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47348A - 헌팅틴 단백질을 영상화하기 위한 프로브 - Google Patents

헌팅틴 단백질을 영상화하기 위한 프로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47348A
KR20170047348A KR1020177008418A KR20177008418A KR20170047348A KR 20170047348 A KR20170047348 A KR 20170047348A KR 1020177008418 A KR1020177008418 A KR 1020177008418A KR 20177008418 A KR20177008418 A KR 20177008418A KR 20170047348 A KR20170047348 A KR 2017004734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hydro
pyridin
optionally substituted
isoindol
pyridi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70084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10760B1 (ko
Inventor
셀리아 도밍게즈
존 휘트약
조나단 바드
크리스토퍼 존 브라운
토마스 마틴 크룰리
다니엘 클락-프류
사라 헤이즈
Original Assignee
씨에이치디아이 파운데이션, 인코포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씨에이치디아이 파운데이션, 인코포레이티드 filed Critical 씨에이치디아이 파운데이션, 인코포레이티드
Publication of KR201700473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4734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1076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10760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51/00Preparations containing radioactive substances for use in therapy or testing in vivo
    • A61K51/02Preparations containing radioactive substances for use in therapy or testing in vivo characterised by the carrier, i.e. characterised by the agent or material covalently linked or complexing the radioactive nucleus
    • A61K51/04Organic compounds
    • A61K51/041Heterocyclic compounds
    • A61K51/044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rifamycins
    • A61K51/0459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rifamycins having six-membered rings with two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e.g. piperazin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51/00Preparations containing radioactive substances for use in therapy or testing in vivo
    • A61K51/02Preparations containing radioactive substances for use in therapy or testing in vivo characterised by the carrier, i.e. characterised by the agent or material covalently linked or complexing the radioactive nucleus
    • A61K51/04Organic compounds
    • A61K51/041Heterocyclic compounds
    • A61K51/044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rifamycins
    • A61K51/0446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rifamycins having five-membered rings with one nitro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e.g. sulpiride, succinimide, tolmetin, buflomedi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51/00Preparations containing radioactive substances for use in therapy or testing in vivo
    • A61K51/02Preparations containing radioactive substances for use in therapy or testing in vivo characterised by the carrier, i.e. characterised by the agent or material covalently linked or complexing the radioactive nucleus
    • A61K51/04Organic compounds
    • A61K51/041Heterocyclic compounds
    • A61K51/044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rifamycins
    • A61K51/045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rifamycins having six-membered rings with one nitro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401/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two or more hetero rings, having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at least one ring being a six-membered ring with only one nitrogen atom
    • C07D401/0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two or more hetero rings, having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at least one ring being a six-membered ring with only one nitrogen atom containing two hetero rings
    • C07D401/04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two or more hetero rings, having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at least one ring being a six-membered ring with only one nitrogen atom containing two hetero rings directly linked by a ring-member-to-ring-member bond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401/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two or more hetero rings, having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at least one ring being a six-membered ring with only one nitrogen atom
    • C07D401/14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two or more hetero rings, having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at least one ring being a six-membered ring with only one nitrogen atom containing three or more hetero ring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403/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two or more hetero rings, having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not provided for by group C07D401/00
    • C07D403/0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two or more hetero rings, having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not provided for by group C07D401/00 containing two hetero rings
    • C07D403/04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two or more hetero rings, having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not provided for by group C07D401/00 containing two hetero rings directly linked by a ring-member-to-ring-member bond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487/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in the condensed system, not provided for by groups C07D451/00 - C07D477/00
    • C07D487/0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in the condensed system, not provided for by groups C07D451/00 - C07D477/00 in which the condensed system contains two hetero rings
    • C07D487/04Ortho-condensed system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513/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in the condensed system at least one hetero ring having nitrogen and sulfur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not provided for in groups C07D463/00, C07D477/00 or C07D499/00 - C07D507/00
    • C07D513/0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in the condensed system at least one hetero ring having nitrogen and sulfur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not provided for in groups C07D463/00, C07D477/00 or C07D499/00 - C07D507/00 in which the condensed system contains two hetero rings
    • C07D513/04Ortho-condensed system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513/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in the condensed system at least one hetero ring having nitrogen and sulfur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not provided for in groups C07D463/00, C07D477/00 or C07D499/00 - C07D507/00
    • C07D513/1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in the condensed system at least one hetero ring having nitrogen and sulfur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not provided for in groups C07D463/00, C07D477/00 or C07D499/00 - C07D507/00 in which the condensed system contains three hetero rings
    • C07D513/14Ortho-condensed system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BGENERAL METHODS OF ORGANIC CHEMISTRY; APPARATUS THEREFOR
    • C07B2200/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specific properties of organic compounds
    • C07B2200/05Isotopically modified compounds, e.g. labelled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Epidemiology (AREA)
  • Proteomics, Peptides & Aminoacid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dicines Containing Antibodies Or Antigens For Use As Internal Diagnostic Agents (AREA)
  • Plural Heterocyclic Compounds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 Peptides Or Proteins (AREA)
  • Investigating Or Analysing Biological Materials (AREA)
  • Nitrogen Condensed Heterocyclic Rings (AREA)
  • Magnetic Resonance Imaging Apparatus (AREA)

Abstract

식 I의 화합물, 또는 그것의 제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을 포함하는 영상화제, 및 그것의 사용 방법이 제공된다.

Description

헌팅틴 단백질을 영상화하기 위한 프로브{PROBES FOR IMAGING HUNTINGTIN PROTEIN}
본 출원은 2014년 8월 29일자 제출된 미국 임시출원 제62/043,644호의 우선권을 주장하며, 이것은 모든 취지에서 여기 참고로 포함된다.
양전자 방출 단층촬영(PET) 및 단일 광자 방출 컴퓨터 단층촬영(SPECT)과 같은 분자 영상화 접근법의 발전은 전임상 및 임상 상황에서 신체 전반적인 분자 및 세포 메커니즘의 측정을 가능하게 했다. 이러한 측정은 치료 반응의 평가를 위한 광범위한 진단 유틸리티 및 그것의 사용을 가지며, 약물 개발을 보조하기 위해 빠르게 확장중이다. 고-해상도 분자 영상화 기술의 최근 도입은 건강관리에 있어서 혁신적인 패러다임 전환을 잠재적으로 가져오며 임상 증례를 혁신할 주요한 돌파구로서 많은 전문가들에 의해 고려된다.
PET는 대상에게 양전자-방출 방사성핵종 트레이서를 투여한 후 신체에서 양전자 방출(소멸) 사건을 검출하는 것을 수반한다. 방사성핵종 트레이서는 전형적으로 일종 이상의 양전자-방출 방사성핵종이 통합된 표적화 분자로 이루어진다.
양전자-방출 방사성핵종으로 표지된 많은 새로운 분자 프로브 및 관련된 PET 영상화 분석이 암, 심장병 및 신경학적 장애와 같은 질환과 관련된 다양한 세포외 및 세포내 분자 및 과정을 표적화, 검출, 시각화 및 정량하기 위해서 개발중이다. 예를 들어, 아릴벤조티아졸, 스틸벤, 이미다조피리딘, 피리딜벤조티아졸, 피리딜벤족사졸 및 피리딜벤조푸란을 포함하여, 알츠하이머병(AD)을 가진 환자에서 아밀로이드β(Aβ) 플라크를 영상화하기 위한 몇 종의 제제가 합성되고 평가되었다(Swahn et al., Bioorganic & Medicinal Chemistry Letters, 20(2010) 1976-1980). 또한, AD를 가진 환자에서, 과인산화된 tau 단백질로 이루어진, 신경섬유 엉킴(NFT)을 영상화하기 위한 제제로서 스티릴벤즈이미다졸(SBIM) 유도체가 개발되었다. 재조합 tau 및 아밀로이드 β1 -42(Aβ1 -42) 응집체를 사용한 결합 실험에서 4-[(E)-2-(6-요도-1H-벤즈이미다졸-2-일)에텐일]-N,N-디메틸아닐린(SBIM-3)은 Aβ1 -42 응집체보다 tau 응집체에 대해 더 높은 친화성을 나타냈다(Kd 값의 비율이 2.73이었다). 시험관내 오토라디오그래피 및 형광 염색에서 [125I]SBIM-3(또는 SBIM-3)은 AD 뇌 조직의 절편에서 NFT와 결합했다. 정상 마우스를 사용한 생체분포 실험에서 모든 [125I]SBIM 유도체는 높은 초기 흡수(주사 2분 후에 3.20-4.11% ID/g) 및 뇌로부터 빠른 클리어런스(주사 60분 후 0.12-0.33% ID/g)를 나타냈다(Matsumura et al., Bioorganic & Medicinal Chemistry, 21(2013) 3356-3362).
헌팅턴병(HD)은 운동, 인지 및 정신적 결손뿐만 아니라 선조체 및 피질에서 시작해서 다른 피질하부 뇌 영역으로 확장되는 뇌 위축 및 신경변성을 특징으로 하는 유전되는 진행성 신경변성 장애이다. 그것은 확장된 CAG 반복부가 암호화된 단백질에서 폴리글루타민(polyQ)의 긴 신축부를 가져오는 돌연변이에 의해 야기되는 신경변성 질환의 패밀리에 속한다. 이 패밀리는 또한 치상핵적-핵담창구시상하핵 위축증(DRPLA), 구척수근위축증(SBMA) 및 척수소뇌실조증(SCAs)을 포함한다. 이들의 polyQ 반복부와 별도로 수반되는 단백질은 관련이 없으며, 이들은 모두 중추신경계 및 주변 조직에서 널리 발현되고, 신경변성의 특징적인 패턴을 가져온다. HD에서는 선조체의 γ-아미노부티르산-방출 돌기-돌출 뉴런의 선택적 신경변성이 우세하지만, 많은 다른 뇌 영역에서 뉴런의 손실이 또한 보고되었다. 침범되지 않은 집단에서 HD 단백질 헌팅틴(HTT 단백질)을 암호화하는 IT15 유전자에서 CAG 반복부의 수는 6에서 35까지 변한다; 36개 이상의 반복부는 HD 대립형질을 정의한다. CAG 확장의 길이는 질환 개시 연령과 역으로 상관되며, 소아 개시의 경우 60개를 초과하는 반복부의 확장을 특징으로 한다. HD는 세계적으로 100,000명당 5-10건의 사례의 유병률을 가지며, 가장 흔한 유전성 신경변성 장애이다. HTT 단백질은 아미노 말단에 다형성 글루타민/프롤린-부화 도메인을 함유하는 348-kDa 멀티도메인 단백질이다. 더 긴 polyQ 도메인은 단백질에 입체구조적 변화를 유도하는 것으로 보이는데, 이것은 그것이 세포내 응집체를 형성하도록 하며, 대부분의 경우 핵 포함체로서 나타난다. 그러나, 응집체는 또한 핵 외부에 형성될 수 있다. HTT 단백질은 뉴런의 핵, 세포체, 수지상체 및 신경 말단에 존재하며, 또한 골지 장치, 소포체 및 미토콘드리아를 포함하는 다수의 세포기관과 관련된다.
몇몇 임상 시험은 임상적으로 진단된 HD에서 증상을 완화하거나 감소시키고 진행을 지연시키기 위한 수단을 조사중이다. 다른 의학적 상태와 마찬가지로 치료는 질환의 최초 징후시나 그 전에 이상적으로 개시될 수 있다. 전-HD에 대한 임상 시험 설계에는 적어도 두 가지의 중요한 과제가 있다: 임상 시험 과정에 걸쳐서 측정가능한 변화를 나타낼 수 있는 참가자의 선택, 및 개입에 민감하며 전-HD의 자연적인 이력에 걸쳐서 변동을 증명할 수 있는 성과 측정의 개발. 예방적 임상 시험에서 이들 및 다른 과제를 충족시키기 위해 매우 이른 질환의 지시제가 요구된다.
HD의 병인에서 HTT 단백질의 응집된 형태의 축적의 중심적인 역할의 측면에서, PET를 사용한 살아있는 대상에서의 분자 영상화를 위하여, 높은 민감성 및 특이성으로 이러한 비정상체와 결합하는 분자 프로브에 대한 필요성이 있다. 여기 설명된 화합물은 이 필요성 및 다른 필요성을 충족한다.
식 I의 화합물, 또는 그것의 제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을 포함하는 영상화제가 제공된다:
Figure pct00001
상기 식에서,
Z1, Z2, Z3 및 Z4는 독립적으로 CH 및 N으로부터 선택되고, 단 Z1, Z2, Z3 및 Z4 중 적어도 둘은 CH이며;
R1은 아릴, 헤테로아릴 및 헤테로시클로알켄일로부터 선택되는데, 그것들의 각각은 알킨일, 헤테로아릴, 시아노, 선택적으로 치환된 아미노, 할로, 저급 알킬, 및 선택적으로 치환된 아미노로 치환된 저급 알킬로부터 독립적으로 선택된 하나 또는 두 개의 기로 선택적으로 치환되고;
L1은 O 및 NR4로부터 선택되며;
R4는 수소 및 저급 알킬로부터 선택되고;
L2는 (CH2)m 이며, 여기서 m은 0, 1 또는 2이고;
R2는 수소, 아릴, 하이드록실 또는 저급 알콕시로 치환된 아릴, 헤테로아릴, 및 하이드록실 또는 저급 알콕시로 치환된 헤테로아릴로부터 선택되며,
R5는 저급 알킬, 저급 알콕시, 할로 및 옥소 (헤테로시클로알킬 환 상의 치환체로서)로부터 선택되고; 및
n은 0 또는 1이며,
식 I의 화합물 또는 그것의 제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은 하나 이상의 양전자-방출 방사성핵종으로 표지된다.
또한, 여기 설명된 영상화제의 유효량을 개체에 투여하는 단계, 및 상기 개체의 적어도 일부분의 영상을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개체에서 진단 영상을 생성하는 방법이 제공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다음의 단어, 문구 및 기호는, 이들이 사용된 문장이 다른 의미를 나타내는 경우를 제외하고, 일반적으로 아래 제시된 의미를 갖도록 의도된다. 다음의 약자 및 용어는 명세서 전체에서 나타낸 의미를 가진다:
두 문자 또는 기호 사이에 있지 않은 대시("-")는 치환체의 부착점을 나타내기 위해 사용된다. 예를 들어, -CONH2는 탄소 원자를 통해서 부착된다.
여기 사용된 용어 "기", "라디칼" 또는 "단편"은 분자의 결합 또는 다른 단편에 부착가능한 분자의 작용기 또는 단편을 말한다.
값의 범위가 제공될 때(예를 들어, C1-6 알킬) 범위 내의 각 값뿐만 아니라 모든 사이의 값이 포함된다. 예를 들어, "C1-6 알킬"은 C1, C2, C3, C4, C5, C6, C1-6, C2-6, C3-6, C4-6, C5-6, C1-5, C2-5, C3-5, C4-5, C1-4, C2-4, C3-4, C1-3, C2-3, 및 C1-2 알킬을 포함한다.
어떤 부분이 선택적으로 치환된 것으로서 정의될 때 그것은 그 자체로서 또는 다른 부분의 일부로서 치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Rx가 "C1-6 알킬 또는 OC1-6 알킬로서 정의되고, 여기서 C1-6 알킬이 할로겐으로 선택적으로 치환된다면", C1-6 알킬 기가 단독으로 할로겐으로 치환될 수도 있고, OC1-6 알킬 기의 일부를 구성하는 C1-6 알킬이 할로겐으로 치환될 수도 있다.
용어 "알킬"은 나타낸 수의 탄소 원자, 일반적으로 1 내지 20개 탄소 원자, 예를 들어 1 내지 8개 탄소 원자, 예컨대 1 내지 6개 탄소 원자를 가진 직쇄 및 분지쇄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C1-C6 알킬은 1 내지 6개 탄소 원자의 직쇄 및 분지쇄 알킬을 모두 포함한다. 알킬 기의 예들은 메틸, 에틸, 프로필, 이소프로필, n-부틸, sec-부틸, tert-부틸, 펜틸, 2-펜틸, 이소펜틸, 네오펜틸, 헥실, 2-헥실, 3-헥실, 3-메틸펜틸 등을 포함한다. 특정 수의 탄소를 가진 알킬 잔기가 명명될 때 해당 수의 탄소를 가진 모든 기하학적 이성질체가 포함되도록 의도된다; 따라서, 예를 들어 "부틸"은 n-부틸, sec-부틸, 이소부틸 및 tert-부틸을 포함하는 것을 의미하고, "프로필"은 n-프로필 및 이소프로필을 포함한다. "저급 알킬"은 1 내지 6개 탄소 원자를 가진 알킬 기를 말한다.
"알콕시"는 산소 다리를 통해서 부착된 나타낸 수의 탄소 원자의 알킬 기를 의미하며, 예컨대 예를 들어 메톡시, 에톡시, 프로폭시, 이소프로폭시, n-부톡시, sec-부톡시, tert-부톡시, 펜톡시, 2-펜틸옥시, 이소펜톡시, 네오펜톡시, 헥속시, 2-헥속시, 3-헥속시, 3-메틸펜톡시 등이다. 알콕시 기는 일반적으로 산소 다리를 통해서 부착된 1 내지 6개 탄소 원자를 가질 것이다. "저급 알콕시"는 1 내지 6개 탄소를 가진 알콕시 기를 말한다. "시클로알콕시"는 마찬가지로 산소 다리를 통해서 부착된 시클로알킬 기를 의미한다.
"알킨일"은 나타낸 수의 탄소 원자(예를 들어, 2 내지 8개 또는 2 내지 6개 탄소 원자) 및 상응하는 알킬의 인접한 탄소 원자로부터 수소의 2개 분자의 제거에 의해 유도된 적어도 하나의 탄소-탄소 삼중 결합을 가진 불포화 분지쇄 또는 직쇄 알킬 기를 말한다. 알킨일 기는, 제한은 아니지만, 에틴일, 프로핀일(예를 들어, 프로프-1-인-1-일, 프로프-2-인-1-일) 및 부틴일(예를 들어, 부트-1-인-1-일, 부트-1-인-3-일, 부트-3-인-1-일)을 포함한다. "저급 알킨일"은 2 내지 6개 탄소를 가진 알킨일 기를 말한다.
"아릴"은 나타낸 수의 탄소 원자, 예를 들어 6 내지 12개 또는 6 내지 10개 탄소 원자를 가진 방향족 탄소 고리를 나타낸다. 아릴 기는 단환 또는 다환(예를 들어, 2환, 3환)일 수 있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다환 알릴 기의 두 고리는 방향족이다(예를 들어, 나프틸). 다른 예에서, 다환 아릴 기는 방향족 고리와 융합된 비-방향족 고리를 포함할 수 있으며(예를 들어, 시클로알킬, 시클로알켄일, 헤테로시클로알킬, 헤테로시클로알켄일), 단 다환 아릴 기는 방향족 고리에 있는 원자를 통해서 모 구조에 결합된다. 따라서, 1,2,3,4-테트라하이드로나프탈렌-5-일 기(이 부분은 방향족 탄소 원자를 통해 모 구조에 결합된다)는 아릴 기로 간주되지만, 1,2,3,4-테트라하이드로나프탈렌-1-일(이 부분은 비-방향족 탄소 원자를 통해 모 구조에 결합된다)은 아릴 기로 간주되지 않는다. 유사하게, 1,2,3,4-테트라하이드로퀴놀린-8-일 기(이 부분은 방향족 탄소 원자를 통해 모 구조에 결합된다)는 아릴 기로 간주되지만, 1,2,3,4-테트라하이드로퀴놀린-1-일 기(이 부분은 비-방향족 질소 원자를 통해 모 구조에 결합된다)는 아릴 기로 간주되지 않는다. 그러나, 용어 "아릴"은 부착점과 무관하게 "헤테로아릴"을 포함하거나 중복되지 않는다(예를 들어, 퀴놀린-5-일과 퀴놀린-2-일은 모두 헤테로아릴 기이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아릴은 페닐 또는 나프틸이다. 특정 예에서, 아릴은 페닐이다.
치환된 벤젠 유도체로부터 형성되고 고리 원자에 자유 원자가를 가진 2가 라디칼은 치환된 페닐렌 라디칼로 명명된다. 자유 원자가를 가진 탄소 원자로부터 하나의 수소 원자의 제거에 의해서 "-일"로 끝나는 명칭을 가진 1가 다환 탄화수소 라디칼로부터 유도된 2가 라디칼은 상응하는 1가 라디칼의 명칭에 "-이덴"을 부가함으로써 명명되며, 예를 들어 2개의 부착점을 가진 나프틸 기는 나프틸리덴으로 명명된다.
"시클로알킬"은 나타낸 수의 탄소 원자, 예를 들어 3 내지 10개, 또는 3 내지 8개, 또는 3 내지 6개 탄소 원자를 가진 비-방향족, 완전 포화 탄소환 고리를 나타낸다. 시클로알킬 기는 단환 또는 다환(예를 들어, 2환, 3환)일 수 있다. 시클로알킬 기의 예들은 시클로프로필, 시클로부틸, 시클로펜틸 및 시클로헥실뿐만 아니라 다리가 있고 케이지형인 고리 기를 포함한다(예를 들어, 노르보르난, 비시클로[2.2.2]옥탄). 이에 더하여, 다환 시클로알킬 기의 하나의 고리는 방향족일 수 있으며, 단 다환 시클로알킬 기는 비-방향족 탄소를 통해서 모 구조에 결합된다. 예를 들어, 1,2,3,4-테트라하이드로나프탈렌-1-일 기(이 부분은 비-방향족 탄소 원자를 통해 모 구조에 결합된다)는 시클로알킬 기이지만, 1,2,3,4-테트라하이드로나프탈렌-5-일(이 부분은 방향족 탄소 원자를 통해 모 구조에 결합된다)은 시클로알킬 기로 간주되지 않는다.
"시클로알켄일"은 나타낸 수의 탄소 원자(예를 들어, 3 내지 10개, 또는 3 내지 8개, 또는 3 내지 6개 고리 탄소 원자) 및 상응하는 시클로알킬의 인접 탄소 원자로부터 수소의 1개 분자의 제거에 의해 유도된 적어도 하나의 탄소-탄소 이중 결합을 함유하는 비-방향족 탄소환 고리를 나타낸다. 시클로알켄일 기는 단환 또는 다환(예를 들어, 2환, 3환)일 수 있다. 시클로알켄일 기의 예들은 시클로프로펜일, 시클로부텐일, 시클로펜텐일, 시클로펜타디엔일 및 시클로헥센일뿐만 아니라 다리가 있고 케이지형인 고리 기(예를 들어, 비시클로[2.2.2]옥텐)를 포함한다. 이에 더하여, 다환 시클로알켄일 기의 하나의 고리는 방향족일 수 있으며, 단 다환 알켄일 기는 비-방향족 탄소 원자를 통해서 모 구조에 결합된다. 예를 들어, 인덴-1-일(이 부분은 비-방향족 탄소 원자를 통해 모 구조에 결합된다)은 시클로알켄일 기로 간주되지만, 인덴-4-일(이 부분은 방향족 탄소 원자를 통해 모 구조에 결합된다)은 시클로알켄일 기로 간주되지 않는다.
용어 "할로"는 플루오로, 클로로, 브로모 및 요도를 포함하고, 용어 "할로겐"은 불소, 염소, 브롬 및 요오드를 포함한다.
"할로알킬"은 적어도 하나의 할로겐 원자로 치환된 나타낸 수의 탄소 원자(예를 들어, 1 내지 6개 탄소 원자)를 가진 직쇄 및 분지쇄 탄소 사슬을 포함한다. 할로알킬 기가 하나를 초과하는 할로겐 원자를 함유하는 예에서, 할로겐은 동일하거나(예를 들어, 디클로로메틸) 또는 상이할 수 있다(예를 들어, 클로로플루오로메틸). 할로알킬 기의 예들은, 제한은 아니지만, 클로로메틸, 디클로로메틸, 트리클로로메틸, 플루오로메틸, 디플루오로메틸, 트리플루오로메틸, 클로로플루오로메틸, 2-플루오로에틸, 2,2-디플루오로에틸, 2,2,2-트리플루오로에틸, 1,2-디플루오로에틸, 2-클로로에틸, 2,2-디클로로에틸, 2,2,2-트리클로로에틸, 1,2-디클로로에틸, 펜타클로로에틸, 및 펜타플루오로에틸을 포함한다.
"헤테로아릴"은 N, O 및 S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헤테로원자(예를 들어, 1, 2, 3 또는 4개 헤테로원자)로 구성되고 나머지 고리 원자는 탄소인 나타낸 수의 원자(예를 들어, 5 내지 12, 또는 5 내지 10 구성원 헤테로아릴)를 함유하는 방향족 고리를 나타낸다. 헤테로아릴 기는 인접한 S 및 O 원자를 함유하지 않는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헤테로아릴 기에서 S 및 O 원자의 총 수는 2개 이하이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헤테로아릴 기에서 S 및 O 원자의 총 수는 1개 이하이다. 달리 나타내지 않는다면, 헤테로아릴 기는 원자가가 허용하는 바에 따라서 탄소 또는 질소 원자에 의해 모 구조에 결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피리딜"은 2-피리딜, 3-피리딜 및 4-피리딜 기를 포함하고, "피롤일"은 1-피롤일, 2-피롤일 및 3-피롤일 기를 포함한다. 질소가 헤테로아릴 고리에 존재할 때 그것은, 인접 원자 및 기의 성질이 허용하는 경우, 산화된 상태로 존재할 수 있다(즉, N+-O-). 추가로, 황이 헤테로아릴 고리에 존재할 때 그것은, 인접 원자 및 기의 성질이 허용하는 경우, 산화된 상태로 존재할 수 있다(즉, S+-O- 또는 SO2). 헤테로아릴 기는 단환 또는 다환(예를 들어, 2환, 3환)일 수 있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헤테로아릴 기는 단환이다. 예들은 피롤, 피라졸, 이미다졸, 트리아졸(예를 들어, 1,2,3-트리아졸, 1,2,4-트리아졸, 1,3,4-트리아졸), 테트라졸, 푸란, 이속사졸, 옥사졸, 옥사디아졸(예를 들어, 1,2,3-옥사디아졸, 1,2,4-옥사디아졸, 1,3,4-옥사디아졸), 티오펜, 이소티아졸, 티아졸, 티아디아졸(예를 들어, 1,2,3-티아디아졸, 1,2,4-티아디아졸, 1,3,4-티아디아졸), 피리딘, 피리다진, 피리미딘, 피라진, 트리아진(예를 들어, 1,2,4-트리아진, 1,3,5-트리아진) 및 테트라진을 포함한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다환 헤테로아릴 기의 두 고리는 방향족이다. 예들은 인돌, 이소인돌, 인다졸, 벤조이미다졸, 벤조트리아졸, 벤조푸란, 벤족사졸, 벤조이속사졸, 벤족사디아졸, 벤조티오펜, 벤조티아졸, 벤조이소티아졸, 벤조티아디아졸, 1H-피롤로[2,3-b]피리딘, 1H-피라졸로[3,4-b]피리딘, 3H-이미다조[4,5-b]피리딘, 3H-[1,2,3]트리아졸로[4,5-b]피리딘, 1H-피롤로[3,2-b]피리딘, 1H-피라졸로[4,3-b]피리딘, 1H-이미다조[4,5-b]피리딘, 1H-[1,2,3]트리아졸로[4,5-b]피리딘, 1H-피롤로[2,3-c]피리딘, 1H-피라졸로[3,4-c]피리딘, 3H-이미다조[4,5-c]피리딘, 3H-[1,2,3]트리아졸로[4,5-c]피리딘, 1H-피롤로[3,2-c]피리딘, 1H-피라졸로[4,3-c]피리딘, 1H-이미다조[4,5-c]피리딘, 1H-[1,2,3]트리아졸로[4,5-c]피리딘, 푸로[2,3-b]피리딘, 옥사졸로[5,4-b]피리딘, 이속사졸로[5,4-b]피리딘, [1,2,3]옥사디아졸로[5,4-b]피리딘, 푸로[3,2-b]피리딘, 옥사졸로[4,5-b]피리딘, 이속사졸로[4,5-b]피리딘, [1,2,3]옥사디아졸로[4,5-b]피리딘, 푸로[2,3-c]피리딘, 옥사졸로[5,4-c]피리딘, 이속사졸로[5,4-c]피리딘, [1,2,3]옥사디아졸로[5,4-c]피리딘, 푸로[3,2-c]피리딘, 옥사졸로[4,5-c]피리딘, 이속사졸로[4,5-c]피리딘, [1,2,3]옥사디아졸로[4,5-c]피리딘, 티엔오[2,3-b]피리딘, 티아졸로[5,4-b]피리딘, 이소티아졸로[5,4-b]피리딘, [1,2,3]티아디아졸로[5,4-b]피리딘, 티엔오[3,2-b]피리딘, 티아졸로[4,5-b]피리딘, 이소티아졸로[4,5-b]피리딘, [1,2,3]티아디아졸로[4,5-b]피리딘, 티엔오[2,3-c]피리딘, 티아졸로[5,4-c]피리딘, 이소티아졸로[5,4-c]피리딘, [1,2,3]티아디아졸로[5,4-c]피리딘, 티엔오[3,2-c]피리딘, 티아졸로[4,5-c]피리딘, 이소티아졸로[4,5-c]피리딘, [1,2,3]티아디아졸로[4,5-c]피리딘, 퀴놀린, 이소퀴놀린, 시놀린, 퀴나졸린, 퀴녹살린, 프탈라진, 나프티리딘(예를 들어, 1,8-나프티리딘, 1,7-나프티리딘, 1,6-나프티리딘, 1,5-나프티리딘, 2,7-나프티리딘, 2,6-나프티리딘), 이미다조[1,2-a]피리딘, 1H-피라졸로[3,4-d]티아졸, 1H-피라졸로[4,3-d]티아졸 및 이미다조[2,1-b]티아졸을 포함한다.
다른 예에서, 다환 헤테로아릴 기는 헤테로아릴 고리에 융합된 비-방향족 고리(예를 들어, 시클로알킬, 시클로알켄일, 헤테로시클로알킬, 헤테로시클로알켄일)를 포함할 수 있으며, 단 다환 헤테로아릴 기는 방향족 고리에 있는 원자를 통해서 모 구조에 결합된다. 예를 들어, 4,5,6,7-테트라하이드로벤조[d]티아졸-2-일 기(이 부분은 방향족 탄소 원자를 통해 모 구조에 결합된다)는 헤테로아릴 기로 간주되지만, 4,5,6,7-테트라하이드로벤조[d]티아졸-5-일(이 부분은 비-방향족 탄소 원자를 통해 모 구조에 결합된다)은 헤테로아릴 기로 간주되지 않는다.
"헤테로시클로알킬"은 N, O 및 S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헤테로원자(예를 들어, 1, 2, 3 또는 4개 헤테로원자)로 구성되며 나머지 고리 원자는 탄소인 나타낸 수의 원자(예를 들어, 3 내지 10, 또는 3 내지 7 구성원 헤테로시클로알킬)을 가진 비-방향족, 완전 포화 고리를 나타낸다. 헤테로시클로알킬 기는 단환 또는 다환(예를 들어, 2환, 3환)일 수 있다.
단환 헤테로시클로알킬 기의 예들은 옥시란일, 아지리딘일, 아제티딘일, 피롤리딘일, 이미다졸리딘일, 피라졸리딘일, 피페리딘일, 피페라진일, 몰폴린일 및 티오몰폴린일을 포함한다.
질소가 헤테로시클로알킬 고리에 존재할 때 그것은, 인접 원자 및 기의 성질이 허용하는 경우, 산화된 상태로 존재할 수 있다(즉, N+-O-).
예들은 피페리딘일-N-옥시드 및 몰폴린일-N-옥시드를 포함한다. 추가로, 황이 헤테로시클로알킬 고리에 존재할 때 그것은, 인접 원자 및 기의 성질이 허용하는 경우, 산화된 상태로 존재할 수 있다(즉, S+-O- 또는 -SO2-). 예들은 티오몰폴린 S-옥시드 및 티오몰폴린 S,S-디옥시드를 포함한다.
이에 더하여, 다환 헤테로시클로알킬 기의 하나의 고리는 방향족(예를 들어, 아릴 또는 헤테로아릴)일 수 있으며, 단 다환 헤테로시클로알킬 기는 비-방향족 탄소 또는 질소 원자를 통해서 모 구조에 결합된다. 예를 들어, 1,2,3,4-테트라하이드로퀴놀린-1-일 기(이 부분은 비-방향족 질소 원자를 통해 모 구조에 결합된다)는 헤테로시클로알킬 기로 간주되지만, 1,2,3,4-테트라하이드로퀴놀린-8-일 기(이 부분은 방향족 탄소 원자를 통해 모 구조에 결합된다)는 헤테로시클로알킬 기로 간주되지 않는다.
"헤테로시클로알켄일"은 N, O 및 S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헤테로원자(예를 들어, 1, 2, 3 또는 4개 헤테로원자)로 구성되고 나머지 고리 원자는 탄소인 나타낸 수의 원자(예를 들어, 3 내지 10, 또는 3 내지 7 구성원 헤테로시클로알킬) 및 상응하는 헤테로시클로알킬의 인접 탄소 원자, 인접 질소 원자, 또는 인접 탄소 및 질소 원자로부터 수소의 1개 분자의 제거에 의해 유도된 적어도 하나의 이중 결합을 가진 비-방향족 고리를 나타낸다. 헤테로시클로알켄일 기는 단환 또는 다환(예를 들어, 2환, 3환)일 수 있다. 질소가 헤테로시클로알켄일 고리에 존재할 때 그것은, 인접 원자 및 기의 성질이 허용하는 경우, 산화된 상태로 존재할 수 있다(즉, N+-O-). 추가로, 황이 헤테로시클로알켄일 고리에 존재할 때 그것은, 인접 원자 및 기의 성질이 허용하는 경우, 산화된 상태로 존재할 수 있다(즉, S+-O- 또는 -SO2-). 헤테로시클로알켄일 기의 예들은 디하이드로푸란일(예를 들어, 2,3-디하이드로푸란일, 2,5-디하이드로푸란일), 디하이드로티오페닐(예를 들어, 2,3-디하이드로티오페닐, 2,5-디하이드로티오페닐), 디하이드로피롤일(예를 들어, 2,3-디하이드로-1H-피롤일, 2,5-디하이드로-1H-피롤일), 디하이드로이미다졸일(예를 들어, 2,3-디하이드로-1H-이미다졸일, 4,5-디하이드로-1H-이미다졸일), 피란일, 디하이드로피란일(예를 들어, 3,4-디하이드로-2H-피란일, 3,6-디하이드로-2H-피란일), 테트라하이드로피리딘일(예를 들어, 1,2,3,4-테트라하이드로피리딘일, 1,2,3,6-테트라하이드로피리딘일) 및 디하이드로피리딘(예를 들어, 1,2-디하이드로피리딘, 1,4-디하이드로피리딘)을 포함한다. 이에 더하여, 다환 헤테로시클로알켄일 기의 하나의 고리는 방향족(예를 들어, 아릴 또는 헤테로아릴)일 수 있으며, 단 다환 헤테로시클로알켄일 기는 비-방향족 탄소 또는 질소 원자를 통해서 모 구조에 결합된다. 예를 들어, 1,2-디하이드로퀴놀린-1-일 기(이 부분은 비-방향족 질소 원자를 통해 모 구조에 결합된다)는 헤테로시클로알켄일 기로 간주되지만, 1,2-디하이드로퀴놀린-8-일 기(이 부분은 방향족 탄소 원자를 통해 모 구조에 결합된다)는 헤테로시클로알켄일 기로 간주되지 않는다.
"선택적인" 또는 "선택적으로"는 이어서 설명된 사건이나 환경이 일어날 수 있거나 일어나지 않을 수 있다는 것과 그 설명이 사건이나 환경이 일어나는 경우와 그것이 일어나지 않는 경우를 포함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선택적으로 치환된 알킬"은 여기 정의된 "알킬"과 "치환된 알킬"을 모두 포함한다. 하나 이상의 치환체를 함유하는 임의의 기와 관련하여 이러한 기는 입체적으로 실행불가능한, 합성적으로 가능하지 않은, 및/또는 고유하게 불안정한 임의의 치환 또는 치환 패턴을 도입하도록 의도되지 않는다는 것이 당업자에 의해서 이해될 것이다.
여기 사용된 용어인 "치환된"은 지정된 원자 또는 기 상의 임의의 하나 이상의 수소가 나타낸 기로부터 선택된 것으로 대체된 것을 의미하며, 단 지정된 원자의 정상 원자가는 초과되지 않는다. 치환체가 옥소(즉, =O)일 때 원자 상의 2개의 수소가 대체된다. 치환체 및/또는 변수의 조합은 이러한 조합이 안정한 화합물이나 유용한 합성 중간체를 가져오는 경우에만 허용될 수 있다. 안정한 화합물 또는 안정한 구조는 반응 혼합물로부터의 분리, 및 적어도 실제 활용성을 가진 제제로서의 후속 조제를 견딜만큼 충분히 견고한 화합물을 나타내는 의미이다. 달리 명시되지 않는다면, 치환체는 코어 구조에 명명된다. 예를 들어, (시클로알킬)알킬이 가능한 치환체로서 열거될 때 코어 구조에 대한 이 치환체의 부착점은 알킬 부분에 있다는 것이 이해되어야 한다.
용어 "치환된" 알킬(제한 없이 C1-C4 알킬을 포함하는), 시클로알킬, 시클로알켄일, 아릴, 헤테로시클로알킬, 헤테로시클로알켄일 및 헤테로아릴은, 달리 명백히 정의되지 않는다면, 여기서 하나 이상의(예컨대 최대 5개, 예를 들어 최대 3개) 수소 원자가 다음으로부터 독립적으로 선택된 치환체로 대체된 알킬, 시클로알킬, 시클로알켄일, 아릴, 헤테로시클로알킬, 헤테로시클로알켄일, 및 헤테로아릴을 각각 말한다:
-Ra, -ORb, -O(C1-C2 알킬)O-(예를 들어, 메틸렌디옥시-), -SRb, 구아니딘(-NHC(=NH)NH2), 구아니딘 수소의 하나 이상이 C1-C4 알킬 기로 대체된 구아니딘, -NRbRc, 할로, 시아노, 옥소(헤테로시클로알킬의 치환체로서), 니트로, -CORb, -CO2Rb, -CONRbRc, -OCORb, -OCO2Ra, -OCONRbRc, -NRcCORb, -NRcCO2Ra, -NRcCONRbRc, -SORa, -SO2Ra, -SO2NRbRc, 및 -NRcSO2Ra,
여기서 Ra는 C1-C6 알킬, 시클로알킬, 아릴, 헤테로시클로알킬, 및 헤테로아릴로부터 선택되고;
Rb는 H, C1-C6 알킬, 아릴, 및 헤테로아릴로부터 선택되고;
Rc는 수소 및 C1-C4 알킬로부터 선택되거나; 또는
Rb 및 Rc와 이들이 부착된 질소는 헤테로시클로알킬 기를 형성하며;
여기서 각 C1-C6 알킬, 시클로알킬, 아릴, 헤테로시클로알킬, 및 헤테로아릴은 선택적으로 C1-C4 알킬, C3-C6 시클로알킬, 아릴, 헤테로아릴, 아릴-C1-C4 알킬-, 헤테로아릴-C1-C4 알킬-, C1-C4 할로알킬-, -OC1-C4 알킬, -OC1-C4 알킬페닐, -C1-C4 알킬-OH, -OC1-C4 할로알킬, 할로, -OH, -NH2, -C1-C4 알킬-NH2, -N(C1-C4 알킬)(C1-C4 알킬), -NH(C1-C4 알킬), -N(C1-C4 알킬)(C1-C4 알킬페닐), N(C1C4 알킬)(C1-C4 알킬헤테로아릴), -NH(C1-C4 알킬페닐), 시아노, 니트로, 옥소(헤테로아릴의 치환체로서), -CO2H, -C(O)OC1-C4 알킬, -CON(C1-C4 알킬)(C1-C4 알킬), -CONH(C1-C4 알킬), -CONH2, -NHC(O)(C1-C4 알킬), -NHC(O)(페닐), -N(C1-C4 알킬)C(O)(C1-C4 알킬), -N(C1-C4 알킬)C(O)(페닐), -C(O)C1-C4 알킬, -C(O)C1-C4 페닐, -C(O)C1-C4 할로알킬, -OC(O)C1-C4 알킬, -SO2(C1-C4 알킬), -SO2(페닐), -SO2(C1-C4 할로알킬), -SO2NH2, -SO2NH(C1-C4 알킬), -SO2NH(페닐), -NHSO2(C1-C4 알킬), -NHSO2(페닐), 및 -NHSO2(C1-C4 할로알킬)로부터 독립적으로 선택된 하나 이상의, 예컨대 1, 2 또는 3개의 치환체로 치환된다.
용어 "치환된 아미노"는 기 -NHRd 또는 -NRdRd를 말하며, 여기서 각 Rd는 선택적으로 치환된 알킬, 선택적으로 치환된 시클로알킬, 선택적으로 치환된 아실, 선택적으로 치환된 아릴, 선택적으로 치환된 헤테로아릴, 선택적으로 치환된 헤테로시클로알킬, 알콕시카본일, 설핀일 및 설폰일로부터 독립적으로 선택되고, 여기서 치환된 알킬, 시클로알킬, 아릴, 헤테로시클로알킬, 및 헤테로아릴은 하나 이상의(예컨대 최대 5개, 예를 들어 최대 3개) 수소 원자가 다음으로부터 독립적으로 선택된 치환체로 대체된 알킬, 시클로알킬, 아릴, 헤테로시클로알킬, 및 헤테로아릴을 각각 말한다:
-Ra, -ORb, -O(C1-C2 알킬)O-(예를 들어, 메틸렌디옥시-), -SRb, 구아니딘, 구아니딘 수소의 하나 이상이 저급-알킬 기로 대체된 구아니딘, -NRbRc, 할로, 시아노, 니트로, -CORb, -CO2Rb, -CONRbRc, -OCORb, -OCO2Ra, -OCONRbRc, -NRcCORb, -NRcCO2Ra, -NRcCONRbRc, -CO2Rb, -CONRbRc, -NRcCORb, -SORa, -SO2Ra, -SO2NRbRc, 및 -NRcSO2Ra,
여기서 Ra는 선택적으로 치환된 C1-C6 알킬, 선택적으로 치환된 아릴, 및 선택적으로 치환된 헤테로아릴로부터 선택되고;
Rb는 H, 선택적으로 치환된 C1-C6 알킬, 선택적으로 치환된 아릴, 및 선택적으로 치환된 헤테로아릴로부터 선택되고;
Rc는 수소 및 선택적으로 치환된 C1-C4 알킬로부터 선택되며;
여기서 각각의 선택적으로 치환된 기는 치환되지 않거나 또는 C1-C4 알킬, 아릴, 헤테로아릴, 아릴-C1-C4 알킬-, 헤테로아릴-C1-C4 알킬-, C1-C4 할로알킬-, -OC1-C4 알킬, -OC1-C4 알킬페닐, -C1-C4 알킬-OH, -OC1-C4 할로알킬, 할로, -OH, -NH2, -C1-C4 알킬-NH2, -N(C1-C4 알킬)(C1-C4 알킬), -NH(C1-C4 알킬), -N(C1-C4 알킬)(C1-C4 알킬페닐), N(C1C4 알킬)(C1-C4 알킬헤테로아릴), -NH(C1-C4 알킬페닐), 시아노, 니트로, 옥소(헤테로아릴의 치환체로서), -CO2H, -C(O)OC1-C4 알킬, -CON(C1-C4 알킬)(C1-C4 알킬), -CONH(C1-C4 알킬), -CONH2, -NHC(O)(C1-C4 알킬), -NHC(O)(페닐), -N(C1-C4 알킬)C(O)(C1-C4 알킬), -N(C1-C4 알킬)C(O)(페닐), -C(O)C1-C4 알킬, -C(O)C1-C4 페닐, -C(O)C1-C4 할로알킬, -OC(O)C1-C4 알킬, -SO2(C1-C4 알킬), -SO2(페닐), -SO2(C1-C4 할로알킬), -SO2NH2, -SO2NH(C1-C4 알킬), -SO2NH(페닐), -NHSO2(C1-C4 알킬), -NHSO2(페닐), 및 -NHSO2(C1-C4 할로알킬)로부터 독립적으로 선택된 하나 이상의, 예컨대 1, 2 또는 3개의 치환체로 독립적으로 치환된다.
용어 "치환된 아미노"는 또한 기 -NReRf를 말하며, 여기서 Re 및 Rf는 이들이 결합된 질소와 함께, 선택적으로 질소, 산소 및 황으로부터 선택된 1 또는 2개의 추가의 헤테로원자를 함유하는, 선택적으로 치환된 5- 내지 7-구성원 질소-함유 비-방향족 헤테로환을 형성한다.
"아미노카본일"은 식 -(C=O)(선택적으로 치환된 아미노)의 기를 포함하며, 여기서 치환된 아미노는 여기 설명된 대로이다.
여기 설명된 화합물은, 제한은 아니지만, 이들의 광학 이성질체, 라세미체, 및 이들의 다른 혼합물을 포함한다. 이와 관련하여, 단일 거울상이성질체 또는 부분입체이성질체, 즉 광학 활성 형태가 비대칭 합성 또는 라세미체의 분해에 의해서 얻어질 수 있다. 라세미체의 분해는, 예를 들어 분해제의 존재하의 결정화, 또는 예를 들어 키랄 고압 액체 크로마토그래피(HPLC) 칼럼을 사용하는 크로마토그래피와 같은 종래의 방법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용어 "이성질체"는 동일한 분자식을 가진 상이한 화합물을 말한다. 용어 "입체이성질체"는 원자가 공간에 배열된 방식에만 차이가 있는 이성질체를 말한다. 용어 "거울상이성질체"는 서로의 비-중첩가능한 거울 이미지인 입체이성질체를 말한다. 한 쌍의 거울상이성질체의 1:1 혼합물은 "라세미" 혼합물이다. 기호 "(±)"는 적절한 경우 라세미 혼합물을 지칭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용어 "부분입체이성질체"는 적어도 2개의 비대칭 원자를 갖지만 서로의 거울 이미지는 아닌 입체이성질체를 말한다. 절대 입체화학은 Cahn-Ingold-Prelog R-S 시스템에 따라서 특정된다. 화합물이 순수한 거울상이성질체일 때 각 키랄 탄소에서 입체화학은 R 또는 S에 의해서 특정될 수 있다. 절대 입체구조가 알려지지 않은 분해된 화합물은 이들이 나트륨 D 라인의 파장에서 평면 편광된 빛을 회전시키는 방향(우회전성 또는 좌회전성)에 따라서 (+) 또는 (-)로 지정될 수 있다.
여기 설명된 화합물이 다양한 토토머 형태로 존재할 때 용어 "화합물"은 화합물의 모든 토토머 형태를 포함한다. 이러한 화합물은 또한 다형체 및 포접체를 포함하는 결정 형태를 포함한다. 유사하게, 용어 "염"은 화합물의 모든 토토머 형태 및 결정 형태를 포함한다. 용어 "토토머"는 토토머화에 의해 상호전환되는 구조적으로 분리된 이성질체를 말한다. 토토머화는 이성질화의 형태이며, 양성자성 또는 양성자-이동 토토머화를 포함하고, 이것은 산-염기 화학의 하위군으로 간주된다. 양성자성 토토머화 또는 양성자-이동 토토머화는 결합 순서의 변화, 주로 단일 결합과 인접 이중 결합의 상호교환에 동반되는 양성자의 이동을 수반한다. 토토머화가 가능한 경우(예를 들어, 용액에서), 토토머들의 화학 평형에 도달될 수 있다. 토토머화의 예는 케토-엔올 토토머화이다. 케토-엔올 토토머화의 구체적인 예는 펜탄-2,4-디온과 4-하이드록시펜트-3-엔-2-온 토토머의 상호전환이다. 토토머화의 다른 예는 페놀-케토 토토머화이다. 페놀-케토 토토머화의 구체적인 예는 피리딘-4-올과 피리딘-4(1H)-온 토토머의 상호전환이다.
여기 인용된 화합물의 제약학적으로 허용되는 형태는 제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염, 및 이들의 혼합물을 포함한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여기 설명된 화합물은 제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의 형태이다.
"제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은, 제한은 아니지만, 무기산을 가진 염, 예컨대 하이드로콜레이트, 포스페이트, 디포스페이트, 하이드로브로메이트, 설페이트, 설피네이트, 나이트레이트 등 염; 뿐만 아니라 유기산을 가진 염, 예컨대 말레이트, 말레에이트, 푸마레이트, 타르트레이트, 석시네이트, 시트레이트, 락테이트, 메탄설포네이트, p-톨루엔설포네이트, 2-하이드록시에틸설포네이트, 벤조에이트, 살리실레이트, 스테아레이트, 할로알칸오에이트, 예컨대 트리플루오로아세테이트 및 알칸오에이트, 예컨대 아세테이트, HOOC-(CH2)n-COOH(n은 0-4이다) 등 염을 포함한다. 유사하게, 제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양이온은, 제한은 아니지만, 나트륨, 칼륨, 칼슘, 알루미늄, 리튬, 및 암모늄을 포함한다. 이에 더하여, 여기 설명된 화합물이 산 부가 염으로서 얻어진다면, 자유 염기는 산 염의 용액을 염기화함으로써 얻어질 수 있다. 반대로, 생성물이 자유 염기라면, 부가 염, 특히 제약학적으로 허용되는 부가 염은, 염기 화합물로부터 산 부가 염을 제조하기 위한 종래의 과정에 따라서, 자유 염기를 적합한 유기 용매에 용해하고 용액을 산으로 처리함으로써 생성될 수 있다. 당업자는 비-독성의 제약학적으로 허용되는 부가 염을 제조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는 다양한 합성 방법을 인정할 것이다.
진단제, 예컨대 예를 들어 여기 설명된 양전자-방출제 표지된 화합물과 관련하여 여기 사용된 용어인 "투여하는"은 진단제를 환자에게 전신 투여하거나, 표적 조직에 또는 위에 직접 투여하는 것을 의미하며, 이로써 진단제는 조직 또는 표적화되는 조직과 관련된 병리현상을 영상화하는데 사용된다. 조성물을 "투여하는" 것은 주사, 주입, 또는 다른 공지된 기술과 조합된 방법에 의해서 달성될 수 있다.
용어 "퀴리"(Ci)는 방사능의 측정 단위이다. 1 Ci는 초당 3.7 x 1010 분쇄 속도로 붕괴하는 임의의 방사능 재료의 양을 말한다. 용어 "밀리퀴리"(mCi)는 10-3 퀴리를 말한다. 방사능의 국제 시스템(SI) 단위인 베크렐(Becquerel)은 1 분쇄/초와 같다. 따라서, 1 베크렐 = 2.7 x 10-11 퀴리이다.
여기 사용된 용어인 "진단 영상화"는 진단의 목적을 위해서 인체 또는 동물체의 내부구조의 영상을 생성하기 위한 전자기 방사선의 사용을 말한다.
여기 사용된 용어인 화합물의 "유효량"은 개체의 표적 장기의 원하는 영상의 취득을 가능하게 하기에 충분한 양과 같은, 원하는 효과를 달성하도록 계산된 정해진 양이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표적 장기는 뇌이다.
여기 사용된 용어인 "헌팅틴 단백질" 또는 "HTT 단백질"은 위치 16.3에서 4번 염색체의 짧은(p) 팔 상에 위치된 사람 헌팅틴 유전자(HTT 유전자)에 의해서 암호화된 단백질을 말한다. 더 정확히는, HTT 단백질을 코딩하는 IT15 유전자가 4번 염색체 상에서 염기쌍 3,076,407에서 염기쌍 3,245,686까지 위치된다.
여기 사용된 용어인 "HTT 단백질 응집체"는 잘못 접힌 HTT 단백질 분자를 포함하는 불용성 섬유질 아밀로이드를 말한다.
여기 사용된 용어인 "β-아밀로이드 응집체"는 잘못 접힌 β-아밀로이드 단백질 분자를 포함하는 불용성 섬유질 아밀로이드를 말한다.
여기 사용된 용어인 "영상화제"는 하나 이상의 양전자-방출 동위원소 또는 방사성핵종으로 표지된 여기 설명된 화합물을 말한다. 양전자-방출제 표지된 화합물은 특정한 용도에 적합한 기술에 의한 검출을 허용하는 정도로 검출가능한 동위원소로 부화되어야 한다.
여기 사용된 용어인 "병리학적 과정"은 이러한 생물학적 과정과 관련된 단백질, 펩티드, RNA 및 다른 물질의 비정상적 생성 및/또는 기능화와 관련될 수 있는 변경된 내인성 생물학적 과정을 말한다.
여기 사용된 용어인 "PET 영상화"는 인체 또는 동물체의 내부 구조의 영상을 생성하기 위한 양전자-방출제 표지된 화합물의 사용을 말한다.
용어 "제약학적 조성물"은 여기 설명된 적어도 하나의 영상화제를 포함하는 조성물을 말하며, 이로써 조성물은 포유류(예를 들어, 제한은 없지만 사람)에서 명시된 효과있는 성과에 대한 조사를 가능하게 한다. 당업자는, 당업자의 필요에 기초하여 조성물이 원하는 효과있는 성과를 갖는지의 여부를 결정하기에 적합한 기술을 이해하고 인정할 것이다.
여기 사용된 용어인 "양전자-방출 방사성핵종"은 β+ 붕괴로서 언급되는 특정한 타입의 방사능 붕괴를 나타내는 방사능 동위원소를 말하며, 여기서 방사성핵종 핵 내부의 양성자는 양전자 및 전자 중성미자(νe)를 방출하면서 중성자로 전환된다. 양전자-방출 방사성핵종의 일부 예들은 15O, 13N, 11C, 18F, 76Br, 및 124I를 포함한다. 이들 방사성핵종은 약 2, 10, 20, 110분, 16시간 및 4.2일의 반감기를 각각 가진다.
여기 사용된 용어인 "단층촬영"은 절편에 의한 영상화 과정을 말한다. 영상은 개별적으로, 일련의 2-차원 슬라이스로서, 또는 컴퓨터-생성된 3-차원 표현으로서 볼 수 있다.
식 I의 화합물, 또는 그것의 제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을 포함하는 영상화제가 제공된다:
Figure pct00002
상기 식에서,
Z1, Z2, Z3 및 Z4는 독립적으로 CH 및 N으로부터 선택되고, 단 Z1, Z2, Z3 및 Z4 중 적어도 둘은 CH이며;
R1은 아릴, 헤테로아릴 및 헤테로시클로알켄일로부터 선택되는데, 그것들의 각각은 알킨일, 헤테로아릴, 시아노, 선택적으로 치환된 아미노, 할로, 저급 알킬, 및 선택적으로 치환된 아미노로 치환된 저급 알킬로부터 독립적으로 선택된 하나 또는 두 개의 기로 선택적으로 치환되고;
L1은 O 및 NR4로부터 선택되며;
R4는 수소 및 저급 알킬로부터 선택되고;
L2는 (CH2)m 이며, 여기서 m은 0, 1 또는 2이고;
R2는 수소, 아릴, 하이드록실 또는 저급 알콕시로 치환된 아릴, 헤테로아릴, 및 하이드록실 또는 저급 알콕시로 치환된 헤테로아릴로부터 선택되며,
R5는 저급 알킬, 저급 알콕시, 할로 및 옥소 (헤테로시클로알킬 환 상의 치환체로서)로부터 선택되고; 및
n은 0 또는 1이며,
식 I의 화합물 또는 그것의 제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은 하나 이상의 양전자-방출 방사성핵종으로 표지된다.
또한 식 I의 화합물 또는 그것의 제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을 포함하는 영상화제가 제공된다:
Figure pct00003
상기 식에서,
Z1, Z2, Z3, 및 Z4는 독립적으로 CH 및 N으로부터 선택되고, 단 Z1, Z2, Z3, 및 Z4 중 적어도 둘은 CH이며;
R1은 아릴 및 헤테로아릴로부터 선택되고, 그것들의 각각은 알킨일, 시아노, 선택적으로 치환된 아미노, 할로, 저급 알킬, 및 선택적으로 치환된 아미노로 치환된 저급 알킬로부터 독립적으로 선택된 하나 이상의 기로 선택적으로 치환되고;
L1은 O 및 NR4로부터 선택되며;
R4는 수소 및 저급 알킬로부터 선택되고;
L2는 (CH2)m이며, 여기서 m은 0, 1 또는 2이고; 및
R2는 수소, 헤테로아릴, 및 하이드록실 또는 저급 알콕시로 치환된 헤테로아릴로부터 선택되며,
R5는 저급 알킬, 저급 알콕시 및 할로로부터 선택되고; 및
n은 0 또는 1이며;
식 I의 화합물 또는 그것의 제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은 하나 이상의 양전자-방출 방사성핵종으로 표지된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R1은 시아노, 선택적으로 치환된 아미노, 할로, 저급 알킬, 및 선택적으로 치환된 아미노로 치환된 저급 알킬로부터 독립적으로 선택된 하나 또는 두 개의 기로 선택적으로 치환된 페닐이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R1은 시아노, 메틸, 및 아미노, (알킬)아미노 또는 (디알킬)아미노로 치환된 메틸로부터 독립적으로 선택된 하나 또는 두 개의 기로 선택적으로 치환된 페닐이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R1은 2-시아노페닐이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R1은 알킨일, 시아노, 선택적으로 치환된 아미노, 할로, 저급 알킬, 및 선택적으로 치환된 아미노로 치환된 저급 알킬로부터 독립적으로 선택된 하나 또는 두 개의 기로 선택적으로 치환된 헤테로아릴이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R1은 피리딘-4-일, 피리딘-2-일, 피리딘-3-일, 피리미딘-4-일, 1,2-디하이드로피리딘-2-온-3-일, 1H-인다졸-4-일 및 1H-인다졸-7-일로부터 선택되고, 그것들의 각각은 알킨일, 시아노, 선택적으로 치환된 아미노, 할로, 저급 알킬, 및 선택적으로 치환된 아미노로 치환된 저급 알킬로부터 독립적으로 선택된 하나 또는 두 개의 기로 선택적으로 치환된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R1은 피리딘-4-일, 피리딘-2-일, 피리딘-3-일 및 피리미딘-4-일로부터 선택되고, 그것들의 각각은 알킨일, 시아노, 선택적으로 치환된 아미노, 할로, 저급 알킬, 및 선택적으로 치환된 아미노로 치환된 저급 알킬로부터 독립적으로 선택된 하나 또는 두 개의 기로 선택적으로 치환된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R1은 5-시아노-피리미딘-4-일, 피리딘-4-일, 5-브로모-1,2-디하이드로피리딘-2-온-3-일, 3-아세트아미도-피리딘-4-일, 2-아세트아미도-피리딘-6-일, 3-시아노-피리딘-4-일, 3-시아노-피리딘-6-일, 3-브로모-피리딘-4-일, 3-브로모-피리딘-2-일, 3-시아노-피리딘-2-일, 3-플루오로-피리딘-4-일, 2-시아노-피리딘-4-일, 4-시아노-피리딘-3-일 및 3-에틴일-피리딘-4-일로부터 선택된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R1은 피리딘-4-일 또는 3-시아노-피리딘-4-일이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R1은 저급 알킬로 선택적으로 치환된 헤테로시클로알켄일이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R1은 저급 알킬로 선택적으로 치환된 2,3-디하이드로피리다진-6-일이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L1은 0이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m은 1이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R2는 수소, 아릴, 하이드록실 또는 저급 알콕시로 치환된 아릴, 헤테로아릴, 및 하이드록실 또는 저급 알콕시로 치환된 헤테로아릴로부터 선택된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R2는 수소, 헤테로아릴, 및 하이드록실 또는 저급 알콕시로 치환된 헤테로아릴로부터 선택된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R2는 수소, 페닐, 피리딘-2-일, 피리미딘-5-일, 피라진-2-일 및 피리미딘-5-일로부터 선택되고, 수소 이외의 그것들의 각각은 하이드록실 또는 저급 알콕시로 선택적으로 치환된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R2는 수소, 피리딘-2-일, 피리미딘-5-일, 피라진-2-일 및 피리미딘-5-일로부터 선택되고, 수소 이외의 그것들의 각각은 하이드록실 또는 저급 알콕시로 선택적으로 치환된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Z1, Z2, Z3 및 Z4는 CH이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Z1은 N이고 Z2, Z3 및 Z4는 CH이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Z2는 N이고 Z1, Z3 및 Z4는 CH이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Z2 및 Z4는 N이고 Z1 및 Z3은 CH이다.
또한 다음으로부터 선택된 식 I의 화합물 또는 그것의 제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을 포함하는 영상화제가 제공되며, 이때 식 I의 화합물 또는 그것의 제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은 하나 이상의 양전자-방출 방사성핵종으로 표지된다:
2-(5-메톡시-2,3-디하이드로-1H-이소인돌-2-일)피리딘-3-카보니트릴;
2-{5-[(5-메톡시피리딘-2-일)메톡시]-2,3-디하이드로-1H-이소인돌-2-일}피리딘-3-카보니트릴;
2-[5-(피리미딘-5-일메톡시)-2,3-디하이드로-1H-이소인돌-2-일]피리딘-3-카보니트릴;
4-{5-[(5-메톡시피리딘-2-일)메톡시]-2,3-디하이드로-1H-이소인돌-2-일}피리딘-3-카보니트릴;
4-(5-메톡시-2,3-디하이드로-1H-이소인돌-2-일)피리미딘-5-카보니트릴;
4-{5-[(5-메톡시피리딘-2-일)메톡시]-2,3-디하이드로-1H-이소인돌-2-일}피리미딘-5-카보니트릴;
4-{5-[(5-하이드록시피리딘-2-일)메톡시]-2,3-디하이드로-1H-이소인돌-2-일}피리딘-3-카보니트릴;
4-(5-메톡시-2,3-디하이드로-1H-이소인돌-2-일)피리딘-3-카보니트릴; 및
4-[5-(피리미딘-5-일메톡시)-2,3-디하이드로-1H-이소인돌-2-일]피리딘-3-카보니트릴.
또한 다음으로부터 선택된 식 I의 화합물 또는 그것의 제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을 포함하는 영상화제가 제공되며, 이때 식 I의 화합물 또는 그것의 제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은 하나 이상의 양전자-방출 방사성핵종으로 표지된다:
2-(5-메톡시-2,3-디하이드로-1H-이소인돌-2-일)피리딘-3-카보니트릴;
2-{5-[(5-메톡시피리딘-2-일)메톡시]-2,3-디하이드로-1H-이소인돌-2-일}피리딘-3-카보니트릴;
2-[5-(피리미딘-5-일메톡시)-2,3-디하이드로-1H-이소인돌-2-일]피리딘-3-카보니트릴;
4-{5-[(5-메톡시피리딘-2-일)메톡시]-2,3-디하이드로-1H-이소인돌-2-일}피리딘-3-카보니트릴;
4-(5-메톡시-2,3-디하이드로-1H-이소인돌-2-일)피리미딘-5-카보니트릴;
4-{5-[(5-메톡시피리딘-2-일)메톡시]-2,3-디하이드로-1H-이소인돌-2-일}피리미딘-5-카보니트릴;
4-{5-[(5-하이드록시피리딘-2-일)메톡시]-2,3-디하이드로-1H-이소인돌-2-일}피리딘-3-카보니트릴;
4-(5-메톡시-2,3-디하이드로-1H-이소인돌-2-일)피리딘-3-카보니트릴;
4-[5-(피리미딘-5-일메톡시)-2,3-디하이드로-1H-이소인돌-2-일]피리딘-3-카보니트릴;
5-[(5-메톡시피라진-2-일)메톡시]-2-(피리딘-4-일)-2,3-디하이드로-1H-이소인돌;
4-[5-(벤질옥시)-2,3-디하이드로-1H-이소인돌-2-일]피리미딘-5-카보니트릴;
4-{5-[(5-하이드록시피리딘-2-일)메톡시]-2,3-디하이드로-1H-이소인돌-2-일}피리미딘-5-카보니트릴;
6-{5-[(5-메톡시피리딘-2-일)메톡시]-2,3-디하이드로-1H-이소인돌-2-일}-2-메틸-2,3-디하이드로피리다진-3-온; 및
5-[(5-메톡시피리딘-2-일)메톡시]-2-(피리딘-4-일)-2,3-디하이드로-1H-이소인돌-1-온.
식 I의 화합물, 또는 그것의 제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은 하나 이상의 양전자-방출 방사성핵종으로 표지된다. 여기 설명된 화합물에 통합될 수 있는 적합한 양전자-방출 방사성핵종은, 제한은 아니지만, 11C, 13N, 15O, 18F, 52Fe, 62Cu, 64Cu, 68Ga, 74As, 82Rb, 89Zr, 122I 및 124I를 포함한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하나 이상의 양전자-방출 방사성핵종은 11C, 13N, 15O, 18F, 76Br 및 124I로부터 선택된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하나 이상의 양전자-방출 방사성핵종은 11C, 13N, 15O 및 18F로부터 선택된다.
비-금속 방사성핵종은 본 분야로부터 잘 알려진 반응에 의해서 여기 설명된 화합물에 공유 연결될 수 있다. 방사성핵종이 금속계 양전자-방출제일 때, 표지화는 킬레이트화제의 사용을 필요로 할 수 있다는 것이 이해된다. 이러한 킬레이트화제는 본 분야로부터 잘 알려져 있다.
PET 영상화제는 양전자 방출제 11C 또는 18F로 표지될 수 있다. 11C의 도입을 위한 방법은, 제한은 아니지만, [11C]요도메탄 또는 [11C]메틸트리플레이트로의 알킬화를 포함할 수 있다. 탄소-11은 대략 20분의 반감기를 가지며, 따라서 11C는 현장 사이클로트론에서 발생될 필요가 있고, 일반적으로 [11C]이산화탄소로서 생성된다. [11C]이산화탄소는 방사성합성에 적합한 화학 종들로 전환되고(일반적으로 [11C]요도메탄 등), 방사성제약의 합성이 완료되고, 적합한 방사화학 순도 및 특정 방사능이 결정된 후 PET 영상화 연구에서 현장 사용된다. 18F를 도입하는 전형적인 방법은, 제한은 아니지만, [18F]테트라부틸암모늄 플루오라이드 또는 [18F]칼륨 플루오라이드 크립토픽스-222로 할라이드, 토실레이트, 또는 다른 이탈기의 치환을 포함할 수 있다. 불소-18은 대략 110분의 반감기를 가지며, 따라서 [18F] 방사성제약의 합성은 반드시 사이클로트론의 장소나 PET 영상화 연구 센터의 근처에서 일어날 필요는 없다. 이들 양전자 방출제의 도입을 위한 일반적인 방법은 문헌에 설명된다(Miller et al., Angewante Chemie International Edition, 47 (2008), 8998-9033).
여기 설명된 영상화제의 유효량을 개체에 투여하는 단계, 및 개체의 적어도 일부분의 영상을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개체에서 진단 영상을 생성하는 방법이 제공된다.
또한, 여기 설명된 영상화제의 유효량과 생물학적 샘플을 접촉시키는 단계, 및 생물학적 샘플과 관련된 양전자-방출제 표지된 화합물의 영상을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생물학적 샘플에서 진단 영상을 생성하는 방법이 제공된다. 이 방법에서, 접촉 단계와 생성 단계는 모두 시험관내 수행될 수 있거나, 대안으로서 접촉 단계는 생체내 수행되고 생성 단계는 시험관내 수행될 수 있다.
또한, 여기 설명된 양전자-방출제 표지된 화합물의 유효량을 투여하는 단계; 개체의 뇌에서 HTT 단백질 응집체의 존재 또는 부재를 검출하기 위한 영상을 생성하는 단계; 및 병리학적 과정의 존재 또는 부재를 검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개체에서 헌팅틴 단백질(HTT 단백질)과 관련된 신경변성 병리학적 과정의 존재 또는 부재를 검출하는 방법이 제공된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HTT 단백질 응집체는 개체의 뇌의 기저핵에 존재한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병리학적 과정은 헌팅턴병(HD)이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영상화제의 유효량은 약 0.1 내지 약 20 mCi를 포함한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영상화제의 유효량은 약 10 mCi를 포함한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영상을 생성하는 단계는 양전자 방출 단층촬영(PET) 영상화, 컴퓨터 단층촬영 영상화를 동반하는 PET(PET/CT), 자기공명영상화를 동반하는 PET(PET/MRI)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한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영상을 생성하는 단계는 PET 영상화를 포함한다.
또한, 환자에서 표적 응집체의 수준의 변화를 정량함으로써 환자에서 질환 진행을 모니터하기 위해 영상화제를 사용하는 진단 방법이 제공된다.
또한, 여기 설명된 양전자-방출제 표지된 화합물의 유효량을 투여하는 단계; 개체에서 HTT 단백질 응집체의 존재 또는 부재를 검출하기 위한 영상을 생성하는 단계; 및 병리학적 과정의 존재 또는 부재를 검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개체에서 헌팅틴 단백질(HTT 단백질)과 관련된 신경변성 병리학적 과정의 존재 또는 부재를 검출하는 방법이 제공된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HTT 단백질 단량체 또는 응집체는 상기 개체의 뇌, 간, 심장, 또는 근육에 존재한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HTT 단백질 응집체는 개체의 뇌의 기저핵, 피질, 해마 또는 뇌간에 존재한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병리학적 과정은 헌팅턴병(HD)이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영상화제의 유효량은 약 0.1 내지 약 20 mCi를 포함한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영상화제의 유효량은 약 10 mCi를 포함한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영상을 생성하는 단계는 양전자 방출 단층촬영(PET) 영상화, 컴퓨터 단층촬영 영상화를 동반하는 PET(PET/CT), 자기공명영상화를 동반하는 PET(PET/MRI)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한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영상을 생성하는 단계는 PET 영상화를 포함한다.
또한, 여기 설명된 양전자-방출제 표지된 화합물의 유효량을 투여하는 단계; 개체에서 β-아밀로이드 단백질 응집체의 존재 또는 부재를 검출하기 위한 영상을 생성하는 단계; 및 병리학적 과정의 존재 또는 부재를 검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개체에서 β-아밀로이드 단백질과 관련된 신경변성 병리학적 과정의 존재 또는 부재를 검출하는 방법이 제공된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β-아밀로이드 단백질 단량체 또는 응집체는 상기 개체의 뇌, 간, 심장, 또는 근육에 존재한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β-아밀로이드 단백질 응집체는 개체의 뇌의 기저핵, 피질, 해마 또는 뇌간에 존재한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병리학적 과정은 알츠하이머병(AD)이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영상화제의 유효량은 약 0.1 내지 약 20 mCi를 포함한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영상화제의 유효량은 약 10 mCi를 포함한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영상을 생성하는 단계는 양전자 방출 단층촬영(PET) 영상화, 컴퓨터 단층촬영 영상화를 동반한 PET(PET/CT), 자기공명영상화를 동반한 PET(PET/MRI)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한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영상을 생성하는 단계는 PET 영상화를 포함한다.
HTT 단백질 응집체 또는 β-아밀로이드 단백질 응집체에 대한 효과적인 영상화제로서 기능하기 위한 적합한 HTT 단백질 응집체 또는 β-아밀로이드 단백질 응집체 결합 운동속도학을 가진 화합물이 여기 제공된다. HTT 단백질 응집체에 대한 효과적인 영상화제로서 기능하기 위한 본 발명의 화합물의 요건은 1) HTT 단백질 응집체에 대한 높은 친화성; 2) 근처의 구조에 대한 낮은 친화성; 3) HTT 단백질로부터의 느린 해리 운동속도학이며, 이것은 다음의 식으로 정의되는 해리 속도 상수 kdiss로 편리하게 표현될 수 있고, 여기서 A 및 B는 HTT 단백질 응집체 및 영상화제를 말하고, kassn은 회합 속도 상수이다.
d[AB]/dt = kassn[A][B] - kdiss[AB]
HD에 의해서 대부분 침범되며, 따라서 HTT 단백질 비정상성을 함유할 수 있는 뇌의 부분은 기저핵으로서 집합적으로 알려진 뇌의 기부에 있는 일군의 신경 세포이다. 기저핵은 신체의 근육-추진 움직임, 또는 "운동성 움직임"을 조직한다. 기저핵의 주요 성분은 미상 및 피곡(함께 선조체라고 한다)과 담창구(외부 및 내부 영역)이다. 흑질 및 시상하핵이 역시 기저핵의 일부로서 주로 포함된다.
용어 기저핵은 운동 제어, 뿐만 아니라 운동 학습, 집행 기능과 행동, 및 감정과 같은 다른 역할을 주로 담당하는 일군의 피질하핵을 말한다. 기저핵 망구조의 붕괴는 몇몇 운동 장애에 대한 기초를 형성한다. 기저핵의 정상적인 기능은 임의의 주어진 순간에 운동 촉진 또는 억제의 정확한 정도를 결정하기 위해 각 핵 내부에서 뉴런 흥분성의 미세한 조율을 필요로 한다. 이것은, 중형 돌기 뉴런의 흥분성이 몇몇 시냅스전 및 시냅스후 메커니즘뿐만 아니라 뉴런간 활성에 의해서 제어되는 선조체의 복잡한 조직화에 의해서 매개되고, 몇몇 재발성 또는 내부 기저핵 회로에 의해서 고정된다. 기저핵의 운동 회로는 2개의 진입점, 즉 선조체 및 시상하핵과 출부, 즉 운동 시상을 통해서 피질과 연결하는 창백내측을 가진다.
여기 설명된 양전자-방출제 표지된 화합물을 개체에, 예를 들어 개체의 혈관계에 투여하며, 그것이 혈관-뇌 장벽을 통과하는 단계, 및 다음에 화합물이 분포한 개체의 뇌의 적어도 상기 일부분의 영상을 생성하는 단계를 수반하는, 개체의 뇌의 일부분을 영상화하는 방법이 제공된다.
또한, 하나 이상의 제약학적으로 허용되는 보조제, 부형제 또는 희석제와 함께 여기 설명된 양전자-방출제 표지된 화합물, 또는 그것의 제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의 유효량을 포함하는 제약학적 조성물이 제공된다.
영상화제 또는 그것의 제약학적 조성물은 임의의 적합한 경로를 통해서 치료가 필요한 환자에게 투여될 수 있다. 투여 경로는, 예를 들어 비경구 투여(피하, 근육내, 정맥내, 예를 들어 드립 패치에 의한 것)를 포함할 수 있다. 추가의 적합한 투여 경로는 (제한은 아니지만) 경구, 직장, 코, 국소(볼 및 설하를 포함하는), 주입, 질, 피내, 복강내, 두개내, 척추강내 및 경막외 투여 또는 예를 들어 분무기 또는 흡입기에 의한, 또는 임플란트에 의한 경구 또는 코 흡입을 통한 투여를 포함한다.
영상화제 또는 그것의 제약학적 조성물은 또한 마이크로스피어, 리포솜, 다른 미소미립자 송달 시스템 또는 혈관을 포함하는 특정한 조직에 배치된 지속 방출 제제를 통해서 투여될 수 있다. 지속 방출 캐리어의 적합한 예들은 분할된 물품의 형태인 반투과성 폴리머 매트릭스, 예를 들어 좌약 또는 마이크로캡슐을 포함한다. 상기 언급된 기술 및 프로토콜과 본 발명에 따라서 사용될 수 있는 다른 기술 및 프로토콜의 예들은 Remington's Pharmaceutical Sciences, 18th edition, Gennaro, A. R., Lippincott Williams & Wilkins; 20th edition (Dec. 15, 2000) ISBN 0-912734-04-3 및 Pharmaceutical Dosage Forms 및 Drug Delivery Systems; Ansel, N. C. et al., 7th Edition ISBN 0-683305-72-7에서 찾을 수 있으며, 이들의 전체 개시는 여기 참고로 포함된다.
또한, 개체의 진단 방법에서 사용하기 위한 영상화제의 제조를 위한 여기 설명된 양전자-방출제 표지된 화합물의 사용이 제공된다.
양성자 방출 단층촬영(PET)을 포함하는 진단 영상을 생성하는 방법이 제공된다. PET는 개체에 양전자-방출 방사성핵종 트레이서의 투여를 수반한다. 일단 트레이서가 관심대상의 표적과 회합하기에 충분한 시간을 가졌다면, 개체는 신틸레이션 검출기의 원형통을 포함하는 스캐닝 장치 내에 개체가 위치된다. 방출된 양전자는 그것이 전자와 상호작용할 때까지 짧은(동위원소-의존적) 거리만큼 개체의 조직을 통과해 이동한다. 상호작용은 전자와 양전자를 모두 소멸시켜 대략 반대 방향으로 움직이는 한 쌍의 광자를 생성한다. 이들은, 이들이 스캐닝 장치의 신틸레이터에 도달했을 때 검출된다. 둘씩 짝을 지어 도달하지 못한 광자는 무시된다.
또한, 컴퓨터 단층촬영 영상화를 동반한 PET(PET/CT), 또는 자기공명 영상화를 동반한 PET(PET/MRI)를 포함하는 진단 영상을 생성하는 방법이 제공된다. 컴퓨터 단층촬영은 뇌의 구조를 보여주기 위해 엑스선을 사용하지만, 자기공명 영상화는 자기장 및 전파를 사용한다.
개시된 영상화제 및 방법의 다른 사용들이 특히 본 개시내용의 검토에 기초하여 당업자에게 명백해질 것이다.
인정되는 대로, 여기 설명된 방법의 단계들은 임의의 특정한 횟수 또는 임의의 특정한 순서로 수행될 필요가 없다. 본 개시내용의 추가의 목적, 이점 및 신규 특징들은 예시이지 제한이 아닌 다음의 실시예들의 시험에서 당업자에게 명백해질 것이다.
실시예
일반적인 실험 상세내용
상업적으로 이용가능한 시약 및 용매(HPLC 등급)들은 추가의 정제 없이 사용되었다. 1H NMR 스펙트럼은 중수소화 용매 중에서 Bruker DRX 500 MHz 분광계 또는 Bruker DPX 250 MHz 분광계에서 기록되었다. 화학적 이동도(δ)는 ppm 단위이다. SCX 크로마토그래피는 메탄올 중의 샘플을 로딩하고 메탄올과 메탄올 중의 5% 암모니아로 차례로 용출하는 Biotage Isolute Flash SCX-2에서 수행되었다.
분석적 HPLC-MS(METCR1278)는 역상 Atlantis dC18 칼럼(3μm, 2.1 x 50mm), 구배 3분에 걸쳐서 5-100% B(A = 물/0.1% 폼산, B = 아세토니트릴/0.1% 폼산), 주사부피 3μL, 유속 1.0mL/분을 사용하는 Shimadzu LCMS-2010EV 시스템에서 수행되었다. UV 스펙트럼은 SPD-M20A 포토 다이오드 어레이 검출기를 사용하여 215nm에서 기록되었다. 질량 스펙트럼은 LCMS2010EV를 사용하여 초당 2회 스캔의 샘플링 속도로 m/z 150 내지 850의 범위에 걸쳐서 얻어졌다. 데이터는 Shimadzu LCMS-Solutions 및 PsiPort 소프트웨어를 사용하여 통합되고 보고되었다.
또는 달리, (METCR1416) 분석적 HPLC-MS는 역상 물 Atlantis dC18 칼럼(3μm, 2.1 x 100mm), 구배 7분에 걸쳐서 5-100% B(A = 물/0.1% 폼산, B = 아세토니트릴/0.1% 폼산), 주사부피 3μL, 유속 0.6mL/분을 사용하는 Shimadzu LCMS-2010EV 시스템에서 수행되었다. UV 스펙트럼은 SPD-M20A 포토 다이오드 어레이 검출기를 사용하여 215nm에서 기록되었다. 질량 스펙트럼은 LCMS2010EV를 사용하여 초당 2회 스캔의 샘플링 속도로 m/z 150 내지 850의 범위에 걸쳐서 얻어졌다. 데이터는 Shimadzu LCMS-Solutions 및 PsiPort 소프트웨어를 사용하여 통합되고 보고되었다.
또는 달리, (MET-uHPLC-AB-101) 분석적 HPLC-MS는 Phenomenex Kinetex-XB C-18 칼럼(1.7μM, 2.1mm x 100mm, 40℃의 칼럼 온도에서), 구배 5.3분에 걸쳐서 5-100% B(A = 물/0.1% 폼산; B = 아세토니트릴/0.1% 폼산), 다음에 0.5분 동안 100% B, 유속 0.6mL/분을 사용하는 Waters PDA 및 ELS 검출기를 구비한 Waters Acquity UPLC 시스템에서 수행되었다. UV 스펙트럼은 Waters SPD-M20A 포토 다이오드 어레이를 사용하여 215nm에서 기록되었다. 질량 스펙트럼은 Waters SQD를 사용하여 초당 5회 스캔의 샘플링 속도로 m/z 150 내지 850의 범위에 걸쳐서 얻어졌다. 데이터는 Waters MassLynx 및 OpenLynx 소프트웨어를 사용하여 통합되고 보고되었다.
모든 실시예 화합물은 달리 언급되지 않는다면 >95%의 LC 순도를 나타낸다.
방법 1
방법 1의 반응도
Figure pct00004
단계 1, 방법 1: 5 -( 클로로메틸 )피리미딘 염산염
디클로로메탄 (3 mL) 중의 피리미딘-5-일메탄올 (48 mg, 0.43 mmol) 용액에 티오닐 클로라이드 (0.26 mL, 3.6 mmol)를 0℃에서 한 방울씩 첨가하였다. 그 혼합물을 2시간 동안 환류 가열한 후, 농축하였다. 거기에 디클로로메탄 (5 mL)을 첨가하고 그 혼합물을 농축하여 (x 3) 표제 화합물을 황색 오일로서 얻고 그것을 다음 단계에서 직접 사용하였다. Tr(METCR1278) = 0.90 min, (ES+) (M+H)+ 129/131.
스텝 2, 방법 1: 4 -(5- 메톡시 -2,3- 디하이드로 -1 H - 이소인돌 -2-일)피리딘-3- 카보니트릴
5-메톡시-2,3-디하이드로-1H-이소인돌 염산염 (500 mg, 2.69 mmol), 4-클로로피리딘-3-카보니트릴 (448 mg, 3.23 mmol) 및 디이소프로필에틸아민 (1.4 mL, 8.08 mmol)을 n-부탄올 (6mL)에 현탁하였다. 그 반응을 마이크로파로 140℃에서 1시간 동안 가열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에틸 아세테이트 (50 mL)와 물 (30 mL) 사이에 분배하고 수성 층을 에틸 아세테이트 (2 x 30 mL)로 추출하였다. 조합한 유기 추출물을 식염수 (15 mL)로 세척하고, 무수 황산 나트륨 상에서 건조시키고, 여과 후 농축하였다. FCC (실리카, 헵탄 중의 20-100% 에틸 아세테이트)에 의한 정제로 표제 화합물 230 mg (34% 수율)을 회백색 고체로서 얻었다. Tr(METCR1278) = 1.28 min, (ES+) (M+H)+ 252.
스텝 3, 방법 1: 4 -(5- 하이드록시 -2,3- 디하이드로 -1 H - 이소인돌 -2-일)피리딘-3-카보니트릴
4-(5-메톡시-2,3-디하이드로-1H-이소인돌-2-일)피리딘-3-카보니트릴 (230 mg, 0.92 mmol)을 디클로로메탄 (15 mL)에 녹이고 질소 분위기에서 교반하였다. 그 반응 혼합물을 0℃로 냉각하고 디클로로메탄 (4.58 mL, 4.58 mmol) 중의 1 M 3브롬화 붕소를 서서히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실온으로 가온되도록 허용하고 48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0℃로 냉각하고 메탄올 (20 mL)을 서서히 첨가하였다. 용매를 진공 제거하여 표제 화합물 313 mg (정량 수율)을 베이지색 고체로서 얻었다. Tr(METCR1278) = 1.36 min, (ES+) (M+H)+ 238, 90%.
스텝 4, 방법 1: 4 -[5-(피리미딘-5- 일메톡시 )-2,3- 디하이드로 -1 H - 이소인돌 -2-일]피리딘-3-카보니트릴
4-(5-하이드록시-2,3-디하이드로-1H-이소인돌-2-일)피리딘-3-카보니트릴 (90%, 313 mg, 1.19 mmol), 5-(클로로메틸)피리미딘 염산염 (미정제 1.42 mmol) 및 요오드화 칼륨 (217 mg, 1.31 mmol)을 무수 N,N-디메틸포름아미드 (3 mL)에 녹이고 실온에서 5분 동안 교반하였다. 거기에 수소화 나트륨 (미네랄 오일 중의 60%, 142 mg, 3.56 mmol)을 첨가하고 그 반응 혼합물을 실온에서 24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물 (0.1 mL)을 첨가하고 용매를 진공 제거하였다. 그 잔류물을 에틸 아세테이트 (50 mL)와 물 (50 mL) 사이에 분배하고 수성 상을 에틸 아세테이트 (2 x 50 mL)로 추출하였다. 조합한 유기 추출물을 물 (20 mL), 식염수 (20 mL)로 세척하고, 무수 황산 나트륨 상에서 건조한 후, 여과하고 농축하였다. 예비 HPLC (아세토니트릴-물-0.2% 수산화암모늄)에 의해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 19.5 mg (5% 수율)을 회백색 고체로서 얻었다.
실시예 1, 방법 1: 4 -[5-(피리미딘-5- 일메톡시 )-2,3- 디하이드로 -1 H - 이소인돌 -2-일]피리딘-3-카보니트릴
δH NMR (500 MHz, DMSO) 9.19 (s, 1H), 8.93 (s, 2H), 8.51 (s, 1H), 8.29 (d, J = 6.3 Hz, 1H), 7.37 (d, J = 8.4 Hz, 1H), 7.16 (d, J = 1.9 Hz, 1H), 7.05 (dd, J = 8.4, 2.3 Hz, 1H), 6.77 (d, J = 6.3 Hz, 1H), 5.23 (s, 2H), 5.03 (s, 2H), 4.97 (s, 2H). Tr(MET-uHPLC-AB-101) = 1.4 min, (ES+) (M+H)+ 330.
다음의 실시예를 상기 기술한 방법 1을 사용하여 제조하였다:
실시예 구조 분자량 IUPAC 명칭 LCMS 데이터
1
Figure pct00005
329.36 4-[5-(피리미딘-5-일메톡시)-2,3-디하이드로-1H-이소인돌-2-일]피리딘-3-카보니트릴 Tr(MET-uHPLC-AB-101) = 1.4 min, (ES+) (M+H)+ 330
2
Figure pct00006
251.28 2-(5-메톡시-2,3-디하이드로-1H-이소인돌-2-일)피리딘-3-카보니트릴 Tr(MET-uHPLC-AB-101) = 3.42 min, (ES+) (M+H)+ 252
3
Figure pct00007
358.39 2-{5-[(5-메톡시피리딘-2-일)메톡시]-2,3-디하이드로-1H-이소인돌-2-일}피리딘-3-카보니트릴 Tr(MET-uHPLC-AB-101) = 3.32 min, (ES+) (M+H)+ 359
4
Figure pct00008
329.36 2-[5-(피리미딘-5-일메톡시)-2,3-디하이드로-1H-이소인돌-2-일]피리딘-3-카보니트릴 Tr(MET-uHPLC-AB-101) = 3.0 min, (ES+) (M+H)+ 330
5
Figure pct00009
358.39 4-{5-[(5-메톡시피리딘-2-일)메톡시]-2,3-디하이드로-1H-이소인돌-2-일}피리딘-3-카보니트릴 Tr(MET-uHPLC-AB-101) = 1.7 min, (ES+) (M+H)+ 359
6
Figure pct00010
252.27 4-(5-메톡시-2,3-디하이드로-1H-이소인돌-2-일)피리미딘-5-카보니트릴 Tr(METCR1416) = 2.75 min, (ES+) (M+H)+ 253
7
Figure pct00011
359.38 4-{5-[(5-메톡시피리딘-2-일)메톡시]-2,3-디하이드로-1H-이소인돌-2-일}피리미딘-5-카보니트릴 Tr(MET-uHPLC-AB-101) = 2.76 min, (ES+) (M+H)+ 360
8
Figure pct00012
251.28 4-(5-메톡시-2,3-디하이드로-1H-이소인돌-2-일)피리딘-3-카보니트릴 Tr(MET-uHPLC-AB-101) = 1.47 min, (ES+) (M+H)+ 252
9
Figure pct00013
328.38 4-[5-(벤질옥시)-2,3-디하이드로-1H-이소인돌-2-일]피리미딘-5-카보니트릴 Tr(MET-uHPLC-AB-101) = 3.68 min, (ES+) (M+H)+ 329
방법 2
방법 2에 대한 반응도
Figure pct00014
스텝 1, 방법 2: 메틸 5-( 메톡시메톡시 )피리딘-2- 카르복실레이트
수소화 나트륨 (미네랄 오일 중의 60%, 144 mg, 3.59 mmol)을 무수 N,N-디메틸포름아미드 (5 mL)에 현탁하고 0℃로 냉각하였다. 그 현탁액에 N,N-디메틸포름아미드 (5 mL)에 녹인 메틸 5-하이드록시피리딘-2-카르복실레이트 (500 mg, 3.27 mmol)를 서서히 첨가하였다. 그 반응 혼합물을 질소 하에서 교반하고 실온에서 30분에 걸쳐 가온되도록 허용하였다. 반응을 0℃로 냉각하고 클로로(메톡시)메탄 (0.26 mL, 3.43 mmol)을 15분에 걸쳐 한 방울씩 첨가하였다. 그 반응을 실온으로 가온되도록 허용하고 16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물 (20 mL)을 첨가하고 용매를 진공 제거하였다. 그 혼합물을 에틸 아세테이트와 물 (1:1, 100 mL) 사이에 분배하고 에틸 아세테이트 (3 x 60 mL)로 추출하였다. 조합한 유기 추출물을 물 (3 x 80 mL), 식염수 (50 mL)로 세척하고 무수 황산 마그네슘 상에서 건조시키고, 여과 및 농축하여 표제 화합물 0.6 g (89% 수율)을 오렌지색 오일로서 얻었고 그것을 방치하여 고화하였다. Tr(METCR1278) = 1.33 min, (ES+) (M+H)+ 198.
스텝 2, 방법 2: [5-( 메톡시메톡시 )피리딘-2-일]메탄올
메틸 5-(메톡시메톡시)피리딘-2-카르복실레이트 (0.39 g, 1.9 mmol)를 무수 테트라하이드로퓨란 (15 mL)에 녹이고 질소 분위기에서 0℃로 냉각하였다. 거기에 테트라하이드로퓨란 (0.87 mL, 2.09 mmol) 중의 2.4 M 리튬 알루미늄 하이드라이드를 5분에 걸쳐 한 방울씩 첨가하고, 그 반응을 0℃에서 1.5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을 0℃로 냉각하고 포화 수성 Rochelle 염 (1 mL)을 10분 동안 격렬하게 교반하면서 한 방울씩 첨가하였다. 그 반응 혼합물을 실온으로 가온되도록 1시간 동안 허용하였다. 그 결과의 에멀션을 유리 섬유 필터지를 통해 여과하였다. 필터지를 포화 중탄산 나트륨 수용액 (10 mL)으로 세척한 후, 에틸 아세테이트 (3 x 10 mL)로 세척하였다. 생성된 상들을 분리하고 수성 상을 에틸 아세테이트 (3 x 10 mL)로 추출하였다. 조합한 유기 추출물을 로 세척하고, 무수 황산 나트륨 상에서 건조한 후, 여과 및 농축하여 표제 화합물 276 mg (86% 수율)을 오렌지색 오일로서 얻었다. Tr(METCR1278) = 1.09 min, (ES+) (M+H)+ 170.
스텝 3, 방법 2: [5-( 메톡시메톡시 )피리딘-2-일] 메틸 메탄설포네이트
[5-(메톡시메톡시)피리딘-2-일]메탄올 (276 mg, 1.63 mmol)을 디클로로메탄 (5 mL)에 녹이고, 0℃로 냉각하고 질소 분위기에서 교반하였다. 거기에 트리에틸아민 (250 μL, 1.79 mmol)을 첨가하고, 이어서 메탄 설포닐 클로라이드 (133 μL, 1.71 mmol)를 한 방울씩 첨가하였다. 그 반응을 45분 동안 0℃에서 교반하고 실온으로 가온되도록 허용하였다. 물 (5 mL)을 첨가하고 상을 분리하였다. 수성 층을 디클로로메탄 (3 x 15 mL)으로 추출하고; 조합한 유기 추출물을 식염수 (10 mL)로 세척하고, 무수 황산 나트륨 상에서 건조한 후, 여과 및 농축하여 표제 화합물, 275 mg (59% 수율)을 진한 적색 오일로서 얻었다. Tr(METCR1278) = 1.35 min, (ES+) (M+H)+ 248.
스텝 4, 방법 2: 4 -(5-{[5-( 메톡시메톡시 )피리딘-2-일] 메톡시 }-2,3- 디하이드로 -1 H -이소인돌-2-일)피리딘-3-카보니트릴
4-(5-하이드록시-2,3-디하이드로-1H-이소인돌-2-일)피리딘-3-카보니트릴 (330 mg, 1.66 mmol 방법 1에 의해 제조함), [5-(메톡시메톡시)피리딘-2-일]메틸 메탄설포네이트 (532 mg, 1.66 mmol) 및 요오드화 칼륨 (62 mg, 0.37 mmol)을 무수 N,N-디메틸포름아미드 (4 mL)에 녹였다. 거기에 수소화 나트륨 (미네랄 오일 중의 60%, 27 mg, 0.16 mmol)을 첨가하고, 그 혼합물을 실온에서 44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그 반응 혼합물을 메탄올 (2 mL)로 퀀칭하고 에틸 아세테이트 (100 mL), 포화 중탄산 나트륨 수용액 (50 mL) 및 식염수 (50 mL) 사이에 분배하였다. 분리 후 수성 층을 에틸 아세테이트 (3 x 100 mL)로 추출하였다. 유기 추출물을 조합하고 식염수 (30 mL)로 세척한 후, 황산 나트륨 상에서 건조시키고 농축하였다. 그 잔류물을 에틸 아세테이트:헵탄 (1:1)으로 연마하여 표제 화합물 269 mg (39% 수율)을 갈색 오일로서 얻었다. δH NMR (500 MHz, DMSO) 8.49 (s, 1H), 8.33 (d, J = 2.6 Hz, 1H), 8.27 (d, J = 6.3 Hz, 1H), 7.49 (d, J = 2.7 Hz, 1H), 7.48 (s, 1H), 7.32 (d, J = 8.4 Hz, 1H), 7.09 (d, J = 1.9 Hz, 1H), 6.98 (dd, J = 8.4, 2.3 Hz, 1H), 6.74 (d, J = 6.3 Hz, 1H), 5.26 (s, 2H), 5.12 (s, 2H), 4.96 (d, J = 22.4 Hz, 4H), 3.38 (s, 3H).
스텝 5, 방법 2: 4 -{5-[(5- 하이드록시피리딘 -2-일) 메톡시 ]-2,3- 디하이드로 -1 H -이소인돌-2-일}피리딘-3-카보니트릴
테트라하이드로퓨란 (40 mL) 중의 4-(5-{[5-(메톡시메톡시)피리딘-2-일]메톡시}-2,3-디하이드로-1H-이소인돌-2-일)피리딘-3-카보니트릴 (269 mg, 0.69 mmol) 용액에 3 M 염산 (4.6 mL)을 첨가하고 그 혼합물을 60℃에서 8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그 혼합물을 밤새 실온에서 교반하였다. 휘발성 물질을 진공 제거하고 남아있는 잔류물을 물로 희석하였다. 거기에 고체 중탄산 나트륨을 pH가 대략 8이 될 때까지 일부식 첨가하였다. 고체를 여과에 의해 수집하고, 물 (2 x 10 mL)로 세척하고 진공 건조하였다. FCC (실리카, 헵탄 중의 0-60% 테트라하이드로퓨란)에 의한 정제로 표제 화합물 101 mg (42% 수율)을 백색 고체로서 얻었다.
실시예 4, 방법 2: 4 -{5-[(5- 하이드록시피리딘 -2-일) 메톡시 ]-2,3- 디하이드로 -1 H -이소인돌-2-일}피리딘-3-카보니트릴
δH NMR (500 MHz, DMSO) 10.01 (s, 1H), 8.49 (s, 1H), 8.27 (d, J = 6.3 Hz, 1H), 8.11 (d, J = 2.5 Hz, 1H), 7.34 (d, J = 8.4 Hz, 1H), 7.32 (d, J = 8.4 Hz, 1H), 7.18 (dd, J = 8.4, 2.9 Hz, 1H), 7.08 (d, J = 2.0 Hz, 1H), 6.97 (dd, J = 8.4, 2.4 Hz, 1H), 6.75 (d, J = 6.3 Hz, 1H), 5.05 (s, 2H), 4.98 (s, 2H), 4.94 (s, 2H). Tr(MET-uHPLC-AB-101) = 1.28 min, (ES+) (M+H)+ 345.
다음의 실시예를 상기 기술한 방법 2를 사용하여 제조하였다:
실시예 구조 분자량 IUPAC 명칭 LCMS 데이터
1
Figure pct00015
344.37 4-{5-[(5-하이드록시피리딘-2-일)메톡시]-2,3-디하이드로-1H-이소인돌-2-일}피리딘-3-카보니트릴 Tr(MET-uHPLC-AB-101) = 1.28 min, (ES+) (M+H)+ 345
2
Figure pct00016
345.36 4-{5-[(5-하이드록시피리딘-2-일)메톡시]-2,3-디하이드로-1H-이소인돌-2-일}피리미딘-5-카보니트릴 Tr(MET-uHPLC-AB-101) = 2.02 min, (ES+) (M+H)+ 346
방법 3
방법 3에 대한 반응도
Figure pct00017
스텝 1, 방법 3: 메틸 5- 메톡시피라진 -2- 카르복실레이트
메틸 5-클로로피라진-2-카르복실레이트 (2.00 g, 11.6 mmol)에 질소 하에서 메탄올 (27.8 mL, 13.9 mmol) 중의 메톡시화 나트륨 0.5 M 용액을 첨가하였다. 그 혼합물을 90℃에서 15분 동안 환류하였다. 그런 다음 혼합물을 물 (80 mL)로 녹이고 에틸 아세테이트 (2 x 100 mL)로 추출하였다. 조합한 유기 추출물을 황산 나트륨 상에서 건조시키고, 여과 및 농축하여 표제 화합물 1.68 g (79% 수율)을 백색 분말로서 얻었다. δH NMR (500 MHz, 클로로form) 8.88 (d, J = 1.2 Hz, 1H), 8.28 (d, J = 1.2 Hz, 1H), 4.05 (s, 3H), 4.00 (s, 3H). Tr(METCR1278) = 1.23 min, (ES+) (M+H)+ 169.
스텝 2, 방법 3: (5- 메톡시피라진 -2-일)메탄올
수소화붕소나트륨 (270 mg, 7.14 mmol)을 무수 테트라하이드로퓨란 (8 mL) 중의 메틸 5-메톡시피라진-2-카르복실레이트 (200 mg, 1.19 mmol)의 교반된 용액에 질소 하에 첨가하였다. 그 혼합물을 65℃에서 15분 동안 환류시킨 후, 메탄올 (1.59 mL, 39.2 mmol)을 서서히 첨가하였다. 그 혼합물을 65℃에서 1.5시간 동안 재환류시켰다. 혼합물을 물 (0.5 mL)로 퀀칭한 후, 추가의 물 (15 mL)로 희석하고, 에틸 아세테이트 (2 x 25 mL)로 추출한 다음 디클로로메탄 (25 mL) 중의 20% 2-프로판올로 추출하였다. 조합한 유기 추출물을 황산 나트륨 상에서 건조시키고, 여과 및 농축하여 표제 화합물 115 mg (69% 수율)을 백색 결정성 고체로서 얻었다. δH NMR (500 MHz, DMSO) 8.28 - 8.16 (m, 2H), 5.41 (t, J = 5.8 Hz, 1H), 4.54 (d, J = 5.6 Hz, 2H), 3.90 (s, 3H). Tr(METCR1278) = 0.74 min, (ES+) (M+H)+ 141.
스텝 3, 방법 3: (5- 메톡시피라진 -2- ) 메틸 메탄설포네이트
질소 하의 디클로로메탄 (1 mL) 중의 (5-메톡시피라진-2-일)메탄올 (73 mg, 0.52 mmol)의 교반된 용액에 트리에틸아민 (0.08 mL, 0.73 mmol)과 이어서 메탄설포닐 클로라이드 (0.042 mL, 0.55 mmol)를 첨가하였다. 그 혼합물을 실온에서 1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그런 다음 혼합물을 디클로로메탄 (10 mL)과 물 (10 mL) 사이에 분배하였다. 유기 추출물을 황산 나트륨 상에서 건조시키고, 여과 및 농축하여 표제 화합물 59 mg (52% 수율)을 황색 오일로서 얻었다. Tr(METCR1278) = 1.25 min, (ES+) (M+H)+ 219.
스텝 4, 방법 3: 5 -[(5- 메톡시피라진 -2-일) 메톡시 ]-2-(피리딘-4-일)-2,3-디하이드로-1 H -이소인돌
2-(피리딘-4-일)-2,3-디하이드로-1H-이소인돌-5-올 (87%, 289 mg, 1.18 mmol, 방법 1에 의해 제조함), (5-메톡시피라진-2-일)메틸 메탄설포네이트 (310 mg, 1.42 mmol) 및 요오드화 칼륨 (197 mg, 1.18 mmol)을 무수 N,N-디메틸포름아미드 (5 mL)에 녹이고 5분 동안 실온에서 교반하였다. 거기에 수소화 나트륨 (미네랄 오일 중에 60%, 142 mg, 3.55 mmol)을 첨가하고 반응 혼합물을 실온에서 질소 분위기 하에 40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용매를 진공 제거하고 예비 HPLC (아세토니트릴-물-0.2% 수산화 암모늄)에 의한 정제로 표제 화합물, 30.1 mg (8% 수율)을 베이지색 고체로서 얻었다.
실시예 1, 방법 3: 5 -[(5- 메톡시피라진 -2-일) 메톡시 ]-2-(피리딘-4-일)-2,3-디하이드로-1 H -이소인돌
δH NMR (500 MHz, DMSO) 8.38 (d, J = 1.1 Hz, 1H), 8.34 (d, J = 1.3 Hz, 1H), 8.17 (d, J = 6.3 Hz, 2H), 7.32 (d, J = 8.3 Hz, 1H), 7.10 (d, J = 2.0 Hz, 1H), 7.01 (dd, J = 8.4, 2.3 Hz, 1H), 6.57 (d, J = 6.4 Hz, 2H), 5.17 (s, 2H), 4.62 (s, 2H), 4.58 (s, 2H), 3.92 (s, 3H). Tr(MET-uHPLC-AB-101) = 1.77 min, (ES+) (M+H)+ 335.
다음의 실시예를 상기 기술한 방법 3을 사용하여 제조하였다:
실시예 구조 분자량 IUPAC 명칭 LCMS 데이터
1
Figure pct00018
334.37 5-[(5-메톡시피라진-2-일)메톡시]-2-(피리딘-4-일)-2,3-디하이드로-1H-이소인돌 Tr(MET-uHPLC-AB-101) = 1.77 min, m/z (ES+) (M+H)+ 335
방법 4
방법 4에 대한 반응도
Figure pct00019
스텝 1, 방법 4: 6 -(5- 메톡시 -2,3- 디하이드로 -1 H - 이소인돌 -2-일)-2- 메틸 -2,3-디하이드로피리다진-3-온
5-메톡시-2,3-디하이드로-1H-이소인돌 염산염 (170 mg, 0.92 mmol), 6-브로모-2-메틸-2,3-디하이드로피리다진-3-온 (182 mg, 0.96 mmol) 및 탄산 2세슘 (895.06 mg, 2.75 mmol)을 무수 톨루엔 (3 mL)에 녹이고 질소 흐름 하에서 5분 동안 음파처리하였다. 거기에 팔라듐(II) 아세테이트 (20.56 mg, 0.09 mmol) 및 4,5-비스(디페닐포스피노)-9,9-디메틸크산텐 (53 mg, 0.09 mmol)을 첨가하고 그 반응을 100℃로 16시간 동안 가열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실온으로 냉각하고 셀라이트를 통해 여과하였다. 셀라이트를 디클로로메탄 중의 10% 메탄올로 세척하고 여과무를 진공 농축한 후 FCC (실리카, 헵탄 중의 20-100% 에틸 아세테이트, 디클로로메탄 중의 0-10% 메탄올), SCX 및 HPLC (아세토니트릴/물 +0.2% 포름산)에 의해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 34 mg (14% 수율)을 베이지색 고체로서 얻었다. δH NMR (500 MHz, DMSO) 7.30 (d, J = 9.8 Hz, 1H), 7.27 (d, J = 8.3 Hz, 1H), 6.96 (d, J = 2.0 Hz, 1H), 6.92 - 6.84 (m, 2H), 4.63 (s, 2H), 4.59 (s, 2H), 3.76 (s, 3H), 3.53 (s, 3H). Tr(MET-uHPLC-AB-101) = 2.56 min, (ES+) (M+H)+ 258.
스텝 2, 방법 4: 6 -(5- 하이드록시 -2,3- 디하이드로 -1 H - 이소인돌 -2-일)-2- 메틸 -2,3-디하이드로피리다진-3-온
6-(5-메톡시-2,3-디하이드로-1H-이소인돌-2-일)-2-메틸-2,3-디하이드로피리다진-3-온 (96 mg, 0.37 mmol)을 무수 디클로로메탄 (5 mL)에 녹이고 디클로로메탄 (0.6 mL) 중의 1 M 트리브로모보란을 첨가한 후 반응을 실온에서 16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거기에 디클로로메탄 (0.2 mL) 중의 1 M 트리브로모보란을 첨가한 후 반응을 실온에서 2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거기에 포화 중탄산 나트륨 용액 (15 mL)을 첨가하고 반응 혼합물을 격렬하게 20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여과하고 침전물을 메탄올 (5 mL) 및 톨루엔 (2 x 10 mL)으로부터 공동-증류하여 표제 화합물, 84 mg (90% 수율)을 베이지색 고체로서 얻었다. δH NMR (500 MHz, DMSO) 7.29 (d, J = 9.8 Hz, 1H), 7.14 (d, J = 8.2 Hz, 1H), 6.88 (d, J = 9.8 Hz, 1H), 6.75 (s, 1H), 6.69 (dd, J = 8.2, 2.1 Hz, 1H), 4.58 (s, 2H), 4.55 (s, 2H), 3.52 (s, 3H). Tr(METCR1673) = 0.94 min, (ES+) (M+H)+ 244.
스텝 3, 방법 4: 6 -{5-[(5- 메톡시피리딘 -2-일) 메톡시 ]-2,3- 디하이드로 -1 H -이소인돌-2-일}-2-메틸-2,3-디하이드로피리다진-3-온
(5-메톡시피리딘-2-일)메탄올 (54 mg, 0.37 mmol)을 무수 디클로로메탄 (3 mL)에 녹이고, 티오닐 클로라이드 (0.25 ml, 3.35 mmol)를 첨가한 후 그 반응을 50℃로 질소 분위기에서 2시간 동안 가열하였다. 그 반응 혼합물을 실온으로 냉각하고, 디클로로메탄 (3 x 10 mL)으로부터 진공 농축하여 갈색 오일을 얻었고, 그것을 미정제로 후속 단계에서 사용하였다. 6-(5-하이드록시-2,3-디하이드로-1H-이소인돌-2-일)-2-메틸-2,3-디하이드로피리다진-3-온 (97%, 84 mg, 0.33 mmol), 요오드화 칼륨 (61 mg, 0.37 mmol) 및 2-(클로로메틸)-5-메톡시피리딘 (58 mg, 0.37 mmol)을 무수 N,N-디메틸포름아미드 (5 mL)에 녹이고, 거기에 수소화 나트륨 (60%, 40.19 mg, 1 mmol)을 첨가하고 그 반응을 실온에서 질소 분위기에서 1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거기에 수소화 나트륨 (60%, 40 mg, 1 mmol)을 첨가하고 그 반응을 70℃로 3시간 동안 가열하였다. 그 반응 혼합물을 실온으로 냉각하고, 물 (1 mL)의 첨가로 퀀칭한 후 용매를 진공 제거하고 16시간 동안 놓아두었다. 잔류물을 에틸 아세테이트 (50 mL)와 물 (50 mL) 사이에 분배하고, 상들을 분리한 후 수성 상을 추가로 로 추출하고, 조합한 유기층을 식염수 (10 mL)로 세척하고, 무수 황산 마그네슘 상에서 건조한 후, 여과하고, 여과물을 진공 증발시켰다. FCC (실리카, 헵탄 중의 20-100% 에틸 아세테이트, 디클로로메탄 중의 10% 메탄올)에 의한 정제로 표제 화합물, 32 mg (26% 수율)을 베이지색 고체로서 얻었다.
실시예 1, 방법 4: 6 -{5-[(5- 메톡시피리딘 -2-일) 메톡시 ]-2,3- 디하이드로 -1 H -이소인돌-2-일}-2-메틸-2,3-디하이드로피리다진-3-온
δH NMR (500 MHz, DMSO) 8.28 (d, J = 2.8 Hz, 1H), 7.47 (d, J = 8.6 Hz, 1H), 7.42 (dd, J = 8.6, 2.9 Hz, 1H), 7.30 (d, J = 9.8 Hz, 1H), 7.27 (d, J = 8.4 Hz, 1H), 7.05 (d, J = 2.0 Hz, 1H), 6.95 (dd, J = 8.4, 2.3 Hz, 1H), 6.89 (d, J = 9.8 Hz, 1H), 5.11 (s, 2H), 4.62 (s, 2H), 4.59 (s, 2H), 3.83 (s, 3H), 3.53 (s, 3H). Tr(MET-uHPLC-AB-101) = 2.56 min, (ES+) (M+H)+ 365.
다음의 실시예를 상기 기술한 방법 4를 사용하여 제조하였다:
실시예 구조 분자량 IUPAC 명칭 LCMS 데이터
1
Figure pct00020
364.41 6-{5-[(5-메톡시피리딘-2-일)메톡시]-2,3-디하이드로-1H-이소인돌-2-일}-2-메틸-2,3-디하이드로피리다진-3-온 Tr(MET-uHPLC-AB-101) = 2.56 min, m/z (ES+) (M+H)+ 365
방법 5
방법 5에 대한 반응도
Figure pct00021
스텝 1, 방법 5: 5 - 메톡시 -2-(피리딘-4-일)-2,3- 디하이드로 -1 H - 이소인돌 -1-온
5-메톡시-2,3-디하이드로-1H-이소인돌-1-온 (100 mg, 0.61 mmol), 4-요오도피리딘 (126 mg, 0.61 mmol), (9,9-디메틸-9H-크산텐-4,5-디일)비스(디페닐포스페이트) (53 mg, 0.09 mmol) 및 탄산 2세슘 (300 mg, 0.92 mmol)을 건조 디옥산 (1 mL)에 녹이고 그 혼합물을 탈기하였다. 거기에 (1E,4E)-1,5-디페닐펜타-1,4-디엔-3-온 - 팔라듐 (3:2)(28 mg, 0.03 mmol)을 첨가하고 그 혼합물을 마이크로파로 140℃에서 90분 동안 가열하였다. 그 혼합물을 에틸 아세테이트 (10 mL) 및 물 (5 mL)로 희석하고 여과하여 표제 화합물 28 mg (20% 수율)을 갈색 분말로서 얻었다. δH NMR (500 MHz, DMSO) 8.58 - 8.47 (m, 2H), 7.91 - 7.82 (m, 2H), 7.74 (d, J = 8.5 Hz, 1H), 7.23 (d, J = 1.9 Hz, 1H), 7.11 (dd, J = 8.5, 2.3 Hz, 1H), 4.98 (s, 2H), 3.89 (s, 3H). Tr(MET-uHPLC-AB-101) = 1.27 min, (ES+) (M+H)+ 241.
스텝 2, 방법 5: 5 - 하이드록시 -2-(피리딘-4-일)-2,3- 디하이드로 -1 H - 이소인돌 -1-온
1,2-디클로로에탄 (10 mL) 중의 5-메톡시-2-(피리딘-4-일)-2,3-디하이드로-1H-이소인돌-1-온 (37 mg, 0.15 mmol) 용액에 디클로로메탄 (1.54 mL 1.54 mmol) 중의 트리브로모보란 1 M을 첨가하고 그 혼합물을 환류로 밤새 가열하였다. 디클로로메탄 (1.54 mL 1.54 mmol) 중의 트리브로모보란 1 M 및 그 혼합물을 2일 동안 환류시키고 실온에 2일 동안 놓아두었다. 혼합물을 1:1 얼음:포화 중탄산 나트륨 혼합물 (50 mL)에 붓고 1시간 동안 교반한였다. 혼합물을 여과하고 물 (5 mL) 및 디클로로메탄으로 세척한 후 진공 오븐에서 건조시켜서 표제 화합물 19 mg (55% 수율)을 탄(tan) 분말로서 얻었다. δH NMR (250 MHz, DMSO, 353 K) 8.72 (d, J = 7.4 Hz, 2H), 8.30 (d, J = 7.4 Hz, 2H), 7.73 (d, J = 8.3 Hz, 1H), 7.01 (dd, J = 11.3, 3.0 Hz, 2H), 5.05 (s, 2H). Tr(METCR0990) = 0.85 min, (ES+) (M+H)+ 227.
스텝 3, 방법 5: 5 -[(5- 메톡시피리딘 -2-일) 메톡시 ]-2-(피리딘-4-일)-2,3-디하이드로-1 H -이소인돌-1-온
(5-메톡시피리딘-2-일)메탄올 (95%, 18 mg, 0.13 mmol)을 무수 디클로로메탄 (3 mL)에 녹이고, 티오닐 클로라이드 (61 μl, 0.84 mmol)를 첨가하고 반응을 50℃로 질소 분위기하에 2시간 동안 가열하였다. 그 반응 혼합물을 실온으로 냉각하고, 진공 농축하여 갈색 오일을 얻었고 그것을 미정제로 다음 스텝에 사용하였다. 5-하이드록시-2-(피리딘-4-일)-2,3-디하이드로-1H-이소인돌-1-온 (19 mg, 0.08 mmol) 및 2-(클로로메틸)-5-메톡시피리딘 (20 mg, 0.13 mmol)을 무수 N,N-디메틸포름아미드 (2 mL)에 녹이고, 수소화 나트륨 (60%, 40.19 mg, 1 mmol)을 첨가한 후 반응을 밤새 실온에서 질소 분위기 하에 교반하였다. 그 반응 혼합물을 물 (5 mL)의 첨가로 퀀칭하고, 여과한 후 물 (3 mL), 헵탄 (5 mL) 및 메탄올 (2 mL)로 세퍽하고 진공 오븐에서 건조시켜 표제 화합물 7 mg (24% 수율)을 갈색 분말로서 얻었다.
실시예 1 방법 5: 5 -[(5- 메톡시피리딘 -2-일) 메톡시 ]-2-(피리딘-4-일)-2,3- 디하이드로 -1H-이소인돌-1-온
δH NMR (500 MHz, DMSO) 8.56 - 8.48 (m, 2H), 8.31 (d, J = 2.9 Hz, 1H), 7.90 - 7.85 (m, 2H), 7.74 (d, J = 8.5 Hz, 1H), 7.52 (d, J = 8.6 Hz, 1H), 7.44 (dd, J = 8.6, 2.9 Hz, 1H), 7.31 (d, J = 1.6 Hz, 1H), 7.19 (dd, J = 8.5, 2.1 Hz, 1H), 5.24 (s, 2H), 4.97 (s, 2H), 3.84 (s, 3H). Tr(MET-uHPLC-AB-101)= 1.59 min, (ES+) (M+H)+ 348.
다음의 실시예를 상기 기술한 방법 5를 사용하여 제조하였다:
실시예 구조 분자량 IUPAC 명칭 LCMS 데이터
1
Figure pct00022
347.37 5-[(5-메톡시피리딘-2-일)메톡시]-2-(피리딘-4-일)-2,3-디하이드로-1H-이소인돌-1-온 Tr(MET-uHPLC-AB-101) = 1.59 min, m/z (ES+) (M+H)+ 348
생물학 실시예
Q46 방사성리간드 결합 분석
방사성리간드 결합 분석(RBA)을 위하여 GST-Q46 단백질을 이전의 간행물에 기초하여 생성하였다 (Scherzinger et al. Cell, Vol. 90, 549-558, August 8, 1997). 실험을 위해 33μM GST-Q46을 분석 버퍼 (150mM NaCl, 50mM Tris pH 8.0) 및 2mM CaCl2 중에서 150μg/ml 트롬빈과 함께 37℃에서 16시간 동안 인큐베이션했다. 응집된 Q46을 벤치 탑 원심분리기에서 13,000 rpm에서 5분 동안 원심분리하여 펠릿화하고 동일한 부피의 분석 버퍼에 재용해하였다. 33 μM에서 1 nM까지 11개의 농도에서 DMSO 중에서 적정하여 시험 화합물을 제조하였다. RBA를 위해 Q46 단백질 응집체 및 시험 화합물을 96-웰 플레이트(pp, 둥근 바닥)에 140μL/웰로 넣고 실온에서 20분 동안 분석 버퍼 중에서 예비 인큐베이션하였다. 다음에, 리간드를 10μM/웰로 첨가하고 37℃에서 60분 동안 인큐베이션하였다. 최종 분석 농도는 1 μM 내지 30 pM 시험 화합물, 5 μM Q46 단백질 (등가의 단량체 농도) 및 10 nM 리간드 [3H3]MK-3328이었다 (Harrision et al., ACS Med. Chem. Lett., 2(2011), pp 498-502). 샘플을 GF/B 필터 플레이트 위로 옮기고 Filtermate Harvester를 사용하여 200 μL PBS로 2번 세척하였다. 37℃에서 1시간 동안 필터 플레이트를 건조시킨 후 플레이트의 뒷면을 호일로 밀봉하고 30μL/웰 신틸레이션 유체 (Packard MicroScint 40)를 첨가하고 어두운 곳에서 15분 동안 인큐베이션하고 TopCount 리더로 계수하였다. 분석을 위해 독립적인 분석 플레이트로부터의 반복검증 데이터를 비히클 (0% 억제) 및 3 μM 미표지 MK-3328 (100% 억제)의 대조군 웰을 사용하여 0% 및 100% 억제에 대해 정규화하였다. 정규화된 반복검증 데이터를 사용한 전체적 피팅에서 4개의 변수 (상부, 하부, 기울기, IC50)로 S자형 억제 모델에서 IC50 값을 결정하였다.
RBA IC50 활성 요약: <100 nM +++, 100 내지 500 nM ++, >500 nM +
구조 IUPAC 명칭 Activity
Figure pct00023
4-(5-메톡시-2,3-디하이드로-1H-이소인돌-2-일)피리딘-3-카보니트릴 +++
Figure pct00024
5-[(5-메톡시피라진-2-일)메톡시]-2-(피리딘-4-일)-2,3-디하이드로-1H-이소인돌 +++
Figure pct00025
4-[5-(피리미딘-5-일메톡시)-2,3-디하이드로-1H-이소인돌-2-일]피리딘-3-카보니트릴 +++
Figure pct00026
2-(5-메톡시-2,3-디하이드로-1H-이소인돌-2-일)피리딘-3-카보니트릴 +++
Figure pct00027
2-{5-[(5-메톡시피리딘-2-일)메톡시]-2,3-디하이드로-1H-이소인돌-2-일}피리딘-3-카보니트릴 +++
Figure pct00028
2-[5-(피리미딘-5-일메톡시)-2,3-디하이드로-1H-이소인돌-2-일]피리딘-3-카보니트릴 +++
Figure pct00029
4-{5-[(5-메톡시피리딘-2-일)메톡시]-2,3-디하이드로-1H-이소인돌-2-일}피리딘-3-카보니트릴 +++
Figure pct00030
4-(5-메톡시-2,3-디하이드로-1H-이소인돌-2-일)피리미딘-5-카보니트릴 +++
Figure pct00031
4-{5-[(5-메톡시피리딘-2-일)메톡시]-2,3-디하이드로-1H-이소인돌-2-일}피리미딘-5-카보니트릴 +++
Figure pct00032
4-{5-[(5-하이드록시피리딘-2-일)메톡시]-2,3-디하이드로-1H-이소인돌-2-일}피리딘-3-카보니트릴 +++
Figure pct00033
4-[5-(벤질옥시)-2,3-디하이드로-1H-이소인돌-2-일]피리미딘-5-카보니트릴 +++
Figure pct00034
4-{5-[(5-하이드록시피리딘-2-일)메톡시]-2,3-디하이드로-1H-이소인돌-2-일}피리미딘-5-카보니트릴 +++
Figure pct00035
6-{5-[(5-메톡시피리딘-2-일)메톡시]-2,3-디하이드로-1H-이소인돌-2-일}-2-메틸-2,3-디하이드로피리다진-3-온 +++
Figure pct00036
5-[(5-메톡시피리딘-2-일)메톡시]-2-(피리딘-4-일)-2,3-디하이드로-1H-이소인돌-1-온 +++
여기 제시된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대한 다양한 변형, 부가, 치환, 및 변동이 전술한 설명으로부터 당업자에게 명백할 것이다. 이러한 변형은 또한 첨부된 청구항의 범위 내에 들어가도록 의도된다.

Claims (31)

  1. 식 I의 화합물 또는 그것의 제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을 포함하는 영상화제로서, 식 I의 화합물 또는 그것의 제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은 하나 이상의 양전자-방출 방사성핵종으로 표지되는 영상화제:
    Figure pct00037

    상기 식에서,
    Z1, Z2, Z3 및 Z4는 독립적으로 CH 및 N으로부터 선택되고, 단 Z1, Z2, Z3 및 Z4 중 적어도 둘은 CH이며;
    R1은 아릴 및 헤테로아릴, 및 헤테로시클로알켄일로부터 선택되는데, 그것들의 각각은 알킨일, 헤테로아릴, 시아노, 선택적으로 치환된 아미노, 할로, 저급 알킬, 및 선택적으로 치환된 아미노로 치환된 저급 알킬로부터 독립적으로 선택된 하나 또는 두 개의 기로 선택적으로 치환되고;
    L1은 O 및 NR4로부터 선택되며;
    R4는 수소 및 저급 알킬로부터 선택되고;
    L2는 (CH2)m 이며, 여기서 m은 0, 1 또는 2이고;
    R2는 수소, 아릴, 하이드록실 또는 저급 알콕시로 치환된 아릴, 헤테로아릴, 및 하이드록실 또는 저급 알콕시로 치환된 헤테로아릴로부터 선택되며,
    R5는 저급 알킬, 저급 알콕시, 할로 및 옥소 (헤테로시클로알킬 환 상의 치환체로서)로부터 선택되고; 및
    n은 0 또는 1이다.
  2. 제1 항에 있어서, R1은 시아노, 선택적으로 치환된 아미노, 할로, 저급 알킬, 및 선택적으로 치환된 아미노로 치환된 저급 알킬로부터 독립적으로 선택된 하나 또는 두 개의 기로 선택적으로 치환된 페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화제.
  3. 제2 항에 있어서, R1은 시아노, 메틸, 및 아미노, (알킬)아미노 또는 (디알킬)아미노로 치환된 메틸로부터 독립적으로 선택된 하나 또는 두 개의 기로 선택적으로 치환된 페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화제.
  4. 제3 항에 있어서, R1은 2-시아노페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화제.
  5. 제1 항에 있어서, R1은 알킨일, 시아노, 선택적으로 치환된 아미노, 할로, 저급 알킬, 및 선택적으로 치환된 아미노로 치환된 저급 알킬로부터 독립적으로 선택된 하나 또는 두 개의 기로 선택적으로 치환된 헤테로아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화제.
  6. 제5 항에 있어서, R1은 피리딘-4-일, 피리딘-2-일, 피리딘-3-일, 피리미딘-4-일, 1,2-디하이드로피리딘-2-온-3-일, 1H-인다졸-4-일 및 1H-인다졸-7-일로부터 선택되고, 그것들의 각각은 알킨일, 시아노, 선택적으로 치환된 아미노, 할로, 저급 알킬, 및 선택적으로 치환된 아미노로 치환된 저급 알킬로부터 독립적으로 선택된 하나 또는 두 개의 기로 선택적으로 치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화제.
  7. 제6 항에 있어서, R1은 피리딘-4-일, 피리딘-2-일, 피리딘-3-일 및 피리미딘-4-일로부터 선택되고, 그것들의 각각은 알킨일, 시아노, 선택적으로 치환된 아미노, 할로, 저급 알킬, 및 선택적으로 치환된 아미노로 치환된 저급 알킬로부터 독립적으로 선택된 하나 또는 두 개의 기로 선택적으로 치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화제.
  8. 제6 항에 있어서, R1은 5-시아노-피리미딘-4-일, 피리딘-4-일, 5-브로모-1,2-디하이드로피리딘-2-온-3-일, 3-아세트아미도-피리딘-4-일, 2-아세트아미도-피리딘-6-일, 3-시아노-피리딘-4-일, 3-시아노-피리딘-6-일, 3-브로모-피리딘-4-일, 3-브로모-피리딘-2-일, 3-시아노-피리딘-2-일, 3-플루오로-피리딘-4-일, 2-시아노-피리딘-4-일, 4-시아노-피리딘-3-일 및 3-에틴일-피리딘-4-일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화제.
  9. 제8 항에 있어서, R1은 피리딘-4-일, 5-시아노-피리미딘-4-일 또는 3-시아노-피리딘-4-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화제.
  10. 제1 항에 있어서, R1은 저급 알킬로 선택적으로 치환된 헤테로시클로알켄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화제.
  11. 제10 항에 있어서, R1은 저급 알킬로 선택적으로 치환된 2,3-디하이드로피리다진-6-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화제.
  12. 제1 항 내지 제11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L1은 O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화제.
  13. 제12 항에 있어서, m은 1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화제.
  14. 제12 항 또는 제13 항에 있어서, R2는 수소, 아릴, 하이드록실 또는 저급 알콕시로 치환된 아릴, 헤테로아릴, 및 하이드록실 또는 저급 알콕시로 치환된 헤테로아릴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화제.
  15. 제14 항에 있어서, R2는 수소, 페닐, 피리딘-2-일, 피리미딘-5-일, 피라진-2-일, 및 피리미딘-5-일로부터 선택되고, 수소 이외의 그것들의 각각은 하이드록실 또는 저급 알콕시로 선택적으로 치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화제.
  16. 제1 항 내지 제1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Z1, Z2, Z3 및 Z4는 CH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화제.
  17. 제1 항 내지 제1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Z1은 N이고 Z2, Z3 및 Z4는 CH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화제.
  18. 제1 항 내지 제1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Z2는 N이고 Z1, Z3 및 Z4는 CH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화제.
  19. 제1 항 내지 제1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Z2 및 Z4는 N이고 Z1 및 Z3은 CH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화제.
  20. 제1 항에 있어서, 식 I의 화합물은 다음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화제:
    2-(5-메톡시-2,3-디하이드로-1H-이소인돌-2-일)피리딘-3-카보니트릴;
    2-{5-[(5-메톡시피리딘-2-일)메톡시]-2,3-디하이드로-1H-이소인돌-2-일}피리딘-3-카보니트릴;
    2-[5-(피리미딘-5-일메톡시)-2,3-디하이드로-1H-이소인돌-2-일]피리딘-3-카보니트릴;
    4-{5-[(5-메톡시피리딘-2-일)메톡시]-2,3-디하이드로-1H-이소인돌-2-일}피리딘-3-카보니트릴;
    4-(5-메톡시-2,3-디하이드로-1H-이소인돌-2-일)피리미딘-5-카보니트릴;
    4-{5-[(5-메톡시피리딘-2-일)메톡시]-2,3-디하이드로-1H-이소인돌-2-일}피리미딘-5-카보니트릴;
    4-{5-[(5-하이드록시피리딘-2-일)메톡시]-2,3-디하이드로-1H-이소인돌-2-일}피리딘-3-카보니트릴;
    4-(5-메톡시-2,3-디하이드로-1H-이소인돌-2-일)피리딘-3-카보니트릴;
    4-[5-(피리미딘-5-일메톡시)-2,3-디하이드로-1H-이소인돌-2-일]피리딘-3-카보니트릴;
    5-[(5-메톡시피라진-2-일)메톡시]-2-(피리딘-4-일)-2,3-디하이드로-1H-이소인돌;
    4-[5-(벤질옥시)-2,3-디하이드로-1H-이소인돌-2-일]피리미딘-5-카보니트릴;
    4-{5-[(5-하이드록시피리딘-2-일)메톡시]-2,3-디하이드로-1H-이소인돌-2-일}피리미딘-5-카보니트릴;
    6-{5-[(5-메톡시피리딘-2-일)메톡시]-2,3-디하이드로-1H-이소인돌-2-일}-2-메틸-2,3-디하이드로피리다진-3-온; 및
    5-[(5-메톡시피리딘-2-일)메톡시]-2-(피리딘-4-일)-2,3-디하이드로-1H-이소인돌-1-온.
  21. 제1 항 내지 제20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화합물은 11C, 13N, 15O, 및 18F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양전자-방출 방사성핵종을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화제.
  22. 제1 항 내지 제21 항 중 어느 한 항의 영상화제의 유효량을 개체에게 투여하는 단계 및 상기 개체의 적어도 일부의 영상을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개체에서 진단용 영상을 생성하는 방법.
  23. 제22 항에 있어서, 상기 개체의 적어도 일부의 영상의 생성 단계가 상기 개체의 뇌에서 헌팅틴 단백질 (HTT 단백질) 단량체 또는 응집체의 존재 또는 부재를 검출하기 위해 영상을 생성하는 단계; 및 병리학적 과정의 존재 또는 부재를 검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4. 제23 항에 있어서, 상기 HTT 단백질 단량체 또는 응집체는 상기 개체의 상기 뇌의 기저핵에 존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5. 제23 항에 있어서, 병리학적 과정은 신경변성 질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6. 제25 항에 있어서, 신경변성 질환은 알츠하이머병, 근위축성 측삭 경화증, 헌팅톤병, 파킨슨병, 프리온병 및 척수소뇌실조증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7. 제26 항에 있어서, 신경변성 질환은 헌팅톤병 (HD)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8. 제22 항 내지 제2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화제의 상기 유효량은 약 0.1 내지 약 20 mCi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9. 제28 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화제의 상기 유효량은 약 10 mCi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30. 제22 항 내지 제2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의 생성 단계는 양전자 방출 단층촬영 (PET) 영상화, 컴퓨터 단층촬영 영상화를 동반하는 PET (PET/CT), 자기공명영상화를 동반하는 PET (PET/MRI)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31. 제30 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 생성단계가 PET 영상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KR1020177008418A 2014-08-29 2015-08-28 헌팅틴 단백질을 영상화하기 위한 프로브 KR10241076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1462043644P 2014-08-29 2014-08-29
US62/043,644 2014-08-29
PCT/US2015/047396 WO2016033436A1 (en) 2014-08-29 2015-08-28 Probes for imaging huntingtin protein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47348A true KR20170047348A (ko) 2017-05-04
KR102410760B1 KR102410760B1 (ko) 2022-06-20

Family

ID=554006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7008418A KR102410760B1 (ko) 2014-08-29 2015-08-28 헌팅틴 단백질을 영상화하기 위한 프로브

Country Status (20)

Country Link
US (2) US11071793B2 (ko)
EP (1) EP3186241B1 (ko)
JP (3) JP2017527559A (ko)
KR (1) KR102410760B1 (ko)
CN (2) CN107074817B (ko)
AU (1) AU2015308765B2 (ko)
BR (1) BR112017004136B1 (ko)
CA (1) CA2959531C (ko)
DK (1) DK3186241T3 (ko)
EA (1) EA037275B1 (ko)
ES (1) ES2841746T3 (ko)
HR (1) HRP20202032T1 (ko)
HU (1) HUE052892T2 (ko)
IL (1) IL250805B (ko)
MX (2) MX2017002704A (ko)
PL (1) PL3186241T3 (ko)
PT (1) PT3186241T (ko)
SG (1) SG11201701578YA (ko)
SI (1) SI3186241T1 (ko)
WO (1) WO201603343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47341A (ko) 2014-08-29 2017-05-04 씨에이치디아이 파운데이션, 인코포레이티드 헌팅틴 단백질을 영상화하기 위한 프로브
MX2017002703A (es) 2014-08-29 2018-01-16 Chdi Foundation Inc Sondas para la proyección de imagen de la proteína huntingtina.
WO2016033440A1 (en) 2014-08-29 2016-03-03 Chdi Foundation, Inc. Probes for imaging huntingtin protein
EP3340796B1 (en) 2015-08-28 2021-04-21 CHDI Foundation, Inc. Probes for imaging huntingtin protein
EP3509588B1 (en) * 2016-09-12 2023-06-07 Integral Health,Inc. Bicyclic compounds useful as gpr120 modulators
US10800773B2 (en) 2016-09-12 2020-10-13 Integral Health, Inc. Monocyclic compounds useful as GPR120 modulators
US11389438B2 (en) 2019-02-25 2022-07-19 Chdi Foundation, Inc. Compounds for targeting mutant huntingtin protein and uses thereof
AU2020407600A1 (en) * 2019-12-18 2022-06-30 Chdi Foundation, Inc. Compounds and probes for imaging huntingtin protein
CN117412960A (zh) * 2021-04-08 2024-01-16 Chdi基金会股份有限公司 用于对亨廷顿蛋白成像的异吲哚啉酮化合物和显像剂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0076969A1 (en) * 1999-06-10 2000-12-21 Warner-Lambert Company Method of inhibiting amyloid protein aggregation and imaging amyloid deposits using isoindoline derivatives
EP1481679A1 (en) * 2002-03-01 2004-12-01 Takeda Chemical Industries, Ltd. Antidepressant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726197A (en) * 1992-11-02 1998-03-10 Syntex (U.S.A.) Inc. Isoindolinyl derivatives
US7968569B2 (en) * 2002-05-17 2011-06-28 Celgene Corporation Methods for treatment of multiple myeloma using 3-(4-amino-1-oxo-1,3-dihydro-isoindol-2-yl)-piperidine-2,6-dione
US7320992B2 (en) * 2003-08-25 2008-01-22 Amgen Inc. Substituted 2,3-dihydro-1h-isoindol-1-one derivatives and methods of use
US8110681B2 (en) 2006-03-17 2012-02-07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As Represented By The Secretary, Department Of Health And Human Services Compounds for the treatment of spinal muscular atrophy and other uses
EP2573080A1 (en) * 2007-09-27 2013-03-27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as Represented by the Secretary, Department of Health and Human Services Isoindoline compounds for the treatment of spinal muscular atrophy and other uses
WO2009072581A1 (ja) * 2007-12-05 2009-06-11 Aska Pharmaceutical Co., Ltd. ラクタム化合物又はその塩及びppar活性化剤
WO2010104324A2 (ko) * 2009-03-10 2010-09-16 한국과학기술연구원 베타-아밀로이드 집적체 및 피브릴에 우수한 결합 친화도를 가지는 할로겐화 이소인돌론 화합물, 및 이의 제조 방법 및 용도
CA2871229C (en) 2012-04-25 2020-10-27 Raqualia Pharma Inc. Pyrrolopyridinone derivatives as ttx-s blockers
EP3055301B1 (en) * 2013-10-07 2019-11-20 Kadmon Corporation, LLC (2-(5-isoindolin-2-yl)pyrimidin-4-yl)-amine derivatives as rho kinase inhibitors for treating autoimmune diseases
MX2017002703A (es) 2014-08-29 2018-01-16 Chdi Foundation Inc Sondas para la proyección de imagen de la proteína huntingtina.
WO2016033440A1 (en) 2014-08-29 2016-03-03 Chdi Foundation, Inc. Probes for imaging huntingtin protein
KR20170047341A (ko) 2014-08-29 2017-05-04 씨에이치디아이 파운데이션, 인코포레이티드 헌팅틴 단백질을 영상화하기 위한 프로브
EP3340796B1 (en) 2015-08-28 2021-04-21 CHDI Foundation, Inc. Probes for imaging huntingtin protein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0076969A1 (en) * 1999-06-10 2000-12-21 Warner-Lambert Company Method of inhibiting amyloid protein aggregation and imaging amyloid deposits using isoindoline derivatives
EP1481679A1 (en) * 2002-03-01 2004-12-01 Takeda Chemical Industries, Ltd. Antidepressan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K3186241T3 (da) 2021-01-11
EA201790432A1 (ru) 2017-09-29
BR112017004136A2 (pt) 2017-12-12
AU2015308765A1 (en) 2017-03-23
KR102410760B1 (ko) 2022-06-20
JP2021088584A (ja) 2021-06-10
JP2020079272A (ja) 2020-05-28
PT3186241T (pt) 2021-01-08
ES2841746T3 (es) 2021-07-09
CN107074817A (zh) 2017-08-18
SI3186241T1 (sl) 2021-03-31
JP2017527559A (ja) 2017-09-21
EP3186241A1 (en) 2017-07-05
BR112017004136B1 (pt) 2022-05-03
CA2959531C (en) 2023-01-10
AU2015308765B2 (en) 2020-06-04
JP7042940B2 (ja) 2022-03-28
PL3186241T3 (pl) 2021-05-17
HRP20202032T1 (hr) 2021-02-19
CA2959531A1 (en) 2016-03-03
EP3186241B1 (en) 2020-10-07
EA037275B1 (ru) 2021-03-03
CN107074817B (zh) 2023-12-15
SG11201701578YA (en) 2017-03-30
CN118005611A (zh) 2024-05-10
JP6843282B2 (ja) 2021-03-17
MX2021005891A (es) 2021-06-23
US20210379211A1 (en) 2021-12-09
IL250805B (en) 2020-08-31
MX2017002704A (es) 2017-10-23
WO2016033436A1 (en) 2016-03-03
HUE052892T2 (hu) 2021-05-28
US11071793B2 (en) 2021-07-27
EP3186241A4 (en) 2018-04-18
IL250805A0 (en) 2017-04-30
US20170281804A1 (en) 2017-10-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7042940B2 (ja) ハンチントンタンパク質のイメージング用プローブ
KR102456946B1 (ko) 헌팅틴을 단백질 영상화하기 위한 프로브
AU2019283999B2 (en) Probes for imaging huntingtin protein
EP3190888B1 (en) Probes for imaging huntingtin protein
EP3340796B1 (en) Probes for imaging huntingtin protei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