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66134B1 - 밥버거 성형장치 - Google Patents

밥버거 성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66134B1
KR101666134B1 KR1020160066040A KR20160066040A KR101666134B1 KR 101666134 B1 KR101666134 B1 KR 101666134B1 KR 1020160066040 A KR1020160066040 A KR 1020160066040A KR 20160066040 A KR20160066040 A KR 20160066040A KR 101666134 B1 KR101666134 B1 KR 10166613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ice
burger
lower frame
frame
rice burg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660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준묵
Original Assignee
김준묵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준묵 filed Critical 김준묵
Priority to KR102016006604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6613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6613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6613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PSHAPING OR WORKING OF FOODSTUFFS, NOT FULLY COVERED BY A SINGLE OTHER SUBCLASS
    • A23P20/00Coating of foodstuffs; Coatings therefor; Making laminated, multi-layered, stuffed or hollow foodstuffs
    • A23P20/10Coating with edible coatings, e.g. with oils or fats
    • A23P20/15Apparatus or processes for coating with liquid or semi-liquid product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7/00Cereal-derived products; Malt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7/10Cereal-derived product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PSHAPING OR WORKING OF FOODSTUFFS, NOT FULLY COVERED BY A SINGLE OTHER SUBCLASS
    • A23P20/00Coating of foodstuffs; Coatings therefor; Making laminated, multi-layered, stuffed or hollow foodstuffs
    • A23P20/20Making of laminated, multi-layered, stuffed or hollow foodstuffs, e.g. by wrapping in preformed edible dough sheets or in edible food containers

Abstract

본 발명은, 밥버거를 구성하는 상부번과 하부번을 안정적으로 성형함과 동시에 패티를 삽입하여 전체적인 버거형태로 형성할 때, 간편하고 원활하게 작업을 수행할 수 있으며, 특히, 그 구조가 간단하여 경제적으로 제공할 수 있도록;
밥으로 이루어진 상부번과 하부번의 사이에 토핑층이 게재된 상태에서 적층형성된 밥버거를 제조하도록 된 밥버거의 제조방치에 있어서; 상하로 관통된 관통공을 가지는 '관' 형상의 하부틀과; 상기 하부틀의 일측에 회전가능하게 결합하며 회전시 상기 하부틀과 수평 및 수직으로 배치되도록 되며 수직으로 배치될 때 상기 하부틀과 접하는 면에는 내측으로 형성된 상부번형성홈이 형성된 상부틀과; 상기 하부틀의 관통공과 상부틀의 상부형성홈의 내경보다 작은 직경을 가지는 '봉' 형상의 성형봉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밥버거 성형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밥버거 성형장치{Rice Burger-forming device}
본 발명은, 밥으로 이루어진 상부 번과 하부 번의 사이에 고기 채소 등과 같은 토핑층을 채워서 된 밥버거를 성형하도록 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밥버거를 구성하는 상부번과 하부번을 안정적으로 성형함과 동시에 토핑층을 삽입하여 전체적인 버거형태로 형성할 때, 간편하고 원활하게 작업을 수행할 수 있으며, 특히, 그 구조가 간단하여 경제적으로 제공할 수 있도록 된 밥버거 성형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산업화 및 핵가족화가 가속되면서 사람들은 식사 대용으로 조리가 간편하거나 반조리 식품 또는 완전 조리식품을 찾는 경향이 날로 증가하고 있다. 이와 함께 외식에 대한 수요자의 욕구는 다양하게 확대되고 있으며, 이를 충족하기 위해 식품업체에서는 다양한 패스트푸드 형태의 제품들을 개발, 제조 판매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런 다양한 패스트푸드에는 김밥, 삼각김밥, 주먹밥, 햄버거, 샌드위치 및 컵라면과 같은 즉석 요리가 있다.
일반적으로 김밥 류는 원기둥 형태나 삼각 형태의 삼각김밥 또는 필요에 따라 기타 형태로 제조되고 있으며, 제조방법도 수작업이나 도구 또는 간단한 기계를 이용하여 제조되고 있다. 또한 김을 제외한 주먹밥의 형태로도 제조되어 판매되고 있다.
가장 일반적인 원기둥 형태의 김밥은, 김 위에 일정량의 밥을 올려 넓게 펼쳐 놓고 그 위에 속 재료의 내용물을 올린 뒤 둥글게 말아 제조되어 판매한다.
그리고 삼각김밥(주먹밥)은 내부에 김이 구비된 포장시트에 밥과 함께 기호에 따라 각종 내용물이 첨가된 삼각 형태의 주먹밥이라 할 수 있다.
한편, 빵을 주재료로 하여 상부번과 하부번과 고기(햄) 및 채소 등을 패티를 순차적으로 적층 한 샌드위치형태의 햄버거가 간편한 음식으로 널리 이용되고 있는 실정으로, 근자에는, 밥과 햄버거를 결합한 퓨전 형태의 밥버거가 제안되어 널리 공급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밥버거는, 밥을 주재료로 하여 형성된 상부번과 하부번의 사이에 고기(햄) 및 채소 등으로 이루어진 패티를 게재하여서 된 적층구조로 이루어진 것으로, 최근에 널리 보급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와 같은 밥버거를 대량으로 공급하기 위하여 밥버거를 간편하고 신속하게 제조할 수 있는 다양한 형태의 방법 및 장치들이 제안되고 있으며, 그 중 하나로, 한국특허등록번호 제10-1359225호(명칭: 식품 제조용 성형몰드 및 이러한 성형몰드를 사용하여 제조된 식품)이 있으며, 공보에 공지된 바와 같이, 상부 형상부가 각인되어 있는 제 1 접촉면 및 타면을 포함하고, 상기 타면 상에 상기 상부 형상부와 연통된 몰딩재료 주입부가 형성되어 있고, 플라스틱으로 이루어진 상부 몰드; 상기 상부 형상부의 형상에 연속된 형상의 하부 형상부가 각인되어 있는 제 2 접촉면을 포함하고, 플라스틱으로 이루어진 하부 몰드; 및 상기 제 1 접촉면, 상기 제 2 접촉면, 또는 상기 제 1 접촉면 및 제 2 접촉면에는 상기 상부 몰드와 하부 몰드가 결합되었을 때 입체형상을 가진 캐비티에 수용되는 몰딩재료의 기밀성을 유지할 수 있도록 패킹을 형성하는 패킹부;를 포함하고 상기 상부 몰드와 하부 몰드는 상기 상부 형상부에 각인된 형상과 하부 형상부에 각인된 형상이 서로 연속되어 성형몰드 내부에 하나의 입체형상을 가진 캐비티(cavity)를 형성하도록 상기 제 1 접촉면과 제 2접촉면이 서로 접촉하면서 탈착 가능하게 결합됨으로써 일체화되며, 삶거나 찌는 방식에 의하여 상기 몰딩재료를 고형화하는 성형몰드가 기재되어 있다.
그리고, 한국특허등록번호 제10-1291375호(명칭: 밥버거 제조방법 및 성형장치)에서는, 공보에 공지된 바와 같이, 밥버거의 직경과 높이의 제 1밥버거틀공간을 이루는 제 1밥버거틀; 제 1밥버거틀의 제 1밥버거틀공간에 하층조미밥을 넣은 후 하층조미밥의 상부 표면 테두리를 제외한 중앙부를 눌러 반찬부를 수용하는 반찬공간부를 만드는 뚜껑형 누름판; 제 1밥버거틀에서 제 1 밥버거틀공간에 하층조미밥, 반찬부를 넣는 반찬공간부, 및 상층조미밥이 층을 이루도록 만든 1차 밥버거를 수용하고 상면을 눌러서 높이가 낮아지도록 했을 때의 직경을 이룬 2차밥버거를 성형하는 제 2밥버거틀 공간을 가지는 제 2밥버거틀; 제 1 밥버거틀과 제 2 밥버거틀을 힌지결합하고, 힌지 위치는 제 1 밥버거틀을 180도 회전하여 제2 밥버거틀과 중심축이 일치하는 위치에서 1차밥버거를 하중에 의하여 제 2밥버거틀공간으로 이동하는 힌지축 작용을 하도록 형성한 힌지를 포함하여 구성한 밥버거 성형장치가 기재되어 있다.
한편, 한국특허등록번호 제10-1523016호(명칭: 주먹밥 제조방법 및 성형틀)에서는, 공보에 공지된 바와 같이, 내측 공간에 밥을 채워서 주먹밥의 외형을 결정하는 소정의 형태를 갖는 중공형 몸체부, 상기 몸체부에 삽입되는 채움틀, 상기 몸체부의 이면 및 타면에 각각 삽입되되 상기 성형틀을 폐쇄하고 가압하는 상부판 및 하부판을 갖는 주먹밥 성형틀이 기재되어 있다.
또한, 한국특허공개번호 제10-2016-0015103호(명칭: 밥 버거 성형장치)에서는, 공보에 공지된 바와 같이, 일정량의 밥을 가압하여 버거를 성형하는 성형장치에 있어서, 저면에 일정 간격 돌출되며 상부버거를 형성하며 가압하는 제 1돌출부와 하부버거를 형성하며 가압하는 제2돌출부와 토핑을 가압하는 제 3돌출부로 형성된 가압플레이트와, 상기 가압플레이트의 제 1, 2, 3돌출부가 관통될 수 있도록 성형 홈이 다수개 형성된 성형플레이트와, 상기 가압플레이트의 제 1, 2, 3돌출부와 각각 대응되는 제 1, 2, 3홈부가 일정 깊이로 형성된 지지플레이트와, 상기 가압플레이트와, 성형플레이트 및 지지플레이트를 상호 관통하여 연결되며 상승, 하강하는 작동부재 및 상기 작동부재의 상승, 하강 제어, 밥을 가압하는 시간, 가압하는 압력을 조절하는 제어부로 구성되는 밥버거 성형장치가 기재되어 있다.
1, 한국특허등록번호 제10-1359225호 2, 한국특허등록번호 제10-1291375호 3, 한국특허등록번호 제10-1523016호 4, 한국특허등록번호 제10-2016-0015103호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밥버거 성형장치들은, 밥을 외피로 하여 외피의 내부에 반찬류 등과 같은 토핑재가 매립된 주먹밥류 형태의 밥버거를 제조할 수 있을 뿐, 상부번과 하부번 및 패티 등과 같은 토핑층이 순차적으로 적층된 형태르 밥버거를 제조하기 힘든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따라, 토핑층이 상부번과 하부번에 대하여 양이 현저하게 적어 영양성이 떨어짐은 물론 풍미감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와 더불어, 그 구조가 복잡하여 제조가 어려워 경제적으로 보급하기 힘든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밥버거를 구성하는 상부번과 하부번을 안정적으로 성형함과 동시에 패티 등과 같은 토핑층을 선택적으로 양을 조절하여 적층 형성하고 전체적인 버거형태를 안정적으로 형성함은 물론, 간편하고 원활하게 작업을 수행할 수 있으며, 특히, 그 구조가 간단하여 경제적으로 제공할 수 있도록 된 밥버거 성형장치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밥버거 성형장치는, 밥으로 이루어진 상부번과 하부번의 사이에 토핑층이 게재된 상태에서 적층형성된 밥버거를 제조하도록 된 밥버거 성형장치에 있어서; 상하로 관통된 관통공을 가지는 '관' 형상의 하부틀과; 상기 하부틀의 일측에 회전가능하게 결합하며 회전시 상기 하부틀과 수평 및 수직으로 배치되도록 되며 수직으로 배치될 때 상기 하부틀과 접하는 면에는 내측으로 형성된 상부번형성홈이 형성된 상부틀과; 상기 하부틀의 관통공과 상부틀의 상부형성홈의 내경보다 작은 직경을 가지는 '봉' 형상의 성형봉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하부틀과 상부틀의 외측면에는, 손잡이봉이 끼움결합하여 착탈되는 끼움홈이 각각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발명의 밥버거 성형장치는, 그 구조가 간단하여 경제적으로 제공할 수 있으며, 밥버거의 제조작업을 편하고 원활하게 작업을 수행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특히, 밥버거를 구성하는 상부번과 하부번을 상기 상부틀과 하부틀을 통해 안정적으로 성형할 수 있으며, 상기 하부틀의 관통공을 통해하부번의 상부로 토핑층을 선택적으로 양을 조절하여 적층 형성할 수 있어, 영양성을 확보하면서 제조할 수 있으며, 전체적인 버거형태를 안정적으로 형성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 예에 의한 밥버거 성형장치를 보인 개략 분리 사시 예시도.
도 2는, 본 실시 예에 의한 밥버거 성형장치를 보인 개략 단면 예시도.
도 3 내지 도 13은, 본 실시 예에 의한 밥버거 성형장치의 사용상태를 보인 개략 예시도.
도 14는, 본 실시 예에 의한 밥버거 성형장치에 적용되는 상부틀의 다른 예를 보인 개략 단면 예시도.
도 15는, 본 실시 예에 의한 밥버거 성형장치에 적용되는 하부틀의 다른 예를 보인 개략 단면 예시도.
도 16은, 본 실시 예에 의한 밥버거 성형장치에 적용되는 성형봉의 다른 예를 보인 개략 예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에 의한 밥버거 성형장치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여러 가지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에서 상세히 설명하는 실시 예로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실시예는 당 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더욱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서의 요소의 형상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강조하기 위해서 과장되어 표현될 수 있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부재는 동일한 참조부호로 도시한 경우가 있음을 유의하여야 한다.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기술은 생략된다.
도 1 내지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 예에 의한 밥버거 성형장치를 보인 도면으로, 본 실시 예에 의한 밥버거 성형장치(1)는, 밥으로 이루어진 상부번(11)과 하부번(12)의 사이에 고기(햄) 및 채소 등과 같은 토핑층(13)이 게재된 상태에서 적층형성된 밥버거(10)를 제조하는 것에 적용된다.
상기에서 상부번(11)과 하부번(12)을 밥을 주재료로 하여 두께를 가지는 '판'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본 실시 예에 의한 밥버거 성형장치(1)는, 상하로 관통된 관통공을 가지는 '관' 형상의 하부틀(2)을 가진다.
상기에서 관통공의 내경은, 제조하고자 하는 하부번(12)의 외경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실시 예에 의한 밥버거 성형장치(1)는, 상기 하부틀(2)의 일측에 회전가능하게 결합하며 회전시 상기 하부틀(2)과 수평 및 수직으로 배치되도록 되며, 수직으로 배치될 때 상기 하부틀(2)과 접하는 면에는 내측으로 형성된 상부번형성홈(31)이 형성된 상부틀(3)을 가진다.
상기에서 상부번형성홈(31)의 내경은, 제조하고자 하는 상부번의 외경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실시 예에 의한 밥버거 성형장치(1)에서, 상기한 하부틀(2)과 상부틀(3)은, 힌지축(32)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하게 고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를 위해 상기 하부틀(2)과 상기 상부틀(3)의 결합하는 면에서, 상기 상부틀(3)에는 힌지축(32)이 고정된 고정브라켓이 형성되고, 상기 하부틀(2)에는, 상기 힌지축(32)이 회전가능하게 관통되면서 고정되는 결합공(21)이 형성된 결합브라켓이 각각 형성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이와 더불어, 상기 하부틀(2)의 결합공(21)은, 상기 힌지축(32)이 상하로 이동가능하도록 된 장공으로 이루어져, 상기 하부틀(2)에 대하여 상기 상부틀(3)이 회전하여 수직으로 적층배열될 때, 상기 하부틀(2)의 상부면과 상부틀(3)의 상부면이 서로 접촉하면서 결합되도록 되며, 상기 하부틀(2)에 대하여 상기 상부틀(3)이 회전하여 수평으로 적층배열될 때, 상기 하부틀(2)의 저면과 상부틀(3)의 저면이 수평상 동일한 선상에 배치되도록 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실시 예에 의한 밥버거 성형장치(1)는, 상기 하부틀(2)의 관통공과 상부틀(3)의 상부번형성홈(31)의 내경보다 작은 직경을 가지는 '봉' 형상의 성형봉(4)을 더 가진다.
즉, 상기 성형봉(4)이 상기 하부틀(2)의 관통공 및 상부틀(3)의 상부번형성홈(31)으로 관통 및 내입되면서 하부틀(2)과 상부틀(3)에 각각 공급된 밥을 다지면서 '판' 형상으로 성형하게 된다.
상기에서 성형봉(4)의 저면은, 중앙이 하측방향으로 포물형상으로 돌출되면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에 따라, 상기 성형봉(4)이 상기 하부틀(2)과 상부틀(3)에 각각 공급된 밥을 다지면서 '판' 형상으로 성형할 때 상면이 내측방향으로 요입되면서 성형되도록 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따라서, 추후 상기 하부번(12)의 상부로 적층되는 토핑층(13)이 하부번(12)의 내측으로 수용되면서 적층되도록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한 성형봉(4)은, 도 16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저면에 하부로 돌출된 돌출턱(41)이 형성되어 상기하부틀(2) 및 상기 상부틀(3)에 투입된 밥을 성형할 때, 중앙에 토핑층(13)이 수용되는 요홈을 성형하면서 형성할 수도 있는 것으로,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적용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실시 예에 의한 밥버거 성형장치(1)에서, 상기 하부틀(2)과 상부틀(3)의 외측면에는, 손잡이봉(5)이 끼움결합하여 착탈되는 끼움홈(6)이 각각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손잡이봉(5)은 상기 하부틀(2)과 상부틀(3)의 외측면에 나사결합 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가 손으로 상기 손잡이봉(5)를 잡고 간편하게 하부틀(2)에 대한 상부틀(3)의 회전작업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상기에서 하부틀(2)에는, 상기 끼움홈(6)이 상기 하부틀(2)과 상부틀(3)의 수평상 배치방향에 대하여 동일한 방향을 가지면서 상기 손잡이봉(5)가 결합되는 위치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상부틀(3)에는, 상기 끼움홈(6)이 상기 하부틀(2)과 상부틀(3)의 수평상 배치방향에 대하여 직교하는 방향을 가지면서 상기 손잡이봉(5)가 결합되는 위치에 배치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실시 예에 의한 밥버거 성형장치의 작용효과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 내지 도 13은, 본 실시 예에 의한 밥버거 성형장치(1)를 통해 밥버거(10)를 제조하는 과정을 보인 도면으로, 본 실시 예에 의한 밥버거 성형장치(1)를 통해 밥버거(10)를 제조하고자 할 경우에는, 먼저, 도 3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바닥판체(100)에 상기 하부틀(2)과 상기 상부틀(3)을 결합한 상태에서 배치한 후, 선택한 양의 밥을 상기 하부틀(2)의 관통공과 상부틀(3)의 상부번형성홈(31)에 각각 투입한다.
이와 같이, 상기 하부틀(2)의 관통공과 상부틀(3)의 상부번형성홈(31)에 밥이 투입되면, 도 4 및 도 5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성형봉(4)을 상기 하부틀(2)의 관통공으로 삽입하면서 밥을 가압하고, 상기 상부번형성홈(31)으로 삽입하면서 밥을 가압하면서 다지어 하부번(12)과 상부번(11)을 각각 성형한다.
상기와 같이 하부번(12)과 상부번(11)이 각각 형성되면, 도 6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선택된 패티 및 각종 채소로 이루어진 토핑층(13)을 원하는 양만큼 상기 하부틀(2)의 내부로 투입하여 상기 하부번(11)의 상부에 적층한다.
이와 같이 상기 하부번(12)의 상부로 토핑층(13)이 적층되면, 도 7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상부틀(3)을 상기 하부틀(2)에 대하여 회전시켜 상기 상부틀(3)이 상기 하부틀(2)의 상부에 수직으로 적층되도록 위치시키면, 도 8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상부틀(3)에 성형된 상부번(12)이 자체하중에 의해 자유 낙하하여 상기 토핑층(13)의 상부로 적층되면서 상기 하부틀(2)의 내부에 위치된다.
이때. 상기 성형봉(4)을 이용하여 상기 상부틀(3)의 상부를 두들겨 진동을 가하면, 상기 상부틀(3)에서 상기 상부번(11)이 더욱 원활하게 분리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상기 하부틀(2)의 내부에 상기 하부번(12)과 토핑층(13)과 상부번(11)이 순차적으로 적층되면, 도 9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하부틀(2)에 대하여 상기 상부틀(3)을 회전시켜 원위치로 복귀시킨 후, 도 10 및 도 11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성형봉(4)을 상기 하부틀(2)의 관통공의 내부로 삽입하면서 상기 상부번(11)을 가압하면, 상기 하부번(12)과 상기 토핑층(13)과 상기 상부번(11)의 결합이 밥 고유의 접착력에 의해 확고히 되면서 밥버거(10)가 제조된다.
이와 같이 상기 하부틀(2)의 내부에서 밥버거(10)의 제조가 완료되면, 도 12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성형봉(4)이 상기 하부틀(2)의 내부에 위치된 상태에서, 상기 하부틀(2)을 상기 성형봉(4)의 상부로 들어올리면서 분리하면, 도 13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밥버거(10)가 상기 하부틀(2)에서 분리되어 제조작업이 완료된다.
도 14는, 본 실시 예에 의한 밥버거 성형장치에 적용되는 상부틀의 다른 예를 보인 도면으로, 본 실시 예에 의한 밥버거 성형장치(1)를 구성하는 상기 상부틀(3)에서 상기 상부번형성홈(31)은, 상기 상부틀(3)의 상부와 하부를 관통하는 관통공으로 이루어진다.
이에 따라, 상기 상부틀(3)의 내부에서 상부번이 형성된 후, 상기 하부틀(2)에 수직으로 배치될 때, 상기 성형봉(4)을 이용하여 상기 상부틀(3)의 관통공을 관통하면서 상부번(11)을 토핑층(13) 방향으로 가압하여 상부틀(3)에서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도 15는, 본 실시 예에 의한 밥버거 성형장치에 적용되는 하부틀의 다른 예를 보인 도면으로, 본 실시 예에 의한 밥버거 성형장치(1)를 구성하는 상기 하부틀(2)의 내측에는, 수직상으로 길이를 가지는 다수의 요홈(22)에 형성되되, 상기 요홈(22)의 폭은, 밥알의 크기보다 작은 크기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상기 하부번(12)과 상기 하부틀(2)의 관통공과의 접촉면적으로 줄이어, 하부틀(2)에서 상기 하부번(12) 및 토핑층(13)이 분리될 때, 더욱 안정적으로 분리되도록 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 예에 의한 밥버거 제저장치(1)는, 관통공을 가지는 하부틀(2)과; 상기 하부틀(2)에 회전가능하게 결합하는 상부틀(3)과; '봉' 형상의 성형봉(4)을 포함하여 이루어져 구조가 간단하여 경제적으로 제공할 수 있으며, 밥버거(10)의 제조작업을 편하고 원활하게 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된 것을 기술적 구성의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잘 알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상기의 상세한 설명에서 언급되는 형태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님을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본 발명의 정신과 그 범위 내에 있는 모든 변형물과 균등물 및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1 : 성형장치 10 : 밥버거
11 : 상부번 12 : 하부번
13 : 토핑층 100 : 바닥판체
2 : 하부틀 21 : 결합공
22 : 요홈 3 : 상부틀
31 : 상부번형성홈 32 : 힌지축
4 : 성형봉 41 : 돌출턱
5 : 손잡이봉 6 : 끼움홈

Claims (2)

  1. 상하로 관통된 관통공을 가지며 외측면에 손잡이봉(5)이 끼움결합하여 착탈되는 끼움홈(6)이 형성되는 '관' 형상의 하부틀(2)과, 상기 하부틀(2)의 일측에 회전가능하게 결합하며 회전시 상기 하부틀(2)과 수평 및 수직으로 배치되도록 되며 수직으로 배치될 때 상기 하부틀(2)과 접하는 면에는 내측으로 형성된 상부번형성홈(31)이 형성되며 외측면에 손잡이봉(5)이 끼움결합하여 착탈되는 끼움홈(6)이 형성된 상부틀(3)과, 상기 하부틀(2)의 관통공과 상부틀(3)의 상부형성홈(31)의 내경보다 작은 직경을 가지는 '봉' 형상의 성형봉(4)을 포함하여 이루어져 밥으로 이루어진 상부번(11)과 하부번(12)의 사이에 토핑층(13)이 게재된 상태에서 적층형성된 밥버거(10)를 제조하도록 된 밥버거 성형장치에 있어서;
    상기한 상부틀(3)에는,
    힌지축(32)이 고정된 고정브라켓이 형성되고;
    상기한 하부틀(2)에는,
    상기 힌지축(32)이 회전가능하게 관통되면서 고정되는 결합공(21)이 형성된 결합브라켓이 형성되되;
    상기한 하부틀(2)의 결합공(21)은,
    상기 힌지축(32)이 상하로 이동가능하도록 된 장공으로 이루어지며;
    상기한 하부틀(2)의 내측에는,
    수직상으로 길이를 가지는 다수의 요홈(22)에 형성되되;
    상기한 요홈(22)의 폭은,
    밥알의 크기보다 작은 크기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밥버거 성형장치.
  2. 삭제
KR1020160066040A 2016-05-29 2016-05-29 밥버거 성형장치 KR10166613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66040A KR101666134B1 (ko) 2016-05-29 2016-05-29 밥버거 성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66040A KR101666134B1 (ko) 2016-05-29 2016-05-29 밥버거 성형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66134B1 true KR101666134B1 (ko) 2016-10-13

Family

ID=571741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66040A KR101666134B1 (ko) 2016-05-29 2016-05-29 밥버거 성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66134B1 (ko)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354997A (ja) * 2001-06-01 2002-12-10 Shimazu Machinery Works Co Ltd 握り飯製造用治具
JP2003304821A (ja) * 2002-04-11 2003-10-28 Mizuno:Kk ライス製サンドイッチの成形器及び成形法
KR100776051B1 (ko) * 2005-07-06 2007-11-28 곽성호 라이스샌드위치 제조방법 및 그 조성물
KR101291375B1 (ko) 2012-11-06 2013-07-30 오세린 밥버거 제조방법 및 제조장치
KR101359225B1 (ko) 2010-10-07 2014-02-06 김슬기 식품 제조용 성형몰드 및 이러한 성형몰드를 사용하여 제조된 식품
KR101523016B1 (ko) 2013-03-12 2015-05-27 이재우 주먹밥 제조방법 및 성형틀
KR20160015103A (ko) 2014-07-30 2016-02-12 김광락 밥 버거 성형장치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354997A (ja) * 2001-06-01 2002-12-10 Shimazu Machinery Works Co Ltd 握り飯製造用治具
JP2003304821A (ja) * 2002-04-11 2003-10-28 Mizuno:Kk ライス製サンドイッチの成形器及び成形法
KR100776051B1 (ko) * 2005-07-06 2007-11-28 곽성호 라이스샌드위치 제조방법 및 그 조성물
KR101359225B1 (ko) 2010-10-07 2014-02-06 김슬기 식품 제조용 성형몰드 및 이러한 성형몰드를 사용하여 제조된 식품
KR101291375B1 (ko) 2012-11-06 2013-07-30 오세린 밥버거 제조방법 및 제조장치
KR101523016B1 (ko) 2013-03-12 2015-05-27 이재우 주먹밥 제조방법 및 성형틀
KR20160015103A (ko) 2014-07-30 2016-02-12 김광락 밥 버거 성형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60007799A1 (en) Apparatus, system and method for a waffle sandwich press
US8038118B1 (en) Apparatus for forming condiment receiving cavity in ground meat
US20210345825A1 (en) System for preparing and presenting food
CN107529764B (zh) 用于制造烘焙制品的装置
US20110287153A1 (en) Hot press for creating an ornamental design in already cooked food products
KR101523016B1 (ko) 주먹밥 제조방법 및 성형틀
KR101666134B1 (ko) 밥버거 성형장치
CN201164396Y (zh) 一种烹调食品的简易模型圈
KR101663758B1 (ko) 와플의 제조방법
US8109203B1 (en) Kitchen apparatus for food preparation
KR20150031619A (ko) 프레스형 샌드위치 토스터
US20230094667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forming a substitute product for a hollowed-out bagel
KR102298968B1 (ko) 속재료가 내장된 햄버거 제조장치
KR20150003372U (ko) 3d프린터를 이용한 조각인쇄식품
KR101881399B1 (ko) 주먹밥 성형틀
KR101857194B1 (ko) 육고기 말이식 핫도그 제조 방법 및 육고기 사각 슬라이스 제조 방법
KR20040087091A (ko) 내용적을 갖는 누룽지 과자의 제조 방법과 그 장치
KR20190081167A (ko) 내부 충진형 음식물을 이용한 김밥 제조 방법
KR101540241B1 (ko) 밥으로 만든 즉석 음식물 제조 방법
KR20190039451A (ko) 김밥 제조용 성형틀 및 그 성형틀을 이용한 김밥 제조방법
KR20190036698A (ko) 누룽지 제조장치
KR200302056Y1 (ko) 묵 절단장치
JP3105304U (ja) 好みの食材を封入できるプレス式サンドウィッチ作成器具
KR20220114665A (ko) 케익의 쉬트
TWM620621U (zh) 造型蛋糕烘烤模具結構改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