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46726A - 가소화된 폴리비닐 아세탈 기반 엠보싱된 필름들의 제조를 위한 프로세스 - Google Patents

가소화된 폴리비닐 아세탈 기반 엠보싱된 필름들의 제조를 위한 프로세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46726A
KR20170046726A KR1020177007994A KR20177007994A KR20170046726A KR 20170046726 A KR20170046726 A KR 20170046726A KR 1020177007994 A KR1020177007994 A KR 1020177007994A KR 20177007994 A KR20177007994 A KR 20177007994A KR 20170046726 A KR20170046726 A KR 2017004672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m
embossing
channels
roughness
emboss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70079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65817B1 (ko
Inventor
우베 켈러
신이치 무구루마
데트레프 한닝
얀 데니스 로갈
케이스케 키시모토
Original Assignee
쿠라라이 유럽 게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쿠라라이 유럽 게엠베하 filed Critical 쿠라라이 유럽 게엠베하
Publication of KR201700467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4672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658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6581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8/00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 B29C48/03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shape of the extruded material at extrusion
    • B29C48/07Flat, e.g. panels
    • B29C48/08Flat, e.g. panels flexible, e.g. films
    • B29C47/0061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3/00Compression moulding, i.e. applying external pressure to flow the moulding material; Apparatus therefor
    • B29C43/22Compression moulding, i.e. applying external pressure to flow the moulding material; Apparatus therefor of articles of indefinite length
    • B29C43/222Compression moulding, i.e. applying external pressure to flow the moulding material; Apparatus therefor of articles of indefinite length characterised by the shape of the surface
    • B29C47/0004
    • B29C47/0021
    • B29C47/92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8/00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 B29C48/001Combinations of extrusion moulding with other shaping operations
    • B29C48/002Combinations of extrusion moulding with other shaping operations combined with surface shap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8/00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 B29C48/022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choice of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8/00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 B29C48/25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8/92Measuring, controlling or regula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59/00Surface shaping of articles, e.g. embossing; Apparatus therefor
    • B29C59/005Surface shaping of articles, e.g. embossing; Apparatu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choice of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59/00Surface shaping of articles, e.g. embossing; Apparatus therefor
    • B29C59/02Surface shaping of articles, e.g. embossing; Apparatus therefor by mechanical means, e.g. pressing
    • B29C59/022Surface shaping of articles, e.g. embossing; Apparatus therefor by mechanical means, e.g. pressing characterised by the disposition or the configuration, e.g. dimensions, of the embossments or the shaping tool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17/00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 B32B17/06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 B32B17/10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32B17/10005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 B32B17/1055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characterized by the resin layer, i.e. interlayer
    • B32B17/10559Shape of the cross-section
    • B32B17/10577Surface roughness
    • B32B17/10587Surface roughness created by emboss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17/00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 B32B17/06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 B32B17/10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32B17/10005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 B32B17/1055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characterized by the resin layer, i.e. interlayer
    • B32B17/10559Shape of the cross-section
    • B32B17/10577Surface roughness
    • B32B17/10596Surface roughness created by melt fract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17/00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 B32B17/06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 B32B17/10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32B17/10005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 B32B17/1055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characterized by the resin layer, i.e. interlayer
    • B32B17/10761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characterized by the resin layer, i.e. interlayer containing vinyl acet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59/00Surface shaping of articles, e.g. embossing; Apparatus therefor
    • B29C59/02Surface shaping of articles, e.g. embossing; Apparatus therefor by mechanical means, e.g. pressing
    • B29C59/022Surface shaping of articles, e.g. embossing; Apparatus therefor by mechanical means, e.g. pressing characterised by the disposition or the configuration, e.g. dimensions, of the embossments or the shaping tools therefor
    • B29C2059/023Microembossing
    • B29C2947/92514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2948/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extrusion moulding
    • B29C2948/92Measuring, controlling or regulating
    • B29C2948/92504Controlled parameter
    • B29C2948/92514Press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2948/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extrusion moulding
    • B29C2948/92Measuring, controlling or regulating
    • B29C2948/92504Controlled parameter
    • B29C2948/92704Temperat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2948/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extrusion moulding
    • B29C2948/92Measuring, controlling or regulating
    • B29C2948/92504Controlled parameter
    • B29C2948/9278Surface propert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2948/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extrusion moulding
    • B29C2948/92Measuring, controlling or regulating
    • B29C2948/92819Location or phase of control
    • B29C2948/92857Extrusion unit
    • B29C2948/92904Die; Nozzle zon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2948/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extrusion moulding
    • B29C2948/92Measuring, controlling or regulating
    • B29C2948/92819Location or phase of control
    • B29C2948/92923Calibration, after-treatment or cooling zon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2948/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extrusion moulding
    • B29C2948/92Measuring, controlling or regulating
    • B29C2948/92819Location or phase of control
    • B29C2948/92942Moulded arti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59/00Surface shaping of articles, e.g. embossing; Apparatus therefor
    • B29C59/02Surface shaping of articles, e.g. embossing; Apparatus therefor by mechanical means, e.g. pressing
    • B29C59/04Surface shaping of articles, e.g. embossing; Apparatus therefor by mechanical means, e.g. pressing using rollers or endless bel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59/00Surface shaping of articles, e.g. embossing; Apparatus therefor
    • B29C59/02Surface shaping of articles, e.g. embossing; Apparatus therefor by mechanical means, e.g. pressing
    • B29C59/04Surface shaping of articles, e.g. embossing; Apparatus therefor by mechanical means, e.g. pressing using rollers or endless belts
    • B29C59/043Surface shaping of articles, e.g. embossing; Apparatus therefor by mechanical means, e.g. pressing using rollers or endless belts for profiled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K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B29B, B29C OR B29D, RELATING TO MOULDING MATERIALS OR TO MATERIALS FOR MOULDS,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 B29K2029/00Use of polyvinylalcohols, polyvinylethers, polyvinylaldehydes, polyvinylketones or polyvinylketals or derivatives thereof as moulding material
    • B29K2029/14Polyvinylaceta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L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 B29C, RELATING TO PARTICULAR ARTICLES
    • B29L2007/00Flat articles, e.g. films or sheets
    • B29L2007/008Wide strips, e.g. films, web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17/00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 B32B17/06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 B32B17/10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32B17/10005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 B32B17/1055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characterized by the resin layer, i.e. interlayer
    • B32B17/10559Shape of the cross-section
    • B32B17/10577Surface roughnes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haping Of Tube Ends By Bending Or Straightening (AREA)
  • Joining Of Glass To Other Materials (AREA)
  • Extrusion Mould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다음의 프로세스 단계들에 의해 20 내지 100 ㎛의 하나 이상의 표면들 상에 거칠기(Rz)를 갖는 가소화된 폴리비닐 아세탈을 포함하는 필름을 엠보싱하기 위한 프로세스에 관한 것이며, 이 프로세스 단계들은 a. Rz = 1 내지 70 ㎛의 표면들의 확률적 거칠기를 갖는 필름에 대한 가소화된 폴리비닐 아세탈의 압출함, b. 5 내지 50 ㎛의 깊이, 10 내지 200 ㎛의 폭, 및 50 내지 2500 ㎛의 피치를 가지는 채널들을 갖는, 단계(a)에서 획득된 필름의 하나 이상의 표면의 엠보싱함을 포함하며, 여기서 채널들 사이의 엘리베이션들(elevations)의 표면 거칠기는 단계(a)에서 획득된 바와 같이 최대 20% 만큼 더 낮다.

Description

가소화된 폴리비닐 아세탈 기반 엠보싱된 필름들의 제조를 위한 프로세스 {PROCESS FOR PRODUCTION OF EMBOSSED FILMS BASED ON PLASTICIZED POLYVINYL ACETAL}
[0001] 본 발명은 엠보싱함으로써 가소화된 폴리비닐 아세탈 기반 필름의 제조를 위한 프로세스 및 유리 적층체들의 제조를 위한 필름들의 사용에 관한 것이다.
[0002] 적층된 안전 유리는 보통 2 개의 유리 판들(glass panes) 및 유리 판들을 조합하는 하나의 접착 필름으로 구성되고, 가소화된 폴리비닐 아세탈에 기반하며, 바람직하게는 폴리비닐 부티랄(PVB)을 가진다. 적층된 안전 유리는 특히 자동차 내에서 윈드스크린들(windscreens)로서 사용되며, 유리 판이, 필요하다면, 중합체 판으로 교체되는 것이 가능하다.
[0003] 건축 분야에서, 또한, 규산염 유리/규산염 유리 복합재들 또는 규산염 유리/중합체 복합재들이, 예컨대 윈도우 판들로서 또는 중간 벽들로서 사용되며, 다중 복합재들, 즉 2 개 이상의 지지 층으로 구성된 복합재들이, 필요하며 그리고 이들의 적용(예컨대, 방탄 유리(bullet-proof glass)로서)에 따른다면, 사용된다.
[0004] 안전 복합 유리의 제작을 위한 폴리비닐 아세탈, 특히 폴리비닐 부티랄(PVB) 기반 가소제-함유 필름들은 심지어 실온에서 연질이고 접착성이 있다. 비록 큰 접착성이 복합 유리에서의 유리/필름/유리의 복합재를 함께 유지하기 위해 중요하지만, 접착성은, 그러나, 일시적으로 제거되거나, 운송 및 이러한 유리로 이들을 프로세싱하는 프로세스를 위해 적어도 억제되는 것이 필요하다. 필름들의 고유한 접착성은 특정 거칠기에 의해 감소될 수 있다.
[0005] 더욱이, 필름과 유리 사이에 존재하는 공기가 복합 안전 유리를 형성하기 위해 필름의 프로세싱 중에 제거되는 것이 가능할 필요가 있다. 이러한 점에서, 조면화된(roughened) 표면을 갖는 하나 또는 양자 모두의 측면들에 필름들을 제공하는 것이 일반적으로 공지되어 있다. 유리 적층체의 제작 중에 에워싸이는 공기는 조면화된 표면을 통해 빠져나올 수 있어, 기포-없는(bubble-free) 적층체가 획득된다.
[0006] 거친 표면을 갖는 필름들의 제작을 위한 통상적인 프로세스는 용융 균열 프로세스(melt fracture process)로서 EP 0 185 863 B1로부터 공지되어 있다. 용융 균열 프로세스들은 불규칙적으로(확률적으로) 조면화된(roughened) 표면들로 이어진다.
[0007] 엠보싱 프로세스들은 조면화된 표면의 제조를 위해 종래 기술에서 설명되는 추가적인 프로세스들이다. 엠보싱 프로세스들에 의해 제조된 모든 필름 표면들의 공통적인 특징부는, 특히 진공 백 프로세스에 의해 유리 적층체들을 위한 제조 프로세스에서 양호한 환기 거동(ventilation behaviour)을 보이는 규칙적인(비-확률적인) 표면 구조이고, 결과적으로 짧은 프로세스 시간들 및 넓은 프로세싱 창들을 허용한다.
[0008] 용융 균열 프로세스들과 비교하여, 엠보싱 프로세스들은, 획득된 규칙적인 표면 구조물이 적층체 제조 중에 보다 빠르고 보다 간단한 공기 제거를 허용하는 장점을 가진다.
[0009] EP 0 741 640 B1은 2 개의 엠보싱 롤러들에 의해 양자 모두의 측면들에서 엠보싱된 표면의 제조를 위한 이러한 엠보싱 프로세스를 설명하며, 이 엠보싱 롤러들에 의해, 필름에는 톱니형의 규칙적인 라인 구조가 제공된다. 필름의 각 측면에서 엠보싱된 라인은 소위 모아레 패턴(moire pattern)이 복합 유리 내에 형성되는 것을 방지되도록 25° 초과의 각도로 서로 교차한다.
[0010] EP 1 233 007 A1은 모아레 효과를 방지하기 위한 엠보싱 프로세스를 개시하며, 상기 프로세스는 필름의 각각의 측면에 규칙적인 엠보싱 구조를 제조한다. 간섭들을 방지하기 위해, 2 개의 필름 측면들의 라인 구조는 상이한 반복 주파수들(different repetition frequencies)을 가진다.
[0011] US 5,972,280에서 설명된 다른 프로세스는, 2 개의 엠보싱 롤러들 대신에, 표면 구조를 엠보싱하기 위해 하나의 롤러만을 사용하며, 그리고 구조화된 강 밴드(steel band)는 롤들 및 압축 공기를 통해 롤러에 편안하게 피팅하며, 이 필름은 엠보싱 롤러와 강 밴드(steel band) 사이의 갭(gap)을 통해 엠보싱 프로세스 중에 안내된다.
[0012] US 4,671,913은 PVB 필름들을 엠보싱하기 위한 프로세스를 개시하며, 이 필름은 2 개의 구조화된 롤러들 사이의 단일 작동 프로세스에서 엠보싱된다. 롤러들(그리고 결과적으로 또한 엠보싱된 필름)은 10 내지 60 ㎛의 거칠기(Rz)를 가진다. US 2003/0022015, WO 01/72509, US 6077374 및 US 60934741은 강의 엠보싱 롤러들 및 고무 코팅을 갖는 가압 롤러들에 의해 PVB 필름을 위한 단일 스테이지 및 2 스테이지 엠보싱 프로세스를 설명한다.
[0013] WO 2014021459 A1은 750 ㎛ 이상의 넓은 피치(pitch)를 갖는 채널들을 엠보싱함으로써 가소화된 PVB-필름의 제작을 개시한다.
[0014] 적층된 유리를 효과적으로 제조하기 위해, 내부층은 표면 구조의 양호한 탈기(de-airing) 특성들 및 빠른 용융(melt-down)을 가진다.
도 1은, 예로써, 500 ㎛의 피치(A), 75 ㎛의 채널 폭(B) 및 40 ㎛의 채널 사이의 엘리베이션들의 표면 거칠기(C)를 갖는, 본 발명의 방법에 의해 제조된 필름의 표면을 도시한다.
[0015] 본 발명의 목적은 다음의 프로세스 단계들에 의해 20 내지 100 ㎛의 하나 이상의 표면들 상에 거칠기(Rz)를 갖는 가소화된 폴리비닐 아세탈을 포함하는 필름을 엠보싱하기 위한 프로세스이며, 이 프로세스 단계들은,
a. Rz = 1 내지 70 ㎛의 표면들의 확률적(stochastic) 거칠기를 갖는 필름에 대한 가소화된 폴리비닐 아세탈의 압출함.
b. 5 내지 50 ㎛의 깊이, 10 내지 250 ㎛,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200 ㎛의 폭, 및 50 내지 2500 ㎛의 피치를 가지는 채널들을 갖는, 단계(a)에서 획득된 필름의 하나 이상의 표면의 엠보싱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여기서, 채널들 사이의 엘리베이션들(elevations)의 표면 거칠기는 단계(a)에서 획득된 바와 같이 최대 20% 만큼 더 낮다.
[0016] 채널들 사이의 엘리베이션들 상의 확률적 표면 패턴은 단계(a) 중에 생성되고, 본질적으로 단계(a) 중에 획득된 바와 같이 단계(b)의 엠보싱 중에 유지되어야 한다.
[0017] 바람직하게는, 단계(b)에서 획득된 채널들 사이의 엘리베이션들(elevations)의 표면 거칠기는 단계(a)에서 획득된 바와 같이 최대 10% 만큼, 더 바람직하게는 최대 5% 만큼 더 낮다. 최대의 경우에도(at best), 단계(a) 및 단계(b)에서 획득된 채널들 사이의 엘리베이션들의 표면 거칠기는 동일하다(동일하게 유지된다). 이는 엘리베이션들의 영역들에서 필름과의 접촉이 전혀 없거나 전체적인 접촉이 없는 엠보싱 공구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0018] 단계(a)에서의 가소화된 폴리비닐 아세탈을 포함하는 용융물의 압출은 온도가 조절될 수 있는 립들(lips)을 가지는 압출 다이에 의해 용융 균열(melt fracture) 조건들 하에서 바람직하게는 수행된다. 이러한 압출 프로세스는 예를 들어 EP 0 185 863 B1로부터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있다.
[0019] 채널들 사이의 엘리베이션들 상의 확률적 표면 패턴은 필름의 표면들 상에서 동일하거나 상이할 수 있다. 상이한 표면 패턴들 또는 거칠기 레벨들은 용융 균열 압출 중에 다이 출구 바로 위에 방출 갭의 폭 및 다이 립들의 온도를 변경함으로써 제조될 수 있다.
[0020] Rz = 10 내지 70㎛의 표면들의 확률적 거칠기를 갖는 필름, 및 더 바람직하게는 Rz = 30 내지 70㎛의 표면들의 확률적 거칠기를 갖는 필름을 획득하기 위해 단계(a)를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0021] 본 발명의 제 1 변형예에서, 압출은 100 내지 270℃, preferably 100 내지 240℃의 립 온도를 가지는 압출 다이에 의해 용융-균열 조건들 하에서 수행된다.
[0022] 본 발명의 제 2 변형예에서, 용융 균열 조건들 하에서의 압출은 500 내지 3500 kg/h의 용융 유속으로 수행된다.
[0023] 압출 후에, 필름은, 각각의 경우에서 독립적으로, 표면 구조 및 Rz = 20 내지 100 ㎛, 바람직하게는 Rz = 20 내지 80 ㎛, 특히 Rz = 25 ㎛ 내지 70 ㎛의 거칠기 깊이로, 하나 또는 양자 모두의 측면들 상에 단계(b)에서 엠보싱을 받는다.
[0024] 단계(a)에서 획득된 필름의 표면들은 단일 단계에서 또는 바람직하게는 2 개의 뚜렷한 엠보싱 단계들에서 엠보싱될 수 있다. 단일 단계의 엠보싱에서, 2 개의 엠보싱 롤들이 사용되는 반면, 다중 단계의 엠보싱에서, 엠보싱 롤러 및 가압 롤러(pressing roller)가 사용된다. 가압 롤러는 바람직하게는 20 내지 80의 쇼어 A 경도(Shore A hardness)를 갖는 고무의 표면을 가진다.
[0025] 거칠기 값(Rz)을 갖는 필름의 표면 거칠기를 측정하는 것은 DIN EN ISO 4287 및 DIN ISO 4288에 따라 영향을 받는다. 표면 거칠기들을 측정하는데 사용되는 측정 디바이스들은 EN ISO 3274를 만족해야 한다. 사용된 프로파일 필터들(profile filters)은 DIN EN ISO 11562에 상응해야 한다.
[0026] 본 발명에 따른 엠보싱 단계(b)는, 구조화된 필름의 2 개의 측면들이 상이한 거칠기 깊이들(Rz)을 가지는 방식으로, 실시될 수 있다. 이는, 예컨대 상이한 엠보싱 공구들 또는 엠보싱 공구들 및/또는 가압 롤러들의 온도들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0027] 필름의 양자 모두의 표면들 상의 채널들은 70 내지 90° 또는 5 내지 45°의 각도를 서로와 공유할 수 있다. 다른 양태에서, 필름의 하나 이상의 표면 상의 채널들은 압출의 방향에 대해 5 내지 45°, 바람직하게는 35 내지 45°의 각도를 가진다.
[0028] 채널들의 피치는 필름의 표면들 상에서 동일하거나 상이할 수 있으며, 여기서 표면들 사이의 5%의 편차는 동일한 것으로 간주된다. 채널들의 피치는 100 내지 1500 ㎛, 바람직하게는 300 내지 1000 ㎛일 수 있다.
[0029] 도 1은, 예로써, 500 ㎛의 피치(A), 75 ㎛의 채널 폭(B) 및 40 ㎛의 채널 사이의 엘리베이션들의 표면 거칠기(C)를 갖는, 본 발명의 방법에 의해 제조된 필름의 표면을 도시한다.
[0030] 엠보싱 프로세스 전에 그리고/또는 그 후에, 필름은 이러한 방식으로 필름의 표면 구조를 고정하기 위해 -10 내지 +40℃로 냉각될 수 있다. 냉각은 바람직하게는 상응하게 온도-조절된 냉각 롤러들을 통해 발생한다.
[0031] 바람직하게는, 엠보싱 롤러들은 금속 또는 세라믹으로 구성되며, 그리고 필름 표면 상에 이후에 존재하는 구조물의 음각(negative) 프로파일 패턴을 갖는 표면을 가진다. 필름의 의도된 거칠기보다 엠보싱 롤러들의 채널의 더 큰 깊이는 엠보싱 후에 용융 균열 표면을 유지시키기 위해 바람직하다.
[0032] 엠보싱 롤러들의 온도는 80 내지 200℃, 특히 80 내지 170℃, 바람직하게는 100 내지 160℃ 그리고 특히 110 내지 155℃이다. 특히 바람직하게는, 엠보싱 롤러들은 필름의 접착력(adhesion)을 감소시키기 위해, 코팅된 강 표면(예를 들어 폴리머 또는 세라믹을 갖음)을 가진다.
[0033] 제 1 실시예에서, 압출된 필름은 동일하거나 상이한 표면 엠보싱부분(embossment)을 가지는 2 개의 엠보싱 롤러들 사이에서 엠보싱된다.
[0034]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필름은 엠보싱 롤러와 가압 롤러 사이에서 안내되며, 그리고 가압 롤러는 반대의 의미로 회전한다. 바람직하게는, 필름은 엠보싱 롤러들 및/또는 엠보싱과 가압 롤러들 사이에서 10 내지 400 N/mm, 특히 10 내지 150 N/mm, 바람직하게는 30 내지 130 N/mm 및 특히 40 내지 110 N/mm의 라인 압력(line pressure)으로 노출된다. 수 개의 프로세스 단계들(b)이 수행된다면, 라인 압력은 동일하거나 상이할 수 있다. 라인 압력은 필름 폭에 기반된 롤러 쌍(roller pair)의 가압력을 의미한다.
[0035] 가압 롤러들은 0 내지 50℃, 바람직하게는 5 내지 30℃의 바람직한 온도를 가지며, 즉 이 가압 롤러들은 엠보싱 롤러를 마주보며(vis-a-vis) 능동적으로 냉각된다. 가압 롤러들의 온도는 프로세스 단계들 b에서 동일하거나 상이할 수 있다.
[0036] 가압 롤러들은 필름을 엠보싱 롤러들의 구조화된 표면으로 가압하고, 엠보싱 롤러에 맞닿게 가볍게 자리잡는다(nestle). 라인 압력을 변화시킴으로써, 엠보싱 구역의 표면 결과적으로 롤러 갭 내의 필름의 잔여 시간이 변경될 수 있다.
[0037] 라인 압력의 프로세스 매개변수들을 선택함으로써, 필름 온도 및/또는 롤러 온도, 롤러 속도 및 롤러들 상의 필름 웨브의 외각(enveloping angle), 필름 엠보싱의 거칠기 깊이는 엠보싱 롤러들의 주어진 거칠기 깊이에 의해 영향을 받을 수 있다.
[0038] 이러한 경우에, 또한, 필름은 직접적으로, 즉 롤러들 둘레로 지나감 없이, 온도-조절 롤러들의 롤러 갭을 통해 안내될 수 있다.
[0039] 적어도 하나의 가소제, 염료들, 안료들, 접착력 조절용 금속 염들, 유기 첨가제들 및/또는 무기 충전제들과의 혼합물에서 부분적으로 아세탈화된(acetalated) 폴리비닐 알콜과 같은 가교된(crosslinked) 또는 비-가교된(non-crosslinked) 형태로 특히 폴리비닐 부티랄(PVB)를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0040] 이러한 목적을 위해 당 분야에서 공지된 모든 가소제들, 특히 특히 다가 산들의 에스테르들, 다가 알콜들 또는 올리고에테르 글리콜들, 예컨대, 아디프산 에스테르들, 세박산 에스테르들 또는 프탈산 에스테르들, 특히 디-n-헥실 아디페이트, 디부틸 세바케이트, 디옥틸 프탈레이트, 디글리콜의 에스테르들, 트리글리콜 또는 테트라글리콜과 선형 또는 분지형 지방족 카르복실산들의 에스테르 및 이러한 에스테르들의 혼합물들은, 한편으로 부분적으로 아세탈화된 폴리비닐 알콜들을 위한 가소제들로서 적합하다. 장쇄 지방족 카르복실산들을 갖는 지방족 디올들의 에스테르들, 특히 6 내지 10 개의 탄소 원자를 함유하는 지방족 카르복실산들을 갖는 트리에틸렌 글리콜의 에스테르들, 예컨대 2-에틸부티르산 또는 n-헵탄 산은 바람직하게는 부분적으로 아세탈화된 폴리비닐 알콜, 특히 폴리비닐 부티랄을 위한 표준 가소제들로서 사용된다. 디-n-헥실 아디페이트(DHA), 디부틸 세바케이트(DBS), 디옥틸 프탈레이트(DOP), 직쇄 또는 분지형 지방족 카르복실산을 갖는 디글리콜, 트리글리콜 또는 테트라글리콜의 에스테르들, 특히 트리에틸렌 글리콜-비스-2-에틸 부티레이트(3GH), 트리에틸렌-글리콜-비스-n-헵타노에이트(3G7), 트리에틸렌 글리콜-비스-2-에틸 헥사노에이트(3G8), 테트라에틸렌 글리콜-비스-n-헵타노에이트(4G7)로 구성되는 그룹으로부터의 하나 또는 수 개의 가소제들이 특히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0041] 본 발명의 특정 실시예에서, 엠보싱 공구들에 대한 필름의 접착력은 필름 재료에 대한 접착력을 감소시키는 물질을 추가함으로써 더 감소될 수 있다.
[0042] 가소화된 부분적으로 아세탈화된 폴리비닐 알콜 수지는 바람직하게는 25 내지 45 중량부(parts by weight) 및 특히 바람직하게는 30 내지 40 중량부의 가소제(100 중량부에 기반됨)를 포함한다.
[0043] 부분적으로 아세탈화된 폴리비닐 알콜들은 가수분해된(hydrolysed) 폴리비닐 에스테르들의 아세탈화에 의해 공지된 방식으로 제조된다. 포름알데히드, 아세트알데히드, 프로피온알데히드, 부티르알데히드 등, 바람직하게는 부티르알데히드가, 예를 들어, 알데히드들로서 사용된다.
[0044] 바람직한 폴리비닐 부티랄 수지는 10 내지 25 중량%, 바람직하게는 17 내지 23 중량% 및 특히 바람직하게는 19 내지 21 중량%의 비닐 알콜 라디칼들(radicals) 및/또는 0 내지 20 중량%, 바람직하게는 0.5 내지 2.5 중량%의 아세테이트 라디칼들을 포함한다.
[0045] 추가적인 프로세스 변형예에서, 폴리알데히드(특히 글루타르알데히드)와 부분적으로 가교된 PVB 및 옥소카르복실산(특히 글리옥실산)이 WO 2004/063231 A1에 따른 중합체로서 사용된다. 이러한 부분적으로 가교된 PVB는 유사한 비가교된 PVB의 점성보다 10 내지 50% 만큼 더 높은 점성을 가진다.
[0046] 필름들의 수분 함량(water content)은, 바람직하게는, 0.15 내지 0.8 중량%, 특히 0.3 내지 0.5 중량%로 조절된다.
[0047]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된 필름들은 특히 하나 또는 수 개의 유리 판들 및/또는 하나 또는 수 개의 중합체 판들 및 하나 이상의 구조화된 필름으로부터의 적층체들의 제작을 위해 사용될 수 있다.
[0048] 이러한 적층체의 제작 중에, 예비-복합재(pre-composite)는 가압(pressing), 진공 백(vacuum bag) 또는 진공 링(ring)에 의해 유리/중합체 판들 및 필름으로부터 우선적으로 제조된다. 원칙적으로, 예비-복합 적층체들은 공기 포함들의 결과로써 약간 탁하다(turbid). 적층체의 최종 제작이 예컨대 WO 03/033583에 따라 오토클레이브(autoclave) 내에서 일어난다.
예들
본 발명에 따른 예
[0049] PVB 수지 100 중량부당 공칭 레벨의 38 중량부의 가소제를 함유하는 0.76 mm 두께의 PVB 필름은 다음 조건들에 의해 압출된다.
[0050] 립 온도; 190℃.
용융 유속; 1000 kg/h.
라인 속도; 15 m/min
[0051] 이러한 PVB 필름은 40 미크론의 Rz 용융 균열 값을 특징으로 하는 각 측면의 용융 균열 표면 거칠기를 가진다.
[0052] 이러한 PVB 필름은 다음의 특성들을 갖는 시설 내에서 엠보싱된다. 2 개의 엠보싱 스테이지들의 가압 및 엠보싱 롤러들은 동일한 특성들을 가진다.
[0053] 시설 매개변수들:
[0054] 고무 롤러의 경도: 70 ± 5 쇼어 A
엠보싱 롤러의 거칠기: 대략 200 m
엠보싱 롤러의 피치: 대략 500 m
채널의 각도: 12°
표면 코팅: 중합체
고무 롤러의 온도 10℃
[0055]
Figure pct00001
[0056] 필름의 특성들이 다음의 표들에서 도시되며, 여기서 "Rz 파이널(final)"은 엠보싱 후에 거칠기를 나타내며, "Rz 엘리베이션"은 채널들 사이의 엘리베이션의 거칠기를 나타내며, 그리고 "채널 깊이"는 "Rz 파이널 내지 Rz 엘리베이션"으로 규정된다.
[0057]
Figure pct00002
[0058] 복합재 유리의 제작 중에, 필름들은 양호한 공기 제거 특성들을 보였고, 블리스터-없는 적층체들로 프로세싱될 수 있었다.
비교적인 예:
[0059]
Figure pct00003
[0060] 복합재 유리의 제작 중에, 필름들은 좋지 않은 공기 제거 특성들을 보였고, 블리스터-없는 적층체들로 프로세싱될 수 없었다.
[0061] 특히, No. 8의 예는 큰 접착성을 보였다. 2 개의 층들 사이에서 높은 접착력/블로킹으로 인해 이러한 필름을 다루는 것은 매우 어려웠다.
[0062] 본 발명의 프로세스에 의해, 블로킹의 낮은 경향을 가지는, 가소화된 폴리비닐 아세탈 필름이 제조될 수 있다. 이러한 필름은 운송을 위해 롤에 권선될 수 있고, 적층된 글레이징(laminated glazing)의 제조를 위해 용이하게 언롤링될(unrolled) 수 있다.

Claims (11)

  1. 필름(film)을 엠보싱하기(embossing) 위한 프로세스(Process)로서,
    상기 프로세스는 프로세스 단계들(process steps)에 의해 20 내지 100 ㎛의 하나 이상의 표면들 상에 거칠기(Rz)를 갖는 가소화된 폴리비닐 아세탈(plasticized polyvinyl acetal)을 포함하며,
    상기 프로세스 단계들은,
    a. Rz = 1 내지 70 ㎛의 표면들의 확률적(stochastic) 거칠기를 갖는 필름에 대한 가소화된 폴리비닐 아세탈의 압출 단계,
    b. 5 내지 50 ㎛의 깊이, 10 내지 200 ㎛의 폭, 및 50 내지 2500 ㎛의 피치(pitch)를 가지는 채널들(channels)을 갖는, 단계(a)에서 획득된 필름의 하나 이상의 표면의 엠보싱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채널들 사이의 엘리베이션들(elevations)의 표면 거칠기는 단계(a)에서 획득된 바와 같이 최대 20% 만큼 더 낮은,
    필름을 엠보싱하기 위한 프로세스.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필름은 80 내지 200℃의 온도를 가지는 엠보싱 롤러(embossing roller)에 의해 엠보싱되는(embossed),
    필름을 엠보싱하기 위한 프로세스.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필름은 10 내지 400 N/mm의 라인 압력(line pressure)에 의해 엠보싱되는,
    필름을 엠보싱하기 위한 프로세스.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단계(a)에서의 상기 가소화된 폴리비닐 아세탈 필름의 압출은 용융-균열(melt-fracture) 조건들 하에서 수행되는,
    필름을 엠보싱하기 위한 프로세스.
  5. 제 4 항에 있어서,
    용융-균열 조건들 하에서의 상기 압출은 100 내지 270℃의 립 온도들을 가지는 압출 다이에 의해 수행되는,
    필름을 엠보싱하기 위한 프로세스.
  6. 제 4 항에 있어서,
    용융-균열 조건들 하에서의 상기 압출은 500 내지 3500 kg/h의 용융 유속으로 수행되는,
    필름을 엠보싱하기 위한 프로세스.
  7.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엠보싱된 필름의 양자 모두의 표면들은 상기 채널들의 동일한 피치를 가지는,
    필름을 엠보싱하기 위한 프로세스.
  8.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엠보싱된 필름의 양자 모두의 표면들은 상기 채널들의 상이한 피치를 가지는,
    필름을 엠보싱하기 위한 프로세스.
  9. 제 1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필름의 양자 모두의 표면들 상의 상기 채널들은 서로와 70 내지 90°의 각도를 공유하는,
    필름을 엠보싱하기 위한 프로세스.
  10. 제 1 항 내지 제 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필름의 하나 이상의 표면 상에 상기 채널들은 압출 방향에 대해 5 내지 45°의 각도를 가지는,
    필름을 엠보싱하기 위한 프로세스.
  11. 제 1 항 내지 제 10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필름의 표면들은 2 개의 뚜렷한 엠보싱 단계들에서 엠보싱되는,
    필름을 엠보싱하기 위한 프로세스.
KR1020177007994A 2014-08-25 2015-08-21 가소화된 폴리비닐 아세탈 기반 엠보싱된 필름들의 제조를 위한 프로세스 KR10226581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14216880 2014-08-25
DE102014216880.5 2014-08-25
PCT/EP2015/069210 WO2016030284A1 (en) 2014-08-25 2015-08-21 Process for production of embossed films based on plasticized polyvinyl acetal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46726A true KR20170046726A (ko) 2017-05-02
KR102265817B1 KR102265817B1 (ko) 2021-06-15

Family

ID=540121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7007994A KR102265817B1 (ko) 2014-08-25 2015-08-21 가소화된 폴리비닐 아세탈 기반 엠보싱된 필름들의 제조를 위한 프로세스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10363696B2 (ko)
EP (1) EP3186059B1 (ko)
JP (1) JP6679571B2 (ko)
KR (1) KR102265817B1 (ko)
CN (1) CN106660239B (ko)
WO (1) WO2016030284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066518A1 (ko) * 2019-10-04 2021-04-08 에스케이씨 주식회사 유리접합용 필름 및 이를 포함하는 광투과 적층체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167522B2 (en) 2016-04-19 2021-11-09 Fitesa Film Products Llc Contoured film with micro-protrusions
ES2720359T3 (es) * 2016-10-20 2019-07-19 Geveko Markings Denmark As Método para aplicar marcas termoplásticas a superficies de carretera
KR20190104024A (ko) * 2016-12-29 2019-09-05 쌩-고벵 글래스 프랑스 헤드업 디스플레이(hud)용 pvb 필름, 그 형성 몰드 및 형성 방법
US20180326696A1 (en) * 2017-05-10 2018-11-15 Kuraray Europe Gmbh Interlayer film with shade band
MX2019014037A (es) 2017-05-24 2020-02-05 Saint Gobain Cristal compuesto y metodo para producir el cristal compuesto.
EP3569408A1 (en) * 2018-05-15 2019-11-20 Kuraray Europe GmbH Interlayer films having asymmetric surface roughness
KR102237613B1 (ko) * 2019-07-23 2021-04-07 에스케이씨 주식회사 접합용 필름 및 이를 포함하는 광투과 적층체
CN112876706B (zh) * 2019-11-29 2023-05-30 长春石油化学股份有限公司 聚合物膜及其应用
CN112876794B (zh) * 2019-11-29 2023-02-28 长春石油化学股份有限公司 聚合物膜及其应用
US11426981B2 (en) 2019-11-29 2022-08-30 Chang Chun Petrochemical Co., Ltd. Polymer film and uses of the same
US11136441B2 (en) 2019-11-29 2021-10-05 Chang Chun Petrochemical Co., Ltd. Polymer film and uses of the same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178812A (ja) * 1993-12-21 1995-07-18 Sekisui Chem Co Ltd 中間膜の製造方法
JPH09508078A (ja) * 1994-01-24 1997-08-19 モンサント・カンパニー 粗い表面を有する中間層
JP2001261385A (ja) * 2000-01-13 2001-09-26 Sekisui Chem Co Ltd 合わせガラス用中間膜
US20040191482A1 (en) * 1999-07-01 2004-09-30 Sekisui Chemical Co., Ltd. Interlayer for laminated glass and laminated glass
JP2007276475A (ja) * 2006-04-03 2007-10-25 Kuraray Europe Gmbh 部分アセタール化されたポリビニルアルコールをベースとするエンボシングされたフィルムの製造方法
JP5277635B2 (ja) * 2006-02-07 2013-08-28 大日本印刷株式会社 エンボス離型シートの原反、エンボス離型シート、エンボス離型シートの原反の製造方法、エンボス離型シートの製造方法、及び合成皮革の製造方法
KR101376061B1 (ko) * 2006-04-03 2014-03-19 쿠라라이 유럽 게엠베하 부분적으로 아세탈화된 폴리비닐 알코올을 기재로 하는, 한 면이 엠보싱된 필름을 갖는 다층 라미네이트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61835A (ja) 1984-08-31 1986-03-29 Sekisui Chem Co Ltd エンボス加工された熱可塑性樹脂シ−トの製造方法
EP0185863B1 (de) 1984-12-24 1989-05-03 Hüls Troisdorf Aktiengesellschaft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Folien, insbesondere auf der Basis von Polyvinylbutyral mit geringer Oberflächenklebrigkeit
IT1272480B (it) 1993-07-21 1997-06-23 Korma S R L Ora Korma S P A Procedimento e apparecchiatura per fabbricare prodotti assorbenti intermedi, prodotti cosi' ottenuti, e articoli assorbenti finiti che impiegano questi prodotti.
US6077374A (en) 1993-08-16 2000-06-20 Monsanto Method of preparing prelaminate using rough-surfaced interlayer
US5972280A (en) 1998-03-23 1999-10-26 Solutia Inc. Pneumatic embossing
US6093471A (en) 1999-02-08 2000-07-25 Solutia Inc. Polyvinyl butyral sheet
AU2001247869B2 (en) 2000-03-29 2006-06-15 E.I. Du Pont De Nemours And Company Interlayers for laminated safety glass with superior de-airing and laminating properties and process for making the same
DE10150091A1 (de) 2001-10-11 2003-04-17 Huels Troisdorf PVB-Folie für Verbundsicherheitsglas und Verbundsicherheitsglas
MXPA05007218A (es) 2003-01-09 2005-11-23 Kuraray Specialities Europe Poliacetales degradados.
DE10331649A1 (de) * 2003-07-12 2005-02-03 Ht Troplast Ag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Folien auf Basis polymerer Materialien mit strukturierter Oberfläche
CN101108532A (zh) * 2006-07-18 2008-01-23 浙江利丰塑胶有限公司 一种制备聚乙烯醇缩丁醛胶片的方法
DE102012209939A1 (de) * 2012-06-13 2013-12-19 Kuraray Europe Gmbh Geprägte Kunststofffolien für Verbundverglasungen
CN107962837A (zh) 2012-08-02 2018-04-27 积水化学工业株式会社 夹层玻璃用中间膜及夹层玻璃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178812A (ja) * 1993-12-21 1995-07-18 Sekisui Chem Co Ltd 中間膜の製造方法
JPH09508078A (ja) * 1994-01-24 1997-08-19 モンサント・カンパニー 粗い表面を有する中間層
KR100256143B1 (ko) * 1994-01-24 2000-05-15 마크 에프. 웍터 거친표면을 갖는 중간층
US20040191482A1 (en) * 1999-07-01 2004-09-30 Sekisui Chemical Co., Ltd. Interlayer for laminated glass and laminated glass
JP2001261385A (ja) * 2000-01-13 2001-09-26 Sekisui Chem Co Ltd 合わせガラス用中間膜
JP5277635B2 (ja) * 2006-02-07 2013-08-28 大日本印刷株式会社 エンボス離型シートの原反、エンボス離型シート、エンボス離型シートの原反の製造方法、エンボス離型シートの製造方法、及び合成皮革の製造方法
JP2007276475A (ja) * 2006-04-03 2007-10-25 Kuraray Europe Gmbh 部分アセタール化されたポリビニルアルコールをベースとするエンボシングされたフィルムの製造方法
KR101376061B1 (ko) * 2006-04-03 2014-03-19 쿠라라이 유럽 게엠베하 부분적으로 아세탈화된 폴리비닐 알코올을 기재로 하는, 한 면이 엠보싱된 필름을 갖는 다층 라미네이트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066518A1 (ko) * 2019-10-04 2021-04-08 에스케이씨 주식회사 유리접합용 필름 및 이를 포함하는 광투과 적층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6660239B (zh) 2020-03-31
EP3186059A1 (en) 2017-07-05
US20170266861A1 (en) 2017-09-21
KR102265817B1 (ko) 2021-06-15
EP3186059B1 (en) 2018-11-28
WO2016030284A1 (en) 2016-03-03
JP2017525597A (ja) 2017-09-07
CN106660239A (zh) 2017-05-10
JP6679571B2 (ja) 2020-04-15
US10363696B2 (en) 2019-07-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65817B1 (ko) 가소화된 폴리비닐 아세탈 기반 엠보싱된 필름들의 제조를 위한 프로세스
KR101372808B1 (ko) 부분적으로 아세탈화된 폴리비닐 알코올 기재의 엠보싱된필름의 제조 방법
KR102515496B1 (ko) 쉐이드 밴드를 갖는 중간층 막
KR101376061B1 (ko) 부분적으로 아세탈화된 폴리비닐 알코올을 기재로 하는, 한 면이 엠보싱된 필름을 갖는 다층 라미네이트
CN107406317B (zh) 夹层玻璃用中间膜和夹层玻璃
KR102237613B1 (ko) 접합용 필름 및 이를 포함하는 광투과 적층체
KR102318573B1 (ko) 접합용 필름 및 이를 포함하는 광투과 적층체
EP3774333B1 (en) Interlayer films having asymmetric surface roughness
KR102281628B1 (ko) 접합용 필름 및 이를 포함하는 광투과 적층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