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48853A - 흡수체로서 3-피콜리뉴밀암모늄을 포함하는 화합물, 이의 제조 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태양전지 - Google Patents

흡수체로서 3-피콜리뉴밀암모늄을 포함하는 화합물, 이의 제조 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태양전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48853A
KR20170048853A KR1020150149470A KR20150149470A KR20170048853A KR 20170048853 A KR20170048853 A KR 20170048853A KR 1020150149470 A KR1020150149470 A KR 1020150149470A KR 20150149470 A KR20150149470 A KR 20150149470A KR 20170048853 A KR20170048853 A KR 2017004885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lar cell
compound
formula
absorber
organ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494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22688B1 (ko
Inventor
김지혜
전성호
문정욱
이태섭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화학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to KR102015014947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22688B1/ko
Publication of KR2017004885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4885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2268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2268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FACYCLIC, CARBOCYCLIC OR 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ELEMENTS OTHER THAN CARBON, HYDROGEN, HALOGEN, OXYGEN, NITROGEN, SULFUR, SELENIUM OR TELLURIUM
    • C07F7/00Compounds containing elements of Groups 4 or 14 of the Periodic System
    • C07F7/24Lead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FACYCLIC, CARBOCYCLIC OR 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ELEMENTS OTHER THAN CARBON, HYDROGEN, HALOGEN, OXYGEN, NITROGEN, SULFUR, SELENIUM OR TELLURIUM
    • C07F1/00Compounds containing elements of Groups 1 or 11 of the Periodic System
    • C07F1/08Copper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FACYCLIC, CARBOCYCLIC OR 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ELEMENTS OTHER THAN CARBON, HYDROGEN, HALOGEN, OXYGEN, NITROGEN, SULFUR, SELENIUM OR TELLURIUM
    • C07F15/00Compounds containing elements of Groups 8, 9, 10 or 18 of the Periodic System
    • C07F15/04Nickel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FACYCLIC, CARBOCYCLIC OR 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ELEMENTS OTHER THAN CARBON, HYDROGEN, HALOGEN, OXYGEN, NITROGEN, SULFUR, SELENIUM OR TELLURIUM
    • C07F15/00Compounds containing elements of Groups 8, 9, 10 or 18 of the Periodic System
    • C07F15/06Cobalt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FACYCLIC, CARBOCYCLIC OR 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ELEMENTS OTHER THAN CARBON, HYDROGEN, HALOGEN, OXYGEN, NITROGEN, SULFUR, SELENIUM OR TELLURIUM
    • C07F7/00Compounds containing elements of Groups 4 or 14 of the Periodic System
    • C07F7/30Germanium compound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31/00Semiconductor device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and specially adapted either for the conversion of the energy of such radiation into electrical energy or for the control of electrical energy by such radiat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 H01L31/02Details
    • H01L31/0216Coatings
    • H01L31/02161Coatings for devices characterised by at least one potential jump barrier or surface barrier
    • H01L31/02167Coatings for devices characterised by at least one potential jump barrier or surface barrier for solar cells
    • H01L31/02168Coatings for devices characterised by at least one potential jump barrier or surface barrier for solar cells the coatings being antireflective or having enhancing optical properties for the solar cel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31/00Semiconductor device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and specially adapted either for the conversion of the energy of such radiation into electrical energy or for the control of electrical energy by such radiat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 H01L31/04Semiconductor device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and specially adapted either for the conversion of the energy of such radiation into electrical energy or for the control of electrical energy by such radiat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adapted as photovoltaic [PV] conversion devic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50Photovoltaic [PV] energy

Abstract

본 발명은 태양전지의 흡수체로 사용할 수 있는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 이의 제조 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태양전지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화합물은, Pb 원소를 사용하지 않고, 또한 유기 암모늄 이온으로 3-피콜리뉴밀암모늄을 사용함으로써, 독성 문제가 없으며 또한 안정성이 우수하여 태양전지의 흡수체로서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다.
[화학식 1]
ABxB'(1-x)X4
(상기 식에서, A, B, B', X 및 x의 정의는 명세서에서 정의한 바와 같다)

Description

흡수체로서 3-피콜리뉴밀암모늄을 포함하는 화합물, 이의 제조 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태양전지{A compound having 3-picoliniumylammonium as an absorber, method for preparation thereof, and solar cell comprising the same}
본 발명은 태양전지의 흡수체로 사용할 수 있는 신규한 구조의 화합물, 이의 제조 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태양전지에 관한 것이다.
화석 에너지의 고갈과 이의 사용에 의한 지구 환경적인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태양 에너지, 풍력, 수력과 같은 재생 가능하며, 청정한 대체 에너지원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이중, 태양광으로부터 직접 전기적 에너지를 변화시키는 태양전지에 대한 관심이 크게 증가하고 있다. 여기서 태양전지란, 태양광으로부터 광 에너지를 흡수하여 전자와 정공을 발생시키는 광기전 효과를 이용하여 전류-전압을 생성하는 전지를 의미한다.
현재 광에너지 변환효율이 20%가 넘는 n-p 다이오드형 실리콘(Si) 단결정 기반 태양전지의 제조가 가능하여 실제 태양광 발전에 사용되고 있으며, 이보다 더 변환효율이 우수한 갈륨아세나이드(GaAs)와 같은 화합물 반도체를 이용한 태양전지도 있다. 그러나 이러한 무기 반도체 기반의 태양전지는 고효율화를 위하여 매우 고순도로 정제한 소재가 필요하므로 원소재의 정제에 많은 에너지가 소비되고, 또한 원소재를 이용하여 단결정 또는 박막화하는 과정에 고가의 공정 장비가 요구되어 태양전지의 제조 비용을 낮게 하는데 한계가 있어 대규모적인 활용에 걸림돌이 되어 왔다.
이에 따라 태양전지를 저가로 제조하기 위해서 태양전지의 핵심 소재 또는 제조 공정의 비용을 대폭 감소시킬 필요가 있으며, 무기 반도체 기반 태양전지의 대안으로 저가의 소재와 공정으로 제조 가능한 염료감응태양전지와 유기태양전지가 활발히 연구되고 있다.
염료감응태양전지(DSSC; dye-sensitized solar cell)는 1991년 스위스 로잔공대(EPFL)의 미카엘 그라첼(Michael Gratzel) 교수가 처음 개발에 성공하여 네이쳐지(Vol. 353, p. 737)에 소개되었다.
초기의 염료감응태양전지 구조는 빛과 전기가 통하는 투명전극필름 위에 다공성 광음극(photoanode)에 빛을 흡수하는 염료를 흡착한 후, 또 다른 전도성 유리 기판을 상부에 위치시키고 액체 전해질을 채운 간단한 구조로 되어 있다. 염료감응태양전지의 작동 원리는, 다공성 광음극 표면에 화학적으로 흡착된 염료 분자가 태양광을 흡수하면 염료 분자가 전자-홀 쌍을 생성하며, 전자는 다공성 광음극으로 사용된 반도체 산화물의 전도띠로 주입되어 투명 전도성 막으로 전달되어 전류가 발생한다. 염료 분자에 남아 있는 홀은 액체 또는 고체형 전해질의 산화-환원 반응에 의한 홀전도 또는 홀전도성 고분자에 의하여 광양극(photocathode)으로 전달되는 형태로 완전한 태양전지 회로를 구성하여 외부에 일(work)을 하게 된다.
이러한 염료감응태양전지 구성에서 투명전도성 막은 FTO(Fluorine doped Tin Oxide) 또는 ITO(Indium doped Tin Oxide)가 주로 사용되며, 다공성 광음극으로는 밴드갭이 넓은 나노입자가 사용되고 있다. 염료로는 특별히 광흡수가 잘되고 광음극 재료의 전도대(condiction band) 에너지 준위보다 염료의 LUMO(lowest unoccupied molecular orbital) 에너지 준위가 높아 광에 의하여 생성된 엑시톤 분리가 용이하여 태양전지 효율을 올릴 수 있는 다양한 물질을 화학적으로 합성하여 사용하고 있다. 현재까지 보고된 액체형 염료감응태양전지의 최고 효율은 약 20년 동안 11-12%에 머물고 있다. 액체형 염료감응태양전지의 효율은 상대적으로 높아 상용화 가능성이 있으나, 휘발성 액체 전해질에 의한 시간에 따른 안정성 문제와 고가의 루테늄(Ru)계 염료 사용에 의한 저가화에도 문제가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휘발성 액체 전해질 대신에 이온성 용매를 이용한 비휘발성 전해질 사용, 고분자 젤형 전해질 사용 및 저가의 순수 유기물 염료 사용 등이 연구되고 있으나, 휘발성 액체 전해질과 루테늄계 염료를 이용한 염료감응태양전지에 비하여 효율이 낮은 문제가 있다.
한편, 1990년 중반부터 본격적으로 연구되기 시작한 유기 태양전지(OPV; organic photovoltaic)는 전자주개(electron donor, D 또는 종종 hole acceptor로 불림) 특성과 전자 받개(electron acceptor, A) 특성을 갖는 유기물들로 구성된다. 유기 분자로 이루어진 태양전지가 빛을 흡수하면 전자와 홀이 형성되는데 이것을 엑시톤(exiton)이라 한다. 엑시톤은 D-A 계면으로 이동하여 전하가 분리되고 전자는 억셉터(electron acceptor)로, 홀은 도너(electron donor)로 이동하여 광전류가 발생한다.
전자 공여체에서 발생한 엑시톤이 통상 이동할 수 있는 거리는 10 nm 안팎으로 매우 짧기 때문에 광할성 유기 물질을 두껍게 쌓을 수 없어 광흡수도가 낮아 효율이 낮았다. 그러나, 최근에는 계면에서의 표면적을 증가시키는 소위 BHJ(bulk heterojuction) 개념의 도입과 넓은 범위의 태양광 흡수에 용이한 밴드갭이 작은 전자 공여체(donor) 유기물의 개발과 함께 효율이 크게 증가하여, 8%가 넘는 효율을 가진 유기 태양전지가 보고되고 있다(Advanced Materials, 23 (2011) 4636).
유기 태양전지는 유기 재료의 손쉬운 가공성과 다양성, 낮은 단가로 인하여 기존 태양전지와 비교하여 소자의 제작 과정이 간단하고, 따라서 기존의 태양전지에 비하여 저가 제조 단가의 실현이 가능하다. 그러나 유기 태양전지는 BHJ의 구조가 공기 중의 수분이나, 산소에 의해 열화되어 그 효율이 빠르게 저하되는, 즉 태양전지의 안정성에 큰 문제가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한 방법으로 완전한 실링 기술을 도입하여 안정성을 증가시킬 수 있으나, 가격이 올라가는 문제가 있다.
액체 전해질에 의한 염료감응태양전지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방법으로 염료감응태양전지의 발명자인 스위스 로잔공대 화학과의 미카엘 그라첼 교수는 1998년 네이처지에 액체 전해질 대신에 고체형 홀전도성 유기물인 Spiro-OMeTAD(2,2',7,7'-tetrakis(N,N-di-p-methoxyphenylamine)-9,9'-spirobifluorine)을 사용하여 효율이 0.74%인 전고체상 염료감응태양전지를 보고하였다. 이후 구조의 최적화, 계면 특성, 홀전도성 개선 등에 의하여 효율이 최대 약 6%까지 증가되었다. 또한 루테늄계 염료를 저가의 순수 유기물 염료와 홀전도체로 P3HT, PEDOT 등을 사용한 태양전지가 제조되었으나, 그 효율은 2-7%로 여전히 낮다.
또한, 광흡수체로 양자점 나노입자를 염료 대신 사용하고, 액체 전해질 대신 홀전도성 무기물 또는 유기물을 사용한 연구가 보고되고 있다. 양자점으로 CdSe, PbS 등을 사용하고 홀전도성 유기물로서 Spiro-OMeTAD 또는 P3HT와 같은 전도성 고분자를 사용한 태양전지가 다수 보고되었으나, 그 효율이 아직 5% 이하로 매우 낮다. 또한 광흡수 무기물로 Sb2S3와 홀전도성 무기물로 PCPDTBT를 사용한 태양전지에서 약 6%의 효율이 보고되었으나(Nano Letters, 11 (2011) 4789), 더 이상의 효율 향상은 보고되지 않고 있다.
이외에 순수한 무기물로 된 양자점이 아닌, 유무기 하이브리드 페로브스카이트 구조를 가진 물질을 염료감응태양전지의 염료 대신 사용하여 약 9%의 효율이 보고된 바 있다(Scientific Reports 2, 591). 이외에도 페로브스카이트를 이용한 태양전지를 발표하고 있지만 신규한 페로브스카이트 물질에 대해서는 보고가 미비한 실정이다.
이에 본 발명자는 태양전지의 효율을 높이기 위하여 유무기 하이브리드 페로브스카이트의 구조를 변경하는 연구를 수행하던 중, 유무기 하이브리드 페로브스카이트 구조 내의 Pb 원소를 다른 원소로 치환되고, 또한 유기 양이온으로서 3-피콜리뉴밀암모늄을 포함한 화합물이, 태양전지의 흡수체로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음을 확인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본 발명은 태양전지의 흡수체로 사용할 수 있는 신규한 구조의 화합물, 및 이의 제조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화합물을 포함하는 태양전지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제공한다:
[화학식 1]
ABxB'(1-x)X4
상기 식에서,
A는 3-피콜리뉴밀암모늄이고,
B는 Pd2 +, Ge2 +, Ni2 +, Co2 +, Fe2 +, Mn2 +, Cr2 +, Eu2 +, Sr2 +, Ca2 +, Cd2 +, Sn2 +, 또는 Yb2 +이고,
B'는 Cu2 +이고,
X는 서로 동일하거나 상이한 할로겐이고,
x는 0.1 내지 1이다.
종래 태양전지의 흡수체로 알려진 페로브스카이트 화합물은, Pb 기반의 화합물로서 대표적으로 CH3NH3PbI3가 있다. 그러나, 상기 화합물은 Pb 원소를 포함하고 있는데, Pb는 독성 물질로서 환경적인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태양전지를 장기간 사용하였거나 태양전지의 일부가 파손된 경우에 태양전지 내부의 페로브스카이트 화합물이 외부로 노출될 수 있으며, 이때 Pb의 독성으로 인하여 인체에 피해를 줄 염려가 있다. 그 외에도, Pb 원소를 포함한 페로브스카이트 화합물은 수분에 약하여 외부 환경에 따라 쉽게 분해된다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페로브스카이트 화합물의 Pb 원소를 다른 원소로 대체할 필요가 있다.
페로브스카이트 화합물은 유기 암모늄 이온, 중심 금속 이온 및 할로겐 이온의 배치에 따른 특정 결정 구조를 가지고 있으며, 따라서 중심 금속 원소를 다른 원소로 대체하는 경우에도 이러한 각 이온 간의 상호 배치를 고려하여야 한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종래 태양전지의 페로브스카이트 화합물의 Pb 원소를 Pd, Ge, Ni, Co, Fe, Mn, Cr, Eu, Sr, Ca, Cd, Sn, Yb, 또는 이러한 원소와 함께 Cu로 대체하고, 또한 페로브스카이트 결정 구조를 고려하여 유기 암모늄 이온으로, 3-피콜리뉴밀암모늄(
Figure pat00001
)을 사용하는,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사용한다는 특징이 있다.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은 Pb 원소를 전혀 사용하지 않기 때문에, Pb 원소 사용에 따른 독성 문제가 전혀 발생하지 않는다. 또한, 수분에 대한 안정성이 높아져 쉽게 분해되지 않는다는 이점이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화학식 1에서, X는 각각 독립적으로, Cl-, Br-, 또는 I-이다. 상기 X는 서로 동일하거나 상이할 수 있기 때문에, 상기 화학식 1에서 X는 2종 또는 3종의 할로겐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화학식 1에서 중심 금속 원소로 바람직하게는 Pd2 +, 또는 Ge2 +를 포함하되, Cu2 +를 함께 포함할 수 있으며, Cu2 +의 함유량은 x로서 표시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화학식 1에서 x는 0.5 내지 1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0.5, 또는 1이다. 여기서, x가 1인 경우에는 Cu2 +를 포함하지 않는 것을 의미한다.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의 대표적인 예는 다음과 같다:
1) (3-피콜리뉴밀암모늄)PdBr4,
2) (3-피콜리뉴밀암모늄)Pd0 . 5Cu0 . 5Br4, 또는
3) (3-피콜리뉴밀암모늄)PdI4
또한, 본 발명은 하기 반응식 1과 같이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의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반응식 1]
Figure pat00002
(상기 반응식 1에서, A, B, B', X 및 x의 정의는 앞서 정의한 바와 같다)
구체적으로, 상기 화학식 1-4로 표시되는 화합물에 화학식 1-1, 화학식 1-2 및 화학식 1-3으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각각 1:x:1-x의 몰비로 용해시키는 단계(단계 1); 및
상기 단계 1에서 제조한 용액의 용매를 제거하여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단계 1에서 화학식 1-4로 표시되는 화합물은 화학식 1-1과 반응할 뿐만 아니라 전체 반응의 용매 역할도 수행한다. 상기 단계 1은 0℃ 이하에서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단계 1 이후에는 40-80℃에서 교반하는 단계를 추가할 수 있다.
상기 단계 2에는 용매를 제거하여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제조하는 단계이다. 상기 용매를 제거하는 방법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일례로 100-150℃에서 가열시켜 용매를 제거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포함하는, 태양전지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은 태양광을 흡수하는 역할을 하므로, 태양전지에서 광 흡수층을 구성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용하는 태양전지는 다음과 같이 구성될 수 있다.
전도성 투명 기판을 포함하는 제1 전극;
상기 제1 전극 상에 형성되는 전자 전달층;
상기 전자 전달층 상에 형성되고,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포함하는 광 흡수층;
상기 광 흡수층 상에 형성되는 정공 전달층; 및
상기 정공 전달층 상에 형성된 제2 전극.
또한, 상기 태양전지는 하기와 같이 제조할 수 있다.
1) 전도성 투명 기판을 포함하는 제1 전극 상에 전자 전달층을 형성하는 단계;
2) 상기 전자 전달층 상에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흡착 후 열처리하여 광 흡수층을 형성하는 단계;
3) 상기 광 흡수층 상에 정공 전달층을 형성하는 단계; 및
4) 상기 정공 전달층 상에 제2전극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전도성 투명 기판은 태양전지 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전도성 투명 기판이면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일례로, 불소 함유 산화주석(FTO; Fouorine doped Tin Oxide), 인듐 함유 산화주석(ITO; Indium doped Tin Oxide), ZnO, PEDOT:PSS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전자 전달층은 다공성 금속 산화물을 사용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금속 산화물 입자에 의하여 다공 구조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금속 산화물로는, TiO2, SnO2, ZnO, Nb2O5, Ta2O5, WO3, W2O5, In2O3, Ga2O3, Nd2O3, PbO, 또는 CdO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정공 전달층은 고체형 정공 전달 물질 또는 액상 전해질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고체형 정공 전달 물질로는, 스피로-OMeTAD(2,2',7,7'-테트라키스-(N,N-디-p-메톡시페닐아민)9,9'-스피로비플루오렌)), P3HT(폴리(3-헥실티오펜)), PCPDTBT(폴리[2,1,3-벤조티아디아졸-4,7-디일[4,4-비스(2-에틸헥실)-4H-시클로펜타[2,1-b:3,4-b']디티오펜-2,6-디일]]), PVK(폴리(N-비닐카바졸)), HTM-TFSI(1-헥실-3-메틸이미다졸륨 비스(트리플루오로메틸술포닐)이미드), Li-TFSI(리튬 비스(트리플루오로메탄술포닐)이미드), tBP(tert-부틸피리딘), PDOT:PSS(Poly(3,4-ethylenedioxythiophene) poly(styrenesulfonate))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액상 전해질로는, 요오드와 첨가제를 용매에 용해시킨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우레아(urea), 티오우레아(thiourea), 부틸피리딘(tert-butylpyridine) 및 구아니딘 사이오시아네이트(guanidium thiotianate) 등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첨가제에 에틸아세테이트, 아세토니트닐, 톨루엔 및 메톡시프로피오니트틸 등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용매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제2 전극으로는, ITO, FTO, ZnO-Ga2O3, ZnO-Al2O3 및 주석계 산화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의 물질을 포함하는 유리 기판 또는 플라스틱 기판에, Pt, Au, Ni, Cu, Ag, In, Ru, Pd, Rh, Ir, Os, C, 및 전도성 고분자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물질을 포함하는 도전층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단계 2에서의 화합물의 흡착은, 스핀-코팅, 딥코팅, 스크린코팅, 스프레이코팅, 전기방사 등으로 10초 내지 5분 동안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분산시키는 용매로는 페로브스카이트가 용해되기 쉬운 용매라면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나, 감마-부티로락톤, DMF 등이 바람직하다. 흡착 후 열처리 온도는, 40 내지 300℃가 바람직하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화합물은, Pb 원소를 사용하지 않고, 또한 유기 암모늄 이온으로 3-피콜리뉴밀암모늄을 사용함으로써, 독성 문제가 없으며 또한 안정성이 우수하여 태양전지의 흡수체로서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제조한 화합물의 XRD 분석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제조한 화합물을 광흡수체로 포함하는 태양전지에 대하여 시간이 지남에 따른 발전 효율을 나타낸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바람직한 실시예를 제시한다. 그러나 하기의 실시예는 본 발명을 보다 쉽게 이해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일 뿐, 이에 의해 본 발명의 내용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3-피콜리뉴밀암모늄)PdBr 4 의 제조
HBr(hydrobromic acid)에, Ice bath 하에서 PdBr2(palladium bromide) 및 3-피콜릴아민(3-picolylamine)을 1:1의 몰비로 첨가하여 30 중량%의 HBr 용액을 제조하였다. 60℃에서 충분히 교반시킨 후, 상기 용액을 110℃에서 천천히 건조시켜 용매를 제거하여 (3-피콜리뉴밀암모늄)PdBr4의 화학식을 가지는 화합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2: (3-피콜리뉴밀암모늄)Pd 0.5 Cu 0.5 Br 4 의 제조
HBr(hydrobromic acid)에, Ice bath 하에서 PdBr2(palladium bromide), CuBr2(copper bromide) 및 3-피콜릴아민(3-picolylamine)을 0.5:0.5:1의 몰비로 첨가하여 30 중량%의 HBr 용액을 제조하였다. 60℃에서 충분히 교반시킨 후, 상기 용액을 110℃에서 천천히 건조시켜 용매를 제거하여 (3-피콜리뉴밀암모늄)Pd0 . 5Cu0 . 5Br4의 화학식을 가지는 화합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3: (3-피콜리뉴밀암모늄)PdI 4 의 제조
HI(hydriodic acid)에, Ice bath 하에서 PdI2(palladium iodide) 및 3-피콜릴아민(3-picolylamine)을 1:1의 몰비로 첨가하여 30 중량%의 HI 용액을 제조하였다. 60℃에서 충분히 교반시킨 후, 상기 용액을 110℃에서 천천히 건조시켜 용매를 제거하여 (3-피콜리뉴밀암모늄)PdI4의 화학식을 가지는 화합물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CH 3 NH 3 PbI 3 의 제조
GBL(gamma-butyrolactone)에, 60℃에서 CH3NH3I(methylammonium iodide) 및 PbI2(lead(II) iodide)를 1.2:1의 몰비로 첨가하여 40 중량%의 GBL 용액을 제조하였다. 상기 용액을 110℃에서 천천히 건조시켜 용매를 제거하고, 생성된 결정을 차가운 GBL, 에테르 및 GBL 혼합물(에테르:GBL=3:1(v/v)) 및 에테르 순으로 세척하고 상온에서 건조시켜, CH3NH3PbI3의 화학식을 가지는 유무기 하이브리드 페로브스카이트 화합물을 제조하였다.
실험예 1: X-선 회절 분석
X-선 회절 분석(X-ray diffraction analysis)을 통하여, 상기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제조한 화합물의 제조를 확인하였으며, 이의 결과를 도 1에 나타내었다.
실험예 2: 밴드갭 및 HOMO-LUMO 측정
상기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제조한 화합물에 대하여, Lambda 950 장비(Perkin Elmer 사)를 사용하여 200 내지 2000 nm의 파장에 해당하는 반사도를 측정하였다. 측정된 값은 Kublka-Monk equation을 이용한 Tauc plot으로 밴드갭을 계산하였다.
또한, 상기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제조한 화합물에 대하여, Photoelectron Spectroscopy 장비를 이용하여 HOMO를 측정하였고, 상기 얻어진 밴드갭을 통하여 LUMO 값을 계산하였다. 상기 결과를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밴드갭 HOMO LUMO
실시예 1 1.60 eV -5.66 -4.06
실시예 2 1.32 eV -5.62 -4.30
실시예 3 1.49 eV -5.59 -4.10
비교예 1.50 eV -5.40 -3.90
실험예 3: 태양전지의 효율 및 특성 평가
25×25 mm 크기의 FTO 기판을 사용하였고, 끝 부분을 에칭하여 부분적으로 FTO를 제거하였다. N-type 물질로 TiO2을 사용하였다. 0.1 M의 titanium diisopropoxide bis(acetylacetonate)을 1-부탄올에 희석시킨 용액을 700 rpm 10 s, 2000 rpm 60 s 조건으로 40 nm 두께에 맞추어 코팅을 한 후 500℃에서 15분 동안 열처리(sintering)하였다.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제조한 각각의 화합물을 inert condition에서 디메틸포름아마이드(DMF)에 용해시켜 40 중량%의 DMF 용액을 제조하였다. 상기 제조한 용액을 앞서 제조한 기판 상에 5000 rpm 30 s 조건으로 코팅하고 150℃에서 10분 동안 건조 및 열처리하여 광흡수층을 각각 제조하였다.
상기 광흡수층 상에 56.5 mM Spiro-OMeTAD, 188 mM TBP 및 29.9 mM LiTFSi가 용해된 클로로벤젠 용액을 6000 rpm 30 s 조건으로 스핀 코팅하여 정공전달층을 제조하였다. 열 증착기로 Au를 진공 증착하여 전극을 형성하였다.
상기 제조된 각각의 태양전지에 대하여, Solar system(Newport 사)으로 태양전지의 성능을 측정하였으며, 그 결과를 하기 표 2 및 도 2에 나타내었다. 하기 표 2는 최초 측정시의 측정 결과이며, 도 2는 시간이 지남에 따라 측정된 발전 효율을 나타낸 것이다.
단락전류밀도
(mA/cm2)
개방 전압(V) 성능 지수(%) 발전 효율(%)
실시예 1 15.70 1.019 0.61 9.66
실시예 2 20.54 1.080 0.49 10.76
실시예 3 18.90 1.042 0.59 11.62
비교예 19.65 1.056 0.70 14.07
도 2에 나타난 바와 같이, 비교예의 경우 시간이 지남에 따라 발전 효율이 급격히 떨어지나, 실시예의 경우 장시간 동안 높은 발전 효율을 유지할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Claims (7)

  1.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
    [화학식 1]
    ABxB'(1-x)X4
    상기 식에서,
    A는 3-피콜리뉴밀암모늄이고,
    B는 Pd2 +, Ge2 +, Ni2 +, Co2 +, Fe2 +, Mn2 +, Cr2 +, Eu2 +, Sr2 +, Ca2 +, Cd2 +, Sn2 +, 또는 Yb2 +이고,
    B'는 Cu2 +이고,
    X는 서로 동일하거나 상이한 할로겐이고,
    x는 0.5 내지 1이다.
  2. 제1항에 있어서,
    X는 각각 독립적으로, Cl-, Br-, 또는 I-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합물.
  3. 제1항에 있어서,
    x는 0.5, 또는 1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합물.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화합물은
    1) (3-피콜리뉴밀암모늄)PdBr4,
    2) (3-피콜리뉴밀암모늄)Pd0 . 5Cu0 . 5Br4, 또는
    3) (3-피콜리뉴밀암모늄)PdI4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합물.
  5. 하기 화학식 1-4로 표시되는 화합물에 화학식 1-1, 화학식 1-2 및 화학식 1-3으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각각 1:x:1-x의 몰비로 용해시키는 단계(단계 1); 및
    상기 단계 1에서 제조한 용액의 용매를 제거하여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의 화합물의 제조 방법:
    [화학식 1]
    ABxB'(1-x)X4
    [화학식 1-1]
    Figure pat00003

    [화학식 1-2]
    BX2
    [화학식 1-3]
    B'X2
    [화학식 1-4]
    HX
    상기에서,
    A, B, B', X 및 x는 청구항 1에서 정의한 바와 같다.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의 화합물을 포함하는, 태양전지.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태양전지는 하기의 구조를 가지는, 태양전지:
    전도성 투명 기판을 포함하는 제1 전극;
    상기 제1 전극 상에 형성되는 전자 전달층;
    상기 전자 전달층 상에 형성되고,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유무기 하이브리드 페로브스카이드 화합물을 포함하는 광 흡수층;
    상기 광 흡수층 상에 형성되는 정공 전달층; 및
    상기 정공 전달층 상에 형성된 제2 전극.
KR1020150149470A 2015-10-27 2015-10-27 흡수체로서 3-피콜리뉴밀암모늄을 포함하는 화합물, 이의 제조 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태양전지 KR10202268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49470A KR102022688B1 (ko) 2015-10-27 2015-10-27 흡수체로서 3-피콜리뉴밀암모늄을 포함하는 화합물, 이의 제조 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태양전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49470A KR102022688B1 (ko) 2015-10-27 2015-10-27 흡수체로서 3-피콜리뉴밀암모늄을 포함하는 화합물, 이의 제조 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태양전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48853A true KR20170048853A (ko) 2017-05-10
KR102022688B1 KR102022688B1 (ko) 2019-09-18

Family

ID=587438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49470A KR102022688B1 (ko) 2015-10-27 2015-10-27 흡수체로서 3-피콜리뉴밀암모늄을 포함하는 화합물, 이의 제조 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태양전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22688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106858A (ko) * 2014-03-12 2015-09-22 한국화학연구원 복합 페로브스카이트계 소재 및 이를 포함하는 반도체 소자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106858A (ko) * 2014-03-12 2015-09-22 한국화학연구원 복합 페로브스카이트계 소재 및 이를 포함하는 반도체 소자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Inorg. Chem., 1997, 36, 3102-3107.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22688B1 (ko) 2019-09-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Hamed et al. Mixed halide perovskite solar cells: progress and challenges
EP3044817B1 (en) Inverted solar cell and process for producing the same
KR101740654B1 (ko) 유무기 하이브리드 페로브스카이트 화합물,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태양전지
US9059418B2 (en) Method for manufacturing a nanostructured inorganic/organic heterojunction solar cell
US20160005547A1 (en) Inorganic-organic hybrid solar cell having durability and high performance
KR101856726B1 (ko) 유무기 하이브리드 페로브스카이트 화합물,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태양전지
US20120312375A1 (en) All-Solid-State Heterojunction Solar Cell
KR102046110B1 (ko) 유무기 혼합 페로브스카이트, 이의 제조 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태양 전지
KR20180076193A (ko) 혼합 할라이드 페로브스카이트 화합물,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태양전지
KR102028331B1 (ko) 페로브스카이트 태양전지
KR102079941B1 (ko) 스피로비플루오렌 화합물 및 이를 포함하는 페로브스카이트 태양전지
US20180330889A1 (en) Solar cell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KR101703569B1 (ko) 정공전달 물질, 이를 이용한 무-유기 하이브리드 태양전지 및 그 제조방법
KR101551074B1 (ko) 피리딘계 첨가제가 함유된 장기안정성 고체상 염료감응 태양전지
KR101976115B1 (ko) 흡수체로서 아크릴기를 포함하는 화합물, 이의 제조 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태양전지
KR102167415B1 (ko) 금속칼코지나이드 화합물로 개질된 n형 반도체를 갖는 태양전지의 제조방법 및 이로 부터 수득되는 태양전지
KR101703570B1 (ko) 정공전달 물질, 이를 이용한 무-유기 하이브리드 태양전지 및 그 제조방법
WO2016093485A1 (ko) 유무기 하이브리드 페로브스카이트 화합물,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태양전지
KR102022688B1 (ko) 흡수체로서 3-피콜리뉴밀암모늄을 포함하는 화합물, 이의 제조 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태양전지
KR20170047673A (ko) 알킬렌디암모늄을 가지는 화합물을 흡수체로 포함하는 태양 전지
WO2017095196A1 (ko) 유무기 혼합 페보브스카이트, 이의 제조 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태양전지
KR20160141541A (ko) 정공 전달 물질, 이의 제조 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태양전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