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82418B1 - 블랙박스를 구비한 무인비행기의 관제 시스템 - Google Patents

블랙박스를 구비한 무인비행기의 관제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82418B1
KR101882418B1 KR1020160130864A KR20160130864A KR101882418B1 KR 101882418 B1 KR101882418 B1 KR 101882418B1 KR 1020160130864 A KR1020160130864 A KR 1020160130864A KR 20160130864 A KR20160130864 A KR 20160130864A KR 101882418 B1 KR101882418 B1 KR 10188241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manned airplane
black box
flight
uav
opera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308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39496A (ko
Inventor
엄성용
서연곤
박지현
한선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블루젠드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블루젠드론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블루젠드론
Priority to KR102016013086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82418B1/ko
Publication of KR2018003949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3949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8241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8241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5/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aircraft, e.g. air-traffic control [ATC]
    • G08G5/0043Traffic management of multiple aircrafts from the groun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CAEROPLANES; HELICOPTERS
    • B64C39/00Aircraf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4C39/02Aircraft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special use
    • B64C39/024Aircraft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special use of the remote controlled vehicle type, i.e. RPV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5/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aircraft, e.g. air-traffic control [ATC]
    • G08G5/0047Navigation or guidance aids for a single aircraft
    • G08G5/0069Navigation or guidance aids for a single aircraft specially adapted for an unmanned aircraf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70Services for machine-to-machine communication [M2M] or machine type communication [MTC]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DEQUIPMENT FOR FITTING IN OR TO AIRCRAFT; FLIGHT SUITS; PARACHUT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OWER PLANTS OR PROPULSION TRANSMISSIONS IN AIRCRAFT
    • B64D45/00Aircraft indicators or protecto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4D2045/0065Black boxes, devices automatically broadcasting distress signals
    • B64D2700/62289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UUNMANNED AERIAL VEHICLES [UAV]; EQUIPMENT THEREFOR
    • B64U2201/00UAVs characterised by their flight controls
    • B64U2201/20Remote contro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Control Of Position, Course, Altitude, Or Attitude Of Moving Bod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무인비행기 식별 장치는, 무인비행기에 부착되어 무인비행기 관제시스템과 통신하며, 무인비행기를 사용할 때 무인비행기의 비행에 대하여 기록을 남기고, 필요 시 무인비행기의 비행에 대하여 관제시스템을 통하여 적절한 통제가 이루어지도록 하며, 무인비행기의 비행에 필요한 다양하고 유용한 정보 제공을 통해 사용자가 안전하고 유용하게 무인비행기를 활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블랙박스를 구비한 무인비행기의 관제 시스템{UAS Monitoring and Control system having Black Box}
본 발명은 블랙박스를 구비한 무인비행기의 관제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드론(drone)과 같은 무인비행기(unmanned aerial vehicle)에 부착되어, 무인비행기를 사용할 때 그 비행에 대하여 기록을 남기고, 필요 시 적절한 통제를 가하며, 무인비행기의 비행에 필요한 다양하고 유용한 정보 제공을 통해 사용자가 안전하고 유용하게 무인비행기를 활용할 수 있도록 하는 블랙박스를 구비한 무인비행기의 관제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무인비행기(unmanned aerial vehicle, UAS)의 일례로써 드론(drone)은 최초에 군사용으로 개발되었으나, 운반 및 보관이 편리하며 조작이 용이한 이점을 가지고 있어 근래에는 텔레비전 방송 등을 위한 직접 가기 어려운 상공에서의 카메라 촬영 용도로 널리 활용되고 있다.
최근에는 드론을 이용하여 무인 배달 서비스 시스템을 구축함으로써, 사람의 간섭을 최소화하여 물건 배송이 가능하며, 송/수신자와 드론 간의 상호 인증을 통해 안전한 무인배달 서비스를 제공하는 기술도 등장하는 등 사용자가 흥미를 가질 많은 용도를 가지고 있으므로, 개인적 및 상업적으로 사용하는 사용자가 늘어가는 추세에 있다.
그러나 이러한 무인비행기가 통제되지 않고 사용되는 경우,안전 문제, 보안 문제 등의 다양한 문제점을 일으킬 소지가 많으며, 지금까지 이에 대한 대안이 제시된 기술은 거의 없는 실정이다 .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제10-1638500호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무인비행기를 사용할 때 무인비행기의 비행에 대하여 기록을 남기고, 필요 시 무인비행기의 비행에 대하여 관제시스템을 통하여 적절한 통제를 가하며, 무인비행기의 비행에 필요한 다양하고 유용한 정보 제공을 통해 사용자가 안전하고 유용하게 무인비행기를 활용할 수 있도록 하는 블랙박스를 구비한 무인비행기의 관제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블랙박스를 구비한 무인비행기의 관제 시스템은 무인비행기의 관제시스템과 통신하는 블랙박스가 무인비행기에 장착되어 구비되며, 무인비행기가 활용될 때 무인비행기의 비행에 대한 기록이 상기 블랙박스에 남겨지도록 하고, 필요 시 무인비행기의 비행이 관제시스템을 통하여 통제가 이루어지며, 무인비행기 운용자에게는 무인비행기의 비행에 필요한 정보를 운용자의 단말기로 제공함으로써 무인비행기 운용자가 안전하고 유용하게 무인비행기를 활용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블랙박스는 무인비행기의 위치를 파악하기 위한 GPS 모듈; 무인비행기의 자세를 감지하기 위한 관성측정모듈; 무인비행기의 고도를 측정하기 위한 고도측정모듈; 임의의 전자장을 발생시키는 전자장 발생부; 임의의 방해 전파를 발생시키는 방해전파 출력부; 무인비행기의 위치정보, 자세정보 및 고도 정보를 관제시스템으로 송신하고,관제시스템으로부터 무인비행기의 비행 통제에 관련된 작동 명령을 수신하는 무선통신모듈 및 무인비행기의 비행 시 관제시스템으로부터 통제를 받기 위한 작동 명령의 송/수신 및 통제에 따른 처리에 관련된 일련의 과정을 제어하는 박스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블랙박스는 무인비행기의 안전장치가 작동되도록 구동신호를 출력하는 안전장치 구동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운용자의 단말기에는 상기 무인비행기의 블랙박스와 무선 데이터 통신이 직접 이루어지는 블랙박스 수신기가 장착될 수 있다.
상기 무인비행기 블랙박스의 고유식별 코드는 블랙박스 수신기가 장착된 운용자의 단말기 정보에 해당할 수 있다.
상기 무인비행기의 블랙박스와 운용자의 단말기는 ISM 밴드 대역에서의 무선 통신이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무인비행기의 블랙박스와 운용자의 단말기는 하나의 무선통신망에 접속 후 중계되는 방식으로 서로 무선 통신이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무인비행기 블랙박스의 고유식별 코드는 상기 무선통신망에 가입된 가입 정보에 해당할 수 있다.
상기 무선통신망은 이동통신망 또는 근거리 무선통신망을 포함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블랙박스를 구비한 무인비행기의 관제 시스템에 따르면, 무인비행기를 사용할 때 무인비행기의 비행에 대하여 기록을 남기고, 필요 시 무인비행기의 비행에 대하여 관제시스템을 통하여 적절한 통제를 가하며, 무인비행기의 비행에 필요한 다양하고 유용한 정보 제공을 통해 사용자가 안전하고 유용하게 무인비행기를 활용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블랙박스를 구비한 무인비행기의 관제 시스템의 무선망 구성을 나타낸 예시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무인비행기에 장착된 블랙박스를 나타낸 블록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블랙박스를 구비한 무인비행기의 관제 시스템의 다른 형태의 무선망 구성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블랙박스를 구비한 무인비행기의 관제 시스템은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무인비행기(UAS; Unmanned Aircraft System)(100), 운용자 단말기(300) 및 관제센터(7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무인비행기(100)는 드론 등의 무선 조종으로 비행하는 것으로, 블랙박스(110)가 장착되어 일체로 구성된다.
운용자 단말기(300)는 스마트 폰, 스마트 패드 등의 무선 통신이 가능한 단말기가 될 수 있으며, 무인비행기(100)의 원격 조종을 위하여 상기 무인비행기(100)의 블랙박스(110)와 무선 데이터 통신이 직접 이루어지는 블랙박스 수신기(310)가 탈착 가능하게 장착된다.
상기 무인비행기(100)의 블랙박스(110)와 운용자 단말기(300)의 블랙박스 수신기(310)는 ISM(Industry Science Medical) 밴드 대역에서의 무선 통신이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블랙박스(110)는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박스제어부(111), GPS 모듈(112), 관성측정모듈(113), 고도측정모듈(114), 저장모듈(115), 무선통신모듈(116), 안전장치구동부(117), 전자장 발생부(118), 방해전파 출력부(119)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GPS 모듈(112)은 무인비행기(100)의 위치를 파악하기 위한 모듈이고, 관성측정모듈(113)은 무인비행기(100)의 자세를 감지하기 위한 모듈이고, 고도측정모듈(114)은 무인비행기(100)의 고도를 측정하기 위한 모듈이다.
저장모듈(115)은 비휘발성 메모리가 될 수 있으며, 무인비행기(100)가 비행 중에 비행 정보인 위치 정보, 고도 정보, 자세 정보, 진동 정보 및 소리 정보 등 실시간 비행 정보가 기록되어 저장된다.
무선통신모듈(116)은 무인비행기(100)의 비행 중 위치정보, 자세정보 및 고도 정보를 관제센터(700)로 송신하고,관제센터(700)부터 무인비행기(100)의 비행 통제에 관련된 작동 명령을 수신받는다.
또한 무선통신모듈(116)은 관제센터(700)로부터 비행 제한 명령을 수신한 경우,운용자 단말기(300)로 비행 제한 명령을 수신하였음을 통지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안전장치구동부(117)는 무인비행기(100)에 내장된 낙하산 등의 안전장치(150)가 작동되도록 구동신호를 출력한다.
전자장 발생부(118)는 관제센터(700)으로부터 비행 제한 명령을 수신한 경우,무인비행기(100)의 지자기 센서의 기능이 무력화 되도록 무인비행기(100)에 임의의 전자장(Electromagnetic Field)을 발생시키는 역할을 수행하는 모듈이다.
방해전파 출력부(119)는 관제센터(700)으로부터 비행 제한 명령을 수신한 경우,무인비행기(100)가 운용자 단말기(300)의 원격 제어를 받지 못하도록 무인비행기(100)에 임의의 방해 전파(RF White Noise)를 발생시키는 역할을 수행하는 모듈이다.
박스제어부(111)는 무인비행기(100)의 비행 시 관제센터(700)부터 통제를 받기 위한 작동 명령의 송/수신 및 통제에 따른 처리에 관련된 일련의 과정을 제어하는 모듈이다.
즉, 무인비행기(100)의 비행 중 고도, 자세 및 위치 정보 제공,비행 제한 명령 수신시 처리,착륙 또는 추락 시 메시지 송신 등의 일련의 기능 수행 시 수행 과정의 제어를 담당한다.
관제센터(700)는 상기 무인비행체(100) 및 상기 운용자 단말기(300)와 이동통신망(LTE, 3G 등) 또는 근거리 무선통신망(WiFi, RF modem 등) 등의 무선통신망(500)을 통하여 연결되는 것으로, 상기 블랙박스(110)의 무선통신모듈(116)로부터 송신되는 무인비행기(100)의 위치정보, 자세정보 및 고도 정보 등의 실시간 비행 정보를 무선통신망(500)을 통하여 전달받으며, 필요 시 무인비행기(100)의 비행 통제에 관련된 작동 명령을 무선통신망(500)을 통하여 블랙박스(110)의 무선통신모듈(116)로 전달되도록 한다.
이때, 관제센터(700)는 상기 무인비행기 블랙박스(110)를 인식하기 위한 고유 식별 코드로써, 블랙박스 수신기(310)가 장착된 운용자 단말기(300)의 정보, 즉 스마트폰의 전화번호 정보, MAC 주소, IP 주소 등이 포함된 정보를 사용할 수 있다.
아울러, 관제센터(700)는 인터넷 홈페이지를 통하여 무인비행기(100)의 비행 및 비행 제한 등과 같은 비행에 필요한 각종 정보를 운용자 단말기(300)로 제공함으로써 무인비행기 운용자가 안전하고 유용하게 무인비행기(100)를 활용할 수 있도록 하며, 인터넷 홈페이지를 통하여 비행 전 사전 신고를 받을 수도 있다.
그리고 관제센터(700)는 복수의 무인비행기의 비행 실시간 현황 정보를 모니터링 할 수 있으며, 주요 감시영역 알람 설정 및 경보 기능이 구비되고, 개별 무인비행기의 비행 궤적이 확인 가능하며, 각종 통계 서비스를 제공한다.
또한 조종 불능인 무인비행기가 강제 착륙시키는 기능이 제공되며, 무인비행기의 착륙지 또는 추락지 정보, 비행 금지 및 비행 경계 지역 정보, 실시간 비행 위치를 무인비행기를 원격제어하는 운용자 단말기로 제공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블랙박스를 구비한 무인비행기의 관제 시스템은 먼저, 관제센터(700)에서 무인비행기(100)의 비행 신고 또는 무인비행기(100)의 비행 정보 제공을 위한 홈페이지를 무인비행기(100)의 운용자 단말기(300)로 제공한다.
무인비행기(100)를 비행시키려는 무인비행기(100) 운용자는 사전에 자신의 운용자 단말기(300)에서 상기 홈페이지에 접속하여 무인비행기(100)의 비행 신고를 할 수 있다.
이후 무인비행기(100)의 비행 시작 시점에서 무인비행기(100)에 장착된 블랙박스(110)는 무인비행기(100)의 현재 위치정보, 자세정보, 고도정보 등을 포함하여 무인비행기(100)의 비행 시작 신고 메시지를 관제센터(700)로 송신한다.
상기 블랙박스(110)로부터 무인비행기(100)의 비행 시작 신고 메시지를 수신한 관제센터(700)는 무인비행기(100)의 비행 시작시의 위치에서의 비행 고도제한을 포함하는 비행 제한 정보를 상기 블랙박스(110)로 송신한다.
이어서, 무인비행기(100)의 비행 중 블랙박스(110)는 무인비행기(100)의 비행 고도, 비행 자세 및 비행 위치를 GPS 모듈(112), 관성측정모듈(113) 및 고도측정모듈(114)에 의해 지속적으로 체크한다.
이와 같이 체크한 비행 고도와 비행중인 위치 정보 및 비행 자세 정보를 관제센터(700)로 지속적으로 송신한다.
이와 같이 블랙박스(110)로부터 무인비행기(100)의 위치, 자세 및 고도 정보를 수신한 관제센터(700)는 무인비행기(100)가 비행제한 영역을 비행 중인지 여부를 체크한다.
즉 비행 제한 구역으로 설정된 지역을 비행 중이거나,비행 제한 고도 이상으로 비행중인 경우 등이 그 예에 해당한다.
또한 나아가 지역마다 비행 제한 고도가 다를 수도 있으며, 이 경우 지역에 따른 비행 제한 고도를 체크하여 무인비행기(100)의 비행을 감시하게 된다.
이를 위해 관제센터(700)는 비행 제한정보 데이터베이스(미도시)를 구비할 수 있다.
무인비행기(100)가 비행 제한 영역을 위반하여 비행 중임이 판명된 경우,관제센터(700)는 블랙박스(110)로 무인비행기의 비행 제한 명령을 송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한 고도를 한번 넘은 경우에 바로 블랙박스(110)로 무인비행기(100)의 비행 제한 명령을 송신할 수도 있지만,일정 횟수 이상 위반한 경우 또는 일정 시간 이상 계속 위반 중인 경우 등으로 다양하게 그 기준을 정하여 무인비행기(100)의 비행 제한 명령을 송신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비행 고도 제한 또는 비행 지역 제한 범위를 위반하여 관제센터(700)로부터 비행 제한 명령을 수신한 경우 블랙박스(110)는 운용자 단말기(300)로 비행 제한 명령을 받았음을 통지하여, 원격제어에 의해 무인비행기(100)가 고도 또는 위치를 변경하도록 요청할 수 있다.
그러나 위치를 변경하도록 요청하였음에도 불구하고, 무인비행기(100)가 계속 비행 고도 제한 또는 비행 지역 제한 범위를 위반하여 비행하면, 무인비행기(100)가 무인비행기 운용자의 운용자 단말기(300)에 의한 비행 원격 제어를 받지 못하도록,방해전파 출력부(119)를 통하여 무인비행기(100)에 방해 전파를 발생시킬 수 있다.
방해 전파로 인해 무선 신호가 무력화되어 운용자 단말기(300)의 원격제어를 받지 못하는 무인비행기(100)는 현재 위치에 머물러 있을 수 있게 된다.
또는 전자장 발생부(118)를 통하여 임의의 전자장을 발생시켜, 무인비행기(100)의 지자기 센서(geo magnetic sensor)를 무력화하게 하여 비행을 강제 종료하게 할 수도 있다.
비행 제한 명령을 수신하여 방해전파 출력부(119)를 통하여 무인비행기(100)에 방해 전파가 발생된 경우 또는 전자장 발생부(118)를 통하여 무인비행기(100)에 임의의 전자장이 발생된 경우,무인비행기(100)는 그 자리에 머물러 있지 않고 원격제어를 받지 못하는 상태로 비행을 지속하는 사례가 있을 수 있다.
이때 무인비행기(100)는 잠시 비행을 지속하다가 추락하게 되는데,무인비행기(100)의 자세를 감지한 블랙박스(110)는 안전장치구동부(117)를 구동시켜 낙하산이 펼쳐지도록 하여 무인비행기(100)가 추락하면서 발생되는 대인 또는 대물 피해가 최소화되도록 한다.
이와 같은 무인비행기(100)의 착륙 또는 예기치 못한 추락의 경우에 무인비행기(100)의 운용자에게 무인비행기(100)의 위치를 알려줄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하여 무인비행기(100)의 착륙 또는 추락 시에 블랙박스(110)로 하여금 이를 감지하여 관제센터(700)로 추락한 무인비행기(100)의 위치정보를 송신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이 경우 관제센터(700)는 무인비행기(100)의 운용자 단말기(300)로 착륙 또는 추락한 무인비행기(100)의 위치 정보를 문자메시지 또는 지도 등의 MMS 형태 등으로 송신해 줄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블랙박스를 구비한 무인비행기의 관제 시스템의 다른 형태의 무선망 구성을 나타낸 예시도로써, 운용자 단말기(300)는 블랙박스 수신기 없이, 무선통신망(500)에 접속 후 무인비행기의 블랙박스(190)와 중계되는 방식으로 서로 무선 통신이 이루어진다.
그 외에 나머지 구성은 상술한 실시예와 동일하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따라서, 운용자 단말기(300)는 무인비행기(100)를 원격 조종하기 위하여 무선통신망(500)에 접속한 후 무인비행기(100)를 원격 조종할 수 있다.
이때, 관제센터(700)는 상기 무인비행기 블랙박스(190)를 인식하기 위한 고유 식별 코드로써, 블랙박스(190)가 무선통신망에 가입된 가입정보를 사용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무인비행기를 사용할 때 무인비행기의 비행에 대하여 공적인 기록을 남기고, 필요 시 무인비행기의 비행에 대하여 관제시스템을 통하여 적절한 통제를 가하며, 무인비행기의 비행에 필요한 다양하고 유용한 정보 제공을 통해 무인비행기 운용자가 안전하고 유용하게 무인비행기를 활용할 수 있으며, 비행하는 각각의 무인비행기에 대해 고유 식별 코드와 실시간 위치정보를 제공하는 수단이 될 수 있으므로, 정부 해당 기관에서 등록 관리할 경우, 무인비행기 사용자들은 최소한의 비행신고로 비행허가가 가능하여 무인비행기 활용이 극대화 될 수 있다.
이상의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제시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할 수 있음을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100: 무인비행기 110, 190: 블랙박스
300: 운용자 단말기 310: 블랙박스 수신기
500: 통신망 700: 관제센터

Claims (9)

  1. 무인비행기의 관제시스템과 통신하는 블랙박스가 무인비행기에 장착되어 구비되며, 무인비행기가 활용될 때 무인비행기의 비행에 대한 기록이 상기 블랙박스에 남겨지도록 하고, 필요 시 무인비행기의 비행이 관제시스템을 통하여 통제가 이루어지며, 무인비행기 운용자에게는 무인비행기의 비행에 필요한 정보를 운용자의 단말기로 제공함으로써 무인비행기 운용자가 안전하고 유용하게 무인비행기를 활용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블랙박스는 무인비행기의 위치를 파악하기 위한 GPS 모듈; 무인비행기의 자세를 감지하기 위한 관성측정모듈; 관제센터으로부터 비행 제한 명령을 수신한 경우,무인비행기의 지자기 센서의 기능이 무력화 되도록 무인비행기에 임의의 전자장을 발생시키는 역할을 수행하는 전자장 발생부; 관제센터으로부터 비행 제한 명령을 수신한 경우,무인비행기가 운용자 단말기의 원격 제어를 받지 못하도록 무인비행기에 임의의 방해 전파를 발생시키는 방해전파 출력부; 무인비행기의 고도를 측정하기 위한 고도측정모듈; 무인비행기의 위치정보, 자세정보 및 고도 정보를 관제시스템으로 송신하고,관제시스템으로부터 무인비행기의 비행 통제에 관련된 작동 명령을 수신하는 무선통신모듈; 무인비행기에 내장된 낙하산을 포함한 안전장치가 작동되도록 구동신호를 출력하는 안전장치 구동부; 및 무인비행기의 비행 시 관제시스템으로부터 통제를 받기 위한 작동 명령의 송/수신 및 통제에 따른 처리에 관련된 일련의 과정을 제어하는 박스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무인비행기가 비행 제한 구역으로 설정된 지역을 비행 중이거나,비행 제한 고도 이상으로 비행중인 경우를 포함하여 비행 제한 영역을 위반하여 비행 중이면, 관제센터는 블랙박스로 무인비행기의 비행 제한 명령을 송신하며; 관제센터로부터 비행 제한 명령을 수신한 블랙박스는 운용자 단말기로 비행 제한 명령을 받았음을 통지하여, 원격제어에 의해 무인비행기가 고도 또는 위치를 변경하도록 요청하며; 위치를 변경하도록 요청하였음에도 불구하고, 무인비행기가 계속 비행 제한 영역을 위반하여 비행하면, 무인비행기가 무인비행기 운용자의 운용자 단말기에 의한 비행 원격 제어를 받지 못하도록,방해전파 출력부를 통하여 무인비행기에 방해 전파가 발생되도록 하고; 방해 전파로 인해 무선 신호가 무력화되어 운용자 단말기의 원격제어를 받지 못하는 무인비행기는 전자장 발생부를 통하여 발생된 임의의 전자장을 통하여 무인비행기의 지자기 센서가 무력화하게 되어 비행이 강제 종료되어 추락되는 경우, 무인비행기의 자세를 감지한 블랙박스는 안전장치구동부를 구동시켜 낙하산이 펼쳐지도록 하여 무인비행기가 추락하면서 발생되는 대인 또는 대물 피해가 최소화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 블랙박스를 구비한 무인비행기의 관제 시스템.
  2. 삭제
  3. 삭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운용자의 단말기에는 상기 무인비행기의 블랙박스와 무선 데이터 통신이 직접 이루어지는 블랙박스 수신기가 장착된 것을 특징으로 한 블랙박스를 구비한 무인비행기의 관제 시스템.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무인비행기 블랙박스의 고유식별 코드는 블랙박스 수신기가 장착된 운용자의 단말기 정보에 해당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 블랙박스를 구비한 무인비행기의 관제 시스템.
  6.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무인비행기의 블랙박스와 운용자의 단말기는 ISM 밴드 대역에서의 무선 통신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 블랙박스를 구비한 무인비행기의 관제 시스템.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무인비행기의 블랙박스와 운용자의 단말기는 하나의 무선통신망에 접속 후 중계되는 방식으로 서로 무선 통신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 블랙박스를 구비한 무인비행기의 관제 시스템.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무인비행기 블랙박스의 고유식별 코드는 상기 무선통신망에 가입된 가입 정보에 해당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 블랙박스를 구비한 무인비행기의 관제 시스템.
  9.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무선통신망은 이동통신망 또는 근거리 무선통신망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 블랙박스를 구비한 무인비행기의 관제 시스템.
KR1020160130864A 2016-10-10 2016-10-10 블랙박스를 구비한 무인비행기의 관제 시스템 KR10188241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30864A KR101882418B1 (ko) 2016-10-10 2016-10-10 블랙박스를 구비한 무인비행기의 관제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30864A KR101882418B1 (ko) 2016-10-10 2016-10-10 블랙박스를 구비한 무인비행기의 관제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39496A KR20180039496A (ko) 2018-04-18
KR101882418B1 true KR101882418B1 (ko) 2018-07-26

Family

ID=620828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30864A KR101882418B1 (ko) 2016-10-10 2016-10-10 블랙박스를 구비한 무인비행기의 관제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8241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968105B (zh) * 2018-09-29 2021-07-09 比亚迪股份有限公司 货物运输方法、装置、介质及电子设备
CN109324628A (zh) * 2018-11-28 2019-02-12 无锡飞天侠科技有限公司 一种具有高保障性的无人机及其控制系统
KR102074292B1 (ko) * 2019-05-21 2020-02-06 주식회사 포드림 드론 및 드론 비행경력 관리 시스템
KR102151970B1 (ko) * 2020-03-17 2020-09-04 주식회사 포드론 전원통제를 통한 긴급 제어장치를 구비한 유·무인 비행체
KR102490368B1 (ko) * 2020-10-22 2023-01-20 주식회사 비온시이노베이터 무인비행체 실시간 추적 분석을 위한 모니터링 시스템
WO2023063423A1 (ja) * 2021-10-14 2023-04-20 和男 吉原 飛行移動体システム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10149849A1 (en) 1996-12-06 2011-06-23 Edwin Brownrig Wireless black box communication systems and methods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41359B1 (ko) * 2013-10-21 2015-08-03 동국대학교 산학협력단 무인배달 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
KR20150051715A (ko) * 2013-11-05 2015-05-13 한국항공우주연구원 실시간 영상 재생 장치 및 그 방법
KR20150117879A (ko) * 2014-04-11 2015-10-21 부산대학교 산학협력단 모바일 통신 기반 무인항공기 관제 시스템
KR101638500B1 (ko) 2015-10-16 2016-07-11 조승철 드론을 이용한 감시 시스템 및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10149849A1 (en) 1996-12-06 2011-06-23 Edwin Brownrig Wireless black box communication systems and method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39496A (ko) 2018-04-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82418B1 (ko) 블랙박스를 구비한 무인비행기의 관제 시스템
US10249199B2 (en) System and method for aerial system discrimination and action
CA2984021C (en) Systems and methods for remote distributed control of unmanned aircraft
CN107924636B (zh) 移动体识别系统及识别方法
KR101851237B1 (ko) 드론 전용 상용 이동통신 무선망 기반의 드론 시스템
WO2018034033A1 (ja) 通信制御装置
US20190003807A1 (en) UAV Defense System
CN107074375A (zh) 故障安全飞机监控和追踪
KR101908923B1 (ko) Uav 관제 시스템 및 uav 관제 시스템의 uav 비행 제어 수행 방법
CN106155070B (zh) 无人机起飞控制方法及装置、遥控终端
KR20190024495A (ko) 무인 항공기 블랙박스시스템
WO2018127452A1 (en) Surveillance method, drone, mobile device, surveillance system, data carrier
US11525651B2 (en) Unmanned aerial vehicle with electromagnetic pulse transmitter
CN106325300A (zh) 一种基于gsm‑4g通信的无人机远程状态监测与控制系统
KR101678772B1 (ko) 무인 비행체를 이용한 소화물 운송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소화물 운송서비스의 제공방법
US11651698B2 (en) Method and system for receiving and displaying UAV data
KR20180066872A (ko) 통신망을 통해서 제어되는 드론 및 드론의 제어 방법
KR20180095401A (ko) D-usim을 이용한 드론 비행 제어 시스템 및 방법
KR101723066B1 (ko) 구난 구조용 드론유닛 및 드론유닛을 이용한 구난정보 제공방법
KR101987242B1 (ko) 무인 비행체의 조종 시스템
JP6452665B2 (ja) 飛行装置及び通信方法
KR20160121862A (ko) 자동차에 장착된 무인 항공기의 통제 시스템
TWI641935B (zh) 無人飛行載具強制導引飛航之系統及方法
KR20170044277A (ko) 무인 항공기의 표준 사용자 등록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무인항공기 제어방법
JP2020021310A (ja) 移動体把握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