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52467A - 유기발광 표시장치 - Google Patents

유기발광 표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52467A
KR20170052467A KR1020160137889A KR20160137889A KR20170052467A KR 20170052467 A KR20170052467 A KR 20170052467A KR 1020160137889 A KR1020160137889 A KR 1020160137889A KR 20160137889 A KR20160137889 A KR 20160137889A KR 20170052467 A KR20170052467 A KR 2017005246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emitting
electrode
disposed
organic light
reg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378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651166B1 (ko
Inventor
김진태
김수강
조소영
구원회
장지향
임현수
최민근
Original Assignee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US15/337,517 priority Critical patent/US10374197B2/en
Priority to CN201910548242.7A priority patent/CN110265573B/zh
Priority to CN201610930495.7A priority patent/CN107068891B/zh
Publication of KR201700524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52467A/ko
Priority to US16/450,174 priority patent/US11069879B2/en
Priority to US17/351,061 priority patent/US11963391B2/en
Priority to KR1020240038720A priority patent/KR2024004189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5116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5116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0/85Arrangements for extracting light from the devices
    • H10K50/854Arrangements for extracting light from the devices comprising scattering means
    • H01L51/5268
    • H01L27/3225
    • H01L27/3246
    • H01L27/326
    • H01L51/0032
    • H01L51/5012
    • H01L51/5206
    • H01L51/5221
    • H01L51/5275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10OLEDs or polymer light-emitting diodes [PLED]
    • H10K50/11OLEDs or polymer light-emitting diodes [PLED] characterised by the electroluminescent [EL] layer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0/805Electrodes
    • H10K50/81Anode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0/805Electrodes
    • H10K50/82Cathode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0/85Arrangements for extracting light from the devices
    • H10K50/856Arrangements for extracting light from the devices comprising reflective mean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0/85Arrangements for extracting light from the devices
    • H10K50/858Arrangements for extracting light from the devices comprising refractive means, e.g. lense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10OLED display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10OLED displays
    • H10K59/12Active-matrix OLED [AMOLED] displays
    • H10K59/121Active-matrix OLED [AMOLED] displays characterised by the geometry or disposition of pixel element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10OLED displays
    • H10K59/12Active-matrix OLED [AMOLED] displays
    • H10K59/122Pixel-defining structures or layers, e.g. bank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85/00Organic materials used in the body or electrodes of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 H01L2227/32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0/805Electrodes
    • H10K50/81Anodes
    • H10K50/813Anode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Abstract

본 발명은 유기발광 표시장치를 개시한다. 개시된 본 발명의 유기발광 표시장치는 발광영역과 비 발광영역으로 구분되는 기판 상에 배치되고, 발광영역에서는 복수의 마이크로 렌즈가 배치되고, 비 발광영역에서는 적어도 1 개의 함몰부를 구비하는 오버코트층을 포함한다. 그리고, 오버코트층 상에 배치되고, 발광영역 전체와 비 발광영역의 일부에 배치되는 제 1 전극, 비 발광영역에서 함몰부와 중첩하도록 배치되는 뱅크 패턴, 기판 상에 배치되는 유기발광층 및 유기발광층 상에 배치되는 제 2 전극을 포함한다. 이를 통해, 빛샘을 방지할 수 있는 유기발광 표시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유기발광 표시장치{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Device}
본 발명은 패턴이 적용된 산란층을 포함하는 유기발광 표시장치에 관한 것이다.
유기발광 표시장치는 자체 발광형 표시장치로서, 액정 표시장치와는 달리 별도의 광원이 필요하지 않아 경량 박형으로 제조 가능하다. 또한, 유기발광 표시장치는 저전압 구동에 의해 소비 전력 측면에서 유리할 뿐만 아니라, 색상 구현, 응답 속도, 시야각, 명암 대비비(contrast ratio; CR)도 우수하여, 차세대 디스플레이로서 연구되고 있다.
유기발광 표시장치의 유기발광층에서 발광된 광은 유기발광 표시장치의 여러 구성요소들을 통과하여 유기발광 표시장치 외부로 나오게 된다. 그러나, 유기 발광층에서 발광된 광 중 유기발광 표시장치 외부로 나오지 못하고 유기발광 표시장치 내부에 갇히는 광들이 존재하게 되어, 유기발광 표시장치의 광 추출 효율이 문제가 된다.
특히, 유기발광 표시장치 중 하부발광 구조의 유기발광 표시장치에서 애노드 전극에 의해 전반사 또는 광 흡수가 일어나 상기 유기발광 표시장치 내부에 갇히는 광은 유기발광층에서 발광된 광 중 약 50%이고, 기판에 의해 전반사 또는 광흡수가 일어나 유기발광 표시장치 내부에 갇히는 광은 유기발광층에서 발광된 광 중 약 30%정도이다. 이와 같이, 유기발광층에서 발광된 광 중 약 80%의 광이 유기발광 표시장치 내부에 갇히게 되고, 약 20%의 광만이 외부로 추출되므로 광 효율이 매우 낮다.
이러한 유기발광 표시장치의 광 추출 효율을 향상시키기 위해, 유기발광 표시장치의 기판 외측에 마이크로 렌즈 어레이(micro lens array; MLA)를 부착하거나, 유기발광 표시장치의 오버코트층에 마이크로 렌즈를 형성하는 방법이 제안되고 있다.
그러나, 마이크로 렌즈 어레이 및 마이크로 렌즈를 적용함으로써, 유기발광소자로부터 발생되는 광중 인접한 서브화소 방향으로 발광되는 광은 발광영역의 가장자리에 형성된 배치된 마이크로 렌즈로 인해 발생하는 추가 경사면에 의해 오버코트층을 따라 진행하여 인접하여 배치되는 다른 색상을 발광하는 서브화소까지 도달하여 빛샘 현상을 일으킬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패턴이 적용된 산란층을 포함하는 유기발광 표시장치에서 빛샘을 방지하고 광 추출 효율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는 유기발광 표시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일 실시예에 따른 유기발광 표시장치는 발광영역과 비 발광영역으로 구분되는 기판을 포함한다. 또한, 일 실시예에 따른 유기발광 표시장치는 기판 상에 배치되고, 발광영역에서는 오목부와 연결부를 포함하는 복수의 마이크로 렌즈가 배치되고, 비 발광영역에서는 적어도 1 개의 함몰부를 구비하는 오버코트층을 포함한다. 또한, 일 실시예에 따른 유기발광 표시장치는 오버코트층 상에 배치되고, 발광영역 전체와 비 발광영역의 일부에 배치되는 제 1 전극을 포함한다. 또한, 일 실시예에 따른 유기발광 표시장치는 비 발광영역에서 함몰부와 중첩하도록 배치되는 뱅크 패턴을 포함한다. 또한, 일 실시예에 따른 유기발광 표시장치는 기판 상에 배치되는 유기발광층을 포함한다. 또한, 실시예에 따른 유기발광 표시장치는 유기발광층 상에 배치되는 제 2 전극을 포함한다.
또한, 다른 실시예에 따른 유기발광 표시장치는 복수의 발광영역 및 상기 복수의 발광영역을 둘러싸는 비 발광영역으로 구분되는 기판을 포함한다. 또한, 다른 실시예에 따른 유기발광 표시장치는 기판 상에 배치되고, 발광영역에 오목부와 연결부를 포함하는 복수의 마이크로 렌즈를 구비하고, 상기 비 발광영역에 적어도 1 개의 함몰부를 구비하는 오버코트층을 포함한다. 또한, 다른 실시예에 따른 유기발광 표시장치는 발광영역에서 오버코트층 상에 배치되는 제 1 전극을 포함한다. 또한, 다른 실시예에 따른 유기발광 표시장치는 제 1 전극, 오버코트층 및 상기 함몰부 상에 배치되는 유기발광층을 포함한다. 또한, 다른 실시예에 따른 유기발광 표시장치는 유기발광층 상에 배치되는 제 2 전극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유기발광 표시장치는 비 발광영역에서 오버코트층이 적어도 1 개의 함몰부를 구비하고, 상기 함몰부와 중첩하도록 뱅크 패턴이 배치됨으로써, 유기발광소자로부터 발광된 광이 다른 색상을 발광하는 서브화소로 진행되어 빛샘 현상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유기발광 표시장치는 비 발광영역에서 오버코트층이 적어도 1 개의 함몰부를 구비하고, 상기 함몰부의 형상을 따라 반사전극이 배치됨으로써, 유기발광소자로부터 발광된 광이 다른 색상을 발광하는 서브화소로 진행되는 광을 흡수하여 빛샘을 방지하거나 반사시켜 광 추출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유기발광 표시장치는 오버코트층의 돌출부 상에 배치되는 제 1 전극의 위치가 마이크로 렌즈의 연결부 상에 배치되는 유기발광소자의 위치보다 높게 위치함으로써, 광 추출 효율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이 적용될 수 있는 유기발광 표시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유기발광 표시장치의 평면도이다.
도 3 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유기발광 표시장치의 A-B를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4는 오버코트층 상에 복수의 마이크로 렌즈와 복수의 함몰부를 형성하는 데 사용되는 마스크의 일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유기발광 표시장치에서 빛샘 현상이 억제되는 원리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다른 형태의 함몰부를 구비하는 유기발광 표시장치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7은 또 다른 형태의 함몰부를 구비하는 유기발광 표시장치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유기발광 표시장치의 평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유기발광 표시장치의 C-D를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유기발광 표시장치에서 빛샘 현상이 억제되는 원리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유기발광 표시장치의 평면도이다.
도 12는 도 11를 E-F를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13은 제 4 실시예에 따른 유기발광 표시장치의 평면도이다.
도 14는 도13을 G-H를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15는 제 5 실시예에 따른 유기발광 표시장치의 평면도이다.
도 16은 제 6 실시예에 따른 유기발광 표시장치의 평면도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브화소가 적용된 유기발광 표시장치의 1 개의 화소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다음에 소개되는 실시예들은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예로서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하 설명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상으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그리고 도면들에 있어서, 장치의 크기 및 두께 등은 편의를 위하여 과장되어 표현될 수도 있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서 동일한 참조번호들은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상으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요소를 지칭한다. 도면에서 층 및 영역들의 크기 및 상대적인 크기는 설명의 명료성을 위해 과장될 수 있다.
소자(element) 또는 층이 다른 소자 또는 "위(on)" 또는 "상(on)"으로 지칭되는 것은 다른 소자 또는 층의 바로 위뿐만 아니라 중간에 다른 층 또는 다른 소자를 개재한 경우를 모두 포함한다. 반면, 소자가 "직접 위(directly on)" 또는 "바로 위"로 지칭되는 것은 중간에 다른 소자 또는 층을 개재하지 않는 것을 나타낸다.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인 "아래(below, beneath)", "하부 (lower)", "위(above)", "상부(upper)" 등은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하나의 소자 또는 구성 요소들과 다른 소자 또는 구성 요소들과의 상관관계를 용이하게 기술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는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방향에 더하여 사용시 또는 동작 시 소자의 서로 다른 방향을 포함하는 용어로 이해 되어야 한다. 예를 들면,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소자를 뒤집을 경우, 다른 소자의 "아래(below)" 또는 "아래(beneath)"로 기술된 소자는 다른 소자의 "위(above)"에 놓여질 수 있다. 따라서, 예시적인 용어인 "아래"는 아래와 위의 방향을 모두 포함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 차례, 순서 또는 개수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이 적용될 수 있는 유기발광 표시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들이 적용되는 유기발광 표시장치는 박막 트랜지스터(Tr) 및 상기 박막 트랜지스터(Tr)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유기발광소자(EL)를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 1 기판(100) 상에 박막 트랜지스터(Tr)의 게이트 전극(101) 및 게이트 절연막(102)이 배치된다. 상기 게이트 절연막(102) 상에는 상기 상기 게이트 전극(102)과 중첩하는 액티브층(103)이 배치된다. 상기 액티브층(103) 상에는 액티브층(103)의 채널 영역을 보호하기 위한 식각정지층(106)이 배치된다.
그리고, 상기 액티브층(103) 상에는 상기 액티브층(103)과 접촉하는 소스전극(105a) 및 드레인전극(105b)이 배치된다. 상기 소스전극(105a) 및 드레인전극(105b) 상에는 보호층(107)이 배치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이 적용될 수 있는 유기발광 표시장치는 도 1에 국한되지 않으며, 상기 제 1 기판(100)과 액티브층(103) 사이에 배치되는 버퍼층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보호층(107) 상에는 오버코트층(110a)이 배치된다. 오버코트층(110a) 상에는 제 1 전극(120a), 유기발광층(130a) 및 제 2 전극(140a)으로 이루어지는 유기발광소자(EL)가 배치된다. 여기서, 제 1 전극(120a) 또는 제 2 전극(140a) 중 어느 하나의 전극은 반사율이 높은 금속으로 이루어진 반사층일 수 있다. 한편, 금속과 유기층 경계에서 발생하는 표면 플라즈몬 성분과 양쪽 반사층 내부에 삽입된 유기발광층(130a)에 의해 구성되는 광 도파 모드가 발광된 빛의 60~70 % 가량 차지한다. 빛이 발광하지 못하고 유기발광층(130a) 내부에 갇히는 현상이 발생하는 바, 유기발광층(130a)으로부터 발생하는 광을 표시장치 외부로 추출하는 것이 필요하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유기발광 표시장치의 오버코트층(110a)은 복수의 오목부(111a)와 서로 인접한 오목부(111a)를 연결하는 복수의 연결부(112a)를 포함한다. 복수의 오목부(111a)는 반구 형상 또는 반타원체 형상일 수 있으나, 이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복수의 오목부(111a) 및 서로 인접한 오목부(111a)를 연결하는 연결부(112a)는 각 서브화소의 발광영역에 대응하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발광 영역은 제 1 전극(120a) 및 제 2 전극(140a)에 의해 유기발광층(130a)이 발광하는 영역을 의미한다.
상기 복수의 오목부(111a) 및 서로 인접한 오목부(111a)를 연결하는 연결부(112a)가 각 서브화소의 발광영역에 대응하는 위치에 배열됨으로써, 상기 유기발광소자(EL)로부터 발광된 광이 표시장치 외부로 더욱 추출될 수 있다.
상기 오버코트층(110a) 상에는 상기 박막 트렌지스터(Tr)의 드레인전극(105b)과 연결되는 유기발광소자(EL)의 제 1 전극(120a)이 배치된다. 또한,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으나, 상기 제 1 전극(120a) 하부에는 반사층이 더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오버코트층(110a) 상에는 상기 제 1 전극(120a)의 상면의 일부를 노출하도록 뱅크 패턴(150a)이 배치된다. 상기 뱅크 패턴(150a)에 의해 노출된 제 1 전극(120a)의 상면 및 상기 뱅크 패턴(150a) 상에는 유기발광층(130a)이 배치된다.
여기서, 상기 유기발광층(130a)은 상기 뱅크 패턴(150a)에 의해 노출된 제 1 전극(120a)의 상면에만 배치되거나, 상기 제 1 전극(120a) 및 뱅크 패턴(150a) 상부까지 배치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유기발광층(130a) 및 뱅크 패턴(150a)과 중첩하도록 유기발광소자(EL)의 제 2 전극(140a)이 배치된다.
또한, 상기 제 2 전극(140a) 상에는 유기발광소자(EL)를 수분 및 산소로부터 보호하기 위한 봉지층(160)이 배치된다. 도 1에서는 상기 봉지층(160)이 단일층 구성을 개시하고 있으나,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이에 국한되지 않으며, 다중층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상기 봉지층(160) 상에는 제 2 기판(170)이 배치될 수 있다.
또한,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으나, 상기 제 2 기판(170)의 상면에는 편광판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편광판은 일정 방향의 편광축을 가지는 편광판일 수 있으며, 상기 제 2 기판(170) 상면으로부터 입사되는 광에서 상기 편광축과 동일한 방향의 축을 가지는 광만 통과시킬 수 있다. 한편, 편광판이 제 2 기판(170)의 상면에 배치되는 구성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국한되지 않으며, 편광판은 제 1 기판(100) 배면에 배치될 수도 있다.
상기 편광판은 단일층 또는 다중층으로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편광판이 일정 방향의 편광축을 가지는 특징을 서술하였으나,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이에 국한되지 않으며, 상기 편광판은 위상지연필름을 더 구비하는 구성을 포함한다.
또한, 도 1에서는 상부발광(top-emission) 방식의 유기발광 표시장치를 중심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필요에 따라서 하부발광(bottom-emission) 또는 양면발광(dual-emission) 방식의 유기발광 표시장치에도 적용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가 하부발광 방식의 유기발광 표시에 적용될 경우, 상기 보호층(107) 상에는 컬러필터층이 배치될 수도 있다. 이 때, 상기 컬러필터층은 복수의 서브화소 각각에 배치되거나, 복수의 서브화소 중에서 일부의 서브화소에만 배치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컬러필터층은 각 서브화소의 발광영역에 대응하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발광영역은 제 1 전극(120a) 및 제 2 전극(140a)에 의해 유기발광층(130a)이 발광하는 영역을 의미하고, 발광 영역에 대응하는 위치에 컬러필터층이 형성된다는 것은 인접한 발광 영역들에서 발광된 광이 서로 섞여 블러링 현상 및 고스트 현상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컬러필터층이 배치되는 것을 의미한다.
전술한 바와 같은 유기발광 표시장치에서 광 추출 효율을 향상시키기 위해, 상기 오목부(111a) 및 서로 인접한 오목부(111a)를 연결하는 연결부(112a)로 구성되는 마이크로 렌즈가 형성된 오버코트층(110a)을 도입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마이크로 렌즈와 유기발광소자의 제 1 전극(120a) 계면에 입사되는 광 중, 입사각이 전반사 임계각 이하로 입사되는 광은 반사층에 반사되어 그대로 상기 제 2 기판(170) 밖으로 추출된다. 그리고, 입사각이 전반사 임계각 이상으로 입사되는 광은 유기발광소자(EL) 안에 갇히지 않고, 상기 마이크로 렌즈에 부딪혀 광 경로가 변경됨으로써, 최종적으로 전반사 임계각보다 광의 진행 각도가 작아지게 되어, 제 2 기판(170) 밖으로 추출된다.
한편, 본 발명의 화소(pixel)는 하나 이상의 서브화소(subpixel)를 포함한다. 예를 들면, 1 개의 화소는 2 개 내지 4 개의 서브화소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서브화소는 특정한 한 종류의 컬러필터층이 형성되거나, 또는 컬러필터층이 형성되지 않고 유기발광소자가 특별한 색상을 발광할 수 있는 단위를 의미한다. 서브화소에서 정의하는 색상으로 적색(R), 녹색(G), 청색(B)과 선택적으로 백색(W)를 포함할 수 있으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표시패널의 각 서브화소 영역의 발광을 제어하는 박막 트랜지스터에 연결된 전극을 제 1 전극이라 하며, 표시패널 전면에 배치되거나, 또는 둘 이상의 화소 영역을 포함하도록 배치된 전극을 제 2 전극이라 한다. 상기 제 1 전극이 애노드 전극인 경우 제 2 전극이 캐소드 전극이 되며, 그 역의 경우도 가능하다. 이하, 제 1 전극의 일 실시예로 애노드 전극을, 제 2 전극의 일 실시예로 캐소드 전극을 중심으로 설명하지만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전술한 서브화소 영역에는 단일한 색상의 컬러필터층이 배치될 수 있으나, 본 발명이 이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각각의 서브화소 영역에는 유기발광층의 광추출 효율을 높이기 위해 산란층(light-scattering layer)이 배치될 수 있다. 전술한 산란층은 마이크로 렌즈 어레이(micro lens array), 마이크로 렌즈 (micro lens), 나노패턴(nano pattern), 확산패턴(diffuse pattern), 실리카비드(silica bead) 또는 아웃커플링(out-coupling) 구조로 명명될 수 있다.
이하 산란층의 실시예들로 마이크로 렌즈를 중심으로 설명하지만,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이 이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며 빛을 산란시키는 다양한 구조가 결합될 수 있다.
상술한 유기발광 표시장치에 적용될 수 있는 본 발명의 유기발광 표시장치의 실시예들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유기발광 표시장치의 평면도이다. 도 2에서는 1 개의 서브화소에서 발광영역(EA)과 발광영역(EA)에 인접하는 비 발광영역의 일부를 도시한다. 여기서, 상기 발광영역(EA)은 적색(R), 녹색(G), 청색(B) 또는 백색(W) 중 어느 하나의 색상을 발광하는 발광영역(EA)일 수 있으나, 이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다.
한편,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유기발광 표시장치는 1 개의 화소가 2 개 내지 4 개의 서브화소를 포함하고, 도 2 에서 설명하는 구성들은 1 개의 화소를 구성하는 서브화소들 중 적어도 1 개의 서브화소에 적용될 수 있다.
상기 발광영역(EA)에는 복수의 마이크로 렌즈가 배치된다. 상기 마이크로 렌즈는 외부 광 추출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복수의 마이크로 렌즈는 오버코트층(110)의 오목부(111) 및 상기 오목부(111)와 인접하여 배치되는 다른 오목부(111) 사이를 연결하는 연결부(112)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복수의 마이크로 렌즈가 형성된 오버코트층(110) 상에는 유기발광소자가 배치될 수 있다.
한편, 도 2에서는 마이크로 렌즈가 평면도 상에서 육각형인 구성을 도시하고 있으나,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마이크로 렌즈의 형상은 이에 국한되지 않으며, 마이크로 렌즈의 형상은 원형 또는 타원 등의 형상일 수도 있다.
상기 발광영역(EA)과 인접하는 비 발광영역의 일부에는 유기발광소자의 제 1 전극(120) 및 상기 제 1 전극(120)과 중첩하도록 배치되는 뱅크 패턴(150)이 배치된다. 여기서, 상기 뱅크 패턴(150)은 오버코트층(110)에 형성된 함몰부와 중첩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을 도 3을 참조하여 자세히 검토하면 다음과 같다.
한편, 도 3에서는 오버코트층(110)에 형성된 함몰부가 평면상으로 발광영역(EA)을 둘러싸도록 배치되는 구성을 개시하고 있으나, 제 1 실시예에 따른 유기발광 표시장치는 이에 국한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평면상으로 함몰부(117)는 발광영역(EA)의 상부 또는 하부 중 적어도 1 개의 영역에 배치되거나, 함몰부(117)는 발광영역(EA)의 좌측 또는 우측 중 적어도 1개의 영역에만 배치될 수 있다.
특히, 함몰부가 발광영역(EA)의 상부 또는 하부 중 적어도 1 개의 영역에 배치될 경우, 오버코트층(110) 경화 시, 경화가 덜 된 영역에서 분자량이 낮은 물질이 외부로 빠져나가는 데 용이할 수 있다. 자세하게는, 오버코트층(110)의 반경화 영역이 발생할 경우, 분자량이 낮은 물질로 인한 아웃개싱(outgassing)이 발생하는데, 이로 인해, 패널의 불량을 야기할 수 있다. 그러나, 본 실시예들에서는 오버코트층(110)의 함몰부가 발광영역(EA)의 적어도 일 측에 배치됨으로써, 분자량이 낮은 물질이 빠져나가 패널 불량이 발생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도 3 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유기발광 표시장치의 A-B를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유기발광 표시장치는 발광영역(EA)과 비 발광영역(NEA)으로 구분되는 제 1 기판(100)을 포함한다.
발광영역(EA)에서는 오버코트층(110) 상에 배치되는 복수의 마이크로 렌즈를 포함하고, 상기 마이크로 렌즈는 오목부(111)와 서로 다른 오목부 사이를 연결하는 연결부(112)로 구성된다. 한편, 본 실시예에 따른 유기발광 표시장치가 오버코트층(110) 하부에 배치되는 컬러필터층을 포함할 경우, 컬러필터층이 복수의 마이크로 렌즈에 의해 노출되거나 노출되지 않는 경우를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컬러필터층이 복수의 마이크로 렌즈에 의해 노출될 경우, 컬러필터층의 표면은 복수의 마이크로 렌즈의 형상을 구비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컬러필터층은 오버코트층(110)의 복수의 마이크로 렌즈의 오목부와 대응되는 영역에서 노출될 수 있다. 그리고, 컬러필터층은 오버코트층(110)의 복수의 오목부와 대응되는 영역에서 복수의 오목부를 구비할 수 있으며, 경우에 따라 복수의 볼록부를 함께 구비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컬러필터층이 복수의 마이크로 렌즈에 의해 노출되더라도 마이크로 렌즈에 의한 광 추출 효과에는 영향을 주지 않을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유기발광소자(EL)는 오버코트층(110)의 복수의 마이크로 렌즈의 오목부와 대응되는 영역에서 가장 약하게 발광될 수 있는데, 컬러필터층이 노출된 영역은 오버코트층(110)의 복수의 마이크로 렌즈의 오목부와 대응되는 영역이므로, 컬러필터층의 노출은 마이크로 렌즈에 의한 광 추출 효율에 큰 영향을 미치지 않을 수 있다.
상기 복수의 마이크로 렌즈 상에는 제 1 전극(120), 유기발광층(130) 및 제 2 전극(140)으로 구성되는 유기발광소자(EL)가 배치된다.
여기서, 상기 유기발광소자(EL)는 복수의 마이크로 렌즈의 모폴로지(morphology)에 의해 유기발광소자(EL)의 표면에 오목한 굴곡이 나타날 수 있으나, 이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다. 한편, 도 2에서는 복수의 마이크로 렌즈가 복수의 오목부(111)를 포함하는 구성을 도시하고 있으나,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이에 국한되지 않으며, 복수의 마이크로 렌즈가 복수의 볼록부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비 발광영역(NEA) 또는 비 발광영역(NEA)과 인접한 발광영역(EA)에서는 오버코트층(110) 상에 적어도 1 개의 단차(115)가 형성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오버코트층(110) 상에 배치되는 제 1 전극(120)의 단락(short)를 방지할 수 있다.
자세하게는, 발광영역(EA)에서 오버코트층(110) 상에 배치되는 복수의 마이크로 렌즈로 인해, 발광영역(EA)과 비 발광영역(NEA)의 경계에서 오버코트층(110)의 경사가 급격히 달라지는 영역이 발생하고, 이로 인해, 제 1 전극(120)의 단락이 발생할 수 있다.
이 때, 발광영역(EA)과 비 발광영역(NEA)의 경계에서 오버코트층(110)이 적어도 1 개의 단차(115)를 구비함으로써, 마이크로 렌즈에 의한 오버코트층(110)의 경사를 완화시켜, 오버코트층(110) 상에 배치되는 제 1 전극(120)의 단락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비 발광영역(NEA)에서는 오버코트층(110) 상에 배치되는 적어도 1 개의 함몰부(117)를 포함한다. 자세하게는, 비 발광영역(NEA)에서 오버코트층(110) 상에 복수의 함몰부(117)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함몰부(117)의 높이(H1)는 비 발광영역(NEA)에서의 오버코트층(110)의 높이(H2)보다 낮게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 따른 유기발광 표시장치는 오버코트층(110)의 하부에 컬러필터층이 배치될 경우, 함몰부(117)로 인해 컬러필터층이 노출되거나 노출되지 않는 경우를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유기발광 표시장치의 오버코트층(110)에는 발광영역(EA)에서 복수의 마이크로 렌즈가 형성되고, 비 발광영역(NEA)에서 복수의 함몰부(117)가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오버코트층(110)은 마스크를 이용한 패터닝을 통해 얻을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조를 갖는 오버코트층(110)을 형성하는 데 필요한 마스크를 도 4를 참조하여 검토하면 다음과 같다. 도 4는 오버코트층 상에 복수의 마이크로 렌즈와 복수의 함몰부를 형성하는 데 사용되는 마스크의 일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유기발광 표시장치의 오버코트층은 마스크(600)를 이용한 노광 공정을 통해 복수의 마이크로 렌즈 및 복수의 함몰부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마스크(600)는 복수의 마이크로 렌즈를 형성하기 위한 복수의 제 1 패턴(601)과 복수의 함몰부를 형성하기 위한 복수의 제 2 패턴(602)을 구비할 수 있다.
오버코트층의 노광 공정 시 상기 마스크(600)는 오버코트층이 배치된 기판과 대향하여 배치된다. 이 때, 마스크의 복수의 제 1 패턴(601)은 기판의 발광영역과 대응되도록 배치되고, 복수의 제 2 패턴(602)은 기판의 비 발광영역과 대응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오버코트층의 재료에 따라, 제 1 패턴(601)과 제 2 패턴(602)은 광을 투과하거나 광을 차단하는 영역일 수 있다.
상기 함몰부(117) 상에는 발광영역(EA)에 배치된 유기발광소자(EL)의 제 1 전극(120)이 연장되어 배치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제 1 전극(120)은 함몰부(117) 내부의 일부만을 채우도록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함몰부(117) 내부의 나머지 일부 전체를 채우도록 뱅크 패턴(150)이 배치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뱅크 패턴(150)은 발광영역(EA)과 비 발광영역(NEA)을 정의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뱅크 패턴(150) 상에는 유기발광소자(EL)의 유기발광층(130) 및 제 2 전극(140)이 발광영역(EA)으로부터 연장되어 배치될 수 있다. 한편, 도 5에서는 상기 유기발광층(130)이 뱅크 패턴(150) 상에 배치되는 구성을 도시하고 있으나,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는 이에 국한되지 않으며, 유기발광층(130)은 발광영역(EA)에 배치된 제 1 전극(120) 상에만 배치될 수도 있다.
비 발광영역(NEA)에 배치된 적어도 1 개의 함몰부(117) 내부를 채우는 뱅크 패턴(150)은 불투명한 유기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유기발광소자(EL)로부터 발광된 광이 인접한 다른 서브화소에 도달하여 빛샘 성분으로 추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러한 원리를 도 5를 참조하여 자세히 검토하면 다음과 같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유기발광 표시장치에서 광 추출 현상 및 빛샘 현상이 억제되는 원리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유기발광소자(EL)로부터 발광된 광(1000)은 360도 방향, 즉, 전 방향으로 출사된다. 여기서, 상기 유기발광소자(EL)로부터 발광된 광(1000) 중 일부는 마이크로 렌즈를 통해 제 1 기판(100) 외부로 추출된다.
자세하게는, 본 실시예에 따른 유기발광 표시장치가 하부발광 방식의 유기발광 표시장치일 때, 유기발광소자(EL)의 제 1 전극(120)과 유기발광층(130)의 굴절률은 상기 제 1 기판(100) 및 오버코트층(110)의 굴절률보다 크게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제 1 기판(100)과 오버코트층(110)의 굴절률은 약 1.5이고, 유기발광소자(EL)의 제 1 전극(120) 및 유기발광층(130)의 굴절률은 1.7 내지 2.0일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유기발광층(130)과 제 1 전극(120)의 굴절률은 거의 동일하므로 상기 유기발광층(130)에서 발생된 광(1000)은 상기 유기발광층(130)과 제 1 전극(120) 계면에서 광 경로가 변경되지 않는다. 한편, 상기 제 1 전극(120)을 통과한 광(1000)은 상기 제 1 전극(120)과 오버코트층(110)의 굴절률 차이로 인해, 상기 제 1 전극(120)과 오버코트층(110)의 계면에서 입사각이 전반사 임계각 보다 작은 각도로 입사되거나, 전반사 임계각 이상으로 입사될 수 있다.
이 때, 제 1 전극(120)과 오버코트층(110) 계면에서 전반사 임계각 보다 작은 각도로 입사되는 광은 제 1 기판(100) 밖으로 추출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유기발광소자(EL)의 제 2 기판(미도시) 방향으로 진행되는 광은 제 2 전극(140)에 의해 반사되어 다시 제 1 기판(100) 방향으로 진행 방향이 변경되고, 마이크로 렌즈로 인해 제 1 기판(100) 밖으로 추출된다. 이를 통해, 발광영역(EA)에서 광 추출 효율이 향상될 수 있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 따른 유기발광 표시장치가 상부발광 방식의 유기발광 표시장치일 때, 유기발광소자(EL)로부터 발광된 광의 일부는 제 2 기판(미도시) 방향으로 출사된다. 그리고, 유기발광소자(EL)로부터 발광된 광의 일부는 제 1 전극(120)에의해 반사되어 제 2 기판(미도시) 밖으로 추출된다.
또한, 유기발광소자(EL)로부터 발생되는 광(1000) 중 인접한 서브화소 방향으로 발광되는 광은 발광영역(EA)의 가장자리에 형성된 배치된 마이크로 렌즈로 인해 발생하는 추가 경사면에 의해 오버코트층(110)을 따라 진행하여 인접하여 배치되는 다른 색상을 발광하는 서브화소까지 도달하여 빛샘 현상을 일으킬 수 있다. 특히, 제 1 전극(120)이 반사전극이 아닐 경우, 빛샘 현상은 더욱 문제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비 발광영역(NEA)에서 오버코트층(110)에 배치된 적어도 1 개의 함몰부(117)와 중첩하도록 뱅크 패턴(150)이 배치됨으로써, 유기발광소자(EL)로부터 발생되는 광(1000) 중 인접한 서브화소 방향으로 발광되는 광이 오버코트층(110)을 따라 진행하여 다른 색상을 발광하는 서브화소까지 도달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뱅크 패턴(150)은 불투명한 유기 물질로 이루어짐으로써, 오버코트층(110)을 따라 진행하는 광을 흡수할 수 있다. 따라서, 인접하여 배치되는 다른 서브화소까지 광이 진행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뱅크 패턴(150)이 함몰부(117) 내부의 전체를 채우도록 배치됨으로써, 상기 함몰부(117)에 도달하는 광을 모두 흡수하여 인접하는 다른 서브화소에 광이 진행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서로 다른 서브화소 간의 빛샘이 발생하는 현상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함몰부는 도 6과 같이 이루어질 수도 있다. 도 6은 다른 형태의 함몰부를 구비하는 유기발광 표시장치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6에 따른 유기발광 표시장치는 앞서 설명한 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앞서 설명한 실시예와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할 수 있다. 또한, 동일한 구성은 동일한 도면부호를 갖는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유기발광 표시장치는 1 개의 서브화소에서 비 발광영역(NEA)에서 오버코트층(210) 상에 배치되는 1 개의 함몰부(217)를 포함한다. 이 때, 상기 함몰부(217) 내부의 일부에는 유기발광소자(EL)의 제 1 전극(120)이 배치되고, 상기 제 1 전극(120) 상에 함몰부(217)의 나머지 내부를 채우도록 뱅크 패턴(250)이 배치된다.
상기 함몰부(217)를 통해 뱅크 패턴(250)이 오버코트층(210) 내부 깊숙이 침투하도록 배치됨으로써, 유기발광소자(EL)로부터 발광되는 광 중 인접한 서브화소 방향으로 진행되는 광을 흡수하여, 다른 서브화소까지 진행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함몰부는 도 7과 같이 이루어질 수도 있다. 도 7은 또 다른 형태의 함몰부를 구비하는 유기발광 표시장치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7에 따른 유기발광 표시장치는 앞서 설명한 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앞서 설명한 실시예와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할 수 있다. 또한, 동일한 구성은 동일한 도면부호를 갖는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유기발광 표시장치는 1 개의 서브화소에서 비 발광영역(NEA)에서 오버코트층(310) 상에 배치되는 복수의 함몰부(317)를 포함한다. 이 때, 상기 함몰부(317)는 제 1 기판(100)을 노출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함몰부(317)를 내부 전체를 채우도록 뱅크 패턴(350)이 배치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뱅크 패턴(350)의 일부는 제 1 전극(220)의 일부와 중첩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뱅크 패턴(350)은 상기 제 1 전극(220)과 함몰부(317)를 제외한 다른 비 발광영역(NEA)에서 중첩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즉, 함몰부(317) 내부에서 제 1 전극(220)과 중첩되지 않을 수 있으나, 이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함몰부(317)가 제 1 기판(100)을 노출하도록 위치하고, 상기 함몰부(317) 내부 전체에 뱅크 패턴(350)이 배치됨으로써, 유기발광소자(EL)로부터 발광된 광 중 인접한 서브화소 방향으로 진행하는 광을 효과적으로 흡수할 수 있다. 자세하게는, 상기 뱅크 패턴(350) 오버코트층(310)의 수직방향의 길이(H2)만큼 배치됨으로써, 오버코트층(310)을 따라 진행하는 광을 모두 흡수할 수 있다. 따라서, 인접하여 배치되는 다른 서브화소로 광이 전달되는 것을 방지 할 수 있다.
이어서, 도 8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유기발광 표시장치를 검토하면 다음과 같다. 제 2 실시예에 따른 유기발광 표시장치는 앞서 설명한 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앞서 설명한 실시예와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할 수 있다. 또한, 동일한 구성은 동일한 도면부호를 갖는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유기발광 표시장치의 평면도이다. 도 8에서는 1 개의 서브화소에서 발광영역(EA)과 발광영역(EA)에 인접하는 비 발광영역의 일부를 도시한다.
상기 발광영역(EA)에는 복수의 마이크로 렌즈가 배치된다. 복수의 마이크로 렌즈는 오버코트층(410)의 오목부(411) 및 상기 오목부(411)와 인접하여 배치되는 다른 오목부(411) 사이를 연결하는 연결부(412)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복수의 마이크로 렌즈가 형성된 오버코트층(410) 상에는 유기발광소자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발광영역(EA)과 인접하는 비 발광영역의 일부에는 유기발광소자의 제 1 전극 및 상기 제 1 전극과 중첩하도록 배치되는 뱅크 패턴이 배치된다. 여기서, 상기 뱅크 패턴은 비 발광영역에서 오버코트층(410)에 형성된 함몰부와 중첩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뱅크 패턴은 상기 함몰부 내부의 일부만을 채우도록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뱅크 패턴을 포함하는 서브화소에는 유기발광소자의 유기발광층 및 제 2 전극(240)이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을 도 9를 참조하여 자세히 검토하면 다음과 같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유기발광 표시장치의 C-D를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유기발광 표시장치는 발광영역(EA)과 비 발광영역(NEA)으로 구분되는 제 1 기판(100)을 포함한다.
발광영역(EA)에서는 오버코트층(410) 상에 배치되는 복수의 마이크로 렌즈를 포함하고, 상기 마이크로 렌즈는 오목부(411)와 서로 다른 오목부 사이를 연결하는 연결부(412)로 구성된다. 상기 복수의 마이크로 렌즈 상에는 제 1 전극(320), 유기발광층(230) 및 제 2 전극(240)으로 구성되는 유기발광소자(EL)가 배치된다.
그리고, 비 발광영역(NEA) 또는 비 발광영역(NEA)과 인접한 발광영역(EA)에서는 오버코트층(410) 상에 적어도 1 개의 단차(415)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비 발광영역(NEA)에서는 오버코트층(410) 상에 배치되는 적어도 1 개의 함몰부(417)를 포함한다.
도 9에서는 비 발광영역(NEA)에서 오버코트층(410) 상에 복수의 함몰부(417)가 배치되는 구성을 도시하고 있으나,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는 이에 국한되지 않으며, 비 발광영역(NEA)에서 오버코트층(410) 상에 1 개의 함몰부(417)가 배치될 수도 있다.
발광영역(EA)에서 복수의 마이크로 렌즈가 배치되고, 비 발광영역(NEA)에서 복수의 함몰부(417)가 배치된 오버코트층(410) 상에 유기발광소자(EL)의 제 1 전극(320)이 배치된다. 이 때, 상기 제 1 전극(320)은 복수의 마이크로 렌즈와 복수의 함몰부(417)의 표면 형상을 따르는 모폴로지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전극(320)은 함몰부(417) 내부의 일부를 채우도록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제 1 전극(320)이 배치된 함몰부(417) 내부의 일부를 채우도록 뱅크 패턴(450)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뱅크 패턴(450)은 투명한 유기 물질이나 불투명한 유기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뱅크 패턴(450)은 서브화소의 발광영역(EA)과 비 발광영역(NEA)을 정의할 수 있으며, 각 서브화소 사이의 빛샘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뱅크 패턴(450)이 배치된 제 1 기판(100) 상에 유기발광층(230) 및 제 2 전극(240)이 배치된다. 상기 제 2 전극(240)은 반사율이 높은 물질로 이루어지는 반사 전극일 수 있다. 여기서, 유기발광층(230) 및 제 2 전극(240) 역시 복수의 마이크로 렌즈와 복수의 함몰부(417)를 따르는 모폴로지를 가질 수 있다.
한편, 상기 뱅크 패턴(450) 및 유기발광소자(EL)의 제 2 전극(240)을 통해, 유기발광소자(EL)로부터 발광된 광 중 인접한 서브화소 방향으로 진행하는 광이 인접한 다른 서브화소로 진행되는 것을 방지하여 빛샘을 방지할 수 있다. 이러한 원리를 도 10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유기발광 표시장치에서 빛샘 현상이 억제되는 원리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유기발광 표시장치에서는 유기발광소자(EL)로부터 발광된 광이 비 발광영역(NEA)에서 오버코트층(410)과 제 1 전극(320) 계면에서 굴절률 차이로 인해 굴절되어 제 1 전극(320)으로 입사된다. 제 1 전극(320)으로 입사된 광은 제 1 전극(320) 상에 배치된 뱅크 패턴(450)에 흡수되거나 투과될 수 있다.
상기 뱅크 패턴(450)을 투과한 광은 뱅크 패턴(450) 상에 배치된 유기발광층(230)을 거쳐 제 2 전극(240)에 도달한다. 여기서, 제 1 전극(320), 뱅크 패턴(450) 및 유기발광층(230)의 굴절률이 유사하게 이루어짐으로써, 광 경로의 변경 없이 진행될 수 있다.
한편, 반사물질로 이루어진 제 2 전극(240)에 도달한 광은 흡수되거나 반사될 수 있다. 여기서, 제 2 전극(240)에 의해 광이 흡수될 경우, 유기발광소자(EL)로부터 발생되는 광(1100) 중 인접한 서브화소 방향으로 발광되는 광이 오버코트층(410)을 따라 진행하여 다른 색상을 발광하는 서브화소까지 도달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제 2 전극(240)에 의해 광이 반사될 경우, 다시 발광영역(EA) 내에 배치된 마이크로 렌즈를 거쳐 제 1 기판(100) 외부로 추출될 수 있다. 따라서, 발광영역(EA)에서의 광 추출 효율이 향상될 수 있다.
이어서, 도 1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를 검토하면 다음과 같다.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유기발광 표시장치는 앞서 설명한 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앞서 설명한 실시예와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할 수 있다. 또한, 동일한 구성은 동일한 도면부호를 갖는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유기발광 표시장치의 평면도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유기발광 표시장치는 1개의 화소(P)가 4개의 서브픽셀(SP1, SP2, SP3, SP4)을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각각의 서브픽셀은 서로 다른 색상을 발광할 수 있다.
한편, 제 3 실시예에 따른 유기발광 표시장치는 뱅크 패턴(550)에 의해 발광영역과 비 발광영역이 구분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뱅크 패턴(550)이 배치된 영역은 비 발광영역으로 정의되고, 뱅크 패턴(150)이 배치되지 않은 영역은 발광영역으로 정의될 수 있다.
한편, 발광영역에는 제 1 전극(121), 유기발광층(미도시) 및 제 2 전극(미도시)를 포함하는 유기발광소자가 배치될 수 있으며, 비 발광영역의 일부에도 유기발광소자가 연장되어 배치될 수 있다.
자세하게는, 유기발광소자의 구성요소 중 하나인 제 1 전극(121)은 발광영역에 배치되고 발광영역과 인접한 비 발광영역의 일부에 연장되어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유기발광층(미도시) 및 제 2전극(미도시)은 유기발광 표시패널의 표시영역에 배치될 수 있으나, 본 실시예가 이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다.
이러한 구성을, 도 12를 참조하여 자세히 검토하면 다음과 같다. 도 12는 도 11을 E-F를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12을 참조하면, 제 3 실시예에 따른 유기발광 표시장치는 발광영역(EA)에 제 1 전극(121), 유기발광층(130) 및 제 2 전극(140)을 포함하는 유기발광소자(EL)가 배치된다.
여기서, 제 1 전극(121)은 발광영역(EA)과 인접하는 비 발광영역(NEA)의 일부까지 연장되어 배치될 수 있다. 자세하게는, 비 발광영역(NEA) 또는 비 발광영역(NEA)과 인접하는 발광영역(EA)에서 오버코트층(110)은 적어도 1 개의 단차(115)를 구비하고, 적어도 1 개의 단차(115)와 인접하도록 적어도 1 개의 함몰부(117)가 배치된다. 또한, 상기 단차(115)와 인접하여 위치하는 상기 함몰부(117)는 돌출부(217)로 연결된다. 다시 설명하면, 오버코트층(110)은 단차(115)와 인접하여 위치하는 함몰부(117)를 포함하고, 함몰부(117)와 단차(115) 사이에 구비되는 적어도 1 개의 돌출부(217)를 포함한다.그리고, 유기발광소자(EL)의 제 1 전극(121)은 비 발광영역(NEA)에서 오버코트층(110)의 단차(115) 상에 배치되고, 더욱 연장되어, 단차(115)와 인접하여 배치되는 함몰부(117)가 시작되기 전의 오버코트층(110)의 돌출부(217)의 일부 영역까지 배치될 수 있다.
이 때, 제 1 전극(121)은 반사전극일 수 있다. 따라서, 유기발광층(130)으로부터 발광된 광의 일부는 제 2 기판(미도시) 방향으로 출사되고, 일부는 제 1 기판(100) 방향으로 출사되나, 제 1 기판(100) 방향으로 출사된 광은 반사전극인 제 1 전극(121)에의해 반사되어 제 2 기판(미도시) 방향으로 광의 경로가 변경되어, 외부로 추출될 수 있다.
또한, 유기발광층(130)으로부터 발광된 광이 마이크로 렌즈가 미 구비된 비 발광영역(NEA) 방향으로 출사될 수 있다. 이 경우,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비 발광영역(NEA) 방향으로 출사된 광이 반사전극인 제 1 전극(121)에의해 반사되어 제 2 기판(미도시) 방향으로 추출될 수 있다.
자세하게는, 제 1 전극(121)이 비 발광영역(NEA)에서 단차(115)와 인접하여 배치되는 함몰부(117)가 시작되기 전의 오버코트층(110)의 돌출부(217)의 일부 영역까지 연장되어 배치됨으로써, 마이크로 렌즈가 미 구비된 비 발광영역(NEA) 방향으로 출사된 광이 제 1 전극(121)에의해 경로가 변경되어 제 2 기판(미도시) 방향으로 추출 될 수 있다.
한편, 도 12에서는 제 1 전극(121)이 비 발광영역(NEA)에서 단차(115)와 인접하여 배치되는 함몰부(117)가 시작되기 전의 오버코트층(110)의 돌출부(217)의 일부 영역까지 연장되어 배치되는 구성을 개시하고 있으나, 제 1 전극(121)의 함몰부(117)의 일부 영역까지 더 연장되어 배치될 수도 있다.
또한,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마이크로 렌즈의 연결부(112)에서 오목부(111)까지의 높이(H3)는 오버코트층(110)의 돌출부(217)에서 마이크로 렌즈의 오목부(111)까지의 높이(H4)보다 낮을 수 있다. 이로 인해, 마이크로 렌즈의 연결부(112) 상에 배치되는 제 1 전극(121)의 위치보다 오버코트층(110)의 돌출부(217) 상에 배치되는 제 1 전극(121)의 위치가 더 높을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마이크로 렌즈의 단면 형상이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성될 수 있으나, 본 실시예는 이에 국한되지 않으며, 앞서 설명한 실시예들과 같은 마이크로 렌즈 단면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자세하게는, 발광영역(EA)에 배치되는 마이크로 렌즈의 연결부(212) 상에 배치되는 유기발광소자(EL)의 위치보다 오버코트층(110)의 돌출부(217) 상에 배치되는 제 1 전극(121)의 위치가 더 높을 수 있다. 이를 통해, 유기발광소자(EL)로부터 발광된 광이 비 발광영역(NEA) 방향으로 출사되는 광을 효과적으로 표시패널 외부로 추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전극(121)이 비 발광영역(NEA)의 단차(115)까지만 연장되어 배치되었다고 가정하면, 유기발광소자(EL)로부터 발광된 광 중 오버코트층(110)의 돌출부(127)쪽으로 출사된 광은 제 1 전극(121)에 의해 반사되어 표시패널 외부로 추출될 수 없으므로, 본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보다 광 추출 효율이 떨어지게 된다.
즉, 마이크로 렌즈의 오목부(111)에서 연결부(112)까지의 높이(H3)가 오버코트층(110)의 돌출부(217)에서 오목부(111)까지 높이(H4)가 낮음으로써, 유기발광 표시장치의 광 추출 효율을 높일 수 있다. 다시 설명하면, 발광영역(EA)에 배치되는 마이크로 렌즈의 연결부(112) 상에 배치되는 유기발광소자(EL)의 위치보다 오버코트층(110)의 돌출부(217) 상에 배치되는 제 2 전극(121)의 위치가 더 높게 이루어짐으로써, 광 추출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한편, 도 11 및 도 12는 제 1 전극(121)이 반사전극인 구성을 도시하고 있으나, 본 실시예는 이에 국한되지 않으며, 제 1 전극(121)이 투명도전물질로 이루어지고, 제 1 전극(121)과 오버코트층(110) 사이에 반사층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이 때, 반사층은 제 1 전극(121)과 동일 형상으로 배치되어 유기발광 표시장치의 광 추출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어서, 도 13 내지 도 14를 참조하여, 제 4 실시예에 따른 유기발광 표시장치를 검토하면 다음과 같다. 제 4 실시예에 따른 유기발광 표시장치는 앞서 설명한 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앞서 설명한 실시예와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할 수 있다. 또한, 동일한 구성은 동일한 도면부호를 갖는다.
도 13은 제 4 실시예에 따른 유기발광 표시장치의 평면도이다. 도 13을 참조하면, 제 4 실시예에 따른 유기발광 표시장치는 1개의 화소(P)가 4개의 서브픽셀(SP1, SP2, SP3, SP4)을 포함할 수 있다. 제 3 실시예에 따른 유기발광 표시장치는 뱅크 패턴(650) 및 유기발광소자의 제 1 전극에 의해 발광영역(EA)과 비 발광영역(NEA)이 구분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발광영역(EA)에는 제 1 전극, 유기발광층 및 제 2 전극을 포함하는 유기발광소자가 배치될 수 있다. 비 발광영역(NEA)에는 유기발광소자의 유기발광층 및 제 2 전극이 발광영역(EA)으로부터 연장되어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비 발광영역(NEA)에는 뱅크 패턴(650)이 배치된 영역과 뱅크 패턴(650)이 미 배치된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비 발광영역(NEA)에서 뱅크 패턴(650)이 미 배치된 영역에서는 유기발광소자의 제 1 전극이 배치되지 않음으로써, 유기발광소자가 발광하지 않을 수 있다. 비 발광영역(NEA)에서 뱅크 패턴(650)이 미 배치된 영역에서는 오버코트층 역시 미 배치될 수 있다. 다시 설명하면, 비 발광영역(NEA)의 일부에서는 오버코트층이 함몰부(517) 또는 홈을 구비할 수 있다. 그리고, 오버코트층의 함몰부(517) 또는 홈과 대응되는 영역에서 뱅크 패턴(650)이 미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을 도 14를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검토하면 다음과 같다. 도 14는 도13을 G-H를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14를 참조하면, 제 4 실시예에 따른 유기발광 표시장치는 발광영역(EA)과 비 발광영역(NEA)으로 구분되는 기판(100) 상에 배치되는 컬러필터층(670)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4에는 컬러필터층(670)이 배치되는 서브화소와 컬러필터층(670)이 배치되지 않은 서브화소를 모두 도시하고 있으나, 본 실시예에 따른 유기발광 표시장치는 모든 서브화소에 컬러필터층(670)이 배치되지 않는 구성 및 모든 서브화소에 컬러필터층(670)이 배치되는 구성을 포함한다.
컬러필터층(670) 및 기판(100) 상에는 오버코트층(610)이 배치된다. 오버코트층(610)은 발광영역(EA)과 대응되는 영역에서 복수의 오복부 및 복수의 볼록부를 포함하는 복수의 마이크로 렌즈를 구비할 수 있다. 그리고, 오버코트층(610)은 비 발광영역(NEA)과 대응되는 영역에서 적어도 1 개의 함몰부(517)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발광영역(EA)과 대응되는 영역에서 오버코트층(610) 상에는 제 1 전극(320), 유기발광층(330) 및 제 2 전극(340)을 포함하는 유기발광소자(EL)가 배치된다. 여기서, 제 1 전극(320)은 투명도전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제 2 전극(340)은 반사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 1 전극(320)이 투명도전물질로 이루어지고, 제 2 전극(340)이 반사물질로 이루어짐으로써, 제 4 실시예에 따른 유기발광 표시장치는 하부발광방식의 유기발광 표시장치를 구현할 수 있다.
또한, 비 발광영역(NEA)과 대응되는 영역에서는 오버코트층(610) 상에만 뱅크 패턴(650)이 배치될 수 있다. 다시 설명하면, 비 발광영역(NEA)에서 오버코트층(610)의 함몰부(517)와 대응되는 영역에서 뱅크 패턴(650)이 미 배치될 수 있다. 이 때, 뱅크 패턴(650)이 오버코트층(610)의 함몰부(517)와 대응되는 영역에서 오버코트층(610)의 측면을 노출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뱅크 패턴(650)은 투명한 유기물질 또는 불투명한 유기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즉, 제 4 실시예에 따른 유기발광 표시장치의 뱅크 패턴(650)은 발광영역(EA)과 비 발광영역(NEA)을 구분할 수 있는 물질로 이루어지는 구성이면 충분하다.
또한, 비 발광영역(NEA)에서는 유기발광소자(EL)의 유기발광층(330) 및 제 2 전극(340)이 연장되어 배치될 수 있다. 이 때, 발광영역(EA)과 인접한 비 발광영역(NEA)에서는 유기발광층(330) 및 제 2 전극(340)이 뱅크 패턴(650) 상에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유기발광층(330) 및 제 2 전극(340)은 오버코트층(610)의 함몰부(517)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즉, 유기발광층(330) 및 제 2 전극(340)은 오버코트층(610)의 함몰부(517)와 대응되는 영역에서 뱅크 패턴(650)에 의해 노출된 오버코트층(610)의 측면 상에도 배치될 수 있다.
다시 설명하면, 비 발광영역(NEA)에서 오버코트층(610)은 적어도 1 개의 함몰부(517)를 구비함으로써, 적어도 일 면이 경사면(611)일 수 있다. 이에 따라, 비 발광영역(NEA)에서 유기발광층(330) 및 제 2 전극(340)은 오버코트층(610)의 경사면(611)과 대응되는 영역에서 경사면을 구비할 수 있다.
즉, 반사전극인 제 2 전극(340)은 오버코트층(610)에 구비된 함몰부(517)에 의해 오목부(341)와 볼록부(642)를 구비할 수 있다. 이 때, 제 2 전극(340)의 오목부(341)는 오버코트층(610)의 함몰부(517)와 대응되는 영역에 구비될 수 있다.
또한, 비 발광영역(NEA)에서 오버코트층(610)이 복수의 함몰부(517)를 가질 때, 제 2 전극(340)은 비 발광영역(NEA)에서 복수의 오목부(341)와 복수의 볼록부(642)를 구비할 수 있다. 즉, 반사전극인 제 2 전극(340)은 비 발광영역(NEA)에서 아웃 커플링(out-coupling) 구조를 가질 수 있다.
한편, 발광영역(EA)에 배치된 유기발광소자(EL)에서 발광되는 광의 일부는 기판(100) 밖으로 추출될 수 있으나, 기판(100) 밖으로 추출되지 못한 광의 일부는 기판(100)과 공기 사이의 굴절률 차이에 의한 전반사 발생으로 표시장치 안에 갇히게 된다.
구체적으로는, 발광영역(EA)에 배치된 유기발광소자(EL)로부터 발광된 광 중 기판(100)에 전반사 임계각(예를 들면, 60°)이상으로 입사되는 광은 기판(100)과 기판(100) 밖의 공기의 굴절률 차이로 인해 기판(100)과 공기의 경계에서 전반사되어 기판(100) 밖으로 추출되지 못하고, 기판(100) 내부에 갇히게 된다. 즉, 기판(100)에 전반사 임계각 이상으로 입사되는 광은 기판(100) 밖으로 추출되지 못하고 손실된다.
그러나, 본 실시예에 따른 유기발광 표시장치는 반사전극(340)인 제 2 전극(340)이 비 발광영역(NEA)에서 복수의 오목부(341) 및 복수의 볼록부(642)를 갖는 아웃 커플링 구조를 가짐으로써, 광 추출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비 발광영역(NEA)에서 오버코트층(610)이 함몰부(517)를 구비함으로써, 제 2 전극(340) 비 발광영역(NEA)에서 복수의 오목부(341) 및 복수의 볼록부(642)를 갖는 아웃 커플링 구조를 가질 수 있다. 한편, 발광영역(EA)에 배치된 유기발광소자(EL)로부터 발광된 광 중 기판(100)으로 입사되는 입사각이 전반사 임계각 이상인 광은 기판(100)과 공기의 계면에서 전반사되어 비 발광영역(NEA)의 제 2 전극(340)의 경사면에 도달할 수 있다(여기서, 유기발광층(330)과 제 2 전극(340)의 굴절률은 거의 동일하므로 광의 경로가 크게 바뀌지 않는다). 비 발광영역(NEA)에서 제 2 전극(340)의 경사면에 도달한 광은 반사전극인 제 2 전극(340)에 의해 반사되어 전반사 임계각 이하의 각도로 기판(100)에 입사됨으로써, 기판(100) 밖으로 추출될 수 있다.
한편, 오버코트층(610)에 구비된 함몰부(517)의 높이는 비 발광영역(NEA)에서 오버코트층(610)의 수직방향의 길이와 동일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즉, 함몰부(517)는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판(100)의 표면을 노출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다만, 본 실시예는 이에 국한되지 않으며, 기판(100)과 오버코트층(610) 사이에 다른 절연층들이 배치될 경우, 오버코트층(610)의 함몰부(517)는 오버코트층(610)과 접하는 절연층의 표면을 노출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오버코트층(610)의 함몰부(517)의 높이가 비 발광영역(NEA)에 구비된 오버코트층(610)의 수직방향의 길이와 동일하게 이루어짐으로써, 함몰부(517)로 인해 구비되는 오버코트층(610) 경사면(611)의 표면적이 넓어지게 된다. 따라서, 오버코트층(610)의 경사면(611) 상에 배치되는 제 2 전극(340)의 표면적 역시 넓어지게 되므로, 기판(100)과 공기 계면에서 전반사되는 광과 인접하여 배치되는 다른 발광영역(EA)으로 진행하는 광을 효과적으로 반사시킬 수 있다.
다시 설명하면, 제 2 전극(340)의 표면적이 좁은 경우보다 제 2 전극(340)의 표면적이 넓은 경우, 기판(100)과 공기 계면에서 전반사되는 광이 도달할 수 있는 면적이 넓어지고, 인접하여 배치되는 다른 발광영역(EA)으로 진행하는 광이 제 2 전극(340)에 도달할 수 있는 면적이 넓어지므로, 더 많은 양의 광을 기판(100) 밖으로 추출 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유기발광 표시장치는 유기발광소자(EL)로부터 발광된 광 중 전반사 임계각 이상으로 기판(100)에 입사되는 광을 비 발광영역(NEA)에 배치된 경사면을 갖는 제 2 전극(340)을 통해 반사시켜 기판(100) 밖으로 추출시킴으로써, 유기발광 표시장치의 발광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발광영역(EA) 외곽의 유기발광소자(EA)로부터 발광된 광 중 인접한 다른 발광영역(EA) 방향으로 출사되는 광은 서로 다른 발광영역(EA)들 사이에 배치되는 경사면을 갖는 제 2 전극(340)에 의해 반사되어 기판(100) 밖으로 추출된다. 따라서, 인접한 다른 발광영역(EA)으로 광이 진행하여, 서브화소 사이에 빛샘 현상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한편, 제 4 실시예에 따른 유기발광 표시장치에서는 각 발광영역(EA)들과 인접하여 구비된 오버코트층의 함몰부(517)의 크기가 동일한 구성을 도시하고 있으나(도 13 참조), 본 발명은 이에 국한되지 않으며, 도 15와 같이 함몰부의 크기가 상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을 도 15를 참조하여 검토하면 다음과 같다.
도 15는 제 5 실시예에 따른 유기발광 표시장치의 평면도이다. 제 5 실시예에 따른 유기발광 표시장치는 앞서 설명한 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앞서 설명한 실시예와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할 수 있다. 또한, 동일한 구성은 동일한 도면부호를 갖는다.
도 15를 참조하면, 제 5 실시예에 따른 유기발광 표시장치는 비 발광영역(NEA)의 일부에서 오버코트층이 복수의 함몰부(517, 518)를 구비할 수 있다. 이 때, 비 발광영역(NEA)에 구비된 복수의 함몰부(517, 518)의 크기는 서로 상이 할 수 있다.
예를 들면, 1개의 발광영역과 인접하여 배치되는 제 1 함몰부(518)의 크기는 다른 발광영역과 인접하여 배치되는 제 2 함몰부(517)의 크기보다 클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1 함몰부(518)의 폭은 제 2 함몰부(517)의 폭보다 클 수 있다. 이를 통해, 다른 발광영역들과 비교하여 광 추출 효율이 낮은 발광영역의 광 추출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한편, 도 15에서는 제 1 함몰부(518)와 제 2 함몰부(517)가 발광영역의 외곽의 일부영역과 대응되도록 구비되는 구성을 개시하고 있으나, 본 실시예는 이에 국한되지 않으며, 제 1 함몰부(518) 또는 제 2 함몰부(517)가 발광영역을 둘러싸도록 구비될 수도 있다.
이어서, 도 16을 참조하여, 제 6 실시예에 따른 유기발광 표시장치를 검토하면 다음과 같다. 도 16은 제 6 실시예에 따른 유기발광 표시장치의 평면도이다. 제 6 실시예에 따른 유기발광 표시장치는 앞서 설명한 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앞서 설명한 실시예와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할 수 있다. 또한, 동일한 구성은 동일한 도면부호를 갖는다.
도 16을 참조하면, 제 6 실시예에 따른 유기발광 표시장치는 1개의 화소(P)에서 특정 발광영역의 외곽과 대응되는 영역에서만 오버코트층의 함몰부(517)가 구비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제 6 실시예에 따른 유기발광 표시장치는 1개의 화소(P)에 구비되는 복수의 발광영역 중 특정 발광영역의 외곽과 대응되는 영역에서만 오버코트층의 함몰부(517)가 구비되고, 나머지 발광영역의 외곽과 대응되는 영역에서는 오버코트층의 함몰부(517)가 구비되지 않을 수 있다.
이를 통해, 원하는 발광영역의 광 추출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즉, 제 6 실시예에 따른 유기발광 표시장치는 오버코트층의 함몰부(517)를 통해 발광영역 단위로 광 추출 효율을 조절할 수 있다.
이어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브화소가 적용된 유기발광 표시장치의 1 개의 화소를 검토하면 다음과 같다. 도 1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브화소가 적용된 유기발광 표시장치의 1 개의 화소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7에 따른 유기발광 표시장치는 앞서 설명한 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앞서 설명한 실시예와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할 수 있다. 또한, 동일한 구성은 동일한 도면부호를 갖는다.
도 17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서브화소가 적용된 유기발광 표시장치의 1 개의 화소(P)가 4 개의 서브화소를 포함하는 구성을 도시한다. 다만, 도 17에서는 1 개의 화소(P)가 4 개의 서브화소를 포함하는 구성을 도시하고 있으나, 본 발명은 이에 국한되지 않으며, 1 개의 화소(P)가 2 개 또는 3 개의 서브화소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7에서 1 개의 화소(P)는 4 개의 서브화소를 포함하고, 1 개의 서브화소는 각각 1 개의 발광영역(EA)과 1 개의 비 발광영역(NEA)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각각의 발광영역(EA)에는 오버코트층(110) 상에 복수의 마이크로 렌즈가 배치되고, 각각의 비 발광영역(NEA)에는 복수의 함몰부(117)가 배치된다. 그리고, 복수의 마이크로 렌즈와 복수의 함몰부(117)가 배치된 제 1 기판(100) 상에 유기발광소자(EL)의 제 1 전극(120)이 배치된다.
이 때, 상기 제 1 전극(120)은 발광영역(EA)과 비 발광영역(NEA)의 일부에 배치될 수 있다. 도 13에서는 상기 제 1 전극(120)이 복수의 함몰부(117) 내부에 배치되는 구성을 도시하고 있으나, 본 발명에 따른 유기발광 표시장치의 제 1 전극(120)의 배치 구성은 이에 국한되지 않으며, 복수의 함몰부(117) 중 일부의 함몰부(117) 내부에만 제 1 전극(120)이 배치되거나, 발광영역(EA)에만 제 1 전극(120)이 배치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복수의 함몰부(117) 내부를 채우도록 뱅크 패턴(150)이 배치된다. 이 때, 뱅크 패턴(150)은 불투명한 유기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뱅크 패턴(150)은 유기발광소자(EL)로부터 발광되는 광이 인접한 서브화소 방향으로 진행될 경우, 이를 흡수하여 인접한 다른 서브화소에 도달하지 못하도록 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는 이에 국한되지 않으며, 뱅크 패턴(150)은 복수의 함몰부(117)의 모폴로지를 따르는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 경우,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으나, 유기발광소자(EL)의 제 1 전극(120) 역시 복수의 함몰부(117)의 모폴로지를 따르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제 1 전극(120)은 복수의 함몰부(117) 일부가 아닌 복수의 함몰부(117) 전체와 중첩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다만, 제 1 전극(120)은 서로 다른 서브화소 경계에서는 제 1 전극(120)이 미 배치 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유기발광 표시장치는 비 발광영역(NEA)에서 오버코트층이 적어도 1 개의 함몰부를 구비하고, 상기 함몰부와 중첩하도록 뱅크 패턴이 배치됨으로써, 유기발광소자로부터 발광된 광이 다른 색상을 발광하는 서브화소로 진행되어 빛샘 현상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유기발광 표시장치는 비 발광영역(NEA)에서 오버코트층이 적어도 1 개의 함몰부를 구비하고, 상기 함몰부의 형상을 따라 반사전극이 배치됨으로써, 유기발광소자로부터 발광된 광이 다른 색상을 발광하는 서브화소로 진행되는 광을 흡수하여 빛샘을 방지하거나, 반사시켜 광 추출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상술한 실시예에 설명된 특징, 구조, 효과 등은 본 발명의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에 포함되며, 반드시 하나의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나아가, 각 실시예에서 예시된 특징, 구조, 효과 등은 실시예들이 속하는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지는 자에 의하여 다른 실시예들에 대해서도 조합 또는 변형되어 실시 가능하다. 따라서 이러한 조합과 변형에 관계된 내용들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이상에서 실시예들을 중심으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단지 예시일 뿐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실시예의 본질적인 특성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이상에 예시되지 않은 여러 가지의 변형과 응용이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실시예들에 구체적으로 나타난 각 구성 요소는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100: 기판
110: 오버코트층
111: 오목부
112: 연결부
117: 함몰부
120: 제 1 전극
130: 유기발광층
140: 제 2 전극
150: 뱅크 패턴

Claims (20)

  1. 발광영역과 비 발광영역으로 구분되는 기판;
    상기 기판 상에 배치되고, 상기 발광영역에 오목부와 연결부를 포함하는 복수의 마이크로 렌즈를 구비하고, 상기 비 발광영역에 적어도 1 개의 함몰부를 구비하는 오버코트층;
    상기 오버코트층 상에 배치되는 제 1 전극;
    상기 비 발광영역에 상기 함몰부와 중첩하도록 배치되는 뱅크 패턴;
    상기 제 1 전극 상에 배치되는 유기발광층; 및
    상기 유기발광층 상에 배치되는 제 2 전극;를 포함하는 유기발광 표시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뱅크 패턴은 상기 함몰부 내부를 채우도록 배치되는 유기발광 표시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뱅크 패턴은 불투명한 유기 물질로 이루어지는 유기발광 표시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함몰부의 높이는 상기 비 발광영역에서의 오버코트층의 수직방향의 길이보다 짧은 유기발광 표시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함몰부의 높이는 상기 비 발광영역에서의 오버코트층의 수직방향의 길이와 동일하게 이루어지는 유기발광 표시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함몰부 내부에 제 1 전극이 배치되고,
    상기 제 1 전극 상에 뱅크 패턴이 배치되는 유기발광 표시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뱅크 패턴 상에 상기 유기발광층 및 상기 제 2 전극이 배치되고,
    상기 제 2 전극은 반사전극인 유기발광 표시장치.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오버코트층은 상기 비 발광영역 또는 상기 비 발광영역과 인접한 상기 발광영역에서 적어도 1 개의 단차가 구비되는 유기발광 표시장치.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오버코트층은 상기 단차와 인접하여 위치하는 상기 함몰부 및 상기 단차 사이에 구비되는 돌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마이크로 렌즈의 오목부에서 연결부까지의 높이는 상기 오버코트층의 돌출부에서 마이크로 렌즈의 오목부까지의 높이보다 낮은 유기발광 표시장치.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 상에 배치되는 유기발광소자의 위치는 상기 돌출부에 배치되는 유기발광소자의 제 1 전극의 위치보다 낮은 유기발광 표시장치.
  11. 제 9 항에 있어서,
    제 1 전극은 적어도 상기 돌출부의 일부 영역까지 연장되어 배치되는 유기발광 표시장치.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전극은 반사전극인 유기발광 표시장치.
  13.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전극은 투명도전물질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 1 전극 하부에 상기 제 1 전극과 동일 형상으로 배치되는 반사층이 더 배치되는 유기발광 표시장치.
  14. 복수의 발광영역 및 상기 복수의 발광영역을 둘러싸는 비 발광영역으로 구분되는 기판;
    상기 기판 상에 배치되고, 상기 발광영역에 오목부와 연결부를 포함하는 복수의 마이크로 렌즈를 구비하고, 상기 비 발광영역에 적어도 1 개의 함몰부를 구비하는 오버코트층;
    상기 발광영역에서 오버코트층 상에 배치되는 제 1 전극;
    상기 제 1 전극, 오버코트층 및 상기 함몰부 상에 배치되는 유기발광층; 및
    상기 유기발광층 상에 배치되는 제 2 전극;를 포함하는 유기발광 표시장치.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함몰부의 높이는 상기 비 발광영역에서의 오버코트층의 수직방향의 길이와 동일하게 이루어지는 유기발광 표시장치.
  16.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전극은 상기 비 발광영역에서 적어도 1 개의 오목부와 적어도 1 개의 볼록부를 구비하는 유기발광 표시장치.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전극의 상기 오목부는 오버코트층의 함몰부와 대응되는 영역에 구비되는 유기발광 표시장치.
  18.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함몰부는 상기 복수의 발광영역 중 적어도 1 개의 발광영역의 적어도 일 측과 대응되는 영역에 구비되는 유기발광 표시장치.
  19.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발광영역 중 적어도 1 개의 발광영역의 일 측과 대응되는 영역에 구비되는 함몰부의 크기는 나머지 다른 발광영역의 일 측과 대응되는 영역에 구비되는 함몰부의 크기와 상이한 유기발광 표시장치.
  20.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전극은 반사전극인 유기발광 표시장치.
KR1020160137889A 2015-10-30 2016-10-21 유기발광 표시장치 KR102651166B1 (ko)

Priorit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5/337,517 US10374197B2 (en) 2015-10-30 2016-10-28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device with micro lenses
CN201910548242.7A CN110265573B (zh) 2015-10-30 2016-10-31 有机发光二极管显示装置
CN201610930495.7A CN107068891B (zh) 2015-10-30 2016-10-31 有机发光二极管显示装置
US16/450,174 US11069879B2 (en) 2015-10-30 2019-06-24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device with micro lenses
US17/351,061 US11963391B2 (en) 2015-10-30 2021-06-17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device
KR1020240038720A KR20240041896A (ko) 2015-10-30 2024-03-20 유기발광 표시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52637 2015-10-30
KR20150152637 2015-10-30
KR1020160083121A KR20170052447A (ko) 2015-10-30 2016-06-30 유기발광 표시장치
KR1020160083121 2016-06-30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40038720A Division KR20240041896A (ko) 2015-10-30 2024-03-20 유기발광 표시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52467A true KR20170052467A (ko) 2017-05-12
KR102651166B1 KR102651166B1 (ko) 2024-03-27

Family

ID=58740013

Famil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83121A KR20170052447A (ko) 2015-10-30 2016-06-30 유기발광 표시장치
KR1020160137889A KR102651166B1 (ko) 2015-10-30 2016-10-21 유기발광 표시장치
KR1020240038720A KR20240041896A (ko) 2015-10-30 2024-03-20 유기발광 표시장치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83121A KR20170052447A (ko) 2015-10-30 2016-06-30 유기발광 표시장치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40038720A KR20240041896A (ko) 2015-10-30 2024-03-20 유기발광 표시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3) KR20170052447A (ko)
CN (2) CN107068891B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194437A1 (ko) * 2018-04-04 2019-10-10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반도체 소자
KR20190136556A (ko) * 2018-05-31 2019-12-10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발광 조명장치
WO2020138665A1 (ko) * 2018-12-27 2020-07-02 삼성디스플레이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US11670642B2 (en) 2019-12-17 2023-06-06 Lg Display Co., Ltd. Light emitting display apparatus
EP4203650A1 (en) * 2018-06-26 2023-06-28 LG Display Co., Ltd.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34953B1 (ko) * 2017-06-12 2021-12-02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장치 및 그 구동방법
KR102572434B1 (ko) * 2017-08-31 2023-08-30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발광표시장치
KR102481170B1 (ko) * 2017-09-29 2022-12-23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발광 조명장치
US10903282B2 (en) 2017-09-29 2021-01-26 Lg Display Co., Ltd.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KR102390479B1 (ko) * 2017-11-16 2022-04-25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발광층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CN108091677A (zh) * 2017-12-14 2018-05-29 合肥鑫晟光电科技有限公司 阵列基板、显示装置以及阵列基板的制造方法
TWI656637B (zh) * 2017-12-25 2019-04-11 友達光電股份有限公司 發光元件
KR102456120B1 (ko) * 2018-07-31 2022-10-17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장치
CN208705629U (zh) * 2018-10-08 2019-04-05 惠科股份有限公司 显示器及其显示面板、阵列基板
CN111466039B (zh) * 2018-11-20 2021-11-12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像素结构、显示设备、以及制造像素结构的方法
KR20200080052A (ko) * 2018-12-26 2020-07-06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발광 표시 장치
CN109786578A (zh) * 2019-01-30 2019-05-21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Oled基板及oled显示装置
CN111969121A (zh) * 2019-05-20 2020-11-20 乐金显示有限公司 发光显示装置
CN112447926A (zh) * 2019-09-03 2021-03-05 群创光电股份有限公司 显示设备与电子装置
CN114975821A (zh) * 2022-05-05 2022-08-30 武汉华星光电半导体显示技术有限公司 显示面板及其制作方法、和显示装置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151770A (ja) * 2001-11-08 2003-05-23 Toshiba Corp 自己発光表示装置
KR20140136840A (ko) * 2013-05-21 2014-12-01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 발광 표시 장치 및 그 제조방법
KR20150026889A (ko) * 2013-08-29 2015-03-11 가부시키가이샤 재팬 디스프레이 유기 일렉트로루미네센스 표시 장치
KR20150034097A (ko) * 2013-09-25 2015-04-02 가부시키가이샤 재팬 디스프레이 유기 일렉트로 루미네센스 표시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903055B2 (en) * 2004-04-30 2011-03-08 Sanyo Electric Co., Ltd. Light-emitting display
KR20080067158A (ko) * 2007-01-15 2008-07-18 삼성전자주식회사 표시장치
KR101318072B1 (ko) * 2008-06-04 2013-10-15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발광다이오드 표시장치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1978749B1 (ko) * 2013-05-13 2019-05-16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
CN103698892A (zh) * 2013-12-19 2014-04-02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立体显示装置和立体显示装置的对合封装方法
CN104733501B (zh) * 2015-02-13 2018-06-15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像素结构、显示装置以及像素结构的制作方法
CN104952884B (zh) * 2015-05-13 2019-11-26 深圳市华星光电技术有限公司 Amoled背板结构及其制作方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151770A (ja) * 2001-11-08 2003-05-23 Toshiba Corp 自己発光表示装置
KR20140136840A (ko) * 2013-05-21 2014-12-01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 발광 표시 장치 및 그 제조방법
KR20150026889A (ko) * 2013-08-29 2015-03-11 가부시키가이샤 재팬 디스프레이 유기 일렉트로루미네센스 표시 장치
KR20150034097A (ko) * 2013-09-25 2015-04-02 가부시키가이샤 재팬 디스프레이 유기 일렉트로 루미네센스 표시 장치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194437A1 (ko) * 2018-04-04 2019-10-10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반도체 소자
US11437555B2 (en) 2018-04-04 2022-09-06 Suzhou Lekin Semiconductor Co., Ltd. Semiconductor device
KR20190136556A (ko) * 2018-05-31 2019-12-10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발광 조명장치
EP4203650A1 (en) * 2018-06-26 2023-06-28 LG Display Co., Ltd.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WO2020138665A1 (ko) * 2018-12-27 2020-07-02 삼성디스플레이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CN113261127A (zh) * 2018-12-27 2021-08-13 三星显示有限公司 显示装置
CN113261127B (zh) * 2018-12-27 2023-12-26 三星显示有限公司 显示装置
US11871608B2 (en) 2018-12-27 2024-01-09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device
US11670642B2 (en) 2019-12-17 2023-06-06 Lg Display Co., Ltd. Light emitting display apparatu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52447A (ko) 2017-05-12
CN107068891B (zh) 2019-07-19
CN107068891A (zh) 2017-08-18
CN110265573A (zh) 2019-09-20
KR102651166B1 (ko) 2024-03-27
CN110265573B (zh) 2023-04-28
KR20240041896A (ko) 2024-04-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651166B1 (ko) 유기발광 표시장치
US11963391B2 (en)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device
KR101739771B1 (ko) 유기발광 표시장치 및 그 제조방법
KR102476117B1 (ko) 유기발광 표시장치
KR101805552B1 (ko) 유기발광 표시장치
KR101625291B1 (ko) 전계 발광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US11289682B2 (en)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device
KR101818423B1 (ko) 유기발광 표시장치
KR20170052455A (ko) 유기발광 표시장치
TWI730991B (zh) 有機el裝置、有機el裝置之製造方法、電子機器
KR101749147B1 (ko) 유기발광 표시장치 및 그 제조방법
KR102601128B1 (ko) 유기발광 표시장치
KR102387859B1 (ko) 유기 발광 표시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KR102345872B1 (ko) 유기 발광 표시 장치 및 유기 발광 표시 장치 제조 방법
KR20170027267A (ko) 유기발광 표시장치
KR20200129302A (ko) 표시 장치
KR102608318B1 (ko) 유기발광장치
KR101968570B1 (ko) 유기발광 표시장치
CN109856719B (zh) 显示面板和显示装置
KR102294952B1 (ko) 유기발광 다이오드 표시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