씰(117)은 포켓(118)과 축방향으로 중첩하여 커넥터 부분(102)과 라인(10-a) 사이에 방사상으로 배치된다. 여기서 라인(10-a)은 평균 라인-개방 단면 포켓(118)의 영역에서 더 큰 직경을 갖는다. 상기 포켓(118)은 본질적으로 재료를 보강하고 축적한다. 하우징(1-a)은 따라서 해당 힘을 지지하는 설계 및 크기로 이루어질 수 있다.
포켓(118)는 또한 축 방향 갭(119)을 갖는다. 이것은 벽(113)의 내부 측면과 포켓(118)의 견부(120) 사이에서 발생한다. 상기 커넥터 부분은 또한 외부 표면(117)에 원주 방향으로 둘러싸는 고정 링 그루브(114)를 포함한다. 이것은 고정 링(115)을 수용하는 기능을 한다. 커넥터 부분(102)은 고정 링(115)에 의해 축방향(M)에서 하우징(1-a)에 고정될 수 있다. 상기 목적을 위해, 고정 링(115)은 하우징(1-a)으로 축방향 작용력의 지지 및 전달을 위해 기능하고, 상기 힘의 주요 부분은 일반적으로 가압된 매체에 의해 생성된다. 고정 링(115)은 초승달 링의 형상을 가지며, 상기 커넥터 부분(102) 상기 보어로부터 인출되는 것에 대하여 이를 고정한다. 고정 링(115)과 커넥터 부분(102)은 갭(119의 축방향 익스텐션을 따라 축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다. 여기서, 견부(120)는 라인(10-a)으로 부터 이격되어 축 방향 외부로 돌출되어 축방향에서 상기 고정 링에 대한 추가적인 스톱을 나타낸다. 벽(113)의 내부 측면은 대향 축 방향으로 상기 고정 링(115)에 대한 축 방향 스톱을 나타낸다. 견부(120)로부터의 힘의 흐름과 매체에 대한 씰링은 포켓(118)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일부 또한 비도시된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고정 링은 다른 형상을 가지며, 상기 하우징의 그루브에 삽입되거나 및/또는 견부에 대해서만 지지될 수 있다.
포켓(118)은 전체 원주를 둘러싸지 않고 보어(101) 또는 커넥터 부분(102)만을 둘러싼다. 이를 위해, 포켓(118)은 그들 사이에 보어(101)를 수용하는 본질적으로 서로 평행하게 배치된 두 개의 암을 포함한다. 반경 방향에서, 포켓(118)은 적어도 단면적으로 하우징(1-a)의 구멍(103)보다 더 익스텐션을 갖는다. 또한, 내부 축 방향의 포켓(118)의 지점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하우징(1-a)에 의해 밀폐된다. 포켓(118)의 축 방향 익스텐션은 하우징(1-a)의 평균 두께(113)보다 크다. 포켓(118)은 따라서 하우징(1-a)에 배치되어, 외부로부터 보이지 않게 된다. 따라서 하우징(1-a)의 외형은 요철없이 매끄럽게 구현될 수 있다.
일부 또한, 도시되지 않은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포켓은 다른 형상을 가지거나, 생략되거나, 상기 하우징의 외측에 배치될 수 있다. 포켓은 또한 상기 하우징 벽의 양측에 배치될 수 있다. 특정 상황에서 씰을 수용하기 위한 그루브는 포켓에 배치될 수 있다. 특정 상황에서 고정 링 및 밀봉과 같은 모든 구성 요소는 또한 상기 하우징에 배치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커넥터 부분만을 상기 하우징의 보어에 삽입해야할 경우 조립이 단순화될 수 있다.
재료로서 커넥터 부분(102)는 금속 또는 플라스틱과는 다른 재료를 포함한다. 하우징(1-a)은 플라스틱으로 제조된다. 또한 플러그 인서트로 지칭될 수 있는 커넥터 부분(102)은 매체가 운반되는 도시되지 않은 라인에 연결되도록 반경 방향 내측에 구성된다. 튜브 라인으로 지칭될 수 있는 라인의 고정 또는 씰링은 튜브 피팅으로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예를 들어 일반적인 튜브 피팅 또는 DIN 규격 예를들어 DIN 3862, DIN 3852, DIN EN ISO 8434 등에 따른 피팅 튜브 일 수 있다.
튜브 라인 커넥터는 장착되는 하나이상의 부분 즉, 커넥터 부분(125)에 연결될 수 있는 한 연결 피스(102)를 포함한다. 상기 연결 피스(125)는 축 방향으로 최소 단면적으로 중첩되도록 연결부(102)에 반경 방향으로 삽입된다. 이를 위해, 커넥터 부분(102)는 가장 큰 내부 경경을 갖는 영역에서의 반경 방향 안쪽으로 향하는 표면상의 스레드를 포함한다. 일부 또한, 도시되지 않은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스레드는 다른 섹션에 제공될 수 있다. 방사상 외측으로 향하는 표면에서 연결 피스(125)는 또한 스레드(124)에 연결하도록 구성된 외부 스레드를 갖는다. 스크류 온 플러그 커넥터로 지칭될 수 있는 연결 피스(125)는 본질적으로 슬리브 형상으로 구성된다. 특히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연결 피스는 즉 회전에 의해 스레드를 통해 커넥터 부분(102)에 연결되고, 커넥터 부분(102)에 유지 표면(108)을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7은 연결 조립체(160)를 도시한다. 연결 조립체(160)는 본질적으로 연결 조립체(100)와 유사하게 구성된다. 차별화된 특징은 커넥터 부분(161)이 플러그 연결을 수용하도록 구성되는 것이다. 튜브 라인의 고정 및 씰링은 소위 퀵 커넥터 또는 플러그 커넥터를 통해 수행될 수 있다. 하우징(1-a)에 커넥터 부분(161)의 배치하는 것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유사한 방식으로 이루어진다. 연결 피스(162)가 커넥터 부분(161)의 내부 표면에 클램핑되도록 구성된 퀵 커넥터로 연결 피스(162)가 사용된다. 커넥터 부분(161)에 대향하여 매체에 대하여 연결 피스(162)를 밀봉하기 위해, 제 1 밀봉 링(163)은 연결 피스(162)와 상기 커넥터 부분(161) 사이에 반경 방향으로 배치된다. 제 2 밀봉 링(164)는 연결 피스(162)의 축방향 단부와 커넥터 부분(161)의 축방향 스톱 사이에 배치된다. 연결 피스(162)와 커넥터 부분(161)을 연결하는데 어떠한 토크도 적용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유지 표면이 생략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상기 커넥터 부분은 따라서 하우징의 입구에 회전 가능하게 삽입된다. 특정 상황 하에서 커넥터 부분에 작용하는 토크가 상기 하우징에 전달되는 것을 회피할 수 있다. 이것은 예를들어 상기 커넥터 부분이 커넥터 라인의 스레드에 연결되는 통해 내부 스레드를 갖는 경우, 바람직할 수 있다.
도면의 실시예에 따른 하우징(1)과 계량 장치(2)는 선택적으로 모든 가능한 윤활 시스템과 예를 들면, 플랜트, 이송 장비 또는 역시 농업기계, 전성 차량 등과 같은 차량을 제조하는 윤활 적용분야에서 사용될 수 있다. 여기서, 예를 들어, 메인 및 보조-라인을 위한 집적 연결 기술을 갖는 중앙 윤활 시스템에 위한 플라스틱 실시예의 계량 밸브이다. 또한, 특정 상황에서, 하우징 및 계량 장치는 또한 예를들어 식물 병입, 세척 장비, 유압 시스템, 공압 시스템등의 다른 미체의 계량된 분배에 사용될 수 있다.
상술한 설명, 하기 청구범위 및 첨부된 도면에서 설명된 예시적인 실시예들 및 그들의 각각의 기능은, 다양한 설계의 실시예의 구현을 위해 개별적으로 및 임의의 조합으로 모두 의미있고 구현될 수 있다.
1: 하우징 2: 계량 장치 3: 계량 몸체 4: 하우징 쉘
5: 전면 패널 6: 입구 7: 입구 8: 측벽
9: 측벽 10: 메인 라인 11: 베이스 12: 디스펜서 라인
13: 디스펜서 라인 14: 디스펜서 라인 15:디스펜서 라인 16: 디스펜서 라인
17: 리셉터클 18: 중간 벽 19: 커버 측면 20: 브리지
21: 브리지 22: 브리지 23: 브리지 24: 개구
25: 개구 26: 개구 28: 러그 29: 러그
30: 그루브 31: 리세스 32: 라인 커넥터 33: 암
34: 암 35:아크 36: 부착 수단 37: 내부 측면
38: 래치 돌출부 39: 래치 돌출부 40: 래치 돌출부 41: 래치 돌출부
42: 래치 돌출부 43: 래치 돌출부 44: 래치 돌출부 45: 래치 개구
46: 래치 개구 47: 래치 개구 48: 래치 개구 49: 바
50: 바 51: 바 52: 바 53: 바
55: 설치 개구 56: 설치 개구 57: 설치 개구 58: 설치 개구
59: 러그 60: 러그 61: 러그 리셉터클 62: 러그 리셉터클
63: 커넥터 부분 64:커넥터 부분 65: 포켓 66: 포켓
67: 스크류 68: 개구 100: 연결 조립체 101: 보어
102: 커넥터 부분 103: 관통 보어 104: 슬리브형 섹션105: 제 1 섹션
106: 제 2 섹션 107: 외부 표면 108: 유지 표면 109: 단부 표면
110: 견부 111: 그루브 112: 씰 113: 벽
114: 고정 링 그루브 115: 고정 링 116: 씰 수용 그루브 117: 씰
118: 포켓 119: 갭 120: 견부 124: 스레드
125: 연결 피스 160:연결 조립체 161:커넥터 부분 162:연결 피스
163: 씰 164: 씰 M: 회전축

Claims (10)

  1. 매체의 계량 분배를 위한 장치용 하우징(1)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1)은 매체가 저장조로부터 하우징(1)으로 들어가도록 구성된 적어도 하나의 입구(6)를 포함하고, 상기 입구(6)는 입구 라인과 연결가능하고 상기 하우징(1)은 재로로써 플라스틱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우징.
  2. 제 1 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계량 장치(2)에 대해 적어도 하나의 리셉터클(17)을 더 포함하고, 상기 입구(6)가 라인 시스템(10 , 16)을 통해 상기 적어도 하나의 리셉터클(17)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우징.
  3. 제 2 항에 있어서, 하우징(1)의 리셉터클 및/또는 입구(6)는 비-스레드 및/또는 비금속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우징.
  4. 제 2 항 또는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리셉터클(17)은, 계량 장치(2)가 적어도 매체의 흐름방향에서 리셉터클(17)에 고정됨에 따라 계량 장치(2)의 카운터-부착 구조(28)와 상호 작용하도록 구성된 부착 구조(24)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우징.
  5. 제 2 항 내지 제 4 항 중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리셉터클(17)에 대한 회전에 대향하여 계량 장치(2) 중 적어도 하나를 고정하도록 구성되고 및/또는 하우징(1)의 적어도 하나 설치 개구(58)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설치 개구(56)를 포함하는 전방 패널(5)을 더 포함하고, 양 설치 개구(56, 58)는, 하우징(1)이 홀더에 고정가능함에 따라 부착 요소를 수용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우징.
  6. 전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부정확 조립 지시자(60)가 하우징(1)에 제공되고, 상기 부정확 조립 지시자(60)는 잘못된 조립이 인식가능하도록 하우징(1)의 부정확한 조립을 방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우징.
  7. 제 2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입구(6)에 비-스레드 방법으로 삽입되는 커넥터 부분(63)을 통해 상기 입구(6)가 입구 라인에 연결가능하고, 상기 커넥터 부분은 클램프-, 스크류- 및/또는 플러그 연결을 통해 커넥터 라인에 연결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우징.
  8. 제 7 항에 있어서, 하우징(1)이 매체의 유동 방향으로 입구(6)의 연결 부분(63)를 확보하도록 구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축 방향 스톱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우징.
  9. 제 7 항 또는 제 8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커넥터 부분(100)이 하우징(1) 입구(6)에 회전가능하게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우징.
  10. 전항중 어느 한 항에 따른 하우징(1)에 사용하기 위한 계량 장치(2)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계량 장치(2)가 플라스틱 및/또는 플라스틱으로 제조된 피스톤으로 제조된 계량 몸체(3)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우징.
KR1020177008296A 2014-08-27 2015-08-06 매체의 계량된 분배를 위한 장치용 하우징 및 상기 하우징에 사용하기 위한 계량 장치 KR10236180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14217021.4A DE102014217021A1 (de) 2014-08-27 2014-08-27 Gehäuse für eine Vorrichtung zum dosierten Verteilen eines Mediums sowie eine Dosiereinrichtung zur Verwendung in dem Gehäuse
DE102014217021.4 2014-08-27
PCT/EP2015/068167 WO2016030166A1 (de) 2014-08-27 2015-08-06 Gehäuse für eine vorrichtung zum dosierten verteilen eines mediums sowie eine dosiereinrichtung zur verwendung in dem gehäus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53643A true KR20170053643A (ko) 2017-05-16
KR102361802B1 KR102361802B1 (ko) 2022-02-10

Family

ID=538365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7008296A KR102361802B1 (ko) 2014-08-27 2015-08-06 매체의 계량된 분배를 위한 장치용 하우징 및 상기 하우징에 사용하기 위한 계량 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2) US10323970B2 (ko)
JP (1) JP2017528662A (ko)
KR (1) KR102361802B1 (ko)
CN (2) CN106715996B (ko)
DE (1) DE102014217021A1 (ko)
WO (1) WO201603016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953472B2 (ja) * 2019-04-26 2021-10-27 Ckd株式会社 マニホールド
DE102022116836B3 (de) 2022-07-06 2023-06-15 Eugen Woerner Gmbh & Co. Kg Zentralschmieranlagen Progressivverteiler in Leichtbauweise mit reduziertem Totraumvolumen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37836A (en) * 1976-07-09 1978-01-24 Daburiyuu Parii Haiman Manifold device
JPS6249002A (ja) * 1985-06-27 1987-03-03 フエスト カ−ゲ− バルブケ−シング装置
JPS63135676A (ja) * 1986-11-28 1988-06-08 Kiyoshi Takahashi 流体の分配器

Family Cites Families (3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332583A (en) * 1966-03-29 1967-07-25 Heide Inc Henry Apparatus for dispensing confectionery materials
US3447755A (en) * 1966-12-05 1969-06-03 Horace A Cartwright Spray nozzle and alignment arrangement therefor
JPS5217125Y2 (ko) * 1972-05-19 1977-04-18
JPS527531Y2 (ko) * 1972-05-23 1977-02-17
US4026581A (en) * 1975-11-13 1977-05-31 Lacrex Brevetti S.A. Releasable coupling
DE2937443C2 (de) * 1979-09-15 1984-09-20 Robert Bosch Gmbh, 7000 Stuttgart Mit einem Gewindeanschluß versehenes Gehäuse aus Kunststoff, insbesondere Ventilgehäuse
US4597412A (en) * 1982-09-29 1986-07-01 Stark Anton W Valve for sequential chemical operations
JPS60150398U (ja) * 1984-03-19 1985-10-05 株式会社 滝澤鉄工所 オイル分配器
US4606476A (en) * 1985-06-17 1986-08-19 Pocock Richard L System for sanitizing beverage dispensing systems
GB8618235D0 (en) * 1986-07-25 1986-09-03 Lucas Ind Plc Pressure cylinder pipe coupling
US4753372A (en) * 1986-12-24 1988-06-28 Beta Partners Limited Partnership Venting system for sanitizing beverage dispensing systems
JPH0462990U (ko) * 1990-10-08 1992-05-28
US5236641A (en) * 1991-09-11 1993-08-17 Exxon Chemical Patents Inc. Metering meltblowing system
US5282488A (en) * 1991-11-18 1994-02-01 Eastman Kodak Company Interchangeable fluid path module
US5238190A (en) * 1992-06-16 1993-08-24 Nordson Corporation Offset nozzle assembly
US5564448A (en) * 1994-12-14 1996-10-15 Eagle-Picher Industries, Inc. Container washing apparatus and system
ES2145650B1 (es) * 1996-07-19 2001-03-01 Fico Transpar Sa Dispositivo de conexion y desconexion rapida para electrobombas y conducciones de instalaciones lavaparabrisas de vehiculos automoviles.
HUP0000914A3 (en) * 1997-02-28 2001-09-28 Pfizer Prod Inc Atropisomers of 3-aryl-4(3h)-quinazolinones and pharmaceutical compositions containing them
US5890629A (en) * 1997-09-25 1999-04-06 Design Display Group, Inc. Apparatus for dispensing beverages
US6079638A (en) * 1998-07-20 2000-06-27 Chang; Sei-Chang Nozzle assembly improvement
JP2001032985A (ja) * 1999-07-21 2001-02-06 Tokyo Gas Co Ltd 配管継手
US6322242B1 (en) * 2000-07-12 2001-11-27 S. C. Johnson Commercial Markets, Inc. Multistation color coded liquid mixing and dispensing apparatus
GB2366352A (en) * 2000-08-22 2002-03-06 Imi Cornelius Valve
US6450374B1 (en) * 2000-11-20 2002-09-17 Johnsondiversey, Inc. High flow/low flow mixing and dispensing apparatus
US6637779B2 (en) * 2001-10-18 2003-10-28 Itt Manufacturing Enterprises, Inc. Fluid quick connector with grooved endform
US6627241B1 (en) * 2002-03-27 2003-09-30 The Pillsbury Company Apparatus and method for processing viscous food products
CN2618033Y (zh) * 2003-03-29 2004-05-26 泉州又得马电控设备有限公司 一种圆型针织机的注油器
DE102004023019A1 (de) * 2004-05-06 2005-12-01 Willy Vogel Aktiengesellschaft Dosierpumpe, insbesondere für Schmierstoffe, mit Dehnstoffantrieb, Schmierstoffbehälter für die Dosierpumpe sowie Schmierverfahren
US7293675B1 (en) * 2004-06-01 2007-11-13 Veryfresh Juice Company, Inc. Beverage line cleaning system
JP2007292262A (ja) * 2006-04-27 2007-11-08 Ckd Corp パイロット式切換弁
US20080023489A1 (en) * 2006-07-31 2008-01-31 Illinois Tool Works Inc. Remote metering station and applicator heads interconnected by means of relatively short hoses with universal connectors
CN201212611Y (zh) * 2008-06-16 2009-03-25 南京贝奇尔机械有限公司 润滑定量分配器
US8224481B2 (en) * 2009-01-19 2012-07-17 Access Business Group International Llc Method and apparatus for dispensing fluid compositions
CN201363527Y (zh) * 2009-01-22 2009-12-16 焦作市通和科技有限责任公司 精确定量分配阀及采用该分配阀的分配系统
DE202009013467U1 (de) * 2009-10-06 2011-02-24 Vemag Maschinenbau Gmbh Füllstromteiler
JP2012200387A (ja) * 2011-03-25 2012-10-22 Fujikura Rubber Ltd 酸素濃縮装置用酸素タンクユニット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37836A (en) * 1976-07-09 1978-01-24 Daburiyuu Parii Haiman Manifold device
JPS6249002A (ja) * 1985-06-27 1987-03-03 フエスト カ−ゲ− バルブケ−シング装置
JPS63135676A (ja) * 1986-11-28 1988-06-08 Kiyoshi Takahashi 流体の分配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102014217021A1 (de) 2016-03-03
WO2016030166A1 (de) 2016-03-03
US20190257682A1 (en) 2019-08-22
CN110274144B (zh) 2021-10-08
CN106715996A (zh) 2017-05-24
CN110274144A (zh) 2019-09-24
KR102361802B1 (ko) 2022-02-10
US20170276532A1 (en) 2017-09-28
US10323970B2 (en) 2019-06-18
JP2017528662A (ja) 2017-09-28
CN106715996B (zh) 2020-04-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236163B1 (en) Magnetic separator
US20150337998A1 (en) Connecting device for media lines
EP1655529B1 (de) Schnellkupplung
US10072785B2 (en) Conduit connector
US6116285A (en) Removable threaded plug
US20120091139A1 (en) Receptacle for a fluid, in particular engine oil pan or transmission oil pan for a motor vehicle
US11292658B2 (en) One-way valve, and tire repair sealant bottle having same
US20150316189A1 (en) Connectors and methods for making and using the same
KR20170053643A (ko) 매체의 계량된 분배를 위한 장치용 하우징 및 상기 하우징에 사용하기 위한 계량 장치
EP2778493A3 (fr) Prise de conditionnement, son utilisation et procédé de remplissage
US11389681B2 (en) Sprinkler assembly with cap and cover
KR20170124582A (ko) 라인들을 연결하기 위한 플러그인 커넥터 조립체
CN105402498B (zh) 引导介质的管路的连接装置和用于连接管路的方法
US20160377472A1 (en) Fluid level verification apparatus
US11506291B2 (en) Filter retaining plug and tool
US20210131479A1 (en) Retainer nut locking apparatus and methods
EP2492523B1 (en) Anti-vibration bolt
JPH10332010A (ja) 標準的な吸い上げポンプによって通常のあるいは加速された重力下で液体を輸送するための装置
US10118112B2 (en) Fluid filter
US20060175831A1 (en) Fluid quick connect contamination cover
CN203051831U (zh) 一种卡套球阀
US10828753B1 (en) Nut-dispensing tool
US20200055172A1 (en) Seat insert tool
KR101523275B1 (ko) 파이프 보호캡
WO2015041840A1 (en) Snap-in oriented fitting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