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74292B1 - 드론 및 드론 비행경력 관리 시스템 - Google Patents

드론 및 드론 비행경력 관리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74292B1
KR102074292B1 KR1020190059184A KR20190059184A KR102074292B1 KR 102074292 B1 KR102074292 B1 KR 102074292B1 KR 1020190059184 A KR1020190059184 A KR 1020190059184A KR 20190059184 A KR20190059184 A KR 20190059184A KR 102074292 B1 KR102074292 B1 KR 10207429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ight
pilot
drone
information
authentication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591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원국
신진교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드림
김원국
신진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드림, 김원국, 신진교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드림
Priority to KR102019005918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7429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7429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7429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06Q10/063Operations research, analysis or management
    • G06Q10/0639Performance analysis of employees; Performance analysis of enterprise or organisation oper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CAEROPLANES; HELICOPTERS
    • B64C39/00Aircraf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4C39/02Aircraft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special use
    • B64C39/024Aircraft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special use of the remote controlled vehicle type, i.e. RPV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30Authentication, i.e. establishing the identity or authorisation of security principals
    • G06F21/31User authentication
    • G06F21/32User authentication using biometric data, e.g. fingerprints, iris scans or voiceprints
    • G06K9/00597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10Office automation; Time managem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40/00Recognition of biometric, human-related or animal-related patterns in image or video data
    • G06V40/10Human or animal bodies, e.g. vehicle occupants or pedestrians; Body parts, e.g. hands
    • G06V40/18Eye characteristics, e.g. of the iri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phthalmology & Optometry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Multimedia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드론 비행경력 관리 시스템은 비행을 제어하는 비행 제어 장치와는 독립적으로, 조종사의 인증 정보를 수집하고 비행 기록 정보를 생성하는 비행 기록 전송 장치를 포함하는 드론, 상기 드론을 제어하기 위한 조종 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드론으로 전송하는 조종 단말, 상기 조종사에 대한 비행 경력을 관리하기 위한 드론 비행정보 통합 관리시스템에의 접속을 위한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되는 조종사 단말, 상기 드론의 비행 교육 관리를 위한 교육장에 할당된 상기 드론 및 상기 조종 단말을 관리하는 교육장 단말 및 상기 인증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조종사에 대한 인증을 수행하고, 상기 비행 기록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조종사에 대한 비행 경력을 관리하는 통합 관제 서버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드론 및 드론 비행경력 관리 시스템{Drone and Flight Management System for the same}
본 발명은 비행 면허 관리 체계에서 이용될 수 있는 드론 및 드론 비행경력 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무인 비행체는 사람이 직접 탑승하지 않고 무선 전파의 유도에 의해서 비행하는 비행기 또는 헬리콥터 모양의 비행체로서, 드론(drone)이라고도 한다. 이러한, 드론은 최근 다양한 산업 분야에 활용되고 있다. 상용화 초기에는 주로 군용 및 여가용으로 사용되었으나, 최근 운송업, 영화, 방송 산업 등에 이르기까지 그 활용 범위가 매우 넓어지고 있으며, 활용 목적에 따라 다양한 크기와 성능을 가진 비행체들이 활발히 개발되고 있다. 특히, 정글이나 오지, 화산 지역, 자연재해지역, 원자력 발전소 사고지역 등 인간이 접근할 수 없는 지역에 드론이 투입되어 운용되기도 한다.
또한, 드론은 미리 설정된 경로를 따라 자유롭고 신속하게 이동하여 탑재된 카메라나 센서를 통해 특정 지역에 대한 원격 감시를 할 수 있다. 드론은 조종 장치로부터 전송되는 명령에 따라 비행, 사진촬영 등의 기능을 수행하여 특정 지역을 감시를 할 수 있다. 여기서, 조종 장치를 통한 드론에 대한 제어는 수백 미터 내외의 근거리나 LTE통신 등을 활용한 비가시권에서도 이루어질 수 있다.
이와 같이 드론은 사람이 직접 할 수 없거나 하기 힘든 작업을 신속하게 수행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지나, 수많은 드론이 무분별하게 보급되면서, 조종사가 보안시설, 발전소, 군사시설과 같은 통제가 요구되는 지역에서 드론을 무단으로 비행시키거나, 사유지에 침범시켜 사진 또는 영상을 불법 촬영하는 문제가 발생되고 있다.
이러한 불법행위를 근절하기 위해 향후 드론의 조종은 면허 소지자에 한하는 제도 및 조종 이력을 감시, 통제 및 관리하기 위한 제도 시행과 절차의 시스템화가 추진되고 있다. 이에 안전한 드론의 운용 여건을 보장하는 동시에 조종사의 비행 자격 및 이력을 관리 및 지원하기 위한 드론 조종에 관한 관리 시스템이 요구된다.
본 발명이 일 목적은 드론에 관한 비행 면허 관리 체계에서 관리 효율성 및 사용자 편의성이 높은 드론 및 드론 비행경력 관리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들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드론 비행경력 관리 시스템은 비행을 제어하는 비행 제어 장치와는 독립적으로, 조종사의 인증 정보를 수집하고 비행 기록 정보를 생성하는 비행 기록 전송 장치를 포함하는 드론, 상기 드론을 제어하기 위한 조종 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드론으로 전송하는 조종 단말, 상기 조종사에 대한 비행 경력을 관리하기 위한 드론 비행정보 통합 관리시스템에의 접속을 위한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되는 조종사 단말, 상기 드론의 비행 교육 관리를 위한 교육장에 할당된 상기 드론 및 상기 조종 단말을 관리하는 교육장 단말 및 상기 인증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조종사에 대한 인증을 수행하고, 상기 비행 기록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조종사에 대한 비행 경력을 관리하는 통합 관제 서버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상기 드론은, 지문, 얼굴 또는 홍채의 인식을 위한 생체 인식 센서, OTP(One Time Password)의 입력을 위한 OTP 입력 장치 또는 QR 코드 인식을 위한 QR 코드 센서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상기 인증 정보를 수집하고, 상기 통합 관제 서버는, 상기 인증 정보와 미리 저장된 인증 정보를 비교하여 검증 결과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상기 드론은, 상기 인증 정보의 입력이 가능한 다른 장치로부터 상기 인증 정보를 전달받아 수집하고, 상기 통합 관제 서버는, 상기 인증 정보와 미리 저장된 인증 정보를 비교하여 검증 결과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웹페이지 또는 어플리케이션 상에서 상기 조종사의 선택에 따라 비행 경력 조회 또는 비행 관련 증명서의 발급에 대한 요청을 전송하는 조종사 단말을 더 포함하고, 상기 통합 관제 서버는, 상기 요청에 따라 상기 조종사에 대한 비행 경력을 조회하여 상기 요청에 대응하는 경력 정보를 상기 조종사 단말로 전송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종 단말에 의해 원격으로 조종되는 드론은, 상기 조종 단말의 조종 신호에 따라 상기 드론의 비행을 제어하는 비행 제어 장치; 및 상기 비행 제어 장치와는 독립적으로, 조종사의 인증 정보를 수집하고 상기 드론의 비행 기록 정보를 생성하는 비행 기록 전송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드론 및 드론 비행경력 관리 시스템에 의하면, 무인 비행체에 탑재되어 조종사의 인증 정보를 수집한 장치에서 송신한 비행 기록에 기반하여 조종사에 대한 비행 기록을 관리함으로써, 비행 기록에 대한 신뢰성을 높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드론 비행경력 관리 시스템을 간략히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무인 비행체를 보다 상세히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비행 기록 전송 장치를 보다 상세히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통합 관제 서버를 보다 상세히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드론 비행경력 관리 시스템의 인증 정보 등록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드론 비행경력 관리 시스템의 조종사 인증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드론 비행경력 관리 시스템의 비행 기록 관리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드론 비행경력 관리 시스템의 비행 경력 정보 제공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진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드론 비행경력 관리 시스템을 간략히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드론 비행경력 관리 시스템(10)은 무인 비행체(100)의 비행을 미리 등록된 조종사에게만 허용하고, 무인 비행체(100) 및 특정 조종사의 비행 기록이 위조되지 않도록 관리할 수 있는 시스템이다.
드론 비행경력 관리 시스템(10)은 무인 비행체(100), 조종 단말(200), 조종사 단말(300), 지도자 단말(400), 교육장 단말(500) 및 통합 관제 서버(60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드론 비행경력 관리 시스템(10)의 구성은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필요에 따라 다른 구성이 추가되거나, 적어도 일부의 구성이 생략 또는 통합될 수도 있다. 드론 비행경력 관리 시스템(10)의 각 구성간의 통신은 위성 통신, LAN(Local Area Network), MAN(Metropolitan Area Network), GSM(Global System for Mobile Network), EDGE(Enhanced Data GSM Environment),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W-CDMA(Wideband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TDMA(Time Division Multiple Access), 블루투스(Bluetooth), 지그비(Zigbee), VoIP(Voice over Internet Protocol), LTE Advanced, IEEE802.16m, WirelessMAN-Advanced, HSPA+, 3GPP Long Term Evolution (LTE), Mobile WiMAX (IEEE 802.16e), UMB(formerly EV-DO Rev. C), Flash-OFDM, iBurst and MBWA (IEEE 802.20) systems, HIPERMAN, Beam-Division Multiple Access (BDMA),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및 초음파 활용 통신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임의의 통신 방식으로 수행될 수 있다. 한편, 네트워크(50)는 드론 비행경력 관리 시스템(10)의 각 구성간의 통신이 가능하도록 하기 위한 환경을 제공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TCP/IP 프로토콜 및 그 상위계층에 존재하는 여러 서비스, 즉 HTTP(Hyper Text Transfer Protocol), Telnet, FTP(File Transfer Protocol), DNS(Domain Name System), SMTP(Simple Mail Transfer Protocol), SNMP(Simple Network Management Protocol), NFS(Network File Service), NIS(Network Information Service) 등을 제공하는 개방형 컴퓨터 네트워크 구조일 수 있다.
무인 비행체(100)는 사람의 탑승 없이 원격으로 조종 가능한 비행체로서 드론(drone)이라고도 불리며, 상세한 구성과 동작은 도 2와 도 3을 참조하여 후술하기로 한다.
조종 단말(200)은 무인 비행체(100)의 비행을 원격으로 조종하거나 무인 비행체(100)의 기능(예컨대, 영상 촬영, 온도 측정 등) 중 어느 하나를 제어하기 위한 드론 전용 조종 단말기일 수 있다. 예컨대, 조종 단말(200)은 무인 비행체(100)를 원격으로 조종하기 위해 특정 주파수로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UHF(Ultra High Frequency)/VHF(Very High Frequency)/3G/4G/5G 송수신기를 포함할 수 있다.
조종사 단말(300)과 지도자 단말(400) 각각은 조종사와 지도자 개인이 소지하는 단말을 의미할 수 있다. 여기서, 조종사는 무인 비행체(100)를 적법하게 비행할 수 있는 면허(이하, ‘비행 면허’라 칭함)를 소지하거나 비행 면허 시험에 응시하려는 자일 수 있고, 지도자는 비행 면허 시험에 필요한 교육, 시험 진행 및 통제를 담당하는 자일 수 있다.
교육장 단말(500)은 비행 면허의 취득을 위한 교육, 연수 및 시험을 진행하는 교육장에 비치된 단말로서, 교육장에 할당된 무인 비행체(100), 조종 단말(200) 및 각종 장비에 관한 관리를 담당할 수 있다.
조종사 단말(300), 지도자 단말(400) 및 교육장 단말(400) 각각은 드론 비행정보 통합관리시스템에의 접속을 위한 어플리케이션(또는 앱)이 설치될 수 있는 단말기로서, 예를 들어 무선 인터넷 또는 휴대 인터넷을 통하여 통신 가능한 셀룰러폰(Cellular phone), 피씨에스폰(PCS phone: Personal Communications Services phone), 동기식/비동기식 IMT-2000(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2000) 등 이동 단말일 수 있고, 이외에도 팜 PC(Palm Personal Computer), 개인용 디지털 보조기(PDA: Personal Digital Assistant), 스마트폰(Smart phone), 왑폰(WAP phone: Wireless application protocol phone), 모바일 게임기(mobile play-station), PDA폰 또는 통신기능이 있는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폰, 태블릿 PC, PC(Personal Computer), 노트북(notebook) 등일 수 있다.
통합 관제 서버(600)는 드론 비행정보 통합관리시스템을 제공하는 서버로서, 드론 비행정보 통합관리시스템은 조종사 가입/탈퇴, 조종사의 비행 이력 관리, 비행 면허 발급, 각종 비행 관련 증명서(예컨대, 비행 면허 증명서, 비행 경력 증명서, 무사고 인증서, 조종교육 이수시간 증명서, 조종이수시간 증명서 등)의 발급 등의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일 수 있다. 통합 관제 서버(600)의 상세한 구성 및 동작은 도 4를 참조하여 후술하기로 한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무인 비행체를 보다 상세히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무인 비행체(100)는 비행 제어 장치(150) 및 비행 기록 전송 장치(700)를 포함할 수 있다. 비행 제어 장치(150) 및 비행 기록 전송 장치(700)는 서로 물리적으로 및/또는 기능적으로 독립된 장치일 수 있다. 즉, 비행 제어 장치(150) 및 비행 기록 전송 장치(700) 각각은 독립된 전원으로부터 동력을 공급받을 수 있으며, 비행 제어 장치(150) 및 비행 기록 전송 장치(700) 중 어느 하나가 동작하지 않더라도 다른 하나는 정상적으로 동작할 수 있다. 따라서, 비행 기록 전송 장치(700)는 독립적으로 탈부착, 하드웨어 교체, 소프트웨어 업데이트 등이 가능할 수 있다. 즉, 비행 기록 전송 장치(700)는 특정 조종사에 의해 구입, 등록 및 관리될 수 있는 장치로서, 특정 조종사는 비행 기록 전송 장치(700)를 임의의 무인 비행체에 부착하여 조종을 수행하고, 비행 기록 전송 장치(700)는 해당 비행 기록 정보를 통합 관제 서버(600)로 전달함으로써 특정 조종사에 대한 비행 경력이 관리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비행 제어 장치(150)로 공급되는 전원이 소진되어 무인 비행체(100)의 동작이 정지된 경우에도, 비행 기록 전송 장치(700)에 의한 동작(예컨대, 비행 기록 전송)이 수행될 수 있어 비행 기록이 소실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비행 제어 장치(150)는 조종 단말(200)로부터 수신되는 원격 조종을 위한 조종 신호에 따라 무인 비행체(100)의 비행(예컨대, 이륙/착륙, 고도 제어, 방향 제어, 속도 제어) 및 기능(예컨대, 영상 촬영, 온도 측정, 물체 포획 등)을 제어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비행 제어 장치(150)는 조종 단말(200)과의 통신을 위한 UHF/VHF/3G/4G/5G 송수신기, 동작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 무인 비행체(100)의 비행을 제어하기 위한 구동부, 기능 수행을 위한 기능 제어부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구동부는 복수의 모터들 및 프로펠러들을 포함할 수 있으며, 각 모터는 조종 신호에 의해 정해지는 속도로 해당 프로펠러를 회전시킬 수 있다.
또한, 실시예에 따라, 비행 제어 장치(150)는 무인 비행체(100)에 대한 상태를 모니터링하고, 모니터링한 결과를 통합 관제 서버(600)로 전송할 수 있는 구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비행 기록 전송 장치(700)는 조종사에 대한 인증 정보 및 비행 기록 정보를 수집하고, 인증 정보 및 비행 기록 정보를 통합 관제 서버(600)로 전송하여 무인 비행체(100)의 비행에 관한 인증 및 비행 기록 저장이 수행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실시예에 따라, 비행 기록 전송 장치(700)는 인증(또는 허가) 결과 또는 외부(예컨대, 지도자 단말(400) 또는 통합 관제 서버(600))의 요청에 따라 비행 제어 장치(150)의 동작을 활성화 또는 비활성화할 수 있다. 이는 인증(또는 허가)이 완료되지 않은 조종사에 의한 무단 비행을 방지하거나 전원 부족, 비행 금지 구역 진입(예컨대, 비행 면허 시험장 이탈, 군사 지역, 특정 고도 초과 등) 등으로 인해 비상 착륙이 필요하기 때문이다. 여기서, 인증은 조종사 개인에 관한 인증을 의미하고, 허가는 유관 기관에 의한 비행 허가를 의미할 수 있다.도 3은 도 2에 도시된 비행 기록 전송 장치를 보다 상세히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비행 기록 전송 장치(700)는 제어부(710), 전원부(720), 저장부(730), 통신부(740), 비행 기록 생성부(750), 인증 정보 수집부(760) 및 암복호화부(77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비행 기록 전송 장치(700)의 구성은 예시적인 것이며, 필요에 따라 일부 구성이 추가되거나 생략될 수 있다. 비행 기록 전송 장치(700)의 각 구성은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제어부(710)는 비행 기록 전송 장치(700)의 전반적인 제어를 수행하며, 각 구성(720~770)의 기능에 대한 활성화 여부 결정, 구성들(720~770)로부터 수신된 데이터에 대한 처리/가공, 구성들(720~770) 간의 데이터 전송 제어 등을 수행할 수 있다. 제어부(710)는 CPU(Central Processing Unit)로 구현될 수 있으나, 본 발명의 범위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전원부(720)는 비행 기록 전송 장치(700)의 동작에 필요한 전원을 독립적으로 공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원부(720)는 충전 및 방전이 가능한 배터리(예컨대, DC 5V 출력)와 배터리를 관리하는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전원부(720)는 배터리의 방전이 일정 수준 이상 이루어지면, 충전이 필요하다는 정보를 제어부(710)로 전송하고, 제어부(710)는 입출력 인터페이스(예컨대, 터치 스크린)를 통해 또는 특정 단말(400, 500)로 전송되는 알림을 통해 관리자에게 충전 요청을 전달할 수 있다.
저장부(730)는 무인 비행체(100)의 고유 식별 정보, 무인 비행체(100)가 비행한 비행 기록 정보 및 조종사의 인증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저장할 수 있다. 여기서, 고유 식별 정보는 무인 비행체(100)에 할당되어 무인 비행체(100)를 식별할 수 있는 고유 정보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고유 식별 정보는 무인 비행체(100)가 아닌 비행 기록 전송 장치(700)를 식별할 수 있는 고유 정보일 수 있다. 이 경우, 통합 관제 서버(600)에는 비행 기록 전송 장치(700)를 식별하는 고유 식별 정보와 무인 비행체(100) 간의 맵핑 관계를 나타내는 정보가 미리 등록 및 저장될 수 있다. 비행 기록 정보는 비행 지역, 방위, 속도, 가속도, 회전각, 이/착륙, 비행경로, 비행 방향 및 고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정보일 수 있다. 또한, 인증 정보는 조종사를 식별할 수 있는 정보로서, 예를 들어 생체 인식 정보(지문, 얼굴, 홍채), OTP(One Time Password), QR 코드 등일 수 있다.
예컨대, 저장부(730)는 휘발성 메모리 및/또는 불휘발성 메모리로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휘발성 메모리는 DRAM(dynamic random access memory), SRAM (static random access memory), T-RAM(thyristor RAM), Z-RAM(zero capacitor RAM), 또는 TTRAM(Twin Transistor RAM) 등으로 구현되고, 불휘발성 메모리는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플래시(flash) 메모리, MRAM(Magnetic RAM), 스핀전달토크 MRAM(Spin-Transfer Torque MRAM), FeRAM(Ferroelectric RAM), PRAM (Phase change RAM), 저항 메모리(Resistive RAM), 나노튜브 RRAM (Nanotube RRAM), 폴리머 RAM(Polymer RAM: PoRAM), 나노 부유 게이트 메모리(Nano Floating Gate Memory: NFGM), 홀로그래픽 메모리 (holographic memory), 분자 전자 메모리 소자(Molecular Electronics Memory Device), 또는 절연 저항 변화 메모리 (Insulator Resistance Change Memory)로 구현될 수 있다.
통신부(740)는 드론 비행경력 관리 시스템(10)의 각 구성과 통신할 수 있는 구성으로서, 특히 네트워크(50)를 통해 통합 관제 서버(600)에 접속하여 고유 식별 정보, 인증 정보 및 비행 기록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합 관제 서버(600)로 전송하고, 통합 관제 서버(600)로부터 인증 결과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통신부(740)는 적어도 Wi-Fi, 이더넷(Ethernet), RF 및 LTE 방식으로 통신을 수행할 수 있는 모뎀을 포함할 수 있다.
비행 기록 생성부(750)는 전술한 비행 기록 정보를 생성할 수 있으며, 이를 위해 가속도 센서, 자이로 센서, 지자계 센서 및 고도계 센서를 포함하는 IMU(Inertial Measurement Unit), 글로벌항법위성시스템(GNSS; Global Navigation Satellite System) 모듈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비행 기록 생성부(750)는 무인 비행체(100)의 속도, 가속도, 회전각, 위치 및 고도 중 적어도 하나를 측정하여 비행 기록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글로벌항법위성시스템(GNSS)으로서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글로나스, 갈릴레오, 베이더우, 준텐초, IRNSS(Indian Regional Navigation Satellite System)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비행 기록 생성부(750)는 측정된 고도가 일정 고도(예컨대, 3m) 이상일 경우에만 비행 기록 정보에 대한 생성을 개시할 수 있다.
인증 정보 수집부(760)는 전술한 인증 정보를 수집할 수 있으며, 이를 위해 생체 인식 센서(지문 센서, 홍채/얼굴 인식을 위한 카메라 등), 키패드 또는 터치 스크린과 같은 OTP 입력 장치, 카메라와 같은 QR 코드 센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인증 정보 수집부(760)는 직접 생체 인식 센서, OTP 입력 장치 또는 QR 코드 센서를 통해 인증 정보를 수집하는 것이 아니라 인증 정보의 입력이 가능한 다른 장치(예컨대, 300, 400, 500)로부터 인증 정보를 전달받아 수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조종사는 지도자 단말(400)의 지문 센서를 통해 생체 인증 정보를 입력할 수 있고, 지도자 단말(400)은 입력된 생체 인증 정보를 비행 기록 전송 장치(700)의 인증 정보 수집부(760)로 전달할 수 있다. 이 경우, 무인 비행체(100)에는 인증 정보를 조종사로부터 직접 입력 받기 위한 별도의 센서 탑재가 요구되지 않을 수 있다.
암복호화부(770)는 고유 식별 정보, 인증 정보 및 비행 기록 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데이터에 암호화 메커니즘을 적용하여 암호화된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여기서, 암호화 메커니즘은 해시함수, HMAC(keyed-Hash Message Authentication Code), 대칭키 및 공개키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일 수 있다. 또한, 암복호화부(770)는 외부로부터 수신된 암호화된 데이터에 대한 복호화를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복호화는 상기 암호화 메커니즘에 상응하는 복호화 메커니즘을 통해 수행될 수 있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통합 관제 서버를 보다 상세히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통합 관제 서버(600)는 웹 관리 서버(610), 등록 정보 관리 서버(620), 인증 서버(630), 비행 기록 정보 수집 서버(640), 비행 경력 관리 서버(650) 및 관리 현황 제공 장치(66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통합 관제 서버(600)의 구성은 예시적인 것이며, 필요에 따라 일부 구성이 추가되거나 적어도 일부 구성이 생략 또는 통합될 수 있다. 또한, 필요에 따라 적어도 일부 구성이 통합 관제 서버(600)와는 독립된 구성으로 분리될 수도 있다.
웹 관리 서버(610)는 드론 비행정보 통합관리시스템의 다양한 온라인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웹페이지 또는 어플리케이션을 제공 및 관리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등록 정보 관리 서버(620)는 무인 비행체(100)의 고유 식별 정보, 각 조종사의 개인 정보, ID(identification), 패스워드, 인증 정보의 등록, 갱신, 변경 및 폐기 등의 관리를 수행할 수 있다.
인증 서버(630)는 무인 비행체(100)로부터 수신된 인증 정보를 이용하여 조종사에 대한 인증을 수행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인증 서버(630)는 무인 비행체(100)로부터 수신된 고유 식별 정보의 유효성을 검증하고, 유효한 고유 식별 정보인 경우 인증 정보와 등록 정보 관리 서버(620)에 미리 저장된 인증 정보 중에서 일치하는 인증 정보가 존재하는지 조회할 수 있다. 이때, 인증 서버(630)는 무인 비행체(100)로부터 수신된 데이터를 복호화하여 고유 식별 정보 및 인증 정보를 추출할 수 있다.
만일 일치하는 인증 정보가 존재하는 경우, 인증 서버(630)는 비행 승인을 나타내는 검증 결과 정보를 무인 비행체(100)로 전송할 수 있다. 반대로, 일치하는 인증 정보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 인증 서버(630)는 비행 불가를 나타내는 검증 결과 정보를 무인 비행체(100)로 전송할 수 있다.
한편, 인증 서버(630)는 무인 비행체(100)로부터 수신된 인증 정보와 일치하는 등록 정보 관리 서버(620)의 인증 정보로부터 해당 조종사의 식별 정보(예컨대, ID)를 확인할 수 있으며, 식별 정보를 이용해 추가적인 검증을 수행하거나, 식별 정보와 검증 결과 정보를 비행 기록 정보 수집 서버(640), 비행 경력 관리 서버(650) 및 관리 현황 제공 장치(660) 중 적어도 하나로 전달할 수 있다.
비행 기록 정보 수집 서버(640)는 무인 비행체(100)로부터 수신되는 비행 기록 정보를 인증 서버(630)로부터 전달된 식별 정보 및 검증 결과 정보와 매칭하여 저장할 수 있다.
비행 경력 관리 서버(650)는 비행 기록 정보 수집 서버(640)에 저장된 데이터에 기초하여 각 조종사에 대한 비행 경력을 관리할 수 있다. 즉, 비행 경력 관리 서버(650)는 비행 기록 정보 수집 서버(640)에 저장된 데이터로부터 식별 정보에 대응되는 조종사가 적법하게 인증된 상태에서 어떻게 무인 비행체(100)를 조종하였는지를 분석할 수 있다. 분석 결과에 따라, 비행 경력 관리 서버(650)는 해당 조종사의 조종 교육 이수 시간, 비행 면허 취득 여부, 조종 이수 시간, 무사고 여부 등에 관한 비행 경력을 생성 및 저장할 수 있다.
관리 현황 제공 장치(660)는 비행 기록 정보 수집 서버(640)와 비행 경력 관리 서버(650)로부터 데이터를 제공받아 모든 교육장에서 진행 중인 비행에 관한 정보 또는 누적 통계 정보를 실시간으로 전자 상황판 형식으로 제공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드론 비행경력 관리 시스템의 인증 정보 등록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조종사 단말(300)은 드론 비행정보 통합관리시스템에의 접속을 위한 어플리케이션(또는 앱)을 다운로드, 설치 및 구동할 수 있다(S10). 실시예에 따라, 조종사는 조종사 단말(300)이 아닌 지도자 단말(400) 또는 교육장 단말(500)을 통해서도 도 5에 도시된 인증 정보 등록을 수행할 수도 있다. 또한, 어플리케이션의 구동 없이도, 드론 비행정보 통합관리시스템의 웹페이지에 접속함에 의해서도 도 5에 도시된 인증 정보 등록이 수행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조종사 단말(300)은 조종사로부터 개인 정보, ID 및 패스워드를 입력 받아 통합 관제 서버(600)로 전달함으로써 회원 가입을 진행 및 완료할 수 있다(S20). 통합 관제 서버(600)는 회원 가입이 완료된 조종사의 개인 정보, ID 및 패스워드를 저장 및 관리할 수 있다.
조종사 단말(300)은 회원 가입이 완료된 조종사에 대한 인증 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S30).
조종사 단말(300)은 수집된 인증 정보를 암호화할 수 있다(S40). 이는 악의적인 사용자에 의해 조종사의 인증 정보가 무단 사용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조종사 단말(300)은 조종사의 ID와 인증 정보를 통합 관제 서버(600)로 전송할 수 있다(S50).
통합 관제 서버(600)는 조종사 단말(300)로부터 수신된 데이터를 복호화하여 조종사의 ID와 인증 정보를 추출할 수 있다(S60)
통합 관제 서버(600)는 추출된 인증 정보를 조종사의 개인 정보, ID 및 패스워드와 매칭하여 저장 및 관리할 수 있다(S70).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드론 비행경력 관리 시스템의 조종사 인증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조종사가 무인 비행체(100)를 비행하기 위해 조종사 인증을 수행하는 과정이 도시되어 있다.
무인 비행체(100)는 조종사의 인증 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S110). 이를 위해 무인 비행체(100)는 생체 인식 센서(지문 센서, 카메라 등), 키패드 또는 터치 스크린과 같은 OTP 입력 장치, 카메라와 같은 QR 코드 센서 등이나 스마트폰 앱과 연동하여 스마트폰에서 통합 관제 서버(600)로 등록 전송할 수 있도록 한 OPT/QR코드 표출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무인 비행체(100)는 직접 생체 인식 센서, OTP 입력 장치 또는 QR 코드 센서를 통해 인증 정보를 수집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예컨대, 300, 400, 500)으로부터 인증 정보를 전달받아 수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조종사는 지도자 단말(400)의 지문 센서를 통해 생체 인증 정보를 입력할 수 있고, 지도자 단말(400)은 입력된 생체 인증 정보를 비행 기록 전송 장치(700)의 인증 정보 수집부(760)로 전달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무인 비행체(100)는 입출력 인터페이스(예컨대, 터치 스크린)를 통해 2가지 이상의 인증 정보를 입력할 것을 조종사에게 요청할 수 있고, 2가지 이상의 인증 정보를 순차적으로 입력받을 수 있다. 이 경우, 인증 정보는 2가지 이상의 인증 방식에 해당하는 인증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이는 특정 방식의 인증 정보가 타인에 의해 편취되었을 경우에 해당 조종사를 보호하기 위함이다.
무인 비행체(100)는 수집된 인증 정보를 암호화할 수 있다(S120). 이는 악의적인 사용자에 의해 조종사의 인증 정보가 무단 사용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무인 비행체(100)는 무인 비행체(100)의 고유 식별 정보와 암호화된 인증 정보를 통합 관제 서버(600)로 전송할 수 있다(S130).
통합 관제 서버(600)는 무인 비행체(100)로부터 수신된 데이터를 복호화하여 무인 비행체(100)의 고유 식별 정보와 조종사의 인증 정보를 추출할 수 있다(S140)
통합 관제 서버(600)는 무인 비행체(100)로부터 수신된 고유 식별 정보의 유효성을 검증하고, 유효한 고유 식별 정보인 경우(즉, 미리 등록된 고유 식별 정보인 경우) 인증 정보와 통합 관제 서버(600)에 미리 저장된 인증 정보 중에서 일치하는 인증 정보가 존재하는지 조회할 수 있다(S150).
만일 일치하는 인증 정보가 존재하는 경우, 통합 관제 서버(600)는 비행 승인을 나타내는 검증 결과 정보를 무인 비행체(100)로 전송할 수 있다. 반대로, 일치하는 인증 정보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 통합 관제 서버(600)는 비행 불가를 나타내는 검증 결과 정보를 무인 비행체(100)로 전송할 수 있다(S160).
실시예에 따라, 검증 결과 정보는 조종사 개인에 대한 검증 결과 뿐 아니라 특정 조종사(또는 지역, 용도)에 대한 비행 허가 유무를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비행 허가 유무는 유관 기관(예컨대, 항공청)에 의해 제공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무인 비행체(100)의 비행 기록 전송 장치(700)는 비행 승인을 나타내는 검증 결과 정보에 따라 비행 제어 장치(150)를 활성화하여 조종사에 의한 원격 조종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무인 비행체(100)의 비행 기록 전송 장치(700)는 비행 불가를 나타내는 검증 결과 정보에 따라 비행 제어 장치(150)를 비활성화하여 조종사에 의한 원격 조종이 불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상기 S150 단계에서, 통합 관제 서버(600)는 수신된 인증 정보와 통합 관제 서버(600)에 미리 저장된 인증 정보가 일치하는 경우에도 추가적인 인증 정보의 검증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통합 관제 서버(600)는 수신된 고유 식별 정보에 대응되는 교육장의 교육장 단말(500)을 통해 지도자 단말(400)로 조종사에 대한 추가적인 인증을 요청할 수 있다. 이러한 요청을 수신한 지도자 단말(400)에는 추가 인증을 위한 화면이 표시될 수 있고, 이에 따라 조종사는 추가 인증을 위한 인증 정보를 지도자 단말(400)에 입력하고, 지도자 단말(400)은 수집된 인증 정보를 통합 관제 서버(600)로 전송할 수 있다. 통합 관제 서버(600)는 다시 수신된 인증 정보와 미리 저장된 인증 정보 간의 비교를 통해 추가적인 검증을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추가적인 인증에 이용되는 인증 정보와 최초 인증에 이용되는 인증 정보는 서로 다른 방식(예컨대, 지문 인식과 OTP 입력)일 수 있다. 이러한 추가적인 인증으로 인해, 지도자의 확인 소홀 등의 관리상 허점을 이용해 최초 인증한 조종사가 아닌 타인에 의해 대리 비행 면허 시험이 수행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추가적인 인증은 마찬가지의 방식으로 지도자 단말(400)이 아닌 조종 단말(200)을 통해서도 진행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드론 비행경력 관리 시스템의 비행 기록 관리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조종사의 원격 조종으로 무인 비행체(100)가 비행한 비행 기록 정보가 처리되는 과정이 도시되어 있다.
무인 비행체(100)는 비행 지역, 방위, 속도, 가속도, 회전각, 이/착륙, 비행경로, 비행 방향 및 고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비행 기록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S210).
무인 비행체(100)는 조종사의 원격 조종이 종료한 뒤 또는 실시간으로 비행 기록 정보를 통합 관제 서버(600)로 전송할 수 있다(S220).
통합 관제 서버(600)는 무인 비행체(100)로부터 수신되는 비행 기록 정보를 인증 정보로부터 확인된 식별 정보 및 검증 결과 정보와 매칭하여 저장할 수 있다(S230).
통합 관제 서버(600)는 지도자 단말(400) 또는 교육장 단말(500)과 연동하여 비행 기록 정보를 검증하여 비행 기록 정보의 진위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S240). 예를 들어, 통합 관제 서버(600)는 지도자 단말(400) 또는 교육장 단말(500)이 자체적으로 수집(예컨대, 무인 비행체(100)의 비행 제어 장치(150)로부터 비행 기록 정보를 수집, 또는 교육장에 설치된 무인 비행체 감시 시스템에 의한 비행 기록 정보를 수집)한 비행 기록 정보를 제공받아 기 수신된 비행 기록 정보와 대조함에 의해 검증할 수 있다.
비행 기록 정보가 유효하다는 검증 결과에 따라, 해당 비행 기록 정보는 그대로 저장 및 유지될 수 있다. 그러나, 비행 기록 정보가 유효하지 않다는 검증 결과에 따라, 해당 비행 기록 정보는 삭제 또는 무효 태그와 함께 저장될 수 있다.
다만, S240 단계는 비행 면허가 발급되지 않아 무면허 상태인 조종사에 대해서만 선택적으로 수행될 수 있다. 이는 통합 관제 서버(600)는 무인 비행체(100)로부터 수신되는 비행 기록 정보를 분석한 결과와 미리 규정되어 있는 비행 기준(예컨대, 비행 시간, 비행 기술 등)을 비교하여, 해당 조종사의 면허 취득 여부를 결정할 수 있는데, 이의 기초가 되는 비행 기록 정보가 위변조 되었을 경우에 대비하기 위함이다.
통합 관제 서버(600)는 앞서 저장된 비행 기록 정보에 기초하여 해당 조종사에 대한 비행 경력을 관리할 수 있다. 즉, 통합 관제 서버(600)는 식별 정보에 대응되는 조종사가 적법하게 인증된 상태에서 어떻게 무인 비행체(100)를 조종하였는지를 분석할 수 있다. 분석 결과에 따라, 통합 관제 서버(600)는 해당 조종사의 조종 교육 이수 시간, 비행 면허 취득 여부, 조종 이수 시간, 무사고 여부 등에 관한 비행 경력을 생성 및 저장하여 업데이트할 수 있다(S250).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드론 비행경력 관리 시스템의 비행 경력 정보 제공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조종사가 현재 자신의 비행 경력을 조회 또는 비행 경력 관련 증명을 발급받기 위한 과정이 도시되어 있다.
조종사 단말(300)은 드론 비행정보 통합관리시스템의 온라인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웹페이지 또는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한 상태에서 조종사로부터 로그인을 위한 정보(예컨대, ID 및 패스워드)를 입력받아 로그인을 수행할 수 있다(S310).
조종사 단말(300)은 실행된 웹페이지 또는 어플리케이션 상에서 조종사의 선택에 따라 비행 경력 조회 또는 비행 관련 증명서(예컨대, 비행 면허 증명서, 비행 경력 증명서, 무사고 인증서, 조종교육 이수시간 증명서, 조종이수시간 증명서 등)의 발급을 통합 관제 서버(600)로 요청할 수 있다(S320). 예를 들어, 비행 관련 증명서는 조종사의 개인 정보(성명, 생년월일, 연락처, 소속 등), 비행 이력(비행 일자, 드론 기종, 드론 정보, 비행 장소, 비행 시간(훈련용/교관용 구분), 비행 용도 등)에 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통합 관제 서버(600)는 조종사 단말(300)의 요청에 따라, 로그인된 ID에 대응하는 비행 경력을 조회하여(S330) 조종사 단말(300)의 요청에 대응하는 경력 정보를 조종사 단말(300)로 전송할 수 있다(S340). 여기서, 경력 정보는 조종사 단말(300)의 요청에 대응하는 비행 경력 또는 비행 관련 증명서에 관한 정보일 수 있다.
도 8에 도시된 비행 경력 정보 제공 방법에 의하면, 조종사는 별도의 경력 조회 또는 증명서 발급을 위한 기관을 방문하지 않고도 간단한 인증 절차를 통해 원하는 경력 조회 또는 증명서 발급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어 사용자 편의성이 제고될 수 있다.
이상의 도 5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설명된 무인 비행체(100)의 동작은 비행 제어 장치(150)와는 독립된 비행 기록 전송 장치(700)에 의해 수행됨을 유의하여야 한다.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들과 관련하여 설명된 방법 또는 알고리즘의 단계는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는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모듈, 또는 그 2 개의 결합으로 직접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모듈은 RAM 메모리, 플래시 메모리, ROM 메모리, EPROM 메모리, EEPROM 메모리, 레지스터, 하드 디스크, 착탈형 디스크, CD-ROM과 같은 저장 매체에 상주할 수도 있다. 예시적인 저장 매체는 프로세서에 커플링되며, 그 프로세서는 저장 매체로부터 정보를 판독할 수 있고 저장 매체에 정보를 기입할 수 있다. 다른 방법으로, 저장 매체는 프로세서와 일체형일 수도 있다. 프로세서 및 저장 매체는 주문형 집적회로(ASIC) 내에 상주할 수도 있다. ASIC는 사용자 단말기 내에 상주할 수도 있다. 다른 방법으로, 프로세서 및 저장 매체는 사용자 단말기 내에 개별 컴포넌트로서 상주할 수도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10)

  1. 비행을 제어하는 비행 제어 장치와는 독립적으로, 조종사의 인증 정보를 수집하고 비행 기록 정보를 생성하는 비행 기록 전송 장치를 포함하는 드론;
    상기 드론을 제어하기 위한 조종 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드론으로 전송하는 조종 단말;
    상기 조종사에 대한 비행 경력을 관리하기 위한 드론 비행정보 통합 관리시스템에의 접속을 위한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되는 조종사 단말;
    상기 드론의 비행 교육 관리를 위한 교육장에 할당된 상기 드론 및 상기 조종 단말을 관리하는 교육장 단말; 및
    상기 인증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조종사에 대한 인증을 수행하고, 상기 비행 기록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조종사에 대한 비행 경력을 관리하는 통합 관제 서버를 포함하고,
    상기 통합 관제 서버는 상기 드론으로부터 수신된 상기 인증 정보와 미리 저장된 인증 정보를 비교하여 검증 결과 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드론으로 전송하고,
    상기 검증 결과 정보가 비행 승인을 나타낼 경우, 상기 비행 기록 전송 장치는 상기 조종사에 의한 원격 조종이 가능하도록 상기 비행 제어 장치를 활성화하고,
    상기 검증 결과 정보가 비행 불가를 나타낼 경우, 상기 비행 기록 전송 장치는 상기 조종사에 의한 원격 조종이 불가능하도록 상기 비행 제어 장치를 비활성화하는 드론 비행경력 관리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드론은, 지문, 얼굴 또는 홍채의 인식을 위한 생체 인식 센서, OTP(One Time Password)의 입력을 위한 OTP 입력 장치 또는 QR 코드 인식을 위한 QR 코드 센서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상기 인증 정보를 수집하는 드론 비행경력 관리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드론은, 상기 인증 정보의 입력이 가능한 다른 장치로부터 상기 인증 정보를 전달받아 수집하는 드론 비행경력 관리 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웹페이지 또는 상기 어플리케이션 상에서 상기 조종사의 선택에 따라 비행 경력 조회 또는 비행 관련 증명서의 발급에 대한 요청을 전송하는 조종사 단말을 더 포함하고,
    상기 통합 관제 서버는, 상기 요청에 따라 상기 조종사에 대한 비행 경력을 조회하여 상기 요청에 대응하는 경력 정보를 상기 조종사 단말로 전송하는 드론 비행경력 관리 시스템.
  5. 조종 단말에 의해 원격으로 조종되는 드론(drone)에 있어서,
    상기 조종 단말의 조종 신호에 따라 상기 드론의 비행을 제어하는 비행 제어 장치; 및
    상기 비행 제어 장치와는 독립적으로, 조종사의 인증 정보를 수집하고 상기 드론의 비행 기록 정보를 생성하는 비행 기록 전송 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비행 기록 전송 장치는 상기 인증 정보를 통합 관제 서버로 전송하고, 상기 인증 정보와 미리 저장된 인증 정보를 비교하여 생성된 검증 결과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검증 결과 정보가 비행 승인을 나타낼 경우, 상기 비행 기록 전송 장치는 상기 조종사에 의한 원격 조종이 가능하도록 상기 비행 제어 장치를 활성화하고,
    상기 검증 결과 정보가 비행 불가를 나타낼 경우, 상기 비행 기록 전송 장치는 상기 조종사에 의한 원격 조종이 불가능하도록 상기 비행 제어 장치를 비활성화하는 드론.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비행 기록 전송 장치는,
    상기 조종사의 인증 정보를 수집하는 인증 정보 수집부; 및
    상기 조종사의 인증 정보를 암호화하는 암복호화부를 포함하는 드론.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인증 정보 수집부는 지문, 얼굴 또는 홍채의 인식을 위한 생체 인식 센서, OTP(One Time Password)의 입력을 위한 OTP 입력 장치 또는 QR 코드 인식을 위한 QR 코드 센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드론.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인증 정보 수집부는 상기 인증 정보의 입력이 가능한 다른 장치로부터 상기 인증 정보를 전달받아 수집하는 드론.
  9.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비행 기록 전송 장치는, 상기 드론의 속도, 가속도, 회전각, 위치 및 고도 중 적어도 하나를 측정하여 상기 비행 기록 정보를 생성하는 비행 기록 생성부를 포함하는 드론.
  10.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비행 기록 전송 장치는, 상기 비행 기록 전송 장치에 독립적으로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를 포함하는 드론.
KR1020190059184A 2019-05-21 2019-05-21 드론 및 드론 비행경력 관리 시스템 KR10207429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59184A KR102074292B1 (ko) 2019-05-21 2019-05-21 드론 및 드론 비행경력 관리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59184A KR102074292B1 (ko) 2019-05-21 2019-05-21 드론 및 드론 비행경력 관리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74292B1 true KR102074292B1 (ko) 2020-02-06

Family

ID=695692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59184A KR102074292B1 (ko) 2019-05-21 2019-05-21 드론 및 드론 비행경력 관리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74292B1 (ko)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55137B1 (ko) * 2020-04-16 2020-09-11 김원국 비행체를 위한 비행 통제 및 이력 기록 장치, 이를 포함한 비행체용 블랙박스 시스템 및 개인용 항공 이동 장치, 및 비행체를 위한 클라우드 비행 기록 관제관제 서버
KR102228579B1 (ko) * 2020-09-07 2021-03-16 주식회사 고스트패스 생체 정보를 기반으로 드론의 사용자 본인 인증을 수행하는 전자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WO2021187698A1 (ko) * 2020-03-17 2021-09-23 주식회사 포드론 전원통제를 통한 긴급 제어장치를 구비한 유·무인 비행체
KR20220021669A (ko) * 2020-08-14 2022-02-22 주식회사 에스피스퀘어 순찰 드론을 포함하는 지역 감시 시스템
KR20220028986A (ko) * 2020-09-01 2022-03-08 (주)티엔젠 무인이동체의 보안을 위한 암호키 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20220057075A (ko) * 2020-10-29 2022-05-09 주식회사 웨이브쓰리디 드론의 사용자 인증 시스템
KR102411850B1 (ko) * 2021-05-11 2022-06-22 유비벨록스(주) 드론 식별 시스템
KR20230084748A (ko) 2021-12-06 2023-06-13 주식회사 포스웨이브 드론 비행 교육 및 운항의 통합적 관리를 위한 드론 관리 시스템
EP4319234A1 (en) * 2022-08-04 2024-02-07 Hyundai Motor Company Authentic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defending against attacks on uam aircraf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137826A (ko) * 2013-05-24 2014-12-03 한국항공우주산업 주식회사 무인기의 지상통제 표준운용시스템
KR101728641B1 (ko) * 2016-09-30 2017-04-20 주식회사 포드림 무인비행체 조종이력 검증 시스템
WO2017216972A1 (ja) * 2016-06-17 2017-12-21 楽天株式会社 無人航空機制御システム、無人航空機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20180039496A (ko) * 2016-10-10 2018-04-18 주식회사 블루젠드론 블랙박스를 구비한 무인비행기의 관제 시스템
US20190077506A1 (en) * 2017-09-14 2019-03-14 At&T Intellectual Property I, L.P. Drone authentication system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137826A (ko) * 2013-05-24 2014-12-03 한국항공우주산업 주식회사 무인기의 지상통제 표준운용시스템
WO2017216972A1 (ja) * 2016-06-17 2017-12-21 楽天株式会社 無人航空機制御システム、無人航空機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101728641B1 (ko) * 2016-09-30 2017-04-20 주식회사 포드림 무인비행체 조종이력 검증 시스템
KR20180039496A (ko) * 2016-10-10 2018-04-18 주식회사 블루젠드론 블랙박스를 구비한 무인비행기의 관제 시스템
US20190077506A1 (en) * 2017-09-14 2019-03-14 At&T Intellectual Property I, L.P. Drone authentication system

Cited B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187698A1 (ko) * 2020-03-17 2021-09-23 주식회사 포드론 전원통제를 통한 긴급 제어장치를 구비한 유·무인 비행체
KR102155137B1 (ko) * 2020-04-16 2020-09-11 김원국 비행체를 위한 비행 통제 및 이력 기록 장치, 이를 포함한 비행체용 블랙박스 시스템 및 개인용 항공 이동 장치, 및 비행체를 위한 클라우드 비행 기록 관제관제 서버
WO2021210736A1 (ko) * 2020-04-16 2021-10-21 김원국 비행체를 위한 비행 통제 및 이력 기록 장치, 이를 포함한 비행체용 블랙박스 시스템 및 개인용 항공 이동 장치, 및 비행체를 위한 클라우드 비행 기록 관제관제 서버
KR102440819B1 (ko) * 2020-08-14 2022-09-08 주식회사 뉴로 순찰 드론을 포함하는 지역 감시 시스템
KR20220021669A (ko) * 2020-08-14 2022-02-22 주식회사 에스피스퀘어 순찰 드론을 포함하는 지역 감시 시스템
KR102418900B1 (ko) * 2020-09-01 2022-07-08 주식회사 티엔젠 무인이동체의 보안을 위한 암호키 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20220028986A (ko) * 2020-09-01 2022-03-08 (주)티엔젠 무인이동체의 보안을 위한 암호키 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102228579B1 (ko) * 2020-09-07 2021-03-16 주식회사 고스트패스 생체 정보를 기반으로 드론의 사용자 본인 인증을 수행하는 전자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KR20220057075A (ko) * 2020-10-29 2022-05-09 주식회사 웨이브쓰리디 드론의 사용자 인증 시스템
KR102401920B1 (ko) * 2020-10-29 2022-05-25 주식회사 웨이브쓰리디 드론의 사용자 인증 시스템
KR102411850B1 (ko) * 2021-05-11 2022-06-22 유비벨록스(주) 드론 식별 시스템
KR20230084748A (ko) 2021-12-06 2023-06-13 주식회사 포스웨이브 드론 비행 교육 및 운항의 통합적 관리를 위한 드론 관리 시스템
EP4319234A1 (en) * 2022-08-04 2024-02-07 Hyundai Motor Company Authentic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defending against attacks on uam aircraft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74292B1 (ko) 드론 및 드론 비행경력 관리 시스템
CN109154829B (zh) Uav系统的部件和用户管理
US10501055B1 (en) Passenger and vehicle mutual authentication
CN109716340B (zh) 无人飞行器操纵履历验证系统
EP3443451B1 (en) System for verification of integrity of unmanned aerial vehicles
US20200160633A1 (en) Detection of unauthorized access to vehicle compartments
CN107438989A (zh) 无人载具之间的认证消息
JP6573203B2 (ja) ジオフェンシング装置、uavシステム、uav、及び飛行規制のセットを生成させるための方法
US20070028095A1 (en) Security certificate management
KR102212287B1 (ko) 드론 인증 시스템, 방법 및 이를 수행하기 위한 컴퓨팅 장치
US9824508B2 (en) Transit vehicle sensor system
US8495722B1 (en) Method and system for controlling access to an aircraft-based wireless network
DE112016005883T5 (de) Sicheres Routing von Sensordaten
US20230379403A1 (en) Video kiosk inmate assistance system
EP4093022A1 (en) Method, apparatus, and system for managing image captured by drone
US20230041987A1 (en) Techniques for location access management in a movable object environment
JP7469819B2 (ja) 無人飛行装置、管理装置及び飛行管理方法
CN113259111A (zh) 重新提供数字安全证书的方法、系统和计算机程序产品
Wang et al. On the security of the FLARM collision warning system
Jain A drone forensics investigation framework
KR102575304B1 (ko) 드론 인증 시스템, 방법 및 이를 수행하기 위한 장치
JPWO2020065776A1 (ja) 情報処理装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20240025344A (ko) 드론, 교통 관리 서버, 드론 등록 서버 및 이를 이용한 드론 관제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