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45510A - 패턴홀이 구비된 김밥제조용 김 및 그 김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패턴홀이 구비된 김밥제조용 김 및 그 김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45510A
KR20170045510A KR1020150145151A KR20150145151A KR20170045510A KR 20170045510 A KR20170045510 A KR 20170045510A KR 1020150145151 A KR1020150145151 A KR 1020150145151A KR 20150145151 A KR20150145151 A KR 20150145151A KR 20170045510 A KR20170045510 A KR 2017004551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ttern
main body
kimchi
pattern hole
mol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451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813571B1 (ko
Inventor
이은아
이재석
Original Assignee
이은아
이재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은아, 이재석 filed Critical 이은아
Priority to KR102015014515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13571B1/ko
Publication of KR201700455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4551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135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1357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7/00Spices; Flavouring agents or condiments; Artificial sweetening agents; Table salts; Dietetic salt substitut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27/40Table salts; Dietetic salt substitut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PSHAPING OR WORKING OF FOODSTUFFS, NOT FULLY COVERED BY A SINGLE OTHER SUBCLASS
    • A23P10/00Shaping or working of foodstuffs characterised by the product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PSHAPING OR WORKING OF FOODSTUFFS, NOT FULLY COVERED BY A SINGLE OTHER SUBCLASS
    • A23P20/00Coating of foodstuffs; Coatings therefor; Making laminated, multi-layered, stuffed or hollow foodstuffs
    • A23P20/20Making of laminated, multi-layered, stuffed or hollow foodstuffs, e.g. by wrapping in preformed edible dough sheets or in edible food containers
    • A23P20/25Filling or stuffing cored food pieces, e.g. combined with coring or making caviti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Food-Manufactur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패턴홀이 구비된 김밥제조용 김 및 그 김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김밥제조용 김으로서, 상기 김은 사각의 시트형상으로 형성되는 김본체와, 상기 김본체에 형성되는 관통된 구조의 패턴홀들로 이루어져, 제조된 김밥에서 상기 김본체의 패턴홀을 통해 밥알들이 외부에 노출되도록 하여, 김본체에 패턴홀을 형성함으로서, 김밥을 말은 후 패턴홀을 통해 밥알들이 외부에 노출되도록 되어, 사용자가 미적인 아름다음을 느낄 수 있게 되고, 김본체에 일정간격을 유지하며 패턴홀을 형성되어, 김밥을 형성한 후 패턴홀들 사이를 절단함으로서, 일정한 크기로 김밥을 절단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패턴홀이 구비된 김밥제조용 김 및 그 김의 제조방법{ This pattern holes provided for producing rolled in laver and its manufacturing method of laver }
본 발명은 패턴홀이 구비된 김밥제조용 김 및 그 김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상세하게는 김본체에 패턴홀을 형성함으로서, 김밥을 말은 후 패턴홀을 통해 밥알들이 외부에 노출되도록 되어, 사용자가 미적인 아름다음을 느낄 수 있게 되고, 김본체에 일정간격을 유지하며 패턴홀을 형성되어, 김밥을 형성한 후 패턴홀들 사이를 절단함으로서, 일정한 크기로 김밥을 절단할 수 있게 되는 패턴홀이 구비된 김밥제조용 김 및 그 김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김밥은 김 고유의 맛과 내부의 다양한 재료의 맛에 의해 독특한 맛을 형성하는 간편 식품으로 야외 소풍이나 나들이시에 많이 지참되어 먹거리를 이루고 있으며, 또한 오전 출근시간 또는 바쁜 직장인들의 식사 대용으로서 많이 이용되고 있다.
또한, 이러한 김밥은 햄버거, 피자 등 각종 외래 음식들이 우리나라 전체의 식생활 문화를 바꾸어 가고 있는 현실하에서 우리의 입맛에 맞고 영양의 공급도 충분하여 외래 음식에 대항할 수 있는 간편식으로 개발되고 있으며, 대한민국 출원번호 제10-2003-0040509호에서아 같이 다른 김밥제품과 차별화 할 수 있는 김밥이 지속적으로 개발되고 있다.
전술한 발명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배경기술을 의미하며, 종래 기술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은 시대적인 요구사항에 맞추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김본체에 패턴홀을 형성함으로서, 김밥을 말은 후 패턴홀을 통해 밥알들이 외부에 노출되도록 되어, 사용자가 미적인 아름다음을 느낄 수 있게 되고, 김본체에 일정간격을 유지하며 패턴홀을 형성되어, 김밥을 형성한 후 패턴홀들 사이를 절단함으로서, 일정한 크기로 김밥을 절단할 수 있게 되는 패턴홀이 구비된 김밥제조용 김 및 그 김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김밥제조용 김으로서, 상기 김은 사각의 시트형상으로 형성되는 김본체와, 상기 김본체에 형성되는 관통된 구조의 패턴홀들로 이루어져, 제조된 김밥에서 상기 김본체의 패턴홀을 통해 밥알들이 외부에 노출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사각의 시트형상으로 이루어진 김본체를 준비하는 재료분비단계와, 상기 김본체를 성형기로 이동시켜 배치시키는 성형준비단계와, 상기 성형기로 상기 김본체에 패턴홀을 형성시키는 패턴홀 형상단계와, 상기 패턴홀이 형성된 김본체들을 포장하는 포장단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성형기는 레이져 가공기이며, 상기 레어져 가공기의 테이블에 상기 김본체를 배치시킨 후 레이져로 상기 김본체의 일부를 절단하여 패턴홀을 형성시키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성형기는 금형 가공기이며, 상기 금형 가공기는 패턴절단홈이 형성되고, 상기 김본체들이 수용되도록 수용틀이 형성된 하부금형과, 상기 수용틀에 끼움되도록 삽입돌부가 저면에 형성되고, 상기 삽입돌부에는 상기 김본체들을 가압 및 절취하여 상기 패턴홀을 형성시킴과 아울러 상기 패턴절단홈에 인입되는 패턴절단날이 형성된 상부금형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하부금형에는 요동모듈이 더 형성되며, 상기 요동모듈은 상기 하부금형에 형성되고 일면에 한쌍의 타격돌기가 형성된 작동홈 및 상기 작동홈의 내측면 설치되어 상기 타격돌기를 타격하는 편심캠과 상기 편심캠을 회전시키는 형성된 모터로 이루어진 진동장치로 이루어지고, 상기 상부금형에는 상기 김본체들을 가압고정시키도록 탄성가압모듈이 더 마련되며, 상기 탄성가압모듈은 상기 삽입돌부에 형성되는 틀형상의 작동홈과, 상기 작동홈에 배치되는 탄성스프링과, 상기 탄성스프링에 지지되게 상기 작동홈에 배치되는 가압틀로 이루어지며, 상기 가압틀의 단부에는 탄성틀이 더 부착되고, 상기 탄성틀의 내측면에는 틀형상으로 이루어진 지지망부가 더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인 패턴홀이 구비된 김밥제조용 김 및 그 김의 제조방법은 김본체에 패턴홀을 형성함으로서, 김밥을 말은 후 패턴홀을 통해 밥알들이 외부에 노출되도록 되어, 사용자가 미적인 아름다음을 느낄 수 있게 되고, 김본체에 일정간격을 유지하며 패턴홀을 형성되어, 김밥을 형성한 후 패턴홀들 사이를 절단함으로서, 일정한 크기로 김밥을 절단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패턴홀이 구비된 김밥제조용 김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패턴홀이 구비된 김밥제조용 김의 제조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패턴홀이 구비된 김밥제조용 김의 제조방법에 있어, 금형가공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패턴홀이 구비된 김밥제조용 김의 제조방법에 있어, 금형가공기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패턴홀이 구비된 김밥제조용 김의 제조방법에 있어, 금형가공기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도 5에 있어, 가압틀,탄성틀 및 지지망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패턴홀이 구비된 김밥제조용 김 및 그 김의 제조방법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또한,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한정하는 것이 아니라 단지 예시로 제시하는 것이며, 본 기술 사상을 통해 구현되는 다양한 실시예가 있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패턴홀이 구비된 김밥제조용 김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패턴홀이 구비된 김밥제조용 김의 제조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패턴홀이 구비된 김밥제조용 김의 제조방법에 있어, 금형가공기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패턴홀이 구비된 김밥제조용 김의 제조방법에 있어, 금형가공기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패턴홀이 구비된 김밥제조용 김의 제조방법에 있어, 금형가공기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6은 도 5에 있어, 가압틀,탄성틀 및 지지망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패턴홀이 구비된 김밥제조용 김(10)(이하 설명의 편의상 김밥제조용 김이라 명명함)은 봉형상의 김밥을 제조하는 김밥제조용 김으로서, 이에 이와같은 김밥제조용 김(10)은 김 본체(20)와 패턴홀(30)들로 이루어진다.
상기 김본체(20)는 내부에 밥과 각종 야채를 배치한 후 봉형상으로 둥글게 말아 일정한 크기로 잘라서 먹게되는 김밥에 사용되는 것으로서, 상기한 김본체(2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각의 시트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패턴홀(30)들은 상기 김본체(20)에 관통된 구조로 형성된다.
상기한 김밥제조용 김(10)으로 제조된 김밥은 상기 김본체(20)의 패턴홀(30)을 통해 밥알들이 외부에 노출되도록 되어, 사용자가 미적인 아름다음을 느낄 수 있게 된다.
이때, 밥알들은 상호 점성이 있어 상기 패턴홀(30)을 통해 외부로 배출되지 않게 되며, 상기한 패턴홀(30)의 크기는 밥알보다 작은 1mm 이하 또는 1mm 이상 중 어느것으로 형성시킬 수 있으며, 통상 1mm 이하로 형성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천연색소나 각종 첨가물을 혼합하여 밥을 지은 후 김밥을 형성시키게 되면, 밥이 갖는 색상이 상기 패턴홀(30)을 통해 외부로 노출되어 재차 심미감을 갖게 된다.
여기서, 상기 김본체(20)에 형성되는 패턴홀(30)에는 연결바를 더 형성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김본체(20)에 일정간격을 유지하며 패턴홀(30)을 형성시킨 다음, 김밥을 형성한 후 패턴홀(30)들 사이를 절단함으로서, 일정한 크기로 김밥을 절단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패턴홀(30)은 다양한 형상과 모양으로 형성시킬 수 있으며, 글자형상이나 이미지 형상으로 형성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상기 패턴홀(30)들이 연결되게 형성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도 2를 참조하면,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김밥제조용 김을 제조하기 위한 패턴홀(30)이 구비된 김밥제조용 김의 제조방법은 사각의 시트형상으로 이루어진 김본체(20)를 준비하는 재료준비단계(S1)를 거친 후 상기 김본체(20)를 성형기로 이동시켜 배치시키는 성형준비단계(S2)를 거친 다음 상기 성형기로 상기 김본체(20)에 패턴홀(30)을 형성시키는 패턴홀 형상단계(S3)를 거친 후 상기 패턴홀(30)이 형성된 김본체(20)들을 포장하는 포장단계(S4)를 거침으로서, 일련의 과정을 마치게 된다.
이때, 상기 김본체(20)에 패턴홀(30)을 형성시키는 상기 성형기는 레이져 가공기이며, 상기 레어져 가공기의 테이블에 상기 김본체를 배치시킨 후 레이져로 상기 김본체(20)의 일부를 절단하여 패턴홀(30)을 형성시키게 된다.
도 3을 참조하면, 다르게는 상기 김본체(20)에 팬턴홀(30)을 형성시키는 상기 성형기는 금형 가공기(40)가 사용되며, 상기 금형 가공기(40)는 상면에 패턴절단홈(411)이 형성되고, 상기 김본체(20)들이 수용되도록 사각의 수용틀(411)이 형성된 하부금형(41)과, 저면에 상기 수용틀(411)에 끼움되는 삽입돌부(422)에 형성되고, 상기 삽입돌부(422)에는 상기 김본체(20)들을 가압 및 절취하여 상기 패턴홀(30)을 형성시킴과 아울러 상기 패턴절단홈(412)에 인입되는 패턴절단날(421)이 형성되며, 실린더에 의해 구동되는 상부금형(42)으로 이루어져, 적층되게 김본체(20)들을 상기 수용틀(411)에 배치시킨 후 패턴절단날(421)로 가압함과 아울러 절취하여 김본체(20)들에 패턴홀(30)을 형성시킬 수 있게 된다.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하부금형(41)에는 요동모듈(50)이 더 형성되며, 상기 요동모듈(50)은 상기 하부금형(40)에 형성되고 일면에 한쌍의 타격돌기(511)가 형성된 작동홈(51) 및 상기 타격돌기(511)를 타격하는 편심캠(521)과 상기 편심캠(521)을 회전시키고 상기 작동홈(51)의 내측면 형성되는 한쌍의 지지바의 단부에 용접 또는 나사체결되어 고정되는 모터(522)로 구성된 진동장치(52)로 이루어져, 상기 요동모듈(50)이 상기 하부금형(41)을 진동시켜 패턴절단날(421)이 김본체(20)들을 가압하는 과정에서 김본체(20)들에 걸림되어 찢기는 것을 방지하면서 절취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삽입돌부(412)에는 상기 김본체(20)들을 가압고정시키도록 탄성가압모듈(60)이 더 마련되며, 상기 탄성가압모듈(60)은 상기 삽입돌부(412)에 형성되는 틀형상으로 형성되고 내측 하부에 걸림턱이 형성된 작동홈(61)과, 상기 작동홈(61)에 배치되는 다수의 탄성스프링(62)과, 상기 탄성스프링(62)에 지지되게 상기 작동홈(61)에 일단이 끼움되게 배치되고 상기 걸림턱에 걸림되도록 걸림돌부가 형성된 가압틀(63)로 이루어져, 상부금형(42)이 하부금형(41)방향으로 이동하게 되면 상기 가압틀(63)이 김본체(20)들을 가압하면서 탄성스프링(62)이 압축되고, 지속적으로 상부금형(42)이 하향으로 이동하면서 압축되는 탄성스프링(62)의 탄성에 의해 가압틀(63)이 김본체(20)들의 테두리 부분을 고정시키게 됨과 아울러 패턴절단날(421)로 김본체(20)들을 가압,절취하여 일정하게 김본체들에 패턴홀을 형성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가압틀(63)의 단부에는 탄성을 갖는 합성수지재로 이루어진 탄성틀(631)이 더 부착되고, 상기 탄성틀(631)의 단부에는 틀형상으로 이루어진 탄성을 갖는 합성수지재 또는 합성섬유재로 이루어진 지지망부(632)가 더 부착되어, 김본체(20)들을 가압하는 과정에서 김본체(20)가 찢겨지는 것을 방지하게 됨과 아울러 가압면적이 넓어져 균일하게 가압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상기 성형준비단계 이후에는 절취선형성단계가 더 마련되며, 상기 절취선형성단계는 상기 패턴홀의 테두리 형상으로 형성되게 상기 상부금형에 형성되는 다수의 핀으로 이루어진 절취핀부와, 상기 절취핀부가 끼움되게 상기 하부금형에 형상되는 절취홈부로 이루어져, 상기 절취핀부로 상기 김본체에 패턴홀 형상의 절취선을 형성시켜, 패턴홀 형성단계에서 상부금형의 가압에 의해 절취선대로 가압절단하여 김본체가 찌져지는 것을 방지하면서 패턴홀을 형성시킬 수 있게 된다.
10 : 김밥제조용 김 20 : 김본체
30 : 패턴홀 40 : 금형가공기
50 : 요동모듈 60 : 탄성가압모듈
41 : 하부금형 411 : 수용틀
412 : 패턴절단홈
42 : 상부금형 421 : 패턴절단날
422 : 삽입돌부
51 : 작동홈 511 : 타격돌기
52 : 진동장치 521 : 편심캠
522 : 모터
61 : 작동홈 62 : 탄성스프링
63 : 가압틀 631 : 탄성틀
632 : 지지망부
S1 : 재료준비단계 S2 : 성형준비단계
S3 : 패턴홀 형성단계 S4 : 포장단계

Claims (5)

  1. 김밥제조용 김으로서,
    상기 김은 사각의 시트형상으로 형성되는 김본체와, 상기 김본체에 형성되는 관통된 구조의 패턴홀들로 이루어져, 제조된 김밥에서 상기 김본체의 패턴홀을 통해 밥알들이 외부에 노출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턴홀이 구비된 김밥제조용 김.
  2. 사각의 시트형상으로 이루어진 김본체를 준비하는 재료분비단계;
    상기 김본체를 성형기로 이동시켜 배치시키는 성형준비단계;
    상기 성형기로 상기 김본체에 패턴홀을 형성시키는 패턴홀 형상단계; 및
    상기 패턴홀이 형성된 김본체들을 포장하는 포장단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턴홀이 구비된 김밥제조용 김의 제조방법.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성형기는 레이져 가공기이며, 상기 레어져 가공기의 테이블에 상기 김본체를 배치시킨 후 레이져로 상기 김본체의 일부를 절단하여 패턴홀을 형성시키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턴홀이 구비된 김밥제조용 김의 제조방법.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성형기는 금형 가공기이며,
    상기 금형 가공기는 패턴절단홈이 형성되고, 상기 김본체들이 수용되도록 수용틀이 형성된 하부금형과,
    상기 수용틀에 끼움되도록 삽입돌부가 저면에 형성되고, 상기 삽입돌부에는 상기 김본체들을 가압 및 절취하여 상기 패턴홀을 형성시킴과 아울러 상기 패턴절단홈에 인입되는 패턴절단날이 형성된 상부금형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턴홀이 구비된 김밥제조용 김의 제조방법.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금형에는 요동모듈이 더 형성되며,
    상기 요동모듈은 상기 하부금형에 형성되고 일면에 한쌍의 타격돌기가 형성된 작동홈 및 상기 작동홈의 내측면 설치되어 상기 타격돌기를 타격하는 편심캠과 상기 편심캠을 회전시키는 형성된 모터로 이루어진 진동장치로 이루어지고,
    상기 상부금형에는 상기 김본체들을 가압고정시키도록 탄성가압모듈이 더 마련되며,
    상기 탄성가압모듈은 상기 삽입돌부에 형성되는 틀형상의 작동홈과,
    상기 작동홈에 배치되는 탄성스프링과,
    상기 탄성스프링에 지지되게 상기 작동홈에 배치되는 가압틀로 이루어지며,
    상기 가압틀의 단부에는 탄성틀이 더 부착되고,
    상기 탄성틀의 내측면에는 틀형상으로 이루어진 지지망부가 더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턴홀이 구비된 김밥제조용 김의 제조방법.
KR1020150145151A 2015-10-19 2015-10-19 패턴홀이 구비된 김밥제조용 김 및 그 김의 제조방법 KR10181357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45151A KR101813571B1 (ko) 2015-10-19 2015-10-19 패턴홀이 구비된 김밥제조용 김 및 그 김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45151A KR101813571B1 (ko) 2015-10-19 2015-10-19 패턴홀이 구비된 김밥제조용 김 및 그 김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45510A true KR20170045510A (ko) 2017-04-27
KR101813571B1 KR101813571B1 (ko) 2017-12-29

Family

ID=587027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45151A KR101813571B1 (ko) 2015-10-19 2015-10-19 패턴홀이 구비된 김밥제조용 김 및 그 김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1357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13353A (ko) 2019-03-25 2020-10-07 김덕순 꼬막성분이 함유된 김밥김의 제조방법 및 그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김
KR102385520B1 (ko) * 2021-06-04 2022-04-14 고젠코리아 주식회사 무늬성형이 가능한 전장김 레이저 컷팅장치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339357A (ja) * 2002-05-28 2003-12-02 Kumakura:Kk 微細な丸、又は多角形状の抜き穴を多数形成された海苔及びそれらを加工する機械装置。
JP5160873B2 (ja) * 2007-12-12 2013-03-13 株式会社白子 焼海苔の製造方法およびその方法により製造された焼海苔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13571B1 (ko) 2017-12-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13571B1 (ko) 패턴홀이 구비된 김밥제조용 김 및 그 김의 제조방법
US20060182859A1 (en) Apparatus and process for forming a decorative impression in a previously-cooked edible product and the product formed thereby
KR102303970B1 (ko) 김 부각 제조 방법
CN107087650A (zh) 一种组合式自动摊面饼装置
KR101248566B1 (ko) 커피 머신의 생원두 로스팅 기구
KR101523016B1 (ko) 주먹밥 제조방법 및 성형틀
KR101218016B1 (ko) 쿠키 반죽 성형기
KR101857194B1 (ko) 육고기 말이식 핫도그 제조 방법 및 육고기 사각 슬라이스 제조 방법
US20170055564A1 (en) Tofu, tool for shaping tofu and method for shaping tofu
JP6013545B2 (ja) 刻んだ株漬け型キムチの製造方法
KR101666134B1 (ko) 밥버거 성형장치
CN206780475U (zh) 一种豆干切块装置
JP2005075789A (ja) 多色固形化粧料および多色固形化粧料の製造方法
CN201976694U (zh) 多功能寿司制作器
KR101947136B1 (ko) 계란말이 제조장치
CN211541356U (zh) 一种自动化豆干生产装置
KR20110120795A (ko) 카푸치노 커피의 표면에 문양을 형성하는 방법 및 이의 문양 형성 장치
CN202603515U (zh) 豆干格垫
CN205031107U (zh) 一种适用于食物料理机的杯体组件及食物料理机
RU2184031C2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резки сменными блоками-резаками "викост"
CN203863704U (zh) 一种食物切片装置
CN210633794U (zh) 具有稳定成型结构的片状料理模具
KR101117088B1 (ko) 떡 성형용기용 받침패킹 및 떡 찜 세트
WO2008110032A1 (fr) Tofu en plaques avec farce et son procédé de préparation
JP3210632U (ja) 柄付き薄焼き卵作成補助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