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53475A - 전자부품 이동장치 - Google Patents

전자부품 이동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53475A
KR20170053475A KR1020150156048A KR20150156048A KR20170053475A KR 20170053475 A KR20170053475 A KR 20170053475A KR 1020150156048 A KR1020150156048 A KR 1020150156048A KR 20150156048 A KR20150156048 A KR 20150156048A KR 20170053475 A KR20170053475 A KR 2017005347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onic component
pressing member
release
electronic
st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560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95884B1 (ko
Inventor
이석호
남경표
Original Assignee
(주)테크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테크윙 filed Critical (주)테크윙
Priority to KR102015015604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95884B1/ko
Publication of KR201700534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53475A/ko
Priority to KR1020220055036A priority patent/KR10263738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9588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9588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28Testing of electronic circuits, e.g. by signal tracer
    • G01R31/2851Testing of integrated circuits [IC]
    • G01R31/2893Handling, conveying or loading, e.g. belts, boats, vacuum finger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28Testing of electronic circuits, e.g. by signal tracer
    • G01R31/2851Testing of integrated circuits [IC]
    • G01R31/2855Environmental, reliability or burn-in testing
    • G01R31/286External aspects, e.g. related to chambers, contacting devices or handlers
    • G01R31/2865Holding devices, e.g. chucks; Handlers or transport devices
    • G01R31/2867Handlers or transport devices, e.g. loaders, carriers, tray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28Testing of electronic circuits, e.g. by signal tracer
    • G01R31/2851Testing of integrated circuits [IC]
    • G01R31/2886Features relating to contacting the IC under test, e.g. probe heads; chucks
    • G01R31/2887Features relating to contacting the IC under test, e.g. probe heads; chucks involving moving the probe head or the IC under test; docking st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28Testing of electronic circuits, e.g. by signal tracer
    • G01R31/2851Testing of integrated circuits [IC]
    • G01R31/2886Features relating to contacting the IC under test, e.g. probe heads; chucks
    • G01R31/2889Interfaces, e.g. between probe and tester

Abstract

본 발명은 전자부품을 파지하여 이동시키는 전자부품 이동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전자부품 이동장치는, 이탈이 방지되도록 잠금된 상태로 적재요소에 적재되어 있는 전자부품을 파지하거나 파지를 해제하는 전자부품 픽킹기; 상기 전자부품 픽킹기에 의해 파지된 상태로 이동되어야 하는 전자부품의 잠금 상태를 해제하는 잠금 해제기; 상기 잠금 해제기에 의해 잠금 상태가 해제되면서 해제 충격에 의한 전자부품의 이탈을 방지하는 이탈 방지기; 및 상기 전자부품 픽킹기를 수평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수평 이동기; 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해제 충격에 따른 전자부품의 이탈을 방지 할 수 있기 때문에 전자부품의 안정적인 이동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전자부품 이동장치{APPARATUS FOR MOVING ELECTRONIC DEVICE}
본 발명은 전자부품을 파지하여 이동시키는 전자부품 이동장치에 관한 것이다.
에스에스디(SSD: Solid State Drive)와 같은 전자부품은 생산된 후 공정용 트레이에 적재된다. 그리고 공정용 트레이에 적재된 전자부품은 테스트를 위해 테스트트레이로 이동 적재된다. 전자부품은 테스트트레이에 적재된 상태에서 테스터에 전기적으로 연결됨으로써, 전자부품에 대한 제1 테스트 공정이 수행된다.
제1 테스트 공정에서 양품으로 판정된 전자부품은 케이싱 공정과 라벨링 공정을 통해 출하 제품으로 완성된 후, 제2 테스트 공정이 진행된다. 제2 테스트 공정 후 테스트 결과에 따라 전자부품은 양품과 불량품으로 분류되고, 양품만이 출하된다.
종래에는 테스트 공정을 제외한 위와 같은 일련의 과정들이 수작업에 의해 이루어졌기 때문에 생산성이 낮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출원인은, 본 발명에 앞서서 전자부품에 대한 케이싱 공정과 라벨링 공정을 수행할 수 있는 라벨링 장비(대한민국 출원번호 10-2014-0041140호, 이하 '선행발명1'이라 함), 라벨링이 완료된 전자부품에 대한 제2 테스트 공정을 수행하기 위한 테스트 장비(대한민국 출원번호 10-2014-0091798호, 이하 '선행발명2'라 함), 제2 테스트가 완료된 전자부품을 테스트 결과에 따라 분류하는 전자부품 분류장비(대한민국 출원번호 10-2014-0154576호, 이하 '선행발명3'이라 함)를 제안한 바 있다.
선행발명1은 제1 테스트 공정 후 양품으로 판정된 전자부품에 대하여 케이싱 작업과 라벨링 작업을 수행하기 위한 장비에 관한 기술이다.
선행발명2는 케이싱 작업과 라벨링 작업이 완료된 전자부품에 대하여 제2 테스트 공정을 수행하기 위한 장비에 관한 기술이다.
선행발명3은 제2 테스트 공정 후 테스트 결과에 따라 전자부품을 분류하기 위한 장비에 관한 기술이다.
또한, 본 발명의 출원인은 위의 선행발명1 내지 선행발명3에 따른 장비들과 하나의 시스템을 이루면서, 제1 테스트 공정을 수행하기 위해 공정용 트레이에 적재된 전자부품을 테스트트레이로 로딩시키기 위한 장비(대한민국 출원번호 10-2014-0190964호, 이하 '선행발명4'라 함)를 제안한 바 있다.
그리고 선행발명4에 따른 전자부품 로딩장비에 의해 전자부품이 테스트트레이에 적재된 후에 테스터에 의해 제1 테스트가 이루어지면, 테스트트레이로부터 전자부품을 언로딩한 후 언더필지그로 로딩시키기 위한 장비(대한민국 출원번호 10-2015-0015600호, 이하 '선행발명5'라 함)도 제안하였다. 참고로 선행발명5에 따른 장비에 의한 작업이 종료되면, 전자부품이 로딩된 언더필지그가 선행발명1에 따른 장비로 제공된다.
한편, 위의 선행발명들에 적용된 각종 트레이들은 필요에 따라서 적재된 전자부품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해 전자부품을 잠그는 구성을 가질 수 있다. 물론, 위의 선행발명들에서 소개된 각종 트레이 외의 적재요소들에도 에스에스디와 같은 납작한 형태의 전자부품을 세운 상태로 적재시키기 위해 전자부품을 잠그는 구성이 부가될 수 있다. 이렇게 적재요소에 전자부품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구성이 구비된 경우, 전자부품을 이동시키려면 전자부품의 잠금 상태를 해제해야만 한다.
그런데, 전자부품의 잠금을 해제하는 경우 잠금 해제에 따른 충격에 의해 전자부품이 이탈될 위험성이 있다. 그리고 전자부품이 이탈되면, 전자부품의 망실 및 잼 발생에 따른 전제 장비의 가동 중단으로 인한 가동률 하락을 가져온다.
본 발명은 전자부품의 이동과 관련된 것으로서 다음과 같은 목적을 가진다.
첫째, 적재요소에 적재된 전자부품의 잠금 상태를 해제할 시에 해제 충격에 의해 전자부품이 적재요소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기술을 제공한다.
둘째, 별도의 부품 교환이나 설정의 변경 없이 다양한 규격을 가지는 전자부품들의 이탈을 모두 방지할 수 있는 기술을 제공한다.
위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전자부품 이동장치는, 이탈이 방지되도록 잠금된 상태로 적재요소에 적재되어 있는 전자부품을 파지하거나 파지를 해제하는 전자부품 픽킹기; 상기 전자부품 픽킹기에 의해 파지된 상태로 이동되어야 하는 전자부품의 잠금 상태를 해제하는 잠금 해제기; 상기 잠금 해제기에 의해 잠금 상태가 해제되면서 해제 충격에 의한 전자부품의 이탈을 방지하는 이탈 방지기; 및 상기 전자부품 픽킹기를 수평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수평 이동기; 를 포함한다.
상기 이탈 방지기는, 상기 전자부품을 하방으로 가압하여 상기 전자부품의 튐을 방지하는 가압부재; 및 상기 가압부재를 상승시키는 상승원; 을 포함한다.
상기 상승원은 상기 가압부재의 상승에 필요한 상승력을 제공하고, 상기 가압부재는 자중에 의해 하강됨으로써, 상기 가압부재의 하강 종료 위치가 전자부품의 상단 높이에 의해 결정된다.
상기 상승원은, 승강 가능하게 구비되며, 상승 시에 상기 가압부재를 상승시키는 승강블록; 및 상기 승강블록을 승강시키는 실린더; 를 포함하며, 상기 가압부재는 상기 승강블록이 하강할 때 자중에 의해 하강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적재요소에 적재된 전자부품의 잠금 상태가 해제될 때 해제 충격이 발생되더라도 전자부품이 이탈될 위험성이 없기 때문에 장비의 신뢰성이 향상된다.
둘째, 별도의 부품 교환이나 설정의 변경 없이도 다양한 규격의 전자부품에 대한 이탈을 방지할 수 있기 때문에 생산 비용의 절감 및 가동률 상승을 가져온다.
도 1은 본 발명을 설명하는 데 참조될 수 있는 적재요소의 일 예에 따른 트레이에 대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트레이에 적용된 적재모듈에 대한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3은 적재모듈에 장착된 전자부품의 잠금이 해제된 상태를 보여준다.
도 4는 상하 방향으로 서로 다른 길이를 가지는 전자부품이 적재모듈에 장착된 상태를 보여준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부품 이동장치에 대한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5의 전자부품 이동장치에 적용된 전자부품 픽킹기에 대한 일부 분해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5의 전자부품 이동장치에 적용된 잠금 해제기에 대한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5의 전자부품 이동장치에 적용된 이탈 방지기에 대한 사시도이다.
도 9는 도 8의 이탈 방지기의 작동을 설명하기 위한 참조도이다.
도 10에는 전자부품의 이동을 위해 전자부품 픽킹기가 전자부품의 상방에 위치된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도 11에는 파지레버와 가압부재가 하강된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도 12에는 전자부품의 규격에 따라서 가압부재의 하강 종료 위치가 결정되는 모습이 도시되어 있다.
도 13에는 파지레버간의 간격이 좁혀진 모습이 도시되어 있다.
도 14에는 전자부품의 잠금 상태가 해제된 모습이 도시되어 있다.
도 15에는 파지부재가 전자부품을 파지한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참고로 설명의 간결함을 위해 중복되는 설명은 가급적 생략하거나 압축한다.
<적재요소에 대한 설명>
먼저 전자부품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잠금 구조를 가지는 적재요소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은 적재요소들 중의 하나인 트레이(T)에 대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트레이(T)에 적용된 적재모듈(LM)에 대한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1의 트레이(T)는 도 2에서와 같은 다수의 적재모듈(LM)을 구비한다.
적재모듈(LM)은 전자부품(ED)이 삽입될 수 있는 삽입홈(IS)을 가지며, 삽입홈(IS)은 상방으로 개구되어 있다. 이러한 적재모듈(LM)은 잠금기(10)와 해제핀(20)을 가진다.
잠금기(10)는 삽입홈(IS)에 삽입된 전자부품(ED)의 하단을 걸어서 잠그기 위해 마련되며, 잠금레버(11)와 스프링(12)으로 구성된다.
잠금레버(11)는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며, 스프링(12)에 의해 내측단이 전자부품(ED)에 형성된 잠금홈(LI)에 삽입된 상태가 유지되도록 되어 있다.
스프링(12)은 잠금레버(11)의 내측단이 전자부품(ED)에 형성된 잠금홈(LI)에 삽입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탄성력을 제공한다.
해제핀(20)은 승강 가능하게 구비되며, 탄성부재(21)에 의해 상방으로 탄성력을 받는다. 이러한 해제핀(20)은 외력에 의해 하강할 시에 그 하단이 잠금레버(11)의 외측단을 누름으로써 잠금레버(11)를 강제 회전시킬 수 있다. 이렇게 해제핀(20)에 의해 잠금레버(11)가 강제 회전하게 되면, 도 3에서와 같이 잠금기(10)에 의해 전자부품(ED)의 잠금 상태가 해제된다. 물론, 도 3과 같이 잠금 상태가 해제된 상태가 되어야 전자부품(ED)이 적재모듈(LM)의 삽입홈(IS)으로부터 빠져나올 수 있다.
한편, 적재모듈(LM)에는 도 4에서 참조되는 바와 같이 상하 방향으로 서로 길이가 다른 다양한 규격의 전자부품(ED1, ED2)이 장착될 수 있다. 따라서 전자부품(ED)을 이동시키고자 할 때 전자부품(ED)의 규격도 고려해야 될 중요한 요소가 된다.
<전자부품 이동장치에 대한 설명>
도 5는 도 1의 트레이(T)와 같은 적재요소에 적재된 전자부품(ED)을 이동시키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부품 이동장치(500, 이하 '이동장치'라 약칭함)에 대한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이동장치(500)는 전자부품 픽킹기(510), 잠금 해제기(520), 이탈 방지기(530), 수평 이동기(540) 및 회전기(550)를 포함한다. 참고로 이동장치(500)를 이루는 구성들 중 일부는 도시의 한계로 인하여 각 도면상에서 숨어있을 수 있기 때문에 편의상 도면에 도시될 수 있는 구성들에 대해서만 부호를 표기하여 설명한다.
전자부품 픽킹기(510)는 도 6의 발췌도에서와 같이 4개의 파지레버(511a 내지 511d), 간격 조정원(512) 및 2개의 승강원(513a, 513b)을 포함한다.
4개의 파지레버(511a 내지 511d)는 좌우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며, 좌우측의 2개가 서로 한 짝을 이루어서 서로 대응되게 마주본다. 본 실시예에 따른 이동장치(500)는 서로 짝을 이루는 2개의 파지레버(511a와 511c / 511b와 511d)가 하나의 전자부품(ED)을 파지하거나 파지를 해제하기 때문에 총 2개의 전자부품(ED)을 파지하거나 파지를 해제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파지레버(511a 내지 511d)는 이동부재(ME), 파지부재(GE) 및 조정소자(SD)를 포함한다.
이동부재(ME)는 간격 조정원(512)의 작동에 따라 좌우 방향으로 이동한다.
파지부재(GE)는 이동부재(ME)에 좌우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며, 전자부품(ED)을 파지하거나 파지를 해제한다.
조정소자(SD)는 파지부재(GE)를 좌우 방향으로 이동시키며, 실린더로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조정소자(SD)들은 파지부재(GE)들을 독립적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상호 짝으로 구비되는 전방의 파지부재(GE)들과 후방의 파지부재(GE)들이 상호 독립적으로 전자부품(ED)을 파지하거나 파지를 해제할 수 있게 한다. 즉, 도 6에서와 같이 전방(또는 후방) 측에 있는 조정소자(SD)들만 작동하여 전방(또는 후방) 측에 있는 파지부재(GE)들만 전자부품(ED)을 파지하거나 파지를 해제할 수 있는 것이다.
간격 조정원(512)은 모터(512a), 회전봉(512b) 및 한 쌍의 결합블록(512c-1, 512c-2)을 포함한다.
모터(512a)는 회전봉(512b)을 정역 회전시키기 위해 마련된다.
회전봉(512b)은 모터(512a)의 작동에 따라서 정역 회전하며, 한 쌍의 결합블록(512c-1, 512c-2)과 각각 나사 결합되어 있다. 이러한 회전봉(512b)은 길이 방향에서 중심을 기준으로 좌우 서로 다른 방향으로 나사결이 형성된 나사산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회전봉(512b)이 회전할 시에 양 결합블록(512c-1, 512c-2)이 상호 벌어지거나 좁혀지게 되어 있다.
한 쌍의 결합블록(512c-1, 512c-2)은 좌우 방향으로 이동되게 회전봉(512b)에 나사 결합되어 있다. 따라서 회전봉(512b)의 회전에 따라서 한 쌍의 결합블록(512c-1, 512c-2)은 좌우 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러한 한 쌍의 결합블록(512c-1, 512c-2) 각각에는 레일(R)과 레일블록(B)을 게재하여 이동부재(ME)가 승강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다.
참고로, 회전봉(512b)과 제1 결합블록(513c-1) 간의 나사결합을 위한 제1 나사결과 회전봉(512b)과 제2 결합블록(513c-2) 간의 나사결합을 위한 제2 나사결은 상호 반대 방향으로 형성되어있기 때문에, 회전봉(512b)이 회전할 시에 한 쌍의 결합블록(512c-1, 512c-2)은 서로 반대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한 쌍의 결합블록(512c-1, 512c-2) 중 좌측에 있는 제1 결합블록(512c-1)은 좌측의 제1 파지레버(511a, 511b)에 있는 이동부재(ME)와 결합되어 있고, 우측에 있는 제2 결합블록(512c-2)은 우측의 제2 파지레버(511c, 511d)에 있는 이동부재(ME)와 결합되어 있다. 따라서 제1 결합블록(512c-1)과 제2 결합블록(512c-2)이 좌우 방향으로 이동하면, 제1 파지레버(511a, 511b)와 제2 파지레버(511c, 511d)도 좌우 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2개의 승강원(513a, 513b)은 파지레버(511a 내지 511d)를 승강시키기 위해 구비된다. 이러한 2개의 승강원(513a, 513b)은 실린더로 구비될 수 있으며, 설치판(A)에 결합되어 있다.
제1 승강원(513a)은 전방에 있는 2개의 파지레버(511a, 511c)를 승강시키고, 제2 승강원(513b)은 후방에 있는 2개의 파지레버(511c, 511d)를 승강시킨다.
잠금 해제기(520)는 전자부품 픽킹기(510)에 의해 파지된 상태로 이동되어야 하는 전자부품(ED)의 잠금 상태를 해제한다. 즉, 잠금 해제기(520)는 트레이(T)의 적재모듈(LM)에 있는 해제핀(20)을 하방으로 눌러서 전자부품(ED)의 잠금 상태를 해제시킨다. 이를 위해 잠금 해제기(520)는 도 7의 발췌도에서와 같이 2개의 해제부재(521a, 521b) 및 2개의 해제원(522a, 522b)을 포함한다.
각각 좌우에 나뉘어 구비되는 2개의 해제부재(521a, 521b)는 각각 전방 측 방향 및 후방 측 방향으로 돌출된 해제단(FE)을 가진다.
2개의 해제원(522a, 522b) 중 제1 해제원(522a)은 제1 해제부재(521a)를 승강시키고, 제2 해제원(552b)은 제2 해제부재(521b)를 승강시킨다. 이러한 해제원(522a, 522b)들은 실린더로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해제원(522a, 522b)은 결합부재(JE)에 의해 이동부재(ME)에 결합되어 있다.
이탈 방지기(530)는 잠금 해제기(520)에 의해 잠금 상태가 해제되면서 잠금레버(11)의 회전력에 의해 가해지는 해제 충격으로 인하여 전자부품(ED)이 튀어 이탈하는 것을 방지한다. 이를 위해 이탈 방지기(530)는 도 8의 발췌도에서와 같이 가압부재(531), 가이더(532) 및 상승원(533)을 포함한다.
가압부재(531)는 승강 가능하게 구비되며, 전자부품(ED)을 하방으로 가압하여 전자부품(ED)이 상방으로 튀는 것을 방지한다. 이러한 가압부재(531)는 전방의 적재모듈(LM)에 있는 전자부품(ED)을 가압하기 위한 전방의 가압단(PE1)과 후방의 적재모듈(LM)에 있는 전자부품(ED)을 가압하기 위한 후방의 가압단(PE2)을 가진다. 즉, 수평한 방향으로 긴 상단부분(531a)의 전단 및 후단에서 각각 전방의 가압단(PE1)과 후방의 가압단(PE2)이 하방으로 연장되는 말굽 형태를 가진다. 그리고 가압부재(531)는 상단부분(531a)에서 상방으로 길게 뻗는 걸림봉(531b)을 가진다. 이러한 가압부재(531)의 상승은 상승원(533)에 이루어지지만, 가압부재(531)의 하강은 자중에 의한 자연 낙하에 의해 이루어진다.
참고로, 실시하기에 따라서는 가압부재(531)의 자유 낙하구조가 아닌 스프링을 구비하여 탄성력에 의해 가압부재를 하방으로 탄성 지지할 수도 있지만, 이러할 경우 전자부품의 길이에 따라 탄성부재의 압축률이 달라지고, 그 압축률에 따라 탄성력이 달라진다. 따라서 길이가 너무 긴 전자부품의 경우에는 실제 튕겨져 오르지 못 할 수도 있다. 즉, 스프링 구조보다는 본 실시예에서 채용한 가압부재(531)의 자중에 의한 자유 낙하 구조가 보다 더 바람직한 것이다.
가이더(532)는 가압부재(531)의 승강을 안내하며, 볼부쉬로 구비될 수 있다.
상승원(533)은 하강한 가압부재(531)를 상승시키기 위해 필요한 상승력을 제공한다. 이러한 상승원(533)은 승강블록(533a), 실린더(533b), 걸림부재(533c) 및 결합대(533d)를 포함한다.
승강블록(533a)은 실린더(533b)에 의해 승강된다. 이러한 승강블록(533a)는 하방으로 개구된 말굽 형태인 가압부재(531)의 상단부분(531a)의 하측 아래를 가로지르도록 설치된다. 여기서 승강블록(533a)과 가압부재(531)의 상단부분(531a)은 후술할 걸림부재(533c) 때문에 서로 접촉하지 않는다. 따라서 가압부재(531)가 자유 낙하 하거나 승강블록(533a)이 상승할 경우에도 승강블록(533a)과 가압부재(531) 간의 접촉 충격을 발생할 수 없다.
실린더(533b)는 승강블록(533a)을 승강시키는 구동원으로서 마련된다.
걸림부재(533c)는 안내봉(GR)에 의해 안내되면서 승강 가능하게 구비되며, 상승 시에 가압부재(531)에 구비된 걸림봉(531b)의 상단을 걸어서 가압부재(531)가 함께 상승될 수 있도록 한다. 이 때, 걸림부재(533c)에 결합 설치된 가이더(532)를 게재하여 걸림봉(531b)의 상단이 걸림부재(533c)에 걸리도록 되어 있다. 따라서 걸림부재(531)가 상승하면 가압부재(531)도 함께 상승하게 되므로, 가압부재(531)의 상단부분(531a)과 승강블록(533a) 간의 접촉 충돌을 발생하지 않는다. 이렇게 가압부재(531)의 상단부분(531a)과 승강블록(533a)이 서로 이격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되어 있기 때문에, 상호 추돌 및 마찰 등에 의한 파티클이나 진동 발생이 방지될 수 있다. 물론, 승강블록(533a)이 가압부재(531)의 상단부분(531a)에 접촉되도록 구성되는 것도 얼마든지 가능하게 고려될 수 있다.
결합대(533d)는 걸림부재(533c)를 승강블록(533a)에 결합시킨다. 따라서 실린더(533b)가 작동하면 승강블록(533a), 걸림부재(533c) 및 결합대(533d)가 함께 상승하거나 하강하게 된다.
참고로, 도 9의 (a)는 실린더(533b)가 승강블록(533a)을 하강시킨 상태를 도시하고 있으며, 도 9의 (b)는 승강블록(533a)의 하강에 따라 가압부재(531)가 하강된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물론, 도 9의 (a) 상태에서 승강블록(533a)이 하강하면 가압부재(531)도 거의 동시에 하강하게 되나, 승강블록(533a)과 가압부재(531)가 서로 독립적으로 하강한다는 것을 설명하기 위해 편의상 도 9의 (a)에서 가압부재(531)가 미처 하강되지 못한 것으로 도시되었다.
그리고 이탈 방지기(530)는 결합판(JP)을 게재하여 승강원(513a, 513b) 측에 결합되어 있다.
수평 이동기(540)는 전자부품 픽킹기(510)를 수평 방향으로 이동시킨다. 물론, 실시하기에 따라서는 좌우 방향 이동 및 전후 방향 이동을 위해 2개의 수평 이동기가 구비될 수도 있다.
회전기(550)는 도 5에서와 참조되는 바와 같이 수직선(PL)을 회전축으로 하여 전자부품 픽킹기(510)를 회전시키기 위해 구비된다. 따라서 전자부품 픽킹기(510)에 의해 파지된 전자부품(ED)은 임의의 각도만큼 회전된 상태에서 내려놓여질 수 있다.
이어서 위와 같이 구성되는 전자부품 이동장치(500)의 작동에 대하여 도 10 내지 도 15에 도시된 주요 부위에 대한 작동 상태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여기서 설명의 간결함을 위해 정면도를 참고하여 설명하기 때문에 후방 측에 있는 구성들은 도면에 당연히 표현되지 못하였다.
먼저, 도 10에서와 같이 수평 이동기(540)가 작동하여 전자부품 픽킹기(510)를 전자부품(ED)의 상방에 위치시킨다.
도 10의 상태에서 승강원(513a)이 작동하여 파지레버(511a, 511c)를 하강시키고, 이탈 방지기(530)가 작동하여 승강블록(533a)을 하강시킴으로써 도 11의 상태가 되게 한다. 이 때, 승강원(513a)의 작동과 이탈 방지기(530)의 작동은 동시에 이루어질 수도 있고, 어느 일 측의 작동이 먼저 이루어질 수도 있다. 물론, 이탈 방지기(530)의 작동에 의해 승강블록(533a)이 하강하면 낙하에 방해 요소가 없는 가압부재(531)도 자중에 의한 자유 낙하에 의해 하강을 하게 된다. 이 때, 가압부재(531)의 하강 종료 위치는 전자부품(ED)의 상단 높이(H)에 의해 결정된다. 즉, 도 12의 (a) 및 (b)에서 비교되는 바와 같이, 상승원(533)에 실린더(533b)가 구비되기 때문에 승강블록(533a)의 하강 높이(h)는 일정하나, 전자부품(ED, ED')의 상하 길이 차이로 인하여 가압부재(531)의 하강 종료 위치(H1, H2)는 서로 다름을 알 수 있다. 이와 같이 가압부재(531)의 하강 종료 위치는 전자부품(ED)의 규격에 따라서 자연스럽게 결정될 수 있기 때문에, 관리자가 가압부재(531)의 하강 종료 위치를 조정하기 위해 부품을 교환할 필요가 없다. 만일 모터에 의해 가압부재를 승강시키는 것을 고려할 경우에는 가압부재의 승강량을 조정하기 위해 장비의 가동을 중지시킨 후 모터의 작동량을 설정해야만 한다. 그러나 본 실시예에 의하면 단가가 저렴한 실린더(533b)를 이용하면서도 가압부재(531)의 하강 종료 위치가 전자부품(ED)의 상단 높이에 의해 자연스럽게 결정되기 때문에 가압부재(531)의 하강 종료 위치를 설정할 어떠한 번거로움도 가지지 않는다.
도 11의 상태에서 간격 조정원(512)이 작동하여 파지레버(511a, 511c) 간의 간격을 좁힘으로써 도 13의 상태가 되게 한다. 그리고 도 13의 상태에서 잠금 해제기(520)가 작동하여 해제부재(521a, 521b)를 하강시킴으로써, 해제부재(521a, 521b)가 해제핀(20)을 눌러 잠금레버(11)를 회전시키면 도 14에서 참조되는 바와 같이 전자부품(ED)의 잠금 상태가 해제된다. 이 때, 잠금레버(11)가 회전하면서 전자부품(ED)이 상방으로 힘을 받아 상승될 수 있으나, 가압부재(531)가 그 무게만큼 하방으로 전자부품(ED)을 가압하고 있기 때문에 전자부품(ED)이 살짝 들썩이는 정도의 움직임만을 가진다. 따라서 가압부재(531)의 무게는 잠금 해제기(520)의 작동 시에 전자부품(ED)이 받는 상승력을 고려하여 결정되어야 할 것이다.
이어서 조정소자(SD)가 작동하여 파지부재(GE) 간의 간격을 좁힘으로써 도 15에서와 같이 전자부품(ED)을 파지한다. 이 때, 조정소자(SD)들이 선택적으로 동작하여 전방 또는 후방의 전자부품(ED)만을 선별적으로 파지할 수도 있다.
도 15의 상태에서 상승원(533)이 작동하여 가압부재(531)를 상승시키고, 승강원(513a)이 파지레버(511a, 511c)를 상승시킨다. 그리고 잠금 해제기(520)이 작동하여 해제부재(521a, 521b)가 상승하면, 수평 이동기(540)가 작동하여 전자부품(ED)을 수평 방향으로 이동시킨 후, 전자부품 픽킹기(510)에 의해 파지된 전자부품(ED)을 목표 위치에 내려놓는다. 여기서 전자부품(ED)을 내려놓는 과정은 전자부품 픽킹기(510)만의 작동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물론, 전자부품(ED)을 내려 놓아야하는 곳에 잠금 구조가 있는 경우에는 당연히 잠금 해제기(520)의 작동도 필요할 것이다.
또한, 전자부품(ED)의 각도 조정이 필요한 경우에는 회전기(550)가 작동하여 전자부품 픽킹기(510)를 회전시킴으로써 전자부품(ED)을 회전시킬 수 있으며, 회전기(550)가 작동된 경우에는 전자부품(ED)이 일정 각도 회전된 상태로 이동되어진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한 실시예에 의해서 이루어졌지만, 상술한 실시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예를 들어 설명하였을 뿐이기 때문에, 본 발명이 상기한 실시예에만 국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아니 되며,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후술하는 청구범위 및 그 균등범위로 이해되어져야 할 것이다.
500 : 전자부품 이동장치
510 : 전자부품 픽킹기
520 : 잠금 해제기
530 : 이탈 방지기
531 : 가압부재
533: 상승원
532a : 승강부재 532b : 실린더
540 : 수평 이동기

Claims (4)

  1. 이탈이 방지되도록 잠금된 상태로 적재요소에 적재되어 있는 전자부품을 파지하거나 파지를 해제하는 전자부품 픽킹기;
    상기 전자부품 픽킹기에 의해 파지된 상태로 이동되어야 하는 전자부품의 잠금 상태를 해제하는 잠금 해제기;
    상기 잠금 해제기에 의해 잠금 상태가 해제되면서 해제 충격에 의한 전자부품의 이탈을 방지하는 이탈 방지기;
    상기 전자부품 픽킹기를 수직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수직 이동기; 및
    상기 전자부품 픽킹기를 수평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수평 이동기; 를 포함하는
    전자부품 이동장치.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이탈 방지기는,
    상기 전자부품을 하방으로 가압하여 상기 전자부품의 튐을 방지하는 가압부재; 및
    상기 가압부재를 상승시키는 상승원; 을 포함하는
    전자부품 이동장치.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상승원은 상기 가압부재의 상승에 필요한 상승력을 제공하고,
    상기 가압부재는 자중에 의해 하강됨으로써, 상기 가압부재의 하강 종료 위치가 전자부품의 상단 높이에 의해 결정되는
    전자부품 이동장치.
  4.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상승원은,
    승강 가능하게 구비되며, 상승 시에 상기 가압부재를 상승시키는 승강블록; 및
    상기 승강블록을 승강시키는 실린더; 를 포함하며,
    상기 가압부재는 상기 승강블록이 하강할 때 자중에 의해 하강하는
    전자부품 이동장치.


KR1020150156048A 2015-11-06 2015-11-06 전자부품 이동장치 KR102395884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56048A KR102395884B1 (ko) 2015-11-06 2015-11-06 전자부품 이동장치
KR1020220055036A KR102637383B1 (ko) 2015-11-06 2022-05-03 전자부품 적재를 위한 적재요소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56048A KR102395884B1 (ko) 2015-11-06 2015-11-06 전자부품 이동장치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55036A Division KR102637383B1 (ko) 2015-11-06 2022-05-03 전자부품 적재를 위한 적재요소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53475A true KR20170053475A (ko) 2017-05-16
KR102395884B1 KR102395884B1 (ko) 2022-05-10

Family

ID=59035201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56048A KR102395884B1 (ko) 2015-11-06 2015-11-06 전자부품 이동장치
KR1020220055036A KR102637383B1 (ko) 2015-11-06 2022-05-03 전자부품 적재를 위한 적재요소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55036A KR102637383B1 (ko) 2015-11-06 2022-05-03 전자부품 적재를 위한 적재요소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10239588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50483A (ko) * 2017-11-03 2019-05-13 (주)테크윙 전자부품의 테스트를 지원하는 핸들러용 픽킹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38545A (ko) * 1999-10-26 2001-05-15 장흥순 반도체 소자 검사장치용 아이씨 모듈 픽킹장치
KR20010084284A (ko) * 2000-02-24 2001-09-06 장 흥 순 반도체 메모리 모듈 검사장치용 메모리 모듈 픽킹장치
KR100739632B1 (ko) * 2005-12-21 2007-07-13 삼성전자주식회사 반도체 모듈 테스트 설비
KR20090078259A (ko) * 2008-01-14 2009-07-17 에버테크노 주식회사 에스에스디(ssd) 테스트 핸들러의 트레이 스택장치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15621A (ko) * 2006-08-16 2008-02-20 미래산업 주식회사 반도체 소자 테스트용 핸들러의 테스트 트레이
KR101028774B1 (ko) * 2008-11-13 2011-04-14 미래산업 주식회사 테스트 트레이 랫치 해제 유닛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38545A (ko) * 1999-10-26 2001-05-15 장흥순 반도체 소자 검사장치용 아이씨 모듈 픽킹장치
KR20010084284A (ko) * 2000-02-24 2001-09-06 장 흥 순 반도체 메모리 모듈 검사장치용 메모리 모듈 픽킹장치
KR100739632B1 (ko) * 2005-12-21 2007-07-13 삼성전자주식회사 반도체 모듈 테스트 설비
KR20090078259A (ko) * 2008-01-14 2009-07-17 에버테크노 주식회사 에스에스디(ssd) 테스트 핸들러의 트레이 스택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50483A (ko) * 2017-11-03 2019-05-13 (주)테크윙 전자부품의 테스트를 지원하는 핸들러용 픽킹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63137A (ko) 2022-05-17
KR102395884B1 (ko) 2022-05-10
KR102637383B1 (ko) 2024-02-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59372B1 (ko) 반도체 소자 이송장치, 핸들러, 및 반도체 소자 제조방법
US20160291079A1 (en) Automated testing platform
JP2003066094A (ja) テストハンドラの半導体デバイスローディング装置
TWI448703B (zh) 電子部件測試設備用分選機及向裝載機構裝載電子部件之方法
JP2000258507A (ja) モジュールicハンドラーのキャリアハンドリング装置及びその方法
KR102561144B1 (ko) 전자부품의 테스트를 지원하는 핸들러용 픽킹장치
KR102637383B1 (ko) 전자부품 적재를 위한 적재요소
CN112830420A (zh) 一种汽车维护用升降台及其使用方法
KR101276267B1 (ko) 트레이 순환장치
KR100718847B1 (ko) 반도체 패키지용 트레이 공급장치
CN109110476A (zh) 运料装置
KR102249574B1 (ko) 전자부품 언로딩장비
KR101508507B1 (ko) 비전검사장비의 픽커 유니트
KR102214037B1 (ko) 전자부품 로딩장비
US6190111B1 (en) Tray inverting apparatus and methods
CN216779518U (zh) 一种换型装置
TW201413861A (zh) 晶圓固持裝置
US6695546B2 (en) Single drive aligner elevation apparatus for an integrated circuit handler
KR102252639B1 (ko) 전자부품 언로딩장비
TWI603103B (zh) 用於測試分選機的姿勢轉換裝置及測試分選機
KR102438462B1 (ko) 전자부품 핸들러용 개방장치
JP2919656B2 (ja) 部品供給装置
KR102095859B1 (ko) 반도체소자 테스트용 핸들러, 반도체소자 테스트용 핸들러의 트레이 지지체및 연결기
CN217426834U (zh) 一种间距可调的化成装置
KR102302518B1 (ko) 피치 가변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픽업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