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45638A - Uav 관제 시스템 및 uav 관제 시스템의 uav 비행 제어 수행 방법 - Google Patents

Uav 관제 시스템 및 uav 관제 시스템의 uav 비행 제어 수행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45638A
KR20170045638A KR1020150145554A KR20150145554A KR20170045638A KR 20170045638 A KR20170045638 A KR 20170045638A KR 1020150145554 A KR1020150145554 A KR 1020150145554A KR 20150145554 A KR20150145554 A KR 20150145554A KR 20170045638 A KR20170045638 A KR 2017004563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av
flight
control system
information
identification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455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08923B1 (ko
Inventor
홍성경
엄성용
Original Assignee
(주)에이알웍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에이알웍스 filed Critical (주)에이알웍스
Priority to KR102015014555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08923B1/ko
Publication of KR2017004563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4563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0892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0892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2/00Security arrangements; Authentication; Protecting privacy or anonymity
    • H04W12/06Authentication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DSYSTEMS FOR CONTROLLING OR REGULATING NON-ELECTRIC VARIABLES
    • G05D1/00Control of position, course, altitude or attitude of land, water, air or space vehicles, e.g. using automatic pilots
    • G05D1/0011Control of position, course, altitude or attitude of land, water, air or space vehicles, e.g. using automatic pilots associated with a remote control arrangement
    • G05D1/0022Control of position, course, altitude or attitude of land, water, air or space vehicles, e.g. using automatic pilots associated with a remote control arrangement characterised by the communication link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5/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aircraft, e.g. air-traffic control [ATC]
    • G08G5/0004Transmission of traffic-related information to or from an aircraft
    • G08G5/0013Transmission of traffic-related information to or from an aircraft with a ground station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5/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aircraft, e.g. air-traffic control [ATC]
    • G08G5/0017Arrangements for implementing traffic-related aircraft activities, e.g. arrangements for generating, displaying, acquiring or managing traffic information
    • G08G5/0026Arrangements for implementing traffic-related aircraft activities, e.g. arrangements for generating, displaying, acquiring or managing traffic information located on the ground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5/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aircraft, e.g. air-traffic control [ATC]
    • G08G5/0047Navigation or guidance aids for a single aircraft
    • G08G5/006Navigation or guidance aids for a single aircraft in accordance with predefined flight zones, e.g. to avoid prohibited zone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5/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aircraft, e.g. air-traffic control [ATC]
    • G08G5/0047Navigation or guidance aids for a single aircraft
    • G08G5/0069Navigation or guidance aids for a single aircraft specially adapted for an unmanned aircraft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5/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aircraft, e.g. air-traffic control [ATC]
    • G08G5/0073Surveillance aids
    • G08G5/0082Surveillance aids for monitoring traffic from a ground st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KSECRET COMMUNICATION; JAMMING OF COMMUNICATION
    • H04K2203/00Jamming of communication; Countermeasures
    • H04K2203/10Jamming or countermeasure used for a particular application
    • H04K2203/22Jamming or countermeasure used for a particular application for communication related to vehicl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KSECRET COMMUNICATION; JAMMING OF COMMUNICATION
    • H04K3/00Jamming of communication; Counter-measures
    • H04K3/80Jamming or countermeasure characterized by its function
    • H04K3/92Jamming or countermeasure characterized by its function related to allowing or preventing remote contro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2/00Security arrangements; Authentication; Protecting privacy or anonymity
    • H04W12/60Context-dependent security
    • H04W12/69Identity-dependent
    • H04W12/72Subscriber identit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ntrol Of Position, Course, Altitude, Or Attitude Of Moving Bod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UAV 관제 시스템 및 UAV 관제 시스템의 UAV 비행 제어 수행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드론(drone)과 같은 UAV(unmanned aerial vehicle)에 부착되어 UAV를 식별하게 하는 장치와 통신하며 UAV의 비행을 제어하는 관제 시스템 그 관제 시스템의 UAV 비행 제어 수행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UAV를 사용할 때 그 운항에 대하여 공적 관제 시스템을 통하여 적절한 제한을 가할 뿐 아니라, 또한 UAV의 운항에 필요한 다양하고 유용한 정보의 제공을 통해 사용자로 하여금 안전하고 유용한 UAV의 활용을 할 수 있도록 한다.

Description

UAV 관제 시스템 및 UAV 관제 시스템의 UAV 비행 제어 수행 방법{UAV CONTROL SYSTEM AND FLIGHT-CONTROL METHOD OF UAV CONTROL SYSTEM}
본 발명은 UAV 관제 시스템 및 UAV 관제 시스템의 UAV 비행 제어 수행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드론(drone)과 같은 UAV(unmanned aerial vehicle)에 부착되어 UAV를 식별하게 하는 장치와 통신하며 UAV의 비행을 제어하는 관제 시스템 그 관제 시스템의 UAV 비행 제어 수행 방법에 관한 것이다.
무인비행기(unmanned aerial vehicle, UAV), 일례로서 드론(drone)을 개인적으로 사용하는 사용자가 늘어가는 추세에 있다. 직접 가기 어려운 상공에서의 카메라 촬영 등, UAV는 일반 사용자가 흥미를 가질 많은 용도를 가지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UAV가 통제되지 않고 사용되는 경우, 안전 문제, 보안 문제 등의 다양한 문제점을 일으킬 소지가 많으나, 지금까지 그에 대한 대안이나 개시된 기술은 거의 없는 실정이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서, 본 발명에 의하면, UAV를 사용할 때 그 운항에 대하여 공적 관제 시스템을 통하여 적절한 제한을 가할 뿐 아니라, 또한 UAV의 운항에 필요한 다양하고 유용한 정보의 제공을 통해 사용자로 하여금 안전하고 유용한 UAV의 활용을 할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UAV(unmanned aerial vehicle)의 비행과 관련한 제어 및 관리를 수행하는 UAV 관제 시스템은, UAV 식별장치의 인증을 수행하는 인증모듈; UAV에 부착된 UAV 식별장치로부터, 상기 UAV의 비행 개시 신고 메시지 및 상기 UAV의 비행 위치 및 비행 고도를 포함하는 비행 정보를 수신하는 비행 정보 수신모듈; 상기 UAV의 비행 고도 또는 비행 위치가 비행 제한 범위에 해당하는지 여부를 체크하는 비행 감시모듈; 상기 수신한 UAV의 위치 및 고도 정보로부터, 상기 UAV가 비행 지역의 고도 제한을 위반한 것으로 판단된 경우, 상기 UAV 식별장치로 비행 제한 명령을 송신하는 비행 제어모듈; UAV 소유자 정보를 저장하는 UAV 소유자 데이터베이스; 및 UAV 관제 시스템의 상기 각 모듈을 제어하여 UAV의 비행 제어 및 관리에 관련된 일련의 처리를 수행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상기 UAV 관제 시스템은, 상기 UAV의 비행 개시시의 위치에서의 비행 고도제한을 포함하는 비행 정보를, 상기 UAV 식별장치 소유자의 이동 단말로 송신하는 비행 정보 제공모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비행 정보 제공모듈은, 상기 UAV 식별장치로부터, 상기 UAV 식별장치 배터리 잔량이 기 설정된 기준량 이하임을 알리는 메시지를 수신한 경우, 상기 UAV 소유자의 이동 단말로 경고 메시지를 송신하는 기능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UAV 관제 시스템은, 비행 제한 지역 정보, 지역별 비행 제한 고도 정보를 포함하는 비행 제한 정보를 저장하는 비행 제한 정보 데이터베이스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UAV 관제 시스템은, UAV 운항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홈페이지를 제공하는 홈페이지 제공모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홈페이지 제공모듈이 제공하는 홈페이지는, UAV 소유자로 하여금 UAV 운항 신고를 할 수 있는 페이지 및, UAV 운항 및 운항 제한과 관련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UAV(unmanned aerial vehicle) 관제 시스템이 UAV의 비행 제어를 수행하는 방법은, (a) UAV의 비행 개시시, 상기 UAV에 부착된 UAV 식별장치로부터 상기 UAV 식별장치의 식별코드 및 상기 UAV의 현재 위치정보를 포함하여 상기 UAV의 비행 개시 신고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 (b) 상기 UAV 식별장치의 인증을 수행하는 단계; (c) 상기 UAV의 비행 중, 상기 UAV 식별장치로부터 상기 UAV의 위치 및 고도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d) 상기 수신한 UAV의 위치 및 고도 정보로부터, 상기 UAV가 비행 지역의 고도 제한을 위반한 것으로 판단된 경우, 상기 UAV 식별장치로 비행 제한 명령을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단계(a) 이후, (a1) 상기 UAV의 비행 개시시의 위치에서의 비행 고도제한을 포함하는 비행 정보를, 상기 UAV 식별장치 소유자의 이동 단말로 송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UAV 관제 시스템의 UAV 비행 제어 수행 방법은, (e) 상기 UAV 식별장치로부터, 상기 UAV 식별장치 배터리 잔량이 기 설정된 기준량 이하임을 알리는 메시지를 수신한 경우, 상기 UAV 소유자의 이동 단말로 경고 메시지를 송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UAV 관제 시스템의 UAV 비행 제어 수행 방법은, (a0) UAV 운항 신고 또는 UAV 운항 정보 제공을 위한 홈페이지를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UAV 관제 시스템의 UAV 비행 제어 수행 방법은, (f) UAV의 착륙 또는 추락시 UAV 식별장치(300)로부터 착륙 또는 추락한 위치의 위치정보를 수신한 경우, UAV 관제 시스템(100)의 UAV 소유자의 이동 단말(20)로 착륙 또는 추락한 위치 정보를 송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본 발명에 의하면, UAV를 사용할 때 그 운항에 대하여 공적 관제 시스템을 통하여 적절한 제한을 가할 뿐 아니라, 또한 UAV의 운항에 필요한 다양하고 유용한 정보의 제공을 통해 사용자로 하여금 안전하고 유용한 UAV의 활용을 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UAV 비행 제어를 수행하기 위한 네트워크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UAV 비행 제어 방법이 수행되는 시퀀스 다이어그램.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UAV 식별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UAV 관제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UAV 비행 제어를 수행하기 위한 네트워크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UAV(unmanned aerial vehicle) 식별장치(200)는, UAV 원격제어장치(310)의 제어를 받는 UAV(300)에 부착되어 UAV 관제 시스템(100)으로 하여금 UAV를 식별하고, 그 고도 또는 지역 등의 비행 제한을 감시할 수 있도록 한다. UAV 식별장치(200)와 UAV 관제 시스템(100)은 LTE 등의 이동통신망에 의해 연결되어 무선통신을 수행하며 각종 제어 메시지를 송수신한다. UAV 관제 시스템(100)은 인터넷 홈페이지를 통하여 UAV 소유자의 이동단말(20)이나 PC(30)에 UAV 운항 및 운항 제한 등과 같은 각종 정보를 제공하고, 인터넷 홈페이지를 통하여 운항전 사전 신고를 받을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UAV 비행 제어 방법 및 UAV 식별장치(200)와 UAV 관제 시스템(100)의 구성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UAV 비행 제어 방법이 수행되는 시퀀스 다이어그램이다.
UAV 관제 시스템은 UAV 운항 신고 또는 UAV 운항 정보 제공을 위한 홈페이지를 제공한다(S201). 이러한 홈페이지는 UAV 소유자의 컴퓨터(30) 또는 스마트폰 등의 UAV 소유자의 인터넷이 가능한 이동 단말(20)에서 접속할 수 있다. UAV를 운항시키려는 UAV 소유자는 사전에 자신의 컴퓨터(30) 또는 이동 단말(20)에서 상기 홈페이지에 접속하여 UAV 운항 신고를 할 수 있다(S202).
이후, UAV의 비행 개시하는 시점에서 UAV(300)에 부착된 UAV 식별장치(200)는, UAV 식별장치(200)의 식별코드 및 상기 UAV의 현재 위치정보를 포함하여 상기 UAV(300)의 비행 개시 신고 메시지를 UAV 관제 시스템(100)으로 송신한다(S203). 이러한 UAV 식별장치(200)의 비행 개시 신고 메시지를 수신한 UAV 관제 시스템(100)은, 상기 UAV(300)의 비행 개시시의 위치에서의 비행 고도제한을 포함하는 비행 정보를, 상기 UAV 식별장치(200) 소유자의 이동 단말(20)로 송신한다(S204).
이때 UAV 관제 시스템(100)은 상기 UAV 식별장치(200)의 인증을 수행한다(S205). 인증을 통과한 UAV(300)는 비행을 시작하게 된다. 비행 중에 UAV 식별장치(200)는 UAV 식별장치(200)의 배터리 잔량을 지속적으로 체크(S206)하는 기능을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배터리 잔량이 기 설정된 기준량 이하인 것으로 판단한 경우, UAV 소유자의 이동 단말(20)로 경고 메시지를 문자메시지 등의 형태로 직접 송신하거나(S207), 또는 UAV 관제 시스템(100)으로 배터리가 기준량 이하임을 알리는 메시지를 송신할 수도 있다(S207). UAV 관제 시스템(100)이 UAV 식별장치(200)로부터 UAV 식별장치(200)의 배터리 잔량이 기 설정된 기준량 이하임을 알리는 메시지를 수신한 경우, 상기 UAV 소유자의 이동 단말(20)로 배터리 잔량이 부족함에 대한 경고 메시지를 문자메시지 등의 형태로 송신할 수 있다(S208).
한편, 상기 UAV(300)의 비행 중, UAV 식별장치(200)는 UAV(300)의 비행 고도 및 비행 위치를, 고도계 등의 장치와 GPS 모듈에 의해 지속적으로 체크한다. 이와 같이 체크한 비행 고도와 비행중인 위치 정보를, UAV 식별장치(200)가 UAV 관제 시스템(100)으로 지속적으로 송신한다(S209). 이와 같이 UAV 식별장치(200)로부터 UAV(300)의 위치 및 고도 정보를 수신한 UAV 관제 시스템(100)은, UAV(300)가 비행 제한 영역을 비행중인지 여부를 체크한다(S210). 즉, 비행 제한 구역으로 설정된 지역을 비행중이거나, 비행 제한 고도 이상으로 비행중인 경우 등이 그 예에 해당한다. 또한 나아가 지역마다 비행 제한 고도가 다를 수도 있으며, 이 경우 지역에 따른 비행 제한 고도를 체크하여 UAV(300)의 비행을 감시하게 된다. 이를 위해 UAV 관제 시스템(100)은 도 4를 참조하여 후술하는 바와 같이 비행 제한정보 데이터베이스(190)를 구비한다.
UAV(300)가 비행 제한 영역을 위반하여 비행 중임이 판명된 경우, UAV 관제 시스템(100)은 UAV 식별장치(200)로 UAV 비행제한 명령을 송신할 수 있다(S211). 예를 들어 제한 고도를 한번 넘은 경우에 바로 UAV 식별장치(200)로 UAV 비행제한 명령을 송신할 수도 있지만, 일정 횟수 이상 위반한 경우, 또는 일정 시간 이상 계속 위반 중인 경우 등으로 다양하게 그 기준을 정하여 UAV 비행제한 명령을 송신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비행 고도 제한 또는 비행 지역 제한 범위를 위반하여 UAV 관제 시스템(100)으로부터 비행 제한 명령을 수신한 경우 UAV 식별장치(200)는, UAV(300)로 하여금 UAV 소유자의 원격제어장치(310)에 의한 비행 원격 제어를 받지 못하도록, UAV(300)에 방해 전파를 발생시킬 수 있다(S212). 즉, 이와 같이 원격제어를 받지 못함으로 말미암아, UAV가 현재 그 위치에 머물러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또는 UAV 관제 시스템(100)으로부터 비행 제한 명령을 수신한 경우 UAV 식별장치(200)는, UAV 소유자의 이동 단말(20)로 그와 같은 비행 제한 명령을 받았음을 통지하여(S213), 원격제어에 의해 UAV(300)가 고도 또는 위치를 변경하도록 할 수 있다.
경우에 따라 비행 제한 명령을 수신하여 UAV 식별장치(200)가 방해 전파를 발생시킨 경우, UAV(300) 그 자리에 머물러 있지 않고 원격제어를 받지 못하는 상태로 비행을 지속하는 사례가 있을 수 있다. 이때 UAV(300)는 잠시 비행을 지속하다가 추락하게 되는데, 이와 같은 UAV의 착륙 또는 예기치 못한 추락의 경우에 UAV 소유자에게 UAV(300)의 위치를 알려줄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하여 UAV(300)의 착륙 또는 추락시에 UAV 식별장치(300)로 하여금 이를 감지하여 UAV 관제 시스템(100)으로 추락한 위치의 위치정보를 송신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S214). 이 경우 UAV 관제 시스템(100)의 UAV 소유자의 이동 단말(20)로 착륙 또는 추락한 위치 정보를 문자메시지 또는 지도 등의 MMS 형태 등으로 송신해 줄 수 있다(S215).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UAV 식별장치(200)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UAV 비행 제어 방법 수행시의 UAV 식별장치(200)의 작용에 관해서는 도 2를 참조하여 이미 상세히 설명한 바 있으므로, 이하에서는 그와 같은 작용을 수행하는 UAV 식별장치(200) 각 구성모듈의 기능을 중심으로 간략히 기술하기로 한다.
제어부(210)는 UAV(300)의 비행시 UAV 관제 시스템(100)으로부터 통제를 받기 위한 메시지의 송수신 및 통제에 따른 처리에 관련된 일련의 과정을 제어한다. 즉 비행 개시 신고, 인증 과정, 비행중 고도 및 위치 정보 제공, 비행 제한 명령 수신시 처리, 착륙 또는 추락시 메시지 송신, 배터리 체크 등의 일련의 기능 수행시 수행 과정의 제어를 담당한다.
가입자 식별모듈(220)은 이동통신망에서 상기 UAV 식별장치의 그 가입자를 식별할 수 있는 정보를 포함한다. 가입자 식별모듈은 SIM(subscriber identification module) 카드와 같이, 상기 UAV 식별장치의 슬롯에 삽입가능한 형태로 구성될 수도 있으며, 이동통신망과 연결될 때의 가입자 정보를 제공할 뿐 아니라 UAV 관제 시스템(100)에서도 그 가입자 식별모듈(220)의 정보를 식별코드로 사용할 수도 있다.
무선통신모듈(230)은 제어부(210)의 제어에 따라 상기 UAV의 비행 개시 신고 메시지, 비행 중 현재 위치 및 고도 정보 등을 상기 UAV 관제 시스템(100)으로 송신하고, 상기 UAV 관제 시스템(100)으로부터 상기 UAV의 비행 통제에 관련된 메시지를 수신한다. 또한 무선통신모듈(230)은, 상기 UAV 관제 시스템(100)으로부터 비행 제한 명령을 수신한 경우, 상기 UAV 소유자의 이동 단말로 비행 제한 명령을 수신하였음을 통지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도 있다. 물론 이와 같이 상기 UAV 관제 시스템(100)으로부터 비행 제한 명령을 수신한 경우, 아래에서 기술하는 바와 같은 방해 전파 발생모듈(260)에 의해 방해 전파를 발생시키는 방법을 채택할 수도 있다.
GPS 모듈(240)은 상기 UAV의 현재 위치를 파악하기 위한 모듈이고, 고도 측정모듈(250)은 상기 UAV의 고도를 측정하기 위한 모듈이다. 이러한 위치 정보, 고도 정보 등은, 전술한 바와 같이 비행 중 현재 위치 및 고도 정보 등의 UAV 관제 시스템(100)으로 송신에 사용된다.
방해 전파 발생모듈(260)은 상기 UAV 관제 시스템(100)으로부터 비행 제한 명령을 수신한 경우, 상기 UAV가 원격 제어를 받지 못하도록 상기 UAV에 방해 전파를 발생시키는 역할을 수행한다.
배터리 체크모듈(270)은 상기 UAV 식별장치의 배터리 잔량이 기 설정된 기준량 이하인지 여부를 체크하며, 상기 배터리 체크모듈(270)이 배터리 잔량이 기 설정된 기준량 이하인 것으로 판단한 경우 상기 무선통신모듈(230)은, 상기 UAV 관제 시스템 또는 상기 UAV 소유자의 이동 단말로 경고메시지를 송신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UAV 관제 시스템(100)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UAV 비행 제어 방법 수행시의 UAV 관제 시스템(100)의 작용에 관해서는 도 2를 참조하여 이미 상세히 설명한 바 있으므로, 이하에서는 그와 같은 작용을 수행하는 UAV 관제 시스템(100)의 각 구성모듈의 기능을 중심으로 간략히 기술하기로 한다.
제어부(110)는 UAV 관제 시스템(100)의 이하 각 모듈을 제어하여 UAV(300)의 비행 제어 및 관리에 관련된 일련의 처리를 수행한다.
인증모듈(120)은 UAV 식별장치(200)의 인증을 수행한다. 즉 UAV(300)가 비행을 개시하여 신고 메시지를 보내온 경우 이러한 인증을 수행할 수 있다. 인증을 위해서는 UAV 식별장치(200)의 가입자 식별모듈(220)의 정보가 ID로서 사용될 수 있다.
비행 정보 수신모듈(130)은 UAV(300)에 부착된 UAV 식별장치(200)로부터, UAV(300)의 비행 개시 신고 메시지 및 상기 UAV(300)의 비행 위치 및 비행 고도를 포함하는 비행 정보를 수신한다.
비행 감시모듈(140)은 UAV 식별장치(200)가 지속적으로 보내오는 UAV(300)의 비행 고도 또는 비행 위치가 비행 제한 범위에 해당하는지 여부를 체크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비행 제어모듈(150)은 UAV 식별장치(200)로부터 수신한 UAV(300)의 위치 및 고도 정보로부터, 상기 UAV가 비행 지역의 고도 제한을 위반한 것으로 판단된 경우, UAV 식별장치(200)로 비행 제한 명령을 송신하여, UAV(300)의 비행을 제한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비행 정보 제공모듈(160)은 UAV(300)의 비행 개시시, UAV 식별장치(200)의 비행 신고 메시지를 수신한 경우에 비행 개시 위치에서의 비행 고도제한을 포함하는 비행 정보를, 상기 UAV 식별장치(200) 소유자의 이동 단말(20)로 송신한다. 또한 상기 비행 정보 제공모듈(160)은 상기 UAV 식별장치(200)로부터, 상기 UAV 식별장치 배터리 잔량이 기 설정된 기준량 이하임을 알리는 메시지를 수신한 경우, 상기 UAV 소유자의 이동 단말로 경고 메시지를 송신하는 기능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홈페이지 제공모듈(170)은 UAV 운항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홈페이지를 제공하며, 홈페이지는 이동 단말 또는 PC에서 인터넷으로 접속가능하다. 홈페이지 제공모듈(170)이 제공하는 홈페이지는, UAV 소유자로 하여금 UAV 운항 전에 미리 운항 신고를 할 수 있는 페이지를 제공할 수도 있으며, UAV 운항 및 운항 제한과 관련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즉 비행이 금지되는 지역, 지역별 고도 제한, UAV가 착륙 또는 추락한 위치를 UAV 소유자의 이동 단말(20)로 제공, 전국 UAV의 운행 실시간 현황, 주요 감시영역 알람 기능 등 다양한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UAV 소유자 데이터베이스(180)는 UAV 소유자 정보를 저장하며, 비행 제한 정보 데이터베이스(190)는 비행 제한 지역 정보, 지역별 비행 제한 고도 정보를 포함하는 비행 제한 정보를 저장한다.
10: 인공위성
20: UAV 소유자 이동 단말
30: UAV 소유자 PC
100: UAV 관제 시스템
200: UAV 식별장치
300: UAV
310: UAV 원격제어장치
400: 이동통신망
410: 이동통신사 기지국

Claims (11)

  1. UAV(unmanned aerial vehicle)의 비행과 관련한 제어 및 관리를 수행하는 UAV 관제 시스템으로서,
    UAV 식별장치의 인증을 수행하는 인증모듈;
    UAV에 부착된 UAV 식별장치로부터, 상기 UAV의 비행 개시 신고 메시지 및 상기 UAV의 비행 위치 및 비행 고도를 포함하는 비행 정보를 수신하는 비행 정보 수신모듈;
    상기 UAV의 비행 고도 또는 비행 위치가 비행 제한 범위에 해당하는지 여부를 체크하는 비행 감시모듈;
    상기 수신한 UAV의 위치 및 고도 정보로부터, 상기 UAV가 비행 지역의 고도 제한을 위반한 것으로 판단된 경우, 상기 UAV 식별장치로 비행 제한 명령을 송신하는 비행 제어모듈;
    UAV 소유자 정보를 저장하는 UAV 소유자 데이터베이스; 및
    UAV 관제 시스템의 상기 각 모듈을 제어하여 UAV의 비행 제어 및 관리에 관련된 일련의 처리를 수행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는 UAV 관제 시스템.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UAV의 비행 개시시의 위치에서의 비행 고도제한을 포함하는 비행 정보를, 상기 UAV 식별장치 소유자의 이동 단말로 송신하는 비행 정보 제공모듈
    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UAV 관제 시스템.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비행 정보 제공모듈은,
    상기 UAV 식별장치로부터, 상기 UAV 식별장치 배터리 잔량이 기 설정된 기준량 이하임을 알리는 메시지를 수신한 경우, 상기 UAV 소유자의 이동 단말로 경고 메시지를 송신하는 기능
    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UAV 관제 시스템.
  4. 청구항 1에 있어서,
    비행 제한 지역 정보, 지역별 비행 제한 고도 정보를 포함하는 비행 제한 정보를 저장하는 비행 제한 정보 데이터베이스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UAV 관제 시스템.
  5. 청구항 1에 있어서,
    UAV 운항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홈페이지를 제공하는 홈페이지 제공모듈
    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UAV 관제 시스템.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홈페이지 제공모듈이 제공하는 홈페이지는,
    UAV 소유자로 하여금 UAV 운항 신고를 할 수 있는 페이지 및,
    UAV 운항 및 운항 제한과 관련된 정보를 제공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UAV 관제 시스템.
  7. UAV(unmanned aerial vehicle) 관제 시스템이 UAV의 비행 제어를 수행하는 방법으로서,
    (a) UAV의 비행 개시시, 상기 UAV에 부착된 UAV 식별장치로부터 상기 UAV 식별장치의 식별코드 및 상기 UAV의 현재 위치정보를 포함하여 상기 UAV의 비행 개시 신고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
    (b) 상기 UAV 식별장치의 인증을 수행하는 단계;
    (c) 상기 UAV의 비행 중, 상기 UAV 식별장치로부터 상기 UAV의 위치 및 고도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d) 상기 수신한 UAV의 위치 및 고도 정보로부터, 상기 UAV가 비행 지역의 고도 제한을 위반한 것으로 판단된 경우, 상기 UAV 식별장치로 비행 제한 명령을 송신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UAV 관제 시스템의 UAV 비행 제어 수행 방법.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단계(a) 이후,
    (a1) 상기 UAV의 비행 개시시의 위치에서의 비행 고도제한을 포함하는 비행 정보를, 상기 UAV 식별장치 소유자의 이동 단말로 송신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UAV 관제 시스템의 UAV 비행 제어 수행 방법.
  9. 청구항 7에 있어서,
    (e) 상기 UAV 식별장치로부터, 상기 UAV 식별장치 배터리 잔량이 기 설정된 기준량 이하임을 알리는 메시지를 수신한 경우, 상기 UAV 소유자의 이동 단말로 경고 메시지를 송신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UAV 관제 시스템의 UAV 비행 제어 수행 방법.
  10. 청구항 7에 있어서,
    (a0) UAV 운항 신고 또는 UAV 운항 정보 제공을 위한 홈페이지를 제공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UAV 관제 시스템의 UAV 비행 제어 수행 방법.
  11. 청구항 7에 있어서,
    (f) UAV의 착륙 또는 추락시 UAV 식별장치(300)로부터 착륙 또는 추락한 위치의 위치정보를 수신한 경우, UAV 관제 시스템(100)의 UAV 소유자의 이동 단말(20)로 착륙 또는 추락한 위치 정보를 송신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UAV 관제 시스템의 UAV 비행 제어 수행 방법.

KR1020150145554A 2015-10-19 2015-10-19 Uav 관제 시스템 및 uav 관제 시스템의 uav 비행 제어 수행 방법 KR10190892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45554A KR101908923B1 (ko) 2015-10-19 2015-10-19 Uav 관제 시스템 및 uav 관제 시스템의 uav 비행 제어 수행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45554A KR101908923B1 (ko) 2015-10-19 2015-10-19 Uav 관제 시스템 및 uav 관제 시스템의 uav 비행 제어 수행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45638A true KR20170045638A (ko) 2017-04-27
KR101908923B1 KR101908923B1 (ko) 2018-10-17

Family

ID=587028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45554A KR101908923B1 (ko) 2015-10-19 2015-10-19 Uav 관제 시스템 및 uav 관제 시스템의 uav 비행 제어 수행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08923B1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426153A (zh) * 2017-04-13 2017-12-01 北京福瑞航行科技有限公司 一种基于app控制端的无人机远程网络认证机制及认证方法
KR20190068050A (ko) * 2017-12-08 2019-06-18 주식회사 레드로터 무인항공기 관제 방법 및 시스템
WO2020034748A1 (zh) * 2018-08-16 2020-02-20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基于移动网络的无人机监管方法及装置
KR20200051436A (ko) * 2018-11-05 2020-05-13 (주)파슨텍 드론을 관제하는 서버,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
KR20210081995A (ko) * 2019-12-24 2021-07-02 에이미파이(주) 무인 비행체에서 발생되는 소리를 이용하여 비행관련 상태를 파악하기 위한 방법과 그 방법을 위한 장치
CN115903848A (zh) * 2022-12-26 2023-04-04 浙江大学 一种无人设备的控制系统及无人设备的控制方法
US11678294B2 (en) * 2017-09-26 2023-06-13 Kddi Corporation Operation management method, operation management device, and operation management program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32489B1 (ko) * 2019-09-11 2021-03-26 주식회사 헥사팩토리 드론의 안전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102396773B1 (ko) * 2021-11-12 2022-05-12 주식회사 스마티 무인 비행체 식별 시스템 및 그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082775A (ja) * 2004-09-17 2006-03-30 Hiroboo Kk 無人飛行体制御システム及び方法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426153A (zh) * 2017-04-13 2017-12-01 北京福瑞航行科技有限公司 一种基于app控制端的无人机远程网络认证机制及认证方法
CN107426153B (zh) * 2017-04-13 2020-07-03 北京福瑞航行科技有限公司 一种基于app控制端的无人机远程网络认证系统及认证方法
US11678294B2 (en) * 2017-09-26 2023-06-13 Kddi Corporation Operation management method, operation management device, and operation management program
KR20190068050A (ko) * 2017-12-08 2019-06-18 주식회사 레드로터 무인항공기 관제 방법 및 시스템
WO2020034748A1 (zh) * 2018-08-16 2020-02-20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基于移动网络的无人机监管方法及装置
KR20200051436A (ko) * 2018-11-05 2020-05-13 (주)파슨텍 드론을 관제하는 서버,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
KR20210081995A (ko) * 2019-12-24 2021-07-02 에이미파이(주) 무인 비행체에서 발생되는 소리를 이용하여 비행관련 상태를 파악하기 위한 방법과 그 방법을 위한 장치
CN115903848A (zh) * 2022-12-26 2023-04-04 浙江大学 一种无人设备的控制系统及无人设备的控制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08923B1 (ko) 2018-10-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08923B1 (ko) Uav 관제 시스템 및 uav 관제 시스템의 uav 비행 제어 수행 방법
CN108291952B (zh) 无人机及其飞行状态的监管方法与监控系统
KR101780479B1 (ko) 드론의 항공관제 시스템 및 그 방법
CN101192350B (zh) 主动发射三维立体飞行信息的飞机防撞及导航系统和方法
US20150312740A1 (en) Information Sending Method, Network Device, and Terminal
CN105139693A (zh) 无人机监控方法及无人机管理平台
CN105761550A (zh) 无人机空中运行的安全管控方法、无人机和服务器
KR101882418B1 (ko) 블랙박스를 구비한 무인비행기의 관제 시스템
US11106222B2 (en) Method for detecting positioning apparatus of unmanned aerial vehicle, and unmanned aerial vehicle
CN111052493B (zh) 电池组、控制装置、控制方法以及贮存器件
CN110838245A (zh) 一种基于移动网络的无人机监管方法及装置
WO2021210736A1 (ko) 비행체를 위한 비행 통제 및 이력 기록 장치, 이를 포함한 비행체용 블랙박스 시스템 및 개인용 항공 이동 장치, 및 비행체를 위한 클라우드 비행 기록 관제관제 서버
KR101698070B1 (ko) Uav 식별장치 및 uav 식별장치의 비행 제어 수행 방법
CN107979405A (zh) 用于卫星通信设备的无线软件拨号器
CN108288334A (zh) 一种无人机防盗系统
CN112700617A (zh) 飞行器预警方法、装置、电子设备及可读存储介质
KR20180120369A (ko) 드론 비행 예약 관제 시스템
CN111213105B (zh) 飞行处理方法及控制设备、无人机、服务器、智能终端
CN109155667B (zh) 无人机的无线合规实现方法、无人机、终端设备及系统
Boselli et al. Geo-fencing to secure airport perimeter against sUAS
CN111596685B (zh) 无人机控制方法、装置、电子设备、服务器及存储介质
EP3854684A1 (en) Unmanned aircraft operating control system and method
US10140877B2 (en) Collision avoidance systems
CN113260570B (zh) 用于核验飞行器上设备存在的方法和相关装置
CN109741637B (zh) 无人机监管方法、装置、存储介质和电子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