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44715A - 다기통 내연기관용 배기 매니폴드 - Google Patents

다기통 내연기관용 배기 매니폴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44715A
KR20170044715A KR1020177007920A KR20177007920A KR20170044715A KR 20170044715 A KR20170044715 A KR 20170044715A KR 1020177007920 A KR1020177007920 A KR 1020177007920A KR 20177007920 A KR20177007920 A KR 20177007920A KR 20170044715 A KR20170044715 A KR 2017004471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iser
exhaust gas
exhaust
internal combustion
combustion engi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70079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94988B1 (ko
Inventor
데니스 콘스탄츠
킴 피터슨
Original Assignee
스카니아 씨브이 악티에볼라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스카니아 씨브이 악티에볼라그 filed Critical 스카니아 씨브이 악티에볼라그
Publication of KR201700447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4471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9498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9498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N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F01N13/00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 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or parts thereof, having pertinent characteristics not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1N1/00 - F01N5/00, F01N9/00, F01N11/00
    • F01N13/08Other 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exhaust conduits
    • F01N13/10Other 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exhaust conduits of exhaust manifold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N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F01N13/00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 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or parts thereof, having pertinent characteristics not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1N1/00 - F01N5/00, F01N9/00, F01N11/00
    • F01N13/08Other 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exhaust conduits
    • F01N13/10Other 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exhaust conduits of exhaust manifolds
    • F01N13/107More than one exhaust manifold or exhaust collect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BINTERNAL-COMBUSTION PISTON ENGINES;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 F02B75/00Other engines
    • F02B75/16Engines characterised by number of cylinders, e.g. single-cylinder engines
    • F02B75/18Multi-cylinder engin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N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F01N2240/00Combination or association of two or more different exhaust treating devices, or of at least one such device with an auxiliary device, not covered by indexing codes F01N2230/00 or F01N2250/00, one of the devices being
    • F01N2240/20Combination or association of two or more different exhaust treating devices, or of at least one such device with an auxiliary device, not covered by indexing codes F01N2230/00 or F01N2250/00, one of the devices being a flow director or deflect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N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F01N2260/00Exhaust treating devices having provis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1N2260/14Exhaust treating devices having provis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modifying or adapting flow area or back-pressur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N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F01N2260/00Exhaust treating devices having provis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1N2260/16Exhaust treating devices having provis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reducing exhaust flow puls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N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F01N2470/00Structure or shape of gas passages, pipes or tubes
    • F01N2470/20Dimensional characteristics of tubes, e.g. length, diamet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N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F01N2470/00Structure or shape of gas passages, pipes or tubes
    • F01N2470/30Tubes with restrictions, i.e. venturi or the like, e.g. for sucking air or measuring mass flow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xhaust Silenc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다기통 내연기관(1)으로부터 배기가스를 수용하는 매니폴드에 관한 것이다. 내연기관(1)은 매니폴드(5a,5b)의 라이저(4a,4b)가 중복 단계 동안에 두 실린더(c2,c4,c7,c8)로부터 라이저(4a,4b) 내 상류에 배치된 유입 개구(3a2,3b3)와 하류에 배치된 유입 개구(3a4,3b4)를 통해 동시에 배기가스를 수용하도록 하는 점화 순서를 갖는다. 라이저(4a,4b)는 동시에 배기가스를 수용하는 2개의 유입 개구(3a2,3a4,3b3,3b4) 중 하류에 배치된 유입 개구와 관련되는 곳에 위치하는 영역(A,B)을 제외하고 실질적으로 일정한 단면적을 포함한다. 상기 영역(A,B)은 2개의 유입 개구들(3a2,3a4,3b3,3b4)이 동시에 배기가스를 수용할 때, 라이저(4a,4b)가 배기가스를 수용하고 배기가스가 라이저(4a,4b)에서 미리 정해진 방향으로 유동하도록 하는 기하학적 구조를 갖는다.

Description

다기통 내연기관용 배기 매니폴드{EXHAUST MANIFOLD FOR A MULTICYLINDER INTERNAL COMBUSTION ENGINE}
본 발명은 청구항 제1항의 전제부에 따른 다기통 내연기관으로부터 배기가스를 수용하는 매니폴드에 관한 것이다.
다기통 내연기관으로부터 배출되는 배기가스는 일반적으로 매니폴드에 수용된다. 매니폴드는 내연기관의 실린더들로부터 배기가스를 수용하는 여러 개의 분기라인과, 각각의 분기 라인으로부터 배기가스를 수용하는 라이저(riser)를 포함한다. 각각의 실린더는 일반적으로 2개의 배기밸브를 포함한다. 배기밸브가 개방되면 연결된 분기라인으로 연소행정이 끝난 직후의 실린더 내 배기가스 압력과 실질적으로 관련되는 높은 압력으로 배기가스가 배출된다. 배기밸브가 개방되어 있는 나머지시간 동안 분기라인 내의 배기가스 압력은 더 낮아지며, 이 압력은 배기가스가 분기라인으로 배출될 때 실린더의 피스톤의 동작과 실질적으로 관련된다. 실린더의 배기밸브는 통상적으로 전체 배기행정 동안, 즉 4행정 엔진의 작동 사이클의 비교적 큰 부분 동안 개방된다. 매니폴드에 연결되는 내연기관의 실린더의 수가 많을수록, 작동 사이클 동안 여러 개의 실린더의 배기밸브 개방 시간이 중복되는 것을 방지하기가 어려워진다. 4개의 실린더로부터 배기가스를 수용하는 매니폴드에서, 어느 시점에서도 배기 밸브들의 입구 개방시간이 서로 중복되지 않도록 하는 점화 순서를 정하는 것은 실질적으로 불가능하다. 이러한 경우, 배기가스는 여러 개의 실린더로부터 동시에 라이저로 배출된다.
여러 개의 실린더에서 라이저로 배기가스를 동시에 배출하는 것은 간단하지 않다. 한 실린더에서 더 낮은 압력으로 배기가스가 배출되고 있는 시점에 또 다른 실린더가 개방되면, 더 높은 압력의 배기가스가 더 낮은 압력으로 배기가스를 배출하는 분기라인으로 침투할 수 있는 위험이 있다는 것은 명백하다. 따라서, 이 분기라인의 압력이 상승하고, 이 실린더의 피스톤은 배기가스를 배출하기 위해 더 세게 동작해야 한다. 강화된 배출작업은 내연기관의 연료소모 증가를 초래한다.
US 5,860,278호는 내연기관으로부터 다수의 분기라인을 통해 배기가스를 수용하는 라이저를 나타낸다. 이 라이저는 분기라인들의 모든 출구와 관련하여 수축부(constrictions)를 포함한다. 이로 인해, 라이저 내의 배기가스는 라이저 내의 배출구와 관련하여 속도가 상승하고 정압(static pressure)이 감소한다. 따라서, 더 낮은 압력의 배기가스가 라이저로 배출될 수 있다. 그러나 모든 배출구에 수축부를 구비하는 라이저의 도입은 라이저 내 배기가스의 유동 손실이 비교적 크다는 단점을 갖는다.
본 발명의 목적은, 매니폴드를 통해 배기가스를 배출하기 위한 내연기관의 작동을 크게 증가시키지 않고, 2개의 실린더에서 동시에 배기가스를 수용하는 것을 용이하게 하는 라이저를 구비하는 매니폴드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청구항 제1항의 특징부에 명시된 특징들에 의해 특징지어진 유형의 매니폴드로 달성된다. 내연기관의 실린더들에 대한 점화순서를 알 수 있기 때문에, 매니폴드에 동시에 배기가스를 배출하는 실린더들 또한 알 수 있다. 배기가스는 실린더로부터 분기라인을 통해 라이저의 유입 개구로 유도되며, 라이저의 유입 개구들은 서로에 대하여 하류인 서로 다른 위치에 배치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서로 중복되는 배기행정을 갖는 실린더들과 배기가스가 동시에 수용되는 라이저 내의 상기 유입 개구들은 미리 결정된다. 이러한 사실들을 바탕으로, 2개의 유입 개구가 배기가스를 동시에 수용하는 경우를 대비하여 라이저는 배기가스를 수용하고 그 안에서 미리 결정된 방향으로 배기가스가 흐르도록 하는 기하학적 구조를 갖는 영역을 구비한다. 이 영역은 동시에 배기가스를 수용하는 라이저 내의 2개의 유입 개구 중 하류에 배치되는 유입 개구와 관련되는 위치에 배치된다. 이러한 기하학적 구조를 갖는 영역에서, 단면적이 일정하고 유리하게는 실질적으로 일직선으로 연장하는 라이저의 다른 부분들에 비해서 불가피하게 더 큰 유동 손실이 발생한다. 라이저는 이러한 다른 기하학적 구조를 갖는 영역을 한 군데에만 포함하기 때문에, 라이저 내의 모든 유입 개구와 관련하여 매니폴드에 있는 배기가스에 대한 유동저항은 라이저가 이러한 다른 기하학적 구조를 갖는 영역을 다수 구비한 경우보다 상당히 작아진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영역은 하류에 배치된 유입 개구의 바로 상류인 곳에 배치된다. 그리하여, 상류에 배치된 유입 개구로부터 배출되는 배기가스가 하류에 배치된 유입 개구를 통해 라이저로 유도되는 배기가스와 접촉하게 되기 전에 적당한 속도로 가속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영역에서 유로는 상기 영역의 입구 단부에 대하여 출구 단부에서 연속적으로 감소하는 단면적을 갖는다. 이 영역의 단면적은 10% 내지 40% 범위로 감소할 수 있다. 이러한 단면적의 감소를 통해서, 상류에 배치된 유입 개구로부터 배출되는 배기가스는 하류에 배치된 유입 개구를 통해 라이저로 유도되는 배기가스와 접촉하기 전에, 상기 영역을 통과하면서 배기가스의 유동저항이 너무 커지지 않고 그 속도가 실질적으로 빨라질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라이저는 상기 영역을 통과하는 유로를 규정하는 내측 벽면을 구비하는 벽 구조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라이저의 벽 구조는 내측 벽면이 상기 영역에서 유로의 기하학적 구조를 규정하도록 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대안적으로, 라이저는 라이저 내부에 장착되는 내부적 분리 유동 요소들(internal separate flow elements)을 구비할 수 있으며, 이 요소들은 상기 영역에서 유로의 기하학적 구조를 생성하는 방식으로 형상화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라이저의 벽 구조는 상기 유입 개구들을 포함하고 내연기관 쪽을 향하는 내측 벽면과 내연기관과 멀어지는 방향으로 향하는 외측 벽면을 구비한다. 이 경우, 유입 개구들은 내측 벽면에 일렬로 배열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내연기관은 상류에 배치된 유입 개구를 통해 초기 배기 유동이 라이저에 수용되는 시점에 라이저가 하류에 배치된 유입 개구를 통해 기존의 배기 유동을 이미 수용하고 있도록 하는 점화순서를 갖는다. 실린더의 배기밸브가 개방될 때, 고압의 초기 배기 유동이 획득되고, 그 이후 배기 행정의 나머지 부분 동안 압력이 떨어진다. 이 경우, 고압의 배기가스는 라이저에서 상류에 배치된 유입 개구를 통해 배기 도관으로 유도된다. 라이저의 내측 벽면은 상기 영역에 라이저의 다른 부분에서의 주 유동 방향과 관련하여 기울기(angle)를 가질 수 있으며, 이 기울기는 이 영역에서 유로의 기하학적 구조를 규정한다. 배기 유동이 이 영역에 도달하면, 유동의 속도가 빨라지고 정압이 감소된다. 정압의 감소는 하류에 배치된 유입 개구를 통해 더 낮은 압력의 배기가스가 라이저로 유도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이 영역의 상기 기울기는 하류에 배치된 유입 개구로부터 일정 거리에서 고압의 배기가스가 유동하도록 한다. 따라서, 더 낮은 압력의 배기가스가 라이저로 유동할 수 있는 공간이 생성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하류에 배치된 유입 개구를 통해 배기가스를 라이저로 유도하는 분기라인은 유입 개구에 연속적으로 확장하는 단면적을 제공하는 테이퍼드형 부분을 구비하는 내측 벽면을 포함한다. 이러한 테이퍼드형 부분에 의해, 하류에 배치된 유입 개구에서 배기 와류가 생성된다. 배기 와류는 라이저 내의 배기가스가 유입 개구를 통해 분기라인으로 다시 유도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르면, 내연기관은 초기 배기 유동이 하류에 배치된 유입 개구를 통해 라이저에 수용되는 시점에, 라이저가 상류에 배치된 유입 개구를 통해 기존의 배기 유동을 이미 수용하고 있도록 하는 점화순서를 갖는다. 이 경우, 더 낮은 압력의 배기가스는 라이저에서 상류에 배치된 유입 개구를 통해 배기 도관으로 유도된다. 라이저의 제2 벽면은 상기 영역에서 쐐기형상 부분을 가질 수 있으며, 이 쐐기형상 부분은 라이저 내 유로의 단면적을 감소시키는 경사를 갖는 제1 벽면과 뒤이어 라이저 내 유로의 단면적을 확장시키는 경사를 갖는 제2 벽면을 포함하며, 쐐기형상 부분은 하류에 배치된 유입 개구를 통해 라이저로 유도된 배기 유동이 제2 벽면에 닿도록 하는 위치에 배치된다. 쐐기형상 부분의 제1 벽면은 더 낮은 압력의 배기 유동이 하류에 배치된 유입 개구로부터 배출되는 고압의 배기가스를 향하도록 한다. 쐐기형상 부분의 제2 벽면은 고압의 배기가스를 라이저 내에서 의도된 유동방향으로 유도하는 경사를 구비한다. 제2 벽면은 하류에 배치된 유입 개구로 배출되는 배기 유동과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연장한다. 쐐기형상 부분은 고압의 배기가스의 일부가 라이저 내에서 잘못된 방향으로 역류하는 것을 실질적으로 방지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르면, 쐐기형상 부분은 라이저 내 유로의 직경의 3% 내지 10% 범위의 높이를 갖는다. 쐐기형상 부분은 유로의 직경의 약 5%인 높이를 가질 수 있다. 따라서, 쐐기형상 부분은 제2 라이저으로 비교적 작은 거리만큼 돌출한다. 따라서, 이 영역에서의 유동손실은 비교적 적다. 제1 벽면은 라이저 내의 주 유동 방향에 대하여 제2 벽면보다 더 작은 기울기를 갖는다. 제1 벽면은 라이저 내의 유동방향에 대하여 약 5도의 기울기를, 제2 벽면은 약 1도의 기울기를 가질 수 있다. 따라서, 이는 고압의 배기가스가 라이저 내에서 잘못된 방향으로 유도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고압의 배기가스가 라이저 내의 의도된 유동방향에 대하여 충분히 작은 기울기를 갖는 제2 벽면에 닿도록 하기에 충분하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르면, 매니폴드는 주조 재료(cast material)로 제조된다. 라이저들 내에 위치하는 상기 영역들은 주조 공정에서 비교적 쉽게 제조될 수 있는 기하학적 구조를 갖는다.
본 발명은 또한, 청구항 제1항 내지 제13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매니폴드를 포함하는 내연기관에 관한 것이다. 내연기관은 적어도 3개의 실린더를 포함한다. 6기통 또는 그 이상의 실린더들을 구비하는 내연기관은 제1 측면에 3개 이상의 실린더로부터 배기가스를 수용하기 위한 제1 매니폴드, 그리고 나머지 실린더들로부터 배기가스를 수용하기 위해 반대 측면에 배치되는 제2 매니폴드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내연기관은 V8-엔진일 수 있다.
이하는 본 발명의 예시적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 것이다.
도 1은 제1 및 제2 매니폴드를 도시하며, 각각의 매니폴드는 내연기관의 4개의 실린더로부터 배기가스를 수용한다.
도 2는 도 1의 제1 매니폴드에서 A-A 영역의 단면도를 나타낸다.
도 3은 도 1의 제2 매니폴드에서 B-B 영역의 단면도를 나타낸다.
도 1은 8개의 실린더(c1-8)를 구비하는 내연기관(1)을 도시한다. 이 경우, 내연기관(1)은 V8 엔진이다. 각각의 실린더(c1-8)에는 각각의 실린더(c1-8)로부터 배기가스를 배출하는 분기라인(2a1 -4,2b1 - 4)이 연결되어 있다. 내연기관(1)의 한 측면에 있는 실린더(c1-4)들로부터 배출되는 배기가스는 분기라인(2a1 - 4)과 유입 개구(3a1 -4)를 통해 제1 라이저(4a)로 유도된다. 내연기관의 다른 측면에 있는 실린더(c5-8)들로부터 배출되는 배기가스는 분기라인(2b1 - 4)과 유입 개구(3b1-4)를 통해 제2 라이저(4b)로 유도된다. 분기라인(2a1 - 4)과 라이저(4a)는 제1 매니폴드(5a)를 형성한다. 제1 매니폴드(5a)는 배기가스를 터보차저(도시되지 않음)로 유도하는 제1 배기도관(6a)으로 이어진다. 분기라인(2b1 -4) 및 라이저(4b)는 제2 매니폴드를 형성한다. 제2 매니폴드(5b)는 배기가스를 터보차저(도시되지 않음)로 유도하는 제2 배기도관(6b)으로 이어진다.
각각의 실린더(c1-8)로부터 배출되는 배기 유동은 폐쇄상태와 개방상태 사이에서 변위될 수 있도록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배기밸브에 의해 제어된다. 일반적으로, 각각의 실린더(c1-8)는 배기가스의 배출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2개의 배기밸브를 구비한다. 배기밸브가 개방되면, 처음에 고압의 배기 유동이 실린더(c1-8)들로부터 각각의 분기라인(2a1 -4,2b1 - 4)과 유입 개구(3a1-4,3b1-4)를 통해 라이저(4a,4b)로 배출된다. 실린더(c1-8)가 개방되어 있는 나머지시간 동안, 배기가스는 더 낮은 압력으로 라이저(4a,4b)로 배출된다. 이러한 더 낮은 압력은 배기가스가 각각의 분기라인(2a1-4,2b1-4)으로 배출될 때 실린더(c1-8)들의 피스톤의 동작에 의해 실질적으로 규정된다. 매니폴드의 라이저(4a,4b)는 각각 4개의 실린더(c1-8)로부터 배기가스를 수용하기 때문에, 적어도 2개의 실린더(c1-8)의 배기밸브 개방시간이 중복되는 것을 회피하는 것은 실질적으로 불가능하다. 따라서, 라이저(4a,4b)는 내연기관의 작동 사이클의 특정 부분 동안, 하나 이상의 실린더(c1-8)로부터 배기가스를 수용할 것이다.
내연기관의 실린더(c1-8)들의 점화순서는 이 경우, c1, c5, c4, c2, c6, c3, c7, c8이다. 이러한 점화순서로 진행되면, 실린더(c2,c4)의 배기밸브들이 동시에 개방될 것이다. 실린더(c2)의 배기밸브는 실린더(c4)의 배기밸브가 이미 개방되어 있을 때 개방된다. 이때, 분기라인(2a2)으로부터 고압의 배기가스가 배출되는 반면, 분기라인(2a4)으로부터는 더 낮은 압력으로 배기가스가 배출된다. 이 경우 종래의 매니폴드에서는, 제1 라이저(4a)를 통해 유동하는 고압의 배기가스 중 일부가 분기라인(2a4)으로 유도될 것이다. 이로 인해, 더 낮은 압력으로 배기가스가 배출되는 분기라인(2a4)의 압력이 상승한다. 따라서, 실린더(c4)의 피스톤은 배기가스를 배출하기 위해 더 세게 펌핑해야 한다. 전술한 점화순서에 따라 진행되면, 실린더(c7,c8)들의 배기밸브 개방시간 또한 중복될 것이다. 이 경우, 실린더(c8)의 배기밸브는 실린더(c7)의 배기밸브가 이미 개방되어 있을 때 개방된다. 이때, 분기라인(2b4)으로부터 고압의 배기가스가 배출되는 반면, 분기라인(2b3)으로부터는 더 낮은 압력의 배기가스가 배출된다. 종래의 매니폴드에서는, 분기라인(2b4)을 통해 고압으로 유동하는 배기가스의 일부가 제2 라이저(4b) 내에서 잘못된 방향으로 유도될 것이다. 이로 인해, 더 낮은 압력으로 배기가스가 배출되는 분기라인(2b3)의 압력이 상승한다. 따라서, 실린더(c7)의 피스톤은 배기가스를 배출하기 위해 더 세게 펌핑해야 한다.
도 2는 배기가스가 분기라인(2a4)에서 제1 라이저(4a)로 배출되는 연결 영역을 절단한 단면도를 나타낸다. 제1 라이저(4a)는 분기라인(2a1 - 4)들 및 유입 개구(3a1-4)들과 동일한 측에 위치하는 내측 벽면(4a1)을 구비한다. 제1 라이저(4a)는 분기라인(2a1-4)들과 유입 개구(3a1-4)들의 반대 측에 위치하는 외측 벽면(4a2)을 구비한다. 제1 라이저(4a)는 입구(A1)에서 출구(A2)로 연장하는 영역(A)을 구비한다. 출구(A2)는 라이저(4a)가 분기라인(2a4)으로부터 배기가스를 수용하는 유입 개구(3a4)와 관련하여 위치한다. 제1 라이저(4a)는 라이저(4a)내의 배기가스의 의도된 유동 방향에 대하여, 영역(A)의 상류 및 하류에서 실질적으로 일정한 단면적을 갖는 유로를 포함한다. 영역(A)에서, 제1 라이저(4a)의 내측 벽면(4a1)은 제1 라이저(4a)에서의 배기 유동의 주 유동 방향에 대하여 경사를 구비한다. 제1 영역(A)의 상류 및 하류에서, 제1 라이저(4a)의 내측 벽면(4a1)은 제1 라이저(4a) 내의 배기 유동의 주 유동방향과 실질적으로 평행한 직선으로 연장한다. 제1 라이저(4a)의 외측 벽면(4a2)은 라이저(4a) 전체에서 실질적으로 직선으로 연장한다. 제1 라이저의 내측 벽면(4a1)은, 내측 벽면(4a1)과 외측 벽면(4a2) 사이의 거리가 제1 영역(A)의 입구(A1)로부터 출구(A2)까지 연속적으로 감소하도록 기울기를 갖는다. 이 경우, 거리는 선형적으로 감소한다. 따라서, 제1 영역(A)에서의 배기 유동에 대해 연속적으로 좁아지는 단면적이 생성된다. 유입 개구(3a4)를 통해 라이저(4a)에 배기가스를 유도하는 분기라인(2a4)은 테이퍼드형 부분(2a41)을 구비하는 벽면을 포함하고, 이 테이퍼드형 부분(2a41)에 의해 유입 개구(3a4)의 단면적이 확장된다. 이러한 테이퍼드형 부분을 가진 유입 개구(3a4)는 깔때기 형상을 획득한다. 이러한 형상의 유입 개구(3a4)에서 배기 와류가 형성된다. 도면에서 영역(A)의 내측으로 굽어진 부분은 본 발명을 보다 명확하게 예시하기 위해 과장되었음에 주의해야 한다.
실린더(c4)의 배기밸브가 개방되어 있을 때 실린더(c2)의 배기밸브가 개방되는 경우에, 실린더(c2)로부터 제2 분기라인(2a2)과 유입 개구(3a2)를 통해 라이저(4a)로 강력한 초기 배기 유동이 제공된다. 배기 유동이 영역(A)에 도달하면, 배기 유동은 감소하는 단면적을 통과하면서 가속된다. 제1 라이저(4a)에서 영역(A)의 출구(A2)는 입구(A1)에 대하여 10% 내지 40%, 예를 들어 30% 감소된 단면적을 갖는다. 이로 인해, 제1 영역(A)을 빠져나가는 배기가스는 유입 개구(3a4)에 대하여 감소된 정압을 갖는다. 따라서, 영역(A)을 빠져나가는 배기 유동이 분기라인(2a4)에 침투하는 경향성이 상쇄된다. 그러므로 내측 벽면(4a1)은 제1 영역(A) 내 배기 유동의 주 유동 방향에 대하여 기울어진 경사를 구비한다. 내측 벽면(4a1)은 영역(A)의 제1 벽면(4a1)과 관련하여 배기 유동이 비교적 부드러운 방향 전환을 획득하도록 하는 경사를 구비한다. 내측 벽면(4a1)은 영역(A)에서 제1 라이저(4a)가 유입 개구(3a4)를 통해 배기가스를 수용하는 측의 배기 유동을 감소시킨다. 배기 유동이 내측 벽면(4a1)과 관련하여 제1 영역(A)에서 획득하는 방향 전환은 배기 유동이 부분적으로 유입 개구(3a4)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유도된다는 뜻이다. 이는 영역(A)을 빠져나가는 배기가스가 분기라인(2a4)에 침투하는 것을 더욱 어렵게 만든다. 이와 동시에, 더 낮은 압력으로 분기라인(2a4)에서 빠져나가는 배기가스가 유도될 수 있는 영역이 라이저(4a) 내에 생성된다. 유입 개구(3a4)와 관련하여 분기라인(2a4)의 깔때기 형상 영역에 형성되는 배기 와류도 영역(A)를 빠져나가는 배기가스가 분기라인(2a4)에 침투하는 것을 더 어렵게 만든다.
도 3은 제2 라이저(4b)가 분기라인(2b4)으로부터 유입 개구(3b4)를 통해 배기가스를 수용하는 연결 영역을 절단한 단면도를 나타낸다. 제2 라이저(4b)는 분기라인(2b4) 및 유입 개구(3b4)와 동일한 측에 위치하는 내측 벽면(4b1)을 구비한다. 제2 라이저(4b)는 분기라인(2b4) 및 유입 개구(3b4)와 반대 측에 위치하는 외측 벽면(4b2)을 구비한다. 제2 라이저(4b)는 입구(B1)으로부터 출구(B2)로 연장하는 영역(B)을 구비한다. 제2 라이저(4b)는 라이저(4b)에서의 배기가스의 의도된 유동 방향에 대하여 영역(B)의 상류 및 하류에서 실질적으로 일정한 단면적을 갖는 유로를 포함한다.
제2 라이저(4b)의 외측 벽면(4b2)은 제2 영역(B)에 쐐기형상 부분을 구비하고, 제2 영역(B)은 라이저(4b) 내 유로의 단면적을 감소시키는 경사를 구비하는 제1 벽면(4b21)과, 뒤이어 라이저(4b) 내 유로의 단면적을 확장시키는 경사를 구비하는 제2 벽면(4b22)을 포함한다. 도면에서 영역(B)의 내측으로 굽어진 부분은 본 발명을 보다 명확하게 예시하기 위해 과장되었음에 주의해야 한다.
제1 벽면(4b21)과 제2 벽면(4b22)은 임계점(breaking point)(4b23)을 갖는다. 하류에 배치된 유입 개구(3b4)를 통해 라이저(4b)로 유도되는 배기 유동이 제2 벽면(4b22)에만 닿도록 하는 지점에 쐐기형상 부분이 배치된다. 이로 인해, 분기라인(2b4)으로부터의 배기 유동 전체가 임계점(4b23)의 우측에만 닿는다. 하지만 분기라인(2b4)으로부터 배출되는 배기 유동은 임계점(4b23)에 최대한 가깝게 닿아야 한다.
쐐기형상 부분은 라이저(4b) 내 유로의 지름의 3% 내지 10% 범위의 높이를 갖는다. 쐐기형상 부분은 유로의 지름의 약 5%의 높이를 가질 수 있다. 따라서, 쐐기형상 부분은 제2 라이저(4b) 안쪽으로 비교적 작은 거리만큼 돌출한다. 그러므로 이 영역에서의 유동 손실은 비교적 적다. 제1 벽면(4b21)은 라이저 내 주 유동 방향에 대하여 약 1°인 경사를 가지며, 제2 벽면(4b33)은 라이저(4b) 내 주 유동 방향에 대하여 약 5°인 경사를 갖는다. 따라서, 제2 벽면은 배기가스가 분기라인(2b4)을 빠져나와 라이저(4b) 내에서 바람직한 방향으로 표면에 닿도록 유도하기에 충분한 작은 각도를 갖는 것으로 충분하다. 제2 라이저(4b)의 외측 벽면(4b2)은 영역(B)의 상류 및 하류에서 제2 라이저(4b) 내의 배기 유동의 주 유동 방향과 평행한 직선을 따라 연장한다. 제2 라이저(4b)의 내측 벽면(4b1)은 실질적으로 직선으로 연장한다.
실린더(c7)의 배기밸브가 개방되어 있을 때 실린더(c8)의 배기밸브가 개방되는 경우에, 실린더(c8)로부터 분기라인(2b4)과 유입 개구(3b4)를 통해 제2 라이저(4b)로 강력한 초기 배기 유동이 제공된다. 이와 동시에, 더 낮은 압력의 배기가스가 실린더(c7)로부터 분기라인(2b3)과 유입 개구(3b3)를 통해 제2 라이저(4b)로 유도된다. 쐐기형상 부분의 제1 벽면(4b21)은 더 낮은 압력의 배기 유동이 하류에 배치된 유입 개구(3b4)로 배출되는 고압의 배기가스를 향하도록 유도한다. 쐐기형상 부분의 제2 벽면(4b22)은 고압의 배기가스를 라이저(4b) 내에서 의도된 유동방향으로 유도하는 경사를 갖는다. 쐐기형상 부분은 고압의 배기가스 중 일부가 라이저(4b) 내에서 잘못된 방향으로 역류하는 것을 실질적으로 방지한다. 라이저(4a,4b)들 내에 위치하는 상기 영역(A, B)들은 주조 공정에서 비교적 쉽게 제조될 수 있는 기하학적 구조를 갖는다. 따라서, 매니폴드(5a,5b)들은 주조 공정에서 유리하게 제조된다.
따라서, 내연기관(1)은 내연기관(1)의 서로 다른 두 측면으로부터 배기가스를 수용하는 2개의 매니폴드(5a,5b)를 구비한다. 내연기관의 점화순서에 대한 지식을 바탕으로, 매니폴드(5a,5b)들은 모두 배기밸브의 개방시간이 중복되는 2개의 실린더(c2,c4,c7,c8)로부터 배기가스를 공급하기 위한, 하류에 배치된 유입 개구(2a4,2b4)와 관련하여 영역(A,B)들을 구비하고 있다. 하류에 배치된 유입 개구(3a4,3b4)가 배기가스를 더 높은 압력으로 또는 더 낮은 압력으로 공급하는지에 따라서, 내연기관의 서로 다른 측에 있는 각각의 라이저(4a,4b)에서 사전에 정해진 방향으로 배기가스가 수용되고 유도되도록 하기 위해 이 영역(A,B)들은 서로 다른 기하학적 구조를 갖는 섹션들을 구비한다.
본 발명은 전술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특허청구범위 내에서 자유롭게 변형될 수 있다. 매니폴드는 내연기관의 다양한 수의 실린더들로부터 배기가스를 수용할 수 있다.

Claims (15)

  1. 다기통 내연기관(1)으로부터 배기가스를 수용하기 위한 매니폴드로서, 상기 매니폴드(5a,5b)는 각각이 상기 내연기관(1)의 실린더(c1-8)들 중 하나로부터 배기가스를 수용하기에 적합한 적어도 3개의 분기라인(2a1 -4,2b1 - 4)과, 미리 정해진 방향으로 배기가스를 유도하기에 적합한 라이저(4a,4b)와, 각각의 분기라인(2a1 -4,2b1 - 4)으로부터 배기가스를 수용하기 위해 상기 라이저(4a,4b) 내의 하류에서 다양한 위치에 있는 유입 개구들(3a1-4,3b1-4)을 포함하고, 상기 내연기관(1)은, 중복 단계 동안에 상기 라이저(4a,4b) 내의 상류에 배치된 유입 개구(3a2,3b3)와 하류에 배치된 유입 개구(3a4,3b4)를 통해 상기 라이저(4a,4b)가 2개의 실린더(c2,c4,c7,c8)로부터 동시에 배기가스를 수용하도록 하는 점화순서를 갖는 매니폴드에 있어서,
    상기 라이저(4a,4b)는 배기가스를 동시에 수용하는 2개의 유입 개구(3a2,3a4,3b3,3b4) 중 하류에 배치된 유입 개구(3a4,3b4)와 관련된 지점에 위치하는 영역(A,B)을 제외하고는 실질적으로 단면적이 일정한 유로를 포함하고, 상기 영역(A,B)은, 2개의 유입 개구(3a2,3a4,3b3,3b4)가 동시에 배기가스를 수용하는 경우 상기 라이저(4a,4b)가 배기가스를 수용하고 상기 라이저(4a,4b) 내에서 미리 정해진 방향으로 배기가스가 유동하도록 하는 기하학적 구조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니폴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영역(A)은 하류에 배치된 유입 개구(3a4)의 바로 상류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니폴드.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영역(A)의 단면적은 입구(A1)에서 출구(A2)까지 연속적으로 감소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니폴드.
  4. 선행하는 청구항들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라이저(4a)는 상기 영역(A,B)을 관통하는 유로를 규정하는 내측 벽면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니폴드.
  5. 선행하는 청구항들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라이저(4a,4b)는 상기 유입 개구들(3a1-4,3b1-4)을 포함하는 제1 벽면(4a1,4b1)과 상기 유입 개구들(3a1-4,3b1-4)과 반대 측에 배치되는 제2 반대 벽면(4a2,4b2)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니폴드.
  6. 선행하는 청구항들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내연기관(1)은 상류에 배치된 유입 개구(3a2)를 통해 상기 라이저(4a)에 초기 배기 유동이 수용되는 시점에 상기 라이저(4a)가 하류에 배치된 유입 개구(3a4)를 통해 기존의 배기 유동을 이미 수용하고 있도록 하는 점화 순서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니폴드.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라이저(4a,4b)는 상기 유입 개구들(3a1-4,3b1-4)을 포함하는 제1 벽면(4a1,4b1)과 상기 유입 개구들(3a1-4,3b1-4)과 반대 측에 배치되는 제2 반대 벽면(4a2,4b2)를 포함하며, 상기 라이저의 제1 벽면(4a1)은, 상기 라이저(4a)의 다른 부분들에서의 배기가스의 주 유동 방향과 관련하여 상기 영역(A)에서 유로의 연속적으로 감소하는 단면적을 규정하는 경사(angle)를 상기 영역(A)에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니폴드.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유입 개구(3a4)를 통해 상기 라이저(4a)로 배기가스를 유도하는 상기 매니폴드(2a4)는 상기 유입 개구(3a4)의 단면적을 확장시키는 테이퍼드형 부분(2a41)을 구비하는 내측 벽면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니폴드.
  9.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내연기관(1)은 유입 개구(3b4)를 통해 라이저(4b)로 초기 배기 유동이 수용되는 시점에 상기 라이저(4b)가 상류에 배치된 유입 개구(3b3)를 통해 기존의 배기 유동을 이미 수용하고 있도록 하는 점화 순서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니폴드.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라이저(4a,4b)는 상기 유입 개구들(3a1-4,3b1-4)을 포함하는 제1 벽면(4a1,4b1)과 상기 유입 개구들(3a1-4,3b1-4)과 반대 측에 배치되는 제2 반대 벽면(4a2,4b2)을 포함하고, 상기 라이저의 제2 벽면(4b2)은, 상기 라이저(4b) 내 유로의 단면적을 감소시키는 경사(gradient)를 갖는 제1 벽면(4b21)과 뒤이어 상기 라이저 내 유로의 단면적을 확장시키는 경사를 갖는 제2 벽면(4b22)을 포함하는 쐐기형상 부분을 상기 영역(B)에 구비하고, 상기 쐐기형상 부분은 하류에 배치된 유입 개구(3b4)를 통해 라이저(4b)로 배출되는 배기 유동이 제2 벽면(4b22)에 닿도록 하는 지점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니폴드.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쐐기형상 부분은 상기 라이저(4b) 내 유로의 직경의 3% 내지 10% 범위에 포함되는 높이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니폴드.
  12. 제10항 또는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벽면(4b21)의 상기 라이저(4b) 내 주 유동 방향에 대한 경사는 제2 벽면(4b22)의 상기 라이저(4b) 내의 주 유동 방향에 대한 경사보다 더 작은 각도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니폴드.
  13. 제1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매니폴드(4a,4b)를 적어도 하나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연기관.
  14. 제13항에 있어서,
    내연기관은 여러 개의 실린더(c1-4)로부터 배기가스를 수용하기 위해 내연기관(1)의 한 측에 배치되는 제1 매니폴드(4a)와 나머지 수의 실린더(c5-8)로부터 배기가스를 수용하기 위해 내연기관(1)의 반대 측에 배치되는 제2 매니폴드(4b)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연기관.
  15. 제14항에 따른 내연기관(1)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KR1020177007920A 2014-09-03 2015-08-21 다기통 내연기관용 배기 매니폴드 KR10199498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SE1451026-7 2014-09-03
SE1451026A SE540745C2 (sv) 2014-09-03 2014-09-03 Grenrör för mottagning av avgaser från en flercylindrig förbränningsmotor
PCT/SE2015/050890 WO2016036297A1 (en) 2014-09-03 2015-08-21 Exhaust manifold for a multicylinder internal combustion engin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44715A true KR20170044715A (ko) 2017-04-25
KR101994988B1 KR101994988B1 (ko) 2019-07-01

Family

ID=554401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7007920A KR101994988B1 (ko) 2014-09-03 2015-08-21 다기통 내연기관용 배기 매니폴드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10626780B2 (ko)
EP (1) EP3189220B1 (ko)
KR (1) KR101994988B1 (ko)
BR (1) BR112017001767B1 (ko)
SE (1) SE540745C2 (ko)
WO (1) WO201603629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933207B2 (en) 2022-06-23 2024-03-19 Paccar Inc Pulse turbo charging exhaust system
USD1019504S1 (en) 2022-06-23 2024-03-26 Paccar Inc Exhaust manifold
CN115596544B (zh) * 2022-10-26 2024-04-23 赛力斯集团股份有限公司 用于发动机的排气歧管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8951A (ja) * 1996-06-28 1998-01-13 Nissan Diesel Motor Co Ltd V型8気筒エンジン用エキゾーストマニホールド
JPH10266844A (ja) * 1997-03-25 1998-10-06 Calsonic Corp 二重管型排気マニホールド
JP2007247451A (ja) * 2006-03-14 2007-09-27 Nissan Motor Co Ltd V型多気筒エンジンの排気マニホールド構造
US20130152563A1 (en) * 2006-06-13 2013-06-20 Wescast Industries, Inc. Exhaust Manifolds Including Heat Shield Assemblies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230666A (en) * 1937-12-01 1941-02-04 Firm J Eberspacher Exhaust gas collector
DE842873C (de) 1950-06-25 1952-07-03 Maschf Augsburg Nuernberg Ag Abgassammler fuer aufgeladene Brennkraftmaschinen mit nachgeschalteter Abgasturbine
DE3121341C2 (de) * 1981-05-29 1984-09-20 M.A.N. Maschinenfabrik Augsburg-Nürnberg AG, 8900 Augsburg Abgasleitungssystem zwischen einer nach dem Stauprinzip aufgeladenen, mehrzylindrigen Brennkraftmaschine und einem Abgasturbolader
DE4403583A1 (de) * 1994-02-05 1995-08-10 Mak Maschinenbau Krupp Abgasleitungssystem
US5692375A (en) 1996-12-11 1997-12-02 Ford Global Technologies, Inc. Bifurcated exhaust manifold for a V-type engine
US5860278A (en) * 1996-12-23 1999-01-19 Chrysler Corporation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a compact low pressure drop exhaust manifold
DE19957979B4 (de) * 1999-12-02 2006-08-10 Audi Ag Abgaskrümmer
SE539038C2 (sv) * 2011-10-20 2017-03-28 Scania Cv Ab Grenrör för mottagning av avgaser från en flercylindrig förbränningsmotor
US9303555B2 (en) * 2013-04-04 2016-04-05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Exhaust manifold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8951A (ja) * 1996-06-28 1998-01-13 Nissan Diesel Motor Co Ltd V型8気筒エンジン用エキゾーストマニホールド
JPH10266844A (ja) * 1997-03-25 1998-10-06 Calsonic Corp 二重管型排気マニホールド
JP2007247451A (ja) * 2006-03-14 2007-09-27 Nissan Motor Co Ltd V型多気筒エンジンの排気マニホールド構造
US20130152563A1 (en) * 2006-06-13 2013-06-20 Wescast Industries, Inc. Exhaust Manifolds Including Heat Shield Assemblie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189220A4 (en) 2018-01-24
SE1451026A1 (sv) 2016-03-04
EP3189220B1 (en) 2020-10-21
EP3189220A1 (en) 2017-07-12
BR112017001767A2 (pt) 2018-02-14
WO2016036297A1 (en) 2016-03-10
US10626780B2 (en) 2020-04-21
BR112017001767B1 (pt) 2022-11-01
US20170218829A1 (en) 2017-08-03
SE540745C2 (sv) 2018-10-30
KR101994988B1 (ko) 2019-07-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322364B2 (en) Engine inlet for EGR-air flow distribution
KR101994988B1 (ko) 다기통 내연기관용 배기 매니폴드
JP6169012B2 (ja) 吸気装置
US10174726B2 (en) Intake manifold
EP3040547B1 (en) Cooling structure for a cylinder head of an internal combustion engine
CN110821727B (zh) 发动机的进气歧管
CN101668599A (zh) 在以铸造技术制造的活塞中的形成冷却通道的铸造型芯
RU2016129205A (ru) Двигатель внутреннего сгорания с рубашкой для текучей среды
JP6324298B2 (ja) 吸気マニホルド
CN107667214B (zh) 一种用于内燃机的汽缸盖
US20170067390A1 (en) Internal combustion engine
KR101351599B1 (ko) 배기 매니폴드
US9790845B2 (en) Internal combustion engine
US20130133870A1 (en) Jet pump assembly
EP3002449B1 (en) Fuel injection valve
US10655558B2 (en) Internal combustion engine
EP3201448B1 (en) Uniflow engine with fluid flow arrangement
US10344705B2 (en) Intake valve fairing for a cylinder head of an engine
EP2769065B1 (en) Exhaust manifold for exhaust gases from a multi cylinder combustion engine
CN103993945A (zh) 用于双平面集成排气歧管的双路径sair
EP3078828B1 (en) Internal combustion engin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US20140137842A1 (en) Fuel injection apparatu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
CN110821726B (zh) 发动机的进气歧管
SE1550729A1 (en) Exhaust Manifold
EP2933466B1 (en) Cylinder head for a combustion engin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